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7410A - 트리메식산 유도체 및 그의 혼합물 - Google Patents

트리메식산 유도체 및 그의 혼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7410A
KR20080007410A KR1020077029294A KR20077029294A KR20080007410A KR 20080007410 A KR20080007410 A KR 20080007410A KR 1020077029294 A KR1020077029294 A KR 1020077029294A KR 20077029294 A KR20077029294 A KR 20077029294A KR 20080007410 A KR20080007410 A KR 20080007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yl
substituted
phenyl
tert
hydr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9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0125B1 (ko
Inventor
한스 베르너 슈미트
폴 스미스
마르쿠스 블로멘호퍼
Original Assignee
시바 스폐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바 스폐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시바 스폐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07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7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0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01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0Carboxylic acid 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03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IB)의 화합물; 화학식(IA)의 화합물; 또는 상이한 화학식(I)의 화합물의 혼합물; 및 화학식(I)의 화합물과 다른 핵생성제의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7089997227-PAT00001
(IB)
Figure 112007089997227-PAT00002
(IA)
Figure 112007089997227-PAT00003
(I)
결정화도, 투명성, 헤이즈, 중합체

Description

트리메식산 유도체 및 그의 혼합물{Trimesic acid derivatives and mixtures thereof}
본 발명은 결정성이 탁월하고, 투과도가 높고, 투명성이 높으며, 헤이즈가 낮고 열적 안정성이 향상되고 또 트리메식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이들 트리메식산 유도체의 헤이즈 감소제로서의 용도, 트리메식산 유도체의 혼합물 및 신규 트리메식산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그의 가공성과 기계적 및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필름 성형, 쉬트 성형, 취입 성형, 사출성형 등의 선택재료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지는 다양한 유용 특성을 갖고 있지만, 그의 결정화 특징 및 광학 특성은 바람직하지 못해서 특히 포장산업에서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결정성, 투과도 및 투명성을 향상시키고 폴리프로필렌의 헤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핵생성제 및 투명화제를 부가하는 것에 의한 몇몇 시도가 행하여져왔다.
핵생성제 및 투명화제는 가공 주기시간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다양한 광학, 표면 및 기계적 특성과 같은 물리-화학적 특성을 향상시키고 성형 수축을 감소시키 기 위하여 결정화가능한 열가소성 중합체와 함께 공업적으로 흔히 사용되고 있다. 핵생성제 및 투명화제의 자세한 목록은 예컨대 US-A-3,367,926호, Plastics Additives Handbook (4th Ed. Hanser, Munich, 1990, p.863)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당해 분야에서 공지된 전형적인 핵생성제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카르복시산의 금속 염, 방향족 염, 방향족 인 화합물의 금속 염, 퀴나크리돈, 안료, 융점을 갖는 중합체, 덴드라이트 측쇄를 함유하는 고분지 중합체(덴드리머) 및 초크, 석고, 점토, 카올린, 운모, 활석 및 실리케이트와 같은 무기질 뿐만 아니라 이들의 조합물이다(US-A-5,278,216호, US-A-5,137,973호, US-A-4,749,736호, US-A-4,694,064호, US-A-4,338,228호, US-A-3,852,237호; U. Johnsen and K.-H. Moos, Angrew. Makromol. Chem, vol. 74, p.1 (1978); A. Wlochovicz and M. Eder, Angew. Makromol. Chem, vol. 171, p.79 (1989); H. N. Beck, J. Appl. Polym. Sci., vol. 11, p.673 (1967); F. L. Binsbergen, Polymer, vol. 11, p.253 (1970)). 또한, DE-A-1,951,632호는 고형의 결정성 방향족 카르복실릭 이미드-디프탈이미드 및 N-치환된 방향족 카르복실릭 이미드-디프탈이미드의 사용을 개시하고 있다.
보다 최근에 개발된 핵생성제 및 투명화제는 중합체 용융물에 용해되며(R. Scholtmann and R. Walker, Kunststoff, vol. 86, p. 1002 (1996)), 이들 첨가제의 분산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가장 대중적인 것은 폴리히드록시 알데히드, 폴리히드록시 케톤으로 정의된 탄수화물의 일반 화학식 패밀리에 속하는 D-소르비톨을 기본한 화합물, 또는 이들로 가수분해될 수 있는 화합물이다 (R. T. Morrion and Robert Neilson Boyd, Organic Chemistry, 2nd. Ed., (Allyn and Bacon, Inc., Boston), 1966, p. 983). 소르비톨을 기본으로하는 시판되는 핵생성제는 1,3-2,4-디(벤질리덴)-D-소르비톨 (Millad 3905 (RTM), Milliken Chemical Co. (RTM)); 1,3-2,4-(3,4-디메틸벤질리덴)-D-소르비톨 (Millad 3988 (RTM), Milliken Chemical Co. (RTM)); 1,3-2,4-디(4-톨릴리덴)-D-소르비톨(Millad 3940 (RTM), Milliken Chemical Co. (RTM)); 1,3-2,4-디(4-에틸벤질리덴)-D-소르비톨 (N-4,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 (RTM))을 비롯하여 다수개 존재한다. US-A-5,574,174호, US-A-5,198,484호 및 WO-A-95/13317호는 소르비톨 유도체의 제조와 용도를 개시하고 있다. US-A-4,294,747호는 벤즈알데히드의 다가 알코올 아세탈 및 그의 유도체를 개시하고 있다. US-A-5,216,051호는 트리아세탈 폴리올 화합물을 개시하고 있다. 페닐 포스페이트 화합물과 함께 디벤질리덴 소르비톨(US-A-4,016,118호)을 사용하는 것은 US-A-4,585,817호에 개시되어 있다. 광범위한 시판 이용에도 불구하고, 탄수화물-기제 화합물을 핵생성제 및 투명화제로 사용하는 것에는 많은 난제가 존재한다. 첫째, 소르비톨-기제 핵생성제의 제조와 정제가 성가시다. 예컨대 폴리올레핀 수지에서 소르비톨 투명화제를 사용하는 것과 관련된 잘 공지된 난제는 이들 수지로 부터 제작된 물품에 작은 기포가 형성되어 백점으로 나타내게되는 것이다(US-A-5,198,484호). 마지막으로, 다른 단점은 이들 물질에 고유한 불충분한 온도 안정성이다.
상술한 화합물은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결정성과 투과도 및 투명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데는 효과가 없거나, 가공하는 동안 불충분한 내열성을 나타내게되어 바람직하지 않고 첨가제의 분해 및/또는 승화를 유발하거나 중합체의 분해를 촉진시 킬 수 있다.
따라서, 핵생성제와 투명화제 향상에 대한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JP-A-평성 7/278,374호는 트리카르발리틱산형 아미드 화합물을 함유하고 높은 결정화 온도 및 향상된 투명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일부 트리메식산 유도체는 당해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이들의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대한 핵생성제로서의 용도는 예컨대 EP-A-940,431호에 제시되어 있다. 기본적으로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강성 향상에 관한 것이긴 하지만, JP-A-평성 06/192,496호에는 이들 화합물이 향상된 투명성을 제공할 수 있다고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완전히 상이한 특성이며 물론 투명도(transparency) 향상과 동의어인 투과도 또는 투명성(clarity)의 향상이나 헤이즈 감소에 관한 어떠한 언급을 하거나 제시한 바가 없다. 배경정보로서, 헤이즈는 혼탁도를 결정하고, 투명성은 수지의 필름 또는 플라크 뒤에 배치되는 물체의 상의 해상력이나 선명도를 결정하는 반면에, 투과도는 관찰자에 이르는 광의 양과 관련됨을 주의해야한다.
당분야에서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대한 핵생성제로서 공지된 수많은 트리메식산 유도체중에서 투과도를 향상시키는 것, 투명성을 향상시키는 것, 헤이즈를 감소시키는 것 및 이들 고도의 바람직한 특성 모두를 폴리프로필렌에 동시에 부여하는 화합물이 시사되어 있지 않다.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대한 핵생성제로서 공지된 수많은 트리메식산 유도체중에서 투과도를 향상시키는 것, 투명성을 향상시키는 것, 헤이즈를 감소시키는 것 및 이들 고도의 바람직한 특성 모두를 폴리프로필렌에 동시에 부여하는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 본원발명의 과제이다. 또한 화학식(I)의 화합물, 화학식(I)의 화합물의 2성분 혼합물 및 3성분 혼합물, 이러한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도 본원발명의 과제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I)의 화합물, 화학식(I)의 화합물의 2성분 혼합물 및 3성분 혼합물이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부가되면 수지의 투과도, 투명성을 향상시키고 또 헤이즈를 더욱 감소시킨다. 화학식(I)의 화합물은 또한 탁월한 열적 안정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또한 일부 신규한 화학식(I)의 화합물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특히 다음 성분
a)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동종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교대 또는 세그먼트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다른 합성 중합체의 블랜드, 및
b) 성분 a)의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5%의 하기 화학식(I)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헤이즈값은 62% 이하, 바람직하게는 40% 이하이고; 상기 헤이즈값은 1.1 - 1.2 mm 두께의 플레이트에서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112007089997227-PAT00004
식중에서,
R1, R2 및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C1-C20알킬,
C1-C20알킬아미노, 디(C1-C20알킬)아미노, C1-C20알킬옥시 또는 히드록시에 의해 치환된 C1-C20알킬;
{폴리(C2-C4알콕시)}-(C2-C4알킬),
C2-C20알케닐,
C3-C12시클로알킬,
1, 2 또는 3개의 C1-C20알킬에 의해 치환된 C3-C12시클로알킬;
시클로헥실메틸;
1, 2 또는 3개의 C1-C20알킬에 의해 치환된 시클로헥실메틸;
C3-C12시클로알케닐,
1, 2 또는 3개의 C1-C20알킬에 의해 치환된 C3-C12시클로알케닐;
페닐,
C1-C20알킬, C1-C20알킬옥시, 히드록시, 할로겐, 트리할로겐메틸, 트리할로겐메톡시, 벤조일, 페닐아미노, 아실아미노 및 페닐아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2 또는 3개 라디칼에 의해 치환된 페닐;
5개 할로겐에 의해 치환된 페닐,
C7-C9페닐알킬,
C1-C20알킬, C1-C20알콕시 및 히드록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2 또는 3개의 라디칼에 의해 페닐상에서 치환된 C7-C9페닐알킬;
나프틸,
C1-C20알킬에 의해 치환된 나프틸;
아다만틸,
C1-C20알킬에 의해 치환된 아다만틸; 또는
5 내지 6원 헤테로시클릭 기임. 상기 경우에서,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측정된 투명성은 예컨대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높은 투과성을 나타내는데, 이는 80% 또는 85%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8%, 85 내지 92% 또는 83 내지 95%의 투과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결정화 온도는 성분 b)를 갖지 않는 상응하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결정화 온도 보다 일반적으로 더 높다.
C1-C20알킬의 예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차부틸, 이소부틸, 삼차부틸, 2-에틸부틸, n-펜틸, 이소펜틸, 1-메틸펜틸, 1,3-디메틸부틸, n-헥실, 1-메틸헥실, n-헵틸, 이소헵틸, 1,1,3,3-테트라메틸부틸, 1-메틸헵틸, 3-메틸헵틸, n-옥틸, 2-에틸헥실, 1,1,3-트리메틸헥실, 1,1,3,3-테트라메틸펜틸, 노닐, 데실, 운데실, 1-메틸운데실, 도데실, 1,1,3,3,5,5-헥사메틸헥실, 트리데실, 테트라데실, 펜타데실, 헥사데실, 헵타데실, 옥타데실 및 아이코실이다.
바람직한 예는 이소프로필, n-부틸, 이차부틸, 삼차부틸, n-펜틸, 1,1-디메틸프로필, 1,2-디메틸프로필, 3-메틸부틸, n-헥실, n-헵틸, 이소헵틸, n-옥틸, 2-에틸헥실, 삼차-옥틸(1,1,3,3-테트라메틸부틸), 이소노닐, n-도데실, 트리데실 또는 탤로우 알킬 혼합물이다. 삼차부틸, 3-메틸부틸, 1,2-디메틸프로필 및 삼차옥틸이 특히 바람직하다.
C1-C20알킬아미노, 디(C1-C20알킬)아미노, C1-C20알킬옥시 또는 히드록시에 의해 치환된 C1-C20알킬의 예는 3-메틸아미노프로필, 2-디메틸아미노에틸, 2-디에틸아미노에틸, 3-디메틸아미노프로필, 3-디에틸아미노프로필, 2-메톡시에틸, 2-에톡시에틸, 2-메톡시프로필, 2-에톡시프로필, 3-이소프로폭시프로필 및 히드록시에틸이다.
{폴리(C2-C4알콕시)}-(C2-C4알킬)의 예는 {폴리프로필렌 옥시드}프로필이다.
C2-C20알케닐의 예는 알릴, 2-메탈릴, 부테닐, 펜테닐, 헥세닐 및 올레일이다. 위치 1에 있는 탄소원자는 포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예는 알릴 및 올레일이다.
C3-C12시클로알킬의 예는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시클로옥틸 및 시클로도데실이다. 바람직한 예는 시클로펜틸 및 시클로헥실이다.
1, 2 또는 3개의 C1-C20알킬에 의해 치환된 C3-C12시클로알킬의 바람직한 예는 2-메틸시클로헥실이다.
1, 2 또는 3개의 C1-C20알킬에 의해 치환된 시클로헥실메틸의 예는 메틸시클로헥실메틸이다.
C3-C12시클로알케닐의 예는 시클로헥세닐이다.
1, 2 또는 3개의 C1-C20알킬에 의해 치환된 C3-C12시클로알케닐의 예는 메틸시클로헥세닐이다.
C1-C20알킬, C1-C20알킬옥시, 히드록시, 할로겐, 트리할로겐메틸, 트리할로겐메톡시, 벤조일, 페닐아미노, 아실아미노 및 페닐아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2 또는 3개 라디칼에 의해 치환된 페닐의 예는 4-메틸페닐, 2-에틸페닐, 4-에틸페닐, 4-이소프로필페닐, 4-삼차부틸페닐, 4-이차부틸페닐, 4-이소부틸페닐, 도데 실페닐, 3,5-디메틸페닐, 3,4-디메틸페닐, 2,4-디메틸페닐, 2,6-디에틸페닐, 2-에틸-6-메틸페닐, 2,6-디이소프로필페닐, 4-메톡시페닐, 4-에톡시페닐, 4-히드록시페닐, 4-플루오로페닐, 3,5-디플루오로페닐, 2-클로로페닐, 3-클로로페닐, 3-클로로-6-메틸페닐, 3,5-디(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 2-벤조일페닐, 4-페닐아미노페닐, 4-아세트아미도페닐 및 4-(페닐아조)페닐이다.
할로겐은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르 또는 염소이다.
5개 할로겐에 의해 치환된 페닐의 예는 펜타플루오로페닐이다.
C7-C9페닐알킬의 예는 벤질 및 2-페닐에틸이다.
C1-C20알킬, C1-C20알콕시 및 히드록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2 또는 3개의 라디칼에 의해 페닐상에서 치환된 C7-C9페닐알킬의 예는 메틸벤질, 디메틸벤질, 트리메틸벤질, 삼차부틸벤질, 메톡시벤질 및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이다.
C1-C20알킬에 의해 치환된 나프틸의 예는 메틸나프틸이다.
C1-C20알킬에 의해 치환된 아다만틸의 예는 메틸아다만틸이다.
5 내지 6원 헤테로시클릭 기의 예는 2-피콜릴, (2-푸릴)메틸, (2-테트라히드로푸릴)메틸, 2-피리미딜, 6-메틸-2-피리딜, 1,2,4-트리아졸-3-일 및 2-(1-피페라지닐)에틸이다.
헤이즈는 ASTM D 1003에 따라서 측정한다. 헤이즈는 광이 시편(플레이트)을 통과할 때 입사 비임으로부터 평균 2.5°이상 벗어나는 광의 투과율로 정의한다. 투명성은 2.5°보다 작은 각도 범위에서 평가한다. 시편은 먼지, 그리스(grease), 마모 및 오점을 갖지 않는 실질적으로 평면을 가지며, 두드러진 내부 보이드(간극)이나 입자도 가지지 않을 것이다.
3 내지 62% 헤이즈를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측정된 투명성은 예컨대 50 내지 99.9%, 예컨대 60 내지 99.9%, 70 내지 99.9%, 80 내지 99.9%, 90 내지 99.9%, 95 내지 99.9% 또는 95 내지 99%이다.
3 내지 50% 헤이즈를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도 또한 중요하다. 이 경우,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측정된 투명성은 예컨대 80 내지 99.9%,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99.9% 또는 95 내지 99%이다.
3 내지 40% 헤이즈를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경우,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측정된 투명성은 예컨대 90 내지 99.9%,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99.9% 또는 95 내지 99%이다.
25 내지 40% 헤이즈를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도 또한 중요하다. 이 경우,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측정된 투명성은 예컨대 95 내지 99.9%, 예컨대 95 내지 99% 또는 97 내지 99% 이다.
헤이즈의 예는 3 내지 55%, 3 내지 50%, 3 내지 45%, 3 내지 40%, 3 내지 35%, 3 내지 30%, 5 내지 55%, 5 내지 50%, 5 내지 45%, 5 내지 40%, 5 내지 35%, 5 내지 30%, 7 내지 55%, 7 내지 50%, 7 내지 45%, 7 내지 40%, 7 내지 35%, 7 내 지 30%, 10 내지 55%, 10 내지 50%, 10 내지 45%, 10 내지 40%, 10 내지 35%, 10 내지 30%, 15 내지 55%, 15 내지 50%, 15 내지 45%, 15 내지 40%, 15 내지 35%, 15 내지 30%, 20 내지 55%, 20 내지 50%, 20 내지 45%, 20 내지 40%, 20 내지 35% 및 20 내지 30%이다. 이 경우,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측정된 투명성은 예컨대 95 내지 99.9% 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성분 a)는 폴리프로필렌 동종중합체이다.
폴리프로필렌 동종중합체는 장쇄 측쇄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한다.
폴리프로필렌은 상이한, 특히 이하에 기재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정상적으로는 주기율표의 Ⅳb,Ⅴb,VIb 또는 Ⅷ 금속족 1이상을 포함하는 촉매를 사용하는 촉매 중합반응. 이같은 금속은 일반적으로 1이상의 리간드, 예컨대 π- 또는 σ-배위될 수 있는 산화물, 할로겐화물, 알코올레이트, 에스테르, 에테르, 아민, 알킬, 알켄일 및/또는 아릴을 가진다. 이같은 금속 착물은 유리 형태이거나 기재, 전형적으로 활성 염화 마그네슘, 염화 티탄(Ⅲ), 알루미나 또는 산화 실리콘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이같은 촉매는 중합반응 매질에서 가용성 또는 불용성일 수 있다. 촉매는 중합반응에서 독립적으로 사용되거나 추가의 활성제, 전형적으로 금속 알킬, 금속 수소화물, 금속 알킬 할로겐화물, 금속 알킬 산화물 또는 금속 알킬옥산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금속은 주기율표 Ia,IIa 및/또는 IIIa족의 원소이다. 상기 활성제는 추가의 에스테르, 에테르, 아민 또는 실릴 에테르기를 사용하여 편리하게 개질될 수 있다. 상기 촉매 시스템을 일반적으로 Phillips, Standard Oil Indiana, Ziegler(-Natta), TNZ(DuPont), 메탈로센 또는 단자리 촉매(SSC)라고 칭한다.
성분 a)가 지글러-나타 동종폴리프로필렌이면,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헤이즈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 또는 10 내지 40%, 특히 15 내지 40%, 20 내지 40% 또는 25 내지 40%이다. 이 경우, 실시예에 따라 측정한 투명성은 예컨대 90 내지 99.9%, 특히 90 내지 99%, 95 내지 99.9% 또는 95 내지 99% 이다.
성분 a)가 지글러-나타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이면,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헤이즈는 4 내지 40%, 특히 4 내지 30%, 4 내지 20% 또는 4 내지 15%이다. 이 경우, 실시예에 따라 측정한 투명성은 예컨대 90 내지 99.9%, 특히 90 내지 99%, 95 내지 99.9% 또는 95 내지 99% 이다.
성분 a)가 메탈로센 동종 폴리프로필렌이면,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헤이즈는 5 내지 30%, 특히 5 내지 20%, 5 내지 15% 또는 5 내지 10%이다. 이 경우, 실시예에 따라 측정한 투명성은 예컨대 90 내지 99.9%, 특히 90 내지 99%, 95 내지 99.9% 또는 95 내지 99% 이다.
성분 a)가 메탈로센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이면,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헤이즈는 3 내지 25%, 특히 3 내지 20%, 3 내지 15%, 3 내지 10% 또는 3 내지 8%이다. 이 경우, 실시예에 따라 측정한 투명성은 예컨대 90 내지 99.9%, 특히 90 내지 99%, 95 내지 99.9% 또는 95 내지 99% 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성분 a)는 에틸렌, C4-C20 α-올 레핀, 비닐시클로헥산, 비닐시클로헥센, C4-C20알칸디엔, C5-C12시클로알칸디엔 및 노르보르넨 유도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를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교대 또는 세그먼트 공중합체 또는 블록 공중합체이다. 프로필렌 및 공단량체의 전체 양은 100% 이다.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는 또한 장쇄 측쇄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적합한 C4-C20α-올레핀의 예는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노넨, 1-데센, 1-운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옥타데센, 1-아이코센 및 4-메틸-1-펜텐이다.
적합한 C4-C20알칸디엔의 예는 헥사디엔 및 옥타디엔이다.
적합한 C5-C12시클로알칸디엔의 예는 시클로펜타디엔, 시클로헥사디엔 및 시클로옥타디엔이다.
적합한 노르보르넨 유도체의 예는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ENB), 디시클로펜타디엔(DCP) 및 메틸렌-도메틸렌-헥사히드로나프탈린(MEN)이다.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는 예컨대 50 내지 99.9중량%,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9.9중량%, 특히 90 내지 99.9중량%의 프로필렌을 함유한다.
공단량체가 1-노넨, 1-데센, 1-운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옥타데센 또는 1-아이코센과 같은 C9-C20 α-올레핀; C9-C20 알칸디엔, C9-C12 시클로알칸디엔 또는 노르보르넨 유도체, 예컨대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ENB) 또는 메틸렌-도메틸렌-헥사히드로나프탈린(MEN)인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90몰% 이상, 특히 90 내지 99.9몰% 또는 90 내지 99몰%의 프로필렌을 함유한다.
공단량체가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또는 4-메틸-1-펜텐과 같은 C4-C8α-올레핀; 비닐시클로헥산, 비닐시클로헥센, C4-C8 알칸디엔 또는 C5-C8 시클로알칸디엔인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80몰% 이상, 특히 80 내지 99.9몰% 또는 80 내지 99몰%의 프로필렌을 함유한다.
성분 a)의 다른 예는 프로필렌/이소부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타디엔 공중합체, 프로필렌/시클로올레핀 공중합체,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 디엔(헥사디엔, 디시클로펜타디엔 또는 에틸리덴-노르보르넨)의 삼중합체; 프로필렌/1-올레핀 공중합체(이때 1-올레핀은 그 자리에서 생성됨); 및 프로필렌/일산화탄소 공중합체이다.
성분 a)의 다른 예는 폴리프로필렌과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틸렌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예컨대 HDPE 또는 LDPE; 폴리부텐, 폴리이소부틸렌, 폴리-4-메틸펜텐 또는 교대 또는 랜덤 폴리알킬렌/일산화탄소 공중합체의 블랜드이다. 이들 블랜드는 바람직하게는 전체 블랜드의 중량에 대하여 50중량% 이상의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중의 하나에 따르면, 화학식(I)중의 라디칼 R1, R2 및 R3은 동일하다.
R1 및 R2는 동일하고 또 R3은 R1 및 R2와 상이한 폴리플로필렌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R1, R2 및 R3이 서로 독립적으로,
C1-C18알킬,
C1-C4알킬아미노, 디(C1-C4알킬)아미노 또는 C1-C4알킬옥시에 의해 치환된 C1-C10알킬;
{폴리(C2-C4알콕시)}-(C2-C4알킬),
C3-C18알케닐,
C5-C6시클로알킬,
1, 2 또는 3개의 C1-C4알킬에 의해 치환된 C5-C6시클로알킬;
시클로헥실메틸;
1, 2 또는 3개의 C1-C4알킬에 의해 치환된 시클로헥실메틸;
페닐,
C1-C4알킬, C1-C4알킬옥시, 히드록시, 할로겐, 벤조일, 페닐아미노, C1-C4알카노일아미노 및 페닐아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2 또는 3개 라디칼에 의해 치환된 페닐;
벤질,
C1-C4알킬, C1-C4알콕시 및 히드록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2 또는 3개 라디칼에 의해 페닐상에서 치환된 벤질;
페닐에틸,
C1-C4알킬, C1-C4알콕시 및 히드록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2 또는 3개 라디칼에 의해 페닐상에서 치환된 페닐에틸;
나프틸,
C1-C4알킬에 의해 치환된 나프틸;
아다만틸,
C1-C4알킬에 의해 치환된 아다만틸; 또는
5 내지 6원 헤테로시클릭 기인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이 특히 중요하다.
R1 및 R2가 서로 독립적으로,
C3-C8알킬,
C5-C6시클로알킬,
시클로헥실메틸,
1, 2 또는 3개의 C1-C4알킬에 의해 치환된 C5-C6시클로알킬; 또는
아다만틸인 폴리프로필렌 조성물도 또한 중요하다.
R1, R2 및 R3이 서로 독립적으로,
C3-C8알킬,
C5-C6시클로알킬,
시클로헥실메틸,
1, 2 또는 3개의 C1-C4알킬에 의해 치환된 C5-C6시클로알킬; 또는
아다만틸인 폴리프로필렌 조성물도 또한 중요하다.
R1, R2 및 R3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하며 또 이소프로필, 2-메틸프로필, 1-에틸프로필, 1,1-디메틸프로필, 1,2-디메틸프로필, n-부틸, 2-부틸, 삼차부틸, 3-메틸부틸, 1,1,3,3-테트라메틸부틸,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2-메틸시클로헥실, 4-메틸시클로헥실, 시클로헥실메틸, 3,3,5-트리메틸시클로헥실 또는 1-아다만틸이고; 특히 이소프로필, 2-메틸프로필, 1,1-디메틸프로필, 1,2-디메틸프로필, 2-부틸, 삼차부틸, 3-메틸부틸, 1,1,3,3-테트라메틸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2-메틸시클로헥실, 시클로헥실메틸 또는 1-아다만틸이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R1, R2 및 R3은 동일하며 또 이소프로필, 2-부틸, 삼차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2-메틸시클로헥실 또는 1-아다만틸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R1, R2 및 R3은 동일하며 또 1,2-디메틸프로필, 삼차부틸, 3-메틸부틸, 1,1,3,3-테트라메틸부틸, 시클로펜틸 또는 시클로헥실이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R1, R2 및 R3은 동일하며 또 1,2-디메틸프로필, 3-메틸부틸 또는 시클로펜틸이다.
성분 b)는 바람직하게는 성분 a)의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 예컨대 0.01 내지 2%, 0.05 내지 1%, 0.1 내지 1% 또는 0.15 내지 1%의 화학식(I)의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는 부가적 성분 c)로서 성분 a)의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5%,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의 통상의 핵생성제를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핵생성제의 예는 다음과 같다:
1) 방향족 소르비톨 아세탈, 예컨대
● 1,3: 2,4-비스(벤질리덴)소르비톨, Irgaclear D(RTM), Millad 3905 (RTM) 및 Gel All D (RTM)으로 시중에서 구입.
● 1,3: 2,4-비스(4-메틸벤질리덴)소르비톨, Irgaclear DM(RTM), Millad 3940 (RTM), NC-6 (Mitsui (RTM)) 및 Gel All MD (RTM)으로 시중에서 구입.
● 1,3: 2,4-비스(3,4-디메틸벤질리덴)소르비톨, Millad 3988 (RTM)으로 시중에서 구입.
● 1,3: 24,-비스(4-에틸벤질리덴)소르비톨, NC-4 (Mitsui (RTM))으로 시중에서 구입.
2) 인산의 염을 기본한 핵생성제, 예컨대
● 2,2'-메틸렌-비스-(4,6-디-삼차부틸페닐)포스페이트, Adeka Stab NA11 (RTM) 및 Adeka Stab NA21 (RTM)으로 시중에서 구입.
3) 카르복시산의 염, 예컨대 벤조산 나트륨을 기본으로 한 핵생성제.
4) 카르복시 알루미늄-수산화물, 예컨대 알루미늄 히드록시-비스[4-(삼차부틸)벤조에이트]를 기본으로 한 핵생성제, Sandostab 4030 (RTM)으로 시중에서 구입.
5) 송진/아디베트산의 염을 기본으로 한 핵생성제, 예컨대
● Pinecrystal KM-1300 (RTM).
● Pinecrystal KM-1600 (RTM).
6) 아연(II) 모노글리세롤레이트와 같은 기타 핵생성제, Prifer 3888 (RTM) 및 Prifer 3881 (RTM)으로 시중에서 구입.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헤이즈값이 62% 이하인 수지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지의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5%의 상기 정의한 화학식(I)의 화합물을 수지에 혼입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헤이즈값은 1.1 - 1.2 mm 두께의 플레이트에서 측정되며; 상기 수지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동종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교대 또는 세그먼트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다른 합성 중합체의 블랜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의 제공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동종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교대 또는 세그먼트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다른 합성 중합체의 블랜드에 대한 헤이즈 감소제로서 화학식(I)의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표준화된 헤이즈값(Hazenorm)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07089997227-PAT00005
Hazenorm의 예는 5 내지 95%, 10 내지 95%, 20 내지 95%, 30 내지 95%, 40 내지 95%, 50 내지 95%, 60 내지 95%, 70 내지 95%, 80 내지 95%, 5 내지 85%, 10 내지 85%, 20 내지 85%, 30 내지 85%, 40 내지 85%, 50 내지 85%, 60 내지 85%, 70 내지 85%, 80 내지 85%, 5 내지 80%, 10 내지 80%, 20 내지 80%, 30 내지 80%, 40 내지 80%, 50 내지 80%, 60 내지 80%, 70 내지 80%, 5 내지 75%, 10 내지 75%, 20 내지 75%, 30 내지 75%, 40 내지 75%, 50 내지 75%, 60 내지 75%, 70 내지 75%, 5 내지 70%, 10 내지 70%, 20 내지 70%, 30 내지 70%, 40 내지 70%, 50 내지 70%, 60 내지 70%, 5 내지 60%, 10 내지 60%, 20 내지 60%, 30 내지 60%, 40 내지 60%, 50 내지 60%, 5 내지 55%, 10 내지 55%, 20 내지 55%, 30 내지 55%, 40 내지 55%, 50 내지 55%, 5 내지 50%, 10 내지 50%, 20 내지 50%, 30 내지 50%, 40 내지 50%, 5 내지 45%, 10 내지 45%, 20 내지 45%, 30 내지 45%, 40 내지 45%, 5 내지 40%, 10 내지 40%, 20 내지 40%, 30 내지 40%, 5 내지 30%, 10 내지 30%, 20 내지 30%, 5 내지 20% 및 10 내지 20%이다.
Hazenorm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이다. 특히 40 내지 80%의 Hazenorm가 중요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성분
b-1) 상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I)의 화합물, 및
b-2) 상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I)의 다른 화합물을 함유하는 신규 혼합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성분 b-1) 및 b-2)는 서로 상이하며 성분 b-1) 대 b-2)의 중량비는 1:100 내지 100:1, 예컨대 1:90 내지 90:1, 1:80 내지 80:1, 1:70 내지 70:1, 1:60 내지 60:1, 1:50 내지 50:1, 1:40 내지 40:1, 1:30 내지 30:1, 1:20 내지 20:1, 1:10 내지 10:1, 1:5 내지 5:1, 1:4 내지 4:1, 1:3 내지 3:1, 1:2 내지 2:1 또는 1:1 이다.
상기 혼합물은 추가의 성분 c)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통상적인 핵생성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성분 c) 대 성분 b-1) 및 b-2)의 합의 중량비는 1:20 내지 20:1, 예컨대 1:10 내지 10:1, 1:5 내지 5:1, 1:4 내지 4:1, 1:3 내지 3:1, 1:2 내지 2:1 또는 1:1 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음 성분
b-1) 상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I)의 화합물,
b-2) 상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I)의 다른 화합물, 및
b-3) 상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I)의 추가 화합물을 함유하는 신규 혼합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성분 b-1), b-2) 및 b-3)은 서로 상이하며 또 성분 b-1) 대 b- 2)의 중량비는 1:100 내지 100:1, 예컨대 1:90 내지 90:1, 1:80 내지 80:1, 1:70 내지 70:1, 1:60 내지 60:1, 1:50 내지 50:1, 1:40 내지 40:1, 1:30 내지 30:1, 1:20 내지 20:1, 1:10 내지 10:1, 1:5 내지 5:1, 1:4 내지 4:1, 1:3 내지 3:1, 1:2 내지 2:1 또는 1:1 이고, 또 성분 b-3) 대 성분 b-1) 및 b-2)의 합의 중량비는 1:20 내지 20:1, 예컨대 1:10 내지 10:1, 1:5 내지 5:1, 1:4 내지 4:1, 1:3 내지 3:1, 1:2 내지 2:1 또는 1:1 이다.
후술한 혼합물은 추가의 성분 c)로서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통상의 핵생성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성분 c) 대 성분 b-1), b-2) 및 b-3)의 합의 중량비는 1:20 내지 20;1, 예컨대 1:10 내지 10:1, 1:5 내지 5:1, 1:4 내지 4:1, 1:3 내지 3:1, 1:2 내지 2:1 또는 1:1 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성분
b) 화학식(I)의 화합물, 및
c) 통상의 핵생성제를 함유하는 혼합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성분 b) 대 성분 c)의 중량비는 1:20 내지 20:1, 예컨대 1:10 내지 10:1, 1:5 내지 5:1, 1:4 내지 4:1, 1:3 내지 3:1, 1:2 내지 2:1 또는 1:1 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합성 중합체, 왁스, 오일 또는 합성 중합체의 블랜드 및 상술한 신규 혼합물중의 하나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합성 중합체, 왁스, 오일 또는 합성 중합체의 블랜드의 예는 다음과 같다.
1. 모노올레핀 및 디올핀의 중합체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트-1-엔, 폴리-4-메틸펜트-1-엔, 폴리이소프렌 또는 폴리부타디엔, 뿐만 아 니라 시클로올레핀(예컨대, 시클로펜텐 또는 노르보르넨)의 중합체, 폴리에틸렌(선택적으로 교차 결합될 수 있음), 예컨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고밀도 및 고분자량 폴리에틸렌(HDPE-HMW), 고밀도 및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HDPE-UHMW), 중간밀도 폴리에틸렌(M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VDLPE) 및 (ULDPE).
폴리올레핀 즉, 앞 단락에서 예시된 모노올레핀의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은 다양하게, 특히 하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a) 라디칼 중합 반응(정상적으로는 고압 및 고온하에서)
b) 정상적으로는 주기율표의 Ⅳb,Ⅴb,VIb 또는 Ⅷ 금속족 1이상을 포함하는 촉매를 사용하는 촉매 중합반응. 이같은 금속은 일반적으로 1이상의 리간드, 예컨대 π- 또는 σ-배위될 수 있는 산화물, 할로겐화물, 알코올레이트, 에스테르, 에테르, 아민, 알킬, 알켄일 및/또는 아릴을 가진다. 이같은 금속 착물은 유리 형태이거나 기재, 전형적으로 활성 염화 마그네슘, 염화 티탄(Ⅲ), 알루미나 또는 산화 실리콘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이같은 촉매는 중합반응 매질에서 가용성 또는 불용성일 수 있다. 촉매는 중합반응에서 독립적으로 사용되거나 추가의 활성제, 전형적으로 금속 알킬, 금속 수소화물, 금속 알킬 할로겐화물, 금속 알킬 산화물 또는 금속 알킬옥산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금속은 주기율표 Ia,IIa 및/또는 IIIa족의 원소이다. 활성제는 추가의 에스테르, 에테르, 아민 또는 실릴 에테르기를 사용하여 편리하게 개질될 수 있다. 상기 촉매 시스템을 일반적으로 Phillips, Standard Oil Indiana, Ziegler(-Natta), TNZ(DuPont), 메탈로센 또는 단자리 촉매(SSC)라고 칭한다.
2. 1)이하에서 언급된 중합체의 혼합물 예컨대,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이소부틸렌,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예컨대, PP/HDPE, PP/LDPE) 및 다양한 형태의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예컨대, LDPE/HDPE).
3. 모노올레핀 및 디올레핀 서로간 또는 다른 비닐 단위체와의 공중합체, 예컨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과 이들의 혼합물, 프로필렌/부트-1-엔 공중합체, 프로필렌/이소부틸렌 공중합체, 에틸렌/부트-1-엔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에틸렌/메틸펜텐 공중합체, 에틸렌/헵텐 공중합체,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시클로헥산 공중합체, 에틸렌/시클로올레핀 공중합체(예컨대 에틸렌/COC와 같은 노르보르넨), 에틸렌/1-올레핀 공중합체(이때 1-올레핀은 본래 자리에서 생성됨); 프로필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이소부틸렌/이소프렌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시클로헥센 공중합체, 에틸렌/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알킬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이들의 염(이오노머) 뿐만 아니라 에틸렌과 프로필렌 및 디엔(예컨대, 헥사디엔, 디시클로펜타디엔 또는 에틸리덴-노르보르넨)의 삼량체; 및 이같은 공중합체 간 그리고 이같은 공중합체와 상기 1)에서 언급한 중합체의 혼합물 예컨대, 폴리프로필렌/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LDPE/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LDPE/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EAA), LLDPE/EVA, LLDPE/EAA 및 교대의 또는 랜덤 폴리알킬렌/일산화탄소 공중합체 및 다른 중합체(예컨대, 폴리아미드)와 이들의 혼합물.
4. 폴리알킬렌과 전분의 혼합물 및 수소화 변형태(예컨대, 점착제)를 포함하는 탄화수소 수지(예컨대 C5-C9).
1) 내지 4)의 동종중합체 및 공중합체는 신디오탁틱, 이소탁틱, 헤미-이소탁틱 또는 아탁틱을 비롯한 입체구조를 가질 수 있다; 아탁틱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입체블록 중합체도 또한 포함된다.
5. 폴리스티렌, 폴리(p-메틸스티렌), 폴리(α-메틸스티렌).
6. 스티렌, α-메틸스티렌을 비롯한 비닐 방향족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방향족 동종중합체 및 공중합체; 비닐 톨루엔, 특히 p-비닐톨루엔의 모든 이성질체; 에틸 스티렌, 프로필 스티렌, 비닐 비페닐, 비닐 나프탈렌 및 비닐 안트라센의 모든 이성질체; 및 이들의 혼합물. 동종중합체 및 공중합체는 신디오탁틱, 이소탁틱, 헤미-이소탁틱 또는 아탁틱을 비롯한 입체구조를 가질 수 있다; 아탁틱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입체블록 중합체도 또한 포함될 수 있다.
6a.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니트릴, 산, 무수 말레산, 말레이미드, 아세트산비닐 및 염화비닐로부터 선택된 상술한 비닐 방향족 단량체 및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아크릴 유도체 및 이들의 혼합물, 예컨대 스티렌/부타디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에틸렌(인터폴리머), 스티렌/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부타디엔/알킬 아크릴레이트, 스티렌/부타디엔/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말레산 무수물,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메틸 아크릴레이트; 고충격 강도의 스티렌 공중합체 및 다른 중합체, 예컨대 폴리아크릴레이트, 디엔 중합체 또 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중합체의 혼합물; 및 스티렌의 블록 공중합체, 예컨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또는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6b. 6)하에서 언급된 중합체의 할로겐화로부터 유도된 할로겐화된 방향족 중합체, 특히 아탁틱 폴리스티렌을 수소화시켜 제조한 흔히 폴리비닐시클로헥산 (PVCH)로 불리는 폴리시클로헥실에틸렌(PCHE)을 포함.
6c. 6a)하에서 언급한 중합체의 수소화로부터 유도된 수소화된 방향족 중합체.
동종중합체 및 공중합체는 신디오탁틱, 이소탁틱, 헤미-이소탁틱 또는 아탁틱을 포함하는 입체구조를 가질 수 있다; 아탁틱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입체블록 중합체가 또한 포함될 수 있다.
7. 스티렌 또는 α-메틸스티렌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예컨대 폴리부타디엔 상의 스티렌, 폴리부타디엔-스티렌 또는 폴리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상의 스티렌; 폴리부타디엔상의 아크릴로니트릴(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스티렌; 폴리부타디엔상의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타디엔상의 스티렌 및 말레산 무수물; 폴리부타디엔상의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및 말레산 무수물 또는 말레이미드; 폴리부타디엔 상의 스티렌 및 말레이미드; 폴리부타디엔상의 스티렌 및 메타크릴산 또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합체상의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알킬 메타크릴레이트상의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레이트/부타디엔 공중합체 상의 스티 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뿐만 아니라 6)이하에 목록화된 공중합체와 이들의 혼합물, 예컨대 ABS, MBS, ASA 또는 AES 중합체로 공지된 공중합 혼합물.
8. 할로겐-함유 중합체 예컨대, 폴리클로로프렌, 염소화 고무, 이소부틸렌-이소프렌의 염소화 및 브롬화 공중합체(할로부틸 고무), 염소화 또는 황염소화 폴리에틸렌, 에틸렌 및 염소화 에틸렌의 공중합체, 에피클로로히드린 동종- 및 공중합체, 특히 할로겐-함유 비닐 화합물의 중합체 예컨대, 폴리비닐 클로리드, 폴리비닐리덴 클로리드, 폴리비닐 플루오리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리드, 뿐만 아니라 그들의 공중합체(예컨대, 비닐 클로리드/비닐리덴 클로리드, 비닐 클로리드/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비닐리덴 클로리드/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9. α,β-불포화산 및 이들의 유도체로 부터 유도된 중합체 예컨대,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부틸 아크릴레이트로 충격 변형됨).
10. 9)이하에서 언급된 단위체의 서로간의 또는 다른 불포화 단위체와의 공중합체 예컨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알콕시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로니트릴/비닐 할리드 공중합체 또는 아크릴로니트릴/알킬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 삼량체.
11. 불포화 알코올 및 아민 또는 아실 유도체 또는 이들의 아세탈로 부터 유도된 중합체 예컨대,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 스테아레이트, 폴리비닐 벤조에이트, 폴리비닐 말레에이트, 폴리비닐 부티랄, 폴리알릴 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알릴 멜라민; 뿐만 아니라 상기 1)에서 언급된 올레핀과 그들의 공중합체.
12. 폴리프로필렌 옥시드, 폴리에틸렌 옥시드, 폴리알킬렌 글리콜과 같은 환형 에테르의 동종중합체 및 공중합체 또는 이들과 비스글리시딜 에테르의 공중합체.
13. 폴리옥시메틸렌 및 공단위체로 에틸렌 옥시드를 포함하는 폴리옥시메틸렌과 같은 폴리아세탈;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또는 MBS로 개질된 폴리아세탈.
14. 폴리페닐렌 옥시드 및 술피드, 및 스티렌 중합체 또는 폴리아미드와 폴리페닐렌 옥시드의 혼합물.
15. 한편으로는 히드록시-말단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부타디엔 및 또 다른 한편으로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뿐만 아니라, 이들의 전구물질로부터 유도된 폴리우레탄.
16. 디아민 및 디카르복시산 및/또는 아미노카르복시산 또는 상응하는 락탐으로 부터 유도된 폴리아미드 및 코폴리아미드 예컨대, 폴리아미드 4,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6/10, 6/9, 6/12, 4/6, 12/12, 폴리아미드 11, 폴리아미드 12, m-크실렌 디아민 및 아디프산으로 부터 개시된 방향족 폴리아미드; 변형제로 탄성 중합체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헥사메틸렌디아민 및 이소프탈산 및/또는 테레프탈산으로 부터 제조된 폴리아미드 예컨대, 폴리-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또는 폴리-m-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 및 전술한 폴리아미드와 폴리올레핀, 올레핀 공중합체, 이오노머 또는 화학적으로 결합되거나 그라프티드 탄성중합 체의 블록 공중합체; 또는 전술한 폴리아미드와 폴리에테르(예컨대,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의 블록 공중합체; 뿐만 아니라 EPDM 또는 ABS로 개질된 폴리아미드 또는 코폴리아미드; 및 공정(RIM 폴리아미드 시스템)중에 축합된 폴리아미드.
17. 폴리우레아,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스테르이미드, 폴리히단토인 및 폴리벤즈이미다졸.
18. 디카르복시산 및 디올 및/또는 히드록시카르복시산 또는 이에 해당하는 락톤의 폴리에스테르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1,4-디메틸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알킬렌 나프탈레이트(PAN) 및 폴리히드록시벤조에이트 뿐만아니라, 히드록시-말단 폴리에테르로 부터 유도된 블록 코폴리에테르 에스테르; 또한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MBS로 개질된 폴리에스테르.
19.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
20. 폴리케톤.
21. 폴리술폰, 폴리에테르 술폰 및 폴리에테르 케톤.
22. 한편으로는 알데히드로부터 또 다른 한편으로는 페놀, 우레아 및 멜라민으로 부터 유도된 교차결합한 중합체 예컨대,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 우레아/포름알데히드 수지 및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23. 건조 및 비건조 알키드 수지.
24. 가교제로 다가 알코올 및 비닐 화합물 그리고 저가연성인 그들의 할로겐 -함유 변형제와 함께 포화 및 불포화 디카르복시산의 코폴리에스테르로 부터 유도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25. 치환 아크릴레이트, 예컨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로부터 유도된 교차결합성 아크릴 수지.
26. 멜라민 수지, 우레아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이소시아누레이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에폭시 수지로 교차결합된 알키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아크릴레이트 수지.
27. 지방족, 지환족, 이종 원자 고리 또는 방향족 글리시딜 화합물로 부터 유도된 교차결합한 에폭시 수지 예컨대, 가속제와 함께 또는 가속제 없이 무수물 또는 아민 등의 통상의 경화제와 교차결합한 비스페놀 A 및 비스페놀 F의 디글리시딜 에테르의 생성물.
28.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프로피오네이트 및 셀룰로오스 부티레이트, 또는 메틸 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 에테르; 뿐만 아니라 송진 및 이들의 유도체.
29. 전술한 중합체의 혼합물(복혼합물) 예컨대, PP/EPDM, 폴리아미드/EPDM 또는 ABS, PVC/EVA, PVC/ABS, PVC/MBS, PC/ABS, PBTP/ABS, PC/ASA, PC/PBT, PVC/CPE, PVC/아크릴레이트, POM/열가소성 PUR, PC/열가소성 PUR, POM/아크릴레이트, POM/MBS, PPO/HIPS, PPO/PA 6.6 및 공중합체, PA/HDPE, PA/PP, PA/PPO, PBT/PC/ABS 또는 PBT/PET/PC.
상기 목록 1 내지 3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표준 배합 방법, 예컨대 상술한 성분들을 통상의 믹서에서 혼합한 다음 그 혼합물을 단축 또는 이축 스크류 압출기 등을 이용하여 용융 혼련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본 발명의 유익한 효과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농도 범위로 추가의 물질을 부가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은 안정화제, 산화방지제, 항박테리아제, 자외선 흡수제, 열안정화제, 광안정화제, 중성화제, 대전방지제, 블로킹방지제, 중금속 탈활성화제, 난연제, 윤활제, 과산화물, 히드로탈사이트, 발포제, 탄성중합체, 가공보조제, 부가적 핵생성제 등 및 그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상적인 첨가제의 보다 상세한 예는 하기에 수록한 바와 같다. 1. 산화방지제
1.1. 알킬화 모노페놀, 예를들어 2,6-디-삼차부틸-4-메틸페놀, 2-삼차부틸-4,6-디메틸페놀, 2,6-디-삼차부틸-4-에틸페놀, 2,6-디-삼차부틸-4-n-부틸페놀, 2,6-디-삼차부틸-4-이소부틸페놀, 2,6-디-시클로펜틸-4-메틸페놀, 2-(α-메틸시클로헥실)-4,6-디메틸페놀, 2,6-디옥타데실-4-메틸페놀, 2,4,6-트리시클로헥실페놀, 2,6-디-삼차부틸-4-메톡시메틸페놀, 직쇄 또는 측쇄에서 분지된 노닐페놀 예컨대, 2,6-디-노닐-4-메틸페놀, 2,4-디메틸-6-(1'-메틸운데크-1'-일)페놀, 2,4-디메틸-6-(1'-메틸헵타데크-1'-일)페놀, 2,4-디메틸-6-(1'-메틸트리데크-1'-일)페놀 및 이들의 혼합물.
1.2. 알킬티오메틸페놀, 예를들어 2,4-디-옥틸티오메틸-6-삼차부틸페놀, 2,4-디-옥 틸티오메틸-6-메틸페놀, 2,4-디옥틸티오메틸-6-에틸페놀, 2,6-디-도데실티오메틸- 4-노닐페놀.
1.3. 히드로퀴논 및 알킬화 히드로퀴논, 예를들어 2,6-디-삼차부틸-4-메톡시페놀, 2,5-디-삼차부틸-히드로퀴논, 2,5-디-삼차아밀히드로퀴논, 2,6-디페닐-4-옥타데실옥시페놀, 2,6-디-삼차부틸-히드로퀴논, 2,5-디-삼차부틸-4-히드록시아니솔,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아니솔,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 스테아레이트, 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아디페이트.
1.4. 토코페롤, 예를들어 α-, β-, γ-, δ-토코페롤 및 이들의 혼합물(비타민 E).
1.5. 히드록시화 티오디페닐 에테르, 예를들어 2,2'-티오비스(6-삼차부틸-4-메틸페놀), 2,2'-티오비스(4-옥틸페놀), 4,4'-티오비스(6-삼차부틸-3-메틸페놀), 4,4'-티오비스(6-삼차부틸-2-메틸페놀), 4,4'-티오비스-(3,6-디-이차아밀페놀), 4,4'-비 스(2,6-디메틸-4-히드록시페닐)디술피드.
1.6. 알킬리덴비스페놀, 예를들어 2,2'-메틸렌비스(6-삼차부틸-4-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6-삼차부틸-4-에틸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α-메틸시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시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스(6-노닐-4-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4,6-디-삼차부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4,6-디-삼차부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6-삼차부틸-4-이소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 [6-(α-메틸벤질)-4-노닐페놀], 2,2'-메틸렌비스[6-(α,α-디메틸벤질)-4-노닐페놀], 4,4'-메틸렌비스(2,6-디-삼차부틸페놀), 4,4'-메틸렌비스(6-삼차부틸-2-메틸 페놀), 1,1-비스(5-삼차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부탄, 2,6-비스(3-삼차부틸-5-메틸-2-히드록시벤질)-4-메틸페놀, 1,1,3-트리스(5-삼차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부탄, 1,1-비스(5-삼차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3-n-도데실머캅토부탄, 에틸렌글리콜 비스[3,3-비스(3'-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부티레이트], 비스(3-삼차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디시클로펜타디엔, 비스[2-(3'-삼차부틸-2'-히드록시벤질)-6-삼차부틸-4-메틸페닐]테레프탈레이트, 1,1-비스(3,5-디메틸-2-히드록시페닐)부탄, 2,2-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5-삼차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4-n-도데실머캅토부탄, 1,1,5,5-테트라-(5-삼차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펜탄.
1.7. O-, N- 및 S-벤질 화합물, 예를들어 3,5,3',5-테트라-삼차부틸-4,4'-디히드록시디벤질 에테르, 옥타데실-4-히드록시-3,5-디메틸벤질머캅토아세테이트, 트리데 실-4-히드록시-3,5-디-삼차부틸벤질머캅토아세테이트, 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아민, 비스(4-삼차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디티오테레프탈레이트, 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술피드, 이소옥틸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머캅토아세테이트.
1.8. 히드록시벤질화 말로네이트, 예를들어 디옥타데실-2,2-비스(3,5-디-삼차부틸 -2-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디-옥타데실-2-(3-삼차부틸-4-히드록시-5-메틸벤질 )-말로네이트, 디(도데실머캅토에틸)-2,2-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2,2-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1.9. 방향족 히드록시벤질 화합물, 예를들어 1,3,5-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2,4,6-트리메틸벤젠, 1,4-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2,3,5 ,6-테트라메틸벤젠, 2,4,6-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페놀.
1.10. 트리아진 화합물, 예를들어 2,4-비스(옥틸머캅토)-6-(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아닐리노)-1,3,5-트리아진, 2-옥틸머캅토-4,6-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아닐리노)-1,3,5-트리아진, 2-옥틸머캅토-4,6-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녹시)-1,3,5-트리아진, 2,4,6-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녹시)-1, 2,3-트리아진, 1,3,5-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3,5-트리스(4-삼차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2,4,6-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에틸)-1,3,5-트리아진, 1,3,5-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헥사히드로-1,3,5-트리아진, 1,3,5-트리스(3, 5-디시클로헥실-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11. 벤질포스포네이트, 예를들어 디메틸-2,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에틸-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옥타데실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옥타데실-5-삼차부틸-4-히드록시-3-메틸벤질포스포네이트,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폰산의 모노에틸 에스테르의 칼슘염.
1.12. 아실아미노페놀, 예를들어 4-히드록시라우르아닐리드, 4-히드록시스테아르아닐리드, 옥틸 N-(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카르바메이트.
1.13. 1가 또는 다가 알코올,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n-옥탄올, i-옥탄올, 옥타데 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 β-(3,5-디- 삼차부틸 -4- 히드록시페닐 )-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1.14. 1가 또는 다가 알코올, 예를들어 메탄올, 에탄올, n-옥탄올, i-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 β-(5- 삼차부틸 -4-히드록시-3- 메틸페닐 )-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3,9-비스[2-{3-(3-삼차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닐옥시}-1,1-디메틸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1.15. 1가 또는 다가 알코올, 예를들어 메탄올, 에탄올, 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 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 β-(3,5- 디시클로헥실 -4- 히드록시페닐 )-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1.16. 1가 또는 다가 알코올, 예를들어 메탄올, 에탄올, 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 3,5-디- 삼차부틸 -4- 히드록시페닐 아세트산의 에스테르.
1.17. β-(3,5-디- 삼차부틸 -4- 히드록시페닐 )프로피온산의 아미드, 예를들어 N,N'-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헥사메틸렌디아미드, N,N'-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트리메틸렌디아미드, N,N'-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히드라지드, N,N'-비스[2-(3-[3,5 -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에틸]옥사미드 (NaugardRXL-1, 유니로얄 제조).
1.18. 아스코르브산 (비타민 C)
1.19. 아민 산화방지제, 예컨대 N,N'-디-이소프로필-p-페닐렌디아민, N,N'-디-이차부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4-디메틸펜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에틸-3-메틸펜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메틸헵틸)-p-페닐렌디아민, N,N'-디 시클로헥실-p-페닐렌디아민, N,N'-디페닐-p-페닐렌디아민, N,N'-비스(2-나프틸)-p-페닐렌디아민, N-이소프로필-N'-페닐-p-페닐렌디아민, N-(1,3-디메틸부틸)-N'-페닐 -p-페닐렌디아민, N-(1-메틸헵틸)-N'-페닐-p-페닐렌디아민, N-시클로헥실-N'-페닐 -p-페닐렌디아민, 4-(p-톨루엔술파모일)디페닐아민, N,N'-디메틸-N,N'-디-이차부틸 -p-페닐렌디아민, 디페닐아민, N-알릴디페닐아민, 4-이소프로폭시디페닐아민, N-페닐-1-나프틸아민, N-(4-삼차옥틸페닐)-1-나프틸아민, N-페닐-2-나프틸아민, 옥틸화 디페닐아민, 예컨대, p,p'-디-삼차옥틸디페닐아민, 4-n-부틸아미노페놀, 4-부티릴아미노페놀, 4-노난오일아미노페놀, 4-도데칸오일아미노페놀, 4-옥타데칸오일아미노페놀, 비스(4-메톡시페닐)아민, 2,6-디-삼차부틸-4-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2, 4'-디-아미노디페닐메탄,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N,N,N',N'-테트라메틸-4,4'-디 -아미노디페닐메탄, 1,2-비스[(2-메틸페닐)아미노]에탄, 1,2-비스(페닐아미노)프로판, (o-톨릴)비구아니드, 비스[4-(1',3'-디메틸부틸)페닐]아민, 삼차옥틸화 N-페닐-1-나프틸아민, 모노- 및 디알킬화 삼차부틸/삼차옥틸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알킬화 및 디알킬화 노닐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알킬화 및 디알킬화 노닐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알킬화 및 디알킬화 도데실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알킬화 및 디알킬화 이소프로필/이소헥실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알킬화 및 디알킬화 삼차부틸디페닐아민의 혼합물, 2,3-디-히드로-3,3-디메틸-4H-1,4-벤조티아진, 페노티아진, 모노 및 디알킬화 삼차부틸/삼차옥틸페노티아진의 혼합물, 모노알킬화 및 디알킬화 삼차옥틸-페노티아진의 혼합물, N-알릴페노티아진, N,N,N',N'-테트라페닐 -1,4-디아미노부트-2-엔, N,N-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헥사메틸렌디 아민, 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세바케이트,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온,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올.
2. UV 흡수제 및 광안정화제
2.1. 2-(2'- 히드록시페닐 ) 벤조트리아졸, 예를들어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삼차부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5'-삼차부틸 -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삼차부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이차부틸 -5'-삼차부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삼차아밀-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5'-비스-(α,α-디메틸벤질)-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5'-[2-(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에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메톡시카르보닐에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메톡시카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5'-[2-(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에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도데실-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이소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비스[4-(1, 1,3,3-테트라메틸부틸)-6-벤조트리아졸-2-일페놀]; 2-[3'-삼차부틸-5'-(2-메톡시카르보닐에틸)- 2'-히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과 폴리에틸렌글리콜 300의 에스테르 교환반응 생성물;
Figure 112007089997227-PAT00006
, 이때 R은 3'-삼차부틸-4'-히드록시-5'-2H-벤조트리아졸-2-일페닐, 2-[2'-히드록시-3'-(α,α-디메틸벤질)-5'-(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임; 2-[2'-히드록시-3'-(1,1, 3,3-테트라메틸부틸)-5'-(α,α-디메틸벤질)페닐]벤조트리아졸.
2.2. 2- 히드록시벤조페논, 예를들어 4-히드록시, 4-메톡시, 4-옥틸옥시, 4-데실옥시, 4-도데실옥시, 4-벤질옥시, 4,2',4'-트리히드록시 및 2'-히드록시-4,4'-디메톡시 유도체.
2.3. 비치환 또는 치환된 벤조산의 에스테르, 예를들어 4-삼차부틸-페닐 살리실레이트, 페닐 살리실레이트, 옥틸페닐 살리실레이트, 디벤조일 레조르시놀, 비스(4-삼차부틸-벤조일)레조르시놀, 벤조일 레조르시놀, 2,4-디-삼차부틸페닐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헥사데실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옥타데실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2-메틸-4,6-디-삼차부틸페닐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2.4. 아크릴레이트, 예를들어 에틸 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메틸 α-카르보메톡시신나메이트, 메틸 α-시아노-β-메틸-p-메톡시-신나메이트, 부틸 α-시아노-β-메틸-p-메톡시-신나메이트, 메틸 α-카르보메톡시-p-메톡시-신나메이트 및 N-(β-카르보메톡시-β-시아노비닐)-2-메틸인돌린.
2.5. 니켈 화합물, 예를들어 적절한 경우 부가적인 리간드(예 : n-부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N-시클로헥실디에탄올아민)가 있는 2,2'-티오-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의 니켈 착물(예컨대 1:1 또는 1:2 착물), 니켈 디부틸 디티오카르바메이트, 4-히드록시-3,5-디-삼차부틸 벤질 포스폰산 모노알킬 에스테르(예 : 메틸 에스테르 또는 에틸 에스테르)의 니켈 염, 케톡심(예 : 2-히드록시-4-메틸페닐 운데실케톡심)의 니켈 착물, 적절한 경우 부가적인 리간드가 있는 1-페닐-4-라우로일-5-히드록시 피라졸의 니켈 착물.
2.6. 입체 장애 아민, 예를들어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숙시네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 n-부틸-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1-(2-히드록시에틸)-2,2,6,6-테트라메틸-4-히드록시피페리딘과 숙신산의 축합생성물,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과 4-삼차옥틸아미노-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선형 또는 고리상 축합생성물, 트리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니트릴로트리아세테이트, 테트라키스(2,2, 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1,1'-(1,2-에탄디일)비스(3,3,5,5-테트라메틸피페라지논), 4-벤조일-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스테아릴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비스(1,2,2,6,6-펜타메틸피페리딜)-2-n-부틸-2-(2-히드록시-3,5-디-삼차부틸벤질)말로네이트, 3-n-옥틸-7,7,9,9-테트라메틸-1,3,8-트리아자스피로[4.5]데칸-2,4-디온, 비스(1-옥틸옥시 -2,2,6,6-테트라메 틸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숙시네이트,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과 4-모르폴리노 -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선형 또는 고리상 축합생성물, 2-클로로-4,6-비스 (4-n-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과 1,2 -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의 축합생성물, 2-클로로-4,6-디-(4-n-부틸아미노 -1,2,2,6,6-펜타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의 축합생성물, 8-아세틸-3-도데실-7,7,9,9-테트라메틸-1,3,8-트리아자스피로 [4.5]데칸-2,4-디온, 3-도데실-1-(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피롤리딘-2,5-디온, 3-도데실-1-(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피롤리딘-2,5-디온, 4-헥사데실옥시- 및 4-스테아릴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의 혼합물, N,N'-비스-(2,2, 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티렌디아민 및 4-시클로헥실아민-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축합생성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 및 2,4,6-트리클로로-1,3,5-트리아진 뿐만 아니라 4-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의 축합생성물(CAS Reg.No.[136504-96-6]); 1,6-헥산디아민 및 2,4,6-트리클로로-1,3,5-트리아진 뿐만 아니라 N,N-디부틸아민 및 4-부탈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의 축합생성물(CAS Reg. No. [192268-64-7]); 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n-도데실숙신이미드, N-(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n-도데실숙신이미드, 2-운데실-7,7,9,9-테트라메틸-1-옥사-3,8-디아자-4-옥소-스피로[4,5]데칸, 7,7,9,9-테트라메틸-2-시클로운데실-1-옥사-3,8-디아자-4-옥소스피로[4,5]데칸 및 에피클로로히드린의 반응생성물, 1,1-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옥시카르보닐)-2-(4- 메톡시페닐)에텐, N,N'-비스포르밀-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 4-메톡시메틸렌말론산과 1,2,2,6,6-펜타메틸-4-히드록시피페리딘의 디에스테르, 폴리-[메틸프로필-3-옥시-4-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실옥산, 말레산 무수물-α-올레핀 공중합체와 2,2,6,6-테트라메틸-4-아미노피페리딘 또는 1,2,2,6,6-펜타메틸-4-아미노피페리딘의 반응생성물.
2.7. 옥사미드, 예를들어 4,4'-디옥틸옥시옥사아닐리드, 2,2'-디에톡시옥사아닐리드, 2,2'-디옥틸옥시-5,5'-디-삼차부톡사아닐리드, 2,2'-디도데실옥시-5,5'-디-삼차부톡사아닐리드, 2-에톡시-2'-에톡사아닐리드, N,N'-비스(3-디메틸아미노프로필)옥사아미드, 2-에톡시-5-삼차부틸-2'-에톡사아닐리드 및 그와 2-에톡시-2'-에틸- 5,4'-디-삼차부톡사닐리드와의 혼합물, o- 및 p-메톡시-이중 치환된 옥사아닐리드의 혼합물 및 o- 및 p-에톡시-이중치환된 옥사아닐리드의 혼합물.
2.8. 2-(2- 히드록시페닐 )-1,3,5- 트리아진, 예를들어 2,4,6-트리스(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4-디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4-비스(2-히드록시-4-프로필옥시페닐)-6-(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4,6-비스(4-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도데실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 -히드록시-4-트리데실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2-히드록시-3-부틸옥시-프로폭시)페닐]-4,6-비스(2,4-디메틸)-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2-히드록시-3-옥틸옥시-프로필옥시)페닐]-4,6-비스(2,4- 디메틸)-1,3,5-트리아진, 2-[4-(도데실옥시/트리데실옥시-2-히드록시프로폭시)-2-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2-히드록시-3-도데실옥시-프로폭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헥실옥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메톡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히드록시-4-(3-부톡시-2-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페닐)-4-(4-메톡시페닐)-6-페닐- 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3-(2-에틸헥실-1-옥시)-2-히드록시프로필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3. 금속 탈활성화제, 예를들어 N,N'-디페닐옥사아미드, N-살리실알-N'-살리실로일히드라진, N,N'-비스(살리실로일)히드라진, N,N'-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히드라진, 3-살리실로일아미노-1,2,4-트리아졸, 비스(벤질리덴)옥살릴 디히드라지드, 옥사닐리드, 이소프탈로일 디히드라지드, 세바코일 비스페닐히드라지드, N,N'-디아세틸아디포일 디히드라지드, N,N'-비스(살리실로일)옥살릴 디히드라지드, N,N'-비스(살리실로일)티오프로피오닐 디히드라지드.
4. 포스파이트 포스포나이트, 예를들어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디페닐 알킬 포스파이트, 페닐 디알킬 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라우릴 포스파이트, 트리옥타데실 포스파이트, 디스테아릴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트리스 (2,4-디-삼차부틸페닐)포스파이트, 디이소데실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 (2,4-디-삼차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6-디-삼차부틸-4-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디이소데실옥시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삼차부틸-6-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6-트리스-삼차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트리스테아릴 소르비톨 트리포스파이트, 테트라키스(2,4-디-삼차부틸페닐)4,4'-비페닐렌 디포스포나이트, 6-이소옥틸옥시-2,4,8,10-테트라-삼차부틸-12H-디벤즈[d,g]-1,3,2-디옥사포스포신, 비스(2,4- 디-삼차부틸-6-메틸페닐)메틸 포스파이트, 비스(2,4-디-삼차부틸-6-메틸페닐)에틸 포스파이트, 6-플루오로-2,4,8,10-테트라-삼차부틸-12-메틸-디벤즈[d,g]-1,3,2-디옥사포스포신, 2,2',2"-니트릴로[트리에틸트리스(3,3',5,5'-테트라-삼차-부틸-1, 1'-비페닐-2,2'-디일)포스파이트], 2-에틸헥실(3,3',5,5'-테트라-삼차-부틸-1,1'-비페닐-2,2'-디일)포스파이트, 5-부틸-5-에틸-2-(2,4,6-트리-삼차부틸페녹시)-1,3,2-디옥사포스피란.
하기 포스파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트리스(2,4-디-삼차부틸페닐)포스파이트 (IrgafosR 168, 시바-가이기 제조),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Figure 112007089997227-PAT00007
Figure 112007089997227-PAT00008
5. 히드록실아민, 예를들어 N,N-디벤질히드록실아민, N,N-디에틸히드록실아민, N,N-디옥틸히드록실아민, N,N-디라우릴히드록실아민, N,N-디테트라데실히드록실아민, N,N-디헥사데실히드록실아민, N,N-디옥타데실히드록실아민, N-헥사데실-N-옥타 데실히드록실아민, N-헵타데실-N-옥타데실히드록실아민, 수소화 수지아민으로 부터 유도된 N,N-디알킬히드록실아민.
6. 니트론, 예를들어 N-벤질-알파-페닐-니트론, N-에틸-알파-메틸-니트론, N-옥틸-알파-헵틸-니트론, N-라우릴-알파-운데실-니트론, N-테트라데실-알파-트리데실-니트론, N-헥사데실-알파-펜타데실-니트론, N-옥타데실-알파-헵타데실-니트론, N-헥사데실-알파-헵타데실-니트론, N-옥타데실-알파-페타데실-니트론, N-헵타데실-알파 -헵타데실-니트론, N-옥타데실-알파-헥사데실-니트론, 수소화 수지아민으로부터 유도된 N,N'-디알킬히드록실아민으로부터 유도된 니트론.
7. 티오상승제, 예를들어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또는 디스테아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8. 퍼옥사이드 분해제, 예를들어 β-티오디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예컨대 라우릴, 스테아릴, 미리스틸 또는 트리데실 에스테르, 머캅토벤즈이미다졸 또는 2-머캅토벤즈이미다졸의 아연염, 아연 디부틸디티오카르바메이트, 디옥타데실 디술피드,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β-도데실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9. 폴리아미드 안정화제, 예를들어 요오드화물 및/또는 인 화합물과 조합된 구리염 또는 이가 망간의 염.
10. 염기성 공안정화제, 예를들어 멜라민, 폴리비닐피롤리돈, 디시안디아미드, 트리알릴 시아누레이트, 우레아 유도체, 히드라진 유도체, 아민,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고급 지방산의 알칼리금속 및 알칼리토금속 염, 예컨대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르산 아연, 베헨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리시놀레산 나트륨, 팔미 트산 칼륨, 피로카테콜산 안티몬 또는 피로카테콜산 아연.
11. 통상의 핵생성제, 예를들어 무기물질(예;활석), 금속 산화물(예; 이산화 티탄 또는 산화마그네슘),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토금속의 인산염, 카보네이트 또는 황산염; 유기 화합물(모노- 또는 폴리카르복시산) 및 이들의 염, 예컨대 4-삼차부틸벤조산, 아디프산, 디페닐아세트산, 숙신산 나트륨 또는 벤조산 나트륨; 중합성 화합물, 예컨대 이온성 공중합체("이오노머"). 1,3: 2,4-비스(3',4'-디메틸벤질리덴)소르비톨, 1,3: 2,4-디(파라메틸디벤질리덴)소르비톨 및 1,3: 2,4-디(벤질리덴)소르비톨이 특히 바람직하다.
12. 다른 첨가제, 예를들어 가소제, 윤활제, 유화제, 안료, 유동 변형제, 촉매, 유동조절제, 형광증백제, 방염제, 대전방지제 및 블로잉제.
13. 벤조푸라논 인돌리논 , 예를들어 US -A-4 325 863호, US -A-4 338 244호, US - A-5 175 312호, US-A-5 216 052호, US-A-5 252 643호, DE-A-4 316 611호, DE-A-4 316 622호, DE-A-4 316 876호, EP-A-0 589 839호 또는 EP-A-0 591 102호에 개시된 것 또는 3-[4-(2-아세톡시에톡시)페닐]-5,7-디-삼차부틸-벤조푸란-2-온, 5,7-디-삼차부틸-3-[4-(2-스테아로일옥시에톡시)페닐]벤조푸란-2-온, 3,3'-비스[5,7-디-삼차부틸-3-(4-[2-히드록시에톡시]-페닐)벤조푸란-2-온], 5,7-디-삼차부틸-3-(4-에톡시페닐)벤조푸란-2-온, 3-(4-아세톡시-3,5-디메틸페닐)-5,7-디-삼차부틸-벤조푸란-2-온, 3-(3,5-디메틸-4-피발로일옥시페닐)-5,7-디-삼차부틸-벤조푸란-2-온, 3-(3,4-디메틸페닐)-5,7-디-삼차부틸벤조푸란-2-온, 3-(2,3-디메틸페닐)-5,7-디-삼차부틸벤조푸란-2-온.
상술한 성분 b) 대 통상의 첨가제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1:100 내지 100:1, 예컨대 1:90 내지 90:1, 1:80 내지 80:1, 1:70 내지 70:1, 1:60 내지 60:1, 1:50 내지 50:1, 1:40 내지 40:1, 1:30 내지 30;1, 1:20 내지 20:1, 1:10 내지 10:1, 1:5 내지 5:1, 1:4 내지 4:1, 1:3 내지 3:1, 1:2 내지 2:1 또는 1:1 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필름, 쉬트, 병, 바늘, 통상의 가정용품, 자동차 부품, 용기, 전기기구의 부품, 섬유, 부직포 등에 사용하는 수지 재료로서 유리하게 사용되며 사출성형, 압출성형, 블로잉성형 등과 같은 목적하는 제품에 적합한 방법에 의해 유리하게 성형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하기에 수록되어 있다.
화학식(I)의 일부 화합물은 신규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하기 화학식(IA)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A
Figure 112007089997227-PAT00009
식중에서,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C1-C20알킬,
C1-C20알킬아미노, 디(C1-C20알킬)아미노, C1-C20알킬옥시 또는 히드록시에 의해 치환된 C1-C20알킬;
{폴리(C2-C4알콕시)}-(C2-C4알킬),
C2-C20알케닐,
C3-C12시클로알킬,
1, 2 또는 3개의 C1-C20알킬에 의해 치환된 C3-C12시클로알킬;
시클로헥실메틸;
1, 2 또는 3개의 C1-C20알킬에 의해 치환된 시클로헥실메틸;
C3-C12시클로알케닐,
1, 2 또는 3개의 C1-C20알킬에 의해 치환된 C3-C12시클로알케닐;
페닐,
C1-C20알킬, C1-C20알킬옥시, 히드록시, 할로겐, 트리할로겐메틸, 트리할로겐메톡시, 벤조일, 페닐아미노, 아실아미노 및 페닐아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2 또는 3개 라디칼에 의해 치환된 페닐;
5개 할로겐에 의해 치환된 페닐,
C7-C9페닐알킬,
C1-C20알킬, C1-C20알콕시 및 히드록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2 또는 3개의 라디칼에 의해 페닐상에서 치환된 C7-C9페닐알킬;
나프틸,
C1-C20알킬에 의해 치환된 나프틸;
아다만틸,
C1-C20알킬에 의해 치환된 아다만틸; 또는
5 내지 6원 헤테로시클릭 기이고; 또
R3은 2-에틸헥실, 3-메틸-1-부틸, 3-(디메틸아미노)프로필, 3-(디에틸아미노)프로필, 3-(메틸아미노)프로필, 2-(에톡시)에틸, 3-(메톡시)프로필, 3-(에톡시)프로필, 2-피콜릴, 푸르푸릴,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2-피리미디닐, 4-(페닐아미노)페닐, 4-이소프로필페닐, 2-에틸페닐, 2,4-디에틸페닐, 2-에틸-6-메틸페닐, 2,6-디이소프로필페닐, 4-메톡시페닐, 4-에톡시페닐, 1,2,4-트리아졸-3-일 또는 4-(페닐아조)페닐임.
R1, R2 및 R3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하기 화학식(IB)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B
Figure 112007089997227-PAT00010
식중에서,
R1, R2 및 R3은 동일하고 또 3-메틸페닐, 2,3-디메틸페닐, 2,4-디메틸페닐, 3,4-디메틸페닐, 2,4,6-트리메틸페닐, 2-에틸페닐, 4-n-부틸페닐, 4-메톡시페닐, 4-에톡시페닐, 4-(n-데실옥시)페닐,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헵틸, 1-아다만틸, 3-메틸시클로헥실, 2,3-디메틸시클로헥실, 3,3,5-트리메틸시클로헥실, S(+)-1-시클로헥실에틸, R(+)-1-시클로헥실에틸, 이소프로필, 1,1-디메틸프로필, 1,2-디메틸프로필, 2-부틸, 3-메틸부틸, 1,1,3,3-테트라메틸부틸, 3,5-디플루오로페닐, 펜타플루오로페닐 또는 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이고; 바람직하게는 1,2-디메틸프로필, 3-메틸부틸 또는 1,1,3,3-테트라메틸부틸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는 합성 중합체, 왁스, 오일 또는 합성 중합체와의 블랜드 및 상술한 신규 화합물중의 하나를 함유하는 조성물이다.
화학식(I)의 화합물은 공지 방법과 유사하게, 예컨대 적합한 아민을, Houben-Weyl, Methoden der Organischen Chemie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스투트가르트 소재의 조지 티메 출판에 기재된 표준 방법에 따라 공지 반응 조건하 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클로리드와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들 반응을 실시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자세하게 기재하지 않은 공지된 변형을 이용할 수 있다. 출발물질은 그 자리에 형성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반응 혼합물을 분리하지 않고 즉시 이들을 더 반응시켜 화학식(I)의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A 내지 C는 대표적인 제조방법을 기재한다.
적합한 아민의 예는 다음과 같다:
이소프로필아민,
n-부틸아민,
이차부틸아민,
삼차부틸아민,
n-펜틸아민,
1,1-디메틸프로필아민,
1,2-디메틸프로필아민,
3-메틸부틸아민,
n-헥실아민,
n-헵틸아민,
n-옥틸아민,
2-에틸헥실아민,
삼차옥틸아민(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민),
이소노닐아민,
n-도데실아민,
트리데실아민,
탤로우아민,
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민,
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민,
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
3-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민,
3-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
제파민(폴리프로필렌 옥시드),
2-메톡시에틸아민,
2-에톡시에틸아민,
2-메톡시프로필아민,
2-에톡시프로필아민,
3-이소프로필아민,
3-이소프로폭시프로필아민,
알릴아민,
올레일아민,
시클로펜틸아민,
시클로헥실아민,
2-메틸시클로헥실아민,
시클로헥실메틸아민,
4-메틸페닐아민 (=4-메틸아닐린),
2-에틸페닐아민 (=2-에틸아닐린),
4-에틸페닐아민 (=4-에틸아닐린),
4-이소프로필페닐아민 (=4-이소프로필아닐린),
4-삼차부틸페닐아민 (=4-삼차부틸아닐린),
4-이차부틸페닐아민 (=4-이차부틸아닐린),
4-이소부틸페닐아민 (=4-이소부틸아닐린),
도데실페닐아민 (=도데실아닐린),
3,5-디메틸페닐아민 (=3,5-디메틸아닐린),
3,4-디메틸페닐아민 (=3,4-디메틸아닐린),
2,4-디메틸페닐아민 (=2,4-디메틸아닐린),
2,6-디에틸페닐아민 (=2,6-디에틸아닐린),
2-에틸-6-메틸페닐아민 (=2-에틸-6-메틸아닐린),
2,6-디이소프로필페닐아민 (=2,6-디이소프로필아닐린),
4-메톡시페닐아민 (=4-메톡시아닐린),
4-에톡시페닐아민 (=4-에톡시아닐린),
4-히드록시페닐아민 (=4-히드록시아닐린),
4-아세트아미도페닐아민 (=4-아세트아미도아닐린),
3-클로로페닐아민 (=3-클로로아닐린),
2-클로로페닐아민 (=2-클로로아닐린),
3-클로로-6-메틸페닐아민,
2-벤조페닐아민 (=2-벤조일아닐린),
4-페닐아미노페닐아민,
4-(페닐아조)페닐아민 (=4-아미노아조벤젠),
벤질아민,
2-페닐에틸아민,
1-나프틸아민,
아다만틸아민,
2-피콜릴아민,
(2-푸릴)메틸아민,
(2-테트라히드로푸릴)메틸아민,
2-피리미딜아민,
6-메틸-2-피리딜아민,
1,2,4-트리아졸-3-일아민, 및
2-(1-피페라지닐)에틸아민.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지금까지와 이후에서, 모든 부 및 %는 중량기준이며 모든 온도는 ℃이다. "통상의 정제작업"이라는 것은 물에 부가, 석출물의 여과, 유기 용매를 사용한 추출 및/또는 그 생성물의 결정화 및/또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를 의미한다.
실시예 A: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의 제조
Figure 112007089997227-PAT00011
3.74 g(33 밀리몰)의 2-메틸시클로헥실아민 및 0.1 g의 건조 LiCl을 불활성 분위기하에서 70 ml의 건조 N-메틸피롤리돈(NMP) 및 15 ml의 건조 피리딘에 부가하고 5℃로 냉각시켰다. 이어, 2.39 g(9 밀리몰)의 1,3,5-벤젠트리카복시산 트리클로리드를 부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75℃로 가열하고 교반하였다. 2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300 ml의 얼음 물에 부가하였다. 석출물을 여과하였다. 통상의 정제작업(재결정화)를 실시하여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2-메틸시클로헥실아미드)를 얻었다.
수율: 2.68 g(5.41 밀리몰): 60.1%
융점: 414℃ (동시 증발하)
Figure 112007089997227-PAT00012
실시예 B: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의 제조
Figure 112007089997227-PAT00013
0.93 g(10밀리몰)의 아닐린 및 0.1 g의 건조 LiCl을 불활성 분위기하에서 50 ml의 건조 NMP 및 5 ml의 건조 피리딘에 부가하고 5℃로 냉각하였다. 0.80 g(밀리몰)의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클로리드를 부가하였다. 이어, 반응 혼합물을 75℃로 가열하여 교반하였다. 2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100 ml의 얼음 물에 부가하였다. 석출물을 여과하였다. 통상의 정제작업(속슬렛 추출)으로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페닐아미드)를 얻었다.
수율: 0.80 g(1.8 밀리몰): 61.2%
융점: 312℃
Figure 112007089997227-PAT00014
실시예 C: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의 제조:
Figure 112007089997227-PAT00015
0.99g (10 밀리몰)의 시클로헥실아민 및 0.1 g의 건조 LiCl을 불활성 분위기하에서 30 ml의 건조 NMP 및 5 ml의 건조 피리딘에 부가하고 5℃로 냉각하였다. 0.80 g(3 밀리몰)의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클로리드를 부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75℃로 가열하여 교반하였다. 2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100 ml의 얼음 물에 부가하였다. 석출물을 여과하였다. 통상의 정제작업(재결정화)으로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시클로헥실아미드)를 얻었다.
수율: 0.85 g(1.9 밀리몰): 62.5%
융점: 371℃ (동시 증발하)
Figure 112007089997227-PAT00016
융점으로 특징지워진 하기 화합물을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융점은 10 K/분의 가열속도에서 TGA/DSC-기구를 조합하여 측정하였다.
화합물 I-1: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3-메틸부틸아미드); 융점 = 263℃**)
화합물 I-2: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시클로펜틸아미드); 융점 = 388℃**)
화합물 I-3: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1,2-디메틸프로필아미드); *)
화합물 I-4: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시클로헥실아미드); 융점 = 376℃**)
화합물 I-5: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삼차옥틸아미드); 융점 = 315℃**)
화합물 I-6: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1,1-디메틸프로필아미드); *)
화합물 I-7: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삼차부틸아미드); *)
화합물 I-8: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시클로헥실메틸아미드); 융점 = 313℃
화합물 I-9: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이소부틸아미드); 융점 = 292℃**)
화합물 I-10: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2-메틸시클로헥실아미드); 융점 = 414℃**)
화합물 I-11: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1,1-디메틸프로필아미드); *)
화합물 I-12: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이소프로필아미드); *)
화합물 I-13: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2-부틸아미드); *)
화합물 I-14: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1-아다만틸아미드); *)
화합물 I-15: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1-에틸프로필아미드); 융점 = 378℃**)
화합물 I-16: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3,3,5-트리메틸시클로헥실아미드); *)
화합물 I-17: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4-메틸시클로헥실아미드); *)
화합물 I-18: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시클로부틸아미드); 융점 = 329℃**)
화합물 I-19: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n-부틸아미드); 융점 = 239℃
화합물 I-20: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4-삼차부틸페닐아미드); 융점 = 334℃
화합물 I-21: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아미드); 융점 = 253℃
화합물 I-22: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펜타플루오로페닐아미드); *)
화합물 I-23: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2-에틸페닐아미드); 융점 = 309℃
화합물 I-24: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2,4-디메틸페닐아미드); 융점 = 298℃
화합물 I-25: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미드); 융점 = 331℃
화합물 I-26: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4-n-부틸페닐아미드); 융점 = 232℃
화합물 I-27: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시클로헵틸아미드); 융점 = 394℃**)
화합물 I-28: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R(-)-1-시클로헥실에틸아미드); 융점 = 392℃**)
화합물 I-29: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2,4,6-트리메틸페닐아미드); 융점 = 369℃**)
화합물 I-30: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4-메틸부틸아미드); 융점 = 303℃
화합물 I-31: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벤질아미드); 융점 = 242℃**)
화합물 I-32: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시클로프로필아미드); *)
화합물 I-33: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4-에톡시페닐아미드); 융점 = 266℃
화합물 I-34: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3-메틸페닐아미드); 융점 = 252℃
화합물 I-35: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페닐아미드); 융점 = 312℃
화합물 I-36: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4-메톡시페닐아미드); 융점 = 277℃
화합물 I-37: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2,3-디메틸페닐아미드); 융점 = 403℃***)
화합물 I-38: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3,5-디플루오로페닐아미드) ; 융점 = 333℃
화합물 I-39: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4-플루오로페닐아미드); 융점 = 311℃
화합물 I-40: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메틸아미드); 융점 = 333℃**)
화합물 I-41: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시클로도데실아미드); 융점 = 387℃**)
화합물 I-42: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2-메틸페닐아미드); 융점 = 377℃***)
화합물 I-43: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3,5-디메틸페닐아미드); 융점 = 302℃
화합물 I-44: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3,4-디메틸페닐아미드); *)
화합물 I-45: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3-메틸시클로헥실아미드); *)
화합물 I-46: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시클로옥틸아미드); *)
화합물 I-47: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2,3-디메틸시클로헥실아미드); *)
화합물 I-48: 1,3,5-벤젠트리카르복시산 트리스(S(+)-1-시클로헥실에틸아미 드); 융점 = 397℃**)
*) 승화/분해전에 융점없음
**) 100% 중량 손실하의 동시 증발에 의한 융점
***) 분해시 융점
하기 실시예 1 내지 4에 이용된 일반적 과정을 이하에 기재한다.
혼합과정:
59.91 g의 분말 폴리프로필렌(ELF-Atochem (RTM); Appryl 3030BN1 (RTM))에 90 mg의 분말 첨가제(0.15중량%) 또는 첨가제의 분말화 혼합물(전체 0.15중량%)을 부가하고 유리 용기중에서 24시간 동안 텀블 혼합하였다. 일반적으로, 4.5 g의 상기 혼합물을 소규모, 실험실 2축 스크류, 순환식 및 동시회전 압출기, 예컨대 다카 인스트루먼트(RTM)사의 MicroCompounder중 239℃에서 약 4분동안 40 rpm의 스크류 속도로 배합한 다음 실온에서 수집하였다. 니트 폴리프로필렌을 유사하게 처리하여 블랭크 대조 샘플을 얻었다.
미분주사 열량계( DSC ):
건조한 질소 분위기중에서 동작되는 Perkin-Elmer DSC 인스트루먼트 (RTM)(모델 DSC 7)을 사용하여 다양한 혼합물과 대조용 샘플의 결정화 특성을 표준 과정에 따라 분석하였다. 약 5 내지 10 mg의 샘플을 알루미늄 컵에 넣고 밀봉하여 130℃에서부터 230℃까지 10℃/분의 속도로 가열하여 230℃에서 5분간 유지시킨 다음 10℃/분의 속도로 50℃까지 냉각시켰다. 결정화 온도로 표시된 데이터는 냉각시 기록된 써모그램에서 발열반응의 피크 온도이다.
열-중량 분석( TGA ), 미분열 분석( DTA ):
질소중에서 동작하는 자동화 Netzsch TGA/DTA 인스트루먼트(STA 409)(RTM)를 열적 안정성과 융점 분석에 이용하였다. 융점으로서는 흡열 전이의 최대 피이크를 나타낸다. 약 10 mg의 샘플을 산화알루미늄 도가니에 넣고 50℃에서부터 10℃/분의 속도로 640℃까지 가열하였다.
사출성형:
사출성형은 MicroInjector (DACA Instrument (RTM))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약 3.0 g의 펠릿화된 실을 질소 블랭킷하 배럴중, 260℃에 두었다. 과립이 완전히 용융된 후, 용융물을 약 8 바아의 압력으로 연마된 금형에 사출시켰다. 금형 온도는 20℃ 였다. 수집된 시편의 직경은 2.5 cm이고 두께는 약 1.1 내지 1.2 mm 였다.
광학 특징(투과도, 투명성, 헤이즈 ):
투과도, 투명성 및 헤이즈는 헤이즈-가드 플러스 인스트루먼트 (BYK, Gardner (RTM), 조사 CIE-C)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측정하였다. 헤이즈-가드 플러스 인스트루먼트는 ASTM D-1003에 들어맞는다. 투과도, 투명성 및 헤이즈 값은 샘플을 사출성형에 의해 얻은 지 12 내지 24시간 사이에 측정하였다.
실시예 1:
0.15 중량%의 화학식(I)의 화합물(식중, R1, R2 및 R3은 표 1에 지시된 바와 같음)을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부가하고, 상술한 방법에 따라 가공하고 특징화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결정화 온도(Tcryst), 헤이즈, 투명성 및 투과도 뿐만 아니라 시편(플레이트)의 두께는 표 1에 수록한다.
표 1:
Figure 112007089997227-PAT00017
표 1a:
Figure 112007089997227-PAT00018
실시예 2:
표 2에 지시된 화학식(I)의 화합물 1:1 혼합물 0.15 중량%를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부가하고, 상술한 방법에 따라 가공하고 특징화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결정화 온도(Tcryst), 헤이즈, 투명성 및 투과도 뿐만 아니라 시편(플레이트)의 두께는 표 2에 수록한다.
표 2:
Figure 112007089997227-PAT00019
상기 표에 나타낸 결과는 화학식(I)의 화합물의 2성분 혼합물은, 폴리프로필 렌 수지에 부가되면, 화학식(I)의 화합물 하나만 포함하는 수지와 비교하여, 투과도(혼합물 2a 내지 2c) 및/또는 투명성(혼합물 2b 및 2d)를 더욱 향상시키고 및/또는 헤이즈를 더욱 감소시킨다(혼합물 2b)를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3:
표 3에 지시된 화학식(I)의 화합물 1:1:1 혼합물 0.15 중량%를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부가하고, 상술한 방법에 따라 가공하고 특징화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결정화 온도(Tcryst), 헤이즈, 투명성 및 투과도 뿐만 아니라 시편(플레이트)의 두께는 표 3에 수록한다.
표 3:
Figure 112007089997227-PAT00020
상기 표에 나타낸 결과는 화학식(I)의 화합물의 3성분 혼합물은,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부가되면, 화학식(I)의 화합물 하나 또는 2개를 포함하는 수지와 비교하여, 투과도(혼합물 3a 및 3b) 및/또는 투명성(혼합물 3c)를 더욱 향상시키고 및/또 는 헤이즈를 더욱 감소시킨다(혼합물 3b)를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4:
표 4에 지시한 화합물의 열적 안정성은 상술한 과정에 따라서 열중량 분석(TGA)에 의해 측정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에 수록한다.
표 4:
Figure 112007089997227-PAT00021
상기 나타낸 데이터는 화학식(I)의 화합물의 탁월한 열적 안정성을 나타낸다.

Claims (8)

  1. 하기 화학식(IB)의 화합물:
    Figure 112007089997227-PAT00022
    (IB)
    식중에서,
    R1, R2 및 R3은 동일하고 또 3-메틸페닐, 2,3-디메틸페닐, 2,4-디메틸페닐, 3,4-디메틸페닐, 2,4,6-트리메틸페닐, 2-에틸페닐, 4-n-부틸페닐, 4-메톡시페닐, 4-에톡시페닐, 4-(n-데실옥시)페닐,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헵틸, 1-아다만틸, 3-메틸시클로헥실, 2,3-디메틸시클로헥실, 3,3,5-트리메틸시클로헥실, S(+)-1-시클로헥실에틸, R(+)-1-시클로헥실에틸, 이소프로필, 1,1-디메틸프로필, 1,2-디메틸프로필, 2-부틸, 3-메틸부틸, 1,1,3,3-테트라메틸부틸, 3,5-디플루오로페닐, 펜타플루오로페닐 또는 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임.
  2. 제1항에 있어서,
    R1, R2 및 R3은 동일하고 또 1,2-디메틸프로필, 3-메틸부틸 또는 1,1,3,3-테트라메틸부틸인 화합물.
  3. b-1) 하기에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I)의 화합물, 및
    b-2) 하기에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I)의 다른 화합물을 함유하며;
    상기 성분 b-1) 및 b-2)는 서로 상이하며 성분 b-1) 대 b-2)의 중량비는 1:100 내지 100:1인 혼합물:
    Figure 112007089997227-PAT00023
    (I)
    식중에서,
    R1, R2 및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C1-C20알킬,
    C1-C20알킬아미노, 디(C1-C20알킬)아미노, C1-C20알킬옥시 또는 히드록시에 의해 치환된 C1-C20알킬;
    {폴리(C2-C4알콕시)}-(C2-C4알킬),
    C2-C20알케닐,
    C3-C12시클로알킬,
    1, 2 또는 3개의 C1-C20알킬에 의해 치환된 C3-C12시클로알킬;
    시클로헥실메틸;
    1, 2 또는 3개의 C1-C20알킬에 의해 치환된 시클로헥실메틸;
    C3-C12시클로알케닐,
    1, 2 또는 3개의 C1-C20알킬에 의해 치환된 C3-C12시클로알케닐;
    페닐,
    C1-C20알킬, C1-C20알킬옥시, 히드록시, 할로겐, 트리할로겐메틸, 트리할로겐메톡시, 벤조일, 페닐아미노, 아실아미노 및 페닐아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2 또는 3개 라디칼에 의해 치환된 페닐;
    5개 할로겐에 의해 치환된 페닐,
    C7-C9페닐알킬,
    C1-C20알킬, C1-C20알콕시 및 히드록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2 또는 3개의 라디칼에 의해 페닐상에서 치환된 C7-C9페닐알킬;
    나프틸,
    C1-C20알킬에 의해 치환된 나프틸;
    아다만틸,
    C1-C20알킬에 의해 치환된 아다만틸; 또는
    5 내지 6원 헤테로시클릭 기임.
  4. 다음 성분
    b-1) 제 3항에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I)의 화합물,
    b-2) 제 3항에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I)의 다른 화합물, 및
    b-3) 제 3항에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I)의 추가 화합물을 함유하며;
    상기 성분 b-1), b-2) 및 b-3)은 서로 상이하며 또 성분 b-1) 대 b-2)의 중량비는 1:100 내지 100:1이며, 또 성분 b-3) 대 성분 b-1) 및 b-2)의 합의 중량비는 1:20 내지 20:1인 혼합물.
  5. 합성 중합체, 왁스, 오일 또는 합성 중합체의 블랜드 및 제 3항에 따른 혼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6. 다음 성분
    b) 하기 화학식(I)의 화합물, 및
    c) 통상의 핵생성제를 함유하며;
    상기 성분 b) 대 성분 c)의 중량비는 1:20 내지 20:1인 혼합물:
    Figure 112007089997227-PAT00024
    (I)
    식중에서,
    R1, R2 및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C1-C20알킬,
    C1-C20알킬아미노, 디(C1-C20알킬)아미노, C1-C20알킬옥시 또는 히드록시에 의해 치환된 C1-C20알킬;
    {폴리(C2-C4알콕시)}-(C2-C4알킬),
    C2-C20알케닐,
    C3-C12시클로알킬,
    1, 2 또는 3개의 C1-C20알킬에 의해 치환된 C3-C12시클로알킬;
    시클로헥실메틸;
    1, 2 또는 3개의 C1-C20알킬에 의해 치환된 시클로헥실메틸;
    C3-C12시클로알케닐,
    1, 2 또는 3개의 C1-C20알킬에 의해 치환된 C3-C12시클로알케닐;
    페닐,
    C1-C20알킬, C1-C20알킬옥시, 히드록시, 할로겐, 트리할로겐메틸, 트리할로겐메톡시, 벤조일, 페닐아미노, 아실아미노 및 페닐아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2 또는 3개 라디칼에 의해 치환된 페닐;
    5개 할로겐에 의해 치환된 페닐,
    C7-C9페닐알킬,
    C1-C20알킬, C1-C20알콕시 및 히드록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2 또는 3개의 라디칼에 의해 페닐상에서 치환된 C7-C9페닐알킬;
    나프틸,
    C1-C20알킬에 의해 치환된 나프틸;
    아다만틸,
    C1-C20알킬에 의해 치환된 아다만틸; 또는
    5 내지 6원 헤테로시클릭 기임.
  7. 하기 화학식(IA)의 화합물:
    Figure 112007089997227-PAT00025
    (IA)
    식중에서,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C1-C20알킬,
    C1-C20알킬아미노, 디(C1-C20알킬)아미노, C1-C20알킬옥시 또는 히드록시에 의해 치환된 C1-C20알킬;
    {폴리(C2-C4알콕시)}-(C2-C4알킬),
    C2-C20알케닐,
    C3-C12시클로알킬,
    1, 2 또는 3개의 C1-C20알킬에 의해 치환된 C3-C12시클로알킬;
    시클로헥실메틸;
    1, 2 또는 3개의 C1-C20알킬에 의해 치환된 시클로헥실메틸;
    C3-C12시클로알케닐,
    1, 2 또는 3개의 C1-C20알킬에 의해 치환된 C3-C12시클로알케닐;
    페닐,
    C1-C20알킬, C1-C20알킬옥시, 히드록시, 할로겐, 트리할로겐메틸, 트리할로겐메톡시, 벤조일, 페닐아미노, 아실아미노 및 페닐아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2 또는 3개 라디칼에 의해 치환된 페닐;
    5개 할로겐에 의해 치환된 페닐,
    C7-C9페닐알킬,
    C1-C20알킬, C1-C20알콕시 및 히드록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2 또는 3개의 라디칼에 의해 페닐상에서 치환된 C7-C9페닐알킬;
    나프틸,
    C1-C20알킬에 의해 치환된 나프틸;
    아다만틸,
    C1-C20알킬에 의해 치환된 아다만틸; 또는
    5 내지 6원 헤테로시클릭 기이고; 또
    R3은 2-에틸헥실, 3-메틸-1-부틸, 3-(디메틸아미노)프로필, 3-(디에틸아미노)프로필, 3-(메틸아미노)프로필, 2-(에톡시)에틸, 3-(메톡시)프로필, 3-(에톡시)프로필, 2-피콜릴, 푸르푸릴,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2-피리미디닐, 4-(페닐아미노)페닐, 4-이소프로필페닐, 2-에틸페닐, 2,4-디에틸페닐, 2-에틸-6-메틸페닐, 2,6-디이소프로필페닐, 4-메톡시페닐, 4-에톡시페닐, 1,2,4-트리아졸-3-일 또는 4- (페닐아조)페닐임.
  8. 제7항에 있어서, R1, R2 및 R3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KR1020077029294A 2000-12-06 2001-11-27 트리메식산 유도체 및 그의 혼합물 KR1008201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5139600P 2000-12-06 2000-12-06
US60/251,396 2000-12-06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7080A Division KR100813186B1 (ko) 2000-12-06 2001-11-27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7410A true KR20080007410A (ko) 2008-01-18
KR100820125B1 KR100820125B1 (ko) 2008-04-08

Family

ID=2295178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9294A KR100820125B1 (ko) 2000-12-06 2001-11-27 트리메식산 유도체 및 그의 혼합물
KR1020037007080A KR100813186B1 (ko) 2000-12-06 2001-11-27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7080A KR100813186B1 (ko) 2000-12-06 2001-11-27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2) US7235191B2 (ko)
EP (1) EP1366116B1 (ko)
JP (2) JP4069251B2 (ko)
KR (2) KR100820125B1 (ko)
CN (1) CN100591716C (ko)
AR (1) AR034422A1 (ko)
AT (1) ATE333490T1 (ko)
AU (2) AU2002221900B2 (ko)
BR (1) BR0115946B1 (ko)
CA (1) CA2436960C (ko)
CZ (1) CZ306914B6 (ko)
DE (1) DE60121629T2 (ko)
DK (1) DK1366116T3 (ko)
ES (1) ES2267869T3 (ko)
IL (2) IL155902A0 (ko)
MX (1) MXPA03005053A (ko)
NO (1) NO338277B1 (ko)
PT (1) PT1366116E (ko)
RU (1) RU2305687C2 (ko)
SK (1) SK287279B6 (ko)
TW (1) TW585886B (ko)
WO (1) WO2002046300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53288B2 (en) 2010-08-17 2014-10-07 Furukawa Electric Co., Ltd. Thermoplastic resin foam,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light reflecting material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55902A0 (en) * 2000-12-06 2003-12-23 Ciba Sc Holding Ag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s
DE10152228A1 (de) * 2001-10-20 2003-05-08 Clariant Gmbh Mischungen aus Wachsen und Polymeradditiven
PT1507825E (pt) * 2002-05-30 2007-02-28 Ciba Sc Holding Ag Polipropilenos b-cristalinos
US7700707B2 (en) 2002-10-15 2010-04-20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olyolefin adhesive composition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WO2004046214A2 (en) 2002-10-15 2004-06-03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Multiple catalyst system for olefin polymerization and polymers produced therefrom
RU2358990C2 (ru) * 2003-02-14 2009-06-20 Циба Спешиалти Кемикэлз Холдинг Инк. Полимерные композиции
CN100549077C (zh) * 2003-10-01 2009-10-14 西巴特殊化学品控股有限公司 添加剂混合物
DE602004030268D1 (de) * 2003-10-01 2011-01-05 Basf Se Additivmischungen
JP4792973B2 (ja) * 2003-10-17 2011-10-12 新日本理化株式会社 アミド系化合物、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EP1533306A1 (en) * 2003-11-04 2005-05-25 Ajinomoto Co., Inc. Azlactone compound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US20050173844A1 (en) * 2004-01-23 2005-08-11 Bernard Vermeersch Process of making preform articles and polypropylene molded containers from preform articles using injection stretch blow molding techniques
US20050161866A1 (en) * 2004-01-23 2005-07-28 Rajnish Batlaw Process of making two-stage injection stretch blow molded polypropylene articles
PL1765843T3 (pl) * 2004-07-09 2017-01-31 Basf Se Sposób wytwarzania sproszkowanej kompozycji acetalu alditolu
DE202004012943U1 (de) * 2004-08-17 2004-10-14 Eppendorf Ag Laboreinmalartikel
MY143758A (en) * 2004-09-13 2011-07-15 Ciba Holding Inc Polyolefin articles
EP1867630B1 (en) * 2005-04-07 2010-10-20 New Japan Chemical Co., Ltd. Process for producing tricarboxylic acid tris(alkyl-substituted cyclohexylamide)
CN101273083B (zh) * 2005-09-28 2012-04-18 西巴特殊化学品控股有限公司 改进聚合物熔体流动性的方法
JP2009510203A (ja) * 2005-09-30 2009-03-12 チバ ホールディング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微孔性フィルム
US7572849B2 (en) 2005-11-18 2009-08-11 Chemtura Corporation Urea phenyl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polypropylene nucleating agents
US7585909B2 (en) 2005-11-22 2009-09-08 Chemtura Corporation β-crystalline polypropylenes
US20070122629A1 (en) * 2005-11-29 2007-05-31 Solutia, Inc. Polymer interlayers comprising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US7390351B2 (en) * 2006-02-09 2008-06-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ets and compounds useful in electrets
MY146665A (en) * 2006-05-16 2012-09-14 Ciba Holding Inc Mono- and multi-layer blown films
JP5058164B2 (ja) * 2006-07-26 2012-10-24 三井化学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CN101568585B (zh) * 2006-12-19 2011-08-10 新日本理化株式会社 新型聚烯烃树脂组合物以及由其获得的成形树脂
EP2034056A1 (en) * 2007-09-04 2009-03-11 Total Petrochemicals Research Feluy Metallocene polypropylene fibers and nonwovens with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MX2010010020A (es) * 2008-03-12 2010-09-30 Dow Global Technologies Inc Mezcla de polipropileno clarificado y etileno alfa-olefina.
WO2010069854A2 (en) * 2008-12-19 2010-06-24 Basf Se Modified polyolefin waxes
US20110009213A1 (en) * 2009-07-10 2011-01-13 Acushnet Company Golf balls having layers made from thermoplastic compositions containing nucleating agents
US8119712B2 (en) * 2009-07-10 2012-02-21 Acushnet Company Golf balls having layers made from rubber compositions containing nucleating agents
CN103992566B (zh) * 2009-09-18 2019-01-15 巴斯夫欧洲公司 具有改善抗刮性、改善机械稳定性和改善雾度的聚合物组合物
US8492468B2 (en) * 2010-06-04 2013-07-23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BR112013010313A2 (pt) 2010-10-28 2016-09-20 Lummus Novolen Technology Gmbh não tecido e fio de polipropileno com aditivo
NZ611802A (en) * 2010-12-13 2015-09-25 Cytec Tech Corp Processing additives and uses of same in rotational molding
US20120220730A1 (en) * 2011-02-24 2012-08-30 Fina Technology, Inc. High Melt Strength Polypropylene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20140255692A1 (en) * 2011-08-04 2014-09-11 Gabriele Perego Energy cable having a thermoplastic electrically insulating layer
US10259984B2 (en) 2011-09-23 2019-04-16 Synoil Fluids Holdings Inc. Pyromellitamide gelling agents
US9315720B2 (en) 2011-09-23 2016-04-19 Synoil Fluids Holdings Inc. Pyromellitamide gelling agents
EP2708574A1 (en) * 2012-09-18 2014-03-19 Clariant International Ltd. Oxygen scavenging plastic material
RU2515616C1 (ru) * 2012-11-26 2014-05-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азанский 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ФГБОУ ВПО "КНИТУ") Полимерная композиция, стойкая к воздействию ионизирующего излучения.
US9217102B2 (en) 2013-03-22 2015-12-22 Synoil Fluids Holdings Inc. Amide branched aromatic gelling agents
US20150166752A1 (en) 2013-12-16 2015-06-18 Clariant International, Ltd. Polymeric Foam
RU2567894C1 (ru) * 2014-04-08 2015-11-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Северхимпром" (ООО "Северхимпром") Композиция кондиционирующая для минеральных удобрений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EP3037466A1 (en) 2014-12-23 2016-06-29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olyethylene compositions with improved optical properties
KR102488414B1 (ko) 2015-07-16 2023-01-12 토탈에너지스 원테크 벨지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및 이의 열성형 시트
BR112018015160B1 (pt) * 2016-03-09 2022-07-19 Milliken & Company Compostos trisamida e composições compreendendo os mesmos
CN106009259A (zh) * 2016-05-30 2016-10-12 金宝丽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低毒防腐塑料片材及其制备方法
US20200339795A1 (en) 2017-10-31 2020-10-29 Total Research & Technology Feluy Polymer Composition Comprising Recycled Polypropylene
CN108948533B (zh) * 2018-07-26 2020-12-11 界首市鑫一龙机械设备购销有限公司 一种提高聚丙烯复合塑料综合力学性能的方法
TWI801644B (zh) 2018-09-12 2023-05-11 美商芬娜工業技術股份有限公司 提供最佳性能之澄清劑摻合物
EA202191408A1 (ru) * 2018-11-21 2021-08-16 Публич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СИБУР Холдинг" Прозрачная высокотекучая ударопрочная композиция на основе полипропилена,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и применение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делий методом 3d-печати или литья под давлением
EP4332088A3 (en) 2019-12-12 2024-05-15 Milliken & Company Trisamide compound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US11724983B2 (en) 2019-12-12 2023-08-15 Milliken & Company Trisamide compound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EP3838985A1 (en) 2019-12-20 2021-06-23 Total Research & Technology Feluy Conductive composite material and thermoformed sheet thereof
WO2022132455A1 (en) * 2020-12-14 2022-06-23 Milliken & Company Trisamide compound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WO2023036716A1 (en) 2021-09-09 2023-03-16 Totalenergies Onetech Polypropylene-based compositions with transparency and elongational properties
CN115197521B (zh) * 2022-09-16 2022-11-18 广州海天塑胶有限公司 一种可替代ABS的PS/PE/纳米BaSO4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5584117A (zh) * 2022-10-12 2023-01-10 镇江美达塑胶有限公司 一种tpu改性树脂发泡材料及其成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7926A (en) * 1964-03-25 1968-02-06 Dow Chemical Co Modification of crystalline structure of crystallizable high polymers
US3903160A (en) * 1969-04-30 1975-09-02 Ciba Geigy Corp Aroylamido bis- and tris-(alkylphenols)
US3852237A (en) * 1972-09-08 1974-12-03 Phillips Petroleum Co Clearer polyefins by combination of aryl carboxlic acid phthalocyanine, and quinacridone
JPS5215097B2 (ko) * 1973-06-06 1977-04-26
JPS5122740A (ko) * 1974-08-16 1976-02-23 Kenzo Hamada
US4294747A (en) * 1979-09-24 1981-10-13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Shapeabl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cyclic acetal
JPS5655450A (en) * 1979-10-12 1981-05-16 Toa Nenryo Kogyo Kk Polyolefin composition
JPS60252655A (ja) 1984-05-28 1985-12-13 Mitsubishi Petrochem Co Ltd 成形性を改良したポリフエニレンエ−テル組成物
US4585817A (en) * 1984-06-11 1986-04-29 Mobil Oil Corporation Crystallizable polyolefin composition having increased crystallization temperature and rate of crystallization
US4694064A (en) * 1986-02-28 1987-09-15 The Dow Chemical Company Rod-shaped dendrimer
US4749736A (en) * 1986-10-20 1988-06-07 Allied Corporation Nucleating system for polyamides
US5278216A (en) * 1989-04-18 1994-01-11 Mitsui Toatsu Chemicals, Incorporated Syndiotactic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US5137973A (en) * 1990-09-10 1992-08-11 Allied-Signal Inc. Polyolefins containing polyester nucleating agent and articles formed therefrom
US5216051A (en) * 1991-10-28 1993-06-01 Allied-Signal Inc. Polyolefins containing polyol nucleating agents and articles formed therefrom
US5198484A (en) * 1992-05-01 1993-03-30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Polyolefin composition containing ultrafine sorbitol and xylitol acetals
JP3401868B2 (ja) * 1992-10-22 2003-04-28 新日本理化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US5491188A (en) * 1993-05-20 1996-02-13 New Japan Chemical Co., Ltd. Porous stretched article of polypropylene-based resin and process for its preparation
JP3443934B2 (ja) * 1993-05-20 2003-09-08 新日本理化株式会社 多孔性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延伸物及びその製造方法
US5470898A (en) * 1993-06-30 1995-11-28 Montell North America Inc. Sorbitol derivatives as nucleators and clarifiers for polyolefins, and polyolefin compositions obtained therewith
EP0728158A4 (en) 1993-11-08 1997-09-03 Mobil Oil Corp COMPOSITION COMPRISING A MIXTURE OF AN ETHYLENE POLYMER OR COPOLYMER WITH SORBITOL OR A SORBITOL DERIVATIVE
JP3430626B2 (ja) 1994-04-06 2003-07-28 新日本理化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US5973076A (en) * 1995-05-31 1999-10-26 New Japan Chemical Co., Ltd. Polybutene-1 resin composition and a method of accelerating the crystal transformation thereof
JP3567533B2 (ja) * 1994-06-01 2004-09-22 新日本理化株式会社 ポリブテン−1樹脂組成物
GB2323327A (en) * 1997-03-18 1998-09-23 Hoechst Trespaphan Gmbh Polyolefin film
GB2323328A (en) * 1997-03-18 1998-09-23 Hoechst Trespaphan Gmbh Polyolefin films having high gloss
EP1277790A3 (en) * 1998-03-04 2004-07-28 Ciba SC Holding AG Nucleators for crystallizable thermoplastic polymers
KR20020010578A (ko) 1999-03-05 2002-02-04 시바 스폐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결정성 열가소성 중합체용 핵생성제
IL155902A0 (en) * 2000-12-06 2003-12-23 Ciba Sc Holding Ag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53288B2 (en) 2010-08-17 2014-10-07 Furukawa Electric Co., Ltd. Thermoplastic resin foam,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light reflecting material using the same
KR101490570B1 (ko) * 2010-08-17 2015-02-05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의 제조방법 및 광반사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66116B1 (en) 2006-07-19
AU2002221900B2 (en) 2007-04-26
JP4069251B2 (ja) 2008-04-02
CA2436960C (en) 2012-08-07
WO2002046300A2 (en) 2002-06-13
AU2190002A (en) 2002-06-18
JP4490469B2 (ja) 2010-06-23
US20040063830A1 (en) 2004-04-01
BR0115946A (pt) 2003-12-09
US20070170398A1 (en) 2007-07-26
TW585886B (en) 2004-05-01
JP2008050617A (ja) 2008-03-06
IL155902A (en) 2007-02-11
ES2267869T3 (es) 2007-03-16
SK6812003A3 (en) 2003-12-02
MXPA03005053A (es) 2003-09-05
KR20030057559A (ko) 2003-07-04
WO2002046300A3 (en) 2003-10-09
RU2305687C2 (ru) 2007-09-10
AR034422A1 (es) 2004-02-25
ATE333490T1 (de) 2006-08-15
NO338277B1 (no) 2016-08-08
JP2004515592A (ja) 2004-05-27
KR100813186B1 (ko) 2008-03-17
SK287279B6 (sk) 2010-05-07
EP1366116A2 (en) 2003-12-03
DK1366116T3 (da) 2006-11-06
BR0115946B1 (pt) 2011-07-26
NO20032514D0 (no) 2003-06-03
DE60121629D1 (de) 2006-08-31
CN100591716C (zh) 2010-02-24
DE60121629T2 (de) 2006-11-30
KR100820125B1 (ko) 2008-04-08
RU2003119550A (ru) 2005-02-10
NO20032514L (no) 2003-08-04
CZ306914B6 (cs) 2017-09-13
CZ20031567A3 (cs) 2003-09-17
US7479515B2 (en) 2009-01-20
PT1366116E (pt) 2006-12-29
IL155902A0 (en) 2003-12-23
US7235191B2 (en) 2007-06-26
CA2436960A1 (en) 2002-06-13
CN1553931A (zh) 2004-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0125B1 (ko) 트리메식산 유도체 및 그의 혼합물
ES2215605T3 (es) Polimeros sinteticos que contienen mezclas aditivas de efecto ampliado.
US7423088B2 (en) β Crystalline polypropylenes
KR101029863B1 (ko) 신규한 난연제 화합물
AU2002221900A1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s
ES2268414T3 (es) Modificacion solida amorfa de bis (2,4-dicumilfenil)-pentaeritritol difosfito.
KR20060128832A (ko) 열적 산화에 대한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안정화
KR19980086735A (ko) 중합 유기 물질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비타민 e 조성물
JP4728869B2 (ja) ポリアミン誘導体
WO2000026286A1 (en) Multifunctional epoxides for modifying the molecular weight of polyolefi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