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8636B1 - 하이 엔드 가스벤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하이 엔드 가스벤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8636B1
KR102298636B1 KR1020210074401A KR20210074401A KR102298636B1 KR 102298636 B1 KR102298636 B1 KR 102298636B1 KR 1020210074401 A KR1020210074401 A KR 1020210074401A KR 20210074401 A KR20210074401 A KR 20210074401A KR 102298636 B1 KR102298636 B1 KR 102298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gas discharge
pin
pressure reduc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4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창준
정윤종
김형용
Original Assignee
양창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창준 filed Critical 양창준
Priority to KR1020210074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6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8Details
    • B29C45/63Venting or degas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53Cleaning or purging, e.g. of the inject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53Cleaning or purging, e.g. of the injection unit
    • B29C45/1755Means for receiving or discharging purged material; Purge sh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0Injection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4Moulds having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8Details
    • B29C45/62Barrels or cyl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형사출에서 용융수지가 사출되면서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료 저장부에서 사출실린더(102) 및 노즐부(103)를 통해 금형(104)의 캐비티(104a) 내부로 용융수지를 공급할때에 상기 금형(104)의 앞단에서 용융 수지 내에 포함된 가스를 제거하는 하이 엔드 가스 벤트 시스템에 있어서, 사출기 실린더의 단부에 유동 공급되는 용융수지의 압력을 완화시키는 감압판이 다층으로 내설된 몸체케이싱을 연결 설치하되, 감압판의 중앙에 1개의 가스배출부를 형성하고 그 가스배출부의 상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가스배출홈을 형성하여, 다층의 감압판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수지통로를 통해 용융 수지가 통과하면서 감압판들 사이에 형성되는 가스배출부의 가스배출홈을 통해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하이 엔드 가스벤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이 엔드 가스벤트 시스템{Hi-end gas vent system}
본 발명은 금형사출에서 용융수지가 사출되면서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료 저장부에서 사출실린더(102) 및 노즐부(103)를 통해 금형(104)의 캐비티(104a) 내부로 용융수지를 공급할때에 상기 금형(104)의 앞단에서 용융 수지 내에 포함된 가스를 제거하는 하이 엔드 가스 벤트 시스템에 있어서, 사출기 실린더의 단부에 유동 공급되는 용융수지의 압력을 완화시키는 감압판이 다층으로 내설된 몸체케이싱을 연결 설치하되, 감압판의 중앙에 1개의 가스배출부를 형성하고 그 가스배출부의 상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가스배출홈을 형성하여, 다층의 감압판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수지통로를 통해 용융 수지가 통과하면서 감압판들 사이에 형성되는 가스배출부의 가스배출홈을 통해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하이 엔드 가스벤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기는 플라스틱을 사출 성형하는 기계장치로 합성수지 원료를 용융하는 실린더, 성형하고자 하는 물품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캐비티를 갖는 금형 및 실린더에서 용융된 수지를 금형의 캐비티 속으로 주입하는 노즐을 포함한다.
금형은 일반적으로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으로 이루어지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는 플라스틱 성형을 위한 내부 공간인 캐비티가 형성된다. 이러한 캐비티 속에 주입된 수지가 고체화된 후에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을 서로 분리하여 사출 성형된 제품을 취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사출성형 장치는 캐비티 내에 용융된 수지를 집어넣고, 주입된 수지가 고체화된 후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분리를 반복함에 따라 단시간 내에 많은 수량의 성형품을 생산하도록 해준다. 아울러 이러한 사출성형기를 통해 산업전반에 걸쳐서 다양한 종류의 성형품을 생산하고 있다.
그런데 사출성형용으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합성수지 원료에는 수분이 함유되어 있고, 이러한 합성수지 원료는 실린더 내에서 용융될 때 가스를 발생시키게 된다. 아울러 합성수지가 용융점에 도달하는 온도에서 합성 수지의 화학적 변화로 인하여 가스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가스가 용융 수지와 함께 금형 캐비티 속으로 주입되면, 성형품의 표면에 균열 또는 얼룩무늬를 형성하게 되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성형품의 불량율을 줄이기 위하여 용융 수지 내의 가스를 제거한 후에 금형 캐비티 속으로 주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등록특허 제10-1635616호에는 노즐 유니트 내부의 가스 및 타르 배출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사출성형기용 노즐 유니트 및 이를 포함하는 타르 배출 컨트롤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수지 용융에 의한 사출성형이 이루어짐에 따라 용융물이 통과하는 유로 사이에 수지가 잔존하게 되고, 사출성형이 계속해서 이루어짐에 따라 잔존하는 수지가 열화 및 탄화되어 노즐 유니트 내에 고착되는 문제가 있다.
그에 따라 노즐 유니트를 주기적으로 분리하여 노즐 유니트를 청소해 줘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등록특허 제10-1687681호의 '사출금형의 가스제거노즐'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사출금형의 가스제거노즐'에 구비된 가스배출부에는 용융이 유동 공급되는 '수지이동공'에 감압핀이 구비되고, 상기 감압핀에는 가스 배출을 위한 와셔가 삽입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용융 수지가 감압핀에 설치되는 상기 와셔를 통과하면서 와셔에 형성되어 있는 가스유도홈을 통해 가스가 가스배출홈으로 유도되면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사출금형의 가스제거노즐'에는 다수개의 와셔가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와셔는 가스유도홈을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원하지 않는 틈이 발생하여 작업이 어렵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KR 10-1687681 (등록번호) 2016.12.19. KR 10-1933005 (등록번호) 2019.03.15. KR 10-1635616 (등록번호) 2016.06.27.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출기실린더의 단부에 용융 수지가 유동되도록 1개의 관통유로가 형성되는 감압판을 다층으로 적층하여 내설되는 몸체케이싱을 연결하고 용융 수지가 다층의 감압판을 통과하면서 감압판에 형성되는 가스배출부의 가스배출홈을 따라 용융수지에 함유된 가스(수분 포함)가 유도되어 케이싱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가스 유입에 따른 제품 불량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하이 엔드 가스벤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융수지가 감압판을 통과하면서 가스를 외부로 분출함으로써 금형으로 수지를 분사하는 노즐이 그 내부에 정체되는 가스 등에 의해 변형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몸체케이싱의 내부에 적층되는 감압판 가스배출부의 가스배출홈을 미세하게 하고, 그 상면의 높이가 같도록 하여 연접하여 배추되는 감압판 사이에서 관통유로를 통해 유동되는 용융수지가 감압판들 사이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가스만 배출하도록 하여 수지 공급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스배출부를 먼저 제조한 후 감압바닥판을 파내어 감압바닥판의 높이가 동일하지 않아도 가스배출홈보다 크기만 하면 가스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제조가 쉬운 하이 엔드 가스벤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접한 감압판 사이에 형성되는 가스배출홈이 연접된 평면의 감압평판과 접촉되어 가스배출홈을 매우 작게 형성하면서도 가스배출부의 상면을 연마할 필요가 없이 동일 높이가 되는 하이 엔드 가스벤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원료 저장부에서 사출실린더(102) 및 노즐부(103)를 통해 금형(104)의 캐비티(104a) 내부로 용융수지를 공급할때에 상기 금형(104)의 앞단에서 용융 수지 내에 포함된 가스를 제거하는 하이 엔드 가스 벤트 시스템에 있어서, 양측면이 개방되고 중공의 원통형으로 되면서 가스배출공(111)이 구비되는 몸체케이싱(110)과; 상기 몸체케이싱(110)의 일단면에 체결되며, 상기 사출실린더(102)의 단부에 체결되는 제1연결부(120); 상기 몸체케이싱(110)의 타단면에 체결되며 상기 노즐부(103)에 체결되는 제2연결부(130); 상기 몸체케이싱(110)의 내측 중앙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며, 양 끝단부가 상기 제1연결부(12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1콘형상부(141)와 상기 제2연결부(13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2콘형상부(142)로 이루어지는 1 개의 가이드핀(140); 상기 몸체케이싱(110)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핀(140)이 관통되도록 중앙에 1개의 핀관통홀(161)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핀(140)을 감싸며 다수개 적층 구비되어 용융수지의 가스를 배출하는 감압판(160);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120)로 유입되는 용융수지가 상기 가이드핀(140)과 상기 감압판(160) 사이를 통과하며 상기 감압판(160) 일측 단면에 핀관통홀(161)을 중심으로 상부가 개방된 가스배출홀(H)이 다수개 형성된 가스배출홈(H)이 형성된 가스배출부(162)로 가스가 유도되어 상기 가스배출공(1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상기 감압판(160)은 중앙에 용융수지가 통과하는 핀관통홀(161)이 형성되고, 상기 핀관통홀(161)의 높이(D1)가 가장자리의 높이보다 크도록 상기 가스배출부(162)의 끝단에서 수직된 단턱부(163)가 형성되며; 상기 가스배출부(162)는 상기 핀관통홀(161)에서 단턱부(163)까지 형성되고, 핀관통홀(161)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가스배출부(162)는 상기 감압판(160)과 일체형으로 형성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스배출부(162)에 형성된 가스배출홈(H)의 깊이는 상기 단턱부(163)의 높이(D3)보다 작고, 상기 가스배출홈(H)의 폭은 가스배출홈(H)의 높이보다 작다.
본 발명의 상기 감압판(160)은 일측에 평평한 감압바닥판(164)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가스배출부(162)와 단턱부(163), 단턱부(163)의 외곽에는 가스배출홈이 없는 감압평판(165)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가스배출공(111)은 상기 몸체케이싱(110)의 양측에 구비되되 상기 강압판(160)들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가스배출홈(H)과 연통되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상기 감압판(160)은 원기둥으로 제작된 후, 감압판(160)의 중앙에 상기 핀관통홀(161)을 가공 형성하고, 감압바닥판(164)의 반대면을 상기 가스배출부(162)의 위치를 제외하고 절삭하여 감압평판(165)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연결부(120)와 제2연결부(130)는 상기 몸체케이싱(110)와 접촉되는 내부에 수직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에는 원통형의 핀고정통이 배치되어 적층된 감압판(160)의 끝단과 접촉되며, 상기 핀고정통의 끝단에는 중앙으로 돌출된 돌출부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직경은 상기 가이드핀(140)의 직경보다 크다.
본 발명의 하이 엔드 가스벤트 시스템은 사출기실린더의 단부에 용융 수지가 유동되도록 1개의 관통유로가 형성되는 감압판을 다층으로 적층하여 내설되는 몸체케이싱을 연결하고 용융 수지가 다층의 감압판을 통과하면서 감압판에 형성되는 가스배출부의 가스배출홈을 따라 용융수지에 함유된 가스(수분 포함)가 유도되어 케이싱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가스 유입에 따른 제품 불량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용융수지가 감압판을 통과하면서 가스를 외부로 분출함으로써 금형으로 수지를 분사하는 노즐이 그 내부에 정체되는 가스 등에 의해 변형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케이싱의 내부에 적층되는 감압판 가스배출부의 가스배출홈을 미세하게 하고, 그 상면의 높이가 같도록 하여 연접하여 배추되는 감압판 사이에서 관통유로를 통해 유동되는 용융수지가 감압판들 사이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가스만 배출하도록 하여 수지 공급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스배출부를 먼저 제조한 후 감압바닥판을 파내어 감압바닥판의 높이가 동일하지 않아도 가스배출홈보다 크기만 하면 가스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제조가 쉬운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접한 감압판 사이에 형성되는 가스배출홈이 연접된 평면의 감압평판과 접촉되어 가스배출홈을 매우 작게 형성하면서도 가스배출부의 상면을 연마할 필요가 없이 동일 높이가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 엔드 가스벤트 시스템의 개략적인 연결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 엔드 가스벤트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 엔드 가스벤트 시스템에 대한 상태단면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 엔드 가스벤트 시스템에 구비되는 감압판의 사시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 엔드 가스벤트 시스템에 구비되는 감압판의 평면상태도와 측면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 엔드 가스벤트 시스템에 구비되는 감압판의 요부 절개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 엔드 가스벤트 시스템에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 엔드 가스벤트 시스템(100)는 도 1 내지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호퍼 형상의 플라스틱 원료가 저장부(101)에서 사출실린더(102) 및 노즐부(103)를 통해 금형(104)의 캐비티(104a) 내부로 용융수지가 공급되면서 가스를 흡기하여 필터(105)롤 거쳐 배출하는 상기 금형(104)의 앞단에서 용융 수지 내에 포함된 가스를 제거하는 하이 엔드 가스 벤트 시스템에 있어서,
양측면이 개방되고 중공의 원통형으로 되면서 가스배출공(111)이 구비되는 몸체케이싱(110)과;
상기 몸체케이싱(110)의 일단면에 체결되며, 상기 사출실린더(102)의 단부에 체결되는 제1연결부(120);
상기 몸체케이싱(110)의 타단면에 체결되며 상기 노즐부(103)에 체결되는 제2연결부(130);
상기 몸체케이싱(110)의 내측 중앙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며, 양 끝단부가 상기 제1연결부(12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1콘형상부(141)와 상기 제2연결부(13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2콘형상부(142)로 이루어지는 1 개의 가이드핀(140);
상기 몸체케이싱(110)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핀(140)이 관통되도록 중앙에 1개의 핀관통홀(161)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핀(140)을 감싸며 다수개 적층 구비되어 용융수지의 가스를 배출하는 감압판(160);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120)로 유입되는 용융수지가 상기 가이드핀(140)과 상기 감압판(160) 사이를 통과하며 상기 감압판(160) 일측 단면에 핀관통홀(16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가스배출홀(H)이 형성된 가스배출부(162)로 가스가 유도되어 상기 가스배출공(1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가스 벤트 시스템은 플라스틱 원료의 저장부(101)를 통해 상기 사출실린더(102)로 원료가 공급되면 상기 스크류가 포함된 사출실린더(102)에서 용융수지를 강제로 상기 제1연결부(120)에 공급하고 이어 상기 몸체케이싱(110)의 내부로 들어가 상기 감압판(160)을 차례로 통과하면서 이들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가스배출홈(H)을 통해 용융수지에 함유되어 있는 가스나 수분(이하 '가스'로 통칭함) 등이 빠져나와 상기 몸체케이싱(11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가스배출공(111)을 통해 배출되며, 배출된 가스는 필터링된 후에 외부로 배출된다.
이어 가스가 배출되면서 상기 감압판(160)을 통과한 용융수지는 상기 제2연결부(130)를 통해 가압되면서 상기 노즐부(103)로 공급되고, 상기 노즐부(103)에서 분출되는 수지는 상기 금형(104)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캐비티(104a)의 내부로 공급하여 제품이 성형 생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가스 벤트 시스템은 상기 몸체케이싱(110) 내부를 용융수지가 통과하면서 압력을 저하시켜 용융수지 내부에 함유된 가스나 수분을 제거하고 다시 압력을 높여 노즐을 통해 금형으로 용융수지를 분출 공급하여 제품을 성형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용융수지는 몸체케이싱(110) 통과하며 이동 속도가 저하되며 가이드핀(140)의 수지이동홈(143)을 통과하며 감압된 수지로부터 가스가 이동되어 가스배출공(111)으로 배출된다.
상기 몸체케이싱(110)의 양단면부에는 상기 제1연결부(120)와 상기 제2연결부(130)가 체결되는 너트구멍(112)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연결부(120)에는 상기 사출실린더(102)에서 공급되는 용융수지가 통과하는 원뿔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핀(140)의 제1콘형상부(141)가 삽입된다.
상기 홈은 상기 제1소경부(122)를 지나 상기 제1대경부(121)에서 점차 확장되는 콘형상의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제1대경부(121)에는 상기 수지유입부(14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콘형상부(141)가 내설되어 있고 상기 제1콘형상부(141)의 외주면을 따라 용융수지가 통과하면서 확산됨으로써 공급압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120)의 상기 제1대경부(121)에는 상기 몸체케이싱(110)의 단면부에 형성되는 상기 너트구멍(112)에 체결볼트(B)를 끼워 고정하는 제1설치구멍(121a)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연결부(130)의 상기 제2대경부(131)에는 상기 몸체케이싱(110)의 단면부에 형성되는 상기 너트구멍(112)에 체결볼트(B)를 끼워 고정하는 제2설치구멍(131a)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몸체케이싱(110)의 일단면부에 형성되는 상기 너트구멍(112)과 상기 제1연결부(120)에 형성되는 제1설치구멍(121a)에 상기 체결볼트(B)를 끼워 체결하면 상기 몸체케이싱(110)의 일단면부에 상기 제1연결부(120)가 견고하게 연결 고정된다.
또한 상기 몸체케이싱(110)의 타단면부에 형성되는 상기 너트구멍(112)과 상기 제2연결부(130)에 형성되는 제2설치구멍(131a)에 상기 체결볼트(B)를 끼워 체결하면 상기 몸체케이싱(110)의 타단면부에도 상기 제2연결부(130)가 견고하게 연결 고정된다.
상기 제2연결부(130)에는 상기 몸체케이싱(110)에서 통과한 용융수지가 배출되는 제2소경부(1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소경부(132)는 상기 제2대경부(131)에서 콘형상으로 점차 축소되면서 형성되고 노즐부(103)로 분출하는 수지관로가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연결부(120)의 상기 제1대경부(121)를 통해 상기 몸체케이싱(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용융수지는 감압이 이루어지면서 가스를 배출하고 다시 상기 제2연결부(130)의 상기 제2소경부(132)를 통과하면서 원래의 수지 공급압력으로 상승하면서 상기 노즐부(103)를 통해 상기 금형(104)으로 공급 성형하게 된다.
상기 몸체케이싱(110)은 가이드핀(140)이 관통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1연결부(120)의 제1대경부(121)부터 제2연결부(130)의 제2대경부(131)까지 구비되어 상기 제1콘형상부(141)의 외주연을 따라 용융수지가 확산하면서 통과할 수 있도록 수지이동홈(14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핀(140)은 앞단과 뒤단이 뾰족한 제1콘형상부(141)와 제2콘형상부(142)로 이루어져, 제1연결부(120)의 제1대경부(121)와 제2연결부(130)의 제2대경부(131)에 대응된다.
상기 가이드핀(140)은 제1콘형상부(141)와 제2콘형상부(142) 사이에 나선형으로 패인 수지이동홈(143)이 형성되어 유입된 수지가 이동하는 경로가 된다. 이때 수지이동홈(143)이 깊게 패여 있으면 이동되는 수지의 양이 많아지고, 수지이동홈(143)이 얇게 패여 있으면 이동되는 수지의 양이 작아진다. 또한, 가이드핀(140)은 그 직경(S1)이 이동되는 수지의 양에 따라 크거나 작게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핀(140)은 수지이동홈(143) 사이에 돌출된 감압판접촉면(미도시)이 형성되어 감압판(160)의 내벽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사출실린더(102)에서 공급되는 용융수지는 상기 제1연결부(120)에 형성되는 상기 제1소경부(122), 제1대경부(121), 수지이동홈(143), 제2대경부(131), 제2소경부(132)로 형성되는 수지통로를 통해 상기 노즐부(103)로 공급된다.
상기 노즐부(103)에서는 유입되는 용융수지를 상기 금형(104)의 캐비티(104a) 내부로 공급하여 캐비티 형상대로 제품이 성형 생산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1연결부(120)에 형성되는 상기 제1소경부(122), 제1대경부(121)로 유입되는 용융수지는 가이드핀(140)의 가장자리인 수지이동홈(143)을 통과하며 이동속도가 늦어지고, 이로 인해 용융수지 내부에 함유된 가스나 수분이 용이하게 분리된다.
이와 같이 하여 용융수지에서 분리되어 나오는 가스나 수분은 상기 감압판(160)과 인접하는 감압판(160)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가스배출홈(H)을 통해 빠져나온 다음 단턱부(163)를 지나 감압평판(165)을 거쳐 상기 몸체케이싱(110)에 형성되는 상기 가스배출공(111)을 거쳐 외부로 배출 처리된다. 이때 몸체케이싱(110)에는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공(미도시)가 별도로 형성되어 공기를 유입시키고, 가스배출공(111)에서 배출되는 가스와 같이 흡기된다.
한편, 상기 감압판(160)에는 중앙에 크게 핀관통홀(161)이 1개 형성되어 가이드핀(140)이 관통된다. 감압판(160)의 핀관통홀(161)의 내벽면은 가이드핀(140)의 감압판접촉면과 접촉된다. 상기 핀관통홀(161)의 주변에는 방사상으로 미세한 가스배출홈(H)이 형성된 가스배출부(162)가 구비되며, 상기 가스배출부(162)가 끝나는 지점에 원형으로 단턱부(163)가 형성되어 가스배출부(162)보다 낮은 높이로 감합평판(165)이 형성된다.
상기 감압판(160)은 상기 가스배출부(162)가 형성된 일면과 아무런 형상이 없는 평평한 면을 갖는 감압바닥판(164)이 형성되며, 핀관통홀(161)에서 단턱부(163)까지 동일한 높이의 핀관통홀높이(D1)를 갖는다.
상기 가스배출홈(H)은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미세홈으로 중앙의 핀관통홀(161)을 중심으로 대략 1도에 1개씩 360개가 형성되며, 그 폭은 대략 2μm이고 그 깊이는 대략 10μm로 되어, 폭보다 깊게 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가스배출홈(H)은 가스배출부(162)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배출되는 가스가 직선으로 이동하여 단턱부(163)를 지나 감압평판(165)까지 쉽게 이동하게 하면서, 좁은 폭으로 이동되는 수지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한다.
상기 가스배출홈(H)은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연접한 다른 감압판(160')의 감압바닥판(164)과 접촉되어 단턱부(163)까지 개방된 상부가 막히게 되므로, 중앙의 핀관통홀(161)에서 단턱부(163)까지 가스배출부(162)가 폐쇄되어 가스가 이동하게 된다. 단턱부(163)를 벗어난 가스는 가스배출홈(H)보다 큰 간격으로 이루어진 감압편판(165)에서 쉽게 이동하며 가스배출공(111)으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감압판(160)의 일측면에 상기 가스배출부(162)를 형성하고 상기 감압판(160)을 다층으로 적층하게 되면 상기 연접한 감압판(160)들 사이에 상기 가스배출홈높이(h)에 해당하는 간극이 폐쇄통공이 되어 가스가 이동하는 경로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상기 감압판(160)에 형성되는 핀관통홀(161) 주변의 상기 가스배출부(162)가 구비되고, 여기서 상기 가스배출부(162)를 포함하여 상기 감압판(160)의 하면부(감압바닥판(164))에서 상기 가스배출부(162)의 상면부까지의 핀관통홀높이(D1)가 전체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핀관통홀높이(D1)가 상기 감압판(160)의 하면부(감압바닥판(164))에서 단턱부(163)의 외곽에 패인 감압평판(165)까지의 감압평판높이(D2)보다 크게 형성되어, 감압평판(165)으로 이동된 가스는 단턱부(163) 외곽에서 쉽게 이동할 수 있다.
단턱부높이(D3)는 대략 3mm 정도이면 적당하다. 즉, 핀관통홀높이(D1)은 감압평판높이(D2) 보다 약 3mm 크다.
여기에서 약 360개로 형성되는 가스배출홈(H)으로 이루어진 가스배출부(162) 상면의 높이가 전체적으로 동일하여야 가스배출홈(H)으로만 가스가 배출되고, 가스배출홈 상부로 가스가 배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가스배출부(162) 상면의 높이를 일정하게 형성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은 가스배출부(162) 상면의 높이를 일정하게 형성시키기 위하여 감압판(160)을 최초에 핀관통홀높이(D1)의 원기둥 형상으로 제작한 후, 이후에 상기 감압판(160)에 상기 핀관통홀(161)을 중앙에 1개 형성한다.
이어 상기 핀관통홀(161)의 모서리부에 가스배출홈의 형상을 마킹하여 가스배출부(162)를 표시하고, 감압판의 나머지면인 감압평판(165)을 깎아 제거한다. 이후, 가스배출부(162)에서 가스배출홈(H)을 형성한다. 가스배출부(162)의 상면은 처음에 형성된 원기둥이 그대로 있는 것이므로 상면의 높이가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되어, 상면에서 위로 돌출되는 부분없이 감압판의 하부면인 감압바닥판(164)에서 가스배출부(162)의 상면까지의 높이인 핀관통홀높이(D1)가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된다.
다만, 가스배출홈(H)은 그 깊이가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이는 가스의 통과하기에 충분한 높이로 하면 되어서, 약간 작아도 가스의 통과에 문제가 없다.
이와 같이 제작하면, 감압판(160)는 연접하는 감압판(160')과 감압바닥판(164)과 가스배출부(162)의 상면이 접촉하며 전체적으로 뒤틀림이나 편차없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감압판(160)의 최초 형태는 공장에서 제조가능하여 일정한 두께와 크기로 제조할 수 있고, 절삭되는 감압평판(165)은 동일 높이로 제작될 필요가 없고, 가스배출홈은 절삭 또는 프레스 공정으로 어느 정도 동일하게 제조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연결부(120)에는 상기 제1연결부(120)와 제2연결부(130)는 상기 몸체케이싱(110)와 접촉되는 내부에 수직으로 절곡된 절곡부(125, 135)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125, 135)에는 원통형의 핀고정통(126, 136)이 배치되어 적층된 감압판(160)의 끝단과 접촉되며, 상기 핀고정통(126, 136)의 끝단에는 중앙으로 돌출된 돌출부(127, 137)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27, 137)의 직경은 상기 가이드핀(140)의 직경보다 크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1연결부(120)에는 내측면의 끝단이 절곡된 제1절곡부(125)가 형성되어 상기 감압판(160)의 핀관통홀높이(D1) 보다 큰 높이를 갖는 원통형의 제1핀고정통(126)이 삽입되되, 상기 제1핀고정통(126)은 일면이 감압판(160)의 끝단과 접촉되고 타면이 제1절곡부(125)와 접촉된다.
이때 제1핀고정통(126)은 수지 공급방향에서 내부 중앙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127)가 형성된다. 상기 제1돌출부(127)는 가이드핀(140)의 제1콘형상부(141)를 감싸는 형상을 하게 된다.
제2연결부(130)에는 내측면의 끝단이 절곡된 제2절곡부(135)가 형성되어 상기 감압판(160)의 핀관통홀높이(D1) 보다 큰 높이를 갖는 원통형의 제2핀고정통(136)이 삽입되되, 상기 제2핀고정통(136)은 일면이 감압판(160)의 끝단과 접촉되고 타면이 제2절곡부(135)와 접촉된다.
이때 제2핀고정통(136)은 수지 배출방향에서 내부 중앙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137)가 형성된다. 상기 제2돌출부(137)는 가이드핀(140)의 제2콘형상부(142)를 감싸는 형상을 하게 된다.
상기 제1돌출부(127)와 제2돌출부(137)는 그 직경(S2)이 상기 가이드핀의 가장 큰 직경(S2)보다 작아 가이드핀(140)은 앞뒤에서 상기 제1, 2돌출부(127, 137)에 의하여 고정되어 몸통케이싱(110)에서 이탈하지 못한다.
본 발명에서 제1연결부(120)와 제2연결부(130)는 몸통케이싱(110)을 가운데에 두고 서로 대칭인 형상이며, 이를 구분하는 경우에는 제1돌출부(127)와 제2돌출부(137)로 기재하고, 통합적으로 언급할 경우에는 돌출부로 한다. 다른 구성인 절곡부, 핀고정통도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이 엔드 가스벤트 시스템은 사출기실린더의 단부에 용융 수지가 유동되도록 1개의 관통유로가 형성되는 감압판을 다층으로 적층하여 내설되는 몸체케이싱을 연결하고 용융 수지가 다층의 감압판을 통과하면서 감압판에 형성되는 가스배출부의 가스배출홈을 따라 용융수지에 함유된 가스(수분 포함)가 유도되어 케이싱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가스 유입에 따른 제품 불량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이 엔드 가스벤트 시스템은 용융수지가 감압판을 통과하면서 가스를 외부로 분출함으로써 금형으로 수지를 분사하는 노즐이 그 내부에 정체되는 가스 등에 의해 변형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이 엔드 가스벤트 시스템은 몸체케이싱의 내부에 적층되는 감압판 가스배출부의 가스배출홈을 미세하게 하고, 그 상면의 높이가 같도록 하여 연접하여 배추되는 감압판 사이에서 관통유로를 통해 유동되는 용융수지가 감압판들 사이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가스만 배출하도록 하여 수지 공급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100:하이 엔드 가스벤트 시스템
101:저장부 102:사출실린더 103:노즐부 104:금형 104a:캐비티 105:필터
110:몸체케이싱
111:가스배출공 112:너트구멍
120:제1연결부
121:제1대경부 122:제1소경부 125: 제1절곡부 126:제1핀고정통 127: 제1돌출부
130:제2연결부
131:제2대경부 132:제2소경부 135: 제2절곡부 136:제2핀고정통 137: 제2돌출부
140:가이드핀
141:제1콘형상부 142:제2콘형상부 143:수지이동홈
160:감압판
161:핀관통홀 162:가스배출부 163:단턱부 164:감압바닥판 165:감압평판
D1:핀관통홀높이 D2:감압평판높이 D3: 단턱부높이 H:가스배출홈 h:가스배출홈 높이 S1:가이드핀직경` S2: 돌출부직경

Claims (8)

  1. 원료 저장부에서 사출실린더(102) 및 노즐부(103)를 통해 금형(104)의 캐비티(104a) 내부로 용융수지를 공급할때에 상기 금형(104)의 앞단에서 용융 수지 내에 포함된 가스를 제거하는 하이 엔드 가스 벤트 시스템에 있어서,
    양측면이 개방되고 중공의 원통형으로 되면서 가스배출공(111)이 구비되는 몸체케이싱(110)과;
    상기 몸체케이싱(110)의 일단면에 체결되며, 상기 사출실린더(102)의 단부에 체결되는 제1연결부(120);
    상기 몸체케이싱(110)의 타단면에 체결되며 상기 노즐부(103)에 체결되는 제2연결부(130);
    상기 몸체케이싱(110)의 내측 중앙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며, 양 끝단부가 상기 제1연결부(12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1콘형상부(141)와 상기 제2연결부(13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2콘형상부(142)로 이루어지는 1 개의 가이드핀(140);
    상기 몸체케이싱(110)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핀(140)이 관통되도록 중앙에 1개의 핀관통홀(161)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핀(140)을 감싸며 다수개 적층 구비되어 용융수지의 가스를 배출하는 감압판(160);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120)로 유입되는 용융수지가 상기 가이드핀(140)과 상기 감압판(160) 사이를 통과하며 상기 감압판(160) 일측 단면에 핀관통홀(161)을 중심으로 상부가 개방된 가스배출홀(H)이 다수개 형성된 가스배출홈(H)이 형성된 가스배출부(162)로 가스가 유도되어 상기 가스배출공(1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감압판(160)은 중앙에 용융수지가 통과하는 핀관통홀(161)이 형성되고, 상기 핀관통홀(161)의 높이(D1)가 가장자리의 높이보다 크도록 상기 가스배출부(162)의 끝단에서 수직된 단턱부(163)가 형성되며;
    상기 가스배출부(162)는 상기 핀관통홀(161)에서 단턱부(163)까지 형성되고, 핀관통홀(161)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형성되는 하이 엔드 가스 벤트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부(162)는 상기 감압판(160)과 일체형으로 형성 구비되는 하이 엔드 가스 벤트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부(162)에 형성된 가스배출홈(H)의 깊이는 상기 단턱부높이(D3)보다 작고,
    상기 가스배출홈(H)의 폭은 가스배출홈(H)의 높이보다 작은 하이엔드 가스 벤트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판(160)은 일측에 평평한 감압바닥판(164)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가스배출부(162)와 단턱부(163), 단턱부(163)의 외곽에는 가스배출홈이 없는 감압평판(165)이 형성된 하이엔드 가스 벤트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공(111)은 상기 몸체케이싱(110)의 양측에 구비되되 상기 감압판(160)들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가스배출홈(H)과 연통되어 구비되는 하이엔드 가스 벤트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판(160)은 원기둥으로 제작된 후, 감압판(160)의 중앙에 상기 핀관통홀(161)을 가공 형성하고, 감압바닥판(164)의 반대면을 상기 가스배출부(162)의 위치를 제외하고 절삭하여 감압평판(165)을 형성하는 하이엔드 가스 벤트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120)와 제2연결부(130)는 상기 몸체케이싱(110)와 접촉되는 내부에 수직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에는 원통형의 핀고정통이 배치되어 적층된 감압판(160)의 끝단과 접촉되며,
    상기 핀고정통의 끝단에는 중앙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직경은 상기 가이드핀(140)의 직경보다 큰 하이엔드 가스 벤트 시스템.
KR1020210074401A 2021-06-08 2021-06-08 하이 엔드 가스벤트 시스템 KR102298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401A KR102298636B1 (ko) 2021-06-08 2021-06-08 하이 엔드 가스벤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401A KR102298636B1 (ko) 2021-06-08 2021-06-08 하이 엔드 가스벤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8636B1 true KR102298636B1 (ko) 2021-09-07

Family

ID=77797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4401A KR102298636B1 (ko) 2021-06-08 2021-06-08 하이 엔드 가스벤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863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4225U (ko) * 1988-07-11 1990-02-08 구연집 전자소자 선별기의 테이프 박리장치
JP2010505673A (ja) * 2006-10-23 2010-02-25 ハンド スチー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射出機用ノズルアセンブリー
KR100972810B1 (ko) * 2009-11-20 2010-07-28 이점석 가스배출이 용이한 사출기용 노즐
KR101635616B1 (ko) 2015-10-06 2016-07-04 주식회사 디씨티테크놀로지 사출성형기용 노즐 유니트 및 이를 포함하는 타르 배출 컨트롤 시스템
KR101687681B1 (ko) 2015-05-08 2016-12-19 (주)벤트코리아 사출금형의 가스제거노즐
KR101933005B1 (ko) 2018-05-24 2019-03-15 주식회사 제이비전 사출성형기용 노즐 유니트 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4225U (ko) * 1988-07-11 1990-02-08 구연집 전자소자 선별기의 테이프 박리장치
JP2010505673A (ja) * 2006-10-23 2010-02-25 ハンド スチー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射出機用ノズルアセンブリー
KR100972810B1 (ko) * 2009-11-20 2010-07-28 이점석 가스배출이 용이한 사출기용 노즐
KR101687681B1 (ko) 2015-05-08 2016-12-19 (주)벤트코리아 사출금형의 가스제거노즐
KR101635616B1 (ko) 2015-10-06 2016-07-04 주식회사 디씨티테크놀로지 사출성형기용 노즐 유니트 및 이를 포함하는 타르 배출 컨트롤 시스템
KR101933005B1 (ko) 2018-05-24 2019-03-15 주식회사 제이비전 사출성형기용 노즐 유니트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14434B2 (en) Valve-gate bushing for gas-assisted injection molding
CN101588908B (zh) 用于注射器的喷嘴组件
KR930019873A (ko) 복합 용융 취입 방사용 방사구금 장치
KR101292498B1 (ko) 벤트봉을 구비한 노즐
KR102298636B1 (ko) 하이 엔드 가스벤트 시스템
KR102358444B1 (ko) 사출기의 가스 배출장치
KR20220049291A (ko) 플라스틱 사출기의 가스 배출장치
KR200393017Y1 (ko)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KR100631267B1 (ko)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JP2015193100A (ja) 射出成形金型用ガス抜き部材
KR101210427B1 (ko) 사출용 노즐 및 사출장치
KR100879480B1 (ko) 이물질 제거기능을 가지는 사출성형기용 노즐.
KR101690149B1 (ko) 서포트 분리가 용이한 3차원 프린터
KR20180079948A (ko) 엣지변형방지 합성수지 수도관 및 그 수도관의 압출 성형 제조장치와 엣지변형방지 합성수지 수도관의 제조방법
KR102221674B1 (ko) 가스 배출수단을 구비한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KR200478686Y1 (ko) 스티로폼 성형장치의 마스터프레임
KR101612917B1 (ko) 재생필라멘트사 제조를 위한 멀티헤드용 수지액 공급장치
JP7085102B1 (ja) 圧縮空気噴出装置
KR20120025642A (ko) 연속식 화이버 압출장치
KR102059953B1 (ko) 압출기용 필터링 장치
JP4887811B2 (ja) 金型および製造方法
KR20120078528A (ko) 사출성형용 노즐장치
KR20230165510A (ko) 빌렛 제조용 몰드 장치
KR20100079051A (ko) 플라스틱 성형시 노즐에서의 가스 배기장치
US7654811B2 (en) Mold for manufacturing a tube by extra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