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5642A - 연속식 화이버 압출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식 화이버 압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5642A
KR20120025642A KR1020100087114A KR20100087114A KR20120025642A KR 20120025642 A KR20120025642 A KR 20120025642A KR 1020100087114 A KR1020100087114 A KR 1020100087114A KR 20100087114 A KR20100087114 A KR 20100087114A KR 20120025642 A KR20120025642 A KR 20120025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lock
melt
filter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7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덕
임성일
Original Assignee
김진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덕 filed Critical 김진덕
Priority to KR1020100087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5642A/ko
Publication of KR20120025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56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69Filters or screens for the moulding material
    • B29C48/694Cylindrical or conical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85Feeding the extrusion material to the extru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395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screws surrounded by a cooperating barrel, e.g. single screw extru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연속식 화이버 압출장치(100)는, 폐 수지 용융물을 압송하는 공급부(110)와, 상기 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되는 용융물을 여과하는 여과부(130)와, 상기 여과부(130)로부터 공급되는 용융물을 화이버 형상으로 성형하여 내보내는 성형부(120)로 구성되고, 상기 공급부(110)는 용융물을 안내하는 공급관(111)과, 상기 공급관(111)내부에 수용되어 용융물을 여과부(130) 쪽으로 압송하는 스크류(113)로 구성되고, 상기 여과부(130)는 상기 공급관(111)에 연결된 블록(140)과,상기 블록(140)에 병렬로 다수 개가 수용되어 동시에 용융물이 통과하도록 장착된 필터(400)가 구성되고, 상기 성형부(120)는 상기 블록(140)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필터(400)를 통과한 용융물을 배출하는 노즐(121)이 포함되기 때문에, 폐색된 하나의 필터(400)를 보수할 때에도 다른 폐색되지 않은 필터(400)를 통해서 용융물을 걸러내어서 화이버로 압출할 수 있으며, 상기 필터(400) 보수 시에 유입되는 공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연속식 화이버 압출장치{Fiber extruding machine of continuity type}
본 발명은 연속식 화이버 압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필터의 스크린을 교체할 때에도 중단 없이 화이버를 연속적으로 압출시킬 수 있는, 연속식 화이버 압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화이버 압출장치를 위에서 본 것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화이버 압출장치로서 도 1의 상태에서 분해된 것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A 방향에서 본 것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1에서 B 방향에서 본 것을 도시한 측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폐 수지는 용융시켜서 화이버(fiber)로 재생함으로써, 완충재로 사용되거나, 방적 가공하여 직물지 내지는 로프 등으로 재활용하게 된다. 이처럼, 폐 수지를 화이버로 재생하는 장치를 화이버 압출장치(1)라고 한다.
이러한 화이버 압출장치(1)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폐 수지를 가열하여 용융시킨 용융물을 압송하는 공급부(10)와, 상기 공급부(10)로부터 공급된 용융물을 여과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부(20)와, 상기 여과부(20)로부터 공급되는 용융물을 화이버 형상으로 성형하여 내보내는 성형부(30)로 구성된다.
상기 공급부(10)는 용융물을 안내하는 공급관(11)이 구성되고, 상기 공급관 (11)내부에 수용되어 용융물을 여과부(20) 쪽으로 압송하는 스크류(13)로 구성된다.
상기 여과부(20)는 상기 공급관(11)에 연결되는 실린더(21)가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21)에 수용되는 필터(23)로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21)는 다수 개가 상호 연결되어 구성되고, 각 실린더(21)에는 필터(23)가 삽입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필터(23)는 스크린(25)이 장착되어 용융물을 걸러내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성형부(30)는 상기 다수의 실린더(21) 중, 용융물이 마지막으로 종착하는 실린더(21)에 노즐(31)이 연통되어 구성된다.
상기 노즐(31)은 샤워기처럼 다수의 통공(33)이 형성된 것으로서, 용융물이 상기 통공(33)을 통과하면서 파이버로 성형되어 배출된다.
상기 종래 기술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공급관(11)의 내부를 통해서 폐 수지의 용융물을 투입시키면, 상기 스크류(1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여과부(20) 쪽으로 압송된다. 여과부(20)의 첫 번째 실린더(21)에 도달한 용융물은 상기 첫 번째 실린더(21)에 삽입된 필터(23)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다. 이런 식으로 다음 순서의 실린더(21)와 필터(23)를 거친 후, 상기 노즐(31)을 거쳐서 가는 실 형상의 화이버로 재생된다.
이때, 상기 필터(23)의 스크린(25)이 이물질에 막히게 되면, 즉시 장치를 정지시키고, 상기 필터(23)를 이탈시킨 후, 스크린(25)을 교체하고나서, 다시 실린더(21)에 삽입하여 재가동하게 된다.
상기 배경기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여과부의 실린더가 직렬로 연결된 구조이기 때문에, 하나의 필터에 장착된 스크린을 교체할 경우, 장치 전체의 작동을 정지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용융물이 각각의 실린더를 통과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하나의 스크린을 교체하더라도 장치 전체의 작동을 멈춰야만 했다. 따라서,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여과부의 실린더가 직렬로 연결된 구조이기 때문에, 화이버 생산 시간이 신속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일반적으로 폐 수지의 용융물은 하나의 필터를 통과하더라도 충분히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지만, 종래기술은 직렬로 다수의 실린더가 상호 연결된 구조이기 때문에, 용융물이 각각의 실린더를 거치게 되어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세째, 상기 필터의 스크린을 교체하는 과정에서 실린더 내부에 공기가 유입됨으로써 용융물 내부에 기포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기포가 용융물과 함께 노즐로 배출되기 때문에, 상기 기포가 배출되는 부분에서는 화이버가 끊어질 수밖에 없으므로 불량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화이버는 방적공정을 통해 실로 제조하기 위해서 여러 가닥의 화이버를 보빈에 감은 후, 상기 각각의 화이버를 인출하면서 꼬아서 직물용 실로 만들게 되는데, 이처럼, 화이버가 중간 중간에 끊어질 경우 방적이 제대로 될 수 없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의한 연속식 화이버 압출장치는, 폐 수지 용융물을 압송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용융물을 여과하는 여과부와, 상기 여과부로부터 공급되는 용융물을 화이버 형상으로 성형하여 내보내는 성형부로 구성되고, 상기 공급부는 용융물을 안내하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내부에 수용되어 용융물을 여과부 쪽으로 압송하는 스크류로 구성되고, 상기 여과부는 상기 공급관에 연결된 블록과, 상기 블록에 병렬로 다수 개가 수용되어 동시에 용융물이 통과하도록 장착된 필터가 구성되고, 상기 성형부는 상기 블록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필터를 통과한 용융물을 배출하는 노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록은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며 관통되지 않도록 형성된 공급공과, 상기 공급공에서 일측방으로 다수 개 형성된 유입공과, 상기 유입공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블록의 일측방으로 개방되고 상기 필터가 수용되며 상기 필터의 전방을 지지하는 단턱이 형성된 장착공과, 상기 장착공의 전방에 형성되어 용융물이 배출되는 유출공과, 상기 유출공들을 연결하여 상기 블록을 관통하는 배출공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배출공에 연결되도록 상기 블록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록에서 상기 공급공에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입공과 일직선이 되도록 형성된 탭홀과, 상기 탭홀에 체결되어 상기 유입공을 개폐하도록 형성된 개폐밸브로 구성되고, 상기 개폐밸브는 종단부가 상기 유입공을 막을 수 있는 크기의 샤프트 형상으로서 외측면에 상기 탭홀에 체결되도록 형성된 수나사부와, 상기 공급공에 위치하는 부분으로서 둘레가 오목하게 형성된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록에서 상기 배출공에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출공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탭홀과, 상기 탭홀에 체결되어 상기 유출공을 개폐하며 에어를 블록 외부로 배기시키는 에어밸브로 구성되고, 상기 에어밸브는 상기 유출공을 폐색한 상태에서 에어를 블록 외부로 배기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밸브는, 외측면에 상기 탭홀에 체결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에 수용되어 파이프 내부를 개폐하는 핀으로 구성되고, 상기 파이프는, 파이프의 일측 끝에 형성되고, 둘레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유출공을 막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헤드와, 상기 헤드의 상대측 종단에서 헤드 쪽으로 관통되지 않도록 형성된 탭홀과, 상기 탭홀에서 상기 헤드를 관통하지 않도록 형성된 내측홀과, 상기 내측홀의 상단에서 내측홀 보다 작은 크기로서 헤드 상부로 관통되는 상부홀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핀은 상기 탭홀에 체결되도록 외측면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상기 핀의 일측 끝에 형성되어 상부홀을 폐색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홀 보다 직경이 작은 헤드와, 상기 헤드를 측방으로 관통하는 수평홀과, 상기 수평홀에서 핀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수직홀(3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하면, 블록에 다수의 필터를 병렬로 연결하여 구성함으로써, 용융물이 분류되어서 상기 각각의 필터로 압송된 후, 여과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폐색된 하나의 필터를 보수할 때에도 다른 폐색되지 않은 필터를 통해서 용융물을 걸러내어서 화이버로 압출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필터 보수 시에 유입되는 공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기포로 인해서 화이버가 끊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화이버 압출장치를 위에서 본 것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화이버 압출장치로서 도 1의 상태에서 분해된 것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A 방향에서 본 것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1에서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연속식 화이버 압출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도 5를 E 방향에서 본 것을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5를 G 방향에서 본 것을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도 6에서 I-I', H-H'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두 단면도가 동일하여 하나의 도면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필터가 이탈되고, 밸브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6에서 G-G'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상태에서 필터가 이탈되고, 밸브 및 압력계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도 9에서 P-P'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3은 도 10에서 K-K'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장착되는 에어밸브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장착되는 에어밸브로서, 핀이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어 에어홀을 폐색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도 15의 상태에서 핀이 하강하여 에어홀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장착되는 필터가 분해된 것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장착되는 필터가 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과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연속식 화이버 압출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도 5를 E 방향에서 본 것을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5를 G 방향에서 본 것을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도 6에서 I-I', H-H'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두 단면도가 동일하여 하나의 도면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필터가 이탈되고, 밸브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6에서 G-G'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상태에서 필터가 이탈되고, 밸브 및 압력계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도 9에서 P-P'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3은 도 10에서 K-K'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장착되는 에어밸브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장착되는 에어밸브로서, 핀이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어 에어홀을 폐색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도 15의 상태에서 핀이 하강하여 에어홀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장착되는 필터가 분해된 것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장착되는 필터가 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폐수지는 용융시켜서 화이버(fiber)로 재생하여, 완충재로 사용되거나, 방적 가공하여 직물지 내지는 로프 등으로 재활용하게 된다. 이처럼, 폐 수지를 화이버로 재생하는 장치를 화이버 압출장치(100)라고 한다.
이러한 화이버 압출장치(100)는, 폐수지를 가열하여 용융시킨 용융물을 압송하는 공급부(110)와, 상기 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된 용융물을 여과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부(130)와, 상기 여과부(130)로부터 공급되는 용융물을 화이버 형상으로 성형하여 내보내는 성형부(12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화이버 압출장치(100)에서 여과부(130)에 장착되는 다수의 필터(400) 중 일부를 교체하더라도 연속적으로 작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상기 공급부(110)는 용융물을 안내하는 공급관(111)이 구성되고, 상기 공급관(111) 내부에 수용되어 용융물을 여과부(130) 쪽으로 압송하는 스크류(113)로 구성된다. 상기 여과부(130)는 상기 공급관(111)에 연결된 블록(140)이 구성되고, 상기 블록(140)에 병렬로 다수 개가 수용되어 동시에 용융물이 통과하도록 장착된 필터(400)가 구성된다. 상기 성형부(120)는 상기 블록(140)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필터(400)를 통과한 용융물을 배출하는 노즐(121)이 포함된다. 상기 노즐(121)은 일례로 샤워기처럼 다수의 통공(123)이 형성됨으로써, 용융물이 상기 통공(123)을 지나면서 가늘고 길게 연결된 선재로 성형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구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보다 상세한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블록(140)은 상기 공급관(111)에 연결되며 관통되지 않도록 형성된 공급공(141)이 구성된다. 일례로 도 10에서처럼, 상기 공급관(111)은 블록(140)의 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공급공(141)은 수평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급공(141)에서 일측방으로 다수 개 형성된 유입공(143)이 형성되는데, 일례로 도 10에서처럼,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유입공(143)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블록(140)의 일측방으로 개방되고 상기 필터(400)가 수용되는 장착공(153)이 구성된다. 상기 장착공(153)은 개방된 쪽 즉, 후방에 상기 필터(400)가 체결되는 탭홀(155)이 구성된다. 상기 필터(400)는 후방에 상기 탭홀(155)에 체결되는 수나사부(411)가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각 장착공(153)의 전방(개방부 반대쪽)에 형성되어 용융물이 배출되는 유출공(161)이 형성된다. 상기 유출공(161)은 일례로 도 9에서처럼, ㄱ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일직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400)를 지지하는 단턱(156)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유입공(143)과 필터(400)를 통과한 용융물이 상기 단턱(156)이 전방으로 배출되어 유출공(161)으로 걸러져서 나가도록 구성된다. 상기 단턱(156)의 전방으로도 장착공(153)이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필터(400)를 통과한 용융물이 단턱(156) 전방에서 집중된 후, 유출공(161)으로 나가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각 유출공(161)들을 연결하여 상기 블록(140)을 관통하는 배출공(163)을 포함하는데, 상기 배출공(163)은 일례로 도 12에서처럼, 수평으로 형성된 후, 도 13에서처럼, 블록(140)의 하방으로 개방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성형부(120)의 노즐(121)이 상기 배출공(163)에 연결되도록, 상기 블록(140)의 하면에 부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140)에서 상기 공급공(141)에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입공(143)과 일직선이 되도록 형성된 탭홀(145)이 구성되는데, 일례로 도 10 및 도 11에서처럼, 블록(140)의 상면에서 상기 공급공(141)에 연결되는 탭홀(145)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탭홀(145)에 체결되어 상기 유입공(143)을 개폐하도록 형성된 개폐밸브(200)가 구성되도록 한다. 상기 개폐밸브(200)는 종단부(230)가 상기 유입공(143)을 막을 수 있는 크기의 샤프트 형상으로서 외측면에 상기 탭홀(145)에 체결되도록 형성된 수나사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공급공(141)에 위치하는 부분으로서 둘레가 오목하게 형성된 헤드(240)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240)가 공급공(141)을 폐색한 상태에서도 상기 오목한 부분(250)을 통해서 용융물은 헤드(240)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140)에서 상기 배출공(163)에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출공(161)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탭홀(165)이 구성되는데, 일례로 도 12에서처럼, 상기 블록(14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탭홀(165)에 체결되어 상기 유출공(161)을 개폐하며 에어를 블록(140) 외부로 배기시키는 에어밸브(165)로 구성된다. 상기 에어밸브(165)는 상기 유출공(161)을 폐색한 상태에서 에어를 블록(141) 외부로 배기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에어밸브(165)의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외측면에 상기 탭홀(165)에 체결되는 수나사부(317)가 형성된 파이프(310)가 구성되고, 상기 파이프(310)에 수용되어 파이프(310) 내부를 개폐하는 핀(320)으로 구성된다.
상기 파이프(310)는, 파이프(310)의 일측 끝에 형성되고, 둘레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유출공(161)을 막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헤드(311)가 구성되고, 상기 헤드(311)의 상대측 종단(318)에서 헤드(311) 쪽으로 관통되지 않도록 형성된 탭홀(31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탭홀(315)에서 상기 헤드(311)를 관통하지 않도록 형성된 내측홀(313)이 구성되고, 상기 내측홀(313)의 상단에서 내측홀(313)보다 작은 크기로서 헤드(311) 상부로 관통되는 상부홀(312)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핀(320)은 상기 탭홀(315)에 체결되도록 외측면에 형성된 수나사부(321)가 형성되고, 상기 핀(320)의 일측 끝에 형성되어 상부홀(312)을 폐색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홀(313)보다 직경이 작은 헤드(327)가 형성된다. 상기 핀(320)을 상기 탭홀(315)에 체결시켜서 밀어올리면 상기 헤드(327)가 상부홀(312)을 폐색할 수 있도록 길이가 조정되어 형성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헤드(327)를 측방으로 관통하는 수평홀(325)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홀(325)에서 핀(32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수직홀(3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필터(400)의 일실시예를 도 17 및 도 18을 통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필터(400)는 원축 형상으로서 외경은 상기 공급공(141)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공급공(141)과 필터(400)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필터(400)는 후방에 상기 장착공(153)의 후방에 형성된 탭홀(155)에 체결되는 수나사부(411)가 형성된 샤프트(410)가 구성되고, 상기 샤프트(410)에 수용되어 후술하는 스크린(430)을 지지하는 수용관(420)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관(420)에 씌워지는 원통형의 스크린(430)이 구성되고, 상기 스크린(430)의 전방에서 상기 샤프트(410)에 부착되는 커버(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샤프트(410)는 상기 수나사부(411)의 전방의 외측면에 용융물을 안내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전방으로 개방되는 홈(413)이 다수 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440)의 부착이 가능하도록 전방종단(415)에 탭홀(417)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관(420)은 후방으로 개방된 실린더 형상으로서, 측방에 용융물이 통과하는 다수의 측방홀(425)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전방종단에는 상기 탭홀(417)에 연결되는 볼트홀(42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볼트홀(423)의 둘레에는 용융물이 배출되는 전방홀(427)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수용관(420)의 내경은 상기 샤프트(410)의 외경에 부합하는 사이즈로 구성됨으로써, 용융물이 측방홀(425)을 지나서 상기 홈(413)으로 바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방홀(427)은 상기 홈(413)에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버(440)는 상기 스크린(430) 보다 외경이 크게 형성된 판으로서 상기 볼트홀(423)에 연결되는 볼트홀(447)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홀(447)의 둘레에는 상기 전방홀(427)에 연결되는 커버홀(44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볼트홀(447, 423)을 관통하여 상기 탭홀(417)에 체결되는 볼트(450)가 구성된다.
상기 필터(400)가 수용되는 장착공(153)은 전방에 상기 커버(440)를 지지하는 단턱(156)이 형성되는데, 장착공(153)의 종단부 이전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단턱(153)의 전방에 장착공(153)의 전방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필터(400)를 통과한 용융물이 상기 전방부에 집중된 후, 상기 유출공(161)으로 나가도록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개폐밸브(200)는 상향시켜서 유입공(143)을 개방한 상태가 되고, 에어밸브(300)를 하향시켜서 유출공(161)을 개방하도록 한다. 그리고, 에어밸브(300)에서 핀(320)을 상향시켜서 에어밸브(300)를 구성하는 상부홀(312)을 폐색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공급관(111) 내부로 폐수지의 용융물이 공급되도록 한다. 그러면, 회전하는 스크류(113)에 의해서, 용융물은 본 발명의 블록(140)에 형성된 공급공(141)으로 공급된다. 그리고나서, 각각의 유입공(143)을 통해, 필터(400)와 장착공(153) 사이의 간격으로 유입된 후, 상기 필터(400)의 측방으로 유입된다. 필터(400)로 유입된 용융물은 필터(400)의 스크린(430)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지게 된다. 그리고, 수용관(420)의 측방홀(425)을 통과한 후, 샤프트(410)의 홈(413)을 통해서 전방으로 압송력에 의해 밀려나간 후, 수용관(420)의 전방홀(427)과 커버(440)의 커버홀(443)을 통과한 후, 상기 장착공(153)의 단턱(156) 전방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유출공(161)을 통해 빠져나온 후, 배출공(163)을 지나서 상기 성형부(120)의 노즐(121)에 형성된 통공(123)을 지나면서 화이버로 성형되어 배출된다.
이때, 상기 다수의 필터(400) 중 하나의 필터(400)에 구성된 스크린(430)이 폐색된 상태가 되면, 상기 폐색된 필터(400)와 연결된 유입공(143)을, 상기 개폐밸브(200)를 돌려서 하강시킴으로써, 폐색하도록 한다. 이 경우에도, 상기 개폐밸브(200)의 헤드(240) 둘레는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융물은 상기 오목부(250)를 통과해서 다른 필터(400)와 연결된 유입공(143)으로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폐색되지 않은 다른 필터(400)를 통해서 상기 기재한 것과 동일한 과정으로 용융물이 걸러지면서 화이버의 성형은 연속적으로 지속될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큰 특징이다. 즉, 이것은 각각의 필터(400)가 병렬로 연결됨으로써 한꺼번에 각 필터를 용융물이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가능한 것이다.
이렇게 해서 폐색된 필터(400)와 연결된 유입공(143)을 막은 후에는, 상기 필터(400)를 역방향으로 돌려서 이탈시킨다. 그리고, 상기 볼트(450)를 이탈시킨 후, 커버를(440)를 분리한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430)를 새 것으로 교체한 후, 상기 커버(440)를 샤프트(410)에 다시 볼트(450)로 조립한다. 그리고, 장착공(153)에 밀어넣어서 체결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에어밸브(300)를 상향시켜서 유출공(161)을 폐색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핀(320)을 하강시켜서 파이프(310)의 상부홀(312)을 개방하도록 한다.
상기 보수된 필터(400)와 연계된 개폐밸브(200)를 상향시켜서 유입공(143)이 개방되도록 한다. 그러면, 용융물은 상기 유입공(143)을 지나서 보수된 필터(400)를 거친 후, 유출공(161)을 지나서 배출공(163)을 통해서 상기 에어밸브(300)의 상부홀(312)을 통해서, 핀(320)의 헤드(327)와 파이프(310)의 내측홀(313) 사이로 유입된 후, 상기 수평홀(325)로 유입된 후, 상기 수직홀(323)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용융물이 밀려나오면서, 스크린(430) 교체로 인해서 내부에 유입된 공기를, 상기 수평홀(325)과 수직홀(323)을 통해서 배기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에어밸브(300)가 유출공(161)을 막은 상태이지만, 에어밸브(300)를 구성하는 헤드(311)의 둘레가 오목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배출공(163)을 막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즉, 다른 폐색되지 않은 유출공(161)을 통해서 유출된 용융물은 배출공(163)을 통해서 상기 헤드(311)를 지나서 노즐(121)로 무난하게 압송된다. 이렇게 해서, 에어가 배출되면, 상기 핀(320)을 상향시켜서 상기 파이프(310)의 상부홀(312)을 막는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310)를 돌려서 하강시킴으로써, 유출공(161)이 개방되도록 하여 바로 배출공(163)을 통해 상기 노즐(121)로 압송되도록 함으로써 화이버의 성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필터(400) 보수 시에 유입되는 공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기포로 인한 제품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기포로 인해서 화이버가 끊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100: 연속식 화이버 압출장치 110: 공급부
111: 공급관 113: 스크류
120: 성형부 121: 노즐
123: 통공 130: 여과부
140: 블록 141: 공급공
143: 유입공 145, 155, 159, 315, 417: 탭홀
153: 장착공 156: 단턱
161: 유출공 163: 배출공
200: 개폐밸브 220, 317, 411: 수나사부
230: 종단부 240, 311, 327: 헤드
250: 오목부 300: 에어밸브 310: 파이프 312: 상부홀
313: 내측홀 320: 핀
323: 수직홀 325: 수평홀
400: 필터 410: 샤프트
413: 홈 415, 421: 전방종단
420: 수용관 423, 447: 볼트홀
425: 측방홀 427: 전방홀
430: 스크린 440: 커버
443: 커버홀 450: 볼트

Claims (5)

  1. 폐 수지 용융물을 압송하는 공급부(110)와,
    상기 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되는 용융물을 여과하는 여과부(130)와,
    상기 여과부(130)로부터 공급되는 용융물을 화이버 형상으로 성형하여 내보내는 성형부(120)로 구성되고,
    상기 공급부(110)는 용융물을 안내하는 공급관(111)과,
    상기 공급관(111)내부에 수용되어 용융물을 여과부(130) 쪽으로 압송하는 스크류(113)로 구성되고,
    상기 여과부(130)는 상기 공급관(111)에 연결된 블록(140)과,
    상기 블록(140)에 병렬로 다수 개가 수용되어 동시에 용융물이 통과하도록 장착된 필터(400)가 구성되고,
    상기 성형부(120)는 상기 블록(140)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필터(400)를 통과한 용융물을 배출하는 노즐(121)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화이버 압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140)은 상기 공급관(111)에 연결되며 관통되지 않도록 형성된 공급공(141)과,
    상기 공급공(141)에서 일측방으로 다수 개 형성된 유입공(143)과,
    상기 유입공(143)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블록(140)의 일측방으로 개방되고 상기 필터(400)가 수용되며 상기 필터(400)의 전방을 지지하는 단턱(156)이 형성된 장착공(153)과,
    상기 장착공(153)의 전방에 형성되어 용융물이 배출되는 유출공(161)과,
    상기 유출공(161)들을 연결하여 상기 블록(140)을 관통하는 배출공(163)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121)은 상기 배출공(163)에 연결되도록 상기 블록(14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화이버 압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140)에서 상기 공급공(141)에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입공(143)과 일직선이 되도록 형성된 탭홀(145)과,
    상기 탭홀(145)에 체결되어 상기 유입공(143)을 개폐하도록 형성된 개폐밸브(200)로 구성되고,
    상기 개폐밸브(200)는 종단부(230)가 상기 유입공(143)을 막을 수 있는 크기의 샤프트 형상으로서 외측면에 상기 탭홀(145)에 체결되도록 형성된 수나사부(220)와,
    상기 공급공(141)에 위치하는 부분으로서 둘레가 오목하게 형성된 헤드(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화이버 압출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140)에서 상기 배출공(163)에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출공(161)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탭홀(165)과,
    상기 탭홀(165)에 체결되어 상기 유출공(161)을 개폐하며 에어를 블록(140) 외부로 배기시키는 에어밸브(165)로 구성되고,
    상기 에어밸브(165)는 상기 유출공(161)을 폐색한 상태에서 에어를 블록(141) 외부로 배기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화이버 압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밸브(165)는, 외측면에 상기 탭홀(165)에 체결되는 수나사부(317)가 형성된 파이프(310)와,
    상기 파이프(310)에 수용되어 파이프(310) 내부를 개폐하는 핀(320)으로 구성되고,
    상기 파이프(310)는, 파이프(310)의 일측 끝에 형성되고, 둘레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유출공(161)을 막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헤드(311)와,
    상기 헤드(311)의 상대측 종단(318)에서 헤드(311) 쪽으로 관통되지 않도록 형성된 탭홀(315)과,
    상기 탭홀(315)에서 상기 헤드(311)를 관통하지 않도록 형성된 내측홀(313)과,
    상기 내측홀(313)의 상단에서 내측홀(313)보다 작은 크기로서 헤드(311) 상부로 관통되는 상부홀(312)을 포함하고,
    상기 핀(320)은 상기 탭홀(315)에 체결되도록 외측면에 형성된 수나사부(321)와,
    상기 핀(320)의 일측 끝에 형성되어 상부홀(312)을 폐색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홀(313)보다 직경이 작은 헤드(327)와,
    상기 헤드(327)를 측방으로 관통하는 수평홀(325)과,
    상기 수평홀(325)에서 핀(32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수직홀(3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화이버 압출장치.
KR1020100087114A 2010-09-06 2010-09-06 연속식 화이버 압출장치 KR201200256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114A KR20120025642A (ko) 2010-09-06 2010-09-06 연속식 화이버 압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114A KR20120025642A (ko) 2010-09-06 2010-09-06 연속식 화이버 압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642A true KR20120025642A (ko) 2012-03-16

Family

ID=46131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7114A KR20120025642A (ko) 2010-09-06 2010-09-06 연속식 화이버 압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564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897B1 (ko) * 2014-03-21 2014-08-18 임성일 연속작업이 가능한 스크린 체인져
KR20180068792A (ko) * 2016-12-14 2018-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복합소재 성형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897B1 (ko) * 2014-03-21 2014-08-18 임성일 연속작업이 가능한 스크린 체인져
WO2015141905A1 (ko) * 2014-03-21 2015-09-24 임성일 연속작업이 가능한 스크린 체인져
KR20180068792A (ko) * 2016-12-14 2018-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복합소재 성형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0897B1 (ko) 연속작업이 가능한 스크린 체인져
FI3692188T3 (fi) Laite filamenttien pursottamiseksi ja sulakehrättyjen kuitukankaiden valmistamiseksi
JP5905453B2 (ja) 高粘性の媒体用の濾過装置
CN1051585C (zh) 过滤系统
KR20120025642A (ko) 연속식 화이버 압출장치
KR20220010547A (ko) 셀룰로오스계 스펀본드 부직포 제조시 방사구 세척 방법 및 장치
CN103403234A (zh) 用于熔融纺丝的设备
KR20190056596A (ko) 재생플라스틱 원료를 생산하기 위한 압출 다이스
US11618973B2 (en)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loring systems and methods
KR102070413B1 (ko) 수지 여과 시스템
CN1232693C (zh) 用来筛分至少两种纸浆混合物的方法和筛子
CN102320121A (zh) 挤出机用自清洗不停机长效过滤器
KR101612917B1 (ko) 재생필라멘트사 제조를 위한 멀티헤드용 수지액 공급장치
CN205674459U (zh) 双柱四网回流反冲洗换网器
KR102059953B1 (ko) 압출기용 필터링 장치
KR102260792B1 (ko) 합성수지 용융 압출기
CN101684572A (zh) 一种冻胶纺丝用喷丝组件
CN108323175B (zh) 树脂纤维的制造方法、用于该方法的喷嘴头及制造装置
CN101506410B (zh) 用叔胺氧化物内的纤维素溶液生产纤维素纤维的工艺及其实施设备
CN112095162A (zh) 一种生产螺旋纺丝用熔喷喷丝板
CN206718429U (zh) 内芯旋转式塑料熔体过滤器
KR102298636B1 (ko) 하이 엔드 가스벤트 시스템
CN201268733Y (zh) 一种冻胶纺丝用喷丝组件
AU2019307935A1 (en) Bulked continuous carpet filament manufacturing from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CN217378112U (zh) 一种锦纶纺丝挤出喷嘴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