KR20100024599A -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 및 그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의 함체에 광 케이블을 결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 및 그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의 함체에 광 케이블을 결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4599A
KR20100024599A KR1020080083232A KR20080083232A KR20100024599A KR 20100024599 A KR20100024599 A KR 20100024599A KR 1020080083232 A KR1020080083232 A KR 1020080083232A KR 20080083232 A KR20080083232 A KR 20080083232A KR 20100024599 A KR20100024599 A KR 20100024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able
enclosure
opening
outlet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3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4788B1 (ko
Inventor
강정호
오승현
손희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파워콤
주식회사 파워링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파워콤, 주식회사 파워링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파워콤
Priority to KR1020080083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4788B1/ko
Publication of KR20100024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4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52Distribution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71Terminating devices ; Cable clamps
    • G02B6/4476Terminating devices ; Cable clamps with heat-shrinkable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은, 외관을 구성하고 광케이블 인입출구가 외부로 돌출 형성된 함체와; 상기 함체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인입출구를 통해 삽입된 광케이블 내부에 포함된 인장선을 고정시키는 인장선 고정부와; 상기 함체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인입출구를 통해 삽입된 광케이블의 외피를 고정시키는 케이블 외피 고정부와; 상기 함체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인입출구를 통해 삽입되는 광케이블과 상기 인입출구를 상호 고정 결합시키는 외부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접속되는 광케이블의 인장력을 증대시키고 인입출구를 통한 수분 및 벌레의 유입을 막을 수 있다.

Description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 및 그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의 함체에 광 케이블을 결합하는 방법{OPTICAL CABLE CONNECTION-DISTRIBUTION BOX AND METHOD FOR CONNECTING OPTICAL CABLE ON THE BODY THEREOF}
본 발명은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 및 그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의 함체에 광 케이블을 결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속되는 광케이블의 인장력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개통용 케이블의 접속을 용이하도록 하는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 및 그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의 함체에 광 케이블을 결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및 방송 가입자들은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VDSL(Very High Bit-Rate Digital Subscriber Line), Ethernet LAN(Local Area Network), 케이블 모뎀(cable modem) 등을 통해 초고속 인터넷 등의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으며, HFC(Hybrid Fiber Coaxial)를 기반으로 한 케이블 방송과 위성 방송을 이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근래에는, 가입자에게 고속, 대용량의 통신,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각 가입자 댁내까지 광섬유를 연결한 FTTH(Fiber To The Home) 시스템의 보급화 가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광케이블을 이용한 통신에 있어서, 각 광섬유 즉, 광 코어(core)는 여러 개로 분기하여 각각 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는데, 일 예로써 하나의 광 코어를 통과하는 신호는 광 수동소자(광 스플리터 또는 파장 분리기)를 이용하여 최대 32개의 광 신호로 분배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32 분기는 현재 광 코어를 지나는 신호의 세기 및 그 신호를 처리하는 기술적인 부분에 의해 규정된 것에 불과하고 그 이상으로 분기될 가능성이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광 코어 여러 개를 포함하는 광케이블을 댁내 가입자가 위치한 근처까지 연결하고 해당 광케이블의 광 코어와 댁내 가입자의 단말기와 연결하도록 하기 위한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이 제시된 바 있다.
즉,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은 광케이블이 지나가는 곳 중간에 설치되어 인입 광케이블로부터 추출된 광 코어와 댁내 가입자의 개통용 케이블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는 한편, 인출 광케이블의 각 광 코어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런데, 이러한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은 인입 광케이블 또는 인출 광케이블이 내부에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인입 또는 인출 광케이블이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에 단단히 고정되지 않는 경우 해당 광케이블들이 빠져버리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다.
즉, 전주 등을 거쳐 설치되는 광케이블은 외부의 영향 및 자체 하중으로 인해 소정의 장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러한 장력은 결국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에 삽입된 광케이블이 빠지도록 유도하게 된다.
광케이블이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당연히 댁내 가입자까지 신호가 전송될 수 없게 되고 이는 인터넷 또는 방송 등을 광케이블을 이용하는 고객들의 불만이 될 수 있다.
특히 종래의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은 광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해 내부에 광케이블의 심선을 고정시키는 구조와 광케이블의 외피를 고정시키는 두 가지 구조로 되어 있어서, 강한 장력이 광케이블에 발생하는 경우 광케이블이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그렇다고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 내부에 광케이블을 고정 시키는 구조(인장선 홀, 스틸 밴드 등)를 추가하는 것은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의 내부 구조를 복잡하게 하여 광케이블로부터 추출된 광 코어의 손상을 유발하거나,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의 크기를 크게 하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한편, 각 가정 근처의 전신주 근처에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이 설치되는 경우 각 가정으로부터 해당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까지 별도의 광케이블이 연결되어야 하는데, 이때 해당 광케이블의 길이에 여유분을 주면서도 잘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 전주 또는 기타 부속 물건에 기 설치된 클램프를 이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처럼 기 설치된 클램프를 각 통신 사업자가 함께 사용하는 경우 광케이블의 엉김으로 인해 광케이블이 구부려 지거나 단선되어 통신장애를 발생하게 된다.
각 통신 사업자마다 무분별하게 전주 등에 클램프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그 일정치 않은 클램프 설치 위치와 클램프 개수의 증가에 따라 각각의 광케이블들이 서로 꼬이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는 실정이다. 더욱이 기 설치된 클램프의 위치가 적당하지 않은 경우에는 가입자마다 별도의 클램프를 설치함으로써 설치비용 및 설치시간을 증가시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광케이블의 인장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면서도, 댁내 가입자까지 연결되는 광케이블의 고정을 용이하도록 하는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 및 그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의 함체에 광 케이블을 결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은, 외관을 구성하고 광케이블 인입출구가 외부로 돌출 형성된 함체와; 상기 함체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인입출구를 통해 삽입된 광케이블 내부에 포함된 인장선을 고정시키는 인장선 고정부와; 상기 함체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인입출구를 통해 삽입된 광케이블의 외피를 고정시키는 케이블 외피 고정부와; 상기 함체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인입출구를 통해 삽입되는 광케이블과 상기 인입출구를 상호 고정 결합시키는 외부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인입출구가 외부로 돌출 형성된 광 케이블 접속 분배함의 함체에 광 케이블을 결합시키는 방법은, 상기 인 입출구의 외주면에 열 수축 튜브가 결합되는 단계와; 상기 열 수축 튜브가 결합된 인입출구를 통해 광 케이블이 상기 함체 내부로 삽입되는 단계와; 상기 함체 내부로 삽입된 광 케이블의 인장선이 상기 함체 내부에 구비된 인장선 고정부에 고정 결합되는 단계와; 상기 함체 내부로 삽입된 광 케이블의 외피가 상기 함체 내부에 구비된 외피 고정부에 고정 결합되는 단계와; 상기 열 수축 튜브에 고온의 열이 가해져 상기 열 수축 튜브가 수축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과 광케이블을 인장선 고정부, 외피 고정부, 외부 결합부를 통해 결합시킴으로써, 광케이블에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 바깥쪽 또는 안쪽으로의 힘이 가해지더라도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으로부터 광케이블이 분리되는 것을 최대한 막을 수 있다. 즉, 결합된 광케이블의 인장력을 증대시킨다. 더욱이 외부 결합부로써 열 수축튜브를 사용함으로써 광케이블 인입출구를 통해 수분이나 벌레의 유입을 차단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개통용 케이블을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에 연결할 때에도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의 조가선 클램프에 이미 구비된 개통용 클램프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로 개통용 클램프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또한 기 설정된 다른 클램프를 이용함에 따른 개통용 케이블의 얽힘, 꺾임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 내에 개통용 케이블과 연결되는 포트 및 수용부를 포함시킴으로써 내구성을 증가시키고 수분 등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600) 접속 분배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00)와, 인장선 고정부(200), 케이블 외피 고정부(300), 외부 결합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함체(100)는 광케이블(600) 접속 분배함의 외관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그 재질은 무게가 가볍고 전기를 통하지 않게 하며 그 제조가 쉬운 플라스틱류 특히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함체(100)의 외부에는 광케이블(600) 인입출구(101)가 외부로 돌출 형성되는데, 광케이블(600) 인입출구(101)는 적어도 복수개 이상의 광 코어를 포함하는 광케이블(600)이 함체(100)로 들어오거나 나가게 하는 일종의 구멍으로서, 케이블의 형상에 맞추어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그 원통 내경은 인입 또는 인출되는 케이블의 외경보다는 크게 구성되는데, 예를 들어 24 코어를 포함하는 광케이블(600)의 인입을 위해서는 원통 내경(즉, 안쪽 지름)이 17mm 이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입출구(101)에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 먼지, 비 등이 함체(100) 내부로 들어오지 않도록 하는 캡(102)이 장착될 수 있다.
물론, 수용하는 광케이블(600)의 종류에 맞추어 인입출구(101)는 그 내경 크기가 각기 다른 것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장선 고정부(200)는 함체(100) 내부에 고정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인 입출구(101)를 통해 삽입된 광케이블(600) 내부에 포함된 인장선을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고정적으로 구비된다는 것은 인장선 고정부(200)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이 모두 움직임이 없다는 의미가 아니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광케이블(600)을 함체(100)에 고정시키기 위해 인장선 고정부(200) 역시 함체(100) 내부에 고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해당 용어의 의미는 같다.
즉, 광케이블(600)에는 실제 광 신호를 전달하는 광 코어뿐만 아니라 광 코어가 외부 충격에 약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광케이블(600)이 쉽게 구부러지지 않게 하거나 광케이블(600)이 소정 인장력을 갖도록 하는 인장선이 포함되어 있다. 광케이블(600)에 포함되는 인장선은 기 공지된 것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인장선 고정부(200)는 예를 들어 압착단자(211)와 같이 인장선이 장착되는 단자와 단자에 인장선을 고정시키는 볼트(212)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볼트(212)의 회전 삽입에 의해 압착단자(211)와 인장선이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볼트(212)가 삽입되는 볼트 삽입공(미 도시함)은 함체(100) 내부에 고정 설치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인장선을 함체(10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외피 고정부(300)는 인장선 고정부(200)와 마찬가지로 함체(100)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 인입출구(101)를 통해 삽입된 광케이블(600)의 외피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 고정부(300)는 예를 들어 스틸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스틸밴드는 광케이블(600) 외피 바깥쪽을 감싸는 금속재 밴드(312)와 해당 금속재 밴드(312)를 조이는 볼트(315)와 볼트(315)의 조임에 따라 금속재 밴드(312)의 반경을 줄이는 조임부(313)를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케이블을 금속재 밴드(312)에 삽입되도록 한 후 볼트(315)를 조임부(313)의 볼트 구멍에 삽입하여 조임으로써 금속재 밴드(312)가 광케이블(600)의 외피를 조일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스틸밴드는 함체(100) 내부에 형성된 걸림부(311)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사용될 수 있고, 볼트(315)를 조임에 따라 금속재 밴드(312)는 걸림부(311)에 걸린 상태에서 그 반경이 줄어들게 되므로 금속재 밴드(312) 안에 삽입된 광케이블(600)은 함체(100)의 걸림부(311)와 함께 고정되게 된다.
이로써 함체(100) 내부에서는 인장선 고정부(200)와 외피 고정부(300)에 의해 광케이블(600)을 함체(10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외부 결합부(400)는 함체(100) 외부에 구비되면서 인입출구(101)를 통해 삽입되는 광케이블(600)과 그 인입출구(101)를 상호 고정 결합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외부 결합부(400)는 상술한 인장선 고정부(200) 및 외피 고정부(300)와 달리 함체(100) 외부에서 광케이블(600)과 함체(100)를 고정시켜 광케이블(600)의 인장력을 증가시킨다.
외부 결합부(400)의 일 예로써 인입출구(101)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결합된 열 수축 튜브가 있다. 열 수축 튜브는 소정의 열이 가해지면 수축하는 폴리올레핀 계열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열 수축 튜브를 인입출구(10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하고서 광케이블(600)을 열 수축 튜브 내부를 거쳐 인입출구(101)로 삽입시킨 후에 열을 가하게 되면, 열 수축 튜브는 인입출구(101)와 광케이블(600)을 조일정도로 수축하여 광케이블(600)을 함체(100)에 고정시킨다.
이처럼 함체(100) 내부에서 뿐만 아니라 함체(100) 외부에서 광케이블(600)과 함체(100)를 고정시킴으로써, 광케이블(600)에 큰 장력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광케이블(600)이 함체(10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를 최대한 줄일 수 있게 된다.
더욱이 함체(100) 내부에만 광케이블(600) 고정 장치들(즉, 인장선 고정부(200) 및 외피 고정부(300))을 구비하는 경우 광케이블(600)이 함체(100)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의 장력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견딜 수 있으나 그 반대로 광케이블(600)이 함체(100) 내부로 진입하는 경우에는 함체(100) 내부에서 광케이블(600)이 구부러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와 같이 함체(100) 외부에서 인입출구(101)와 광케이블(600)을 고정시키는 외부 결합부(400)를 이용하게 되면 함체(100) 바깥쪽으로 향하는 장력에 견디는 능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함체(100) 내부로 광케이블(600)을 미는 외부 힘에 대해서는 효과적으로 대항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광케이블(600) 수요의 급증에 따라 보다 많은 심선, 즉 광 코어를 포함하는 굵은 광케이블(600)의 이용시 광케이블(600)의 자체 하중에 따른 장력 증가로 광케이블(600)이 함체(10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본 실시 예와 같이 3중 구조로 광케이블(600)을 함체(100)에 고정시킴으로써 보다 굵은 광케이블(600)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함체(100)에 광케이블(600)이 삽입 설치된 상태가 도 2a에 도시되었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케이블(600)은 함체(100) 내부에서는 인장선 고정부(200)에 의해 광케이블(600) 내에 포함된 인장선(610)이 고정되게 된다. 즉, 광케이블(600) 내부에는 광코어 심선(640)은 물론 인장선(610)이 포함되어 있는데 광케이블(600)의 인장력을 위해 구비된 인장선(610)이 인장선 고정부(200)에 고정 결합되는 것이다.
외피 고정부(300)에 의해서는 광케이블(600) 외피(620)가 고정된다. 여기서 광케이블 외피(620)가 고정된다는 것은 그 외피(620)만 따로 분리되어 고정된다는 것이 아니라 외피(620)를 포함한 광케이블(600) 자체가 고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함체(100) 외부에서는 외부 결합부(400) 즉, 열 수축튜브 압착에 의해 함체(100)와 광케이블(600)이 고정되게 된다.
도 2b는 광케이블(600)이 함체(100)에 고정된 부분만을 확대하여 표시하였다.
도 2a 및 도 2b에서 가입자 개통용 잭 수용부(105)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가입자 개통용 잭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함체(100)에는 가입자 개통용 잭 연결 포트 구멍(104)이 구성되어 있고 가입자 개통용 잭 수용부(105)는 이러한 포트 구멍 안쪽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구멍 안쪽에는 가입자 개통용 잭 수용부(105)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대(103)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가입자 개통용 잭은 가입자 개통용 잭 수용부(105)에 탈착이 자유롭도록 결합되는 잭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가입자 개통용 잭에는 단일 광 코어를 포함하는 광케이블(600)이 연결되어 가입자 단말에 직접 또는 또 다른 광케이블(600) 접속 분배함으로 다시 연결될 수 있다.
함체(100) 내부 하부는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ㄱ'자 형상을 하고 있고, 가입자 개통용 잭 연결 포트 구멍(104)은 함체(100) 내부 하부의 'ㄱ'자 형상 중 세로 방향의 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인장선 고정부(200) 및 케이블 외피 고정부(300)는 함체(100) 내부 하부의 'ㄱ'자 형상 중 가로 방향의 면에 높이에 맞춰 구비되고, 가입자 개통용 잭 수용부(105)는 포트 구멍 앞 즉, 인장선 고정부(200) 및 케이블 외피 고정부(300)보다 더 아래쪽에 배치되도록 하여 광 코어들의 엉김이나 구부러짐 등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가입자 개통용 잭 수용부(105)에는 함체(100)에 인입출된 광케이블(600)의 광 코어와 연결되는 별도의 광 코어(또는 광케이블(600))가 결합되어 있는데 도면이 복잡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그 일부만 도시하였다.
그리고 하나의 광 코어는 복수 개의 광 코어로 나눠질 수 있고 이때 사용되는 것이 광 스플리터인데, 광 스플리터를 이용한 광케이블(600)의 연결 구조는 기 공지된 것에 불과하므로 동 도면에서는 광 스플리터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가입자 개통용 잭 연결 포트 구멍(104)은 도 3에 도시되었다.
도 3은 함체(100) 배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함체(100) 배면은 상술한 함 체(100) 내부 하부 구조 형상에 따라 'ㄱ'자 형상의 면으로 구성되고, 'ㄱ'자 형상의 세로 방향 면에 가입자 개통용 잭 연결 포트 구멍(104)이 형성되고 그 안쪽으로 인접하여 가입자 개통용 잭 수용부(105)가 구비된다. 이처럼 가입자 개통용 잭 연결 포트 구멍(104)이 함체(100)에 일체로 형성되고 가입자 개통용 잭 수용부(105) 역시 함체(100) 내부에 고정 배치됨으로써 그 내구성이 증가한다.
가입자 개통용 잭 연결 포트 구멍(104)이 외부로 노출되는 가능성을 줄여줌으로써 방수, 방충의 효과가 증가한다. 더욱이 'ㄱ'자 형상의 세로 방향에 가입자 개통용 잭 연결 포트 구멍(104)이 구비됨으로써 함체(100) 가로 방향(즉, 상부 면과 하부 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가입자용 케이블이 함체(100)에 결선(또는 잭 연결)될 수 있어 가입자용 케이블의 꼬임을 최대한 줄일 수 있고 또한 외력에 의해 가입자용 케이블이 함체(100)로부터 분리될 가능성을 줄여줄 수 있다.
한편, 도 4는 광심선 트레이(140)가 함체(100) 내부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광심선 트레이(140)는 인입되는 광케이블(600)로부터 추출된 광 코어와 인출되는 광케이블(600)의 광 코어 또는 가입자 개통을 위한 광 코어를 서로 융착 접속시킨 후에 그 접속된 광 코어를 손상없이 배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광심선 트레이(140)는 복층구조로 구성되어 보다 많은 융착 접속된 광 코어를 효과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융착 접속된 광 코어들은 각각 안착 어레이(141)에 놓여질 수 있다. 광심선 트레이(140) 각각의 구조는 기 공지된 것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함체(100) 상부에는 함체(100) 내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상부 뚜 껑(12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뚜껑(120)은 여닫이 형태로 구성되고 걸림부(121)가 더 구비되어 상부 뚜껑(120)이 닫힌 상태에서는 걸림부(121)의 걸림 동작에 의해 쉽게 열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함체(100) 배면에도 가입자 개통용 잭 연결 포트 구멍(104)의 외부 노출을 막을 수 있는 하부 뚜껑(130)이 더 포함될 수 있고, 상부와 마찬가지로 걸림부(131)가 더 구비되어 하부 뚜껑(130)이 닫힌 상태에서는 걸림부(131)의 걸림 동작에 의해 쉽게 열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함체(100) 배면에는 가입자 개통용 광케이블(600) 등이 하부 뚜껑(130)의 닫힘으로 인해 절단되거나 눌리는 등 손상을 입지 않도록 케이블 인입 홈(107)이 복 수개 구비되어 있다. 즉, 가입자 개통용 광케이블(600)은 케이블 인입 홈(107)을 통해 함체(100) 배면에 인입되어 가입자 개통용 잭 수용부(105)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함체(100)의 단면도가 도 5에 도시되었다. 도 5는 도 1의 A-A'를 기준으로한 단면도에 해당한다.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것들 중 일부는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함체(100) 내부에는 광심선 트레이(140)가 복층 구조로 구비되고, 인장선 고정부(200)와 외피 고정부(300)가 동일한 수평면 상에 구비되며, 그 아래에 가입자 개통용 잭 연결 포트 구멍(104)이 형성된다.
한편, 함체(100) 외부 일 측 에는 조가선 클램프(550)가 부착되는데, 이 조가선 클램프(550)의 소정 위치에는 개통용 클램프(500)가 추가로 고정 부착된다.
조가선 클램프(550)와 개통용 클램프(500)가 함체(100) 외부에 부착된 상태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되었다.
도 6a는 상부 뚜껑(120)이 닫힌 상태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b는 하부 뚜껑(130)이 닫힌 상태의 배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조가선 클램프(550)의 일 측은 볼트/너트(501) 등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함체(100)와 결합되고, 타 측은 조가선(700)에 마찬가지로 볼트/너트(551) 등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고정 장착된다.
조가선(700)은 전주와 전주 사이의 일정 높이에 함체(100)가 위치하도록 하는 선으로서, 기계적 강도, 내식성, 내마모성 등이 크고, 선팽창 계수가 작을 것 등의 조건을 만족하는 선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체(100)는 조가선 클램프(550)를 통해 이러한 조가선(700)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조가선(700)에 추가로 부착된 개통용 클램프(500)는 가입자 개통용 케이블(650)을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그 모양은 다양하게 형성 가능하나 일 예로써 도 7a와 같은 형상을 할 수 있다. 그 개통용 클램프(500)에 개통용 케이블(650)이 감긴 형태의 일 예는 도 7b에 도시되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통용 케이블(650)은 '8자 '형태로 개통용 클램프(500)에 감길 수도 있지만, '1 자'형태로 수회 감길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개통용 클램프(500)에는 별도의 케이블 고정장치가 없더라도 도 8b와 같이 케이블을 몇 번 개통용 클램프(500)에 감기만 하면 개통용 케이블(650) 자체의 장력과 마찰력에 의해 개통용 케이블(650)이 개통용 클램프(500)에 고정된다.
조가선(700)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600) 접속함이 고정 장착되고, 개통용 케이블(650)이 조가선 클램프(550)에 부착된 개통용 클램프(500)를 거쳐 광케이블(600) 접속함에 연결된 상태가 도 8에 도시되었다.
이처럼 각 광케이블(600) 접속함에 개통용 클램프(500)가 고정 장착됨으로써 광케이블(600) 개통시 마다 별도의 개통용 클램프(500)를 설치해야 하거나 원 거리에 있는 기 설치된 개통용 클램프(500)를 이용함으로써 발생하는 개통용 광케이블(600)의 단선, 밴딩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의 내부가 보이도록 함체의 상부 뚜껑 및 광심선 트레이를 개방한 평면도이고,
도 2a는 도 1의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에 광케이블이 인입되어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의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의 하부 뚜껑을 열어 배면이 보이도록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a에서 광심선 트레이를 함체 내부에 안착시킨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A-A'를 기준으로한 단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개통용 클램프가 조가선 클램프의 일부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의 상부 뚜껑 및 하부 뚜껑을 닫은 상태의 평면도 및 배면도이고,
도 7a는 도 6a 및 도 6b의 조가선 클램프에 부착된 개통용 클램프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개통용 클램프에 개통용 케이블이 장착되는 일 예롤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조가선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이 조가선 클램프를 이용해 고정 장착된 상태에서 개통용 케이블이 개통용 클램프를 거쳐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에 인입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함체 200 : 인장선 고정부
300 : 외피 고정부 400 : 외부 결합부
500 : 개통용 클램프 600 : 광케이블
120 : 상부 뚜껑 130 : 하부 뚜껑
140 : 광심선 트레이 101 : 인입출구
102 : 인입출구 캡 103 : 가입자 개통용 잭 수용부 지지대
104 : 가입자 개통용 잭 연결 포트 구멍
105 : 가입자 개통용 잭 수용부 107 : 케이블 인입 홈
121 : 상부 뚜껑 걸림부 131 : 하부 뚜껑 걸림부
141 : 안착 어레이 211 : 압착단자
212, 315: 볼트 311 : 걸림부
312 : 금속재 밴드 313 : 조임부
314 : 외피 고정부 고정 프레임 501,551 : 볼트/너트
550 : 조가선 클램프 650 : 개통용 케이블
700 : 조가선

Claims (6)

  1. 외관을 구성하고 광케이블 인입출구가 외부로 돌출 형성된 함체와;
    상기 함체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인입출구를 통해 삽입된 광케이블 내부에 포함된 인장선을 고정시키는 인장선 고정부와;
    상기 함체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인입출구를 통해 삽입된 광케이블의 외피를 고정시키는 케이블 외피 고정부와;
    상기 함체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인입출구를 통해 삽입되는 광케이블과 상기 인입출구를 상호 고정 결합시키는 외부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결합부는 상기 인입출구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결합된 열 수축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 외부 일측에는 개통용 클램프가 포함된 조가선 클램프가 고정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 배면에는 가입자 개통용 잭 연결 포트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가입자 개통용 잭 연결 포트 구멍 안쪽에는 가입자 개통용 잭 수용부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 내부 하부의 단면은 'ㄱ'자 형상을 하고,
    상기 가입자 개통용 잭 연결 포트 구멍은 상기 함체 내부 하부의 'ㄱ'자 형상 중 세로 방향의 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
  6. 인입출구가 외부로 돌출 형성된 광 케이블 접속 분배함의 함체에 광 케이블을 결합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입출구의 외주면에 열 수축 튜브가 결합되는 단계와;
    상기 열 수축 튜브가 결합된 인입출구를 통해 광 케이블이 상기 함체 내부로 삽입되는 단계와;
    상기 함체 내부로 삽입된 광 케이블의 인장선이 상기 함체 내부에 구비된 인장선 고정부에 고정 결합되는 단계와;
    상기 함체 내부로 삽입된 광 케이블의 외피가 상기 함체 내부에 구비된 외피 고정부에 고정 결합되는 단계와;
    상기 열 수축 튜브에 고온의 열이 가해져 상기 열 수축 튜브가 수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결합 방법.
KR1020080083232A 2008-08-26 2008-08-26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 및 그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의 함체에 광 케이블을 결합하는 방법 KR100974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232A KR100974788B1 (ko) 2008-08-26 2008-08-26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 및 그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의 함체에 광 케이블을 결합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232A KR100974788B1 (ko) 2008-08-26 2008-08-26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 및 그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의 함체에 광 케이블을 결합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599A true KR20100024599A (ko) 2010-03-08
KR100974788B1 KR100974788B1 (ko) 2010-08-06

Family

ID=42176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3232A KR100974788B1 (ko) 2008-08-26 2008-08-26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 및 그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의 함체에 광 케이블을 결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478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256B1 (ko) * 2011-12-29 2012-06-19 네트웍오앤에스 주식회사 광케이블 분기 접속 함체
CN107238906A (zh) * 2017-07-21 2017-10-10 中天宽带技术有限公司 一种oplc楼层分接系统
KR20180107600A (ko) 2017-03-22 2018-10-02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광케이블용 접속함체
WO2021243277A1 (en) * 2020-05-29 2021-12-02 Commscope Technologies Llc Fiber management tray arrangements and assemblies for fiber optic closure organizer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5785B1 (ko) * 2018-04-05 2023-04-2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분배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869B1 (ko) * 2002-06-12 2005-09-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후방의 트레일링암 결합구조
KR200396499Y1 (ko) 2005-06-28 2005-09-23 김상기 광단자함
KR100831736B1 (ko) 2006-02-28 2008-05-22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쿠라 라인 테크 케이블 걸침구 및 그 가설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256B1 (ko) * 2011-12-29 2012-06-19 네트웍오앤에스 주식회사 광케이블 분기 접속 함체
WO2013100445A1 (ko) * 2011-12-29 2013-07-04 주식회사 씨티네트웍스 광케이블 분기 접속 함체
KR20180107600A (ko) 2017-03-22 2018-10-02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광케이블용 접속함체
CN107238906A (zh) * 2017-07-21 2017-10-10 中天宽带技术有限公司 一种oplc楼层分接系统
CN107238906B (zh) * 2017-07-21 2023-07-07 中天宽带技术有限公司 一种oplc楼层分接系统
WO2021243277A1 (en) * 2020-05-29 2021-12-02 Commscope Technologies Llc Fiber management tray arrangements and assemblies for fiber optic closure organiz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4788B1 (ko) 201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9883B2 (en) Optical fiber cable inlet device and telecommunications enclosure system
US5617501A (en) Shield bond strain connector for fiber optic closure
US8648258B2 (en) Mechanical cable entry port
US8005333B2 (en) Tap-off closure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EP0328312B1 (en) Cable closure and methods of assembling
US8903216B2 (en) Cable strain relief clamping device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US5758004A (en) Closure with cable strain relief
US5553186A (en) Fiber optic dome closure
KR100952825B1 (ko) 광케이블 및 광케이블의 인장부재 지지장치
US7340144B2 (en) Optical fiber splice enclosure
US7609925B2 (en) Fiber optic cable breakout configuration with tensile reinforcement
JP2008502946A (ja) 一体型ケーブル処理シール特徴部を備えた光ファイバクロージャ
US7532799B2 (en) Fiber optic telecommunications cable assembly
KR100974788B1 (ko)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 및 그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의 함체에 광 케이블을 결합하는 방법
US20110075983A1 (en) Telecommunications cable inlet device
EP0744640A1 (fr) Boîtier de raccordement de fibre optique
WO2007103438A2 (en) Fiber optic cable breakout configuration with retention block
US10976512B2 (en) House box with mounting surface for mounted access
KR200396499Y1 (ko) 광단자함
KR200237992Y1 (ko) 광케이블이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는 슬리브가 본체의외측면에 부착된 광단자함
KR100276072B1 (ko) 다심 광섬유 케이블용 성단조립체
RU2575476C2 (ru) Короб для поверхностоного монтажа
MXPA97007081A (en) Organizers of optimal fib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