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870B1 - 분체 도장 장치 - Google Patents

분체 도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870B1
KR102074870B1 KR1020190115197A KR20190115197A KR102074870B1 KR 102074870 B1 KR102074870 B1 KR 102074870B1 KR 1020190115197 A KR1020190115197 A KR 1020190115197A KR 20190115197 A KR20190115197 A KR 20190115197A KR 102074870 B1 KR102074870 B1 KR 102074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elastic
fixed
spiral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5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태
Original Assignee
(주)바로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로산업 filed Critical (주)바로산업
Priority to KR1020190115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8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07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work being an elongated body, e.g. wire or pi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presence or shape of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6/00Spray booths
    • B05B16/20Arrangements for spraying in combination with other operations, e.g. drying; Arrangements enabling a combination of spray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08Plant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02Apparatus for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a surface ; Controlling means therefor; Control of the thickness of a coating by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the coated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2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장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도장 대상물이 접하여 이동되도록 하는 접지 롤러 유닛과, 분체 도료 공급부에 연결되고, 상기 도장 대상물에 분체 도료를 분사하는 분사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접지 롤러 유닛은 도장 대상물의 이동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접지 롤러와, 상기 접지 롤러의 양 측단에 구비되어 상기 접지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접지 롤러와 분사 유닛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접지 롤러에는 특정 전극의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분사 유닛에는 반대 전극의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접지 롤러는 상기 특정 전극의 전원이 공급되는 접지 롤러 본체와, 상기 접지 롤러 본체의 외측면에 구비되고 접지 롤러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는 다수 개의 절연부를 포함하여, 상기 절연부 사이의 노출된 접지 롤러 본체에 상기 도장 대상물이 접하여 특정 전극으로 도전 되도록 한 후 분체 도장을 하도록 하여 종래보다 도장 속도를 향상시키고 균일한 도장을 구현할 수 있는 분체 도장 장치이다.

Description

분체 도장 장치{PAINTING DEVIDE}
본 발명은 도장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도장 대상물이 접하여 이동되도록 하는 접지 롤러 유닛과, 분체 도료 공급부에 연결되고, 상기 도장 대상물에 분체 도료를 분사하는 분사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접지 롤러 유닛은 도장 대상물의 이동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접지 롤러와, 상기 접지 롤러의 양 측단에 구비되어 상기 접지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접지 롤러와 분사 유닛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접지 롤러에는 특정 전극의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분사 유닛에는 반대 전극의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접지 롤러는 상기 특정 전극의 전원이 공급되는 접지 롤러 본체와, 상기 접지 롤러 본체의 외측면에 구비되고 접지 롤러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는 다수 개의 절연부를 포함하여, 상기 절연부 사이의 노출된 접지 롤러 본체에 상기 도장 대상물이 접하여 특정 전극으로 도전 되도록 한 후 분체 도장을 하도록 하여 종래보다 도장 속도를 향상시키고 균일한 도장을 구현할 수 있는 분체 도장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철체 프레임 등 길이가 긴 부재(이하 도장 대상물이라 함)은 건축 공사, 토목 공사, 기계, 철구조물 등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 목적상 부식 및 콘크리트의 균열을 방지하도록 표면에 페인트 등의 분체 도료를 이용하여 도장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도장 대상물의 도장을 위해 특별한 장치가 구비된 것이 아니라 테이블 위에 도장 대상물를 거치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도장용 스프레이건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진행하였다.
이로 인해 작업상의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도장 속도가 느려 생산성이 떨어지고, 균일한 도장이 되질않아 도장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분체 도장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미국 공개 특허 제20030136338호 미국 공개 특허 제20080047486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403348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534561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544054호 한국 공개 특허 제10-2003-002645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장 대상물이 접하여 이동되도록 하는 접지 롤러 유닛과, 분체 도료 공급부에 연결되고, 상기 도장 대상물에 분체 도료를 분사하는 분사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접지 롤러 유닛은 도장 대상물의 이동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접지 롤러와, 상기 접지 롤러의 양 측단에 구비되어 상기 접지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접지 롤러와 분사 유닛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접지 롤러에는 특정 전극의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분사 유닛에는 반대 전극의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접지 롤러는 상기 특정 전극의 전원이 공급되는 접지 롤러 본체와, 상기 접지 롤러 본체의 외측면에 구비되고 접지 롤러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는 다수 개의 절연부를 포함하여, 상기 절연부 사이의 노출된 접지 롤러 본체에 상기 도장 대상물이 접하여 특정 전극으로 도전 되도록 한 후 분체 도장을 하도록 하여 종래보다 도장 속도를 향상시키고 균일한 도장을 구현할 수 있는 분체 도장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장 대상물(W)의 이동 방향으로 배치되는 쇼트 블라스트 부스(B1), 세척 부스(B2), 도장 부스(B3) 그리고 배출 부스(B4)와 상기 각 부스 사이를 연결하고 도장 대상물(W)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유닛(C)을 포함하고, 상기 도장 부스(B3) 일측에는 도장을 위한 분체를 공급하는 분체 도료 공급부(300)와, 상기 도장 대상물(W)을 분체 도장 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700)가 구비되고, 상기 도장 부스(B3)는 도장 대상물(W)이 접하여 이동되도록 하는 접지 롤러 유닛(100)과, 상기 분체 도료 공급부(300)에 연결되고, 상기 도장 대상물(W)에 분체 도료를 분사하는 분사 유닛(200)을 포함하며, 상기 접지 롤러 유닛(100)은 도장 대상물(W)의 이동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접지 롤러(110)와, 상기 접지 롤러(110)의 양 측단에 구비되어 상기 접지 롤러(11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대(120)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 공급부(700)는 상기 접지 롤러(110)와 분사 유닛(200)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접지 롤러(110)에는 특정 전극의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분사 유닛(200)에는 반대 전극의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접지 롤러(110)는 상기 특정 전극의 전원이 공급되는 접지 롤러 본체(111)와, 상기 접지 롤러 본체(111)의 외측면에 구비되고 접지 롤러 본체(111)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는 다수 개의 절연부(112)를 포함하여, 상기 절연부(112)사이의 노출된 접지 롤러 본체(111)에 상기 도장 대상물(W)이 접하여 특정 전극으로 도전 되는 분체 도장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회전 지지대(120) 일 측에는 도장 대상물(W)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S)와, 상기 감지 센서(S) 및 분체 도료 공급부(300)와 전원 공급부(700)가 연결되는 제어부(CON)를 포함하여, 상기 도장 대상물(W)이 접근하면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상기 전원 공급부(700)에 의해 접지 롤러 본체(111)와, 분사 유닛(200)에 특정 전극의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분체 도료 공급부(300) 역시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분체 도료를 상기 분사 유닛(200)으로 공급한다.
상기에서, 상기 회전 지지대(120)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접지 롤러 본체(111)가 관통하는 회전 지지대 본체(121)와, 상기 개방부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접지 롤러 본체(11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압 베어링 장치(400)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동압 베어링 장치(400)는 상기 회전 지지대 본체(121)의 개방부에 끼움되고 링 형상을 가지며 접지 롤러 본체(111)가 내부에서 관통하는 베어링 본체(410)와, 상기 베어링 본체(410) 내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 개의 요홈부(490)와, 상기 요홈부(490)에 구비되는 압전 소자부(430)와, 상기 압전 소자부(430)에 의해 전후진 하며 상기 접지 롤러 본체(111)에 접하는 탄성 패드(460)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패드(460) 내부에는 압축성 유체가 충진되고, 상기 요홈부(490)의 바닥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배치되고 일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제1베이스(420)를 구비하여, 상기 제1베이스(420)에 상기 압전 소자부(430)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베이스(420)를 통해 전원 공급 배선이 상기 압전 소자부(430)로 연결되고, 상기 압전 소자부(430)의 끝단에 가압부(500)가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500)가 압전 소자부(430)에 의해 전후진하여 상기 탄성 패드(460)의 압력을 조절하며, 상기 요홈부(490) 내부에 지지 디스크(470)가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 디스크(470)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500)가 관통하며, 상기 탄성 패드(460)는 압축성 유체가 충진되는 탄성 패드 본체(461)와, 상기 탄성 패드 본체(461) 양 측에 돌출되는 돌출 돌기(462)를 포함하며, 상기 요홈부(490)의 내부 양 측에 장착홈(491)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 돌기(462)가 삽입된다.
상기에서, 상기 가압부(500)는 상기 탄성 패드(460) 방향 측면에 배치되는 제1가압부(510)와, 상기 제1가압부(510)에서 압전 소자부(430)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가압부(520)와, 상기 제1가압부(510) 및 제2가압부(520) 사이에 배치되는 제1흡수부(5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압부(510)는 상기 탄성 패드(460)에 접하는 제1가압부 본체(511)를 포함하되, 상기 제1가압부 본체(511) 중 제2가압부(520) 방향 측면의 중앙 일부에는 제1평탄부(5111)가 형성되고, 상기 제1평탄부(5111)에는 특정 곡률로 요홈되는 제1요홈부(5112)가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제1평탄부(5111)의 반경 방향 외측에는 제2가압부(520) 방향으로 돌출되어 단턱을 이루는 제1단턱부(5113)가 형성되고, 상기 제1단턱부(5113)의 반경 방향 외측에 제2가압부(520) 방향으로 돌출되어 단턱을 이루는 제2단턱부(5114)가 형성되며, 상기 제2가압부(520)는 상기 제2단턱부(5114) 내부에 삽입되고, 제1단턱부(5113)에 접하는 제2가압부 본체(521)를 포함하되, 상기 제2가압부 본체(521) 중 제1가압부(510) 방향 측면의 중앙 일부에는 제2평탄부(5211)가 형성되고, 상기 제2평탄부(5211)에 특정 곡률로 요홈되는 제2요홈부(5212)가 형성되며, 상기 제1평탄부(5111)와 제2평탄부(5211) 사이에 상기 제1흡수부(530)가 배치되며, 상기 제1흡수부(530)는 다수 개의 탄성볼(531)과, 상기 탄성볼(531)이 삽입되는 링 형상의 홀더(532)와, 상기 홀더(53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바아(533)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볼(531)은 상기 제1요홈부(5112) 및 제2요홈부(521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에서, 상기 연결 바아(533)로 이루어진 내부 공간에는 판체 형상의 제2베이스(540)가 배치되고, 상기 제2베이스(540)와 연결 바아(533) 사이에는 탄성 연결부(550)가 연결되며, 상기 제2베이스(540)의 상면 및 하면에는 제2흡수부(600)가 배치되어 제1평탄부(5111) 및 제2평탄부(5211)에 각각 접하며, 상기 제2흡수부(600)는 특정 방향으로 감겨지는 나선 형상을 가지고, 동일 형상이며 상기 제2베이스(54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2 상부 흡수부(600A) 및 제2하부 흡수부(600B)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상부 흡수부(600A)와 제2하부 흡수부(600B)는 대칭 형상을 가져 상호 반대 방향으로 감겨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흡수부(600)는 나선 형상으로 배치되는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나선부(610)는 제1평탄부(5111) 또는 제2평탄부(5211)에 고정되는 제11고정 바아(611)와, 상기 제2베이스(540)에 고정되는 제12고정 바아(612)와, 상기 제11고정 바아(611)와 제12고정 바아(612) 사이에 나선 형성으로 배치되는 제1탄성 바아(6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나선부(620)는 제1평탄부(5111) 또는 제2평탄부(5211)에 고정되고 상기 제11고정 바아(611)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제21고정 바아(621)와, 상기 제2베이스(540)에 고정되는 제22고정 바아(622)와, 상기 제21고정 바아(621)와 제22고정 바아(622) 사이에 나선 형성으로 배치되는 제2탄성 바아(623)를 포함하며, 상기 제1탄성 바아(613)는 제2탄성 바아(623)와 동일 방향으로 감겨지고 제1탄성 바아(613)의 나선 내부에 제2탄성 바아(623)가 배치된다.
상기에서, 상기 제2흡수부(600) 중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의 일측 단부는 제1평탄부(5111)에 고정되고, 제2하부 흡수부(600B)의 제11고정 바아(611B) 및 제21고정 바아(621B)의 일측 단부는 제2평탄부(5211)에 고정되며, 상기 제2흡수부(600) 중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2고정 바아(612A) 및 제22고정 바아(622A)의 일측 단부는 제2베이스(540) 상면에 고정되고, 제2하부 흡수부(600B)의 제12고정 바아(612B) 및 제22고정 바아(622B)의 일측 단부는 제2베이스(540) 저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2베이스(540)의 상면에는 상기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가 이동하기 위한 상부 이동 그루브(542)가 형성되되, 상기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가 이동하여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가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방향으로 상기 상부 이동 그루브(542)가 형성되고, 상기 제2베이스(540)의 저면에는 상기 제2하부 흡수부(600B)의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가 이동하기 위한 하부 이동 그루브(543)가 형성되되, 상기 제11고정 바아(611B) 및 제21고정 바아(621B)가 이동하여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가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방향으로 상기 하부 이동 그루브(543)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상기 제2흡수부(600)의 제1 탄성 바아(613)와 제2 탄성 바아(623) 사이에 구비되는 제1탄성 연결부(6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탄성 연결부(630)는 상기 제1 탄성 바아(613)에 고정되는 제1고정판(631)과, 상기 제2 탄성 바아(623)에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판(631)과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제2고정판(632)과, 상기 제1고정판(631)과 제2고정판(632)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볼(633)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판(631)은 판체 형상을 가져 상기 제1 탄성 바아(613)에 고정되는 제1고정판 본체(6311)와 상기 제1고정판 본체(6311) 중 제2고정판(632) 방향 측면에 형성되고 일정 곡률로 요홈되는 다수 개의 요홈부(6312)와, 상기 요홈부(6312) 내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제1고정판 본체(6311)의 길이 방향으로 대칭되며 요홈부(6312)의 바닥에서 특정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탄성볼(633)이 내부에 삽입되는 홀더(63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판(632)은 판체 형상을 가져 상기 제2 탄성 바아(623)에 고정되는 제2고정판 본체(6321)와 상기 제2고정판 본체(6321) 중 제1고정판(631) 방향 측면에 형성되고 일정 곡률로 요홈되는 다수 개의 요홈부(6322)와, 상기 요홈부(6322) 내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제2고정판 본체(6321)의 길이 방향으로 대칭되며 요홈부(6322)의 바닥에서 특정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탄성볼(633)이 내부에 삽입되는 홀더(6323)를 포함하고, 상기 제2흡수부(600)의 제1 탄성 바아(613)와 제2 탄성 바아(623) 사이에 구비되는 제2탄성 연결부(6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탄성 연결부(640)는 동일 형상이고 상호 대칭인 제2흡수부 좌측부(640A)와 제2흡수부 우측부(640B)를 포함하고, 상기 제2탄성 연결부(640)는 제1나선부(610)의 제1탄성 바아(613)에서 제2나선부(620)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결 바아(641)와, 상기 제1연결 바아(641)에서 제1나선부(6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후 제2나선부(620)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지지부(642)와, 상기 제2나선부(620)의 제2탄성 바아(623)에서 제1나선부(610)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결 바아(643)와, 상기 제2연결 바아(643)에서 제2나선부(6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지지부(642)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후, 제1나선부(610)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지지부(644)와, 제1지지부(642) 및 제2지지부(644)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부(64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보다 도장 속도가 향상되어 생산성이 제고되고, 균일한 도장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개략도 및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접지 롤러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제어부 관련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과 접지 롤러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일반적인 동압 베어링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압 베어링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압 베어링 중 지지 디스크와 가압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압 베어링의 가압부를 나타내는 결합도 및 분리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압 베어링의 제1흡수부와 제2흡수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압 베어링의 흡수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압 베어링의 상부 흡수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압 베어링의 하부 흡수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압 베어링의 제1탄성 연결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압 베어링의 제2탄성 연결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체 도장 장치(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장 대상물(W)의 이동 방향으로 배치되는 쇼트 블라스트 부스(B1), 세척 부스(B2), 도장 부스(B3) 그리고 배출 부스(B4)와 상기 각 부스 사이를 연결하고 도장 대상물(W)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유닛(C)을 포함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장 대상물이 도면상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쇼트 블라스트 부스(B1)와 세척 부스(B2) 그리고 도장 부스(B3)와 배출 부스(B4)가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도장 대상물은 널리 알려진 컨베이어 유닛(C)에 의해 이송된다.
상기 쇼트 블라스트 부스(B1)는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경질 입자(날카로운 모가 없는 알맹이)를 압축 공기, 기타의 방법으로 금속 표면에 분사하여 스케일, 녹, 도막 등을 제거하여 표면을 깨끗하게 마무리 가공하는 가공법으로서, 본 발명의 경우 도장 대상물을 상기 경질 입자를 분사하여 표면을 처리한다.
이후, 세척 부스(B2)를 통해 상기 쇼트 블라스트 처리된 가공 대상물을 세척한다. 상기 세척된 가공 대상물은 도장 부스(B3)를 통해 도장된 후 건조된다. 상기 도장 부스(B3)를 통해 도장된 가공 대상물은 배출 부스(B4)에서 포장되어 배출된다.
이러한 쇼트 블라스트 부스(B1), 세척 부스(B2) 그리고 도장 부스(B3)와 배출 부스(B4)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특히 상술된 종래 기술 문헌에 자세히 재되어 있어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한편, 상기 도장 부스(B3) 일측에는 도장을 위한 분체를 공급하는 분체 도료 공급부(300)와, 상기 도장 대상물(W)을 분체 도장 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700)가 구비된다. 즉, 도장 대상물(W)에 도장을 위한 분체가 상기 분체 도료 공급부(300)를 통해 공급되며 분체 도장을 위한 전력은 전원 공급기(700)에 의해 공급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며, 상기 분체 도료 공급부(300)와 전원 공급부(700)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특히 상술된 종래 기술 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어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또한, 상기 도장 대상물(W)은 컨베이어 유닛(C)에 의해 이송된다. 이러한 컨베이어 유닛(C) 자체도 널리 알려진 구성으로서 상술된 종래 기술 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어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한편, 상기 도장 부스(B3)는 도장 대상물(W)이 접하여 이동되도록 하는 접지 롤러 유닛(100)과, 상기 분체 도료 공급부(300)에 연결되고, 상기 도장 대상물(W)에 분체 도료를 분사하는 분사 유닛(200)을 포함한다.
상기 접지 롤러 유닛(100)은 도장 대상물(W)의 이동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접지 롤러(110)와, 상기 접지 롤러(110)의 양 측단에 구비되어 상기 접지 롤러(11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대(120)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 공급부(700)는 상기 접지 롤러(110)와 분사 유닛(200)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접지 롤러(110)에는 특정 전극의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분사 유닛(200)에는 반대 전극의 전원을 공급한다. 즉, 분체 도료를 도장 대상물(W)에 도장 하기 위해 상기 접지 롤러(110)에는 예를 들어 +전극을 부여하고 분사 유닛(200)에는 예를 들어 -전극을 부여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도장 대상물(W)은 +전극을 가지고 분사 유닛(200)을 분출되는 도료는 -전극을 가져서 상기 분체 도료가 도장 대상물(W)에 용이하게 도장된다.
한편, 상기 접지 롤러(110)는 상기 특정 전극의 전원이 공급되는 접지 롤러 본체(111)와, 상기 접지 롤러 본체(111)의 외측면에 구비되고 접지 롤러 본체(111)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는 다수 개의 절연부(11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절연부(112)사이의 노출된 접지 롤러 본체(111)에 상기 도장 대상물(W)이 접하여 특정 전극으로 도전된다. 즉, 상기 접지 롤러(110)가 +전극으로 도전되면 상기 절연부(112)사이로 노출된 접지 롤러 본체(111)에 상기 도장 대상물(W)이 접하고, 이에 의해 상기 도장 대상물(W)이 +전극으로 도전된다.
한편, 상기 접지 롤러(110) 자체는 컨베이어 유닛(C)에 의해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고, 별도의 구동부(M)-예를 들어 전동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회전 지지대(120) 일 측에는 도장 대상물(W)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S)가 구비된다. 상기 감지 센서(S)는 널리 알려진 적외선 센서 등을 이용하여 도상 대상물의 접근 또는 이격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감지 센서(S) 및 분체 도료 공급부(300)와 전원 공급부(700)는 제어부(CON)에 각각 연결된다.
예를 들어 상기 도장 대상물(W)이 접근하면 상기 감지 센서(S)가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제어부(CON)측으로 송신한다. 상기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CON)는 상기 전원 공급부(700)를 작동하여 접지 롤러 본체(111)와 분사 유닛(200)에 특정 전극의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상기 분체 도료 공급부(300) 역시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분체 도료를 상기 분사 유닛(200)으로 공급하여 도장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도장된 도장 대상물이 이격되면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상기 전원 공급부(700)와 분체 도료 공급부(300)의 작동을 중단한다.
한편, 상기 접지 롤러(110)는 회전 지지대(12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러한 회전 지지대(120)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접지 롤러 본체(111)가 관통하는 회전 지지대 본체(121)와, 상기 개방부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접지 롤러 본체(11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압 베어링 장치(400)를 포함한다.
즉, 회전 지지대(120)에 일종의 베어링 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접지 롤러(110)에 외부의 교란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감쇄하여 보다 안정적인 접지 롤러(110)의 회전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지지대(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지 롤러(110)가 관통되며, 상기 회전 지지대(120)에는 동압 베어링(400)이 구비되고, 상기 동압 베어링(400)에 상기 접지 롤러(120)가 관통한다. 따라서, 상기 접지 롤러(110)는 동압 베어링(400) 내부에서 회전하여 진동이 저감된다.
상기 동압 베어링 장치(400)는 도 5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지지대의 개방부 내부에 배치되는 링 형상의 베어링 본체(410)와, 상기 베어링 본체(410) 내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 개의 요홈부(490)와, 상기 요홈부(490)에 구비되는 압전 소자부(430)와, 상기 압전 소자부(430)에 의해 전후진 하며 접지 롤러(110)에 접하는 탄성 패드(460)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패드(460) 내부에는 압축성 유체가 충진된다.
즉, 상기 압전 소자부(430)에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압전 소자부(430)의 크기가 증감하여 압전 소자부(430)가 전후진하고 이에 의해 탄성 패드(460)가 접지 롤러(110) 방향으로 전진하거나 혹은 후퇴한다. 이때, 상기 탄성 패드(460) 내부에는 공기 등과 같은 압축 유체가 충진되어 상기 탄성 패드(460)는 탄력적으로 접지 롤러(110)를 가압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접지 롤러(110)가 회전에 따른 진동을 하는 경우 상기 탄성 패드(460)에 의해 진동을 저감한다.
한편, 상기 압전 소자부에 의해 접지 롤러의 진동을 저감하는 기술 자체는 널리 알려져 있다.
도 6에 도시된 기술은 일본 등록 특허 제5121047호에 기재된 것으로서, 압전 소자부가 패드를 전후진하여 접지 롤러(스핀들)의 진동을 억제하게 된다. 이러한 기술은 상술된 일본 등록 특허 제5121047호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어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과 달리 압축 유체가 충진된 탄성 패드(460)를 이용하는 것이다.
즉, 접지 롤러의 진동을 상기 탄성 패드(460)에 의해 압력 변동으로 측정하거나 혹은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센서에 의해 감지한다. 이러한 접지 롤러의 진동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술된 바와 같은 압전 소자부의 작용에 의해 진동을 저감한다. 한편, 상기 접지 롤러의 진동 감지와 압전 소자부 작용 자체는 상술된 종래 기술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어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한편, 도 7는 도 5에서 접지 롤러(110) 및 동적 베어링(400) 일부를 확대한 것으로서 기술 내용을 명료하게 표현하기 위해 접지 롤러(110)와 탄성 패드(460)를 직선으로 표현한 것이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홈부(490)의 바닥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배치되고 일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제1베이스(420)를 구비하여, 상기 제1베이스(420)에 상기 압전 소자부(430)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베이스(420)를 통해 전원 공급 배선이 상기 압전 소자부(430)로 연결된다. 이러한 전원 공급 배선은 제어부(CON)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압전 소자부(430)를 제어한다. 즉, 발생되는 진동이 설정된 범위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압전 소자(430)를 전후진하고, 이에 의해 탄성 패드(460)가 접지 롤러(110)를 가압하여 진동을 저감한다.
한편, 상기 압전 소자부(430)의 끝단에 가압부(500)가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500)가 압전 소자부(430)에 의해 전후진하여 상기 탄성 패드(460)의 압력을 조절한다. 또한, 상기 요홈부(490) 내부에는 지지 디스크(470)가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 디스크(470)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500)가 관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디스크(470)은 판체 형상이고 개방부(472)가 형성되는 지지 디스크 본체(471)를 포함한다. 상기 개방부(472)에 상기 가압부(500)가 관통하여 탄성 패드를 가압한다.
상기 개방부(472)와 가압부(500) 사이에는 탄성 연결부(480)가 구비되어 개방부(472)와 가압부(500)의 충돌을 방지한다.
상기 탄성 연결부(480)는 상기 개방부(472) 측에 구비되고 특정 원주 길이를 가지는 원호 형상의 제1지지부(481)와, 상기 가압부(500) 측에 구비되고 특정 원주 길이를 가지며 원호 형상인 제2지지부(48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부(481)에는 제1판 스프링(483)이 설치되고, 제2지지부(482)에는 제2판 스프링(484)이 설치된다. 상기 제1판 스프링(483)은 상기 제2지지부(482)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고, 제2판 스프링(484)는 제1지지부(481)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된다.
상기 제1판 스프링(483) 중 제2판 스프링(484) 방향 측면에는 반원 형상의 제1홀더(485)가 형성되고, 제2판 스프링(484) 중 제1판 스프링(483) 방향 측면에는 제1홀더(485)와 대칭 형상인 제2홀더(486)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홀더(485)와 제2홀더(486)사이에 탄성볼(487)이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개방부(472)와 가압부(500) 사이가 근접되어도 상기 제1판 스프링(483)과 제2판 스프링(484)의 탄성 변형에 의해 1차 흡수되고, 상기 탄성볼(487)에 압축 변형에 의해 2차 흡수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패드(460)는 압축성 유체가 충진되는 탄성 패드 본체(461)와, 상기 탄성 패드 본체(461) 양 측에 돌출되는 돌출 돌기(462)를 포함한다. 상기 요홈부(490)의 내부 양 측에 장착홈(491)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 돌기(462)가 삽입되어 상기 탄성 패드(460)가 안정적으로 설치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베이스(420)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일정 간격 이격된다. 이러한 제1베이스(420)와 요홈부(490) 사이에 지지 블록(450)이 설치되어 상기 압전 소자부(430)를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 블록(4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요홈부(490) 벽면과 압전 소자부(430) 사이에 구비되는 제2지지 블록(452)과, 한 쌍의 압전 소자부(430) 사이에 구비되는 제1지지 블록(451)을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 블록(451)의 양 측면은 돌출되어 제1베이스(420)와 압전 소자부(43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제2지지 블록(452)의 일 측은 요홈부(490) 내측면에 밀착되고 타 측 일부는 돌출되어 제1베이스(420)와 압전 소자부(43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500)는 상기 탄성 패드(460, 도 7참조, 이하 동일함) 방향 측면에 배치되는 제1가압부(510)와, 상기 제1가압부(510)에서 압전 소자부(430, 도 5참조, 이하 동일함)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가압부(520)와, 상기 제1가압부(510) 및 제2가압부(520) 사이에 배치되는 제1흡수부(530)를 포함한다.
즉, 상기 가압부(50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제1가압부(510)와 제2가압부(5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압부(510)는 탄성 패드(460) 방향에 배치되고, 제2가압부(520)는 압전 소자부(430)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1가압부(510)와 제2가압부(520) 사이에 제1흡수부(530)가 구비되어 그 사이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한다.
상기 제1가압부(510)는 상기 탄성 패드(460)에 접하는 제1가압부 본체(511)를 포함하되, 상기 제1가압부 본체(511) 중 제2가압부(520) 방향 측면의 중앙 일부에는 제1평탄부(5111)가 형성된다. 상기 제1평탄부(5111)에는 특정 곡률로 요홈되는 제1요홈부(5112)가 복수 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평탄부(5111)의 반경 방향 외측에는 제2가압부(520) 방향으로 돌출되어 단턱을 이루는 제1단턱부(5113)가 형성되고, 상기 제1단턱부(5113)의 반경 방향 외측에 제2가압부(520) 방향으로 돌출되어 단턱을 이루는 제2단턱부(5114)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평탄부(5111)의 반경 방향 외측에 제1단턱부(5113)가 제2가압부(520) 방향으로 돌출한다. 상기 제1단턱부(5113)의 반경 방향 외측에 제2단턱부(5114)가 돌출된다.
상기 제2가압부(520)는 상기 제2단턱부(5114) 내부에 삽입되고, 제1단턱부(5113)에 접하는 제2가압부 본체(521)를 포함한다. 상기 제2가압부 본체(521) 중 제1가압부(510) 방향 측면의 중앙 일부에는 제2평탄부(5211)가 형성된다. 상기 제2평탄부(5211)에는 특정 곡률로 요홈되는 제2요홈부(521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평탄부(5111)와 제2평탄부(5211) 사이에 상기 제1흡수부(530)가 배치되어 상술된 바와 같이 충격을 흡수한다.
상기 제1흡수부(530)는 다수 개의 탄성볼(531)과, 상기 탄성볼(531)이 삽입되는 링 형상의 홀더(532)와, 상기 홀더(53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바아(533)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볼(531)은 상기 제1요홈부(5112) 및 제2요홈부(5212)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탄성볼(531)에 의해 상기 충격을 흡수한다.
상기 연결 바아(533)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형 형상으로 배치된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기 홀더(532)는 사각형의 모서리에 배치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홀더(532)사이에 연결 바아(533)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 바아(533)는 사각형 형상의 각 변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연결 바아(533)로 이루어진 내부 공간 즉, 상기 실시예의 경우 사각형 형상의 내부 공간에는 판체 형상의 제2베이스(540)가 배치되고, 상기 제2베이스(540)와 연결 바아(533) 사이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 연결부(550)가 연결된다.
이러한 제2베이스(540)의 상면 및 하면에는 제2흡수부(600)가 배치되어 제1평탄부(5111) 및 제2평탄부(5211)에 각각 접한다.
상기 제2흡수부(600)는 특정 방향으로 감겨지는 나선 형상을 가지고, 동일 형상이며 상기 제2베이스(54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2 상부 흡수부(600A) 및 제2하부 흡수부(600B)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상부 흡수부(600A)와 제2하부 흡수부(600B)는 대칭 형상을 가져 상호 반대 방향으로 감겨지는 형상을 가진다.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압부(510) 상부에서 하측 방향(view 3)으로 본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제2베이스(540)와 제1가압부 본체(511)를 파선으로 표시하고 제2흡수부(600) 중 제2베이스(540) 상면에 배치된 제2상부 흡수부(600A)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압부(510) 상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본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제2베이스(540)와 제2가압부 본체(521)를 파선으로 표시하고 제2흡수부(600) 중 제2베이스(540) 저면에 배치된 제2하부 흡수부(600B)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상부 흡수부(600A)는 반 시계 방향으로 김긴 형상을 가지고, 제2하부 흡수부(600B)는 대칭형상을 가지며 시계 방향으로 감겨진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2상부 흡수부(600A)와 제2하부 흡수부(600B)는 동일한 형상이나 대칭되도록 배치되며, 이하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제2 상부 흡수부(600A)를 예로 설명한다.
상기 제2흡수부(600)는 나선 형상으로 배치되는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나선부(610)는 제1평탄부(5111) 또는 제2평탄부(5211)에 고정되는 제11고정 바아(611)와, 상기 제2베이스(540)에 고정되는 제12고정 바아(612)와, 상기 제11고정 바아(611)와 제12고정 바아(612) 사이에 나선 형성으로 배치되는 제1탄성 바아(613)를 포함한다.
상기 제2나선부(620)는 유사하게 제1평탄부(5111) 또는 제2평탄부(5211)에 고정되고 상기 제11고정 바아(611)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제21고정 바아(621)와, 상기 제2베이스(540)에 고정되는 제22고정 바아(622)와, 상기 제21고정 바아(621)와 제22고정 바아(622) 사이에 나선 형성으로 배치되는 제2탄성 바아(62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탄성 바아(613)는 제2탄성 바아(623)와 동일 방향으로 감겨지고 제1탄성 바아(613)의 나선 내부에 제2탄성 바아(623)가 배치된다.
상기 제2흡수부(600) 중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의 일측 단부는 제1평탄부(5111)에 고정되고, 제2하부 흡수부(600B)의 제11고정 바아(611B) 및 제21고정 바아(621B)의 일측 단부는 제2평탄부(5211)에 고정되며,
상기 제2흡수부(600) 중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2고정 바아(612A) 및 제22고정 바아(622A)의 일측 단부는 제2베이스(540) 상면에 고정되고, 제2하부 흡수부(600B)의 제12고정 바아(612B) 및 제22고정 바아(622B)의 일측 단부는 제2베이스(540) 저면에 고정된다.
즉, 제2베이스(540) 상면에 배치되는 제2상부 흡수부(600A)의 경우 상기 제1나선부(610)의 제11고정 바아(611,611A)는 상부 고정부(510)의 제1평탄부(5111)에 고정되고, 제12고정 바아(612,612A)는 제2베이스(540) 상면에 고정된다. 또한, 제2나선부(620)의 제21고정 바아(621,621A)는 상부 고정부(510)의 제1평탄부(5111)에 고정되고, 제22고정 바아(622,622A)는 제2베이스(540) 상면에 고정된다.
또한, 제2베이스(540) 저면에 배치되는 제2상부 흡수부(600B)의 경우 상기 제1나선부(610)의 제11고정 바아(611,611B)는 하부 고정부(520)의 제2평탄부(5211)에 고정되고, 제12고정 바아(612,612B)는 제2베이스(540) 저면에 고정된다. 또한, 제2나선부(620)의 제21고정 바아(621,621B)는 하부 고정부(520)의 제2평탄부(5211)에 고정되고, 제22고정 바아(622,622B)는 제2베이스(540) 저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2베이스(540)의 상면에는 상기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가 이동하기 위한 상부 이동 그루브(542)가 형성되되, 상기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가 이동하여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가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방향으로 상기 상부 이동 그루브(54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베이스(540)의 저면에는 상기 제2하부 흡수부(600B)의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가 이동하기 위한 하부 이동 그루브(543)가 형성되되, 상기 제11고정 바아(611B) 및 제21고정 바아(621B)가 이동하여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가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방향으로 상기 하부 이동 그루브(543)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고정부(510)가 탄성 패드와의 첩촉에 의해 방향1(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가압부 본체(511)에 고정된 제11고정 바아(611) 역시 방향1(반시계 방향)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제2베이스(540) 상에는 상부 이동 그루브(542)가 형성되어 상기 제11고정 바아(611) 하부는 상기 상부 이동 그루브(542) 상에서 방향1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제11고정 바아(611)가 반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탄성 바아(613)가 감기게 된다. 또한, 제21고정 바아(621) 역시 반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2 탄성 바아(623)가 감기게 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가 감기게 되고 상부 고정부(510)가 일정 각도 회전하더라도 다시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반대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고정부(510)가 탄성 패드와의 첩촉에 의해 방향2(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압부 본체(511)에 고정된 상기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1고정 바아(611)와 제21고정 바아(621) 역시 방향2(시계 방향)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제2베이스(540) 상에는 상부 이동 그루브(542)가 형성되어 상기 제11고정 바아(611) 하부는 상기 상부 이동 그루브(542) 상에서 방향 2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제1나사부(610)와 제2나사부(620)는 반시계 방향으로 감겨져 있으므로 상기 제11고정 바아(611)와 제21 고정 바아(621)이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나사부(610)와 제2나사부(620)는 풀려지게 된다.
다만, 제2베이스(540)의 저면에 설치된 제2하부 흡수부(600B)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그루브(543)에 제11고정 바아(611)와 제21고정 바아(62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베이스(540)의 회전에 따라 걸림되어 제11고정 바아(611)와 제21고정 바아(62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감겨지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부 고정부(510)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상부 흡수부(600A)가 감겨져서 상부 고정부(510)가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상부 고정부(5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하부 흡수부(600B)가 감져져서 결국 상부 고정부(510)가 원래 위치로 복귀 하게 된다.
한편, 도 12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흡수부(600)의 제1 탄성 바아(613)와 제2 탄성 바아(623) 사이에 구비되는 제1탄성 연결부(63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제1탄성 연결부(630)는 상기 제1 탄성 바아(613)에 고정되는 제1고정판(631)과, 상기 제2 탄성 바아(623)에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판(631)과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제2고정판(632)과, 상기 제1고정판(631)과 제2고정판(632)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볼(633)을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판(631)은 판체 형상을 가져 상기 제1 탄성 바아(613)에 고정되는 제1고정판 본체(6311)와 상기 제1고정판 본체(6311) 중 제2고정판(632) 방향 측면에 형성되고 일정 곡률로 요홈되는 다수 개의 요홈부(6312)와, 상기 요홈부(6312) 내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제1고정판 본체(6311)의 길이 방향으로 대칭되며 요홈부(6312)의 바닥에서 특정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탄성볼(633)이 내부에 삽입되는 홀더(63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판(632)은 판체 형상을 가져 상기 제2 탄성 바아(623)에 고정되는 제2고정판 본체(6321)와 상기 제2고정판 본체(6321) 중 제1고정판(631) 방향 측면에 형성되고 일정 곡률로 요홈되는 다수 개의 요홈부(6322)와, 상기 요홈부(6322) 내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제2고정판 본체(6321)의 길이 방향으로 대칭되며 요홈부(6322)의 바닥에서 특정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탄성볼(633)이 내부에 삽입되는 홀더(6323)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탄성 바아(613)가 회전하여 제1고정판(631)이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고정판(631)이 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 탄성볼(633)이 변형된다. 이때, 상기 탄성볼(633)은 탄성에 의해 원래 형상으로 복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고정판(631) 역시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도 12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흡수부(600)의 제1 탄성 바아(613)와 제2 탄성 바아(623) 사이에 구비되는 제2탄성 연결부(6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탄성 연결부(640)는 동일 형상이고 상호 대칭인 제2흡수부 좌측부(640A)와 제2흡수부 우측부(640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탄성 연결부(640)는 제1나선부(610)의 제1탄성 바아(613)에서 제2나선부(620)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결 바아(641)와, 상기 제1연결 바아(641)에서 제1나선부(6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후 제2나선부(620)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지지부(642)와, 상기 제2나선부(620)의 제2탄성 바아(623)에서 제1나선부(610)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결 바아(643)와, 상기 제2연결 바아(643)에서 제2나선부(6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지지부(642)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후, 제1나선부(610)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지지부(644)와, 제1지지부(642) 및 제2지지부(644)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부(645)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탄성 바아(613)가 이동하는 경우라도 상기 제2탄성 연결부(640)에 의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접지 롤러 유닛 110 : 접지 롤러
111 : 접지 롤러 본체 120 : 회전 지지대
400 : 동압 베어링 410 : 베어링 본체
420 : 베이스 430 : 압전 소자부
460 : 탄성 패드 490 : 요홈부
500 : 가압부 510 : 제1가압부
520 : 제2가압부 530 : 제1흡수부
600 : 제2흡수부 700 : 전원 공급부

Claims (8)

  1. 도장 대상물(W)의 이동 방향으로 배치되는 쇼트 블라스트 부스(B1), 세척 부스(B2), 도장 부스(B3) 그리고 배출 부스(B4)와 상기 각 부스 사이를 연결하고 도장 대상물(W)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유닛(C)을 포함하고,
    상기 도장 부스(B3) 일측에는 도장을 위한 분체를 공급하는 분체 도료 공급부(300)와, 상기 도장 대상물(W)을 분체 도장 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700)가 구비되고,
    상기 도장 부스(B3)는 도장 대상물(W)이 접하여 이동되도록 하는 접지 롤러 유닛(100)과, 상기 분체 도료 공급부(300)에 연결되고, 상기 도장 대상물(W)에 분체 도료를 분사하는 분사 유닛(200)을 포함하며,
    상기 접지 롤러 유닛(100)은 도장 대상물(W)의 이동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접지 롤러(110)와, 상기 접지 롤러(110)의 양 측단에 구비되어 상기 접지 롤러(11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대(120)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 공급부(700)는 상기 접지 롤러(110)와 분사 유닛(200)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접지 롤러(110)에는 특정 전극의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분사 유닛(200)에는 반대 전극의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접지 롤러(110)는 상기 특정 전극의 전원이 공급되는 접지 롤러 본체(111)와, 상기 접지 롤러 본체(111)의 외측면에 구비되고 접지 롤러 본체(111)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는 다수 개의 절연부(112)를 포함하여, 상기 절연부(112)사이의 노출된 접지 롤러 본체(111)에 상기 도장 대상물(W)이 접하여 특정 전극으로 도전 되고,
    상기 회전 지지대(120)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접지 롤러 본체(111)가 관통하는 회전 지지대 본체(121)와, 상기 개방부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접지 롤러 본체(11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압 베어링 장치(400)를 포함하며,
    상기 동압 베어링 장치(400)는 상기 회전 지지대 본체(121)의 개방부에 끼움되고 링 형상을 가지며 접지 롤러 본체(111)가 내부에서 관통하는 베어링 본체(410)와, 상기 베어링 본체(410) 내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 개의 요홈부(490)와, 상기 요홈부(490)에 구비되는 압전 소자부(430)와, 상기 압전 소자부(430)에 의해 전후진 하며 상기 접지 롤러 본체(111)에 접하는 탄성 패드(460)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패드(460) 내부에는 압축성 유체가 충진되고,
    상기 요홈부(490)의 바닥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배치되고 일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제1베이스(420)를 구비하여, 상기 제1베이스(420)에 상기 압전 소자부(430)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베이스(420)를 통해 전원 공급 배선이 상기 압전 소자부(430)로 연결되고,
    상기 압전 소자부(430)의 끝단에 가압부(500)가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500)가 압전 소자부(430)에 의해 전후진하여 상기 탄성 패드(460)의 압력을 조절하며,
    상기 요홈부(490) 내부에 지지 디스크(470)가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 디스크(470)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500)가 관통하며,
    상기 탄성 패드(460)는 압축성 유체가 충진되는 탄성 패드 본체(461)와, 상기 탄성 패드 본체(461) 양 측에 돌출되는 돌출 돌기(462)를 포함하며,
    상기 요홈부(490)의 내부 양 측에 장착홈(491)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 돌기(462)가 삽입되는 분체 도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대(120) 일 측에는 도장 대상물(W)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S)와,
    상기 감지 센서(S) 및 분체 도료 공급부(300)와 전원 공급부(700)가 연결되는 제어부(CON)를 포함하여,
    상기 도장 대상물(W)이 접근하면 상기 제어부(CON)와 상기 전원 공급부(700)에 의해 접지 롤러 본체(111)와 분사 유닛(200)에 특정 전극의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분체 도료 공급부(300) 역시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분체 도료를 상기 분사 유닛(200)으로 공급하는 분체 도장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500)는 상기 탄성 패드(460) 방향 측면에 배치되는 제1가압부(510)와, 상기 제1가압부(510)에서 압전 소자부(430)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가압부(520)와, 상기 제1가압부(510) 및 제2가압부(520) 사이에 배치되는 제1흡수부(5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압부(510)는 상기 탄성 패드(460)에 접하는 제1가압부 본체(511)를 포함하되, 상기 제1가압부 본체(511) 중 제2가압부(520) 방향 측면의 중앙 일부에는 제1평탄부(5111)가 형성되고, 상기 제1평탄부(5111)에는 특정 곡률로 요홈되는 제1요홈부(5112)가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제1평탄부(5111)의 반경 방향 외측에는 제2가압부(520) 방향으로 돌출되어 단턱을 이루는 제1단턱부(5113)가 형성되고, 상기 제1단턱부(5113)의 반경 방향 외측에 제2가압부(520) 방향으로 돌출되어 단턱을 이루는 제2단턱부(5114)가 형성되며,
    상기 제2가압부(520)는 상기 제2단턱부(5114) 내부에 삽입되고, 제1단턱부(5113)에 접하는 제2가압부 본체(521)를 포함하되, 상기 제2가압부 본체(521) 중 제1가압부(510) 방향 측면의 중앙 일부에는 제2평탄부(5211)가 형성되고, 상기 제2평탄부(5211)에 특정 곡률로 요홈되는 제2요홈부(5212)가 형성되며,
    상기 제1평탄부(5111)와 제2평탄부(5211) 사이에 상기 제1흡수부(530)가 배치되며,
    상기 제1흡수부(530)는 다수 개의 탄성볼(531)과, 상기 탄성볼(531)이 삽입되는 링 형상의 홀더(532)와, 상기 홀더(53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바아(533)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볼(531)은 상기 제1요홈부(5112) 및 제2요홈부(5212) 사이에 배치되는 분체 도장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바아(533)로 이루어진 내부 공간에는 판체 형상의 제2베이스(540)가 배치되고, 상기 제2베이스(540)와 연결 바아(533) 사이에는 탄성 연결부(550)가 연결되며,
    상기 제2베이스(540)의 상면 및 하면에는 제2흡수부(600)가 배치되어 제1평탄부(5111) 및 제2평탄부(5211)에 각각 접하며,
    상기 제2흡수부(600)는 특정 방향으로 감겨지는 나선 형상을 가지고, 동일 형상이며 상기 제2베이스(54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2 상부 흡수부(600A) 및 제2하부 흡수부(600B)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상부 흡수부(600A)와 제2하부 흡수부(600B)는 대칭 형상을 가져 상호 반대 방향으로 감겨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흡수부(600)는 나선 형상으로 배치되는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나선부(610)는 제1평탄부(5111) 또는 제2평탄부(5211)에 고정되는 제11고정 바아(611)와, 상기 제2베이스(540)에 고정되는 제12고정 바아(612)와, 상기 제11고정 바아(611)와 제12고정 바아(612) 사이에 나선 형성으로 배치되는 제1탄성 바아(6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나선부(620)는 제1평탄부(5111) 또는 제2평탄부(5211)에 고정되고 상기 제11고정 바아(611)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제21고정 바아(621)와, 상기 제2베이스(540)에 고정되는 제22고정 바아(622)와, 상기 제21고정 바아(621)와 제22고정 바아(622) 사이에 나선 형성으로 배치되는 제2탄성 바아(623)를 포함하며,
    상기 제1탄성 바아(613)는 제2탄성 바아(623)와 동일 방향으로 감겨지고 제1탄성 바아(613)의 나선 내부에 제2탄성 바아(623)가 배치되는 분체 도장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흡수부(600) 중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의 일측 단부는 제1평탄부(5111)에 고정되고, 제2하부 흡수부(600B)의 제11고정 바아(611B) 및 제21고정 바아(621B)의 일측 단부는 제2평탄부(5211)에 고정되며,
    상기 제2흡수부(600) 중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2고정 바아(612A) 및 제22고정 바아(622A)의 일측 단부는 제2베이스(540) 상면에 고정되고, 제2하부 흡수부(600B)의 제12고정 바아(612B) 및 제22고정 바아(622B)의 일측 단부는 제2베이스(540) 저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2베이스(540)의 상면에는 상기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가 이동하기 위한 상부 이동 그루브(542)가 형성되되, 상기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가 이동하여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가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방향으로 상기 상부 이동 그루브(542)가 형성되고,
    상기 제2베이스(540)의 저면에는 상기 제2하부 흡수부(600B)의 제11고정 바아(611B) 및 제21고정 바아(621B)가 이동하기 위한 하부 이동 그루브(543)가 형성되되, 상기 제11고정 바아(611B) 및 제21고정 바아(621B)가 이동하여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가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방향으로 상기 하부 이동 그루브(543)가 형성되는 분체 도장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흡수부(600)의 제1 탄성 바아(613)와 제2 탄성 바아(623) 사이에 구비되는 제1탄성 연결부(6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탄성 연결부(630)는 상기 제1 탄성 바아(613)에 고정되는 제1고정판(631)과, 상기 제2 탄성 바아(623)에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판(631)과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제2고정판(632)과, 상기 제1고정판(631)과 제2고정판(632)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볼(633)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판(631)은 판체 형상을 가져 상기 제1 탄성 바아(613)에 고정되는 제1고정판 본체(6311)와 상기 제1고정판 본체(6311) 중 제2고정판(632) 방향 측면에 형성되고 일정 곡률로 요홈되는 다수 개의 요홈부(6312)와, 상기 요홈부(6312) 내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제1고정판 본체(6311)의 길이 방향으로 대칭되며 요홈부(6312)의 바닥에서 특정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탄성볼(633)이 내부에 삽입되는 홀더(63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판(632)은 판체 형상을 가져 상기 제2 탄성 바아(623)에 고정되는 제2고정판 본체(6321)와 상기 제2고정판 본체(6321) 중 제1고정판(631) 방향 측면에 형성되고 일정 곡률로 요홈되는 다수 개의 요홈부(6322)와, 상기 요홈부(6322) 내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제2고정판 본체(6321)의 길이 방향으로 대칭되며 요홈부(6322)의 바닥에서 특정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탄성볼(633)이 내부에 삽입되는 홀더(6323)를 포함하고,
    상기 제2흡수부(600)의 제1 탄성 바아(613)와 제2 탄성 바아(623) 사이에 구비되는 제2탄성 연결부(6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탄성 연결부(640)는 동일 형상이고 상호 대칭인 제2흡수부 좌측부(640A)와 제2흡수부 우측부(640B)를 포함하고,
    상기 제2탄성 연결부(640)는 제1나선부(610)의 제1탄성 바아(613)에서 제2나선부(620)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결 바아(641)와, 상기 제1연결 바아(641)에서 제1나선부(6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후 제2나선부(620)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지지부(642)와, 상기 제2나선부(620)의 제2탄성 바아(623)에서 제1나선부(610)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결 바아(643)와, 상기 제2연결 바아(643)에서 제2나선부(6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지지부(642)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후, 제1나선부(610)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지지부(644)와, 제1지지부(642) 및 제2지지부(644)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부(645)를 포함하는 분체 도장 장치.
KR1020190115197A 2019-09-19 2019-09-19 분체 도장 장치 KR102074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197A KR102074870B1 (ko) 2019-09-19 2019-09-19 분체 도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197A KR102074870B1 (ko) 2019-09-19 2019-09-19 분체 도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4870B1 true KR102074870B1 (ko) 2020-03-17

Family

ID=70003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5197A KR102074870B1 (ko) 2019-09-19 2019-09-19 분체 도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8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58572A (zh) * 2020-09-11 2020-12-11 湖州拓高机械有限公司 一种可循环式用于圆柱木材加工喷漆循环架
CN112892960A (zh) * 2021-01-13 2021-06-04 崔洁瑾 一种绝缘子智能喷涂设备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1755A (ja) * 1992-12-04 1994-06-21 Abisare:Kk 静電吸着ベルトコンベア
KR20030026459A (ko) 2001-09-25 2003-04-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범퍼 도장방법
US20030136338A1 (en) 2001-03-28 2003-07-24 Werner Pohl Installation for powder painting objects
KR20070054337A (ko) * 2005-11-23 2007-05-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컨베이어의 서징 보상장치
US20080047486A1 (en) 2005-10-21 2008-02-28 Durr System, Inc. Coating Zone And Coating Plant
KR101403348B1 (ko) 2006-07-14 2014-06-05 듀르 시스템스 게엠베하 도장 설비 및 그의 작동 방법
KR101534561B1 (ko) 2015-04-23 2015-07-08 김원호 자동차 범퍼 도장 및 건조장치
KR101544054B1 (ko) 2015-01-14 2015-08-12 주식회사 명성쇼트기계 길이부재 자동 표면처리 도장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1755A (ja) * 1992-12-04 1994-06-21 Abisare:Kk 静電吸着ベルトコンベア
US20030136338A1 (en) 2001-03-28 2003-07-24 Werner Pohl Installation for powder painting objects
KR20030026459A (ko) 2001-09-25 2003-04-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범퍼 도장방법
US20080047486A1 (en) 2005-10-21 2008-02-28 Durr System, Inc. Coating Zone And Coating Plant
KR20070054337A (ko) * 2005-11-23 2007-05-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컨베이어의 서징 보상장치
KR101403348B1 (ko) 2006-07-14 2014-06-05 듀르 시스템스 게엠베하 도장 설비 및 그의 작동 방법
KR101544054B1 (ko) 2015-01-14 2015-08-12 주식회사 명성쇼트기계 길이부재 자동 표면처리 도장장치
KR101534561B1 (ko) 2015-04-23 2015-07-08 김원호 자동차 범퍼 도장 및 건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58572A (zh) * 2020-09-11 2020-12-11 湖州拓高机械有限公司 一种可循环式用于圆柱木材加工喷漆循环架
CN112892960A (zh) * 2021-01-13 2021-06-04 崔洁瑾 一种绝缘子智能喷涂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4870B1 (ko) 분체 도장 장치
CN105050729A (zh) 粉体涂布装置、和使用它的锂离子电池用电极的制造方法
KR900011515A (ko) 정전 회전 분무식 액체 스프레이 코팅 장치
EP1177860A1 (en) Grinding tool
KR102186958B1 (ko) 지관 가공장치
US3677470A (en) Nozzle holder
TW201631646A (zh) 用於化學機械研磨工具的部件
CN208810413U (zh) 一种弹簧标识涂漆装置
CN218013437U (zh) 一种曲面板材静电喷涂发生器
KR101181101B1 (ko) 도료도장용 다중롤러
CN213612161U (zh) 一种喷漆用工件翻转装置
JP6708150B2 (ja) 電池用電極製造装置
CN112672847A (zh) 抛光设备
KR102114664B1 (ko) 오링부가 구비된 알루미늄 가스켓 제조 장치
CN210632390U (zh) 涂胶头及涂胶装置
US20160331118A1 (en) Roller Brush Assembly
CN113578646A (zh) 一种自适应压力调节金属工件涂抹装置及其工作方法
CN114178218A (zh) 一种节水型轴承加工用清洗装置
TWM500632U (zh) 滾料塗佈裝置
CN108745761A (zh) 一种弹簧周向涂漆装置
RU211391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лектростатического напыления порошковых материалов на внутреннюю поверхность цилиндр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KR20160105113A (ko) 전극 코팅용 롤러
JP2004000891A (ja) 粉体塗布装置及び方法
CN213792392U (zh) 一种用于合金材料的金属丝材喷涂装置
KR102160731B1 (ko) 초미세 필터 노즐을 구비하는 분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