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0822A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0822A
KR20080050822A KR1020060121605A KR20060121605A KR20080050822A KR 20080050822 A KR20080050822 A KR 20080050822A KR 1020060121605 A KR1020060121605 A KR 1020060121605A KR 20060121605 A KR20060121605 A KR 20060121605A KR 20080050822 A KR20080050822 A KR 20080050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substrate
display area
gat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1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1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0822A/ko
Priority to US11/810,859 priority patent/US7714951B2/en
Priority to TW096121140A priority patent/TWI377382B/zh
Priority to JP2007160482A priority patent/JP4747133B2/ja
Priority to CN2007101280527A priority patent/CN101196653B/zh
Publication of KR20080050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08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1Filling or clos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봉지제의 미경화에 의한 얼룩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전성 접착제를 통해 하부 기판과 상부 기판을 합착하는 액정패널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액정패널의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도전성 접착제에 공통 신호를 인가하는 공통 신호 배선을 형성할 때, 상기 액정 주입구에서는 이를 우회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공통 신호에 의해 빛이 차단되어, 상기 액정 주입구에 주입된 봉지제가 미경화되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어, 봉지제 미경화로 인한 얼룩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 {LCD}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어레이기판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 평면도이고,
도 3은 종래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를 확대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B를 확대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 액정표시장치 110 : 어레이기판
118 : 공통 신호 배선 150 : 도전성 실런트
160 : 구동회로 170 : 커넥터
200 : 컬러필터 기판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LCD)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정주입구를 봉지하는 봉지제의 미경화에 의한 얼룩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의 구동원리는 액정의 광학적 이방성과 분극성질을 이용한다.
상기 액정은 가늘고 긴 형상을 가지며, 분자의 배열에 방향성을 가지고 있는 동시에, 인위적으로 액정에 전기장을 인가하면 상기 분자배열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액정의 분자배열 방향을 임의로 조절하면, 액정의 분자배열이 변하게 되고, 광학적 이방성에 의해 상기 액정의 분자배열 방향으로 빛이 굴절하여 화상을 표현하게 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공통전극이 형성된 컬러필터 기판(상부기판)과 화소전극이 형성된 어레이기판(하부기판)과, 상부 및 하부기판 사이에 충진된 액정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액정표시장치에서는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이 상-하로 걸리는 전기장에 의해 액정을 구동하는 방식으로, 투과율과 개구율 등의 특성이 우수하다.
현재에는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에 연결된 화소전극이 행렬 방식으로 배열된 능동행렬 액정표시장치(AM-LCD : Active Matrix LCD)가 해상도 및 동영상 구현능력이 우수하여 가장 주목받고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액정표시장치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패널(51)은 액정층(미도시)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하여 구성된 제 1 기판(5)과 제 2 기판(10)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2 기판(10)과 마주보는 제 1 기판(5)의 일면에는 블랙매트릭스(6)와 컬러필터(적, 녹, 청)(7a,b,c)와, 컬러필터 상에 투명한 공통전극(9)이 구성된다.
상기 제 1 기판(5)과 마주보는 제 2 기판(10)에는 다수의 화소영역(P)이 정의되며, 상기 화소영역(P)의 일 측을 지나 연장 형성된 게이트 배선(14)과, 게이트 배선(14)이 지나는 화소영역(P)의 일 측과 평행하지 않은 타 측을 지나 연장 형성된 데이터 배선(26)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상기 화소영역(P)은 상기 게이트배선(14)과 데이터배선(26)이 교차하여 정의되는 영역이 되며, 두 배선의 교차지점에는 박막트랜지스터(T)가 구성된다.
상기 화소영역(P)에는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와 접촉하는 투명한 화소전극(32)이 구성되고 이는 인듐-틴-옥사이드(indium-tin-oxide : ITO)와 같이 빛의 투과율이 비교적 뛰어난 투명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 1 기판과(5)과 제 2 기판(10)을 실런트를 통해 합착하여 액정패널을 제작할 수 있으며, 상기 액정패널은 외부에 장착된 PCB를 통해 신호를 인가 받아 구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 기판(10)의 게이트 배선(14)으로는 주사신호(scanning signal)가 입력되고, 상기 데이터 배선(26)으로는 영상신호(data signal)가 인가되고, 상기 공통 전극(32)으로는 공통 신호(common signal)가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주사신호의 스위칭에 의해 상기 화소(P)의 화소 전극(32)으로 영상신호(data signal)가 인가되고, 상기 영상신호와 공통 신호에 의해 전계가 발생하여 액정을 구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각 배선(14,26)의 끝단은 이러한 외부 신호를 직접 받을 수 있는 게이트 패드(미도시)와 데이터 패드(미도시)가 구성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어레이 기판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일부를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어레이 기판은 절연 기판(10)상에 일 방향으로 연장된 게이트 배선(14)과, 이와는 교차하여 화소 영역(P)을 정의하는 데이터 배선(26)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배선(14)의 일 끝단에 게이트 패드(GP)가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 배선(26)의 일 끝단에는 데이터 패드(DP)가 구성된다.
상기 게이트 패드(GP)와 데이터 패드(DP)의 상부에는 각각 이들과 접촉하는 투명한 게이트 패드 전극(GPE)과, 데이터 패드 전극(DPE)이 구성된다.
상기 게이트 배선(14)과 데이터 배선(26)의 교차지점에는, 상기 게이트 배 선(14)과 접촉하는 게이트 전극(12)과, 게이트 전극(12)의 상부에 위치한 액티브층(16)과, 상기 액티브층(16)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데이터 배선(20)과 접촉하는 소스 전극(18)과 이와 이격된 드레인 전극(20)을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T)가 구성된다.
상기 화소 영역(P)에는 상기 드레인 전극(18)과 접촉하는 투명한 화소 전극(32)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게이트 배선(14)의 상부에는 상기 화소 전극(32)과 접촉하는 섬형상의 소스 드레인 금속층(24)을 제 1 전극으로 하고, 상기 게이트 배선(144)을 제 2 전극으로 하는 스토리지 캐패시터(Cst)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게이트 패드 및 데이터 패드(GP,DP)는 액정패널의 비표시 영역에 구성되며 이와 함께, 상기 비표시 영역에는 다수의 신호 배선이 구성된다.
특히, 전술한 구조의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제 1 기판(1의 5)에 구성된 공통 전극(도 1의 9)에 공통 신호를 인가하기 위하여, 상기 어레이기판의 비표시 영역에 공통 신호 배선(미도시)이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소형 액정패널을 제작할 때는, 상기 제 1 기판(5)과 제 2 기판(10)을 도전성 접착제(이하, "도전성 실런트"라 칭함)를 통해 합착하고, 상기 공통 신호 배선(미도시)을 부분적으로 노출하여 상기 접착제(미도시)와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공통전극(도 1의 9)에 공통 신호를 인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구조로 형성된 종래의 액정패널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은 종래에 따른 액정패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패널(51)은 전술한 제 1 기판(도 1의 5, 이하 "컬러피터 기판"이라 칭함)과 제 2 기판(도 1의 9, 이하 "어레이 기판"이라 칭함)을 도전성 실런트(sealant, 80)를 통해 합착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어레이 기판(10)과 컬러필터 기판(5)은 표시 영역(DA)과 비표시영역(DA)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통상, 표시영역(DA)의 둘레를 비표시 영역(NDA)이라 정의 한다.
이때, 상기 어레이 기판(10)은 컬러필터 기판(5)의 외부로 비표시 영역(NDA)이 연장된 형태이며 연장된 비표시 영역(NDA)에는 상기 게이트 패드 및 데이터 패드(도 2의 GP,DP)와 연결되어 신호를 전달하는 구동회로(90)와, PCB 기판(미도시)에 연결된 터미널배선의 커넥터가 끼워지고 상기 구동회로(90)에 신호를 전달하는 커넥터(94)가 구성된다.
한편, 상기 컬러필터 기판(5)과 어레이 기판(10)은 도전성 실런트(80)를 통해 합착되는데, 상기 실런트(80)는 상기 컬러필터 기판(5)과 어레이기판(10)을 합착하는 역할 뿐 아니라, 액정패널(51) 내부에 구성하는 셀 갭(cell gap) 유지수단(미도시)을 보조하여 두 기판(5,10)의 갭(gap)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두 기판(5,10)사이에 주입된 액정(미도시)을 가두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액정(미도시)을 주입하는 통로인 액정 주입구(G)는 상기 어레이 기판(10) 또는 컬러필터 기판(5)에 실런트(80)를 코팅(또는 디스펜싱)할 때, 개구부를 두어 구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실런트(80)를 통해 두 기판(5,10)을 합착한 후, 상기 주입구(G)로 액정(미도시)을 주입한 후에는, 상기 액정 주입구(G)를 봉지제(98)를 이용하여 봉지하게 되다.
이때, 액정주입구(G)를 위로 향하도록 한 다수의 액정패널(51)을 정렬한 후, 상기 봉지제(98)를 머금은 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주입구(G)가 형성된 액정패널(51)의 일 측에 봉지제(98)를 묻히는 공정을 진행한다. 이때, 모세관 현상으로 인해 상기 액정 주입구(G)의 일정 깊이까지 봉지제가 존재하게 된다.
상기, 봉지제(98)는 자외선 조사를 통한 광경화 공정으로 단단히 굳어지게 되며, 이로써 상기 액정패널(51)을 봉지 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액정패널(51)의 비표시 영역(NDA)을 둘러 구성된 상기 공통 신호 배선(92)에 의해 상기 봉지제(98)가 미경화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대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A 를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실런트(80)의 일부를 오픈하여 구성한 액정 주입구(G)에, 봉지제(98)가 채워져 있다.
이때, 상기 액정 주입구(G)를 가로질러, 공통 신호 배선(92)이 패턴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봉지제(98)를 경화하기 위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경우, 자외선이 상기 공통 신호 배선(92)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봉지제(98)가 미경화되는 불량 이 발생하게 된다.
물론, 반대 방향 즉, 컬러필터 기판(5) 방향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경우도 생각해 볼 수 있지만, 컬러필터의 둘레는 이미 빛 차단수단(미도시)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외선 조사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공통 신호 배선(92)이 위치한 방향으로 비스듬히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공정을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공통 신호 배선(92)에 의해 가려진 부분은 미경화 되고, 이는 액정(미도시)에 영향을 미쳐 액정이 열화 되는 원인이 된다.
결과적으로, 액정 주입구(G)의 주변에서 얼룩불량이 발생하게 되어 액정패널의 화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액정 주입구를 밀봉하는 봉지제의 미경화로 인해 오염성 얼룩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표시영역과, 표시영역의 둘레에 비표시 영역을 정의한 제 1 및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의 표시 영역에 구성된 박막트랜지스터와 화소 소전극과, 다수 어레이 배선과 상기 제 1 기판과 마주보는 제 2 기판의 일면에 구성된 빛 차단수단과, 컬러필터와, 공통 전극과;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의 비 표시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두 기판을 합착하며 일 측이 개구된 액정 주입구를 포함하는 접착제와; 상기 제 1 기판의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액정 주입구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제 1 기판의 외부 방향으로 우회하여 패턴된 공통 신호배선을 포함하다.
상기 접착제는 도전성을 가지며, 상기 공통 신호 배선과 상기 공통 전극과 동시에 접촉하며 구성된다.
상기 공통 신호 배선이 액정 주입구를 지나도록 형성될 경우, 상기 액정주입구에 대응한 부분은 슬릿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레이 배선은, 상기 화소 영역의 일 측에 구성되고 일 끝단에 게이트 패드를 포함하는 게이트 배선과; 상기 게이트 배선과 교차하는 화소 영역의 타 측에 구성되고, 일 끝단에 데이터 패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배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는 상기 게이트 배선과 연결되는 게이트 전극과, 상기 게이트 전극의 상부에 구성된 액티브층및 오믹 콘택층과, 상기 오믹 콘택층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데이터 배선과 접촉하는 소스 전극과, 이와 이격된 드레인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어레이 기판은 상기 컬러필터 기판의 일 측으로 비표시 영역이 연장된 형태이고, 상기 연장된 부분에는 구동회로를 더욱 포함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 실시예 --
본 발명의 특징은 액정 주입구의 봉지제가 빛으로부터 차단되지 않고 완벽히 경화될 수 있도록, 상기 액정 주입구에 대응되는 공통 신호 배선의 형태를 다양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패널(100)은 어레이 기판(110)과 컬러필터 기판(200)을 도전성 실런트(150)를 통해 합착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어레이 기판(110)의 일 측 비표시 영역(NDA)이 컬러필터 기판(200)의 외부로 연장된 형태이며, 상기 연장된 부분에는 상기 게이트 패드 및 데이터 패드(미도시)와 연결되어 신호를 전달하는 구동회로(160)와, PCB 기판(미도시)에 연결된 터미널배선의 커넥터가 끼워지는 PCB 커넥터(170)가 구성된다.
한편, 상기 컬러필터 기판(200)과 어레이 기판(110)을 합착하는 상기 도전성 실런트(150)는 상기 컬러필터 기판(200)과 어레이 기판(110)을 합착하는 역할 뿐 아니라, 액정패널 내부에 구성하는 셀갭(cell gap) 유지수단을 보조하여 두 기판의 갭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주입된 액정을 가두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액정패널(100)의 주변으로 공통 신호 배선(118)이 구성되는데, 상기 실런트(150)의 개구부인 액정주입구(G)에 대응한 부분은 우회하여 패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대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5의 B를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실런트(150)의 일부가 개구된 액정 주입구(G)에 봉지제(180)가 채워져 있다.
이때, 상기 액정 주입구(G)의 바깥쪽으로 우회하여 공통 신호 배선(118)을 패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봉지제(180)를 경화하기 위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경우, 종래와 달리 액정 주입구(G)에 대응한 부분이 상기 공통 신호 배선(118)에 의해 가려지지 않기 때문에 상기 봉지제(180)가 정상적으로 경화 될 수 있다.
따라서, 봉지제 미경화에 의한 얼룩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공통 신호 배선(118)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며 일예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액정 주입구(G)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공통 신호 배선(118)이 존재하되 상기 봉지제(180)가 위치한 영역에 대응한 부분은 가로방향으로 구성된 다수의 슬릿(S)이 존재하도록 패턴한다.
이와 같이 하면, 빛은 상기 슬릿(S)을 통해 회절하면서 상기 봉지제(180) 전체에 조사될 수 있기 때문에, 봉지제(180)의 미경화가 발생하는 부분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정패널의 단면 구성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패널(100)은 액정층(LC)을 사이에 두 고 어레이 기판(110)과 컬러필터 기판(200)을 합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액정패널(100)은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다수의 화소(P)가 밀집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부분을 표시 영역(DA)이라 하고, 표시 영역(DA)의 둘레를 비표시 영역(NDA)이라 한다.
한편, 상기 어레이 기판(110)과 컬러필터 기판(200)은 도전성 실런트(150)를 통해 합착하여 구성되며, 실런트(150)의 일부에 개구부를 구성하여 액정 주입구(도 6의 G)가 제작된다.
상기 컬러필터 기판(200)은 화소 영역(P)에 대응하여 적,녹,청 컬러필터(204a,204b,204c)가 구성되고, 상기 화소 영역(P)사이 및 비표시 영역(NDA)에 대응하여 차단수단(202)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차단수단(202)과 컬러필터(204a,204b,204c)가 구성된 기판(200)의 전면에는 투명한 공통 전극(206)이 구성된다.
상기 어레이 기판(110)은 표시 영역(DA)에 대응하여 다수의 화소 영역(P)이 구성되고, 상기 화소 영역(P)의 일 측과 타 측에 교차하여 게이트 배선(미도시)과 데이터 배선(130)이 구성되고, 상기 게이트 배선(미도시)과 데이터 배선(130)의 교차지점에 게이트 전극(112)과 액티브층및 오믹 콘택층(122,124)과 소스 전극(124)과 드레인 전극(126)을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T)가 구성된다.
상기 화소 영역(P)에는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의 드레인 전극(126)과 접촉하는 화소 전극(138)이 구성된다.
상기 어레이 기판(110)의 비표시 영역(NDA)에는 상기 게이트 배선(미도시)의 일 끝단에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게이트 신호를 받는 게이트 패드(116)가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 배선(130)의 일 끝단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영상신호를 받는 데이터 패드(미도시)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게이트 패드 및 데이터 패드(116, 미도시)가 구성된 바깥쪽에 대응하는 기판(110)의 둘레에 공통 신호 배선(118)이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공통 신호 배선(118)은 상기 게이트 배선(미도시)과 동일층 동일물질로 구성되며, 상기 도전성 실런트(150)와 접촉한다.
한편, 상기 공통 신호 배선(118)이 상기 게이트 배선 및 게이트 패드(미도시, 116)와 동일층에 구성되기 때문에, 상위층에 구성된 데이터 배선(130)과 동일한 물질로 상기 게이트 패드(116)와 접촉하는 배선을 형성하여 외부의 구동회로(도 5의 160)로부터 신호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도전성 실런트(150)는 상기 공통 신호 배선(118)과 상기 공통 전극(206)과 동시에 접촉하면서 구성되고, 상기 공통 신호 배선(118)으로 부터 전달된 공통 신호를 상기 공통 전극(206)에 전달하는 역할을 동시에 하게 된다.
전술한 구성에서 특징적인 것은, 상기 실런트(150)의 오픈부인 액정 주입구(도 5의 G)에 대응하여 바깥쪽으로 우회하여 구성하거나, 상기 다수의 슬릿(도 7의 S)형태로 구성하여 신호는 전달하면서 빛은 투과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패널은, 상기 액정패널의 둘레에 구성된 공통 신호배선에 의해 액정주입구의 봉지제가 미 경화되는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의 일 측에 구성된 액정 주입구의 봉지제가 미경화 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미경화에 의한 얼룩 불량이 발생되지 않아 고화질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표시영역과, 표시영역의 둘레에 비표시 영역을 정의한 제 1 및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의 표시 영역에 구성된 박막트랜지스터와 화소 소전극과, 다수 어레이 배선과
    상기 제 1 기판과 마주보는 제 2 기판의 일면에 구성된 빛 차단수단과, 컬러필터와, 공통 전극과;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의 비 표시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두 기판을 합착하며 일 측이 개구된 액정 주입구를 포함하는 접착제와;
    상기 제 1 기판의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액정 주입구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제 1 기판의 외부 방향으로 우회하여 패턴된 공통 신호배선
    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2. 상기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도전성을 가지며, 상기 공통 신호 배선과 상기 공통 전극과 동시에 접촉하여 구성된 액정표시장치.
  3. 상기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신호 배선이 액정 주입구를 지나도록 형성될 경우, 상기 액정주입구에 대응한 부분은 슬릿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상기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배선은, 상기 화소 영역의 일 측에 구성되고 일 끝단에 게이트 패드를 포함하는 게이트 배선과;
    상기 게이트 배선과 교차하는 화소 영역의 타 측에 구성되고, 일 끝단에 데이터 패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배선
    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선택된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는 상기 게이트 배선과 연결되는 게이트 전극과, 상기 게이트 전극의 상부에 구성된 액티브층및 오믹 콘택층과, 상기 오믹 콘택층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데이터 배선과 접촉하는 소스 전극과, 이와 이격된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기판은 상기 컬러필터 기판의 일 측으로 비표시 영역이 연장된 형태이고, 상기 연장된 부분에는 구동회로를 더욱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60121605A 2006-12-04 2006-12-04 액정표시장치 KR20080050822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605A KR20080050822A (ko) 2006-12-04 2006-12-04 액정표시장치
US11/810,859 US7714951B2 (en) 2006-12-04 2007-06-07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096121140A TWI377382B (en) 2006-12-04 2007-06-12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7160482A JP4747133B2 (ja) 2006-12-04 2007-06-18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2007101280527A CN101196653B (zh) 2006-12-04 2007-06-22 液晶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605A KR20080050822A (ko) 2006-12-04 2006-12-04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0822A true KR20080050822A (ko) 2008-06-10

Family

ID=39475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1605A KR20080050822A (ko) 2006-12-04 2006-12-04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14951B2 (ko)
JP (1) JP4747133B2 (ko)
KR (1) KR20080050822A (ko)
CN (1) CN101196653B (ko)
TW (1) TWI3773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422B1 (ko) * 2006-12-29 2009-08-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8031319B1 (en) * 2008-05-30 2011-10-04 Raytheon Company Hermetic liquid crystal cell and sealing technique
JP5175164B2 (ja) * 2008-11-25 2013-04-0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液晶表示装置
US8330712B2 (en) * 2008-12-22 2012-12-11 Lg Display Co., Ltd.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including buffer pattern in non-display region
TWI417607B (zh) * 2009-06-24 2013-12-01 Century Display Shenzhen Co 液晶顯示面板
TWI447499B (zh) * 2009-10-27 2014-08-01 Lg Display Co Ltd 液晶顯示裝置之陣列基板、液晶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JP5694083B2 (ja) * 2011-08-17 2015-04-0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30124827A (ko) 2012-05-07 2013-11-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U2013266159B2 (en) 2012-05-24 2015-12-17 Raytheon Company Liquid crystal control structure, tip-tilt-focus optical phased array and high power adaptive optic
KR102160829B1 (ko) * 2012-11-02 2020-09-28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밀봉체 및 밀봉체의 제작 방법
US9835856B2 (en) 2013-05-24 2017-12-05 Raytheon Company Adaptive optic having meander resistors
KR102491118B1 (ko) * 2015-07-03 2023-01-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어셈블리 및 표시 패널 제조 방법
CN108732830B (zh) * 2018-05-29 2024-01-23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1391A (en) * 1995-04-27 1998-05-12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evice with elongated projection height smaller than liquid crystal thickness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JP2776348B2 (ja) 1995-11-29 1998-07-16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
JPH09222612A (ja) * 1996-02-15 1997-08-26 Sony Corp 液晶表示装置
JPH1152394A (ja) * 1997-07-29 1999-02-26 Nec Kagoshima Ltd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874920B2 (ja) * 1998-03-06 2007-01-31 株式会社アドバンスト・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JP2000199915A (ja) * 1999-01-06 2000-07-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パネル
JP2000206548A (ja) * 1999-01-08 2000-07-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313249B1 (ko) * 1999-03-11 2001-11-05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액정표시소자
JP3494172B2 (ja) * 2000-11-17 2004-02-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投射型表示装置
JP2002162638A (ja) * 2000-11-27 2002-06-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702859B2 (ja) * 2001-04-16 2005-10-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3066486A (ja) * 2001-08-20 2003-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液晶表示装置と液晶表示装置用光照射装置
JP4077182B2 (ja) * 2001-10-11 2008-04-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JP4047159B2 (ja) * 2002-12-25 2008-02-13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液晶装置
JP2004226654A (ja) * 2003-01-22 2004-08-12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液晶表示装置
JP2005242099A (ja) 2004-02-27 2005-09-08 Nec Lcd Technologies Ltd 液晶表示装置
JP2006091434A (ja) * 2004-09-24 2006-04-06 Sanyo Electric Co Ltd 液晶表示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825521A (en) 2008-06-16
US20080129945A1 (en) 2008-06-05
CN101196653A (zh) 2008-06-11
JP4747133B2 (ja) 2011-08-17
TWI377382B (en) 2012-11-21
US7714951B2 (en) 2010-05-11
JP2008139823A (ja) 2008-06-19
CN101196653B (zh) 201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50822A (ko) 액정표시장치
US20200225519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1001885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870660B1 (ko) 패널의 합착력이 향상된 액정표시소자 및 제조방법
US6636192B1 (en) Electrooptic panel, projection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optic panel
US798639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384982B2 (ja) 液晶表示装置
TWI401512B (zh) 陣列基板及其製造方法與具有該陣列基板之液晶顯示裝置
US7446826B2 (en)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e
US9146430B2 (en) Pixel structure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having the same
KR20070092160A (ko) 액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전자 기기
KR101107165B1 (ko) 액정 표시 패널
KR20070003165A (ko)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07248743A (ja) 液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TWI258628B (en) Electro-optic device and electronic machine
JP2010266711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248493A (ja) 電気光学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2007248832A (ja) 液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US676281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improved structure of injection opening
JPH10142632A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JP2010175727A (ja) 液晶表示装置
JP4761861B2 (ja) 液晶表示装置
KR100441157B1 (ko)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
KR101708789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10123909A (ja) 電気光学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930

Effective date: 2014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