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9554A - 흡반 - Google Patents

흡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9554A
KR20080019554A KR1020070085871A KR20070085871A KR20080019554A KR 20080019554 A KR20080019554 A KR 20080019554A KR 1020070085871 A KR1020070085871 A KR 1020070085871A KR 20070085871 A KR20070085871 A KR 20070085871A KR 20080019554 A KR20080019554 A KR 20080019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ker
main body
suction
spring body
centr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5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šœ이찌 다까하시
마꼬또 가와바따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19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95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흡반을 대형화하는 일없이, 피흡착면이 주름면으로서 형성되거나, 혹은, 잔 요철면으로 형성되거나, 혹은, 까칠까칠한 면 등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도, 피흡착면에 밀착할 수 있는 흡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흡반 본체(12)의 흡착면(18)을 피흡착면에 면하여 흡반 본체(12)를 피흡착면으로 압박하면, 흡반 본체(12)는 피흡착면에 흡착되고, 이 상태에서, 스프링체(16)의 탄성력에 의해 흡착면(18)의 중앙이 피흡착면으로부터 멀어지고자 하고, 이것에 의해 피흡착면에 대한 흡반(10)의 밀착도가 높여져, 액세서리가 피흡착면에 안정된 상태로 부착된다. 흡착면(18)을 포함하는 부분이 겔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피흡착면이 주름면, 잔 요철면, 까칠까칠한 면 등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도 흡착면(18)은 요철에 추종하여 변형되어, 요철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개재시키지 않고 요철면이나 까칠까칠한 면에 흡착면(18)을 밀착할 수 있다.
흡반 본체, 흡착면, 스프링체, 흡반, 중심축

Description

흡반{SUCTION CUP}
본 발명은 흡반에 관한 것이다.
실내의 벽면이나 자동차의 데시보드 등에 물품을 장착하는 흡반이 있다.
이 종류의 흡반은, 종래, 고무 등으로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고, 두께 방향의 한쪽의 면이 피흡착면에 흡착되는 흡착면으로 되고 다른 쪽의 면이 배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흡반은, 그 흡착면을 피흡착면에 면하여 중앙 부분을 피흡착면을 향해 압박함으로써 흡착면과 피흡착면과의 사이를 대략 진공 상태로 하고, 그 진공 상태를 흡반의 탄성력에 의해 보유 지지함으로써 흡반이 피흡착면에 흡착된다(특허 문헌 1 참조).
한편, 피흡착면이 주름면으로서 형성되거나, 혹은, 잔 요철면으로 형성되거나, 혹은, 까칠까칠한 면 등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흡착면과 피흡착면과의 밀착성을 유지할 수 없고, 흡착면과 피흡착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버려, 흡반에 의한 흡착성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피흡착면이 주름면으로서 형성되거나, 혹은, 잔 요철 면으로 형성되거나, 혹은, 까칠까칠한 면 등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도 피흡착면에 밀착할 수 있는 흡반을 제안하고 있고, 이 흡반에서는, 흡착면을 겔층으로 형성하고 있다(일본 특허 출원 제2006-116359).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11-193811
한편, 겔은 탄성을 갖고 있지 않고, 또한, 겔 단일체로는 형상을 유지하기 어려운 것이기 때문에, 상술한 겔층을 이용한 흡반에서는, 고무 등으로 형성된 흡반의 장착면에 겔층을 부착하고 있다.
그 때문에, 종래의 흡반의 두께에 겔층의 두께가 가해지는 것으로 되어, 흡반이 대형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고, 그 목적은 흡반을 대형화하는 일없이, 피흡착면이 주름면으로서 형성되거나, 혹은, 잔 요철면으로 형성되거나, 혹은, 까칠까칠한 면 등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도 피흡착면에 밀착할 수 있는 흡반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흡반은, 겔로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면을 갖고 이 면이 흡착면으로 되는 흡반 본체와, 상기 흡반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흡착면이 오목형의 형상으로 되도록 오목 형상을 나타내고, 상기 흡착면이 피흡착면에 흡착된 상태에서 상기 흡착면의 중앙을 상기 피흡착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스프링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프링체는 천연 고무 및 합성 고무에 비해 탄성 계수가 큰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흡반은, 겔로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면을 갖고 이 면이 흡 착면으로 되는 흡반 본체와, 상기 흡반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흡착면이 오목형의 형상으로 되도록 오목 형상을 나타내고, 상기 흡착면이 피흡착면에 흡착된 상태에서 상기 흡착면의 중앙을 상기 피흡착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스프링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프링체는 상기 흡반 본체의 내부에 매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흡반은, 겔로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면을 갖고 이 면이 흡착면으로 되는 흡반 본체와, 상기 흡반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흡착면이 오목형의 형상으로 되도록 오목 형상을 나타내고, 상기 흡착면이 피흡착면에 흡착된 상태에서 상기 흡착면의 중앙을 상기 피흡착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스프링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흡반 본체의 두께 방향의 다른 쪽의 면은 볼록 형상의 배면으로 되고, 상기 스프링체는 금속, 또는 카본재, 또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체는 상기 배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착면을 포함하는 부분이 겔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피흡착면이 평면인 경우에는 물론, 피흡착면이 주름면으로서 형성되거나, 혹은, 잔 요철면으로 형성되거나, 혹은, 까칠까칠한 면 등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도 흡착면은 요철에 추종하여 변형되어, 요철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개재시키지 않고 요철면이나 까칠까칠한 면에 흡착면을 밀착할 수 있어, 흡반을 요철면이나 까칠까칠한 면에 확실하게 흡착시킬 수 있다.
또한,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흡반에, 겔로 이루어지는 겔층을 서로 포개는 구조가 아닌, 흡착면을 포함하는 흡반 본체 전체를 겔에 의해 형성하고, 동시에, 흡반 본체에 스프링체를 설치하여 이 스프링체에 의해 흡반의 형상을 유지하여 흡반에 탄성을 갖게 하도록 했으므로, 대형화하는 일없이 흡반을 구성할 수 있어, 흡반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제1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의 (a)는 제1 실시 형태의 흡반(10)의 사시도, 도1의 (b)는 도1의 (a)의 단면도, 도2의 (a)는 스프링체(16)의 사시도, 도2의 (b)는 스프링체(16)의 단면도이다.
도1에 도시하는 흡반(10)은, 예를 들어, 자동차의 차실 내의 데시보드 상에서 카 네비게이션 장치나 텔레비전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고, 또한, 다양한 차량 탑재 기기를 리모트 컨트롤하기 위한 컨트롤러 등의 액세서리를 지지하는 것이다.
도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흡반(10)은, 흡반 본체(12)와, 중심축(14)과, 스프링체(1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흡반 본체(12)는 겔로 이루어지고, 도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 형상을 나타내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원반 형상을 나타내고, 두께 방향의 한쪽의 면이 오목 형상의 흡착면(18)으로 되고 다른 쪽의 면이 볼록 형상의 배면(20)으로 되어 있다.
또한, 겔은 탄성을 갖고 있지 않고, 또한, 형상을 유지하기 어려운 것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형상은 후술하는 스프링체(16)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겔로서, 폴리에틸렌계, 스티렌계, 실리콘 수지계 등의 합성 수지계의 겔이 사용 가능하고, 폴리에틸렌계의 겔로서, 예를 들어, 시판품인 가부시끼가이샤 코스모 계기의 상품명「코스모 겔」을 사용 가능하다. 스티렌계의 겔로서, 예를 들어, 시판품인 가부시끼가이샤 이노악 코퍼레이션의 상품명「NAGFLEX」를 사용 가능하다. 실리콘계의 겔로서, 예를 들어, 시판품인 가부시끼가이샤 젤테크의 상품명「αGEL」(알파겔)을 사용 가능하다.
또한, 도면에서는 생략하고 있지만, 흡반 본체(12)의 외측 모서리에 흡반 본체(12)의 직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연장하는 분리 조작용의 조각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중심축(14)은, 도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반 본체(12)의 배면(20)의 중앙으로부터 흡착면(18)의 중심축(14)을 따라 배면(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중심축(14)은 금속제 또는 경질인 합성 수지로 형성되고, 중심축(14)의 하단부에 플랜지(1402)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1402)가 흡반 본체(12)의 중앙에 매립되어 있다.
이 중심축(14)은, 예를 들어, 자동차의 차실 내의 데시보드 상에서 카 네비게이션 장치나 텔레비전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고, 또한, 다양한 차량 탑재 기기를 리모트 컨트롤하기 위한 컨트롤러 등을 지지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이 다.
스프링체(16)는 흡반 본체(12)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더 상세하게는, 오목 형상의 흡착면(18)을 형성하기 위해 오목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링체(16)는 탄성 변형 가능하고, 흡착면(18)이 피흡착면에 흡착된 상태에서 흡착면(18)의 중앙을 피흡착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압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체(16)는, 도2의 (a), 도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반 본체(12)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부(1602)와, 흡반 본체(12)의 중앙을 제외한 나머지의 환 형상 부분에 위치하는 환 형상부(1604)를 갖고 있다.
스프링체(16)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탄성을 갖는 가는 막대 부재가 흡착면(18)에 대응한 오목형의 형상으로 그물 형상으로 짜여진 그물 형상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막대 부재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이 채용 가능하다. 혹은, 카본재나 섬유 강화 플라스틱 등의 비금속 재료가 채용 가능하다. 이들은 종래의 흡반을 구성하는 천연 고무나 합성 고무에 비해 경도나 탄성 계수가 크다. 따라서, 흡반 본체(12)의 형상을 오목 형상으로 유지하고, 흡착면(18)이 피흡착면에 흡착된 상태에서 흡착면(18)의 중앙을 피흡착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스프링체(16)를 이와 같은 재료로 형성하면, 종래의 흡반을 구성하는 천연 고무나 합성 고무로 스프링체를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 박육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흡반(10)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스프링체(16)는 흡반 본체(12)의 내부에 매립되고, 중심축(14)의 플랜지(1402)와 스프링체(16)는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랜지(1402)의 하면에 원통 벽(1406)을 형성해 두고, 또한, 스프링체(16)의 중앙에 원통 벽(1406)이 삽입 관통되는 구멍(1606)을 형성해 두고, 도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멍(1606)에 원통 벽(1406)을 삽입 관통한 후, 도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 벽(1406)을 코오킹함으로써 중심축(14)의 하단부와 스프링체(16)의 중앙을 연결하고 있다.
다음에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액세서리 및 중심축(14)을 통해, 흡반 본체(12)의 흡착면(18)을 피흡착면에 면하여 흡반 본체(12)를 피흡착면에 압박하고, 흡착면(18)과 피흡착면과의 사이를 대략 진공 상태로 하고, 액세서리로부터 손을 뗀다.
액세서리로부터 손을 떼면, 흡반 본체(12)는 피흡착면에 흡착되고, 이 상태에서, 스프링체(16)의 탄성력에 의해 흡착면(18)의 중앙이 피흡착면으로부터 멀어지고자 하고, 이것에 의해 피흡착면에 대한 흡반(10)의 밀착도가 높여져, 액세서리가 피흡착면에 안정된 상태로 부착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흡착면(18)을 포함하는 부분이 겔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피흡착면이 평면인 경우에는 물론, 피흡착면이 주름면으로서 형성되거나, 혹은, 잔 요철면으로 형성되거나, 혹은, 까칠까칠한 면 등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도 흡착면(18)은 요철에 추종하여 변형되어, 요철면과의 사이에 간 극을 개재시키지 않고 요철면이나 까칠까칠한 면에 흡착면(18)을 밀착할 수 있고, 흡반(10)을 요철면이나 까칠까칠한 면에 확실하게 흡착시킬 수 있어, 다양한 물품을 데시보드 패널의 주름면 등의 피흡착면에 확실하게 장착하는 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또한, 고무로 이루어지는 흡반에, 겔로 이루어지는 겔층을 서로 포개는 구조가 아닌, 흡착면(18)을 포함하는 흡반 본체(12) 전체를 겔에 의해 형성하고, 동시에, 흡반 본체(12)에 스프링체(16)를 설치하여 이 스프링체(16)에 의해 흡반(10)의 형상을 유지하여 흡반(10)에 탄성을 갖게 하도록 했으므로, 두께를 크게 하지 않고, 즉, 대형화하는 일없이 흡반(10)을 구성할 수 있어, 흡반(10)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3a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프링체(16)의 사시도이다.
도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프링체(16)는, 탄성을 갖는 가는 막대 부재(24)가, 형성해야 하는 흡착면(18)에 대응한 오목형의 형상을 따라 소용돌이 형상으로 권취되어 구성되어 있다. 막대 부재(24)의 재료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스프링체(16)의 사용 방법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고, 중심축(14)의 하단부의 플랜지(1402)에 스프링체(16)의 중앙부(1602)가 연결되고, 중심축(14)의 하단부와 함께 흡반 본체(12)의 내부에 매립된다.
이와 같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프링체(16)를 이용한 흡반(10)에 의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발휘된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3b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프링체(16)의 사시도이다.
도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프링체(16)는, 탄성을 갖는 가는 막대 부재(24)가, 형성해야 하는 흡착면(18)에 대응한 오목형의 형상을 따라 소용돌이 형상으로 권취되고, 또한, 스프링체(16)의 중앙부(1602)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가는 막대 부재(26)에 의해 그들 막대 부재(24)를 연결하도록 한 것이다.
스프링체(16)의 사용 방법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고, 중심축(14)의 하단부의 플랜지(1402)에 스프링체(16)의 중앙부와 막대 부재(24)의 내측 단부가 연결되고, 스프링체(16)는 중심축(14)의 하단부와 함께 흡반 본체(12)의 내부에 매립된다.
이와 같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프링체(16)를 이용한 흡반(10)에 의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발휘된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에 제4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3c는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프링체(16)의 사시도이다.
도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프링체(16)는, 탄성을 갖는 얇은 판재로 이루어지고 흡반 본체(12)의 중앙으로부터 흡반 본체(12)의 외주를 향해 방사 형상으로 연장하는 서로 분리된 복수의 조각 부재(28)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탄성을 갖는 판재로서,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이 채용 가능하다. 혹은, 카본재, 섬유 강화 플라스틱 등의 비금속 재료가 채용 가능하다.
복수의 조각 부재(28)가 흡반 본체(12)의 중앙에 위치하는 부분은, 중심축(14)의 하단부의 플랜지(1402)에 연결되어 있다.
스프링체(16)의 사용 방법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고, 스프링체(16)는 중심축(14)의 하단부와 함께 흡반 본체(12)의 내부에 매립된다.
이와 같은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프링체(16)를 이용한 흡반(10)에 의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발휘된다.
(제5 실시 형태)
다음에 제5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4의 (a)는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흡반(10)의 사시도, 도4의 (b)는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프링체(16)의 사시도, 도4의 (c)는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프링체(16)의 평면도이다.
스프링체(16)는, 탄성을 갖는 얇은 판재로 이루어지고 형성해야 하는 흡착면(18)의 형상을 따라 오목 형상으로 연장하는 조각 부재(30)를 갖고 있다. 판재의 재료는 제4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조각 부재(30)는, 복수의 개구(3002)와, 개구(3002)의 테두리를 두르는 폭이 작은 조각(strip)(3004)으로 형성되고, 평면에서 본 경우에 꽃을 연상시키는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조각 부재(30)가 흡반 본체(12)의 중앙에 위치하는 부분은, 중심축(14)의 하단부의 플랜지(1402)에 연결되어 있다.
스프링체(16)의 사용 방법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고, 스프링체(16)는 중심축(14)의 하단부와 함께 흡반 본체(12)의 내부에 매립된다.
이와 같은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프링체(16)를 이용한 흡반(10)에 의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흡반 본체(12)를 투명한 겔로 형성하면, 스프링체(16)의 형상이 시각적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흡반(10)의 미관을 높이는 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이 경우, 스프링체(16)를, 예를 들어, 적색이나 황색이나 녹색 등으로 착색하면, 흡반(10)의 미관을 높이는 데 있어서 보다 한층 유리하게 된다.
(제6 실시 형태)
다음에 제6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5의 (a)는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흡반(10)의 사시도, 도5의 (b)는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프링체(16)의 사시도, 도5의 (c)는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프링체(16)의 평면도이다.
스프링체(16)는, 탄성을 갖는 얇은 판재로 이루어지고 형성해야 하는 흡착면(18)의 형상을 따라 오목 형상으로 연장하는 조각 부재(30)를 갖고 있다. 판재의 재료는 제4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조각 부재(30)는, 복수의 개구(3002)와, 개구(3002)의 테두리를 두르는 폭이 작은 조각(3004)으로 형성되고, 평면에서 본 경우에 기하학 모양을 연상시키는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조각 부재(30)가 흡반 본체(12)의 중앙에 위치하는 부분은, 중심축(14)의 하단부의 플랜지(1402)에 연결되어 있다.
스프링체(16)의 사용 방법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고, 스프링체(16)는 중심축(14)의 하단부와 함께 흡반 본체(12)의 내부에 매립된다.
이와 같은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프링체(16)를 이용한 흡반(10)에 의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도 제5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흡반 본체(12)를 투명한 겔로 형성하면, 스프링체(16)의 형상이 시각적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흡반(10)의 미관을 높이는 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이 경우, 스프링체(16)를, 예를 들어, 적색이나 황색이나 녹색 등으로 착색하면, 흡반(10)의 미관을 높이는 데 있어서 보다 유리하게 된다.
(제7 실시 형태)
다음에 제7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6은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흡반(10)의 사시도이다.
스프링체(16)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이고, 중심축(14)의 하단부의 플랜지(1402)와, 그물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스프링체(16)가 흡반 본체(12)의 배면(20)에 부착된 것이다.
이와 같은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프링체(16)를 이용한 흡반(10)에 의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스프링체(16)가 흡반 본체(12)의 배면(20)에 부착되었다라고 함은, 스프링체(16)가 흡반 본체(12)의 배면(20)의 표면에 부착된 경우와, 스프링체(16)가 흡반 본체(12)의 배면(20)에 매립된 경우의 양방을 포함한다.
(제8 실시 형태)
다음에 제8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7의 (a)는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흡반(10)의 사시도, 도7의 (b)는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흡반(10)의 단면 정면도이다.
제8 내지 제12 실시 형태에서는, 중심축(14)이 흡반 본체(1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점이 제1 내지 제7 실시 형태와 다르다.
즉, 흡반 본체(12)의 배면(20)의 중앙으로부터 흡착면(18)의 중심축을 따라 배면(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중심축(14)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중심축(14)과 흡반 본체(12)는 서로 동일한 재료로 일체 성형되어 있다.
중심축(14)에는 구멍(1410)이 형성되고, 예를 들어, 이 구멍(1410)에 삽입 관통한 끈 등을 통해 다양한 물품이 지지된다.
스프링체(16)는 제7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탄성을 갖는 가는 막대 부재가, 형성해야 하는 흡착면(18)에 대응한 오목형의 형상으로 그물 형상으로 짜여진 그물 형상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스프링체(16)는 흡반 본체(12)의 내부에 매립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프링체(16)를 이용한 흡반(10)에 의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발휘된다.
(제9 실시 형태)
다음에 제9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8의 (a)는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흡반(10)의 사시도, 도8의 (b)는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흡반(10)의 단면 정면도이다.
제9 실시 형태는, 제8 실시 형태의 스프링체(16)의 중앙부에 중심축(14)의 직경보다도 큰 치수의 구멍(1612)을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제9 실시 형태에서는, 스프링체(16)는 흡반 본체(12)의 중앙을 제외한 나머지의 환 형상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프링체(16)를 이용한 흡반(10)에 의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발휘된다.
(제10 실시 형태)
다음에 제10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9의 (a)는 제10 실시 형태에 관한 흡반(10)의 사시도, 도9의 (b)는 제10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프링체(16)의 사시도이다.
흡반 본체(12)의 구성은 제9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고, 스프링체(16)의 구성이 제9 실시 형태와 다르다.
즉, 스프링체(16)는 탄성을 갖는 얇은 판재로 이루어지고 형성해야 하는 흡착면(18)의 형상을 따라 오목 형상으로 연장하는 조각 부재(30)를 갖고 있다. 판 재의 재료는 제4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스프링체(16)의 중앙부에는 중심축(14)의 직경보다도 큰 치수의 구멍(1612)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체(16)는, 구멍(1612)의 주위의 환판부(1614)와, 환판부(1614)에 연결되고 흡반 본체(12)의 중앙을 제외한 나머지의 환 형상 부분에 위치하는 부분을 갖고 있다.
환 형상 부분에 위치하는 부분은, 복수의 개구(3002)와, 개구(3002)의 테두리를 두르는 폭이 작은 조각(3004)으로 형성되고, 평면에서 본 경우에 꽃을 연상시키는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스프링체(16)는 흡반 본체(12)의 내부에 매립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프링체(16)를 이용한 흡반(10)에 의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5, 제6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흡반 본체(12)를 투명한 겔로 형성하면, 스프링체(16)의 형상이 시각적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흡반(10)의 미관을 높이는 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이 경우, 스프링체(16)를, 예를 들어, 적색이나 황색이나 녹색 등으로 착색하면, 흡반(10)의 미관을 높이는 데 있어서 보다 한층 유리하게 된다.
(제11 실시 형태)
다음에 제11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10a는 제11 실시 형태에 관한 흡반(10)의 사시도이다.
흡반 본체(12)의 구성은 제10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고, 스프링체(16)의 구성이 제10 실시 형태와 다르다.
스프링체(16)는, 탄성을 갖는 얇은 판재로 이루어지고 흡반 본체(12)의 중앙으로부터 흡반 본체(12)의 외주를 향해 방사 형상으로 연장하는 서로 분리된 복수의 조각 부재(28)로 구성되어 있다. 판재의 재료는 제4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복수의 조각 부재(28)는 흡반 본체(12)의 내부에 매립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10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프링체(16)를 이용한 흡반(10)에 의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발휘된다.
(제12 실시 형태)
다음에 제1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10b는 제12 실시 형태에 관한 흡반(10)의 사시도이다.
흡반 본체(12)의 구성은 제1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고, 스프링체(16)의 구성이 제11 실시 형태와 다르다.
제12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프링체(16)는, 탄성을 갖는 가는 막대 부재(24)가, 형성해야 하는 흡착면(18)에 대응한 오목형의 형상을 따라 소용돌이 형상으로 권취되어 구성되고, 스프링체(16)는 흡반 본체(12)의 중앙을 제외한 나머지의 환 형상 부분에 매설되어 설치되어 있다. 막대 부재(24)의 재료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은 제12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프링체(16)를 이용한 흡반(10)에 의해서 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흡반 본체(12)가 겔로 형성되어 있고, 흡반(10)은 흡착면(18)이 피흡착면에 흡착하면 되므로, 흡반 본체(12)의 배면 형상은 실시 형태의 볼록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1의 (a)는 제1 실시 형태의 흡반(10)의 사시도, 도1의 (b)는 도1의 (a)의 단면도.
도2의 (a)는 스프링체(16)의 사시도, 도2의 (b)는 스프링체(16)의 단면도.
도3a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프링체(16)의 사시도, 도3b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프링체(16)의 사시도, 도3c는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프링체(16)의 사시도.
도4의 (a)는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흡반(10)의 사시도, 도4의 (b)는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프링체(16)의 사시도, 도4의 (c)는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프링체(16)의 평면도.
도5의 (a)는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흡반(10)의 사시도, 도5의 (b)는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프링체(16)의 사시도, 도5의 (c)는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프링체(16)의 평면도.
도6은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흡반(10)의 사시도.
도7의 (a)는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흡반(10)의 사시도, 도7의 (b)는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흡반(10)의 단면 정면도.
도8의 (a)는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흡반(10)의 사시도, 도8의 (b)는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흡반(10)의 단면 정면도.
도9의 (a)는 제10 실시 형태에 관한 흡반(10)의 사시도, 도9의 (b)는 제10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프링체(16)의 사시도.
도10a는 제11 실시 형태에 관한 흡반(10)의 사시도, 도10b는 제12 실시 형태에 관한 흡반(10)의 사시도.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흡반
12 : 흡반 본체
16 : 스프링체
18 : 흡착면

Claims (23)

  1. 겔로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면을 갖고 이 면이 흡착면으로 되는 흡반 본체와,
    상기 흡반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흡착면이 오목형의 형상으로 되도록 오목 형상을 나타내고, 상기 흡착면이 피흡착면에 흡착된 상태에서 상기 흡착면의 중앙을 상기 피흡착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스프링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프링체는 천연 고무 및 합성 고무에 비해 탄성 계수가 큰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반.
  2. 겔로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면을 갖고 이 면이 흡착면으로 되는 흡반 본체와,
    상기 흡반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흡착면이 오목형의 형상으로 되도록 오목 형상을 나타내고, 상기 흡착면이 피흡착면에 흡착된 상태에서 상기 흡착면의 중앙을 상기 피흡착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스프링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프링체는 상기 흡반 본체의 내부에 매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반.
  3. 겔로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면을 갖고 이 면이 흡착면으로 되는 흡반 본체와,
    상기 흡반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흡착면이 오목형의 형상으로 되도록 오목 형상을 나타내고, 상기 흡착면이 피흡착면에 흡착된 상태에서 상기 흡착면의 중앙을 상기 피흡착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스프링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흡반 본체의 두께 방향의 다른 쪽의 면은 볼록 형상의 배면으로 되고,
    상기 스프링체는 금속, 또는 카본재, 또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체는 상기 배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체는, 상기 흡반 본체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부와, 상기 흡반 본체의 중앙을 제외한 나머지의 환 형상 부분에 위치하는 환 형상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체는 상기 흡반 본체의 중앙을 제외한 나머지의 환 형상 부분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체는, 탄성을 갖는 가는 막대 부재가 상기 흡착면에 대응한 오목형의 형상으로 그물 형상으로 짜여진 그물 형상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체는, 탄성을 갖는 가는 막대 부재가 상기 흡착면에 대응한 오목형의 형상을 따라 소용돌이 형상으로 권취되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반.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체는, 탄성을 갖는 얇은 판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착면에 대응한 오목형의 형상을 따라 연장하는 조각 부재를 갖고,
    상기 조각 부재는, 복수의 개구와, 상기 개구의 테두리를 두르는 폭이 작은 조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반.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체는, 탄성을 갖는 얇은 판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반 본체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흡반 본체의 외주를 향해 방사 형상으로 연장하는 서로 분리된 복수의 조각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체는 상기 흡반 본체의 내부에 매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반 본체의 두께 방향의 다른 쪽의 면은 볼록 형상의 배면으로 되고,
    상기 스프링체는 상기 배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반 본체의 두께 방향의 다른 쪽의 면은 볼록 형상의 배면으로 되고,
    경질인 합성 수지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반 본체의 배면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흡착면의 중심축을 따라 상기 배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중심축이 돌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반 본체의 두께 방향의 다른 쪽의 면은 볼록 형상의 배면으로 되고,
    경질인 합성 수지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반 본체의 배면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흡착면의 중심축을 따라 상기 배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중심축이 돌출 설치되고,
    상기 중심축의 기단부는 상기 흡반 본체의 내부에 매립되어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체는 상기 흡반 본체의 내부에 매립되어 배치되고,
    상기 중심축의 기단부와 상기 스프링체는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반.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반 본체의 두께 방향의 다른 쪽의 면은 볼록 형상의 배면으로 되고,
    경질인 합성 수지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반 본체의 배면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흡착면의 중심축을 따라 상기 배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중심축이 돌출 설치되고,
    상기 중심축의 기단부는 상기 흡반 본체의 내부에 매립되어 고정되고,
    상기 중심축의 기단부와 상기 스프링체는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반 본체의 두께 방향의 다른 쪽의 면은 볼록 형상의 배면으로 되고,
    경질인 합성 수지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반 본체의 배면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흡착면의 중심축을 따라 상기 배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중심축이 돌출 설치되고,
    상기 중심축의 기단부는 상기 흡반 본체의 내부에 매립되어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체는, 탄성을 갖는 얇은 판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반 본체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흡반 본체의 외주를 향해 방사 형상으로 연장하는 서로 분리된 복수의 조각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스프링체는 상기 흡반 본체의 내부에 매립되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조각 부재가 상기 흡반 본체의 중앙에 위치하는 부분과 상기 중심축의 기단부는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반.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반 본체의 두께 방향의 다른 쪽의 면은 볼록 형상의 배면으로 되고,
    경질인 합성 수지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반 본체의 배면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흡착면의 중심축을 따라 상기 배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중심축이 돌출 설치되고,
    상기 중심축의 기단부는 상기 흡반 본체의 내부에 매립되어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체는, 탄성을 갖는 얇은 판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반 본체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흡반 본체의 외주를 향해 방사 형상으로 연장하는 서로 분리된 복수의 조각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조각 부재가 상기 흡반 본체의 중앙에 위치하는 부분과 상기 중심축의 기단부는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반 본체의 두께 방향의 다른 쪽의 면은 볼록 형상의 배면으로 되고,
    경질인 합성 수지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반 본체의 배면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흡착면의 중심축을 따라 상기 배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중심축이 돌출 설치되고,
    상기 중심축의 기단부와 상기 스프링체는 연결되고,
    상기 중심축의 기단부와 상기 스프링체는 상기 흡반 본체의 배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반.
  18. 제3항에 있어서, 경질인 합성 수지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반 본체의 배면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흡착면의 중심축을 따라 상기 배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중심축이 돌출 설치되고,
    상기 중심축의 기단부와 상기 스프링체는 연결되고,
    상기 중심축의 기단부는 상기 스프링체와 함께 상기 흡반 본체의 배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반 본체의 두께 방향의 다른 쪽의 면은 볼록 형상의 배면으로 되고,
    상기 흡반 본체의 배면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흡착면의 중심축을 따라 상기 배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중심축이 돌출 설치되고,
    상기 중심축과 상기 흡반 본체는 서로 동일한 재료로 일체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반.
  20.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반 본체의 배면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흡착면의 중심축을 따라 상기 배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중심축이 돌출 설치되 고,
    상기 중심축과 상기 흡반 본체는 서로 동일한 재료로 일체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반.
  2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체는 금속, 또는 카본재, 또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반.
  2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겔은 투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체는 착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반.
KR1020070085871A 2006-08-28 2007-08-27 흡반 KR200800195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30151A JP4862559B2 (ja) 2006-08-28 2006-08-28 吸盤
JPJP-P-2006-00230151 2006-08-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9554A true KR20080019554A (ko) 2008-03-04

Family

ID=38779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5871A KR20080019554A (ko) 2006-08-28 2007-08-27 흡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7913962B2 (ko)
EP (1) EP1895174A2 (ko)
JP (1) JP4862559B2 (ko)
KR (1) KR20080019554A (ko)
CN (1) CN101135338B (ko)
TW (1) TW20082980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1296A (ja) * 2006-08-28 2008-03-06 Sony Corp 吸盤
JP4862559B2 (ja) * 2006-08-28 2012-01-25 ソニー株式会社 吸盤
JP5125687B2 (ja) * 2008-03-28 2013-01-23 ソニー株式会社 吸盤および吸盤装置
TWI347408B (en) * 2008-07-16 2011-08-21 Wistron Neweb Corp Suction cup structure
TW201028562A (en) * 2009-01-21 2010-08-01 Comart Corp Combination of sucking plate
US20100282929A1 (en) * 2009-05-08 2010-11-11 Ming-Kun Lee Sucker assembly with helical spring
EP2467607A2 (en) * 2009-08-19 2012-06-2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n electronic device and a suction cup suitable for such an electronic device
TW201107618A (en) * 2009-08-28 2011-03-01 Free Free Ind Corp Sucking disc
US20110226922A1 (en) * 2010-03-22 2011-09-22 Murakami Corporation Suction cup device
CN101881367B (zh) * 2010-07-13 2013-05-22 广东铁将军防盗设备有限公司 支架协调结构
US9581291B2 (en) 2010-07-29 2017-02-28 Octa Llc Positioning grip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20120085879A1 (en) * 2010-10-07 2012-04-12 Yang Hao Dual-layer sucking disc
US20130187020A1 (en) * 2010-11-17 2013-07-25 Octa Llc Mobile electronic device positioning unit
CN102478142A (zh) * 2010-11-30 2012-05-30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支撑机构及采用该支撑机构的显示装置
US8584266B1 (en) * 2011-02-25 2013-11-19 Melvin R. Beavers Toilet seat lifting device
US8783634B2 (en) * 2011-09-30 2014-07-22 Adam P. Summers Suction device
JP5737159B2 (ja) * 2011-12-01 2015-06-17 トヨタ車体株式会社 バキュームカップの位置合わせ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ハンドリングアタッチメントの製造方法
TWM455786U (zh) * 2012-07-26 2013-06-21 Tru Miles Hardware Co Ltd 吸盤吸附結構
US20150136922A1 (en) * 2013-11-21 2015-05-21 Sulumbek Shamsadov Suction system with reversible dome spring
CN105673668A (zh) * 2016-04-24 2016-06-15 王立云 一种方便取下的吸盘
CN106263707A (zh) * 2016-08-26 2017-01-04 四川辛迪泛美家具有限公司 一种防倒抽屉柜固定装置的安装方法
CN106263717A (zh) * 2016-08-26 2017-01-04 四川辛迪泛美家具有限公司 一种防倒抽屉柜
WO2018096990A1 (ja) * 2016-11-28 2018-05-3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スタンド
USD864694S1 (en) 2017-04-21 2019-10-29 Unger Marketing International, Llc Handle
US11081309B2 (en) 2017-04-21 2021-08-03 Unger Marketing International, Llc Light bulb removing and installing assemblies
USD840209S1 (en) 2017-04-21 2019-02-12 Unger Marketing International, Llc Handle
JP7188574B2 (ja) * 2019-05-13 2022-12-13 オムロン株式会社 吸着パッド、および変形計測装置
DE102019123714A1 (de) * 2019-09-04 2021-03-04 Fidlock Gmbh Verbindungsvorrichtung zum lösbaren Verbinden zweier Baugruppen
US10874088B1 (en) 2019-11-15 2020-12-29 The Hartz Mountain Corporation Pet toy apparatus
US11674545B2 (en) * 2020-09-29 2023-06-1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uction discs for adhesion to rough, delicate, and wet surfaces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55397A (en) * 1936-06-19 1936-09-22 Zaiger Max Suction cup
US2131224A (en) * 1937-08-25 1938-09-27 Kaack Carl Suction cup
US2871054A (en) * 1956-07-05 1959-01-27 Zinke Erwin Max Suction cup
JPS463861Y1 (ko) * 1968-03-28 1971-02-10
DE3147293A1 (de) * 1981-11-28 1983-07-14 Hans 8500 Nürnberg Mokry Haftsaugeinrichtung
JPS5954215A (ja) * 1982-09-21 1984-03-29 東レ株式会社 温度感知素子
JPS61130608A (ja) 1984-11-30 1986-06-18 発明プ−ル株式会社 膜面を放射状の骨体によつて支えた吸着盤
US5029786A (en) * 1990-05-21 1991-07-09 Hans Wu Suction cup
US5176346A (en) * 1991-02-11 1993-01-05 Liu Bao Shen Suction cup device
US5133524A (en) * 1991-02-11 1992-07-28 Liu Bao Shen Suction cup device
CN2128678Y (zh) * 1991-03-25 1993-03-24 吴铁汉 强力吸盘
CN2122257U (zh) * 1992-01-24 1992-11-18 刘保伸 弹簧真空强力吸盘
US5372761A (en) * 1993-11-30 1994-12-13 Anderson, Sr.; Ramon C. Method and device for repairing laminated glass
US5651520A (en) * 1995-08-03 1997-07-29 Belokin; Paul Suction cup attachment assembly
CH691918A5 (de) * 1997-02-17 2001-11-30 Trisa Buerstenfabrik Ag Haftelement mit einem Saugnapf und Bürste mit einem solchen Haftelement.
JPH11193811A (ja) 1998-01-05 1999-07-21 Sony Corp 吸 盤
JPH11257334A (ja) * 1998-03-07 1999-09-21 Masayuki Inami ゲルシート製吸盤固定用補助シート
US6143391A (en) * 1998-12-11 2000-11-07 Apogee Designs, Ltd. One-piece, dual-material suction cup
JP3653217B2 (ja) * 2000-09-22 2005-05-25 株式会社クリエイト 乾燥植物保存品
US20030008101A1 (en) * 2001-07-05 2003-01-09 Scott Henderson Molded product with rigid core and elastomeric outer element
JP4170938B2 (ja) * 2004-03-15 2008-10-22 株式会社林スプリング製作所 識別マーク付渦巻ばねの製造方法
PL1745217T5 (pl) * 2004-05-03 2023-05-22 Schmidt, Patrick Podciśnieniowe urządzenie mocujące
JP4862289B2 (ja) * 2005-06-20 2012-01-25 ソニー株式会社 吸盤及び車載機器
DE102005047809A1 (de) * 2005-10-05 2007-04-12 Harald Richter Saugfuß für Geräteträger oder dergleichen
JP4305670B2 (ja) * 2006-04-20 2009-07-29 ソニー株式会社 吸盤
EP1878928B1 (en) * 2006-07-12 2010-08-25 BURY Sp. z o.o. Vacuum suction cup assembly, especially for a windshield of a mechanical vehicle
JP4802938B2 (ja) * 2006-08-25 2011-10-26 ソニー株式会社 吸盤装置
JP2008051296A (ja) * 2006-08-28 2008-03-06 Sony Corp 吸盤
JP4862559B2 (ja) * 2006-08-28 2012-01-25 ソニー株式会社 吸盤
JP4254846B2 (ja) * 2006-11-10 2009-04-15 ソニー株式会社 吸盤装置
JP4941032B2 (ja) * 2007-03-19 2012-05-30 ソニー株式会社 吸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73262B2 (ja) * 2007-03-20 2012-07-11 ソニー株式会社 吸盤および吸盤装置
CN101354617A (zh) * 2007-07-23 2009-01-2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吸盘式触摸笔
US20090057510A1 (en) * 2007-08-28 2009-03-05 John Orban Suction cu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35338A (zh) 2008-03-05
JP4862559B2 (ja) 2012-01-25
US20090184220A1 (en) 2009-07-23
US7837163B2 (en) 2010-11-23
TW200829805A (en) 2008-07-16
US7913962B2 (en) 2011-03-29
US20080048084A1 (en) 2008-02-28
CN101135338B (zh) 2012-05-23
JP2008051288A (ja) 2008-03-06
US20090194651A1 (en) 2009-08-06
EP1895174A2 (en) 2008-03-05
TWI336375B (ko) 2011-01-21
US7841568B2 (en) 2010-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19554A (ko) 흡반
JP4973262B2 (ja) 吸盤および吸盤装置
JP4802938B2 (ja) 吸盤装置
JP2008051296A (ja) 吸盤
JP2006524949A (ja) 取り付け手段を備える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ユニット、及び物体の着脱可能な取り付けのための取り付けユニット
JP4816331B2 (ja) 吸盤装置
JP2009216111A (ja) 吸盤装置および物品取り付け装置
USD953434S1 (en) Sticker set
US7467829B2 (en) Wheel trim hub cover
JP5125687B2 (ja) 吸盤および吸盤装置
JP2002264573A (ja) メモクリップ
US6957507B2 (en) Decorative magnet and casing
JP2009039374A (ja) 粘着性マット及び粘着性吸盤付き支持具
AU2010100728A4 (en) Sucker assembly having a better attachment effect
JP2008001079A (ja) ボード
CN219095897U (zh) 一种手机贴膜器和手机贴膜装置
USD658897S1 (en) Flat graphic applique of a control for the interior of a vehicle
JPH0427213U (ko)
JPH112228A (ja) 吸 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