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0167B1 - 스포츠용 고글 - Google Patents

스포츠용 고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0167B1
KR101620167B1 KR1020140075162A KR20140075162A KR101620167B1 KR 101620167 B1 KR101620167 B1 KR 101620167B1 KR 1020140075162 A KR1020140075162 A KR 1020140075162A KR 20140075162 A KR20140075162 A KR 20140075162A KR 101620167 B1 KR101620167 B1 KR 101620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ggle
lens
frame
nose
gogg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5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5478A (ko
Inventor
김응철
김준규
Original Assignee
김응철
김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응철, 김준규 filed Critical 김응철
Priority to KR1020140075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167B1/ko
Publication of KR20150145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02C9/04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by fitting over or clamping o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02C5/06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with resilient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착용자들의 도수에 맞는 안경렌즈를 기본으로 하고 고글렌즈를 착탈할 수 있게 구성하여 이용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을 물론 고글렌즈의 착탈을 편리하게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중앙에 코받침을 가지고 시력에 맞게 도수가공한 안경렌즈를 결합한 렌즈프레임을 가지는 고글프레임과, 상기 고글프레임의 양측에 고글을 착용할 수 있도록 접철되게 결합되는 다리와, 상기 고글프레임의 중앙부에 코와 연접될 수 있도록 노즈패드를 가지고 형성되는 노즈프레임과, 상기 고글프레임의 상부 전방과 노즈프레임의 전방에 고글렌즈를 착탈할 수 있도록 착탈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착탈수단은, 고글프레임의 상부 전방으로 더 돌출시켜 고글렌즈의 상측을 잡아주는 상부착탈림과, 상기 노즈프레임의 전방에 고글렌즈의 중앙 하측부를 잡아주는 하부착탈체로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스포츠용 고글{A GOGGLE}
본 발명은 스포츠용 고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착용자들이 안경을 이탈하지 않고서도 선글라스를 착용할 수 있도록하여 안경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스포츠용 고글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글은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눈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거나 강한 빛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해 쓰는 보안용 안경으로서, 자전거나 오토바이를 탈 때 또는 등산, 낚시 또는 스키를 탈 때와 같이 레저스포츠를 즐기고자 하는 경우에 많이 착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고글은 특히 햇빛으로부터 전도되는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도록 착색된 렌즈를 사용하고, 이러한 착색렌즈는 디자인적인 미려함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안경렌즈와는 다르게 특이한 형상과 모양을 가지는 형태를 띠고 있다.
이러한 이유에 의하여 시력이 좋지 않아 안경을 착용하는 사람들에게는 고글을 착용하는 것에 어려움이 따랐으나, 근자에 들어서는 이를 해결하여 안경착용자들도 고글을 착용하여 햇빛이나 이물질 등으로부터 눈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고글을 도 6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고글(1)은, 양측에 다리(2)를 가지고 고글렌즈(3)를 장착한 고글프레임(4)을 가지고 구성되며, 상기 고글(2)의 코받침(5) 위치에는 시력에 맞게 가공된 도수렌즈(6)를 가지는 클립(7)이 자력 또는 기타 착탈수단에 의하여 고글(1)과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구비하여 구성한다.
실용신안출원 제 20 - 1997 - 0023322 호 실용신안등록 제 20 - 0350085 - 0000 호 실용신안등록 제 20 - 0460798 - 0000 호 실용신안등록 제 20 - 0464760 - 0000 호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글은 시력이 좋지 않은 이용자가 착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고글의 내부에 도수렌즈를 가지는 클립을 부착한 후 고글을 착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착용하는 과정도 번거로울 뿐 아니라, 휴대 또는 보관할 때에도 고글과 클립을 분리한 후 별도의 케이스에 수납시킨 후 항상 함께 보관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안경 이용자가 고글을 사용하기 위하여 평상시 착용하는 안경과, 야외 또는 운동과정에서 착용하기 위헌 고글과 고글용 렌즈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사용할때마다 이를 교환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용이 쉽지 않게 되는 단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야외로 이동하여 활동하거나 스포츠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고글(선글라스 또는 선세이드)을 일시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일반적인 안경으로만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도 고글을 완전하게 이탈시킨 후 일상적인 안경으로 교환하여 착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는, 고글의 내부에 도수를 가지는 안경클립을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고글이 필요없어 고글을 안면부로부터 이탈시킬 경우에는 고글의 내부에 장착된 안경클립도 함께 이탈되어지고, 고글로부터 안결클립을 분리한 상태에서는 안경클립에 다리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안경클립만을 독립적으로 착용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고글의 내부에 탈,부착되는 안경클립이 고글과 견고한 상태의 결합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힘들고, 고글을 착용한 상태에서 격한 운동을 수행하거나, 오토바이, 스키 등과 같은 레포츠를 즐기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에 의하여 고글 내부에 장착되는 안경클립이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 또한 이용자의 시력에 맞게 도수를 가기도록 가공한 렌즈를 가지는 안경클립이 크기는 작으면서도 착색렌즈를 가지는 고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무게가 무겁고 고글과 결합시키는 장착수단이 한 두 곳의 포인트로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쉽게 탈락되는 우려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고글에 안경클립을 장착하여 활동하는 과정에서 고글로부터 안경클립이 탈락할 경우에는 신체적인 손상을 야기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순간적으로 시계확보가 어려워 주변 사람 또는 주변의 물품 등과 충,추돌을 일으켜 신체적인 손상을 야기하는 안전사고의 우려가 높게 되는 등 여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중앙에 코받침을 가지고 시력에 맞게 도수가공한 안경렌즈를 결합한 렌즈프레임을 가지는 고글프레임과, 상기 고글프레임의 양측에 고글을 착용할 수 있도록 접철되게 결합되는 다리와, 상기 고글프레임의 중앙부에 코와 연접될 수 있도록 노즈패드를 가지고 형성되는 노즈프레임과, 상기 고글프레임의 상부 전방과 노즈프레임의 전방에 고글렌즈를 착탈할 수 있도록 착탈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착탈수단은, 고글프레임의 상부 전방으로 더 돌출시켜 고글렌즈의 상측을 잡아주는 상부착탈림과, 상기 노즈프레임의 전방에 고글렌즈의 중앙 하측부를 잡아주는 하부착탈체로 구성하여;
안경착용자들의 도수에 맞는 안경렌즈를 기본으로 하고 고글렌즈를 착탈할 수 있게 구성하여 이용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을 물론 고글렌즈의 착탈을 편리하게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고글프레임에 안경렌즈를 기본적으로 구비하고 고글프레임에 대하여 고글렌즈를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이용자들이 고글렌즈만을 착탈하여 일상적인 생활과 스포츠활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서 이용편의성을 증대시키는 것은 물론, 찰탈의 용이성을 제공하여 스포츠용 고글의 품질을 높여 대외적인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스포츠용 고글을 도시한 전체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스포츠용 고글의 선세이드 렌즈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스포츠용 고글의 선세이드렌즈 장착부를 발췌한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선세이드렌즈 장착부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 구성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선세이드렌즈 장착부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 구성도.
도 6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스포츠용 고글을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스포츠용 고글을 도시한 전체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스포츠용 고글의 선세이드 렌즈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스포츠용 고글의 선세이드렌즈 장착부를 발췌한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선세이드렌즈 장착부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 구성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선세이드렌즈 장착부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스포츠용 고글(100)은, 중앙에 코받침을 가지고 이용자의 시력에 맞게 도수가공한 안경렌즈(102)를 결합한 렌즈프레임(103)을 일체로 가지는 고글프레임(104)을 구비하고, 상기 고글프레임(104)의 양측에는 이용자가 고글을 착용할 수 있도록 접철되는 다리(105)를 결합한다.
상기 고글프레임(104)의 중앙부에는 착용자의 코와 연접될 수 있도록 일체형 또는 착탈형의 노즈패드(106)를 가지는 노즈프레임(107)을 형성하고, 상기 고글프레임(104)의 상부 전방(착용자의 안면과 반대 방향)과 노즈프레임(107)의 전방에는 햇빛 등을 차단하면서 시계확보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고글렌즈(108)를 착탈할 수 있도록 착탈수단(110)을 구비하여 구성한다.
상기 착탈수단(110)은, 고글프레임(104)의 상부 전방으로 더 돌출시켜 고글렌즈(108)의 상측을 잡아주는 상부착탈림(111)과, 상기 노즈프레임(107)의 전방에는 고글렌즈(108)의 중앙 하측부를 잡아주는 하부착탈체(112)로 구성한다.
상기 상부착탈림(111)은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고글프레임(104)의 중앙부에서 고글렌즈(108)의 양측 2/3정도까지 잡아주도록 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고글렌즈(108)를 잡아주는 길이는 자유롭게 가변할 수 있으므로 특정하지 않는다.
상기 상부착탈림(111)의 전면에는 고글렌즈(108)의 상단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고글렌즈홈(113)을 형성하는 데, 상기 고글렌즈(108)의 상단부에도 고글렌즈홈(113)과 끼워진 상태에서 좌,우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유동방지턱(T)을 일체로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착탈체(112)는, 노즈프레임(107)의 전방에 종방향으로 개략 ㅅ형상의 승강홈(114)을 형성하고, 상기 승강홈(114)에는 승강홈(114)과 동일한 ㅅ형상의 승강자(115)를 결합한다.
상기 승강자(115)의 하측부 전방에는 고글렌즈(108)의 중앙부 하측을 끼울 수 있도록 고글렌즈홈(116)을 가지는 하부착탈림(117)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하부착탈림(117)의 형상은 고글렌즈(108)에 대응할 수 있도록 ∩형상을 가지도록 함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 승강자(115)의 중앙위치 상단부와 승강홈(114)은 종 방향으로 가이드핀(118)으로 연결하여 승강자(115)가 안정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핀(118)의 형상은 본 발명의 도면에 예시한 단면이 원형상인 바타입 또는 다각형 타입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승강자(115)의 상단부와 승강홈(114)의 상측위치에는 스프링(120)으로 연결하여 승강자(115)를 항상 상측으로 당기도록 함으로서 결합된 고글렌즈(108)를 견고하게 잡아주어 착용자의 움직임에도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스포츠용 고글(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고글(100)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착탈수단(110)을 이용하여 고글렌즈(108)를 결합시킨 후 다리(105)를 펼친 후 일반적으로 안경을 착용하듯이 착용함으로서 완료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야외에서 활동하거나 스포츠활동을 수행하면 된다.
이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또는 이용자의 의도에 맞게 고글렌즈(108)를 사용하지 않고자 할 경우에는 스포츠용 고글(100)로부터 고글렌즈(108)를 분리한 후 다시 스포츠용 고글(100)를 착용함으로서 고글프레임(104)에 일체로 장착되어진 안경렌즈(102)가 노출되므로 일상적인 생활에 지장이 없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고글프레임(104)에 장착된 고글렌즈(108)를 이탈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착탈수단(110)를 구성하는 하부착탈체(112)의 승강자(115)를 잡고 아래방향으로 당기면 승강홈(114)의 상측에서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승강자(115)에 형성된 하부착탈림(117)의 고글렌즈홈(116)과 고글렌즈(108)의 중앙부 하측이 분리되므로 쉽게 고글렌즈(108)를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즉, 하부착탈체(112)가 하강하게 되므로 고글프레임(104)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상부착탈림(111)과 함께 고글렌즈(108)를 단속하고 있던 힘이 사라지게 되므로 쉽게 고글렌즈(108)를 이탈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고글프레임(104)으로부터 분리된 고글렌즈(108)를 고글프레임(104)에 장착하고자 할 경우에는, 하부착탈체(112)를 구성하는 승강자(115)를 잡고 아래 방향으로 당긴다.
그런다음 상부착탈림(111)에 형성되는 고글렌즈홈(113)에 고글렌즈(108)의 상부면에 결합되도록 하고, 승강자(115)를 놓으면 승강자(115)의 하부착탈림(117)에 형성되는 고글렌즈홈(116)에 고글렌즈(108)의 중앙부 하측이 결합되므로 장착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아래 방향으로 하강된 승강자(115)는 승강자(115)의 상단부와 승강홈(114)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120)에 의하여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려는 힘에 의하여 상승하여 결국에는 고글렌즈(108)를 이탈되지 않도록 단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자(115)가 하강 또는 상승하는 과정에서는 승강자(115)와 승강홈(114) 사이를 가이드핀(118)으로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승강자(115)가 하강 또는 상승하는 과정에서 유동하거나 이탈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안정된 작동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안경착용자들의 도수에 맞는 안경렌즈를 기본으로 하고 고글렌즈를 착탈할 수 있게 구성하여 이용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을 물론 고글렌즈의 착탈을 편리하게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100; 스포츠용 고글
101; 안경렌즈
104; 고글프레임
108; 고글렌즈
110; 착탈수단
111; 상부착탈림
112,116; 고글렌즈홈
112; 하부착탈체
114; 승강홈
115; 승강자
117; 하부착탈림
118; 가이드핀
120; 스프링

Claims (4)

  1. 중앙에 코받침을 가지고 시력에 맞게 도수가공한 안경렌즈(102)를 결합한 렌즈프레임(103)을 가지는 고글프레임(104)과;
    상기 고글프레임(104)의 양측에 고글을 착용할 수 있도록 접철되게 결합되는 다리(105)와;
    상기 고글프레임(104)의 중앙부에 코와 연접될 수 있도록 노즈패드(106)를 가지고 형성되는 노즈프레임(107)과;
    상기 고글프레임(104)의 상부 전방과 노즈프레임(107)의 전방에 고글렌즈(108)를 착탈할 수 있도록 상기 고글렌즈(108)의 상단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전면에 고글렌즈홈(113)을 형성하고, 고글프레임(104)의 상부 전방으로 더 돌출시켜 고글렌즈(108)의 상측을 잡아주는 상부착탈림(111)과;
    상기 노즈프레임(107)의 전방에 종방향으로 형성하는 승강홈(114)과, 상기 승강홈(114)에 결합되는 승강자(115)와, 상기 승강자(115)의 하측부 전방에 고글렌즈(108)의 중앙부 하측을 끼울 수 있도록 고글렌즈홈(116)을 가지고 형성되는 하부착탈림(117)을 포함하여 상기 노즈프레임(107)의 전방에 고글렌즈(108)의 중앙 하측부를 잡아주는 하부착탈체(112)로 구성되는 착탈수단(110)을 구비하고;
    상기 승강홈(114)과 승강자(115)는 스프링(120)으로 연결하여 승강자(115)를 항상 상측으로 당겨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용 고글.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40075162A 2014-06-19 2014-06-19 스포츠용 고글 KR101620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162A KR101620167B1 (ko) 2014-06-19 2014-06-19 스포츠용 고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162A KR101620167B1 (ko) 2014-06-19 2014-06-19 스포츠용 고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478A KR20150145478A (ko) 2015-12-30
KR101620167B1 true KR101620167B1 (ko) 2016-05-23

Family

ID=55087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162A KR101620167B1 (ko) 2014-06-19 2014-06-19 스포츠용 고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01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447U (ko) 2019-12-19 2021-06-29 권민석 고글 렌즈 결합구조
KR102480469B1 (ko) 2022-04-18 2022-12-21 장원녕 고글에 장착되는 클립 연결형 안경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20930A (zh) * 2016-11-03 2018-05-11 振宇光学有限公司 眼镜架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449B1 (ko) * 2013-07-23 2014-02-28 이영해 렌즈 교체 장착이 가능한 고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3322U (ko) 1995-11-06 1997-06-18 승용차의 스패어 타이어 고정구조
KR200350085Y1 (ko) 2004-01-12 2004-05-13 주식회사 유레카 렌즈 교환식 고글
KR200460798Y1 (ko) 2010-09-08 2012-06-08 남희정 렌즈교환이 가능한 고글
KR200464760Y1 (ko) 2011-02-07 2013-01-16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스포츠 고글의 렌즈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449B1 (ko) * 2013-07-23 2014-02-28 이영해 렌즈 교체 장착이 가능한 고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447U (ko) 2019-12-19 2021-06-29 권민석 고글 렌즈 결합구조
KR102480469B1 (ko) 2022-04-18 2022-12-21 장원녕 고글에 장착되는 클립 연결형 안경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478A (ko) 201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11319B1 (en) Helmet with magnetic fixing means for eyewear
US20110083256A1 (en) Structure for Securing a Secondary Goggle Frame
EA027482B1 (ru) Спортивные очки
KR101618451B1 (ko) 스포츠용 고글
KR101620167B1 (ko) 스포츠용 고글
US9851587B2 (en) Eyeglass accessory
US20190265516A1 (en) Eyeglasses structure
KR101420774B1 (ko) 분리형 다기능 안경
US8793817B2 (en) Safety glasses
US20150378179A1 (en) Glasses having detachable auxiliary lenses
JP4827012B2 (ja) 眼鏡着脱式サングラス
KR200460798Y1 (ko) 렌즈교환이 가능한 고글
KR101620203B1 (ko) 스포츠용 고글
KR20100119631A (ko) 브릿지의 착탈구조를 갖는 안경
US8267513B2 (en) Attachment mechanism for eye glass shield
KR20120018438A (ko) 착용이 간편한 보조안경
KR20110004077U (ko) 렌즈교체가 용이한 조립식 안경
KR200483592Y1 (ko) 안경위에 착용할 수 있는 선글라스
KR200468061Y1 (ko) 렌즈키트의 탈/부착이 가능한 수경
KR20100088303A (ko) 렌즈교체가 용이한 고글
KR101554902B1 (ko) 레저 스포츠 헬멧용 보호안경
KR102369218B1 (ko) 수중 고글용 안경 구조체
CN211348881U (zh) 一种环抱式镜片可更换运动眼镜
KR20120054942A (ko) 착용수단 교체형 고글
KR20120005840U (ko) 도수안경테결합용 보조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