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447U - 고글 렌즈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고글 렌즈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447U
KR20210001447U KR2020190005142U KR20190005142U KR20210001447U KR 20210001447 U KR20210001447 U KR 20210001447U KR 2020190005142 U KR2020190005142 U KR 2020190005142U KR 20190005142 U KR20190005142 U KR 20190005142U KR 20210001447 U KR20210001447 U KR 2021000144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ens
hinge
lens unit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51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민석
Original Assignee
권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민석 filed Critical 권민석
Priority to KR20201900051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1447U/ko
Publication of KR202100014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44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9/025Special attachment of screens, e.g. hinged, removable; Roll-up protectiv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2009/021Goggles with prescription spectacl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2Magnetic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글 렌즈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포츠용 고글에 있어서 원터치 클릭온 조작에 의해 고글의 렌즈 개폐 및 착탈이 용이하면서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도 결합력을 견고하게 유지하여 사용의 편의성 및 착용 안정성을 도모하도록 하는 고글 렌즈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글 렌즈 결합구조 {Connecting structure of frame and lens for sports goggle lens}
본 고안은 고글 렌즈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포츠용 고글에 있어서 원터치 클릭온 조작에 의해 고글의 렌즈 개폐 및 착탈이 용이하면서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도 결합력을 견고하게 유지하여 사용의 편의성 및 착용 안정성을 도모하도록 하는 고글 렌즈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키나 싸이클 자전거와 같은 활동적인 야외 운동 시에는 추위와 바람의 저항을 막고 강한 햇빛을 차단함과 동시에 눈부심으로부터 눈을 보호하며, 여기에 더하여 멋을 내기 위한 패션 아이템 용도로써 고글을 착용한다.
특히, 하얀 눈은 자외선 반사율이 매우 높아 각막 손상의 우려가 있으므로 스키나 스노우보드를 탈 때에는 자외선에 의한 눈의 손상을 방지하고 선명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고글 착용이 필수적이라 할 것이다.
그런데 운동을 하던 중에 잠시 쉬거나 또는 실내에 들어가는 일이 발생하며, 이때 고글을 그대로 착용한 상태로 자외선 투과율이 낮은 실내에 들어가면 시야가 흐려질 뿐 아니라 실내외 온도 차에 의해 렌즈에 김서림이 발생하면서 앞이 잘 보이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눈의 피로감을 줄이고 시야를 선명하게 하기 위하여 대부분 고글을 벗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고글을 손에 들고 있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데다가 분실의 우려도 있는바, 이를 위하여 기존의 렌즈 일체형 구조를 변경하여 렌즈가 프레임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형태의 고글이 제작되고 있는 중이다.
예컨대, 고글 렌즈와 프레임 부위에 각각 미니 자석을 구비하여 양측을 자력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방식으로 필요에 따라 렌즈를 프레임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이에 따라 시력이 나쁜 사용자가 시력이 달라질 때마다 고글 자체를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까지 줄일 수 있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고글은 렌즈의 분리가 용이하기는 하나, 렌즈만 따로 분리하여 보관하기가 불편한 데다가 렌즈 표면이 손상될 우려가 있으므로 렌즈를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주머니를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 결합 방식은 측면 방향에서는 자석의 장력이 낮은 편이어서 고글을 착용한 상태에서 뜻하지 않게 외부 충격이 있을 때 외력이 정면에서 가해지면 렌즈가 분리되지 않는 반면, 측면으로부터 외력이 가해지면 렌즈가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심지어 파손될 우려가 있는 등 프레임과 렌즈의 결합 고정력이 약하고 착용 안정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 특허등록 제1632827호 "탈착식 고글렌즈 및 그 제조방법" (2016.06.16) 한국 특허등록 제1620167호 "스포츠용 고글" (2016.05.03) 한국 특허등록 제1598932호 "고글의 렌즈 탈부착장치" (2016.02.24)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렌즈의 개폐 및 착탈 조작이 간편하고,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렌즈가 쉽게 분리되지 않으므로 안정적인 착용감과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하도록 하는 고글 렌즈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글 렌즈 결합구조는, 렌즈 착탈식 고글에 있어서, 프레임; 프레임에 장착되는 렌즈부; 및 프레임에 렌즈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자력을 제공하는 자석부와, 렌즈부가 프레임의 전방을 부분 또는 전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전 동작을 제공하는 힌지부로 이루어진 결합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수단은, 프레임의 전면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배치되는 제1자석부재와, 상기 제1자석부재에 대향하여 렌즈부의 후면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배치되는 제2자석부재를 포함하는 자석부; 및 프레임의 전면 상단 중앙에 장착되고 힌지돌부가 구비되는 제1힌지부재와, 상기 제1힌지부재에 대향하여 렌즈부의 후면 상단 중앙에 장착되고 힌지돌부가 삽입 결합되도록 힌지홈부가 구비되는 제2힌지부재를 포함하는 힌지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제2힌지부재가 ㄷ자의 측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프레임과 렌즈부가 평행 상태일 때에는 힌지홈부 외측 개방부가 프레임에 의해 폐쇄되고, 렌즈부가 소정 각도 경사진 상태에서는 개방부가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면서 개방되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결합구조는 렌즈부의 회전을 제어하여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개방각도조절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방각도조절수단은 힌지돌부의 표면에 형성된 걸림돌기 및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하여 힌지홈부에 형성된 걸림홈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고글 렌즈 결합구조에 따르면, 렌즈 착탈식 고글에 있어서, 렌즈부와 프레임을 자석부에 의해 원터치 클릭 조작으로 착탈하고(1차 결합/분리) 힌지부에 의해 절첩 개방 및 분리(2차 결합/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렌즈부와 프레임의 결합력을 향상하고 렌즈의 개방/폐쇄 및 프레임에 대한 결합/분리가 용이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며, 실내외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즉시 선명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도수 변화에 따라 렌즈부만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기능 외에도 사용상의 부주의나 예기치 못한 외부 충격에 의해 렌즈부가 분리되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여 안전하게 착용할 수 있고 제품의 수명을 더욱 연장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글 렌즈 결합구조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3은 도1의 작동 상태도
도4는 도1의 저면 분해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글 렌즈 결합구조에 있어서 렌즈가 프레임으로부터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2는 렌즈가 프레임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탈리)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각도조절수단에 의해 렌즈부를 여러 각도로 조절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고, 도4는 본 고안의 힌지부의 구성을 도시한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면의 설명에서 "전면"이라 함은 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을 가리키고 "후면"이라 함은 그 반대방향을 가리킨다.
도면에 따르면, 본 고안의 고글 렌즈 결합구조는, 프레임(10); 프레임에 장착되는 렌즈부(20); 렌즈부를 프레임에 착탈 및 개폐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레임(10)은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 결합되는 것으로서, 완만한 곡면형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개방된 내측 둘레면을 따라 수용홈부(11)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렌즈부를 수용 지지하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10)은 양측 단부에 사용자의 귀에 걸어서 착용할 수 있도록 다리부(temple)가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머리 부위에 끼워서 착용할 수 있도록 탄력을 가진 밴드부가 고정 결합된다.
상기 다리부 또는 밴드부는 공지의 것으로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이 아니므로 도면에서 생략하였다.
렌즈부(20)는 사용자의 눈을 보호하도록 프레임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10)에 안착 수용되도록 렌즈부의 외측 둘레는 수용홈부(11)의 내측 둘레와 일치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렌즈부(20)는 좌우가 일체로 연결되는 형태이거나 각각 별도로 구성된 형태일 수 있으며, 본 고안에서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이 보다 적합하다.
이러한 렌즈부(20)는 내충격성 및 기계적 물성이 뛰어나고 자외선 차단율이 높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이러한 플라스틱 재질로 된 렌즈부에 자외선 차단 기능이 구비된 필름이 추가로 코팅 처리될 수도 있다.
상기 플라스틱 재질로는 폴리카보네이트가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결합수단(30)은 프레임에 렌즈부를 착탈 및 프레임으로부터 렌즈부를 개폐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으로서, 자석부(31)와 힌지부(32)를 포함한다.
자석부(31)는 프레임에 렌즈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자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프레임(10)의 전면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배치되는 다수의 제1자석부재(311)와, 상기 제1자석부재에 대향하여 렌즈부(20)의 후면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배치되며 제1자석부재와 서로 극이 다른 다수의 제2자석부재(312)를 포함한다.
이러한 자석부(31)에 의하여 프레임(10)과 렌즈부(20)는 서로 완전히 분리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힌지부(32)는 렌즈부가 프레임의 전방을 부분 또는 전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전 동작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프레임(10)의 전면 상단 중앙에 장착되는 제1힌지부재(321)와, 렌즈부가 소정 각도 범위로 회전되도록 상기 제1힌지부재에 대향하여 렌즈부(20)의 후면 상단 중앙에 장착되고 제1힌지부재에 힌지 결합되는 제2힌지부재(322)를 포함한다.
제1힌지부재(321)는 프레임(10)의 전면 상단에 부착 고정되는 고정편(3211)과, 고정편의 상단부에서 전방으로 절곡되어 렌즈부 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힌지돌부(3212)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돌부(3212)는 대략 원형의 측단면 형상을 가지며, 좌우 양측 단부에는 힌지커버(3213)가 결합되어 후술하는 힌지홈부의 양측면부를 감싸도록 이루어진다.
제2힌지부재(322)는 대략 ㄷ자의 측단면 형상을 가지며 렌즈부의 후면 상단에 부착 고정되는 걸림편(3221)과, 상기 힌지돌부가 삽입 결합되도록 힌지돌부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힌지홈부(3222)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홈부(3222)는 내벽면이 상기 힌지돌부와 마찬가지로 대략 원형의 측단면 형상을 가지되, 힌지홈부의 외측(입구)에는 힌지돌부가 삽입 또는 이탈되도록 개방부(3222a)를 가진다.
이때, 프레임(10)과 렌즈부(12)가 완전히 결합되어 서로 평행 상태에 있을 경우에는 상기 개방부(3222a)가 프레임 측을 향해 위치함에 따라 렌즈부가 이탈하지 않고 프레임과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개방부 폐쇄).
반면에, 렌즈부의 회전에 의해 프레임(10)과 렌즈부(20)가 일정 각도 경사진 상태에 있을 경우에는 상기 개방부(3222a)가 프레임 측으로부터 멀어지며, 렌즈부의 회전 각도가 소정 각도 예컨대, 45°를 이루어 개방부가 완전히 개방되면 렌즈부는 프레임으로부터 이탈 가능하게 된다(개방부 개방).
이와 같이 결합수단(30)은 힌지부(32)에 의해 렌즈부(20)가 프레임(10) 전방을 개방 또는 차단함과 아울러 렌즈부(20)를 정해진 각도로 회전 시에만 프레임(1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고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바, 이로 인해 고글 측면으로부터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힌지부(32)에 의해 렌즈부가 프레임 상단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결합구조는 렌즈부(20)의 회전을 제어하여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개방각도조절수단(4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개방각도조절수단(40)은 힌지돌부의 표면에 형성된 걸림돌기(41) 및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하여 힌지홈부에 형성된 걸림홈(42)을 포함한다.
즉, 제1힌지부재의 힌지돌부(3212)가 제2힌지부재의 힌지홈부(222)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 시 걸림돌기(41)가 걸림홈(42)에 끼워지도록 이루어져 렌즈부(20)의 회전이 구속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렌즈부에 살짝 힘을 가하여 걸림홈(42)에 의해 걸림 상태에 있는 걸림돌기(41)의 구속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41) 및 걸림홈(42)은 복수 이상 형성되어 렌즈부의 회전에 따라 걸림돌기와 걸림홈의 걸림 상태가 유지되거나 걸림 해제되면서 소정 각도 예컨대, 60°, 90°등과 같이 회전(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렌즈부(20)를 프레임(10) 전방으로부터 부분 또는 완전히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렌즈부를 간편하게 분리 및 결합하는 기능만 구비된 종래의 고글 구조를 개선하여 고글을 착용한 상태에서 렌즈부만 부분 또는 완전히 개방한 상태로 물건을 찾는 등의 기타 용무를 편안하게 볼 수 있게 된다.
10 : 프레임 11 : 수용홈부
20 : 렌즈부 30 : 결합수단
31 : 자석부 311 : 제1자석부재
312 : 제2자석부재 32 : 힌지부
321 : 제1힌지부재 3211 : 고정편
3212 : 힌지돌부 3213 : 힌지버커
322 : 제2힌지부재 3221 : 걸림편
3222 : 힌지홈부 3222a : 개방부
40 : 개방각도조절수단 41 : 걸림돌기
42 : 걸림홈

Claims (5)

  1. 렌즈 착탈식 고글에 있어서,
    프레임;
    프레임에 장착되는 렌즈부; 및
    프레임에 렌즈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자력을 제공하는 자석부와, 렌즈부가 프레임의 전방을 부분 또는 전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전 동작을 제공하는 힌지부로 이루어진 결합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글 렌즈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프레임의 전면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배치되는 제1자석부재와, 상기 제1자석부재에 대향하여 렌즈부의 후면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배치되는 제2자석부재를 포함하는 자석부; 및
    프레임의 전면 상단 중앙에 장착되고 힌지돌부가 구비되는 제1힌지부재와, 상기 제1힌지부재에 대향하여 렌즈부의 후면 상단 중앙에 장착되고 힌지돌부가 삽입 결합되도록 힌지홈부가 구비되는 제2힌지부재를 포함하는 힌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글 렌즈 결합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제2힌지부재가 ㄷ자의 측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프레임과 렌즈부가 평행 상태일 때에는 힌지홈부 외측 개방부가 프레임에 의해 폐쇄되고, 렌즈부가 소정 각도 경사진 상태에서는 개방부가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면서 개방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글 렌즈 결합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의 회전을 제어하여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개방각도조절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글 렌즈 결합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각도조절수단은 힌지돌부의 표면에 형성된 걸림돌기 및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하여 힌지홈부에 형성된 걸림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글 렌즈 결합구조.
KR2020190005142U 2019-12-19 2019-12-19 고글 렌즈 결합구조 KR2021000144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5142U KR20210001447U (ko) 2019-12-19 2019-12-19 고글 렌즈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5142U KR20210001447U (ko) 2019-12-19 2019-12-19 고글 렌즈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447U true KR20210001447U (ko) 2021-06-29

Family

ID=76603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5142U KR20210001447U (ko) 2019-12-19 2019-12-19 고글 렌즈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1447U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932B1 (ko) 2014-07-03 2016-03-02 주식회사 반도옵티칼 고글의 렌즈 탈부착장치
KR101620167B1 (ko) 2014-06-19 2016-05-23 김응철 스포츠용 고글
KR101632827B1 (ko) 2015-02-03 2016-06-22 이대우 탈착식 고글렌즈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167B1 (ko) 2014-06-19 2016-05-23 김응철 스포츠용 고글
KR101598932B1 (ko) 2014-07-03 2016-03-02 주식회사 반도옵티칼 고글의 렌즈 탈부착장치
KR101632827B1 (ko) 2015-02-03 2016-06-22 이대우 탈착식 고글렌즈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71482B2 (en) Facial shield, particularly for protection from the sun
US6938277B2 (en) Removable eyewear member
JP4092419B2 (ja) 非球面プラノ型アイウェア
US6647554B1 (en) Cap having versatile sunglass retainer and sunglass retaining method
US6343860B1 (en) Toric-shaped lenses and goggle assembly
US20140173811A1 (en) Unit composed of helmet and protective eye mask
WO1994002089A9 (en) Facial shield, particularly for protection from the sun
US5956760A (en) Facial sunshield with hinged visor/cap
US20100283960A1 (en) Pendant eyewear
CA2301014A1 (en) Ventilated browbar frame and eyewear
US7004580B2 (en) Adjustable and reconfigurable eyeglasses
EP2252245A1 (en) Goggles with interchangeable lens, particularly for sports
WO1999064918A1 (en) Eyewear with replaceable lens system
US20050132461A1 (en) Hat with shade panel
KR20210001447U (ko) 고글 렌즈 결합구조
US6848784B1 (en) Eyeglass device having primary and auxiliary spectacle frames
US6984036B1 (en) Safety shield for eyewear assembly
WO2007057470A1 (en) Flexible eyeglasses and process for making same
KR200374024Y1 (ko) 다기능 안전모
KR20110004077U (ko) 렌즈교체가 용이한 조립식 안경
KR200266487Y1 (ko) 모자 부착용 안경
JP3122065B2 (ja) 多機能サングラス
KR102430228B1 (ko) 보조렌즈 착탈형 안경
KR20170069371A (ko) 시력 보정용 고글
JP2005128463A (ja) インナーゴーグル付き眼鏡及びサングラ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