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040U - 변환 안경 - Google Patents

변환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040U
KR20180003040U KR2020170001848U KR20170001848U KR20180003040U KR 20180003040 U KR20180003040 U KR 20180003040U KR 2020170001848 U KR2020170001848 U KR 2020170001848U KR 20170001848 U KR20170001848 U KR 20170001848U KR 20180003040 U KR20180003040 U KR 201800030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tacle lens
main
sub
spectacle
main spec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8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만수
Original Assignee
안만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만수 filed Critical 안만수
Priority to KR20201700018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3040U/ko
Publication of KR201800030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04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6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closed rigid rims for th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변환 안경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의 변환 안경은, 메인 안경 렌즈와, 상기 메인 안경 렌즈가 결합되는 메인 안경 렌즈테와, 상기 메인 안경 렌즈테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메인 안경다리를 구비하는 메인 안경 유닛; 및 서브 안경 렌즈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 안경 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 안경테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변환 안경{Changing glasses}
본 고안은, 변환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글라스로 적용될 수 있는 서브 안경테 모듈이 메인 안경 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환 안경에 관한 것이다.
안경은 눈에 부착하여 사물을 더 잘 보이게 하거나 바람이나 먼지를 가리는 구실을 하는 광학기구의 총칭이다.
안경의 종류로서 시력을 돋구기 위한 것에는 근시에 쓰는 졸보기 안경, 원시에 쓰는 돋보기 안경, 난시, 노안 등에 사용하는 특수 안경이 있다.
뿐만 아니라 적외선이나 자외선 그리고 바람이나 먼지, 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한 보안용 안경 등도 출시되고 있다. 보안용 안경에는 선글라스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차량 운전이나 야외 활동 시 시력이 좋은 사람의 경우에는 선글라스만을 휴대하고 필요에 따라 착용하면 되지만 시력이 좋지 않은 사람의 경우에는 일반 안경을 비롯하여 선글라스까지 2개를 늘 휴대해야 한다.
특히, 선글라스를 착용할 때는 일반 안경을 별도로 휴대하거나 다른 곳에 놓아두어야 한다는 점에서 상당한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야기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사항을 해결하기 위한 변한 안경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9-000753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0-001249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4-000313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5-0004325호
본 고안의 목적은, 선글라스로 적용될 수 있는 서브 안경테 모듈이 메인 안경 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환 안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메인 안경 렌즈와, 상기 메인 안경 렌즈가 결합되는 메인 안경 렌즈테와, 상기 메인 안경 렌즈테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메인 안경다리를 구비하는 메인 안경 유닛; 및 서브 안경 렌즈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 안경 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 안경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 안경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서브 안경테 모듈은, 상기 서브 안경 렌즈를 지지하는 서브 안경 렌즈테; 상기 서브 안경 렌즈테의 상단부에서 상기 메인 안경 유닛 쪽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며, 상기 메인 안경 유닛에 상기 서브 안경테 모듈이 결합될 때 상기 메인 안경 렌즈테의 상단부에 지지되는 지지용 플랜지; 상기 지지용 플랜지의 양 사이드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안경 유닛의 메인 안경 렌즈테에 형성되는 후크 걸림홈부에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한 쌍의 사이드 착탈식 후크; 및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착탈식 후크 사이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안경 유닛의 메인 안경 렌즈테의 중심부위에 걸리는 중앙 착탈식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착탈식 후크는, 상기 지지용 플랜지에서 연장되는 사이드 연장부; 상기 사이드 연장부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되는 사이드 절곡부; 및 상기 사이드 절곡부의 단부에서 상기 지지용 플랜지 쪽으로 절곡되어 상기 후크 걸림홈부에 걸리는 사이드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착탈식 후크는, 상기 지지용 플랜지에서 연장되는 중앙 연장부; 및 상기 중앙 연장부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메인 안경 렌즈테의 중심부위에 단순히 걸리는 중앙 절곡식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선글라스로 적용될 수 있는 서브 안경테 모듈이 메인 안경 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변환 안경의 실물 이미지이다.
도 2는 도 1의 배면 이미지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이미지이다.
도 4는 서브 안경테 모듈의 이미지이다.
도 5는 메인 안경 유닛의 이미지이다.
도 6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9는 사이드 착탈식 후크 영역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변환 안경에 적용되는 사이드 착탈식 후크 영역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변환 안경에 적용되는 사이드 착탈식 후크 영역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변환 안경에 적용되는 사이드 착탈식 후크 영역의 결합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변환 안경의 실물 이미지, 도 2는 도 1의 배면 이미지, 도 3은 도 1의 분해 이미지, 도 4는 서브 안경테 모듈의 이미지, 도 5는 메인 안경 유닛의 이미지, 도 6은 도 1의 정면도, 도 7은 도 6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요부 확대도, 그리고 도 9는 사이드 착탈식 후크 영역의 결합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변환 안경(100)은 선글라스로 적용될 수 있는 서브 안경테 모듈(130)이 메인 안경 유닛(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참고로, 도 1 내지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변환 안경(100)의 실물 이미지로서, 실질적인 도면 참조부호는 편의상 도 6 내지 도 9에 첨부하였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5의 이미지는 참조만 하기로 한다.
우선, 메인 안경 유닛(110)에 대해 살펴보면 메인 안경 유닛(110)은 통상의 안경을 가리킨다. 즉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메인 안경 유닛(110)은 졸보기 안경이라고도 불리는 근시용 안경이다.
이러한 메인 안경 유닛(110)은 메인 안경 렌즈(111)와, 메인 안경 렌즈(111)가 결합되는 메인 안경 렌즈테(112)와, 메인 안경 렌즈테(112)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메인 안경다리(1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를 나타낸 도 1 내지 도 5에는 메인 안경 유닛(110)에 코 받침이 있으나 도 6 및 도 7의 도면에는 편의상 도시하지 않았다.
다음으로, 서브 안경테 모듈(130)은 서브 안경 렌즈(131)를 구비하며, 메인 안경 유닛(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이다.
즉 도 1 및 도 2처럼 서브 안경테 모듈(130)은 메인 안경 유닛(110)에 결합될 수도 있고, 도 3 및 도 7처럼 서브 안경테 모듈(130)은 메인 안경 유닛(1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서브 안경테 모듈(130)의 서브 안경 렌즈(131)가 선글라스 렌즈인 경우라면 메인 안경 유닛(110)을 착용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메인 안경 유닛(110)을 벗지 않고 선글라스를 착용할 수 있다. 따라서 안경을 쓰는 사람의 입장에서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서브 안경테 모듈(130)은 서브 안경 렌즈(131)를 지지하는 서브 안경 렌즈테(132)와, 서브 안경 렌즈테(132)의 상단부에서 메인 안경 유닛(110) 쪽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며, 메인 안경 유닛(110)에 서브 안경테 모듈(130)이 결합될 때 메인 안경 렌즈테(112)의 상단부에 지지되는 지지용 플랜지(133)를 포함한다.
서브 안경테 모듈(130)에 지지용 플랜지(133)가 형성되기 때문에 서브 안경테 모듈(130)이 메인 안경 유닛(110)에 결합될 때, 지지용 플랜지(133)가 메인 안경 유닛(110)의 메인 안경 렌즈테(112)의 상단부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안경테 모듈(130)과 메인 안경 유닛(110)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서브 안경테 모듈(130)이 메인 안경 유닛(110)에 결합되기 위해 지지용 플랜지(133)에는 다수의 착탈식 후크(140,150)가 마련된다.
다수의 착탈식 후크(140,150)는 한 쌍의 사이드 착탈식 후크(140)와, 하나의 중앙 착탈식 후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착탈식 후크(140)는 지지용 플랜지(133)의 양 사이드에 배치되며, 메인 안경 유닛(110)의 메인 안경 렌즈테(112)에 형성되는 후크 걸림홈부(114)에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부분이다.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본 실시예에서 사이드 착탈식 후크(140)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중앙 착탈식 후크(150)는 한 쌍의 사이드 착탈식 후크(140) 사이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며, 메인 안경 유닛(110)의 메인 안경 렌즈테(112)의 중심부위(115)에 걸리는 부분이다.
후크 방식으로 결합된다는 점에서 사이드 착탈식 후크(140)와 중앙 착탈식 후크(150)의 원리는 동일하지만 구체적인 구조는 약간 상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 사이드 착탈식 후크(140)는 지지용 플랜지(133)에서 연장되는 사이드 연장부(141)와, 사이드 연장부(141)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되는 사이드 절곡부(142)와, 사이드 절곡부(142)의 단부에서 지지용 플랜지(133) 쪽으로 절곡되어 후크 걸림홈부(114)에 걸리는 사이드 걸림부(143)를 포함한다.
이에 반해, 중앙 착탈식 후크(150)는 지지용 플랜지(133)에서 연장되는 중앙 연장부(151)와, 중앙 연장부(151)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메인 안경 렌즈테(112)의 중심부위(115)에 단순히 걸리는 중앙 절곡식 걸림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만약 선글라스로서의 서브 안경테 모듈(130)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서브 안경테 모듈(130)을 메인 안경 유닛(110)의 전방에 대고, 한 쌍의 사이드 착탈식 후크(140)가 메인 안경 렌즈테(112)의 후크 걸림홈부(114)에, 그리고 중앙 착탈식 후크(150)가 메인 안경 렌즈테(112)의 중심부위(115)에 걸리도록 하면 된다. 만약, 선글라스로서의 서브 안경테 모듈(130)이 필요치 않으면 분리시켜 보관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선글라스로 적용될 수 있는 서브 안경테 모듈(130)이 메인 안경 유닛(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10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변환 안경에 적용되는 사이드 착탈식 후크 영역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착탈 가능한 서브 안경테 모듈(230)을 포함하며, 서브 안경테 모듈(230)에는 사이드 착탈식 후크(240)가 적용된다.
이러한 사이드 착탈식 후크(240) 역시, 지지용 플랜지(133)에서 연장되는 사이드 연장부(141)와, 사이드 연장부(141)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되는 사이드 절곡부(142)와, 사이드 절곡부(142)의 단부에서 지지용 플랜지(133) 쪽으로 절곡되어 후크 걸림홈부(114, 도 7 참조)에 걸리는 경사형 사이드 걸림부(2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경사형 사이드 걸림부(243)는 노출 단부가 사이드 연장부(141) 쪽으로 접근되게 경사진 경사형 구조를 갖는다. 이럴 경우, 사이드 착탈식 후크(240)가 임의로 잘 빠지지 않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선글라스로 적용될 수 있는 서브 안경테 모듈(230)이 메인 안경 유닛(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11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변환 안경에 적용되는 사이드 착탈식 후크 영역의 결합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변한 안경 역시, 메인 안경 유닛(3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 안경테 모듈(3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이드 착탈식 후크(340) 역시, 지지용 플랜지(133)에서 연장되는 사이드 연장부(141)와, 사이드 연장부(141)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되는 사이드 절곡부(142)와, 사이드 절곡부(142)의 단부에서 지지용 플랜지(133) 쪽으로 절곡되어 후크 걸림홈부(314)에 걸리는 사이드 걸림부(3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이드 걸림부(343)에는 라운드 돌기(343a)가 형성되고, 후크 걸림홈부(314)의 벽면에는 라운드 돌기(343a)가 결합되는 라운드 돌기홈(314a)이 형성된다. 이럴 경우, 사이드 착탈식 후크(340)가 임의로 잘 빠지지 않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선글라스로 적용될 수 있는 서브 안경테 모듈(330)이 메인 안경 유닛(3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12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변환 안경에 적용되는 사이드 착탈식 후크 영역의 결합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변한 안경 역시, 메인 안경 유닛(4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 안경테 모듈(4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이드 착탈식 후크(440) 역시, 지지용 플랜지(133)에서 연장되는 사이드 연장부(141)와, 사이드 연장부(141)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되는 사이드 절곡부(142)와, 사이드 절곡부(142)의 단부에서 지지용 플랜지(133) 쪽으로 절곡되어 후크 걸림홈부(414)에 걸리는 사이드 걸림부(4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이드 걸림부(443)에는 다수의 삼각 돌기(443a)가 형성되고, 후크 걸림홈부(414)의 벽면에는 다수의 삼각 돌기(443a)가 결합되는 돌기홈(414a)이 형성된다. 이럴 경우, 사이드 착탈식 후크(440)가 임의로 잘 빠지지 않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선글라스로 적용될 수 있는 서브 안경테 모듈(430)이 메인 안경 유닛(4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변환 안경 110 : 메인 안경 유닛
111 : 메인 안경 렌즈 112 : 메인 안경 렌즈테
113 : 메인 안경다리 114 :후크 걸림홈부
115 : 중심부위 130 : 서브 안경테 모듈
131 : 서브 안경 렌즈 132 : 서브 안경 렌즈테
133 : 지지용 플랜지 140 : 사이드 착탈식 후크
141 : 사이드 연장부 142 : 사이드 절곡부
143 : 사이드 걸림부 150 : 중앙 착탈식 후크
151 : 중앙 연장부 152 : 중앙 절곡식 걸림부

Claims (3)

  1. 메인 안경 렌즈와, 상기 메인 안경 렌즈가 결합되는 메인 안경 렌즈테와, 상기 메인 안경 렌즈테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메인 안경다리를 구비하는 메인 안경 유닛; 및
    서브 안경 렌즈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 안경 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 안경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 안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안경테 모듈은,
    상기 서브 안경 렌즈를 지지하는 서브 안경 렌즈테;
    상기 서브 안경 렌즈테의 상단부에서 상기 메인 안경 유닛 쪽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며, 상기 메인 안경 유닛에 상기 서브 안경테 모듈이 결합될 때 상기 메인 안경 렌즈테의 상단부에 지지되는 지지용 플랜지;
    상기 지지용 플랜지의 양 사이드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안경 유닛의 메인 안경 렌즈테에 형성되는 후크 걸림홈부에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한 쌍의 사이드 착탈식 후크; 및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착탈식 후크 사이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안경 유닛의 메인 안경 렌즈테의 중심부위에 걸리는 중앙 착탈식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 안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착탈식 후크는,
    상기 지지용 플랜지에서 연장되는 사이드 연장부;
    상기 사이드 연장부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되는 사이드 절곡부; 및
    상기 사이드 절곡부의 단부에서 상기 지지용 플랜지 쪽으로 절곡되어 상기 후크 걸림홈부에 걸리는 사이드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착탈식 후크는,
    상기 지지용 플랜지에서 연장되는 중앙 연장부; 및
    상기 중앙 연장부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메인 안경 렌즈테의 중심부위에 단순히 걸리는 중앙 절곡식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 안경.
KR2020170001848U 2017-04-12 2017-04-12 변환 안경 KR2018000304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848U KR20180003040U (ko) 2017-04-12 2017-04-12 변환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848U KR20180003040U (ko) 2017-04-12 2017-04-12 변환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040U true KR20180003040U (ko) 2018-10-22

Family

ID=64049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848U KR20180003040U (ko) 2017-04-12 2017-04-12 변환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304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162B1 (ko) * 2019-12-31 2021-03-03 (주)니나노 전자파 차단 안경
KR20210141231A (ko) * 2020-05-15 2021-11-23 (주)제이씨에스인터내셔날 선글라스 착탈 안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7530U (ko) 2008-01-22 2009-07-27 정상복 차량용 방범장치
KR20100012490U (ko) 2009-06-08 2010-12-16 이수창 노트 집게 클립 받침대
KR20140003132U (ko) 2012-11-19 2014-05-28 두산엔진주식회사 선택적 촉매 환원 반응용 우레아 가수분해 장치
KR20150004325U (ko) 2014-05-23 2015-12-02 천규보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7530U (ko) 2008-01-22 2009-07-27 정상복 차량용 방범장치
KR20100012490U (ko) 2009-06-08 2010-12-16 이수창 노트 집게 클립 받침대
KR20140003132U (ko) 2012-11-19 2014-05-28 두산엔진주식회사 선택적 촉매 환원 반응용 우레아 가수분해 장치
KR20150004325U (ko) 2014-05-23 2015-12-02 천규보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162B1 (ko) * 2019-12-31 2021-03-03 (주)니나노 전자파 차단 안경
KR20210141231A (ko) * 2020-05-15 2021-11-23 (주)제이씨에스인터내셔날 선글라스 착탈 안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8355B2 (en) Pair of glasses with secondary lenses
US20160041404A1 (en) Eyewear with interchangeable temples and brow bar
KR20180003040U (ko) 변환 안경
US20170045758A1 (en) Eyeglass Accessory
JP3179613U (ja) 組み立てが容易でありながら、取り外し可能な眼鏡フレームを備える3d用眼鏡
CN208834033U (zh) 一种带有护目镜的智能眼镜
KR20170013163A (ko) 디바이스를 부착할 수 있는 안경 프레임
KR20090092948A (ko) 안경 조립체
KR102068289B1 (ko) 렌즈 교환형 안경
CN211318900U (zh) 一种眼镜
JP6318032B2 (ja) メガネにおけるフロント枠取替え機構
KR20090114587A (ko) 안경 조립체
EP3479165B1 (en) Eyeglasses with easy snap-on lenses
JP3173036U (ja) インナー枠付き跳ね上げ式サングラス
KR101819068B1 (ko) 초점 가변 안경
US6224206B1 (en) Fashion eyeglasses and sunglasses
KR101961352B1 (ko) 안경용 착탈식 선글라스
CN217213360U (zh) 一种可折叠太阳镜
CN212160254U (zh) 眼镜
CN220526128U (zh) 一种近视太阳镜
JP6924481B2 (ja) 多機能眼鏡
KR20120005840U (ko) 도수안경테결합용 보조안경
CN217213368U (zh) 一种多功能眼镜
CN212694195U (zh) 一种双层镜片眼镜
CN208399836U (zh) 双层磁吸眼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5479;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547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1113

Effective date: 2019071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