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9639A - 성막성형체, 성막성형방법 및 성막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성막성형체, 성막성형방법 및 성막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9639A
KR20070119639A KR1020077021067A KR20077021067A KR20070119639A KR 20070119639 A KR20070119639 A KR 20070119639A KR 1020077021067 A KR1020077021067 A KR 1020077021067A KR 20077021067 A KR20077021067 A KR 20077021067A KR 20070119639 A KR20070119639 A KR 20070119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forming
mold
bulb
m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1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4537B1 (ko
Inventor
다카오 우메자와
Original Assignee
오시마 일렉트릭 웍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시마 일렉트릭 웍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오시마 일렉트릭 웍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70119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9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45/006Joining parts moulded in separate cavities
    • B29C45/0062Joined by inject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71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with an inse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22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47Lightning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78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가동금형(9), 고정금형(10)을 이용하여 램프본체(2), 렌즈부(3)를 형(型)성형하는 제 1 사출공정, 램프본체(2)를 성막(2b)하는 성막공정, 램프본체(2), 렌즈부(3)를 수지재(6)에 의해 일체화하는 제 2 사출공정에 의해 램프체(1)를 제조함에 있어서, 벌브(4)와 단자(5)와의 전기적 접속부위를 전용(專用)의 마스킹재를 이용하지 않고 마스킹한다. 제 1 사출공정과 성막공정과의 사이의 공정에 벌브(4)를 조립하고, 이 조립상태에서 성막하도록 하며, 벌브(4)의 선단부 표면에 성막(4c)을 실시하는 것과 함께, 상기 성막(4c)의 그늘에 숨는 부분이 마스킹되게 되어, 전기적 절연성을 확보한다.

Description

성막성형체, 성막성형방법 및 성막성형장치{DEPOSITION MOLDED PRODUCT, DEPOSITION MOLDING METHOD, AND DEPOSITION MOL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체나 엠블렘 등에 이용되는 성막성형체, 성막성형방법 및 성막성형장치의 기술분야에 속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 종류의 성막성형체 중에는, 예를 들면, 차량용의 엠블렘 등의 부품과 같이, 부재 표면에 착색효과나 반사효과 등의 효과를 갖는 소재로 피복하여, 의장성을 높인 것이 있고, 이 제조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부재표면을 장식 크롬 도금피막으로 피복하여 형성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그런데 오늘날, 도금에 사용하는 6가 크롬은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며, 환경오염에 의한 공해문제를 발생하기 때문에 규제의 대상이 되고 있어, 탈크롬이 요구되고 있다.
이 개선책으로서, 기재 표면에 진공증착이나 스패터링 등의 성막장치로 성막을 형성하고, 게다가, 상기 성막의 표면을 수지재로 피복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그런데 이러한 것은, 사출성형한 기재를 사출성형장치로부터 꺼낸 후, 진공증착장치에 세트하여 성막하고, 그 후, 성막한 기재를 진공증착장치로부터 꺼낸 다 음, 사출성형장치에 세트하여 성막면에 수지재를 사출 성형하게 되어 공정수도 많고, 시간이 걸려, 작업능률이 나쁠 뿐만 아니라, 취출공정, 세트공정, 장치로부터 장치로의 반송 공정시에 피성막면, 또는 성막면에 상처나 먼지가 무심코 손이 닿아 기름이 부착해 버리는 일이 있어, 이것들이 원인으로 소기의 성막제품을 만들지 못하고 불량품이 발생하여 제품비율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성막성형체를 제조하는 경우, 제 1, 제 2 성형체를 형(型)성형하기 위한 제 1 사출공정과, 상기 성형된 제 1, 제 2 성형체를 일체화하기 위한 제 2 사출공정의 사이에, 제 1 성형체를 성막하는 성막공정을 마련하여 성막성형체를 일련의 공정으로 성막 성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제창하여, 작업성의 개선, 생산수율의 향상, 품질의 향상을 달성할 수 있게 되었다(특허문헌 3).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평6-147069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공개 평6-169191호 공보
특허문헌 3 : W02004/101253A1
그런데 상기 종래의 성막성형체를 일련의 공정으로 제조하는 것에 있어서, 성막성형체가 램프체로서, 벌브(bulb, 전구)나 단자를 조립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절연성 확보를 위해 이러한 조립부를 마스킹재를 이용하여 마스킹한 후, 성막을 하고, 그 후, 마스킹재를 제거한 부위에 벌브나 단자를 조립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것으로는, 마스킹재를 준비하고, 게다가 상기 마스킹재의 조합, 제거작업이 필요하며, 이 때문에 이들 작업을 매직핸드와 같은 자동기계수단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어 장치가 복잡화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성막성형체가 램프체인 사이드 윙커(side winker)로 하고, 반사기능을 높이기 위해 성막 소재를 알루미늄으로 하여, 벌브가 호박색인 경우, 은백색의 반사면의 중심부에 호박색과 다른 색의 벌브가 보이게 되어 위화감을 일으킬 뿐만이 아니라, 점등했을 때, 반사광은 약하고, 벌브 선단으로부터의 빛이 강하게 빛나게 되어 광전체에 밸런스가 잡히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고, 이것들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에 감안하여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청구항 1의 발명은, 제 1, 제 2 성형체를 성형하기 위한 형면(型面)이 형성된 제 1 금형과, 제 1, 제 2 성형체를 성형하기 위한 형면이 형성되고, 또한 제 1 성형체에 성막하기 위한 성막장치가 설치된 제 2 금형을 구비하고, 제 1 금형을, 제 2 금형에 대해서 분리접합방향과 형표면에 따르는 방향으로 상대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제 1, 제 2 성형체를 형성하는 1차의 사출공정과 제 1, 제 2 성형체끼리를 일체화하는 2차의 사출공정과의 사이에, 제 1 성형체를 성막하기 위한 성막공정을 갖도록 하여 이루어지는 성막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성형체에 부재 조립을 하는 데에, 상기 부재 조립공정을 1차의 사출공정과 성막공정과의 사이에 있도록 하여 설치하고, 조립한 부재 표면의 성막과 상기 부재 표면에 의한 마스킹을 실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막성형장치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성막성형체는 램프본체와 렌즈부로 형성되는 램프체이며, 부재 조립공정은 램프본체에 부재가 조립되는 것으로 하고, 마스킹을 실시할 수 있도록 조립되는 부재는 벌브이며, 상기 벌브 표면의 성막에 의한 마스킹부위는, 적어도 벌브의 전기배선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막성형장치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제 1, 제 2 성형체를 성형하기 위한 형면이 형성된 제 1 금형과, 제 1, 제 2 성형체를 성형하기 위한 형면이 형성되고, 또한 제 1 성형체에 성막하기 위한 성막장치가 설치된 제 2 금형을 구비하고, 제 1 금형을, 제 2 금형에 대해서 분리접합방향과 형표면에 따르는 방향으로 상대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제 1, 제 2 성형체를 형성하는 1차의 사출공정과 제 1, 제 2 성형체끼리를 일체화하는 2차의 사출공정과의 사이에, 제 1 성형체를 성막하기 위한 성막공정을 갖도록 하여 이루어지는 성막성형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성형체에 부재 조립을 하는 데에, 상기 부재 조립공정을 1차의 사출공정과 성막공정과의 사이에 있도록 하고, 조립한 부재 표면의 성막과 상기 부재 표면에 의한 마스킹을 실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막성형방법이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3에 있어서, 성막성형체는 램프본체와 렌즈부로 형성되는 램프체이며, 부재 조립공정은 램프본체에 부재가 조립되는 것으로 하고, 마스킹을 실시할 수 있도록 조립되는 부재는 벌브이며, 상기 벌브 표면의 성막에 의한 마스킹 부위는, 적어도 벌브의 전기배선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막성형방법이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제 1, 제 2 성형체를 성형하기 위한 형면이 형성된 제 1 금형과, 제 1, 제 2 성형체를 성형하기 위한 형면이 형성되고, 또한 제 1 성형체에 성막하기 위한 성막장치가 설치된 제 2 금형을 구비하고, 제 1 금형을, 제 2 금형에 대해서 분리접합방향과 형표면에 따르는 방향으로 상대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제 1, 제 2 성형체를 형성하는 1차의 사출공정과 제 1, 제 2 성형체끼리를 일체화하는 2차의 사출공정과의 사이에, 제 1 성형체를 성막하기 위한 성막공정을 갖도록 하여 형성되는 성막성형체에 있어서, 상기 제 1 성형체에 부재 조립이 이루어진 것으로 하는 데에 있어, 상기 부재 조립공정을 1차의 사출공정과 성막공정과의 사이에 있도록 하고, 조립된 부재 표면의 성막과 상기 부재 표면에 의한 마스킹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막성형체이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3에 있어서, 성막성형체는 램프본체와 렌즈부로 형성되는 램프체이며, 부재 조립공정은 램프본체에 부재가 조립되는 것으로 하고, 마스킹을 실시할 수 있도록 조립되는 부재는 벌브이며, 상기 벌브 표면의 성막에 의한 마스킹 부위는, 적어도 벌브의 전기배선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막성형체이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 3 또는 5의 발명으로 하는 것에 의해, 제 1 성형체에 조립되는 부재 표면에, 제 1 성형체의 성막과 같은 성막이 이루어지게 되고, 제 2 성형체가 외부로부터 내부가 보이는 것인 경우, 조립 부재와 제 1 성형체와의 성막의 색이 같아져 위화감이 일으키는 일이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성막에 의해서 마스킹도 실행되게 되어, 하나 하나 마스킹재를 이용한 마스킹이 불필요하게 된다.
청구항 2, 4 또는 6의 발명으로 하는 것에 의해, 램프체의 벌브 선단부와 반사면이 되는 램프본체와의 성막끼리가 같은 색이 되어, 위화감이 없어질 뿐만 아니라, 벌브 선단으로부터 외부에 나오는 발광이 억제되거나 저감되게 되어, 벌브 선단만이 특별히 빛나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으면서, 절연으로서 필요한 마스킹이 벌브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고, 더구나 벌브 선단부의 성막에 의한 반사광이 램프본체의 성막에 이르러 여기서 반사되게 되어, 램프체로부터의 반사광이 분산하여, 반사효율이 좋은 램프체가 된다.
도 1은 램프체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램프체의 횡단면도이다.
도 3은 성막성형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4(A)∼(D)는 성막성형체를 제조하기 위한 전반(前半)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A)∼(D)는 성막성형체를 제조하기 위한 후반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램프체의 성막공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램프체 2 : 램프본체
2b : 성막 3 : 렌즈부
4 : 벌브 4b : 성막
5 : 단자 6 : 수지재
9 : 고정금형 10 : 가동금형
11 : 성막장치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 1은 성막성형체의 일례인 사이드 턴(side turn)용의 램프체로서, 상기 램프체 (1)는, 1차 사출공정으로 형형성된 램프본체(제 1 성형체)(2)와 렌즈부(제 2 성형체)(3)를 2차 사출공정에 의해 사출되는 수지재(6)로 일체화하여 제조되는 것이고, 그리고 램프본체(2)에는, 조립 부재인 벌브(전구)(4) 및 단자(5)를 조립하기 위한 부재 조립부(2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램프체(1)는, 상기 1차 사출공정과 2차 사출공정과의 사이에 있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재 조립공정과 성막공정을 차례차례 거치는 것에 의해 제조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벌브(4)는, 부재 조립부(2a)내에 꽂아 넣어져서 단자(5)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벌브측 접속부(4a)와, 상기 벌브측 접속부(4a)에 계속하는 일부가 부재 조립부(2a)에 꽂아 넣어지고, 나머지가 부재 조립부(2a)단으로부터 렌즈부(3)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발광부(4b)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단자(5)는, 평면에서 보면{렌즈부(3)측이 보았을 때} ⊃자형으로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고, 부재 조립부(2a)내에서 벌브측 접속부(4a)를 안에서 끼워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자측 접속부(5a)와, 도시하지 않는 외부 소켓에 설치한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외부 접속부(5b)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성막공정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재 조립부 (2a)의 외벽과 함께 발광부(4b)의 그림자에 숨는 부분의 성막이 저지되게 되어 부재 조립부(2a)의 내부까지 성막되어 버리는 일이 없고, 이 결과, 벌브(4)가 마스킹재로서 기능하게 되며, 단자측 접속부(5a)와 벌브측 접속부(4a)에 있어서의 플러스-마이너스 사이에서의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는 일이 없는 절연상태로 유지하게 되어 있는 것과 함께, 발광부(4b)의 선단부에 성막(4c)을 더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램프체(1)를 성막 성형하기 위한 제조장치(7)에 대해서 다음에 설명하지만, 상기 제조장치(7)는, 후술하는 가동측 금형 베이스(9)와 고정측 금형 베이스(8a)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동측 금형 베이스(9)에는, 램프본체(2), 렌즈부(3)를 형형성하기 위한 형면(9a,9b)이 형성된 성형용 금형(9d,9e)이 각각 자유롭게 탈착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것들에 의해서 가동금형(본 발명의 제 1 금형에 상당한다.)(9)을 구성하고 있다.
한편, 고정측 금형 베이스(8a)에는, 램프본체(2), 렌즈부(3)를 형성형하기 위한 형면(10a,10b)이 형성된 성형용 금형(10d,10e)과, 램프본체 성형용 금형(10d)에 인접하는 측에 배치되는 성막장치(진공증착이나 스패터링 증착 등에 의해 성막하는 장치)(11)를 내장하는 성막용 금형(10f)이 일직선형상으로 배치되는 상태로 각각 자유롭게 탈착되도록 설치되어, 이들 성형용 금형(10d,10e)과 성막용 금형(10f)에 의해 본 발명의 고정금형(본 발명의 제 2 금형에 상당한다)(10)을 구성하고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금형(9)에 대해서는 각 성형용 금형 (9d,9e)을, 고정금형(10)에 대해서는 각 성형용 금형(10d,10e) 및 성막용 금형 (10f)을 분할(분리)형으로 하여 구성했지만, 일체형으로 구성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한편, 성막장치(11)로서는, 알루미늄이나 동과 같은 금속의 성막을 한 후, 상기 성막을 보호(예를 들면 산화로부터의 보호)하기 위해, 산화방지 피막재의 성막을 하여 보호면 성막을 실시하도록 구성된 연속성막장치라고 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한편, 성막장치(11)의 피성막 제품에의 성막은 직진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세로면에의 성막기능이 낮아지는 것은 알려져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고정금형(10)에 설치되는 성막용 금형(10f)은, 램프본체 (2)의 성막(2b)되는 면(내면)을 형성하기 위한 볼록형상의 형면(10a)의 형표면 (10c)으로부터의 돌출량과, 렌즈부(3)의 내면을 형성하기 위한 가동금형(9)측의 볼록형상의 형면의 형표면(9c)으로부터의 돌출량과의 합보다 크게 가동금형(9)측으로 돌출하고 있고, 후술하는 성막공정에서 이들 형면(10a,9b)끼리 간섭하지 않도록 배려되어 있다.
상기 가동금형(9)은, 도시하지 않는 액츄에이터(서보모터나 실린더)에 의해서 금형끼리의 분리접합방향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가대(架臺)(12)에 설치되지만, 상기 가대(12)에는, 가동측 금형 베이스(8)를 형표면(9c)에 따라서 이동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13)과, 가동측 금형 베이스(7)에 나사맞춤하는 나사간(螺絲稈) (14)과 상기 나사간(14)을 정역회전하기 위한 액츄에이터(서보모터로 대표된다) (15)가 설치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액츄에이터(15)의 구동 제어에 수반하는 가동 측 금형 베이스(8)의 이동에 의해, 가동금형(9)을 제 1, 제 2 의 사출공정, 그리고 성막공정의 각 위치에 위치결정 이동의 제어를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음에, 램프체(1)를 성막 성형하는 공정에 대해서 도 4,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가동금형(9)은, 형면(9a,9b)이 고정금형(10)측의 형면(10a,10b)에 각각 대향하도록 위치한 이형상태{도 4(A) 참조}로부터, 고정금형(10)방향으로 이동하여 형맞춤되어, 이 형맞춤상태로 램프본체(2), 렌즈부(3)가 사출 성형되는 1차의 사출공정이 실행된다{도 4(B) 참조}.
이어서 가동금형(9)이 형분리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이 때 램프본체(2)는 가동금형(2)측에, 렌즈부(3)는 고정금형(10)측에 남도록 형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이 형분리 상태(이형상태)로, 도시하지 않는 매직핸드(매니퓰레이터) 등의 자동제어기계에 의해 상기 단자(5)와 벌브(4)가 램프본체(2)의 부재 조립부(2a)에 꽂아 넣어 조립되는 부재 조립공정이 실행된다{도 4(C) 참조}.
그 후, 가동금형(9)은, 램프본체(2)가 성막장치(7)와 대향하도록 형표면에 따르는 방향(도면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도 5(A) 참조}한 후, 형맞춤 방향으로 이동하여 성막장치(11)와 형맞춤된 램프본체(2)는, 상기 형면(10a)으로부터 형분리한 면이 성막(2a)되지만, 또한 벌브(4)의 선단부도 성막(4c)된다{도 5(A) 참조}. 이어서 가동금형(9)이 형분리방향으로 이동하여 성막장치(11)와 형분리한{도 5(B) 참조} 후, 가동금형(9)이 형표면(9c)에 따르는 방향의 이동(도면에서 우측방향)을 하여 램프본체(2)와 렌즈부(3)가 대향하고{도 5(C) 참조}, 이 상태로 금형끼리 (9,10)가 형맞춤되며, 램프본체(2), 렌즈부(3)끼리를 수지재(6)로 일체화해 램프체 (1)를 제조하는 2차의 사출공정{도 5(D) 참조}이 실행되고, 그 후, 가동금형(9)의 형분리방향의 이동, 램프체(1)의 취출, 가동금형(9)의 각 대응하는 형면(9a,10a와 10b,10b)끼리가 대향하도록 형표면에 따르는 방향의 이동(도면에서 좌측방향)을 하고, 이들 일련의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램프체(1)가 연속한 제조를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서술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램프체(1)는, 램프본체 (2), 렌즈부(3)를 성형하는 1차의 사출공정, 램프본체(2)의 성막공정, 그리고 램프본체(2), 렌즈부(3)를 일체화하는 2차의 사출공정을 거치는 것에 의해 제조되게 되지만, 이 경우에 1차의 사출공정과 성막공정과의 사이에, 조립 부재인 단자(5), 벌브(4)의 조립 공정이 실행된 후, 성막공정, 2차의 사출공정이 차례차례 실행되게 된다.
이 결과, 램프체(1)는, 벌브(4)의 선단부 표면에 성막(4c)이 실시되며, 램프본체(2)의 성막(2b)과 같은 색이 되고, 이 때문에, 램프체(1)를 외부에서 본 경우에, 벌브(4)의 색이 성막과 다른 색이더라도 위화감을 일으키는 일이 없다. 게다가 벌브(4)에 성막(4c)을 실시하기 위해서, 그 그림자가 되는 부분, 즉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부재 조립부(2a)의 내부는, 벌브(4)가 마스킹재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게 되어 상기 부에 성막이 실시되어 버리는 일이 없고, 이 때문에, 전용의 마스킹재를 이용하지 않아도 전기적인 절연성이 유지된 것이 되어 단락하는 것과 같은 일도 없다. 이 때문에, 전용의 마스킹재의 조립, 취출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한다.
게다가 벌브(4)의 선단부 표면에 실시된 성막(4c)은, 벌브(4)로부터의 발광을 반사하기 때문에, 여기로부터 투광이 있어도 약한 것이 되고, 게다가 성막(4c)에서 반사된 것은 램프본체(2)의 성막(2b)면에 이르러 여기서 반사되어 램프체(1)로서의 조사광이 되고, 이 결과, 램프체(1)가 조사상태일 때, 벌브(4) 부위가 특히 밝아져 버리는 것을 회피하여 전체적으로 분산한 조사를 할 수 있게 되어 시인성(視認性)이 우수한 것이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 것인 것은 물론이고, 본 발명을 실시하여 성형되는 성막성형체로서는, 차량용의 사이드 턴 램프와 같이 소형의 것으로부터 백 램프나 프런트 램프와 같은 대형의 것까지의 작성을 할 수 있지만, 이러한 성막성형체로서는, 엠블렘, 착색렌즈, 넘버플레이트 프레임, 내식 피막제품, 화장품의 케이스, 그릴, 자기(磁氣)나 전자 쉴드 제품, 미러, 가니쉬 (garnish), 광학렌즈, 차량용의 내부미러(inner mirror), 몰, 내마모성 제품, 휠 캡, 실내용 조명기구(샹데리에를 포함한다), 반사경, 도어 손잡이 등에도 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용의 램프체나 엠블렘 등에 이용되는 성막성형체, 성막성형방법 및 성막성형장치로서 유용하고, 마스킹재의 조립이나 제거작업에 사용하는 복잡한 자동기계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벌브나 단자의 조립부의 절연성 확보를 위한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Claims (6)

  1. 제 1, 제 2 성형체를 성형하기 위한 형면이 형성된 제 1 금형과, 제 1, 제 2 성형체를 성형하기 위한 형면이 형성되고, 또한 제 1 성형체에 성막하기 위한 성막장치가 설치된 제 2 금형을 구비하고, 제 1 금형을, 제 2 금형에 대해서 분리접합방향과 형표면에 따르는 방향으로 상대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제 1, 제 2 성형체를 형성하는 1차의 사출공정과 제 1, 제 2 성형체끼리를 일체화하는 2차의 사출공정과의 사이에, 제 1 성형체를 성막하기 위한 성막공정을 갖도록 하여 이루어지는 성막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성형체에 부재 조립을 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부재 조립공정을 1차의 사출공정과 성막공정과의 사이에 있도록 하여 설치하여, 조립한 부재 표면의 성막과 상기 부재 표면에 의한 마스킹을 실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막성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성막성형체는 램프본체와 렌즈부로 형성되는 램프체이며, 부재 조립공정은 램프본체에 부재가 조립되는 것으로 하고, 마스킹을 실시할 수 있도록 조립되는 부재는 벌브이며, 상기 벌브 표면의 성막에 의한 마스킹 부위는, 적어도 벌브의 전기배선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막성형장치.
  3. 제 1, 제 2 성형체를 성형하기 위한 형면이 형성된 제 1 금형과, 제 1, 제 2 성형체를 성형하기 위한 형면이 형성되고, 또한 제 1 성형체에 성막하기 위한 성막 장치가 설치된 제 2 금형을 구비하고, 제 1 금형을, 제 2 금형에 대해서 분리접합방향과 형표면에 따르는 방향으로 상대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제 1, 제 2 성형체를 형성하는 1차의 사출공정과 제 1, 제 2 성형체끼리를 일체화하는 2차의 사출공정과의 사이에, 제 1 성형체를 성막하기 위한 성막공정을 갖도록 하여 이루어지는 성막성형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성형체에 부재 조립을 하는 데에, 상기 부재 조립공정을 1차의 사출공정과 성막공정과의 사이에 있도록 하고, 조립한 부재 표면의 성막과 상기 부재 표면에 의한 마스킹을 실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막성형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성막성형체는 램프본체와 렌즈부로 형성되는 램프체이고, 부재 조립공정은 램프본체에 부재가 조립되는 것으로 하고, 마스킹을 실시할 수 있도록 조립되는 부재는 벌브이며, 상기 벌브 표면의 성막에 의한 마스킹 부위는, 적어도 벌브의 전기배선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막성형방법.
  5. 제 1, 제 2 성형체를 성형하기 위한 형면이 형성된 제 1 금형과, 제 1, 제 2 성형체를 성형하기 위한 형면이 형성되고, 또한 제 1 성형체에 성막하기 위한 성막장치가 설치된 제 2 금형을 구비하고, 제 1 금형을, 제 2 금형에 대해서 분리접합방향과 형표면에 따르는 방향으로 상대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제 1, 제 2 성형체를 형성하는 1차의 사출공정과 제 1, 제 2 성형체끼리를 일체화하는 2차의 사출공정과의 사이에, 제 1 성형체를 성막하기 위한 성막공정을 갖도록 하여 형성되 는 성막성형체에 있어서, 상기 제 1 성형체에 부재 조립이 이루어진 것으로 하는 데에 있어, 상기 부재 조립공정을 1차의 사출공정과 성막공정과의 사이에 있도록 하고, 조립된 부재 표면의 성막과 상기 부재 표면에 의한 마스킹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막성형체.
  6. 제 3 항에 있어서, 성막성형체는 램프본체와 렌즈부로 형성되는 램프체이며, 부재 조립공정은 램프본체에 부재가 조립되는 것으로 하고, 마스킹을 실시할 수 있도록 조립되는 부재는 벌브이며, 상기 벌브 표면의 성막에 의한 마스킹 부위는, 적어도 벌브의 전기배선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막성형체.
KR1020077021067A 2005-03-15 2006-03-14 성막성형체, 성막성형방법 및 성막성형장치 KR1012045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72898 2005-03-15
JP2005072898 2005-03-15
PCT/JP2006/304964 WO2006098302A1 (ja) 2005-03-15 2006-03-14 成膜成形体、成膜成形方法および成膜成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9639A true KR20070119639A (ko) 2007-12-20
KR101204537B1 KR101204537B1 (ko) 2012-11-23

Family

ID=36991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1067A KR101204537B1 (ko) 2005-03-15 2006-03-14 성막성형체, 성막성형방법 및 성막성형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55494B2 (ko)
JP (1) JP4852532B2 (ko)
KR (1) KR101204537B1 (ko)
CN (1) CN101137484B (ko)
DE (1) DE112006000583T5 (ko)
TW (1) TW200639040A (ko)
WO (1) WO20060983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63477B2 (ja) * 2006-11-21 2012-01-25 株式会社ミツバ 燈体およびその成形方法
JP4863478B2 (ja) * 2006-11-21 2012-01-25 株式会社ミツバ 燈体成形用の金型
JP2008221532A (ja) * 2007-03-09 2008-09-25 Oshima Denki Seisakusho:Kk 成膜装置
JP2008221531A (ja) * 2007-03-09 2008-09-25 Oshima Denki Seisakusho:Kk 成膜装置
JP5064113B2 (ja) * 2007-05-18 2012-10-31 株式会社ミツバ 燈体における成膜方法および成膜装置
WO2008142751A1 (ja) * 2007-05-18 2008-11-27 Munekata Co., Ltd. 樹脂成形品の射出成形及び表面改質方法
JP5139025B2 (ja) * 2007-10-19 2013-02-06 株式会社ミツバ 燈体における成膜方法および成膜装置
DE102008033384A1 (de) 2008-07-16 2010-01-21 Osram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Halterungsrahmen
ES2355774T3 (es) 2008-09-25 2011-03-30 Hella Lighting Finland Oy Lámpara estanca al agua y método de fabricación de la misma.
CA2690316C (en) * 2010-01-19 2012-05-08 Globe Union Industrial Corp. Integrally plastic outlet pipe and making process thereof
US8794947B2 (en) * 2011-07-18 2014-08-05 Spirit Aerosystems, Inc. Translating forming dies
JP2016182922A (ja) * 2015-03-26 2016-10-2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外装部品
JP7169200B2 (ja) * 2019-01-11 2022-11-10 株式会社ミツバ 成膜成形体の製造方法
CN110265283A (zh) * 2019-07-16 2019-09-20 安徽虹新电器有限公司 一种表面镀层的灯泡及其制作方法
JP7236978B2 (ja) * 2019-10-18 2023-03-10 株式会社ミツバ 射出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7069A (ja) 1992-11-17 1994-05-27 Calsonic Corp 自動車用エンジンの遠隔始動装置
JPH06169191A (ja) 1992-11-30 1994-06-14 Ryuichi Adachi プリント基板兼用電磁波シールド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3243629B2 (ja) * 1994-08-03 2002-01-07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光反射用部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製造される光反射用部品
JP3027150B1 (ja) * 1998-11-13 2000-03-27 大協株式会社 中間体を組み込んだ合成樹脂製中空体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3809996B2 (ja) * 2001-07-23 2006-08-1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における樹脂製部品の成形金型
JP4251481B2 (ja) 2003-05-19 2009-04-08 株式会社大嶋電機製作所 燈体の製造方法および燈体成型用の金型
JP3688289B2 (ja) 2003-05-19 2005-08-24 株式会社大嶋電機製作所 成型体の成膜方法、成膜された成型体の製造方法および成膜された成型体製造用の金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43460A1 (en) 2009-10-01
US7855494B2 (en) 2010-12-21
KR101204537B1 (ko) 2012-11-23
JP4852532B2 (ja) 2012-01-11
WO2006098302A1 (ja) 2006-09-21
JPWO2006098302A1 (ja) 2008-08-21
CN101137484B (zh) 2010-09-29
TW200639040A (en) 2006-11-16
DE112006000583T5 (de) 2008-01-10
CN101137484A (zh) 2008-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4537B1 (ko) 성막성형체, 성막성형방법 및 성막성형장치
JP3688289B2 (ja) 成型体の成膜方法、成膜された成型体の製造方法および成膜された成型体製造用の金型
JP4707153B2 (ja) 成形体、成形体の製造方法および成形体の製造装置
US9643532B2 (en) Method for producing a light for vehicles and exterior mirror assembly of a vehicle with a lamp thus prepared
EP2824387A1 (de) Lichtleiterelement,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sowie Leuchtmittel und Kraftfahrzeugleuchte mit einem solchen Lichtleiterelement
JP4658651B2 (ja) 射出成形体、射出成形体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4616037B2 (ja) 成形装置における位置決め装置
JP4606900B2 (ja) 成膜成形体の製造方法
US20230043893A1 (en) Method for injection moulding a light module for a lighting device of a motor vehicle
CN210554477U (zh) 发光汽车标志灯
EP2664496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raftfahrzeugleuchten
EP1838509B1 (en) A moulding process and product
DE102019116364A1 (de) Fahrzeugbauteil, Fahrzeug und Verfahren
JP2006239925A (ja) 成膜成形装置
EP2743572A1 (de) Lichtleiterelement mit durch Umformung getrennt hergestellter optisch wirksamer Oberfläche
CN1082645C (zh) 汽车用灯具零件的成型方法
US7524096B2 (en) Multisectional building element with connection seam and method to manufacture same
JP2006224450A (ja) 成膜成形体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08265006A (ja) 射出成形体、射出成形用金型、および、その射出成形方法
CN105014863A (zh) 树脂成型品及树脂成型品的制造方法
CN105083390A (zh) 三厢轿车的后尾箱盖
CN213656623U (zh) 单块pcb板实现多层次厚壁点亮方式的车灯结构
US20240001839A1 (en) Decorative Vehicle Element Having a Contour Light
US11999303B2 (en) Cladding part for a motor vehicle
JP4533921B2 (ja) 射出成型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