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8409B1 - 다기능 복합 안경 - Google Patents

다기능 복합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8409B1
KR101698409B1 KR1020150142647A KR20150142647A KR101698409B1 KR 101698409 B1 KR101698409 B1 KR 101698409B1 KR 1020150142647 A KR1020150142647 A KR 1020150142647A KR 20150142647 A KR20150142647 A KR 20150142647A KR 101698409 B1 KR101698409 B1 KR 101698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tacle frame
frame
user
eyeglass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차동
Original Assignee
정차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차동 filed Critical 정차동
Priority to KR1020150142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84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1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not fully classifiable according to technical characteristics, e.g. therapeutic 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1Assembling; Repai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6Side-members resilient or with resilient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8Modular frames, easily exchangeable frame parts and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복합 안경으로서, 상황 및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활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안면과 안경테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여 사용자의 안구를 보호할 수 있는 다기능 복합 안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기능 복합 안경은, 보호렌즈; 코받침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호렌즈의 하부를 제외한 상기 보호렌즈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형성된 안경테; 상기 안경테의 후방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고, 사용자의 안면과 상기 안경테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는 방풍테; 및 상기 안경테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안경테를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복합 안경{Multi-functional glasses}
본 발명은 다기능 복합 안경으로서, 상황 및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활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안면과 안경테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여 사용자의 안구를 보호할 수 있는 다기능 복합 안경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시력 저하에 따라 안경을 착용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또한, 일반인뿐만 아니라 안경을 착용하는 군인들도 많이 있다. 그러나 안경은 거친 훈련이나 전투 상황에서 임무수행에 제약을 발생시킨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7393호에는 군인의 훈련이나 전투상황에서 임무수행시 착용할 수 있고, 모래와 먼지바람이 부는 장소에서도 이물질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투 및 방풍 안경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투용 안경은 방독면 없이 단독 착용시에 임무수행을 위한 거친 활동을 함에 있어서 안정감이 떨어지고, 다양한 외부 조건에 따른 활용도가 떨어진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황 및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활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안면과 안경테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여 바람이나 이물질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는 다기능 복합 안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기능 복합 안경은, 보호렌즈; 코받침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호렌즈의 하부를 제외한 상기 보호렌즈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형성된 안경테; 상기 안경테의 후방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고, 사용자의 안면과 상기 안경테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는 방풍테; 및 상기 안경테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안경테를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방풍테는, 상기 안경테의 형상을 따라 상기 안경테의 후방에 밀착 결합하는 상부결합부와, 상기 상부결합부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보호렌즈의 하부 테두리를 감싸는 하부결합부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결합부는 일단이 상기 코받침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안경테의 단부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결합부의 전방에는 "┬" 형상의 제1 결합돌기와 상기 제1 결합돌기를 중심으로 양측에 제2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결합부의 타단에는 삽입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안경테의 후방에는 상기 제1 결합돌기와 제2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제1 결합홈 및 제2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안경테의 양단부에는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렌즈의 후방에 나란히 배치되어 사용자의 시력을 교정하는 교정렌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코받침부의 후방에는 제3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교정렌즈부의 전방에는 상기 제3 결합홈에 삽입되는 제3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사용자의 귀에 걸려 상기 안경테를 지지하는 안경다리와 사용자의 머리를 감싸는 고정밴드로 구분되고, 상기 안경다리와 고정밴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상기 안경테와 결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합 안경은 착용감이 우수하고 바람과 먼지 등의 이물질의 침투를 완벽히 차단할 수 있으며 거친 훈련상황이나 전투상황에서 활동에 제약을 주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기능 복합 안경은 외부 상황 및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적절히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복합 안경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복합 안경의 일방향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복합 안경의 타방향 분행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풍테를 제거한 다기능 복합 안경의 사시도.
본 발명의 다기능 복합 안경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렌즈(100), 안경테(200), 방풍테(300), 교정렌즈부(400) 및 고정부(500)로 구성된다.
안경테(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받침부(210)를 구비하고, 보호렌즈(100)의 하부를 제외한 보호렌즈(100)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안경테(200)의 후방에는 방풍테(300)와의 결합을 위한 제1 결합홈(220) 및 제2 결합홈(230)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결합홈(220)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결합홈(220)의 양측에 "ㅡ"형상의 제2 결합홈(23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안경테(200)의 양단부에는 방풍테(300)와의 연결을 위한 삽입홈(24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경테(200)의 양측에는 고정부(500)와의 결합을 위한 탈착홈(250)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안경테(200)는 양단부가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보호렌즈(100)의 하부를 제외한 보호렌즈(100)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하부가 개방 형성되고, 하방향을 향하는 안경테(200)의 양단부에 삽입홈(24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안경테(200)의 양측 후방에는 고정부(500)가 결합되는 탈착홈(250)이 형성되어 있어서 안경테(200)의 양측에 고정부(5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안경테(20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코받침부(210)는 사용자의 코에 접촉하여 안경테(200)를 지지하는 것으로, 안경테(200)의 중심부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양방향으로 분기되는 지지대(211)와, 지지대(211)의 후방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코와 직접 접촉하는 실리콘 재질의 접촉부(21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11)의 후방에는 교정렌즈부(400)와의 결합을 위한 제3 결합홈(260)이 형성되어 있다. 제3 결합홈(260)은 두 개로 구성되어 좌우로 이격되어 있다.
방풍테(300)는 코받침부(210)를 회피하여 안경테(200)의 후방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고, 사용자의 안면과 안경테(200)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여 바람, 먼지 등의 유입을 차단한다. 이러한 방풍테(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결합부(310)와 하부결합부(320)로 이루어진다. 상부결합부(310)는 안경테(200)의 형상을 따라 안경테(200)의 후방에 밀착 결합하고, 양단이 분기되어 형성된 코받침부(210)에 연결된다. 하부결합부(320)는 상부결합부(310)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부결합부(310)와 함께 보호렌즈(100)의 하부 테두리를 감싼다. 그리고 하부 결합부의 일단은 코받침부(210)에 연결되고, 하부 결합부의 타단은 안경테(200)의 단부에 연결된다. 안경테(200)의 단부에 연결되는 하부결합부(320)의 타단에는 삽입홈(240)에 삽입되는 삽입돌기(32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부결합부(310)의 전방에는 제1 결합돌기(311)와 제2 결합돌기(312)가 돌출 형성된다. 제1 결합돌기(311)는 "┬"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결합홈(220)에 삽입되고, 제2 결합돌기(312)는 제1 결합돌기(311)를 중심으로 양측에 "ㅡ"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 결합홈(220)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ㅜ"형상의 제1 결합돌기(311)와 "ㅡ"형상의 제2 결합돌기(312)에 의해 안경테(200)와 방풍테(300)가 결합됨으로써, 안경의 착용상태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여도 안경테(200)와 방풍테(300)가 분리되지 않고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풍테(300)는 유연성 및 탄성이 우수하여 안경테(200)와 사용자 안면 사이의 공간을 완벽히 차단하면서 안경테(200)와의 결합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투용 안경은 외부조건에 따라 도 1과 같이 방풍테(300)를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도 4와 같이 방풍테(300)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교정렌즈부(400)는 보호렌즈(100)의 후방에 나란히 배치되어 사용자의 시력을 교정한다. 이러한 교정렌즈부(400)의 전방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결합홈(260)에 삽입되는 제3 결합돌기(410)가 돌출 형성되어 안경테(200)의 후방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교정렌즈부(400)는 사용자의 시력에 따라 적절한 렌즈를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교정렌즈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고정부(500)는 안경테(2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안경테(200)를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시킨다. 고정부(500)는 안경테(200)의 탈착홈(25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고정부(500)는 사용자의 귀에 걸려 안경테(200)를 지지하는 안경다리와 사용자의 머리를 감싸는 고정밴드로 구분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안경다리와 고정밴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안경테(200)와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 표시된 고정부(500)는 안경다리이다. 고정밴드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띠 형상으로 사용자의 머리를 감싸 안경을 고정할 수 있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풍테(300)가 결합된 안경은 착용감이 우수하고 바람과 먼지 등의 이물질의 침투를 완벽히 차단할 수 있으며 거친 훈련상황이나 전투상황에서 임무수행을 위한 활동에 제약을 주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합 안경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보호렌즈,
200 : 안경테, 210 : 코받침부, 211 : 지지대, 212 : 접촉부, 220 : 제1 결합홈, 230 : 제2 결합홈, 240 : 삽입홈, 250 : 탈착홈, 260 : 제3 결합홈,
300 : 방풍테, 310 : 상부결합부, 311 : 제1 결합돌기, 312 : 제2 결합돌기, 320 : 하부결합부, 321 : 삽입돌기,
400 : 교정렌즈부, 410 : 제3 결합돌기,
500 : 고정부,

Claims (5)

  1. 보호렌즈;
    일체로 형성된 코받침부를 구비하고, 양단부가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보호렌즈의 하부 테두리를 제외한 상기 보호렌즈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하부가 개방 형성된 안경테;
    상기 보호렌즈의 후방에 나란히 배치되어 사용자의 시력을 교정하는 교정렌즈부;
    상기 코받침부를 회피하여 상기 안경테의 후방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고, 사용자의 안면과 상기 안경테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는 방풍테; 및
    상기 안경테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안경테를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경테의 후방에는 "ㅜ" 형상의 제1 결합홈 및 상기 제1 결합홈 양측에 "ㅡ" 형상의 제2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안경테의 양단부에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코받침부는, 상기 안경테의 중심부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양방향으로 분기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코와 접촉하는 접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대의 후방에는 상기 교정렌즈부와의 결합을 위하여 좌우로 이격된 두 개의 제3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방풍테는, 상기 안경테의 형상을 따라 상기 안경테의 후방에 밀착 결합하는 상부결합부와, 상기 상부결합부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보호렌즈의 하부 테두리를 감싸는 하부결합부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결합부의 전방에는 "┬" 형상의 제1 결합돌기와 상기 제1 결합돌기를 중심으로 양측에 "ㅡ" 형상의 제2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돌기는 상기 제1 결합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2 결합돌기는 상기 제2 결합홈에 삽입되며,
    상기 하부결합부는 일단이 상기 코받침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안경테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결합부의 타단에는 삽입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교정렌즈부의 전방에는 상기 제3 결합홈에 삽입되는 제3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사용자의 귀에 걸려 상기 안경테를 지지하는 안경다리와 사용자의 머리를 감싸는 고정밴드로 구분되고,
    상기 안경다리와 고정밴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상기 안경테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복합 안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142647A 2015-10-13 2015-10-13 다기능 복합 안경 KR101698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647A KR101698409B1 (ko) 2015-10-13 2015-10-13 다기능 복합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647A KR101698409B1 (ko) 2015-10-13 2015-10-13 다기능 복합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8409B1 true KR101698409B1 (ko) 2017-01-20

Family

ID=57989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647A KR101698409B1 (ko) 2015-10-13 2015-10-13 다기능 복합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84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9313A (ko) * 2021-08-24 2023-03-03 주식회사 마글 탈부착용 스마트 안경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3064A (ko) * 2008-11-12 2010-05-20 주식회사 유레카 스포츠안경의 보조안경 착탈구조
KR20140093590A (ko) * 2013-01-18 2014-07-28 주식회사 오토스윙 유해 섬광 차단 눈부심방지 전자 보안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3064A (ko) * 2008-11-12 2010-05-20 주식회사 유레카 스포츠안경의 보조안경 착탈구조
KR20140093590A (ko) * 2013-01-18 2014-07-28 주식회사 오토스윙 유해 섬광 차단 눈부심방지 전자 보안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9313A (ko) * 2021-08-24 2023-03-03 주식회사 마글 탈부착용 스마트 안경
KR102525935B1 (ko) 2021-08-24 2023-04-28 주식회사 마글 탈부착용 스마트 안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51816C (en) Eyewear assembly with side shields attachable to inner surfaces of temples
US20060050224A1 (en) Eyewear assembly with auxiliary frame and lens assembly
US20090268153A1 (en) Fixing Structure for Industrial Spectacles and Helmet
JP2007089748A (ja) ゴーグル
KR101698409B1 (ko) 다기능 복합 안경
US20190265516A1 (en) Eyeglasses structure
US10948741B2 (en) Nasal mask structure for eyeglasses
KR101946990B1 (ko) 고정력을 향상시킨 탈부착 보조안경테가 구비된 안경
CN215839889U (zh) 多功能护目镜
KR200479812Y1 (ko) 착탈형 안경
WO2012026563A1 (ja) 保護眼鏡
KR200483592Y1 (ko) 안경위에 착용할 수 있는 선글라스
US20060017880A1 (en) Safety shield for eyewear assembly
KR101554902B1 (ko) 레저 스포츠 헬멧용 보호안경
CN211215275U (zh) 一种镜片可换式水镜
KR200310430Y1 (ko) 높이 조절 안경
CN218675553U (zh) 眼镜
KR200483264Y1 (ko) 선글라스, 안경 및 안경용 렌즈를 둘러싸는 렌즈 프레임
US9151966B1 (en) Prescription eyewear assembly
KR102183753B1 (ko) 덮경을 구비하는 안경
JP5066029B2 (ja) 防塵眼鏡
KR20180003201U (ko) 렌즈 보호 안경테
KR20100088303A (ko) 렌즈교체가 용이한 고글
JP2015187740A (ja) 保護眼鏡
CN112716690A (zh) 多功能护目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