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0731B1 - 초미세 필터 노즐을 구비하는 분무 장치 - Google Patents

초미세 필터 노즐을 구비하는 분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0731B1
KR102160731B1 KR1020190158327A KR20190158327A KR102160731B1 KR 102160731 B1 KR102160731 B1 KR 102160731B1 KR 1020190158327 A KR1020190158327 A KR 1020190158327A KR 20190158327 A KR20190158327 A KR 20190158327A KR 102160731 B1 KR102160731 B1 KR 102160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elastic
base
fix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8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철
Original Assignee
조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병철 filed Critical 조병철
Priority to KR1020190158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07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40Filters located upstream of the spraying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5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02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the rotating deflecting element being a ventilator or a fa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81Apparatus supplied with low pressure gas, e.g. "hvlp"-guns; air supplied by a fa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89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91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producing or supplying the atomising fluid, e.g. air hoses, air pumps, gas containers, compressors, fans, ventilators, their dr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무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급수관이 내부에 구비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상에 구비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구비되는 분무 헤드와 상기 분무 헤드 내부 일 측에 구비되는 팬과, 상기 분무 헤드 내부 타 측에 구비되는 물 토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물 토출부는 초미세 필터 노즐를 구비하여 이물질을 필터링함에 따라 노즐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초미세 필터 노즐을 구비하는 분무 장치이다.

Description

초미세 필터 노즐을 구비하는 분무 장치{FOG SPRAY DEVICE WITH ULTRA FINE FILTER NOZZLE}
본 발명은 분무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급수관이 내부에 구비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상에 구비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구비되는 분무 헤드와 상기 분무 헤드 내부 일 측에 구비되는 팬과, 상기 분무 헤드 내부 타 측에 구비되는 물 토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물 토출부는 초미세 필터 노즐를 구비하여 이물질을 필터링함에 따라 노즐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초미세 필터 노즐을 구비하는 분무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대기 중의 먼지를 제거하거나 혹은 폭염 시 온도를 낮추기 위해 포그 방식의 분무를 발생하는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도 1에 일부 도시된 바와 같이 팬(F)에 의해 외부 공기가 도입되고, 물 토출부(300)에 의해 물이 토출되어 분무(포그)가 형성된다. 이러한 분무에 의해 상술된 바와 같이 대기 중의 먼지를 제거하거나 혹은 폭염 시 온도를 낮추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 경우 상술된 바와 같이 물 토출부를 통해 물을 분사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물에 잔존하는 이물질로 인해 물이 토출되는 노즐이 막혀서 물의 토출이 방해 받고 이러한 이유로 인해 분무 생성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분무 장치 장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한국 등록 특허 10-131718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급수관이 내부에 구비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상에 구비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구비되는 분무 헤드와 상기 분무 헤드 내부 일 측에 구비되는 팬과, 상기 분무 헤드 내부 타 측에 구비되는 물 토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물 토출부는 초미세 필터 노즐를 구비하여 이물질을 필터링함에 따라 노즐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초미세 필터 노즐을 구비하는 분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급수관(120)이 내부에 구비되는 지지대(100)와, 상기 지지대(100)상에 구비되는 베이스(B)와, 상기 베이스(B) 상에 구비되는 분무 헤드(200)와 상기 분무 헤드(200) 내부 일 측에 구비되는 팬(F)과, 상기 분무 헤드(200) 내부 타 측에 구비되는 물 토출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분무 헤드(200)는 중공 형상이고 양 측면은 개방된 분무 헤드 본체(210)를 포함하고, 상기 물 토출부(300)는 상기 분무 헤드 본체(210) 중 일 측면 끝단에 구비되고 링 형상이며 중공 형상인 물 토출부 본체(310)와, 상기 물 토출부 본체(310) 일 측에 구비되는 물 투입부(330)와, 상기 물 토출부 본체(310)에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 구비되고 물 토출부 본체(310) 내부와 연통되는 토출관(320)과, 상기 토출관(320) 내부에 구비되는 초미세 필터 노즐(340)을 포함하는 초미세 필터 노즐을 구비하는 분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초미세 노즐 필터(340)는 상기 토출관(320) 내부에 구비되는 초미세 필터부(341)와 상기 초미세 필터부(341)의 끝단에 구비되고 토출관(320) 외부에 부착되는 노즐부(342)를 포함하고, 상기 초미세 필터부(341)는 메쉬 형상이고 중공 형상인 필터(341b)와, 상기 필터(341b)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부 본체(341c)를 포함하되, 상기 필터부 본체(341c)는 내부에 유동공(341d)이 형성되며 일 측에는 투입공(341a)이 형성되어 상기 유동공(341d)과 연통되고, 상기 노즐부(342)는 상기 토출관(320) 외부에 구비되는 노즐부 본체(342a)를포함하되, 상기 노즐부 본체(342a) 내부에는 토출공(342b)이 형성되어 상기 유동공(341d)과 연통되는 초미세 필터 노즐을 구비한다.
상기에서, 상기 지지대(100)는 중공 형상의 지지대 본체(110)를 포함하여, 상기 급수관(120)이 지지대 본체(11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급수관(120)은 상기 베이스(B)를 관통한 후 상기 베이스(B) 상면에 노출되어 상기 물 토출부(300)의 물 투입부(330)와 연통되고, 상기 분무 헤드(200)는 분무 헤드 본체(210) 일 측에 구비되는 고정 브라켓(220) 및 구동부(700)를 포함하여 상기 분무 헤드(200)를 베이스(B)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고정 브라켓(220)은 상기 분무 헤드 본체(210) 일 측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부(222)와, 상기 수직부(222)의 하단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베이스(B) 상면에 접하는 수평부(221)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700)는 상기 수직부(222) 저면과 베이스(B) 상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수평부(221)를 회동하며, 상기 베이스(B)와 수평부(221)는 상기 급수관(120)이 관통하여 상단 일부가 노출되고, 상기 베이스(B)의 상면 요홈부에는 동압 베어링(400)이 설치되어 급수관(120)의 회동을 지지하는 초미세 필터 노즐을 구비한다.
상기에서, 상기 동압 베어링 장치(400)는 링 형상을 가지고 급수관(120)이 내부에서 관통하는 베어링 본체(410)와, 상기 베어링 본체(410) 내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 개의 요홈부(490)와, 상기 요홈부(490)에 구비되는 압전 소자부(430)와, 상기 압전 소자부(430)에 의해 전후진 하며 상기 급수관(120)에 접하는 탄성 패드(460)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패드(460) 내부에는 압축성 유체가 충진되고, 상기 요홈부(490)의 바닥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배치되고 일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베이스(420)를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420)에 상기 압전 소자부(430)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420)를 통해 전원 공급 배선이 상기 압전 소자부(430)로 연결되고, 상기 압전 소자부(430)의 끝단에 가압부(500)가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500)가 압전 소자부(430)에 의해 전후진하여 상기 탄성 패드(460)의 압력을 조절하며, 상기 요홈부(490) 내부에 지지 디스크(470)가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 디스크(470)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500)가 관통하며, 상기 탄성 패드(460)는 압축성 유체가 충진되는 탄성 패드 본체(461)와, 상기 탄성 패드 본체(461) 양 측에 돌출되는 돌출 돌기(462)를 포함하며, 상기 요홈부(490)의 내부 양 측에 장착홈(491)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 돌기(462)가 삽입되는 초미세 필터 노즐을 구비한다.
상기에서, 상기 가압부(500)는 상기 탄성 패드(460) 방향 측면에 배치되는 제1가압부(510)와, 상기 제1가압부(510)에서 압전 소자부(430)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가압부(520)와, 상기 제1가압부(510) 및 제2가압부(520) 사이에 배치되는 제1흡수부(5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압부(510)는 상기 탄성 패드(460)에 접하는 제1가압부 본체(511)를 포함하되, 상기 제1가압부 본체(511) 중 제2가압부(520) 방향 측면의 중앙 일부에는 제1평탄부(5111)가 형성되고, 상기 제1평탄부(5111)에는 특정 곡률로 요홈되는 제1요홈부(5112)가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제1평탄부(5111)의 반경 방향 외측에는 제2가압부(520) 방향으로 돌출되어 단턱을 이루는 제1단턱부(5113)가 형성되고, 상기 제1단턱부(5113)의 반경 방향 외측에 제2가압부(520) 방향으로 돌출되어 단턱을 이루는 제2단턱부(5114)가 형성되며, 상기 제2가압부(520)는 상기 제2단턱부(5114) 내부에 삽입되고, 제1단턱부(5113)에 접하는 제2가압부 본체(521)를 포함하되, 상기 제2가압부 본체(521) 중 제1가압부(510) 방향 측면의 중앙 일부에는 제2평탄부(5211)가 형성되고, 상기 제2평탄부(5211)에 특정 곡률로 요홈되는 제2요홈부(5212)가 형성되며, 상기 제1평탄부(5111)와 제2평탄부(5211) 사이에 상기 제1흡수부(530)가 배치되며, 상기 제1흡수부(530)는 다수 개의 탄성볼(531)과, 상기 탄성볼(531)이 삽입되는 링 형상의 홀더(532)와, 상기 홀더(53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바아(533)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볼(531)은 상기 제1요홈부(5112) 및 제2요홈부(5212) 사이에 배치되는 초미세 필터 노즐을 구비한다.
상기에서, 상기 연결 바아(533)로 이루어진 내부 공간에는 판체 형상의 베이스(540)가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540)와 연결 바아(533) 사이에는 탄성 연결부(550)가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540)의 상면 및 하면에는 제2흡수부(600)가 배치되어 제1평탄부(5111) 및 제2평탄부(5211)에 각각 접하며, 상기 제2흡수부(600)는 특정 방향으로 감겨지는 나선 형상을 가지고, 동일 형상이며 상기 베이스(54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2 상부 흡수부(600A) 및 제2하부 흡수부(600B)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상부 흡수부(600A)와 제2하부 흡수부(600B)는 대칭 형상을 가져 상호 반대 방향으로 감겨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흡수부(600)는 나선 형상으로 배치되는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나선부(610)는 제1평탄부(5111) 또는 제2평탄부(5211)에 고정되는 제11고정 바아(611)와, 상기 베이스(540)에 고정되는 제12고정 바아(612)와, 상기 제11고정 바아(611)와 제12고정 바아(612) 사이에 나선 형성으로 배치되는 제1탄성 바아(6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나선부(620)는 제1평탄부(5111) 또는 제2평탄부(5211)에 고정되고 상기 제11고정 바아(611)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제21고정 바아(621)와, 상기 베이스(540)에 고정되는 제22고정 바아(622)와, 상기 제21고정 바아(621)와 제22고정 바아(622) 사이에 나선 형성으로 배치되는 제2탄성 바아(623)를 포함하며, 상기 제1탄성 바아(613)는 제2탄성 바아(623)와 동일 방향으로 감겨지고 제1탄성 바아(613)의 나선 내부에 제2탄성 바아(623)가 배치된다.
상기에서, 상기 제2흡수부(600) 중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의 일측 단부는 제1평탄부(5111)에 고정되고, 제2하부 흡수부(600B)의 제11고정 바아(611B) 및 제21고정 바아(621B)의 일측 단부는 제2평탄부(5211)에 고정되며, 상기 제2흡수부(600) 중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2고정 바아(612A) 및 제22고정 바아(622A)의 일측 단부는 베이스(540) 상면에 고정되고, 제2하부 흡수부(600B)의 제12고정 바아(612B) 및 제22고정 바아(621B)의 일측 단부는 베이스(540) 저면에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540)의 상면에는 상기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가 이동하기 위한 상부 이동 그루브(542)가 형성되되, 상기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가 이동하여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가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방향으로 상기 상부 이동 그루브(542)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540)의 저면에는 상기 제2하부 흡수부(600B)의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가 이동하기 위한 하부 이동 그루브(543)가 형성되되, 상기 제11고정 바아(611B) 및 제21고정 바아(621B)가 이동하여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가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방향으로 상기 하부 이동 그루브(543)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상기 제2흡수부(600)의 제1 탄성 바아(613)와 제2 탄성 바아(623) 사이에 구비되는 제1탄성 연결부(6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탄성 연결부(630)는 상기 제1 탄성 바아(613)에 고정되는 제1고정판(631)과, 상기 제2 탄성 바아(623)에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판(631)과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제2고정판(632)과, 상기 제1고정판(631)과 제2고정판(632)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볼(633)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판(631)은 판체 형상을 가져 상기 제1 탄성 바아(613)에 고정되는 제1고정판 본체(6311)와 상기 제1고정판 본체(6311) 중 제2고정판(632) 방향 측면에 형성되고 일정 곡률로 요홈되는 다수 개의 요홈부(6312)와, 상기 요홈부(6312) 내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제1고정판 본체(6311)의 길이 방향으로 대칭되며 요홈부(6312)의 바닥에서 특정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탄성볼(633)이 내부에 삽입되는 홀더(63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판(632)은 판체 형상을 가져 상기 제2 탄성 바아(623)에 고정되는 제2고정판 본체(6321)와 상기 제2고정판 본체(6321) 중 제1고정판(631) 방향 측면에 형성되고 일정 곡률로 요홈되는 다수 개의 요홈부(6322)와, 상기 요홈부(6322) 내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제2고정판 본체(6321)의 길이 방향으로 대칭되며 요홈부(6322)의 바닥에서 특정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탄성볼(633)이 내부에 삽입되는 홀더(6323)를 포함하고, 상기 제2흡수부(600)의 제1 탄성 바아(613)와 제2 탄성 바아(623) 사이에 구비되는 제2탄성 연결부(6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탄성 연결부(640)는 동일 형상이고 상호 대칭인 제2흡수부 좌측부(600A)와 제2흡수부 우측부(600B)를 포함하고, 상기 제2탄성 연결부(640)는 제1나선부(610)의 제1탄성 바아(613)에서 제2나선부(620)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결 바아(641)와, 상기 제1연결 바아(641)에서 제1나선부(6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후 제2나선부(620)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지지부(612)와, 상기 제2나선부(620)의 제2탄성 바아(623)에서 제1나선부(610)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결 바아(643)와, 상기 제2연결 바아(643)에서 제2나선부(6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지지부(612)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후, 제1나선부(610)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지지부(644)와, 제1지지부(642) 및 제2지지부(644)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부(64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노즐의 막힘을 방지하여 분무 생성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무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무 장치 중 분무 헤드와 베이스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무 장치 중 초미세 필터 노즐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무 장치 중 고정 브라켓과 베이스사이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무 장치 중 구동부와 동압 베어링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무 장치 중 동압 베어링과 급수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8은 일반적인 동압 베어링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무 장치의 동압 베어링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무 장치의 동압 베어링 중 지지 디스크와 가압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무 장치 중 동압 베어링의 가압부를 나타내는 결합도 및 분리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무 장치 중 동압 베어링의 제1흡수부와 제2흡수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무 장치 중 동압 베어링의 흡수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무 장치 중 동압 베어링의 상부 흡수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무 장치 중 동압 베어링의 하부 흡수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무 장치 중 동압 베어링의 제1탄성 연결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무 장치 중 동압 베어링의 제2탄성 연결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무 장치(1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관(120)이 내부에 구비되는 지지대(100)와, 상기 지지대(100)상에 구비되는 베이스(B)와, 상기 베이스(B) 상에 구비되는 분무 헤드(200)와 상기 분무 헤드(200) 내부 일 측에 구비되는 팬(F)과, 상기 분무 헤드(200) 내부 타 측에 구비되는 물 토출부(3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분무 헤드(200)는 중공 형상이고 양 측면은 개방된 분무 헤드 본체(210)를 포함한다. 이러한 분무 헤드 본체(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지고 양 측은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무 헤드 본체(210)의 일 측면의 직경은 타 측면의 직경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분무 헤드 본체(210)의 도면상 좌측면 개방부가 우측면 개방부보다 직경이 직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분무 헤드 본체(210)의 도면상 우측면 개방부의 내부에 팬(F)이 설치되고 상기 분무 헤드 본체(210)의 도면상 좌측면 개방부에 상기 물 토출부(3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팬(F)에 의해 공기가 도면상 우측 개방부로부터 도입되어 분무 헤드 본체(210) 내부로 도입되어 분무 헤드 본체(210)의 좌측면으로 토출된다. 또한, 상기 물 토출부(300)로부터 물이 토출되어 상기 공기와 혼합되어 분무로 생성된다.
이러한 물 토출부(300)는 상기 분무 헤드 본체(210) 중 일 측면 끝단(본 실시예의 경우 분무 헤드 본체의 좌측면 끝단)에 구비되고 링 형상이며 중공 형상인 물 토출부 본체(310)와, 상기 물 토출부 본체(310) 일 측에 구비되는 물 투입부(330)와, 상기 물 토출부 본체(310)에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 구비되고 물 토출부 본체(310) 내부와 연통되는 토출관(320)과, 상기 토출관(320) 내부에 구비되는 초미세 필터 노즐(34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B)를 지지하는 지지대 본체(110)와 상기 지지대 본체(120) 내부에 구비되는 급수관(120)을 포함한다. 상기 급수관(120)에는 물 공급부(도시되지 않음)에 연통되어 상기 물 토출부(300)로 물을 공급한다. 상기 급수관(120)은 상기 베이스(B)를 관통하여 일부가 상향 노출된다. 상기 노출된 급수관(120)은 급수 연결부(121)를 통해 상기 물 토출부(300)의 물 투입부(330)에 연결된다. 이를 위해 널리 알려진 호스 등의 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B)의 일 측에는 펌프(PM)가 구비되어 급수관(120) 내부로 물이 유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널리 알려진 관계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 물 투입부(330)를 통해 물이 물 투입부 본체(310) 내부에 투입된다. 상기 물 투입부 본체(310)에는 토출관(320)이 연통 가능하게 구비되어 물이 상기 토출관(320)으로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한편, 상기 토출관(320)에는 초미세 필터 노즐(340)이 구비되어 물이 상기 초미세 필터 노즐(340)을 통과하여 외부로 토출된다. 따라서, 상기 물에 잔존하는 이물질이 상기 초미세 필터 노즐(340)에 의해 필터링되므로 노즐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초미세 필터 노즐(34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관(320) 내부에 구비되는 초미세 필터부(341)와 상기 초미세 필터부(341)의 끝단에 구비되고 토출관(320) 외부에 부착되는 노즐부(342)를 포함한다.
상기 초미세 필터부(341)는 메쉬 형상이고 중공 형상인 필터(341b)와, 상기 필터(341b)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부 본체(341c)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필터부 본체(341c)는 내부에 유동공(341d)이 형성되며 일 측에는 투입공(341a)이 형성되어 상기 유동공(341d)과 연통된다. 즉, 상기 토출관(320)으로 투입된 물은 토출관(320) 내부와 필터(341b) 외부 사이 공간(공간A)으로 투입된다. 상기 투입된 물은 필터(341b)를 통과하여 필터(341b)와 필터부 본체(341c) 사이 공간(공간 B)으로 투입된다. 이때, 상기 물이 필터(341b)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은 내부로 투입되지 못하고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 우측에 이물질이 쌓이게 된다.(도면부호 341e)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이물질이 내부로 투입되지 않아 노즐의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노즐부(342)는 상기 토출관(320) 외부에 구비되는 노즐부 본체(342a)를포함하되, 상기 노즐부 본체(342a) 내부에는 토출공(342b)이 형성되어 상기 유동공(341d)과 연통된다. 즉, 상기 초미세 필터부(341)를 통과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물은 유동공(341d)과 토출공(342b)을 거쳐 외부로 토출되고, 상술된 바와 같이 팬에 의해 공급된 물과 혼합되어 분무로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상술된 바와 같이 이물질이 노즐부(342)로 투입되지 않아 노즐 막힘이 방지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1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형상의 지지대 본체(110)를 포함하여, 상기 급수관(120)이 지지대 본체(110) 내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급수관(120)은 상기 베이스(B)를 관통한 후 상기 베이스(B) 상면에 노출되어 상기 물 토출부(300)의 물 투입부(330)와 연통된다.
상기 분무 헤드(200)는 분무 헤드 본체(210) 일 측에 구비되는 고정 브라켓(220) 및 구동부(700)를 포함하여 상기 분무 헤드(200)를 베이스(B)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본 발명의 경우 상기 분무 헤드(200)가 베이스(B) 상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분무 토출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220)은 상기 분무 헤드 본체(210) 일 측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부(222)와, 상기 수직부(222)의 하단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베이스(B) 상면에 접하는 수평부(221)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직부(222)가 상기 수평부(221)의 양 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어 분무 헤드 양 측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구동부(700)는 상기 수직부(222) 저면과 베이스(B) 상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수평부(221)를 회동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B)와 수평부(221)는 상기 급수관(120)이 관통하여 상단 일부가 노출되고, 상기 베이스(B)의 상면 요홈부(B1)에는 동압 베어링(400)이 설치되어 급수관(120)의 회동을 지지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B)의 상면 요홈부(B1)에 후술되는 동압 베어링(400)이 설치되고 또 다른 요홈부(B2)에 상기 구동부(700)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700)는 상기 상면 요홈부(B2)에 설치되어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 액츄에이터(710)와 상기 구동 액츄에이터(710)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샤프트(720)를 포함한다. 상기 샤프트(720)에는 제1기어(730)가 연동되어 회전한다. 상기 수평부(221)의 저면에는 제2기어(740)가 설치된다. 상기 제2기어(740)는 제1기어(730)와 직교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기어(730)가 회전하면 제2기어(740)가 회전하여 수평부(221)가 회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분무 헤드가 회전한다.
상기 베이스(B)의 상면 요홈부(B2)의 깊이는 상기 제2기어(740)가 제1기어(7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부(221)의 저면이 베이스(B) 상면과 접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동압 베어링 장치(400)는 도 7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의 베어링 본체(410)와, 상기 베어링 본체(410) 내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 개의 요홈부(490)와, 상기 요홈부(490)에 구비되는 압전 소자부(430)와, 상기 압전 소자부(430)에 의해 전후진 하며 급수관(120)에 접하는 탄성 패드(460)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패드(460) 내부에는 압축성 유체가 충진된다.
즉, 상기 압전 소자부(430)에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압전 소자부(430)의 크기가 증감하여 압전 소자부(430)가 전후진하고 이에 의해 탄성 패드(460)가 급수관(120) 방향으로 전진하거나 혹은 후퇴한다. 이때, 상기 탄성 패드(460) 내부에는 공기 등과 같은 압축 유체가 충진되어 상기 탄성 패드(460)는 탄력적으로 급수관(120)를 가압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급수관(120)가 회전에 따른 진동을 하는 경우 상기 탄성 패드(460)에 의해 진동을 저감한다.
한편, 상기 압전 소자부에 의해 샤프트의 진동을 저감하는 기술 자체는 널리 알려져 있다.
도 5에 도시된 기술은 일본 등록 특허 제5121047호에 기재된 것으로서, 압전 소자부가 패드를 전후진하여 샤프트(스핀들)의 진동을 억제하게 된다. 이러한 기술은 상술된 일본 등록 특허 제5121047호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어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과 달리 압축 유체가 충진된 탄성 패드(460)를 이용하는 것이다.
즉, 샤프트의 진동을 상기 탄성 패드(460)에 의해 압력 변동으로 측정하거나 혹은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센서에 의해 감지한다. 이러한 샤프트의 진동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술된 바와 같은 압전 소자부의 작용에 의해 진동을 저감한다. 한편, 상기 샤프트의 진동 감지와 압전 소자부 작용 자체는 상술된 종래 기술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어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한편, 도 9는 도 7에서 급수관(120) 및 동적 베어링(400) 일부를 확대한 것으로서 기술 내용을 명료하게 표현하기 위해 급수관(120)와 탄성 패드(460)를 직선으로 표현한 것이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홈부(490)의 바닥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배치되고 일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베이스(420)를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420)에 상기 압전 소자부(430)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420)를 통해 전원 공급 배선이 상기 압전 소자부(430)로 연결된다. 이러한 전원 공급 배선은 제어부(CON)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압전 소자부(430)를 제어한다. 즉, 발생되는 진동이 설정된 범위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압전 소자(430)를 전후진하고, 이에 의해 탄성 패드(460)가 급수관(120)를 가압하여 진동을 저감한다.
한편, 상기 압전 소자부(430)의 끝단에 가압부(500)가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500)가 압전 소자부(430)에 의해 전후진하여 상기 탄성 패드(460)의 압력을 조절한다. 또한, 상기 요홈부(490) 내부에는 지지 디스크(470)가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 디스크(470)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500)가 관통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디스크(470)은 판체 형상이고 개방부(472)가 형성되는 지지 디스크 본체(471)를 포함한다. 상기 개방부(472)에 상기 가압부(500)가 관통하여 탄성 패드를 가압한다.
상기 개방부(472)와 가압부(500) 사이에는 탄성 연결부(480)가 구비되어 개방부(472)와 가압부(500)의 충돌을 방지한다.
상기 탄성 연결부(480)는 상기 개방부(472) 측에 구비되고 특정 원주 길이를 가지는 원호 형상의 제1지지부(481)와, 상기 가압부(500) 측에 구비되고 특정 원주 길이를 가지며 원호 형상인 제2지지부(48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부(481)에는 제1판 스프링(483)이 설치되고, 제2지지부(482)에는 제2판 스프링(484)이 설치된다. 상기 제1판 스프링(483)은 상기 제2지지부(482)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고, 제2판 스프링(484)는 제1지지부(481)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된다.
상기 제1판 스프링(483) 중 제2판 스프링(484) 방향 측면에는 반원 형상의 제1홀더(485)가 형성되고, 제2판 스프링(484) 중 제1판 스프링(483) 방향 측면에는 제1홀더(485)와 대칭 형상인 제2홀더(486)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홀더(485)와 제2홀더(486)사이에 탄성볼(487)이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개방부(472)와 가압부(500) 사이가 근접되어도 상기 제1판 스프링(483)과 제2판 스프링(484)의 탄성 변형에 의해 1차 흡수되고, 상기 탄성볼(487)에 압축 변형에 의해 2차 흡수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패드(460)는 압축성 유체가 충진되는 탄성 패드 본체(461)와, 상기 탄성 패드 본체(461) 양 측에 돌출되는 돌출 돌기(462)를 포함한다. 상기 요홈부(490)의 내부 양 측에 장착홈(491)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 돌기(462)가 삽입되어 상기 탄성 패드(460)가 안정적으로 설치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420)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일정 간격 이격된다. 이러한 베이스(420)와 요홈부(490) 사이에 지지 블록(450)이 설치되어 상기 압전 소자부(430)를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 블록(4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요홈부(490) 벽면과 압전 소자부(430) 사이에 구비되는 제2지지 블록(452)과, 한 쌍의 압전 소자부(430) 사이에 구비되는 제1지지 블록(451)을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 블록(451)의 양 측면은 돌출되어 베이스(420)와 압전 소자부(43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제2지지 블록(452)의 일 측은 요홈부(490) 내측면에 밀착되고 타 측 일부는 돌출되어 베이스(420)와 압전 소자부(43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도 11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500)는 상기 탄성 패드(460, 도 9참조, 이하 동일함) 방향 측면에 배치되는 제1가압부(510)와, 상기 제1가압부(510)에서 압전 소자부(430, 도 9참조, 이하 동일함)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가압부(520)와, 상기 제1가압부(510) 및 제2가압부(520) 사이에 배치되는 제1흡수부(530)를 포함한다.
즉, 상기 가압부(50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제1가압부(510)와 제2가압부(5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압부(510)는 탄성 패드(460) 방향에 배치되고, 제2가압부(520)는 압전 소자부(430)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1가압부(510)와 제2가압부(520) 사이에 제1흡수부(530)가 구비되어 그 사이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한다.
상기 제1가압부(510)는 상기 탄성 패드(460)에 접하는 제1가압부 본체(511)를 포함하되, 상기 제1가압부 본체(511) 중 제2가압부(520) 방향 측면의 중앙 일부에는 제1평탄부(5111)가 형성된다. 상기 제1평탄부(5111)에는 특정 곡률로 요홈되는 제1요홈부(5112)가 복수 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평탄부(5111)의 반경 방향 외측에는 제2가압부(520) 방향으로 돌출되어 단턱을 이루는 제1단턱부(5113)가 형성되고, 상기 제1단턱부(5113)의 반경 방향 외측에 제2가압부(520) 방향으로 돌출되어 단턱을 이루는 제2단턱부(5114)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평탄부(5111)의 반경 방향 외측에 제1단턱부(5113)가 제2가압부(520) 방향으로 돌출한다. 상기 제1단턱부(5113)의 반경 방향 외측에 제2단턱부(5114)가 돌출된다.
상기 제2가압부(520)는 상기 제2단턱부(5114) 내부에 삽입되고, 제1단턱부(5113)에 접하는 제2가압부 본체(521)를 포함한다. 상기 제2가압부 본체(521) 중 제1가압부(510) 방향 측면의 중앙 일부에는 제2평탄부(5211)가 형성된다. 상기 제2평탄부(5211)에는 특정 곡률로 요홈되는 제2요홈부(521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평탄부(5111)와 제2평탄부(5211) 사이에 상기 제1흡수부(530)가 배치되어 상술된 바와 같이 충격을 흡수한다.
상기 제1흡수부(530)는 다수 개의 탄성볼(531)과, 상기 탄성볼(531)이 삽입되는 링 형상의 홀더(532)와, 상기 홀더(53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바아(533)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볼(531)은 상기 제1요홈부(5112) 및 제2요홈부(5212)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탄성볼(531)에 의해 상기 충격을 흡수한다.
상기 연결 바아(533)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형 형상으로 배치된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기 홀더(532)는 사각형의 모서리에 배치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홀더(532)사이에 연결 바아(533)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 바아(533)는 사각형 형상의 각 변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연결 바아(533)로 이루어진 내부 공간 즉, 상기 실시예의 경우 사각형 형상의 내부 공간에는 판체 형상의 베이스(540)가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540)와 연결 바아(533) 사이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 연결부(550)가 연결된다.
이러한 베이스(540)의 상면 및 하면에는 제2흡수부(600)가 배치되어 제1평탄부(5111) 및 제2평탄부(5211)에 각각 접한다.
상기 제2흡수부(600)는 특정 방향으로 감겨지는 나선 형상을 가지고, 동일 형상이며 상기 베이스(54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2 상부 흡수부(600A) 및 제2하부 흡수부(600B)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상부 흡수부(600A)와 제2하부 흡수부(600B)는 대칭 형상을 가져 상호 반대 방향으로 감겨지는 형상을 가진다.
도 15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압부(510) 상부에서 하측 방향(view 3)으로 본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베이스(540)와 제1가압부 본체(511)를 파선으로 표시하고 제2흡수부(600) 중 베이스(540) 상면에 배치된 제2상부 흡수부(600A)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압부(510) 상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본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베이스(540)와 제2가압부 본체(521)를 파선으로 표시하고 제2흡수부(600) 중 베이스(540) 저면에 배치된 제2하부 흡수부(600B)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상부 흡수부(600A)는 반 시계 방향으로 김긴 형상을 가지고, 제2하부 흡수부(600B)는 대칭형상을 가지며 시계 방향으로 감겨진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2상부 흡수부(600A)와 제2하부 흡수부(600B)는 동일한 형상이나 대칭되도록 배치되며, 이하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제2 상부 흡수부(600A)를 예로 설명한다.
상기 제2흡수부(600)는 나선 형상으로 배치되는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나선부(610)는 제1평탄부(5111) 또는 제2평탄부(5211)에 고정되는 제11고정 바아(611)와, 상기 베이스(540)에 고정되는 제12고정 바아(612)와, 상기 제11고정 바아(611)와 제12고정 바아(612) 사이에 나선 형성으로 배치되는 제1탄성 바아(613)를 포함한다.
상기 제2나선부(620)는 유사하게 제1평탄부(5111) 또는 제2평탄부(5211)에 고정되고 상기 제11고정 바아(611)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제21고정 바아(621)와, 상기 베이스(540)에 고정되는 제22고정 바아(622)와, 상기 제21고정 바아(621)와 제22고정 바아(622) 사이에 나선 형성으로 배치되는 제2탄성 바아(62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탄성 바아(613)는 제2탄성 바아(623)와 동일 방향으로 감겨지고 제1탄성 바아(613)의 나선 내부에 제2탄성 바아(623)가 배치된다.
상기 제2흡수부(600) 중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의 일측 단부는 제1평탄부(5111)에 고정되고, 제2하부 흡수부(600B)의 제11고정 바아(611B) 및 제21고정 바아(621B)의 일측 단부는 제2평탄부(5211)에 고정되며,
상기 제2흡수부(600) 중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2고정 바아(612A) 및 제22고정 바아(622A)의 일측 단부는 베이스(540) 상면에 고정되고, 제2하부 흡수부(600B)의 제12고정 바아(612B) 및 제22고정 바아(621B)의 일측 단부는 베이스(540) 저면에 고정된다.
즉, 베이스(540) 상면에 배치되는 제2상부 흡수부(600A)의 경우 상기 제1나선부(610)의 제11고정 바아(611,611A)는 상부 고정부(510)의 제1평탄부(5111)에 고정되고, 제12고정 바아(612,612A)는 베이스(540) 상면에 고정된다. 또한, 제2나선부(620)의 제21고정 바아(621,621A)는 상부 고정부(510)의 제1평탄부(5111)에 고정되고, 제22고정 바아(622,622A)는 베이스(540) 상면에 고정된다.
또한, 베이스(540) 저면에 배치되는 제2상부 흡수부(600B)의 경우 상기 제1나선부(610)의 제11고정 바아(611,611B)는 하부 고정부(520)의 제1평탄부(5211)에 고정되고, 제12고정 바아(612,612B)는 베이스(540) 저면에 고정된다. 또한, 제2나선부(620)의 제21고정 바아(621,621B)는 하부 고정부(520)의 제1평탄부(5211)에 고정되고, 제22고정 바아(622,622B)는 베이스(540) 저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540)의 상면에는 상기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가 이동하기 위한 상부 이동 그루브(542)가 형성되되, 상기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가 이동하여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가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방향으로 상기 상부 이동 그루브(54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540)의 저면에는 상기 제2하부 흡수부(600B)의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가 이동하기 위한 하부 이동 그루브(543)가 형성되되, 상기 제11고정 바아(611B) 및 제21고정 바아(621B)가 이동하여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가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방향으로 상기 하부 이동 그루브(543)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고정부(510)가 탄성 패드와의 첩촉에 의해 방향1(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가압부 본체(511)에 고정된 제11고정 바아(611) 역시 방향1(반시계 방향)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540) 상에는 상부 이동 그루브(542)가 형성되어 상기 제11고정 바아(611) 하부는 상기 상부 이동 그루브(542) 상에서 방향1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제11고정 바아(611)가 반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탄성 바아(613)가 감기게 된다. 또한, 제21고정 바아(621) 역시 반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2 탄성 바아(623)가 감기게 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가 감기게 되고 상부 고정부(510)가 일정 각도 회전하더라도 다시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반대로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고정부(510)가 탄성 패드와의 첩촉에 의해 방향2(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압부 본체(511)에 고정된 상기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1고정 바아(611)와 제21고정 바아(621) 역시 방향2(시계 방향)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540) 상에는 상부 이동 그루브(542)가 형성되어 상기 제11고정 바아(611) 하부는 상기 상부 이동 그루브(542) 상에서 방향 2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제1나사부(610)와 제2나사부(620)는 반시계 방향으로 감겨져 있으므로 상기 제11고정 바아(611)와 제21 고정 바아(621)이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나사부(610)와 제2나사부(620)는 풀려지게 된다.
다만, 베이스(540)의 저면에 설치된 제2하부 흡수부(600B)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그루브(543)에 제11고정 바아(511)와 제21고정 바아(52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540)의 회전에 따라 걸림되어 제11고정 바아(511)와 제21고정 바아(52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감겨지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부 고정부(510)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상부 흡수부(600A)가 감겨져서 상부 고정부(510)가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상부 고정부(5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하부 흡수부(600B)가 감져져서 결국 상부 고정부(510)가 원래 위치로 복귀 하게 된다.
한편, 도 14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흡수부(600)의 제1 탄성 바아(613)와 제2 탄성 바아(623) 사이에 구비되는 제1탄성 연결부(63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제1탄성 연결부(630)는 상기 제1 탄성 바아(613)에 고정되는 제1고정판(631)과, 상기 제2 탄성 바아(623)에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판(631)과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제2고정판(632)과, 상기 제1고정판(631)과 제2고정판(632)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볼(633)을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판(631)은 판체 형상을 가져 상기 제1 탄성 바아(613)에 고정되는 제1고정판 본체(6311)와 상기 제1고정판 본체(6311) 중 제2고정판(632) 방향 측면에 형성되고 일정 곡률로 요홈되는 다수 개의 요홈부(6312)와, 상기 요홈부(6312) 내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제1고정판 본체(6311)의 길이 방향으로 대칭되며 요홈부(6312)의 바닥에서 특정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탄성볼(633)이 내부에 삽입되는 홀더(63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판(632)은 판체 형상을 가져 상기 제2 탄성 바아(623)에 고정되는 제2고정판 본체(6321)와 상기 제2고정판 본체(6321) 중 제1고정판(631) 방향 측면에 형성되고 일정 곡률로 요홈되는 다수 개의 요홈부(6322)와, 상기 요홈부(6322) 내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제2고정판 본체(6321)의 길이 방향으로 대칭되며 요홈부(6322)의 바닥에서 특정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탄성볼(633)이 내부에 삽입되는 홀더(6323)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탄성 바아(613)가 회전하여 제1고정판(631)이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고정판(631)이 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 탄성볼(633)이 변형된다. 이때, 상기 탄성볼(633)은 탄성에 의해 원래 형상으로 복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고정판(631) 역시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도 14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흡수부(600)의 제1 탄성 바아(613)와 제2 탄성 바아(623) 사이에 구비되는 제2탄성 연결부(6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탄성 연결부(640)는 동일 형상이고 상호 대칭인 제2흡수부 좌측부(600A)와 제2흡수부 우측부(600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탄성 연결부(640)는 제1나선부(610)의 제1탄성 바아(613)에서 제2나선부(620)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결 바아(641)와, 상기 제1연결 바아(641)에서 제1나선부(6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후 제2나선부(620)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지지부(612)와, 상기 제2나선부(620)의 제2탄성 바아(623)에서 제1나선부(610)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결 바아(643)와, 상기 제2연결 바아(643)에서 제2나선부(6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지지부(612)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후, 제1나선부(610)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지지부(644)와, 제1지지부(642) 및 제2지지부(644)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부(645)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탄성 바아(613)가 이동하는 경우라도 상기 제2탄성 연결부(640)에 의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지지대 110 : 지지대 본체
120 : 급수관 200 : 분무 헤드
210 : 분무 헤드 본체 220 : 고정 브라켓
300 : 물 토출부 310 : 물 토출부 본체
320 : 토출관 330 : 물 투입부
400 : 동압 베어링 410 : 베어링 본체
420 : 베이스 430 : 압전 소자부
460 : 탄성 패드 490 : 요홈부
500 : 가압부 510 : 제1가압부
520 : 제2가압부 530 : 제1흡수부
600 : 제2흡수부 700 : 구동부

Claims (8)

  1. 급수관(120)이 내부에 구비되는 지지대(100)와, 상기 지지대(100)상에 구비되는 베이스(B)와, 상기 베이스(B) 상에 구비되는 분무 헤드(200)와 상기 분무 헤드(200) 내부 일 측에 구비되는 팬(F)과, 상기 분무 헤드(200) 내부 타 측에 구비되는 물 토출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분무 헤드(200)는 중공 형상이고 양 측면은 개방된 분무 헤드 본체(210)를 포함하고,
    상기 물 토출부(300)는 상기 분무 헤드 본체(210) 중 일 측면 끝단에 구비되고 링 형상이며 중공 형상인 물 토출부 본체(310)와, 상기 물 토출부 본체(310) 일 측에 구비되는 물 투입부(330)와, 상기 물 토출부 본체(310)에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 구비되고 물 토출부 본체(310) 내부와 연통되는 토출관(320)과, 상기 토출관(320) 내부에 구비되는 초미세 필터 노즐(340)을 포함하고,
    상기 초미세 필터 노즐(340)는 상기 토출관(320) 내부에 구비되는 초미세 필터부(341)와 상기 초미세 필터부(341)의 끝단에 구비되고 토출관(320) 외부에 부착되는 노즐부(342)를 포함하고,
    상기 초미세 필터부(341)는 메쉬 형상이고 중공 형상인 필터(341b)와, 상기 필터(341b)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부 본체(341c)를 포함하되,
    상기 필터부 본체(341c)는 내부에 유동공(341d)이 형성되며 일 측에는 투입공(341a)이 형성되어 상기 유동공(341d)과 연통되고,
    상기 노즐부(342)는 상기 토출관(320) 외부에 구비되는 노즐부 본체(342a)를포함하되, 상기 노즐부 본체(342a) 내부에는 토출공(342b)이 형성되어 상기 유동공(341d)과 연통되는 초미세 필터 노즐을 구비하는 분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0)는 중공 형상의 지지대 본체(110)를 포함하여, 상기 급수관(120)이 지지대 본체(11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급수관(120)은 상기 베이스(B)를 관통한 후 상기 베이스(B) 상면에 노출되어 상기 물 토출부(300)의 물 투입부(330)와 연통되고,
    상기 분무 헤드(200)는 분무 헤드 본체(210) 일 측에 구비되는 고정 브라켓(220) 및 구동부(700)를 포함하여 상기 분무 헤드(200)를 베이스(B)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고정 브라켓(220)은 상기 분무 헤드 본체(210) 일 측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부(222)와, 상기 수직부(222)의 하단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베이스(B) 상면에 접하는 수평부(221)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700)는 상기 수직부(222) 저면과 베이스(B) 상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수평부(221)를 회동하며,
    상기 베이스(B)와 수평부(221)는 상기 급수관(120)이 관통하여 상단 일부가 노출되고, 상기 베이스(B)의 상면 요홈부에는 동압 베어링(400)이 설치되어 급수관(120)의 회동을 지지하는 초미세 필터 노즐을 구비하는 분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압 베어링 장치(400)는 링 형상을 가지고 급수관(120)이 내부에서 관통하는 베어링 본체(410)와, 상기 베어링 본체(410) 내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 개의 요홈부(490)와, 상기 요홈부(490)에 구비되는 압전 소자부(430)와, 상기 압전 소자부(430)에 의해 전후진 하며 상기 급수관(120)에 접하는 탄성 패드(460)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패드(460) 내부에는 압축성 유체가 충진되고,
    상기 요홈부(490)의 바닥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배치되고 일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베이스(420)를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420)에 상기 압전 소자부(430)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420)를 통해 전원 공급 배선이 상기 압전 소자부(430)로 연결되고,
    상기 압전 소자부(430)의 끝단에 가압부(500)가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500)가 압전 소자부(430)에 의해 전후진하여 상기 탄성 패드(460)의 압력을 조절하며,
    상기 요홈부(490) 내부에 지지 디스크(470)가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 디스크(470)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500)가 관통하며,
    상기 탄성 패드(460)는 압축성 유체가 충진되는 탄성 패드 본체(461)와, 상기 탄성 패드 본체(461) 양 측에 돌출되는 돌출 돌기(462)를 포함하며,
    상기 요홈부(490)의 내부 양 측에 장착홈(491)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 돌기(462)가 삽입되는 초미세 필터 노즐을 구비하는 분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500)는 상기 탄성 패드(460) 방향 측면에 배치되는 제1가압부(510)와, 상기 제1가압부(510)에서 압전 소자부(430)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가압부(520)와, 상기 제1가압부(510) 및 제2가압부(520) 사이에 배치되는 제1흡수부(530)를 포하하고,
    상기 제1가압부(510)는 상기 탄성 패드(460)에 접하는 제1가압부 본체(511)를 포함하되, 상기 제1가압부 본체(511) 중 제2가압부(520) 방향 측면의 중앙 일부에는 제1평탄부(5111)가 형성되고, 상기 제1평탄부(5111)에는 특정 곡률로 요홈되는 제1요홈부(5112)가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제1평탄부(5111)의 반경 방향 외측에는 제2가압부(520) 방향으로 돌출되어 단턱을 이루는 제1단턱부(5113)가 형성되고, 상기 제1단턱부(5113)의 반경 방향 외측에 제2가압부(520) 방향으로 돌출되어 단턱을 이루는 제2단턱부(5114)가 형성되며,
    상기 제2가압부(520)는 상기 제2단턱부(5114) 내부에 삽입되고, 제1단턱부(5113)에 접하는 제2가압부 본체(521)를 포함하되, 상기 제2가압부 본체(521) 중 제1가압부(510) 방향 측면의 중앙 일부에는 제2평탄부(5211)가 형성되고, 상기 제2평탄부(5211)에 특정 곡률로 요홈되는 제2요홈부(5212)가 형성되며,
    상기 제1평탄부(5111)와 제2평탄부(5211) 사이에 상기 제1흡수부(530)가 배치되며,
    상기 제1흡수부(530)는 다수 개의 탄성볼(531)과, 상기 탄성볼(531)이 삽입되는 링 형상의 홀더(532)와, 상기 홀더(53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바아(533)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볼(531)은 상기 제1요홈부(5112) 및 제2요홈부(5212) 사이에 배치되는 초미세 필터 노즐을 구비하는 분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바아(533)로 이루어진 내부 공간에는 판체 형상의 베이스(540)가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540)와 연결 바아(533) 사이에는 탄성 연결부(550)가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540)의 상면 및 하면에는 제2흡수부(600)가 배치되어 제1평탄부(5111) 및 제2평탄부(5211)에 각각 접하며,
    상기 제2흡수부(600)는 특정 방향으로 감겨지는 나선 형상을 가지고, 동일 형상이며 상기 베이스(54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2 상부 흡수부(600A) 및 제2하부 흡수부(600B)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상부 흡수부(600A)와 제2하부 흡수부(600B)는 대칭 형상을 가져 상호 반대 방향으로 감겨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흡수부(600)는 나선 형상으로 배치되는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나선부(610)는 제1평탄부(5111) 또는 제2평탄부(5211)에 고정되는 제11고정 바아(611)와, 상기 베이스(540)에 고정되는 제12고정 바아(612)와, 상기 제11고정 바아(611)와 제12고정 바아(612) 사이에 나선 형성으로 배치되는 제1탄성 바아(6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나선부(620)는 제1평탄부(5111) 또는 제2평탄부(5211)에 고정되고 상기 제11고정 바아(611)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제21고정 바아(621)와, 상기 베이스(540)에 고정되는 제22고정 바아(622)와, 상기 제21고정 바아(621)와 제22고정 바아(622) 사이에 나선 형성으로 배치되는 제2탄성 바아(623)를 포함하며,
    상기 제1탄성 바아(613)는 제2탄성 바아(623)와 동일 방향으로 감겨지고 제1탄성 바아(613)의 나선 내부에 제2탄성 바아(623)가 배치되는 초미세 필터 노즐을 구비하는 분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흡수부(600) 중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의 일측 단부는 제1평탄부(5111)에 고정되고, 제2하부 흡수부(600B)의 제11고정 바아(611B) 및 제21고정 바아(621B)의 일측 단부는 제2평탄부(5211)에 고정되며,
    상기 제2흡수부(600) 중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2고정 바아(612A) 및 제22고정 바아(622A)의 일측 단부는 베이스(540) 상면에 고정되고, 제2하부 흡수부(600B)의 제12고정 바아(612B) 및 제22고정 바아(621B)의 일측 단부는 베이스(540) 저면에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540)의 상면에는 상기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가 이동하기 위한 상부 이동 그루브(542)가 형성되되, 상기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가 이동하여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가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방향으로 상기 상부 이동 그루브(542)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540)의 저면에는 상기 제2하부 흡수부(600B)의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가 이동하기 위한 하부 이동 그루브(543)가 형성되되, 상기 제11고정 바아(611B) 및 제21고정 바아(621B)가 이동하여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가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방향으로 상기 하부 이동 그루브(543)가 형성되는 초미세 필터 노즐을 구비하는 분무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흡수부(600)의 제1 탄성 바아(613)와 제2 탄성 바아(623) 사이에 구비되는 제1탄성 연결부(6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탄성 연결부(630)는 상기 제1 탄성 바아(613)에 고정되는 제1고정판(631)과, 상기 제2 탄성 바아(623)에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판(631)과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제2고정판(632)과, 상기 제1고정판(631)과 제2고정판(632)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볼(633)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판(631)은 판체 형상을 가져 상기 제1 탄성 바아(613)에 고정되는 제1고정판 본체(6311)와 상기 제1고정판 본체(6311) 중 제2고정판(632) 방향 측면에 형성되고 일정 곡률로 요홈되는 다수 개의 요홈부(6312)와, 상기 요홈부(6312) 내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제1고정판 본체(6311)의 길이 방향으로 대칭되며 요홈부(6312)의 바닥에서 특정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탄성볼(633)이 내부에 삽입되는 홀더(63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판(632)은 판체 형상을 가져 상기 제2 탄성 바아(623)에 고정되는 제2고정판 본체(6321)와 상기 제2고정판 본체(6321) 중 제1고정판(631) 방향 측면에 형성되고 일정 곡률로 요홈되는 다수 개의 요홈부(6322)와, 상기 요홈부(6322) 내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제2고정판 본체(6321)의 길이 방향으로 대칭되며 요홈부(6322)의 바닥에서 특정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탄성볼(633)이 내부에 삽입되는 홀더(6323)를 포함하고,
    상기 제2흡수부(600)의 제1 탄성 바아(613)와 제2 탄성 바아(623) 사이에 구비되는 제2탄성 연결부(6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탄성 연결부(640)는 동일 형상이고 상호 대칭인 제2흡수부 좌측부(600A)와 제2흡수부 우측부(600B)를 포함하고,
    상기 제2탄성 연결부(640)는 제1나선부(610)의 제1탄성 바아(613)에서 제2나선부(620)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결 바아(641)와, 상기 제1연결 바아(641)에서 제1나선부(6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후 제2나선부(620)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지지부(612)와, 상기 제2나선부(620)의 제2탄성 바아(623)에서 제1나선부(610)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결 바아(643)와, 상기 제2연결 바아(643)에서 제2나선부(6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지지부(612)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후, 제1나선부(610)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지지부(644)와, 제1지지부(642) 및 제2지지부(644)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부(645)를 포함하는 초미세 필터 노즐을 구비하는 분무 장치.
KR1020190158327A 2019-12-02 2019-12-02 초미세 필터 노즐을 구비하는 분무 장치 KR102160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327A KR102160731B1 (ko) 2019-12-02 2019-12-02 초미세 필터 노즐을 구비하는 분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327A KR102160731B1 (ko) 2019-12-02 2019-12-02 초미세 필터 노즐을 구비하는 분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0731B1 true KR102160731B1 (ko) 2020-09-28

Family

ID=72800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327A KR102160731B1 (ko) 2019-12-02 2019-12-02 초미세 필터 노즐을 구비하는 분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073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3496U (ko) * 1994-10-25 1996-05-17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저압수 차단용 노즐필터장치
KR200363828Y1 (ko) * 2004-07-01 2004-10-07 고혜경 안개 분무장치
KR100777836B1 (ko) * 2006-05-03 2007-11-28 (주)대호스크류 용융 수지의 혼련 및 여과를 위한 필터 노즐
KR101317189B1 (ko) 2011-11-15 2013-10-15 서동산업(주) 팬을 이용한 회전식 분무장치
KR20180120786A (ko) * 2016-03-31 2018-11-06 엔테그리스, 아이엔씨. 노즐 필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3496U (ko) * 1994-10-25 1996-05-17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저압수 차단용 노즐필터장치
KR200363828Y1 (ko) * 2004-07-01 2004-10-07 고혜경 안개 분무장치
KR100777836B1 (ko) * 2006-05-03 2007-11-28 (주)대호스크류 용융 수지의 혼련 및 여과를 위한 필터 노즐
KR101317189B1 (ko) 2011-11-15 2013-10-15 서동산업(주) 팬을 이용한 회전식 분무장치
KR20180120786A (ko) * 2016-03-31 2018-11-06 엔테그리스, 아이엔씨. 노즐 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46296B (zh) 喷嘴
JP2565300Y2 (ja) 逆止弁
US6595532B2 (en) Rack-pinion type steering apparatus
KR102160731B1 (ko) 초미세 필터 노즐을 구비하는 분무 장치
US20130034829A1 (en) Nano bubble generating nozzle and oral clean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15068708A1 (ja) 液体材料吐出装置および方法
WO2017141461A1 (ja) 研削装置
CN104245151A (zh) 超声波雾化装置
CN1994677B (zh) 砂轮装置
JP2006089025A (ja) ウオッシャーノズル
JP2000000448A (ja) 流体衝突装置
KR102143527B1 (ko) 초미세 필터 노즐을 구비하는 녹조 해소용 분무 장치
CN109648371A (zh) 一种含有液压支撑的转向器壳体加工工装
WO2010058661A1 (ja) シームレスカプセル製造装置
KR102074870B1 (ko) 분체 도장 장치
JP2007301509A (ja) 微粒化装置
KR102114664B1 (ko) 오링부가 구비된 알루미늄 가스켓 제조 장치
CN108421480A (zh) 一种基于流体驱动的喷射式工业生产用物料混合设备的工作方法
JP5021234B2 (ja) 微粒化装置
KR102058614B1 (ko) 조립식 압력 용기 유닛
KR101911675B1 (ko) 유체 토출 장치
JP2005240599A (ja) プランジャ式流体吐出装置
KR20210117054A (ko) 거품 생성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거품 발생 장치
JP4421290B2 (ja) ベローズポン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レジスト塗布装置
KR20210055320A (ko) 제어부를 구비하는 다중 스마트 뷰티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