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7496A - 용융 수지의 혼련 및 여과를 위한 필터 노즐 - Google Patents

용융 수지의 혼련 및 여과를 위한 필터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7496A
KR20070107496A KR1020060040074A KR20060040074A KR20070107496A KR 20070107496 A KR20070107496 A KR 20070107496A KR 1020060040074 A KR1020060040074 A KR 1020060040074A KR 20060040074 A KR20060040074 A KR 20060040074A KR 20070107496 A KR20070107496 A KR 20070107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groove
molten resin
inflow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0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7836B1 (ko
Inventor
박성수
Original Assignee
(주)대호스크류
박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호스크류, 박성수 filed Critical (주)대호스크류
Priority to KR1020060040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7836B1/ko
Publication of KR20070107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7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2037/96Filters

Landscapes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융 수지의 유입 및 배출시에 흐름이 원활하게 수행되고 일정한 압력이 유지되면서도 이물질의 제거효과가 향상되는 한편 수지물에 포함된 안료의 배합이 원활하게 수행되는 용융 수지의 혼련 및 여과를 위한 필터 노즐을 제공한다. 이 필터 노즐은 외주면상에 복수 개의 유입홈과 유출홈이 형성되고, 유입홈으로 유입된 용융 수지가 유출홈측으로 월류되면서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각 경계부에 다수의 안내홈이 형성되는 필터부재가 구비되어 사출기 및 압출기 등의 실린더 선단에 결합된다. 이때 필터부재는, 환봉 형상을 갖는 몸체의 일단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는 유입홀과, 몸체의 타단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는 배출홀과, 유입홀과 유입홈이 서로 연통되도록 천공 형성되는 복수 개의 유입연결공과, 배출홀과 유출홈이 서로 연통되도록 천공 형성되는 복수 개의 배출연결공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Description

용융 수지의 혼련 및 여과를 위한 필터 노즐{A FILTER NOZZLE FOR MIXING AND FILTERING OF MELTING RESI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융 수지의 혼련 및 여과를 위한 필터 노즐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융 수지의 혼련 및 여과를 위한 필터 노즐의 주요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필터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필터부재를 분출공 측에서 본 측면도;
도 5는 도 4의 라인 A-A를 따라 절취하여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융 수지의 혼련 및 여과를 위한 필터 노즐의 조립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몸체, 16:캡,
100:필터부재, 110:유입홈,
120:유출홈, 132:안내홈,
140:유입홀, 150:배출홀,
160:유입연결공, 170:배출연결공.
본 발명은 용융 수지의 혼련 및 여과를 위한 필터 노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과도한 압력이 걸리지 않으면서 용융 수지의 유입 및 배출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물질의 제거효과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용융 수지에 포함된 안료의 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용융 수지의 혼련 및 여과를 위한 필터 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기 또는 압출기(이하, 사출기로 통칭한다)는 플라스틱 펠트를 용융시키고 혼련시키기 위한 실린더가 설치되고, 이 실린더의 선단에는 사출금형 또는 다이스(이하, 금형으로 통칭한다)의 스프루에 접촉되어 용융 수지를 금형내로 주입시키므로써 사출물 또는 압출물(이하, 사출물로 통칭한다)이 형성되도록 하는 노즐이 장착된다.
한편 최근 색상이 부여되는 고품질의 플라스틱 제품이 일반화되면서 사출기에서 이를 지원하도록 하기 위해 필터 노즐이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필터 노 즐은 사출기 실린더의 노즐로 설치되어 안료가 안정적으로 혼련되도록 함과 동시에 용융 수지에 포함된 다양한 형태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므로써 플라스틱 제품의 품질을 높이고, 금형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필터 노즐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실1995-0004239호 "사출기용 노즐"(이하, '종래 기술'이라 한다)은 통상의 필터 노즐의 구조를 개선하여 제안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르면, 통상의 필터 노즐은 통공이 형성된 몸체와, 이 몸체의 외측둘레면에 밴드로 고정되어 몸체가 일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히터와, 몸체의 외측 끝단에 나사 조임되어 용융 수지를 분출시킬 수 있도록 분출공(노즐공)이 형성된 캡과, 몸체에 형성된 통공내로 설치되어 용융 수지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줄 수 있도록 하는 필터부재로 구성된다. 그리고 필터부재는 봉상의 부재로서 몸체의 통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유입측이 개방되고 배출측이 막힘 구조가 되도록 요입된 복수 개의 용융 수지 유입홈과, 유입측이 막힘구조이고, 배출측이 개방된 구조로 요입된 복수개의 유출홈이 형성되며, 이 유입홈과 유출홈의 경계면에 다수의 안내홈이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르면, 이와 같은 통상의 필터 노즐의 필터부재는 용융 수지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기능은 수행되지만, 용융 수지가 직선구조의 유입홈과 유출홈을 통과한 후 분출공(노즐공)으로 배출되는 단순한 배출 경로를 통해 이동되므로 용융 수지와 안료를 교반시키는 효율이 낮아서 안료와 용융 수지의 배합 불량에 따른 사출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지적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종래 기술은 필터부재의 유입홈 및 유출홈이 일정각도 만큼 꽈배기 형상을 갖도록 형성하여 용융 수지의 공급시 유입홈 및 유출홈의 각도에 의해 필터부재가 회전되도록 하는 필터 노즐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제안된 종래 기술도 통상적인 필터 노즐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어, 실질적으로 용융 수지의 혼련과 여과 기능을 충분히 얻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즉 필터 노즐은 실린더의 선단에 설치되어 금형의 스프루에 접촉되는 부분이므로 필연적으로 그 직경이 실린더의 후방에 비해 급격히 작아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에 용융 수지의 혼련과 여과를 위해 필터부재가 설치되게 되므로 필터 노즐 부분에서는 과도한 압력이 걸리게 용융 수지의 충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제품이 미성형 또는 성형불량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종래 기술에 따르면, 필터부재는 유입홈 및 유출홈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없어, 용융 수지의 흐름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저항이 증가되면서 단시간내 에 적정한 양의 용융 수지를 공급할 수 없게 되어 사출기의 오작동이 발생되거나 생산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어 필연적으로 안내홈의 깊이와 폭을 크게 형성하므로써 결국 혼련과 필터 기능을 제대로 얻을 수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안출된 것으로 용용 수지의 유입 및 배출시에 흐름이 원활하게 수행되고 일정한 압력이 유지되면서도 이물질의 제거효과가 향상됨으로써 사출제품의 품질과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한 용융 수지의 혼련 및 여과를 위한 필터 노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융 수지에 포함된 안료의 배합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사출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도록 한 용융 수지의 혼련 및 여과를 위한 필터 노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외주면상에 복수 개의 유입홈과 유출홈이 형성되고, 유입홈으로 유입된 용융 수지가 유출홈측으로 월류되면서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각 경계부에 다수의 안내홈이 형성되는 필터부재가 구비되어 사출기 및 압출기 등의 실린더 선단에 결합되는 용융 수지의 혼련 및 여과를 위한 필터 노즐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환봉 형상을 갖는 몸체 의 일단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는 유입홀과; 상기 몸체의 타단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는 배출홀과; 상기 유입홀과 유입홈이 서로 연통되도록 천공 형성되는 복수 개의 유입연결공과; 상기 배출홀과 유출홈이 서로 연통되도록 천공 형성되는 복수 개의 배출연결공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용융 수지의 혼련 및 여과를 위한 필터 노즐에서, 상기 유입홈은 유입홀이 형성된 외주면 일단에 유입개구가 형성되고 이 유입개구에서부터 배출홀의 출구측을 향해 점차적으로 홈의 깊이가 감소되는 상향 테이퍼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출홈은 유입홀 입구측에서부터 배출홀측을 향해 점차적으로 홈의 깊이가 증가되는 하향 테이퍼지도록 형성되고 그 배출 단부에 배출개구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용융 수지의 혼련 및 여과를 위한 필터 노즐에서, 상기 유입홀과 배출홀은 몸체의 중앙격벽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이 중앙 격벽과 접한 유입홀측에 각 유입홈과 연통되게 유입연결공이 형성되고, 중앙격벽과 접한 배출홀측에 각 유출홈과 연통되게 배출연결공이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용융 수지의 혼련 및 여과를 위한 필터 노즐에서, 상기 안내홈은 피치가 0.7 ∼ 1.3 ㎜ 범위이고, 높이가 0.8 ∼ 1.2㎜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사출기 및 압출기 등의 실린더 선단에 결합되는 용융 수지의 혼련 및 여과를 위한 필터 노즐에 있어서, 원통형 형상을 갖고, 내부에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 선단에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측 끝단에 나사 조임되어 용융 수지를 분출시킬 수 있도록 분출공이 형성된 캡 및; 상기 몸체에 형성된 통공내로 설치되어 용융 수지에 포함된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외주면상에 복수 개의 유입홈과 유출홈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홈으로 유입된 용융 수지가 유출홈측으로 월류되도록 각 경계부에 다수의 안내홈이 형성된 필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필터부재의 상기 유입홈은 유입측으로부터 출구측을 향해 점차적으로 홈의 깊이가 감소되는 상향 테이퍼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출홈은 유입측으로부터 출구측을 향해 점차적으로 홈의 깊이가 증가되는 하향 테이퍼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용융 수지의 혼련 및 여과를 위한 필터 노즐에서,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몸체의 중심상에서 유입측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는 유입홀과; 상기 유입홀과 대칭되도록 상기 몸체의 중심상에서 출구측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는 배출홀과; 상기 유입홀과 유입홈이 서로 연통되도록 천공 형성되는 복수 개의 유입연결공 및; 상기 배출홀과 유출홈이 서로 연통되도록 천공 형성되는 복수 개의 배출연결공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용융 수지의 혼련 및 여과를 위한 필터 노즐에서, 상기 안내홈은 피치 간격이 0.7 ∼ 1.3 ㎜ 범위이고, 높이가 0.8 ∼ 1.2㎜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융 수지의 혼련 및 여과를 위한 필터 노즐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용융 수지의 혼련 및 여과를 위한 필터 노즐은 내부에 통공(12)이 형성된 몸체(11)와, 상기 몸체(11)에 형성된 통공(12)내에 설치되어 용융 수지를 혼련하고, 용융 수지에 포함된 이물질이 여과시키는 필터부재(100)가 구성된다.
이때 필터부재(100)는 몸체(11)의 외주면상에 유입측(입구측)에서부터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유입홈(110)과, 상기 유입홈(110)과 접하여 출구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유출홈(120) 및, 유입홈(110)과 유출홈(120)의 각 경계부에 일정 간격으로 요입되는 다수 개의 안내홈(132)이 형성된 안내홈부(13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유입홈(110)과 유출홈(120)은 바람직하게 서로 엇갈리도록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노즐의 필터부재(100)는 유입홈(110)이 유입측으로부터 출구측을 향해 점차적으로 홈의 깊이가 감소되는 상향 테이퍼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유출홈(120)이 유입측으로부터 출구측을 향해 점차적으로 홈의 깊 이가 증가되는 하향 테이퍼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노즐은 용융 수지의 유로가 확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므로써 용융 수지의 유입 및 유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노즐에서 필터부재(100)는 일단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는 유입홀(140)과, 몸체의 타단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는 배출홀(150)과, 유입홀(140)과 유입홈(110)이 서로 연통되도록 천공 형성되는 유입연결공(160) 및, 배출홀(150)과 유출홈(120)이 서로 연통되도록 천공 형성되는 배출연결공(170)이 구비하도록 하여, 용융 수지의 유로가 더욱 확장되는 구성을 갖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용융 수지의 혼련 및 여과를 위한 필터 노즐은 유입홈이 유입측에서부터 상향 경사진 테이퍼 구조이고 유출홈이 배출측을 향해서 하향 경사진 테이퍼 구조이므로 용융 수지의 유입 및 배출시에 흐름이 원활하게 되고, 노즐의 내벽과의 마찰 또한 감소되므로 용융 수지의 배출압력이 적정하게 유지되므로 적정한 양의 용융 수지가 공급될 뿐만 아니라 사출기로부터 공급된 용융 수지가 다수 개의 유입홈 및 유입홀과, 다수 개의 유출홈 및 배출홀을 통해 이동되면서 용융 수지에 포함된 안료가 분산, 혼합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게 되므로 용융 수지에 포함된 안료의 배합과정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안내홈에 의한 이물질의 거름작업이 안정되게 수행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융 수지의 혼련 및 여과를 위한 필터 노즐의 주요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필터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필터부재를 분출공 측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라인 A-A를 따라 절취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융 수지의 혼련 및 여과를 위한 필터 노즐의 조립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용융 수지의 혼련 및 여과를 위한 필터 노즐은 대략 원통형 형상을 갖고 내부에 통공(12)이 형성된 몸체(11)와, 이 몸체(11)의 외측 끝단에 나사 조임되어 용융 수지를 분출시킬 수 있도록 분출공(15)이 형성된 캡(16)과, 몸체(11)에 형성된 통공(12)내로 설치되어 용융 수지가 혼련되도록 하고 용융 수지에 포함된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외주면상에 복수 개의 유입홈(110)과 유출홈(120)이 형성되고 유입홈(110)으로 유입된 용융 수지가 유출홈(120)측으로 월류되도록 각 경계부에 다수의 안내홈(132)이 형성된 필터부재(10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필터 노즐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몸체(11)의 외측 둘레면에 밴드 등으로 고정되어 몸체(11)가 일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히터 등이 설치될 수 있다.
필터부재(1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봉 형상을 갖는 몸체(100a, 도 5 참조)의 일단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는 유입홀(140)과, 몸체의 타단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는 배출홀(150)과, 몸체의 외주면상에 일정한 각도의 간격을 갖도록 길이방향으로 요입 형성되는 복수 개의 유입홈(110)과, 이 유입홈(110)과 접한 외주면상에 일정한 각도의 간격을 갖도록 길이방향으로 요입 형성되는 복수 개의 유출홈(120)과, 유입홈(110)과 유출홈(120)의 각 경계부에 일정 간격으로 요입되는 다수 개의 안내홈(132)이 형성된 안내홈부(130)와, 유입홀(140)과 유입홈(110)이 서로 연통되도록 유입홈(110)상에 천공 형성되는 유입연결공(160)과, 배출홀(150)과 유출홈(120)이 서로 연통되도록 유출홈(120)상에 천공 형성되는 배출연결공(170)이 형성된다.
이때 유입홈(110)은 유입홀(140)이 형성된 외주면 일단(유입홀의 입구측)에 유입홀과 연통되는 유입개구(112)가 형성되고, 이 유입개구(112)의 전단에서부터 배출홀(150)의 출구측을 향해 점차적으로 홈의 깊이 감소되게 상향 테이퍼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유출홈(120)은 유입홀(140)의 입구측에서부터 배출 홀(150)의 출구측을 향해 점차적으로 홈의 깊이가 증가되게 하향 테이퍼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편 그 배출 단부에 배출홈(150)과 연통되는 배출개구(12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유입홈(110)과 유출홈(120)은 각각 8개로 형성되도록 하였으나, 이와 같은 유입홈(110)과 유출홈(120)의 수량은 필터부재(100)의 외경에 따라 증감될 수 있는 것으로, 유입홈(110)과 유출홈(120)이 대응되는 수량을 갖도록 하면서 강도상으로 문제되지 않은 범위내에서 가능한 그 수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입홀(140)과 배출홀(150)은 몸체(100a)의 중앙 격벽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그 형상은 각각 중앙 격벽을 향해 내경이 축소되는 원추형 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앙 격벽과 접한 유입홀(140)측에 각 유입홈(110)과 연통되게 유입연결공(160)이 형성되고, 중앙 격벽과 접한 배출홀(150)측에 각 유출홈(120)과 연통되게 배출연결공(17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유입연결공(160)과 배출연결공(170)은,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흐르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흐름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필터부재(100)는 조립된 상태에서 유입홈(110)의 타단 즉 배출홀(150)의 출구측 유입홈(110) 단부가 캡(16)의 내면과 밀착 차단되면서 용융 수지 의 흐름이 차단되어 안내홈(132)측으로만 용융 수지가 월류되고, 유출홈(120)의 유입홀(140)의 입구측 단부는 몸체(100a)의 내면과 밀착 차단되면서 용융 수지가 역류되지 않고 경사진 유출홈(120) 및 배출연결공(170)측을 통해 배출홀(150)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안내홈부(130)를 구성하는 안내홈(13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치 간격(a)이 0.7 ∼ 1.3 ㎜ 범위이고, 높이(b)가 0.8 ∼ 1.2㎜ 범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안내홈(132)의 피치 간격(a)이 상기한 범위 이하가 될 경우 톱니{안내홈(132)을 형성하는 돌기}가 파손됨을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고, 피치 간격이 1.5㎜ 이상이 될 경우 용융 수지가 통과되는 과정에서 수지와 안료의 배합이 원활하지 않게 된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피치 간격을 1㎜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안내홈(132)의 높이(b)가 상기한 범위 이하가 될 경우 막힘현상이 발생되어 용융 수지의 흐름이 불량해지고, 상기한 범위 이상이 될 경우 톱니가 쉽게 파손됨을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고, 이에 따라 골과 마루 사이의 거리는 1㎜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기의 필터 노즐의 몸체(11)에 필터부재(100)를 삽입한 상태에서 캡(16)을 조립하게 되면 필터부재(100)의 조립이 완료 된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사출기가 작동되면 용융 수지가 몸체(11)의 통공(12)을 통해 필터부재(100)측으로 공급되는데, 이때 용융 수지는 각 유입홈(110)과 유입홀(140)측으로 분산되어 유동하게 된다. 유입홈(110)측으로 유동되는 용융 수지는 유입개구(112)를 통해 상향 테이퍼지게 형성된 유로를 타고 이동되다가 안내홈부(130)의 안내홈(132)을 통해 유출홈(120)으로 월류되는 과정에서 혼련되고 용융 수지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은 안내홈(132)상에서 걸러지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유입홈(110)은 점차적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용융 수지의 유입 흐름이 부드럽고 안정되며 또한 저항이 감소되어 압력이 최소화되는 것이다. 이때 유입홀(140)측으로 분사된 용융 수지는 유입연결공(160)을 통해 다시 유입홈(110)측으로 분출되어 유입홈(110)의 유로를 통해 이동되면서 안내홈부(130)를 통해 유출홈(120)측으로 월류된다.
또한 안내홈부(130)를 통해 월류된 용융 수지가 다시 다수 개의 유출홈(120)을 타고 이동되고 배출 단부에 형성된 배출개구(122)를 통해 배출됨과 동시에 배출연결공(170)으로 유입된 후 배출홀(150)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유출홈(120)은 점차적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용융 수지의 배출 흐름이 부드럽고 저항이 감소되어 배출압력이 최소화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 노즐은 실린더로부터 공급된 용융 수지가 다수 개의 유입홈(110)측으로 분사되고, 유입홀(140)측으로 분사된 용융 수지는 다시 다수 개의 유입연결공(160)을 통해 유입홈(110)측으로 분출되면서 서로 혼합되고, 안내홈부(130)를 통해 월류된 용융 수지는 다수 개의 유출홈(120)으로 배출됨과 동시에 다수 개의 배출연결공(170)으로 유입되어 배출홀(150)을 통해 배출되는 바, 이와 같은 유체의 흐름경로를 통해 용융 수지와 안료가 분산, 혼합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면서 용융 수지에 포함된 안료의 배합과정이 더욱 원활하게 수행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용융 수지가 안내홈부(130)를 통해 유입홈(110)측에서 유출홈(120)측으로 월류되는 과정에서 안내홈(132)이 상술한 바와 같이 적정한 크기로 촘촘하게 배치되므로 저항이 작게 작용되면서도 이물질의 여과작용이 원활하게 수행되고 쉽게 파손되지 않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융 수지의 혼련 및 여과를 위한 필터 노즐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용융 수지의 혼련 및 여과를 위한 필터노즐에 의하면, 유입홈이 유입측에서부터 상향 경사진 테이퍼 구조이고 유출홈이 배출측을 향해서 하향 경사진 테이퍼 구조이므로, 용융 수지의 유입 및 배출시에 흐름이 원활하게 되고, 노즐의 내벽과의 마찰 또한 감소되므로 용융 수지의 배출압력이 적정하게 유지되므로 적정한 양의 용융 수지가 공급되면서 사출제품의 품질과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출기로부터 공급된 용융 수지가 다수 개의 유입홈 및 유입홀과, 다수 개의 유출홈 및 배출홀을 통해 이동되면서 용융 수지에 포함된 안료가 분산, 혼합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게 되므로 용융 수지에 포함된 안료의 배합과정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안내홈에 의한 이물질의 여과작업이 안정되게 수행되므로 사출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외주면상에 복수 개의 유입홈과 유출홈이 형성되고, 유입홈으로 유입된 용융 수지가 유출홈측으로 월류되면서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각 경계부에 다수의 안내홈이 형성되는 필터부재가 구비되어 사출기 및 압출기 등의 실린더 선단에 결합되는 용융 수지의 혼련 및 여과를 위한 필터 노즐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환봉 형상을 갖는 몸체의 일단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는 유입홀과;
    상기 몸체의 타단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는 배출홀과;
    상기 유입홀과 유입홈이 서로 연통되도록 천공 형성되는 복수 개의 유입연결공과;
    상기 배출홀과 유출홈이 서로 연통되도록 천공 형성되는 복수 개의 배출연결공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수지의 혼련 및 여과를 위한 필터 노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홈은 유입홀이 형성된 외주면 일단에 유입개구가 형성되고 이 유입개구에서부터 배출홀의 출구측을 향해 점차적으로 홈의 깊이가 감소되는 상향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유출홈은 유입홀 입구측에서부터 배출홀측을 향해 점차적 으로 홈의 깊이가 증가되는 하향 테이퍼지도록 형성되고 그 배출 단부에 배출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수지의 혼련 및 여과를 위한 필터 노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과 배출홀은 몸체의 중앙격벽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이 중앙 격벽과 접한 유입홀측에 각 유입홈과 연통되게 유입연결공이 형성되고, 중앙격벽과 접한 배출홀측에 각 유출홈과 연통되게 배출연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수지의 혼련 및 여과를 위한 필터 노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은 피치가 0.7 ∼ 1.3 ㎜ 범위이고, 높이가 0.8 ∼ 1.2㎜ 범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수지의 혼련 및 여과를 위한 필터 노즐.
  5. 사출기 및 압출기 등의 실린더 선단에 결합되는 용융 수지의 혼련 및 여과를 위한 필터 노즐에 있어서,
    원통형 형상을 갖고, 내부에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 선단에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측 끝단에 나사 조임되어 용융 수지를 분출시킬 수 있도록 분출공이 형성된 캡 및;
    상기 몸체에 형성된 통공내로 설치되어 용융 수지에 포함된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외주면상에 복수 개의 유입홈과 유출홈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홈으로 유입된 용융 수지가 유출홈측으로 월류되도록 각 경계부에 다수의 안내홈이 형성된 필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필터부재의 상기 유입홈은 유입측으로부터 출구측을 향해 점차적으로 홈의 깊이가 감소되는 상향 테이퍼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출홈은 유입측으로부터 출구측을 향해 점차적으로 홈의 깊이가 증가되는 하향 테이퍼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수지의 혼련 및 여과를 위한 필터 노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몸체의 중심상에서 유입측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는 유입홀과,
    상기 유입홀과 대칭되도록 상기 몸체의 중심상에서 출구측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는 배출홀과,
    상기 유입홀과 유입홈이 서로 연통되도록 천공 형성되는 복수 개의 유입연결공 및,
    상기 배출홀과 유출홈이 서로 연통되도록 천공 형성되는 복수 개의 배출연결 공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수지의 혼련 및 여과를 위한 필터 노즐.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은 피치 간격이 0.7 ∼ 1.3 ㎜ 범위이고, 높이가 0.8 ∼ 1.2㎜ 범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수지의 혼련 및 여과를 위한 필터 노즐.
KR1020060040074A 2006-05-03 2006-05-03 용융 수지의 혼련 및 여과를 위한 필터 노즐 KR100777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0074A KR100777836B1 (ko) 2006-05-03 2006-05-03 용융 수지의 혼련 및 여과를 위한 필터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0074A KR100777836B1 (ko) 2006-05-03 2006-05-03 용융 수지의 혼련 및 여과를 위한 필터 노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496A true KR20070107496A (ko) 2007-11-07
KR100777836B1 KR100777836B1 (ko) 2007-11-28

Family

ID=39062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0074A KR100777836B1 (ko) 2006-05-03 2006-05-03 용융 수지의 혼련 및 여과를 위한 필터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783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1782A1 (en) * 2008-10-09 2010-04-15 Joon-Wook Nam Nozzle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with foreign substance removal function
CN102765163A (zh) * 2012-08-03 2012-11-07 镒生电线塑料(昆山)有限公司 注塑机射嘴及模具进点防堵装置
KR101228283B1 (ko) * 2012-08-06 2013-01-30 박정길 사출기 또는 압출기의 필터유닛
CN104260276A (zh) * 2014-01-17 2015-01-07 肖加云 一种过滤混练射咀
CN104354264A (zh) * 2014-11-11 2015-02-18 肖加云 一种排气射咀
CN105128274A (zh) * 2015-08-21 2015-12-09 天津宏向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具有过滤功能的注塑机射嘴
KR102411216B1 (ko) * 2021-09-03 2022-06-22 에코다이스(주) 재생 원료 압출을 위한 다중 자동 다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661B1 (ko) 2019-07-19 2020-01-09 박정길 개선된 구조를 갖는 사출기 또는 압출기의 필터유닛
KR102160731B1 (ko) * 2019-12-02 2020-09-28 조병철 초미세 필터 노즐을 구비하는 분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72836A (en) * 1980-10-27 1982-05-07 Yoshida Kogyo Kk <Ykk>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marble-patterned molded article
JPH03169522A (ja) * 1989-11-28 1991-07-23 Nissei Plastics Ind Co ミキシングノズル
JP3234798B2 (ja) * 1997-07-16 2001-12-04 株式会社名機製作所 溶融樹脂混練用ノズル
JP2004017335A (ja) * 2002-06-13 2004-01-22 Nishikawa Kasei Co Ltd 射出成形用ノズル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1782A1 (en) * 2008-10-09 2010-04-15 Joon-Wook Nam Nozzle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with foreign substance removal function
CN102765163A (zh) * 2012-08-03 2012-11-07 镒生电线塑料(昆山)有限公司 注塑机射嘴及模具进点防堵装置
CN102765163B (zh) * 2012-08-03 2014-07-02 镒生电线塑料(昆山)有限公司 注塑机射嘴及模具进点防堵装置
KR101228283B1 (ko) * 2012-08-06 2013-01-30 박정길 사출기 또는 압출기의 필터유닛
CN104260276A (zh) * 2014-01-17 2015-01-07 肖加云 一种过滤混练射咀
CN104260276B (zh) * 2014-01-17 2016-08-31 积康螺杆制造(上海)股份有限公司 一种过滤混炼射咀
CN104354264A (zh) * 2014-11-11 2015-02-18 肖加云 一种排气射咀
CN105128274A (zh) * 2015-08-21 2015-12-09 天津宏向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具有过滤功能的注塑机射嘴
KR102411216B1 (ko) * 2021-09-03 2022-06-22 에코다이스(주) 재생 원료 압출을 위한 다중 자동 다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7836B1 (ko) 200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7836B1 (ko) 용융 수지의 혼련 및 여과를 위한 필터 노즐
EP2357071B1 (en) Mixing head apparatus and molding method using the same
CA2181720C (en) Apparatus for injecting or extruding colored plastic
JP2013121589A (ja) 高圧ノズルおよび高圧ノズルを形成する方法
US4452917A (en) Process and a mixing head for the production of a reaction mixture comprising at least two flowable reaction components
JP3795255B2 (ja) 紡糸原料着色装置
US4562967A (en) Multi-nozzle head
US7371063B2 (en) Injection molding nozzle
US7032843B1 (en) Mixing nozzle
JP2004017335A (ja) 射出成形用ノズル
KR101153867B1 (ko) 사출성형용 믹싱 노즐
JP2018192685A (ja) 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押出物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200382609Y1 (ko) 사출기용 노즐
CN210161528U (zh) 过滤混炼射咀
CN214266448U (zh) 一种注塑机精密过滤射嘴
CN220576484U (zh) 一种用于挤出多彩纹路的射嘴
US4474333A (en) Injection mold nozzle with filtering function
CN217373343U (zh) 一种止逆过胶头组及注塑机
JP4887811B2 (ja) 金型および製造方法
KR102298636B1 (ko) 하이 엔드 가스벤트 시스템
KR102221674B1 (ko) 가스 배출수단을 구비한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JP5732158B2 (ja) ミキシングヘッド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成形方法
KR20180092047A (ko) 사출 및 압출용 믹싱노즐
JPH08323743A (ja) ペレット用熱可塑性樹脂の押出用金型
KR200334461Y1 (ko) 선가소타입 사출성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