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7600A - 광케이블용 접속함체 - Google Patents

광케이블용 접속함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7600A
KR20180107600A KR1020170036120A KR20170036120A KR20180107600A KR 20180107600 A KR20180107600 A KR 20180107600A KR 1020170036120 A KR1020170036120 A KR 1020170036120A KR 20170036120 A KR20170036120 A KR 20170036120A KR 20180107600 A KR20180107600 A KR 20180107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adapter
hole
housing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3311B1 (ko
Inventor
최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Priority to KR1020170036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311B1/ko
Publication of KR20180107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52Distribution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34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 G02B6/3838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using grooves for light gui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홀을 포함하는 제1 함체부 및 제2 홀을 포함하는 제2 함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제1 홀과 상기 제2 홀이 정렬되도록 상기 제1 몸체부의 외면에 결합하는 광케이블용 함체를 제공하여, 결합되어 내부 공간이 연통되는 제1 함체부와 제2 함체부를 구비하여, 광케이블의 접속공간을 확장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광케이블용 접속함체{Connecting box for optical cable}
실시예는 광케이블용 함체에 관한 것이다.
광섬유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식은 전기신호를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종래 방식보다 전송속도 및 전송된 신호의 품질에 있어 훨씬 우수하므로, 통신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광섬유는 석영유리나 플라스틱 등과 같은 투명한 유전체를 가늘고 길게 뽑아 제작되므로, 재질의 특성상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광섬유의 외면을 완충성 커버 등으로 피복하여 케이블 형태로 제작된다.
광케이블용 함체는 외부 광선로와 가입자 전송장치 간의 연결 및 분배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인입된 광섬유의 일부가 광어댑터의 광섬유와 접속되어 근거리에 있는 가입자의 전송장치로 분배되면, 광케이블의 나머지 광섬유들은 광케이블 형태로 다시 인출됨으로써, 장거리에 있는 가입자의 전송장치로 분배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4599호(2010.03.08. 공개, 이하, 본 문헌이라 한다)에서는 광케이블용 접속함체를 기재하고 있다. 본 문헌의 광케이블용 접속함체에는 광케이블이 인입되는 함체를 포함하고, 함체의 내부에는 광케이블의 접속을 위한 트레이나 포트들이 마련된다. 그러나 이러한 광케이블용 접속함체는 내부 공간이 협소하다. 따라서, 광어댑터를 내부에 넣어 분배되는 분기형 함체로 사용할 경우 광케이블의 얽힘 또는 꺽임이 발생하기 쉽고, 작업 대상이 되는 광케이블의 조작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4599호(2010.03.08. 공개)
이에,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광케이블의 분배 공간을 별로도 분리하여 작업 환경을 확장할 수 있는 광케이블용 접속함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밀집되어 배치된 광케이블과 광어댑터의 배열에 대한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광케이블용 접속함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는, 제1 홀을 포함하는 제1 함체부 및 제2 홀을 포함하는 제2 함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제1 홀과 상기 제2 홀이 정렬되도록 상기 제1 몸체부의 외면에 결합하는 광케이블용 함체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함체부는, 상기 제1 함체부의 바닥부에 배치되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함체부는 상기 제2 함체부의 바닥부에 배치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는 착탈 가능하게 상호 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홀은 상기 제1 함체부의 바닥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홀은 상기 제2 함체부의 바닥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함체부는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에 배치되는 제1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함체부는 제2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에 배치되는 제2 덮개를 포함하고, 제2 홀은 상기 제1 몸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2 몸체의 바닥부에 배치되는 제3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는 어댑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홀은 상기 어댑터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3 홀은 상기 어댑터부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몸체는 어댑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어댑터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벽과, 상기 어댑터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벽과, 상기 어댑터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의 높이 방향으로, 상기 제2 몸체부의 바닥부의 하면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측벽의 높이는, 상기 어댑터부의 터미널의 하단까지의 높이 보다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몸체의 높이 방향으로, 상기 제2 몸체부의 바닥부의 하면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전벽의 높이는, 상기 제2 몸체부의 바닥부의 하면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측벽의 높이 보다 크고, 상기 제2 몸체부의 바닥부의 하면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어댑터부의 상단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몸체는 어댑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어댑터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벽과, 상기 어댑터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벽과, 상기 어댑터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전벽에는 상기 어댑터부에 연결되는 광케이블을 고정하는 고정부가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전벽의 상단에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2 몸체의 폭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걸림홈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홈의 입구의 폭은 상기 광케이블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홈은 상기 제2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1 홈과 제2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홈의 입수의 폭은 상기 제2 홈의 입구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몸체부의 바닥부의 하면의 테두리를 따라 오목하게 배치되는 가스켓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바닥부의 하면에 테두리를 따라 볼록하게 배치되어 상기 가스켓홈에 위치하는 가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되어 내부 공간이 연통되는 제1 함체부와 제2 함체부를 구비하여, 광케이블의 접속공간을 확장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함체부에 제2 함체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 호환성을 높이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함체부의 측벽의 높이를 어댑터부의 커넥터 보다 낮게 형성하여, 광케이블을 연결 또는 분리하는데 있어서, 작업의 용이성을 높이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입구의 폭이 상이한 이중 구조의 고정부를 통해, 광케이블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용 함체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광케이블용 함체로서, 제1 함체부의 제1 덮개가 열리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광케이블용 함체로서, 제2 함체부의 제2 덮개가 열리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제1 함체부에서 분리되는 제2 함체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2 함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제2 함체부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제2 함체부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고정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고정부의 걸림홀의 입구의 폭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용 함체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광케이블용 함체로서, 제1 함체부의 제1 덮개가 열리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광케이블용 함체로서, 제2 함체부의 제2 덮개가 열리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용 함체는 제1 함체부(100)와 제2 함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함체부(100)와 제2 함체부(200)는 각각 광케이블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한 별개의 함체이다.
제1 함체부(100)는 제1 몸체(110)와, 제1 덮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11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상부가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제1 덮개(120)는 제1 몸체(11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다. 제1 덮개(120)는 제1 몸체(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함체부(100)의 내부에는 광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와 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조나 트레이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함체부(200)는 제2 몸체(210)와, 제2 덮개(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몸체(22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상부가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제2 덮개(220)는 제2 몸체(21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다. 제2 덮개(220)는 제2 몸체(2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함체부(200)는 제1 함체부(100)의 외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함체부(100)의 제1 덮개(120)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제2 함체부(200)의 제2 덮개(220)도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4는 제1 함체부에서 분리되는 제2 함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함체부(200)는 제1 함체부(1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제2 함체부(200)는 분리된 상태에서 제1 함체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함체부(100)는 제1 몸체(110)의 바닥부(111)에 배치되는 제1 홀(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112)은 제1 함체부(100)에 수용된 광케이블을 제2 함체부(200)에 연결하기 위하여 제1 함체부(100)의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1 홀(112)은 제1 함체부(100)의 폭방향(도 4의 x축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장공형 형태의 홀일 수 있다.
제2 함체부(200)는 제2 몸체(210)의 바닥부(211)에 배치되는 제2 홀(2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홀(212)은 제1 함체부(100)에서 인출된 광케이블을 제2 함체부(200)에 연결하기 위하여 제2 함체부(200)의 내부로 인입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2 홀(212)은 제2 함체부(200)의 폭방향(도 4의 x축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장공형 형태의 홀일 수 있다.
제2 함체부(200)가 제1 함체부(100)에 결합할 때, 제2 함체부(200)의 바닥부(211)와 제1 함체부(100)의 바닥부(111)가 맞닿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홀(112)과 제2 홀(212)이 정렬되도록 제2 함체부(200)가 제1 함체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제2 함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제2 함체부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 함체부(100)는 제1 결합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함체부(200)는 제2 결합부(2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113)는 제1 함체부(100)의 바닥부(111)의 하면(111a)에서 볼록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결합부(113)는 중심부에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체결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함체부(200)는 제2 결합부(2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부(213)는 제2 함체부(100)의 바닥부(211)의 하면(211a)에서 오목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결합부(213)는 중심부에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체결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결합부(113)는 제2 결합부(213)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함체부(200)의 제2 몸체(210)는 어댑터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부(230)는 제2 함체부(200)의 길이 방향(도 6의 y축 방향)을 기준으로 중간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어댑터부(230)는 제2 함체부(200)의 폭 방향(도 6의 y축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어댑터부(230)는 복수 개의
커넥터(23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커넥터(231)는 제2 함체부(200)의 폭 방향(도 6의 y축 방향)을 따라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커넥터(231)에는 광케이블이 연결된다.
제1 홀(112)은 어댑터부(23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홀(114)은 어댑터부(23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홀(114)은 제2 함체부(200)의 바닥부(211)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홀(114)은 제2 함체부(200)의 폭방향(도 4의 x축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장공형 형태의 홀일 수 있다. 제3 홀(114)은 커넥터(231)에 광케이블을 장착하고 분리하는데 있어서, 광케이블 아래의 작업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제2 함체부(200)의 바닥부(211)의 하면(211a)에는 가스켓홈(211b)이 배치될 수 있다. 가스켓홈(211b)의 제2 함체부(200)의 바닥부(211)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함체부(100)의 바닥부(111)의 하면(111a)에는 가스켓(111b)이 배치될 수 있다. 가스켓(111b)은 제1 함체부(100)의 바닥부(111)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스켓(111b)은, 제2 함체부(200)가 제1 함체부(100)에 결합될 때. 가스켓홈(211b)에 삽입된다. 가스켓(111b)은 제2 함체부(200)의 바닥부(211)와 제1 함체부(100)의 바닥부(111) 사이의 틈으로 이물질이나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함체부(100)와 제2 함체부(200)에는 제1 홀(112)과 제2 홀(212)이 각각 배치되기 때문에, 제1 홀(112) 또는 제2 홀(212)을 통하여 제1 함체부(100) 또는 제2 함체부(2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제2 함체부(200)의 바닥부(211)와 제1 함체부(100)의 바닥부(111) 사이의 틈으로 이물질이나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광케이블용 함체의 유지.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한편, 제2 함체부(200)는 전벽(217)과, 후벽(215)과, 측벽(216)을 포함할 수 있다. 전벽(217)은 어댑터부(230)의 전방에 배치된다. 후벽(215)은 어댑터부(230)의 후방에 배치된다. 후벽(215)에는 제2 덮개(2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측벽(216)은 어댑터부(230)의 양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벽(217)과, 후벽(215)과, 측벽(216)은 제2 덮개(220)는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각각 제2 덮개(220)의 하면과 맞닿도록 구성되어 내부에 광케이블의 접속 또는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도 7은 제2 함체부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어댑터부(230)는 제2 몸체(210)의 바닥부(211)에서, 제2 몸체(210)의 높이 방향(도 8의 z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어댑터부(230)에 장착된 커넥터(231)도 제2 몸체(210)의 바닥부(211)에서 일정 높이로 떨어진 지점에 위치한다. 이는 커넥터(231)에 광케이블을 접속시키거나 분리시킬 때, 도 8의 A와 같은 광케이블 아래의 작업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측벽(216)의 높이(H1)는 전벽(217)의 높이(H2) 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측벽(216)의 높이(H1)란, 제2 몸체(210)의 높이 방향(도 8의 z측 방향)으로 제2 몸체부(210)의 바닥부(211)의 하면(211a)에서 측벽(216)의 상단까지의 높이를 나타낸다. 그리고, 전벽(217)의 높이(H2)란, 제2 몸체(210)의 높이 방향(도 8의 z측 방향)으로 제2 몸체부(210)의 바닥부(211)의 하면(211a)에서 전벽(217)의 상단까지의 높이를 나타낸다.
또한, 측벽(216)의 높이(H1)는 어댑터부(230)의 커넥터(231)의 높이(H3)보다 작아야 한다. 이는 도 7의 A와 같이 제2 몸체(210)의 측면에서 진입할 수 있는 광케이블의 작업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측벽(216)이 높게 되면, 터미널(231)에 광케이블을 접속 또는 분리하는데 있어서, 작업자의 손이 측벽(216)에 걸리게 되어 작업에 방해가 된다. 여기서, 어댑터부(230)의 터미널(231)의 높이(H3)란, 제2 몸체(210)의 높이 방향(도 8의 z측 방향)을 기준으로, 제2 몸체부(210)의 바닥부(211)의 하면(211a)에서 터미널(231)의 하단까지의 높이를 나타낸다.
한편, 전벽(217)의 높이(H2)는 측벽(216)의 높이(H1)보다는 크고 어댑터부(230)의 높이(H4) 보다 작다.
제2 함체부(200)의 전벽(217))에 대응하여, 제2 덮개(220)의 전벽(221)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절개부(221a)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절개부(221a)는 제2 함체부(200)의 전벽(217)에 배치된 고정부(240)의 위치를 고려한 것이다.
고정부(240)는 제2 함체부(200)의 전벽(217)에 배치되어, 어댑터부(230)의 커넥터(231)에 연결된 광케이블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8은 고정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고정부의 걸림홀의 입구의 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고정부(240)는 복수 개의 걸림홈(241)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걸림홈(241)은 제2 함체부(200)의 폭 방향(도 9의 x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걸림홈(241)의 위치는 어댑터부(230)의 커넥터(231)의 위치와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홈(241)은 전벽(217)의 상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며, 내부 공간보다 폭이 좁은 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걸림홈(241)에는 어댑터부(230)의 커넥터(231)에 연결된 광케이블이 끼워진다. 걸림홈(241)의 입구의 폭은 광케이블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한편, 각각의 걸림홈(241)은 제1 홀(241a)과 제2 홈(24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241a)과 제2 홈(241b)은 제2 함체부(200)의 길이 방향(도 9의 x축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2 함체부(200)의 길이 방향(도 9의 x축 방향)을 기준으로 제1 홀(241a)은 제2 홈(241b)에 비하여 어댑터부(230)에 가깝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1 홀(241a)의 입구의 폭(W1)은 제2 홈(241b)의 입구의 폭(W2)보다 작을 수 있다. 즉, 걸림홈(241)은 폭이 다른 입구가 이중으로 배치되어 광케이블의 고정력을 높이는 이점이 있다. 특히, 단면 형상이 원형인 광케이블 이외에 단면 형상이 타원인 광케이블을 고정하는데 있어서. 이러한 걸림홈(241)의 구성은 작업 용이성을 크게 높이는 구성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광단자함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제1 함체부
110: 제1 몸체
111: 바닥부
111a: 하면
112: 제1 홀
113: 제1 결합부
120: 제2 덮개
200: 제2 함체부
210: 제2 몸체
211: 바닥부
211a: 하면
211b: 가스켓홈
212: 제2 홀
213: 제2 결합부
214: 제3홀
215: 후벽
216: 측벽
217: 전벽
220: 제2 덮개
230: 어댑터부
231: 커넥터

Claims (12)

  1. 제1 홀을 포함하는 제1 함체부;및
    제2 홀을 포함하는 제2 함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제1 홀과 상기 제2 홀이 정렬되도록 상기 제1 몸체부의 외면에 결합하는 광케이블용 함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함체부는, 상기 제1 함체부의 바닥부에 배치되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함체부는 상기 제2 함체부의 바닥부에 배치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는 착탈 가능하게 상호 결합하는 광케이블용 함체.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은 상기 제1 함체부의 바닥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홀은 상기 제2 함체부의 바닥부에 배치되는 광케이블용 함체.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함체부는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에 배치되는 제1 덮개를 포함하는 광케이블용 함체.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함체부는 제2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에 배치되는 제2 덮개를 포함하고, 제2 홀은 상기 제1 몸체에 배치되는 광케이블용 함체.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2 몸체의 바닥부에 배치되는 제3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는 어댑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홀은 상기 어댑터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3 홀은 상기 어댑터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광케이블용 함체.
  7. 제5 항에 있어서,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는 어댑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어댑터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벽과, 상기 어댑터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벽과, 상기 어댑터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의 높이 방향으로, 상기 제2 몸체부의 바닥부의 하면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측벽의 높이는, 상기 어댑터부의 터미널의 하단까지의 높이 보다 작은 광케이블용 함체.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의 높이 방향으로, 상기 제2 몸체부의 바닥부의 하면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전벽의 높이는, 상기 제2 몸체부의 바닥부의 하면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측벽의 높이 보다 크고, 상기 제2 몸체부의 바닥부의 하면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어댑터부의 상단의 높이보다 작은 광케이블용 함체.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는 어댑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어댑터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벽과, 상기 어댑터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벽과, 상기 어댑터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전벽에는 상기 어댑터부에 연결되는 광케이블을 고정하는 고정부가 배치되는 광케이블용 함체.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전벽의 상단에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2 몸체의 폭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걸림홈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홈의 입구의 폭은 상기 광케이블의 직경보다 작은 광케이블용 함체.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상기 제2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1 홈과 제2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홈의 입수의 폭은 상기 제2 홈의 입구의 폭보다 작은 광케이블용 함체.
  12.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부의 바닥부의 하면의 테두리를 따라 오목하게 배치되는 가스켓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바닥부의 하면에 테두리를 따라 볼록하게 배치되어 상기 가스켓홈에 위치하는 가스켓을 포함하는 광케이블용 함체.
KR1020170036120A 2017-03-22 2017-03-22 광케이블용 접속함체 KR101963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120A KR101963311B1 (ko) 2017-03-22 2017-03-22 광케이블용 접속함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120A KR101963311B1 (ko) 2017-03-22 2017-03-22 광케이블용 접속함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600A true KR20180107600A (ko) 2018-10-02
KR101963311B1 KR101963311B1 (ko) 2019-03-28

Family

ID=63864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120A KR101963311B1 (ko) 2017-03-22 2017-03-22 광케이블용 접속함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3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4920A (ko) * 2019-01-31 2020-08-10 임채현 중계기를 구비한 광케이블 접속함체
KR20210049500A (ko) * 2019-10-25 2021-05-06 선일텔레콤 주식회사 단자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993Y1 (ko) * 2001-03-16 2001-10-08 우전 시스텍(주) 여장정리반이 내장된 모듈형 광분배반
US20060222309A1 (en) * 2004-05-11 2006-10-05 Preformed Line Products Company Convertible fiber closure platform
KR20100024599A (ko) 2008-08-26 2010-03-08 주식회사 엘지파워콤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 및 그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의 함체에 광 케이블을 결합하는 방법
KR20110005159U (ko) * 2009-11-18 2011-05-25 동양텔레콤 주식회사 이중커버를 갖는 광단자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993Y1 (ko) * 2001-03-16 2001-10-08 우전 시스텍(주) 여장정리반이 내장된 모듈형 광분배반
US20060222309A1 (en) * 2004-05-11 2006-10-05 Preformed Line Products Company Convertible fiber closure platform
KR20100024599A (ko) 2008-08-26 2010-03-08 주식회사 엘지파워콤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 및 그 광케이블 접속 분배함의 함체에 광 케이블을 결합하는 방법
KR20110005159U (ko) * 2009-11-18 2011-05-25 동양텔레콤 주식회사 이중커버를 갖는 광단자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4920A (ko) * 2019-01-31 2020-08-10 임채현 중계기를 구비한 광케이블 접속함체
KR20210049500A (ko) * 2019-10-25 2021-05-06 선일텔레콤 주식회사 단자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3311B1 (ko)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4571B1 (ko) 후방 커넥터를 포함하는 광섬유 모듈 및 시스템
JP5021634B2 (ja) 光ファイバスプリッタモジュール
KR101075301B1 (ko) 광섬유 컨넥터 홀더 및 방법
US7376323B2 (en) Fiber optic adapter module
US20150253528A1 (en) Optical fibre distribution enclosure
EP2105770A1 (en) Outlet device
US11372184B2 (en) Optical fiber box
KR101540837B1 (ko) 스플리터 모듈
KR101963311B1 (ko) 광케이블용 접속함체
JP2009258179A (ja) スプリッタモジュール
KR101662188B1 (ko) 광단자함
KR200487139Y1 (ko) 광접속 함체
KR101953836B1 (ko) 광단자함
KR200322654Y1 (ko) 인입 광케이블 여장함이 구비된 광분배함
KR20150003366U (ko) 광단자함
JP4339804B2 (ja) 光コンセント
JP4159728B2 (ja) 光モジュール
KR20220000846U (ko) 광단자함
KR200346533Y1 (ko) 광분배모듈
KR100962288B1 (ko) 광케이블 단자함
JP2000249844A (ja) 光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