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20420A - 중간 전사 유닛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중간 전사 유닛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20420A
KR20070120420A KR1020070029896A KR20070029896A KR20070120420A KR 20070120420 A KR20070120420 A KR 20070120420A KR 1020070029896 A KR1020070029896 A KR 1020070029896A KR 20070029896 A KR20070029896 A KR 20070029896A KR 20070120420 A KR20070120420 A KR 20070120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termediate transfer
transfer belt
image forming
ro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9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7223B1 (ko
Inventor
도모아키 요시오카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20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0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7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7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31Details of unit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9Structural features of the multicolour image forming apparatus
    • G03G2215/0193Structural features of the multicolour image forming apparatus transfer member separable from recording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16Transferring device, details
    • G03G2215/1604Main transfer electrode
    • G03G2215/1614Transfer rol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 Fax Reproducing Arrangement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구동하는 감광체 등의 상(像) 유지체와 회전하는 중간 전사 벨트가 속도차를 갖고 가동할 때라도, 그 상 유지체의 중간 전사 벨트와 접하는 면에 미립자 등의 존재에 기인한 손상이 생기기 어려우며, 그 손상에 기인한 화상 불량도 발생하기 어려운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복수의 상 유지체(11) 중 적어도 일부의 상 유지체(11Y, 11M, 11C)의 회전 속도를 그 나머지 상 유지체(11K)의 회전 속도와 중간 전사 벨트(21)의 회전 속도 양쪽과 다른 속도로 전환한 조건에서 가동시킬 때에, 그 일부의 상 유지체(11Y, 11M, 11C)와 대치되는 전사 롤(16Y, 16M, 16C)을, 상기 상 유지체로부터 이간시킨 상태로 유지하는 동시에 그 이간된 상태의 전사 롤과 상기 상 유지체의 양쪽에 중간 전사 벨트를 접촉시킨 상태로 유지하는 위치(P1)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6)를 갖는다.
감광 드럼, 중간 전사 벨트, 전사 위치

Description

중간 전사 유닛 및 화상 형성 장치{INTERMEDIATE TRANSFER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를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
도 2는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요부(1차 전사부, 이동 기구 등)를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
도 3은 제어 장치의 요부(주로 구동계에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각 모드에서의 프로세스 스피드의 설정 조건을 나타내는 도표.
도 5는 흑백 모드시에 대상이 되는 1차 전사 롤을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 및 그 이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
도 6은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한 화상 형성 동작(프린트)시의 주요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7은 흑백 모드시의 대상이 되는 1차 전사 롤의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개략 설명도.
도 8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의 감광 드럼 표면의 손상 깊이의 발생 상황에 관한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9는 화상 불량 발생시의 연속 프린트 매수와 감광 드럼 표면의 손상 깊이의 관계에 관한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0은 이동 기구의 다른 구성예(이동 방식과 그 이동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개략 설명도.
도 11은 이동 기구의 또 다른 구성예(이동 방식과 그 이동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개략 설명도.
도 12는 도 11의 이동 기구를 채용한 경우에서 흑백 모드시의 대상이 되는 1차 전사 롤의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개략 설명도.
도 13은 종래의 중간 전사 방식을 채용한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개요도.
도 14는 종래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서의 1차 전사 롤의 이동된 상태(구성)를 나타내는 요부 개요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린터(화상 형성 장치)
11 : 감광 드럼(상 유지체)
11Y, 11M, 11C : 컬러용 감광 드럼(일부의 상 유지체)
16 : 1차 전사 롤(전사 롤)
16Y, 16M, 16C : 컬러용 1차 전사 롤(일부의 상 유지체와 대치되는 전사 롤)
21 : 중간 전사 벨트
22, 23, 24 : 복수 롤
PO : 전사 위치(이동시키기 전의 통상의 위치)
P1 : 제 1 위치(이동시킨 후의 위치)
P2 : 제 2 위치(이동시킨 후의 위치)
A : 감광 드럼의 회전 방향
B : 중간 전사 벨트의 회전 방향
본 발명은 중간 전사 유닛, 및 중간 전사 방식을 채용하는 프린터, 복사기 그 밖의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사진 방식이나 정전(靜電) 기록 방식을 적용한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로서,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중간 전사 방식을 채용한 것이 알려져 있다.
즉, 이런 종류의 화상 형성 장치는 도 13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옐로(Y), 마젠타(M), 시안(C), 블랙(K) 4색의 토너 상을 감광 드럼 등의 상 유지체(101)에 전용으로 형성하는 4개의 상 형성 유닛(100Y, 100M, 100C, 1OOK)을 직렬 형상으로 배치하고, 이 각 상 형성 유닛(100(Y, M, C,K))으로 각각 형성되는 옐로, 마젠타, 시안 및 블랙 각 색의 토너 상을, 그 각 상 형성 유닛의 상 유지체(101)에 각각 접촉할 수 있는 상태로 배치되어 회전하는 무단(無端) 형상의 중간 전사 벨트(201)에 일시적으로 (1차)전사시키고, 그 중간 전사 벨트(201)의 회전에 의해 기록 시트(300)와 합류하는 2차 전사 위치까지 반송한 후, 그 기록 시트(300)에 일괄하여 (2차)전사시키는 동시에 정착(定着)시키는 것이다. 도면 중의 부호 150은 중간 전 사 벨트(201)를 각 상 유지체(101)에 각각 가압하여 회전하는 동시에 그 각 상 유지체(101) 위의 상을 그 중간 전사 벨트(201)에 각각 전사시키는 (1차)전사 롤, 202∼204는 중간 전사 벨트(201)를 회전 구동시키도록 걸쳐 놓는 복수의 지지 롤이다.
그리고, 이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하면, 상기 4색의 토너 상을 조합시켜 구성되는 풀 컬러(다색) 화상이나, 상기 4색 중 1색 또는 2색의 토너 상으로 구성되는 흑백 화상 등의 단색 화상이 형성된다.
그런데, 이런 종류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형성할 화상의 종류(예를 들면, 컬러 화상과 단색 화상의 차이)나, 기록 시트의 종류 등의 차이에 따른 적절한 화상 형성 조건에 적합시킨 화상 형성 동작을 실현시키기 위해서, 예를 들면, 복수의 상 유지체(101(Y, M, C, K)) 중 적어도 일부의 상 유지체(예를 들면, 1O1Y, 1O1M, 101C)의 회전 속도를 그 나머지 상 유지체(예를 들면, 101K)의 회전 속도와 중간 전사 벨트(201)의 회전 속도 양쪽과 다른 속도로 전환한 조건에서 가동시키도록 구성한 것이 있다.
그 구체예로서는, 컬러 화상 형성 모드와 흑백 화상 형성 모드를 준비하고, 그 흑백 화상 형성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그 흑백 화상의 형성 동작에 관여하는 상 형성 유닛(100K)의 상 유지체(101K)의 회전 속도와 중간 전사 벨트(201)의 회전 속도를 동일한 속도로 설정하는 한편, 그 흑백 화상의 형성 동작에 관여하지 않는 나머지 상 형성 유닛(100Y, 100M, 100C)에서의 상 유지체(101Y, 101M, 101C)의 회전 속도를 그 외의 상 유지체(101K)의 회전 속도나 중간 전사 벨트(201)의 회전 속 도보다도 느린 속도로 설정하도록 전환하고, 이 전환된 조건에서 화상 형성 장치를 동작(가동)시켜서 흑백 화상의 형성을 행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흑백 화상의 형성을 행함으로써, 그 흑백 화상의 형성 동작에 관여하지 않는 상 형성 유닛에서의 상 유지체(101Y, 101M, 101C)의 불필요한 회전 구동을 억제하여 그 수명의 단명화 등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환된 조건에서 화상 형성 장치를 가동하여 화상 형성을 행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그 중간 전사 벨트(201)에 대해서 속도차를 갖고 회전 구동하는 상 유지체(상기한 구체예에서의 상 유지체(101Y, 101M, 101C))에 대해서, 그 중간 전사 벨트(201)가 전사 롤(150)로 가압된 상태에서 속도차를 갖고 통과하게 되기 때문에, 그 상 유지체의 중간 전사 벨트와 접촉하는 부분에 찰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 결과, 그 후에 얻어지는 화상에 그 찰상에 기인한 화상 불량(예를 들면, 줄무늬 형상의 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그러한 결함의 발생 등을 해소시키기 위해서, 본 출원인도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제안을 행하고 있다.
즉, 그 화상 형성 장치란, 전사체(중간 전사 벨트 등)를 사이에 끼고 복수의 상 담지체(감광 드럼 등)와 대치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전사 부재(전사 롤 등) 중 일부의 프로세스 스피드를 변경할 때에, 그 변경된 전사 부재를 전사체로부터 이간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리트랙트(retract) 기구를 구비시킨 것이다(특허 문헌 1).
이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흑백 화상 형성 모드가 선택되면, 도 14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그 흑백 화상의 형성에 관여하지 않는 전사 부재(전사 롤(150Y, 150M, 150C))가 그 프로세스 스피드를 변경시키는 동시에, 그 변경시에 리트랙트 기구에 의해 전사체(중간 전사 벨트(201))로부터 떨어진 이간된 방향(이 도시된 예에서는 상방향)으로 이동된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 공개 2004-78128호 공보
그러나, 이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도 이하와 같은 과제가 있다.
즉, 이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우선, 일부의 전사 부재(전사 롤(150Y, 150M, 150C))가 리트랙트 기구에 의해 전사체(중간 전사 벨트(201))로부터 이간된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그 이간된 전사 부재와 전사체 사이에 간격(α)이 존재하게 되지만(도 14 참조), 그 이간된 상태의 전사 부재(전사 롤(150Y, 150M, 150C))와 그것에 대치되는 상 담지체(감광 드럼(101Y, 101M, 101C))의 사이(1차 전사부에도 거의 상당하는 부위)에도, 그 간격(α)에 거의 상응하는 공간이 존재하게 된다. 이 때문에, 그 1차 전사부에 상당하는 부위를 통과하는 전사체(중간 전사 벨트(201))가 그 간격(α)에 거의 상응하는 공간 내에서도 상하로 진동한 상태로 이동 주행하게 된다. 이 때, 특히, 그 진동하는 전사체 중 진폭이 최대값이 되는 타이밍의 부분이 상 담지체에 접촉하면, 그 전사체가 가장 강한 압력으로 상 담지체에 접촉하게 된다.
한편, 화상 형성 장치 내에 침입한 비교적 단단한 미립자(미세한 모래 먼지, 분진 등) 등이 전사체(중간 전사 벨트(201))에 부착되는 경우가 있고, 이 미립자 등이 부착되어 존재하는 전사체 부분이 상 담지체에 접촉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특히, 진동하는 전사체 중 진폭이 최대값이 되는 타이밍의 부분이면서 미립자 등이 존재하는 부분이 상 담지체에 접촉했을 때에, 그 상 담지체의 표면에 미립자에 기인한 손상이 생기기 쉬워진다. 또한, 이러한 손상이 상 담지체에 생김으로써, 그것에 기인한 화상 불량(예를 들면, 줄무늬 형상의 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회전 구동하는 감광체 등의 상 유지체와 회전하는 중간 전사 벨트가 속도차를 갖고 가동할 때라도, 그 상 유지체의 중간 전사 벨트와 접하는 면에 미립자 등의 존재에 기인한 손상을 받기 어려워, 그 손상에 기인한 화상 불량도 발생하기 어려운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중간 전사 유닛은 간격을 벌려서 줄 형상으로 배치되어 회전 구동하는 동시에 상(像)을 유지하는 복수의 상 유지체와, 이 각 상 유지체에 각각 접촉할 수 있도록 복수의 롤에 걸쳐진 상태로 배치되어 회전 구동하는 무단 형상의 중간 전사 벨트와, 제 1 위치에서, 상기 중간 전사 벨트를 통하여 상기 각 상 유지체에 각각 맞닿아서 회전하고, 상기 각 상 유지체 위의 상을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각각 전사시키는 복수의 전사 롤과, 상기 복수의 전사 롤의 일부를, 각각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접촉하면서, 상기 대응하는 상 유지체로부터 이간하는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중간 전사 벨트의 회전 방향에서 상기 제 1 위치보다도 하류측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중간 전사 벨트의 회전 방향에서 상기 제 1 위치보다도 하류측이고, 또한 상기 중간 전사 벨트의 면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에서 상기 제 1 위치보다도 상기 상 유지체의 중심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복수의 전사 롤의 일부를 각각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중간 전사체 벨트의 회전 방향 하류로 직선 형상으로 이동시키고, 이어서 상기 중간 전사 벨트의 면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에서의 상기 상 유지체의 중심 부근으로 직선 형상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복수의 전사 롤의 일부를 각각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원호 형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전사 롤의 일부는 유채색의 토너 상을 유지하는 상 유지체에 대응하는 전사 롤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컬러 화상 형성 모드와 흑백 화상 형성 모드의 전환이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 중간 전사 유닛과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전사 유닛은 간격을 벌려서 줄 형상으로 배치되어 회전 구동하는 동시에 상을 유지하는 복수의 상 유지체와, 이 각 상 유지체에 각각 접촉할 수 있도록 복수의 롤에 걸쳐진 상태로 배치되어 회전 구동하는 무단 형상의 중간 전사 벨트와, 제 1 위치에서, 상기 중간 전사 벨트를 통하여 상기 각 상 유지체에 각각 맞닿아서 회전 하고, 상기 각 상 유지체 위의 상을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각각 전사시키는 복수의 전사 롤과, 상기 복수의 전사 롤의 일부를, 각각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접촉하면서, 상기 대응하는 상 유지체로부터 이간하는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상 유지체의 일부의 회전 속도를 변경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 속도가 변경된 상 유지체에 대응하는 전사 롤을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이동 기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상 유지체 일부의 회전 속도의 변경 및 회전 속도가 변경된 상 유지체에 대응하는 전사 롤의 이동을, 컬러 화상 형성 모드에서 흑백 화상 형성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은 그 장치 전체의 개요를 나타내고, 도 2는 그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것이다.
이 화상 형성 장치는, 예를 들면, 컬러 프린터로서 구성되는 것으로, 그 장치 본체(2)의 내부에, 화상 정보에 기초하는 토너 상을 형성한 후에 기록 시트에 전사하는 상 형성 장치(1)로서, 옐로(Y), 마젠타(M), 시안(C), 블랙(K) 4색의 토너 상을 전용으로 형성하는 4개의 상 형성 유닛(10Y, 10M, 10C, 1OK)과, 이 각 상 형성 유닛(1O(Y, M, C, K))으로 형성되는 각 색의 토너 상을 일시적으로 중간 전사 벨트(21)에 전사하여 기록 시트(9)에 전사하는 2차 전사 위치까지 반송하는 중간 전사 유닛(20)으로 구성되는 것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그 장치 본체(2)의 내부 에는, 상 형성 장치(1)의 중간 전사 유닛(20)에서의 2차 전사 위치에 소정의 용지 등의 기록 시트(9)를 공급하는 급지(給紙) 장치(3)나, 그 2차 전사 위치에서 전사된 토너 상을 기록 시트(9)에 정착시키는 정착 장치(4)나, 이들 각 장치나 다른 장치 등의 프린터 전체에 관한 각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 장치(5) 등이 배치되어 있다.
상 형성 유닛(10(Y, M, C, K))은 도 1이나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원통 형상의 감광 드럼(11)을 구비하고 있고, 이 감광 드럼(11)의 주위에, 감광 드럼(11)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帶電)시키는 대전 롤 방식의 대전 장치(12)와, 대전 후의 감광 드럼(11)의 표면에 화상 정보(신호)에 기초하는 상 광(점선)을 조사하여 전위차가 있는 각 색 성분에 대응한 정전 잠상(靜電 潛像)을 형성하는 레이저 주사 장치 등으로 이루어지는 노광 장치(13)와, 그 정전 잠상에 대응하는 상기 어느 한 색의 현상제(토너 성분)를 전이(轉移) 부착시켜서 상기 4색 중 어느 한 색으로 이루어지는 단색 토너 상을 형성하는 현상 장치(14)와, 그 토너 상을 중간 전사 벨트(21)에 전사하는 전사 롤 방식의 1차 전사 장치(16)와, 1차 전사 후의 감광 드럼(11)의 표면을 청소하는 드럼용 클리닝 장치(17) 등이 주로 배치되어 있다.
이 중, 대전 장치(12)로서는, 대전 바이어스를 인가한 대전 롤을 감광 드럼(11)에 접촉시켜서 대전시키는 접촉 대전 방식의 대전 장치를 사용하고 있고, 노광 장치(13)에는, 도시되지 않은 화상 판독 장치나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 접속기기에서 송신되는 화상 정보가 장치 본체(2) 내에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화상 처 리 장치에서 소정의 화상 처리된 (각 색 성분에 따른) 화상 신호로서 입력된다. 각 현상 장치(14(Y, M, C, K))에는, 토너 카트리지(19(Y, M, C, K))로부터 소정 색의 토너가 보급되도록 되어 있다. 1차 전사 장치(16)로서는, 1차 전사 바이어스를 인가한 1차 전사 롤을 중간 전사 벨트(21)의 내주면측에서 감광 드럼(11)을 향해서 가압하여 전사하는 롤 방식의 전사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중간 전사 유닛(20)은 도전제를 함유시켜서 소정의 체적 저항률로 조제한 수지 필름제의 무단 형상 벨트로 이루어지는 중간 전사 벨트(21)를, 각 상 형성 유닛(10(Y, M, C, K))의 감광 드럼(11)과 1차 전사 장치(16) 사이의 1차 전사 위치를 통과하도록 복수의 롤(22∼24)에 걸쳐진 상태로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다. 롤(22)은 구동 롤, 롤(23)은 중간 전사 벨트(21)에 일정한 장력을 부여하는 텐션 롤, 롤(25)은 2차 전사용 백업 롤이다. 또한, 2차 전사용 백업 롤로 지지되는 중간 전사 벨트(21)에는, 2차 전사 롤(26)이 배치되어 있다. 도면 중의 부호 27은 2차 전사 후의 중간 전사 벨트(21)를 청소하는 벨트용 클리닝 장치이다.
급지 장치(3)는 기록 시트(9)를 수용하는 급지 카세트(31)와, 이 급지 카세트(31)로부터 기록 시트(9)를 1매씩 내보내는 송출 장치(32)와, 이 송출 장치(32)로부터 내보내지는 기록 시트(9)를 반송하는 복수의 반송 롤(34)이나 가이드 부재 등으로 구성되는 시트 반송로(3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장치 본체(2)에는 수동 트레이(38)가 설치되어 있고, 이 수동 트레이(38)에서도 화상 형성을 위한 기록 시트(9)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정착 장치(4)는 가열원을 갖는 동시에 회전 구동하는 가열 롤(41)과, 이 가 열 롤(41)에 소정의 압력으로 압접(壓接)하여 회전하는 가압 롤(42)로 주로 구성되어 있고, 이 가열 롤(41)과 가압 롤(42)의 압접부에 정착 대상의 기록 시트(9)를 도입하여 통과시킴으로써 정착을 행한다. 또한, 기록 시트의 반송로로서, 이 정착 장치(4)를 통과한 정착 후의 기록 시트(9)를 장치 본체(2)의 외부에 형성한 배출 수용부(37)에 배출하는 배출 롤(36)이 설치되어 있다.
제어 장치(5)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계에 관한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어 장치(5)는 중앙 연산 처리 장치, 기억 소자 및 장치 등으로 구성되는 제어 회로(50)를 가지며, 그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구동계의 구성 부품의 동작에 대해서 제어한다.
이 예에서의 제어 회로(50)는 정착 장치(4), 급지 장치(3) 및 시트 반송로의 시트 반송계, 흑색용 현상 장치(14K) 등을 구동하는 메인 모터(51), 중간 전사 유닛(20)의 중간 전사 벨트(21) 등을 구동하는 중간 전사체 구동 모터(52), 흑색의 상 형성 유닛(10K)을 제외한 컬러용 상 형성 유닛(1OY, 1OM, 1OC)에서의 감광 드럼(11Y, 11M, 11C)을 구동하는 컬러용 감광체 구동 모터(53), 흑색의 화상 형성 유닛(11K)에서의 감광체 드럼(11K)을 구동하는 흑색용 감광체 구동 모터(54), 컬러용의 현상기(14Y, 14M, 14C)를 구동하는 컬러용 현상기 구동 모터(55) 등을 각각 제어한다. 또한, 제어 회로(50)는 메인 모터(51)에 연결되는 시트 반송계의 구동을 전환하는 클러치(56)와, 메인 모터(51)에 연결되는 흑색용 현상 장치(14K)의 구동을 전환하는 클러치(57)를 제어하고 있다. 또한, 이 제어 회로(50)는 후술하는 1차 전사 롤의 이동 장치(6)를 구동하는 1차 전사 롤 이동 모터(58)를 제어하고 있 다. 즉, 이 제어 회로(100)에 의해 상기 각종 모터, 클러치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프린터에서의 각 장소의 동작 타이밍을 조정하여 화상 형성 동작을 실현하고 있다.
또한, 이 프린터에서는, 상기 4색(Y, M, C, K)의 토너 상으로 구성되는 풀 컬러 화상의 형성 모드(풀 컬러 모드)와, 흑(K)색의 토너 상만으로 이루어지는 흑백 화상의 형성 모드(흑백 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그 각 모드에 따른 화상 형성(프린트) 동작이 실행되도록 되어 있다.
이 모드의 선택은, 예를 들면, 프린터에 접속되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 또는 송신되는 프린터 지시 정보나 화상 정보 중에 선택 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프린터의 장치 본체(2)에 설치되는 조작 패널로 선택 조작함으로써 행해진다. 또한, 이 모드의 선택 정보에 대해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처리 장치 등에서의 모드 판별부(59)를 통하여 제어 장치(5)의 제어 회로(50)에 입력된다.
그리고, 풀 컬러 모드와 흑백 모드가 선택된 경우, 그 선택된 모드에 따라서 중간 전사 벨트(21) 및 4개의 감광 드럼(11(Y, M, C, K))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회전 속도(프로세스 스피드)로 각각 구동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풀 컬러 모드의 경우에는, 중간 전사 벨트(21) 및 4개의 감광 드럼(11)이 서로 동일한 속도(예를 들면, 104mm/sec)로 회전 구동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다. 또한, 흑백 모드의 경우에는, 중간 전사 벨트(21) 및 흑색용 감광 드럼(11K)이 동일한 고속의 속도(예를 들면, 194mm/sec)로 회전 구동하는 한편, 컬러용의 감광 드럼(11(Y, M, C))이 저속의 속도(예를 들면, 52mm/sec)로 회전 구동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프린터에서는, 흑백 모드가 선택된 경우, 중간 전사 벨트(21) 및 4개의 감광 드럼(11)의 각 회전 속도가 상기한 바와 같이 설정되는 것에 더해서, 흑색의 토너 상의 형성에 관여하지 않는 컬러용 상 형성 유닛(10(Y, M, C))에서의 감광 드럼(11(Y, M, C))과 대치되는 1차 전사 롤(16(Y, M, C))을 소정의 위치로 이동하는 이동 기구(6)가 설치되어 있다.
이동 기구(6)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차 전사 롤(16(Y, M, C))이 중간 전사 벨트(21)를 사이에 끼고 감광 드럼(11(Y, M, C))에 접촉하는 전사 위치(P0)로부터, 그 1차 전사 롤(16(Y, M, C))을, 감광 드럼(11(Y, M, C))으로부터 이간시킨 상태로 유지하는 동시에, 중간 전사 벨트(21)를 그 이간된 상태의 1차 전사 롤(16(Y, M, C))과 감광 드럼(11(Y, M, C))의 양쪽에 접촉시킨 상태이면서 그 벨트 외주면측으로 팽창하여 우회하는 상태로 유지하는 제 1 위치(P1)까지 이동시키는 것이다. 도면 중의 2점쇄선으로 이루어지는 직선은 1차 전사 롤(16(Y, M, C))이 전사 위치(P0)에 있을 때의 중간 전사 벨트(21)의 (가상)상태를 나타내며, 이것은 감광 드럼(11)의 전사 위치(PO)에서의 접선과 거의 겹치는 것이다.
이 경우, 이동 기구(6)는 1차 전사 롤(16(Y, M, C))의 회전축(16a) 또는 그 지지 프레임을 전사 위치 : P0로부터 제 1 위치 : P1에 이르기까지 유도하는 가이드 부재(가이드 레일 등)를 따라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부착하여, 그 회전축(16a) 또는 그 지지 프레임을 1차 전사 롤 이동 모터(58)의 회전 동력이나 솔레노이드의 직선적인 동력을 이동을 위한 구동력으로서 그대로 이용 또는 적절히 변환(캠에 의 한 동력 변환을 포함)하여 이용함으로써 각 위치(P0, P1)의 양쪽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이동 기구(6)는 도 5의 점선 양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이동 스텝(제 1 이동 스텝(E1)과 제 2 이동 스텝(E2))을 거쳐서 전사 위치 : P0로부터 제 1 위치 : P1 사이를 이동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제 1 이동 스텝(E1)은 프로세스 방향(벨트의 이동 방향(B) 등의 방향)을 따르는 이동 과정에 상당하고, 또한, 제 2 이동 스텝(E2)은 제 1 이동 스텝의 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하향 방향을 따르는 이동 과정에 상당한다. 또한, 제 1 위치 : P1은 전사 위치 : PO에서 보았을 때에 프로세스 방향과는 반대측에 위치시킬 수도 있지만, 이러한 위치로 한 경우에는, 그 프로세스 방향과 반대측에 1차 전사 롤(16)이 이동할 때에 중간 전사 벨트(21)에 주름이 발생하거나, 프로세스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불균일하게 발생한 주름이 원인으로 중간 전사 벨트(21)의 편향(미소한 변형)이 발생하는 등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제 1 위치 : P1은 그 프로세스 방향을 따른 측에 위치시키는 것이 좋다.
다음에,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프린터에 의한 기본적인 화상 형성(프린트)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어 장치(5)가 도시되지 않은 조작 패널이나 프린터에 접속되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 또는 송신되는 프린트 지시를 받으면, 우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풀 컬러 모드 또는 흑백 모드 중 어느 한 판별을 행한다(스텝 S10, 11). 여기서는, 우선, 풀 컬러 모드의 프린트 지시를 받은 경우를 상정하 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스텝 S11에서 흑백 모드의 선택이 아니라고 판별된 후(스텝 S11), 중간 전사 벨트(21) 및 4개의 감광 드럼(11(Y, M, C, K))을 풀 컬러 모드시의 속도 조건(도 4)으로 회전 구동시켜서 프린터를 가동시킨다(스텝 S20). 이 예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21) 및 4개의 감광 드럼(11(Y, M, C, K)) 모두 「104mm/sec」의 회전 속도로 회전 구동하게 된다.
풀 컬러 모드시에는, 처음에 상 형성 장치(1)의 각 상 형성 유닛(10(Y, M, C, K))에서 상기 4색의 토너 상이 형성된 후에 중간 전사 유닛(20)에 전사된다.
즉, 각 상 형성 유닛(10)에서는, 회전 시동하는 감광 드럼(11)이 대전 장치(12)에 의해 소정의 전위로 대전되고, 그 대전 후의 감광 드럼(11)에 노광 장치(13)로부터 화상 신호에 기초하는 주사 노광이 행해져서 각 색 성분에 따라 정전 잠상이 형성된 후, 그 정전 잠상이 현상 장치(14)에서 대응하는 색의 토너에 의해 현상되어 각 색(Y, M, C, K)의 토너 상이 형성된다. 이 각 상 형성 유닛(1O)으로 형성된 각 토너 상은 감광 드럼(11)이 1차 전사 장치(16)와 대향하는 1차 전사 위치에서 상 형성 장치(1)의 중간 전사 유닛(20)에서의 중간 전사 벨트(21)에 차례로 중첩되도록 하여 정전 전사된 후, 그 중간 전사 벨트(21)가 2차 전사 롤(26)과 대향하는 2차 전사 위치까지 반송된다. 1차 전사는 1차 전사 장치(16)의 1차 전사 롤에 인가되는 토너의 대전 극성과 반대 극성의 전사 바이어스에 의해 감광 드럼(11)과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전사 전계에 의해 행해진다.
한편, 상기 프린트 지시에 따른 소요의 기록 시트(9)가 급지 장치(3)가 수용 되어 있는 급지 카세트(31)로부터 송출 장치(32)에 의해 1매씩 내보내져 복수의 반송 롤(33) 등에 의해 시트 반송로(35) 내를 반송된 후, 레지스트 롤(34)에 의해 소정의 타이밍으로 2차 전사 위치로 이송되어 공급된다. 2차 전사 위치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21) 위에 전사된 토너 상이 공급된 기록 시트(9)에 일괄하여 정전 전사된다. 2차 전사는, 예를 들면, 2차 전사용 백업 롤(24)에 인가되는 토너의 대전 극성과 동일한 극성의 전사 바이어스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21)를 사이에 끼고 2차 전사 롤(26)과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전사 전계에 의해 행해진다.
이어서, 토너 상이 전사된 기록 시트(9)는 정착 장치(4)를 향해서 반송되어 가열 롤(41)과 가압 롤(41) 사이의 압접부에 도입되고, 그 압접부의 통과시에 가열 및 가압됨으로써, 그 토너 상이 기록 시트(9)에 정착된다. 이 정착이 종료된 후의 기록 시트(9)는 배출 롤(36)에 의해 배출 수용부(37)에 배출된다. 이상의 프로세스에 의해, 1매의 기록 시트(9) 위에는 상기 4색의 토너 상으로 구성되는 풀 컬러의 컬러 화상이 형성된다.
이러한 풀 컬러 모드에 의한 프린트는 그 프린트 지시(작업 : 프린트 매수)가 모두 종료할 때까지 속행된다(스텝 S21). 또한, 그 프린트가 속행되는 경우에는, 모드 변경의 확인이 행해지고(스텝 S22), 이 때, 모드 변경이 없을 때에는 다음의 풀 컬러 모드에 의한 프린트가 실행되지만, 모드 변경이 있을 때에는 모드의 판별로 이행한다(스텝 S10).
한편, 스텝 S11에서 프린트 지시가 흑백 모드인 것이 판별된 경우에는, 이동 기구(6)가 작동하여, 흑색용 상 형성 유닛(10K) 이외의 컬러용 상 형성 유닛(10(Y, M, C))의 1차 전사 롤(16(Y, M, C))을 그 각 전사 위치 : P0로부터 제 1 위치 : P1로 이동시킨다(스텝 S12). 이에 따라, 1차 전사 롤(16(Y, M, C))은 도 7(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감광 드럼(11(Y, M, C))에 대해서 제 1 위치 : P1로 각각 이동한 상태가 된다. 도면 중의 2점쇄선의 직선은 1차 전사 롤(16(Y, M, C))이 전사 위치 : P0에 있을 때의 중간 전사 벨트(21)의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이 1차 전사 롤(16(Y, M, C))의 이동에 이어서, 중간 전사 벨트(21) 및 4개의 감광 드럼(11(Y, M, C,K))을 흑백 모드시의 속도 조건(도 4)으로 회전 구동시켜서 프린터를 가동시킨다(스텝 S13). 이 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중간 전사 벨트(21) 및 흑색용 감광 드럼(11K)이 동일한 「194mm/sec」라는 고속의 회전 속도로 회전 구동하고, 또한 컬러용 감광 드럼(11(Y, M, C))이 「52mm/sec」의 저속의 회전 속도로 회전 구동한다.
흑백 모드시에는, 처음에 상 형성 장치(1)의 흑색의 상 형성 유닛(1OK)에서 흑색의 토너 상이 형성된 후에 중간 전사 유닛(20)에 전사된다. 즉, 흑색의 상 형성 유닛(10K)의 감광 드럼(11K)에 상술한 바와 같이 흑색의 토너 상이 형성되고, 그것이 1차 전사 롤(16K)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21)에 1차 전사된다.
이 때, 컬러용 상 형성 유닛(10(Y, M, C))에서는, 그 각 색(Y, M, C)으로 이루어지는 토너 상의 상 형성 동작이 행해지지 않지만, 그 감광 드럼(11(Y, M, C))이 중간 전사 벨트(21)에 대해서 속도차(저속으로)를 갖고 회전 구동한다. 이에 따라, 그들 각 감광 드럼(11(Y, M, C))의 수명 저하의 방지가 도모된다.
게다가, 이 때의 컬러용 상 형성 유닛(10(Y, M, C))에서는, 그 1차 전사 롤(16(Y, M, C))이 각 제 1 위치 : P1로 각각 이동하기 때문에(도 5, 도 7), 감광 드럼(11(Y, M, C))으로부터 이간된 상태가 되는 것에 더해서, 중간 전사 벨트(21)를 그 이간된 각 1차 전사 롤(16(Y, M, C))과 감광 드럼(11(Y, M, C))의 양쪽에 접촉시킨 상태이고, 또한 그 벨트 외주면측으로 팽창하여 휘어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중간 전사 벨트(21)가 진동한 상태로 이동 주행하는 것이 억제되고, 이 결과, 미립자 등이 부착되어 존재하는 중간 전사 벨트(21)의 부분이 진동하여 감광 드럼(11(Y, M, C))에 강한 압력으로 접촉하는 일이 거의 없어진다. 또한, 그 전사 롤(16(Y, M, C))의 이동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21)의 장력이 벨트 외주면측으로 팽창하여 우회하는 분량만큼 증가하는 동시에 중간 전사 벨트(21)가 상기 전사 롤과 대치되는 감광 드럼(11(Y, M, C))의 표면에 감기는 상태로 접촉하게 되기 때문에(그 감긴 벨트 부분을 도 5에 부호(W)를 첨부한 범위로 나타냄), 중간 전사 벨트(21)가 진동한 상태에서의 이동 주행이 한층 더 확실히 억제된다. 따라서, 가령 중간 전사 벨트(21)의 외주면에 비교적 단단한 미립자 등이 부착된 부분이 존재한 경우, 그 부분이 감광 드럼(11(Y, M, C))에 진동 주행에 의해 강하게 접촉하지 않아, 그 드럼 표면이 손상되기 어려워진다.
중간 전사 벨트(21)에 1차 전사된 흑색 토너 상은 풀 컬러 모드의 프린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2차 전사 위치에서 소요의 기록 시트(9)에 2차 전사된 후, 그 기록 시트(9)에 유지된 상태로 정착 장치(4)에 도입되어 기록 시트(9)에 정착되고, 최후에 정착 후의 기록 시트(9)가 배출 수용부(37)에 배출된다. 이상의 프로세스에 의해, 1매의 기록 시트(9) 위에는 상기 흑색의 토너 상으로 구성되는 흑백 화상 이 형성된다.
이러한 흑백 모드에 의한 프린트는 그 프린트 지시(작업 : 프린트 매수)가 모두 종료할 때까지 속행된다(스텝 S14). 또한, 그 프린트가 속행되는 경우에는, 모드 변경의 확인이 행해지고(스텝 S15), 이 때, 모드 변경이 없을 때에는 다음의 풀 컬러 모드에 의한 프린트가 실행되지만, 모드 변경이 있을 때에는 모드의 판별로 이행한다(스텝 S10).
<평가 시험>
이하, 실시예 1에 따른 프린터를 사용하여 행한 평가 시험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프린터의 중간 전사 벨트(21)의 외주면에, 미립자(간토(Kanto) 롬층 7종 : JIS Z8901)를 부착시킨 회전 브러시 롤을 그 벨트(21)의 회전에 대해서 종동하는 상태로 유지해서 접촉시킨 후, 흑백 모드에서 테스트용 흑백 화상(하프톤 화상)을 400매 연속해서 프린트했다.
이 시험시의 흑백 모드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21)를 흑색용의 감광 드럼(11K)과 함께 동일한 「208mm/sec」라는 고속의 회전 속도로 회전 구동시키고, 또한 컬러용의 감광 드럼(11(Y, M, C))을 「52mm/sec」의 저속의 회전 속도로 회전 구동시켰다. 또한, 컬러용 1차 전사 롤(16(Y, M, C))을, 중간 전사 벨트(21)의 감광 드럼(11)의 외주면에 감긴 상태가 되는 부분의 양(랩량(W) : 도 5 참조)이 1.2mm가 된다는 조건의 제 1 위치 : P1로 이동시켰다(실시예). 이 때, 감광 드럼(11)으로서는 외경이 30mm인 것을 사용했다. 또한, 비교를 위해, 컬러용의 1차 전사 롤(16(Y, M, C))을 중간 전사 벨트(21)를 통해서 감광 드럼(11)에 가압한 전사 위치 : PO에 놓인 상태(콘택트 상태)의 비교예 1과, 그 1차 전사 롤(16(Y, M, C))을 중간 전사 벨트(21)로부터 이간(약 5mm)시킨 위치에 놓인 상태(리트랙트 상태)의 비교예 2를 준비하여, 같은 방법으로 프린트를 행했다.
상기 400매의 연속된 흑백 프린트를 행한 후,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의 컬러용의 감광 드럼(11(Y, M, C))의 표면에 존재하는 손상의 깊이에 대해서, 레이저 현미경을 이용하여 각각 측정해서 해석했다. 그 결과(3개의 감광 드럼에 존재하는 최대의 손상 깊이의 평균값)를 도 8에 나타낸다.
도 8의 결과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와 같이 컬러용의 1차 전사 롤(16(Y, M, C))을 제 1 위치 : P1로 이동시킨 경우에는, 그 1차 전사 롤(16(Y, M, C))을 콘택트 상태로 한 비교예에 대해서는 물론, 리트랙트 상태로 한 비교예 2와 비교해도, 컬러용의 감광 드럼(11(Y, M, C))의 표면에 형성되는 손상의 깊이는 매우 얕은 것이 된다. 또한, 비교예 1과 같이 콘택트 상태의 경우에는, 중간 전사 벨트(21)에 부착되는 미립자가 컬러용의 1차 전사부를 통과할 때, 1차 전사 롤(16(Y, M, C))의 가압에 의한 강한 압력을 받기 때문에 손상이 발생하기 쉽고, 그 깊이도 커지는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비교예 2와 같이 리트랙트 상태의 경우에는, 중간 전사 벨트(21)에 부착되는 미립자가 컬러용 1차 전사부를 통과할 때, 1차 전사 롤(16(Y, M, C))의 가압에 의한 강한 압력을 받는 일이 없게 되지만, 중간 전사 벨트(21)의 진동 주행에 의한 접촉에 의한 압력을 받기 때문에, 그 압력을 받는 만큼에 상응한 깊이로 성장한 손상이 발생해 버리는 것으로 추측된다.
다음에, 상기한 조건(실시예 및 비교예 1, 2)에서 흑백의 하프톤 화상을 1000매 연속해서 각각 프린트했을 때마다, 컬러 단색(Y, M, C)의 각 색의 하프톤 화상을 1매씩 프린트하고, 그 각 색의 화상 중에 실용상 문제가 되는 레벨의 화상 불량(프로세스 방향이기도 한 감광 드럼(11)의 회전 방향 A를 따라 형성되는 줄무늬 형상의 상)이 발생되었는지의 여부를 조사했다. 그리고, 그 화상 불량이 발생된 것이 확인된 경우에, 그 때까지의 프린트의 누적 매수와, 그 화상 불량이 발생된 색의 감광 드럼(11)이 존재하는 상술한 바와 같은 미립자에 기인한 손상의 깊이를 측정했다. 결과를 도 9에 나타낸다.
도 9의 결과로부터, 1차 전사 롤에 대해서 비교예 1과 같은 콘택트 상태로 설정한 경우에는, 프린트 개시로부터 5000매 정도의 매수의 프린트에 이르는 단계에서 화상 불량이 발생하게 되고, 게다가, 그 때의 감광 드럼(11)에 존재하는 손상의 깊이가 상대적으로 깊은 레벨이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2와 같은 리트랙트 상태로 설정한 경우에는, 1만 5000매 정도의 연속 프린트를 행할 때까지는 화상 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그 때의 감광 드럼(11)에 존재하는 손상의 깊이에 대해서도 비교예 1의 경우와 비교해서 얕아져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본 실시예와 같이 이동시킨 상태로 설정한 경우에는, 프린트 개시로부터 4만 6000매에 이르기까지 화상 불량이 발생하기 어려운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때의 감광 드럼(11)에 존재하는 손상의 깊이에 대해서도, 그 손상이 존재한 경우라도 매우 얕아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덧붙여 말하면, 이 시험에서는, 감광 드럼에 깊은 손상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일수록, 최종적으로 대전 장치(12)의 대전 롤 표면에도 토너 등에 기인한 손상이 미치고, 그 결과로서 화상 불량이 발생하기 쉬워지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다른 실시예]
실시예 1에서는, 이동 기구(6)에 대해서, 대상의 1차 전사 롤(16(Y, M, C))을 전사 위치 : P0로부터 제 1 위치 : P1로 이동시킬 때에, 2개의 이동 스텝(제 1 이동 스텝(E1)과 제 2 이동 스텝(E2) : 도 5 참조)을 거쳐서 행하는 구성의 것을 예시했지만, 도 10에 점선 양 화살표(M)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이동 스텝으로 제 1 위치 : P1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그 이동 스텝의 궤도(M)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감광 드럼(11)의 직경보다도 큰 동심원을 기준으로 했을 때, 제 1 위치 : P1을 향함에 따라서 그 동심원으로부터 외측으로 조금씩 팽창하여 벗어나는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궤도로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이동 기구(6)로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흑백 모드시에서 1차 전사 롤(16(Y, M, C))을, 감광 드럼(11(Y, M, C))으로부터 이간시킨 상태로 유지하는 동시에, 중간 전사 벨트(21)를 그 이간된 상태의 1차 전사 롤(16(Y, M, C))과 감광 드럼(11(Y, M, C))의 양쪽에 접촉시킨 상태로 유지하는 제 2 위치(P2)까지 이동시키는 것을 적용해도 좋다. 이 도시된 예에서는, 점선 양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대상이 되는 1차 전사 롤(16)을 프로세스 방향(벨트의 이동(B))을 따라서 소정량만큼 이동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면 중의 2점쇄선으로 이루어지는 직선은 1차 전사 롤(16(Y, M, C))이 전사 위치 : P0에 있을 때의 중간 전사 벨트(21)의 (가상)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흑백 모드시가 되면, 이동 기구(6)가 작동함으로써, 흑색용의 1차 전사 롤(16)을 제외한 컬러용 1차 전사 롤(16(Y, M, C))이 전사 위치 : P0으로부터 제 2 위치 : P2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1차 전사 롤(16(Y, M, C))은 도 11이나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광 드럼(11(Y, M, C))으로부터 이간된 상태가 되는 것에 더해서, 중간 전사 벨트(21)를 그 이간된 각 1차 전사 롤(16(Y, M, C))과 감광 드럼(11(Y, M, C))의 양쪽에 접촉시킨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컬러용 1차 전사 롤(16(Y, M, C))을 제 2 위치 : P2로 이동시킨 경우에는, 특히, 중간 전사 벨트(21)가 이동한 각 1차 전사 롤(16(Y, M, C))과 감광 드럼(11(Y, M, C))의 양쪽에 접촉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중간 전사 벨트(21)가 진동한 상태로 이동 주행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서도, 가령 중간 전사 벨트(21)의 외주면에 비교적 단단한 미립자 등이 부착된 부분이 존재한 때일지라도, 그 부분이 감광 드럼(11(Y, M, C))에 진동 주행에 의해 강하게 접촉되지 않아, 그 드럼 표면에 손상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덧붙여 말하면, 이 경우에는, 이동한 1차 전사 롤(16(Y, M, C))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21)가 실시예 1의 경우와 같이 벨트 외주면측으로 팽창하여 우회하는 상태로 유지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전사 롤과 대치되는 감광 드럼(11(Y, M, C))의 표면에 장력이 상승하고, 또한 감기는 상태(랩된 상태)로 접촉되는 일이 없게 되어(도 5에 부호(W)로 나타낸 바와 같은 벨트 부분 : 랩 부분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그만큼 중간 전사 벨트(21)가 감광 드럼(11(Y, M, C))의 표면에 강하게 접촉되는 일이 없다.
실시예 1에서는, 흑색의 토너 상을 형성하는 경우(흑백 모드시)에, 컬러용의 1차 전사 롤(16(Y, M, C))을 전사 위치 : P0로부터 제 1 위치 : P1(또는 제 2 위치 P2)로 이동시키는 구성을 나타냈지만, 다른 색(Y, M, C)으로 이루어지는 단색의 토너 상을 형성하는 단색 프린트 모드나, 그 2색(Y, M, C 중 2색)으로 이루어지는 단색의 토너 상을 형성하는 단색 프린트 모드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그 단색에 사용하는 1차 전사 롤(16) 이외의 1차 전사 롤을 이동 기구(6)에 의해 제 1 위치 : P1(또는 제 2 위치 P2)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이 경우, 그 단색에 사용하는 상 형성 유닛(10) 이외의 상 형성 유닛(10)에서의 감광 드럼(11)은 그 회전 속도가 중간 전사 벨트(21)와 다른 속도로 전환되도록 구성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 외에도, 실시예 1에서는, 상 형성 유닛(10)을 중간 전사 벨트(21)의 하측의 주행 부위에 배치한 화상 형성 장치를 예시했지만, 그 중간 전사 벨트(21)의 상측의 주행 부위에 배치한 화상 형성 장치라도 좋다. 또한, 중간 전사 유닛(20)으로서 중간 전사 벨트(21)를 수평 방향으로 걸쳐진 상태로 배치한 구성예를 나타냈지만, 그 중간 전사 벨트(21)를 수직 방향이나 경사진 방향으로 걸쳐진 상태로 배치한 것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 형성 유닛(10)에 대해서는 4개 배치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2개, 3개 또는 5이상의 것을 배치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상 유지체 중 적어도 일부의 상 유지체의 회전 속도를 그 나머지 상 유지체의 회전 속도와 중간 전사 벨트의 회전 속도의 양쪽과 다른 속도로 전환한 조건에서 가동시킬 때에는, 이동 기구에 의해, 그 일부의 상 유지체와 대치되는 전사 롤이 상기 상 유지체로부터 이간된 상태로 유지되는 동시에 그 이간된 상태의 전사 롤과 상기 상 유지체의 양쪽에 중간 전사 벨트를 접촉시킨 상태로 유지되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그 이동한 전사 롤과 그것에 대치되는 상 유지체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지만, 그 이간된 상태의 전사 롤과 그 상 유지체의 양쪽에 중간 전사 벨트가 접촉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그 중간 전사 벨트가 진동한 상태로 이동 주행하는 것이 억제되고, 이 결과, 미립자 등이 부착되어 존재하는 중간 전사 벨트의 부분이 진동하여 상 유지체에 강한 압력으로 접촉하는 일이 거의 없어지기 때문에, 상 유지체의 표면에 미립자 등에 기인한 손상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그 상 유지체의 손상에 기인한 화상 불량도 발생하기 어려워져 화질 양호한 화상 형성을 장기에 걸쳐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동 기구에 의해, 그 일부의 상 유지체와 대치되는 전사 롤을, 중간 전사 벨트가 그 벨트 외주면측으로 팽창하여 우회하는 상태로 유지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구성한 경우에는, 그 전사 롤의 이동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의 장력이 벨트 외주면측으로 팽창하여 우회하는 분량만큼 증가하는 동시에 중간 전사 벨트가 상기 전사 롤과 대치되는 상 유지체의 표면에 감기는 상태로 접촉되기 때문에, 중간 전사 벨트가 진동한 상태로 이동 주행하는 것이 한층 더 확실히 억제된다. 이 결과, 중간 전사 벨트가 접촉하는 상 유지체의 표면에 미립자 등에 기인한 손상도 한층 더 생기기 어려워진다.

Claims (8)

  1. 간격을 벌려서 줄 형상으로 배치되어 회전 구동하는 동시에 상(像)을 유지하는 복수의 상 유지체와,
    이 각 상 유지체에 각각 접촉할 수 있도록 복수의 롤에 걸쳐진 상태로 배치되어 회전 구동하는 무단(無端) 형상의 중간 전사 벨트와,
    제 1 위치에서, 상기 중간 전사 벨트를 통하여 상기 각 상 유지체에 각각 맞닿아서 회전하고, 상기 각 상 유지체 위의 상을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각각 전사시키는 복수의 전사 롤과,
    상기 복수의 전사 롤의 일부를, 각각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접촉하면서, 상기 대응하는 상 유지체로부터 이간하는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전사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중간 전사 벨트의 회전 방향에서 상기 제 1 위치보다도 하류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전사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중간 전사 벨트의 회전 방향에서 상기 제 1 위치보다도 하류측이고, 또한 상기 중간 전사 벨트의 면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에서 상기 제 1 위치보다도 상기 상 유지체의 중심에 가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전사 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복수의 전사 롤의 일부를 각각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중간 전사체 벨트의 회전 방향 하류로 직선 형상으로 이동시키고, 이어서 상기 중간 전사 벨트의 면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에서의 상기 상 유지체의 중심 부근으로 직선 형상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전사 유닛.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복수의 전사 롤의 일부를 각각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원호 형상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전사 유닛.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 유지체는 유채색 또는 흑색의 토너 상을 각각 유지하고, 상기 복수의 전사 롤의 일부는 흑색의 토너 상을 유지하는 상 유지체 이외의 상 유지체에 대응하는 전사 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전사 유닛.
  7. 컬러 화상 형성 모드와 흑백 화상 형성 모드의 전환이 가능한 화상 형성 장 치로서,
    중간 전사 유닛과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전사 유닛은,
    간격을 벌려서 줄 형상으로 배치되어 회전 구동하는 동시에 상을 유지하는 복수의 상 유지체와,
    이 각 상 유지체에 각각 접촉할 수 있도록 복수의 롤에 걸쳐진 상태로 배치되어 회전 구동하는 무단 형상의 중간 전사 벨트와,
    제 1 위치에서, 상기 중간 전사 벨트를 통하여 상기 각 상 유지체에 각각 맞닿아서 회전하고, 상기 각 상 유지체 위의 상을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각각 전사시키는 복수의 전사 롤과,
    상기 복수의 전사 롤의 일부를, 각각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접촉하면서, 상기 대응하는 상 유지체로부터 이간하는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상 유지체의 일부의 회전 속도를 변경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 속도가 변경된 상 유지체에 대응하는 전사 롤을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이동 기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상 유지체 일부의 회전 속도의 변경 및 회전 속도가 변경된 상 유지체에 대응하는 전사 롤의 이동을, 컬러 화상 형성 모드에서 흑백 화상 형성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에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70029896A 2006-06-19 2007-03-27 중간 전사 유닛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08872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69202A JP4752637B2 (ja) 2006-06-19 2006-06-19 画像形成装置
JPJP-P-2006-00169202 2006-06-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0420A true KR20070120420A (ko) 2007-12-24
KR100887223B1 KR100887223B1 (ko) 2009-03-06

Family

ID=38861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9896A KR100887223B1 (ko) 2006-06-19 2007-03-27 중간 전사 유닛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15767B2 (ko)
JP (1) JP4752637B2 (ko)
KR (1) KR100887223B1 (ko)
CN (1) CN10052063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3237A (ja) * 2007-08-23 2009-03-12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JP5241305B2 (ja) * 2008-04-24 2013-07-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251740B2 (ja) * 2008-06-23 2013-07-3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感光体の駆動制御方法、及び駆動制御プログラム
JP5151929B2 (ja) * 2008-11-25 2013-02-27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1064931A (ja) * 2009-09-17 2011-03-31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JP5017380B2 (ja) * 2010-01-07 2012-09-05 シャープ株式会社 転写装置
JP5002689B2 (ja) * 2010-07-20 2012-08-15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134950B2 (ja) 2014-11-19 2017-05-3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494372B2 (ja) * 2015-03-31 2019-04-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10101697B2 (en) * 2016-05-31 2018-10-1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7119562B2 (ja) * 2018-05-17 2022-08-1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4475A (ja) 1983-02-23 1984-09-03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記録装置
JPH1173035A (ja) 1997-08-27 1999-03-16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0181184A (ja) * 1998-12-15 2000-06-30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1242680A (ja) * 1999-06-14 2001-09-0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及び該装置に用いるユニット装置、並びにベルト装置
JP4345195B2 (ja) * 2000-05-11 2009-10-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2091128A (ja) * 2000-09-18 2002-03-27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2189330A (ja) * 2000-12-22 2002-07-05 Minolta Co Ltd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3149901A (ja) * 2001-11-16 2003-05-21 Sharp Corp カラー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3337454A (ja) * 2002-05-21 2003-11-28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4102123A (ja) * 2002-09-12 2004-04-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4078128A (ja) 2002-08-22 2004-03-11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280079B2 (ja) 2003-01-28 2009-06-17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5128180A (ja) * 2003-10-22 2005-05-1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4095038B2 (ja) * 2004-01-16 2008-06-0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848330B2 (ja) * 2004-02-20 2006-11-22 シャープ株式会社 転写装置
JP4789534B2 (ja) * 2005-07-29 2011-10-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52637B2 (ja) 2011-08-17
KR100887223B1 (ko) 2009-03-06
US20070292170A1 (en) 2007-12-20
JP2007334255A (ja) 2007-12-27
US7715767B2 (en) 2010-05-11
CN100520631C (zh) 2009-07-29
CN101093378A (zh) 2007-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7223B1 (ko) 중간 전사 유닛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045477B1 (ko) 화상 형성 장치
EP2169472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9025757A (ja) 画像形成装置
JP4732054B2 (ja) 画像形成装置
KR20070115559A (ko) 화상 형성 장치
US20110076053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JP2005156776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6251619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467813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9258494A (ja) 転写ベルト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7167217A (ja) 画像形成装置
JP451534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710213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8298835A (ja) 画像形成装置
JP449799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0152008A (ja) 画像形成装置
KR100708144B1 (ko)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속도제어방법
JPH11295998A (ja) 画像形成装置
JP434713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1305932A (ja) 画像形成装置
JP658272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0231004A (ja) 画像形成装置
KR100728045B1 (ko)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속도제어방법
JP2024042623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