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2649A - 광학 소자, 광학 소자의 제조 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소자, 광학 소자의 제조 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2649A
KR20080002649A KR1020070064528A KR20070064528A KR20080002649A KR 20080002649 A KR20080002649 A KR 20080002649A KR 1020070064528 A KR1020070064528 A KR 1020070064528A KR 20070064528 A KR20070064528 A KR 20070064528A KR 20080002649 A KR20080002649 A KR 20080002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monomer
layer
phase dif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4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0248B1 (ko
Inventor
고지 이시자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2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0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0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38Polymers
    • C09K19/3833Polymers with mesogenic groups in the side chain
    • C09K19/3842Polyvinyl derivatives
    • C09K19/3852Poly(meth)acrylate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52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which are not liquid crystals, e.g. additives with special physical aspect: solvents, solid particles
    • C09K19/54Additives having no specific mesophase characterised by their chemical composition
    • C09K19/56Align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06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 C09K19/08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 C09K19/10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 C09K19/20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carbon and oxygen atoms as chain links, e.g. esters or ethers
    • C09K19/2007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carbon and oxygen atoms as chain links, e.g. esters or ethers the chain containing -COO- or -OCO- group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2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with refractive index ellipsoid inclined relative to the LC-layer surfac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2019/044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characterized by a linking chain between rings or ring systems, a bridging chain between extensive mesogenic moieties or an end chain group
    • C09K2019/0448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characterized by a linking chain between rings or ring systems, a bridging chain between extensive mesogenic moieties or an end chain group the end chain group being a polymerizable end group, e.g. -Sp-P or 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Viewing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using mesogenic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413/00Indexing scheme related to G02F1/13363, i.e. to 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position, orientation or value of the compensation plates
    • G02F2413/10Indexing scheme related to G02F1/13363, i.e. to 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position, orientation or value of the compensation plates with refractive index ellipsoid inclined, or tilted, relative to the LC-layer surface O plate
    • G02F2413/105Indexing scheme related to G02F1/13363, i.e. to 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position, orientation or value of the compensation plates with refractive index ellipsoid inclined, or tilted, relative to the LC-layer surface O plate with varying inclination in thickness direction, e.g. hybrid oriented discotic L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과제] 재료 선택에만 의존하지 않고 위상차의 시야각 의존성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로써, 위상차가 원하는 시야각 의존성을 가지는 광학 소자의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학 소자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중합성 액정 모노머를 하이브리드 배향시켜서 이루어지는 광학 소자(100)에 있어서, 배향 처리된 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유지하여 배향되는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 M1과 배향 처리된 면에 대하여 하이브리드 배향되는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 M2를 사용하여 구성되는 동시에,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 M1과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 M2의 함유비에 의해 위상차의 시야각 의존성이 제어된다.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 M1을 사용하여 구성된 배향막 위의 제1 층(101)과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 M2를 사용하여 구성된 제1 층(101) 위의 제2 층(102)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며, 2층을 합한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와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의 함유비에 의해 위상차의 시야각 의존성이 제어된다.
액정; 배향; 하이브리드; 시야각; 광학 소자; 위상차

Description

광학 소자, 광학 소자의 제조 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OPTICAL DEVICE,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EVICE}
도 1은 실시예의 광학 소자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제1 실시예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제2 실시예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제3 실시예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3의 광학 소자에 있어서의 위상차의 시야각 의존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실시예 3의 각 광학 소자에 있어서의 위상차의 시야각 의존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 1c: 액정 표시 장치 11, 21: 투명 기판 23: 배향판
24: 하이브리드 위상차층(광학 소자) 100: 광학 소자
LC: 액정층 Ml: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
M2: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액정 분자를 경사 배향시켜서 이루어지는 광학 소자, 이 광학 소자의 제조 방법, 및 이 광학 소자를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액정 표시 장치에 내장되어 있는 광학 소자로서는, 중합형 액정 재료로 이루어지는 광학 소자가 알려져 있으며,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흡수형 원 편광판(λ/4 위상차층, λ/2 위상차층)이나, 직선 편광판, 각종 액정 모드의 시각 보상층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ECB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액정 분자를 경사 배향시켜서 이른바 하이브리드(hybrid) 구조로 한 광학 소자를 위상차층으로서 형성함으로써, 넓은 시야각을 얻을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즉, 액정 분자를 경사 배향시킨 광학 소자(위상차층)에서의 위상차는, 시야각 의존성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므로, ECB 모드의 액정 셀에 있어서, 흑(黑) 표시시의 액정층 LC의 잔류 위상차가 지워지도록, 위상차가 소정의 시야각 의존성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구조의 광학 소자(위상차층)를 조합시켜서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넓은 시야각을 확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위상차층(광학 소자)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나 계면활성제 등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기판상에 도포한 후, 광 조사나 가열에 의해 중합성 액체 화합물을 중합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넓은 면적에 불균일하지 않으며, 용이하 게 조성물을 도포하기 위하여, 조성물의 점도를 높게 유지하여, 실온에서 방치해도 결정이 잘 석출되지 않는 구성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도 제안되어 있다(하기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특개 2005-272560호 공보
그러나, 전술한 하이브리드 구조의 위상차층(광학 소자)의 형성에 있어서, 위상차의 시야각 의존성의 제어는, 위상차층을 구성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 등의 재료 선택에 달려있다. 그러므로, 원하는 시야각 의존성을 얻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최근에는, 상기 위상차층을 액정 셀의 내측에 설치하여 인 셀(in-cell)화함으로써, 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하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위상차층을 인 셀화하는 구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위상차층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내열성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재료 선택에 의해, 위상차층에서의 위상차의 시야각 의존성을 제어하는 방법에서는, 더욱 높은 내열성을 구비한 재료를 선택해야 하기 때문에, 원하는 시야각 의존성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구조의 위상차층을 얻는 것이, 더욱 곤란하다.
본 발명은, 재료 선택에만 의존하지 않고, 위상차의 시야각 의존성의 제어가 가능한 하이브리드 구조의 광학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 이로 인하여, 위상차가 원하는 시야각 의존성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구조의 광학 소자(위상차층)의 인 셀화를 실현 가능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학 소자는, 중합성 액정 모노머를 하이브리드 배향시켜서 이루어지는 광학 소자에 있어서, 배향 처리된 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유지하여 배향하는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와 배향 처리된 면에 대하여 하이브리드 배향하는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와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의 함유비에 의해, 위상차의 시야각 의존성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광학 소자의 제조 방법, 및 이러한 광학 소자로 이루어지는 위상차층이 내장된 액정 표시 장치이다.
이와 같은 광학 소자에서는,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와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의 배향성에 따라서, 이들 함유비를 조정함으로써 위상차의 시야각 의존성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재료 선택에만 의존하지 않고, 중합성 액정 모노머를 하이브리드 배향시켜서 이루어지는 광학 소자에 있어서의 위상차의 시야각 의존성이 제어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광학 소자>
도 1은 상기 중합성 액정 조성물을 사용한 광학 소자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학 소자(100)는, 표면이 배향 처리된 배향 기판(200)상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배향 기판(200)으로서는, 예를 들면, 배향 처리로서 러빙 처리가 행해진 배향막으로 표면이 덮인 유리 기판이나, 배향능이 있는 기판을 들 수 있다.
배향막으로서는,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비닐알코올 등이 통상 사용되고, 러빙 처리는 레이온, 면, 폴리아미드,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소재로부터 선택되는 러빙 천을 금속 롤에 권취하여, 이를 필름과 접한 상태로 회전시키거나, 롤을 고정한 상태로 필름을 반송함으로써, 필름 면을 러빙으로 마찰하는 방법이 통상 채용된다.
그리고, 광학 소자(100)는, 배향 기판(200)의 배향 처리된 면(기판면으로도 기재함)상에 형성된 제1 층(101)과 그 상부의 제2 층(10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중 제1 층(101)은,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 M1이, 기판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유지하여 배향한 상태로 3차원으로 가교되어 있는 층이다. 이 제1 층(101) 중에 있어서는, 막 두께 방향에 있어서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 M1의 장축과 배향 기판(200)의 기판면이 이루는 각도(프리틸트각)가 일정하다. 또한,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 M1의 장축은, 배향 기판(200)의 배향 방향으로 배향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 M1이, 기판면에 대하여 평행으로 배향된 호모지니어스 배향인 상태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 M1의 배향 상태는 호모지니어스 배향에 한정되지 않으며, 막 두께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 M1이, 기판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수직인 경우를 제외함)이면 되고, 예를 들면, 기판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배향되는 틸트 배향이라도 된다. 그리고,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 M1의 기판면에 대한 각도는, 배향 기판(1) 에 있어서의 기판면의 배향 처리에 의해 제어된다.
이와 같은 제1 층(101)에 사용되는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 M1으로서는, 배향 처리된 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유지하여 배향되는 재료가 사용되며, 이 중에서도 내열성이 더욱 높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 M1의 구체예로서는, 하기 구조식(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7047373162-PAT00001
이외의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 M1으로서, LC270(BASF 제품 상품명), LC1057(BASF 제품 상품명) 등도 된다.
또한, 제2 층(102)은,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 M2가, 하이브리드 배향한 상태로 3차원으로 가교하여 고정되어 있는 층이다. 이 제2 층(102) 중에 있어서는, 제1 층(101)측에 가까울수록,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 M2의 장축이 제1 층(101)의 표면에 대하여 평행이다. 한편, 제1 층(101)으로부터 위쪽으로 멀어짐에 따라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 M2의 장축과 배향 기판(200)의 기판면이 이루는 각도(프리틸트각)가 커진다. 또한,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 M2의 장축은, 제1 층(101)을 구성하는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 M1의 장축 방향을 따라서 배향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 층(102)에 사용되는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 M2로서는, 배향 면에 대하여 하이브리드 배향하는 중합성 액정 모노머이며, 적어도 2개의 중합성 관능기를 가지고 있는 화합물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 M2로서는, 하기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예시된다.
Figure 112007047373162-PAT00002
이 일반식(1)에서, W1 및 W2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 결합, -O-, -COO- 또는 -OCO-를 나타내며, Y1 및 Y2는 각각 독립적으로 -COO- 또는 -OCO-를 나타내며, p 및 q는 각각 독립적으로 2∼18의 정수를 나타내며, 식 중에 존재하는 3종의 1,4-페닐렌기의 수소 원자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수 1∼7의 알킬기, 알콕시기, 알카노일기, 시아노기 또는 할로겐 원자로 하나 이상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실온에서 결정이 잘 석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2종 이상을 함유하지만, 3종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열성을 확보하고, 실온에서 결정이 잘 석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중합성 액정 모노머를, 60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65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은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중합성 액정 모노머와 함께, 하기 일반식(2)-1∼일반식(2)-4으로 표시되는 네마틱 액정을 사용함으로써, 중합성 액정 모노머의 배향성을 향상시켜도 된다. 이들 일반식(2)-1∼일반식(2)-4으로 표시되 는 네마틱 액정 중 2개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Figure 112007047373162-PAT00003
단, 일반식(2)-1∼일반식(2)-4 중의 n은, 2∼10이다.
그리고, 상기 제1 층(101) 및 제2 층(102)에는, 중합성 액정 모노머 Ml, M2 이외에, 광중합 개시제 및 계면활성제가 함유되어 있다.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 일반식(3) 또는 일반식(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일반식(3)의 일례인, 치바스페셔리티케미칼즈(株) 제품인 Irgacure 907, 및 일반식(4)의 일례인, 치바스페셔리티케미칼즈(株) 제품인 Irgacure 369가 예시된다.
Figure 112007047373162-PAT00004
단, 일반식(3) 및 일반식(4)에서의 R1∼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이 광중합 개시제는, 필요에 따라 복수 종류를 합하여 사용해도 되며, 다른 광중합 개시제를 첨가해도 된다. 또한, 광중합 개시제의 첨가량은, 일반적으로 0.01∼15중량%, 바람직하게는 0.1∼12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0중량%의 범위이다.
계면활성제로서는, 메가팩 F-08(大日本잉크 제품), BYK 361(비크케미), 폴리플로우 461(共榮社化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불소계 계면활성제 또는 아크릴계 계면활성제가 사용된다. 불소계 계면활성제로서는, DMAOP(아즈맥스社 제품 상품명)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계면활성제로서는 BYK 361(비크케미社 제품 상품명), 폴리플로우 461(共榮社化學社 제품 상품명)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계면활성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복수 종류를 사용해도 된다.
계면활성제의 첨가량은, 액정의 배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히 첨가 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액정 재료에 대하여 0.001wt%∼ 10wt% 정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wt%∼5wt% 정도이다.
이러한 계면활성제는, 이 중합성 액정 조성물을 사용한 광학 소자에 있어서, 중합성 액정 모노머의 틸트각을 제어하며, 면 내에서 경사각이 균일한 틸트각으로 중합성 액정 모노머를 하이브리드 배향시킨 광학 소자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층(101)과 제2 층(102)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광학 소자(100)에 있어서는, 제1 층(101)에 있어서의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 M1의 함유량과 막 두께 t1, 제2 층(102)에 있어서의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 M2의 함유량과 막 두께 t2에 의해, 광학 소자(100)의 전체적인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 M1과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 M2와의 함유비가 조정되기 때문에, 위상차의 시야각 의존성이 제어되는 것이 특징적이다.
즉, 제1 층(101) 및 제2 층(102)에 있어서의 각 중합성 액정 모노머 Ml, M2의 조성비는, 예를 들면, 광학 소자(100)의 내열성이나 제조 프로세스상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일정한 값으로 결정되어 있다. 이 경우, 광학 소자(100) 전체의 막 두께 (t1+t2)에 의해, 시야각 정면 방향에서의 위상차의 중앙값이 소정값으로 설정되고, 막 두께 비 tl: t2에 의해 시야각 방향에서의 위상차의 변화량이 소정값으로 제어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광학 소자(100)에 있어서는, 중합성 액정 모노머나 다른 화합물의 재료 선택에만 의존하지 않고, 위상차의 시야각 의존성이 제어된다. 그러므로, 광학 소자(100)을 구성하는 중합성 액정 모노머나 다른 화합물의 선택의 자유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내열성이 높지만 시야각 방향에서의 위상차의 변화량이 너무 많거나 너무 낮은 재료를 사용하여, 원하는 시야각 의존성(위상차)을 가지는 광학 소자(100)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광학 소자(100)의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층(101)의 막 두께와 제2 층(102)의 막 두께 tl, t2에 의해, 이들 적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광학 소자(100) 중의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 M1과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 M2의 함유비가 조정되는 구성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광학 소자는, 위상차의 시야각 의존성이,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 M1과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 M2의 함유비에 의해 제어되는 구성이면 된다. 따라서, 광학 소자는,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 M1 및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 M2의 양쪽을 함유하는 단층 구조라도 된다.
이와 같은 단층 구조의 광학 소자에 있어서는,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 M1은는,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 M2의 배향 상태에 영향을 받아, 하이브리드 배향된다. 한편, 제2 중합성 모노머 M2는,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 M1의 호모지니어스 배향에 영향을 받아, 전체적으로 틸트각이 낮은 방향으로 배향된다.
그리고, 일정 각도로 배향하는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 M1의 함유량이 많을 수록, 이들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 M1 및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 M2의 막 두께 방향의 경사 각도의 변화량이 작아져서, 시야각 방향에서의 위상차의 변화량이 작아진다. 그러므로, 위상차에 원하는 시야각 의존성을 얻을 수 있도록,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 M2에 대한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 M1의 함유량을 조정하는 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 M1이, 단독으로는 틸트 배향하는 경우에는, 제2 중합성 모노머 M2는,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 M1의 틸트 배향에 영향을 받아, 전체적으로 틸트각이 높은 방향으로 배향된다. 그러므로,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 M1의 함유량이 많을수록, 시야각 방향에서의 위상차의 변화량이 커지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 M2에 대한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 M1의 함유량을 조정한다.
또한, 도 1을 사용하여 설명한 적층 구성에 있어서, 제2 층(102) 중에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 M1을 소정량 함유시킴으로써, 제2 층(102)에 있어서의 위상차의 시야각 의존성을 조정하고, 또한 제1 층(101)의 막 두께에 의해서도 위상차의 시야각 의존성을 조정하는 구성이라도 된다.
<광학 소자의 제조 방법>
이어서, 도 1에 나타낸 광학 소자(10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제1 층(101)을 형성하기 위한 각 재료, 즉 a)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 M1, b) 광중합 개시제, 및 c) 계면활성제를, 전술한 소정의 비율로 용제에 용해시켜, 이것을 도포액으로 조정한다. 다음에, 배향 기판(200)상에, 소정 막 두께로 도포액을 도포한 도막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막의 형성 방법은, 각종 코팅 방법을 적용한다.
이어서, 배향 기판(200)상의 도막 중의 용매를 건조시킨 후, 액정상과 등방 상 사이의 경계 온도 +10℃의 온도에서 배향 처리한 후, 방사선을 조사함으로써, a)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 M1을 3차원 가교시킨다.
이때, 질소(N2) 등의 불활성 가스 분위기 중에서, 도막에 대하여 방사선 조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산소 저해를 받지 않고 내열성이 우수한 광학 소자(100)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도막에 조사하는 방사선으로서는, 저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등의 수은 여기 광원, 및 크세논 광원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광개시제의 감도가 큰 파장 대역에 강한 피크를 가지는 광원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도막에 대한 방사선의 조사는, 실온 이상, 액정성 모노머의 투명점(N-I점) 이하의 온도에서 행한다. 이로써, 액정성(이방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가교 밀도가 크고, 내열성이 우수한 광학 소자(100)를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투명점이란, 액정상과 액상의 상전이 온도이다.
이상과 같은 제1 층(101)의 형성에 있어서는, 도포 방식에 따라 상이하지만, 예를 들면, 스핀 코팅 방식의 경우에는 용액 중의 고형분 농도, 스핀 코팅 회전수, 회전 시간 등으로 조정이 가능하며, 슬릿 코팅, 다이 코팅 등의 밀어내기 도포 방식의 경우에는, 용액 중의 고형분 농도, 슬릿 헤드 또는 다이 헤드와 도포 기판과의 상대 속도, 도포량 등을 조정함으로써, 막 두께 t1을 제어한다.
이어서, 제2 층(102)을 형성하기 위한 각 재료, 즉 a) 제2 중합성 액정 모노 머 M2, b) 광중합 개시제, 및 c) 계면활성제를, 전술한 소정의 비율로 용제에 용해시켜, 이를 도포액으로서 조정한다. 이어서, 제1 층(101)상에, 소정 막 두께로 도포액을 도포한 도막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막의 형성 방법은, 각종 코팅 방법을 적용해도 좋다.
이어서, 가열 처리에 의해, 도막을 건조시키는 동시에, 도막 중의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 M2를 하이브리드 배향시킨다. 이로써, 배향 방향이 상이한 기판 사이에 도포막을 끼워넣는 처리를 하지 않고, 하이브리드 배향시킨다. 이때, 제1 층(101)이 배향막이 되고,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 M2의 배향 방향이 제1 층(101)을 구성하는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 M1의 배향 방향이 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가열 온도에 의해,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 M2의 틸트각을 조정함으로써, 광학 소자(100)의 위상차를 제어한다.
이어서, 이를 실온하에서 인출하고, 제1 층(101)의 형성과 마찬가지로 방사선을 조사함으로써, a)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 M2를 3차원 가교시킨다.
이상과 같은 제2 층(102)의 형성에 있어서는, 제1 층(101)와 동일한 방법으로 막 두께 t2를 제어한다.
이상과 같이, 중합성 액정 모노머 Ml, M2를 3차원 가교시킨 제1 층(101) 및 제2 층(102)을 형성한 후, 열처리함으로써, 3차원 가교를 더욱 진행시킨다. 여기에서는, 액정성 모노머의 투명점(N-I점) 이상의 온도에서 열처리함으로써, 내열성이 더욱 우수한 경사 배향 위상차층을 얻을 수 있다. 이 열처리는, 재료나, 위상차 성막 공정 이후의 공정의 가열 처리 조건에도 문제가 없는 100℃ 이상, 230℃ 이하이며, 10분∼120분 사이에서 행해진다. 따라서, 이후의 공정의 열처리에 의한 황변이나 위상차 양의 저하 등의 열화를 방지한 광학 소자(100)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일반식(3) 또는 일반식(4)으로 표시되는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함으로써, 중합성 액정 모노머를 하이브리드 배향시킨 광학 소자이며, 후술하는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열성이 향상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 광학 소자(100)에 대하여 이후의 공정의 가열 처리가 가해지는 경우라도, 가열 처리 전후에 있어서, 광학 소자(100)의 특성을 변화시키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면의 위상차 및 극각(極角) 방향으로 경사진 방향으로부터의 위상차를, 가열 처리 전후에 있어서 변화시키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1>
도 2는,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제1 실시예의 단면 구성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액정 표시 장치(1a)는, ECB 모드로 구동되는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1a)이며, 액정 분자를 하이브리드 배향시킨 위상차층(이하 하이브리드 위상차층이라 함)으로서 전술한 광학 소자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액정 표시 장치(1a)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액정 표시 장치(1a)는, 전압이 인가되어 있지 않은 때의 관찰자측의 액정의 배향축과 광원측의 액정의 배향축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ECB 표시 모드로 구동된다. 이 액정 표시 장치(1a)는, 구동 기판(10)과 이 구동 기판(10)의 소자 형성면측에 대향 배치된 대향 기판(20)과 이들 구동 기판(10)과 대향 기판(20)의 사이 에 협지된 액정층 LC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구동 기판(10)의 외측면에는 λ/4 위상차판(30)이 밀착 상태로 형성되며, 또한 구동 기판(10) 및 대향 기판(20)의 외측면에, 클로즈니콜으로 편광판(31, 32)이 밀착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동 기판(10)측에 배치된 편광판(31)의 외측에는, 백라이트(33), 및 반사판(34)이 배치되어 있다.
이중 구동 기판(10)은, 유리 기판과 같은 투명 기판(11)에 있어서의 액정층 LC를 향한 면상에, 예를 들면, TFT(thin film transistor) 등의 구동 소자 및 이에 접속된 화소 전극 등이 화소마다 형성된 구동 전극층(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구동 전극층(12)을 덮는 상태로, 배향막(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배향막(13)은, 예를 들면, 구동 기판(10)측의 편광판(31)의 투과축에 대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러빙 처리 또는 배향 처리되어 있다.
한편, 대향 기판(20)은, 유리 기판과 같은 투명 기판(21)에 있어서의 액정층 LC를 향한 면에, R(적), G(녹), B(청) 각 색의 컬러 필터(22), 배향막(23), 하이브리드 위상차층(24), 대향 전극(25), 및 배향막(26)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대향 전극(25)상에는, 여기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배향막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배향막은, 구동 기판(10)측에 설치된 배향막과 반(反)평행으로 러빙 처리 또는 배향 처리되어 있다.
그리고, 액정 분자를 하이브리드 배향시킨 하이브리드 위상차층(24)으로서, 도 1을 사용하여 설명한 적층 구조의 광학 소자(100)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적이다. 즉, 이 하이브리드 위상차층(24)은, 흑 표시에서의 액정층 LC의 잔류 위상차가, 넓 은 시야각에 있어서 지워지도록, 도 1을 사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2종류의 중합성 액정 모노머의 함유비를 조정함으로써, 위상차가 소정의 시야각 의존성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배향막(23)이 형성된 투명 기판(21)이,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 배향 기판에 대응한다. 그러므로, 하이브리드 위상차층(24)에 있어서 하이브리드 배향하는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 M2는, 투명 기판(21) 측에 있어서 기판면과 수평으로서, 액정층 LC 측을 향하여 서서히 수직으로 상승하는 배향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위상차층(24)을,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 적층 구조의 광학 소자(100)로 바꾸어, 먼저 설명한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 M1과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 M2를, 소정의 조성비로 혼합한 단층 구조의 광학 소자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이 하이브리드 위상차층(24)의 배향 방향은, 대향 전극(25) 및 화소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흑 표시를 행할 때의 액정층 LC의 잔류 위상차와 위상차판(λ/4 위상차판(30))의 위상차를 실질적으로 상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액정 표시 장치(1a)는, 하이브리드 위상차층(24)을, 투명 기판(21)상에 컬러 필터(22)를 개재시켜서 성막 형성하여 인 셀화한 것이 된다.
상술한 구성의 액정 표시 장치(1a)에서는,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 구성의 광학 소자(100)를 하이브리드 위상차층(24)으로서 ECB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1a)에 내장함으로써, 흑 표시에서의 액정층 LC의 잔류 위상차가 지워져서 넓은 시야각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특히, 액정 분자의 틸트각이 막 두께 방향으로 변화된 구성으로 함 으로써, 가열에 의해 위상차가 변화하기 쉬웠던 하이브리드 위상차층(24)을, 전술한 바와 같이 재료 선택성의 자유도를 향상시켜서 내열성이 확보된 광학 소자로 구성하였으므로, 인 셀화해도 충분한 내열성을 발휘하며, 소정의 위상차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결과, 하이브리드 위상차층(24)이 형성된 ECB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1a), 및 이 액정 표시 장치(1a)를 사용한 전자 기기에 있어서, 하이브리드 위상차층(24)에서의 배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시야각이 양호하면서도 콘트라스트가 높은 표시가 가능하다.
또한, 이 하이브리드 위상차층(24)을, 컬러 필터(22)의 상부에 설치함으로써, 하이브리드 위상차층(24)이 컬러 필터(22)의 보호층으로서도 기능한다. 이로써, 컬러 필터(22)로부터의 탈가스를 방지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2>
도 3은,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제2 실시예의 단면 구성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액정 표시 장치(1b)가, 도 2에 나타낸 액정 표시 장치(1a)와 상이한 점은, 대향 기판(20)측의 구성이다. 즉, 액정 표시 장치(1b)에서는, 투명 기판(21)상의 컬러 필터(22)를 평탄화 절연막(40)으로 덮고, 이 상부에 배향막(23) 및 하이브리드 배향막(24)이 형성된 구성이며, 다른 구성은 도 2의 액정 표시 장치(1a)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평탄화 절연막(40)을 형성함으로써, 평탄한 하지면상에 하이브리드 배향막(24)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하이브리드 위상차층(24)의 배 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3>
도 4는,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제3 실시예의 단면 구성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액정 표시 장치(1c)가, 도 2에 나타낸 액정 표시 장치(1a)와 상이한 점은, 대향 기판(20)측의 구성이다. 즉, 액정 표시 장치(1c)에서는, 배향막(23) 및 하이브리드 배향막(24)을, 투명 기판(21)상에 직접 형성한 구성이며, 다른 구성은 도 2의 액정 표시 장치(1a)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구성해도, 하이브리드 위상차층(24)을 성막 형성하는 하지가 더욱 평탄하기 때문에, 하이브리드 위상차층(24)의 배향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제1 실시예∼제3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이브리드 위상차층(24)을 시야각 보상층으로서 형성한 ECB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를 예시한 구성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위상차층(24)을 인 셀화하여 형성한 TN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에도 적용가능하다. 이 경우, 실시예에서 설명한 액정 셀 내 및 외측에 배치되는 편광판 등의 광학 구성을, TN 모드에서의 구동 표시에 적용되도록 적당히 변경하면 된다. 또한, 하이브리드 위상차층(24)은, 전술한 각 실시예와 동일한 위치에 설치해도 되며, 각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구성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반(半)투과 반(半)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에도 적용가능하다. 이 경우, 전술한 광학 소자의 제조 방법에 따라 하이브리드 위상차층(24)를 형성하는 일련의 공정에 있어서, 중합성 액 정 조성물의 도막에 방사선을 조사할 때, 방사선을 투과하는 영역과 차광 또는 반사하는 영역을 가지는 마스크를 사용하여, 투과 표시부와 반사 표시부를 방사선에 의한 노광부와 미노광부로 구별한다. 이로써, 노광부에서는 중합성 액정 모노머를 3차원 가교시켜 소정의 위상차로 하는 한편, 미노광부에서는 중합성 액정 모노머를 3차원 가교시키지 않고 위상차를 0 또는 소정의 낮은 값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λ/4 위상차판(30)을 액정 셀의 외측에 배치한 구성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 λ/4 위상차층(30)도, 인 셀화해도 된다.
이 경우, λ/4 위상차층(30)은, 예를 들면, 하이브리드 위상차층(24)의 하층측에 배치하는 구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하이브리드 위상차층의 형성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중합성 액정 재료를 사용하여 λ/4 위상차층(30)을 형성하고, 이 표면을 배향 표면으로서 상부에 직접 하이브리드 위상차층(24)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λ/4 위상차층(30)상에 배향막을 더욱 형성하고, 이 상부에 하이브리드 위상차층(24)을 형성해도 된다.
그리고, 이 경우, 인 셀화하는 λ/4 위상차층(30)은 하이브리드 구조일 필요는 없기 때문에, 하이브리드 위상차층(24)에 비하여 내열성을 쉽게 얻을 수 있지만, 이와 같은 λ/4 위상차층(30)일지라도 내열성이 양호한 재료를 선택하여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위상차층(24)이 인 셀화되어 있지 않은 액정 표시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며, 하이브리드 위상차층(24)의 내열성을 향상시킨 데 따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실시예 2>
도 1에 나타낸 적층 구조의 광학 소자(100)를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조성물 A의 조정: 제1 층(101)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A로서 하기(a)∼(d)의 재료를 혼합하였다.
a)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 Ml: 하기 구조식(1)의 화합물을 20중량부.
b) 광중합 개시제: 일반식(3)의 하나인 Irgacure 907(치바스페셔리티케미칼즈(株) 제품 상품명)을 1중량부.
c) 계면활성제: 메가팩 F-08(大日本잉크社 제품 상품명)을 O.02중량부.
d) 용제: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틸에테르(PGMEA)를 78.98중량부.
Figure 112007047373162-PAT00005
조성물 B의 조정: 제2 층(102)를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B로서 하기(a)∼(d)의 재료를 혼합하였다.
a)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 M2: 하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Yl, Y2를 -COO-, W1, W2를 -OCO-, p를 4, q를 4로 한 화합물을 20중량부.
b) 광중합 개시제: 상기 일반식(3)의 하나인 Irgacure 907(치바스페셔리티케 미칼즈(株) 제품 상품명)을 1중량부.
c) 계면활성제: 메가팩 F-08을 O.02중량부.
d) 용제: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틸에테르(PGMEA)을 78.98중량부.
Figure 112007047373162-PAT00006
조성물 A를, 러빙 처리가 완료된 배향막 AL1254(JSR社 제품 상품명) 위에 스핀 코팅에 의해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감압 건조(최종 도달 진공도 0.4Torr)에 의해 도막 중의 용제를 제거하고, 이어서, 핫 플레이트 위(80℃)에서 1분간 가열하여 배향 처리하였다. 이어서, 질소 중(산소 농도 0.1 이하)에서, 도막에 대하여 초고압 수은등에 의해 조도 30mW/cm2, 노광 시간 20초로 노광하여, 호모지니어스 배향시킨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 M1의 3차원 가교 처리를 행하여, 제1 층(101)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제1 층(101)의 형성에 있어서는, 스핀 코팅의 회전수를 조정함으로써, 실시예 1에서는 막 두께 0.3㎛의 제1 층(101)을 형성하고, 실시예 2에서는 막 두께 0.6㎛의 제1 층(101)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조성물 B를, 제1 층(101) 위에 직접 스핀 코팅에 의해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감압 건조(최종 도달 진공도 0.4Torr)에 의해 용제를 제거하고, 이어서, 핫 플레이트 위(60℃)에서 1분간 가열하여 배향 처리하였다. 이어서, 질소 중(산소 농도 0.1 이하)에서, 도막에 대하여 초고압 수은등에 의해 조도 30mW/cm2, 노광 시간 20초로 노광하여,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 M2의 2차원 가교 처리를 행하여, 제2 층(102)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제2 층(102)의 형성에 있어서는, 스핀 코팅의 회전수를 조정함으로써, 실시예 1에서는 막 두께 0.5㎛의 제2 층(102)를 형성하고, 실시예 2에서는 막 두께 0.3㎛의 제2 층(102)를 형성하였다.
이어서, 질소 분위기로 유지된 오븐(220℃, 산소 농도 1% 이하) 중에서 60분간의 열처리를 행하였다. 이로써, 제1 층(101) 및 제2 층(102) 내에서의 중합성 액정 모노머의 3차원 가교를 더욱 진행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광학 소자(위상차층)에 대하여, 위상차의 시야각 의존성을 측정하였다. 이 결과를 도 5에 나타낸다.
또한, 비교예 1∼3으로서 하이브리드 배향하는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 M2를 사용한 제2 층(102)만으로 구성된 광학 소자(위상차층)를 각각 형성하였다. 이때, 러빙 처리 완료된 배향막 AL1254(JSR社 제품 상품명) 위에, 직접 조성물 B를 스핀 코팅에 의해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이어서, 실시예 12와 동일한 스텝을 행하였다. 그리고, 비교예 1에서는 막 두께 1.0㎛의 제2 층(102)를 형성하고, 비교예 2에서는 막 두께 0.6㎛의 제2 층(102)를 형성하고, 비교예 3에서는 막 두께 0.3㎛의 제2 층(102)를 형성하였다.
이상과 같이 제조한 비교예 1∼3의 광학 소자(위상차층)에 대하여, 위상차의 시야각 의존성을 측정한 결과를, 도 5에 함께 나타낸다.
도 5의 그래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제1 층(101)과 제2 층(102)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실시예 1, 2의 광학 소자에 있어서는, 각각의 막 두께의 비에 의해 위상차의 시야각 의존성이 제어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1, 2의 합계 막 두께와 대략 막 두께가 동일한 막 두께인 제2 층(102)만으로 구성된 비교예 1의 광학 소자에서는, 시야각 정면에서의 위상차는 실시예 1, 2와 동일한 값이었다. 이 비교예 1에 대하여, 실시예 1, 2에서는, 시야각 방향에서의 위상차의 변화량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시프트하고 있다. 이로부터, 호모지니어스 배향된 제1 층(101)을, 소정 막 두께로 중첩함으로써, 시야각 방향에 있어서의 위상차의 변화량을 소정 상태로 줄일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 1∼3의 결과로부터, 하이브리드 구조의 위상차층인 제2 층(102)의 막 두께만을 변화시킨 경우에는, 정면(극각 0°)에서의 위상차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위상차가 상하로 변동되고, 시야각 정면의 위상차를 원하는 값으로 고정한 상태로, 위상차의 시야각 의존성을 제어할 수는 없었다.
<실시예 3>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 M1과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 M2의 함유비를 조정한 단층 구조의 광학 소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2에서로 조제한 조성물 A와 조성물 B를, 중합성 액정 폴리머 중에서의 제2 중합성 액정 폴리머 M2의 비율(wt%)이 1wt%∼100wt%의 비율로 되도록 혼합하여, 각 조성물 C를 조정하였다.
그리고, 이 조성물 C를, 러빙 처리 완료된 배향막 AL1254(JSR社 제품 상품 명) 위에 스핀 코팅에 의해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감압 건조(최종 도달 진공도 0.4Torr)에 의해 도막 중의 용제를 제거하고, 이어서, 핫 플레이트 위(100℃)에서 1분간 가열하여 배향 처리하였다. 이어서, 질소 중(산소 농도 0.1 이하)에서, 도막에 대하여 초고압 수은등에 의해 조도 30mW/cm2, 노광 시간 20초의 노광을 행하여, 중합성 액정 모노머 Ml, M2의 3차원 가교 처리를 행하였다.
이어서, 질소 분위기로 유지된 오븐(220℃, 산소 농도 1% 이하) 중에서 60분간 열처리하였다. 이로써, 중합성 액정 모노머 Ml, M2의 3차원 가교를 더욱 진행하였다.
그리고, 이상의 스텝에 있어서는, 스핀 코팅의 회전수를 조정함으로써, 막 두께를 변경하여, 정면의 리타데이션이 90∼100nm 정도가 되도록 광학 소자를 형성하였다.
이상과 같이 제조된 각 광학 소자(위상차층)에 대하여, 위상차의 시야각 의존성을 측정한 결과를, 도 6에 나타낸다.
도 6의 그래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배향 처리된 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유지하여 배향되는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 M1과 배향 처리된 면에 대하여 하이브리드 배향되는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 M2의 조성비의 조정에 의해, 위상차의 시야각 의존성이 제어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재료 선택에만 의존하지 않고 위상차의 시야각 의존성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광학 소자 형성에 있어서의 재료 선택의 자유도가 향상되고, 원하는 위상차를 가지는 광학 소자의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중합성 액정 모노머를 하이브리드 배향시킨 광학 소자를, 내열성이 요구되는 액정 셀 내에 위상차층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Claims (15)

  1. 중합성 액정 모노머를 하이브리드(hybrid) 배향시켜서 이루어지는 광학 소자에 있어서,
    배향 처리된 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유지하여 배향하는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와,
    배향 처리된 면에 대하여 하이브리드 배향하는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와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의 함유비에 의해 위상차의 시야각 의존성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를 사용하여 구성된 상기 배향막상의 제1 층과, 상기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를 사용하여 구성된 제2 층을 가지며,
    상기 제1 층 및 제2 층을 합한, 상기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와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의 함유비에 의해 위상차의 시야각 의존성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소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와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의 함유비는, 상기 제1 층의 막 두께와 상기 제2 층의 막 두께에 의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소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 중에 상기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가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소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합성 액체 모노머는, 하기 구조식(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소자.
    Figure 112007047373162-PAT00007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 및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와 함께, 중합 개시 제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소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와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와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의 혼합비에 의해 위상차의 시야각 의존성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소자.
  8. 배향 처리된 면상에 중합성 액정 모노머를 용제에 용해시킨 용액을 도포 성막하고, 상기 배향 처리된 면상에서 상기 중합성 액정 모노머를 하이브리드 배향시킨 상태로 3차원 가교시키는 광학 소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액정 모노머로서, 배향 처리된 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유지하여 배향하는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와, 배향 처리된 면에 대하여 하이브리드 배향하는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를 사용하며,
    상기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와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의 함유비에 의해 위상차의 시야각 의존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소자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 처리된 면상에 상기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를 용제에 용해시킨 용액을 도포 성막하고, 상기 배향 처리된 면상에서 상기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를 배향시킨 상태로 3차원 가교시킨 제1 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층상에 상기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를 용제에 용해시킨 용액을 도포 성막하고, 상기 제1 층을 배향막으로서 상기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를 하이브 리드 배향시킨 상태로 3차원 가교시킨 제2 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소자의 제조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 처리된 면상에 상기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와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를 용제에 용해시킨 용액을 도포 성막하고, 상기 배향 처리된 면상에서 상기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와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를 배향시킨 상태로 3차원 가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소자의 제조 방법.
  11. 한 쌍의 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협지하여 이루어지는 액정 셀과 중합성 액정 모노머를 하이브리드 배향시킨 위상차층을 조합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층은, 배향 처리된 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유지하여 배향하는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와 배향 처리된 면에 대하여 하이브리드 배향하는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를 사용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중합성 액정 모노머와 제2 중합성 액정 모노머의 함유비에 의해 위상차의 시야각 의존성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셀은, 전계 복굴절 모드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층은, 상기 한 쌍의 기판 중의 한쪽 기판에서의 상기 액정층측에 성막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층은, 상기 한쪽 기판상에 컬러 필터를 개재시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층은, 상기 한쪽 기판상에 평탄화막을 개재시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070064528A 2006-06-30 2007-06-28 광학 소자, 광학 소자의 제조 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13502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81715 2006-06-30
JP2006181715A JP4207987B2 (ja) 2006-06-30 2006-06-30 光学素子、光学素子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649A true KR20080002649A (ko) 2008-01-04
KR101350248B1 KR101350248B1 (ko) 2014-01-10

Family

ID=39011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4528A KR101350248B1 (ko) 2006-06-30 2007-06-28 광학 소자, 광학 소자의 제조 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27416B2 (ko)
JP (1) JP4207987B2 (ko)
KR (1) KR101350248B1 (ko)
CN (1) CN101097270B (ko)
TW (1) TW20081580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97562A1 (en) * 2008-06-17 2011-04-28 Basf Se Thermally insulating films and laminates
TWI420196B (zh) * 2008-12-11 2013-12-21 Au Optronics Corp 液晶顯示器
JP2011008218A (ja) * 2009-05-22 2011-01-13 Chisso Corp 光学異方体
CN103282800B (zh) * 2010-12-27 2018-01-23 Dic株式会社 立体图像显示装置用双折射透镜材料和立体图像显示装置用双折射透镜的制造方法
JP6756106B2 (ja) * 2016-01-08 2020-09-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7122864A (ja) * 2016-01-08 2017-07-1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756112B2 (ja) * 2016-01-25 2020-09-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EP3299878B1 (en) * 2016-09-23 2020-03-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CN108398740B (zh) * 2018-06-07 2020-06-02 江苏创拓新材料有限公司 一种相位差膜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8530300B (zh) * 2018-06-07 2021-03-23 江苏创拓新材料有限公司 一种可聚合单体化合物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9202A (ja) 2002-06-24 2004-01-29 Seiko Epson Corp 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4570022B2 (ja) 2003-02-03 2010-10-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液晶層からなる光学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05062671A (ja) 2003-08-19 2005-03-10 Fuji Photo Film Co Ltd 光学異方性層、それを用いた位相差板、楕円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3807503B2 (ja) * 2003-05-29 2006-08-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5227425A (ja) 2004-02-12 2005-08-25 Fuji Photo Film Co Ltd 位相差板、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λ/4板及び楕円偏光板
JP2005272560A (ja) 2004-03-24 2005-10-06 Dainippon Ink & Chem Inc 重合性液晶組成物、及びこれの重合物
JP4720634B2 (ja) * 2006-06-13 2011-07-13 ソニー株式会社 重合性液晶組成物、光学素子、光学素子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97270B (zh) 2011-01-26
US7727416B2 (en) 2010-06-01
US20080113115A1 (en) 2008-05-15
JP4207987B2 (ja) 2009-01-14
JP2008009284A (ja) 2008-01-17
CN101097270A (zh) 2008-01-02
TWI336789B (ko) 2011-02-01
KR101350248B1 (ko) 2014-01-10
TW200815803A (en) 2008-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0248B1 (ko) 광학 소자, 광학 소자의 제조 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1381621B1 (ko) 중합성 액정 조성물, 광학 소자, 광학 소자의 제조 방법,및 액정 표시 장치
WO2015008773A1 (ja) 位相差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4737629B2 (ja) 楕円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KR100962163B1 (ko) 액정 패널 및 액정 표시 장치
US8355103B2 (en) TN-LCD and polarizer plate comprising an integrated O film having a negative biaxial film and a positive O film for improving the viewing angle
JP2006268007A (ja) 楕円偏光板の製造方法および楕円偏光板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06163343A (ja) 楕円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6453662B2 (ja) 液晶組成物、偏光発光フィルム、波長変換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液晶表示装置
WO2007122888A1 (ja) フィルムおよびフィルム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利用
WO2016051663A1 (ja) 液晶組成物、偏光発光フィルム、波長変換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液晶表示装置
WO2006067916A1 (ja) 楕円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06201746A (ja) 楕円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03207642A (ja) 光学素子
US20100309415A1 (en) Display device having polarizing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JP2006292910A (ja) 楕円偏光板の製造方法および楕円偏光板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7440523B2 (ja) 液晶組成物、光学フィルム、有機elディスプレイ用円偏光板、光学異方性層の製造方法
JP2007148097A (ja)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光学フィルム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08225180A (ja) 重合性液晶組成物、光学素子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3872583B2 (ja) 液晶表示装置
JP2008102227A (ja) 液晶パネル及び液晶表示装置
JP3788746B2 (ja) ホメオトロピック配向液晶フィルムの屈折率特性制御方法
JP2020118730A (ja) 配向液晶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JP2006124368A (ja) 液晶性化合物、光学異方性膜及び液晶表示装置
CN110678807B (zh) 液晶显示装置及液晶显示装置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