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2742A -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2742A
KR20070092742A KR1020077016484A KR20077016484A KR20070092742A KR 20070092742 A KR20070092742 A KR 20070092742A KR 1020077016484 A KR1020077016484 A KR 1020077016484A KR 20077016484 A KR20077016484 A KR 20077016484A KR 20070092742 A KR20070092742 A KR 20070092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ential
terminal
capacitor
light emitting
imag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6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3135B1 (ko
Inventor
신지 타카스기
카오루 쿠사후카
Original Assignee
쿄세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쿄세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쿄세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092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2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1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used for counteracting undesired variations, e.g. feedback or autozero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09G2300/0847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being a dynamic memory without any storage capacitor, i.e. with use of parasitic capacitances as storage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76Supplementary capacities in pixels having special driving circuits and electrodes instead of being connected to common electrode or ground; Use of additional capacitively coupled compensation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기록 효율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다.
발광 수단 유기 EL 소자(OLED)와, 게이트 전극(제어 단자), 드레인 전극(제 1 단자 또는 제 2 단자), 소스 전극(제 1 단자 또는 제 2 단자)을 갖고, 게이트 전극과 소스 전극의 전위차에 따라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유기 EL 소자(OLED)의 발광을 제어하는 구동 트랜지스터(Td)와, 한쪽의 전극이 유기 EL 소자(OLED)의 게이트 전극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고, 다른쪽의 전극이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위를 공급하는 화상 신호선(14)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보조 용량 소자(Cs)와, 화상 데이터가 화상 신호선(14)을 통해 보조 용량 소자(Cs)에 기록되는 기록 기간 중에 보조 용량 소자(Cs)에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되는 추가 용량 소자(Cs2)를 구비한다.
화상 표시 장치

Description

화상 표시 장치{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발광층에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발광 재결합함으로써 광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갖는 전류 제어형의 유기 EL(Electronic Luminescent) 소자를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화상 표시 장치에서는 어모퍼스 실리콘이나 다결정 실리콘 등으로 형성된 TFT(박막 트랜지스터)나 상술한 유기 EL 소자 등이 각 화소를 구성하고 있고, 각 화소에 적절한 전류값이 설정됨으로써 휘도가 제어된다.
도 13은 종래의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1화소에 대응하는 화소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도면에 나타내는 화소 회로는 발광 수단인 유기 EL 소자(OLED), 유기 EL 소자 용량(Coled), 드라이버 수단인 구동 트랜지스터(Td), 역치 전압 검출용 트랜지스터(Tth), 제 1 용량 소자인 보조 용량(Cs), 스위칭 트랜지스터(T1) 및 스위칭 트랜지스터(T2)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Td)는 게이트 전극(제어 전극)과 소스 전극(제 1 전극) 사이에 부여되는 전위차에 따라 유기 EL 소자(OLED)에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소자이다. 또한 역치 전압 검출용 트랜지스터(Tth)는 자신이 온 상태로 되 었을 때에 구동 트랜지스터(Td)의 게이트 전극(제어 전극)과 드레인 전극(제 2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기능을 갖는다. 역치 전압 검출용 트랜지스터(Tth)가 온 상태로 되면, 구동 트랜지스터(Td)의 게이트 전극으로부터 드레인 전극을 향해 전류가 흐르고, 그 전류가 실질적으로 흐르지 않게 되었을 때에 구동 트랜지스터(Td)의 게이트 전극·소스 전극간의 전위차가 실질적으로 역치 전압(Vth)으로 된다.
유기 EL 소자(OLED)는 양극 전극과 음극 전극 사이에 유기 EL 소자(OLED)의 역치 전압 이상의 전위차가 인가되면, 전류가 흘러 발광하는 특성을 갖는 소자이다. 유기 EL 소자(OLED)는 Al, Cu, ITO(Indium Tin Oxide) 등에 의해 형성된 양극층 및 음극층과, 이들 양극층과 음극층 사이에 프탈시아닌, 트리스 알루미늄 착체, 벤조퀴놀리노레이토, 베릴륨 착체 등의 유기계의 재료에 의해 형성된 발광층을 적어도 구비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유기 EL 소자(OLED)는 발광층에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발광 재결합함으로써 광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유기 EL 소자 용량(Coled)은 유기 EL 소자(OLED)의 용량을 등가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구동 트랜지스터(Td), 역치 전압 검출용 트랜지스터(Tth), 스위칭 트랜지스터(T1) 및 스위칭 트랜지스터(T2)는 예를 들면, 박막 트랜지스터이다. 또한, 이하에서 참조되는 각 도면에 있어서는 각 박막 트랜지스터에 따른 채널에 대해서 특별히 그 타입(n형 또는 p형)을 명시하고 있지 않지만, n형 또는 p형 중 어느 하나이며, 본 명세서 중의 기재에 따른 것으로 한다.
전원선(10)은 구동 트랜지스터(Td) 및 스위칭 트랜지스터(T2)에 전원을 공급 한다. Tth 제어선(11)은 역치 전압 검출용 트랜지스터(Tth)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공급한다. 머지선(12)은 스위칭 트랜지스터(T2)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공급한다. 주사선(13)은 스위칭 트랜지스터(T1)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공급한다. 화상 신호선(14)은 화상 신호를 공급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화소 회로는 준비 기간, 역치 전압 검출 기간, 기록 기간 및 발광 기간이라는 4개의 기간을 거쳐 동작한다. 즉, 준비 기간에서는 전원선(10)에는 소정의 정전위(Vp, Vp>0)가 인가되고, 역치 전압 검출용 트랜지스터(Tth)가 오프, 스위칭 트랜지스터(T1)가 오프, 구동 트랜지스터(Td)가 온, 스위칭 트랜지스터(T2)가 온으로 되도록 제어된다. 그 결과, 전원선(10)→구동 트랜지스터(Td)→유기 EL 소자 용량(Coled)이라는 경로로 전류가 흘러 유기 EL 소자 용량(Coled)에 전하가 축적된다.
다음의 역치 전압 검출 기간에서는 전원선(10)에는 제로 전위가 인가되고, 역치 전압 검출용 트랜지스터(Tth)가 온으로 되도록 제어되고, 구동 트랜지스터(Td)의 게이트 전극과 드레인 전극이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보조 용량(Cs) 및 유기 EL 소자 용량(Coled)에 축적된 전하가 방전되어, 구동 트랜지스터(Td)→전원선(10)이라는 경로로 전류가 흐른다. 그리고, 구동 트랜지스터(Td)의 게이트 전극-드레인 전극간의 전위차가 구동 트랜지스터(Td)의 구동 역치에 대응하는 역치 전압(Vth)에 도달하면, 구동 트랜지스터(Td)가 오프로 된다.
다음의 기록 기간에서는 전원선(10)의 전위는 제로 전위를 유지하고, 스위칭 트랜지스터(T1)가 온, 스위칭 트랜지스터(T2)가 오프로 되어, 유기 EL 소자 용 량(Coled)에 축적된 전하가 방전된다. 그 결과, 유기 EL 소자 용량(Coled)→역치 전압 검출용 트랜지스터(Tth)→보조 용량(Cs)이라는 경로로 전류가 흘러 보조 용량(Cs)에 전하가 축적된다. 즉, 유기 EL 소자 용량(Coled)에 축적된 전하는 보조 용량(Cs)으로 이동한다.
다음의 발광 기간에서는 전원선(10)에는 소정의 음전위(-VDD, VDD>0)가 인가 되고, 구동 트랜지스터(Td)가 온, 역치 전압 검출용 트랜지스터(Tth)가 오프, 스위칭 트랜지스터(T1)가 오프로 되도록 제어된다. 그 결과, 유기 EL 소자(OLED)→구동 트랜지스터(Td)→전원선(10)이라는 경로로 전류가 흘러 유기 EL 소자(OLED)가 발광한다.
비특허문헌1: S. Ono et al., Proceedings of IDW'03, 255(2003)
그런데, 구동 TFT를 흐르는 전류(Ids)는 소스 전극에 대한 게이트 전극간의 전위차(Vgs)[게이트 전극 전위(Vg)-소스 전극 전위(Vs)]와 TFT 고유의 역치 전압(Vth)의 차의 2승에 비례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선명한 화상을 얻기 위해서는 이 Vgs를 가능한 한 증대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 발광 휘도가 최고 레벨일 때와 최저 레벨일 때의 구동 TFT에 인가되는 Vgs의 전위차인 「Vgs 흔들림 폭」(=ΔVgs)이라고 불리는 지표나, 이 「Vgs 흔들림 폭」과, 발광 휘도가 최고 레벨일 때와 최저 레벨일 때의 화소 신호선에 공급되는 전위의 차인 「화소 신호선 흔들림 폭」이라고 불리는 지표(ΔVdata)의 비로 나타내어지는 「기록 효율」(=ΔVgs/ΔVdata)이라고 불리는 지표가 있다. 이들 지표간에서는 화소 신호선 흔들림 폭이 커지면 Vgs 흔들림 폭도 크게 할 수 있는 관계에 있으므로, 구동 IC를 소형화하고, 설계의 용이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말하면, 후자인 기록 효율이 중요한 지표로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화소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설계의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기록 효율을 높이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화상 표시 장치의 기록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은 용이하지는 않았다. 특히, 각 화소 회로의 트랜지스터에 기생 용량이라고 불리는 성분이 존재하는 경우, 이 기생 용량에 기인해서 저하되는 기록 효율을 개선하는 것은 용이하지는 않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화소 회로에 발생하는 기생 용량 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구동 트랜지스터(Td)의 게이트 전극 부근에 기생 용량(CgdTd) 및 기생 용량(CgsTd)이 존재하고, 또한 역치 전압 검출용 트랜지스터(Tth)의 게이트 전극 부근에도 기생 용량(CgdTth) 및 기생 용량(CgsTth)이 존재하고 있다.
이들 기생 용량은 유기 EL 소자(OLED)의 기록 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되는 것이 알려져 있어, 종래부터 이들 기생 용량에 의한 악영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기록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발광 수단과, 제어 단자,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를 갖고, 상기 제어 단자와 상기 제 1 단자의 전위차에 따라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발광 수단의 발광을 제어하는 드라이버 수단과, 한쪽의 전극이 상기 드라이버 수단의 제어 단자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고, 다른쪽의 전극이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위를 공급하는 신호선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제 1 용량 소자와, 상기 화상 데이터가 상기 신호선을 통해 상기 제 1 용량 소자에 기록되는 기록 기간 중에 상기 제 1 용량 소자에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되는 제 2 용량 소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음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록 기간 중에 상기 제 1 용량 소자 및 상기 발광 수단이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음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록 기간 중에 상기 제 2 용량 소자 및 상기 발광 수단이 전기적으로 병렬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음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수단의 상기 제어 단자와 상기 제 2 용량 소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 단자와 상기 제 2 용량 소자 사이의 도통을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기록 기간 중에 상기 드라이버 수단의 상기 제어 단자와 상기 제 2 용량 소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음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 기간 중에 상기 드라이버 수단의 상기 제어 단자와 상기 제 2 용량 소자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음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량 소자에 접속되고, 상기 기록 기간 중에 전위가 대략 일정하게 유지되는 전위선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음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위선이 상기 드라이버 수단의 상기 제 1 단자 또는 상기 제 2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음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위선이 상기 스위칭 소자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음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량 소자의 용량값이 상기 발광 수단이 갖는 용량값의 1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음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의 발명 중 어느 하나의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색을 표시하는 제 1~제 3 화소를 갖고, 상기 제 1~제 3의 각 화소는 상기 발광 수단, 상기 드라이버 수단, 상기 제 1 용량 소자 및 상기 제 2 용량 소자를 적어도 갖고, 상기 제 1~제 3의 각 화소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용량 소자의 용량값과 상기 발광 소자가 갖는 용량값의 합을 각각 Csum1, Csum2 및 Csum3으로 할 때, 상기 Csum1~Csum3의 각각이 그 Csum1~Csum3의 최대값의 80%이상인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음의 발명에 의하면 발광 수단과, 제어 단자,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를 갖고, 상기 제어 단자와 상기 제 1 단자의 전위차에 따라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 사이에 흐르는 전류량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발광 수단의 발광을 제어하는 드라이버 수단과, 상기 발광 수단의 발광 휘도에 대응하는 기록 전위가 신호선을 통해 공급되는 드라이버 수단의 상기 제어 단자와 상기 제 1 단자 사이 또는 상기 제어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 사이 중 어느 하나에 인가되는 전위차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록 전위를 공급하는 신호선과, 드라이버 수단과, 상기 발광 수단의 발광 휘도가 최고 레벨일 때와 최저 레벨일 때의 상기 드라이버 수단에 인가되는 상기 전위차의 차분(ΔV)과, 상기 발광 수단의 발광 휘도가 최고 레벨일 때와 최저 레벨일 때의 상기 신호선에 공급되는 상기 기록 전위의 차분(ΔVdata)의 비(ΔV/ΔVdata)를 크게 하는 용량 소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음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량 소자의 편측의 단자에 공급되는 전위가 상기 신호선에 기록 전위가 공급되고 있는 동안, 대략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재에 있어서, 「간접적으로 접속된다」의 의미는 2개의 구성 요소(예를 들면, 제 1 용량 소자와 제 2 용량 소자)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트랜지스터 등)가 개재된 상태로 상기 2개의 구성 요소가 배선에 의해 접속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직접적으로 접속된다」의 의미는 2개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지 않고, 배선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 데이터가 기록되는 제 1 용량 소자에 추가해서, 화상 데이터의 기록 기간 중에 제 1 용량 소자에 직렬적으로 접속되는 제 2 용량 소자를 설치함으로써, 제 1 용량 소자에 대해서 기록된 전위가 제 1 용량 소자에 양호하게 반영되게 된다. 그 결과, 화상 표시 장치의 기록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1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1화소에 대응하는 화소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형태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준비 기간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역치 전압 검출 기간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낸 기록 기간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나타낸 발광 기간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2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1화소에 대응하는 화소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3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1화소에 대응하는 화소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형태3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4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1화소에 대응하는 화소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화소 회로와는 다른 타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화소 회로와는 다른 또 따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종래의 화상 표시 장치의 1화소에 대응하는 화소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화소 회로에 발생하는 기생 용량 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40: 전원선 11: Tth 제어선
12: 머지선 13: 주사선
14, 41: 화상 신호선 42: Tth 제어/주사선
OLED: 유기 EL 소자 Td, Td': 구동 트랜지스터
Tth, Tth': 역치 전압 검출용 트랜지스터 T1, T2: 스위칭 트랜지스터
Cs: 보조 용량 Cs2: 추가 용량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각종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들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1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1화소에 대응하는 화소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도면에 있어서는, 도 14의 각 부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1에 나타낸 화소 회로 에 있어서는, 제 2 용량 소자인 추가 용량(Cs2)을 구비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추가 용량(Cs2)은 상술한 기생 용량 등에 의한 기록 효율의 저하를 방지하거나 혹은 개선하기 위한 용량이며, 예를 들면, 그 일단이 유기 EL 소자(OLED)의 음극 전극[구동 트랜지스터(Td)의 드레인 전극이기도 함]에 접속되고, 타단이 전원선(10)[구동 트랜지스터(Td)의 소스 전극이기도 함]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실시형태1의 동작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준비 기간, 역치 전압 검출 기간, 기록 기간 및 발광 기간이라는 도합 4개의 기간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동작은 제어부(도시 생략)의 제어하에서 행해진다.
(준비 기간)
동도면에 나타낸 준비 기간에서는 전원선(10)이 고전위(Vp), 머지선(12)이 고전위(VgH), Tth 제어선(11)이 저전위(VgL), 주사선(13)이 저전위(VgL), 화상 신호선(14)이 제로 전위로 된다. 이것에 의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역치 전압 검출용 트랜지스터(Tth)가 오프, 스위칭 트랜지스터(T1)가 오프, 구동 트랜지스터(Td)가 온, 스위칭 트랜지스터(T2)가 온으로 된다. 그 결과, 전원선(10)→구동 트랜지스터(Td)→유기 EL 소자 용량(Coled)이라는 경로로 전류(I1)가 흘러 유기 EL 소자 용량(Coled)에 전하가 축적된다. 이 준비 기간에서 유기 EL 소자에 전하를 축적하는 이유는 구동 역치 검출시에 Ids=0으로 될 때까지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서이다.
(역치 전압 검출 기간)
다음의 역치 전압 검출 기간에서는 전원선(10)이 제로 전위, 머지선(12)이 고전위(VgH), Tth 제어선(11)이 고전위(VgH), 주사선(13)이 저전위(VgL), 화상 신호선(14)이 제로 전위로 된다. 이것에 의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역치 전압 검출용 트랜지스터(Tth)가 온으로 되어, 구동 트랜지스터(Td)의 게이트 전극과 드레인 전극이 접속된다.
또한, 보조 용량(Cs) 및 유기 EL 소자 용량(Coled)에 축적된 전하가 방전되어, 구동 트랜지스터(Td)→전원선(10)이라는 경로로 전류(I2)가 흐른다. 그리고, 구동 트랜지스터(Td)의 게이트 전극-소스 전극간의 전위차(Vgs)가 역치 전압(Vth)에 도달하면, 구동 트랜지스터(Td)가 오프 상태로 되어, 구동 트랜지스터(Td)의 역치 전압(Vth)이 검출된다.
(기록 기간)
다음의 기록 기간에서는 화상 신호선으로부터의 데이터 전위(-Vdata)를 보조 용량(Cs)에 간접적 또는 직접적으로 공급함으로써, 구동 트랜지스터(Td)의 게이트 전극 전위를 원하는 전위로 가변시키는 것이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전원선(10)이 제로 전위, 머지선(12)이 저전위(VgL), Tth 제어선(11)이 고전위(VgH), 주사선(13)이 고전위(VgH), 화상 신호선(14)이 데이터 전위(-Vdata)로 된다. 또한, 이 때, 보조 용량(Cs)과 유기 EL 소자 용량(Coled)이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되고, 추가 용량(Cs2)과 유기 EL 소자 용량(Coled)이 전기적으로 병렬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칭 트랜지스터(T1)가 온, 스위칭 트랜지스터(T2)가 오프로 되어, 유기 EL 소자 용량(Coled)에 축적된 전하가 방전된 다. 그 결과, 유기 EL 소자 용량(Coled)→역치 전압 검출용 트랜지스터(Tth)→보조 용량(Cs)이라는 경로로 전류(I3)가 흘러 보조 용량(Cs)에 전하가 축적된다. 즉, 유기 EL 소자 용량(Coled)에 축적된 전하는 보조 용량(Cs)으로 이동한다.
여기에서, 추가 용량(Cs2)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가정한 경우, 기록 기간에 있어서의 구동 트랜지스터(Td)의 Vgs는 다음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이 가정은 하기 (2)식~(7)식에 대해서도 이르는 것으로 한다.
Vgs=Vth-(Cs/Call)·Vdata … (1)
식(1)에 있어서, Call은 역치 전압 검출용 트랜지스터(Tth)의 도통시의 구동 트랜지스터(Td)의 게이트 전극에 직접적으로 접속되는 전체 용량이며, 다음 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Call=Coled+Cs+CgsTth+CgdTth+CgsTd … (2)
식(2)에 있어서, Coled는 유기 EL 소자(OLED)의 등가 용량이며, CgsTth는 역치 전압 검출용 트랜지스터(Tth)의 게이트 전극-소스 전극간의 기생 용량이며, CgdTth는 역치 전압 검출용 트랜지스터(Tth)의 게이트 전극-드레인 전극간의 기생 용량이며, CgsTd는 구동 트랜지스터(Td)의 게이트 전극-소스 전극간의 기생 용량이다.
또한, 기록 기간에 있어서는 역치 전압 검출용 트랜지스터(Tth)가 도통하고, 구동 트랜지스터(Td)의 게이트 전극·드레인 전극이 접속되어 양단이 대략 동전위로 되기 때문에 기생 용량(CgdTd)이 영향을 주는 일은 없다. 또한, 보조 용량(Cs)과 유기 EL 소자 용량(Coled)의 관계는 Cs<Coled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 기간)
다음의 발광 기간에서는 전원선(10)이 마이너스 전위(-VDD), 머지선(12)이 고전위(VgH), Tth 제어선(11)이 저전위(VgL), 주사선(13)이 저전위(VgL), 화상 신호선(14)가 제로 전위로 된다.
이것에 의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트랜지스터(Td)가 온, 역치 전압 검출용 트랜지스터(Tth)가 오프, 스위칭 트랜지스터(T1)가 오프로 된다. 그 결과, 유기 EL 소자(OLED)→구동 트랜지스터(Td)→전원선(10)이라는 경로로 전류(Ids)가 흘러 유기 EL 소자(OLED)가 발광한다.
이 때의 전위, 즉 발광 기간에 있어서의 구동 트랜지스터(Td)의 게이트 전극-소스 전극간의 전위차를 Vgs'로 하고, 상기 (1)식에서 구한 기록 기간에 있어서의 구동 트랜지스터(Td)의 게이트 전극-소스 전극간의 전위차를 Vgs로 할 때, 상기 (2)식에 나타내어지는 기록 기간에 있어서의 전체 용량(Call)[역치 전압 검출용 트랜지스터(Tth) 도통시]과, 하기 (3)식으로 나타내어지는 발광 기간에 있어서의 전체 용량(Call')[역치 전압 검출용 트랜지스터(Tth) 비도통시]을 사용하면, 하기 (4)식에 나타내어지는 전하 보존의 법칙이 성립된다.
Call'=Cs+CgsTth+CgsTd+CgdTd … (3)
Cs·(Vgs+Vdata)+CgsTth(Vgs-VgH)+CgsTd·Vgs
=(Cs+CgsTd)·Vgs'+CgsTth·(Vgs'-VgL)+CgdTd·(Vgs'-Vds) … (4)
또한, 상기 (4)식에 있어서, (2)식 중에 있는 Coled 및 CgdTh의 항이 존재하지 않는 것은 발광 기간에 있어서는, 역치 전압 검출용 트랜지스터(Tth)가 비도통 이며, Coled 및 CgdTh에 축적된 전하가 기록 기간으로 이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4)식의 관계를 이용하면, 발광 기간에 있어서의 구동 트랜지스터(Td)의 게이트 전극-소스 전극간의 전위차(Vgs')는 (5)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Vgs'=((Cs+CgsTth+CgsTd)·(Vth-(Cs/Call)·Vdata)+Cs·Vdata
+CgsTth·(VgL-VgH)+CgdTd·Vds)/Call' … (5)
화소 신호선의 흔들림 폭(ΔVdata)과, 실제의 Vgs의 흔들림 폭(ΔVgs)의 비인 기록 효율(ΔVgs/ΔVdata)을 η로 하면, Vgs'가 Vdata에 대해서 거의 선형으로 변화되는 경우에, 이 η는
η=ΔVgs/ΔVdata≒∂Vgs'/∂Vdata … (6.1)
로 나타내어진다.
또한 가령,
Vgs''=Vgs'+(CgdTd/Call')Vds … (6.2)
로 둔다.
식(6.2)의 Vgs'에 식(5)를 대입하면
Vgs''=((Cs+CgsTth+CgsTd)·(Vth-(Cs/Call)·Vdata)+Cs·Vdata
-CgsTth·VgH-CgsTth·VgL)/Call' … (6.3)
로 되고, Vdata에 의존하는 Vds의 항이 없어진다.
또한 여기에서,
ζ=∂Vgs''/ ∂Vdata … (6.4)
로 두면, 식(6.4)에서는 Vdata에 의존하는 Vds의 항이 없어지므로,
ζ=Cs·(Coled+CgdTth)/(Call·Call') … (6.5)
로 된다.
또한 식(6.1)은,
η=∂Vgs'/∂Vdata
=(∂Vgs'/∂Vgs'')·(∂Vgs''/∂Vdata)
=ζ/(∂Vgs''/∂Vgs') … (7)
로 변형할 수 있다.
여기에서, ∂Vgs''/∂Vgs'는
1+(CgdTd/Call')·(∂Vds/∂Vgs')≒1
로 근사할 수 있다는 점에서 η≒ζ으로 되고,
η≒ Cs·(Coled+CgdTth)/(Call·Call') … (8)
로 된다. 따라서, 식(8)이 기록 효율을 나타내게 된다.
또한, 구동 IC의 내압 및 화소 신호선 전위의 조정 범위를 고려하면, 기록 효율은 큰 편이 좋다. 그러나 유기 EL 소자(OLED)를 용량으로서 사용하는 이러한 종류의 회로에서는 기생 용량 성분에 의해 기록 효율을 충분히 크게 할 수 없는 것이 (8)식으로부터 명백해진다.
그래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추가 용량(Cs2)을 설치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고 있다. 이하, 기생 용량 성분의 존재하에 있어서의 추가 용량(Cs2)의 기록 효율 개선 작용에 대해서 상세하게 서술한다.
우선, 추가 용량(Cs2)을 구비한 경우의 기록 기간에 있어서의 구동 트랜지스 터(Td)의 게이트 전극-소스 전극간 전위차(Vgs)는 하기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Vgs=Vth-(Cs/(Call+Cs2))·Vdata … (9)
따라서, 추가 용량(Cs2)을 구비한 경우의 발광 기간에 있어서의 구동 트랜지스터(Td)의 게이트 전극-소스 전극간의 전위차(Vgs')는 상기 (9)식을 상기 (4)식에 대입함으로써 다음 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Vgs'=Cs·(Coled+CgdTth+Cs2)/((Call+Cs2)·Call')·Vdata
+((Cs+CgsTth+CgsTd)·Vth+CgsTth·(VDD+VgL-VgH)
+CgdTd·Vds)/Call' … (10)
따라서, 추가 용량(Cs2)을 구비한 경우의 기록 효율(η')은 다음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η'=Cs·(Coled+CgdTth+Cs2)/((Call+Cs2)·Call') … (11)
이들 식(8), 식(11)로부터 η'/η을 구하면,
η'/η=[(Coled+CgdTth+Cs2)/(Call+Cs2)]/[(Coled+CgdTth)/Call]
=[(Coled+CgdTth+Cs2)/(Coled+CgdTth)]/[(Call+Cs2)/Call]
=[1+Cs2/(Coled+CgdTth)]/(1+Cs2/Call) … (12)
로 된다.
식(12)에 있어서, Call>Coled+CgdTth라는 관계가 있어, η'/η은 항상 1이상으로 되므로, 추가 용량(Cs2)을 설치함으로써 기록 효율이 개선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추가 용량(Cs2)이 커질수록 기록 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추가 용량(Cs2)의 용량값은 Coled의 1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더욱 바람직하게는 Coled 의 30%이상)
이제, 실제의 화소 회로에 있어서의 기록 효율을 구해 본다. 예를 들면 전형적인 값으로서 Coled=0.32pF, Cs=0.15pF, Cs2=0.2pF, CgdTth=CgsTth=0.01pF, CgdTd=CgsTd=0.03pF로 하면, 추가 용량(Cs2)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의 기록 효율(η)은 (2)식, (3)식 및 (8)식으로부터 η=0.433으로 된다.
한편, 추가 용량(Cs2)을 구비하는 경우의 기록 효율(η')은 (2)식, (3)식 및 (11)식으로부터, η'=0.502로 된다.
이 예에서는 Cs2를 구비함으로써 기록 효율의 차분값(Δη)과 추가 용량(Cs2)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의 기록 효율(η)의 비(Δη/η)가 (0.502-0.433)/0.433≒0.16으로 되어, 기록 효율을 약 16% 개선(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추가 용량(Cs2)의 용량을 가능한 한 큰 값인 것을 사용하면, 기록 효율의 개선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그런데, 유기 EL 소자(OLED)의 용량은 빨강, 초록 및 파랑의 각 화소에서 다른 것이 일반적이다. 그래서, 기록 효율을 대략 동일하게 하기 위해서는 빨강, 초록 및 파랑의 각 유기 EL 소자(OLED)의 용량을 각각 Coledr, Coledg, Coledb로 두고, 빨강, 초록 및 파랑의 추가 용량을 각각 Cs2r, Cs2g 및 Cs2b로 둘 때, Coledr+Cs2r, Coledg+Cs2g, Coledb+Cs2b의 모든 값을 이들 값 중의 최대값의 80%~100%(보다 바람직하게는 95%~100%)의 범위 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색마다 고유한 발광 효율에 차이가 존재하면 빨강, 초록, 및 파랑의 각 화소 회로에 있어서의 필요한 Vgs 흔들림 폭(ΔVgs)이 다른 일이 있다. 각 색의 기록 효율을
ηr = (Coledr+Cs2r+CgdTth)/(Coledr+Cs2r+Cs+CgsTth+CgdTth+CgsTd)
ηg = (Coledg+Cs2g+CgdTth)/(Coledg+Cs2g+Cs+CgsTth+CgdTth+CgsTd)
ηb = (Coledb+Cs2b+CgdTth)/(Coledb+Cs2b+Cs+CgsTth+CgdTth+CgsTd)
로 두고, 각 색의 필요한 ΔVgs의 최대값을 ΔVgsmaxr,ΔVgsmaxg,ΔVgsmaxb로 한다.
이 때, ΔVgsmaxr/ηr, ΔVgsmaxg/ηg, ΔVgsmaxb/ηb의 최소값이 ΔVgsmaxr/ηr, ΔVgsmaxg/ηg, ΔVgsmaxb/ηb의 최대값의 90%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95%이상)으로 되도록 Cs2r, Cs2g, Cs2b를 정하면, 대략 동일한 화소 신호선 흔들림 폭(ΔVdata)으로 각 색 모두 원하는 Vgs 흔들림 폭(ΔVgs)이 얻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화상 표시 장치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추가 용량(Cs2)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구동 트랜지스터(Td)(드라이버 수단)나 역치 전압 검출용 트랜지스터(Tth)(역치 전압 검출 수단) 등에 존재하는 기생 용량의 영향을 작게 하여, 기생 용량에 의한 기록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역치 전압 검출 수단 및 드라이버 수단을 구현하는 소자로서 어모퍼스 실리콘 TFT나, 다결정 TFT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 대신에 폴리실리콘 TFT 등의 다른 TFT를 사용해도 좋다.
(실시형태2)
상술한 도 1에 나타내는 실시형태1에 있어서는 추가 용량(Cs2)의 일단이 유 기 EL 소자(OLED)의 음극 전극에 접속되고, 타단이 전원선(10)에 접속되도록 구성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추가 용량(Cs2)의 타단은 Tth 제어선(11)에 접속할 수도 있다. 또한, Tth 제어선(11) 이외에도 고정 전위(정전위)인 접지선 등에도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말하는 고정 전위란, 준비 기간, 역치 전압 검출 기간, 기록 기간 및 발광 기간의 모든 기간에 있어서 정전위일 필요는 없고, 적어도 기록 기간에 있어서 정전위가 유지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이 정전위라는 의미는 엄밀한 의미에서의 정전위일 필요는 없고, 추가 용량(Cs2)에 의해 기록 효율의 증대 작용을 얻는다는 취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소정의 전위 변동은 허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2에 따른 구성예이며, 역치 전압 검출용 트랜지스터(Tth)를 제어하는 Tth 제어선(11)에 추가 용량(Cs2)이 접속되는 구성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1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낸 구성의 화소 회로에 추가 용량(Cs2)을 적용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구동 트랜지스터와 역치 전압 검출용 트랜지스터를 갖는 화소 회로이면, 어떠한 접속 형태의 화소 회로에도 적용가능하다. 요점은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실시형태1에서 설명한 요건을 구비하는 추가 용량(Cs2)을 접속하면 좋다.
(실시형태3)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3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1화소에 대응하는 화 소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도면에 나타내는 화소 회로는 도 1에 나타낸 화소 회로와는 다른 구성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기 EL 소자(OLED)의 음극 전극이 전원선(10)에 접속됨과 아울러, 양극 전극이 구동 트랜지스터(Td)의 소스 전극에 접속된다. 또한, 구동 트랜지스터(Td)의 드레인 전극은 접지선에 접속된다. 게이트 전극은 스위칭 트랜지스터(T1, T2)의 접속부에 접속됨과 아울러 스위칭 트랜지스터(T1)를 통해 화상 신호선(14)과 간접적으로 접속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은 주사선(13)과 접속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 전극은 머지선(12)과 접속된다. 구동 트랜지스터(Td)의 게이트 전극과 드레인 전극 사이에는 역치 전압 검출용 트랜지스터(Tth)가 삽입되고, 그 게이트 전극에는 Tth 제어선(11)이 접속된다. 보조 용량(Cs)은 스위칭 트랜지스터(T1, T2)의 접속부와 유기 EL 소자(OLED)의 양극 전극 사이에 삽입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도 사용한 추가 용량(Cs2)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화상 신호 전위의 기록 기간에 있어서, 자신과 보조 용량(Cs)이 직렬적으로 접속되도록 보조 용량(Cs)과 전원선(10) 사이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구동 트랜지스터(Td)에 대해서는 유기 EL 소자(OLED)의 양극 전극에 접속되는 측을 소스 전극으로 하고, 접지선에 접속되는 측을 드레인 전극으로 해서 설명했지만, 이들 각 전극을 반대로 해서 구성해도 상관없다.
다음에, 실시형태3의 동작에 대해서 도 9의 시퀀스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실시형태1과 마찬가지로, 준비 기간, 역치 전압 검출 기간, 기록 기간 및 발광 기간이라는 4개의 기간으로 나누어서 설명한다.
(준비 기간)
우선, 준비 기간에서는 전원선(10)이 고전위(Vp), 머지선(12)이 고전위(VgH), Tth 제어선(11)이 저전위(VgL), 주사선(13)이 저전위(VgL), 화상 신호선(14)이 제로 전위로 된다. 이것에 의해 역치 전압 검출용 트랜지스터(Tth)가 오프, 스위칭 트랜지스터(T1)가 오프, 구동 트랜지스터(Td)가 온, 스위칭 트랜지스터(T2)이 온으로 된다. 또한, 구동 트랜지스터(Td)가 온으로 되는 것은 스위칭 트랜지스터(T2)의 온 상태가 발광 기간으로부터 유지되어 있는 것에 추가해서, 구동 트랜지스터(Td)의 게이트 전극에는 보조 용량(Cs)으로부터의 전하의 공급이 계속되기 때문이다. 그 결과, 구동 트랜지스터(Td)의 게이트 전극에는 드레인 전극에 대해서 구동 트랜지스터(Td)의 역치 전압보다 큰 전압이 인가되고, 또한 드레인 전극 전위보다 소스 전극 전위쪽이 높으므로, 구동 트랜지스터(Td)의 온 상태는 유지된 상태로 된다. 이 때, 전원선(10)→유기 EL 소자 용량(Coled)[및 보조 용량(Cs2)]→구동 트랜지스터(Td)라는 경로로 전류가 흘러 유기 EL 소자 용량(Coled) 및 보조 용량(Cs2)에 전하가 축적된다. 또한, 유기 EL 소자(OLED) 혹은 보조 용량(Cs2)에 전하를 축적하는 이유는 실시형태1과 동일하며, 구동 트랜지스터(Td)의 역치 전압의 검출시에 Ids=0으로 될 때까지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준비 기간에서 역치 전압 검출 기간으로 이행할 때에 우선, 머지선(12)을 저전위(VgL)로 해서 스위칭 트랜지스터(T2)를 오프하고 나서, Tth 제어선(11)을 고전위(VgH)로 해서 역치 전압 검출용 트랜지스 터(Tth)를 온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 이유는 유기 EL 소자 용량(Coled)에 축적된 전하를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역치 전압 검출 기간)
다음의 역치 전압 검출 기간에서는 전원선(10)이 제로 전위로 되는 한편, 머지선(12)의 저전위(VgL), Tth 제어선(11)의 고전위(VgH), 주사선(13)의 저전위(VgL) 및 화상 신호선(14)의 제로 전위가 각각 유지된다. 따라서, 역치 전압 검출용 트랜지스터(Tth)의 온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구동 트랜지스터(Td)의 게이트 전극과 드레인 전극이 단락됨과 아울러, 게이트 전극이 드레인 전극을 통해 접지선에 접속된다. 이 때문에, 구동 트랜지스터(Td)의 게이트 전극과 드레인 전극에는 제로 전위가 부여된다. 여기에서, 유기 EL 소자(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Td)의 소스 전극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유기 EL 소자(OLED)의 양극 전극측에 축적된 음의 전하에 기초해서 구동 트랜지스터(Td)의 게이트 전극·소스 전극간의 전위차는 구동 트랜지스터(Td)의 역치 전압(Vth)보다 커져, 구동 트랜지스터(Td)는 온 상태로 된다.
한편, 구동 트랜지스터(Td)의 드레인 전극이 접지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아울러, 구동 트랜지스터(Td)의 소스 전극은 음전하가 축적된 유기 EL 소자(OLED)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구동 트랜지스터(Td)에 있어서는 게이트 전극과 소스 전극 사이에 발생한 전위차에 기초해서 드레인 전극으로부터 소스 전극을 향하는 전류가 흐른다. 한편, 이 전류가 흐름으로써, 유기 EL 소자(OLED)에 축적된 음전하의 절대값은 서서히 감소하고, 구동 트랜지스터(Td)의 게이트 전극·소스 전극간의 전위차도 서서히 저하된다. 그리고, 구동 트랜지스터(Td)의 게이트 전극·소 스 전극간의 전위차가 역치 전압(Vth)까지 감소한 시점에서 구동 트랜지스터(Td)가 오프 상태로 되고, 유기 EL 소자(OLED)에 축적된 음전하의 절대값의 감소도 정지된다. 또한, 구동 트랜지스터(Td)의 게이트 전극이 접지선에 접속되어 있다는 점에서, 구동 트랜지스터(Td)가 오프 상태로 되었을 때, 구동 트랜지스터(Td)의 소스 전극 전위는 (-Vth)로 유지되게 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구동 트랜지스터(Td)의 역치 전압(Vth)이 검출된다.
(기록 기간)
다음의 기록 기간에서는 화상 신호선(14)으로부터의 데이터 전위(Vdata)를 보조 용량(Cs)에 간접적 또는 직접적으로 공급함으로써, 구동 트랜지스터(Td)의 게이트 전극 전위가 원하는 전위로 가변 제어된다. 구체적으로는 전원선(10)의 제로 전위, 머지선(12)의 저전위(VgL) 및 Tth 제어선(11)의 고전위(VgH)가 각각 유지되는 한편, 주사선(13)이 고전위(VgH)로 되고, 화상 신호선(14)이 데이터 전위(Vdata)로 된다. 또한, 이 때, 보조 용량(Cs)과 유기 EL 소자 용량(Coled)이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되고, 추가 용량(Cs2)과 유기 EL 소자 용량(Coled)이 전기적으로 병렬 접속된다.
화상 신호선(14)은 유기 EL 소자(OLED)의 휘도에 대응하는 전위를 공급하기 위해서, 전위 제로의 상태로부터 유기 EL 소자(OLED)의 휘도에 대응하는 전위(Vdata)로 변화된다. 이 전위(Vdata)는 주사선(13)을 고전위(VgH)로 설정함으로써 온 상태로 제어된 스위칭 트랜지스터(T1)를 통해 보조 용량(Cs)에 기록됨과 아울러, 주사선(13)을 저전위(VgL)로 설정해서 스위칭 트랜지스터(T1)를 오프 상태로 함으로써 그 기록 전위가 유지된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Tth 제어선(11)의 전위는 고전위(VgH)의 상태가 유지되지만, 다음의 발광 기간에 머지선(12)의 전위가 고전위(VgH)로 설정되는 것으로 구비하고, 본 기록 기간 중에 있어서, Tth 제어선(11)의 전위를 저전위(VgL)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 기간)
다음의 발광 기간에서는 전원선(10)이 마이너스 전위(-VDD), 머지선(12)이 고전위(VgH)로 되고, Tth 제어선(11)의 저전위(VgL), 주사선(13)의 저전위(VgL) 및 화상 신호선(14)의 제로 전위가 각각 유지된다. 이 제어에 의해 구동 트랜지스터(Td)가 온, 역치 전압 검출용 트랜지스터(Tth)가 오프, 스위칭 트랜지스터(T1)가 오프로 되어 유기 EL 소자(OLED)가 발광한다. 또한, 유기 EL 소자(OLED)의 소스 전극에는 역치 전압 검출 기간에 있어서 검출된 역치 전압에 기초해서 -Vth의 전위가 나타나는 한편, 유기 EL 소자(OLED)의 게이트 전극에는 기록 기간에 있어서 기록된 데이터 전위(Vdata)가 인가되기 때문에, 구동 트랜지스터(Td)의 게이트 전극-소스 전극간에는 (Vdata+Vth)의 전위차가 발생한다. 이 결과, 구동 트랜지스터(Td)에는 이론적으로는 구동 트랜지스터(Td)의 역치 전압(Vth)에 의존하지 않는 전류[Ids=(β/2)×(Vdata)2]가 흘러 유기 EL 소자(OLED)가 발광한다.
다음에, 도 8에 나타낸 화소 회로의 기록 효율에 대해서 고찰한다. 우선, 추가 용량(Cs2)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기록 효율을 η2로 하면, 상술한 실시형태1에 있어서의 기록 효율(η)을 도출했을 때와 동일한 순서에 의해 다음 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상세한 도출 순서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결과만을 나타낸다).
η2=[Cs·Coled/(Coled+Cs+CgsTdoff)+CgdT1on+CgsT2off]/Call2
… (13)
식(13)에 있어서, Call2는 기록 기간에 있어서, 구동 트랜지스터(Td)의 게이트 전극에 접속되는 용량이며, 다음 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Call2=Cs+CgdT1off+CgsTthoff+CgsT2on+CgdT2on+CgsTdon+CgdTdoff
… (14)
또한, 식(14)에 있어서의 각 기호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CgdT1off
: 스위칭 트랜지스터(T1) 오프시의 게이트 전극-드레인 전극간 용량
CgsTthoff
: 역치 전압 검출용 트랜지스터(Tth) 오프시의 게이트 전극-소스 전극간 용량
CgsT2on
: 스위칭 트랜지스터(T2) 오프시의 게이트 전극-소스 전극간 용량
CgdT2on
: 스위칭 트랜지스터(T2) 온시의 게이트 전극-드레인 전극간 용량
CgsTdon
: 구동 트랜지스터(Td) 온시의 게이트 전극-소스 전극간 용량
CgdTdoff
: 구동 트랜지스터(Td) 오프시의 게이트 전극-드레인 전극간 용량
한편, 추가 용량(Cs2)이 존재하는 경우의 기록 효율을 η2'로 하면, 식(13)과 동일한 다음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η2'=[Cs·(Coled+Cs2)/(Coled+Cs2+Cs+CgsTdoff)+CgdT1on+CgsT2off]/Call2
… (15)
여기에서 상기의 식(13) 및 식(15)에 있어서의 공통항을,
Ct1=Coled+Cs+CgsTdoff … (16)
Ct2=CgdT1on+CgsT2on … (17)
으로 정의한 후에, 추가 용량(Cs2)이 존재하는 경우의 기록 효율(η2')과,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기록 효율(η2)의 비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 식과 같이 된다.
η2'/η2=[Cs·(Coled+Cs2)/(Ct1+Cs2)+Ct2]/[Cs·Coled/Ct1+Ct2]
=[Cs·Coled/Ct1·(1+Cs2/Coled)/(1+Cs2/Ct1)+Ct2]/[Cs·Coled/Ct1+Ct2]
=[(1+Cs2/Coled)/(1+Cs2/Ct1)+Ct1·Ct2/Cs/Coled]/[1+Ct1·Ct2/Cs/Coled]
… (18)
식(18)에 있어서, 식(16)의 정의로부터 Ct1=Coled+Cs+CgsTdoff>Coled이며, Cs2/Coled>Cs2/Ct1로 되므로, 식(18)에 있어서의 η2'/η2는 항상 1이상으로 된다. 따라서, 추가 용량(Cs2)을 설치함으로써 기록 효율이 개선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추가 용량(Cs2)이 커질수록 기록 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추가 용량(Cs2)의 용량값은 Coled의 1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더욱 바람직하게는 Coled 의 30%이상).
이제 실제의 화소 회로에 있어서의 기록 효율을 구해 본다.
예를 들면 전형적인 값으로서,
Coled=1.383pF
Cs=0.5pF
Cs2=0.5pF
CgsTdon=CgdTdon=0.080pF
CgsTdoff=CgdTdoff=0.043pF
CgsT1on=CgdT1on=CgsT2on=CgdT2on=0.013pF
CgsT1off=CgdT1off=CgsT2off=CgdT2off=0.005pF
로 하면, 추가 용량(Cs2)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의 기록 효율(η)은 식(13), 식(14) 및 식(16), 식(17)에 기초해서 η2=0.572로 된다.
한편, 추가 용량(Cs2)을 구비하는 경우의 기록 효율(η2')은 식(14)~식(17)에 기초해서 η2'=0.618로 된다.
이 예에서는 추가 용량(Cs2)을 구비하는 것에 의한 기록 효율의 변화(차분값:Δη=η2'-η2)와 추가 용량(Cs2)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의 기록 효율(η2)의 비(Δη/η2)가 (0.618-0.572)/0.572≒0.08로 되어 기록 효율을 약 8% 개선(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추가 용량(Cs2)의 용량을 가능한 한 큰 값인 것을 사용하도록 하면, 기록 효율의 개선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 추가 용량(Cs2)을 구비하는 것에 의한 기록 효율의 증가를 여러가지의 수식을 사용해서 정량적으로 설명해 왔다. 한편, 기록 효율의 증가는 이하와 같이 정성적으로 설명할 수도 있다.
우선,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이, 기록 효율이란, Vgs 흔들림 폭(ΔVgs)과 화소 신호선 흔들림 폭(ΔVdata)의 비로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기록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Vgs 흔들림 폭(ΔVgs)을 화소 신호선 흔들림 폭(ΔVdata)에 가능한 한 가깝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화상 신호선(14)으로부터의 데이터 전위(Vdata)가 기록되는 보조 용량(Cs)에는 화상 데이터의 기록시에 직렬적으로 접속되는 용량 성분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화소 회로에서는 유기 EL 소자 용량(Coled)이 이 용량 성분의 하나에 해당된다. 또한, 화소 회로에 따라서는 유기 EL 소자 용량(Coled)이 보조 용량(Cs)에 직렬적으로 접속되지 않는 구성으로 되는 경우도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구동 트랜지스터(Td), 역치 전압 검출용 트랜지스터(Tth) 및 스위칭 트랜지스터(T1, T2)의 기생 용량 중, 화상 데이터의 기록시에 보조 용량(Cs)에 직렬적으로 접속되는 기생 용량 성분이 기록 효율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보조 용량(Cs)과 유기 EL 소자 용량(Coled)이 직렬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구성에 있어서, 보조 용량(Cs)과 유기 EL 소자 용량(Coled) 사이에 V12라는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를 고려한다. 이 경우, 보조 용량(Cs)의 양단에 발생하는 전위차(전압)를 Vs로 하면, 간단한 다음 식으로 나타내어진다.
Vs=Coled/(Cs+Coled)·V12 … (19)
그리고, 식(19)는 화상 신호선(14)으로부터의 데이터 전위(Vdata)가 기록되 는 보조 용량(Cs)에 대해서 직렬 접속되는 용량 성분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보조 용량(Cs)에 축적되는 전하의 일부가 상기 직렬 접속되는 용량 성분에 의해 빼앗겨, 기록 효율의 저하가 발생한다는 것, 및, 보조 용량(Cs)의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은 보조 용량(Cs)에 직렬 접속되는 용량 성분(즉 접속 상대편의 용량 성분)에 비례해서 커진다고 하는 것의 2개의 관점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기록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보조 용량(Cs)에 부가해서 설치되는 추가 용량(Cs2)에 대해서는 적어도 데이터 전위의 기록시에 있어서 보조 용량(Cs)에 직렬적으로 접속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추가 용량(Cs2)의 용량값은 보조 용량(Cs)보다 큰 용량값을 갖는 것을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시형태1과 마찬가지로, 유기 EL 소자(OLED)의 용량값이 빨강, 초록 및 파랑의 각 화소에서 다른 경우에 각 색마다의 기록 효율을 대략 동일하게 하기 위해서는 빨강, 초록 및 파랑의 각 유기 EL 소자(OLED)의 용량을 각각 Coledr, Coledg, Coledb로 두고, 빨강, 초록 및 파랑의 추가 용량을 각각 Cs2r, Cs2g 및 Cs2b로 둘 때, Coledr+Cs2r, Coledg+Cs2g, Coledb+Cs2b의 모든 값을 이들 값 중의 최대값의 80%~100%(보다 바람직하게는 95%~100%)의 범위 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색마다 고유한 발광 효율에 차이가 존재하면, 각 화소 회로에 있어서의 소정 Vgs 흔들림 폭(ΔVgs)이 빨강, 초록, 및 파랑의 각 색마다 다른 경우가 있다. 각 색의 기록 효율을 각각 ηr, ηg, ηb로 두고, 각 색의 필요한 ΔVgs의 최대값을 ΔVgsmaxr, ΔVgsmaxg, ΔVgsmaxb로 한다. 이 때, ΔVgsmaxr/ηr, Δ Vgsmaxg/ηg, ΔVgsmaxb/ηb의 최소값이 ΔVgsmaxr/ηr, ΔVgsmaxg/ηg, ΔVgsmaxb/ηb의 최대값의 90%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95%이상)으로 되도록 Cs2r, Cs2g, Cs2b를 정하면, 대략 동일한 화소 신호선 흔들림 폭(ΔVdata)으로 각 색 모두 원하는 Vgs 흔들림 폭(ΔVgs)이 얻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화상 표시 장치에 의하면, 화상 데이터가 기록되는 제 1 용량 소자에 추가해서 화상 데이터의 기록 기간 중에 제 1 용량 소자에 직렬적으로 접속되는 제 2 용량 소자를 설치함으로써, 제 1 용량 소자에 대해서 기록된 전위가 제 1 용량 소자에 양호하게 반영되게 된다. 그 결과, 화상 표시 장치의 기록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실시형태4)
상술한 도 8에 나타내는 실시형태3에 있어서는, 추가 용량(Cs2)의 일단이 유기 EL 소자(OLED)의 음극 전극에 접속되고, 타단이 전원선(10)에 접속되도록 구성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추가 용량(Cs2)의 타단을 고정 전위(정전위)인 접지선에 접속해도 좋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고정 전위란, 준비 기간, 역치 전압 검출 기간, 기록 기간 및 발광 기간의 모든 기간에 있어서 정전위일 필요는 없고, 적어도 역치 전압 검출 기간으로부터 기록 기간에 있어서 정전위가 유지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이 정전위라는 의미는 엄밀한 의미에서의 정전위일 필요는 없고, 추가 용량(Cs2)에 의해 기록 효율 증대 작용을 얻는다는 취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소정의 전위 변동은 허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추가 용량(Cs2)의 타단은 역치 전압 검출 기간으로부터 기록 기간에 걸쳐 대략 일정 전위가 유지되어 있는 Tth 제어선(11)(도 11 참조)이나, 머지선(12)(도 12 참조)에 접속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3에 있어서는, 도 8에 나타낸 구성의 화소 회로에 추가 용량을 적용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구동 트랜지스터와 역치 전압 검출용 트랜지스터를 갖는 화소 회로이면, 어떠한 접속 형태의 화소 회로에도 적용 가능하다. 요점은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실시형태3에서 설명한 요건을 구비하는 추가 용량을 접속하면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는 화소 회로에 있어서의 기록 효율의 저하 방지에 대해서 유용하다.

Claims (12)

  1. 발광 수단과,
    제어 단자,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를 갖고, 상기 제어 단자와 상기 제 1 단자의 전위차에 따라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발광 수단의 발광을 제어하는 드라이버 수단과,
    한쪽의 전극이 상기 드라이버 수단의 제어 단자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고, 다른쪽의 전극이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위를 공급하는 신호선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제 1 용량 소자와,
    상기 화상 데이터가 상기 신호선을 통해 상기 제 1 용량 소자에 기록되는 기록 기간 중에 상기 제 1 용량 소자에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되는 제 2 용량 소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기간 중에 상기 제 1 용량 소자 및 상기 발광 수단이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기간 중에 상기 제 2 용량 소자 및 상기 발광 수단이 전기적으로 병렬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수단의 상기 제어 단자와 상기 제 2 용량 소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 단자와 상기 제 2 용량 소자 사이의 도통을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기록 기간 중에 상기 드라이버 수단의 상기 제어 단자와 상기 제 2 용량 소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 기간 중에 상기 드라이버 수단의 상기 제어 단자와 상기 제 2 용량 소자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량 소자에 접속되고, 상기 기록 기간 중에 전위가 대략 일정하게 유지되는 전위선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위선이 상기 드라이버 수단의 상기 제 1 단자 또는 상기 제 2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위선이 상기 스위칭 소자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량 소자의 용량값이 상기 발광 수단이 갖는 용량값의 1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색을 표시하는 제 1~제 3 화소를 갖고;
    상기 제 1~제 3의 각 화소는 상기 발광 수단, 상기 드라이버 수단, 상기 제 1 용량 소자 및 상기 제 2 용량 소자를 적어도 갖고;
    상기 제 1~제 3의 각 화소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용량 소자의 용량값과 상기 발광 소자가 갖는 용량값의 합을 각각 Csum1, Csum2 및 Csum3으로 할 때, 상기Csum1~Csum3의 각각이 그 Csum1~Csum3의 최대값의 80%이상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11. 발광 수단과,
    제어 단자,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를 갖고, 상기 제어 단자와 상기 제 1 단자의 전위차에 따라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 사이에 흐르는 전류량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발광 수단의 발광을 제어하는 드라이버 수단과,
    상기 발광 수단의 발광 휘도에 대응하는 기록 전위가 신호선을 통해 공급되 는 드라이버 수단의 상기 제어 단자와 상기 제 1 단자 사이 또는 상기 제어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 사이 중 어느 하나에 인가되는 전위차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록 전위를 공급하는 신호선과, 드라이버 수단과,
    상기 발광 수단의 발광 휘도가 최고 레벨일 때와 최저 레벨일 때의 상기 드라이버 수단에 인가되는 상기 전위차의 차분(ΔV)과, 상기 발광 수단의 발광 휘도가 최고 레벨일 때와 최저 레벨일 때의 상기 신호선에 공급되는 상기 기록 전위의 차분(ΔVdata)의 비(ΔV/ΔVdata)를 크게 하는 용량 소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 소자의 편측의 단자에 공급되는 전위가 상기 신호선에 기록 전위가 공급되고 있는 동안, 대략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0077016484A 2005-02-25 2006-01-31 화상 표시 장치 KR1008931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51137 2005-02-25
JPJP-P-2005-00051137 2005-0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2742A true KR20070092742A (ko) 2007-09-13
KR100893135B1 KR100893135B1 (ko) 2009-04-15

Family

ID=36927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6484A KR100893135B1 (ko) 2005-02-25 2006-01-31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13373B2 (ko)
JP (1) JP4782103B2 (ko)
KR (1) KR100893135B1 (ko)
CN (1) CN100541578C (ko)
WO (1) WO200609056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94012B2 (en) 2008-03-10 2012-06-05 Samsung Mobile Display Co.,Ltd. Pixel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using the same
KR20150070753A (ko) * 2013-12-17 2015-06-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113109A (ko) * 2019-03-22 2020-10-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135B1 (ko) * 2005-02-25 2009-04-15 쿄세라 코포레이션 화상 표시 장치
JP4438789B2 (ja) * 2006-11-17 2010-03-24 ソニー株式会社 画素回路および表示装置、並びに画素回路の製造方法
TWI444967B (zh) * 2007-06-15 2014-07-11 Panasonic Corp Image display device
JP5257075B2 (ja) 2007-06-15 2013-08-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5163646B2 (ja) 2007-07-19 2013-03-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WO2009096479A1 (ja) * 2008-01-31 2009-08-06 Kyocera Corporation 画像表示装置
CN102165844B (zh) * 2008-09-25 2014-01-08 赤多尼科两合股份有限公司 发光装置的操作装置和方法
JP5627175B2 (ja) * 2008-11-28 2014-11-19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画像表示装置
JP2010175779A (ja) * 2009-01-29 2010-08-12 Seiko Epson Corp 単位回路の駆動方法及び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
TWI410929B (zh) 2010-04-16 2013-10-01 Au Optronics Corp 有機發光二極體的畫素電路及其顯示器與驅動方法
CN101866619B (zh) * 2010-05-06 2013-01-23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的像素电路及其显示器与驱动方法
KR101351416B1 (ko) * 2010-05-18 2014-01-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티브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의 전압 보상형 화소 회로
KR20120065716A (ko) * 2010-12-13 2012-06-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TWI425472B (zh) * 2011-11-18 2014-02-01 Au Optronics Corp 像素電路及其驅動方法
WO2013171936A1 (ja) * 2012-05-15 2013-11-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16099505A (ja) * 2014-11-21 2016-05-30 株式会社Joled 表示装置
US10140940B2 (en) * 2015-07-24 2018-11-27 Japan Display Inc. Display device
CN108877649B (zh) * 2017-05-12 2020-07-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像素电路及其驱动方法、显示面板
CN106997747B (zh) * 2017-05-27 2019-01-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发光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1383600B (zh) * 2020-04-28 2022-04-19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像素驱动电路、驱动方法、显示面板及显示装置
JP2023088444A (ja) * 2021-12-15 2023-06-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および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78114A4 (en) * 1997-04-23 2003-03-19 Sarnoff Corp PIXEL STRUCTURE WITH LIGHT EMITTING DIODE AND ACTIVE MATRIX AND METHOD
US6229506B1 (en) 1997-04-23 2001-05-08 Sarnoff Corporation Active matrix light emitting diode pixel structure and concomitant method
US6590227B2 (en) * 1999-12-27 2003-07-0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Active matrix display device
JP3936528B2 (ja) * 2000-08-31 2007-06-27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光学素子
JP3819723B2 (ja) * 2001-03-30 2006-09-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3972359B2 (ja) * 2002-06-07 2007-09-0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装置
WO2004066249A1 (en) * 2003-01-24 2004-08-0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ctive matrix display devices
GB0307320D0 (en) * 2003-03-29 2003-05-07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ctive matrix display device
JP4467910B2 (ja) * 2003-05-16 2010-05-26 東芝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KR100536235B1 (ko) * 2003-11-24 2005-12-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0893135B1 (ko) * 2005-02-25 2009-04-15 쿄세라 코포레이션 화상 표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94012B2 (en) 2008-03-10 2012-06-05 Samsung Mobile Display Co.,Ltd. Pixel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using the same
KR20150070753A (ko) * 2013-12-17 2015-06-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113109A (ko) * 2019-03-22 2020-10-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82103B2 (ja) 2011-09-28
US20080088546A1 (en) 2008-04-17
CN101116130A (zh) 2008-01-30
JPWO2006090560A1 (ja) 2008-07-24
US9013373B2 (en) 2015-04-21
KR100893135B1 (ko) 2009-04-15
WO2006090560A1 (ja) 2006-08-31
CN100541578C (zh) 2009-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3135B1 (ko) 화상 표시 장치
KR100672792B1 (ko) 화상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8154483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4737221B2 (ja) 表示装置
KR101226648B1 (ko) 전압 구동 화소 유닛 및 그 구동 방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978308B2 (en) Pixel voltage compensation circuit
JP5154755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US20180218677A1 (en) Pixel driving circuit,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0475385B2 (en) AMOLED pixel driving circuit and driving method capable of ensuring uniform brightnes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improving the display effect of the pictures
WO2018205556A1 (zh) 像素电路及其驱动方法、显示面板
CN101479780A (zh) 图像显示装置的驱动方法
WO2007040088A1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5028207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駆動方法
KR20190103131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CN100424742C (zh) 图像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WO2007111202A1 (ja) 電流制御型発光素子の駆動装置
KR100579193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JP5789585B2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029502B1 (ko) 구동회로
CN111179833A (zh) 像素电路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CN111261112A (zh) 像素驱动电路、显示面板、显示装置及像素驱动方法
JP5152560B2 (ja) 表示装置
JP2009244528A (ja) 表示装置
JP2008250003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