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6460A -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460A
KR20080006460A KR1020070067959A KR20070067959A KR20080006460A KR 20080006460 A KR20080006460 A KR 20080006460A KR 1020070067959 A KR1020070067959 A KR 1020070067959A KR 20070067959 A KR20070067959 A KR 20070067959A KR 20080006460 A KR20080006460 A KR 20080006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main body
button
imaging device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7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이스케 테라카도
마사아키 오시마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6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4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카니컬 덱에 대한 조정의 용이화를 도모한다.
촬영시에 사용자가 손바닥(2000)을 눌러대어 파지하는 그립부(12)를 마련하고, 해당 그립부의 내측에 메카니컬 덱(18)을 배치하고, 그립부를 몸체(2)의 일부와 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된 커버(13)에 의해 구성하고, 그립부로서 마련된 몸체의 상기 일부에 커버에 의해 개폐되고 메카니컬 덱에 대한 조정용의 조정구멍(20a, 20a, 20b)을 형성하였다.
촬상 장치, 몸체, 그립부, 커버

Description

촬상 장치{IMAGING APPARATUS}
본 발명은 촬상 장치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그립부에 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조정구멍을 형성하여 메카니컬 덱에 대한 조정의 용이화를 도모한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 카메라 등의 각종의 촬상 장치에는, 기록 매체로서 테이프형상 기록 매체가 이용되고, 몸체의 내부에 테이프형상 기록 매체의 구동을 행하기 위한 메카니컬 덱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촬상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촬영시에 사용자가 손바닥을 눌러대어 파지하는 그립부의 내측에 메카니컬 덱이 배치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공평7-114481호 공보
그런데, 기록 매체로서 테이프형상 기록 매체를 이용한 촬상 장치에서는, 회전 헤드 드럼의 입구측 또는 출구측의 가이드의 조정을 행하여, 테이프형상 기록 매체의 주행 상태에서 헤드 드럼에 대한 테이프형상 기록 매체의 위치 조정을 행할 필요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종래의 촬상 장치에서, 상기한 테이프형상 기록 매체의 위치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몸체의 일부를 떼어내어 메카니컬 덱을 노출시키고, 테이프형상 기록 매체를 주행시킨 상태에서 소정의 치구 등을 이용하여 조정 나사를 돌려서 테이프형상 기록 매체의 위치 조정을 행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조정은, 몸체의 일부를 떼어낼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만큼, 수고가 들고 조정 시간도 길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메카니컬 덱을 노출시켜서 행하기 때문에, 메카니컬 덱이나 테이프형상 기록 매체에 먼지 등이 부착하기 쉽다는 부적합함도 생겨 버린다.
그래서, 본 발명 촬상 장치는, 상기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메카니컬 덱에 대한 조정의 용이화를 도모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촬상 장치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촬영시에 사용자가 손바닥을 눌러대어 파지하는 그립부를 마련하고, 해당 그립부의 내측에 메카니컬 덱을 배치하고, 그립부를 몸체의 일부와 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된 커버에 의해 구성하고, 그립부로서 마련된 몸체의 상기 일부에 커버에 의해 개폐되고 메카니컬 덱에 대한 조정용의 조정구멍을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촬상 장치에서는, 커버를 떼어낸 상태에서 조정구멍을 통하여 테이프형상 기록 매체의 위치 조정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촬상 장치는, 기록 재생용의 테이프형상 기록 매체의 구동을 행하는 메카니컬 덱을 구비한 촬상 장치로서, 촬영시에 사용자가 손바닥을 눌러대어 파지하는 그립부를 마련하고, 해당 그립부의 내측에 메카니컬 덱이 배치되고, 그립부가 몸체의 일부와 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된 커버에 의해 구성되고, 그립부로서 마련된 몸체의 상기 일부에 커버에 의해 개폐되고 메카니컬 덱에 대한 조정용의 조정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커버를 몸체로부터 떼어냄에 의해 테이프형상 기록 매체의 헤드 드럼에 대한 위치 조정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몸체를 분해하여 조정을 행할 필요가 없고,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메인티넌스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제 2항에 기재한 발명에서는, 상기 커버로서 형상이 다른 복수 종류의 갈아붙임이 가능한 갈아붙임 커버를 마련하였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신의 손바닥에 합치한 형상의 커버를 몸체에 부착하여 사용함에 의해, 양호한 파지성을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제 3항에 기재한 발명에서는, 상기 커버를 몸체에 부착되는 피부착부와 손바닥이 눌려 닿는 피압당부를 두께 방향으로 적층하여 형성하고, 피부착부로서 수지 재료를 사용하고, 피압당부로서 일래스토머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수지 재료의 높은 경도에 의한 양호한 부착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일래스토머의 유연성에 의한 양호한 파지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이하에 나타낸 최선의 형태는, 본 발명을 비디오 카메라에 적용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비디오 카메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비디오 카메라나 화상을 촬영하는 다른 촬상 장치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비디오 카메라의 촬영시에 있어서 촬영자(사용자)가 본 방향에서 전후 상하 좌우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피사체측을 전방으로 하고, 촬영자측을 후방으로 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전후 상하 좌우의 방향은 설명의 편의상의 것이고, 본 발명의 실시에 관해서는, 이러한 방향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촬상 장치(전자 기기인 비디오 카메라)(1)는 몸체(2)의 내외에 소요되는 각 부분이 배치되어 이루어진다(도 1 내지 도 4 참조).
촬상 장치(1)는,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3)와 해당 장치 본체(3)에 개폐 자유로우며 또한 회동 자유롭게 연결된 표시부(4)와 장치 본체(3)의 상방에 마련된 손잡이(5)를 갖고 있다.
장치 본체(3)의 전단부에는 촬영용 창테두리(6)가 부착되고, 그 촬영용 창테두리(6)의 내측에는 장치 본체(3)의 전단부에 부착된 도시하지 않은 촬상 렌즈가 배치되어 있다.
장치 본체(3)에는 촬영용 창테두리(6)의 직후측의 위치에 회전 조작 링(7, 8)이 전후로 격리하여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 조작 링(7, 8)은, 각각 전후 방향으로 늘어나는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조작되고, 각각 회전 조작됨에 의해 줌 기능 또는 포커스 기능이 실행된다.
장치 본체(3)의 좌측면(3a)에는, 그 전단(前端) 근처의 위치 및 하단부에 복수의 조작 버튼(9, 9, …)이 배치되어 있다(도 2 참조). 조작 버튼(9, 9, …)으로서, 예를 들면, 휘도 조정 버튼, 포커스 모드 전환 버튼 등이 마련되어 있다.
장치 본체(3)의 좌측면(3a)에는 표시부(4)가 연결되어 있다(도 5 참조). 표시부(4)는 평평한 개략 직사각형형상으로 형성되고, 한쪽의 면에 표시 화면(4a)을 갖고 있다. 표시부(4)는, 그 일단부가 장치 본체(3)에 개폐 자유로우며 또한 회동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장치 본체(3)의 좌측면(3a)에는 표시부(4)를 수납하는 수납 오목부(10)가 형성되어 있다. 장치 본체(3)에는, 수납 오목부(10)에 복수의 버튼(11, 11, …)이 배치되어 있다. 버튼(11, 11, …)은, 주로 촬영된 화상의 재생에 관한 버튼이고, 버튼(11, 11, …)으로서, 예를 들면, 재생 버튼, 재생정지 버튼, 빨리보냄 버튼, 되 돌림 버튼, 슬로우재생 버튼 등이 마련되어 있다.
장치 본체(3)의 우측면(3b)에는 오른쪽 방향으로 돌출된 그립부(12)가 마련되어 있다(도 1 참조). 그립부(12)는 몸체(2)의 일부와 그 몸체(2)의 하단부를 덮는 커버(1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도 6 및 도 7 참조). 그립부(12)는 우측면(12a)의 개략 중앙부가 가장 오른쪽 방향에 위치하도록 팽출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우측면(12a)은 손바닥에 대응한 부드러운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립부(12)의 윗면(12b)에는 전후로 격리하여 주밍을 행하기 위한 줌 키(14)와, 예를 들면, 정지 화상 촬영을 행하기 위한 촬영 키(15)가 배치되어 있다. 줌 키(14)는 전후 양단부가 각각 제 1의 피조작부(14a), 제 2의 피조작부(14b)로서 마련되고, 제 1의 피조작부(14a) 또는 제 2의 피조작부(14b)를 선택적으로 하방으로 가압 조작함에 의해 화각(畵角)이 변경된다.
그립부(12)의 윗면(12b)에는 줌 키(14)의 앞측에 오픈 손잡이(16)가 배치되어 있다. 오픈 손잡이(16)가 슬라이드 조작되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립부(12)가, 예를 들면, 하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되고, 내부에 배치된 메카니컬 덱(18)(도 9 참조)에 테이프 카세트(1000)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립부(12)의 내부에는 카세트 홀더(17)가 배치되어 있다(도 8 참조). 테이프 카세트(1000)는 카세트 홀더(17)에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메카니컬 덱(18)에 장착된다.
메카니컬 덱(18)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부분이 장착된 베이스 판이 되는 기대(18a), 헤드 드럼(18b), 경사 가이드(18c, 18c), 테이프 가이 드(18d, 18d) 등을 갖고 있고, 해당 테이프 가이드(18d, 18d)의 선단부에 각각 조정용 나사(19, 19)가 부착되어 있다.
오픈 손잡이(16)를 조작하여 그립부(12)를 개방하고, 메카니컬 덱(18)에 테이프 카세트(1000)를 장착하여 그립부(12)를 닫으면, 도시하지 않은 로딩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동작되는 로딩 기구에 의해 테이프 카세트(1000)로부터 테이프형상 기록 매체(1001)가 인출되어 헤드 드럼(18b), 경사 가이드(18c, 18c), 테이프 가이드(18d, 18d) 등에 감기고, 소정의 테이프 패스가 형성된다.
그립부(12)로서 마련된 몸체(2)의 하단부에는 커버(13)에 의해 개폐되는 오목부(20)가 형성되어 있다(도 10 참조). 몸체(2)에서의 오목부(20)를 형성하는 부분에는, 테이프 가이드(18d, 18d)에 대응한 위치에 각각 조정구멍(20a, 20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몸체(2)에서의 오목부(20)를 형성하는 부분에는, 로딩 모터에 대응하는 위치에 조정구멍(20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13)를 몸체(2)로부터 떼어내어 조정구멍(20a, 20a)에 드라이버 등의 치구(1500)를 삽입하여 조정용 나사(20a, 20a)를 돌려서 테이프형상 기록 매체(1001)의 헤드 드럼(18b)에 대한 위치 조정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조정구멍(20b)에 치구를 삽입하여 로딩 모터를 강제적으로 동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테이프형상 기록 매체의 조정은, 조정용의 테이프 카세트를 메카니컬 덱(18)에 장착하고, 테이프형상 기록 매체를 주행시킨 상태에서 치구(1500) 를 이용하여 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에서는, 커버(13)를 몸체(2)로부터 떼어냄에 의해 테이프형상 기록 매체(1001)의 헤드 드럼(18b)에 대한 위치 조정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몸체(2)를 분해하여 조정을 행할 필요가 없고,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메인티넌스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몸체(2)를 분해하여 메카니컬 덱(18)을 노출시켜서 조정을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메카니컬 덱(18)이나 테이프형상 기록 매체(1001)에의 먼지 등의 부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몸체(2)에서의 오목부(20)를 형성하는 부분에 테이프형상 기록 매체(1001)의 위치 조정 방법이나 로딩 모터의 강제적 동작 방법 등에 관한 설명 적음을 표시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표시가 있으면, 테이프형상 기록 매체(1001)의 위치 조정이나 로딩 모터의 강제적 동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커버(13)는 형상의 상위에 의해 복수 종류가 갈아붙임 커버로서 준비되어 있고,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망하는 커버(13A, 13B, 13C, …)를 몸체(2)에 부착하고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커버(13A, 13B, 13C, …)는, 손바닥 형상의 개인차에 대응하여, 예를 들면, 곡면(외면)이 팽창하는 식이나 형상이 다르도록 형성되어 있고, 사용자가 자신의 손바닥에 합치한 형상의 커버(13A, 13B, 13C, …)를 몸체(2)에 부착하여 사용함에 의해, 양호한 파지성을 확보할 수 있다.
커버(13)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면측에 위치한 피부착부(13a)와 외면측에 위치한 피압당부(13b)가 적층되어 형성되어 있다. 피부착부(13a)는 몸 체(2)에 부착되는 부분이고, 피압당부(13b)는 사용자가 파지한 때에 손바닥이 눌려 닿는 부분이다.
피부착부(13a)는, 수지 재료, 예를 들면,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xl렌 공중합 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피압당부(13b)는, 예를 들면, 열가소성의 일래스토머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커버(13)를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피부착부(13a)와 일래스토머로 이루어지는 피압당부(13b)를 적층하여 형성함에 의해, 수지 재료의 높은 경도에 의한 양호한 부착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일래스토머의 유연성에 의한 양호한 파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는, 피부착부(13a)가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피압당부(13b)가 일래스토머에 의해 형성된 예를 나타냈지만, 양호한 부착성 및 파지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 피부착부(13a)와 피압당부(13b)를 다른 재료에 의해 형성하여도 좋고, 예를 들면, 피부착부(13a)를 금속이나 세라믹에 의해 형성하고, 피압당부(13b)를 실리콘 고무 등에 의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립부(12)의 윗면(12b)에는, 도 6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줌 키(14)와 오픈 손잡이(16)의 사이의 위치에, 상방으로 돌출된 손가락걸기용(指掛用) 돌기(21)가 몸체(2)에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그립부(12)의 앞면(12c)에는 손가락을 대는용(指宛用) 오목부(22)가 형성되어 있다(도 6 참조). 손가락을 대는용 오목부(22)는 세로로 길고 얕은 완만한 곡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립부(12)의 앞면(12c)의 하단부에는 벨트 통과 금 구(23)가 부착되어 있다.
그립부(12)의 후면(12d)에는 촬영용 버튼(24)이 마련되어 있다(도 7 참조). 후면(12d)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엄지손가락을 대는 손가락 대는면(指宛面)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촬영용 버튼(24)은 회전 조작함에 의해 전원의 투입 및 그 해제를 행하는 버튼이고, 회전 방향에 따라 전원의 투입과 함께 카메라 모드(촬영 모드)와 비디오 모드(재생 모드)의 전환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촬영용 버튼(24)을 가압 조작함에 의해, 촬영의 시작 및 그 정지를 행할 수 있다.
그립부(12)의 우측면(12a)의 후단부에는 오른쪽 방향으로 돌출된 대는 돌기부(25)가 마련되어 있다(도 6 및 도 7 참조). 대는 돌기부(25)에는 벨트 통과 금구(26)가 부착되어 있다.
그립부(12)의 앞면(12c)에 부착된 벨트 통과 금구(23)와 우측면(12a)에 부착된 벨트 통과 금구(26) 사이에는 그립 벨트(2500)가 부착된다(도 1 참조).
사용자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립 벨트(2500)의 내측에 손을 하측에서 통과시켜, 손바닥(2000)을 그립부(12)의 외면에 눌러대어 파지한다. 이때, 예를 들면, 엄지손가락(2001)과 집게손가락(2002)의 갈라지는 부분에서 쥠 돌기부(25)를 대도록 하고, 엄지손가락 볼록한 부분을 대는 돌기부(25)의 하측의 부분에 눌러대고, 엄지손가락(2001)을 후면(12d)에 대고, 집게손가락(2002), 가운데손가락(2003) 및 약손가락(2004)을 윗면(12b)에 대고, 새끼손가락(2005)을 앞면(12c)의 손가락을 대는용 오목부(22)에 댄다. 이때 윗면(12b)에 댄 약손가락(2004)을 손가락걸기용 돌기(21)에 전방에서 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에는 손가락걸기용 돌기(21)가 마련되어 있고, 해당 손가락걸기용 돌기(21)에 댄 약손가락(2004)과 후면(12d)에 댄 엄지손가락(2001)으로 전후에서 끼우도록 하여 촬상 장치(1)를 지지할 수 있고, 손떨림이 생기기 어려운 상태에서 집게손가락(2002) 또는 가운데손가락(2003)에 의해 줌 키(14) 및 촬영 키(15)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장치(1)에서는, 촬영 키(15)와 줌 키(14)가 전후로 격리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가운데손가락(2003)으로 촬영 키(15)를 조작하고 집게손가락(2002)으로 줌 키(14)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엄지 손가락 볼록한 부분을 그립부(12)에 눌러대고, 약손가락(2004)을 손가락걸기용 돌기(21)에 댐에 의해, 엄지 손가락 볼록한 부분과 약손가락(2004)에 의해 촬상 장치(1)를 안정된 상태에서 지지할 수가 있고, 엄지손가락(2001), 집게손가락(2002) 및 가운데손가락(2003)을 자유롭게 움직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엄지손가락(2001)에 의해 촬영용 버튼(24)을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고, 집게손가락(2002) 및 가운데손가락(2003)에 의해 줌 키(14) 및 촬영 키(15)를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촬상 장치(1)가 안정된 지지 상태를 확보하고 나서 촬영용 버튼(24), 줌 키(14) 및 촬영 키(15)에 대한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손가락을 대는용 오목부(22)에 새끼손가락(2005)을 댐에 의해, 더욱 안정된 지지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줌 키(14)는 하방으로 가압되어 선택적으로 조작되는 제 1의 피조작부(14a)와 제 2의 피조작부(14b)가 전후로 격리하여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후면(12d)에 댄 엄지손가락(2001)과 손가락걸기용 돌기(21)에 댄 약손가락(2004)으로 전후에서 끼우도록 하여 촬상 장치(1)를 확실하게 지지한 상태에서, 줌 키(14)를 집게손가락(2002) 및 가운데손가락(2003)에 의해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장치(1)에서는, 그립부(12)의 앞면(12c)에 손가락을 대는용 오목부(2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엄지손가락(2001) 및 약손가락(2004) 이외에도 새끼손가락(2005)을 이용하여 촬상 장치(1)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그립부(12)를 엄지손가락(2001), 약손가락(2004) 및 새끼손가락(2005)을 이용하여 촬상 장치(1)를 파지한 경우에는, 각 손가락의 간격이 자연스럽게 벌어지게 되고, 줌 키(14) 및 촬영 키(15)에 대한 양호한 조작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지지상태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그립부(12)의 후면(12d)에 촬영용 버튼(24)을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촬상 장치(1)를 확실하게 파지한 상태에서, 촬영용 버튼(24)을 엄지손가락(2001)에 의해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더하여, 촬상 장치(1)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그립부(12)는 우측면(12a)의 개략 중앙부가 가장 오른쪽 방향에 위치하도록 팽출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손바닥(2000)을 그립부(12)에 눌러댄 상태에서 손바닥(2000)이 그립부(12)에 자연스러운 형태로 밀착되어, 양호한 파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는, 손가락걸기용 돌기(21)를 몸체(2)에 일체로 마련한 예를 나 타냈지만, 손가락걸기용 돌기(21)를 몸체(2)와는 다른 재료로 별체로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손가락걸기용 돌기(21)를 몸체(2)와는 별체로 마련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열가소성 일래스토머 등의 유연성이 높은 재료로 손가락걸기용 돌기(21)를 형성하여, 약손가락(2004)과의 양호한 접촉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에는, 새끼손가락(2005)을 그립부(12)의 앞면(12c)의 손가락을 대는용 오목부(22)에 대어 촬상 장치(1)를 지지하는 예(도 13 참조)를 나타냈지만, 손의 크기는 사용자에 의해 개인차가 있기 때문에, 손의 크기가 작은 사용자는, 새끼손가락을 앞면(12c)에 댈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립 벨트(2500)의 내측에 손을 하측에서 통과시키고, 손바닥(2000A)을 그립부(12)의 외면에 눌러대어 파지한 때에, 예를 들면, 엄지손가락(2001A)과 집게손가락(2002A)의 갈라지는 부분에서 쥠 돌기부(25)를 대도록 하고, 엄지손가락(2001A)을 후면(12d)에 대고, 집게손가락(2002A), 가운데손가락(2003A), 약손가락(2004A) 및 새끼손가락(2005A)을 윗면(12b)에 댄다. 이때 윗면(12b)에 댄 약손가락(2004A)을 손가락걸기용 돌기(21)에 전방에서 대고, 새끼손가락(2005A)은 약손가락(2004A)에 따르도록 하여 윗면(12d)에 댄다.
이와 같이 그립부(12)에 손가락걸기용 돌기(21)를 마련함에 의해, 손의 크기에 관계없이 촬상 장치(1)를 엄지손가락(2001A)과 약손가락(2004A)에 의해 손떨림이 생기기 어려운 상태에서 확실하게 지지하면서, 집게손가락(2002A) 및 가운데손가락(2003A)으로 줌 키(14)를 조작할 수 있다. 촬상 장치(1)에서는, 촬영시의 손떨림의 발생이 문제로 되기 때문에, 손가락걸기용 돌기(21)를 마련하여 지지 상태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것은 특히 유효하다. 또한, 손가락걸기용 돌기(21)는, 손이 작은 사용자가 촬영하는 경우에서도 지지 상태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역할을 다하는 것이고, 그립부(12)에 손가락걸기용 돌기(21)를 마련하는 것은, 손의 크기에 관계없이 손떨림의 발생의 방지를 도모하고, 흔들림이 적은 안정된 화상을 촬영하는 관점에서도 특히 유효하다.
장치 본체(3)의 후면(3c)에는 배터리(3000)가 부착된다(도 2 참조).
장치 본체(3)의 전단부는 개략 통(筒)형상의 경통부(27)로서 마련되고, 해당 경통부(27)의 외면에 상기 회전 조작 링(7, 8)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도 15 참조). 경통부(27)의 후면에는 광학 블록(28)가 부착되고, 해당 광학 블록(28)은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된 외측 프레임(28a)과 해당 외측 프레임(28a)의 내부에 배치된 줌렌즈 등의 가동(可動) 렌즈나 아이리스 기구 등의 필요한 각 부분을 갖고 있다.
몸체(2)는 복수의 부품이 결합됨에 의해 구성되고,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3)의 대부분을 구성하는 제 1의 메인 보디(29) 및 제 2의 메인 보디(30)와, 제 1의 메인 보디(29)의 우측면에 결합되고 그립부(12)를 구성하는 제 1의 측면 보디(31) 및 제 2의 측면 보디(32)와, 제 2의 메인 보디(30)의 좌측면 및 하면에 결합되는 측면 프레임(33)과, 제 1의 메인 보디(29) 및 제 2의 메인 보디(30)의 후면에 결합되고 배터리(3000)가 부착되는 후면 블록(34)과, 제 1의 메인 보디(29) 및 제 2의 메인 보디(30)의 윗면에 결합되는 상측 캐비닛(35)과, 손잡이(5)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측 캐비닛(35)에 결합되는 윗면 패널(36) 및 하면 패 널(37)과, 손잡이(5)의 전단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앞측 프레임(38)을 갖고 있다.
제 2의 측면 보디(32)는 제 1의 측면 보디(31)에 도시하지 않은 지지 기구에 의해 개폐 자유롭게 지지되고, 제 2의 측면 보디(32)가 제 1의 측면 보디(31)에 대해 개방됨에 의해, 그립부(12)의 내부에 테이프 카세트(1000)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2의 메인 보디(30)는 방열성이 높은 금속재료, 예를 들면, 마그네슘 다이캐스트에 의해 형성되고,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략 반원 통형상으로 형성된 통부(39)와 해당 통부(39)의 후단에 연속되고 장치 본체(3)의 내부에 위치되는 내측 프레임부(40)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통부(39)의 내측에는 외측 프레임(28a)이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된 광학 블록부(28)가 부착되어 배치된다.
내측 프레임부(40)의 전단부에는 수납부(41)가 마련되어 있다. 수납부(41)는 상벽면부(41a), 하벽면부(41b), 좌측 벽면부(41c) 및 후벽면부(41d)에 의해 전방 및 오른쪽 방향으로 개구된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납부(41)에는 촬상부(42)가 수납된다(도 19 참조). 촬상부(42)는,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리즘 홀더(43)와 해당 프리즘 홀더(43)에 부착된 색분해용의 프리즘(44)과 해당 프리즘(44)에 의해 분해된 광이 각각 입사되는 촬상 소자(45, 45, 45)와 해당 촬상 소자(45, 45, 45)의 구동용의 촬상 소자 기판(46, 46, 46)을 갖고 있다.
프리즘 홀더(43)는 전후 방향을 향하는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광학 블록 부(28)를 통하여 받아들여진 광이 투과되는 도시하지 않은 투과구멍을 갖고 있다. 프리즘 홀더(43)는 광학 블록부(28)의 후면에 부착되고, 프리즘 홀더(43)의 후면에 프리즘(44)이 부착되어 있다.
촬상 소자(45, 45, 45)는 각각 프리즘(44)의 상방, 후방 및 하방에 배치되고, 촬상 소자(45, 45, 45)의 프리즘(44)의 반대측의 면에는 각각 제 1의 방열판(47, 47, 47)을 끼우고 촬상 소자 기판(46, 46, 46)이 부착되어 있다.
제 1의 방열판(47, 47, 47)은, 촬상 소자(45, 45, 45)와 제 1의 방열판(47, 47, 47)에 의해 끼여진 도시하지 않은 흡열부와 해당 흡열부에 대해 90°절곡되어 마련된 방열부(47a, 47a, 47a)로 이루어진다. 방열부(47a, 47a, 47a)는 촬상 소자(45, 45, 45)의 왼쪽에서 좌우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위치되고, 방열부(47a, 47a, 47a)는 제 2의 방열판(48)에 부착되어 있다.
제 2의 방열판(48)은 좌우 방향을 향하고, 내면에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부착판(49)이 부착되어 있다. 제 2의 방열판(48)은 부착판(49)과 함께 수납부(41)의 좌측 벽면부(41c)의 내면에, 예를 들면, 나사 고정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촬상부(42)가 수납부(41)에 수납된 상태에서, 경통부(27)의 내부에 배치된 촬상 렌즈 및 광학 블록부(28) 등을 통하여 받아들여진 광은 프리즘 홀더(43)에 형성된 투과구멍으로부터 프리즘(44)에 입사된다. 프리즘(44)에 입사된 광은 색분해되어 각각 촬상 소자(45, 45, 45)에 입사되고, 해당 촬상 소자(45, 45, 45)에 의해 입사된 광에 의거한 화상 신호가 생성된다.
수납부(41)의 우측의 개구(41e)는 내측 프레임부(40)에 부착되는 차광 부 재(50)에 의해 폐색된다(도 16, 도 17 및 도 22 참조). 차광 부재(50)는, 예를 들면, 열가소성의 흑색의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차광 부재(50)에 의해 폐색된 수납부(41)에는, 프리즘 홀더(43)에 형성된 투과구멍으로부터 프리즘(44)에 입사된 촬영에 관여하는 광 이외의 광은 입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촬상 장치(1)에서는, 차광 부재(50)에 의해 프리즘(44)에의 촬영에 관여하는 광 이외의 광의 입사를 차단하기 때문에, 해당 프리즘(44)의 표면에 흑색의 도장을 시행할 필요가 없어서, 도장 공정을 생략할 수 있음과 함께 도료의 비용도 발생하지 않게 되고, 촬상 장치(1)의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내측 프레임부(40)의 우측면에는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기판부착판(51)이 부착된다(도 16 및 도 17 참조). 기판부착판(51)은 차광 부재(50)의 곧바로 우측에 배치되고, 기판부착판(51)의 우측면에는 제어 회로 기판(52)이 부착되어 있다. 제어 회로 기판(52)에는 촬상 장치(1)의 전체의 제어를 맡는 제어 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촬영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촬상 소자 기판(46, 46, 46)에 의해 촬상 소자(45, 45, 45)의 구동이 행하여지고, 이때 촬상 소자 기판(46, 46, 46)에 탑재된 전자 부품이 발열한다. 발생한 열은 촬상 소자 기판(46, 46, 46)으로부터, 차례로, 제 1의 방열판(47, 47, 47), 제 2의 방열판(48), 내측 프레임부(40)를 경유하여 통부(39)에 전달되고 해당 통부(39)로부터 외부로 방출된다.
한편, 이때 제어 회로 기판(52)에서도 발열이 생기지만, 이 열은 기판부착판(51)을 통하여 내측 프레임부(40)에 전달되고 통부(39)로부터 방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에서는, 촬상부(42)와 제어 회로 기판(52) 사이에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된 차광 부재(50)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차광 부재(50)가 촬상부(42)의 주위에서 발생한 열의 방사를 차단하는 칸막이로서 기능하고, 촬상부(42)를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장치(1)에서는, 차광 부재(50)에 의해 제어 회로 기판(52)에 발생한 열의 방사에 의한 전달이 차단되고, 제어 회로 기판(52)을 촬상부(42)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할 수 있고, 설계의 자유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2의 메인 보디(30)를 다이캐스트에 의해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높은 강성과 높은 방열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는, 제 2의 메인 보디(30)를 다이캐스트에 의해 형성하고, 차광 부재(50)를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제 2의 메인 보디(30)를 방열성이 높은 다른 재료에 의해 형성하여도 좋고, 차광 부재(50)를 차광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열전도율이 낮은 다른 재료에 의해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에는, 제어 회로 기판(52)에 발생한 열을 기판부착판(51)을 통하여 제 2의 메인 보디(30)로부터 방출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예를 들면, 제 1의 메인 보디(29)를 방열성이 높은 재료에 의해 형성하고, 제어 회로 기판(52)에 발생한 열을 기판부착판(51)을 통하여 제 1의 메인 보디(29)로부터 방출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촬상 장치(1)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촬상 소자 기판(46, 46, 46)에 탑재된 전자 부품에 발생한 열을, 제 1의 방열판(47, 47, 47)이 부착된 하나의 제 2의 방열판(48)을 통하여 방출하고 있기 때문에, 부품 갯수의 삭감을 도모하고 나서 방열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 1의 메인 보디(29) 및 제 2의 메인 보디(30)의 윗면에 결합되는 상측 캐비닛(35)은,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로 격리하여 마련된 돌기부(35a, 35a)와 해당 돌기부(35a, 35a)의 상단 사이에 위치하는 전후로 길다란 연설부(35b)를 갖고 있다. 연설부(35b)는 상방으로 개구된 얕은 오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측 캐비닛(35)의 연설부(35b)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방에서 윗면 패널(36)이 부착되고, 하방에서 하면 패널(37)이 부착된다.
하면 패널(37)은,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의 유연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5)를 파지한 때에 미끄러지기 어렵고, 양호한 파지성을 확보할 수 있다.
윗면 패널(36)의 전단부에는,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상방으로 개구된 제 1의 버튼 배치 오목부(53)와 제 2의 버튼 배치 오목부(54)가 전후로 격리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 1의 버튼 배치 오목부(53)는, 예를 들면, 평면으로 보아 원형형상으로 형성되고,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벽부(55)와 해당 저벽부(55)의 외주부에 마련된 원통형상의 주벽부(56)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저벽부(55)는 주벽부(56)의 상하 방향에서의 개략 중앙부에 마련되고, 저벽부(55)에는 외주부를 제외한 부분에 상하로 관통된 삽통구멍(55a)이 형성되어 있다.
제 1의 버튼 배치 오목부(53)에는 촬영 버튼(57)이 배치된다(도 23 및 도 24 참조). 촬영 버튼(57)에는 연결 부재(58)가 연결되고, 양자에 의해 버튼 유닛(59)이 구성된다. 연결 부재(58)는 상하 방향을 향하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된 가압판부(58a)와 해당 가압판부(58a)의 중앙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연결 돌기부(58b)로 이루어진다. 연결 부재(58)는 연결 돌기부(58b)의 상단부가 촬영 버튼(57)의 하면의 중앙부에 연결된다.
버튼 유닛(59)은,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돌기부(58b)가 삽통구멍(55a)에 하측에서 삽통되고, 윗면 패널(36)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지지된다.
제 2의 버튼 배치 오목부(54)는, 예를 들면, 평면으로 보아 전후로 길다란 개략 직사각형형상으로 형성되고,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벽부(60)와 해당 저벽부(60)의 외주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주벽부(61)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저벽부(60)의 전후 양단부에는 각각 상하로 관통된 버튼 삽통구멍(60a, 60a)이 형성되어 있다. 저벽부(60)의 중앙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지지 돌편(62)이 마련되고, 해당 지지 돌편(62)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앙부에 지지 오목홈(62a)이 형성되어 있다. 주벽부(61)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앙부에는, 각각 좌우로 돌출된 지지 핀(61a, 61a)이 마련되어 있다.
제 2의 버튼 배치 오목부(54)에는 줌 키(63)가 배치된다(도 23 및 도 24 참조). 줌 키(63)는 전후로 길게 형성되고, 전후 양단부가 각각 가압 조작부(63a, 63a)로 되고, 좌우 양측면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앙부의 하단부에 각각 좌우로 관통 된 피지지구멍(63b, 63b)이 형성되어 있다. 줌 키(63)의 하면에는, 전후 방향에서의 중앙부에 좌우로 늘어나는 피지지축(63c)이 마련되고, 전후 양단부에 하방으로 돌출된 가압 돌기부(63d, 63d)가 마련되어 있다.
줌 키(63)는 피지지축(63c)이 지지 돌편(62)의 지지 오목홈(62a)에 지지되고, 피지지구멍(63b, 63b)에 지지 핀(61a, 61a)이 삽입되고, 해당 지지 핀(61a, 61a)을 지점으로 하여 윗면 패널(36)에 회동 자유롭게 지지된다.
제 1의 버튼 배치 오목부(53)를 형성하는 주벽부(56) 및 제 2의 버튼 배치 오목부(54)를 형성하는 저벽부(60)에는, 하면측에서 받이부재(64)가 부착된다(도 27 참조).
받이부재(64)는, 고무 재료에 의해 전후로 길게 상하 방향을 향하는 개략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29 및 도 30 참조). 받이부재(64)는 원판부(65)와 해당 원판부(65)의 후방으로 연속한 직사각형판부(66)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원판부(65)는, 베이스면부(67)와 해당 베이스면부(67)의 외주부에서 상방으로 돌출하여 마련된 누름 리브부(68)와 베이스면부(67)의 중앙부에서 상방으로 돌출하여 마련된 스위칭 돌기부(69)로 이루어진다.
누름 리브부(68)의 내경은 제 1의 버튼 배치 오목부(53)를 형성하는 주벽부(56)의 외경과 같게 되어 있다.
스위칭 돌기부(69)는 베이스면부(67)에 연속하는 박육 힌지부(69a)와 해당 박육 힌지부(69a)의 상단에 연속하는 피가압부(69b)와 해당 피가압부(69b)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접점 조작부(69c)로 이루어진다. 박육 힌지부(69a)는 통형상 으로 형성되고 상방으로 감에 따라 지름이 작아지도록 되어 있다.
직사각형형상부(66)는 전후로 길게 형성되고, 베이스면부(70)와 해당 베이스면부(70)의 외주부에서 상방으로 돌출하여 마련된 누름 리브부(71)와 베이스면부(7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여 마련된 스위칭 돌기부(72, 72)로 이루어진다. 누름 리브부(71)의 일부는 원판부(65)의 누름 리브부(68)의 일부와 공통화되어 있다.
누름 리브부(71)의 속치수는 제 2의 버튼 배치 오목부(54)를 형성하는 저벽부(60)의 외국의 바깥치수와 같게 되어 있다.
스위칭 돌기부(72, 72)는 전후로 격리하여 마련되고, 원판부(65)의 스위칭 돌기부(69)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각 박육 힌지부(72a, 72a)와 피가압부(72b, 72b)와 접점 조작부(72c, 72c)로 이루어진다.
받이부재(64)는, 도 27, 도 30 및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위칭 돌기부(69)가 주벽부(56)의 내부에 위치되고, 스위칭 돌기부(72, 72)가 각각 삽통구멍(55a, 55a)을 하방으로부터 삽통되어 제 2의 버튼 배치 오목부(54)의 내부에 위치되고, 누름 리브부(68)가 주벽부(56)의 하단부에 바깥쪽에서 면접촉되고, 누름 리브부(71)가 저벽부(60)의 외주면에 바깥쪽에서 면접촉된 상태에서 상측 캐비닛(35)에 하측으로부터 부착된다. 이때 베이스면부(67, 70)는 주벽부(56)의 하면 및 저벽부(60)의 하면에 꽉 눌린다.
베이스면부(67, 70)의 주벽부(56) 및 저벽부(60)에의 눌러붙임은, 받이부재(64)가 주벽부(56) 및 저벽부(60)와 상측 캐비닛(35)상에 배치된 스위치용 회로 기판(73)에 의해 끼여 지지 됨으로써 행하여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받이부재(64)가 상측 캐비닛(35)에 부착된 상태에서, 버튼 유닛(59)은 연결 부재(58)의 가압판부(58a)의 중앙부가 스위칭 돌기부(69)의 피가압부(69b)에 상방에서 접촉하여 위치되고, 줌 키(63)는 가압 돌기부(63d, 63d)가 각각 스위칭 돌기부(72, 72)의 피가압부(72b, 72b)에 상방에서 접촉하여 위치된다.
상측 캐비닛(35)의 연설부(35b)의 윗면에는 스위치용 회로 기판(73)이 배치된다. 따라서, 스위치용 회로 기판(73)은 받이부재(64)와 상측 캐비닛(35)의 연설부(35b)에 의해 상하로부터 끼여 지지된다. 스위치용 회로 기판(73)에는 전후로 격리하여 접점(73a, 73b, 73b)이 형성되어 있다. 스위치용 회로 기판(73)은 연설부(35b)의 윗면에 배치된 제어 기판(74)에 접속되어 있다(도 23 및 도 24 참조).
촬영 버튼(57)이 가압 조작되면,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체로 되어 연결 부재(58)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피가압부(69b)가 가압되고 스위칭 돌기부(69)의 박육 힌지부(69a)가 탄성 변형되어 피가압부(69b)가 하방으로 이동된다. 피가압부(69b)가 하방으로 이동되면, 접점 조작부(69c)가 스위치용 회로 기판(73)의 접점(73a)에 맞닿는다. 이 접점 조작부(69c)가 접점(73a)에 맞닿은 상태에서는, 촬영 버튼(57)의 하단면은 저벽부(55)의 윗면에 접촉되어 있지 않다(도 32 참조).
촬영 버튼(57)이 계속해서 하방으로 이동되면,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가압부(69b)가 탄성 변형되어 접점 조작부(69c)가 접점(73a)을 하방으로 가압하고, 촬영 동작의 시작 또는 그 정지가 행하여진다. 촬영 버튼(57)의 하방으로의 이동은, 해당 촬영 버튼(57)의 하단면이 저벽부(55)의 윗면에 접할 때까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저벽부(55)는 촬영 버튼(57)의 하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한다.
줌 키(63)의 한쪽의 가압 조작부(63a)가 가압 조작되면,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압 돌기부(63d)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스위칭 돌기부(72)의 박육 힌지부(72a)가 탄성 변형되어 피가압부(72b)가 하방으로 이동된다. 피가압부(72b)가 하방으로 이동되면, 접점 조작부(72c)가 스위치용 회로 기판(73)의 접점(73b)에 맞닿는다. 이 접점 조작부(72c)가 접점(73b)에 맞닿은 상태에서는, 줌 키(63)의 하면은 저벽부(60)의 윗면에 접촉되어 있지 않다(도 32 참조).
줌 키(63)가 계속해서 하방으로 이동되면,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가압부(72b)가 탄성 변형되어 접점 조작부(72c)가 접점(73b)을 하방으로 가압하고, 줌 기능이 실행된다. 줌 키(63)의 하방으로의 이동은, 해당 줌 키(63)의 하면이 저벽부(60)의 윗면에 접할 때까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저벽부(60)는 줌 키(63)의 하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에서는, 고무 재료에 의해 형성된 받이부재(64)가 누름 리브부(68, 71)에서의 내주면이 각각 주벽부(56)의 외주면과 저벽부(60)의 외주면에 면접촉되고, 베이스면부(67, 70)가 각각 주벽부(56)의 하면과 저벽부(60)의 하면에 꽉 눌린다.
따라서, 제 1의 버튼 배치 오목부(53) 및 제 2의 버튼 배치 오목부(54)와 상측 캐비닛(35)의 내부가 연통되는 일이 없고, 해당 상측 캐비닛(35)의 내부로의 수분이나 먼지의 침입이 방지되고, 스위치용 회로 기판(73) 및 제어 기판(74)에 수분 이나 먼지가 부착하는 일이 없고, 동작의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1의 버튼 배치 오목부(53) 또는 제 2의 버튼 배치 오목부(54)에 수분이나 먼지가 침입한 경우에는, 침입한 수분이나 먼지는 제 1의 버튼 배치 오목부(53) 또는 제 2의 버튼 배치 오목부(54)에 저장된다.
또한, 촬상 장치(1)에서는, 촬영 버튼(57) 또는 줌 키(63)가 조작된 때에, 스위치용 회로 기판(73)의 접점(73a, 73b, 73b)에 접점 조작부(69c, 72c, 72c)가 접한 후에 촬영 버튼(57) 또는 줌 키(63)의 하면이 스토퍼로서 기능하는 저벽부(55, 60)의 윗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촬영 버튼(57) 또는 줌 키(63)의 하면이 저벽부(55, 60)의 윗면에 접촉된 때에는, 스위칭 돌기부(69, 72)의 탄성 변형에 의해 촬영 버튼(57) 및 줌 키(63)의 하방으로의 이동 속도가 저하되어 있고, 촬영 버튼(57) 또는 줌 키(63)의 저벽부(55, 60)에의 접촉시에 양자의 접촉음을 저감할 수 있다.
특히, 촬영 버튼(57) 또는 줌 키(63)의 부근에 마이크로폰 등의 음성 입력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접촉음의 저감에 의해 음성 입력 수단에의 이음(異音)의 입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장치(1)에서는, 몸체(2)의 일부인 저벽부(55, 60)를 각각 촬영 버튼(57)과 줌 키(63)의 하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로서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별도로 전용의 스토퍼를 마련할 필요없이, 부품 갯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수분이나 먼지의 침입을 방지함과 함께 이음의 발생을 방지하 는 구조는, 촬영 버튼(57) 및 줌 키(63) 이외의 각종의 조작 수단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구조의 적용은 슬라이드 조작되는 조작 수단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손잡이(5)의 후단부에는 파인더(75)가 회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파인더(75)는 전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후단부가 개략 상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파인더(75)는,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76)와 해당 본체부(76)에 장착되는 장착부(77)로 이루어진다.
본체부(76)는, 도 35 내지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측으로부터 차례로, 바깥 몸체 홀더(78), 화상 출력부(79), 지지 홀더(80), 회전 링(81) 및 결합부재(82)를 갖고 있다.
바깥 몸체 홀더(78)는 전방으로 개구된 바닥이 깊은 주발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단부가 피지지부(78a)로서 마련되어 있다. 바깥 몸체 홀더(78)는 피지지부(78a)가 손잡이(5)의 후단부에 회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바깥 몸체 홀더(78)는 후반부를 제외하고 횡단면 형상이 가로가 길다란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깥 몸체 홀더(78)의 후단부에서의 하단부에는 상하로 관통된 지지 구멍(78b)이 형성되어 있다(도 36 참조).
바깥 몸체 홀더(78)의 지지 구멍(78b)에는 로크 해제 손잡이(83)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로크 해제 손잡이(83)에는 상방으로 돌출되고 바깥 몸체 홀더(78)의 내부에 위치된 연결부(83a)가 마련되어 있다(도 35 참조).
바깥 몸체 홀더(78)의 내부에는, 좌우 양단부에 각각 나사 고정 나사구멍을 갖는 나사 고정부(78c, 78c)가 마련되어 있다.
화상 출력부(79)는 지지 홀더(80)의 후면에 부착되어 있다(도 35 및 도 36 참조). 화상 출력부(79)는 지지 프레임(79a)과 해당 지지 프레임(79a)의 내부에 지지된 표시 패널(79b)과 지지 패널(79a)의 후단부에 부착되고 표시 패널(79b)에의 화상의 출력 등을 행하는 패널용 기판(79c)을 갖고 있다.
지지 홀더(80)는, 도 35 및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로가 길다란 개략 타원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면부(80a)와 해당 베이스면부(80a)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지지 링부(80b)와 베이스면부(80a)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부착부(80c)로 이루어진다. 지지 링부(80b)는 원형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부착부(80c)에는 화상 출력부(79)가 부착된다. 베이스면부(80a)의 좌우 양단 부근의 위치에는, 각각 나사용 삽통구멍(80e, 80e)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 홀더(80)에는 베이스면부(80a)의 좌우 양단부에 각각 측방으로 개구된 릴리프용 노치(80d, 80d)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 링(81)은, 원형상으로 형성된 링부(84)와, 해당 링부(84)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로크용 돌기부(85, 85, …)로 이루어진다.
링부(84)의 외주면에는 스프링 걸이 돌기부(84a)가 마련되어 있다.
로크용 돌기부(85, 85, …)는 링부(84)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격리하여 마련되고, 선단부가 각각 로크 걸이(86, 86, …)로서 마련되어 있다. 로크 걸이(86, 86, …)는 로크용 돌기부(85, 85, …)의 다른 부분보다도 내측방향으로 돌 출되어 있다. 로크용 돌기부(85, 85, …)중, 하방에 위치하는 로크용 돌기부(85)에는 로크 걸이(86)보다 오른쪽 방향으로 돌출된 연결편(85a)이 마련되어 있다.
로크 걸이(86, 86, …)의 후면(선단면)은 각각 활주 경사면(86a, 86a, …)으로서 형성되고, 둘레 방향, 예를 들면, 후방에서 보아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감에 따라 전방으로 변위하도록 경사되어 있다.
회전 링(81)은 지지 홀더(80)의 지지 링부(80b)에 외감(外嵌)상태로 지지되고, 해당 지지 링부(80b)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결합부재(82)는 외형이 가로가 길다란 타원형상으로 형성된 판형상의 베이스부(87)와 해당 베이스부(87)의 외주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주면부(88)로 이루어진다.
베이스부(87)의 중앙부에는 투과구멍(87a)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87)에는 투과구멍(87a)의 주위의 위치에, 각각 거의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돌기부 삽통구멍(87b, 87b, …)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87)의 외주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스프링 걸이 축(87c)이 마련되어 있다. 베이스부(87)의 하단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회전 규제 돌기부(87d)가 마련되어 있다. 베이스부(87)의 좌우 양단 부근의 위치에는, 각각 나사 삽통구멍(87e, 87e)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87)의 좌우 양단 부근의 위치에는, 각각 후방으로 돌출된 나사 고정 보스(87f, 87f)가 마련되어 있다.
주면부(88)의 좌우 양단부에는, 그 내면에 전후로 늘어나는 안내부(88a, 88a)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회전 링(81)이 지지된 지지 홀더(80)는, 나사용 삽통구멍(80e, 80e)에 각각 삽통된 나사부재(89, 89)가 나사 고정 보스(87f, 87f)에 나사결합됨에 의해 결합부재(82)에 고정되고, 회전 링(81)의 로크용 돌기부(85, 85, …)가 결합부재(82)의 돌기부 삽통구멍(87b, 87b, …)에 각각 전방에서 삽통된다. 따라서, 회전 링(81)은 지지 홀더(80)의 베이스면부(80a)와 결합부재(82)의 베이스부(87)에 의해 전후로부터 끼여진 상태에서 지지 홀더(80) 및 결합부재(8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된다.
지지 홀더(80)가 결합부재(82)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 링(81)의 스프링 걸이 돌기부(84a)와 결합부재(82)의 스프링 걸이 축(87c) 사이에, 예를 들면, 인장 코일 스프링인 가세 스프링(90)이 지지된다. 따라서, 회전 링(81)은 후방에서 보아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가세되고, 반시계 회전방향으로의 회전은 링부(84)의 일부가 결합부재(82)의 회전 규제 돌기부(87d)에 접함에 의해 규제된다.
회전 링(81)에서, 반시계 회전방향으로의 이동단이 로크 위치로 되고, 시계회전 방향으로의 이동단이 로크 해제 위치로 된다.
지지 홀더(80)가 고정된 결합부재(82)는, 나사 삽통구멍(87e, 87e)에 각각 삽통된 부착 나사(91, 91)가 지지 홀더(80)의 릴리프용 노치(80d, 80d)를 통과하여 나사 고정부(78c, 78c)에 나사결합됨에 의해 바깥 몸체 홀더(78)에 고정된다. 결합부재(82)가 바깥 몸체 홀더(78)에 고정됨에 의해,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 출력부(79), 지지 홀더(80), 회전 링(81) 및 결합부재(82)가 바깥 몸체 홀더(78)의 내부에 배치된다.
결합부재(82)가 바깥 몸체 홀더(78)에 고정된 때에는, 로크 해제 손잡이(83) 의 연결부(83a)가 회전 링(81)의 연결편(85a)에 오른쪽 방향으로부터 계합되어 연결된다. 따라서, 가세 스프링(90)의 가세력이 회전 링(81)을 통하여 로크 해제 손잡이(83)에 부여되고, 해당 로크 해제 손잡이(83)는 우측의 이동단에 위치된다. 따라서, 로크 해제 손잡이(83)는, 회전 링(81)이 로크 위치에 있는 때에 우측의 이동단인 제 1의 조작 위치에 위치된다.
파인더(75)의 장착부(77)에는, 후단부에 결합용 돌기부(92)가 마련되어 있다(도 35 및 도 37 참조). 결합용 돌기부(92)는 가로가 길다란 타원형상으로 형성된 감합 돌기부(93)와 해당 감합 돌기부(93)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장착용 돌기부(94)로 이루어진다.
감합 돌기부(93)의 좌우 양단부에는 각각 측방 및 전방으로 개구된 피안내부(93a, 93a)가 마련되어 있다.
장착용 돌기부(94)는 외형이 개략 원형형상으로 형성되고,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격리하여 피로크부(95, 95, …)가 마련되어 있다. 피로크부(95, 95, …)는 장착용 돌기부(94)의 전단부에 설치되고,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피로크부(95, 95, …)의 앞면은 활주면(95a, 95a, …)으로서 형성되고, 전방에서 보아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감에 따라 후방으로 변위하도록 경사되어 있다.
장착부(77)의 내부에는 렌즈(96, 96, 97)가 배치되어 있다. 렌즈(96, 96)는 고정 렌즈이고, 렌즈(97)는 가동 렌즈이고 렌즈(96, 96)의 후방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하에, 파인더(75)에서의 본체부(76)와 장착부(77)의 결합시 및 결합의 해 제시에 있어서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도 39 내지 도 44 참조).
장착부(77)의 장착용 돌기부(94)를 본체부(76)의 결합부재(82)에 후방에서 삽입하여 간다. 장착용 돌기부(94)를 결합부재(82)에 삽입하여 가면, 결합부재(82)의 안내부(88a, 88a)에 장착부(77)의 피안내부(93a, 93a)가 안내되고, 회전 링(81)의 로크 걸이(86, 86, …)에서의 활주 경사면(86a, 86a, …)에 각각 피로크부(95, 95, …)의 활주면(95a, 95a, …)이 접촉된다(도 39 참조).
장착용 돌기부(94)를 결합부재(82)에 더욱 삽입하여 가면, 활주 경사면(86a, 86a, …)이 활주면(95a, 95a, …)에 가압되고, 도 4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활주 경사면(86a, 86a, …)이 활주면(95a, 95a, …)상을 활주되어 회전 링(81)이 가세 스프링(90)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후방에서 보아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되어 간다.
회전 링(81)이 후방에서 보아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되어 활주 경사면(86a, 86a, …)의 선단이 활주면(95a, 95a, …)의 선단을 타고 넘으면, 도 4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로크부(95, 95, …)가 각각 로크 걸이(86, 86, …)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되어 간다.
로크 걸이(86, 86, …)가 피로크부(95, 95, …)의 후방에 위치되면, 가세 스프링(90)의 가세력에 의해 회전 링(81)이 후방에서 보아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되고(도 42 참조), 로크 걸이(86, 86, …)의 앞면이 피로크부(95, 95, …)의 후면에 계합되어 장착부(77)가 로크된 상태에서 본체부(76)에 장착되고, 본체부(76)와 장착부(77)가 결합된다.
록 해제 손잡이(83)는, 본체부(76)와 장착부(77)가 결합되는 동작 중에는 이 동되지 않고 제 1의 조작 위치에 있다.
장착부(77)의 본체부(76)에 대한 로크의 해제는, 도 4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 해제 손잡이(83)를 조작하여 제 2의 조작 위치까지 이동시켜서 로크 걸이(86, 86, …)와 피로크부(95, 95, …)의 계합을 해제함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로크 해제 손잡이(83)를 제 2의 조작 위치까지 이동시킨 상태에서, 장착부(77)를 본체부(76)에 대해 후방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양자의 결합이 해제되고, 로크 해제 손잡이(83)에 대한 조작을 해제함에 의해, 도 4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 해제 손잡이(83)가 가세 스프링(90)의 가세력에 의해 재차 제 1의 조작 위치까지 이동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에서는, 본체부(76)와 장착부(77)의 결합을 회전 링(81)의 로크 걸이(86, 86, …)와 장착부(77)의 피로크부(95, 95, …)의 계합에 의해 행하고, 본체부(76)와 장착부(77)의 결합을 렌즈(96, 96, 97)의 광축 방향에서 행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낙하 충격 등에 의해 파인더(75)에 큰 외력이 부여된 때에 회전 링(81)이 회전하여 장착부(77)가 본체부(76)로부터 벗겨지기 쉽고, 예를 들면, 본체부와 장착부의 결합을 광축에 직교한 방향으로 장착부를 본체부에 대해 슬라이드 함에 의해 행하는 경우와 같은 양자의 결합의 해제가 행하여지기 어렵다는 문제가 적고, 파인더(75)의 파손이나 변형의 발생률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낙하 충격시 등의 파인더(75)의 파손이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파인더(75)의 본체부(76)와 장착부(77)의 결합부분을 강고한 재료에 의해 형성하거나 파인더(75)를 강고한 구성으로 할 필요가 없고, 그만큼, 결합 기구를 간소한 기구로 하여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장치(1)에서는, 바깥 몸체 홀더(78)나 장착부(77) 등의 광축 방향에서 본 외형상을 타원형상으로 형성하고, 회전 링(81)의 외주측에 안내부(88a, 88a) 및 피안내부(93a, 93a)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파인더(75)를 필요 최소한의 크기로 구성하면서 장착부(77)의 본체부(76)에 대한 장착을 용이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 링(81)의 외주측의 위치에 결합부재(82)의 바깥 몸체 홀더(78)에의 고정용의 나사 고정 부분인 나사 삽통구멍(87e, 87e) 및 나사 고정부(78c, 78c)와, 지지 홀더(80)의 결합부재(82)에의 고정용의 나사 고정 부분인 나사용 삽통구멍(80e, 80e) 및 나사 고정 보스(87f, 87f)를 형성함에 의해, 파인더(75)의 소형화를 한층더 도모할 수 있다.
더하여, 로크 해제 손잡이(83)에 회전 링(81)을 통하여 가세 스프링(90)의 가세력이 부여되는 구성으로 함에 의해, 로크 해제 손잡이(83)를 제 1의 조작 위치로 되돌리기 위한 전용의 스프링을 마련할 필요가 없이, 부품 갯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손잡이(5)의 전단부에는 오른쪽 방향으로 돌출된 단자용 돌기부(98)가 마련되고(도 3, 도 4 및 도 45 참조), 해당 단자용 돌기부(98)의 우측면에 전후로 격리하여 2개의 음성 입력단자(99, 99)가 마련되어 있다(도 46 참조). 음성 입력단자(99, 99)는 다른 채널에 대응한 단자이고, 예를 들면, 앞측의 음성 입력단자(99) 가 1채널용, 후측의 음성 입력단자(99)가 2채널용으로 되어 있다.
단자용 돌기부(98)의 윗면에는 착탈 가능한 마이크로폰 홀더(100)가 부착되고, 해당 마이크로폰 홀더(100)에 마이크로폰(101)이 부착되어 지지된다. 마이크로폰(101)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폰 본체(101a)와 해당 마이크로폰 본체(101a)의 일단면으로부터 인출된 코드(101b)와 해당 코드(101b)에 접속된 커넥터(101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마이크로폰(101)은 마이크로폰 본체(101a)의 일단부가 마이크로폰 홀더에 삽통되어 지지되고, 커넥터(101c)가 어느 하나의 음성 입력단자(99)에 접속된다.
손잡이(5)의 전단부에서의 좌측면에는 회전 다이얼(102, 102)이 전후로 격리하여 배치되어 있다(도 4 및 도 45 참조). 회전 다이얼(102, 102)은 각각 음성 입력단자(99, 99)의 왼쪽에 대응하여 위치되고, 예를 들면, 마이크로폰(101)으로부터 음성 입력단자(99, 99)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레벨(음량)을 조절하는 다이얼이다. 회전 다이얼(102, 102)은 채널 수에 관해 음성 입력단자(99, 99)가 나열하는 순번과 같은 순번으로 나열되어 있고, 예를 들면, 앞측의 회전 다이얼(102)이 1채널용, 후측의 회전 다이얼(102)이 2채널용으로 되어 있다.
회전 다이얼(102, 102)은, 장치 본체(3)의 전단부에 배치된 상기 회전 조작 링(7, 8)의 바로위에 위치되어 있다(도 2 참조). 회전 다이얼(102, 102)은, 각각 좌우 방향으로 늘어나는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조작되고, 회전 조작 링(7, 8)의 회전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회전 다이얼(102, 102)의 조작 방향과 회전 조작 링(7, 8)의 조작 방향이 직교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다이얼(102, 102)의 조작시에 잘못하여 회전 조작 링(7, 8)을 회전시켜 버리는 일이 없음과 함께 회전 조작 링(7, 8)의 조작시에 잘못하여 회전 다이얼(102, 102)을 회전시켜 버리는 일이 없어, 오조작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손잡이(5)의 전단부에서의 좌측면의 하단부에는 왼쪽 및 하방으로 개구된 조작용 노치(5a)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 다이얼(102, 102)은, 그 하단부가 조작용 노치(5a)에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용 노치(5a)에 손가락을 삽입하고 회전 다이얼(102, 102)에 댐에 의해, 그 회전 다이얼(102, 102)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에서는, 손잡이(5)의 전단부에서의 한쪽의 측면에 음성 입력단자(99, 99)를 마련하고, 손잡이(5)의 전단부에서의 다른쪽의 측면에 회전 다이얼(102, 102)을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촬영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시인하기 쉬운 피사체측에 회전 다이얼(102, 102)이 위치되어,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다이얼(102, 102)이 장치 본체(3)에서의 사용자측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촬영시에 회전 다이얼(102, 102)이 사용자에게 의도하지 않게 접촉하여 회전하여 버린다는 오조작의 우려도 없고, 사용감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각 음성 입력단자(99, 99)에 채널 수에 관해 대응하는 각 회전 다이얼(102, 102)이 음성 입력단자(99, 99)가 나열한 순번과 같은 순번으로 나열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한쪽의 음성 입력단자(99)에 마이크로폰(101)의 커넥 터(101c)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조작해야 할 회전 다이얼(102)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오조작의 방지에 의한 사용감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더하여, 촬상 장치(1)에서는, 손잡이(5)의 사용자측의 단부에 파인더(75)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파인더(75)를 들여다보고 사용한 상태에서 회전 다이얼(102, 102)을 시인하면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도 4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쪽의 손(2006)으로 그립부(12)를 파지하고, 다른쪽의 손(2007)으로 손잡이(5)를 파지하여 파인더(75)를 사용하면서 회전 다이얼(102, 102)을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여, 조작성 및 파지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파인더(75)를 사용하고 있는 때에, 회전 다이얼(102, 102)의 시인성 및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예를 들면, 도 4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잡이(5)의 전단부에 전방으로 감에 따라 왼쪽으로 변위하는 경사면(103)을 형성하고, 해당 경사면(103)에 회전 다이얼(102, 102)을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마찬가지로 회전 다이얼(102, 102)의 시인성 및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예를 들면, 도 5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잡이(5)의 전단부에 단차면(104)을 형성하고, 그 단차면(104)의 전후에 각각 회전 다이얼(102, 102)을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마찬가지로 회전 다이얼(102, 102)의 시인성 및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예를 들면, 도 5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다이얼(102, 102)을 좌 우로 길다란 원주형상으로 형성하고 외주면에 표시(102a, 102a)를 붙이도록 하여도 좋다.
더하여, 마찬가지로 회전 다이얼(102, 102)의 시인성 및 조작성을 도모하기 위해, 예를 들면, 도 5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다이얼(102, 102)을 전후로 격리함과 함께 상하로도 격리하여 배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에는, 2개씩의 음성 입력단자(99, 99) 및 회전 다이얼(102, 102)을 마련한 예를 나타냈지만, 음성 입력단자(99) 및 회전 다이얼(102)의 수는 2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동수라면 각각 3개 이상 마련하여도 좋다.
상기한 최선의 형태에서 나타낸 각 부분의 구체적인 형상 및 구조는, 어느 것이나 본 발명을 실시할 때의 구체화의 그저 한 예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고,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적으로 해석되는 일이 있어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도 2 내지 도 51과 함께 본 발명의 최선의 형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본 도면은 촬상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촬상 장치를 도 1과는 다른 방향에서 본 상태에서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촬상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촬상 장치를 도 3과는 다른 방향에서 본 상태에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표시부가 열린 상태에서 도시하는 촬상 장치의 사시도.
도 6은 그립부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도 7은 그립부를 다른 각도에서 본 상태에서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도 8은 그립부가 열린 상태를 테이프 카세트와 함께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도 9는 테이프형상 기록 매체의 조정이 행하여지는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도 10은 커버가 떼어내진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1은 복수 종류의 커버의 갈아붙임이 가능한 것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12는 커버의 확대 사시도.
도 13은 그립부가 파지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4는 그립부가 파지된 다른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5는 경통부와 광학 블록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6은 촬상부와 그 주위에 마련되는 각 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7은 촬상부와 그 주위에 마련되는 각 부분을 다른 각도에서 본 상태에서 도시하는 사시도.
도 18은 경통부에 제 2의 측면 보디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9는 촬상부가 수납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0은 촬상부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도 21은 촬상부를 도 20과는 다른 각도에서 본 상태에서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도 22는 수납부에 차광 부재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3은 상측 캐비닛과 이것에 배치되는 각 부분을 도시하는 확대 분해 사시도.
도 24는 상측 캐비닛과 이것에 배치되는 각 부분을 도 23과는 다른 각도에서 본 상태에서 도시하는 확대 분해 사시도.
도 25는 촬영 버튼 및 줌 키의 배치 구조를 도시하는 확대 분해 사시도.
도 26은 촬영 버튼 및 줌 키의 배치 구조를 도 25와는 다른 각도에서 본 상태에서 도시하는 확대 분해 사시도.
도 27은 촬영 버튼 및 줌 키의 배치 구조를 도시하는 확대 종단면도.
도 28은 받이부재의 확대 사시도.
도 29는 받이부재의 확대 단면도.
도 30은 촬영 버튼의 배치 구조를 도시하는 확대 횡단면도.
도 31은 줌 키의 배치 구조를 도시하는 확대 횡단면도.
도 32는 촬영 버튼 및 줌 키가 조작되어 받이부재의 접점 조작부가 접점에 접한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종단면도.
도 33은 도 32에 계속해서, 촬영 버튼 및 줌 키가 스토퍼에 접하여 이동이 규제된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종단면도.
도 34는 본체부와 장착부를 분리한 상태에서 도시하는 파인더의 사시도.
도 35는 파인더의 분해 사시도.
도 36은 파인더의 단면도.
도 37은 파인더의 일부를 도시하는 확대 분해 사시도.
도 38은 파인더의 저면도.
도 39는 도 40 내지 도 44와 함께 본체부와 장착부의 결합 동작을 도시하는 것으로, 본 도면은, 장착부의 피로크부가 본체부의 로크부에 접촉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40은 도 39에 계속해서, 피로크부의 활주면이 로크 걸이의 활주 경사면상을 활주되어, 회전 링이 회전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41은 피로크부의 활주면의 선단이 로크 걸이의 활주 경사면의 선단을 타고 넘은 상태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42는 피로크부에 로크 걸이가 계합되어 장착부가 본체부에 로크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43은 로크 해제 손잡이가 조작되어 본체부의 장착부에 대한 로크가 해제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44는 로크 해제 손잡이에 대한 조작이 해제되어 해당 로크 해제 손잡이가 제 1의 조작 위치로 돌아온 상태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45는 마이크로폰이 손잡이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도 46은 손잡이의 일부와 마이크로폰을 도시하는 확대측면도.
도 47은 손잡이의 일부와 마이크로폰을 도 46과는 반대측에서 본 상태에서 도시하는 확대측면도.
도 48은 양손으로 파지된 상태에서 도시하는 촬상 장치의 사시도.
도 49는 회전 다이얼이 경사면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도 50은 회전 다이얼이 단차의 전후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도 51은 측방으로 돌출된 회전 다이얼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촬상 장치 2 : 몸체
12 : 그립부 13 : 커버
13a : 피부착부 13b : 피압당부
18 : 메카니컬 덱 20a : 조정구멍
20b : 조정구멍 1001 : 테이프형상 기록 매체
2000 : 손바닥

Claims (3)

  1. 기록 재생용의 테이프형상 기록 매체의 구동을 행하는 메카니컬 덱을 구비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촬영시에 사용자가 손바닥을 눌러대어 파지하는 그립부를 마련하고, 해당 그립부의 내측에 메카니컬 덱이 배치되고,
    그립부가 몸체의 일부와 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된 커버에 의해 구성되고,
    그립부로서 마련된 몸체의 상기 일부에 커버에 의해 개폐되고 메카니컬 덱에 대한 조정용의 조정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로서 형상이 다른 복수의 종류의 갈아붙임이 가능한 갈아붙임 커버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를 몸체에 부착되는 피부착부와 손바닥이 눌려 닿는 피압당부를 두께 방향으로 적층하여 형성하고,
    피부착부로서 수지 재료를 사용하고,
    피압당부로서 일래스토머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KR1020070067959A 2006-07-12 2007-07-06 촬상 장치 KR200800064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92085 2006-07-12
JP2006192085A JP2008022274A (ja) 2006-07-12 2006-07-12 撮像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460A true KR20080006460A (ko) 2008-01-16

Family

ID=38971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7959A KR20080006460A (ko) 2006-07-12 2007-07-06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018782A1 (ko)
JP (1) JP2008022274A (ko)
KR (1) KR20080006460A (ko)
CN (1) CN101106642A (ko)
TW (1) TW20081888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04829B2 (en) * 2006-12-20 2014-08-12 Microsoft Corporation Offline motion description for video generation
CN101359154B (zh) * 2007-07-30 2010-06-0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相机把手及其制造方法
JP5570346B2 (ja) * 2010-08-18 2014-08-1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5631116B2 (ja) 2010-08-24 2014-11-2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5921274B2 (ja) * 2012-03-22 2016-05-24 株式会社東芝 電池の製造装置及び電池の製造方法
JP2014199801A (ja) * 2012-12-28 2014-10-23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非水系二次電池およびセパレータ
JP2014204255A (ja) 2013-04-04 2014-10-27 ソニー株式会社 カメラ装置およびマウントアダプタ
GB201507347D0 (en) * 2015-04-29 2015-06-10 Tomtom Int Bv Camera mounting system
USD836152S1 (en) * 2016-08-31 2018-12-18 Fujifilm Corporation Lens for camera
JP6980576B2 (ja) * 2018-03-19 2021-12-1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22129930A (ja) * 2021-02-25 2022-09-0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操作部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80788A (ja) * 1990-03-29 1991-12-11 Sony Corp ビデオカメラ
JP3208621B2 (ja) * 1993-07-12 2001-09-17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US5964424A (en) * 1996-09-20 1999-10-12 Sony Corporation Cassette container capable of accommodating plural kinds of cassettes of different sizes
JP4151003B2 (ja) * 2002-09-13 2008-09-17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カメラ一体型記録再生装置
JP2004117859A (ja) * 2002-09-26 2004-04-15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および該カメラのグリップの成形方法
TWI253296B (en) * 2004-08-18 2006-04-11 Realtek Semiconductor Corp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saving bandwid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06642A (zh) 2008-01-16
US20080018782A1 (en) 2008-01-24
TW200818881A (en) 2008-04-16
JP2008022274A (ja) 200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06460A (ko) 촬상 장치
KR20080006467A (ko) 촬상 장치
JP4264839B2 (ja) 撮像装置
US20060192890A1 (en) Electronic device
JP2005079019A (ja) 電子機器
JP7000082B2 (ja) 電子機器
US20220272236A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that is reduced in size and has high operability, and operation member
JP4780404B2 (ja) ファインダー及び撮像装置
JP2008021525A (ja) 電子機器の釦構造及び電子機器
US5657084A (en) Video tape recorder integrated with camera
JP2008020645A (ja) 撮像装置
JP4396211B2 (ja) レンズキャップ及び撮像装置
EP1793383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mage capturing apparatus
JP2010002514A (ja) 電子機器
JP2000050119A (ja) レンズ駆動装置
JP3511771B2 (ja) ファインダ装置
JP7098410B2 (ja) 電子機器
JP4264546B2 (ja) 撮像装置
JP2010109943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5208428A (ja) 回動ヒンジ機構及び撮像装置
JP2005215078A (ja) 電子機器
JP2010004179A (ja) 電子機器及びその蓋体取付方法
JP2002042059A (ja) 蓋開閉装置
JPH0435277A (ja) 撮像装置
JP2009159117A (ja) 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