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8771A - 안경용 힌지 - Google Patents

안경용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8771A
KR20140088771A KR1020130000699A KR20130000699A KR20140088771A KR 20140088771 A KR20140088771 A KR 20140088771A KR 1020130000699 A KR1020130000699 A KR 1020130000699A KR 20130000699 A KR20130000699 A KR 20130000699A KR 20140088771 A KR20140088771 A KR 20140088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lens frame
leg
mal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희
Original Assignee
이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희 filed Critical 이주희
Priority to KR1020130000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8771A/ko
Publication of KR20140088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87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힌지의 구성품을 대폭 축소하여 생산과 조립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 부품 관리에 따르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면서 조립과정에서 부품누락으로 인한 불량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안경의 힌지를 렌즈프레임의 후미에 일체로 형성하는 암힌지와, 상기 다리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하여 암힌지와 결합되는 수힌지로 구성하고;
상기 암힌지는, 렌즈프레임 후미에 상측과 하측에 상부슬라브와 하부슬라브가 형성되고 외측에 상,하부슬라브를 연결하는 외측벽에 의하여 내측방향과 후미가 개방되어 수힌지를 결합할 수 있게 형성하는 수힌지홈과, 상기 상부슬라브의 저면과 하부슬라브의 상면에 수힌지를 축지지 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상부축홈과 하부축홈을 포함하고;
상기 수힌지는, 다리 선단에 수힌지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시키는 상부브리지 및 하부브리지와, 상기 상부브리지와 하부브리지의 상면과 저면에 돌출시켜 상부축홈과 하부축홈에 결합되는 상부축과 하부축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안경용 힌지{A SPECTACLE HINGE}
본 발명은 안경용 힌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스틱재질로 구성되는 안경에 적용하여 관련 부품 수를 줄여 생산과 조립의 용이성을 제공하면서 원활한 작동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안경용 힌지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저하된 시력을 보완하기 위한 목적 또는 자외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 외관을 돋보이게 하는 목적으로 착용하는 안경 또는 선글라스는 시력에 맞게 적합한 도수를 가지도록 한 렌즈를 유지하기 위한 렌즈프레임과, 상기 렌즈프레임의 중간부위를 연결하는 노즈프레임, 노즈프레임의 하측에 위치하여 이용자의 코와 연접되도록 하는 노즈패드, 렌즈프레임의 양측에 다리를 접철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힌지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안경(1)의 구성을 도 5를 통하여 살펴보면, 금속, 비철금속 또는 합성수지재와 같은 다양한 재질로 시력보정을 위한 렌즈(2)를 수용하여 단속하는 렌즈프레임(3)이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렌즈프레임(3)의 중앙에는 노즈패드(4)를 가지는 노즈프레임(5)이 연결된다.
상기 렌즈프레임(3)의 양측에는 후단부에 귀걸이를 가지는 다리(6)가 연결되며, 렌즈프레임(3)과 다리(6)는 힌지(7)로 결합하여 다리(6)가 렌즈프레임(3)에 대하여 내측 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안경을 착용하지 않을 때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과 휴대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힌지(7)는 렌즈프레임(3)의 양단에 고정되는 힌지바디(8)에 고정되는 고정바디(9)와 다리(6)의 내측단부에 고정되는 가동바디(10)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및 가동바디(9,10)에는 암링(11)과 수링(12)을 돌출시켜 결합시킨 후 힌지핀(13)으로 나사 결합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안경의 힌지는 고정바디와 가동바디를 힌지바디와 다리에 용접을 통하여 고정시킨 후에 상기 고정바디와 가동바디를 힌지핀으로 나사 결합하여야 하는 복잡한 조립과정을 거쳐야 하고, 조립과정 전체를 인력에 의존하여야 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조립과 생산성이 저하되는 원인이 되고 과도한 생산원가 상승의 원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힌지를 구성하기 위한 부품 수가 많고 특히 안경의 특성상 부품의 크기가 전체적으로 수 밀리미터 이하의 크기를 가지게 되므로 정밀하게 가공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가공이 완료된 부품의 관리에도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고, 작은 크기의 부품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조립하는 과정에서 일부 부품의 탈락이나 누락으로 인하여 실제 안경을 착용하는 과정에서 불량이 검출되는 경우가 빈번하기 때문에 품질 관리에 어려움이 따른다.
상기와 같이 가공 완료된 힌지가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고정 및 가동바디를 힌지바디와 다리에 용접을 통하여 고정하여야 하는 데, 이 과정에서 고온 고열에 노출되어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 작은 크기를 가지는 힌지바디와 다리는 물론 고정 및 가동바디가 변형을 일으키게 된다.
고정바디와 가동바디를 용접할 때에는 독립된 상태에서 이루어진 후 결합하여 힌지핀으로 고정하게 되는 데, 이 과정에서 변형이 있을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결합되지 않게 되므로 이를 교정하여 후공정을 필요로 하는 것은 물론, 교정을 통하여서도 정상상태를 유지하지 못하여 불량으로 처리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이 극히 낮아지는 또 다른 원인이 된다.
뿐만 아니라, 용접 과정에서 변형이 일어난 후 교정을 통하여 결합한 경우에는 정상적인 상태와 미세한 차이의 변형을 그대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작동 과정에서 다리가 접철되지 못하고 특정한 위치에서 원활하게 작동되지 않게 되므로 안경 전체의 품질을 저하시키게 된다.
그리고, 안경의 재질이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경우에는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힌지를 용접으로 고정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플라스틱재질의 렌즈프레임과 다리를 성형할 때 힌지를 함께 인서트 사출성형하여 완성하게 되는 데, 이 또한 전체적인 작업성을 높이지 못하게 되는 원인이 되고, 이종재질을 사출성형하기 때문에 생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시력보정을 위한 렌즈를 단속하는 한 쌍의 렌즈프레임과, 상기 렌즈프레임의 중앙에 연결되는 노즈프레임과, 상기 렌즈프레임의 양측에 연결되는 다리와, 상기 렌즈프레임과 다리를 결합하여 다리가 렌즈프레임에 대하여 접혀지고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힌지로 구성되는 안경에 있어서;
상기 힌지를 렌즈프레임의 후미에 일체로 형성하는 암힌지와, 상기 다리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하여 암힌지와 결합되는 수힌지로 구성하고;
상기 암힌지는, 렌즈프레임 후미에 상측과 하측에 상부슬라브와 하부슬라브가 형성되고 외측에 상,하부슬라브를 연결하는 외측벽에 의하여 내측방향과 후미가 개방되어 수힌지를 결합할 수 있게 형성하는 수힌지홈과, 상기 상부슬라브의 저면과 하부슬라브의 상면에 수힌지를 축지지 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상부축홈과 하부축홈을 포함하고;
상기 수힌지는, 다리 선단에 수힌지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시키는 상부브리지 및 하부브리지와, 상기 상부브리지와 하부브리지의 상면과 저면에 돌출시켜 상부축홈과 하부축홈에 결합되는 상부축과 하부축을 포함하여;
힌지의 구성품을 대폭 축소하여 생산과 조립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 렌즈프레임과 다리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부품 관리에 따르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면서 조립과정에서 부품누락으로 인한 불량을 해소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재질로 구성되는 안경에 적용하여 렌즈프레임에 암힌지를 일체로 형성하고, 다리에는 수힌지를 일체로 형성하여 안경 또는 힌지를 구성하는 관련부품 수를 대폭 줄이면서 렌즈프레임에 대하여 다리의 착탈을 쉽게 하도록 함으로서 생산과 조립의 용이성을 제공하면서 생산원가를 절감하여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것은 물론, 렌즈프레임과 다리를 다리와 렌즈프레임에 대하여 교환하여 심미감을 고조시켜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안경용 힌지를 도시한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안경용 힌지의 암힌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안경용 힌지의 수힌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안경용 힌지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종래 기술이 적용된 안경용 힌지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안경용 힌지를 도시한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안경용 힌지의 암힌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안경용 힌지의 수힌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안경용 힌지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플라스틱재질로 구성되는 안경(100)은 시력보정을 위한 렌즈(101)를 수용하여 단속하는 한 쌍의 렌즈프레임(102)이 구비되고, 상기 렌즈프레임(102)의 중앙에는 노즈패드를 가지는 노즈프레임(103)이 연결된다.
상기 렌즈프레임(102)의 양측에는 후단부에 귀걸이를 가지는 다리(104)가 연결되며, 렌즈프레임(102)과 다리(104)는 힌지(105)로 결합하여 다리(104)가 렌즈프레임(102)에 대하여 내측 방향으로 접혀지고 외측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힌지(105)를 개선하여 제조와 조립의 용이성을 제공하여 전체적인 생산성을 높이면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원활한 작동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렌즈프레임(102)의 후미에 일체로 형성하는 암힌지(110)와, 상기 다리(104)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하여 암힌지(110)와 결합되는 수힌지(120)로 구성한다.
상기 암힌지(110)는, 렌즈프레임(102)의 후미에 상측과 하측에는 상부슬라브(111)와 하부슬라브(112)가 형성되고 외측에는 상,하부슬라브(111,112)를 외측벽(113)으로 연결하여 내측방향과 후미를 개방시켜 수힌지(120)가 결합되어 작동할 수 있는 수힌지홈(114)을 형성한다.
상기 상부슬라브(111)의 저면과 하부슬라브(112)의 상면에는 수힌지(120)를 축지지하기 위한 상부축홈(115)과 하부축홈(116)을 요입되게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외측벽(113)의 끝단(후단)부와 수힌지홈(114)의 내측벽(117)은 수힌지(120)를 펼치거나 접었을 때 더 이상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수힌지(120)는, 다리(104)의 선단에 암힌지(110)의 수힌지홈(114)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브리지(121)와 하부브리지(122)를 돌출시키고, 상기 상부브리지(121)와 하부브리지(122)의 상면과 저면에는 상부축(123)과 하부축(124)을 돌출시켜 상부축홈(115)과 하부축홈(116)에 결합되어 다리(104)가 접혀지고 펼쳐질 수 있는 기점이 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브리지(121)와 하부브리지(122)는 다리(104)의 상면에 대하여 아래 방향으로 소정의 기울기(a)를 가지도록 하여 수힌지홈(114)으로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울기(a)는 약 5°전후가 바람직하며, 기울기(a)가 심할 경우에는 삽입은 용이하나 상,하부축(123,124)과 상,하부축홈(115,116)과의 결합력이 약하게 되고, 기울기(a)가 심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하부축(123,124)과 상,하부축홈(115,116)과의 결합력은 우수하나 삽입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수힌지홈(114)의 내벽면(117)에는 상,하부브리지(121,122)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하여 상,하부축(123,124)이 상,하부축홈(115,116)과 항상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압돌기(118)를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한다.
상기 가압돌기(118)는 상,하부브리지(121,12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되면서 상,하부브리지(121,12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보다 크게 형성하여 상,하부브리지(121,122)를 상,하측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안경(100)용 힌지(105)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플라스틱 재질의 안경(100)을 구성하는 렌즈프레임(102)에 일체로 형성된 암힌지(110)에 다리(104)에 일체로 형성된 수힌지(120)를 결합하여 다리(104)가 렌즈프레임(102)에 대하여 접혀지고 펼쳐지는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상기 암힌지(110)에 수힌지(120)를 결합하고자 할 경우에는 암힌지(110)에 형성되는 수힌지홈(114)에 수힌지(120)의 상,하부브리지(121,122)를 강하게 밀어넣으면서 상,하부브리지(121,122)의 상면과 저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상부축(123)과 하부축(124)이 암힌지(110)의 상부슬라브(111)와 하부슬라브(112)의 저면과 상면에 형성되는 상부축홈(115)과 하부축홈(116)에 결합 된다.
그러면 암힌지(110)의 상부축홈(115)과 하부축홈(116)에 결합된 수힌지(120)의 상부축(123)과 하부축(124)이 기점이 되어 다리(104)를 접고 펼칠 수 있게 되며, 암힌지(110)의 수힌지홈(114) 내측과 외측벽(113)의 끝단에 다리(104)의 선단이 연접되므로 접혀지고 펼쳐지는 동작이 무한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정지될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수힌지(120)를 암힌지(110)에 결합할 때 수힌지(120)를 구성하는 상,하부브리지(121,122)가 하향 되게 소정의 기울기(a)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힌지홈(114)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즉, 하부브리지(122)의 하측은 다리(104)의 선단부 하측보다 아래에 위치하지 않으면서 상부브리지(121)의 상측은 다리(104)의 선단부 상측보다 아래에 위치하기 때문에 수힌지홈(114)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수힌지(120)를 암힌지(110)에 결합할 때, 암힌지(110)의 수힌지홈(114)에서 수힌지(120)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가압돌기(118)가 상,하부브리지(121,122) 사이에 진입하면서 상,하부브리지(121,122)를 상,하 방향으로 밀어올리게 되므로 상,하부브리지(121,122)의 상면과 저면에 형성된 상부축(123)과 하부축(124)이 상,하부슬라브(111,112)에 형성되는 상부축홈(115)과 하부축홈(116)과 항상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플라스틱안경에 적용하여 힌지의 구성품을 대폭 축소하여 생산과 조립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 렌즈프레임과 다리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서 부품 관리에 따르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면서 조립과정에서 부품누락으로 인한 불량을 해소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진다.
100; 안경 102; 렌즈프레임
104; 다리 105; 힌지
110; 암힌지 111; 상부슬라브
112; 하부슬라브 115; 상부축홈
116; 하부축홈 120; 수힌지
121; 상부브리지 122; 하부브리지
123; 상부축 124; 하부축

Claims (3)

  1. 시력보정을 위한 렌즈를 단속하는 한 쌍의 렌즈프레임과;
    상기 렌즈프레임의 중앙에 연결되는 노즈프레임과;
    상기 렌즈프레임의 양측에 연결되는 다리와;
    상기 렌즈프레임과 다리를 결합하여 다리가 렌즈프레임에 대하여 접혀지고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힌지로 구성되는 안경에 있어서;
    상기 힌지를 렌즈프레임의 후미에 일체로 형성하는 암힌지와;
    상기 다리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하여 암힌지와 결합되는 수힌지로 구성하고;
    상기 암힌지는, 렌즈프레임 후미에 상측과 하측에 상부슬라브와 하부슬라브가 형성되고 외측에 상,하부슬라브를 연결하는 외측벽에 의하여 내측방향과 후미가 개방되어 수힌지를 결합할 수 있게 형성하는 수힌지홈과;
    상기 상부슬라브의 저면과 하부슬라브의 상면에 수힌지를 축지지 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상부축홈과 하부축홈을 포함하고;
    상기 수힌지는, 다리 선단에 수힌지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시키는 상부브리지와 하부브리지;
    상기 상부브리지와 하부브리지의 상면과 저면에 돌출시켜 상부축홈과 하부축홈에 결합되는 상부축과 하부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용 힌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브리지와 하부브리지는 수힌지홈과의 결합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리의 상면에 대하여 아래 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용 힌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힌지홈의 내벽면에는 상,하부브리지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하여 상,하부브리지를 상,하방향으로 벌려 상,하부축이 상,하부축홈과 항상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가압돌기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용 힌지.
KR1020130000699A 2013-01-03 2013-01-03 안경용 힌지 KR201400887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699A KR20140088771A (ko) 2013-01-03 2013-01-03 안경용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699A KR20140088771A (ko) 2013-01-03 2013-01-03 안경용 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8771A true KR20140088771A (ko) 2014-07-11

Family

ID=51737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699A KR20140088771A (ko) 2013-01-03 2013-01-03 안경용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87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162B1 (ko) * 2019-12-31 2021-03-03 (주)니나노 전자파 차단 안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162B1 (ko) * 2019-12-31 2021-03-03 (주)니나노 전자파 차단 안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2966B1 (ko) 무나사 안경힌지를 가지는 조립식 안경
CA2141896C (en) Folding frameless eyeglasses
JP2001228446A (ja) めがねユニットの組み付け方法
CN205404982U (zh) 一种眼镜架铰链结构及眼镜架
KR100877762B1 (ko) 무테안경용 렌즈 고정장치
KR20140088771A (ko) 안경용 힌지
ITPD990163A1 (it) Semicerniera con dispositivo di elasticizzazione per astine diocchiali.
BRPI0412863A (pt) articulação rebaixada para fazer as têmporas de elástico para óculos
KR20140049377A (ko) 안경용 힌지
CN204314552U (zh) 可便利更换镜片的眼镜
KR20140088769A (ko) 안경용 힌지
KR20120000895U (ko) 안경용 힌지
KR101870528B1 (ko) 조립형 안경
KR101574557B1 (ko) 안경다리 힌지 접속장치
KR20140123298A (ko) 안경용 힌지
KR200220771Y1 (ko) 휴대가 용이한 안경
KR101798300B1 (ko) 안경다리 연결 구조체
KR102206631B1 (ko) 안경
KR101526854B1 (ko) 안경테의 제조방법 및 그 안경테
KR20140001657U (ko) 회전가능한 안경다리를 가진 안경
CN211375217U (zh) 一种眼镜镜脚的连接结构
KR102195381B1 (ko) 금속박판안경용 경첩
KR20190025220A (ko) 안경테 조립구조
KR20150000241U (ko) 안경용 힌지
KR20080000064U (ko) 안경다리와 안경테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