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4902B1 - 레저 스포츠 헬멧용 보호안경 - Google Patents

레저 스포츠 헬멧용 보호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4902B1
KR101554902B1 KR1020130110534A KR20130110534A KR101554902B1 KR 101554902 B1 KR101554902 B1 KR 101554902B1 KR 1020130110534 A KR1020130110534 A KR 1020130110534A KR 20130110534 A KR20130110534 A KR 20130110534A KR 101554902 B1 KR101554902 B1 KR 101554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protective
shield
groove
leisure spo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0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1052A (ko
Inventor
고환복
Original Assignee
고환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환복 filed Critical 고환복
Priority to KR1020130110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4902B1/ko
Publication of KR20150031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1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4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4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185Securing goggles or spectacles on helmet shell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A42B3/281Air ducting systems
    • A42B3/283Air inlets or outlets, with or without closure shutter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저 스포츠 헬멧용 보호안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저 스포츠용 헬멧의 몸체 내부에서 필요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해 인출 및 인입되는 보호안경을 가이드하면서 스크래치 발생을 방지하여 제품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전방에 장공의 슬라이드홀(12)이 형성되며,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통기구멍(11)이 형성된 헬멧부재(10)와;
상기 헬멧부재(10)의 내부에 결합되는 헬멧내장재(20)와;
상기 헬멧부재(10)의 전방에 위치하는 실드(31)가 일단에 구비되며, 이 실드(31)의 다른 일단에 고정판(32)이 연장 성형되어, 상기 끼움홈(21)에 끼워져 인출 또는 인입 가능하게 슬라이딩 이동하는 보호안경(30)과;
상기 헬멧부재(10)의 외부에서 슬라이드홀(12)를 관통해 보호안경(30)과 결합되어, 상기 보호안경(30)을 끼움홈(2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레버(40)로 구성되는 레저 스포츠용 헬멧에 있어서;
상기 보호안경(30)의 실드(31) 하단에서 받침돌기(36)를 돌출 성형시켜, 끼움홈(21)에서 출몰 될 때 받침돌기(36)가 끼움홈(21)의 내면에 접촉되어 보호안경(30)의 표면을 보호하되,
이 보호안경(30)의 실드(31)는 코받침홈(34)이 형성된 중앙부(C)와, 상기 중앙부(C)의 양측으로 보호부(G)와, 이 보호부(G)의 외측으로 날개부(W)로 구분하고, 상기 중앙부(C)의 코받침홈(34) 테두리를 따라 지지돌기(35)가 하향 형성되고, 날개부(W)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 받침돌기(36)가 상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레저 스포츠 헬멧용 보호안경{Helmet for Leisure Sports}
본 발명은 레저 스포츠 헬멧용 보호안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저 스포츠용 헬멧의 몸체 내부에서 필요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해 인출 및 인입되는 보호안경을 가이드하면서 스크래치 발생을 방지하여 제품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라인 스케이트, 자전거, 스쿠터, 등산, 승마 등 다양한 레저 스포츠에서는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헬멧을 착용하고 있다.
상기 헬멧은, 착용자가 장시간 착용에도 불편함이 없도록 하면서 머리를 보호해야 하고, 활동량이 많은 경우에 머리에 땀이 많이 흐르기 때문에 통기성이 우수해야 한다.
또한, 대부분의 레저 스포츠용 헬멧은 오토바이 헬멧과는 달리 얼굴 전체를 감싸는 방식이 아닌 머리 상부측만 감싸는 구조를 하고 있어서 눈을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보호안경을 착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 헬멧과 보호안경을 별도로 착용할 경우 레저 스포츠 특성상 사용자의 심한 몸 동작으로 인한 보호안경이 이탈되거나, 보호안경에 땀이 맺혀 시야를 가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어 순간적으로 변화하는 환경에 따라 보호안경을 착용 또는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 특허공보 제 10-1252119호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레저스포츠용 헬멧은, 전방에 슬라이드 결합홈(1b)이 형성되며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통기공(1a)이 형성된 헬멧 몸체(1)와, 상기 슬라이드 결합홈(1b)에 삽입되어 헬멧 몸체(1) 내부로 슬라이딩 삽탈되는 보호안경(3)과, 상기 슬라이드 결합홈(1b) 내에 구비되어 보호안경(3)을 지지 안내하는 슬라이드 안내부(2) 및 상기 보호안경(3)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보호안경(3)을 슬라이드 결합홈(1b)을 따라 슬라이딩되게 하는 손잡이(4)로 구성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의 보호안경은, 후방에 결합된 손잡이의 동작에 따라 슬라이드 결합홈을 따라 인출되나, 상기 슬라이드 결합홈의 단면높이보다 보호안경의 단면두께가 작아 보호안경 인출시 표면이 슬라이드 결합홈 내면과 상호 접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보호안경을 인출하는 과정에서 보호안경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어, 착용자의 초점 및 시야를 가리게 됨으로써 순간적으로 변화하는 환경을 인식하는데 불편한 폐단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252119호 - 레저 스포츠용 헬멧(등록일자 2013년 04월 02일).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은 레저스포츠용 헬멧의 보호안경을 보다 간편하면서도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 시키면서도, 보호안경의 표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레저 스포츠 헬멧용 보호안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호안경 하단부에 형성된 받침돌기를 이용해 보호안경의 인출을 원할히 수행하고 인입시 보호안경의 표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레저 스포츠 헬멧용 보호안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방에 장공의 슬라이드홀(12)이 형성되며,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통기구멍(11)이 형성된 헬멧부재(10)와;
상기 헬멧부재(10)의 내부에 결합되는 헬멧내장재(20)와;
상기 헬멧부재(10)의 전방에 위치하는 실드(31)가 일단에 구비되며, 이 실드(31)의 다른 일단에 고정판(32)이 연장 성형되어, 끼움홈(21)에 끼워져 인출 또는 인입 가능하게 슬라이딩 이동하는 보호안경(30)과;
상기 헬멧부재(10)의 외부에서 슬라이드홀(12)를 관통해 보호안경(30)과 결합되어, 상기 보호안경(30)을 끼움홈(2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레버(40)로 구성되는 레저 스포츠용 헬멧에 있어서;
상기 보호안경(30)의 실드(31) 하단에서 받침돌기(36)를 돌출 성형시켜, 끼움홈(21)에서 출몰 될 때 받침돌기(36)가 끼움홈(21)의 내면에 접촉되어 보호안경(30)의 표면을 보호하되,
이 보호안경(30)의 실드(31)는 코받침홈(34)이 형성된 중앙부(C)와, 상기 중앙부(C)의 양측으로 보호부(G)와, 이 보호부(G)의 외측으로 날개부(W)로 구분하고, 상기 중앙부(C)의 코받침홈(34) 테두리를 따라 지지돌기(35)가 하향 형성되고, 날개부(W)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 받침돌기(36)가 상향 형성된다.
삭제
또, 상기 보호안경(30)의 실드(31)는 선글라스 또는 시력교정용 안경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하면, 헬멧 착용자의 선택에 따라 보호안경을 간편하게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으로, 헬멧 내부에서 실드를 인출 또는 인입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면서 인입 시 실드 표면을 보호하게 된다.
또, 보호안경은 착용자의 기호에 맞는 다양한 형상으로 교체가 가능하고,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본 발명의 헬멧과 보호안경을 착용할 수 있어 사용조건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 헬멧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헬멧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헬멧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보호안경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보호안경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확대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보호안경 내장형 레저 스포츠용 헬멧은, 레저 스포츠용 헬멧의 몸체 내부에서 필요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해 인출 및 인입되는 보호안경을 가이드하면서 스크래치 발생을 방지하여 제품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우선 본 명세서 상에서 사용되는 대략적인 방향기준을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헬멧은, 크게 헬멧부재(10)와 헬멧내장재(20)가 결합되어 전방에 끼움홈(21)을 형성하고, 이 끼움홈(21)을 따라 보호안경(30)이 인출 또는 인입 됨으로써 구성된다.
상기 헬멧부재(10)는, 둘레면을 따라 다수개의 통기구멍(11)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헬멧을 착용하였을 때 머리부의 환기가 수월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헬멧 전방의 곡면을 따라 장공의 슬라이드홀(12)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헬멧부재(10)의 전방 하부에서 중앙부까지 헬멧내장재(20)가 결합되며, 상기 헬멧부재(10)와 헬멧내장재(20)의 결합면을 따라 끼움홈(21)을 형성시킨다.
상기 헬멧내장재(20)는 외부 충격을 흡수하여 착용자에게 충격이 전달되지 않으면서 헬멧부재(10) 보다 상대적으로 단단한 소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헬멧부재(10)에서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고, 2차적으로 헬멧내장재(20)가 충격을 흡수하여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보호안경(30)은 상기 헬멧부재(10)와 헬멧내장재(20)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끼움홈(21)에 끼워져 인출 또는 인입 가능하게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으로,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곡선을 갖는 판체로 성형되어 전방에 실드(31)가 구비되고, 이 실드(31)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고정판(32)이 형성된다.
또, 상기 고정판(32)에는 헬멧부재(10)의 외부에서 슬라이드홀(12)을 관통해 끼워지는 레버(40)와 조립되는 조립홀(33)이 더 형성된다.
즉, 상기 레버(40) 하부에 돌출 형성된 결착돌기(41)가 상기 고정판(32)의 조립홀(33)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레버(40)의 조작에 따라 보호안경(30)이 끼움홈(2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켜 전방으로 인출되거나 후방으로 인입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헬멧부재(10)의 슬라이드홀(12)은 레버(40) 하부에 형성된 결착돌기(41)만이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을 갖도록 하면서 레버(40)의 양측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좋다.
여기에서, 상기 보호안경(30)은 일정한 탄성 복원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탄성 복원력을 이용해 외부 충격에 의해 보호안경(3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자체적으로 일정부분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보호안경(30)의 실드(31)는 선글라스 또는 시력교정용 안경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되거나 또는 선글라스에 착용자의 시력에 맞는 도수가 부과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시력이 좋지 않은 경우 선글라스 자체에 사용자에 맞는 도수를 인가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안경을 착용하지 않아도 되고, 별도의 안경을 착용하여야만 할 경우의 다양한 상황에도 대등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러한 사항은 착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보호안경(30)의 실드(31) 하단에서 받침돌기(36)를 상향 돌출시켜, 끼움홈(21) 인입 시에 상기 받침돌기(36)가 끼움홈(21) 상단 내면에 접촉된 상태로 인입되게 하여 달성한다.
즉, 상기 보호안경(30)의 실드(31)는 도 5에서와 같이 코받침홈(34)이 형성된 중앙부(C)와, 상기 중앙부(C)의 양측으로 보호부(G)와, 이 보호부(G)의 외측으로 날개부(W)로 구분하고, 상기 중앙부(C)의 코받침홈(34) 테두리를 따라 지지돌기(35)가 하향 형성되고, 날개부(W)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 받침돌기(36)가 상향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코받침홈(34)에서 하향 형성된 지지돌기(35)가 끼움홈(21)의 하단 내면에 접촉되고, 날개부(W)의 받침돌기(36)가 끼움홈(21)의 상단 내면에 접촉되면서 인입되어 실드(31) 표면이 상기 끼움홈(21)에 접촉되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실시예를 첨부된 도 3을 참조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헬멧에 인입된 보호안경(30)은, 코받침홈(34)의 지지돌기(35)에 의해 실드(31) 중앙부(C)가 끼움홈(21) 하단 내면에 지지되고, 양측 날개부(W)의 받침돌기(36)가 끼움홈(21) 상단 내면과 접촉되어, 상기 끼움홈(21) 내면과 실드(31) 표면의 접촉은 방지된 상태로 인입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헬멧부재(10) 외부로 돌출된 레버(40)를 도면상의 하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레버(40)와 결합된 보호안경(30)이 끼움홈(2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나, 상기 지지돌기(35)와 받침돌기(36)에 의해 실드(31) 표면이 끼움홈(21) 내면과 접촉되지 않는 상태로 인출되어 진다.
이때, 상기 실드(31)의 양측에 형성된 받침돌기(36)는 끝단이 끼움홈(21)에서 이탈되지 않는 상태로 인출되어, 보호안경(30)의 인출에도 실드(31) 표면과 끼움홈(21)의 접촉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인출된 보호안경(30)을 다시 인입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레버(40)를 도면상의 상측으로 가압하면 양측 날개부(W)의 받침돌기(36)가 우선 끼움홈(21)에 접촉된 상태로 인입방향으로 진행하고, 중앙부(C)의 지지돌기(35)가 끼움홈(21)에 접촉되면서 인입이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양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헬멧부재 20 - 헬멧내장재
21 - 끼움홈 30 - 보호안경
31 - 실드 32 - 고정판
34 - 코받침홈 35 - 지지돌기
36 - 받침돌기 40 - 레버
C - 중앙부 G - 보호부
W - 날개부

Claims (2)

  1. 전방에 장공의 슬라이드홀(12)이 형성되며,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통기구멍(11)이 형성된 헬멧부재(10)와;
    상기 헬멧부재(10)의 내부에 결합되는 헬멧내장재(20)와;
    상기 헬멧부재(10)의 전방에 위치하는 실드(31)가 일단에 구비되며, 이 실드(31)의 다른 일단에 고정판(32)이 연장 성형되어, 끼움홈(21)에 끼워져 인출 또는 인입 가능하게 슬라이딩 이동하는 보호안경(30)과;
    상기 헬멧부재(10)의 외부에서 슬라이드홀(12)를 관통해 보호안경(30)과 결합되어, 상기 보호안경(30)을 끼움홈(2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레버(40)로 구성되는 레저 스포츠용 헬멧에 있어서;
    상기 보호안경(30)의 실드(31) 하단에서 받침돌기(36)를 돌출 성형시켜, 끼움홈(21)에서 출몰 될 때 받침돌기(36)가 끼움홈(21)의 내면에 접촉되어 보호안경(30)의 표면을 보호하되,
    이 보호안경(30)의 실드(31)는 코받침홈(34)이 형성된 중앙부(C)와, 상기 중앙부(C)의 양측으로 보호부(G)와, 이 보호부(G)의 외측으로 날개부(W)로 구분하고, 상기 중앙부(C)의 코받침홈(34) 테두리를 따라 지지돌기(35)가 하향 형성되고, 날개부(W)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 받침돌기(36)가 상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 레저 스포츠 헬멧용 보호안경.
  2. 삭제
KR1020130110534A 2013-09-13 2013-09-13 레저 스포츠 헬멧용 보호안경 KR101554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534A KR101554902B1 (ko) 2013-09-13 2013-09-13 레저 스포츠 헬멧용 보호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534A KR101554902B1 (ko) 2013-09-13 2013-09-13 레저 스포츠 헬멧용 보호안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1052A KR20150031052A (ko) 2015-03-23
KR101554902B1 true KR101554902B1 (ko) 2015-09-22

Family

ID=53024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0534A KR101554902B1 (ko) 2013-09-13 2013-09-13 레저 스포츠 헬멧용 보호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49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162Y1 (ko) 2018-09-10 2018-12-21 이관영 자전거용 안경 거치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205B1 (ko) 2008-04-04 2009-06-18 주식회사 에스탑 보안경을 갖는 안전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205B1 (ko) 2008-04-04 2009-06-18 주식회사 에스탑 보안경을 갖는 안전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1052A (ko) 2015-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2119B1 (ko) 레저 스포츠용 헬멧
EP3366153B1 (en) Protective helmet with flip-up visor/goggles
US10493325B2 (en) Swimming goggle structure
KR101618451B1 (ko) 스포츠용 고글
CN107884955B (zh) 保护眼镜
KR101650032B1 (ko) 고글
KR101554902B1 (ko) 레저 스포츠 헬멧용 보호안경
US20130312164A1 (en) Helmet For Leisure Sports
US20190265516A1 (en) Eyeglasses structure
KR101501701B1 (ko) 스포츠용 헬멧
US8793817B2 (en) Safety glasses
KR101620167B1 (ko) 스포츠용 고글
CN105824135B (zh) 护眼用具
KR101559752B1 (ko) 레저 스포츠용 헬멧
KR20150146014A (ko) 레저 스포츠용 헬멧
KR20140131163A (ko) 레저 스포츠용 헬멧
JP2014009426A (ja) 保護メガネ付きヘルメット
KR20140131164A (ko) 레저 스포츠용 헬멧
JP3178391U (ja) 保護メガネ付きヘルメット
KR101247917B1 (ko) 차양기능을 갖는 안전모의 보안경
KR20150128284A (ko) 레저 스포츠용 헬멧
KR101698409B1 (ko) 다기능 복합 안경
KR101532964B1 (ko) 스포츠용 헬멧
US8267513B2 (en) Attachment mechanism for eye glass shield
KR101555150B1 (ko) 레저 스포츠용 헬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