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2160A - 액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액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2160A
KR20070092160A KR1020070022477A KR20070022477A KR20070092160A KR 20070092160 A KR20070092160 A KR 20070092160A KR 1020070022477 A KR1020070022477 A KR 1020070022477A KR 20070022477 A KR20070022477 A KR 20070022477A KR 20070092160 A KR20070092160 A KR 20070092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iquid crystal
seal
crystal device
cryst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2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이지 이시이
마사노리 아키야마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2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21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1Filling or clos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1Environmental protection, e.g. against dust or humid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과제
액정 장치 내부에 침입하는 수분 등을 저감시킨다.
해결 수단
제 1 시일부 (52a) 및 제 2 시일부 (52b), 그리고 공간 (55) 에 의하면, 화상 표시 영역 (10a) 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속한 하나의 시일부에 의해 화상 표시 영역 (10a) 을 둘러싸는 경우에 비해,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수분 등의 이물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시일부 (52a) 및 제 2 시일부 (52b) 사이에 개재하는 공간 (55) 이 수분 등에 대한 완충 영역으로서 기능하고, 외측의 제 1 시일부 (52a) 를 통과한 수분 등의 이물 중 내측의 제 2 시일부 (52b) 에 도달하는 양이 현격히 저감된다. 따라서, 화상 표시 영역 (10a) 에 침입하는 수분 등의 이물의 침입량이 현격히 저감된다.
액정 장치, 시일부, 완충 영역, 화상 표시 영역

Description

액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전자 기기{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ETHOD OF MAKING THE SAME, AND ELECTRONIC APPARATUS}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액정 장치의 평면도.
도 2 는 도 1 의 H-H′선 단면도.
도 3 은 수분 등의 이물의 침입이 저감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액정 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5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액정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액정 장치의 제조 방법의 플로우 차트.
도 7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액정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시일부를 패터닝하는 공정을 나타낸 사시 공정도.
도 8 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액정 장치의 평면도.
도 9 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액정 장치의 제조 방법의 플로우 차트.
도 10 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액정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액정 공급 공정 및 기판 맞붙임 공정을 나타내는 공정도.
도 11 은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액정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01, 301 : 액정 장치 10 : TFT 어레이 기판
20 : 대향 기판 52, 62 : 시일부
52a, 62a : 제 1 시일부 52b, 62b : 제 2 시일부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119325호
[특허 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78003호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액정 프로젝터의 라이트 밸브로서 사용되는 액정 패널 등의 액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그러한 액정 장치를 구비한 액정 프로젝터 등의 전자 기기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액정 장치의 일례인 액정 패널에서는, 서로 대향 하도록 배치된 1 쌍의 기판이 시일재를 통하여 서로 접착되어 있다. 이들 기판 사이에 개재하는 액정층은, 시일재에 의해 기판 사이에 봉지되어 있고, 당해 액정층의 구동에 의해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이 구성된다. 특허 문헌 1 및 2 는, 이들 기판 사이의 간격을 기판 전체에서 균일화함으로써, 화상의 표시 품질을 높이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이런 종류의 액정 장치의 일례인 액정 패널에서는, 수분 등의 이물이 외부로 부터 장치 내부에 침입하여, 액정 장치의 표시 이상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특히, 액정 장치를 고온 고습 환경 하에서 연속하여 구동시켰을 경우에, 시일재를 통하여 기판 상호를 강고하게 맞붙였을 경우라도, 시일재 중에 수분 등의 이물이 서서히 확산된다. 시일재를 통하여 장치 내부에 침입한 수분 등의 이물은, 액정층 및 배향막 등을 서서히 열화시켜, 액정 장치의 표시 품위가 저하된다. 따라서, 단순히 기판 사이를 시일재에 의해 강고하게 맞붙이는 것만으로는, 수분 등의 침입을 충분히 억제하기가 곤란하다는 기술적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일재의 폭을 두텁게 하는 것만으로는, 시일재 중에 있어서의 수분 등의 확산을 본질적으로 저감시키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 등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예를 들어, 표시 품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액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그러한 액정 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제 1 발명에 관련된 액정 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협지된 액정층과, 상기 제 1 기판 상에서 상기 액정층에 의해 표시되는 표시 영역의 주위에 위치하는 시일영역에 있어서, 상기 시일영역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되고, 또한 상기 표시 영역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서로 공간을 격리시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을 서로 맞붙이는 복수의 시일부와, 상기 복수의 시일부의 각각의 가장자리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공간을 봉지하는 봉지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1 발명에 관련된 액정 장치에 의하면,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은, 예를 들어 액정 등의 액정층을 협지하고 있고, 복수의 시일부에 의해 서로 맞붙여져 있다. 복수의 화소가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화소 영역, 즉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은, 제 1 기판의 기판면 중 복수의 시일부의 내측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영역은, 복수의 시일부 중 제 1 기판의 중앙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시일부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 내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의 일방은, 예를 들어 액정 분자 등의 액정층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를 갖고 있다.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의 각각은, 화소 전극 및 화소 전극과 대향하는 대향 전극을 갖고 있고, 액정 분자 등의 액정층에 전압을 인가하여, 표시 영역에 화상을 표시한다.
 복수의 시일부는, 제 1 기판 상의 표시 영역의 주위에 위치하는 시일영역에 있어서, 시일영역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표시 영역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서로 공간을 격리시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표시 영역은, 제 1 기판 상에서 복수의 시일부 및 이들 복수의 시일부를 서로 격리시키는 공간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영역은, 표시 영역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방향을 따른 복수의 시일부 중 제 1 기판의 중앙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시일부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봉지부는, 복수의 시일부가 시일영역에 형성된 후에 이들 복수의 시일부의 각각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시일부의 가장자리에 있어서 이들 시일부를 격리시키는 공간을 봉지한다.
이러한 복수의 시일부 및 공간에 의하면, 표시 영역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속한 하나의 시일부에 의해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경우에 비해,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수분 등의 이물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2 개의 시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2 개의 시일부 사이에 개재하는 공간이 수분 등에 대한 완충 영역으로서 기능하고, 외측의 시일부를 통과한 수분 등의 이물 중 내측의 시일부에 도달하는 양이 현격히 저감된다. 따라서, 복수의 시일부 및 이들 시일부를 격리시키는 공간을 통하여 표시 영역에 침입하는 수분 등이 현격히 저감된다.
여기서, 복수의 시일부를 서로 격리시키는 공간은, 봉지부에 의해 봉지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간은, 이 공간에 의해 격리된 시일부 및 봉지부, 그리고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에 의해 둘러싸인 3 차원적으로 밀폐된 공간으로서, 외부와 격절(隔絶)되어 있다. 따라서, 시일부의 가장자리 측으로부터 수분 등이 시일부 사이의 공간에 침입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시일부는 시일영역에 2 개 이상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보다 효과적으로 표시 영역에 대한 수분 등의 침입을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시일부의 수를 3 개 이상으로 늘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시일부의 수를 늘림으로써, 표시 영역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이들 시일부를 서로 격리시키는 공간이 많아지고, 수분 등의 침입에 대하여 완충 영역으로서 기능하는 공간이 많아진다. 따라서, 표시 영역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연속한 하나의 시일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수분 등의 침입에 대한 시일성을 높이면서, 표시 영역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각 시일부의 폭도 좁힐 수 있다. 이로써, 시일부가 형성되는 시일영역의 폭을 좁히면서, 일정한 면적으로 되는 제 1 기판의 기판면의 보다 넓은 영역을 표시 영역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 1 발명에 관련된 액정 장치에 의하면, 수분 등의 침입에 기인하는 액정층의 열화를 저감시킬 수 있어, 표시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액정 장치의 표시 품위를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액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발명에 관련된 액정 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협지된 액정층과, 상기 제 1 기판 상에서 상기 액정층에 의해 표시되는 표시 영역의 주위에 위치하는 시일영역에 있어서, 상기 시일영역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되고, 또한 상기 표시 영역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서로 공간을 격리시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시일영역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듯이 각각의 양 가장자리가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을 서로 맞붙이는 복수의 시일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2 발명에 관련된 액정 장치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제 1 발명에 관련된 액정 장치와 동일하게, 수분 등의 침입에 기인하는 액정층의 열화를 저 감시킬 수 있고, 표시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복수의 시일부의 각각은, 그 양 가장자리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이들 복수의 시일부를 서로 격리시키는 공간이 봉지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시일부의 각각은, 시일영역에 있어서, 그 양 가장자리가 연결된 막힌 형상을 갖고 있다.
복수의 시일부를 서로 격리시키는 공간은, 제 1 기판 상의 기판면의 면내 방향에 있어서, 그 양 가장자리가 연결된 시일부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그 상측 및 하측은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의 각각에 의해 막혀 있다. 따라서, 복수의 시일부를 서로 격리시키는 공간은, 이들 시일부,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에 의해 밀폐된 공간이다.
이러한 공간 및 시일부에 의하면, 당해 공간이 수분 등의 침입을 저감시키는 완충 영역으로서 기능하고, 장치 외부로부터 표시 영역에 수분 등이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발명에 관련된 액정 장치에 의하면, 표시 품위를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액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제 1 및 제 2 발명에 관련된 액정 장치의 일 양태에서는, 상기 공간은 진공 상태 또는 불활성 가스가 충전된 상태로 유지되어도 된다.
이 양태에 의하면, 시일부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침입해 온 수분 등의 이물이 표시 영역의 중앙을 향하여 확산하기 위한 매체가 존재하지 않는, 또는 매체로서 기능했다고 해도 상대적으로 다른 물질보다 수분 등의 확산 정도가 낮은 질소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로 채워져 있기 때문에, 표시 영역에 침입하는 수분 등의 침입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제 1 및 제 2 발명에 관련된 액정 장치의 다른 양태에서는, 상기 복수의 시일부의 각각은, 상기 1 쌍의 기판 사이의 갭을 소정치로 유지하기 위한 갭재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양태에 의하면, 시일영역을 따라서 시일부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시일부에 포함되는 갭재에 의해,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을 맞붙였을 때의 이들 기판 사이의 거리, 즉 갭을 기판 전체에서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이 서로 비스듬하게 맞붙여진 경우에 발생하는 표시 품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제 1 및 제 2 발명에 관련된 액정 장치의 다른 상태에서는, 상기 공간을 복수의 분할실로 나누는 격벽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양태에 의하면, 복수의 분할실의 1 분할실에서의 밀폐성이 손상되었을 경우라도, 당해 1 분할실로부터만 표시 영역에 수분 등의 이물이 침입할 뿐이기 때문에, 표시 영역의 주위 전체로부터 수분 등이 침입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발명에 관련된 액정 장치의 제조 방법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사이에 협지된 액정층에 의해 표시되어야 할 상기 제 1 기판 상의 표시 영역의 주위에 위치하는 시일영역에 있어서, 상기 시일영역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상기 표시 영역의 중앙으로부터 외측 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서로 공간을 격리시켜 형성되는 복수의 시일부 및 상기 복수의 시일부의 각각의 가장자리를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공간을 봉지하는 봉지부를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복수의 시일부를 통하여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을 서로 맞붙이는 공정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3 발명에 관련된 액정 장치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 1 발명에 관련된 액정 장치와 동일하게, 표시 품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액정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발명에 관련된 액정 장치에서는, 복수의 시일부 및 봉지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일체적으로」란, 동일 공정 및 동일 처리에 의해 동일 재료를 사용하고, 서로 연속한 일체의 구조체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제 1 기판 상에 있어서, 하나의 단일 연속 라인 (a single continuous line) 으로 패터닝되도록 미경화된 시일재를 디스펜서로부터 시일영역에 적하함으로써, 미경화된 시일부 및 봉지부를 일 공정에서 형성한 후, 이들 시일부 및 봉지부를 통하여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을 맞붙인다.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은, 시일재를 경화시킴으로써 서로 접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발명에 관련된 액정 장치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수분 등의 이물의 침입을 저감시키기 위한 구조를 간편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발명에 관련된 액정 장치의 제조 방법의 일 양태에서는, 상기 봉지부는 상기 시일부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되어도 된다.
이 양태에 의하면, 간편하게 복수의 시일부 사이의 공간을 봉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발명에 관련된 액정 장치의 제조 방법의 다른 양태에서는, 상기 액정층을 봉지하기 위한 액정 봉지부를, 상기 복수의 시일부의 각각의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해도 된다.
 이 양태에 의하면, 액정층을 액정 봉지부에 의해 봉지함으로써, 시일부를 형성한 후에 액정의 주입을 가능하게 하면서, 시일부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으로부터 액정이 누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발명에 관련된 액정 장치의 제조 방법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사이에 협지된 액정층에 의해 표시되어야 할 상기 제 1 기판 상의 표시 영역의 주위에 위치하는 시일영역에 있어서, 상기 시일영역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상기 표시 영역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서로 공간을 격리시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시일영역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듯이, 또한 상기 공간이 연속하여 연결되도록 각각의 양 가장자리가 서로 연결된 복수의 시일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진공 중 또는 불활성 가스 분위기 중에서 상기 액정층을 상기 표시 영역에 공급하는 공정과, 상기 진공 중 또는 상기 불활성 가스 분위기 중에서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을 서로 맞붙이는 공정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4 발명에 관련된 액정 장치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 2 발명에 관련된 액정 장치와 동일하게, 표시 품위를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액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발명에 관련된 액정 장치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예를 들어 액정 장치를 형성할 때에 범용되 는 ODF 방식의 액정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 응용 가능하고, 예를 들어 액정을 표시 영역에 공급하는 공정과,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을 맞붙이는 공정을 진공 중, 또는 질소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 분위기 중에서 실시함으로써 복수의 시일부를 서로 격리시키는 공간을 진공 상태 또는 불활성 가스가 충전된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진공 상태 또는 불활성 가스가 충전된 상태로 설정된 공간에 의하면, 수분 등의 침입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전자 기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액정 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전자 기기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본 발명에 관련된 액정 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품위의 표시가 가능하고, 또한 신뢰성이 우수한 투사형 표시 장치, 휴대 전화, 전자 수첩, 워드 프로세서, 뷰파인더형 또는 모니터 직시형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워크스테이션, 화상 전화, POS 단말, 터치 패널 등의 각종 전자 기기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전자 기기로서, 예를 들어 전자 페이퍼 등의 전기 영동 장치 등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작용 및 다른 이득은 다음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부터 분명해진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발명에 관련된 액정 장치 및 본 발명의 제 3 및 제 4 발명에 관련된 액정 장치의 제조 방법, 그리고 본 발명에 관련된 전자 기기의 각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1-1 : 액정 장치의 구성>
먼저,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 1 발명에 관련된 액정 장치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발명에 관련된「제 1 기판」의 일례인 TFT 어레이 기판 (10) 을 그 위에 형성된 각 구성 요소와 함께, 본 발명의 제 1 발명에 관련된「제 2 기판」의 일례인 대향 기판 (20) 측에서 본 액정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H-H′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정 장치의 일례로서, 구동 회로 내장형의 TFT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 방식의 액정 장치 (1) 를 예로 든다.
도 1 및 도 2 에 있어서, 액정 장치 (1) 는 TFT 어레이 기판 (10), 대향 기판 (20), 액정층 (50), 시일부 (52), 봉지부 (56), 액정 봉지부 (156) 를 구비하고 있다.
액정 장치 (1) 에서는, TFT 어레이 기판 (10) 과 대향 기판 (20) 이 대향 배치되어 있다.
 TFT 어레이 기판 (10) 과 대향 기판 (20) 사이에 액정층 (50) 이 봉입되어 있고, TFT 어레이 기판 (10) 과 대향 기판 (20) 은, 복수의 화소부가 형성되는, 본 발명의 제 1 발명의「표시 영역」의 일례인 화상 표시 영역 (10a) 의 주위에 위치하는 시일영역에 형성된 시일부 (52) 에 의해 서로 접착되어 있다.
시일부 (52) 는, 본 발명의 제 1 발명에 관련된「복수의 시일부」의 각각의 일례인 제 1 시일부 (52a) 및 제 2 시일부 (52b) 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시일 부 (52a) 및 제 2 시일부 (52b) 는, 화상 표시 영역 (10a) 의 주위에 위치하는 시일영역에 있어서 시일영역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시일부 (52a) 및 제 2 시일부 (52b) 는, 화상 표시 영역 (10a) 을 둘러싸듯이 TFT 어레이 기판 (10) 의 평면 형상을 규정하는 각 변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제 1 시일부 (52a) 는, 화상 표시 영역 (10a) 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제 2 시일부 (52b) 의 외측에 위치해 있고, 제 1 시일부 (52a) 및 제 2 시일부 (52b) 는, 공간 (55) 에 의해 서로 격리되어 있다.
제 1 시일부 (52a) 및 제 2 시일부 (52b) 의 가장자리는, 액정 장치 (1) 의 제조시에 화상 표시 영역에 액정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에 면하는 가장자리에 있어서, 봉지부 (56) 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접속됨으로써 공간 (55) 을 봉지한다. 따라서, 제 1 시일부 (52a) 및 제 2 시일부 (52b), 그리고 봉지부 (56) 로 이루어지는 구조체는, 공간 (55) 을 둘러싸는 막힌 평면 형상을 갖고 있다. 액정 봉지부 (156) 는, 액정 주입구를 사이에 끼고 서로 대향하는 봉지부 (56)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액정층 (50) 을 봉지한다.
시일부 (52) 는, 양 기판을 맞붙이기 위한, 예를 들어 자외선 경화 수지, 열경화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고, 제조 프로세스에 있어서 TFT 어레이 기판 (10) 상에 도포된 후, 자외선 조사, 가열 등에 의해 경화된 것이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일부 (52) 중에는, TFT 어레이 기판 (10) 과 대향 기판 (20) 의 간격 (기판간 갭) 을 소정치로 하기 위한 글라스 파이버 (glass fiber) 또는 글라스 비드 (glass bead) 등의 갭재가 산포되어 있다. 덧붙여, 제 1 시일부 (52a) 및 제 2 시일부 (52b) 는, 화상 표시 영역 (10a) 의 주위에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시일부 (52a) 및 제 2 시일부 (52b) 에 포함되는 갭재 (57) 에 의해, TFT 어레이 기판 (10) 및 대향 기판 (20) 의 각각의 주연부을 따라 이들 기판 사이의 갭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을 따라, 화상 표시 영역 (10a) 에 있어서의 TFT 어레이 기판 (10) 및 대향 기판 (20) 의 갭도 일정하게 유지되고, 기판면 내에 있어서의 갭의 불균일성에 기인하는 화질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 에 있어서, 공간 (55) 은, TFT 어레이 기판 (10) 의 기판면 내에 있어서, 봉지부 (56), 제 1 시일부 (52a) 및 제 2 시일부 (52b) 에 둘러싸여 있고, 봉지부 (56), 제 1 시일부 (52a) 및 제 2 시일부 (52b) 를 통하여 TFT 어레이 기판 (10) 및 대향 기판 (20) 을 맞붙인 상태에서, 액정 장치 (1) 의 외부로부터 밀폐된 밀폐 공간이다.
여기서, 도 3 을 참조하면서 수분 등의 이물의 침입이 저감되는 상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은, 수분 등의 이물의 침입이 저감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 에 있어서, 제 1 시일부 (52a) 및 제 2 시일부 (52b), 그리고 공간 (55) 에 의하면, 화상 표시 영역 (10a) 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속한 하나의 시일부에 의해 화상 표시 영역 (10a) 을 둘러싸는 경우에 비해,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수분 등의 이물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시일부 (52a) 및 제 2 시일부 (52b) 사이에 개재하는 공간 (55) 이 수분 등에 대한 완충 영역으로서 기능하고, 외측의 제 1 시일부 (52a) 를 통과한 수분 등의 이물 중 내측의 제 2 시일부 (52b) 에 도달하는 양이 저감된다. 따라서, 화상 표시 영역 (10a) 에 침입하는 수분 등의 이물의 침입량이 현격히 저감된다.
다시 도 1 및 도 2 에 있어서, 공간 (55) 은, 제 1 시일부 (52a) 및 제 2 시일부 (52b) 및 봉지부 (56), 그리고 TFT 어레이 기판 (10) 기판 및 대향 기판 (20) 에 의해 둘러싸인 3 차원적으로 밀폐된 공간이며, 외부와 격절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시일부 (52) 및 제 2 시일부 (52b) 의 가장자리 측으로부터 수분 등이 공간 (55) 에 침입하는 것이 저감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일부 (52) 는 제 1 시일부 (52a) 및 제 2 시일부 (52b) 로 구성되어 있는데, 시일부 (52) 는 당해 시일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시일부로 구성되어 있으면, 보다 효과적으로 화상 표시 영역 (10a) 에 대한 수분 등의 침입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시일부를 3 개 이상으로 함으로써, 화상 표시 영역 (10a) 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이들 시일부를 서로 격리시키는 공간이 많아지고, 수분 등의 침입에 대하여 완충 영역으로서 기능하는 공간이 많아진다. 따라서, 화상 표시 영역 (10a) 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연속한 하나의 시일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수분 등의 침입에 대한 시일성을 높이면서, 화상 표시 영역 (10a) 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각 시일부의 폭도 좁힐 수 있다. 이로써, 시일부가 형성되는 시일영역의 폭을 좁히면서, 일정한 면적이 되는 TFT 어레이 기판 (10) 의 기판면에 있어서의 보다 넓은 영역을 화상 표시 영역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액정 장치 (1) 에 의하면, 수분 등의 침입에 기인하는 액정층의 열화를 저감시킬 수 있고, 표시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액정 장치 (1) 의 표시 품위를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도 1 에 있어서, 시일부 (52) 가 배치된 시일영역의 내측에 병행하여, 화상 표시 영역 (10a) 의 액자 영역을 규정하는 차광성의 액자 차광막 (53) 이, 대향 기판 (20) 측에 형성되어 있다. 단, 이러한 액자 차광막 (53) 의 일부 또는 전부는, TFT 어레이 기판 (10) 측에 내장 차광막으로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화상 표시 영역 (10a) 의 주변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이 존재한다. 바꾸어 말하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특히, TFT 어레이 기판 (10) 의 중심에서 볼때, 이 액자 차광막 (53) 보다 바깥쪽이 주변 영역으로서 규정되어 있다.
주변 영역 중, 시일부 (52) 가 배치된 시일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영역에는, 데이터선 구동 회로 (101) 및 외부 회로 접속 단자 (102) 가 TFT 어레이 기판 (10) 의 한 변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주사선 구동 회로 (104) 는, 이 한 변에 인접하는 두 변을 따르고 또한 액자 차광막 (53) 에 덮이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화상 표시 영역 (10a) 의 양측에 형성된 2 개의 주사선 구동 회로 (104) 사이를 연결하기 위하여, TFT 어레이 기판 (10) 의 남은 한 변을 따르고 또한 액자 차광막 (53) 에 덮이도록 하여 복수의 배선이 형성되어 있다.
대향 기판 (20) 의 4 개의 코너부에는, 양 기판 사이의 상하 도통 단자로서 기능하는 상하 도통재 (106) 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TFT 어레이 기판 (10) 에는 이러한 코너부에 대향하는 영역에 있어서 상하 도통 단자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에 의해, TFT 어레이 기판 (10) 과 대향 기판 (20) 사이에 전기적인 도통을 취할 수 있다.
도 2 에 있어서, TFT 어레이 기판 (10) 상에는, 화소 스위칭용의 TFT 나 주사선, 데이터선 등의 배선이 형성된 후의 화소 전극 (9a) 상에, 배향막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대향 기판 (20) 상에는, 대향 전극 (21) 외에 격자 형상 또는 스트라이프 형상의 차광막 (23) 이 형성되고 또한 최상층 부분에 배향막이 형성되어 있다. 액정층 (50) 은, 예를 들어 1 종 또는 수 종류의 네마틱 액정을 혼합한 액정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1 쌍의 배향막 사이에서 소정의 배향 상태를 취한다.
TFT 어레이 기판 (10) 은, 예를 들어 석영 기판, 유리 기판, 실리콘 기판 등의 투명 기판이다. 대향 기판 (20) 도 TFT 어레이 기판 (10) 과 동일하게 투명 기판이다.
TFT 어레이 기판 (10) 에는 화소 전극 (9a) 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측에는 러빙 처리 등의 소정의 배향 처리된 배향막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화소 전극 (9a) 은 ITO (Indium Tin Oxide) 막 등의 투명 도전성막으로 이루어지고, 배향막은 폴리이미드막 등의 유기막으로 이루어진다.
대향 기판 (20) 에는 그 전체면에 걸쳐 대향 전극 (21) 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측에는 러빙 처리 등의 소정의 배향 처리된 배향막 (22) 이 형성되어 있다. 대향 전극 (21) 은 예를 들어, ITO 막 등의 투명 도전성막으로 이루어진다. 배향막 (22) 은 폴리이미드막 등의 유기막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고, 화소 전극 (9a) 과 대향 전극 (21) 이 대면하도록 배치된 TFT 어레이 기판 (10) 과 대향 기판 (20) 사이에는, 액정층 (50) 이 형성된다. 액정층 (50) 은, 화소 전극 (9a) 으로부터의 전계가 인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배향막에 의해 소정의 배향 상태를 취한다.
또한,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TFT 어레이 기판 (10) 상에는, 이들 데이터선 구동 회로 (101), 주사선 구동 회로 (104) 등의 구동 회로에 추가하여, 화상 신호 선상의 화상 신호를 샘플링하여 데이터선에 공급하는 샘플링 회로, 복수의 데이터선에 소정 전압 레벨의 프리차지 신호를 화상 신호에 선행하여 각각 공급하는 프리차지 회로, 제조 도중이나 출하 시의 당해 액정 장치의 품질, 결함 등을 검사하기 위한 검사 회로 등을 형성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액정 장치에 의하면, 화상 표시 영역 (10a) 에 대한 수분 등의 침입이 저감되어 있기 때문에, 만일 고온 고습 환경 하에서 액정 장치가 사용되었을 경우라도, 장기간에 걸쳐 고품위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액정 장치의 통상적인 사용 환경 하에서는, 보다 한층 표시 품위의 저하가 억제된 상태에서 장기간에 걸쳐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1-2 : 액정 장치의 변형예>
도 5 에 있어서, 액정 장치 (201) 는 공간 (55) 을 분할실 (55a) 및 분할실 (55b) 등의 복수의 분할실로 나누는 격벽부 (58) 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격벽부 (58) 는, 시일부 (52) 와 서로 전후하여 또는 병행하여 형성된다. 격벽부 (58) 에 의하면, 분할실 (55a) 및 (55b) 의 일방에 있어서의 밀폐성이 손상된 경우 라도, 당해 일방의 분할실로부터만 화상 표시 영역 (10a) 에 수분 등의 이물이 침입할 뿐이기 때문에, 화상 표시 영역 (10a) 의 주위 전체로부터 수분 등이 침입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1-3 : 액정 장치의 제조 방법>
다음으로, 도 6 및 도 7 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 3 발명에 관련된 액정 장치의 제조 방법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6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액정 장치의 제조 방법의 주요한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고, 도 7 은 시일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액정 장치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액정 장치 (1) 를 제조할 수 있다.
도 6 에 있어서, 예를 들어 증착이나 스퍼터링 등에 의한 성막, 에칭이나 포토그래피 등에 의한 패터닝, 열처리 등에 의해, 데이터선이나 주사선, TFT 등이 적층된 적층 구조 및 화소 전극, 그리고 배향막 등이 형성된 TFT 어레이 기판 (10) 의 기판면 상에 시일재를 패터닝한다 (S11).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일재는 디스펜서 (59) 등의 공급 수단을 사용하여 시일영역에 공급되고, 후의 공정을 거쳐 제 1 시일부 (52a) 및 2 시일부 (52b) 가 되어야 할 부분 및 봉지부 (56) 가 되어야 할 부분이 도면 중 화살표을 따라 하나의 단일 연속 라인으로 패터닝된다. 따라서, 소정의 패턴 형상이 되도록 디스펜서 등의 공급 수단에 의해 시일재를 연속하여 시일영역에 공급함으로써, 미경화된 시일부 (52) 및 봉지부 (56) 를 간편하게 패터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일부 (52) 및 봉지부 (56) 는 동일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다시 도 6 에 있어서, 미경화된 시일부 (52) 및 봉지부 (56) 를 통하여 TFT 어레이 기판 (10) 및 대향 기판 (20) 을 맞붙인다 (S12). 다음으로, UV 조사 및 열경화에 의해 시일부 (52) 및 봉지부 (56) 를 경화하고, TFT 어레이 기판 (10) 및 대향 기판 (20) 을 접착한다. 다음으로, TFT 어레이 기판 (10) 및 대향 기판 (20) 사이의 화상 표시 영역 (10a) 이 되어야 할 영역에 주입구로부터 액정을 주입하여 액정층 (50) 을 형성한다. 그 후, 액정 봉지부 (156) 에 의해 액정층 (50) 을 봉지하여, 액정 장치가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액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장기간에 걸쳐 사용해도 표시 품위의 저하가 상대적으로 작은 액정 장치 등의 액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2-1 : 액정 장치의 구성>
다음으로, 도 8 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 2 발명에 관련된 액정 장치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8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액정 장치 (301) 의 주요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 에 있어서, 액정 장치 (301) 는 제 1 시일부 (62a) 및 제 2 시일부 (62b) 로 이루어지는 시일부 (62) 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시일부 (62a) 및 제 2 시일부 (62b) 는, 화상 표시 영역 (10a) 의 주위에 위치하는 시일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시일부 (62a) 및 제 2 시일부 (62b) 의 각각의 양 가장자리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이들 제 1 시일부 (62a) 및 제 2 시일부 (62b) 로 격리시키는 공간 (65) 이 봉지되어 있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액정 장치와 상이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시일부 (62a) 및 제 2 시일부 (62b) 의 각각은, TFT 어레이 기판 (10) 상에 있어서 화상 표시 영역 (10a) 을 둘러싸듯이 막힌 평면 형상을 갖고 있다. 이러한 시일부 (62) 에 의하면, 액정 장치 (1) 와 동일하게, 수분 등의 침입에 기인하는 액정층의 열화를 저감시킬 수 있어, 표시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일부 (62) 는, 제 1 실시형태의 시일부 (52) 와 동일하게 3 개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격벽부를 형성함으로써 이들 시일부 사이를 서로 격리시키는 공간이 복수의 분할실로 나뉘어져 있어도 되며, 액정 장치 (1) 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공간 (65) 은, 진공 상태 또는 질소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가 충전된 상태로 유지되어도 된다. 또한, 후술하는 액정을 TFT 어레이 기판 (10) 상에 공급하는 공정과, TFT 어레이 기판 (10) 및 대향 기판 (20) 을 맞붙이는 공정의 양방의 공정, 또는 기판을 맞붙이는 공정만을 진공 상태 또는 불활성 가스 분위기 중에서 실시함으로써, 공간 (65) 을 진공 상태 또는 질소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가 충전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액정 장치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액정 장치와 동일하게, 공간 (65) 이 수분 등의 침입을 저감시키는 완충 영역으로서 기능하고, 장치 외부로부터 화상 표시 영역 (10a) 에 수분 등이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 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액정 장치에 의하면, 표시 품위를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액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2-2 : 액정 장치의 제조 방법>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 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액정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9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액정 장치의 제조 방법 중 주요한 공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고, 도 10 은 액정 공급 공정 및 기판 맞붙임 공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액정 장치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액정 장치 (301) 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액정 장치의 제조 방법은, 액정 장치의 제조 방법의 하나인 ODF 방식에 특히 적합하다.
도 9 에 있어서, 예를 들어 증착이나 스퍼터링 등에 의한 성막, 에칭이나 포토그래피 등에 의한 패터닝, 열처리 등에 의해, 데이터선이나 주사선, TFT 등이 적층된 적층 구조 및 화소 전극, 그리고 배향막 등이 형성된 TFT 어레이 기판 (10) 의 기판면 상에, 미경화의 제 1 시일부 (62a) 및 제 2 시일부 (62b) 를 패터닝한다 (S11).
다음으로, 디스펜서 (69) 등의 공급 수단을 사용하고, 제 2 시일부 (62b) 에 의해 둘러싸인 화상 표시 영역 (10a) 이 되어야 할 영역에 액정 (50a) 을 공급한다 (S14A). 다음으로, TFT 어레이 기판 (10) 및 대향 기판 (20) 을 맞붙인다 (S12A).
여기서, 도 10 을 참조하면서, 액정 공급 공정 및 맞붙임 공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 에 있어서, 제 1 시일부 (62a) 및 제 2 시일부 (62b) 까지가 형성된 TFT 어레이 기판 (10) 은, 진공 상태 또는 질소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 분위기로 채워진 챔버 (400A) 에 반송되고, 액정 (50a) 이 공급된다. 다음으로, 액정 (50a) 이 공급된 TFT 어레이 기판 (10) 은, 진공 상태 또는 불활성 가스 분위기로 채워진 챔버 (400B) 에 반송되고, 챔버 (400B) 내에서 TFT 어레이 기판 (10) 및 대향 기판 (20) 이 맞붙임된다. 이와 같이 진공 상태 또는 불활성 가스 분위기로 채워진 챔버 내에서 액정 공급 공정 및 기판 맞붙임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제 1 시일부 (62a) 및 제 2 시일부 (62b) 를 서로 격리시키는 공간 (65) 을 진공 상태 또는 불활성 가스가 충전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완성 후의 액정 장치에 있어서, 수분 등이 화상 표시 영역 (10a) 에 침입하는 침입량을 현격히 저감시킬 수 있다.
다시 도 9 에 있어서, 미경화된 시일부 (62) 를 UV 조사 및 열경화에 의해 경화하고, TFT 어레이 기판 (10) 및 대향 기판 (20) 을 접착한다 (S13A). 이로써, TFT 어레이 기판 (10) 및 대향 기판 (20) 사이에 액정층이 협지된 액정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액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장기간에 걸쳐 사용해도 표시 품위의 저하가 상대적으로 작은 액정 장치 등의 액정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전자 기기>
다음으로, 도 11 을 참조하면서 상기 서술한 액정 장치를 각종 전자 기기에 적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자 기기는, 상기 서술한 액정 장치를 라이트 밸브로서 사용한 프로젝터이다. 도 11 은, 상기 서술한 액정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의 일례인 프로젝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젝터 (1100) 내부에는 할로겐 램프 등의 백색 광원으로 이루어지는 램프 유닛 (1102) 이 형성되어 있다. 이 램프 유닛 (1102) 으로부터 사출된 투사광은, 라이트 가이드 (1104) 내에 배치된 4 장의 미러 (1106) 및 2 장의 다이크로익 미러 (1108) 에 의해 RGB 의 3 원색으로 분리되고, 각 원색에 대응하는 라이트 밸브로서의 액정 패널 (1110R), (1110B) 및 (1110G) 에 입사된다.
액정 패널 (1110R), (1110B) 및 (1110G) 의 구성은, 상기 서술한 액정 장치와 동등하고, 화상 신호 처리 회로로부터 공급되는 R, G, B 의 원색 신호로 각각 구동되는 것이다. 이들 액정 패널에 의해 변조된 광은, 다이크로익 프리즘 (1112) 에 3 방향에서 입사된다. 이 다이크로익 프리즘 (1112) 에 있어서는, R 및 B 의 광이 90 도로 굴절하는 한편, G 의 광은 직진한다. 따라서, 각 색의 화상이 합성되는 결과, 투사 렌즈 (1114) 를 통하여 스크린 등에 컬러 화상이 투여되게 된다.
여기서, 각 액정 패널 (1110R), (1110B) 및 (1110G) 에 의한 표시 이미지에 대하여 주목하면, 액정 패널 (1110G) 에 의한 표시 이미지는, 액정 패널 (1110R), (1110B) 에 의한 표시 이미지에 대하여 좌우 반전된다. 또한, 액정 패널 (1110R), (1110B) 및 (1110G) 에는, 다이크로익 미러 (1108) 에 의해, R, G, B 의 각 원색에 대응하는 광이 입사하므로, 컬러 필터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자 기기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액정 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품위의 표시가 가능하고, 또한 신뢰성이 우수한 투사형 표시 장치, 휴대 전화, 전자 수첩, 워드 프로세서, 뷰파인더형 또는 모니터 직시형의 비디오 테잎 레코더, 워크스테이션, 화상 전화, POS 단말, 터치 패널 등의 각종 전자 기기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그러한 액정 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전자 기기에 의하면, 수분 등의 침입에 기인하는 액정층의 열화를 저감시킬 수 있어, 표시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액정 장치의 표시 품위를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협지된 액정층과,
    상기 제 1 기판 상에서 상기 액정층에 의해 표시되는 표시 영역의 주위에 위치하는 시일영역에 있어서, 상기 시일영역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되고, 또한 상기 표시 영역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서로 공간을 격리시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을 서로 맞붙이는 복수의 시일부와,
    상기 복수의 시일부의 각각의 가장자리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공간을 봉지하는 봉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
  2.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협지된 액정층과,
    상기 제 1 기판 상에서 상기 액정층에 의해 표시되는 표시 영역의 주위에 위치하는 시일영역에 있어서, 상기 시일영역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되고, 또한 상기 표시 영역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서로 공간을 격리시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시일영역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표시 영 역을 둘러싸듯이 각각의 양 가장자리가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을 서로 맞붙이는 복수의 시일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은, 진공 상태 또는 불활성 가스가 충전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일부의 각각은, 상기 1 쌍의 기판 사이의 갭을 소정치로 유지하기 위한 갭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을 복수의 분할실로 나누는 격벽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
  6.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사이에 협지된 액정층에 의해 표시되어야 할 상기 제 1 기판 상의 표시 영역의 주위에 위치하는 시일영역에 있어서, 상기 시일영역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상기 표시 영역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서로 공간을 격리시켜 형성되는 복수의 시일부, 및 상기 복수의 시 일부의 각각의 가장자리를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공간을 봉지하는 봉지부를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복수의 시일부를 통하여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을 서로 맞붙이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부는, 상기 시일부와 동일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의 제조 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을 봉지하기 위한 액정 봉지부를, 상기 복수의 시일부의 각각의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의 제조 방법.
  9.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사이에 협지된 액정층에 의해 표시되어야 할 상기 제 1 기판 상의 표시 영역의 주위에 위치하는 시일영역에 있어서, 상기 시일영역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상기 표시 영역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서로 공간을 격리시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시일영역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듯이 또한 상기 공간이 연속하여 연결되도록 각각의 양 가장자리가 서로 연결된 복수의 시일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진공 중 또는 불활성 가스 분위기 중에서 상기 액정층을 상기 표시 영역에 공급하는 공정과,
    상기 진공 중 또는 상기 불활성 가스 분위기 중에서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을 서로 맞붙이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의 제조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정 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070022477A 2006-03-07 2007-03-07 액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전자 기기 KR200700921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60562 2006-03-07
JP2006060562A JP2007240690A (ja) 2006-03-07 2006-03-07 液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2160A true KR20070092160A (ko) 2007-09-12

Family

ID=38478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2477A KR20070092160A (ko) 2006-03-07 2007-03-07 액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211202A1 (ko)
JP (1) JP2007240690A (ko)
KR (1) KR20070092160A (ko)
CN (1) CN101034234A (ko)
TW (1) TW2007392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10982B2 (en) 2008-02-14 2012-02-07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458914B1 (ko) * 2008-08-20 2014-1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14905B2 (en) * 2007-09-20 2012-11-20 Sony Corporation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apparatus
CN101706631B (zh) * 2009-11-03 2011-12-28 深超光电(深圳)有限公司 显示面板
CN102593311A (zh) * 2011-01-17 2012-07-18 亚世达科技股份有限公司 光源封装结构及其制作方法及液晶显示器
JP5637629B2 (ja) * 2011-07-22 2014-12-1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02650771B (zh) 2011-11-08 2014-08-06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液晶面板及其制造方法和显示器
JP2014071438A (ja) * 2012-10-02 2014-04-21 Japan Display Inc 液晶表示装置
CN103076699B (zh) * 2013-01-25 2016-02-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JP2014145890A (ja) * 2013-01-29 2014-08-14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150026448A (ko) 2013-09-03 2015-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30734B1 (ko) 2014-03-06 2020-07-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JP2016038434A (ja) 2014-08-06 2016-03-2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JP2018081258A (ja) * 2016-11-18 2018-05-2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パネル及び表示装置
CN108107632A (zh) * 2016-11-25 2018-06-01 南京瀚宇彩欣科技有限责任公司 显示面板与其制造方法
US11133580B2 (en) * 2017-06-22 2021-09-28 Innolux Corporation Antenna device
US10756297B2 (en) * 2018-04-19 2020-08-25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Flexible panel,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and display device
JP2019215410A (ja) * 2018-06-12 2019-12-19 凸版印刷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CN108594542B (zh) * 2018-06-22 2024-05-10 浙江富申科技有限公司 分区域显示的胆甾型液晶电子纸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JP2020160322A (ja) * 2019-03-27 2020-10-0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212808869U (zh) 2020-10-16 2021-03-26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及电子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5103A (en) * 1992-02-21 1994-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ouble seal pattern for a liquid crystal device with curved ends
TWI318316B (en) * 2003-08-29 2009-12-11 Innolux Display Corp Liquid crystal display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100652057B1 (ko) * 2004-04-02 2006-12-0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페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10982B2 (en) 2008-02-14 2012-02-07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458914B1 (ko) * 2008-08-20 2014-1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39217A (en) 2007-10-16
US20070211202A1 (en) 2007-09-13
CN101034234A (zh) 2007-09-12
JP2007240690A (ja) 200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92160A (ko) 액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전자 기기
RU2474852C1 (ru) Жидкокристаллическая панель и жидкокристалл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US11762242B2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WI407192B (zh) 液晶裝置
US7456920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optical device, device for manufacturing the same,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7178726A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電子機器
JP2005258290A (ja) 電気光学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KR20080050822A (ko) 액정표시장치
JP2007193160A (ja) 電気光学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JP2007240811A (ja) 電気光学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JP2007248743A (ja) 液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JP4626528B2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20100053031A1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7248832A (ja) 液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JP2009063867A (ja) 液晶装置の製造方法
JP2014010210A (ja) 液晶装置、液晶装置の製造方法、電子機器
JP2006078930A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液晶装置の製造方法
KR20030042641A (ko) 도전성 기둥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JP2007199450A (ja) 液晶装置の製造方法、及び液晶装置、並びに電子機器
JP2008096767A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US20110090440A1 (en) Liquid crystal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9115995A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5228955B2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3160975A (ja) 液晶装置、液晶装置の製造方法、電子機器
JP2006078735A (ja) 電気光学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