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2012B1 - 보조안경 유니트 - Google Patents

보조안경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2012B1
KR100922012B1 KR1020070140819A KR20070140819A KR100922012B1 KR 100922012 B1 KR100922012 B1 KR 100922012B1 KR 1020070140819 A KR1020070140819 A KR 1020070140819A KR 20070140819 A KR20070140819 A KR 20070140819A KR 100922012 B1 KR100922012 B1 KR 100922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eyeglass
eyeglasses
auxiliary
glas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0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2648A (ko
Inventor
조신권
Original Assignee
조신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신권 filed Critical 조신권
Priority to KR1020070140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2012B1/ko
Publication of KR20090072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2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2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2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02C9/02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by hing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02C7/086Auxiliary lenses located directly on a main spectacle lens or in the immediate vicinity of main specta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4Junctions between frame elements having a click fun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알의 전방에 보조안경알이 위치할 수 있도록 안경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보조안경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조안경 유니트는 중공을 가지며, 양단이 개방되어 있는 본체와, 회동 가능하게 중공을 관통하도록 연장되며, 양 단에 보조안경알이 장착되는 장착부분이 형성된 회동로드와, 본체에 설치되며 안경의 프레임 또는 안경알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를 안경에 고정하는 지지부와, 회동로드가 본체에 대하여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회동로드 또는 본체에 설치되는 회동고정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안경 유니트는 안경의 종류나 형상에 관계없이 장착이 용이하며, 장착된 상태에서 보조안경알을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보조 안경

Description

보조안경 유니트 {auxiliary glasses unit}
본 발명은 보조안경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안경알의 전방에 보조안경알이 위치할 수 있도록 안경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보조안경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근시나 원시 또는 난시가 있어서 사물을 명확하게 식별하기 어려운 사람들은 이러한 눈 상태를 교정하기 위한 안경을 착용한다.
그런데 노인들의 경우에는 가까운 곳의 사물을 보기 위해 별도로 돋보기가 필요하기도 하므로, 일상 생활시에 착용하는 안경과, 책을 읽거나 가까운 사물을 봐야 하는 경우에 착용하기 위한 돋보기를 별도로 가지고 다니는 경우가 많았다.
돋보기 외에도 강한 햇빛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한 선글라스와 같이 기능성 안경을 별도로 들고다녀야 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렇게 안경을 착용하는 사람이 별도의 보조 안경을 더 들고다니는 것이나 안경을 매번 교체해서 착용하는 착용과정이 매우 번거롭기 때문에 이러한 번거로움을 최소화하기 위한 보조안경이 공개실용신안 1998-056018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안경용 보조안경는 보조안경를 안경의 상부로부터 끼워서 고정 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보조안경는 일반 안경렌즈로 사물을 봐야 할 때와 보조안경를 사용해야 할 때, 매번 보조안경를 안경으로부터 분리시키거나 장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안경에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뿔테, 무테, 일반 금속테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안경에 고정하는 것이 용이하며, 고정한 후에 분리하지 않고도 원래의 안경렌즈로 사물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보조 안경에 대한 필요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안경에 용이하게 착용 및 고정할 수 있으며, 보조안경를 회동시켜 장착된 상태에서도 보조안경의 사용 여부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보조안경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안경 유니트는 중공을 가지며, 양단이 개방되어 있는 본체와, 회동 가능하게 중공을 관통하도록 연장되며, 양 단에 보조안경알이 장착되는 장착부분이 형성된 회동로드와, 본체에 설치되며 안경의 프레임 또는 안경알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를 안경에 고정하는 지지부와, 회동로드가 본체에 대하여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회동로드 또는 본체에 설치되는 회동고정부를 구비한다.
지지부는 각각 일단이 본체에 고정되고 타단이 안경 프레임의 상부 후면 또는 안경렌즈의 상부 후면에 접촉하도록 연장되며, 안경을 본체를 향해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 두 개의 제1 지지부재와, 각각 일단이 본체에 고정되고, 안경의 전방을 통해 안경의 하부로 연장되며 타단이 안경 프레임의 하부 후면 또는 안경렌즈의 하부 후면에 접촉하여 안경을 본체를 향해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 두 개의 제2 지지부재와, 제1, 제2 지지부재의 각각의 타측 단부로부터 본체를 향해 연장되는 일정구간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제1, 제2 지지부재와 접촉하는 안경 프레임 또는 안경렌즈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튜 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동고정부는 회동로드의 일측에 형성된 제1 걸림턱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이 제1 걸림턱과 인접하는 본체의 일단에 형성된 제2 걸림턱에 지지되어 본체를 회동로드의 일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와, 본체의 타단에 형성된 제1 요철부와, 회동로드의 타측에 형성되어 제1 요철부와 치합되는 제2 요철부를 구비하고, 본체는 원통형이며, 제1 요철부는 본체 타단의 원주방향을 따라 여섯 개의 돌출부분과, 여섯 개의 인입부분이 교호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안경 유니트는 안경의 종류나 형상에 관계없이 장착이 용이하며, 장착된 상태에서 보조안경알을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조안경 유니트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보조안경 유니트(100)는 안경(1)에 장착된다.
일반적으로 안경(1)은 안구의 전방에 위치하며 안경렌즈(2)가 끼워지는 두 개의 장착홀이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3)과, 프레임(3)으로부터 착용자의 귀에 걸쳐질 수 있도록 후방으로 연장되는 다리부(4)를 포함한다. 프레임(3)에는 코받침부(5)가 마련되어 있어서 착용자는 코받침부(5)를 코의 위에 올리고 다리부(4)의 단부가 귀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안경(1)을 착용하게 되며, 이렇게 안경(1)을 착용 하면 안경렌즈(2)가 착용자의 안구 전방에 위치하여 빛을 굴절시킴으로써 시력을 보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보조안경 유니트(100)는 이러한 안경(1)에 장착되어 안경렌즈(2)의 전방에 보조안경알(50)을 위치시킴으로써 보조안경알(50)이 안경렌즈(2)와 더불어 착용자의 시력보정 또는 유해한 태양광을 차광하는 차광기능을 갖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보조안경 유니트(100)는 원통형이며 중공(11)을 갖는 본체(10)와,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로드(20)와, 본체(10)를 안경(1)에 고정하는 지지부(30)와, 회동로드(20)가 일정 각도로 회동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회동고정부(40) 및 회동로드(20)의 양 단부에 장착된 보조안경알(50)을 구비한다.
본체(10)는 안경(1)에 장착되었을 때, 프레임(3)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원통형이며, 내부에 회동로드(20)가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도록 양 단을 관통하는 중공(11)이 마련되어 있다.
본체(10)의 일측 단부에는 후술하는 회동고정부(40)의 탄성부재(41)가 지지될 수 있도록 끝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길이 인입되는 제2 걸림턱(12)이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10)의 타측 단부에는 본체(10)의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부분(44)과 인입부분(45)이 교호적으로 형성된 제1 요철부(42)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본체(10)는 원통형으로 도시되었으나, 본체(10)는 미적인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외형이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본체(10)의 중공(11)은, 이 중공(11)에 삽입되는 회동로드(20)가 본체(10)의 내부에서 회동이 가 능해야 하므로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동로드(20)는 양단부에 보조안경알(50)이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부분(21)이 형성되어 있고, 장착부분(21)의 사이에는 본체(10)의 중공(11)에 설치되는 회동결합부분(22)이 마련되어 있으며, 회동결합부분(22)과 장착부분(21)은 연결부분(2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장착부분(21)은 보조안경알(50)의 상부 후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소정의 접촉면을 가지며, 각각 전후면을 관통하는 체결홀이 두 개씩 형성되어 있다. 보조안경알(50)에는 이 체결홀과 대응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관통홀과 체결홀이 일치하도록 위치시킨 후, 고정핀(51)을 보조안경알(50)의 전면으로부터 삽입한 다음 장착부분(21)의 후방으로 돌출된 고정핀(51)의 단부를 확장시켜 보조안경알(50)과 장착부분(21)을 결합시킨다.
회동로드(20) 양 단의 장착부분(21)에 각각 결합된 보조안경알(50)은 안경(1)의 양쪽 안경렌즈(2) 사이의 이격거리와 대응하도록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동결합부분(22)은 본체(10)의 중공(11)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본체(10)의 내부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회동결합부분(22)의 외경은 본체(10)의 내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회동결합부분(22)이 본체(10)의 내부에서 용이하게 회동할 수 있다. 회동결합부분(22)의 외경이 지나치게 작게 형성되면 회동결합부분(22)과 본체(10)의 내주면 사이의 이격 길이가 늘어나 본체(10) 내부에서의 회동로드(20)의 유동폭이 커지게 되므로 회동결합부분(22)의 외경은 본 체(10)의 내부에서 회동할 수 있는 최대 직경을 같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걸림턱(12)이 형성된 본체(10)의 일측 단부와 인접하는 회동로드(20)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걸림턱(24)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걸림턱(24)은 제2 걸림턱(12)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호 마주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지지부(30)는 본체(10)를 안경(1)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 지지부재(31)와, 제2 지지부재(32)를 구비한다.
제1 지지부재(31)는 두 개가 마련되어 있는데, 각각 일단이 본체(10)의 양 끝단 외주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지지부재(31)의 타단은 각각 안경(1) 프레임(3)의 상부 후면 양측에 접촉된다.
제1 지지부재(31)의 타단에는 단부를 뭉툭하게 하여 안경(1)과의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손으로 파지하였을 때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원형으로 말려있는 말림부분(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지지부재(31)의 타단으로부터 본체(10)와의 연결지점을 향해 일정길이 연장된 구간에는 제1 지지부재(31)를 감싸는 보호튜브(34)가 장착되어 있다. 보호튜브(34)는 안경(1)과의 접촉부분에 파손이 발생거나 코팅층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신축성 및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보호튜브(34)는 열수축튜브로서 열을 가하면 수축되어 제1 지지부재(31)를 감싸게 됨으로써 제1 지지부재(31)가 안경(1)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보호튜브(34)는 제1 지지부재(31)를 감싸도록 결합되어 제1 지지부 재(31)에 의해 안경(1)에 파손이 생기거나 코팅층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면 열수축튜브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튜브가 적용될 수 있으며 재질도 실리콘과 같은 다양한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31)는 탄성력이 있는 재질이기 때문에 접촉부재가 안경(1) 프레임(3)의 상부 후면에 접촉되면 안경(1) 프레임(3)을 본체(10)를 향해 탄성바이어스 시킨다.
제2 지지부재(32) 역시 두 개가 마련되어 있으며, 일단은 본체(10)에 결합되어 있고, 안경(1)의 전방을 통해 하방으로 연장되어 타단이 안경(1) 프레임(3)의 하부 후면에 접촉한다. 제2 지지부재(32) 역시 타단에 말림부분(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 보호튜브(34)에 의해 감싸여져 있다.
제2 지지부재(32)는 안경(1) 프레임(3)의 하부 양측을 각각 본체(10)를 향해 탄성바이어스 시킨다. 이렇게 제1, 제2 지지부재(31,32)가 안경(1) 프레임(3)의 후면에서 상부와 하부를 각각 본체(10)를 향해 탄성바이어스 시키게 되므로, 본체(10)가 안경(1)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제2 지지부재(31,32)의 타단이 안경(1) 프레임(3)의 후면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으나, 안경(1) 프레임(3)이 매우 얇거나 무테 안경(1)인 경우에는 제1, 제2 지지부재(31,32)가 안경렌즈(2)와 직접 접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제2 지지부재(31,32)는 모두 탄성력이 있는 얇은 와이어이기 때문에 본체(10)를 장착시킬 안경(1)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구부리거나 휘어서 접촉부재가 안경(1) 프레임(3) 또는 안경렌즈(2)에 견고하게 접촉되게 할 수 있다.
회동고정부(40)는 보조안경알(50)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회동로드(20)를 회동시킬 때, 회동된 상태로 보조안경알(5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회동로드(20)와 본체(10)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1, 제2 걸림턱(24,12)에 양단이 각각 지지되는 탄성부재(41)와, 상술한 본체(1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요철부(42)와, 제1 요철부(42)와 치합될 수 있도록 회동로드(20)에 마련된 제2 요철부(43)를 구비한다.
탄성부재(41)는 일단이 회동로드(20)의 일측에 고정되어 있는 제1 걸림턱(24)에 지지되며, 회동로드(20)를 감싸도록 연장되어 타단이 본체(10)에 형성되어 있는 제2 걸림턱(12)에 지지된다. 제1 걸림턱(24)이 회동로드(2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부재(41)는 본체(10)를 제1 걸림턱(24)이 결합된 회동로드(20)의 일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게 된다.
제1 요철부(4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타단에 형성되어 있는데, 본체(10)의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부분(44)과 인입부분(45)이 각각 여섯 개씩 교호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요철부(43)는 제1 요철부(42)와 인접하는 회동로드(20)의 타측에 제1 요철부(42)와 치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요철부(43) 역시 돌출부분(44)과 인입부분(45)이 각각 여섯 개씩 교호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요철부(42)의 돌출부분(44)과 인입부분(45)에 각각 제2 요철부(43)의 인입부분(45)과 돌출부분(44)이 결합된다. 따라서 회동로드(20)가 본체(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지만 제1, 제2 요철부(42,43)의 치합에 의해 회동로드(20)가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는 본체(10)에 대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체(10)에 대한 회동로드(20)의 고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본체(10)가 지지부(30)에 의해 안경(1)에 장착되었을 때, 보조안경알(50)이 안경렌즈(2)의 전방에 위치한 상태를 초기상태라고 하면, 착용자는 보조안경알(50) 또는 회동로드(20)의 일측을 잡고 회동로드(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요철부(43) 중 하나의 돌출부분(44)을 제1 돌출부분(44a)이라 하고, 초기상태에서 이 제1 돌출부분(44a)과 결합된 제1 요철부(42)의 인입부분(45)을 제1 인입부분(45a)이라고 하면, 초기상태에서 회동로드(20)가 회전하면 제1 돌출부분(44a)이 제1 인입부분(45a)과 회동로드(20)의 회전방향상에서 인접한 다음 인입부분(45) 즉 제2 인입부분(45b)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제1 돌출부분(44a)이 제1, 제2 인입부분(45a,45b)의 사이에 있는 제2 돌출부분(44b)을 지나야 한다. 제1 돌출부분(44a)이 제2 돌출부분(44b)을 지날때에는 제1, 제2 요철부(42,43)의 이격거리가 멀어질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제1, 제2 돌출부분(44a,44b)이 상호 맞닿는 상태에서는 탄성부재(41)가 압축되면서 본체(10)가 제1 걸림턱(24)을 향해 이동함으로써 제1, 제2 돌출부분(44a,44b)이 상호 맞닿을 수 있도록 이격공간을 제공한다. 회동로드(20)가 계속 회전하여 제1 돌출부분(44a)이 제2 인입부분(45b)에 결합되면 탄성부재(41)가 본체(10)를 탄성바이어스 시킴으로써 제1, 제2 요철부(42,43)의 이격거리가 원래대로 가까워진다. 탄성부재(41)에 의해 본체(10)는 지속적으로 제1 걸림턱(2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되므로 일정수준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제1, 제2 요철부(42,43)의 치합상태가 유지되면서 회동로드(20)가 본체(10)에 대하여 회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제1, 제2 요철부(42,43)가 각각 여섯 개씩의 돌출부분(44)과 인입부분(45)을 갖기 때문에 60°씩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보조안경알(50)은 초기상태로부터 각각 60°씩 회동된 3 단계의 회동지점을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안경 유니트가 안경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보조안경 유니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보조안경 유니트의 보조안경알의 회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2의 본체의 단면도,
도 5는 제1, 제2 요철부를 도시한 부분발췌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보조안경 유니트
10; 본체
20; 회동로드
30; 지지부
40; 회동고정부

Claims (4)

  1. 중공을 가지며, 양단이 개방되어 있는 본체와;
    회동 가능하게 상기 중공을 관통하도록 연장되며, 양 단에 보조안경알이 장착되는 장착부분이 형성된 회동로드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안경의 프레임 또는 안경알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안경에 고정하는 지지부와;
    상기 회동로드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회동로드 또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회동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는 각각 일단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안경 프레임의 상부 후면 또는 상기 안경렌즈의 상부 후면에 접촉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안경을 상기 본체를 향해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 두 개의 제1 지지부재와,
    각각 일단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안경의 전방을 통해 상기 안경의 하부로 연장되며 타단이 상기 안경 프레임의 하부 후면 또는 상기 안경렌즈의 하부 후면에 접촉하여 상기 안경을 상기 본체를 향해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 두 개의 제2 지지부재와,
    상기 제1, 제2 지지부재의 각각의 타측 단부로부터 상기 본체를 향해 연장되는 일정구간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 제2 지지부재와 접촉하는 상기 안경 프레임 또는 안경렌즈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튜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안경 유니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고정부는 상기 회동로드의 일측에 형성된 제1 걸림턱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제1 걸림턱과 인접하는 본체의 일단에 형성된 제2 걸림턱에 지지되어 상기 본체를 상기 회동로드의 일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본체의 타단에 형성된 제1 요철부와;
    상기 회동로드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요철부와 치합되는 제2 요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안경 유니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원통형이며, 상기 제1 요철부는 상기 본체의 타단의 원주방향을 따라 여섯 개의 돌출부분과, 여섯 개의 인입부분이 교호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안경 유니트.
KR1020070140819A 2007-12-28 2007-12-28 보조안경 유니트 KR100922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819A KR100922012B1 (ko) 2007-12-28 2007-12-28 보조안경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819A KR100922012B1 (ko) 2007-12-28 2007-12-28 보조안경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648A KR20090072648A (ko) 2009-07-02
KR100922012B1 true KR100922012B1 (ko) 2009-10-14

Family

ID=41329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0819A KR100922012B1 (ko) 2007-12-28 2007-12-28 보조안경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20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5310B1 (ko) * 2021-07-29 2023-10-26 김영호 선글라스 렌즈와 안경테의 연결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6018U (ko) * 1998-06-26 1998-10-07 안승균 착탈할 수 있는 안경용 보조 렌즈
JP2003241149A (ja) 2002-02-18 2003-08-27 Tamesawa Megane:Kk 撥ね上げ眼鏡装着用回動機構の加工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加工された回動機構を使用した撥ね上げ眼鏡
KR200347248Y1 (ko) * 2003-11-20 2004-04-09 홍용식 안경의 보조선글라스 결합구조
KR20050077977A (ko) * 2004-01-30 2005-08-04 주식회사 인터하이텍 안경의 보조선글라스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6018U (ko) * 1998-06-26 1998-10-07 안승균 착탈할 수 있는 안경용 보조 렌즈
JP2003241149A (ja) 2002-02-18 2003-08-27 Tamesawa Megane:Kk 撥ね上げ眼鏡装着用回動機構の加工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加工された回動機構を使用した撥ね上げ眼鏡
KR200347248Y1 (ko) * 2003-11-20 2004-04-09 홍용식 안경의 보조선글라스 결합구조
KR20050077977A (ko) * 2004-01-30 2005-08-04 주식회사 인터하이텍 안경의 보조선글라스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648A (ko) 200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201075B8 (en) An Eyewear Assembly for Attachment to a Hard Hat
EP2592463B1 (en) Lens receptor lock for glasses
US9256080B2 (en) Receptor and lock for glasses with removable lenses
US8820921B1 (en) Assembly for retaining eyeglasses on the head of a user in multiple positions
US7347544B1 (en) Hingeless eyeglasses as collar or headband
CN104126145A (zh) 具有可替换附件的眼镜
KR100857295B1 (ko) 안경 프레임에 탈착가능한 보호용 측면보호물
US5539561A (en) Eyeglass having removable temple/lens connector
US6241352B1 (en) Lens overlays for eyewear
KR101093870B1 (ko) 시력 보정용 고글
US9855171B2 (en) Safety glasses
KR100922012B1 (ko) 보조안경 유니트
WO2007148650A1 (ja) 眼鏡セット
JP2004280046A (ja) 2つのレンズおよび2つの後方に延在するテンプル部材を含むアイウェア製品
US6984036B1 (en) Safety shield for eyewear assembly
KR200479812Y1 (ko) 착탈형 안경
US7407282B1 (en) Eyeglass temple assembly
RU2740857C2 (ru) Очки с удлинителями дужек
JP5046333B2 (ja) 眼鏡のレンズ歪防止構造、眼鏡のレンズの切削加工方法
KR102396810B1 (ko) 안경테 구조체
KR101808414B1 (ko) 안경 및 모자의 탈착용 선글라스
KR200199595Y1 (ko) 차양판이 구비된 안경
US20180120588A1 (en) Eyeglasses with Clip Member for Use with a Frame And At least One Temple Member
KR200254125Y1 (ko) 안경형 쌍안경
KR101999859B1 (ko) 안경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