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7054A - 거품 생성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거품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거품 생성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거품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7054A
KR20210117054A KR1020200033391A KR20200033391A KR20210117054A KR 20210117054 A KR20210117054 A KR 20210117054A KR 1020200033391 A KR1020200033391 A KR 1020200033391A KR 20200033391 A KR20200033391 A KR 20200033391A KR 20210117054 A KR20210117054 A KR 20210117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flow passage
space
bubble
accommoda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3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5059B1 (ko
Inventor
곽노균
김동호
김상하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33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5059B1/ko
Publication of KR20210117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7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F3/044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5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for making foam
    • B01F13/0022
    • B01F15/020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23/23122Diffusers having elements opening under air pressure, e.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23/23126Diffus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diffuser element
    • B01F23/231265Diffus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diffuser element being tubes, tubular elements, cylindrical elements or set of tubes
    • B01F3/0425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50Movable or transportable mixing devices or plants
    • B01F33/501Movable mixing devices, i.e. readily shifted or displaced from one place to another, e.g. portable during use
    • B01F33/5011Movable mixing devices, i.e. readily shifted or displaced from one place to another, e.g. portable during use portable during use, e.g. hand-held
    • B01F33/50111Small portable bottles, flasks, vials, e.g. with means for mixing ingredients or for homogenizing their content, e.g. by hand sh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2Feed mechanisms for feeding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59Components or details allowing operation in any orientation, e.g. for discharge in invert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18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 B01F2003/04319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거품발생장치를 개시된다. 거품발생장치는 내부에 액상의 유체를 저장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용기; 및 상기 용기의 입구부에 결합가능하며, 상기 유체를 거품 상태로 배출하는 거품 생성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거품 생성 유닛은 내부에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저면에 상기 수용 공간과 연결되는 제1유입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제2유입 유로, 상기 수용 공간에서 생성된 상기 거품 상태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 유로가 형성된 캡 바디;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제1유입 유로와 연결되는 튜브; 및 상기 수용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용기의 도립 상태와 정립 상태에 따라 상기 수용 공간 내에서 이동가능한 추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의 도립 상태에서 상기 액상의 유체가 상기 제1유입 유로로 유입되고, 상기 용기 내부의 공기가 상기 제2유입 유로로 유입되며, 상기 용기의 정립 상태에서 상기 액상의 유체가 상기 제2유입 유로로 유입되고, 상기 용기 내부의 공기가 상기 제1유입 유로로 유입된다.

Description

거품 생성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거품 발생 장치{Bubble generating unit and bubble gener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unit}
본 발명은 거품 생성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거품 발생 장치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가 정립 및 도립 상태에서 균일한 크기의 거품을 생성할 수 있는 거품 생성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거품발생장치이다.
현재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거품형 공급기는 기립형 펌프 방식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용기에 직접적으로 압력을 가하여 내용물을 분출하는 압착식 제품들은 소수 판매되고 있으나 사용에 문제점이 적지 않게 보고되고 있다.
기립형 펌프 방식에는 짧은 시간에 미세한 버블을 생성하기 위해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타입과 그렇지 않는 타입이 있는데, 이 중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타입은 그 특징으로 인해 용기의 종류가 금속 또는 경질 플라스틱 소재의 용기로 제한되며, 압축공기를 사용하지 않는 타입이라 하더라도 펌프의 지름으로 인해 일정 크기 이상의 입구 지름을 가진 용기를 사용해야 한다는 제한 사항이 있다. 이러한 특수 용기의 가격은 일반 용기의 2~3배에 달하므로, 생산 시의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 것은 물론, 물품을 이용하는 소비자들 역시 이러한 가격 부담을 안고 해당 제품들을 구매해야만 하는 실정이다.
상용화되어 판매되고 있는 압착식 용기를 역시 지속적인 사용에 문제가 있거나 거품 생성 능력이 균일하게 유지되지 않는 등, 이용에 불편이 따르는 경우가 빈번하게 보고되고 있다. 또, 제품의 기울임 정도에 따라 성능 편차가 심하다는 문제 역시 압착식 제품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때문에, 제품 기울기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균일한 크기의 거품을 생성 가능한 거품 발생 장치의 새로운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용기의 정립 및 도립 상태 각각에서 거품을 생성할 수 있는 거품 발생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거품을 균일하게 생성할 수 있는 거품 발생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거품 발생 장치는 내부에 액상의 유체를 저장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용기; 및 상기 용기의 입구부에 결합가능하며, 상기 유체를 거품 상태로 배출하는 거품 생성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거품 생성 유닛은 내부에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저면에 상기 수용 공간과 연결되는 제1유입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제2유입 유로, 상기 수용 공간에서 생성된 상기 거품 상태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 유로가 형성된 캡 바디;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제1유입 유로와 연결되는 튜브; 및 상기 수용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용기의 도립 상태와 정립 상태에 따라 상기 수용 공간 내에서 이동 가능한 추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의 도립 상태에서 상기 액상의 유체가 상기 제1유입 유로로 유입되고, 상기 용기 내부의 공기가 상기 제2유입 유로로 유입되며, 상기 용기의 정립 상태에서 상기 액상의 유체가 상기 제2유입 유로로 유입되고, 상기 용기 내부의 공기가 상기 제1유입 유로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거품 발생장치에 제공된 상기 배출 유로는 상기 수용 공간과 인접 위치하며, 상기 수용 공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이 점차 증가하는 유로 증가 영역을 가진다.
또한, 상기 거품 발생 장치에 제공된 상기 제1유입 유로는 상기 수용 공간의 하부 영역과 연결되고, 상기 제2유입 유로는 상기 수용 공간의 상부 영역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거품 발생 장치에 포함된 상기 추 밸브는 상단으로 갈수록 외주면의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경사 영역을 가진다.
또한, 상기 거품 발생장치에 포함된 상기 거품 생성 유닛은 상기 튜브에 결합하며, 부력을 제공하는 부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거품 발생 장치에 포함된 상기 거품 생성 유닛은 캡 바디와 상기 튜브를 연결하며, 상기 튜브보다 유연하게 제공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거품 발생 장치에 더 포함된 상기 연결부는 주름관으로 제공되는 거품 발생 장치.
또한, 상기 거품 생성 유닛은 액상의 유체를 거품 상태로 배출 가능한 거품 생성 유닛에 있어서, 저면에 제1유입 유로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제1유입 유로와 연결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으로부터 상기 거품 상태의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과 상기 용기의 외부 공간을 연결하는 제2 유입 유로가 형성된 캡 바디; 및 상기 수용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캡 바디의 정립 상태와 도립 상태에 따라 상기 수용 공간 내에서 이동 가능한 추 밸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거품 생성 유닛에 포함된 상기 추 밸브에는 상면과 저면을 관통하는 연결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 1유입 유로로 유입된 상기 액상의 유체 또는 상기 공기는 상기 연결 유로를 통과한다.
또한, 상기 거품 생성 유닛에 제공된 상기 연결 유로는 상기 제1유입 유로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또한, 상기 거품 생성 유닛에 포함된 상기 추 밸브는 금속 재질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거품 발생 장치는 용기의 정립 또는 도립 상태에서, 제1유입 유로와 제2유입 유로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액상의 유체가 유입되고, 다른 하나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며, 액상의 유체와 공기의 혼합으로 거품 생성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의 정립 또는 도립 상태에 따른 추 밸브의 위치 이동으로, 액상의 유체와 공기가 적정량 유입 및 혼합되어 거품이 균일하게 생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품 발생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거품 발생 장치의 정립 상태에서 거품이 발생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거품 발생 장치의 도립 상태에서 거품이 발생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거품 발생 장치의 정립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거품 발생 장치의 도립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거품 발생 장치가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품발생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거품발생장치(10)는 용기(100)와 거품 생성 유닛(200)을 포함한다. 상기 용기(100)는 상기 액상의 유체(30)를 저장할 수 있는 내부 공간(111)을 갖는다.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액상의 유체(30)는 세정제일 수 있다. 상기 용기(100)의 상단에는 상기 액상의 유체(30)가 주입될 수 있는 입구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입구부(120)의 외주면에는 상기 거품 생성 유닛(200)과 결합할 수 있는 체결 돌기(121)가 형성된다. 상기 용기(100)는 전방향에서 압력을 가해도 원형으로 복원될 수 있는 탄성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거품 생성 유닛(200)은 상기 입구부(120)에 장착되고, 상기 용기(100)에 담긴 상기 액상의 유체(30)를 거품 상태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거품 생성 유닛(200)은 캡 바디(210), 추 밸브(220), 그리고 튜브(300)를 포함한다.
상기 캡 바디(210)는 상기 입구부(120)에 결합된다. 상기 캡 바디(210)에는 상기 입구부(120)의 체결 돌기(121)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함 홈(230)이 형성된다. 상기 캡 바디(210)에는 수용 공간(211), 제1유입 유로(212), 제2유입 유로(213), 그리고 배출 유로(214)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 공간(211)은 상기 캡 바디(210)의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 1유입 유로(212)는 상기 캡 바디(210)의 저면과 상기 수용 공간(211)을 연결한다. 상기 제1유입 유로(212)는 상기 수용 공간(211)의 하부영역과 연결된다.
상기 제2유입 유로(213)는 상기 수용 공간(211)과 상기 내부 공간(111)을 연결한다. 상기 제2유입 유로(213)는 상기 수용 공간(211)의 상부 영역과 연통된다. 상기 제2유입 유로(213)는 상기 캡 바디(210)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하여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배출 유로(214)는 상기 캡 바디(210)의 상면에서 아래로 연장되며, 상기 수용 공간(211)의 상부영역과 연결된다. 상기 수용 공간(211)에서 생성된 상기 거품(40) 상태의 유체가 상기 배출 유로(2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배출 유로(214)의 하부 영역은 상기 수용 공간(211)에 인접위치하며, 상기 유로 증가 영역(215)을 갖는다. 상기 유로 증가 영역(215)은 상기 수용 공간(21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이 점차 증가한다. 상기 유로 증가 영역(215)은 깔때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추 밸브(220)는 소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용 공간(211)에 위치한다.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추 밸브(220)는 원통 형상이며, 금속 재질로 제공된다. 상기 추 밸브(220)는 상기 용기(100)의 도립 상태와 정립 상태에 따라 상기 수용 공간(211)내에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추 밸브(220)는 상단으로 갈수록 외주면의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경사 영역(222)을 가진다. 상기 추 밸브(220)에는 상면과 하면이 관통하는 연결 유로(221)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 유로(221)는 상기 제1 유입 유로(212)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수용 공간(211) 및 상기 제1유입 유로(212)와 연통된다.
튜브(300)는 상기 내부 공간(111)에 위치한다. 상기 튜브(300)는 소정 길이로 제공되며, 상단이 상기 제1유입 유로(221)와 연결되고, 하단이 용기(100)의 바닥면에 인접 위치한다. 상기 튜브(300)는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한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튜브(300)는 탄성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거품 발생 장치의 정립 상태와 도립 상태에 따른 거품이 발생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거품 발생 장치의 정립 상태에서 거품이 발생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용기(100)가 정립 상태일 경우, 상기 추 밸브(220)는 자중에 의해 상기 수용 공간(211)의 하부 영역에 위치한다. 사용자가 상기 용기(100)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용기(100)에 담긴 상기 액상의 유체(30)는 상기 튜브(300)로 유입되고, 상기 제1유입 유로(212)와 상기 연결 유로(221)를 거쳐 상기 수용 공간(211)에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100) 내부의 공기(20)는 상기 제2유입 유로(213)를 통해 상기 수용 공간(211)으로 공급된다.
상기 액상의 유체(30)와 상기 공기(20)는 상기 수용 공간(211)에서 혼합되고, 상기 배출 유로(214)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액상의 유체(30)와 상기 공기(20)의 혼합 유체(40)는 상기 수용 공간(211)에서 상기 배출 유로(214)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압력 변화로 상기 거품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 액상의 유체(30)와 상기 공기(20)의 혼합 유체(40)는 상기 유로 증가 영역(215)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압력 감소로 거품 발생이 증대된다.
도 4는 거품 발생 장치의 도립 상태에서 거품이 발생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용기(100)가 도립 상태일 경우, 상기 추 밸브(220)는 자중에 의해 상기 수용 공간(211)의 상부 영역에 위치한다. 사용자가 상기 용기(100)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용기(100) 내부의 공기는 상기 튜브(300)로 유입되고, 상기 제1유입 유로(213)를 상기 수용 공간(211)에 공급된다.
상기 용기(100)에 담긴 상기 액상의 유체(30)는 상기 제2유입 유로(213)을 거쳐 상기 수용 공간(211)으로 유입된다. 상기 추 밸브(220)는 상기 경사 영역(222)이 상기 제2유입 유로(213)의 출구에 위치하며, 상기 제2유입 유로(213)로 유입되는 상기 액상의 유체(30)의 압력에 의해 위쪽으로 밀려 이동한다. 상기 추 밸브(220)가 밀려 이동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수용 공간(211)으로 유입되는 상기 액상의 유체(30)의 유량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211)으로 유입된 상기 공기(20)는 상기 추 밸브(220)의 연결 유로(221)를 통과하여 상기 액상의 유체(30)와 혼합된다. 상기 액상의 유체(30)와 상기 공기(20)의 혼합 유체(40)는 상기 배출 유로(214)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압력 변화로 거품을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유로 증가 영역(215)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압력 감소로 거품 발생이 증대된다.
상술한 거품 발생 과정에서, 상기 추 밸브(220)는 자중에 의해 상기 액상의 유체(30)가 상기 수용 공간(211)으로 유입되는 유량을 제어하고, 상기 연결 유로(221)를 통해 공기(20)가 유입되는 유량을 제어한다. 이러한 상기 액상의 유체(30) 및 상기 공기(20)의 유입 유량 제어로 거품 발생에 최적화된 배합비로 상기 액상의 유체(30)와 상기 공기(20)가 혼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거품 발생 장치의 정립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거품발생장치(10)는 연결부(500)와 부표(4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500)는 상기 캡 바디(210)와 상기 튜브(300)를 연결한다. 상기 연결부(500)는 상기 튜브(300)보다 유연하게 제공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연결부(500)는 주름관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연결부(500)는 상기 튜브(300)보다 유연한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부표(400)는 상기 튜브(300)에 결합하고 부력을 제공한다. 상기 부표(400)의 내부는 공기로 채워질 수 있다. 상기 부표(400)는 상기 튜브(300)의 하부 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용기(100)의 정립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용기(100)를 가압한 경우, 상기 용기(100) 내의 액상의 유체(30)는 상기 튜브(300)를 통해 상기 수용 공간(211)으로 유입되고, 상기 용기(100)내의 공기(20)는 상기 제2유입 유로(213)를 통해 상기 수용 공간(211)으로 유입된다. 상기 액상의 유체(30)와 상기 공기(20)의 혼합 유체(40)는 거품 형태로 상기 배출 유로(214)로 배출된다.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거품 발생 장치의 도립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용기(100)의 도립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기(100)를 가압한 경우, 상기 용기(100)내의 상기 공기(20)는 상기 튜브(300)를 통해 상기 수용 공간(211)으로 유입되고, 상기 용기(100)내의 액상의 유체(30)는 상기 제2유입 유로(213)를 통해 상기 수용 공간(211)으로 유입된다. 상기 액상의 유체(30)와 상기 공기(20)의 혼합 유체(40)는 거품 형태로 상기 배출 유로(214)로 배출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거품 발생 장치가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를 참조하면, 상기 용기(100)가 기울어진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튜브(300)는 상기 연결부(500)와 상기 부표(400)에 의해 그 끝단부가 상기 용기(100)의 내부에 있는 상기 액상의 유체(30)에 잠기지 않는다. 사용자가 상기 용기(100)에 가압한 경우, 상기 용기(100) 내부의 공기(20)는 상기 튜브(300)를 통해 상기 수용 공간(212)으로 유입되고, 상기 용기(100) 내의 액상의 유체(30)는 상기 제2유입 유로(213)를 통해 상기 수용 공간(211)으로 유입된다. 상기 액상의 유체(30)와 상기 공기(20)의 혼합 유체(40)는 거품 형태로 상기 배출 유로(214)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거품 발생 장치(10)는 정립 및 도립 상태뿐만 아니라, 상기 용기(100)가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도 균일한 크기의 거품을 생성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거품발생장치
20: 공기
30: 액상의 유체
40: 혼합 유체
100: 용기 111: 내부 공간
120: 입구부 121: 체결 돌기
200: 거품 생성 유닛
210: 캡 바디 211: 수용 공간 212: 제1유입 유로 213: 제2유입 유로 214: 배출 유로 215: 유로 증가 영역
220: 추 밸브 221: 연결 유로 222: 경사영역
230: 결합홈
300: 튜브
400: 부표
500: 연결부

Claims (11)

  1. 내부에 액상의 유체를 저장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용기; 및
    상기 용기의 입구부에 결합가능하며, 상기 유체를 거품 상태로 배출하는 거품 생성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거품 생성 유닛은
    내부에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저면에 상기 수용 공간과 연결되는 제1유입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제2유입 유로, 상기 수용 공간에서 생성된 상기 거품 상태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 유로가 형성된 캡 바디;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제1유입 유로와 연결되는 튜브; 및
    상기 수용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용기의 도립 상태와 정립 상태에 따라 상기 수용 공간 내에서 이동가능한 추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의 도립 상태에서 상기 액상의 유체가 상기 제1유입 유로로 유입되고, 상기 용기 내부의 공기가 상기 제2유입 유로로 유입되며,
    상기 용기의 정립 상태에서 상기 액상의 유체가 상기 제2유입 유로로 유입되고, 상기 용기 내부의 공기가 상기 제1유입 유로로 유입되는 거품 발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유로는
    상기 수용 공간과 인접 위치하며, 상기 수용 공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이 점차 증가하는 유로 증가 영역을 가지는 거품 발생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입 유로는 상기 수용 공간의 하부 영역과 연결되고,
    상기 제2유입 유로는 상기 수용 공간의 상부 영역과 연결되는 거품 발생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 밸브는 상단으로 갈수록 외주면의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경사 영역을 가지는 거품 발생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 생성 유닛은
    상기 튜브에 결합하며, 부력을 제공하는 부표를 더 포함하는 거품 발생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 생성 유닛은
    상기 캡 바디와 상기 튜브를 연결하며, 상기 튜브보다 유연하게 제공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거품 발생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주름관으로 제공되는 거품 발생 장치.
  8. 액상의 유체를 거품 상태로 배출 가능한 거품 생성 유닛에 있어서,
    저면에 제1유입 유로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제1유입 유로와 연결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으로부터 상기 거품 상태의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과 상기 용기의 외부 공간을 연결하는 제2 유입 유로가 형성된 캡 바디; 및
    상기 수용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캡 바디의 정립 상태와 도립 상태에 따라 상기 수용 공간 내에서 이동 가능한 추 밸브를 포함하는 거품 생성 유닛.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추 밸브에는 상면과 저면을 관통하는 연결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 1유입 유로로 유입된 상기 액상의 유체 또는 상기 공기는 상기 연결 유로를 통과하는 거품 생성 유닛.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유로는 상기 제1유입 유로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거품 생성 유닛.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 밸브는 금속 재질인 거품 생성 유닛.
KR1020200033391A 2020-03-18 2020-03-18 거품 생성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거품 발생 장치 KR102425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391A KR102425059B1 (ko) 2020-03-18 2020-03-18 거품 생성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거품 발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391A KR102425059B1 (ko) 2020-03-18 2020-03-18 거품 생성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거품 발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054A true KR20210117054A (ko) 2021-09-28
KR102425059B1 KR102425059B1 (ko) 2022-07-26

Family

ID=77923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391A KR102425059B1 (ko) 2020-03-18 2020-03-18 거품 생성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거품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50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8475A (ko) * 2021-01-27 2022-08-03 최정구 버블 발생구조에서 역류 발생 방지구조를 갖는 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8266U (ja) * 1993-04-14 1994-11-04 株式会社三谷バルブ 泡状物吐出構造
JPH07223659A (ja) * 1994-02-10 1995-08-22 Yoshino Kogyosho Co Ltd 泡噴出容器
US20130056082A1 (en) * 2010-03-11 2013-03-07 Justin M. Nunez Vent tube appartus and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8266U (ja) * 1993-04-14 1994-11-04 株式会社三谷バルブ 泡状物吐出構造
JPH07223659A (ja) * 1994-02-10 1995-08-22 Yoshino Kogyosho Co Ltd 泡噴出容器
US20130056082A1 (en) * 2010-03-11 2013-03-07 Justin M. Nunez Vent tube appartus an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8475A (ko) * 2021-01-27 2022-08-03 최정구 버블 발생구조에서 역류 발생 방지구조를 갖는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5059B1 (ko) 202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0906B1 (ko) 압착식 거품 발생기
EP1844690B1 (en) Foam soap generator
JP5203384B2 (ja) 泡形成組立体、スクイズ・フォーマーおよび吐出装置
JP6301528B2 (ja) 泡形成アセンブリ及びスクイズフォーマー
KR20110029127A (ko) 젤 배급기
AU2004210295B2 (en) Improved foam forming unit
CN110418676A (zh) 用于生成微泡沫的设备和方法
KR102425059B1 (ko) 거품 생성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거품 발생 장치
KR20170116115A (ko) 노즐 및 액체 공급 장치
KR101737866B1 (ko) 거품분출 튜브용기
CN1744953A (zh) 泡沫分配器
WO2006085081A3 (en) Dosing apparatus
CN1498184A (zh) 止回阀和具有止回阀的液体容器
JPH08301392A (ja) 液体充填用ノズル
JP2015530126A (ja) 粉体及び泡ディスペンサー
KR102102652B1 (ko) 휴대형 저압 폴리우레탄 폼 스프레이 장치
JP4431821B2 (ja) 流体充填装置
KR101577295B1 (ko) 이액형 정량 토출 장치
US20080169317A1 (en) Dispenser regulator
US10201920B2 (en) Apparatus for forming polymer, comprising polymer backflow prevention portion
JP3996180B1 (ja) 消火用ノズル
WO2021002467A1 (ja) 飲料サーバー
WO2021002468A1 (ja) 注出ノズル
JP7221031B2 (ja) 泡吐出器
JP2009106870A (ja) 泡噴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