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2162B1 - 전자파 차단 안경 - Google Patents

전자파 차단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2162B1
KR102222162B1 KR1020190178861A KR20190178861A KR102222162B1 KR 102222162 B1 KR102222162 B1 KR 102222162B1 KR 1020190178861 A KR1020190178861 A KR 1020190178861A KR 20190178861 A KR20190178861 A KR 20190178861A KR 102222162 B1 KR102222162 B1 KR 102222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ic wave
glasses
lens
wave shielding
shield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현석
Original Assignee
(주)니나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니나노 filed Critical (주)니나노
Priority to KR1020190178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21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2Ophthalmic lenses having special refractive features achieved by special materials or material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파 차단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안경테와 렌즈를 통해 전달될 수 있는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착용자 얼굴 부분을 전자파로부터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는 전자파 차단 안경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렌즈; 및 이 렌즈를 둘러싸고 있는 안경테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렌즈 기재의 표면에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투명 재질의 전자파 차폐 소재가 적층된 구성을 가지며, 상기 안경테는 안경테 본체의 표면에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전자파 차폐 소재가 적층된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단 안경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전자파 차단 안경{GLASSES CAPABLE OF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S}
본 발명은 전자파 차단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시 안경테와 렌즈를 통해 전달될 수 있는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착용자 얼굴 부분을 전자파로부터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는 전자파 차단 안경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각종 전기전자제품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인체에 유해하다는 연구결과가 급증하고 있으며, 세계보건기구(WHO) 산하의 IARC(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에서는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를 발암 가능 물질로 분류하였다.
인체가 전자파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경우 기억력 감퇴, 체력 저하, 집중력 저하, 두통, 현기증을 비롯하여 혈액 순환계의 이상, 유전자 단백질 손상, 백혈병, 뇌종양, 유방암 등이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오늘날 일상 생활과 밀접한 전기전자제품의 이용을 당장 중지할 수는 없는 실정이므로 전자파를 인체에 무해한 수준으로 차폐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시급한 형편이다.
전 세계적으로 전자파의 유해성을 인정하고 전자파로 인한 피해를 줄이려는 다각적인 노력이 진행 중에 있지만, 아직까지 만족할만한 성능을 가지는 전자파 차폐 기술의 개발이 부족한 실정이다.
국내에서도 전자파 폐해에 대해 우려와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고, 전자파가 인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연구 결과가 속속 발표되면서 국민의 건강 보호를 위해 관련 업계에서 전자파 차폐 섬유나 이를 응용한 제품 등의 기술을 개발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전자파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아직 소수에 불과하고, 특히 전자파로부터 눈을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는 기술의 경우 아직까지 디스플레이 전자파 차폐 기술에 외에는 개발이 미미한 수준이다.
최근 안경을 착용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으나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안경에서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렌즈를 사용하지는 않고 있다.
또한, 안경을 착용하고 있을 때 전자파가 렌즈와 이 렌즈를 둘러싸고 있는 안경테를 통해 무방비로 안구 쪽을 향해 침투하는 구조이고, 더욱이 안경테의 금속 재질(마그네슘 등)이 전자파를 모아 전달하거나 방출하는 안테나의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코받침을 안경테와 연결하는 금속(주로 철사)도 안테나의 역할을 하며, 안경테와 다리를 연결하는 나사 또한 금속으로 되어 있어서 안테나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안경의 기술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안경테와 렌즈를 통해 전달될 수 있는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눈이나 코 등의 착용자 얼굴 부분을 전자파로부터 확실히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자파 차단 안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사람이라 하더라도 자신의 눈이나 코 등의 얼굴 부분을 전자파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누구나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자파 차단용 보안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 및 이 렌즈를 둘러싸고 있는 안경테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렌즈 기재의 표면에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투명 재질의 전자파 차폐 소재가 적층된 구성을 가지며, 상기 안경테는 안경테 본체의 표면에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전자파 차폐 소재가 적층된 구성을 가지는 전자파 차단 안경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렌즈 및 안경테의 표면에 적층되는 전자파 차폐 소재는, 투명 재질의 지지 기판; 및 나노미터(nm) 스케일의 선 폭과 높이를 가지는 나노 금속선이 폐곡선을 형성한 상태로 상기 지지 기판의 표면에 접합 및 고정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나노 금속선에 의해 형성된 폐곡선들이 상기 지지 기판의 표면상에서 반복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나노 쌍격자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의 표면에 적층되는 전자파 차폐 소재는, 상기 나노 쌍격자 구조물 위에 적층 형성된 투명 재질의 보호 코팅막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안경테의 표면에 적층되는 전자파 차폐 소재는, 상기 나노 쌍격자 구조물 위에 적층 형성된 보호 코팅막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및 안경테의 표면에 적층되는 전자파 차폐 소재는, 상기 나노 쌍격자 구조물 전체에서 폐곡선 하나를 둘러싸는 원들 중 최소 면적을 가지는 원의 지름에 해당하는 나노 쌍격자 특성 상수가 차폐하고자 하는 전자파의 파장 길이와 같거나 그보다 작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폐곡선들의 배열에 있어서 폐곡선 간의 피치가 차폐하고자 하는 전자파의 파장 길이와 같거나 그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및 안경테의 표면에 적층되는 전자파 차폐 소재에서 상기 나노 쌍격자 구조물의 폐곡선 간 피치가 차폐하고자 하는 전자파 파장의 1/15보다 작은 피치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의 표면에 적층되는 전자파 차폐 소재는 투명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 전자파 차페층이고, 상기 안경테의 표면에 적층되는 전자파 차폐 소재는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 전자파 차폐층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단 안경은, 안경테의 좌우 양측에 결합되는 안경다리; 및 상기 안경테를 착용자의 코에서 지지하도록 안경테에 직접 결합된 구조의 코받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경다리와 코받침부는 각각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본체의 표면에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전자파 차폐 소재가 적층된 구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안경다리의 체결부에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안경테의 체결부에 상기 안경다리의 끼움돌기가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기가 끼움홈에 끼워진 상태로 안경다리가 끼움돌기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안경테에 결합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단 안경은, 메인 안경, 및 상기 메인 안경의 전방에 중첩되게 결합되는 보조 안경으로 구성되고, 상기 렌즈와 안경테가 상기 보조 안경을 구성하는 렌즈와 안경테이며, 상기 보조 안경의 안경테에 메인 안경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보조 안경의 안경테 상부면을 따라 길게 결합된 체결판; 및 상기 체결판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뒤 하방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복수 개이 체결걸이를 포함하고, 상기 각 체결걸이에서 상기 하방으로 절곡된 부위가 보조 안경의 안경테 상단부 표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되며, 상기 각 체결걸이의 내측으로 메인 안경의 안경테 상단부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에서 렌즈 기재는, 도수를 가지는 렌즈이거나, 도수가 없는 렌즈이거나, 편광 렌즈, 선글라스 렌즈, 또는 청광을 차단하는 청광 렌즈일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전자파 차단 안경에 따르면, 안경테와 렌즈 등 안경의 주요 부위에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는 구조와 소재가 적용됨으로써 안경을 통해 전달되는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결국 안경 착용자의 얼굴 부분을 전자파로부터 확실히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전자파 차단 안경은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사람이라도 착용시 자신의 얼굴 부분을 전자파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안경 비착용자를 위한 전자파 차단용 보안경으로도 이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의 렌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취한 렌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에 사용될 수 있는 렌즈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의 안경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에서 렌즈와 안경테가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에서 안경테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에서 안경다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안경테와 렌즈를 통해 전달될 수 있는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눈이나 코 등의 착용자 얼굴 부분을 전자파로부터 확실히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자파 차단 안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사람이라 하더라도 자신의 눈이나 코 등의 얼굴 부분을 전자파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누구나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자파 차단용 보안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안경에서는 안경테와 렌즈 등 안경의 주요 부위에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는 소재가 적용되고, 나아가 금속 물질로 인해 전자파가 착용자의 얼굴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근본적으로 방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결합하는 데 있어 금속 재질의 나사를 사용하지 않으며, 안경테나 코받침, 다리 부분 등의 안경 전체에서 외부의 전자파를 모아주는 금속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수가 있는 안경 렌즈용 테와 도수가 없는 안경 렌즈용 보조테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고, 나아가 도수가 있는 일반 안경에 손쉽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도수 클립 안경이 제공된다.
이를 통해 안경 착용자와 미착용자에 상관없이 누구나 효율적이고 경제적이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자파 차단 안경이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구성에 대해 상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의 렌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렌즈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에 사용될 수 있는 렌즈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도 2는 전자파 차폐용 나노 구조물을 이용하여 제작한 렌즈의 단면도이고, 도 3은 전자파 차폐가 가능한 투명 전도성 소재를 표면에 코팅한 렌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안경의 렌즈(10)에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는 소재(12,16)가 적용되며, 이때 안경 착용시의 시야 확보를 위해 렌즈 자체의 소재뿐만 아니라 전자파 차폐 소재 등 렌즈를 구성하는 소재 모두가 높은 광 투과율을 가지는 투명한 재질이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에 사용될 수 있는 렌즈의 일례로서, 도 2에 예시된 렌즈(10)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렌즈 기재(11)와, 상기 렌즈 기재(11)의 일측 표면에 적층되고 높은 광 투과율 및 전자파 차폐 성능을 가지는 투명 전자파 차폐 소재(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렌즈 기재(11)는 렌즈 형상을 가지는 투명 재질의 필름형 기재가 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TAC(triacetylcelluose), 또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PC (polycarbonate) 등으로 제작된 투명 필름형 기재이거나 일반적인 공지의 렌즈가 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공지의 렌즈라 함은, 사용자의 시력에 맞게 정해진 도수를 가지도록 제작 및 제공된 일반 렌즈를 의미하거나, 안경 미착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 및 제공된 도수가 없는 투명 일반 렌즈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도 2의 렌즈에 적용되는 전자파 차폐 소재(12)는 나노 구조물(14)을 이용한 투명 전자파 차폐 소재가 될 수 있고, 나노 구조물(14)을 이용한 투명 전자파 차폐 소재(12)는,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 출원되고 등록된 등록특허 제10-1764278호(1017.07.27)에 개시되어 있는 것, 또는 등록특허 제10-1844294호(1018.03.27)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될 수 있다.
이때, 전자파 차폐 소재를 형성하거나 제작하는 방법, 또는 그 구조나 형태, 구성, 재료 등이 상기 등록특허 제10-1764278호 또는 등록특허 제10-1844294호에 개시된 것과 같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등록특허 제10-1764278호를 참조하면, 투명성을 가지는 전자파 차폐 소재로서, 투명 재질의 지지 기판; 및 나노미터(nm) 스케일의 선 폭과 높이를 가지는 나노 금속선이 폐곡선을 형성한 상태로 상기 지지 기판의 표면에 접합 및 고정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나노 금속선에 의해 형성된 폐곡선들이 상기 지지 기판의 표면상에서 반복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나노 쌍격자 구조물을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 소재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나노 쌍격자 구조물 전체에서 폐곡선 하나를 둘러싸는 원들 중 최소 면적을 가지는 원의 지름에 해당하는 나노 쌍격자 특성 상수가 차폐하고자 하는 전자파의 파장 길이와 같거나 그보다 작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폐곡선들의 배열에 있어서 폐곡선 간의 피치가 차폐하고자 하는 전자파의 파장 길이와 같거나 그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 쌍격자 구조물의 나노 금속선의 선 폭이 상기 피치의 1/2과 같거나 그보다 작을 수 있고, 상기 폐곡선을 형성하고 있는 나노 금속선의 선 폭과 높이는 5nm ~ 8㎛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 금속선은 지지 기판에 형성된 홈의 내측에 삽입되어 위치되거나, 상기 지지 기판에 별도로 적층되고 홈을 가지는 홈 구조물의 상기 홈 내측에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으며, 이때 전자파 차폐 소재는 상기 지지 기판의 홈 또는 상기 홈 구조물의 홈 내측에 삽입된 나노 금속선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지지 기판 또는 홈 구조물에 적층된 상태로 나노 금속선을 고정하는 고정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파 차폐 소재(12)에서 지지 기판(13)의 홈(13a) 내측으로 나노 금속선(14a)이 배치됨을 볼 수 있고, 이러한 나노 금속선(14a)들이 나노 구조물(상기 나노 쌍격자 구조물임)(14)을 구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투명 전자파 차폐 소재(12)를 별도로 제작한 뒤 렌즈 기재(11)의 표면에 합착하여 렌즈를 제작할 수 있으며, 이때 전자파 차폐 소재(12)를 렌즈 기재(11)의 표면에 접합 및 고정하는 수단의 예로서 접착제가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전자파 차폐 소재(12)는 나노 구조물(나노 쌍격자 구조물)(14)의 위에 적층 형성된 투명 재질의 보호 코팅막(15)을 포함할 수 있고, 이 보호 코팅막(15)은 상기 등록 특허들에 개시되어 있는 전자파 차폐 소재의 고정 필름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보호 코팅막(15)은 일정 수준 이상의 경도(H)를 가지면서도 렌즈의 광 투과율을 저해하지 않는 합성수지(resin)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의 렌즈(10)에서 전자파 차폐 소재(12)의 나노 구조물(14)은 차폐하고자 하는 전자파의 파장에 대응하는 전도성 나노 구조물 회로, 즉 전자파 차폐용 금속 나노선 패턴(나노 금속선이 이루고 있는 패턴)을 포함하고, 전자파 차폐 소재(12)의 예에서 상기 나노 구조물(14)은 폐곡선 간 피치가 차폐하고자 하는 전자파의 파장의 1/15보다 작은 피치를 가지는 것이 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지지 기판(13)과 나노 구조물(14), 그리고 보호 코팅막(1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투명 전자파 차폐 소재(12)가 렌즈 기재(11)의 표면에 합착되어 있는 상태를 볼 수 있다.
또는, 투명 전자파 차폐 소재(12)를 별도의 얇은 투명 필름(예를 들면, 두께 10㎛의 필름) 위에 형성하여 전자파 차폐 구조물을 제작한 뒤, 이 전자파 차폐 구조물을 TAC나 PC 등으로 제작된 렌즈 기재(11)의 표면에 합착하여 렌즈를 제작할 수 있다.
이 경우 렌즈(10)는 도 2의 렌즈 기재(11)와 전자파 차폐 소재(12) 사이에 상기한 투명 필름이 추가로 더 적층 개재된 구성이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10)에서 전 둘레에 걸쳐 렌즈 가장자리 부분, 특히 후술하는 안경테의 전자파 차폐 소재와 접촉하는 렌즈 테두리 부분(10a)에는 보호 코팅막을 형성하지 않고 전자파 차폐 소재(12)의 나노 구조물(14)이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렌즈 테두리 부분(10a) 위에 별도의 차단막 또는 마스크 등을 적층한 다음, 상기한 보호 코팅막(15)을 코팅하고, 이어 차단막 또는 마스크 등을 제거하면, 상기 차단막 또는 마스크가 적층되어 있던 렌즈 테두리 부분(10a)에는 보호 코팅막이 형성되지 않고 전자파 차폐 소재(12)의 나노 구조물(14)이 노출되어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안경에 사용될 수 있는 렌즈의 다른 예로서, 도 3에 예시된 렌즈(10)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렌즈 기재(11)와, 상기 렌즈 기재(11)의 일측 표면에 높은 광 투과율 및 전자파 차폐 성능을 가지는 투명 전도성 소재를 코팅하여서 형성된 전자파 차폐층(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렌즈 기재(11)는 렌즈 형상을 가지는 투명한 재질의 필름형 기재가 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TAC, PET, 또는 PC 등으로 제작된 투명 필름형 기재이거나 통상의 렌즈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전도성 소재는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가 될 수 있고, 렌즈 기재(11)의 표면에 전도성을 가지는 인듐 주석 산화물을 증착하여 상기한 전자파 차폐층(16)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자파 차폐층(16) 역시 전자파 차폐 소재라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전자파 차폐층(16) 역시 투명 전도성 소재층인 인듐 주석 산화물층의 표면에 적층 형성된 투명 재질의 보호 코팅막(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의 안경테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경에서 안경테(20)는, 안경테 본체(21)에 전자파 차폐 소재(22)를 적층한 것이 될 수 있고, 여기서 전자파 차폐 소재(22)는 나노 구조물을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 소재 또는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 전자파 차폐층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안경테 본체(21)는 기존 안경의 안경테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경테 본체는 금속 재질이 아닌 합성수지 재질의 안경테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경테 본체(21)는 기존의 안경테 소재, 예를 들어 PC나 TPE(thermoplastic elastomer) 등으로 제작된 것이 될 수 있다.
또한, 안경테(20)에서의 전자파 차폐 소재(22)는 렌즈(10)에서와 같은 전자파 차폐 소재일 수 있는데, 렌즈(10)에서와 같이 나노 구조물을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 소재일 수 있고, 또는 렌즈(10)에서와 같이 전도성 소재를 안경테 본체(21)의 표면에 증착하여 형성한 전자파 차폐층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경테(20)의 전자파 차폐 소재(22)는 렌즈(10)에서와 같이 보호 코팅막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여기서 보호 코팅막은 합성수지 필름이 될 수 있는바, 이 합성수지 필름의 표면에 전도성 소재를 증착함으로써 전자파 차폐층을 제작할 수 있다.
다만, 안경테(20)에서의 전자파 차폐 소재(22)는 반드시 투명할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어 전자파 차폐층의 전도성 소재는 투명한 ITO일 수도 있으나 불투명한 전도성 소재인 알루미늄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안경테 본체(21)는 렌즈를 보호 및 지지하는 동시에 다리와 함께 눈과 렌즈 사이를 적절한 거리가 되도록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표면에 나노 구조물을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 소재 또는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 전자파 차폐층이 적층됨으로써 안경테(20) 전체가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는 성능을 가지게 되며, 이를 통해 안경 전체의 전자파 차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안경테(20)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전자파 차폐 소재(22), 즉 나노 구조물을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 소재나 투명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 전자파 차폐층을 먼저 제작한 뒤, 안경테 본체(21)를 성형할 때 성형되는 안경테 본체의 표면에 선 제작한 전자파 차폐 소재(22)가 합지되도록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즉, 전자파 차폐 소재(22)를 금형 내에 설치한 뒤 금형 내에 원료 수지를 사출하여 안경테 본체(21)를 성형하는 인몰드 라벨(IML) 공법으로 안경테(20)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안경테 본체(21)의 표면에 상기한 전자파 차폐 소재(22)가 접착된 구성의 안경테(20)를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경테(20)에서 렌즈가 결합되는 내측 테두리 부분(22a)에는 일정 폭만큼 안경테 본체가 없는 부분이 존재하도록 하는데, 상기 일정 폭만큼의 내측 테두리 부분(22a)에서 전자파 차폐 소재(22)의 표면이 노출되도록 하고, 이 노출된 표면 부분에 렌즈 테두리 부분(10a)의 전자파 차폐 소재(12,16)가 접촉되도록 한다.
이로써, 렌즈 테두리 부분(10a)의 전자파 차폐 소재, 즉 나노 구조물을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 소재(12) 또는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 전자파 차폐층(16)이 안경테(20)의 전자파 차폐 소재(22)와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렌즈(10)와 안경테(20) 사이의 접촉 부분에서 빈틈없는 전자파 차폐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안경테에 대해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에 따른 안경에서 안경다리 역시 안경테에서와 마찬가지로 다리 본체의 표면에 상기한 전자파 차폐 소재를 합지하여서 제작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에서 렌즈와 안경테가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에서 안경테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에서 안경다리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을 위해 사용해온 금속 나사를 없애는 대신, 끼움돌기와 끼움홈을 이용한 끼움식 구조의 체결 방식이 적용된다.
즉, 안경다리(30)의 단부에는 안경테(20)와의 결합을 위해 판 형상의 체결부(3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판 형상의 체결부(31) 양면에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끼움돌기(32)가 양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안경다리(30)의 각 체결부(31)는 안경다리의 내측면에 세워진 판 형상의 돌출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각 끼움돌기(32)는 체결부(31)의 양면에서 직각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 체결부(31)의 양면에 동일한 형상의 끼움돌기(32)가 체결부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된 구조가 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경테(20)에서 안경다리(30)가 결합되는 부위에는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2개의 체결부(23)가 돌출 형성되고, 이때 안경테(20)의 각 체결부(23)는 판 형상을 가지면서 단부가 반원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경테(20)의 각 체결부(23)에는 관통홀(24)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24)은 원형의 홀이 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24)이 형성된 체결부(23)의 일측에는 관통홀(24)로 안경다리(30)의 끼움돌기(3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통로 역할을 하는 개구부(25)가 형성된다.
이때, 안경테(20)의 각 체결부(23)에서 관통홀(24)과 개구부(25)는 상기 안경다리(30)의 끼움돌기(32)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끼움홈 역할을 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개구부(25)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경테(20)의 표면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에서 코받침부(26)가 위치한 안경테의 가운데 부분을 향해 소정 각도(α)만큼 편향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결국, 안경다리(30)의 체결부(31)에 형성된 끼움돌기(32)가 안경테(20)의 체결부(23)에 형성된 개구부(25)를 통해 관통홀(24)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고, 이때 안경다리(30)의 체결부(31)가 안경테(20)에 형성된 2개의 체결부(23)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면, 안경다리(30)가 안경테(20)에 결합된 상태가 된다.
통상의 안경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서 안경다리(30)는 안경테(20)의 좌우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데, 상기 개구부(25) 내측의 간극 폭은 안경테(20)의 끼움돌기(32)의 직경에 비해 약간 작은 크기를 가지며, 관통홀(24)은 끼움돌기(32)에 비해 약간 큰 직경을 가지도록 한다.
이에 안경다리(30)의 끼움돌기(32)가 개구부(25)에 넣어졌을 때 개구부(25)가 약간 벌어진 상태가 되었다가, 이후 끼움돌기(32)가 관통홀(24)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되고 나면, 벌어진 상태의 개구부(25)가 탄성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결국, 원형 단면의 끼움돌기(32)가 원형의 관통홀(24) 내측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한 구조가 되는데, 각 안경다리(30)의 체결부(31)가 안경테(20)의 체결부(23)에서 상기 끼움돌기(32)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구조가 되며, 전체적으로는 2개의 안경다리(30)가 안경테(20)에서 각각 회전될 수 있는 구조가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안경다리(30)의 각 체결부(31)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때 상기 안경다리(30)의 각 체결부(31)가 안경다리의 내측면에 밑변이 일체로 접해 있는 삼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때 상기 안경다리(30)의 각 체결부(31)는 삼각형에서 밑변을 제외한 나머지 두 변 중 상대적으로 안경테(20)쪽에 가깝게 위치되는 변의 면(31a)은 착용을 위해 안경다리(30)가 펴졌을 때 안경테(20)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안경다리가 정해진 착용시의 각도 이상으로 바깥쪽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안경다리의 바깥쪽 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 면으로 이용된다.
이와 같이 안경다리(30)의 각 체결부(31)에서 스토퍼 면이 되는 일 측면(31a)은 안경다리(30)의 내측면과 대략 수직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때 각 체결부(31)의 형상은 직각 삼각형의 형상이 될 수 있다.
결국, 상기 각 체결부(31)의 두 변 중 나머지 한 변(빗변)의 측면(31b)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며, 직각 삼각형을 이루고 있는 각 체결부(31)에서 두 변 사이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단부는 둥근 원호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좌우 양측의 안경다리(30)가 안경테(20)에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각 안경다리(30)가 안경테(20)에서 바깥쪽으로 일정 각도 이상으로는 더 회전되지 못하고 최대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안경에서는 안경테(20)에서 금속 와이어(철사)에 의해 지지되던 코받침을 제거하고, 그 대신 금속이 아닌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안경테(20)에 직접 결합된 코받침부(26)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코받침부(26)는 착용자의 코에 접촉하여 코에서 안경테(20)를 지지하는 부분이며, 안경테(20)와 동일한 재질 또는 동일한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고, 별도로 제작된 뒤 안경테(20)에 접착방식이나 끼움방식으로 결합되어 일체화될 수 있다.
상기 코받침부(26)는 합성수지(PC, TPE 등)와 같은 비금속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고, 코받침부(26)의 본체 표면에 안경테(20)에서와 같은 전자파 차폐 소재, 즉 나노 구조물을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 소재 또는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 전자파 차폐층을 일체로 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작 과정에 있어서도 안경테(20)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는데, 인몰드 라벨(IML) 방식을 이용하여 코받침부(26)의 성형시 전자파 차폐 소재를 코받침부의 표면에 합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은 안경테(20)와 안경다리(30) 및 코받침부(26) 모두에서 금속을 일체 사용하지 않고 합성수지(PC나 TPE)로 성형하여 전자파가 모이지 않는 구조로 제작한다.
한편,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은, 메인 안경(40)과 보조 안경(50)으로 구성되며, 보조 안경(50)은 메인 안경(4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안경(40)의 렌즈(41)는 도수가 없는 렌즈일 수 있고, 보조 안경(50)의 렌즈(51)는 도수가 있는 렌즈일 수 있다.
반대로, 메인 안경(40)의 렌즈(41)가 도수가 있는 렌즈일 수 있고, 보조 안경(50)의 렌즈(51)가 도수가 없는 렌즈일 수 있다.
이때, 메인 안경(40)의 렌즈(41) 또는 보조 안경(50)의 렌즈(51)가 도 1 내지 3에서 설명한 전자파 차폐용 렌즈일 수 있다.
또는, 보조 안경(50)의 렌즈(51)는 편광 렌즈, 선글라스 렌즈, 청광(블루 라이트)를 차단할 수 있는 청광 렌즈 등의 기능성 렌즈일 수 있고, 이때 메인 안경(40)의 렌즈(41)는 도수가 있거나 도수가 없는 일반 안경 렌즈일 수 있다.
반대로, 보조 안경(50)의 렌즈(51)가 도수가 있거나 도수가 없는 일반 안경 렌즈일 수 있고, 메인 안경(40)의 렌즈(41)가 편광 렌즈, 선글라스 렌즈, 청광 렌즈 등의 기능성 렌즈일 수도 있으며, 이때에도 보조 안경(50)의 렌즈(51) 또는 메인 안경(40)의 렌즈(41)는 렌즈 기재의 표면에 전자파 차폐 소재가 합착된 전자파 차폐용 렌즈일 수 있다.
또한, 메인 안경(40)의 안경테(42)와 안경다리(43), 코받침부(미도시)는 도 4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것일 수 있고, 이에 더하여 보조 안경(50)의 안경테(52) 또한 안경테 본체의 표면에 전자파 차폐 소재, 즉 나노 구조물을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 소재 또는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 전자파 차폐층이 적층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보조 안경(50)은 메인 안경(40)에 그 전방으로 겹쳐져 위치되도록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보조 안경(50)의 상단부에는 메인 안경(40)과의 결합수단인 복수 개의 체결걸이(54)가 구비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에서 보조 안경을 도시한 정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안경(50)의 안경테(52)에서 좌우 양측의 상단부와 중앙의 상단부에 각각 체결걸이(54)가 위치되고 있다.
이때, 각 체결걸이(54)는 보조 안경(50)의 안경테(52) 상부면을 따라 길게 결합된 체결판(53)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뒤 하방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하방으로 절곡된 부위가 보조 안경(50)의 안경테(52) 상단부 표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된다.
도 10과 11은 보조 안경(50)이 메인 안경(40)의 전방에 덧붙여지도록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 각 도면의 좌측은 결합되기 전 상태를, 우측은 결합 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안경(50)의 체결걸이(54) 내측으로 메인 안경(40)의 안경테(42) 상단부가 끼워지도록 하여, 체결걸이(54)에 의해 메인 안경(40)의 안경테(42)가 보조 안경(50)의 안경테(52)에 걸려 있도록 하면, 메인 안경(40)에 보조 안경(50)이 체결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전자파 차단 안경에 따르면, 안경테와 렌즈 등 안경의 주요 부위에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는 구조와 소재가 적용됨으로써 안경을 통해 전달되는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결국 안경 착용자의 얼굴 부분을 전자파로부터 확실히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전자파 차단 안경은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사람이라도 착용시 자신의 얼굴 부분을 전자파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안경 비착용자를 위한 전자파 차단용 보안경으로도 이용이 가능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 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 : 렌즈 10a : 렌즈 테두리 부분
11 : 렌즈 기재 12 : 전자파 차폐 소재
13 : 지지 기판 13a : 홈
14 : 나노 구조물 14a : 나노 금속선
15 : 보호 코팅막 16 : 전자파 차폐층
20 : 안경테 21 : 안경테 본체
22 : 전자파 차폐 소재 22a : 내측 테두리 부분
23 : 체결부 24 : 관통홀
25 : 개구부 26 : 코받침부
30 : 안경다리 31 : 체결부
31a, 31b : 측면 32 : 끼움돌기
40 : 메인 안경 41 : 렌즈
42 : 안경테 43 : 안경다리
50 : 보조 안경 51 : 렌즈
52 : 안경테 53 : 체결판
54 : 체결걸이

Claims (12)

  1. 렌즈; 이 렌즈를 둘러싸고 있는 안경테; 상기 안경테의 좌우 양측에 결합되는 안경다리; 및 상기 안경테를 착용자의 코에서 지지하도록 안경테에 결합된 코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렌즈 기재의 표면에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투명 재질의 전자파 차폐 소재가 적층된 구성을 가지며, 상기 안경테는 안경테 본체의 표면에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전자파 차폐 소재가 적층되어 구성되고, 상기 안경다리와 코받침부의 본체는 각각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안경다리의 체결부에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안경테의 체결부에 상기 안경다리의 끼움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기가 관통홀에 끼워진 상태로 안경다리가 끼움돌기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안경테에 결합되며,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안경테의 체결부 일측에는 관통홀로 안경다리의 끼움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홀과 연결된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는 안경테의 표면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에서 코받침부가 위치한 안경테의 가운데 부분을 향해 정해진 각도만큼 편향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렌즈 및 안경테의 표면에 적층되는 전자파 차폐 소재는,
    투명 재질의 지지 기판; 및
    나노미터(nm) 스케일의 선 폭과 높이를 가지는 나노 금속선이 폐곡선을 형성한 상태로 상기 지지 기판의 표면에 접합 및 고정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나노 금속선에 의해 형성된 폐곡선들이 상기 지지 기판의 표면상에서 반복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나노 쌍격자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 및 안경테의 표면에 적층되는 전자파 차폐 소재에서 상기 나노 쌍격자 구조물의 폐곡선 간 피치가 차폐하고자 하는 전자파 파장의 1/15보다 작은 피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단 안경.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표면에 적층되는 전자파 차폐 소재는,
    상기 나노 쌍격자 구조물 위에 적층 형성된 투명 재질의 보호 코팅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단 안경.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의 표면에 적층되는 전자파 차폐 소재는,
    상기 나노 쌍격자 구조물 위에 적층 형성된 보호 코팅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단 안경.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및 안경테의 표면에 적층되는 전자파 차폐 소재는,
    상기 나노 쌍격자 구조물 전체에서 폐곡선 하나를 둘러싸는 원들 중 최소 면적을 가지는 원의 지름에 해당하는 나노 쌍격자 특성 상수가 차폐하고자 하는 전자파의 파장 길이와 같거나 그보다 작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폐곡선들의 배열에 있어서 폐곡선 간의 피치가 차폐하고자 하는 전자파의 파장 길이와 같거나 그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단 안경.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표면에 적층되는 전자파 차폐 소재는 투명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 전자파 차페층이고, 상기 안경테의 표면에 적층되는 전자파 차폐 소재는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 전자파 차폐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단 안경.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경다리와 코받침부는 각각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본체의 표면에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전자파 차폐 소재가 적층된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단 안경.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메인 안경, 및 상기 메인 안경의 전방에 중첩되게 결합되는 보조 안경으로 구성되고,
    상기 렌즈와 안경테가 상기 보조 안경을 구성하는 렌즈와 안경테이며,
    상기 보조 안경의 안경테에 메인 안경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단 안경.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보조 안경의 안경테 상부면을 따라 길게 결합된 체결판; 및
    상기 체결판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뒤 하방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복수 개이 체결걸이를 포함하고,
    상기 각 체결걸이에서 상기 하방으로 절곡된 부위가 보조 안경의 안경테 상단부 표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되며,
    상기 각 체결걸이의 내측으로 메인 안경의 안경테 상단부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단 안경.
  12. 청구항 1,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청구항 7, 청구항 8, 청구항 10, 및 청구항 11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에서 렌즈 기재는,
    도수를 가지는 렌즈이거나,
    도수가 없는 렌즈이거나,
    편광 렌즈, 선글라스 렌즈, 또는 청광을 차단하는 청광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단 안경.
KR1020190178861A 2019-12-31 2019-12-31 전자파 차단 안경 KR102222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861A KR102222162B1 (ko) 2019-12-31 2019-12-31 전자파 차단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861A KR102222162B1 (ko) 2019-12-31 2019-12-31 전자파 차단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2162B1 true KR102222162B1 (ko) 2021-03-03

Family

ID=75151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861A KR102222162B1 (ko) 2019-12-31 2019-12-31 전자파 차단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216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1425A (ja) * 1997-03-19 1998-12-04 Yoshinaga Nakai 電磁波シールド用磁石、電磁波シールド部材および電磁波シールド眼鏡
KR200217852Y1 (ko) * 2000-10-16 2001-03-15 나창호 전자파 흡수와 동시에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안경 코받이
KR20140088771A (ko) * 2013-01-03 2014-07-11 이주희 안경용 힌지
KR20150105674A (ko) * 2014-03-10 2015-09-18 박해열 안경다리의 교체가 용이한 안경
KR20160145501A (ko) * 2015-06-10 2016-12-20 오현석 나노 구조물을 이용한 전자파 차폐 소재
KR20180003040U (ko) * 2017-04-12 2018-10-22 안만수 변환 안경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1425A (ja) * 1997-03-19 1998-12-04 Yoshinaga Nakai 電磁波シールド用磁石、電磁波シールド部材および電磁波シールド眼鏡
KR200217852Y1 (ko) * 2000-10-16 2001-03-15 나창호 전자파 흡수와 동시에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안경 코받이
KR20140088771A (ko) * 2013-01-03 2014-07-11 이주희 안경용 힌지
KR20150105674A (ko) * 2014-03-10 2015-09-18 박해열 안경다리의 교체가 용이한 안경
KR20160145501A (ko) * 2015-06-10 2016-12-20 오현석 나노 구조물을 이용한 전자파 차폐 소재
KR20180003040U (ko) * 2017-04-12 2018-10-22 안만수 변환 안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07761B (zh) glasses
KR102222162B1 (ko) 전자파 차단 안경
JP6824289B2 (ja) レンズおよびアイウェア
US11314119B2 (en) Lens, lens blank, and eyewear
BRPI1009471B1 (pt) Óculos com armação refletiva
JP2006184296A (ja) 度付眼鏡及びその製造方法
TW201921037A (zh) 眼鏡
WO2012026563A1 (ja) 保護眼鏡
JP2007163625A (ja) 眼鏡装置および眼鏡ならびに眼鏡用装着具
KR20120021660A (ko) 자외선 차단용 마스크
JP2009000193A (ja) 水中メガネ
JP2015068964A (ja) 眼鏡用防塵具
JP2014240886A (ja) フード付き眼鏡
KR102667165B1 (ko) 아이웨어
CN214335393U (zh) 一种新型挂钩磁吸眼镜
JP3185602U (ja) フード付き眼鏡
JP2019128213A (ja) 放射線防護メガネ
JP3224131U (ja) 防護用眼鏡レンズ及び眼鏡のフロント部構造
JP2004341124A (ja) 花粉や埃から目を守る保護眼鏡
JPH0655731U (ja) 偏光保護眼鏡
KR20220061802A (ko) 렌즈모듈 및 상기 렌즈모듈을 포함하는 안경모듈
JP2004008496A (ja) ゴーグル
KR200373750Y1 (ko) 컴퓨터 모니터로부터 눈을 보호하는 보안경
US20130107198A1 (en) Eyewear for limiting wandering vision
CN2790519Y (zh) 泳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