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9411A - 디스포저의 세정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포저의 세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9411A
KR20070099411A KR1020060131898A KR20060131898A KR20070099411A KR 20070099411 A KR20070099411 A KR 20070099411A KR 1020060131898 A KR1020060131898 A KR 1020060131898A KR 20060131898 A KR20060131898 A KR 20060131898A KR 20070099411 A KR20070099411 A KR 20070099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hamber
crushing chamber
discharge
rot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1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5540B1 (ko
Inventor
유키오 오바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프로무고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프로무고교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프로무고교
Publication of KR20070099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9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30Mincing machines with perforated discs and feeding worms
    • B02C18/34Mincing machines with perforated discs and feeding worms with means for cleaning the perforated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30Mincing machines with perforated discs and feeding worms
    • B02C18/36Knives or perforated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5/00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Abstract

본 발명은, 특별한 용구를 사용하지도 않고, 분해하지 않아도 디스포저(disposer)의 내부를 간단하게 세정할 수 있고, 하수관에 접속하는 배출관 내의 세정도 행할 수 있는 디스포저의 세정 방법을 제공한다.
디스포저(1)의 파쇄실(7)에 투입한 음식 쓰레기를, 회전판(8)과 회전판(8)을 둘러싸는 고정날(10)로 분쇄하고, 회전판(8)의 하방의 배출실(11)로 낙하시켜서 배출하는 디스포저의 세정 방법에 있어서, 배출실(11)에 임펠러(12)를 설치하고, 배출실(11)에 접속한 배출관(14)에 트랩(16)을 형성한다. 회전판(8)을 정지시켜서 회전판(8) 상에 급수하고, 파쇄실(7)과 배출실(11) 사이의 공기 통로를 물로 막아서 배출실(11) 내의 공기를 가두고, 그 공기압에 의해 배출구(13)로부터의 물의 유출량을 제한하여 급수량과의 차이로 파쇄실(7)과 배출실(11) 내에 물을 저장한다. 급수를 계속하면서 필요한 물이 저장될 때, 회전판(8)을 회전시켜서 파쇄실(7)과 배출실(11) 내의 물로 교반 세정한다. 세정 후에 디스포저(1) 내의 물을 임펠러(12)로 급속하게 배출시켜서 배출관(14) 내를 세정한다.
디스포저, 세정, 파쇄, 공기압, 배출관, 회전판, 임펠러, 교반, 막힘 방지

Description

디스포저의 세정 방법{METHOD FOR WASHING DISPOSERS}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디스포저의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세정 과정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디스포저의 파쇄실 저부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4는 장착관의 예를 나타낸 상면도로서, 커버를 세트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커버의 예를 나타내고, (a)는 상면도, (b)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운전 모드의 제어예를 나타내는 특성 곡선도이다.
도 7은 세정 모드의 제어예를 나타내는 특성 곡선도이다.
도 8은 세정 모드의 다른 제어예를 나타내는 특성 곡선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세정 모드의 다른 제어예를 나타내는 특성 곡선도이다.
도 10은 음식 쓰레기 처리에 이어서 세정하는 예를 나타낸 특성 곡선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디스포저의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디스포저의 측단면도로서, 트랩은 생략되어 있다
도 13은 상이한 회전판의 실시예로서, (a)는 상면도, (b)는 측단면도이다.
도 14는 또 다른 회전판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1a: 디스포저 2: 싱크대
3: 배수구 4: 장착관
5: 커버 6: 투입구
7: 파쇄실 8: 회전판
9: 타격날 10: 고정날
11: 배출실 12: 임펠러
13: 배출구 14: 배출관
15: 엘보부 16: 트랩
17: 전동기 20: 인덱스
21: 절결홈 22: 센서
23: 통수공 24: 결합 돌기
25: 마그넷 26: 전자 밸브
27: 급수관 28: 급수구
29: 일수구(溢水口) 30: 오버플로우관
31: 이경 이음부 32: 급수관
33: 급수공 34: 에지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평 7-144144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개 2001-62324호 공보(청구항 6, 단락 번호 0023)
[특허 문헌 3] 의장 등록 제1270841)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국 특개평 5-123597호 공보
본 발명은, 주방 등에서 발생하는 음식 쓰레기를 회전날로 분쇄 처리하는 디스포저(disposer)의 세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포저는 주방 등의 싱크대의 배수구에 연결되고, 상기 배수구로부터 투입 되는 음식 쓰레기를 파쇄실의 저부에 설치된 회전판에서 받고, 전동기로 회전판을 회전시켜서 상면에 장착한 타격날로 파쇄하는 동시에, 회전판을 둘러싸서 파쇄실의 저부 내벽에 설치한 고정날과 회전판 외주 사이에서 잘게 잘라서 처리하여 분쇄하고, 물과 함께 회전판 하방의 배출실로 낙하시켜서, 배출실에 연결된 배출관으로부터 하수관으로 배출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디스포저에서는, 배출관을 배출실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장착한 것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분쇄된 음식 쓰레기, 특히 섬유질의 음식 쓰레기가 배출구 등에 걸려서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고, 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 때문에, 배출관을 접선 방향으로 설치하여 배출이 원활해지도록 하고 있다(특허 문헌 2, 특허 문헌 3 참조). 또한, 파쇄실에 투입된 음식 쓰레기는 회전판의 원심력에 의해, 파쇄실 내에는 음식 쓰레기가 튀어서 파쇄실 내벽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회전판의 주위와 고정날 사이에서 분쇄된 음식 쓰레기는 배출실로 낙하되고 배출실의 저면을 흘러서 배출되므로, 회전판으로 나누어진 배출실 내에도, 분쇄된 음식 쓰레기나, 물에 섞여 흐르게 되는 오일이나 세제 찌꺼기 등이 부착되어, 오니(汚泥) 상태가 되어 위생상 바람직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악취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 때문에,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처리 장치 내를 세정할 필요가 있고, 특히 가정용 등의 소형 디스포저는, 주부가 자주 세정하여 청결을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세정은, 파쇄실에 물을 흘려 넣어 수류(水流)로 씻어내는 물 세정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지만, 수류만으로는 충분하게 세정되지 않기 때문에, 물 세정에 앞서 싱크대의 배수공으로부터 파쇄실 내에 브러시 등을 꽂아넣어, 파쇄실 내벽이나 회전판 상의 찌꺼기를 제거하고 있지만, 시간이 걸릴 뿐만 아니라, 회전판 하면에 위치하는 배출실은 회전판으로 나누어져 있으므로, 브러시 등을 삽입하지 못하고, 분해하여 청소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회전판 하방의 배출실을 세정하기 위해, 회전판 상부의 파쇄실을 형성하는 호퍼(hopper)를 분리하고, 회전판에 설치한 구멍으로부터 브러시 부재를 배출실에 꽂아넣어 회전판의 하면에 장착하고, 회전판과 함께 브러시 부재를 회전시켜서 배출실 내의 청소를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지만(특허 문헌 4 참조), 호퍼를 떼어내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배출관에 3방향 전환 밸브를 설치하고, 세정 시에는, 배출관을 막는 동시에 별도로 설치한 역세정관으로부터 처리 장치 내에 역세정수를 음식 쓰레기 처리 시와는 역방향으로 유입시키고, 회전판을 역회전시켜서 배출구 부근이나 배출 구와 전환 밸브의 연결관에 부착된 음식 쓰레기를 씻어내는 세정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그러나, 파쇄실에 세정수을 흘려 넣으면서 수류만으로 세정하는 정도로는, 내벽에 부착된 오니 상태의 부착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고, 싱크대의 좁은 배수구로부터 브러시 등을 삽입하여도 조작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브러시를 삽입한 상태에서 잘못하여 회전판을 구동시킬 위험도 있고, 충분한 세정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회전판에 설치한 구멍으로부터 배출실에 브러시 부재를 꽂기 위해서는, 호퍼를 분리하여 회전판 상면의 구멍을 노출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싱크대로부터 디스포저 본체를 분리하여 분해하는 번거로움에는 큰 차이가 없고, 주부들이 간단하게 실시할 수는 없다.
또한, 배출관을 막은 상태에서, 배출실 내에 세정수를 역방향으로부터 흘려서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방법에서는, 삼방향 전환 밸브나 세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역세정관을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비가 복잡해지는 결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세정중에는 배출관이 막혀 있으므로, 세정으로 더러워진 오수가 회전판으로 휘저어질 뿐이며 충분한 세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분해할 필요가 없으며, 통상적인 운전과 동일한 방법으로 물을 공급하여, 파쇄실과 함께 회전판 하방의 배출실 내에 물을 저장하고, 오수를 배출하면서 세정하고, 세정한 후에 파쇄실과 배출실에 저장된 대량의 물을 급속하게 흘려보냄으로써, 배출관의 세정도 수행하도록 한 디스포저의 세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투입구에 이어서 위치하는 파쇄실의 저부에, 예를 들면 타격날 등으로 이루어지는 돌기를 구비한 회전판을 설치하고, 파쇄실 내벽에 회전판을 둘러싸는 고정날을 구비하여 음식 쓰레기를 분쇄하며, 분쇄된 음식 쓰레기를 회전판의 주위로부터 하방의 배출실로 낙하시켜서 배출하는 디스포저의 세정 방법에 있어서, 배출실에 접속한 배출관에 엘보부를 개재하여 트랩을 형성하고, 세정 모드에서는, 회전판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파쇄실 내의 회전판 상에 급수하여 파쇄실과 배출실 사이의 공기 통로를 단번에 막고, 이에 따라, 배출실과 트랩 상부의 엘보부 내에 있던 공기를 가두고, 갇힌 공기의 공기압을 이용하여 파쇄실과 배출실 내에 물을 저장해서, 파쇄실로 계속 급수하면서 파쇄실과 배출실 내에 저장한 물을 회전판의 회전에 의해 각각의 실내에서 원심력을 가하여 교반시키고, 실내 전체면을 원심력으로 가압하여 급격한 수류로 세정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배출실 내에 임펠러(impeller)를 설치하여 배출관을 접선 방향으로 장착하고, 파쇄실의 회전판 상에 급수하여, 파쇄실과 배출실의 공기 통로를 물로 막음으로써 배출실과 트랩 상부의 공기를 가두고, 회전판 상에 급수하면서 회전판과 임펠러를 저속으로 역회전(즉, 음식 쓰레기를 분쇄하는 정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배출관에 대해서 역방향의 펌프 작용과 갇힌 공기압에 의해 파쇄실로부터 배수실로 떨어지는 물의 낙하 속도를 늦추어서 파쇄실에 물을 저장하고, 계속 급수하면서 파쇄실과 배출실에 저장된 물을, 회전판의 원심력으로 각각의 실 내벽에 부딪히게 하여 세정시킨다.
그리고, 세정 후에 회전판을 멈추어 임펠러를 정회전시켜서 파쇄실에 저장된 물을 급속히 배출시켜서, 배출관 내에 있는 음식 쓰레기를 압력에 의해 흘려 보낼 수 있다.
[실시 형태]
투입구에 이어서 위치하는 파쇄실 내의 저부에, 예를 들면 돌기를 구비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주위를 둘러싸는 고정날을 구비하고, 분쇄한 음식 쓰레기를 회전판과 고정날의 간극으로부터 회전판 하방의 배출실로 낙하시켜서 배출하는 디스포저의 세정 방법에 있어서, 회전판 하방의 배출실에 임펠러를 설치하여 배출실의 접선 방향으로 배출관을 접속하고, 배출실에 접속한 배출관에 엘보부를 개재하여 트랩을 형성하고, 회전판 상에 급수하여 파쇄실과 배출실 사이의 공기 통로를 막음으로써, 배출실과 배출관 내의 트랩 상부에 있는 공기를 가두고, 물의 유출량을 제한하여 파쇄실과 배출실 내에 물을 저장하고, 계속 급수하면서, 파쇄실과 배출실 내에 저장된 물을 회전판의 회전에 의해 급격하게 교반시키고, 원심력을 부가하여 파쇄실 및 배출실 내의 전체면을 세정시킨다. 세정 후에는 임펠러를 정회전시킴으로써, 파쇄실과 배출실 내의 물을 펌프 작용으로 배출구로부터 배출관 내에 강하게 배출시키고, 트랩 및 트랩 앞의 배출관 내에 모여있는 분쇄된 음식 쓰레기 등을 흘려보내고, 배출관 내의 세정을 행한다.
[실시예]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사용하는 디스포저의 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세정 과정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파쇄실 저부를 나타낸 상면도, 도 4는 장착관의 상면도로서, 1은 디스포저, 2는 싱크대, 3은 싱크대의 배수구, 4는 배수구(3)에 디스포저(1)를 장착하는 장착관, 5는 배수구(3)에 장착한 커버이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관(4)에 장착하는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운전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6은 디스포저(1)의 투입구, 7은 투입구(6)에 이어서 위치하는 파쇄실, 8은 파쇄실(7)의 저부에 설치된 회전판, 9는 회전판(8)의 상면에 장착된 돌기의 일례인 타격날, 10은 회전판(8)을 둘러싸고, 파쇄실(7)의 저부에 고정된 고정날, 11는 회전판(8)의 하방에 설치한 배출실, 12는 회전판(8)의 하면에 장착한 임펠러, 13은 배출구, 14는 배출관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3과 같이 배출구(13)와 배출관(14)을 배출실(11)의 접선 방향으로 설치하고 있다. 배출관(14)은 엘보부(15)를 통하여 하향으로 접속되고, 트랩(16)이 형성되어 있다. 17은 회전판(8)을 구동하는 전동기이다.
장착관(4)의 상면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 모드의 인덱스(20)를 포함하고, 인덱스(20)의 위치에 맞추어서 투입구(6)의 상단부 내측에 각각 상면으로 개구된 절결홈(21)을, 외측에 센서(22)(도 1)를 설치하고 있다. 커버(5)는 도 5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수공(23)과, 외주면에 상기 절결홈(21)과 결합되는 결합 돌기(24)가 형성되고, 결합 돌기(24)의 위치에 마그넷(25)을 내장시키고 있다.
그리고, 절결홈(21)을, 상면을 덮는 홈으로 하여 일정 각도, 예를 들어 20°만큼 어긋난 위치에 개구시키고, 커버(5)의 결합 돌기(24)를 삽입하여 20°만큼 회동시켜서 마그넷(25)을 센서(22)의 위치에 맞추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관(14)을 접선 방향으로 장착하고 있지만, 직경 방향으로 장착할 수도 있다. 그러나, 배출실(11) 내에서 임펠러(12)에 의한 펌프 작용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접선 방향으로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싱크대(2)에 물을 저장할 때는 통수공이 없는 커버를 이용하면 된다.
디스포저(1)로 음식 쓰레기를 처리할 때(일괄 처리의 경우)는, 투입구(6)로부터 파쇄실(7)의 회전판(8) 상에 음식 쓰레기를 투입하고, 배수구(3)로부터 적정량의 물을 공급하면서, 결합 돌기(24)를 「운전」의 인덱스에 맞추어 커버(5)를 장착하면, 마그넷(25)에 의해 「운전」위치의 센서(22)가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에 신호를 송신하여 전동기(17)를 「운전 모드」로 기동시킨다. 그리고, 커버(5)를 삽입한 다음에 물을 공급하는 경우는, 커버(5)를 삽입하여도 즉시 기동하지 않도록, 별도로 설치한 기동 스위치를 통하여 기동시키거나, 또는 타이머로 약간의 시간을 두고 기동하도록 하면 된다.
도 6에 「운전 모드」의 제어 특성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기동 초기에는 저속 n1으로 단시간, 예를 들어 2초의 정회전(역회전일 수도 있다)을 수회(도면에서는 3회) 반복하여, 금속제 이물질 등이 혼입되어 있지 않은지를 검출한다. 혼입되어 있는 경우는, 회전판(8)의 원심력으로 이물질이 비산되어 파쇄실(7)의 내벽에 부딪혀서 충격음이 발생하므로, 운전을 정지시켜 이물질을 제거한 후에 재기동시킨 다. 이물질이 검출되지 않으면, 저속으로 회전판(8)을 도 3의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일정 시간 t1 동안 연속 운전을 한 후, 정격 회전수 n2로 속도를 높인다. 분쇄된 음식 쓰레기는 물과 함께 배출실(11)의 배출구(13)로부터 화살표 B로 나타낸 방향으로 배출되고, 엘보부(15)를 거치고, 배출관(14)에 의해 트랩(16)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하수관에 방류된다. 음식 쓰레기가 분쇄되어 전동기(17)의 부하 전류가 작아지면, 전동기(17)를 정지시킨다.
다음에 「세정 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제어 특성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커버(5)를 「세정」의 인덱스에 맞추어 장착하면, 먼저 저속 n1으로 단시간동안 운전을 수회 반복하고, 이물질이 혼입되어 있지 않은지를 검출한다. 이물질이 혼입되어 있으면, 회전판(8)의 원심력으로 비산되어 충격음을 발생하므로, 운전을 정지시켜서 이물질을 꺼낸다. 이물질이 혼입되어 있지 않은 것이 확인되면 회전판(8)을 정지시키고 배수구(3)로부터 회전판(8) 상에 물을 공급한다.
배수구(3)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적어도 회전판(8) 상에 떨어진 물이, 회전판(8)의 주위로 대략 균등하게 퍼지거나, 또는 커버나 고무판의 비산 방지구(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물이 확산되어 파쇄실(7)의 주위벽을 흐르는 경우도, 거의 전체면에 흐르고, 회전판(8) 상 및 회전판(8) 주위의 고정날(10)과의 간극 G(도 3)의 전체면을 덮을 만큼의 양이다.
회전판(8)을 정지한 상태에서 파쇄실(7) 내에 급수하고, 회전판(8) 주위와 고정날(10)의 간극 G의 전체면에 물이 단번에 흘러들어서 배출실(11)의 공기 통로 를 거의 동시에 모두 막으면, 배출실(11) 내 및 배출관(14)의 트랩(16)의 수면 W로부터 위의 엘보부(15) 내에 들어가 있던 공기가 갇힌다.
공기 통로를 막은 상태로 급수를 계속하고, 파쇄실(7)로부터 간극 G를 통하여 배출실(11)에 떨어지는 물로 상기 갇힌 공기 R의 공간이 감소하여 공기압이 상승하면, 공기 R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엘보부(15) 측으로 가압되어서 트랩(16)의 수면 W가 하강하지만, 동시에 엘보부(15)를 통하여 트랩(16)에 떨어지는 물의 통로가 압축되어 트랩(16)으로 배출되는 수량이 제한되고, 파쇄실(7)에 공급되는 수량보다 엘보부(15)를 통과하는 배출 수량이 적어진다. 또한, 배출실(11) 내의 공기압이 높아지므로 파쇄실(7)로부터 간극 G를 통하여 배출실(11)로 떨어지는 수량도 다소 감소한다. 그러므로, 파쇄실(7)로 공급되는 공급 수량과, 제한된 배출 수량의 차이에 따라 파쇄실(7)에 물을 저장할 수 있다.
파쇄실(7) 내에 저장된 수량이 증대하는 동시에, 저장된 물의 중량으로 배출실(11)로 떨어지는 물이 증가하고, 그에 따라 공기압이 증대하여 공기 R이 트랩(16)의 수면 W를 더 가압하여 하강시켜서, 수면 W가 트랩의 높이 H만큼 내려가면, 갇혀 있던 공기가 트랩(16)으로부터 배출되어 공기압이 감소하고, 엘보부(15)를 통과하는 물의 제한량이 감소하여 배수량이 증대하고, 파쇄실(7) 내에 저장된 물의 중량과 상기 배수량의 증가로 파쇄실(7)로부터 배출실(11)로 떨어지는 물의 힘이 커지며, 공기 대신 배출실(11)에 물이 충만하고, 파쇄실(7)과 배출실(11) 내의 물이 합쳐지면, 저장된 물의 중량으로 강하게 배출된다.
물이 저장되는 속도와 양은, 디스포저(1)의 용량, 공급 수량, 회전판(8)과 고정날(10)의 간극 G의 크기, 갇힌 공기량, 트랩(16)에 밀폐된 물의 높이 H 등에 좌우되지만, 본 발명의 실험 결과에 따르면, 가정용의 파쇄실 용량이 1리터 정도의 소형 디스포저에서는, 매분 8리터의 급수로, 회전판(8)의 주위의 공기 통로가 단번에 막힐 경우, 급수로부터 약 15초 정도로 파쇄실(7)이 거의 만수가 되고, 28초 정도로 트랩(16)의 수면 W가 만곡부까지 내려가서 공기가 빠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상기 실험에서는, 회전판(8)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급수하므로, 배출실(11)의 배출구(13)를 접선 방향으로 한 구조나 임펠러(12)의 작용은 고려할 필요가 없고, 배출구(13)를 직경 방향으로 설치하고, 또한 임펠러(12)를 설치하지 않아도 동일하게 동작된다.
따라서, 전술한 실험 결과에 따라, 급수에 의해 공기 통로가 막힌 상태에서 시간 t2(상기의 실험에서 약 15초)가 경과되고, 파쇄실(7)이 거의 만수가 될 때에 전동기(17)를 정격 회전수 n2로 기동시킨다. 그리고, 파쇄실(7)에 수위 센서를 설치하여 필요한 수량이 되었을 때에 전동기(17)를 기동시키도록 할 수도 있고, 회전수는 반드시 정격 회전수일 필요는 없고, 물을 교반시키고 원심력을 부여할 수 있을 정도의 회전수이면 된다. 전동기(17)가 기동하면 회전판(8)과 임펠러(12)가 회전되어, 파쇄실(7) 및 배출실(11) 내에 저장되어 있던 물이 원심력에 의하여 급격하게 교반되어, 강한 수압으로 각 실내를 세정한다.
이와 같이, 파쇄실(7)의 물이 필요한 양이 되었을 때에 교반되므로,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고, 배수에 의해 파쇄실(7)의 수량이 감소하여도 남아 있는 물과 계속 공급되는 물이 원심력으로 내벽에 가압되어 계속 세정할 수 있다.
세정중에 물이 파쇄실(7)로부터 배출구(13)로 배출됨으로써 트랩(16)의 수면 W가 높이 H까지 눌러져서 내려가고, 공기가 빠져서 배수량의 제한이 없어지면, 세정중에도 배출되고 있던 수량이 증가하여, 대량의 물이 그 중량으로 트랩(16)을 통하여 급속히 배출된다. 그러므로, 배출실(11)이 음압이 되어 파쇄실(7) 내의 물이 배출실(11)로 분출되어 회전판(8) 주위와 고정날(10)의 간극을 세정하는 동시에, 트랩(16)으로 이어지는 배출관으로 대량으로 배수하여 배출관 내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교반 세정은 회전판(8)을 3초 내지 8초 정도 회전시키면 되고, 배출실(11) 내의 물이 배출되어서 음압이 되면, 파쇄실(7)로부터의 물과 함께 간극 G로부터 배출실(11)로 공기가 들어가기 때문에, 급수에 의해 공기를 가두어서 다시 물을 저장할 수 있고, 세정을 반복하거나, 또는 헹굴 수 있다.
또한, 파쇄실(7)에 물을 저장하고, 임펠러(12)의 회전수를 높여서 펌프 작용에 의해 배출관(14)으로 급격하게 흐르게 함으로써, 배출관(14) 내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음식 쓰레기의 분쇄 처리를 한 후에 계속 세정하는 경우나, 반복적으로 세정하는 경우에는, 이물질을 검출하기 위한 저속에서의 반복 운전을 생략할 수 있다.
다음에 도 8에 나타낸 제어 특성의 예를 설명한다.
배출실(11)에 임펠러(12)를 설치하고, 배출구(13)가 접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디스포저를 사용하여, 도 7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회전판(8)과 임펠러(12) 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파쇄실(7)로 급수하고, 공기 통로를 막아서 공기를 가두고, 파쇄실(7)과 배출실(11) 내에 물을 저장한다.
시간 t2에서 파쇄실(7) 내의 물이 대략 소정량이 되면, 전동기(17)와 회전판(8)과 임펠러(12)를 저속도 n3로 역회전시킨다. 그러므로, 회전판(8)에서 파쇄실(7) 내의 물에 원심력을 부여하여 파쇄실(7)의 내벽으로 누르면서 회전 세정시키는 동시에, 배출실(11) 내의 물에도 임펠러(12)로 원심력을 부여하여 실내를 세정하고 배수하지만, 임펠러(12)의 펌프가 역방향으로 작용하므로, 파쇄실(7)로부터 배출실(11)로 떨어지는 물의 낙하 속도를 늦추어서 파쇄실(7) 내의 물을 유지시키고, 계속 공급되는 물과 함께, 회전판(8)으로 파쇄실(7) 내의 세정을 계속한다. 따라서 역방향의 회전수 n3를, 배수구(13)로부터 배수되는 수량과 계속적으로 파쇄실(7)로 급수되는 수량이 동일한 정도가 되도록, 파쇄실(7) 내의 세정 수량을 유지시킬 수 있어서, 세정 시간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시간 t3에서 세정이 종료되면, 회전판(8)과 임펠러(12)를 정지시키고, 파쇄실(7)과 배출실(11) 내의 세정수를 배출시킨다. 파쇄실(7)로 계속 급수하더라도, 세정수의 배출로 인하여 배출실(11)이 음압이 되므로 파쇄실(7)로부터 배출실(11)로 떨어지는 물과 함께 회전판(8)의 주위의 어딘가로부터 배출실(11)로 공기가 들어가므로, 음압이 해제되고 정지 상태에서의 급수가 계속되면,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작용에 의하여 파쇄실(7)에 물이 저장된다. 임펠러(12)를 정회전시켜서 파쇄실(7) 내에 저장된 물을 정상 펌프 작용으로 급속히 배출시키고, 헹굼과 동시에 배출관(14) 내에 잔류하고 있는 음식 쓰레기 등을 흘러가게 하여 배출관(14)의 세정 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 나타낸 특성 곡선처럼, 세정이 종료되면, 임펠러(12)를 저속도로 정회전시키고 파쇄실(7)과 배출실(11) 내의 더러워진 세정수를 펌프 작용으로 배출시키고, 회전판(8)을 정지시켜서 다음의 물이 저장되도록 해도 된다.
도 10은, 음식 쓰레기의 분쇄 처리에 이어서 세정하는 예를 나타낸 특성 곡선이며, 도 6과 마찬가지로, 저속 n1의 단시간 운전을 수회 반복하여 이물질의 혼입을 검출하고, 이물질의 혼입이 없는 것을 확인하여 저속 n1으로 일정 시간 연속 운전한 후, 정격 회전수 n2로 속도를 높여서 분쇄 처리를 행한다. 분쇄 처리가 종료되면, 회전판(8) 및 임펠러(12)를 저속 n3의 역회전으로 전환한다. 임펠러(12)가 역회전되면, 역방향으로 펌프가 작용하여 파쇄실(7)로부터 배출실(11)에 떨어지는 물의 낙하 속도를 늦추어서 파쇄실(7) 내에 물이 저장되게 하고, 회전판(8)으로 원심력을 부여하여 세정을 행하게 하여, 배출실(11)도 배출실(11) 내의 물로 세정한다.
소정 시간의 세정을 행하여 회전판(8)과 임펠러(12)를 정지시키면, 세정에 사용한 오수가 배출되고, 이어서 공급되고 있는 물이 도 8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파쇄실(7)에 저장되고, 임펠러(12)를 정회전시켜서 급속하게 배출관(14)에 배출시켜서 배출관(14)을 세정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파쇄실로 급수함으로써, 파쇄실과 배출실의 공기 통로를 막고 있으므로, 디스포저가 경사지게 장착되어 회전판이 경사지거나, 파쇄실의 측면에 급수구를 설치하여 한쪽으로부터 다른쪽 방향으로 물을 공급하는 디스포저 등 의 경우는, 공기 통로의 막힘이 부분적으로 지연됨에 따라 갇히는 공기량이 적어져서, 공기압의 감소로 인하여 배출 수량이 충분히 제한되지 않으므로, 물을 저장하기 위한 시간이 길어지거나 물이 저장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디스포저의 장착 시에 회전판이 수평이 되도록 수정하거나, 막힐 때까지의 물의 공급량을 늘릴 필요도 있다.
도 11은 디스포저의 파쇄실 측면으로부터 급수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1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파쇄실(7)에 대한 급수는, 전자 밸브(26)에 의해 급수관(27)을 통하여 파쇄실(7)의 측벽에 설치한 급수구(28)로부터 행하여지고, 상기 급수구(28)를 종래와 같이 단지 측면으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개구시키는 것이 아니라, 회전판(8)의 중앙부 방향으로 개구시키고, 세정 시에 급수구(28)로부터 회전판(8) 상에 떨어진 물을, 회전판(8)의 전체면에 퍼지도록 하여 주위의 배출실(11) 내의 공기 통로로 균등하게 흘려서 단번에 막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디스포저의 측면으로부터 급수하는 경우는, 급수구(28)를 가능한 한 배수구(3)에 접근한 높은 위치에 설치하여 중앙부 방향으로 회전판(8) 상에 떨어지는 물을 확산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싱크대(2)에 일수구(29, 溢水口)를 설치하고 있는 경우는, 통상적으로 오버플로우관(30)을 트랩보다 상부의 배출관에 접속하면, 공기를 가둘 때에 배출실(11) 내의 공기가 오버플로우관(30)을 통하여 일수구(29)로 빠지기 때문에, 오버플로우관(30)을 분쇄실(7)에 접속하거나, 또는 도시한 바와 같이 이경(異徑) 이음 부(31)를 통하여 급수관(27)에 접속하여 넘치는 물을 파쇄실(7)로 배출시키고 있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포저(1a)를 나타내고, 파쇄실(7) 내의 상부 주위에 환형의 급수관(32)을 설치하고, 측벽에 다수의 급수공(33)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급수공(33)으로부터의 물이 화살표와 같이 파쇄실(7)의 내벽을 향해 급수되고, 내벽을 따라 고정날(10)과 회전판(8)의 주위의 간극 G로 동일하게 급수되므로, 공기 통로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한, 도 13의 (a) 및 (b)는 회전판(8)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세정할 때는 회전판(8) 상에 공급되는 물을 가능한 한 모든 간극 G에 동시에 흘려 넣고, 간극 G를 단번에 막기 위해 회전판(8)의 중앙으로 급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면에 고정된 타격날(9)을 구비한 회전판(8)의 외주에 에지(34)를 설치하여 높이를 균등하게 맞추고 있다. 이와 같은 에지(34)를 설치함으로써, 회전판(8)의 다른 한쪽, 예를 들어 좌측으로 치우쳐서 급수되어 우측의 공기 통로가 늦게 막힐 우려가 있더라도, 에지(34)가 있기 때문에, 치우쳐서 낙하된 물이 회전판(8) 상의 전체면에 저장되고, 에지(34)를 넘은 물이 주위의 공기 통로로 동시에 흘러넘치므로, 사방의 공기 통로를 단번에 막으므로, 효과적으로 폐색할 수 있다.
그리고, 에지(34) 대신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판(8)의 상면을 그 외주가 높아지도록 접시형으로 경사지게 하여도 된다.
또한, 싱크대(2)의 배수구(3)에 통수공이 없는 커버를 하여 물을 저장하고, 급수하면서 상기 커버를 떼내면서 파쇄실(7)로 흘려넣어서, 파쇄실(7)과 배출 실(11)의 공기 통로를 막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운전을 멈춘 상태에서 회전판의 상면에 급수하여, 파쇄실과 배출실의 공기 통로를 막고, 배출실과 트랩의 수면 사이의 공기를 가두고, 상기 공기를 이용하여 파쇄실 내에 물을 저장하고, 충분히 저장된 물을 계속 급수하면서 회전판으로 급속하게 회전 교반하여 원심력에 의한 수류로 세정하므로, 장치를 분해할 필요가 없고, 간단한 조작으로 손을 더럽히지 않으며, 세정한 오수를 순서대로 배출하면서,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또한, 회전판 하방의 배출실에 임펠러를 설치하여 배출실의 접선 방향으로 배출관을 접속하고, 회전판 상에 계속 급수하면서 회전판과 임펠러를 역회전시킴으로써, 배출실 내로부터의 물의 낙하 속도를 늦추어서 파쇄실 내에 물을 유지시켜서, 세정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회전판을 정지시켜서 파쇄실에 급수하여 배출실 내의 공기를 가둠으로써, 파쇄실 내에 대량의 물을 저장하고, 이 물을 임펠러의 정회전에 의해 배출관 내에 급격하게 흘려보낼 수 있으므로, 하수도로 연결되는 배출관 내에 모여있는 음식 쓰레기나 쓰레기를 압력에 의하여 흘려보내서 배출관 내를 세정하여, 배출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6)

  1. 투입구에 이어서 위치하는 파쇄실의 저부에 회전판을 설치하고, 상기 파쇄실의 내벽에 상기 회전판을 둘러싸는 고정날을 구비하여 음식 쓰레기를 분쇄하고, 분쇄된 음식 쓰레기를 물과 함께 상기 회전판의 주위로부터 배출실로 낙하시켜서 배출하는 디스포저(disposer)의 세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출실과 접속한 배출관에 엘보(elbow)부를 개재하여 트랩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판을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파쇄실의 회전판 상에 급수하여, 상기 파쇄실과 상기 배출실의 공기 통로를 물로 막음으로써, 상기 배출실과 상기 트랩 상부의 공기를 가두고, 그 공기압에 의해 배출구로부터의 물의 유출량을 제한하여, 제한된 유출량과 급수량의 차이에 의해 상기 파쇄실과 상기 배출실 내에 물을 저장하고, 소요되는 양만큼 물이 저장되었을 때에 급수를 계속하면서 상기 파쇄실과 상기 배출실 내에 저장된 물에,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의해 원심력을 부여하여 교반하고 세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포저의 세정 방법.
  2. 투입구에 이어서 위치하는 파쇄실의 저부에 회전판을 설치하고, 상기 파쇄실의 내벽에 상기 회전판을 둘러싸는 고정날을 구비하여 음식 쓰레기를 분쇄하고, 분쇄된 음식 쓰레기를 물과 함께 상기 회전판의 주위로부터 배출실로 낙하시켜서 배출하는 디스포저의 세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하방의 상기 배출실에 임펠러(impeller)를 설치하여 상기 배 출실의 접선 방향으로 배출관을 접속하고, 상기 배출관에 엘보부를 개재하여 트랩을 형성하고, 상기 파쇄실의 회전판 상에 급수하여, 상기 파쇄실과 상기 배출실의 공기 통로를 물로 막음으로써, 상기 배출실과 상기 트랩 상부의 공기를 가두고, 급수를 계속하면서 상기 회전판과 상기 임펠러를 역회전시켜서 상기 파쇄실로부터 상기 배출실로 떨어지는 물의 낙하 속도를 늦추어서, 상기 파쇄실 내에 저장된 물에 상기 회전판으로 원심력을 부여하여 교반하고 세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포저의 세정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실 내로, 상기 회전판을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과 상기 고정날과의 모든 간극을 단번에 막도록 급수하는, 디스포저의 세정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실의 상부 내측에 환형의 급수관이 설치되고, 상기 급수관에 설치된 다수의 급수공으로부터 상기 파쇄실의 내벽을 향하여 급수하는, 디스포저의 세정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실의 측벽에 급수구가 설치되고, 상기 급수구로부터 상기 회전판의 중앙부를 향하여 급수하는, 디스포저의 세정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상면 외주 에지를 중앙부보다 높게 형성하고, 상기 회전판 상에 급수된 물을 에지로부터 흘러넘치게 하여 상기 파쇄실과 상기 배출실의 공기 통로를 막도록 한, 디스포저의 세정 방법.
KR1020060131898A 2006-04-03 2006-12-21 디스포저의 세정 방법 KR1008455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01461 2006-04-03
JP2006101461 2006-04-03
JPJP-P-2006-00164725 2006-06-14
JP2006164725 2006-06-14
JPJP-P-2006-00271733 2006-10-03
JP2006271733A JP4963056B2 (ja) 2006-04-03 2006-10-03 ディスポーザの洗浄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9411A true KR20070099411A (ko) 2007-10-09
KR100845540B1 KR100845540B1 (ko) 2008-07-10

Family

ID=38804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1898A KR100845540B1 (ko) 2006-04-03 2006-12-21 디스포저의 세정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963056B2 (ko)
KR (1) KR100845540B1 (ko)
CN (1) CN101050640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8018302U1 (de) 2007-10-02 2012-10-01 Lg Electronics Inc. Mobiles Endgerät
RU2746966C2 (ru) * 2016-11-21 2021-04-22 Бсх Хаусгерете Гмбх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пластин ножей измельчителя
CN114433322A (zh) * 2022-01-07 2022-05-06 吴小旻 一种厨房垃圾处理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398B1 (ko) 2009-03-05 2009-07-24 (주) 일성뉴텍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장치
KR101670750B1 (ko) * 2014-06-30 2016-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식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N105386489B (zh) * 2015-11-19 2017-02-22 李思源 一种菜盆自动下水装置
CN106801455B (zh) * 2017-03-30 2023-08-22 浙江润尚厨卫科技有限公司 厨房垃圾处理装置
CN109056923A (zh) * 2017-04-30 2018-12-21 吴晶 一种厨房垃圾的粉碎处理方法
JP2018187571A (ja) * 2017-05-09 2018-11-29 安永エアポンプ株式会社 ディスポーザ、排水システム、及び排水システムの洗浄方法
CN107336383B (zh) * 2017-08-14 2024-02-20 贵州亿博科技有限公司 热塑膜原料清洗装置
JP7113307B2 (ja) 2018-05-29 2022-08-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食器洗い機
US11161123B2 (en) 2018-11-30 2021-11-02 Emerson Electric Co. Food waste disposer monitoring using phase difference between motor voltage and motor current
JP6898666B2 (ja) * 2019-06-14 2021-07-07 株式会社フロム工業 ディスポーザ
CN111622313B (zh) * 2020-06-01 2021-04-30 木迅智能科技(厦门)有限公司 一种可清洗腔体的厨余垃圾处理器、厨余垃圾处理方法及厨余垃圾处理器的清洗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3470A (en) 1978-04-03 1980-01-15 Lorraine Linder Water actuated disposer
JPS58151451A (ja) * 1982-03-01 1983-09-08 Nippon Steel Corp 溶接性の優れた鋳鉄
JPS6223454A (ja) * 1985-07-23 1987-01-31 クリナツプ株式会社 厨芥処理機
JP3436784B2 (ja) * 1993-11-25 2003-08-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有機廃棄物粉砕圧送装置及び圧送方法
JPH07163899A (ja) * 1993-12-14 1995-06-27 Nippondenso Co Ltd 流し付設の生ごみ処理装置
JP3614952B2 (ja) * 1994-12-21 2005-01-26 東陶機器株式会社 厨芥処理用ディスポーザー
JPH09964A (ja) * 1995-06-13 1997-01-07 Hitachi Ltd 厨芥破砕処理システム
JPH1143201A (ja) * 1997-07-25 1999-02-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生ゴミ粉砕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生ゴミ処理装置
JP2001062324A (ja) 1999-08-26 2001-03-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ポーザ
JP2002028519A (ja) 2000-07-13 2002-01-29 Furomu Kogyo:Kk ディスポーザー
US6481652B2 (en) * 2000-11-28 2002-11-19 Emerson Electric Co. Food waste disposer having variable speed motor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JP2007130553A (ja) * 2005-11-09 2007-05-31 Toto Ltd 厨芥処理装置
JP2007152177A (ja) * 2005-12-01 2007-06-21 Toto Ltd 厨芥処理装置
JP2007160200A (ja) * 2005-12-13 2007-06-28 Toto Ltd 厨芥処理装置
JP2007160278A (ja) * 2005-12-16 2007-06-28 Toto Ltd 厨芥処理装置
JP2007175645A (ja) * 2005-12-28 2007-07-12 Toto Ltd 厨芥処理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8018302U1 (de) 2007-10-02 2012-10-01 Lg Electronics Inc. Mobiles Endgerät
RU2746966C2 (ru) * 2016-11-21 2021-04-22 Бсх Хаусгерете Гмбх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пластин ножей измельчителя
CN114433322A (zh) * 2022-01-07 2022-05-06 吴小旻 一种厨房垃圾处理器
CN114433322B (zh) * 2022-01-07 2023-09-05 淮北智淮科技有限公司 一种厨房垃圾处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63056B2 (ja) 2012-06-27
CN101050640B (zh) 2011-04-13
CN101050640A (zh) 2007-10-10
JP2008018417A (ja) 2008-01-31
KR100845540B1 (ko) 200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5540B1 (ko) 디스포저의 세정 방법
KR10130899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60079847A (ko) 부엌 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배수관 세정 장치
EP3663009B1 (en) System for treating wash waste liquid of a continuous tunnel washing machine in the field of preclinical pharmaceutical research
JP2007175645A (ja) 厨芥処理装置
JP2007130553A (ja) 厨芥処理装置
JP2007160200A (ja) 厨芥処理装置
KR20140144591A (ko) 음식물 처리장치
JP2008012429A (ja) ディスポーザ装置の洗浄/濯ぎ方法
JP2019000790A (ja) ディスポーザ
JP2006095467A (ja) 生ごみの切断処理装置
CN117248358A (zh) 一种洗衣机及其控制方法
KR100251484B1 (ko)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 분쇄 배출장치
JP2010227820A (ja) 厨芥処理装置
JPH09103703A (ja) 厨芥処理装置
WO2020158486A1 (ja) ディスポーザ
JP2004049424A (ja) 食器洗浄機の残菜回収装置
CN218779598U (zh) 一种垃圾处理器
KR102201037B1 (ko) 부상식 음식물 쓰레기 배출장치
KR102530475B1 (ko) 슬러지분리관을 갖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WO2007069691A1 (ja) 生ごみ処理装置
JP2005034804A (ja) 夾雑物除去装置
KR10032148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S6125425B2 (ko)
CN115262712A (zh) 垃圾处理器、控制装置及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