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7437A - 젤리형 드링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젤리형 드링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7437A
KR20070097437A KR1020077013255A KR20077013255A KR20070097437A KR 20070097437 A KR20070097437 A KR 20070097437A KR 1020077013255 A KR1020077013255 A KR 1020077013255A KR 20077013255 A KR20077013255 A KR 20077013255A KR 20070097437 A KR20070097437 A KR 20070097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lly
gelling agent
drink
wate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3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0419B1 (ko
Inventor
아쯔코 후쿠이
Original Assignee
류가쿠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가쿠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류가쿠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7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7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5Concentrates of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0Sweete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2Clouding agents; Agents to improve the cloud-st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5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from seaweeds, e.g. alginates, agar or carrageen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87Galenical forms not covered by A61K9/02 - A61K9/7023
    • A61K9/0095Drinks; Beverages; Syrups; Compositions for reconstitution thereof, e.g. powders or tablets to be dispersed in a glass of water; Veterinary drench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젤리형 드링크 제조방법은 파우더형 겔화제 및 파우더형 감미제(I)를 혼합하여 혼합된 파우더를 수득하는 혼합단계 및 80℃ 이하의 온도의 물에 그 혼합된 파우더를 용해시키는 용해 단계(I)를 포함한다.
이 방법에서는 80℃초과의 고온을 유지하기 위한 특별 제조 장치가 불필요하고, 덩어리가 형성되지 않으며, 생산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겔화제가 용해될 때 80℃초과의 고온을 유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겔화제의 분해 반응을 억제되고, 시간경과 후의 물 방출률이 낮으므로, 생성물의 안정한 외형 및 성능을 장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젤리형 드링크, 파우더형 감미제, 파우더형 겔화제, 80℃이하

Description

젤리형 드링크 제조방법{PROCESS FOR PRODUCTION OF JELLYLIKE DRINKS}
본 발명은 젤리형 드링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약의 연하(swallowing)를 용이하게 하는 연하-보조 드링크로서 알맞은 젤리형 드링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약은 물 또는 따뜻한 물과 함께 일반적으로 섭취된다. 그러나 물 또는 따뜻한 물과 함께 약을 섭취하는 연하에 어려움이 있는 환자들(특히, 노년층)이 파우더, 과립, 캡슐, 정제 등의 형태로 약을 섭취할 때, 그들은 약을 삼킬 수 없어 질식이나 입안에 약이 남아있게 된다. 그 결과 만족할 만한 치료효과를 얻지 못하거나 환자 스스로 때때로 불편함을 느낀다.
이런 점과 관련하여, 연하-보조 드링크로서 젤리형 드링크를 사용하는 시도는 목을 부드럽게 통과하는 그 형태에 초점을 두어왔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은 우무(agar) 또는 카라기닌과 같은 접착물질 및 만니톨을 포함하고, 특정 젤리 강도를 가진 저칼로리, 무설탕 연하-보조제 드링크를 이미 제안하였다(참조 일본특허 제3257983호).
그런 연하-보조제 드링크는 또한 연하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들에게 사용되기 때문에, 안정성이 중요하며, 안정성을 위해 젤리의 강도 및 물 방출률과 같은 물리적 성질 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연하-보조제 드링크로서 사용된 젤리형 드링크는 겔화제를 뜨거운 물 또는 80℃ 초과의 온도의 것에 용해시키고, 보통의 젤리형 생산물에 사용되는 감미제와 같은 겔화제 이외의 성분을 그 용액에 혼합하여 제조된다. 그 이유는 뜨거운 물에 겔화제를 미리 용해시킴에 의해 불용성 덩어리 형성을 억제하고 젤리 강도를 쉽게 일정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혼합 탱크와 같은 기기는 80℃ 초과(예를 들어, 90 내지 100℃)의 온도가 유지되어야하며, 그 온도 유지를 위해 특별한 장비가 요구된다. 게다가 고온-유지 시간이 요구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다.
사실, 겔화제를 용해하기 위해 물의 온도를 상승시킬수록 그 시스템을 유지하기위한 시간 또한 길어지고, 겔화제에 주어지는 열에너지 양은 더 많아져, 겔화제의 가수분해 반응률이 증가되어, 그로 인해 겔화제의 분해도 촉진된다. 그 결과, 그 젤리형 생산물의 물 방출률은, 구체적으로 시간경과 후의 물 방출률은 증가되고, 젤리 강도와 같은 물리적 성질의 통제는 어렵게 된다. 게다가, 만약 고온을 사용하였다면, 그 겔화제는 뜨거운 물에서 응집되어 불용성 덩어리를 형성하게 되며, 이 경우 그 불용성 덩어리를 제거하는 방법이 요구되어, 방법의 단순화가 어려 워진다.
그런 문제점은 겔화제로서 우무를 사용할 때 뚜렷하게 관찰된다.
상기에서 언급한 문제점에 초점을 두어, 본 발명자는 열심히 연구한 결과, 파우더형 상태로 감미제와 겔화제를 미리 혼합하면, 심지어 80℃ 이하의 온도에서도 겔화제를 물에 용해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발견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파우더 상태로 감미제와 겔화제를 미리 혼합하여 수득한 혼합된 파우더를 사용하여 80℃이하의 온도의 물에 겔화제와 감미제 모두를 용해시키는 한 단계로 이루어진 젤리형 드링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례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80℃ 초과의 고온을 유지하기 위한 제조장치가 불필요하며, 제조방법이 단순화되고, 제조시간이 단축되며, 안정한 물리적 성질 값을 가지는 젤리형 드링크를 고생산 효율로 생산하는 젤리형 드링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젤리형 드링크를 제조하는 방법은 파우더형 겔화제와 파우더형 감미제(I)를 혼합하여 혼합된 파우더를 수득하는 혼합단계 및 80℃이하의 물에 그 결과의 혼합된 파우더를 용해시키는 용해 단계(I)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감미제(I)는 혼합단계에서의 겔화제의 100 중량부에 적어도 5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또한 용해 단계(I)에서 사용된 물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이다.
본 발명에서, 또한 용해 단계(I)에의 교반은 혼합된 파우더를 첨가한 후에, 그 시스템의 온도를 60 내지 70℃로 유지한 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용해단계(I)에서 수득된 용액중에 감미제(II)를 용해시키는 용해 단계(II)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생산된 젤리형 드링크는 약과 함께 섭취되고 약의 연하를 용이하게 하는 연하-보조 드링크가 바람직하다. 20℃에서의 연하-보조 드링크의 젤리 강도는 10 내지 100g/cm2 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젤리형 드링크의 제조방법에 따라, 겔화제는 감미제와 함께 80℃이하의 물에서 용해될 수 있고, 80℃초과의 고온을 유지하기 위한 특별 제조 장치가 불필요하다. 게다가 덩어리가 형성되지 않으며, 제조방법이 단순해지므로 제조시간이 단축되고 생산 효율도 향상된다.
본 발명에 의해 수득된 젤리형 드링크는 겔화제가 용해될 때 80℃초과의 고온을 유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겔화제의 분해 반응을 억제한다. 본 발명의 젤리형 드링크를 예를 들어, 연하-보조 드링크로 사용하는 경우에, 시간경과 후의 물 방출률은 낮고, 생성물의 안정한 외형 및 성능을 오랜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베스트 모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에서 설명한대로, 본 발명의 젤리형 드링크 제조방법은 파우더형 겔화제와 파우더형 감미제(I)를 혼합하여 혼합된 파우더를 수득하는 혼합단계 및 80℃이하의 물에 그 결과 혼합된 파우더를 용해시키는 용해 단계(I)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혼합단계에서, 겔화제 및 감미제(I)는 파우더 상태로 미리 혼합된다.
젤리형 드링크와 같은 젤리형 물품을 제조하는 종례의 방법에서는, 80℃ 초과의 뜨거운 물에서 겔화제를 미리 용해시키므로써 불용성의 덩어리 형성의 억제를 의도한다. 사실, 그러나 불용성의 덩어리 형성은, 비록 그런 처리를 수행할지라도, 막을 수 없다. 그 이유는 아마도 겔화제가 작은 표면적을 가지기 때문에, 겔화제는 물에서 응집되기 용이하고, 겔화제가 한번 응집된 후에는 그 응집된 표면만 부풀어지고, 그것의 내부는 부풀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체(sieve) 또는 그와 같은 것을 통하여 장시간 동안 뜨거운 물에 겔화제를 소량으로 도입하는 방법이 연구되었으나, 상기 경우와 유사하게 덩어리 형성을 억제할 수는 없다.
또한, 비록 겔화제의 빠른 용해를 위해 뜨거운 물의 온도를 더 상승시키거나, 그 고온을 유지하는 시간을 늘린다고 할지라도, 불용성 덩어리의 형성을 억제할 수 없다. 그와 반대로 겔화제의 가수분해 반응을 가속화시켜 겔화제 자체의 분해를 유도하고 이것은 그 결과물인 젤화제 생성물의 외관 및 성능의 악화, 특히 물 방출과 같은 시간경과 후의 그것의 외관 또는 성능의 악화를 초래하는 악순환을 발생시킨다.
이와는 반대로, 본 발명은 앞서 언급한 혼합단계를 가진다. 혼합단계에서, 겔화제 및 감미제(I)는 파우더 상태로 미리 혼합되며, 그래서 겔화제는 감미제(I)로 둘러싸여서 겔화제의 겉표면적을 증가시키다. 게다가 감미제(I)의 입자를 각각의 겔화제 입자 사이에 있게 함으로서, 겔화제 입자는 다른 겔화제 입자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어 물에서 겔화제가 응집을 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예측된다.
따라서, 겔화제의 각각의 입자는 다음 단계의 용해 단계 (I)에서 사용된 심지어 80℃이하의 물에서, 그들이 물에서 혼합된 후 즉시, 충분히 분산되고, 심지어 감미제(I)가 물에 빠르게 용해된 후에, 충분히 분산된 상태가 지속되고, 충분히 분산된 상태 중에 각각의 겔화제 입자는 물에서 그것의 표면뿐만 아니라 그것의 내부또한 부풀어, 겔화제 입자의 응집으로 인한 불용성 덩어리의 형성 없이 용해된다.
즉, 겔화제와 감미제(I)의 혼합된 파우더의 사용으로 80℃이하의 물에서 감미제(I)와 겔화제를 함께 용이하게 용해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 가능한 겔화제는 실온에서 파우더 형태이고, 식용 및 음용에 적합한 공지된 겔화제라면 제한 없이 없다. 예를 들어, 우무(agar), 카라기닌, 젤란검, 퍼셀레란, 젤라틴, 펙틴, 커드란, 로커스트콩검, 타라검, 구아검, 잔탄검, 알긴산, 알기네이트, 아조토박터 비네란디검(azotobacter vinelandii gum), 카시아 검, 사일리움 씨드검, 만난, 타마리드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염, 밀크 세럼 프로테인, 녹말 및 변형된 녹말 등이 있다. 이런 겔화제는 단독 또는 2 이상의 종류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의 겔화제 중, 우무, 카라기닌, 젤란검, 펙틴, 로커스트콩검, 타라검, 구아검, 잔탄검, 만난, 타마리드검, 녹말 또는 변형된 녹말, 또는 우무 및 우무를 제외한 이상의 겔화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과 혼합된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우무 또는 우무 및 우무를 제외한 이상의 겔화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과 혼합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효과를 바람직하게 나타내기 위한 관점에, 우무가 가장 바람직하다.
겔화제는 젤리형 드링크의 전체 중량에 보통 0.1 내지 5.0%의 양으로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이용가능한 감미제(I)는 실온에서 파우더 형태인 공지된 감미제라면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환원된 말토오즈, 환원된 말토오즈 짙은 맥아 시럽, 환원된 짙은 맥아 시럽, 환원된 락토오즈,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소르비톨, 만니톨, 말티톨, 락티토즈 및 팔라티노스와 같은 당알코올; 수크로즈, 말토오즈, 말토오즈 짙은 맥아 시럼, 락토오즈. 프룩토오스, 글루코오즈, 올리고당, 덱스트린, 트레할로스, 꿀 및 녹말과 같은 당류; 및 세비타, 수크라오스, 루 한구어(Luo Han Guo, Momordica grosvenori), 아스파라탐 및 사카린이 있다. 이런 감미제는 단독 또는 2 이상 종류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그 결과의 드링크가 당뇨병 환자의 연하-보조 드링크로서 사용되거나 또는 저 칼로리 무설탕 드링크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의 감미제중 당알코올이 바람직하며, 그중에서도 에리스리톨이 더 바람직하다.
혼합단계에서, 감미제(I)는 겔화제의 100 중량부에 근거하여 적어도 5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어도 10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더 바림직하다. 감미제(I)의 양의 상위 제한은 겔화제의 100중량부에 2400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겔화제에 근거한 상기 양의 감미제(I) 사용에 의해, 겔화제는 감미제에 의해 둘러싸이게 되어 그들이 파우더 상태로 혼합될 때 겔화제의 겉표면적이 적당하게 증가하고, 감미제(I)가 겔화제 사이에 존재하여 다른 겔화제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물중에서 겔화제의 응집을 방지한다.
감미제(I)와 겔화제의 혼합수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파우더 혼합 수단은 공지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V-형 혼합 기계를 사용하는 혼합기기, 교반형 혼합기기, 믹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혼합 시간은 혼합 수단에 따라 다양해 질 수 있으며, 그들이 충분히 혼합된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교반형 혼합기기를 사용했을 때 혼합시간은 약 20초이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단계에서 수득된 혼합된 파우더는 용해 단계(I)에서, 80℃이하의 온도의 물에서 분산되며 용해된다.
혼합단계에서 수득된 혼합 파우더에서, 겔화제는 감미제(I)에 의해 둘러싸여 겔화제의 겉표면적이 증가하게되며 감화제(I)는 겔화제 입자 사이에 놓여 겔화제가 겔화제간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심지어 80℃이하의 물에서도, 각각의 겔화제 분자는 충분히 분산상태에 놓일 수 있으며, 심지어 입자의 내부도 물에 의해 부풀려지고, 겔화제 입자의 응집에 의한 불용성 덩어리 형성 없이 용해된다.
본 발명에서 이용가능한 물은 단지 음용에 적합한 것이면 되며, 예를 들어, 증류수, 천연샘물, 수도꼭지에서 받은 맹물, 이온교환수 및 정제수를 포함한다.
물은, 물의 총량 및 상기에서 언급되거나 후에 언급될 물을 제외한 젤리형 드링크의 성분의 양이 100%중량이 될 양만큼만 사용된다. 즉, 물은 잔류량으로서 함유되어지지기 위해 사용된다. 물은 용해 단계(I)에서 전체 량이 첨가되거나, 용해 단계(I)에서 일부 양만 추가되고 그 후 다른 단계에서 남은 양이 첨가될 수 있다.
용해 단계(I)에서 사용된 물의 온도는 보통 80℃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0℃이다.
혼합된 파우더를 첨가한 후에, 필요에 따라, 전체 시스템의 교반이 80℃이하의 물에서 혼합된 파우더를 용해시키기 위해 수행되며, 이 경우에 있어서 교반은 혼합된 파우더를 첨가한 후에 시스템의 온도를 보통 6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0℃로 유지한 채 수행되는 것이 적당하다. 교반 및 온도 조절에 의해, 혼합된 파우더의 용해가 더 신속히 수행된다.
또한, 혼합된 파우더는 40 내지 60℃의 물에 첨가되고 교반 및 분산된 후에 그 물의 온도를 70 내지 80℃까지 상승시켜 용해될 수 있다. 이 경우, 그러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에서, 겔화제를 함유한 혼합된 파우더는 상기에서 언급한 대로 80℃이하에서 용해된다. 그러므로, 80℃ 초과의 고온의 시스템 및 그 고온-유지 시간을 위한 특별한 장치들이 용해 단계에서 불필요하다. 게다가 겔화제의 분해를 억제하여, 그 결과 젤리형 드링크의 외관 및 성능을 장시간 후에도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감미제(II)를 앞에서 언급한 용해 단계(I)에서 수득한 용액에 추가로 용해시키는 용해 단계(II)를 포함할 수 있다. 용해 단계(II)로 인해, 생성된 젤리형 드링크의 맛 및 젤히 강도의 조절이 용이해진다. 또한 이경우에, 빠른 용해를 위해, 감미제(II)의 첨가 후의 시스템의 온도를 보통 6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0℃로 유지하면서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이용가능한 감미제(II)의 예는 감미제(I)에서 이미 언급된 것과 동일한 것을 포함한다. 추가로, 단일 시럽, 꿀, 짙은 맥아 시럼, 환원된 말토오즈 짙은 맥아 시럽, 단풍나무시럽, 락티톨 및 팔라티노스와 같은 실온에서 액체인 감미제가 또한 이용될 수 있다. 감미제(II)는 감미제(I)과 같은 양이 사용될 수 있으며, 감미제(II)는 젤리형 드링크의 총중량에 근거하여 보통 3.0 내지 25.0%의 총량으로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필요하다면, 예를 들어, 시트르산 및 시트르산 나트륨과 같은 pH 조절제, 동 식물의 지방 및 오일, 계면활성제, 방부제, 조미료, 색료 및 비타민과 같은 다양한 첨가제를 본 발명의 효과를 해하지 않는 양으로 첨가하는 단계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용해 단계(I)에서 물의 총량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물의 잔량은 용해 단계(II) 또는 다양한 첨가제의 첨가단계에서 첨가될 수 있으며, 또는 단지 물의 잔량을 첨가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도 있다.
그 후에, 그 시스템은 실온으로 냉각되며, 그로 인해 젤리형 드링크가 수득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불용성 덩어리 형성을 억제하므로 냉각단계 이전에 여과 단계와 같은 덩어리 제거의 단계가 불필요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법은 그런 단계를 가지는 구체적인 예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추가로 30초 내지 3분 동안 90 내지 100℃와 같은 80℃초과의 온도에서 그 결과의 젤리형 드링크를 유지시키는 살균단계가 필요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그런 짧은 시간은 겔화제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겔화제의 분해를 거의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 젤리형 드링크는 약과 함께 섭취되고 약의 연하를 용이하게 하는 연하-보조 드링크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연화-보조 드링크로 사용되는 젤리형 드링크에서, 젤리형 드링크의 젤리 강도는 20℃에서 보통 10 내지 100g/cm2이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g/cm2 이다. 젤리 강도가 상기 범위일 때 심지어 연하곤란 장애자의 경우에도 질식의 문제가 없으며, 부드럽게 연하가 된다. 말할 필요도 없이, 젤리형 드링크는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상기 언급한 범위의 젤리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과 운반의 편리를 위해, 젤리형 드링크 및 연하-보조 드링크는 용기에 알맞게 포장된다. 그 용기는 예를 들어 입구(spout)가 있는 알류미늄 팩이다.
도 1은 실시예1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발명은 다음 실시예를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되나,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젤리형 드링크(E1)의 제조
V-형 혼합 기기(50리터)에, 파우더형 에리스리톨 20 Kg 및 우무(agar) 13.8 Kg을 넣고 2분간 혼합하여 혼합된 파우더를 수득하였다.
교반 날이 있는 1000리터 탱크에, 80℃에서 820.85Kg의 이온교환수를 넣고, 50rpm으로 교반 날을 회전시키면서 상기에서 수득한 혼합된 파우더를 첨가하였다. 그때, 탱크를 65±5℃로 유지하면서 10분 동안 교반하여 혼합된 파우더를 용해시켰다.
65±5℃로 탱크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60Kg의 에리스리톨을 탱크에 추가로 첨가하고, 5분간 교반하여 에리스리톨을 용해시켰다. 그 후에, 스테비아 0.35Kg 및소르비톨 85Kg을 첨가하고 5분간 교반하여 이들을 용해시키고, 물을 넣어 총 중량 이 1000g이 되게 하였다.
그 후, 추가로 1분간 더 교반하였다. 그때, 불용성 덩어리가 있는지 검사하기 위해, 결과 혼합물을 200-메쉬 쇠그물에 여과시키고, 실온으로 냉각하여 젤리형 드링크(E1)을 수득하였다.
실시예1의 젤리형 드링크(E1)의 제조방법의 흐름도는 도1과 같다.
젤리형 드링크(E1)의 평가
젤리형 드링크(E1)의 (1) 젤리강도, (2) 불용성 덩어리 존재,(3)시간경과 후의 물 방출률 및 (4) 시간경과 후의 젤리 강도를 다음의 방법 및 평가 기준에 따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1과 같다.
(1) 젤리 강도
그 젤리형 드링크(E1)의 젤리 강도를 2cm 직경의 플런저(plunger), 10mm/sec의 압축률 및 20℃의 측정 온도 조건하에서 유량계(제조사: Sun Scientific Co., Ltd, 모델명: 유량계 MODEL COMPAC-10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 불용성 덩어리의 존재
실온으로 그 젤리형 드링크를 냉각하기 이전 상태에서 그 젤리형 드링크(E1)을 200-메쉬 쇠그물로 투과시켰으며, 그 쇠그물을 투과하지 못한 고체 물질의 양을 가시적으로 관찰하였고, 그 불용성 덩어리의 존재를 다음 기준에 근거하여 평가하 였다.
AA: 쇠 그물에 남아있는 고체 물질이 관찰되지 않았음.
BB: 쇠그물에 고체 물질이 소량 남아 있음.
CC: 쇠 그물에 고체 물질이 다량 남아 있음.
(3)시간 경과후 물 방출률
질소로 충전된 밀폐된 용기에서, 200g의 젤리형 드링크(E1)를 놓고 40℃에서 1달 동안 방치해둔 후 그 젤리형 드링크로부터 방출된 물의 양을 실온에서 측정하였다. 하기 공식으로부터 물 방출률(%)을 계산하였으며,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공식:물 방출률(%)= 100 x 방출된 물의 양(g)/젤리형 드링크의 물함량(200x 820.85/1000)(g)
AA: 물 방출률이 5% 미만인 경우
BB: 물 방출률이 5%이상 10% 미만인 경우
CC: 물 방출률이 10%이상인 경우
(4) 시간 경과 후의 젤리 강도
질소로 충전된 밀폐된 용기에서, 젤리형 드링크(E1)를 놓고 40℃에서 1달 동안 방치해둔 후, 그때 그 젤리형 드링크(E1)의 젤리 강도를 2cm 직경의 플런저(plunger), 10mm/sec의 압축율 및 20℃의 측정온도 조건하에서 유량계(제조사: Sun Scientific Co., Ltd, 모델명: 유량계 MODEL COMPAC-10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2
젤리형 드링크(E2)의 제조
첫번째로 사용한 이온교환수의 온도를 80℃로 부터 70℃로 변화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의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젤리형 드링크(E2)를 수득하였다.
젤리형 드링크(E2)의 평가
젤리형 드링크(E2)의 (1) 젤리강도, (2) 불용성 덩어리 존재,(3)시간경과 후 물 방출률 및 (4) 시간경과 후의 젤리 강도를 실시예1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1과 같다.
비교예 1
젤리형 드링크(C1)의 제조
교반 날이 있는 1000리터 탱크에, 90℃에서 820.85Kg의 이온교환수를 넣고, 50rpm으로 교반 날을 회전시키면서, 13.8 kg의 파우더 우무를 첨가하였다. 그때, 탱크를 90±5℃로 유지하면서 우무가 외관상 용해될때까지 교반하였다. 우무가 외관상 용해될때까지 30분이 소요되었다.
90±5℃로 탱크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80Kg의 에리스리톨을 탱크에 추가로 첨 가하고, 5분간 교반하여 에리스리톨을 용해시켰다. 그 후에, 스테비아 0.35Kg 및소르비톨 85Kg을 첨가하고 5분간 교반하여 이들을 용해시키고, 물을 넣어 총 중량이 1000g이 되게 하였다.
그 후, 추가로 1분간 더 교반하였다. 그때, 불용성 덩어리가 있는지 검사하기 위해, 그 결과 혼합물을 200-메쉬 쇠그물에 여과시키고, 실온으로 냉각하여 젤리형 드링크(C1)을 수득하였다.
젤리형 드링크(C1)의 평가
젤리형 드링크(C1)의 (1) 젤리강도, (2) 불용성 덩어리 존재,(3)시간경과 후 물 방출률 및 (4) 시간경과 후의 젤리 강도를 실시예1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1과 같다.
비교예 2
젤리형 드링크(C2)의 제조
교반 날이 있는 1000리터 탱크에, 80℃에서 820.85Kg의 이온교환수를 넣고, 50rpm으로 교반 날을 회전시키면서, 13.8 kg의 파우더 우무를 첨가하였다. 그때, 탱크를 65±5℃로 유지하면서 10분동안 교반하였다.
65±5℃로 탱크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80Kg의 에리스리톨을 탱크에 추가로 첨가하고, 5분간 교반하여 에리스리톨을 용해시켰다. 그 후에, 스테비아 0.35Kg 및소르비톨 85Kg을 첨가하고 5분간 교반하여 이들을 용해시키고, 물을 넣어 총 중량 이 1000g이 되게 하였다.
그 후, 추가로 1분간 더 교반하였다. 그때, 불용성 덩어리가 있는지 검사하기 위해, 그 결과 혼합물을 200-메쉬 쇠그물에 여과시키고, 실온으로 냉각하여 젤리형 드링크(C2)을 수득하였다.
젤리형 드링크(C2)의 평가
젤리형 드링크(C2)의 (1) 젤리강도, (2) 불용성 덩어리 존재,(3)시간경과 후 물 방출률 및 (4) 시간경과 후의 젤리 강도를 실시예1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1과 같다.
비교예 3
젤리형 드링크(C3)의 제조
첫번째로 사용한 이온교환수의 온도를 80부터 90℃로 변화시키고 그후 탱크의 온도를 90±5℃로 유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의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젤리형 드링크(C3)를 수득하였다.
젤리형 드링크(C3)의 평가
젤리형 드링크(C3)의 (1) 젤리강도, (2) 불용성 덩어리 존재,(3)시간경과 후 물 방출률 및 (4) 시간경과 후의 젤리 강도를 실시예1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1과 같다.
젤리형 드링크 (1)젤리강도 (g/cm2) (2) 덩어리 존재 (3) 시간경과 후의 물 방출률 (4) 시간경과 후의 젤리강도(g/cm2)
실시예 1 E1 48 AA AA 50
실시예 2 E2 42 AA AA 43
비교예 1 C1 25 BB CC 34
비교예 2 C2 8 CC BB 13
비교예 3 C3 53 AA CC 62
표1에서와 같이, 겔화제와 감미제를 미리 혼합하고, 그 혼합 파우더를 80 또는 70℃의 물에 첨가하고, 그 시스템의 온도를 65±5℃로 유지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불용성 덩어리가 형성되지 않았으며, 시간 경과후의 물방출률도 낮았다. 또한 이들 실시예에서 수득한 젤리형 드링크는 제조후 즉시 뿐만아니라, 시간 경과후에도 연하-보조 드링크용으로 바람직한 젤리 강도를 유지하였다.
한편, 90℃의 고온의 물에 겔화제 만을 첨가하고 그 시스템의 온도를 90±5℃로 유지한, 비교예 1(종례의 방법으로 제조된)에서는 비록 젤리 강도가 연하-보조 드링크로서 바람직한 범위 내일지라도,불용성 덩어리가 관찰되었다. 게다가 시간의 경과후의 물 방출률은 높고, 시간 경과 후의 젤리 강도도 높았다. 이러한 점으로부터 장시간 동안 안정한 물리적 성질 값을 유지하는 것은 어렵다는 것이 입증되어진다.
겔화제와 감미제의 미리 혼합됨 없이 80℃의 물에 겔화제 만을 첨가하고 그 시스템의 온도를 65±5℃로 유지한 비교예 2에서, 겔화제의 응집은 뚜렷하였으며, 다량의 불용성 덩어리가 형성되었다. 게다가, 젤리 강도는 제조 후 즉시 연하-보조 드링크로서 바람직한 범위 밖이었다. 또한, 시간경과 후의 물 방출률은 높고, 시간 경과 후의 젤리 강도 역시 변화하였다. 이러한 점으로부터 장시간 동안 안정한 물리적 성질 값을 유지하는 것은 어렵다는 것이 입증되어진다.
겔화제와 감미제를 미리 혼합하고 90℃의 물에 그 혼합된 파우더를 첨가하고그 시스템의 온도를 90±5℃로 유지한 비교예 3에서는 비록 겔화제의 강도가 제조후 즉시 연하-보조 드링크로서 바람직한 범위내일지라도, 시간경과 후의 물 방출률은 높았다. 게다가, 시간경과 후의 젤리 강도 또한 변화하였다. 이러한 점으로부터 장시간 동안 안정한 물리적 성질 값을 유지하는 것은 어렵다는 것이 입증되어진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젤리형 드링크의 제조에서 겔화제를 용해시킬 때, 80℃초과의 고온 및 고온-유지 시간을 위한 특별 제조 장치가 불필요하다. 게다가 덩어리가 형성되지 않으며, 제조방법이 단순해지므로 제조시간이 단축되고 생산 효율도 향상된다.
본 발명에 의해 수득된 젤리형 드링크는 겔화제가 용해될 때 80℃초과의 고온을 유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겔화제의 분해 반응을 억제한다. 본 발명의 젤리형 드링크를 예를 들어, 연하-보조 드링크로 사용하는 경우에, 시간경과 후의 물 방출 률은 매우 낮으며, 생성물의 안정한 외형 및 성능을 장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젤리형 드링크 제조방법은 젤리형 트링크 모두, 특히 연하-보조 드링크 제조방법에 유용하며, 물품 제조의 산업에 유용하다.

Claims (7)

  1. 파우더형 겔화제와 파우더형 감미제(I)를 혼합하여 혼합된 파우더를 수득하는 혼합단계 및 80℃ 이하의 온도의 물에 그 혼합된 파우더를 용해시키는 용해 단계(I)를 포함하는 젤리형 드링크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혼합단계의 감미제(I)을 겔화제 100중량부에 근거하여 50 중량부 이상의 양을 사용하는 젤리형 드링크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용해 단계(I)의 물의 온도가 60 내지 80℃인 젤리형 드링크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용해 단계(I)에서 교반이, 혼합된 파우더 첨가 후 시스템을 60 내지 70℃로 유지한채 수행되는 젤리형 드링크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감미제(II)를, 용해 단계(I)에서 수득된 용액 중에 용해시 키는 용해 단계(II)를 추가로 포함하는 젤리형 드링크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젤리형 드링크가 약과 함께 섭취되고 약의 연하를 용이하게 하는 연하-보조 드링크인 젤리형 드링크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연하-보조 드링크의 젤리 강도가 20℃에서 10 내지 100g/cm2인 젤리형 드링크 제조방법.
KR1020077013255A 2004-12-24 2004-12-24 젤리형 드링크 제조방법 KR1011304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4/019315 WO2006067850A1 (ja) 2004-12-24 2004-12-24 ゼリー状飲料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7437A true KR20070097437A (ko) 2007-10-04
KR101130419B1 KR101130419B1 (ko) 2012-03-28

Family

ID=36601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3255A KR101130419B1 (ko) 2004-12-24 2004-12-24 젤리형 드링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834528B1 (ko)
KR (1) KR101130419B1 (ko)
CN (1) CN101087540B (ko)
AU (1) AU2004325810B2 (ko)
CA (1) CA2592155C (ko)
DK (1) DK1834528T3 (ko)
ES (1) ES2482767T3 (ko)
HK (1) HK1102529A1 (ko)
WO (1) WO200606785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449B1 (ko) 2015-01-27 2016-06-1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간섭의 변화를 고려한 보정 기반의 거리 측정 방법 및 장치
KR101629452B1 (ko) 2015-01-27 2016-06-1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보정 기반의 거리 측정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47859A1 (ja) * 2007-10-12 2009-04-16 Ryukakusan Co. Ltd. 薬服用粒状ゼリー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GB201104271D0 (en) * 2011-03-14 2011-04-27 Harpers Leisure Internat Ltd Beverage dispenser
TWI573594B (zh) * 2012-02-22 2017-03-11 Terumo Corp Semi-solid nutrition
CN105595122A (zh) * 2015-12-23 2016-05-25 深圳健安医药有限公司 一种海藻糖饮料及其应用
CN108144066B (zh) * 2016-12-02 2021-06-01 江苏祈瑞医药有限公司 一种用于辅助吞咽口服固体药物的稳定的凝胶
KR102306294B1 (ko) * 2018-12-14 2021-09-30 대한민국 복숭아 젤리 프리믹스 및 이의 제조방법
DE102020125926A1 (de) 2020-10-04 2022-04-07 Thilo Bischoff Zusammensetzung zur Herstellung von für Personen mit Schluck- und/oder Kaubeschwerden geeigneten Lebensmitteln, Lebensmittel,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g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8633A (ja) * 1996-10-01 1998-04-28 Torigoe Seifun Kk 液状食品粘稠化剤
JP4221094B2 (ja) * 1998-11-25 2009-02-12 株式会社ニッピ 易嚥下補助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食品用組成物及び医薬品用組成物
JP4248653B2 (ja) * 1998-12-28 2009-04-02 ライオン株式会社 易嚥下補助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食品用組成物及び医薬品用組成物
JP2000279107A (ja) * 1999-03-30 2000-10-10 Lion Corp 非う蝕性易嚥下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食品用組成物及び医薬品用組成物
JP2003144064A (ja) * 2001-11-14 2003-05-20 Natsuko Kataoka 嚥下性付与水及びゼリー飲料
US20090074940A1 (en) * 2004-11-18 2009-03-19 N.V. Nutricia Thickener composition for dysphagia patien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449B1 (ko) 2015-01-27 2016-06-1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간섭의 변화를 고려한 보정 기반의 거리 측정 방법 및 장치
KR101629452B1 (ko) 2015-01-27 2016-06-1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보정 기반의 거리 측정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0419B1 (ko) 2012-03-28
AU2004325810B2 (en) 2011-06-16
ES2482767T3 (es) 2014-08-04
EP1834528A1 (en) 2007-09-19
DK1834528T3 (da) 2014-07-14
WO2006067850A1 (ja) 2006-06-29
CA2592155A1 (en) 2006-06-29
CN101087540A (zh) 2007-12-12
EP1834528B1 (en) 2014-06-25
AU2004325810A1 (en) 2006-06-29
HK1102529A1 (en) 2007-11-30
CN101087540B (zh) 2010-09-29
CA2592155C (en) 2013-12-17
EP1834528A4 (en) 2009-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6667B2 (en) Thickening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5909791B1 (ja) キサンタンガム造粒物及び増粘用組成物
KR101130419B1 (ko) 젤리형 드링크 제조방법
JP4352354B2 (ja) 固形状インスタントゼリーミックス
JP5192189B2 (ja) 水溶性高分子のランピング防止方法及びランピングが防止された顆粒組成物
JP2002017272A (ja) 粒状食品入り酸性ゾル状食品及びその製造法
JP4705487B2 (ja) ジェランガム含有食品用組成物の製造方法
JP3835544B2 (ja) ゼリー乾燥物
JP2018057305A (ja) ゼリー飲料及びゼリー飲料用調合液の製造方法
JP5090848B2 (ja) ゲル状組成物の製造方法
JP6267862B2 (ja) ゼリー化組成物
JP2001029053A (ja) 不溶性固形物入り飲料の製造方法
JP2005328768A (ja) 不溶性素材が均一に分散し、果肉食感を有するゼリーの製造方法
JP4030212B2 (ja) 増粘多糖類素材、その製造法及びこれを含有する飲食品
JP3620757B2 (ja) 固形物入り液状飲食品
JPS58212750A (ja) 即席固形飲料
JP6783929B2 (ja) グミ、容器入りグミ、グミの製造方法
JP6670287B2 (ja) ゼリー化組成物
JP2004073049A (ja) 常温流通可能なゲル状食品
JP2011050306A (ja) コラーゲンペプチドを配合した炭酸ガス含有ゼリー飲料の製造方法
JPH0565488B2 (ko)
JPH074178B2 (ja) 異種ゲルの混在するゲル化食品の製造方法
JP2016130218A (ja) クエン酸第二鉄を高濃度で含有するゲル状組成物の製造方法
WO2017222054A1 (ja) カードラン含有組成物、カードラン含有組成物を含む製品、およびカードラン含有組成物を含む製品の製造方法
TWI361079B (en) Method for producing jelly dri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