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0413B1 - 수지 여과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지 여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0413B1
KR102070413B1 KR1020180026294A KR20180026294A KR102070413B1 KR 102070413 B1 KR102070413 B1 KR 102070413B1 KR 1020180026294 A KR1020180026294 A KR 1020180026294A KR 20180026294 A KR20180026294 A KR 20180026294A KR 102070413 B1 KR102070413 B1 KR 102070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filtration
unit
sensor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5780A (ko
Inventor
박경택
이재용
배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백
재단법인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백, 재단법인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백
Priority to KR1020180026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413B1/ko
Publication of KR20190105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B13/1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grinding, e.g. by triturating; by sieving; by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7Cleaning; Purging; Avoiding contamination
    • B29C48/2725Cleaning; Purging; Avoiding contamination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지 여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여과 시스템은, 용융 상태의 수지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수지 여과 시스템에 있어서, 용융 상태의 수지가 유입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유입된 수지로부터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 유닛; 상기 여과 유닛을 상기 하우징 내에서 외부로 슬라이딩시키는 구동 유닛; 및 상기 여과 유닛 및 상기 구동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 유닛은, 그 외주면에 다수의 여과홀이 형성되도록 제공된다.

Description

수지 여과 시스템{RESIN FILTERING SYSTEM}
본 발명은 압출 과정에서 재생 수지로부터 이물질을 여과하는 수지 여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 수지를 이용한 제품의 압출 및 사출성형은 원재료인 합성수지물을 가열, 용융시켜 수지물을 압출시킴과 동시에 냉각, 일정길이로 절단하여 제품의 사출성형의 소재로 이용된다.
이러한 합성수지물을 용융시켜 압출하는 과정 중에는 향후 압출제품이나 사출제품에 있어, 소재의 성형에 의한 제품으로서의 치밀함과 용융된 수질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 정류함으로써, 제품의 불량방지와 내구성을 향상시기키 위한 목적에서 여과용 필터를 통한 압출 과정이 이루어진다.
압출 과정을 수행하는 압출기는, 호퍼를 통해 공급되는 수지를 가열하여 생성된 수지 용융물을 내부의 스크류를 통하여 다이헤드로 압송시켜서 소정의 형상으로 압출하는 장치이다.
하지만 압출되는 용융물은 내부에 다량의 이물질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여과하지 않고 공정을 진행하게 되면 노즐이 막히거나 생성되는 성형물의 내부로 이물질이 함유되어 결과적으로 완성도가 낮은 불량품을 성형하게 된다. 그래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통상의 압출기에는 여과 필터를 구비하여 압출되는 용융물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노즐의 원활한 압출 성형을 유도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여과 필터가 구비된 압출기는 보통 압출기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거나, 여과 필터가 내부로 입설되는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필터를 유지, 보수함에 있어서, 많은 비용과 시간이 투자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필터가 평면형으로 구성되어, 여과 면적에 한계가 있어 여과 효율이 상대적으로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기존 압출기의 여과용 필터 교체 시에는, 여과용 필터 구조상 교체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또한, 교체 작업시에는 여과 공정이 전면 중단되어 공정의 불연속성으로 인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재활용을 위해 수지로부터 이물질을 여과할 때, 필터의 손쉬운 교체가 가능한 수지 여과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필터의 여과 면적을 넓혀, 여과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수지 여과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필터 교체시, 여과 공정이 중단되지 않도록 하여, 공정의 연속성을 담보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지 여과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수지 여과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용융 상태의 수지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수지 여과 시스템에 있어서, 용융 상태의 수지가 유입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유입된 수지로부터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 유닛; 상기 여과 유닛을 상기 하우징 내에서 외부로 슬라이딩시키는 구동 유닛;및 상기 여과 유닛 및 상기 구동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 유닛은, 그 외주면에 다수의 여과홀이 형성되도록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여과 유닛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지를 여과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슬라이딩 구동 가능한 제1 여과 유닛과 제2 여과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여과 유닛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다단의 원통 형상으로 제공되는 제1 여과 본체; 다수의 여과홀을 가지며, 상기 여과 본체의 외주면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상기 제1 여과 본체를 감싸도록 제공되어, 상기 여과 본체에 유입된 수지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제1 필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필터부는, 상기 제1 여과 본체의 각 단의 경계에 형성된 지지부에 지지되어 끼움 방식으로 상기 제1 여과 본체에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 내에는, 상기 공급 유닛으로부터 상기 여과 유닛으로 수지를 공급하는 공급 유로; 상기 여과 유닛에서 여과된 수지를 상기 배출부로 배출하는 배출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공급 유로는, 상기 제1 여과 유닛으로 수지를 공급하는 제1 공급 유로; 및 상기 제2 여과 유닛으로 수지를 공급하는 제2 공급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유로는, 상기 제1 여과 유닛에서 여과된 수지를 상기 배출부로 배출하는 제1 배출 유로; 및 상기 제2 여과 유닛에서 여과된 수지를 상기 배출부로 배출하는 제2 배출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공급 유로에는, 상기 제1 공급 유로 내부에서 유동하는 수지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1 유입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공급 유로에는, 상기 제2 공급 유로 내부에서 유동하는 수지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2 유입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배출 유로에는, 상기 제1 여과 유닛에 의해 여과된 수지의 배출 유량을 측정하는 제1 배출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배출 유로에는, 상기 제2 여과 유닛에 의해 여과된 수지의 배출 유량을 측정하는 제2 배출 센서;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제1 여과 유닛 및 상기 제2 여과 유닛을 각각 슬라이딩 구동시키는 제1 구동 유닛과 제2 구동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공급 유로에는, 상기 제1 공급 유로 내부의 수지의 유동을 제어하는 제1 제어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공급 유로에는, 상기 제2 공급 유로 내부의 수지의 유동을 제어하는 제2 제어 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구동 유닛이 상기 제1 여과 유닛을 슬라이딩시키기 전에, 상기 제1 공급 유로에서의 수지의 유동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1 제어 밸브를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여과 유닛의 여과 성능에 따라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알람부는, 상기 제1 배출 센서 또는 제2 배출 센서로부터 측정된 값이 기설정된 값 이하이면 알람을 발생시키되, 상기 제1 배출 센서에 의한 알람인지 여부 또는 상기 제2 배출 센서에 의한 알람인지 여부를 구별 가능하도록 서로 상이한 알람을 발생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알람부는, 상기 제1 유입 센서의 측정값과 상기 제1 배출 센서의 측정값의 비가 기설정된 값 이하이거나, 또는 상기 제2 유입 센서의 측정값과 상기 제2 배출 센서의 측정값의 비가 기설정된 값 이하이면 알람을 발생시키되, 상기 제1 유입 센서와 상기 제1 배출 센서의 측정값에 의한 알람인지 여부 또는 상기 제2 유입 센서와 상기 제2 배출 센서의 측정값에 의한 알람인지 여부를 구별 가능하도록 서로 상이한 알람을 발생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여과 유닛의 여과 정도를 실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단말 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단말 유닛은, 상기 제1 유입 센서, 상기 제2 유입 센서, 상기 제1 배출 센서, 상기 제2 배출 센서의 각각의 측정값; 상기 제1 유입 센서와 상기 제1 배출 센서의 측정값의 비; 및 상기 제2 유입 센서와 상기 제2 배출 센서의 측정값의 비를 디스플레이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알람부는, 상기 단말 유닛에 알람 신호를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재활용을 위해 수지로부터 이물질을 여과할 때, 필터의 손쉬운 교체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필터의 여과 면적을 넓혀 여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필터 교체시 여과 공정이 중단되지 않도록 하여, 공정의 연속성을 담보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수지를 공급하는 공급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여과 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여과 시스템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수지 여과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여과 유닛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1 여과 유닛을 보여주는 분해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수지 여과 시스템에서 하우징의 내부 및 여과 유닛 부분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여과 시스템에서 수지가 여과되는 경로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9는 제어부가 제어하는 체계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여과 시스템(100)은, 공급 유닛(10)으로부터 용융 상태의 수지를 공급받아 수지 내의 이물질을 여과한다. 여과된 수지는 후속 공정 장치로 이동하여 노즐을 통해 미세한 가닥으로 가공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여과 시스템으로 수지를 공급하는 공급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여과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여과 시스템에 관한 블럭도이다.
도 1은 용융 상태의 수지를 압출하여 이송하는 공급 유닛(10)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공급 유닛(10)은 공급관(12), 그리고 공급관(12) 내부에 위치한 스크류(14)를 포함하는데, 스크류(14)에 의하여 용융 상태의 수지가 압출 이송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여과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공급 유닛(10)으로부터 용융 상태의 수지를 공급받는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여과 시스템(100)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여과 시스템(100)은, 하우징(200), 여과 유닛(300), 구동 유닛(400), 제어부(500), 알람부(600) 및 단말 유닛(700)을 포함한다.
하우징(200)은 공급 유닛(10)으로부터 용융 상태의 수지를 공급받는다. 하우징(200)의 일측면에는 유입구(202)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된다. 유입구(202)는 공급 유닛(10)과 연결되고, 배출구(미도시)는 배출관 형태의 배출부(800)와 연결된다. 배출부(800)는 후속 공정 장치와 연결된다.
여과 유닛(300)은 하우징(200) 내부에 위치한다. 여과 유닛(300)은 하우징(200)으로 공급된 수지의 이물질을 여과한다.
여과 유닛(300)은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여과 유닛(310)과 제2 여과 유닛(360)이 제공된다. 제1 여과 유닛(310)과 제2 여과 유닛(360)은 서로 동일하게 구성된다.
제1 여과 유닛(310)과 제2 여과 유닛(360)은 각각 독립적으로 이물질을 여과한다. 제1 여과 유닛(310)과 제2 여과 유닛(360)에는 수지가 각각 공급되어 여과 작용을 하며, 여과된 수지도 각각 배출된다.
또한, 제1 여과 유닛(310)과 제2 여과 유닛(360)은 하우징(200) 내에서, 일부 또는 전부가 하우징(200)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가능하다. 제1 여과 유닛(310)과 제2 여과 유닛(360)은 각각 독립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제1 여과 유닛(310)과 제2 여과 유닛(360)이 하우징(200) 외부로 돌출되면, 후술하는 필터부(330),380)가 장착된 영역도 돌출되어 필터부를 교체하는 데에 용이하다.
도 7은 하우징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수지 여과 시스템의 여과 경로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하우징(200) 내부에는 공급 유로(210)와 배출 유로(220), 유입 센서(230)와 배출 센서(240), 그리고 제어 밸브(250)가 구비된다.
공급 유로(210)는 공급 유닛(10)으로부터 공급된 수지를 제1 여과 유닛(310)과 제2 여과 유닛(360)으로 각각 공급한다.
공급 유로(210)는 분기되는 형태로 제공된다. 즉, 공급 유로(210)는 제1 공급 유로(212)와 제2 공급 유로(214)를 포함한다.
공급 유닛(10)으로부터 수지가 공급되면, 제1 공급 유로(212)를 통해 제1 여과 유닛(310)으로 수지가 공급된다. 그리고, 제2 공급 유로(214)를 통해 제2 여과 유닛(360)으로 수지가 공급된다.
배출 유로(220)는 여과 유닛(300)에 의해 여과된 수지가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배출된 수지는 후술하는 배출부(800)를 통해 후속 공정 장치로 이동한다.
배출 유로(220)는 제1 배출 유로(222)와 제2 배출 유로(224)를 포함한다.
제1 배출 유로(222)는 제1 여과 유닛(310)에 의해 여과된 수지가 배출되는 경로이다. 제2 배출 유로(224)는 제2 여과 유닛(360)에 의해 여과된 수지가 배출되는 경로이다.
유입 센서(230)는 공급 유로(210) 내에 흐르는 용융 수지의 유량을 측정한다. 유입 센서(230)는 제1 유입 센서(232)와 제2 유입 센서(234)를 포함한다.
제1 유입 센서(232)는 제1 공급 유로(212)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유입 센서(232)는 제1 공급 유로(212) 내부에서 유동하는 용융 상태의 수지의 유량을 측정한다. 즉, 제1 여과 유닛(310)으로 공급되는 수지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제2 유입 센서(234)는 제2 공급 유로(214)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유입 센서(234)는 제2 공급 유로(214) 내부에서 유동하는 용융 상태의 수지의 유량을 측정한다. 즉, 제2 여과 유닛(360)으로 공급되는 수지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배출 센서(240)는 배출 유로(220)에 흐르는 수지의 유량을 측정한다. 배출 센서(240)는 제1 배출 센서(242)와 제2 배출 센서(244)를 포함한다.
제1 배출 센서(242)는 제1 배출 유로(222) 내에 구비된다. 제1 배출 센서(242)는 제1 여과 유닛(310)을 통해 여과되어 배출되는 수지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제2 배출 센서(244)는 제2 배출 유로(224) 내에 구비된다. 제2 배출 센서(244)는 제2 여과 유닛(360)을 통해 여과되어, 배출되는 수지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 밸브(250)는 공급 유로(210)에서의 수지의 유동을 제어한다. 제어 밸브(250)는 제1 제어 밸브(252)와 제2 제어 밸브(254)를 포함한다.
제1 제어 밸브(252)는 제1 공급 유로(212)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제어 밸브(252)는 제1 공급 유로(212) 내의 수지의 유동을 제어한다.
제2 제어 밸브(254)는 제2 공급 유로(214)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제어 밸브(254)는 제2 공급 유로(214) 내의 수지의 유동을 제어한다.
제1 제어 밸브(252)와 제2 제어 밸브(254)는 개폐 밸브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수지의 유동을 온/오프(ON/OFF)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4 내지 6을 참조하여, 여과 유닛(3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여과 유닛(300)은 원통 형상으로 제공된다. 여과 유닛(300)은 여과 본체, 필터부, 그리고 커버부를 포함한다.
제1 여과 유닛(310)과 제2 여과 유닛(360)의 구성은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제1 여과 유닛(310)을 기준으로 설명하며, 제2 여과 유닛(360)은 제1 여과 유닛(310)의 설명에 갈음하는 것으로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제1 여과 유닛(310)의 구조를 설명한다.
제1 여과 유닛(310)은 원통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여과 유닛(310)은 제1 여과 본체(320), 제1 필터부(330), 그리고 제1 커버부(340)를 포함한다.
제1 여과 본체(320)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다단의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여과 본체(320)는 수지가 유동하는 수지 유동부(322)와 그 외의 부분인 수지 비유동부(324)로 구성된다.
수지 비유동부(324)는 제1 공급 유로(212)와 연결되어, 수지가 유입된다. 그리고 수지 비유동부(324)에서 수지 유동부(322)로 수지가 유입되어 내부 유로(323)을 통해 수지가 유동한다. 내부 유로(323)는 하우징(200)의 제1 배출 유로(222)와 연결된다. 수지는 여과 공간(FS)에서 제1 필터부(330)를 통과하면서 여과된다.
수지 유동부(322)와 수지 비유동부(324)는 직경이 다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수지 유동부(322)의 직경보다 수지 비유동부(324)의 직경이 크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수지 유동부(322)와 수지 비유동부(324)의 경계에는 지지부(326)가 형성된다.
수지 유동부(322)의 직경<지지부(326)의 직경<수지 비유동부(324)으로 각 직경의 대소 관계가 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부(326)는 수지 유동부(322)와 수지 비유동부(324) 사이에서 턱 을 형성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필터부(330)가 끼움 결합시, 제1 필터부(330)의 단부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부(326)와 수지 유동부(322) 사이에 여과 공간(FS)을 형성하게 된다.
제1 필터부(330)는 양단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필터부(330)는 제1 여과 본체(320)에 유입된 수지의 이물질을 여과한다.
제1 필터부(330)는 그 외주면이 다수의 여과홀(332)을 가지는 메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필터부(330)는 제1 여과 본체(320)에 끼움 결합된다.
제1 필터부(330)는 수지 유동부(322)와 대응되도록 끼움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지 유동부(322)의 직경, 수지 비유동부(324)의 직경, 지지부(326)의 직경과의 대소관계로 인해,제1 필터부(330)는 수지 유동부(322)와 대응되도록 끼움 결합이 가능하다. 이때, 제1 필터부(330)의 일단부는, 지지부(326)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제1 필터부(330)는 수지 유동부(322)의 외주면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여과 공간(FS)을 형성하면서, 수지 유동부(322)를 감싸도록 끼움 방식으로 결합된다. 즉, 지지부(326)의 직경이 수지 유동부(32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제1 필터부(330)가 수지 유동부(322)와 소정 간격 이격되면서도, 끼움 결합이 가능하다.
제1 필터부(330)와 수지 유동부(322) 간의 이격된 공간은 여과 공간(FS)으로서, 공급된 수지가 채워진다. 즉, 공급 유로(210)를 통해 공급된 수지는 여과 공간(FS)에서 제1 필터부(330)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여과된다.
이와 같이, 제1 필터부(330)가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고, 그 외주면이 여과홀(332)이 형성된 메쉬 형태로 구성됨으로서, 여과 면적의 극대화가 가능하고, 여과 효율도 함께 향상될 수 있다. 종래의 필터부는 평면 형태로 제공되었으나, 본 발명에 의한 필터부(330, 380)는 외주면에 여과홀이 다수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필터 면적이 확연히 증가됨으로써, 여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필터부(330)가 지지부(326)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제1 필터부(330)가 흔들리지 않으면서도, 편리하게 끼움 방식으로 결합 및 해체가 가능하다. 따라서, 제1 필터부(330) 교체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된다.
제1 커버부(340)는 제1 여과 본체(320)의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을 커버한다. 제1 커버부(340)는 제1 여과 본체(320)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제1 커버부(340) 또한, 직경이 서로 다른 다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제1 커버부(340)의 일측에는 지지부(326)가 형성되어, 턱을 형성하게 되므로 제1 필터부(330)의 타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커버부(340)에 형성되는 지지부(326)는, 상술한 수지 유동부(322)와 수지 비유동부(324) 사이에 구비되는 지지부(326)와 동일한 원리, 즉 커버 본체보다 직경이 작도록 구성되어 제1 필터부(330)를 지지한다.
이와 같이, 제1 필터부(330)의 일단부 및 타단부는 각각 한쌍의 지지부(326)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견고하게 결합 및 지지 될 수 있다. 또한, 끼움 방식으로 구성되므로, 간편하게 교체 작업이 가능하다.
제2 여과 유닛(360) 또한, 제2 여과 본체(370), 제2 필터부(380), 그리고 제2 커버부(390)를 포함하며, 제1 여과 유닛(310)과 각각 대응되는 구성으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동 유닛(400)은 여과 유닛(300)을 슬라이딩시키는 액츄에이터로서의 역할을 한다. 일 예로, 제1 여과 유닛(310)은 슬라이딩되면서 하우징(200)의 외부로 돌출이 가능하다. 이때, 제1 필터부(330)도 하우징(200) 외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제1 필터부(330) 교체시, 제1 커버부(340)를 먼저 분리하고 제1 필터부(330)를 교체한다. 그리고, 제1 여과 유닛(310)을 슬라이딩시켜 하우징(200)의 내부로 다시 위치시킨 후 제1 커버부(340)를 결합할 수 있다.
구동 유닛(400)은 제1 구동 유닛(410) 및 제2 구동 유닛(420)을 포함할 수 있다.
각 구동 유닛(400)은 각 여과 유닛(300)에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즉, 제1 구동 유닛(410)은 제1 여과 유닛(310)을 슬라이딩 구동한다. 제2 구동 유닛(420)은 제2 여과 유닛(360)을 슬라이딩 구동한다.
도 9는 제어부의 제어 체계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제어부(500)는 여과 유닛(300), 구동 유닛(400), 그리고 후술하는 알람부(500)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제1 제어 밸브(252), 제2 제어 밸브(2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구동 유닛(400)이 여과 유닛(300)을 슬라이딩시키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필터부 교체시 여과 공정 중단없이 간편하게 필터부를 교체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필터부 교체시, 여과 공정의 중단없이 계속적인 진행을 위하여 유입되는 수지의 경로를 제어한다. 일 예로, 제1 여과 유닛(310)에 장착된 제1 필터부(330)를 교체할 때, 제2 여과 유닛(360)에 장착된 제2 필터부를 통해 계속적으로 여과가 진행되도록 해야 한다.
제1 여과 유닛(310)의 제1 필터부(330) 교체를 위해서는 제1 필터부(330)가 외부로 노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1 필터부(330) 교체시에는 제1 구동 유닛(410)에 의해 제1 여과 유닛(310)이 슬라이딩된다. 그러나 제1 여과 유닛(310)이 슬라이딩 되면, 제1 공급 유로(212)를 통해 흐르던 수지가 제1 여과 유닛(310)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누출될 염려가 있다. 또한, 제1 공급 유로(212)로 유입되는 수지에는 여과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제1 필터부(330)를 교체하는 동안에는, 유입되는 모든 수지를 제2 여과 유닛(360)으로 흐르게 하여 제2 여과 유닛(360)을 통해 여과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500)는, 구동 유닛(400)이 그에 대응하는 여과 유닛(300)을 슬라이딩 시키기 이전에, 제어 밸브(250)를 폐쇄(OFF)하여 여과 유닛(300)으로 유입되는 수지를 차단할 수 있다.
즉, 제1 필터부(330) 교체시, 제1 구동 유닛(410)이 제1 여과 유닛(310)을 슬라이딩하기 전에, 우선적으로 제1 제어 밸브(252)를 오프(OFF)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여과 유닛(310)으로 유입되는 수지를 차단하고, 공급 유닛(10)에서 공급되는 수지는 제2 여과 유닛(360)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그 후에, 제1 여과 유닛(310)을 슬라이딩시키고, 제1 필터부(330)를 교체할 수 있다. 이 경우, 여과 공정의 중단없이 제2 여과 유닛(360)에서 계속적으로 여과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알람부(600)는 여과 유닛(300)의 여과 성능에 따라 일정치를 기준으로 그에 미달시 외부에 알리는 역할을 한다. 알람이 발생하면, 관리자는 필터부를 교체하는 작업에 착수할 수 있다.
알람부(600)는 배출 센서(240)에서 측정된 배출 유량의 값이 기설정된 값 이하이면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배출 센서(242) 또는 제2 배출 센서(244)에서 측정된 배출 유량의 값이 기설정된 값 이하이면, 알람을 발생시킨다.
이때, 제1 배출 센서(242)의 측정값에 의한 알람인지, 제2 배출 센서(244)의 측정값에 의한 알람인지 구별될 수 있도록 알람을 발생시킨다.
또는, 알람부(600)는 제1 유입 센서(232)에서 측정된 유입 유량의 값과 제1 배출 센서(242)에서 측정된 배출 유량의 값의 비가 기설정된 값 이하이면 알람을 발생시킨다. 또는, 제2 유입 센서(234)에서 측정된 유입 유량의 값과 제2 배출 센서(244)에서 측정된 배출 유량의 값의 비가 기설정된 값 이하이면 알람을 발생시킨다.
이때, 제1 유입 센서(232)와 제1 배출 센서(242)의 측정값에 의한 알람인지, 제2 유입 센서(234)와 제2 배출 센서(244)에 의한 알람인지 구별될 수 있도록 알람을 발생시킨다.
이에 의하여, 제1 여과 유닛(310)의 여과 성능에 저하가 발생하였는지, 또는 제2 여과 유닛(360)의 여과 성능에 발생하였는지를 구별할 수 있다.
수지로부터 이물질이 여과될수록 메쉬 형태의 필터부에는 이물질이 축적되므로, 여과 성능이 저하된다. 또한, 축적된 이물질에 의하여, 필터부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수지의 양도 감소한다. 따라서, 수지의 배출 유량을 측정하여 기설정 값 이하로 떨어지면, 필터부에 이물질이 과축적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시기에 필터부를 교체함으로써, 원활하게 여과를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출 유량의 값이 설정치 이하이거나, 또는 공급 유량 대비 배출 유량의 값이 설정치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필터부에 과다한 이물질이 축적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기준으로 필터부의 교체 시기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여과 유닛(310)과 제2 여과 유닛(360)으로 연결되는 유입 센서(230)와 배출 센서(240)가 개별적으로 구비되어, 각 여과 유닛(300)에 대한 여과 성능에 대한 판단을 개별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600)는 제1 여과 유닛(310)과 제2 여과 유닛(360) 중 어느 것의 여과 성능에 저하가 발생하였는지 구별하여 알람을 발생시키므로, 관리자는 여과 성능에 문제가 발생한 여과 유닛(300)을 즉시 선별하여 필터부 교체 작업을 할 수 있다.
알람부(600)가 알람을 발생시키면, 제어부(500)는 해당 여과 유닛(300)과 연결된 유입 유로를 폐쇄하고, 해당 여과 유닛(300)을 슬라이딩 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1 유입 센서(232) 및 제1 배출 센서(242)에 의해 제1 여과 유닛(310)의 여과 성능에 저하가 일어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1 제어 밸브(252)가 제1 유입 유로를 폐쇄하고, 제1 여과 유닛(310)을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이에 관리자는, 제1 필터부(330)를 교체할 수 있다.
단말 유닛(700)은, 수지의 여과 상황을 실시간으로 관리자에게 전달한다. 단말 유닛(700)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유닛(700)은 제1 유입 센서(232) 및 제2 유입 센서(234)의 유입 유량 측정값, 제1 배출 센서(242) 및 제2 배출 센서(244)의 배출 유량 측정값, 그리고 각각의 여과 유닛(300)에 유입되는 유입 유량 측정값과 배출 유량 측정값의 비를 보여줄 수 있도록 한다. 각각의 여과 유닛(300)에 대한 상태를 개별적으로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각 여과 유닛(300) 별로 여과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알람부(600)에 의한 알람 발생시, 알람 신호가 단말 유닛(700)에 전달되어, 관리자가 필터부의 교체 시점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공급 유닛 100: 수지 여과 시스템
200: 하우징 210: 공급 유로
220: 배출 유로 230: 유입 센서
240: 배출 센서 250: 제어 밸브
300: 여과 유닛 310: 제1 여과 유닛
360: 제2 여과 유닛 400: 구동 유닛
500: 제어부 600: 알람부
700: 단말 유닛

Claims (8)

  1. 용융 상태의 수지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수지 여과 시스템에 있어서,
    용융 상태의 수지가 유입되는 하우징;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각각 독립적으로 유입된 수지로부터 이물질을 여과하는 한 쌍의 여과 유닛;
    상기 여과 유닛을 상기 하우징 내에서 외부로 슬라이딩시키는 구동 유닛;
    상기 여과 유닛 및 상기 구동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여과 유닛의 성능에 따라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여과 유닛은, 각각,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다단의 원통 형상으로 제공되는 여과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 본체는, 수지가 수평방향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수지 비유동부; 상기 수지 비유동부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상기 수지 비유동부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상기 지지부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고, 수지 비유동부를 통해 유입된 수지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수지 유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여과 유닛은, 각각, 다수의 여과홀을 가지며, 상기 수지 유동부의 외주면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에 밀착되어 여과 본체를 감싸도록 제공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에는 상기 한 쌍의 여과 유닛에 각각 수지를 공급하는 한 쌍의 공급 유로 및 상기 한 쌍의 여과 유닛으로부터 여과된 수지를 각각 배출하는 한 쌍의 배출 유로가 형성되고,
    각 공급 유로 내에는 공급 유로 내부를 유동하는 수지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입 센서가 구비되고, 각 배출 유로 내에는 배출 유량을 측정하는 배출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알람부는, 상기 한 쌍의 여과 유닛 중 어느 하나인 제1 여과 유닛의 유입 센서의 측정값 및 배출 센서의 측정값의 비가 기설정된 값 이하이거나 또는 상기 한 쌍의 여과 유닛 중 다른 하나인 제2 여과 유닛의 유입 센서의 측정값 및 배출 센서의 측정값의 비가 기설정된 값 이하이면 알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고,
    제1 여과 유닛에 의해 알람이 발생되는 제1 경우 또는 제2 여과 유닛에 의해 알람이 발생되는 제2 경우를 구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경우 및 제2 경우에 각각 서로 상이한 알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인 수지 여과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유로는,
    상기 제1 여과 유닛으로 수지를 공급하는 제1 공급 유로; 및
    상기 제2 여과 유닛으로 수지를 공급하는 제2 공급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유로는,
    상기 제1 여과 유닛에서 여과된 수지를 배출하는 제1 배출 유로; 및
    상기 제2 여과 유닛에서 여과된 수지를 배출하는 제2 배출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공급 유로에는, 상기 제1 공급 유로 내부에서 유동하는 수지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1 유입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공급 유로에는, 상기 제2 공급 유로 내부에서 유동하는 수지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2 유입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배출 유로에는, 상기 제1 여과 유닛에 의해 여과된 수지의 배출 유량을 측정하는 제1 배출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배출 유로에는, 상기 제2 여과 유닛에 의해 여과된 수지의 배출 유량을 측정하는 제2 배출 센서;가 구비되는 수지 여과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제1 여과 유닛 및 상기 제2 여과 유닛을 각각 슬라이딩 구동시키는 제1 구동 유닛과 제2 구동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공급 유로에는, 상기 제1 공급 유로 내부의 수지의 유동을 제어하는 제1 제어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공급 유로에는, 상기 제2 공급 유로 내부의 수지의 유동을 제어하는 제2 제어 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구동 유닛이 상기 제1 여과 유닛을 슬라이딩시키기 전에, 상기 제1 공급 유로에서의 수지의 유동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1 제어 밸브를 제어하는 수지 여과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는,
    상기 제1 배출 센서 또는 제2 배출 센서로부터 측정된 값이 기설정된 값 이하이면 알람을 발생시키되,
    상기 제1 배출 센서에 의한 알람인지 여부 또는 상기 제2 배출 센서에 의한 알람인지 여부를 구별 가능하도록 서로 상이한 알람을 발생시키는 수지 여과 시스템.
  6. 삭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유닛의 여과 정도를 실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단말 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단말 유닛은,
    상기 제1 유입 센서, 상기 제2 유입 센서, 상기 제1 배출 센서, 상기 제2 배출 센서의 각각의 측정값;
    상기 제1 유입 센서와 상기 제1 배출 센서의 측정값의 비; 및
    상기 제2 유입 센서와 상기 제2 배출 센서의 측정값의 비;를 디스플레이하는 수지 여과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는,
    상기 단말 유닛에 알람 신호를 전달하는 수지 여과 시스템.



KR1020180026294A 2018-03-06 2018-03-06 수지 여과 시스템 KR102070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294A KR102070413B1 (ko) 2018-03-06 2018-03-06 수지 여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294A KR102070413B1 (ko) 2018-03-06 2018-03-06 수지 여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780A KR20190105780A (ko) 2019-09-18
KR102070413B1 true KR102070413B1 (ko) 2020-04-01

Family

ID=68070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294A KR102070413B1 (ko) 2018-03-06 2018-03-06 수지 여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4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3918A (ko) 2022-09-06 2024-03-13 주식회사 건백 재생 합성수지용 이물질 여과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055B1 (ko) * 2021-09-07 2023-03-15 박성철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9937B1 (ja) * 2009-03-03 2010-08-0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スクリーンチェンジャ
JP2010221432A (ja) * 2009-03-19 2010-10-07 Sumitomo Chemical Co Ltd 濾過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0897A (ko) * 2013-07-19 2015-01-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유체 이송배관 이물질 제거용 자동필터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9937B1 (ja) * 2009-03-03 2010-08-0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スクリーンチェンジャ
JP2010221432A (ja) * 2009-03-19 2010-10-07 Sumitomo Chemical Co Ltd 濾過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3918A (ko) 2022-09-06 2024-03-13 주식회사 건백 재생 합성수지용 이물질 여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780A (ko) 201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00077A (en) Backflushable rotary melt polymer filter apparatus
US4752386A (en) Filter apparatus having filter elements shiftable between filtering and backwashing positions
US417723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thermoplastic materials
US381737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flowable material
KR102070413B1 (ko) 수지 여과 시스템
US3146494A (en) Extruder with reverse flow flushed breaker plate assembly
KR101430897B1 (ko) 연속작업이 가능한 스크린 체인져
US20110017681A1 (en) Filtration apparatus for filtering a fluid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0080290538A1 (en) Extruder ramp-up control system and method
US6325217B1 (en) Backflush attachment for a filtering device
CN107405786A (zh) 用于蜂窝体制造的在线挤出物检查和反馈控制方法
JP2011512278A (ja) 熱可塑性プラスチックの押出し装置
US20080217255A1 (en) Methods for Filtering a Fluid and an Apparatus and Filter Apparatus for Performing Said Method
KR100972310B1 (ko) 수랭식 및 공랭식이 일체화된 필름 성형장치
KR101228283B1 (ko) 사출기 또는 압출기의 필터유닛
JP2004508993A (ja) 粘性材料を濾過する装置及び方法
US7309430B2 (en) Filtration system utilizing a single valve to direct fluid streams between filter assemblies and corresponding methods
CN104786470B (zh) 双三通塑料挤出机
RU2007107084A (ru) Способ смещения синтетического гранулята с добавкой, а также смес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и аппарат со смеситель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CN107073776A (zh) 注射成型机
US5783223A (en) Plastic injection molding machine with continuous removal of particulate contaminants
EP0506954B1 (en) Continuous filter
KR101800354B1 (ko) 합성섬유 용융방사용 필터 장치
JP2012213983A (ja) ポリマーフィルタ、押出装置、押出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20190001528A1 (en) Extruder for processing polymer mel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