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2641A - 도전성 기둥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도전성 기둥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2641A
KR20030042641A KR1020010073376A KR20010073376A KR20030042641A KR 20030042641 A KR20030042641 A KR 20030042641A KR 1020010073376 A KR1020010073376 A KR 1020010073376A KR 20010073376 A KR20010073376 A KR 20010073376A KR 20030042641 A KR20030042641 A KR 20030042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rystal display
conductive pillar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3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은정
Original Assignee
일진다이아몬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진다이아몬드(주) filed Critical 일진다이아몬드(주)
Priority to KR1020010073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2641A/ko
Priority to PCT/KR2002/002190 priority patent/WO2003044594A1/en
Priority to AU2002356454A priority patent/AU2002356454A1/en
Priority to TW92100302A priority patent/TWI226496B/zh
Publication of KR20030042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264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02F1/13394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spacers regularly patterned on the cell subtrate, e.g. walls, pilla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1Filling or closing of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정한 셀갭을 유지하면서 대향되게 구비되며, 디스플레이 영역과 실영역을 구비하는 한 쌍의 투명기판; 실영역에 셀갭과 동일하거나 혹은 셀갭보다 높은 높이를 갖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둥; 디스플레이 영역의 외곽에 형성되는 실영역에 주입되는 실; 및 디스플레이 영역에 주입되는 액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조방법으로, 한 쌍의 투명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투명기판 상부에 적어도 상기 한 쌍의 투명기판을 도통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도전성 기둥을 형성하는 제 1단계;투명기판의 외측 테두리에 액정을 밀봉할 수 있도록 하는 실을 액정주입구 영역을 제외하고 도포하는 제 2단계; 한 쌍의 투명기판을 대향되게 하여 합착하는 제 3단계; 및 투명기판 사이에 도전성 기둥과 실에 의해 생긴 투명기판 상의 내부 셀에 액정주입구을 통하여 일정량의 액정을 주입하는 제 4단계; 액정주입구를 봉인하는 제 5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판과 하판이 도통될 수 있도록 균일한 셀갭을 유지하며, 액정이 주입되는 속도가 균일하여 주입시에 기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공정을 단순히 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도전성 기둥을 갖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CONDUCTIVE PILLAR}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하판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킴과 동시에 상·하판의 전기적 도전성을 높이며 액정주입시 액정 주입속도가 균일하도록 기둥을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하나의 기판에 스위칭소자와 투명한 픽셀전극을 형성하고 또 다른 기판에 픽셀전극과 대향되는 투명한 대향전극을 형성하여 두기판을 합착하고 두기판의 사이(이하 셀갭(Cell Gap)으로 칭한다)에 액정을 주입하여 전계변화에 따라 광학적 이방성을 변화시켜, 액정표시장치에 빛을 투과 또는 차단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를 하는 것으로 브라운관이나 모니터보다 전력소모가 적으며, 가볍고 부피가 작아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사용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에는, 각 내면에 상호 교차하듯이 형성된 평행전극을 형성한 한 쌍의 기판으로 액정층을 사이에 끼워서 지지하는 액정패널을 이용한 단순 매트릭스형과, 액정층을 사이에 끼워서 지지하는 한 쌍의 기판의 한쪽에 화소단위로 선택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를 갖는 액정패널을 이용한 능동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가 알려져 있다.
상기 능동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에는, 트위스티드 네마틱(TN)방식으로 대표되듯이, 화소선택용 전극군이 상하 한 쌍의 기판의 각각에 형성된 액정패널을 이용한, 소위 종전계(縱電界)방식 액정표시장치(일반적으로, TN방식 능동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라 한다)와, 화소선택용의 전극군이 상하 한 쌍의 기판의 한쪽에만 형성되어 있는 액정패널을 이용한, 소위 횡전계(橫電界)방식 액정표시장치(일반적으로, IPS방식 액정표시장치라 한다)가 있다.
전자의 TN방식 능동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하는 액정패널은 한 쌍의 기판사이에서 액정분자가 90°비틀려서 배향되어 있고, 상기 액정패널의 상하기판의 외면에, 흡수축 방향에 크로스니콜(cross-Nicol)을 배치하고 입사측의 편광판의 흡수축을 이에 인접하는 액정분자 배향막 러빙(rubbing)방향에 평행 또는 직교시킨 2매의 편광판을 적층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TN방식 능동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층에 전압 무인가시, 입사광은 입사측 편광판에서 직선편광이 되고, 이 직선편광은 액정층의 비틀림을 따라 전파되고, 출사측 편광판의 투과축이 상기 직선편광의 방위각과 일치하고 있는 경우 직선편광은 전부 출사되어 백표시(a white image)로 된다 (소위, 노멀리 오픈 모드:Normally open).
또, 전압 인가시는, 액정층을 구성하는 액정분자축의 평균적인 배향방향을 나타내는 단위벡터의 방향(디렉터)는 기판면과 수직인 방향을 향하고, 입사측 직선편광의 방위각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출사측 편광판의 흡수축과 일치하여 흑표시로 된다 (1991년, 공업조사회 발행「액정의 기초와 응용」참조).
한편, 한 쌍의 기판의 한쪽에만 화소선택용 전극군과 전극배선군을 형성하고, 상기 기판상에서 인접하는 전극간(화소전극과 대향전극 간)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층을 기판면과 평행한 면내에서 스위칭하는 IPS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전압무인가시 흑표시가 되도록 편광판이 배치되어 있다 (소위, 노멀리 크로즈 모드: Normally close).
상기 IPS방식 액정표시장치의 액정층 분자는 기판면과 평행한 호모지니어스 (homogeneous)배향이고, 기판과 평행인 평면에서 액정층의 디렉터는, 전압 무인가시는 전극배선방향과 평행 또는 어느 정도의 각도를 갖고, 전압 인가시는 액정층의 디렉터의 방향이 전압인가에 수반하여 전극배선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행되고, 액정층의 디렉터방향이 전압 무인가시의 디렉터방향에 비해 45°전극배선방향으로 경사되었을 때 이 전압 인가시의 액정층은 마치 1/2파장판과 같이 편광광의 진동면의 방위각을 90°회전시키고, 출사측 편광판의 투과축과 편광광의 진동면의 방위각이 일치하여 백표시로 된다.
상기 IPS방식 액정표시장치는 관시 각도가 변화해도 색상이나 콘트라스트의 변화가 적고, 광시야각을 도모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일본국 특개평5-505247호 공보 참조).
상기한 각종 액정표시장치의 풀 칼라화에서는 칼라필터방식이 주류이다. 이것는 칼라표시의 1도트에 상당하는 화소를 3분할하고, 각각의 단위화소에 3원색, 예를 들어 적(R), 녹(G), 청(B)의 각각에 상당하는 칼라필터를 배치함으로써 실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각종 액정표시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지만, 이하, TN방식 능동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를 예로 들어 그 개략을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TN방식 능동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간단화를 위해, 이하에서는 단순히 능동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라고 칭한다)를 구성하는 액정표시소자(액정패널이라고도 한다)에는, 액정층을 매개로 하여 상호 대향배치된 유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2매의 투명절연 기판의 한쪽 기판의 액정층측의 면에 x방향으로 이어지고 y방향으로 병설된 게이트선군과, 이 게이트선군과 절연되어 y방향으로 이어지고 x방향으로 병설된 드레인선군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이들 게이트선군과 드레인선군으로 둘러싸인 각 영역이 각각 화소영역이 되고, 이 화소영역에 스위칭소자로서 예를 들면 박막트랜지스터(TFT)와 투명화소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선에 주사신호가 공급됨으로써, 박막트랜지스터가 온이 되고, 이 온이 된 박막트랜지스터를 매개로 하여 드레인선으로부터 영상신호가 화소전극에 공급된다.
또한, 드레인선군의 각 드레인선은 물론이고 게이트선군의 각 게이트선에 있어서도, 각각 기판의 주변까지 이어져 외부단자를 구성하고, 이 외부단자에 각각 접속되어 영상구동회로, 게이트주사 구동회로, 즉, 이들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구동IC(반도체집적회로)가 기판의 주변에 설치된다. 결국, 이들 각 구동 IC를 탑재한 테이프 캐리어 팩키지(TCP)를 기판의 주변에 복수 개 설치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판은 그 주변에 구동용 IC가 탑재된 TCP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기판의 게이트선군과 드레인선군의 교차영역에 의해 구성되는 표시영역과, 기판의 바깥 주변과의 사이의 영역(통상, 프레임 보더 (frameborder)라 칭한다)이 점하는 면적이 커져서, 액정표시소자와 조명광원(백 라이트 : back light), 그 외의 광학소자와 함께 일체화된 액정표시모듈의 외형 치수를 작게 하고자 하는 요망에 위배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조금이나마 해소하기 위해, 즉, 액정표시소자의 고밀도 실장화와 액정표시모듈의 외형의 소형화 요구에 따라, TCP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영상구동용 IC, 주사구동용 IC를 기판상에 직접 탑재하는, 소위 플립 칩(flip-chip) 방식 또는 칩 온 글래스(chip-on-glass : COG)방식이 제안(일본국 특원평6-256426호)되었다.
액정표시장치는 예를 들어, 표시용의 투명전극과 배향막을 각각 적층한 면이대향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2매의 유리등으로 이루어지는 기판을 서로 겹쳐서, 양기판간의 주변끝부 근방에 틀형상(글자 ㅁ자 형상)으로 설치된 시일재로 양기판을 서로 붙임과 동시에, 시일재의 일부에 설치한 구멍부인 액정 봉입구로부터 양기판간의 시일재의 내측에 액정을 주입하여 봉하고, 양기판의 외측에 편광판을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종래기술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한 쌍의 투명기판을 합착하는 방법은 픽셀전극과 스위칭소자가 형성되어 있는 제 1투명기판과 픽셀전극과 대향되는 대향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제 2투명기판에 액정을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시키는 배향막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 1투명기판과 제 2투명기판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외곽에 실영역(Seal Line)과 액정주입구를 형성하고, 실영역영역에 열경화 혹은 UV경화 에폭시를 도포한다. 실영역 영역이 디스플레이 영역과 동일한 셀갭을 유지하기 위하여 에폭시와 스페이서를 혼합하여 도포하며, 제 1투명기판과 제 2투명기판을 정렬하여 합착한 후에 UV램프를 이용하여 가열하여 에폭시를 경화시켜 결합을 완료하고, 액정주입구를 통하여 셀갭에 액정을 주입하고 엔드실을 형성하여 밀봉함으로써 액정표시장치를 완성한다.
이 경우에 에폭시와 액정이 직접 접촉을 하게 되므로, 액정이 오염되어 디스플레이의 기능을 저하시킨다. 또한, 에폭시와 스페이서를 섞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내부기포를 탈포하는 공정이 필요하게 되고, 투명기판의 합착시에 에폭시의 퍼짐에 따라, 투명기판을 커팅(Cutting)을 하는 공정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액정표시장치의 투명기판에 사용되는 스페이서는 셀갭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가지는복수 개의 볼을 사용하는데, 상판과 하판을 도통시키기 위하여 고분자화합물로 이루어진 볼의 외부에 은 등 전도성이 높은 물질을 코팅하여 사용하였다. 하지만, 복수 개의 볼이 동일한 직경을 가지지 못하여 균일한 셀갭을 유지하기가 어려우며, 또한, 제조시에 스페이서가 임의로 뿌려지는데, 이들 스페이서의 일부가 액정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영역에 존재하게 되어 광을 차단한다. 또한, 액정표시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이 가능한 한 기판을 많이 차지하도록 디스플레이영역을 확정하는 데에 일정한 제한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상·하판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킴과 동시에 상·하판의 전기적 도전성을 높이며 액정주입시 액정 주입속도 조정을 위한 소재로 사용하도록 하는 안정적인 이격거리를 갖도록 도전성 기둥을 갖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하판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킴과 동시에 상·하판의 전기적 도전성을 높이며 액정주입시 액정 주입속도 조정을 위한 소재로 사용하도록 하는 안정적인 이격거리를 갖는 도전성 기둥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기둥을 갖는 액정표시장치로, 일정한 셀갭을 유지하면서 대향되게 구비되며, 디스플레이 영역과 실영역을 구비하는 한 쌍의 투명기판; 실영역에 셀갭과 동일하거나 혹은 셀갭보다 높은 높이를 갖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둥; 디스플레이 영역의 외곽에 형성되는 실영역에 주입되는 실; 및 디스플레이 영역에 주입되는 액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또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기둥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으로, 한 쌍의 투명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투명기판 상부에 적어도 상기 한 쌍의 투명기판을 도통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도전성 기둥을 형성하는 제 1단계; 투명기판의 외측 테두리에 액정을 밀봉할 수 있도록 하는 실을 액정주입구 영역을 제외하고 도포하는 제 2단계; 한 쌍의 투명기판을 대향되게 하여 합착하는 제 3단계; 및 투명기판 사이에 도전성 기둥과 실에 의해 생긴 투명기판 상의 내부 셀에 액정주입구을 통하여 일정량의 액정을 주입하는 제 4단계; 및 액정주입구를 봉인하는 제 5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기둥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와 A-A'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기둥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하나의 픽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기둥을 갖는 액정표시장치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종래의 기술과 비교하여, 하기에 설명으로부터 좀더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기둥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와 A-A'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a) 및 1(b)을 참조하면, 액정표시장치(100)는 한 쌍의 투명기판 (10a,10b)에 디스플레이 영역(20)과 투명기판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는 실영역(30)으로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영역(20)은 한 쌍의 투명기판의 하부기판(10b)에 픽셀전극(11)과 스위칭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미도시)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기판(10a)에는 픽셀전극(11)과 대향되는 대향전극(12)이 형성되어 있어 한 쌍의 투명기판(10a,10b) 사이의 셀갭에 주입되는 액정(40)의 배열을 전계의 변화를 이용하여 변화시켜 광을 차단 또는 투과하도록 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영역(20)에서 사용되는 전극은 인듐 주석 산화물(Indum Tin Oxide)을 사용할 수 있으며, 액정은 비틀림 네마틱(Twist Nematic) 형을 사용할 수 있다.
실영역(30)은 셀갭에 주입되어 있는 액정(40)이 액정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 영역(20)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 쌍의 투명기판을 봉인하는 실(Seal: 35)이 형성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 영역(20)과 실영역(30)에 윈기둥 또는 각 기둥을 형성하여 액정표시장치의 셀갭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셀갭이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하는 이유는 픽셀내부에 일정한 두께의 액정이 채워져 광 경로가 일정하게 유지가 되도록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셀갭을 유지하기 위한 기둥(50)은 도전성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하여 상판(10a)과 하판 (10b)이 도통될 수 있도록 하며, 기둥(50)의 높이는 셀갭의 간격과 같거나 혹은 조금 높게하여 기둥이 상판과 하판에 완전히 밀착하도록 한다. 그리고, 실영역 (30)은 투명기판(10a,10b)의 테두리에 형성되는데, 셀갭에 액정을 주입하기 위한 액정주입구(25)를 형성하기 위하여 실영역(30)에 일정한 틈을 형성한다. 또한,일반적으로 액정이 액정주입구(25)를 통하여 주입하는 과정에서 액정이 균일한 속도로 주입되지 못하여 액정이 주입되면서 기포가 발생하게 되어 기포를 탈포하는 공정을 수행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것을 막기 위하여 액정주입구(25)에 레이어를 형성하여 액정이 주입되는 속도가 균일하게 하여 액정이 주입되는 속도의 차에 의해서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막아 공정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레이어를 상판과 하판을 합착하여 액정셀을 형성을 한 후에 액정주입구에 형성을 하는 공정이 더 필요하므로, 이러한 공정을 생략하기 위하여 셀갭을 유지하기 위한 기둥(50)을 액정주입구가 형성되는 곳에도 형성하여 액정주입구(25)에 형성되어 있는 기둥(50)에 의해서 액정이 주입될 때 균일한 속도로 주입되어 액정이 주입될 때 기포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액정주입구(25) 주변에 형성된 기둥(50)에 의해 액정주입구(25)의 봉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기둥(50)은 도전성 고분자 화합물을 투명기판(10a,10b)위에 증착 한 후에 포토레지스터를 이용한 포토에칭 공정을 이용하여 도전성 고분자 화합물의 기둥을 생성하며, 상판(10a)과 하판(10b)이 도통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기둥(50)의 높이를 이용해서 한 쌍의 투명기판(10a,10b)의 셀갭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고분자 화합물에 도핑을 하여 고분자 화합물이 도전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종래의 기술에서 셀갭을 유지하기 위하여 볼모양의 스페이서를 디스플레이 영역내에 위치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스페이서에 에폭시와 같은 접착성 물질을 도포하여 스페이서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므로, 액정에 전압이 가해져 열이발생하는 경우에 에폭시에 열화현상이 발생하여 에폭시에 의한 액정의 오염이 발생하게 되고, 오염물질은 액정의 저항도(Resistivity)를 감소시켜 액정 양단에 인가되는 전기적 응력의 크기를 감소시키게 되어 성능 및 신뢰도에 영향을 주게 된다. 기둥(50)은 포토에칭 공정을 통하여 투명기판을 제작하는 단계에서 기둥이 형성되어 접착제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열화현상에 의한 액정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영역(20)에 위치하게 되는 기둥(50)은 픽셀들 사이의 간격의 교차점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으며 액정디스플레이의 각 픽셀에 대응되게 형성할 수 있으며, 픽셀의 수보다 적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액정디스플레이(100)의 테두리부분의 실이 도포되는 실영역(30)에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실영역에 위치하는 기둥의 지름은 디스플레이 영역에 위치하는 기둥보다 필요한 경우 더 크게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기둥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하나의 픽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미도시)가 적층된 하판(10b)의 일부에 픽셀전극(11)을 덮고 일정한 거리를 이격하여 도전성지주(50)를 형성한다. 그리고 그 상부에 대향전극(13)이 증착되어 있는 상판(10a)을 합착한다. 하판(10b)의 상부에 증착되는 픽셀전극(11)은 도전성 지주(50)와 떨어져 있고, 상판(10a)의 하부에 증착되는 대향전극(13)은 도전성 지주(50)와 접촉을 하고 있다. 따라서, 액정디스플레이에서 디스플레이를 하기 위하여 픽셀전극(11)에 7V의 전압을 가하고 도전성지주(50)에2V의 전압을 가하면 상판(10a)의 대향전극(13)에는 2V의 전압이 가해져 상판(10a)의 대향전극(13)과 하판(10b)의 픽셀전극(11)간에 5V의 전압차가 발생하게 되어 액정이 구동될 수 있는 전장이 형성된다. 이때, 액정디스플레이로 전기적인 신호가 전달되도록 하는 커넥터(미도시)를 통하여 들어오는 복수 개의 신호선 중 한 개의 신호선은 도전성 지주(50)를 통하여 일정한 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기둥을 갖는 액정표시장치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해서 설명하면,
제 1단계(ST 100): 액정표시장치(100)는 주입되는 액정(40)이 특정한 배열을 할 수 있도록 투명기판(10a,10b)에 러빙(Rubbing)처리를 하고, 액정표시장치(100)의 소정의 위치에 액정이 위치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영역(20)과 액정이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어 있도록 액정표시장치(100)의 외곽부를 봉인하는 실(Seal)이 부착되는 실영역(30)에 복수 개의 기둥(50)을 형성한다. 기둥(50)은 투명기판 위에 도전성 고분자화합물을 증착하고, 포토마스크를 이용하여 포토에칭공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미소패턴 마스크를 사용하여 기둥(50)의 폭을 미세화 할 수 있다. 또한, 기둥(50)은 접착제를 이용해서 투명기판(10a, 10b)의 외곽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기둥(50)은 액정이 액정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주입될 수 있도록 하는 액정주입구에도 형성된다. 그리고, 기둥(50)을 형성한 후 러빙처리를 할 수 있다.
제 2단계(ST 110): 실영역(30)에 열경화 또는 UV경화 에폭시(70)를 주입을한다. 이때, 기둥(50)에 의해 셀갭이 유지될 수 있으므로, 에폭시(70)에 별도로 스페이서를 혼합하여 주입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에폭시(70)와 스페이서를 섞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포를 탈포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이때, 실영역은 액정을 주입하기 위하여 액정 주입구가 형성되는 곳에 UV경화 에폭시(70)가 도포되지 않도록 한다.
제 3단계(ST 120); 에폭시(70)를 주입한 후에 한 쌍의 투명기판(10a,10b)을 합착하고, UV램프를 이용하여 가열하여 에폭시(70)를 경화시켜 결합을 완료한다. 이때, 액정표시장치(100)의 외부로 에폭시가 돌출될 경우에는 돌출된 에폭시(70)를 잘라내는 공정이 필요하다.
제 4단계(ST 130): 액정주입구를 통해서 투명기판(10a,10b)의 사이에 액정 (40)을 주입을 한다. 그리고, 액정주입구를 봉인을 하여 액정표시장치(100)를 완성한다.
액정(40)의 주입은 액정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 영역(20)을 진공상태로 하여 액정표시장치(100)와 외부의 기압차를 이용하여 액정(40)을 액정주입구를 통해 디스플레이 영역(20)으로 주입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상판과 하판을 접착하는 실영역과 액정이 주입되는 액정주입구에 복수 개의 기둥을 형성하여 상판과 하판의 셀갭이 일정하게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기둥이 도전성 고분자 화합물로 형성되어 상판과 하판이 도전될 수 있도록 하며, 상판과 하판을 합착한 후에 액정을 디스플레이영역에 주입할 때 디스플레이 영역을 감압을 하여 외부와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액정을 주입하는 과정을 통하여 액정이 주입되는데, 주입시 액정주입속도 조절작용과 실을 봉인하는 작업을 할때에 감압 해지 후에 실이 주입구를 통하여 액정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과도하게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 되어져야 한다.

Claims (8)

  1. 일정한 셀갭을 유지하면서 대향되게 구비되며, 디스플레이 영역과 실영역을 구비하는 한 쌍의 투명기판;
    상기 실영역에 상기 셀갭과 동일하거나 혹은 셀갭보다 높은 높이를 갖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기둥;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외곽에 형성되는 실영역에 주입되는 실; 및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주입되는 액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기둥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기둥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기둥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기둥은 액정 주입구에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기둥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기둥은 전도성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기둥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은 UV경화 에폭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기둥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6. 한 쌍의 투명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투명기판 상부에 적어도 상기 한 쌍의 투명기판을 도통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도전성 기둥을 형성하는 제 1단계;
    상기 투명기판의 외측 테두리에 액정을 밀봉할 수 있도록 하는 실을 액정주입구 영역을 제외하고 도포하는 제 2단계;
    상기 한 쌍의 투명기판을 대향되게 하여 합착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투명기판 사이에 상기 도전성 기둥과 상기 실에 의해 생긴 상기 투명기판 상의 내부 셀에 상기 액정주입구을 통하여 일정량의 액정을 주입하는 제 4단계;
    상기 액정주입구를 봉인하는 제 5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기둥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기둥은 상기 액정 주입구에 형성되어 상기 제 4단계에서 액정이 균일한 속도로 주입되어 액정 주입시에 기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기둥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투명기판상에 도전성 고분자 화합물을 증착하고 포토에칭공정을 통하여 기둥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기둥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KR1020010073376A 2001-11-23 2001-11-23 도전성 기둥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3004264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376A KR20030042641A (ko) 2001-11-23 2001-11-23 도전성 기둥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PCT/KR2002/002190 WO2003044594A1 (en) 2001-11-23 2002-11-22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conductive pillar
AU2002356454A AU2002356454A1 (en) 2001-11-23 2002-11-22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conductive pillar
TW92100302A TWI226496B (en) 2001-11-23 2003-01-08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conductive pill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376A KR20030042641A (ko) 2001-11-23 2001-11-23 도전성 기둥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641A true KR20030042641A (ko) 2003-06-02

Family

ID=19716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3376A KR20030042641A (ko) 2001-11-23 2001-11-23 도전성 기둥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030042641A (ko)
AU (1) AU2002356454A1 (ko)
TW (1) TWI226496B (ko)
WO (1) WO200304459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12523B2 (en) 2005-11-15 2010-10-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an auxiliary electrode for improved common voltag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56758B2 (ja) 2011-05-23 2016-02-10 ピクストロニ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TWI485501B (zh) * 2012-04-19 2015-05-21 Innocom Tech Shenzhen Co Ltd 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US9897796B2 (en) 2014-04-18 2018-02-20 Snaptrack, Inc. Encapsulated spacers for electromechanical systems display apparatus
CN107632438B (zh) * 2017-09-29 2021-01-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的制备方法、显示面板及显示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53625A (ja) * 1990-10-18 1992-05-27 Fujitsu Ltd 液晶表示パネル
JPH05165060A (ja) * 1991-12-17 1993-06-29 Sony Corp 液晶表示装置
JPH07114030A (ja) * 1993-10-19 1995-05-02 Optrex Corp 液晶表示素子
KR19990018076U (ko) * 1997-11-06 1999-06-05 손욱 액정표시소자
KR19990084317A (ko) * 1998-05-04 1999-12-06 윤종용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010098413A (ko) * 2000-04-20 2001-11-08 포만 제프리 엘 액정 표시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13024A (en) * 1979-02-26 1980-09-01 Hitachi Ltd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JP3073627B2 (ja) * 1993-06-14 2000-08-07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熱処理装置
JPH09146126A (ja) * 1995-11-22 1997-06-06 Canon Inc 液晶装置及び情報伝達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53625A (ja) * 1990-10-18 1992-05-27 Fujitsu Ltd 液晶表示パネル
JPH05165060A (ja) * 1991-12-17 1993-06-29 Sony Corp 液晶表示装置
JPH07114030A (ja) * 1993-10-19 1995-05-02 Optrex Corp 液晶表示素子
KR19990018076U (ko) * 1997-11-06 1999-06-05 손욱 액정표시소자
KR19990084317A (ko) * 1998-05-04 1999-12-06 윤종용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010098413A (ko) * 2000-04-20 2001-11-08 포만 제프리 엘 액정 표시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12523B2 (en) 2005-11-15 2010-10-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an auxiliary electrode for improved common voltag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26496B (en) 2005-01-11
TW200412457A (en) 2004-07-16
WO2003044594A1 (en) 2003-05-30
AU2002356454A1 (en) 2003-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3243B2 (en)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common electrodes and pixel electrodes on both substrat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17893B1 (ko) 표시 장치, 전자 기기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870498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first to third subpixels driven in a TN mode and a fourth subpixel driven in ECB mode
JP3850002B2 (ja) 液晶電気光学装置
KR100220550B1 (ko) 액정 표시 패널 및 액정 표시 장치
US7834970B2 (en) Multi-domai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698988B2 (en) Liquid crystal device having viewing angle control pixels
KR19990056726A (ko) 액정표시소자
KR20030082141A (ko) 패턴드 스페이서를 가지는 액정표시장치
US20140168581A1 (en) Lcd pane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lcd panel
US748002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n which the rubbing directions of the pair of alignment films are oriented toward a side of a main diffusion source of impurity ions
KR100722074B1 (ko) 액정 장치의 제조 방법, 액정 장치 및 전자 기기
KR20030042641A (ko) 도전성 기둥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50000572A (ko)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의제조방법
US20040263737A1 (en) Method of fabricat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various driving modes
JP2001166317A (ja) 電気光学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投射型表示装置
KR20130066917A (ko) 합착키를 구비한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JP4019593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0853779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744872B1 (ko) 액정표시장치
JP3843648B2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電気光学パネル
KR19990004371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5284139A (ja)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077703A (ja) 液晶表示装置
JP2006309271A (ja) 液晶電気光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