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264Y1 - 선글라스, 안경 및 안경용 렌즈를 둘러싸는 렌즈 프레임 - Google Patents

선글라스, 안경 및 안경용 렌즈를 둘러싸는 렌즈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264Y1
KR200483264Y1 KR2020160004556U KR20160004556U KR200483264Y1 KR 200483264 Y1 KR200483264 Y1 KR 200483264Y1 KR 2020160004556 U KR2020160004556 U KR 2020160004556U KR 20160004556 U KR20160004556 U KR 20160004556U KR 200483264 Y1 KR200483264 Y1 KR 2004832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frame
front surface
fram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5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눕바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눕바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눕바이
Priority to KR20201600045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2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2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2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6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closed rigid rims for th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선글라스는 전면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렌즈 및 전면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렌즈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렌즈 프레임을 포함하고, 렌즈 프레임의 전면과 렌즈의 전면은 동일 평면상에 정렬되게 형성된다.

Description

선글라스, 안경 및 안경용 렌즈를 둘러싸는 렌즈 프레임{SUNGLASSES, GLASSES AND LENS FRAME THAT SURROUNDS THE GLASS LENS}
본 고안은 선글라스, 안경 및 안경용 렌즈를 둘러싸는 렌즈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패션에 대한 관심이 대단히 높은 요즘은 다양한 형태의 선글라스 또는 안경이 판매되고 있다. 선글라스 또는 안경은 테에 렌즈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렌즈를 테에 결합하면, 렌즈와 테 사이의 경계가 뚜렷이 나타나 미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렌즈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면서도 렌즈와 테 사이의 경계가 나타나지 않아 일체로 보이게 하는 선글라스 또는 안경이 요구된다.
또한, 선글라스 또는 안경의 테는 장기간 사용하면 테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테는 부러지지만 않으면 렌즈를 교체하여 장기간 사용될 수 있으므로, 오랜 시간이 경과하여도 변형되지 않는 테가 요구된다.
본 고안의 일 과제는 렌즈와 렌즈 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된 것처럼 보이는 심미감을 형성하는 선글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과제는 시간이 경과해도 프레임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선글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예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라스는 전면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렌즈 및 전면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렌즈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렌즈 프레임을 포함하고, 렌즈 프레임은, 내주면에서 렌즈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렌즈의 후면에 밀착하는 지지면과, 내주면을 따라 함몰되고 지지면 측의 면이 지지면의 연장면상에 형성된 결합홈을 포함하고, 렌즈는, 결합홈에 대응되게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며, 전면 측에서 봤을 때, 렌즈 프레임의 전면은 직접적으로 보이고, 지지면은 렌즈에 오버랩되어 보인다.
또 다른 예에서, 렌즈 프레임의 전면과 렌즈의 전면은 동일 평면상에 정렬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렌즈 프레임은 안경 다리의 일단과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지지면은 연결부에 근접할수록 렌즈의 후면과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은 렌즈, 렌즈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서 고정하는 렌즈 프레임 및 렌즈 프레임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착용자의 귀에 걸리는 안경 다리를 포함하며, 렌즈 프레임은, 렌즈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렌즈의 외측 측면에 밀착되는 내측 측면을 갖는 테두리부와, 테두리부의 내측 측면에서 렌즈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렌즈의 후면에 밀착되는 지지면을 갖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테두리부는, 내측 측면에서 렌즈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고, 지지면 측의 면이 지지면의 연장면상에 형성된 결합홈을 더 포함하고, 렌즈는, 후면이 렌즈의 후면에서 연장되게 형성되고, 외측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며, 전면 측에서 봤을 때, 렌즈 프레임의 전면은 직접적으로 보이고, 지지면은 렌즈에 오버랩되어 보인다.
또 다른 예에서, 렌즈의 전면과 렌즈 프레임의 전면은 동일 평면이나 동일 곡면상에 정렬되게 형성되어, 렌즈의 전면과 렌즈 프레임의 전면 사이에 전체적으로 단차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렌즈의 전면과 렌즈 프레임의 전면 사이의 경계가 인식되지 않아 렌즈와 렌즈 프레임이 일체로 인식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용 렌즈를 둘러싸는 렌즈 프레임은, 안경용 렌즈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안경용 렌즈의 외측 측면에 밀착되는 내측 측면을 갖는 테두리부 및 테두리부의 내측 측면에서 안경용 렌즈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안경용 렌즈의 후면에 밀착되는 지지면을 갖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테두리부는, 안경용 렌즈의 전면과 동일 평면이나 동일 곡면상에 정렬되게 형성된 전면과, 안경용 렌즈가 삽입 가능하게 내측 측면에서 안경용 렌즈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고, 지지면 측의 면이 지지면의 연장면상에 형성된 결합홈을 더 포함하며, 전면 측에서 봤을 때, 테두리부의 전면은 직접적으로 보이고, 지지면은 안경용 렌즈에 오버랩되어 보인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에 의하면 선글라스의 렌즈와 렌즈 프레임 사이의 경계가 인식되지 않아, 렌즈와 렌즈 프레임이 일체로 보이는 심미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선글라스를 오랜 기간 사용하더라도 렌즈 프레임의 형태에 변형이 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라스(안경)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라스(안경)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프레임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프레임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프레임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선글라스)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라스(안경)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라스(안경)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프레임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프레임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실시예 1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라스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선글라스를 대상으로 작성되었지만, 안경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전면은, 사용자가 선글라스를 착용했을 때 시야 방향에서 앞쪽에 형성된 면을 의미한다. 즉 도 1의 아래쪽 면, 도 2 내지 도 6의 왼쪽 면을 의미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라스는 렌즈(200) 및 렌즈 프레임(100)을 포함한다.
도 1, 도 2, 도 5, 도 6을 참조하면, 렌즈(200)의 전면(221)은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렌즈 프레임(100)의 전면(121)은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2, 도 3, 도 5를 참조하면, 렌즈 프레임(100)은 렌즈(200)의 외주면(225)에 밀착된다. 즉 렌즈 프레임(100)의 내주면(125)과 렌즈(200)의 외주면(225)이 밀착된다.
렌즈 프레임(100)의 전면(121)과 렌즈(200)의 전면(221)은 동일 평면상에 정렬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렌즈 프레임(100)과 렌즈(200) 사이의 경계가 인식되지 않을 수 있다. 렌즈 프레임(100)과 렌즈(200)가 일체로 인식되어 심미감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렌즈 프레임(100)은, 내주면(125)을 따라 함몰된 결합홈(126)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200)는 외주면(225)을 따라 결합돌기(226)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돌기(226)는 결합홈(126)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렌즈(200)와 렌즈 프레임(100)의 결합 시, 결합홈(126)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렌즈(200)가 렌즈 프레임(1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렌즈 프레임(100)은 도 5의 렌즈(200)와 대응될 수 있고, 도 4의 렌즈 프레임(100)은 도 6의 렌즈(200)와 대응될 수 있다.
렌즈 프레임(100)은, 내주면에서 렌즈(2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면(14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면(145)은 렌즈(200)의 후면(245)에 밀착할 수 있다(도 2 참조). 렌즈(200)가 지지면(145)에 밀착함으로써 렌즈(2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렌즈와 렌즈 프레임이 보다 견고하게 그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세테이트로 형성된 렌즈 프레임은 시간이 지나면서 수분이 빠져 수축될 수 있다. 렌즈 프레임이 렌즈의 후면과 밀착하는 지지면을 포함하면 렌즈가 프레임의 변형을 제한할 수 있다.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대응되게 결합되는 것도 렌즈 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결합홈(126)은 렌즈 프레임(100)의 내주면(125)과 지지면(145)의 경계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의 결합홈(126)과 달리 결합홈(126)이 지지면(145)의 연장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의 결합홈(126)에 대응되는 위치에 도 5의 결합돌기(226)가 형성된다. 따라서 렌즈(200)를 렌즈 프레임(100)에 결합할 때, 결합돌기(226)를 지지면(145)에 접촉시키고 결합홈(126)을 향해 렌즈(200)를 밀어넣으면, 지지면(145)은 결합돌기(226)를 결합홈(126)으로 안내할 수 있다. 즉 렌즈(200)와 렌즈 프레임(10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라스는 안경 다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경 다리(300)는 일단이 렌즈 프레임(100)에 연결되고, 타단은 착용자의 귀에 걸릴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프레임(100)의 정면도이다. 즉 도면의 왼쪽 렌즈는 실제 오른쪽 렌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렌즈 프레임(100)은 안경 다리(300)의 일단과 연결되는 연결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렌즈 프레임(100)과 안경 다리(300)는 연결부(150) 측에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50)는 렌즈 프레임(100)과 안경 다리(300)가 연결되는 부분이므로 다른 부분보다 많은 힘을 수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렌즈(200)가 보다 견고하게 렌즈 프레임(100)에 결합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지지면(145)은 연결부(150)에 근접할수록 렌즈(200)의 후면과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질 수 있다. 도 7에서 음영 부분은 지지면(145)과 렌즈(200)의 후면이 접촉한 부분을 나타낸다. 지지면(145)과 렌즈(200)의 후면이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렌즈 프레임(100)과 렌즈(200)의 형상이, 원형 형상의 상측 테두리와 좌측 테두리가 연결부(150)를 향해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2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안경을 대상으로 작성되었지만, 선글라스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은 렌즈(200), 렌즈 프레임(100) 및 안경 다리(300)를 포함한다.
안경 다리(300)는 일단이 렌즈 프레임(1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착용자의 귀에 걸린다.
렌즈 프레임(100)은 렌즈(20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서 고정한다. 렌즈(200)의 하측 테두리 또는 상측 테두리만 감싸는 반테형 렌즈 프레임(100)일 수도 있고, 렌즈(200)의 테두리 전체를 둘러싸는 렌즈 프레임(100)일 수도 있다. 이 외의 형태라도 렌즈(200)를 고정할 수 있는 형태이기만 하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선글라스)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렌즈 프레임(100)의 전면(121)과 렌즈(200)의 전면(221)은 동일 평면이나 동일 곡면상에 정렬되게 형성되어, 렌즈 프레임(100)의 전면(121)과 렌즈(200)의 전면(221) 사이에 전체적으로 단차가 형성되지 않는다. 즉 렌즈(200)의 테두리 어느 부분에 대해 단면을 잘라 보더라도, 도 2와 같이 상측 및 하측 모두 렌즈 프레임(100)의 전면(121)과 렌즈(200)의 전면(221)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렌즈 프레임(100)의 전면(121)과 렌즈(200)의 전면(221) 사이의 경계가 인식되지 않아, 일체로 보인다. 렌즈 프레임(100)과 렌즈(200)가 일체로 인식되면 안경의 착용시 심미감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렌즈 프레임(100)의 전면(121)과 렌즈(200)의 전면(221)이 동일 곡면상에 형성되는 경우란, 예를 들어 동일한 곡률을 갖는 두 면이 만나는 것과 같은 경우를 말한다. 도 8의 렌즈 프레임(100)의 전면(121)과 렌즈(200)의 전면(221)은 동일 곡면상에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렌즈 프레임(100)은 테두리부(120)와 지지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테두리부(120)는 렌즈(20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싼다. 그리고 테두리부(120)는 렌즈(200)의 외측 측면(225)에 밀착되는 내측 측면(125)을 포함할 수 있다(도 2 참조).
지지부(140)는 테두리부(120)의 내측 측면에서 렌즈(2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면(145)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면(145)은 렌즈(200)의 후면(245)에 밀착될 수 있다. 지지면(145)이 렌즈(200)의 후면(245)에 밀착되면 렌즈(200)가 렌즈 프레임(1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테두리부(120)는 내측 측면(125)에서 렌즈(200)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결합홈(1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렌즈(200)는 외측 측면(225)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결합돌기(226)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돌기(226)가 결합홈(126)에 삽입되어 렌즈(200)가 렌즈 프레임(100)에 견고하게 고정 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결합홈(126)은 테두리부(120)의 내측 측면(125)과 지지면(145)의 경계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226)는 그 후면(227)이 렌즈(200)의 후면에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렌즈(200)와 렌즈 프레임(100)의 결합 시에 결합돌기(226)는 지지면(145)의 안내를 받으며 결합홈(126)에 삽입될 수 있다. 즉 렌즈(200)와 렌즈 프레임(10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상에서 설명한 안경용 렌즈를 둘러싸는 렌즈 프레임(100)은 테두리부(120) 및 지지부(140)를 포함한다.
테두리부(120)는 내측 측면(125), 전면(121) 및 결합홈(126)을 더 포함한다. 내측 측면(125)은 안경용 렌즈의 외측 측면에 밀착된다. 전면(121)은 안경용 렌즈의 전면과 동일 평면이나 동일 곡면상에 정렬되게 형성된다. 결합홈(126)은 안경용 렌즈가 삽입 가능하게 내측 측면(125)에서 안경용 렌즈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지지부(140)는 테두리부(120)의 내측 측면(125)에서 안경용 렌즈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안경용 렌즈의 후면에 밀착되는 지지면(145)을 갖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렌즈 프레임
120: 테두리부
121: 전면
125: 내주면(내측 측면)
126: 결합홈
140: 지지부
145: 지지면
150: 연결부
200: 렌즈
221: 전면
225: 외주면(외측 측면)
226: 결합돌기
227: 후면
245: 후면
300: 안경 다리

Claims (11)

  1. 전면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렌즈; 및
    전면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렌즈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렌즈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프레임은, 내주면에서 상기 렌즈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렌즈의 후면에 밀착하는 지지면과, 내주면을 따라 함몰되고 상기 지지면 측의 면이 상기 지지면의 연장면상에 형성된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상기 결합홈에 대응되게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며,
    전면 측에서 봤을 때, 상기 렌즈 프레임의 전면은 직접적으로 보이고, 상기 지지면은 상기 렌즈에 오버랩되어 보이는, 선글라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 프레임의 전면과 상기 렌즈의 전면은 동일 평면상에 정렬되게 형성되는, 선글라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 프레임은 안경 다리의 일단과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면은 상기 연결부에 근접할수록 상기 렌즈의 후면과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지는 선글라스.
  4. 렌즈;
    상기 렌즈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서 고정하는 렌즈 프레임; 및
    상기 렌즈 프레임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착용자의 귀에 걸리는 안경 다리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 프레임은, 상기 렌즈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상기 렌즈의 외측 측면에 밀착되는 내측 측면을 갖는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의 상기 내측 측면에서 상기 렌즈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렌즈의 후면에 밀착되는 지지면을 갖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내측 측면에서 상기 렌즈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면 측의 면이 상기 지지면의 연장면상에 형성된 결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후면이 상기 렌즈의 후면에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외측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며,
    전면 측에서 봤을 때, 상기 렌즈 프레임의 전면은 직접적으로 보이고, 상기 지지면은 상기 렌즈에 오버랩되어 보이는 안경.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전면과 상기 렌즈 프레임의 전면은 동일 평면이나 동일 곡면상에 정렬되게 형성되어, 상기 렌즈의 전면과 상기 렌즈 프레임의 전면 사이에 전체적으로 단차가 형성되지 않는 안경.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전면과 상기 렌즈 프레임의 전면 사이의 경계가 인식되지 않아 상기 렌즈와 상기 렌즈 프레임이 일체로 인식되는 안경.
  7. 안경용 렌즈를 둘러싸는 렌즈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안경용 렌즈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상기 안경용 렌즈의 외측 측면에 밀착되는 내측 측면을 갖는 테두리부; 및
    상기 테두리부의 상기 내측 측면에서 상기 안경용 렌즈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안경용 렌즈의 후면에 밀착되는 지지면을 갖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안경용 렌즈의 전면과 동일 평면이나 동일 곡면상에 정렬되게 형성된 전면과, 상기 안경용 렌즈가 삽입 가능하게 상기 내측 측면에서 상기 안경용 렌즈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면 측의 면이 상기 지지면의 연장면상에 형성된 결합홈을 더 포함하며,
    전면 측에서 봤을 때, 상기 테두리부의 전면은 직접적으로 보이고, 상기 지지면은 상기 안경용 렌즈에 오버랩되어 보이는 렌즈 프레임.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2020160004556U 2016-08-05 2016-08-05 선글라스, 안경 및 안경용 렌즈를 둘러싸는 렌즈 프레임 KR2004832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556U KR200483264Y1 (ko) 2016-08-05 2016-08-05 선글라스, 안경 및 안경용 렌즈를 둘러싸는 렌즈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556U KR200483264Y1 (ko) 2016-08-05 2016-08-05 선글라스, 안경 및 안경용 렌즈를 둘러싸는 렌즈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264Y1 true KR200483264Y1 (ko) 2017-04-24

Family

ID=58669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556U KR200483264Y1 (ko) 2016-08-05 2016-08-05 선글라스, 안경 및 안경용 렌즈를 둘러싸는 렌즈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264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451B1 (ko) * 2014-11-14 2015-06-03 이태성 조립형 안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451B1 (ko) * 2014-11-14 2015-06-03 이태성 조립형 안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6372B2 (en) Eyewear with multi-function insert chassis clips
KR102144105B1 (ko) 안경과 광학보조 기구의 세트
JP2000147436A (ja) 眼鏡用のフルリムフレ―ムのセントラルピ―ス及び眼鏡のセントラルピ―スを製造する製造方法
KR200483264Y1 (ko) 선글라스, 안경 및 안경용 렌즈를 둘러싸는 렌즈 프레임
KR101512593B1 (ko) 경량화된 투톤 안경테
JP2010211169A (ja) 眼鏡用防塵具
KR100953949B1 (ko) 안경 조립체
KR101979461B1 (ko) 안경 프레임
KR20130073912A (ko) 보호안경
KR101698409B1 (ko) 다기능 복합 안경
KR200483592Y1 (ko) 안경위에 착용할 수 있는 선글라스
KR20100091756A (ko) 원터치형 안경 코받침
KR102396810B1 (ko) 안경테 구조체
WO2017038636A1 (ja) 眼鏡
KR101374129B1 (ko) 안경용 렌즈 프레임 탈착구조
KR20140146799A (ko) 안경테와 다리의 연결구
US9664928B1 (en) Rimless eyeglasses having detachable rim
KR101941402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US20240061277A1 (en) Glasses
KR100922012B1 (ko) 보조안경 유니트
CN209879167U (zh) 一种新型镜脚结构及眼镜
KR101422994B1 (ko) 안경테
JP5933461B2 (ja) メガネフレーム
KR101578913B1 (ko) 보안경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CN111474741A (zh) 拟单片式镜片的太阳眼镜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