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20551A - 안경용 코 지지체 - Google Patents

안경용 코 지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20551A
KR20070120551A KR1020077024420A KR20077024420A KR20070120551A KR 20070120551 A KR20070120551 A KR 20070120551A KR 1020077024420 A KR1020077024420 A KR 1020077024420A KR 20077024420 A KR20077024420 A KR 20077024420A KR 20070120551 A KR20070120551 A KR 20070120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pocket
nose support
wire
le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4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6533B1 (ko
Inventor
클라우스 슈미트
Original Assignee
질호우테 인터내셔날 슈미트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질호우테 인터내셔날 슈미트 아게 filed Critical 질호우테 인터내셔날 슈미트 아게
Publication of KR20070120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0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02C5/12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with adjustable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 받침대와 유지기를 갖는 안경용 코 지지체로서, 상기 유지기는 와이어부를 포함하고,상기 코 받침대는 와이어부의 일단부를 구부려 형성한 아이(eye)로 된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플러그 수용부용 절결 포켓을 가지며, 와이어부(3)의 단부를 구부려 2개의 다리(5)(6)가 형성되고, 2개의 다리(5)(6)를 연결하는 웨브(4)가 상기 2개의 다리(5)(6) 보다 외측으로 확대된 둥근 형상의 아이(eye)로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부(3)는 단면 헤어핀 형상으로 형성되고, 코 받침대(2)의 절결 포켓(8)에서 상기 와이어부(4)의 헤어핀 형상 굽힘단부의 다리(5)(6)를 연결하는 방향의 앞벽들 사이는 절결 포켓(8)의 외측 개방방향으로 향하면서 확대되고, 상기 앞벽에 대해 교차방향의 측벽들 사이도 절결 포켓(8)의 전체 깊이 방향에 걸쳐 외측 개방방향으로 향하면서 확대된다.
아이(eye), 웨브, 절결 포켓

Description

안경용 코 지지체{NOSE SUPPORT FOR EYEGLASSES}
본 발명은 안경용 코 지지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코 받침대, 그리고 와이어부를 포함하는 코 받침대용 유지부, 그리고 절결 포켓을 가지고 있고, 이 절결 포켓에 와이어부 일단부를 구부려 형성한 아이(eye)(또는 고리형) 플러그를 수용할 수 있는 코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안경을 착용할 때 코에서 안경을 지지하기 위한 코 지지체가 오스트리아 특허출원 411800B로서 공지되어 있으며, 이 공지의 코 지지체는 비교적 연질의 탄성체로된 코받침대와, 안경틀의 코 웨브측에 고착되는 유지부를 포함하며, 유지부에 포함되는 예를들면 와이어부의 단부는 구부려져서 필수적으로 사각형 아이(eye)로 형성되어 코 받침대에 수용된다. 이 아이는 코 받침대의 절결 포켓에 끼움식으로 결합되어 코 받침대가 유지기에 연결되면 절결 포켓의 탄성 팽창과 함께 아이(eye)가 수용되며, 결과적으로 유지기와 코 받침대 사이에서 플러그식으로 필요한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플러그식 접속 방식이 유지기와 코 받침대 사이에서의 상대적 이동(움직임)을 모든 상황에서 가능하게 하는 것은 아니다. 코 받침대의 제한적인 굽힘 동작으로 특정한 코 형상에 코 받침대를 모두 적응시키기는 어렵다.
U자형 굽힘 와이어부를 코 받침대용 유지기로 사용하는 또 다른 공지의 종래 코 지지체에서도 상기와 유사한 단점이 발견된다. 이 경우는 삽입측으로 원뿔형으로 확대되는 포켓구멍이 형성되어, 이곳을 통해 U자형 굽힘 와이어부의 자유단 다리가 코 받침대의 숄더에서 결합된다(독일특허출원 DE 34 17 255 A1). 자유단 다리를 유지하기 위해 햄머형 헤드가 형성되며, 이 햄머형 헤드를 통해 포켓 구멍의 절결부가 결합되고, 다시 피봇 록(pivot lock)으로 고정된다. 또 다른 종래예(EP 1 217417 A1)에서는 코 받침대에 직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부분으로 숄더에 2개의 홈이 형성되며, 여기에 아이(eye)(또는 고리)로 형성된 와이어부의 단부가 결합된다. 마지막 종래예로서 스크류를 이용하여 코 받침대에 2개의 돌기를 매설하고, 이 돌기로된 2개의 부분 블록 사이에 U자형 굽힘 와이어부의 2개의 다리를 클램핑하고, 이어서 끼움식 결합을 하여 와이어부에 대하여 코 받침대의 제한적인 이동을 억제하는 기술이 유럽특허출원 EP 032 475 A1으로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서두에서 밝힌 바와 같은 타입의 코 지지체로서, 특별한 코 형상에 대하여 코 받침대의 적응성을 개선하면서도 제조와 조립의 간편성을 도모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와이어부의 단부를 구부려 2개의 다리가 형성되고, 2개의 다리를 연결하는 웨브가 상기 2개의 다리 보다 외측으로 확대된 둥근 형상의 아이(eye)로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부는 단면 헤어핀 형상으로 형성되고, 코 받침대의 포켓은 상기 와이어부의 헤어핀 형상 굽힘단부의 다리를 연결하는 방향의 앞벽들 사이가 절결포켓의 외측 개방방향으로 진행하면서 확대되고, 또한 상기 앞면에 대해 교차방향의 측벽들 사이가 절결 포켓의 전체 깊이 방향에 걸쳐 외측 개방방향으로 향하면서 확대되는 안경용 코 지지체를 제공한다.
둥근 형상의 아이(eye)에 따라서, 아이 축 중심으로 유지기에 대하여 코 받침대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코 받침대의 포켓은 단지 와이어부의 다리부(헤어핀 형상 굽힘 다리)의 일평면 방향으로 절결부로부터 외측으로 확대하여 아이(eye)축을 중심으로 코 받침대의 제한된 선회전 능력을 확보할 수 있다. 코 받침대의 포켓이 부가적으로 상기 일평면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외측 개방부를 향하여 확대되므로 코 받침대는 또한 아이 축에 대하여 교차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피봇 회전 또는 선회전 가능하며, 이 선회전은 정지부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그 결과 특정 코 형상에 대하여 코 받침대의 자동 적응이 가능한데, 그 이유는 장착에 따른 자유도 때문에 코 받침대가 코에 대하여 평탄하게 가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유지기와 코 받침대 간의 단순한 플러그식 연결성은 코 받침대의 제한된 가동성을 갖는 지지(또는 유지)로 인하여서는 악영향을 주지 않는다. 코 받침대는 절결 포켓의 확대 하에서 둥근 아이(eye)가 절결부에 결합할 때까지 밀어 넣어서 종래 기술에 비하여 편리한 방법으로 플러그 형식으로 끼워 결합할 수 있다.
특히, 와이어부의 헤어핀 형상 굽힘 단부의 2개의 다리가 폐쇄형 아이(eye)를 형성하는 연결 웨브로부터 벌어지고, 아이(eye) 축을 중심으로 코 받침대의 회전이동에 대한 회전정지부를 형성한다.
코 받침대의 유지부는 비교적 작은 공간을 차지하므로 환형으로 코 받침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코 받침대의 환형 공간을 향하여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숄더를 형성하여 포켓이 이 숄더에서 형성되도록 한다. 환경개구는 코가 접촉되는 접촉영역에 통기성을 제공하여 안경의 착용감을 향상시켜 준다.
본 발명의 요지는 다음의 도면을 실예로 하여 예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용 코 받침대의 부분 파단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선 단면도이다.
예시된 안경용 코 지지체는 유지기(1)를 포함하며, 예를들어 코 받침대(2)용 유지기(1)는 안경프레임의 코 웨브(web)에 결합된다. 유지기(1)는 와이어부(3)를 포함하며, 와이어부(3)의 일단부는 헤어핀 형상으로 구부러지고, 헤어핀 형상의 굽힘 단부의 2개의 다리(5)(6) 사이로 둥근 아이(eye)(7)를 형성하는 연결웨브(4)가 이루어지며, 이 연결웨브(4)는 그 형상에 의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다리(5)(6)에 비해 상대적으로 측면으로 확대되어 있다.
코 받침대(2)에는 절결 포켓(8)이 형성되며, 이 절결 포켓(8)은, 와이어부(3)의 헤이핀 형상 굽힘단부를 수용하는 플러그 수용부가 된다. 즉, 포켓(8)은 둥근 아이(eye)(7)를 수용한다. 그리고, 둥근 아이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이, 다 리((5)(6)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확대된 형태로 되어 절결부에 수용된다. 포켓(8)의 앞벽(9)은 절결부 안쪽에서 시작하여 외측으로 진행하면서 확대되며, 그 결과 코 받침대(2)가 유지기(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둥근 아이(eye)의 축을 중심으로 제한된 범위에서 선회전 가능하게 된다. 와이어부(3)의 헤어핀 형상 굽힘 단부의 다리(5)(6)는 둥근 아이(7)로부터 외측으로 향하면서 벌어지며, 그 결과 2개의 다리(5)(6)는 각각 포켓(8)의 앞벽(9)과 함께 코 받침대(2)의 회전 정지부를 제공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켓(8)의 측벽(10) 또한 상호 경사진 형태로 뻗어 있으며, 이러한 경사는 포켓의 전체 깊이와 절결 포켓 전체 영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측벽(10)이 외측으로 경사져 개방되어 있으므로 아이(eye) 축에 대하여 교차방향이 되는 횡축을 중심으로 하여 코 받침대의 선회전이 가능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특정한 코 형상에 대하여 코 받침대(2)의 자동 위치 적응이 가능하게 된다. 아이(eye)축과 횡축을 중심으로 한 코 받침대(2)의 제한된 선회전(또는 피봇 회전) 이동능력은 유리한 적응능력을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안경의 착용감을 악화시키지 않는 초기착용위치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코 받침대(2)는 개구 환형 공간(11)을 가지고 있으며, 이 공간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숄더(12)가 돌출하며, 숄더(12)와 함께 형성된 포켓(8)이 환형 공간(11)으로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결과적으로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의 요건을 충족시키고 있다. 개구 환형 공간(11)은 코에 코 받침대(2)를 배치하는 영역의 통풍도 가능하게 하여 코 지지체에 대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준다.

Claims (3)

  1. 코 받침대와 유지기를 갖는 안경용 코 지지체로서, 상기 유지기는 와이어부를 포함하고,상기 코 받침대는 와이어부의 일단부를 구부려 형성한 아이(eye)로 된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플러그 수용부용 절결 포켓을 가지는 것에 있어서,
    와이어부(3)의 단부를 구부려 2개의 다리(5)(6)가 형성되고, 2개의 다리(5)(6)를 연결하는 웨브(4)가 상기 2개의 다리(5)(6) 보다 외측으로 확대된 둥근 형상의 아이(eye)로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부(3)는 단면 헤어핀 형상으로 형성되고, 코 받침대(2)의 절결 포켓(8)에서 상기 와이어부(4)의 헤어핀 형상 굽힘단부의 다리(5)(6)를 연결하는 방향의 앞벽들 사이는 절결 포켓(8)의 외측 개방방향으로 향하면서 확대되고, 상기 앞벽에 대해 교차방향의 측벽들 사이도 절결 포켓(8)의 전체 깊이 방향에 걸쳐 외측 개방방향으로 향하면서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용 코 지지체.
  2. 제1항에 있어서,
    와이어부(3)의 헤어핀 형상의 굽힘 단부의 2개의 다리부(5)(6)가 연결 웨브(4)로부터 멀어지면서 벌어지며, 폐쇄형 둥근 아이(7)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지지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코 지지체(2)는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포켓(8)은 코 지지체(2)의 개구 환형 공간(11)을 향하여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숄더(12) 쪽으로 뻗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지지체.
KR1020077024420A 2005-04-25 2006-02-22 안경용 코 지지체 KR1010565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694/2005 2005-04-25
AT0069405A AT500856B8 (de) 2005-04-25 2005-04-25 Nasenabstützung für eine brille
PCT/AT2006/000071 WO2006113949A1 (de) 2005-04-25 2006-02-22 Nasenabstuetzung fuer eine bril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0551A true KR20070120551A (ko) 2007-12-24
KR101056533B1 KR101056533B1 (ko) 2011-08-12

Family

ID=36096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4420A KR101056533B1 (ko) 2005-04-25 2006-02-22 안경용 코 지지체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7651218B2 (ko)
EP (1) EP1875301B1 (ko)
JP (1) JP4702755B2 (ko)
KR (1) KR101056533B1 (ko)
CN (1) CN100565278C (ko)
AT (2) AT500856B8 (ko)
AU (1) AU2006239768B2 (ko)
CA (1) CA2605665C (ko)
DK (1) DK1875301T3 (ko)
ES (1) ES2374417T3 (ko)
HK (1) HK1117598A1 (ko)
NZ (1) NZ562696A (ko)
PL (1) PL1875301T3 (ko)
WO (1) WO200611394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1023A (ko) * 2018-04-17 2019-10-25 주식회사 이노 (Inno) 안경테용 코패드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098B1 (ko) * 2008-04-22 2013-06-28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안경렌즈의 유지구조, 안경 및 안경의 제조방법
EP2291701A4 (en) * 2008-06-16 2013-11-06 Hardisty Optical Group Llc NOSE SUPPORT FOR LIGHT SURFACE GLASSES
NZ585644A (en) 2010-05-26 2012-12-21 Francis William Austin Modular Eye Glasses with the frame part forming a pivot shaft and the temple arms adapted to attach to the pivot shaft
KR101505784B1 (ko) * 2014-08-29 2015-03-25 금명섭 결속이 용이한 코 패드가 구비된 안경
DE202015100067U1 (de) 2015-01-08 2015-02-19 Jan Fritz Usadel Nasenauflage
CN105182558B (zh) * 2015-07-17 2017-10-31 温州市八达光学有限公司 一种镜片易拆的眼镜
CN112285947A (zh) * 2020-11-12 2021-01-29 崔渊哲 一种驾驶用多档位鼻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17973A1 (de) * 1979-05-04 1980-11-06 Frey & Winkler Seitensteg fuer brillenfassungen
FR2473735A1 (fr) * 1980-01-10 1981-07-17 Morel Michel Perfectionnements apportes au montage des plaquettes nasales sur les montures de lunettes
FR2554604B1 (fr) * 1983-11-08 1986-10-31 Amy Ensemble de plaquette et porte-plaquette d'appui nasal pour lunettes
DE3417255A1 (de) * 1984-05-10 1985-11-14 Herbert 7531 Eisingen Speer Halterung fuer pads
JPH04129128U (ja) * 1991-05-17 1992-11-25 守 関 メガネフレームの鼻当てパツト及びその支持構造
DK174435B1 (da) * 1996-12-12 2003-03-03 Lindberg Optic Design As En brille, en komponent til en brille og en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en brille
EP0922987A1 (en) 1997-12-12 1999-06-16 Sinthesys S.r.l. Wire-frame spectacles
EP1217417A1 (en) * 2000-12-21 2002-06-26 F.A. Thiele A/S A pair of spectacles and a resilient nose pad for use therein
AT411800B (de) 2002-04-03 2004-05-25 Silhouette Int Schmied Ag Formschlüssige verbindung zwischen einem drahtstück und einem aus kunststoff gespritzten formkörper, insbesondere für eine brille
ITPD20030078A1 (it) * 2003-04-18 2004-10-19 Silcon Plastic Srl Dispositivo di collegamento e snodo per placchette di nasell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1023A (ko) * 2018-04-17 2019-10-25 주식회사 이노 (Inno) 안경테용 코패드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75301A1 (de) 2008-01-09
AT500856A4 (de) 2006-04-15
WO2006113949A1 (de) 2006-11-02
CN100565278C (zh) 2009-12-02
HK1117598A1 (en) 2009-01-16
ATE528684T1 (de) 2011-10-15
KR101056533B1 (ko) 2011-08-12
PL1875301T3 (pl) 2012-03-30
NZ562696A (en) 2010-09-30
CA2605665A1 (en) 2006-11-02
ES2374417T3 (es) 2012-02-16
US7651218B2 (en) 2010-01-26
US20090086157A1 (en) 2009-04-02
EP1875301B1 (de) 2011-10-12
AU2006239768B2 (en) 2011-03-24
AT500856B1 (de) 2006-04-15
JP2008538828A (ja) 2008-11-06
JP4702755B2 (ja) 2011-06-15
CA2605665C (en) 2014-02-11
CN101164007A (zh) 2008-04-16
AU2006239768A1 (en) 2006-11-02
DK1875301T3 (da) 2012-01-30
AT500856B8 (de) 200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6533B1 (ko) 안경용 코 지지체
US20190261079A1 (en) Earphone and supporter
ATE272227T1 (de) Federscharnierbauteil für brillenfassung
TW200639319A (en) Assembly for tool holder
RU2015149699A (ru) Зубной имплантант
KR860002030A (ko) 안경다리의 귀걸이부
AU731211B2 (en) Sunglasses with an optical spectacle insert
DE50002981D1 (de) Lampenfassung
ES2372260T3 (es) Enchufe y clavija mejorados.
EP0974511A3 (en) Light source assembly for motorcycle tail light
US10401645B2 (en) Nosepad for an eyeglasses nosepiece and a connecting system between pin and nosepad in an eyeglasses nosepiece
WO2013153662A1 (ja) 弾性板状連結具を備えた眼鏡フレーム
CN209946560U (zh) 一种更换式软性鼻托的镜框
JP3213936U (ja) 眼鏡の伸張部キット
JP4664648B2 (ja) コネクタ
KR101744658B1 (ko) 개량된 코받침 설치구조를 갖는 안경테
MXPA01008630A (es) Ensamble de soporte de cuchilla de margen.
JP2000115876A5 (ko)
KR200243713Y1 (ko) 안경다리테의 신축조절구조
KR20100084880A (ko) 안경 코받침
KR200483264Y1 (ko) 선글라스, 안경 및 안경용 렌즈를 둘러싸는 렌즈 프레임
JP3105540U (ja) メガネフレーム
KR101781329B1 (ko) 개량된 렌즈 지지구조를 갖는 반테안경
JP6284191B2 (ja) シールピース
JPH06265976A (ja) レンズ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