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0055B1 -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 - Google Patents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10055B1 KR102510055B1 KR1020210118743A KR20210118743A KR102510055B1 KR 102510055 B1 KR102510055 B1 KR 102510055B1 KR 1020210118743 A KR1020210118743 A KR 1020210118743A KR 20210118743 A KR20210118743 A KR 20210118743A KR 102510055 B1 KR102510055 B1 KR 1025100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reen
- hole
- raw material
- recycled raw
- recycl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69—Filters or screens for the moulding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78—Thermal treatment of the extrusion moulding material or of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by heating or coo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55/00—Use of specific 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main groups B29K2023/00 - B29K2049/00, e.g. having a vinyl group, as moulding material
- B29K2055/02—ABS polymers, i.e.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에 관한 것으로, 바디본체에 용해된 재생원료가 인렛구멍을 통해 유입되고, 상기 인렛구멍을 통해 유입된 재생원료를 스크린부재로 공급되게 한 쌍의 스크린구멍이 형성된 바디부재; 상기 바디부재의 일면에 설치되는 브래킷부재 상기 브래킷부재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유닛과, 상기 실린더유닛에 의해 상기 스크린구멍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재생원료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한 쌍의 스크린유닛으로 이루어진 스크린부재;를 마련하여 바디본체에 2개의 스크린부재를 설치하여 재생원료의 여과를 지속적이면서도 연속적으로 할 수 있고, 재생원료의 이동 및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생원료에 포함되어 있는 입자상의 이물질의 여과를 보다 원활하면서도 양호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생원료에 들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함은 물론 2개 한 쌍으로 이루어진 실린더 스크린에 의해 재생원료를 끊김없이 연속적으로 재생원료를 압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 발전에 따라 매년 발생하는 폐합성수지의 양은 급격한 증가세에 있으며, 이로 인해 환경오염 문제가 커지고 있다.
플라스틱으로 통칭되는 합성수지는 가볍고 가공이 용이하며 쉽게 변질되거나 부패하지 않는 특성 등으로 인하여 산업용 및 생활 용품 등의 기초 소재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합성수지 제품의 사용량은 산업발전의 가속화로 인해 급격하게 늘어나 그 폐기량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폐합성수지의 처리는 주로 매립이나 소각 및 재활용을 위한 재생방법 등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합성수지 제품은 폐기 후 수십 년 동안 분해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부피가 커서 취급이 불편한 단점 등으로 인하여 매립시에는 매립장소의 선정 등과 같은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된다.
그리고 소각시에는 완전연소가 어려워 유독가스를 발생시키므로 대기오염에 대한 환경규제 등과 같은 제약이 따를 뿐만 아니라 소각장치의 시설 투자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소각 후에도 중금속의 잔재가 남기 때문에 2차적인 환경오염을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 들어서는 폐합성수지의 적절한 처리대책이 사회적인 문제와 관심사로 대두 되고 있으며, 그 해결책으로서 폐합성수지의 재활용을 위한 재생처리가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폐합성수지 처리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폐합성수지의 재활용을 위한 재생처리 방법은 자원의 재활용과 환경오염 방지 측면에서 실용화에 대한 연구 개발과 제품 상용화의 추진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폐합성수지는 난분해성으로 인해 매립지 조기 안정화를 저해하며, 소각에 의한 처리 시는 일부 열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는 부분이 있지만 많은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하고, 또한 다이옥신 등 유독성 가스를 배출하여 사회적인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따라서 폐합성수지의 재활용은 국가의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함은 물론 천연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에서 자원의 재활용이라는 점에서 산업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재활용 기술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국가에서도 폐합성수지 및 폐합성수지 재활용을 위한 다양한 지원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폐합성수지를 재생하기 위한 종래의 재생장치는 폐합성수지를 용융시켜 적절하게 재생하는 공정을 진행한다.
그러나 종래 재생 장치는 용융된 고온의 재생 원료를 재생하고자 토출하는 작동 과정에서 고온의 열에 의해 내구성이 약화되고, 특히 재생 원료의 이물질 제거 작업 과정에서 고장 등의 유지 보수 작업시 또는 이물질 제거를 위한 메시스크린의 교체 시에 작업 공정이 중단되어 원활한 작업 진행이 어려움은 물론 잦은 스크린 교체로 인한 인력 낭비와 작업 중단에 따른 전력 낭비로 인해 경제적 손실이 있으며, 특히 생산량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합성수지 압출기용 자동 다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합성수지 압출기용 자동 다이스는 상부측에는 수지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압출물 배출구가 형성된 원통형 다이스 하우징과, 다수의 압출공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다이스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수지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용융 수지를 통과시키면서 이물질을 걸러주는 원판형 스크린; 상기 원판형 스크린 상면 중앙의 회전축에 장착되어 상기 용융 수지 중 상기 원판형 스크린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을 쓸어주는 이물질제거기; 상기 회전축의 하단부에 동력전달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이물질제거기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다이스 하우징의 측방 상기 이물질제거기와 통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이물질제거기를 통해 쓸려나온 이물질을 배출해주는 이물질 배출구가 구비된 이물질 배출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원판형 스크린은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 2개로 이루어져 상기 다이스 하우징의 내부 상하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이물질제거기는 중앙에서 외측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면서 그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어 전체적으로 파형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이물질이 상기 이물질제거기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라운드진 면을 따라 외측으로 밀려 상기 이물질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이물질제거기는, 상기 제1 스크린에 결합된 제1 이물질제거기와, 상기 제2 스크린에 결합된 제2 이물질제거기로 각각 구성되며, 다수의 압출공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다이스 하우징의 압출물 배출구 인접위치에 교체가능하게 설치되어 압출물 중 이물질을 제거하여주는 교체스크린이 더 구비되되, 상기 다이스 하우징의 교체스크린 장착위치에는 상기 다이스 하우징의 교체스크린 장착위치 내면적보다 2배 이상의 크기로 이루어져 일부는 상기 다이스 하우징의 교체스크린 장착위치 외측으로 빠져나오도록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슬라이딩판이 장착되고, 상기 교체스크린은 상기 다이스 하우징의 교체스크린 장착위치 내면적보다 작은 크기의 스크린 2개로 이루어져 상기 슬라이딩판에 각각 장착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재생플라스틱 원료를 생산하기 위한 압출 다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재생플라스틱 원료를 생산하기 위한 압출 다이스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용융 수지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본체블록과, 상기 본체블록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블록을 통과한 용융수지가 유입되는 연결구가 형성된 서브블록과, 상기 서브블록을 관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상기 연결구를 통과한 용융 수지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측면에 타공부가 형성된 드럼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노즐부와, 상기 드럼의 내부로 유입된 용융수지를 가압하여 상기 노즐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드럼의 내부로 유입되는 용융 수지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메인필터부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필터부는 상기 연결구와 상기 드럼 사이를 통과하도록 설치되며 타공부의 일측을 감싸는 메쉬망 구조의 롤스크린과, 상기 롤스크린의 일측을 권취하여 상기 롤스크린을 일정 길이만큼 이동시키는 권취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ABS플라스틱 중 난연재료를 재생 시 용융 물질이 스크린 타공 부위에 가교되고 경화되어 홀이 막히는 경우 스크린의 타공 부위만 간편히 탈착하여 청소 및 수리와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디부재에 다수개의 열선을 설치하여 재생원료의 용융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린더에 의해 재생원료에 의해 막힌 스크린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온의 재생원료에도 내구성이 확보되고, 유지·보수 작업 시에도 재생원료를 연속적으로 압출할 수 있도록 하는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압출 다이스의 메시스크린 교체 시 작업이 중단되지 않고 용해된 플라스틱 원료의 흐름이 연속적으로 이어지게끔 하는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물질로 인한 메시스크린의 밀폐 시 압력이 역류하여 압출기의 벤트홀로 밀려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는 바디본체(111)에 용해된 재생원료가 인렛구멍(114)을 통해 유입되고, 상기 인렛구멍(114)을 통해 유입된 재생원료를 스크린부재(150)로 공급되게 한 쌍의 스크린구멍(112, 113)이 형성된 바디부재(110); 상기 바디부재(110)의 일면에 설치되는 브래킷부재(130); 상기 브래킷부재(130)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유닛(151)과, 상기 실린더유닛(151)에 의해 상기 스크린구멍(112, 113)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재생원료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한 쌍의 스크린유닛(160)으로 이루어진 스크린부재(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부재(110)에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바디본체(111); 상기 바디본체(111)의 상부에 상기 스크린유닛(160)이 결합되게 형성되는 제1 스크린구멍(112); 상기 제1 스크린구멍(112)의 하부에 상기 스크린유닛(160)이 결합되게 형성되는 제2 스크린구멍(113); 용해된 재생원료가 유입되게 상기 바디본체(111)의 배면에 형성되는 인렛구멍(114); 상기 인렛구멍(114)을 통해 유입된 재생원료가 상기 제1 스크린구멍(112)으로 이동되게 형성되는 제1 연결구멍(116); 상기 인렛구멍(114)을 통해 유입된 재생원료가 상기 제2 스크린구멍(113)으로 이동되게 형성되는 제2 연결구멍(117); 상기 스크린유닛(160)을 통해 여과된 재생원료가 상기 바디본체(111)의 정면으로 배출되게 형성되는 배출구멍(118, 119); 상기 배출구멍(118, 119)을 통해 이동된 재생원료가 배출되는 배출구멍(123)이 형성된 아웃렛바디(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본체(111)에는 상기 제1 스크린구멍(112)의 상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열선구멍(120a); 상기 제1 스크린구멍(112)과 상기 제2 스크린구멍(113) 사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열선구멍(120b); 상기 제2 스크린구멍(113)의 하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3 열선구멍(120c); 상기 제1 스크린구멍(112)과 상기 제2 스크린구멍(113)에 유입된 재생원료가 용해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상기 스크린구멍(120)에 설치되는 히터(1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래킷부재(130)는 상하로 이격되게 관통구멍(132)이 형성된 브래킷본체(131); 상기 브래킷본체(131)를 상기 바디본체(111)의 일면에 고정시키는 다수개의 실린더가이드바(133); 상기 스크린부재(150)의 왕복 이동 시 상기 스크린부재(15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실린더가이드바(133)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방지플레이트(1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린부재(150)는 상기 브래킷부재(130)의 일측에 설치되는 실린더(152)와, 상기 실린더(152)에 출몰 가능하게 결합된 피스톤로드(153)로 이루어지는 실린더유닛(151); 상기 피스톤로드(153)에 의해 상기 바디본체(111)의 제1 스크린구멍(112)과 제2 스크린구멍(11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인렛구멍(114)을 통해 통과되는 재생원료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린유닛(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린유닛(160)은 상기 피스톤로드(153)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실린더스크린(161); 상기 인렛구멍(114)을 통해 유입된 재생원료가 통과되도록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제1 방사구멍(162); 상기 인렛구멍(114)을 통해 유입된 재생원료가 통과되도록 상기 제1 방사구멍(162)과 서로 엇갈리게 방사성으로 형성되는 제2 방사구멍(163); 재생원료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키도록 상기 방사구멍(162, 163)의 외면에 설치되는 메시스크린(1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본체(111)에는 상기 인렛구멍(114)을 통해 유입되는 플라스틱 용융물질인 재생원료의 역류를 방지하면서 상기 인렛구멍(114)을 통해 유입되는 재생원료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압력게이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린부재(150)는 상기 브래킷부재(130)에 설치된 실린더유닛(151)에 의해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유닛(160)은 정비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재(110)의 외측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다수의 방사구멍(162, 163)이 형성된 실린더스크린(161)과, 메시스크린(164) 및 제2 고정브래킷(167)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에 의하면, 바디본체에 2개의 스크린부재를 설치하여 재생원료의 여과를 지속적이면서도 연속적으로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재생원료의 여과 작업을 중지없이 연속적으로 할 수 있으며, 스크린부재를 원통형으로 타공하여 이물질 제거의 단면적을 극대화하여 스크린 교체 시간을 최장으로 연장(또는 유지)함은 물론 바디본체에 설치된 히터에 의해 재생원료를 적정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고, 압력게이지를 다이스 본체에 설치하여 용융 물질의 역류를 방지하여 재생원료의 이동 및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생원료에 포함되어 있는 입자상의 이물질의 여과를 보다 원활하면서도 양호하며, 전력 낭비는 물론 생산량의 극대화를 통해 경제적인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의 바디부재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의 아웃렛바디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의 스크린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의 스크린부재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의 스크린부재를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를 도시한 입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를 도시한 입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힌 제3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힌 제3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힌 제3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힌 제3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의 바디부재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의 아웃렛바디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의 스크린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의 스크린부재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의 스크린부재를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를 도시한 입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를 도시한 입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힌 제3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힌 제3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힌 제3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힌 제3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는 바디본체(111)에 용해된 재생원료가 인렛구멍(114)을 통해 유입되고, 상기 인렛구멍(114)을 통해 유입된 재생원료를 스크린부재(150)로 공급되게 한 쌍의 스크린구멍(112, 113)이 형성된 바디부재(110)와, 상기 바디부재(110)의 일면에 설치되는 브래킷부재(130)와, 상기 브래킷부재(130)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유닛(151)과, 상기 실린더유닛(151)에 의해 상기 스크린구멍(112, 113)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재생원료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한 쌍의 스크린유닛(160)으로 이루어진 스크린부재(15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는 재생원료를 통과시킬 수 있게 한 쌍의 스크린구멍(112, 113)이 형성된 바디부재(110)와, 바디부재(110)의 일측에 설치되는 브래킷부재(130)와, 상기 스크린구멍(112, 113)에 스크린유닛(160)을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재생원료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스크린부재(150)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의 바디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재(110)의 바디본체(111)에는 상부에 제1 스크린구멍(112)이 형성되고, 제1 스크린구멍(112)의 하부에 제2 스크린구멍(113)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바디본체(111)의 배면에는 용융된 재생원료가 유입되게 인렛구멍(114)이 형성되고, 상기 인렛구멍(114)을 밀폐시키는 인렛링(115)이 설치된다.
상기 인렛구멍(114)을 통해 유입된 재생원료가 제1 스크린구멍(112)으로 공급되게 제1 연결구멍(116)이 형성되고, 제2 스크린구멍(113)으로 공급되게 제2 연결구멍(117)이 상하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즉, 재생원료는 인렛구멍(114)으로 유입되고, 제1 연결구멍(116)을 통해 제1 스크린구멍(112)으로 공급되고, 제2 연결구멍(117)을 통해 제2 스크린구멍(113)으로 공급된다.
또 상기 바디본체(111)에는 제1 스크린구멍(112)에 설치된 스크린부재(150)를 통과하여 배출된 재생원료가 배출되는 제1 배출구멍(118)이 형성되고, 제2 스크린구멍(113)에 설치된 스크린부재(150)를 통과하여 배출된 재생원료가 배출되는 제2 배출구멍(119)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본체(111)에는 재생원료가 적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히터(121)가 설치되게 열선구멍(120a, 120b, 120c)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열선구멍(120a)은 제1 스크린구멍(112)의 상부에 한 쌍으로 형성되고, 한 쌍의 제2 열선구멍(120b)은 제1 스크린구멍(112)과 제2 스크린구멍(113)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제3 열선구멍(120c)은 제2 스크린구멍(113)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3 열선구멍(120c)은 제2 스크린구멍(113)의 좌우 및 하부에 3개로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열선구멍(120a, 120b, 120c)에는 각각 히터(121)가 설치되며, 상기 제1 스크린구멍(112)과 제2 스크린구멍(113)을 보다 고온으로 가열시켜 용융된 재생원료를 고온의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스크린부재(150)를 통과하는 재생원료에 포함된 이물질을 보다 양호하게 여과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제2 스크린구멍(113)의 하부에는 3개의 히터(121)를 설치하여 제2 스크린구멍(113)을 고온으로 가열시켜 줌으로써 제2 스크린구멍(113) 및 제1 스크린구멍(112)을 고온으로 유지시켜 재생원료의 여과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배출구멍(118, 119)의 출구측에는 재생원료를 여러 가닥으로 뽑아낼 수 있게 아웃렛바디(122)가 설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의 아웃렛바디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웃렛바디(122)에는 일정 직경을 가지면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다수의 배출구멍(123)이 형성되며, 상기 아웃렛바디(122)는 고정볼트(124)에 의해 바디본체(111)에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바디본체(111)에는 상기 인렛구멍(114)을 통해 유입되는 플라스틱 용융물질인 재생원료의 역류를 방지하면서 상기 인렛구멍(114)을 통해 유입되는 재생원료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압력게이지(미도시)가 설치된다.
즉, 상기 바디본체(111)의 상면에는 압력게이지를 설치할 수 있도록 게이지결합구멍(126)이 형성되고, 상기 게이지결합구멍(126)에는 인렛구멍(114)을 통해 이동되는 재생원료의 압력을 측정함은 물론 게이지결합구멍(126)이 압력게이지에 의해 밀폐되어 재생원료의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압력게이지는 인렛구멍(114)을 통해 유입된 재생원료(ABS 난연수지)가 스크린구멍(112, 113)으로 원활하게 이동되는 경우, 압력을 표시하여 주면서 스크린부재(150)가 이물질 등에 막혀 재생원료의 이동이 막히거나 원활하지 않을 경우 적정 압력 이상이며 부저 또는 알람 등을 울려 스크린부재(150)의 교체를 알려줄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바디본체(111)의 일측에는 스크린부재(150)를 설치할 수 있게 브래킷부재(130)가 설치된다.
상기 브래킷부재(130)의 브래킷본체(131)에는 피스톤로드(153)를 관통시킬 수 있게 한 쌍의 관통구멍(132)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본체(111)와 브래킷본체(131) 사이에는 다수개의 실린더가이드바(133)가 고정된다.
상기 실린더가이드바(133)에는 스크린부재(150)의 스크린유닛(160)이 이동될 때 상기 스크린유닛(16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회전방지플레이트(134)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전방지플레이트(134)의 일측에는 스크린유닛(160)을 고정시킬 수 있게 돌출부(135)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35)에는 스크린유닛(160)에 체결되는 고정볼트(136)가 구비된다.
또 상기 회전방지플레이트(134)에는 실린더가이드바(133)에 끼워져 결합되게 가이드바구멍(137)이 형성되고, 실린더가이드바(133)를 따라 일직선상으로 이동되게 고정링크(138)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링크(138)를 회전방지플레이트(134)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139)가 구비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의 스크린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의 스크린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본체(111)의 제1 스크린구멍(122)과 제2 스크린구멍(123)에는 스크린부재(150)가 각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부재(150)는 후술하는 제3 실시 예에 따른 평판형 스크린부재(150)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린부재(150)는 제1 스크린구멍(112)과 제2 스크린구멍(113)에 각각 설치될 수 있게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크린부재(150)는 스크린유닛(160)을 왕복 이동시키는 실린더유닛(151)과 상기 스크린구멍(112, 113)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린유닛(1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린더유닛(151)은 브래킷본체(131)의 일면에 설치되는 실린더(152)와, 상기 실린더(152)에 의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로드(153)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크린유닛(160)은 스크린구멍(112, 113)에 유입된 재생원료를 여과시키는 것으로, 실린더스크린(161)과 메시스크린(164) 및 밀폐실린더(16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린더스크린(161)은 일정 직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스크린(161)에는 제1 방사구멍(162) 및 제2 방사구멍(163)이 서로 교호로 엇갈리게 형성된다.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방사구멍(162)의 일측에는 제2 방사구멍(163)이 형성되고, 이들 제1 방사구멍(162) 및 제2 방사구멍(163)이 반복적으로 연속되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 방사구멍(162)과 제2 방사구멍(163)은 10°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인접한 제1 방사구멍(162)과 제2 방사구멍(163)은 서로 5°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는 실린더스크린(161)에 최대한의 방사구멍(162, 163)을 형성하여 재생원료의 여과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시간당 재생원료의 여과능력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함이다.
상기 실린더스크린(161)의 외면에는 방사구멍(162, 163)보다 작은 직경 또는 메시망으로 이루어진 메시스크린(164)이 설치된다.
상기 실린더스크린(161)의 일측에는 스크린구멍(112, 113)을 밀폐시키는 밀폐실린더(164)가 설치되며, 상기 밀폐실린더(164)의 일측에는 제1 고정브래킷(166)이 설치된다.
또 상기 실린더스크린(161)의 타측에는 제2 고정브래킷(167)이 설치되며, 상기 밀폐실린더(165)와 제2 고정브래킷(167) 사이에는 고정축(168)이 설치되고, 상기 제2 고정브래킷(167)에는 제1 벤트홈부(169)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벤트홈부(169)는 스크린유닛(160)이 스크린구멍(112, 113) 내부로 진입 시 스크린구멍(112, 113) 내에 있는 공기가 바디본체(111)의 외부로 배출되게 형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의 스크린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부재를 도시한 것으로, 도 9(a)는 스크린부재(160)의 정면도이고, 도 9(b)는 스크린부재(160)의 우측면도이다.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밀폐스크린(165)에는 스크린구멍(112, 113) 내의 유증기 등을 배출시킬 수 있게 제2 벤트홈부(170)가 형성된다.
상기 제2 벤트홈부(170)는 밀폐스크린(165)의 중앙까지 관통되게 형성되는 벤트구멍(170a)과, 상기 벤트구멍(170a)을 통해 스크린구멍(112, 113)에서 유출된 유증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대략 'ㄱ'자 형상으로 벤트홈(170b)으로 이루어진다.
즉, 스크린구멍(112, 113)의 유증기는 밀폐스크린(165)의 진입이 완료되고 난 후 벤트구멍(170a)을 통해 벤트홈(170b)으로 이동되고, 상기 벤트홈(170b)으로 이동된 유증기는 바디본체(111)와 밀폐실린더(165)의 결합에 의한 공차에 의해 형성된 틈새를 통해 바디본체(111)의 외부로 유출된다.
다음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본체(111)에는 제1 스크린구멍(112)에 스크린부재(150)가 설치된 상태와 제2 스크린구멍(113)에 스크린부재(150)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용융된 재생원료는 상기 바디본체(111)의 인렛구멍(114)과 제1 연결구멍(116)을 통해 제1 스크린구멍(112)으로 유입되고, 재생원료는 제1 스크린구멍(112)에 설치된 스크린부재(150)의 메시스크린(164)을 통과하면서 입자상의 이물질을 걸러주게 된다.
상기 메시스크린(164)을 통과한 재생원료는 실린더스크린(161)의 제1 방사구멍(162)과 제2 방사구멍(163)을 통과한 다음 제1 배출구멍(118)으로 이동되고, 상기 재생원료는 바디본체(111)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는 아웃렛바디(122)의 배출구멍(123)을 통해 바디본체(111)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재생원료는 아웃렛바디(122)의 배출구멍(123)을 통해 연속된 줄기 형태의 가닥으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제2 스크린구멍(113)에 설치된 스크린부재(150)는 재생원료가 메시스크린(164)의 표면에 달라붙어 막힌 경우 메시스크린(164) 또는 실린더스크린(161)이 막힌 경우 이들을 교체할 수 있도록 제2 스크린구멍(113)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상기 스크린부재(150)의 실린더(152)는 피스톤로드(153)를 이동시켜 스크린유닛(160)을 제2 스크린구멍(113)의 외부로 노출시킨다.
이때 상기 스크린유닛(160)의 밀폐실린더(165)는 제2 스크린구멍(113)을 밀폐된 상태로 유지시키므로, 이에 인렛구멍(114)과 제2 연결구멍(117)을 통해 재생원료는 제2 스크린구멍(113) 내부로 공급이 차단된다.
이와 같이 스크린유닛(160)의 실린더스크린(161) 및 메시스크린(164)이 바디본체(111)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메시스크린(164) 또는 실린더스크린(161)을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스크린부재(150)의 유지·보수 작업 중에도 제1 스크린구멍(112)에 설치된 스크린부재(150)에 의해 재생원료를 지속적으로 통과시켜 여과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바디본체(111)에는 다수개의 열선구멍(120a, 120b, 120c)에 설치된 히터(121)에 의해 적정 온도로 가열되므로, 재생원료의 온도를 적정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재생원료의 이동 및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생원료에 포함되어 있는 입자상의 이물질의 여과를 보다 원활하면서도 양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힌 제3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힌 제3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힌 제3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힌 제3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는 동일한 명칭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이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는 스크린부재(150)를 평판형 스크린(171)으로 형성한다.
상기 바디부재(110)의 상부에는 제1 스크린(171a)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바디부재(110)의 하부에는 제2 스크린(171b)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스크린(171)을 이동시킬 수 있게 실린더(152)와 피스톤로드(152)가 설치됨은 물론이다.
상기 스크린(171)에는 인렛구멍(114)를 통해 유입된 재생원료가 통과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관통구멍(172)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멍(172)은 전술한 방사구멍(162, 163)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한편 상기 스크린(171)의 전면과 후면에는 각각 메시스크린(164)이 설치되며, 인렛구멍(114)을 통해 유입된 재생원료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10: 바디부재 111: 바디본체
112: 제1 스크린구멍 113: 제2 스크린구멍
114: 인렛구멍 115: 인렛링
116: 제1 연결구멍 117: 제2 연결구멍
118: 제1 배출구멍 119: 제2 배출구멍
120: 열선구멍 121: 히터
122: 아웃렛바디 123: 배출구멍
124: 고정볼트 125: 온도센서
130: 브래킷부재 131: 브래킷본체
132: 관통구멍 133: 실린더 가이드바
134: 회전방지플레이트 135: 돌출부
136: 고정볼트 137: 가이드바구멍
138: 고정링크 139: 고정볼트
150: 스크린부재 151: 실린더유닛
152: 실린더 153: 피스톤로드
160: 스크린유닛 161: 실린더스크린
162: 제1 방사구멍 163: 제2 방사구멍
164: 메시스크린 165: 밀폐실린더
166: 제1 고정브래킷 167: 제2 고정브래킷
168: 고정축 169: 제1 벤트홈부
170: 제2 벤트홈부 170a: 벤트구멍
170b: 벤트홈
112: 제1 스크린구멍 113: 제2 스크린구멍
114: 인렛구멍 115: 인렛링
116: 제1 연결구멍 117: 제2 연결구멍
118: 제1 배출구멍 119: 제2 배출구멍
120: 열선구멍 121: 히터
122: 아웃렛바디 123: 배출구멍
124: 고정볼트 125: 온도센서
130: 브래킷부재 131: 브래킷본체
132: 관통구멍 133: 실린더 가이드바
134: 회전방지플레이트 135: 돌출부
136: 고정볼트 137: 가이드바구멍
138: 고정링크 139: 고정볼트
150: 스크린부재 151: 실린더유닛
152: 실린더 153: 피스톤로드
160: 스크린유닛 161: 실린더스크린
162: 제1 방사구멍 163: 제2 방사구멍
164: 메시스크린 165: 밀폐실린더
166: 제1 고정브래킷 167: 제2 고정브래킷
168: 고정축 169: 제1 벤트홈부
170: 제2 벤트홈부 170a: 벤트구멍
170b: 벤트홈
Claims (8)
- 삭제
- 삭제
- 바디본체(111)에 용해된 재생원료가 인렛구멍(114)을 통해 유입되고, 상기 인렛구멍(114)을 통해 유입된 재생원료를 스크린부재(150)로 공급되게 한 쌍의 스크린구멍(112, 113)이 형성된 바디부재(110);
상기 바디부재(110)의 일면에 설치되는 브래킷부재(130);
상기 브래킷부재(130)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유닛(151)과, 상기 실린더유닛(151)에 의해 상기 스크린구멍(112, 113)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재생원료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한 쌍의 스크린유닛(160)으로 이루어진 스크린부재(150);
를 포함하되,
상기 바디부재(110)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바디본체(111);
상기 바디본체(111)의 상부에 상기 스크린유닛(160)이 결합되게 형성되는 제1 스크린구멍(112);
상기 제1 스크린구멍(112)의 하부에 상기 스크린유닛(160)이 결합되게 형성되는 제2 스크린구멍(113);
용해된 재생원료가 유입되게 상기 바디본체(111)의 배면에 형성되는 인렛구멍(114);
상기 인렛구멍(114)을 통해 유입된 재생원료가 상기 제1 스크린구멍(112)으로 이동되게 형성되는 제1 연결구멍(116);
상기 인렛구멍(114)을 통해 유입된 재생원료가 상기 제2 스크린구멍(113)으로 이동되게 형성되는 제2 연결구멍(117);
상기 스크린유닛(160)을 통해 여과된 재생원료가 상기 바디본체(111)의 정면으로 배출되게 형성되는 배출구멍(118, 119);
상기 배출구멍(118, 119)을 통해 이동된 재생원료가 배출되는 배출구멍(123)이 형성된 아웃렛바디(122);
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본체(111)는,
상기 제1 스크린구멍(112)의 상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열선구멍(120a);
상기 제1 스크린구멍(112)과 상기 제2 스크린구멍(113) 사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열선구멍(120b);
상기 제2 스크린구멍(113)의 하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3 열선구멍(120c);
상기 제1 스크린구멍(112)과 상기 제2 스크린구멍(113)에 유입된 재생원료가 용해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상기 열선구멍(120)에 설치되는 히터(121);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부재(150)는,
상기 브래킷부재(130)의 일측에 설치되는 실린더(152)와, 상기 실린더(152)에 출몰 가능하게 결합된 피스톤로드(153)로 이루어지는 실린더유닛(151);
상기 피스톤로드(153)에 의해 상기 바디본체(111)의 제1 스크린구멍(112)과 제2 스크린구멍(11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인렛구멍(114)을 통해 통과되는 재생원료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린유닛(160)
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린유닛(160)은,
상기 피스톤로드(153)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실린더스크린(161);
상기 인렛구멍(114)을 통해 유입된 재생원료가 통과되도록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제1 방사구멍(162);
상기 인렛구멍(114)을 통해 유입된 재생원료가 통과되도록 상기 제1 방사구멍(162)과 서로 엇갈리게 방사성으로 형성되는 제2 방사구멍(163);
재생원료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키도록 상기 방사구멍(162, 163)의 외면에 설치되는 메시스크린(164);
상기 스크린구멍(112, 113)으로 재생원료가 이동되는 통로인 상기 연결구멍(116,117)을 일시적으로 밀폐시키도록 상기 실린더스크린(161)의 일측에 설치되는 밀폐실린더(16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8743A KR102510055B1 (ko) | 2021-09-07 | 2021-09-07 |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8743A KR102510055B1 (ko) | 2021-09-07 | 2021-09-07 |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36187A KR20230036187A (ko) | 2023-03-14 |
KR102510055B1 true KR102510055B1 (ko) | 2023-03-15 |
Family
ID=85502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18743A KR102510055B1 (ko) | 2021-09-07 | 2021-09-07 |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10055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3873B1 (ko) * | 2009-07-13 | 2009-12-24 | 박금연 | 용융수지의 이물질 제거장치 |
KR101430897B1 (ko) | 2014-03-21 | 2014-08-18 | 임성일 | 연속작업이 가능한 스크린 체인져 |
KR102236659B1 (ko) * | 2020-10-30 | 2021-04-06 | 주식회사 성원리사이클 | 다이스 라인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5355B1 (ko) * | 2006-06-15 | 2008-01-16 | 박동준 | 용융 압출기용 스크린 장치 |
KR101746748B1 (ko) | 2015-12-15 | 2017-07-03 | 박철우 | 합성수지 압출기용 자동 다이스 |
KR20190056596A (ko) | 2017-11-17 | 2019-05-27 | 나산프라스틱 주식회사 | 재생플라스틱 원료를 생산하기 위한 압출 다이스 |
KR102070413B1 (ko) * | 2018-03-06 | 2020-04-01 | 주식회사 건백 | 수지 여과 시스템 |
KR102175476B1 (ko) | 2019-04-12 | 2020-11-06 | 최병국 | 복층 구조 수지재생 압출용융장치 |
-
2021
- 2021-09-07 KR KR1020210118743A patent/KR10251005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3873B1 (ko) * | 2009-07-13 | 2009-12-24 | 박금연 | 용융수지의 이물질 제거장치 |
KR101430897B1 (ko) | 2014-03-21 | 2014-08-18 | 임성일 | 연속작업이 가능한 스크린 체인져 |
KR102236659B1 (ko) * | 2020-10-30 | 2021-04-06 | 주식회사 성원리사이클 | 다이스 라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36187A (ko) | 2023-03-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875296B (zh) | 智能控制环保型废旧塑料节能再生制备系统 | |
CN103434114A (zh) | 过滤装置及含有该过滤装置的过滤挤出机头 | |
CN114872233B (zh) | 一种可再生塑料热熔回收装置 | |
CN208946431U (zh) | 一种可循环使用的塑料颗粒生产装置 | |
KR102510055B1 (ko) |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 | |
KR101746748B1 (ko) | 합성수지 압출기용 자동 다이스 | |
KR102520706B1 (ko) | 벤트홀이 형성된 재생원료 압출 다이스 | |
CN203046220U (zh) | 挤压过滤机 | |
KR101612617B1 (ko) |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폐합성수지 압출기의 여과장치 | |
CN112705552B (zh) | 一种具有熔喷布废料收集再利用的生产设备 | |
KR20130102729A (ko) | 폐합성수지 재활용 시스템의 이물질 제거장치 | |
CN113910494A (zh) | 一种基于废旧塑料回收再利用加工用热熔装置 | |
EP2432852B1 (en) | Heat recovery system | |
CN110640927A (zh) | 一种便捷移动的减震型塑料颗粒机 | |
KR100933873B1 (ko) | 용융수지의 이물질 제거장치 | |
CN203542896U (zh) | 过滤装置及含有该过滤装置的过滤挤出机头 | |
CN114523213A (zh) | 一种可高效更换刀头的光纤激光切割机 | |
CN107376511B (zh) | 一种水过滤材料斜褶打褶机 | |
CN107791488A (zh) | 自动排杂过滤器 | |
KR102489674B1 (ko) | 플라스틱 원료 전환 방법 | |
KR20150022392A (ko) | 유동물질 중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거름망 및 장치 | |
CN105172103A (zh) | 用于造纸废渣造粒的过滤器 | |
CN220224218U (zh) | 一种可净化废气的金属表面热处理装置 | |
KR200273538Y1 (ko) | 폴리프로필렌 섬유제 건설용 폐안전망의 재생용 압출기 | |
KR102307961B1 (ko) | 폐수지 재생시 연속사용이 가능한 이물질 제거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