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3949B1 - 안경 조립체 - Google Patents

안경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3949B1
KR100953949B1 KR1020080040295A KR20080040295A KR100953949B1 KR 100953949 B1 KR100953949 B1 KR 100953949B1 KR 1020080040295 A KR1020080040295 A KR 1020080040295A KR 20080040295 A KR20080040295 A KR 20080040295A KR 100953949 B1 KR100953949 B1 KR 100953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protrusion
frame
groove
lens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0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4587A (ko
Inventor
이조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전안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전안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전안경
Priority to KR1020080040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3949B1/ko
Publication of KR20090114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4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8Modular frames, easily exchangeable frame parts and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렌즈교환과 고정을 위한 구조를 보다 간단하고 간편하게 하여 안경의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렌즈와,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테, 상기 렌즈테와 결합되어 렌즈를 사용자의 눈 위치에 지지되도록 하는 안경테, 상기 렌즈테와 안경테를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렌즈테에 돌출설치되는 돌기와, 상기 안경테에 설치되어 상기 돌기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된 홈부재를 포함하는 안경조립체를 제공한다.
안경테, 렌즈테, 돌기, 홈부재, 탄성부재, 안착부

Description

안경 조립체{SPECTACLES ASSEMBLY}
본 발명은 안경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렌즈를 보다 간편하고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된 안경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렌즈와, 상기 렌즈가 설치되고 렌즈를 사용자의 눈 위치에 지지하기 위한 안경테를 포함한다.
상기 안경은 근시안 시력 교정을 위한 목적으로 착용하거나, 원시안 시력 교정용, 스포츠용, 레저용 등의 2가지 이상의 다목적으로 착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안경의 착용 목적이 점차적으로 다양화됨에 따라 통상의 안경 착용자는 근시안 시력 교정을 위한 안경 이외에 필요시 원시안 시력 교정을 위한 돋보기나 선글라스와 같은 보조적인 안경도 구비하여 착용하게 된다.
종래의 안경 착용자는 현재 착용하는 주 안경에 보조 선글라스 등의 보조 렌즈만을 장착하거나, 원시안 교정용 돋보기를 별도로 소지하여 필요시 선택적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렌즈를 교체할 수 있도록 된 안경이 개발되어 필요한 경우 렌즈를 교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장치는 렌즈 고정을 위한 장치가 없어 사용중 렌즈가 떨어져 파손되거나, 고정장치로 자석을 이용함에 따라 자석 무게로 인해 안경 자체의 무게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무거운 안경 착용으로 인해 코가 눌리는 등 착용감이 불편하고, 착탈방식이 지나치게 까다로워 사용에 많은 불편함이 발생된다. 또한, 자석 설치에 따라 안경의 구조가 복잡해져 제작비가 많이 소요되며 채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에 렌즈교환과 고정을 위한 구조를 보다 간단하고 간편하게 하여 안경의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된 안경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렌즈 교환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안경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안경 조립체의 렌즈 체결구조는 렌즈와,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테, 상기 렌즈테와 결합되어 렌즈를 사용자의 눈 위치에 지지되도록 하는 안경테, 상기 렌즈테와 안경테를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렌즈테에 돌출설치되는 돌기와, 상기 안경테에 설치되어 상기 돌기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된 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기는 렌즈테의 좌우측 선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홈부재는 안경테의 좌우측 선단부에 대응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상기 홈부재의 홈에 억지 끼움식으로 끼워질 수 있다.
상기 돌기는 원통형 단면구조 또는 다각형 단면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는 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는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절결되어 탄력적으로 휘어지고 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홈부재는 측면에 상기 돌출부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더욱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는 탄성부재가 더욱 설치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홈부재의 홈에 고정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돌기 외측면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측면이 외측으로 만곡되어 탄성체를 이루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돌기 외측면에 설치되고 중앙부는 외측으로 만곡되어 탄성체를 이루며, 상기 탄성체를 따라 간격을 두고 슬릿이 돌기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홈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와 대응되는 형태로 측면이 외측으로 만곡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이루는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안경 조립체의 렌즈 체결구조는 돌기를 홈에 간단히 끼우는 구조로 이루어져 렌즈테의 교체와 고정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렌즈테 고정을 위한 구조가 단순하여 안경의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렌즈테와 안경테의 고정력이 우수하여 활동시 렌즈테가 안경테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 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위", "아래"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좀더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 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 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또한,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다른 실시예에서 대응하거나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조가 구비된 안경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안경조립체(10)는 안경테(11)와, 안경테(11)의 양 선단에 설치되는 안경다리(12), 한쌍의 렌즈(13) 및 렌즈(13)를 지지하며 상기 안경테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렌즈테(14)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13)는 종류별로 예컨대, 근시안 교정용 렌즈(13)나 원시안 교정용 돋보기, 다양한 색상의 선글라스 등 여러 가지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렌즈(13)는 렌즈테(14)에 의해 부착 설치된다. 상기 렌즈테(14)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13)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쌍을 이루는 두 개의 렌즈(13)가 렌즈테(14)에 부착설치된다. 이에 상기 렌즈테(14)는 상기 렌즈(13)에 부착되는 테(15) 와 한쌍의 테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6)를 포함하며, 테(15)와 연결부재(16)가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몸체를 이룬다.
상기 렌즈테(14)의 테(15)는 상기 렌즈(13)의 선단을 따라 렌즈(13) 전체를 둘러싸는 구조일 수 있으며 렌즈(13)의 상단 일부만을 감싸서 부착된 구조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테(15)와 렌즈(13)의 결합은 볼트를 이용한 결합방식 등과 같이 통상의 결합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테(15)의 형태는 렌즈(13)의 선단 형태와 대응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렌즈테(14)에는 안경 조립체(10)를 사용자의 코에 받쳐 지지시키기 위한 코받침(17)이 더욱 설치된다. 상기 코받침(17)은 렌즈테에 설치된 구조 이외에 안경테(11)에 설치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안경테(11)는 안경다리(12)를 연결하는 브리지 역할을 수행하면서 한쌍의 렌즈(13)를 지지하여 사용자의 눈 위치에 놓여지도록 한다. 상기 안경다리(12)는 상기 안경테(11)의 선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안경테(11)에 대해 접었다 펼 수 있는 통상의 구조를 이룬다.
한편, 상기 안경테(11)에 렌즈테(14)를 결합시키기 위한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안경 조립체는 안경테(11)와 렌즈테(14)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부(20)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20)는 상기 렌즈테(14)에 돌출설치되는 돌기(21)와, 상기 안경테(11)에 설치되어 상기 돌기(21)가 끼워지는 홈(26)이 형성된 홈부재(22)를 포함한다.
상기 돌기(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테(14)의 양 선단부에 안경테(11)를 향하여 형성된다. 상기 홈부재(22)는 상기 돌기(21)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안경테(11)의 양 선단부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기(21)가 두 개 구비되어 렌즈테(14)의 양 선단부에 각각 설치된 구조를 예시하고 있으나, 돌기(21)의 형성 위치나 형성 개수에 대해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기(21)는 원기둥형태로 이루어지며, 선단은 둥글게 구형태로 되어 홈부재(22)의 홈(26)에 용이하게 진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홈부재(22)는 내부에 홈(26)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홈부내에 형성되는 홈(26)은 상기 돌기(21)와 대응되는 단면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내경은 상기 돌기(21)의 직경과 대응되어 돌기(21)가 억지끼움식으로 끼워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기(21)는 외측면을 따라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 형성된 위치에 돌기(21)의 고정력을 높이기 위한 탄성부재(23)가 끼워져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23)는 중앙부가 외측으로 만곡되어 탄성체(24)를 이루고 탄성체(24)를 따라 간격을 두고 슬릿(25)이 돌기(2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외측으로 만곡된 탄성체(24)가 홈부재(22)의 홈(26)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력적으로 휘어지면서 그 탄성력에 의해 돌기(21)가 홈부재(22)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홈부재(2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26)의 내측면이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만곡형성된 안착부(27)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체(24)가 안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3은 상기 홈부재(22)에 돌기(21)가 끼워져 결합된 상태를 잘 예시하고 있다. 상기한 도면에서와 같이 돌기(21)가 홈(26) 내부로 끼워지면 탄성체(24)는 탄성체(24)의 외경보다 작은 홈(26) 입구를 지나면서 돌기(21) 측면쪽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진다. 그리고 홈(26) 내부에 돌기(21)가 완전히 끼워져 탄성체(24)가 안착부(27)에 위치하게 되면 탄성체(24)는 홈부재(22)의 안착부(27)에서 탄성복귀력에 의해 외측으로 펴지면서 안착부(27)에 놓여진다.
이에 따라 외측으로 만곡된 홈부재(22)의 안착부(27)에 외측으로 만곡된 돌기(21)의 탄성부재(23)가 놓여지면서 돌기와 홈부재의 상호 결합력이 더욱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체결부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실시예의 체결부(30)는 상기 렌즈테(14)에 돌출설치되는 돌기(31)와, 상기 안경테(11)에 설치되어 상기 돌기(31)가 끼워지는 홈(36)이 형성된 홈부재(32)를 포함한다.
상기 돌기(3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테(14)의 양 선단부에 안경테(11)를 향하여 형성된다. 상기 홈부재(32)는 상기 돌기(31)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안경테(11)의 양 선단부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기(31)가 두 개 구비되어 렌즈테(14)의 양 선단부에 각각 설치된 구조를 예시하고 있으나, 돌기(31)의 형 성 위치나 형성 개수에 대해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기(31)는 원기둥형태로 이루어지며, 선단은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져 홈부재(32)의 홈(36)에 용이하게 진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홈부재(32)는 내부에 홈(36)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홈부내에 형성되는 홈(36)은 상기 돌기(31)와 대응되는 단면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기(31)는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십자형태로 절결되어 4개의 부재(33)로 나눠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4개로 구분된 각 부재(33)는 절결된 중앙부로 모아지면서 탄성적으로 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4개의 각 부재(33)는 외측면에 돌출부(35)가 돌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상기 돌기(31)가 홈부재(32)의 홈(36)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절결된 4개의 부재(33)가 중앙쪽으로 탄력적으로 휘어지면서 그 탄성력에 의해 돌기(31)가 홈부재(32)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홈부재(3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36)의 내측면이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만곡형성된 안착부(37)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35)가 안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7은 상기 홈부재(32)에 돌기(31)가 끼워져 결합된 상태를 잘 예시하고 있다. 상기한 도면에서와 같이 돌기(31)가 홈(36) 내부로 끼워지면 돌기(31)를 이루는 4개의 부재(33)는 홈(36) 입구를 지나면서 돌출부(35)에 의해 눌려져 탄성적으로 휘어진다. 그리고 홈(36) 내부에 돌기(31)가 완전히 끼워져 돌출부(35)가 안착 부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휘어져 있던 4개의 부재(33)는 탄성복귀력에 의해 외측으로 펴지면서 돌출부(35)가 안착부(37)에 놓여지게 된다.
이에 따라 외측으로 만곡된 홈부재(32)의 안착부(37)에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35)가 놓여지면서 돌기(31)와 홈부재(32)의 상호 결합력이 더욱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8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체결부(50)는 상기 렌즈테(14)에 돌출설치되는 돌기(51)와, 상기 안경테(11)에 설치되어 상기 돌기(51)가 끼워지는 홈(55)이 형성된 홈부재(52)를 포함한다.
상기 돌기(5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테(14)의 양 선단부에 안경테(11)를 향하여 형성된다. 상기 홈부재(52)는 상기 돌기(51)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안경테(11)의 양 선단부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기(51)가 두 개 구비되어 렌즈테(14)의 양 선단부에 각각 설치된 구조를 예시하고 있으나, 돌기(51)의 형성 위치나 형성 개수에 대해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기(51)는 사각기둥형태로 이루어지며, 선단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홈부재(52)의 홈(55)에 용이하게 진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홈부재(52)는 내부에 홈(55)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홈부재(52)에 형성되는 홈(55)은 상기 돌기(51)와 대응되는 단면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내경은 상기 돌기(51)의 직경과 대응되어 돌기(51)가 억지끼움식으로 끼워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기(51)는 외측면을 따라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 형성된 위치에 돌기(51)의 고정력을 높이기 위한 탄성부재(53)가 끼워져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53)는 상면과 하면의 중앙부가 양 측면에서 절결되고 외측으로 만곡되어 탄성체(54)를 이루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외측으로 만곡된 탄성체(54)가 홈부재(52)의 홈(55)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력적으로 휘어지면서 그 탄성력에 의해 돌기(51)가 홈부재(52)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홈부재(5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55)의 내측 상면과 하면이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만곡형성된 안착부(56)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체(54)가 안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0은 상기 홈부재(52)에 돌기(51)가 끼워져 결합된 상태를 잘 예시하고 있다. 상기한 도면에서와 같이 돌기(51)가 홈(55) 내부로 끼워지면 탄성체(54)는 탄성체(54)의 외경보다 작은 홈(55) 입구를 지나면서 돌기(51) 측면쪽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진다. 그리고 홈(55) 내부에 돌기(51)가 완전히 끼워져 탄성체(54)가 안착부(56)에 위치하게 되면 탄성체(54)는 홈부재(52)의 안착부(56)에서 탄성복귀력에 의해 외측으로 펴지면서 안착부(56)에 놓여진다.
이에 따라 외측으로 만곡된 홈부재(52)의 안착부(56)에 외측으로 만곡된 돌기(51)의 탄성부재(53)가 놓여지면서 돌기(51)와 홈부재의 상호 결합력이 더욱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체결부를 구비한 안경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돌기와 홈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돌기와 홈부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체결부를 구비한 안경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 4의 돌기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돌기와 홈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돌기와 홈부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체결부를 구비한 안경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돌기와 홈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돌기와 홈부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Claims (8)

  1. 렌즈와,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테(14), 상기 렌즈테와 결합되어 렌즈를 사용자의 눈 위치에 지지되도록 하는 안경테(11), 상기 렌즈테와 안경테를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렌즈테에 돌출설치되는 돌기(31)와, 상기 안경테에 설치되어 상기 돌기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된 홈부재(32)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31)는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절결되어 탄력적으로 휘어지고 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35)가 형성되며, 상기 홈부재(32)는 측면에 상기 돌출부가 안착되는 안착부(37)가 형성된 안경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렌즈테의 좌우측 선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홈부재는 이와 대응되는 안경테의 좌우측 선단부에 설치되는 안경 조립체.
  3. 삭제
  4. 삭제
  5. 렌즈와,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테(14), 상기 렌즈테와 결합되어 렌즈를 사용자의 눈 위치에 지지되도록 하는 안경테(11), 상기 렌즈테와 안경테를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렌즈테에 돌출설치되는 돌기(31)와, 상기 안경테에 설치되어 상기 돌기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된 홈부재(32)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31)는 탄성부재(23)가 더욱 설치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홈부재의 홈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부재(23)는 상기 돌기 외측면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측면이 외측으로 만곡되어 탄성체(24)를 이루는 구조의 안경 조립체.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돌기 외측면에 설치되고 중앙부는 외측으로 만곡되어 탄성체를 이루며, 상기 탄성체를 따라 간격을 두고 슬릿이 돌기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안경 조립체.
  8. 제 5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재는 측면이 외측으로 만곡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더욱 포함하는 안경 조립체.
KR1020080040295A 2008-04-30 2008-04-30 안경 조립체 KR100953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295A KR100953949B1 (ko) 2008-04-30 2008-04-30 안경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295A KR100953949B1 (ko) 2008-04-30 2008-04-30 안경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4587A KR20090114587A (ko) 2009-11-04
KR100953949B1 true KR100953949B1 (ko) 2010-04-21

Family

ID=41555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0295A KR100953949B1 (ko) 2008-04-30 2008-04-30 안경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39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463B1 (ko) * 2010-05-12 2012-01-12 안명희 복합 소재가 결합되어 구성된 안경테
KR101498164B1 (ko) * 2014-03-27 2015-03-04 최철민 조립형 안경
CN107561732A (zh) * 2017-09-30 2018-01-09 王锦林 一种蓝牙耳机装配式眼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9466A (ja) * 1996-03-29 1997-10-14 Horikawa:Kk 眼鏡に取り付ける遮光具及びそれを構成する部品
KR19980066258U (ko) * 1997-05-13 1998-12-05 강상필 렌즈부가 착탈가능한 안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9466A (ja) * 1996-03-29 1997-10-14 Horikawa:Kk 眼鏡に取り付ける遮光具及びそれを構成する部品
KR19980066258U (ko) * 1997-05-13 1998-12-05 강상필 렌즈부가 착탈가능한 안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4587A (ko) 200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17398A1 (en) Nose-separation earpiece unit, eyeglass frame having the same, and eyeglasses having the same
KR20150142675A (ko) 코받침 조립체 및 대응 안경테
KR100953949B1 (ko) 안경 조립체
WO2010086650A1 (en) Spectacle frames
KR200347247Y1 (ko) 안경의 보조선글라스 결합구조
KR101734387B1 (ko)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
KR20090092948A (ko) 안경 조립체
KR20120006943U (ko) 안경 착탈식 선글라스
KR20180003040U (ko) 변환 안경
KR101212274B1 (ko) 자석을 이용한 착탈식 보조 안경테, 이를 구비한 보조 안경, 및 안경 세트
KR20220108434A (ko) 플립 업,다운안경용 경첩 및 이를 이용한 플립안경
KR102068289B1 (ko) 렌즈 교환형 안경
US20100296047A1 (en) Eyewear for use on land
JP3167304U (ja) 老眼鏡兼用拡大鏡
KR101648408B1 (ko) 측부고정구가 구비된 안경
CN109313354B (zh) 易于卡接镜片的眼镜
KR20090099702A (ko) 안경 조립체
KR101853486B1 (ko) 안경 다리용 힌지 장치
KR200427947Y1 (ko) 안경 코받침 지지대
KR101819068B1 (ko) 초점 가변 안경
KR20200100456A (ko) 플립형 노안 교정안경테
CN208270866U (zh) 一种用于打磨眼镜脚内侧的打磨夹具
KR100721039B1 (ko) 다기능 안경테
KR200261578Y1 (ko) 보조안경를 부착하는 안경
KR100922012B1 (ko) 보조안경 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