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4135A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4135A
KR20080014135A KR1020080009286A KR20080009286A KR20080014135A KR 20080014135 A KR20080014135 A KR 20080014135A KR 1020080009286 A KR1020080009286 A KR 1020080009286A KR 20080009286 A KR20080009286 A KR 20080009286A KR 20080014135 A KR20080014135 A KR 20080014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voltage
drive
signal
power reco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9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5649B1 (ko
Inventor
마꼬또 오노자와
도모까쯔 기시
시게또시 도미오
데쯔야 사까모또
Original Assignee
후지츠 히다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츠 히다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지츠 히다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14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4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6Driving circuits for producing the waveform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6Driving circuits for producing the waveform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s
    • G09G3/2965Driving circuits for producing the waveform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s using inductors for energy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09G2310/066Waveforms comprising a gently increasing or decreasing portion, e.g. ram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6Dealing with screen burn-in prevention or compensation of the effec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Gas Discharge Display Tubes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신뢰성이 높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프리 드라이브 회로 내의 신호 전달 회로에 의해, 구동 제어 회로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신호의 기준 전위를 출력 소자의 기준 전위로 변환하고, 신호 증폭 회로에서 증폭한 후, 출력 소자에 공급하도록 하여, 구동 제어 회로 및 제어 신호의 기준 전위와 출력 소자의 기준 전위가 다르다고 해도, 기준 전위를 절연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 소자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출력 소자의 전압 변동 등의 영향이 구동 제어 회로에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구동 제어 회로, 신호 전달 회로, 광 전달 회로, 프리 드라이브 회로, 교류 구동형 PDP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PLASMA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시부를 구성하는 각 셀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와 상기 구동 회로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 회로의 기준 전위가 다른 교류 구동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이용하기에 적합한 것이다.
종래부터 평면 표시 장치의 하나인 교류 구동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에는 2개의 전극으로 선택 방전(어드레스 방전) 및 유지 방전을 행하는 2전극형과, 제3 전극을 이용하여 어드레스 방전을 행하는 3전극형이 있었다. 또한, 상기 3전극형에 있어서는 유지 방전을 행하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배치되어 있는 기판에 제3 전극을 형성하는 경우와, 대향하는 다른 하나의 기판에 상기 제3 전극을 형성하는 경우가 있었다.
상기한 각 타입의 PDP 장치는 모두 동작 원리는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유지 방전을 행하는 제1 및 제2 전극을 제1 기판에 설치함과 함께, 이것과는 별도로,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는 제2 기판에 제3 전극을 설치한 PDP 장치에 대하여 그 구성예를 설명한다.
도 17은 교류 구동형 PDP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에 있어서, 교류 구동형 PDP 장치(1)는 각 셀이 표시 화상의 1화소인 매트릭스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셀을 구비하고 있고, 도 17에서는 m행n열의 매트릭스로 배치된 셀 Cmn으로 이루어진 교류 구동형 PDP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교류 구동형 PDP(1)에는 제1 기판에 상호 평행한 주사 전극 Y1∼Yn 및 공통 전극 X가 설치됨과 함께,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하는 제2 기판에 이들 전극 Y1∼Yn, X와 직교하는 방향에 어드레스 전극 A1∼Am이 설치되어 있다. 공통 전극 X는 각 주사 전극 Y1∼Yn에 대응하여 이것에 접근하여 설치되며, 일단이 상호 공통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공통 전극 X의 공통단은 X측 회로(2)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각 주사 전극 Y1∼Yn은 Y측 회로(3)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어드레스 전극 A1∼Am은 어드레스측 회로(4)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X측 회로(2)는 방전을 반복하는 회로로 이루어지고, Y측 회로(3)는 선순차 주사하는 회로와 방전을 반복하는 회로로 이루어진다. 또한, 어드레스측 회로(4)는 표시해야 할 열을 선택하는 회로로 이루어진다.
이들 X측 회로(2), Y측 회로(3) 및 어드레스측 회로(4)는 구동 제어 회로(5)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즉, 어드레스측 회로(4)와 Y측 회로(3) 내의 선순차 주사하는 회로에 의해 어느 곳의 셀을 점등시킬지를 결정하고, X측 회로(2) 및 Y측 회로(3)의 방전을 반복함으로써, PDP의 표시 동작을 행한다.
제어 회로(5)는 외부로부터의 표시 데이터 D, 표시 데이터 D의 판독 타이밍 을 나타내는 클럭 CLK, 수평 동기 신호 HS 및 수직 동기 신호 VS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X측 회로(2), Y측 회로(3) 및 어드레스측 회로(4)에 공급한다.
도 18의 (a)는 1화소인 제i행 제j열의 셀 Cij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의 (a)에 있어서, 공통 전극 X 및 주사 전극 Yi는 전면(前面) 유리 기판(11) 상에 형성되어 있다. 그 위에는 방전 공간(17)에 대하여 절연하기 위한 유전체층(12)이 피착됨과 함께, 다시 그 위에 MgO(산화마그네슘) 보호막(13)이 피착되어 있다.
한편, 어드레스 전극 Aj는 전면 유리 기판(11)과 대향하여 배치된 배면 유리 기판(14) 상에 형성되고, 그 위에는 유전체층(15)이 피착되며, 다시 그 위에 형광체(18)가 피착되어 있다. MgO 보호막(13)과 유전체층(15) 사이의 방전 공간(17)에는 Ne+Xe 페닝 가스 등이 봉입되어 있다.
도 18의 (b)는 교류 구동형 PDP의 용량 Cp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류 구동형 PDP에는 방전 공간(17), 공통 전극 X와 주사 전극 Y 사이, 및 전면 유리 기판(11)에 각각 용량 성분 Ca, Cb, Cc가 존재하고, 이들 합계에 의해 셀 하나당의 용량 Cpcell이 결정된다(Cpcell=Ca+Cb+Cc). 모든 셀의 용량 Cpcell의 합계가 패널 용량 Cp이다.
또한, 도 18의 (c)는 교류 구동형 PDP의 발광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브(16)의 내면에는 적, 청, 녹색의 형광체(18)가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각 색마다 배열, 도포되어 있고, 공통 전극 X 및 주사 전극 Y 사이의 방전에 의해 형광체(18)를 여기하여 발광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교류 구동형 PDP의 구동 방법의 하나로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동 장치를 이용하여, 한쪽의 전극에는 플러스의 전압을 인가하고, 다른쪽의 전극에는 마이너스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전극간의 전위차를 이용하여 전극간의 방전을 행하는 구동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도 19는 교류 구동형 PDP의 구동 장치의 회로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에서, 용량 부하(20)(이하, 「부하」로 칭함)는 하나의 공통 전극 X와 하나의 주사 전극 Y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셀의 합계의 용량이다. 부하(20)에는 공통 전극 X 및 주사 전극 Y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주사 전극 Y란 상기 주사 전극 Y1∼Yn 중의 임의의 주사 전극이다.
우선, 공통 전극 X측에서는, 스위치 SW1, SW2는 도시하지 않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Vs/2)의 전원 라인과 접지(GND)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다. 상기 2개의 스위치 SW1, SW2의 상호 접속점에는 컨덴서 C1의 한쪽의 단자가 접속되고, 이 컨덴서 C1의 다른쪽의 단자와 GND 사이에는 스위치 SW3이 접속된다.
또한, 스위치 SW4, SW5는 상기 컨덴서 C1의 양단에 직렬로 접속된다. 그리고, 이들 2개의 스위치 SW4, SW5의 상호 접속점은 출력 라인 OUTC를 통해 도중에서 부하(20)의 공통 전극 X에 접속됨과 함께, 전력 회수 회로(21)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2 신호 라인 OUTB와, 기입 전압 Vw를 발생하는 전원 라인 사이에는 저항 R1을 포함하는 스위치 SW6이 접속된다.
전력 회수 회로(21)는 부하(20)에 접속된 2개의 코일 L1, L2와, 한쪽의 코일 L1에 직렬로 접속되는 다이오드 D2 및 트랜지스터 Tr1과, 다른 한쪽의 코일 L2에 직렬로 접속되는 다이오드 D3 및 트랜지스터 Tr2를 구비한다. 또한, 전력 회수 회로(21)는 상기 2개의 트랜지스터 Tr1, Tr2의 상호 접속점과 제2 신호 라인 OUTB 사이에 접속되는 컨덴서 C2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용량 부하(20)와 그것에 접속되는 각각의 코일 L1, L2에 의해, 2계통의 직렬 공진 회로가 구성된다. 즉, 이 전력 회수 회로(21)는 2계통의 L-C 공진 회로를 갖는 것이며, 코일 L1과 부하(20)와의 공진에 의해 패널에 공급한 전하를 코일 L2와 부하(20)와의 공진에 의해 회수하는 것이다.
한편, 주사 전극 Y측에서는, 스위치 SW1', SW2'는 도시하지 않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Vs/2)의 전원 라인과 GND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다. 이들 2개의 스위치 SW1', SW2'의 상호 접속점에는 컨덴서 C4의 한쪽의 단자가 접속되고, 이 컨덴서 C4의 다른쪽의 단자와 GND 사이에는 스위치 SW3'이 접속된다.
또한, 컨덴서 C4의 상기 한쪽의 단자에 접속된 스위치 SW4'는 다이오드 D7의 캐소드와 접속되고, 다이오드 D7의 애노드와 컨덴서 C4의 상기 다른쪽의 단자가 접속된다. 컨덴서 C4의 상기 다른쪽의 단자에 접속된 스위치 SW5'는 다이오드 D6의 애노드와 접속되고, 다이오드 D6의 캐소드와 컨덴서 C4의 상기 한쪽의 단자가 접속된다.
그리고, 다이오드 D7의 캐소드와 접속되는 스위치 SW4', 다이오드 D6의 애노드와 접속되는 스위치 SW5'의 각각의 일단으로부터 스캔 드라이버(22)를 통해 부하(20)가 접속됨과 함께, 전력 회수 회로(21')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4 신호 라인 OUTB'와, 기입 전압 Vw를 발생하는 전원 라인 사이에는 저항 R1'을 포함하는 스위치 SW6'이 접속된다.
전력 회수 회로(21')는 부하(20)로부터 상기 스캔 드라이버(22)를 통해 접속되는 2개의 코일 L3, L4와, 한쪽의 코일 L3에 직렬로 접속되는 다이오드 D4 및 트랜지스터 Tr3과, 다른 한쪽의 코일 L4에 직렬로 접속되는 다이오드 D5 및 트랜지스터 Tr4를 구비한다. 또한, 전력 회수 회로(21')는 상기 2개의 트랜지스터 Tr3, Tr4의 공통 단자와 제4 신호 라인 OUTB' 사이에 접속되는 컨덴서 C3을 구비한다.
이 전력 회수 회로(21')도 2계통의 L-C 공진 회로를 갖고, 코일 L4와 용량 부하(20)와의 공진에 의해 부하(20)에 공급한 전하를 코일 L3과 부하(20)와의 공진에 의해 회수하는 것이다.
또한, 주사 전극 Y측에서는, 이상의 구성 외에, 3개의 트랜지스터 Tr5, Tr6, Tr7과, 2개의 다이오드 D6, D7을 더 포함하고 있다. 트랜지스터 Tr5는 이것이 ON으로 되는 것에 의해, 이것에 접속된 저항 R2의 작용에 의해 주사 전극 Y에 인가하는 펄스 전압의 파형을 무디게(blunt) 하기 위한 것이다. 이 트랜지스터 Tr5와 저항 R2는 스위치 SW5'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 Tr6, Tr7은 후술하는 어드레스 기간 중에 스캔 드라이버(22)의 양단에 (Vs/2) 전위차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즉, 어드레스 기간 중에, 스위치 SW2' 및 트랜지스터 Tr6이 ON으로 되는 것에 의해 스캔 드라이버(22)의 상측의 전압이 접지 레벨이 된다. 또한, 트랜지스터 Tr7이 ON으로 되는 것에 의해, 컨덴서 C4에 축적되어 있던 전하에 따라 제4 신호 라인 OUTB'로 출력된 마이너 스의 전압(-Vs/2)이 스캔 드라이버(22)의 하측에 인가된다. 이에 따라, 스캔 펄스 출력 시는 스캔 드라이버(22)에 의해 주사 전극 Y에 마이너스의 전압(-Vs/2)을 인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스위치 SW1∼SW6, SW1'∼SW6' 및 트랜지스터 Tr1∼Tr7은 구동 제어 회로(31)로부터 각각 공급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구동 제어 회로(31)는 논리 회로 등을 이용하여 구성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표시 데이터 D, 클럭 CLK, 수평 동기 신호 HS 및 수직 동기 신호 VS 등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스위치 SW1∼SW6, SW1'∼SW6' 및 트랜지스터 Tr1∼Tr7에 공급한다.
또, 도 19에서는, 구동 제어 회로(31)로부터의 제어선은 스위치 SW4, SW5, SW4', SW5' 및 트랜지스터 Tr1∼Tr4에 각각 접속된 제어선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스위치 SW1∼SW6, SW1'∼SW6' 및 트랜지스터 Tr1∼Tr7의 각각에 구동 제어 회로(31)로부터의 제어선이 접속되어 있다.
도 20은 상기 도 19와 같이 구성한 교류 구동형 PDP의 구동 장치에 의한 구동 파형을 나타내는 타임차트이고, 1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필드 중 1서브 필드분을 나타내고 있다. 하나의 서브 필드는 전면(全面) 기입 기간 및 전면 소거 기간으로 이루어진 리세트 기간과, 어드레스 기간과, 유지 방전 기간으로 구분된다.
도 20에서, 리세트 기간에서는, 우선, 공통 전극 X측의 스위치 SW2, SW5가 ON으로 되고, 스위치 SW1, SW3, SW4, SW6이 OFF로 된다. 이에 따라, 제2 신호 라인 OUTB의 전압이 컨덴서 C1에 축적되어 있는 전하에 따라 (-Vs/2)로 감소된다. 그리고, 그 전압(-Vs/2)이 스위치 SW5를 통해 출력 라인 OUTC로 출력되어, 부하(20)의 공통 전극 X에 인가된다.
한편, 주사 전극 Y측에서는 스위치 SW1', SW4', SW6'이 ON으로 되고, 스위치 SW2', SW3', SW5'는 OFF로 된다. 이에 따라, 출력 라인 OUTC'에 전압 Vw와 컨덴서 C4에 축적된 전하에 의한 전압(Vs/2)을 가산한 전압이 인가된다. 그리고, 그 전압(Vs/2+Vw)이 부하(20)의 주사 전극 Y에 인가된다. 이 때, 스위치 SW6' 내의 저항 R1'의 작용에 의해, 전압은 시간 경과와 함께 서서히 상승해 간다.
이에 따라, 공통 전극 X와 주사 전극 Y와의 전위차가 (Vs+Vw)가 되고, 이전의 표시 상태에 상관없이, 모든 표시 라인의 모든 셀에서 방전이 행해져 벽 전하(wall charges)가 형성된다(전면 기입).
다음으로, 각 스위치를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공통 전극 X 및 주사 전극 Y의 전압을 접지 레벨로 복귀시킨 후, 공통 전극 X측과 주사 전극 Y측에서 상술한 상태와는 역의 상태를 발생시킨다. 즉, 공통 전극 X측의 스위치 SW1, SW4, SW6을 ON, 스위치 SW2, SW3, SW5를 OFF로 함과 함께, 주사 전극 Y측의 스위치 SW2', SW5'를 ON, 스위치 SW1', SW3', SW4', SW6'을 OFF로 한다.
이에 따라, 공통 전극 X에 대한 인가 전압이 접지 레벨로부터 (Vs/2+Vw)까지 시간 경과에 따라 연속적으로 상승해감과 함께, 주사 전극 Y에 대한 인가 전압이 (-Vs/2)로 강하된다. 이에 따라, 모든 셀에서 벽 전하 자신의 전압이 방전 개시 전압을 초과하여 방전이 개시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공통 전극 X에 대한 인가 전압을 시간 경과와 함께 연속적으로 상승시킴으로써, 미약 방전이 행해지고, 축적되어 있던 벽 전하가 일부를 제외하고 소거된다(전면 소거).
다음으로, 어드레스 기간에서는 표시 데이터에 따라 각 셀의 ON/OFF를 행하기 위해, 선순차로 어드레스 방전이 행해진다. 이 때, 공통 전극 X측에서는 스위치 SW1, SW3, SW4가 ON으로 되고, 스위치 SW2, SW5, SW6이 OFF로 되는 것에 의해, 제1 신호 라인 OUTA의 전압이 스위치 SW1을 통해 제공되는 전압(Vs/2)까지 상승된다. 그리고, 그 전압(Vs/2)이 스위치 SW4를 통해 출력 라인 OUTC로 출력되어, 부하(20)의 공통 전극 X에 인가된다.
또한, 임의의 표시 라인에 상당하는 주사 전극 Y에 전압을 인가할 때는 스위치 SW2' 및 트랜지스터 Tr6이 ON으로 됨으로써 스캔 드라이버(22)의 상측의 전압이 접지 레벨이 된다. 또한, 이 때 트랜지스터 Tr7이 ON으로 됨으로써, 컨덴서 C4에 축적되어 있던 전하에 따라 제4 신호 라인 OUTB'로 출력된 마이너스의 전압(-Vs/2)이 스캔 드라이버(22)의 하측에 인가된다. 이에 따라, 선순차에 의해 선택된 주사 전극 Y에는 (-Vs/2) 레벨, 비선택의 주사 전극 Y에는 접지 레벨의 전압이 부하(20)의 주사 전극 Y에 인가된다.
이 때, 각 어드레스 전극 A1∼Am 중의 유지 방전을 일으키는 셀, 즉 점등시키는 셀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전극 Aj에는 전압 Va의 어드레스 펄스가 선택적으로 인가된다. 이 결과, 점등시키는 셀의 어드레스 전극 Aj와 선순차로 선택된 주사 전극 Y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고, 이것을 프라이밍(priming)(pilot flame)으로 하여 공통 전극 X와 주사 전극 Y와의 방전을 즉시 이행한다. 이에 따라, 선택 셀의 공통 전극 X 및 주사 전극 Y 상의 MgO 보호막 면에, 다음의 유지 방전이 가능한 양 의 벽 전하가 축적된다.
그 후, 유지 방전 기간이 되면, 공통 전극 X측에서는 처음에 2개의 스위치 SW1, SW3을 ON으로 하고, 나머지 스위치 SW2, SW4∼SW6은 OFF로 한다. 이 때, 제1 신호 라인 OUTA의 전압은 (+Vs/2)가 되고, 제2 신호 라인 OUTB의 전압은 접지 레벨이 된다. 이 때, 전력 회수 회로(21) 내의 트랜지스터 Tr1을 ON으로 함으로써, 코일 L1과 부하(20)의 용량에 의해 L-C 공진이 행해지고, 컨덴서 C2에 회수되어 있던 전하가 트랜지스터 Tr1, 다이오드 D2, 코일 L1을 통해 부하(20)에 공급된다.
이 때, 주사 전극 Y측에서는 스위치 SW2'가 ON으로 되어 있는 것에 의해, 공통 전극 X측의 스위치 SW3을 통해 컨덴서 C2로부터 공통 전극 X에 공급된 전류는 주사 전극 Y측의 스캔 드라이버(22) 내의 다이오드, 및 다이오드 D6을 통과하여, 제3 신호 라인 OUTA', 스위치 SW2'를 통해 GND에 공급된다. 이러한 전류의 흐름에 의해, 공통 전극 X의 전압은 도 20과 같이 서서히 상승해 간다. 그리고, 이 공진 시에 발생하는 피크 전압의 근방에서 스위치 SW4를 ON으로 함으로써, 공통 전극 X의 전압을 (Vs/2)로 클램프(clamp)한다.
다음으로, 주사 전극 Y측에서, 전력 회수 회로(21') 내의 트랜지스터 Tr3이 다시 ON으로 된다. 이에 따라, 코일 L3과 부하(20)의 용량으로써 L-C 공진이 행해지고, 공통 전극 X측의 스위치 SW3, 컨덴서 C1로부터 제1 신호 라인 OUTA를 통해 스위치 SW4를 통과하여 공통 전극 X에 공급된 전류가, 주사 전극 Y측의 스캔 드라이버(22) 내의 다이오드 및 전력 회수 회로(21') 내의 다이오드 D4를 통과하고, 다시 트랜지스터 Tr3, 컨덴서 C3, 컨덴서 C4, 스위치 SW2'를 통해 GND에 공급된다. 이러한 전류의 흐름에 따라, 주사 전극 Y의 전압은 도 20과 같이 서서히 하강해 간다. 이 때, 그 일부의 전하가 컨덴서 C3에 회수될 수 있다. 그리고, 이 공진 시에 발생하는 피크 전압의 근방에서 스위치 SW5'를 다시 ON으로 함으로써, 주사 전극 Y의 전압을 (-Vs/2)로 클램프한다.
마찬가지로 하여, 공통 전극 X 및 주사 전극 Y의 인가 전압을 전압 (-Vs/2)로부터 접지 레벨(0V)로 할 때는, 전력 회수 회로(21, 21') 내의 컨덴서 C2, C3에 회수되어 있던 전하를 공급함으로써, 인가 전압을 서서히 상승시켜 간다.
또한, 공통 전극 X 및 주사 전극 Y의 인가 전압을 전압 (Vs/2)로부터 접지 레벨(0V)로 할 때는, 부하(20)에 축적되어 있던 전하가 GND에 공급됨으로써, 인가 전압을 서서히 하강시킴과 함께, 부하(20)에 축적되어 있던 전하의 일부를 전력 회수 회로(21, 21') 내의 컨덴서 C2, C3에 회수한다.
이와 같이 하여 유지 방전 기간에는 공통 전극 X와 각 표시 라인의 주사 전극 Y에 상호 극성이 다른 전압(+Vs/2, -Vs/2)을 교대로 인가하여 유지 방전을 행하여, 1서브 필드의 영상을 표시한다.
그러나, 상술한 교류 구동형 PDP의 구동 장치에서는, 논리 회로 등으로 구성되는 구동 제어 회로(31)는 GND 레벨을 기준 전위로 하고 있지만, 상기 구동 제어 회로(31)로부터 제어 신호가 공급되어, 공통 전극 X 및 주사 전극 Y에 전압을 인가하는 출력 소자, 즉 스위치 SW4, SW5, SW4', SW5' 및 전원 회수 회로(21, 21') 내 의 트랜지스터 Tr1∼Tr4는 구동 동작에 있어서 기준 전위가 변화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구동 제어 회로(31)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상기 출력 소자에 공급할 때, 출력 소자의 전압 변동이 구동 제어 회로(31)로 역류함으로써, 구동 제어 회로(31)에 고전압이 걸릴 가능성이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구동 제어 회로(31)의 출력부의 각 소자에 큰 내압을 갖는 부품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출력 소자의 전압 변동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고려된다. 그러나, 큰 내압을 갖는 부품을 이용하여 구동 제어 회로(31)의 출력부를 구성하면, 회로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술한 교류 구동형 PDP의 구동 장치에서는 전력 회수 회로(21, 21')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은 경우, 즉 컨덴서 C2, C3의 양단의 전압이 정상적인 전압치로부터 일탈된 경우에는, 상기 구동 장치에 의한 구동 동작에 있어서 출력 손실이 커져 구동 장치를 구성하는 각 소자의 발열량이 증가되고, 그 결과 소자 파괴에 이르게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큰 내압을 갖는 부품 등을 이용하지 않고도, 신뢰성이 높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력 회수 회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은 경우에, 소자 파괴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 셀에 전압을 인가하여 방전을 행하기 위해 설치된 전극에 대하여 전압을 공급하는 출력 소자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출력 소자의 기준 전위의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출력 소자에 공급하는 신호 전달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특징은, 전력 회수 회로의 전력 회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된 전력 회수 전압이 상기 전력 회수 회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을 때의 전력 회수 전압과 다른 경우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 전압을 내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극에 대하여 전압을 공급하는 출력 소자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출력 소자의 기준 전위로 변환되어, 출력 소자에 공급되기 때문에, 기준 전위는 절연되면서도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된다. 따라서, 출력 소자의 전압 변동 등이 발생하였다고 해도,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측에 그 영향이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전력 회수 회로의 전력 회수 전압이 검출되고, 검출된 전력 회수 전압이 상기 전력 회수 회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을 때의 전력 회수 전압과 다른 경우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 전압을 내리도록 하였기 때문에, 소자 파괴 등이 발생하기 전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정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 셀에 전압을 인가하여 방전 을 행하기 위해 설치된 전극에 대하여, 전압을 공급하는 출력 소자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신호 전달 회로에 의해 상기 출력 소자의 기준 전위의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출력 소자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기준 전위는 절연되면서도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력 회수 회로의 전력 회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된 전력 회수 전압이, 상기 전력 회수 회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을 때의 전력 회수 전압과 다를 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 전압을 내리도록 한 경우에는 소자 파괴 등이 발생하기 전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정지할 수 있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교류 구동형 PDP의 구동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이 도 1에 도시한 본 실시예의 구동 장치는, 예를 들면 도 17, 도 18에 전체 구성 및 1화소를 구성하는 하나의 셀의 구성을 나타낸 교류 구동형 PDP 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도 1에 있어서, 도 19에 도시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인 것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이다.
도 1에 있어서, 부하(20)는 하나의 공통 전극 X와 하나의 주사 전극 Y 사이 에 형성되어 있는 셀의 합계의 용량이다. 또한, 부하(20)에는 공통 전극 X 및 주사 전극 Y가 형성되어 있다.
공통 전극 X측에서는, 스위치 SW1, SW2는 도시하지 않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Vs/2)의 전원 라인과 접지(GND)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다. 상기 2개의 스위치 SW1, SW2의 상호 접속점에는 컨덴서 C1의 한쪽의 단자가 접속되고, 이 컨덴서 C1의 다른쪽의 단자와 GND 사이에는 스위치 SW3이 접속된다.
또한, 스위치 SW4, SW5는 상기 컨덴서 C1의 양단에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 SW4는 제1 신호 라인 OUTA를 통해 컨덴서 C1의 상기 한쪽의 단자에 접속되며, 상기 SW5는 제2 신호 라인 OUTB를 통해 컨덴서 C1의 상기 다른쪽의 단자에 접속된다. 그리고, 이들 2개의 스위치 SW4 및 SW5의 상호 접속점에는 출력 라인 OUTC를 통해 부하(20)의 공통 전극 X가 접속되어 있다.
한편, 주사 전극 Y측에서는, 스위치 SW1', SW2'는 도시하지 않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Vs/2)의 전원 라인과 GND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다. 이들 2개의 스위치 SW1', SW2'의 상호 접속점에는 컨덴서 C4의 한쪽의 단자가 접속되고, 이 컨덴서 C4의 다른쪽의 단자와 GND 사이에는 스위치 SW3'이 접속된다.
또한, 컨덴서 C4의 상기 한쪽의 단자에 제3 신호 라인 OUTA'를 통해 접속된 스위치 SW4'는 다이오드 D14의 캐소드와 접속되고, 다이오드 D14의 애노드와 컨덴서 C4의 상기 다른쪽의 단자가 접속된다. 또한, 컨덴서 C4의 상기 다른쪽의 단자에 제4 신호 라인 OUTB'를 통해 접속된 스위치 SW5'는 다이오드 D15의 애노드와 접속되고, 다이오드 D15의 캐소드와 컨덴서 C4의 상기 한쪽의 단자가 접속된다. 그 리고, 다이오드 D14의 캐소드와 접속되는 스위치 SW4', 다이오드 D15의 애노드와 접속되는 스위치 SW5'의 각각의 일단으로부터 스캔 드라이버(22)를 통해 부하(20)의 주사 전극 Y가 접속되어 있다.
또, 도 1에서는 스캔 드라이버(22)를 하나만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PDP가 구비하는 복수의 표시 라인에 대하여 각각 구비되어 있다. 그 밖의 회로는 복수의 표시 라인에 공통으로 설치되는 공통 회로이다.
구동 제어 회로(31)는 논리 회로 등을 이용하여 구성되고, 본 구동 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스위치 SW1∼SW5, SW1'∼SW5'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이다. 즉, 구동 제어 회로(31)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표시 데이터, 클럭, 수평 동기 신호 및 수직 동기 신호 등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치 SW1∼SW5, SW1'∼SW5'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구동 제어 회로(31)는 생성한 제어 신호를 상기 스위치 SW1∼SW5, SW1'∼SW5'에 각각 공급한다.
또, 도 1에서 구동 제어 회로(31)로부터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제어선은 스위치 SW4, SW5, SW4' 및 SW5'에 각각 접속된 프리 드라이브 회로(32-1, 32-2, 32-3, 33-3)에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제어선 CTL1∼CTL4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스위치 SW1∼SW3, SW1'∼SW3'의 각각에 구동 제어 회로(31)로부터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제어선이 접속되어 있다.
프리 드라이브 회로(32-1∼32-4)는 상기 구동 제어 회로(31)로부터 제어선 CTL1∼CTL4를 통해 각각 공급되는 구동 제어 회로(31)의 기준 전위(예를 들면, GND)를 기준으로 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스위치 SW4, SW5, SW4', SW5'의 기준 전 위와 매칭된 제어 신호로 각각 전압 레벨을 변환하여 공급한다. 또, 이 프리 드라이브 회로(32-1∼32-4)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으로, 도 2를 이용하여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교류 구동형 PDP의 구동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또, 이 도 2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인 것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이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 있어서, 공통 전극 X측의 2개의 스위치 SW1, SW3이 ON으로 되고, 나머지 스위치 SW2, SW4, SW5는 OFF로 되면, 제1 신호 라인 OUTA의 전압은 도시하지 않은 전원으로부터 스위치 SW1을 통해 제공되는 전압 레벨(+Vs/2)이 된다. 그 후, 스위치 SW4가 ON으로 됨과 함께, 주사 전극 Y측의 스위치 SW4', SW2'가 ON으로 됨으로써, 제1 신호 라인 OUTA의 전압(+Vs/2)이 출력 라인 OUTC를 통해 부하(20)의 공통 전극 X에 인가되며, 공통 전극 X와 주사 전극 Y 사이에 (Vs/2)의 전압이 인가된다.
또한, 이 단계에서는 스위치 SW1, SW3이 ON으로 되어 컨덴서 C1이 전원에 접속되기 때문에, 상기 컨덴서 C1에는 도시하지 않은 전원으로부터 스위치 SW1, SW3에 의해 제공되는 전압(Vs/2)에 따른 전하가 축적된다.
다음으로, 스위치 SW4가 OFF로 되어 전압을 인가할 때의 전류 경로가 차단된 후, 스위치 SW5가 펄스 형태로 ON으로 됨으로써, 출력 라인 OUTC의 전압이 접지 레벨까지 감소한다. 다음으로, 스위치 SW2가 ON, 나머지 4개의 스위치 SW1, SW3, SW4, SW5가 OFF로 된 후, 스위치 SW4가 펄스적으로 ON으로 된다. 이 스위치 SW4가 ON으로 됨으로써, 공통 전극 X(접지)에 대하여 주사 전극 Y측에 전압을 인가할 때의 전류 경로가 된다.
다음으로, 스위치 SW2를 ON으로 유지한 채로, 스위치 SW5가 ON으로 된다. 이 때, 제1 신호 라인 OUTA에는 도시하지 않은 전원으로부터 스위치 SW1을 통해 전원 전압이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그 전압은 접지 레벨이 된다. 한편, 제2 신호 라인 OUTB에 관해서는 스위치 SW2가 ON으로 되어 제1 신호 라인 OUTA가 접지됨으로써, 제2 신호 라인 OUTB의 전압은 컨덴서 C1에 축적되어 있는 전하에 따른 전압(Vs/2)만큼 접지 레벨로부터 내려간 전위(-Vs/2)가 된다.
이 때, 스위치 SW5가 ON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신호 라인 OUTB의 전압(-Vs/2)이 출력 라인 OUTC를 통해 부하(20)에 인가된다. 그 때, 주사 전극 Y측의 스위치 SW3', SW4'를 ON으로 하고, 주사 전극 Y(전압 Vs/2)에 대하여 공통 전극 X측에 전압(-Vs/2)을 인가하게 된다.
다음으로, 스위치 SW2, SW4가 ON으로 되고, 나머지 스위치 SW1, SW3, SW5는 OFF로 된다. 이에 따라, 출력 라인 OUTC의 전압이 접지 레벨로 상승된다. 그 후, 최초의 단계와 마찬가지로 3개의 스위치 SW1, SW3, SW4가 ON, 나머지 2개의 스위치 SW2, SW5가 OFF로 되고, 이후 마찬가지로 반복되어 간다.
이와 같이 하여, 부하(20)의 공통 전극 X에 대하여 플러스의 전압(+Vs/2)과 마이너스의 전압(-Vs/2)을 교대로 인가해 간다. 한편, 부하(20)의 주사 전극 Y에 대해서도 공통 전극 X측과 마찬가지의 스위칭 제어를 행함으로써, 플러스의 전압(+Vs/2)과 마이너스의 전압(-Vs/2)을 교대로 인가해 간다.
이 때, 공통 전극 X 및 주사 전극 Y의 각각에 인가하는 전압(±Vs/2)은 상호 위상이 반전되도록 인가한다. 즉, 공통 전극 X에 플러스의 전압(+Vs/2)이 인가되어 있을 때는 주사 전극 Y에는 마이너스의 전압(-Vs/2)을 인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공통 전극 X와 주사 전극 Y간의 전위차를 공통 전극 X와 주사 전극 Y간에서의 유지 방전이 가능한 전위차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도 1에 도시한 프리 드라이브 회로(32-1∼32-4)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상기 프리 드라이브 회로(32-1∼32-4)는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프리 드라이브 회로(32-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프리 드라이브 회로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있어서, 프리 드라이브 회로(32-1)는 신호 전달 회로(41) 및 신호 증폭 회로(4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신호 전달 회로(41)는 도 1에 도시한 구동 제어 회로(31)의 기준 전위(예를 들면, GND)를 기준으로 하는 구동 제어 회로(31)로부터 제어선 CTL1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 소자(프리 드라이브 회로(32-1)이면, 도 1에 도시한 스위치 SW4)의 기준 전위와 매칭된 제어 신호의 전압 레벨로 변환한다. 이 신호 전달 회로(41)는, 예를 들면, 포토 커플러, 커플링 컨덴서, 또는 트랜스포머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증폭 회로(42)는 상기 신호 전달 회로(41)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출력 소자에 대한 제어 신호를 출력 소자의 구동 레벨로 증폭하여, 상기 출력 소자에 공급한다. 이 신호 증폭 회로(42)는, 예를 들면, MOS 드라이버, 또는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드라이버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프리 드라이브 회로(32-1)에 따르면, 구동 제어 회로(31)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제어 회로(31)의 기준 전위를 기준으로 한 제어 신호를, 신호 전달 회로(41)에 의해 출력 소자의 기준 전위의 전압 레벨로 변환하고, 또한 신호 증폭 회로(42)에서 출력 소자의 구동 레벨로 증폭한 후, 상기 출력 소자에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 소자의 기준 전위와 매칭된 제어 신호가 상기 출력 소자에 공급되기 때문에, 출력 소자를 안정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음과 함께, 출력 소자에서 전압 변동 등이 발생하였다고 해도, 그 영향이 구동 제어 회로(31)에 미치지 않게 된다.
또한, 공급되는 제어 신호의 기준 전위를 변환하는 신호 전달 회로(41)를 설치함으로써, 신호 전달 회로(41)의 전단에 배치하는 회로 및 후단에 배치하는 회로를 설계할 때에 각각의 기준 전위를 고려하지 않고, 전단에 배치하는 회로와 후단에 배치하는 회로로 나누어 회로 설계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회로 설계를 행할 수 있다.
도 4는 프리 드라이브 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한 프리 드라이브 회로(32-1)는 도 3에 도시한 프리 드라이브 회로(32-1)에서 구동 제어 회로(31)로부터 공급된 제어 신호의 기준 전위를 변환하는 신호 전달 회로(41)에 포토 커플러 등의 광 전달 회로(43)를 이용한 것이다.
도 4에 있어서, 광 전달 회로(43)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 소자(44)와 수광 소자(45)를 조합한 회로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발광 소자(44)의 기준 전위는 구동 제어 회로(31)의 기준 전위와 같고, 상기 수광 소자(45)의 기준 전위는 출력 소자의 기준 전위와 같다.
도 4에 도시한 프리 드라이브 회로(32-1)에서는 구동 제어 회로(31)로부터 출력 소자에 대한 제어 신호가 공급되면, 우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광 전달 회로(43) 내의 발광 소자(44)가 명멸한다. 그리고, 상기 발광 소자(44)에 의해 발광되는 광 A의 유무를 광 전달 회로(43) 내의 수광 소자(45)로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따른 신호를 광 전달 회로(43)로부터 출력한다. 즉, 상기 광 전달 회로(43)는 공급된 제어 신호의 기준 전위를 구동 제어 회로(31)의 기준 전위로부터 출력 소자의 기준 전위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광 전달 회로(43)에 의해 출력 소자의 기준 전위로 변환되어 출력된 제어 신호는, 신호 증폭 회로(42)에 의해 출력 소자의 구동 레벨로 증폭되어 상기 출력 소자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광 전달 회로(43)에 의해 구동 제어 회로(31)의 기준 전위로부터 출력 소자의 기준 전위로 제어 신호를 변환하는 경우에는, 광 전달 회로(43) 내의 발광 소자(44)와 수광 소자(45) 사이에서 상기 제어 신호의 전달 경로를 전기적으로 차단하여 절연하면서도, 제어 신호를 광으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제어 회로(31)는 출력 소자에서 발생한 전압 변동 등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게 된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한 프리 드라이브 회로(32-1)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있어서, 출력 소자인 스위치 SW4는 n채널 트랜지스터이고, 프리 드라 이브 회로(32-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OUT가 하이 레벨일 때는 ON으로 되며, 로우 레벨일 때는 OFF로 된다.
또한, 상기 프리 드라이브 회로(32-1)는 광 전달 회로(43) 내의 발광 소자(44)가 발광하고 있는 경우에는 하이 레벨의 신호 OUT를 출력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발광 소자(44)가 발광하지 않은 경우)에는 로우 레벨의 신호 OUT를 출력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프리 드라이브 회로(32-1)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차트이다.
도 7에 있어서, CTL은 구동 제어 회로(31)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신호이고, OUT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프리 드라이브 회로(32-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이다. 또한, OUT'는 상기 신호 OUT와 비교하기 위해 기재한 것으로, 도 6에 도시한 광 전달 회로(43) 내의 발광 소자(44)가 발광하고 있는 경우에는 로우 레벨이 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발광 소자(44)가 발광하지 않은 경우)에는 하이 레벨이 된다.
여기서, 광 전달 회로(43) 내의 발광 소자(44)는 제어 신호 CTL이 하이 레벨일 때는 발광하고, 로우 레벨일 때는 발광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우선, 시각 T1에서, 제어 신호 CTL이 하이 레벨로 되면, 광 전달 회로(43) 내의 발광 소자(44)가 발광하고, 프리 드라이브 회로(32-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OUT도 하이 레벨로 되며, 스위치 SW4는 ON 상태로 된다. 다음으로, 시각 T2에서, 제어 신호 CTL이 로우 레벨로 되면, 광 전달 회로(43) 내의 발광 소자(44)는 발광하지 않고, 프리 드라이브 회로(32-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OUT는 로우 레벨로 되며, 스위치 SW4는 OFF 상태로 된다.
그리고, 시각 T3에서, 다시 제어 신호 CTL이 하이 레벨로 되면, 그에 따라 프리 드라이브 회로(32-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OUT도 하이 레벨로 되고, 스위치 SW4는 ON 상태로 된다.
여기서, 시각 T4에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 및 회로의 문제점 등에 의해 프리 드라이브 회로(32-1) 내의 광 전달 회로(43)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고, 그 후 시각 T5에서, 스위치 SW4를 포함하는 그 밖의 회로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게 된다. 이 때, 시각 T4에서, 상기 광 전달 회로(43) 내의 발광 소자(44)는 제어 신호 CTL에 상관없이 발광하지 않게 된다. 그에 따라, 프리 드라이브 회로(32-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OUT도 로우 레벨로 되고, 스위치 SW4는 OFF 상태로 된다.
그것에 대하여, 광 전달 회로(43) 내의 발광 소자(44)가 발광하고 있는 경우에는 로우 레벨로 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발광 소자(44)가 발광하지 않은 경우)에는 하이 레벨로 되는 신호 OUT'의 경우에는, 시각 T4에서, 상기 광 전달 회로(43) 내의 발광 소자(44)가 발광하지 않게 되지만, 그 밖의 회로가 동작하고 있기 때문에, 프리 드라이브 회로(32-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OUT'는 하이 레벨로 되고, 스위치 SW4가 ON 상태로 된다. 그 후, 시각 T5에서, 스위치 SW4를 포함하는 그 밖의 회로가 동작하지 않게 됨으로써, 스위치 SW4가 OFF 상태로 된다.
즉, 광 전달 회로(43) 내의 발광 소자(44)가 발광하고 있을 때, 출력 소자인 스위치 SW4를 OFF 상태로 하고, 발광 소자(44)가 발광하고 있지 않을 때, 스위치 SW4를 ON 상태로 하도록 한 경우에는, 만약 광 전달 회로(43)로의 전원 공급만이 차단되었을 때는 스위치 SW4가 ON 상태로 된다. 이에 따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류가 계속해서 공급되거나, 배타 제어해야 할 스위치 등의 출력 소자가 동시에 ON 상태로 되거나 하여 소자 파괴 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것에 대하고, 상술한 신호 OUT와 같이 광 전달 회로(43) 내의 발광 소자(44)가 발광하고 있을 때, 출력 소자인 스위치 SW4를 ON 상태로 하고, 발광 소자(44)가 발광하고 있지 않을 때, 스위치 SW4를 OFF 상태로 하도록 한 경우에는, 만약 광 전달 회로(43)로의 전원 공급만이 차단되었다고 해도, 스위치 SW4를 OFF 상태로 할 수 있어 소자 파괴 등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 및 회로의 문제점 등에 의해, 상기 광 전달 회로(43)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에, 프리 드라이브 회로(32-1)에 접속된 출력 소자를 확실하게 OFF 상태로 하는 방법으로서, 광 전달 회로(43)에 대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만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전압 유지 회로를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
도 8은 상기 광 전달 회로(43)에 대하여 상기 전원 전압 유지 회로를 설치한 프리 드라이브 회로(32-1)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있어서, 참조 부호(46)는 전원 전압 유지 회로(47)를 통해 광 전달 회로(43')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이다. 또한, 전원 전압 유지 회로(47)는 상기 전원 장치(46)로부터 광 전달 회로(43)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에 소정의 시간 동안만 광 전달 회로(43)에 전원 단자 VT를 통해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 전압 유지 회로(47)는,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원 장치(46)에 애노드가 접속되고, 전원 단자 VT에 캐소드가 접속된 다이오드와, 상기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접지 사이에 접속된 컨덴서(48)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전원(46)으로부터 전원 단자 VT를 통해 광 전달 회로(43)에 전원이 공급되어 있는 경우에는, 공급되어 있는 전원을 전하로서 컨덴서(48)에 축적한다. 한편, 전원(46)으로부터 광 전달 회로(43)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에는, 상기 컨덴서(48)에 축적된 전하를 전원 단자 VT를 통해 광 전달 회로(43)에 공급함으로써 소정의 시간 동안만 광 전달 회로(43)에 공급하는 전원을 유지한다. 이에 따라, 광 전달 회로(43)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었다고 해도, 출력 소자에 공급하는 전원 전압이 내려갈 때까지 광 전달 회로(4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논리를 정확하게 유지하는 수 있어 소자 파괴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광 전달 회로(43)에 대하여 전원 전압 유지 회로(47)를 설치하여, 상기 광 전달 회로(43) 내의 발광 소자(44)가 발광하고 있을 때, 출력 소자를 OFF 상태로 하도록 한 경우에는, 광 전달 회로(43)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었다고 해도 출력 소자에 공급하는 전원 전압이 내려갈 때까지 광 전달 회로(4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OFF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0은 프리 드라이브 회로(32-1)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프리 드라이브 회로(32-1)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프리 드라이브 회로에 위상 조정 회로(49)를 더 설치한 것이다.
도 10에 있어서, 위상 조정 회로(49)는 구동 제어 회로(31)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신호가 프리 드라이브 회로(32-1)를 통해 출력 소자에 공급될 때의 위상의 지 연을 각 프리 드라이브 회로(32-1∼32-4)간에서 조정하기 위한 회로이다.
즉, 구동 제어 회로(31)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신호가 신호 전달 회로(41)에 의해 기준 전위가 변환되거나, 신호 증폭 회로(42)에 의해 증폭될 때, 상기 신호 전달 회로(41) 및 신호 증폭 회로(42)를 구성하는 소자나 그 소자의 감도 등의 변동에 의해 프리 드라이브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는 위상의 지연이 발생한다.
상기 위상 조정 회로(49)는 이 신호 전달 회로(41) 및 신호 증폭 회로(42)에 의해 발생한 위상의 지연을 각 프리 드라이브 회로(32-1∼32-4)간에서 조정하고, 위상을 맞춰 각 출력 소자에 제어 신호를 공급한다.
상기 위상 조정 회로(43)는, 예를 들면, 컨덴서와 저항으로 이루어진 시상수 조정 회로에 의해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컨덴서의 용량치나 상기 저항의 저항치를 조정함으로써 위상의 지연을 조정할 수 있다.
도 11은 위상 조정 회로(49)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있어서, Iin은 위상 조정 회로(49)의 입력 단자이고, Iout는 위상 조정 회로(49)의 출력 단자이다.
도 11의 (a)에 도시한 위상 조정 회로(49)는 입력 단자 Iin과 출력 단자 Iout 사이에 접속된 가변 저항 R11과, 상기 출력 단자 Iout와 상기 가변 저항 R11의 단자와의 상호 접속점과 GND 사이에 접속된 컨덴서 C11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변 저항 R11의 저항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위상의 지연 시간을 조정한다.
도 11의 (b)에 도시한 위상 조정 회로(49)는 입력 단자 Iin과 출력 단자 Iout 사이에 접속된 저항 R12와, 상기 출력 단자 Iout와 상기 저항 R12의 단자와의 상호 접속점과 GND 사이에 접속된 가변 용량 C12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변 용량 C12의 용량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위상의 지연 시간을 조정한다.
도 11의 (c)에 도시한 위상 조정 회로(49)는 입력 단자 Iin과 출력 단자 Iout 사이에 접속된 전기적으로 저항치를 변화시킬 수 있는 전자 볼륨 R13과, 상기 출력 단자 Iout와 상기 전자 볼륨 R13의 단자와의 상호 접속점과 GND 사이에 접속된 컨덴서 C13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자 볼륨 R13을 조정하기 위한 저항 제어 신호가 외부로부터 입력되어, 상기 전자 볼륨 R13에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저항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전자 볼륨 R13의 저항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위상의 지연 시간을 조정한다.
이와 같이 프리 드라이브 회로 내에 위상 조정 회로(49)를 설치함으로써, 신호 전달 회로(41) 및 신호 증폭 회로(42)를 구성하는 소자 등의 변동에 의한 위상의 지연을 조정할 수 있으며, 출력 소자의 동작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도 10에 도시한 프리 드라이브 회로(32-1)에 있어서는 신호 전달 회로(41)의 전단에 위상 조정 회로(49)를 설치하였지만, 위상 조정 회로(49)는 신호 전달 회로(41)의 후단에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도 1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교류 구동형 PDP의 구동 장치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한 구동 장치는, 상기 도 19에 도시한 구동 장치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프리 드라이브 회로를 설치한 것이다. 또, 이 도 12에서, 도 19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 명은 생략한다.
도 12에 있어서, 참조 부호(32-1∼32-8)는 프리 드라이브 회로이고, 상기 구동 제어 회로(31')로부터 각각 공급되는 제어 신호를 스위치 SW4, SW5, SW4', SW5' 및 트랜지스터 Tr1∼Tr4의 기준 전위와 매칭된 제어 신호로 각각 전압 레벨을 변환하여 공급한다. 즉, 도 1에 도시한 프리 드라이브 회로와 마찬가지로, 구동 제어 회로(31')로부터 각각 공급되는 제어 신호의 기준 전위를 구동 제어 회로(31')의 기준 전위로부터 출력 소자의 기준 전위로 변환하여 출력 소자에 공급한다.
이 도 12에 도시한 구동 장치에서는 스위치 SW4, SW5, SW4', SW5' 및 트랜지스터 Tr1∼Tr4의 기준 전위가 구동 동작에 있어서 변화되기 때문에, 프리 드라이브 회로(32-1∼32-8)를 각각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동 동작에 있어서 기준 전위가 변화하는 스위치 SW4, SW5, SW4', SW5' 및 트랜지스터 Tr1∼Tr4의 각각에 대하여 프리 드라이브 회로(32-1∼32-8)를 설치함으로써, 기준 전위와 매칭된 제어 신호가 스위치 SW4, SW5, SW4', SW5' 및 트랜지스터 Tr1∼Tr4의 각각에 공급되기 때문에, 각 출력 소자를 안정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프리 드라이브 회로(32-1∼32-8)로서 상술한 임의의 프리 드라이브 회로가 이용될 수 있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프리 드라이브 회로 내의 신호 전달 회로(41)에 의해, 구동 제어 회로(31)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신호의 기준 전위를 출력 소자(스위치 SW4, SW5, SW4', SW5', 트랜지스터 Tr1∼Tr4 등)의 기준 전위로 변환하고, 신호 증폭 회로(42)에서 증폭한 후, 출력 소자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구동 제어 회로(31) 및 제어 신호의 기준 전위와 출력 소자의 기준 전위가 다르다고 해도, 기준 전위를 절연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 소자에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출력 소자의 전압 변동 등이 발생하였다고 해도 그 영향이 구동 제어 회로(31)에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안정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신호 전달 회로(41)로서 광 전달 회로(43)를 이용하도록 한 경우에는, 구동 제어 회로(31)와 출력 소자간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면서도 전기적인 경로를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 소자의 전압 변동 등이 발생하였다고 해도, 그 영향이 구동 제어 회로(31)에 미치는 것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프리 드라이브 회로 내에 위상 조정 회로(49)를 설치하도록 한 경우에는, 제어 신호를 출력 소자의 기준 전위로 변환할 때 신호 전달 회로(41), 신호 증폭 회로(42) 등에 의해 발생하는 위상의 지연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출력 소자의 동작 타이밍을 동기시킬 수 있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교류 구동형 PDP의 구동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 는 도면이다. 또, 이 도 13에 도시한 본 실시예의 구동 장치는, 예를 들면 도 17, 도 18에 전체 구성 및 1화소를 구성하는 하나의 셀의 구성을 나타낸 교류 구동형 PDP 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도 13에서, 도 1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에서는 각 출력 소자에 대하여 각각 프리 드라이브 회로를 설치하고 있지만, 제2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는 공통 전극 X측 및 주사 전극 Y측에 각각 하나의 프리 드라이브 회로를 설치하고, 프리 드라이브 회로 내에서 각 출력 소자에 대한 제어 신호의 변환, 생성 등을 행하여, 각 출력 소자에 공급하도록 한 것이다.
도 13에서, 참조 부호(51)는 구동 제어 회로이고, 참조 부호(52 및 52')는 프리 드라이브 회로이고, 구동 제어 회로(51)로부터 프리 드라이브 회로(52, 52')에는 각각 하나의 제어 신호가 공급된다. 또, 이 제어 신호는 각 프리 드라이브 회로(52, 52')의 후단에 접속되는 모든 출력 소자(스위치 SW4, SW5, SW4', SW5')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이다.
상기 프리 드라이브 회로(52)는 하나의 신호 전달 회로(53), 하나의 신호 변환 회로(54) 및 출력 소자의 수(도 13에 도시한 공통 전극 X측에서는 2개)의 신호 증폭 회로(55-1, 55-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신호 전달 회로(53)는 구동 제어 회로(51)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신호의 기준 전위를 출력 소자의 기준 전위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회로이다. 즉, 상기 신호 전달 회로(53)는 구동 제어 회로(51)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구동 제어 회로(51) 의 기준 전위(예를 들면, GND)를 기준으로 한 제어 신호를, 프리 드라이브 회로(52)의 후단에 접속된 출력 소자의 기준 전위와 매칭하여 제어 신호의 전압 레벨을 변환한다. 이 신호 전달 회로(53)는, 예를 들면, 포토 커플러, 커플링 컨덴서, 또는 트랜스포머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신호 변환 회로(54)는 상기 신호 전달 회로(53)에 의해 출력 소자의 기준 전위로 전압 레벨이 변환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프리 드라이브 회로(52)의 후단에 접속된 각각의 출력 소자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함과 함께, 적절한 타이밍에서 신호 증폭 회로(55-1, 55-2)에 공급한다. 즉, 상기 신호 변환 회로(54)는 상기 신호 전달 회로(53)에 의해 출력 소자의 기준 전위로 전압 레벨이 변환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후단에 접속된 스위치 SW4, SW5에 대한 2개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신호 증폭 회로(55-1, 55-2)에 각각 공급한다.
상기 신호 증폭 회로(55-1, 55-2)는 상기 신호 변환 회로(54)에 의해 분리되어 공급되는 제어 신호를 출력 소자의 구동 레벨로 증폭하고, 출력 소자인 스위치 SW4, SW5에 공급한다.
주사 전극 Y측의 프리 드라이브 회로(52')는 상술한 공통 전극 X측의 상기 프리 드라이브 회로(52)와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교류 구동형 PDP의 구동 장치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이 도 14에서, 도 12 및 도 19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에 도시한 구동 장치는 전원 회수 회로(21, 21')를 구비한 구동 장치 에, 도 13에 도시한 구동 장치와 마찬가지로, 공통 전극 X측 및 주사 전극 Y측에 각각 하나의 프리 드라이브 회로를 설치하고, 프리 드라이브 회로 내에서 각 출력 소자에 대한 제어 신호의 변환, 생성 등을 행하여, 각 출력 소자에 공급하도록 한 것이다.
도 14에서, 참조 부호(56)는 구동 제어 회로이고, 참조 부호(57 및 57')는 프리 드라이브 회로이고, 도 13에 도시한 구동 제어 회로(51) 및 프리 드라이브 회로(52, 52')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상기 프리 드라이브 회로(57)는 하나의 신호 전달 회로(58), 하나의 신호 변환 회로(59) 및 출력 소자의 수(도 14에 도시한 공통 전극 X측에서는 4개)의 신호 증폭 회로(60-1, 60-2, 60-3, 60-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신호 전달 회로(58)는, 도 13에 도시한 신호 전달 회로(53)와 마찬가지로, 구동 제어 회로(56)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신호의 기준 전위를 출력 소자의 기준 전위로 변환하여 신호 변환 회로(59)로 출력하는 회로이다.
또한, 신호 변환 회로(59)는, 도 13에 도시한 신호 변환 회로(54)와 마찬가지로, 상기 신호 전달 회로(58)에 의해 출력 소자의 기준 전위로 전압 레벨이 변환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프리 드라이브 회로(57)의 후단에 접속된 각각의 출력 소자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함과 함께, 적절한 타이밍에서 신호 증폭 회로(60-1∼60-4)에 공급한다. 즉, 상기 신호 변환 회로(59)는 상기 신호 전달 회로(58)에 의해 출력 소자의 기준 전위로 전압 레벨이 변환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후단에 접속된 스위치 SW4, SW5 및 트랜지스터 Tr1, Tr2 각각에 대한 4개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신호 증폭 회로(60-1∼60-4)에 각각 공급한다.
상기 신호 증폭 회로(60-1∼60-4)는, 상기 신호 변환 회로(59)에 의해 분리되어, 각각 공급되는 제어 신호를, 출력 소자의 구동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 소자인 스위치 SW4, SW5 및 트랜지스터 Tr1, Tr2에 각각 공급한다.
또, 주사 전극 Y측의 프리 드라이브 회로(57')에 대해서도 상술한 프리 드라이브 회로(57)와 동일한 구성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공통 전극 X측 및 주사 전극 Y측의 각각에 하나의 프리 드라이브 회로를 설치하고, 프리 드라이브 회로 내의 신호 전달 회로의 후단에 접속된 신호 변환 회로에 의해, 프리 드라이브 회로에 접속된 각각의 출력 소자에 대한 제어 신호에 공급된 제어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 소자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출력 소자마다 프리 드라이브 회로를 설치했을 때보다 적은 신호 전달 회로의 수로 제어 신호의 기준 전위와 출력 소자의 기준 전위를 절연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 소자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약간의 회로를 추가하는 것만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안정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교류 구동형 PDP의 구동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이 도 15에서, 도 19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에서, 참조 부호(61 및 61')는 전압 검출 회로이며, 전력 회수 회로(21, 21')가 각각 구비하는 컨덴서 C2, C3의 전극 사이의 전위차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전원 제어 회로(62)에 공급한다.
전원 제어 회로(62)는 상기 전압 검출 회로(61, 61')로부터 공급되는 컨덴서 C2, C3의 전극간의 전위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전력 회수 회로(21, 21')가 각각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전원 제어 회로(62)는 상기 전압 검출 회로(61, 61')로부터 공급되는 검출 결과인 컨덴서 C2, C3의 전극간의 전위차가 전력 회수 회로(21, 21')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 나타내는 전위차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예를 들면 전력 회수 회로(21)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컨덴서 C2의 양단의 전위차(제2 신호 라인 OUTB와 트랜지스터 Tr1 및 Tr2의 상호 접속점과의 전위차)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Vs/4가 되기 때문에, 상기 판단은 상기 전압 검출 회로(61, 61')로부터 공급되는 컨덴서 C2, C3의 전극간의 전위차의 검출 결과가 Vs/4인지의 여부에 의해 판단된다.
그 결과, 전력 회수 회로(21, 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지 않는, 즉, 전압 검출 회로(61, 61')로부터 공급된 검출 결과와 전력 회수 회로(21, 21')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 나타내는 값이 다르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전원 제어 회로(62)는 전원 회로(63)를 제어하여 출력 전압 Vs/2, Vw를 내린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회수 회로(21, 21')가 각각 구비하는 컨덴서 C2, C3의 전극간의 전위차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와 전력 회수 회로(21, 21')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 나타내는 값이 다르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공급하는 출력 전압을 내리도록 한다. 이에 따라, 소자 파괴 등이 발생하기 전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에 있어서의 단지 구체화된 하나의 예에 지나지 않고,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즉, 본 발명은 그 기술 사상, 또는 그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교류 구동형 PDP의 구동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교류 구동형 PDP의 구동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은 프리 드라이브 회로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프리 드라이브 회로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광 전달 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프리 드라이브 회로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프리 드라이브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차트.
도 8은 프리 드라이브 회로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9는 전원 전압 유지 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프리 드라이브 회로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1은 위상 조정 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교류 구동형 PDP의 구동 장치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교류 구동형 PDP의 구동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교류 구동형 PDP의 구동 장치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교류 구동형 PDP의 구동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제3 실시예에 따른 교류 구동형 PDP의 구동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전압 파형도.
도 17은 교류 구동형 PDP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1화소인 제i행 제j열의 셀 Cij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교류 구동형 PDP의 구동 장치의 회로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도 19에 도시한 교류 구동형 PDP의 구동 장치에 의한 구동 파형을 나타내는 타임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교류 구동형 PDP
20 : 부하
31 : 구동 제어 회로
32-1∼32-8 : 프리 드라이브 회로
41 : 신호 전달 회로
42 : 신호 증폭 회로
43 : 광 전달 회로
47 : 전원 전압 유지 회로
OUTA : 제1 신호 라인
OUTB : 제2 신호 라인
OUTA' : 제3 신호 라인
OUTB' : 제4 신호 라인

Claims (2)

  1. 표시 셀에 전압을 인가하여 방전을 행하기 위해 설치된 전극에 대하여 전압을 공급하는 구동 회로와, 상기 구동 회로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전하를 축적하기 위한 컨덴서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을 통해 표시 셀과의 사이에서 전하의 수수(授受)를 행하는 전력 회수 회로와,
    상기 전력 회수 회로의 전력 회수 전압으로서 상기 컨덴서의 전극 간의 전위차를 검출하는 전압 검출 회로
    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된 전력 회수 전압이, 상기 전력 회수 회로가 정상으로 동작하고 있는 때의 전력 회수 전압과 상이한 경우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 전압을 내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2. 표시 셀에 전압을 인가하여 방전을 행하기 위해 설치된 전극에 대하여 전압을 공급하는 구동 회로와, 상기 구동 회로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전하를 축적하기 위한 컨덴서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을 통해 표시 셀과의 사이에서 전하의 수수를 행하는 전력 회수 회로의 전력 회수 전압으로서 상기 컨덴서 의 전극 간의 전위차를 검출하고,
    검출한 전력 회수 전압이, 상기 전력 회수 회로가 정상으로 동작하고 있는 때의 전력 회수 전압과 상이한 경우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 전압을 내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080009286A 2001-01-19 2008-01-29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8456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12418A JP2002215087A (ja) 2001-01-19 2001-01-19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JP-P-2001-00012418 2001-01-1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9940A Division KR100818004B1 (ko) 2001-01-19 2001-11-1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4135A true KR20080014135A (ko) 2008-02-13
KR100845649B1 KR100845649B1 (ko) 2008-07-10

Family

ID=1887942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9940A KR100818004B1 (ko) 2001-01-19 2001-11-1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80009286A KR100845649B1 (ko) 2001-01-19 2008-01-29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9940A KR100818004B1 (ko) 2001-01-19 2001-11-1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03889B2 (ko)
EP (1) EP1227463A3 (ko)
JP (1) JP2002215087A (ko)
KR (2) KR100818004B1 (ko)
CN (2) CN1180390C (ko)
TW (1) TW5597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51221B2 (ja) * 2001-05-08 2011-03-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装置
JP4031971B2 (ja) * 2001-12-27 2008-01-09 富士通日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パワーモジュール
US7081891B2 (en) * 2001-12-28 2006-07-2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nant injection of discharge energy into a flat plasma display panel
KR100456680B1 (ko) * 2002-01-11 2004-11-10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력 회수 구동 회로
JP2003330408A (ja) * 2002-05-17 2003-11-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3330407A (ja) * 2002-05-17 2003-11-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458572B1 (ko) * 2002-07-09 2004-12-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 방법
CN1689061A (zh) * 2002-10-02 2005-10-26 富士通日立等离子显示器股份有限公司 驱动电路和驱动方法
KR100501718B1 (ko) * 2002-11-30 2005-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어드레스 구동부의 보호기능을 갖는 영상디스플레이장치
JP4480341B2 (ja) 2003-04-10 2010-06-16 日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4361690A (ja) * 2003-06-05 2004-12-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5181890A (ja) * 2003-12-22 2005-07-07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駆動回路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5189314A (ja) * 2003-12-24 2005-07-14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駆動回路、駆動方法、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4620954B2 (ja) * 2004-02-20 2011-01-26 日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駆動回路
KR100530642B1 (ko) * 2004-04-12 2005-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JP2005331584A (ja) 2004-05-18 2005-12-02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容量性負荷駆動回路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6047953A (ja) 2004-06-28 2006-02-16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半導体集積回路、駆動回路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6017990A (ja) * 2004-07-01 2006-01-19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表示装置の動回路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4532244B2 (ja) 2004-11-19 2010-08-25 日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4538354B2 (ja) * 2005-03-25 2010-09-08 日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612349B1 (ko) * 2005-08-02 2006-08-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장치와 구동 방법
US7733304B2 (en) 2005-08-02 2010-06-08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and plasma display driver and method of driving plasma display
KR100709852B1 (ko) * 2005-12-30 2007-04-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장치
KR100796686B1 (ko) 2006-03-29 2008-0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장치와 구동 방법
US20080150438A1 (en) * 2006-12-20 2008-06-26 Yoo-Jin Song Plasma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065396B1 (ko) * 2010-08-17 2011-09-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28088A (en) * 1969-07-18 1971-12-14 Larry J Schmersal High-voltage interface address circuit and method for gas discharge panel
JPS5249697B2 (ko) 1972-03-08 1977-12-19
JPS5464426A (en) * 1977-10-31 1979-05-24 Nec Corp Driving circuit for external electrode type plasma display panel
JPS60247694A (ja) * 1984-05-23 1985-12-07 シャープ株式会社 薄膜el表示装置の駆動回路
JPH04181809A (ja) 1990-07-23 1992-06-29 Fuji Electric Co Ltd 集積回路装置の負荷駆動回路
JP3387664B2 (ja) 1993-11-19 2003-03-17 富士通株式会社 平面型表示装置
KR960016720B1 (ko) * 1993-12-08 1996-12-2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상대전위차를 이용한 교류구동형 박막 전계발광소자 구동회로
JP2891280B2 (ja) * 1993-12-10 1999-05-17 富士通株式会社 平面表示装置の駆動装置及び駆動方法
US5616988A (en) * 1994-08-19 1997-04-01 Hyundai Electronics Industries Co., Ltd. High energy-saving circuit for a display apparatus
JPH08234695A (ja) * 1995-02-23 1996-09-13 Mitsubishi Electric Corp 映像表示装置
JP3666607B2 (ja) 1995-05-24 2005-06-29 富士通株式会社 プラズマパネルの駆動方法、駆動装置及びプラズマパネル
JP2751951B2 (ja) * 1995-08-28 1998-05-18 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パネルの駆動回路
JPH10268830A (ja) * 1997-03-27 1998-10-09 Mitsubishi Electric Corp 放電表示装置
FR2763735B1 (fr) 1997-05-22 1999-08-13 Sgs Thomson Microelectronics Etage de sortie de puissance pour la commande de cellules d'ecran a plasma
JPH11296136A (ja) * 1998-04-16 1999-10-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JP3568098B2 (ja) * 1998-06-03 2004-09-2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表示パネルの駆動装置
JP4027544B2 (ja) 1998-10-06 2007-12-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駆動回路、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及び集積回路
JP2000148028A (ja) * 1998-11-13 2000-05-26 Toshiba Corp 平面表示装置
JP2000148082A (ja) * 1998-11-13 2000-05-26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駆動回路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348966B1 (ko) * 1998-12-01 2002-08-17 엘지전자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JP2001013917A (ja) * 1999-06-30 2001-01-19 Hitachi Ltd ディスプレイ装置
JP3201603B1 (ja) 1999-06-30 2001-08-27 富士通株式会社 駆動装置、駆動方法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回路
JP3644867B2 (ja) * 2000-03-29 2005-05-11 富士通日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5649B1 (ko) 2008-07-10
EP1227463A3 (en) 2007-09-12
KR100818004B1 (ko) 2008-03-31
JP2002215087A (ja) 2002-07-31
KR20020062136A (ko) 2002-07-25
US6803889B2 (en) 2004-10-12
US20020097203A1 (en) 2002-07-25
CN1180390C (zh) 2004-12-15
CN1332369C (zh) 2007-08-15
TW559759B (en) 2003-11-01
CN1366286A (zh) 2002-08-28
EP1227463A2 (en) 2002-07-31
CN1523555A (zh) 2004-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564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050168410A1 (en) Drive circuit and drive method
US7242373B2 (en) Circuit for driving flat display device
US7102598B2 (en) Predrive circuit, drive circuit and display device
US700605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scan electrodes of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
KR10057121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장치 및 방법
US7274342B2 (en) Drive circuit and plasma display device
US7136032B2 (en) Plasma display apparatus
KR100590112B1 (ko)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7633497B2 (en) Drive circuit of plasma display device
KR100647755B1 (ko) 구동 회로, 구동 방법,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EP1696411A2 (en) Plasma display device
JP3980924B2 (ja) プリドライブ回路、ドライブ回路および表示装置
JP3609823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0060284799A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US7474278B2 (en)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20050200565A1 (en) Method for driving display panel
JP2005326675A (ja) 駆動回路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3003279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EP2113902A2 (en) Plasma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05208167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