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8456A - 엘리베이터의 삼방틀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삼방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8456A
KR20070088456A KR1020077001367A KR20077001367A KR20070088456A KR 20070088456 A KR20070088456 A KR 20070088456A KR 1020077001367 A KR1020077001367 A KR 1020077001367A KR 20077001367 A KR20077001367 A KR 20077001367A KR 20070088456 A KR20070088456 A KR 20070088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ack plate
frame
fixing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1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오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8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84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6Details of door jam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삼방틀(jamb)은, 승강장 출입구의 가장자리에 고정되는 뒤판과, 뒤판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표판을 가지고 있다. 표판을 뒤판에 장착함으로써 통이 형성된다. 표판은, 승강로를 향하는 개구를 남기고 뒤판 및 표 판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표판 본체와, 개구를 막도록 뒤판 및 표판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흙막이 판을 가지고 있다.
뒤판, 표판, 개구, 흙막이 판, 장착부, 삼방틀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삼방틀{THREE-SIDED FRAME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출입구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의 삼방틀(jamb)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장치에서는, 승강장 출입구의 내측에 삼방틀이 배치되어 있다. 삼방틀은 상부 틀 및 한 쌍의 세로 틀을 갖고 있다. 각 틀의 단면 형상은 건축 벽측에서 개구하는 C자 형상이다. 각 틀의 건축 벽측에는 복수의 이음판이 장착되어 있다. 각 틀의 개구는 소정의 간격마다 이음판에 의해 막혀 있다. 이음판이 설치 브래킷에 의해 건축 벽에 접속되어 있음으로써 삼방틀은 승강장 출입구의 가장자리에 고정되어 있다. 또, 삼방틀과 승강장 출입구의 가장자리와의 사이 및 삼방틀의 내부에는, 틈새를 막으며 또한 틈새를 삼방틀의 내화(耐火)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모르타르 등의 내화재가 충전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특개2002-211860호 공보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삼방틀에서는, 내부에 내화재가 충전되므로, 예를 들면 빌딩의 수리 공사 등에 의해 삼방틀을 교환하려고 해도, 삼방틀 만을 떼어내지 못하여 승강장 출입구 주변의 건축 벽까지 철거할 필요가 있어 많은 노력 및 비용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내화 성능을 유지하면서 표판(表板)의 교환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삼방틀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삼방틀은, 승강장 출입구의 가장자리에 고정되는 뒤판 및 뒤판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동시에 뒤판에 장착됨으로써 뒤판과 통을 형성하는 표판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삼방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고정 브래킷을 확대하여 가리키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세로 틀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세로 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세로 틀의 건축 벽의 표면 마무리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세로 틀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세로 틀용 뒤판과 세로 틀용 표판 본체가 승강장 출입구의 옆 가장자리에 고정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1의 상부 틀의 건축 벽의 표면 마무리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삼방틀을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건축 벽의 표면 마무리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건축 벽(1)에는 승강장 출입구(2)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 출입구(2)의 내측에는 삼방틀(3)이 배치되어 있다. 삼방틀(3)은, 승강장 출입구(2)의 상부 가장자리에 배치된 상부 틀(3a) 및 승강장 출입구(2)의 옆 가장자리에 배치된 한 쌍의 세로 틀(3b)을 가지고 있다.
승강장 출입구(2)의 내벽에는, 복수의 브래킷 고정용 앵커 볼트(기초 볼트)(2a)가 고정되어 있다. 삼방틀(3)은, 브래킷 고정용 앵커 볼트(2a)에 고정된 복수의 고정 브래킷(6)을 통하여 승강장 출입구(2)의 가장자리에 고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2는 도 1의 고정 브래킷(6)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고정 브래킷(6)은 강판을 단면 U자 형상으로 접어 구부림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고정 브래킷(6)에는 건축 벽 고정부(8) 및 삼방틀 고정부(9)가 설치되어 있다. 건축 벽 고정부(8)에는 브래킷 고정용 긴 구멍(8a)이 설치되어 있다. 삼방틀 고정부(9)에는 삼방틀 고정용 스터드 볼트(9a)가 고정되어 있다.
브래킷 고정용 긴 구멍(8a)에는 브래킷 고정용 앵커 볼트(2a)가 삽입된다. 고정 브래킷(6)은 브래킷 고정용 긴 구멍(8a)에 삽입된 브래킷 고정용 앵커 볼트(2a)에 너트를 나사식 붙이기함으로써(screwing) 승강장 출입구(2)의 가장자리에 고정된다.
또, 고정 브래킷(6)은, 승강장 출입구(2)의 옆 가장자리에서는 브래킷 고정용 긴 구멍(8a)의 긴 쪽 방향이 승강장 출입구(2)의 높이 방향을 따르도록 고정된다. 즉, 승강장 출입구(2)의 옆 가장자리에서는, 고정 브래킷(6)의 설치 위치는 브래킷 고정용 긴 구멍(8a)의 긴 쪽 방향의 길이 분만큼 승강장 출입구(2)의 높이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고정 브래킷(6)은, 승강장 출입구(2)의 상부 가장자리에서는 브래킷 고정용 긴 구멍(8a)의 긴 쪽 방향이 승강장 출입구(2)의 개구 방향을 따르도록 고정된다. 즉, 승강장 출입구(2)의 상부 가장자리에서는, 고정 브래킷(6)의 설치 위치는 브래킷 고정용 긴 구멍(8a)의 긴 쪽 방향의 길이분 만큼 승강장 출입구(2)의 개구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3은 도 1의 세로 틀(3b)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세로 틀(3b)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세로 틀(3b)은 복수의 판 부재를 조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즉, 세로 틀(3b)은 승강장 출입구(2)의 옆 가장자리부를 따라 배치되는 세로 틀용 뒤판(10)과, 복수의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세로 틀용 뒤판(1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세로 틀용 표판(5)을 가지고 있다. 또, 세로 틀(3b)은, 세로 틀용 뒤판(10)과 세로 틀용 표판(5)에 의해 통 모양(케이스체 구조)으로 형성되어 있다. 세로 틀(3b)의 내부에는 설치 작업용 공간(11e)이 설치되어 있다.
세로 틀용 표판(5)은, 승강로를 향한 개구를 남기고 설치 작업용 공간(11e)을 둘러싸는 세로 틀용 표판 본체(11), 및 승강로를 향하는 개구를 막도록 세로 틀 용 뒤판(10)과 세로 틀용 표판 본체(1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흙막이 판(12)을 가지고 있다. 세로 틀용 표판 본체(11)의 세로 틀용 뒤판(10)에의 설치부는 설치 작업용 공간(11e) 내에 배치되어 있다.
세로 틀용 뒤판(10)에는, 복수의 뒤판 고정용 긴 구멍(15)이 등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뒤판 고정용 긴 구멍(15)에는 삼방틀 고정용 스터드 볼트(9a)가 삽입된다. 뒤판 고정용 긴 구멍(15)에 삽입된 각 삼방틀 고정용 스터드 볼트(9a)에 너트가 나사식 붙이기 됨으로써, 세로 틀용 뒤판(10)은 고정 브래킷(6)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도 5는 도 1의 세로 틀(3b)의 건축 벽(1)의 표면 마무리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세로 틀용 뒤판(10)은 고정 브래킷(6)을 통하여 승강장 출입구(2)의 내벽에 고정되어 있다. 또, 뒤판 고정용 긴 구멍(15)은, 그 긴 쪽 방향이 승강장 출입구(2)의 안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세로 틀용 뒤판(10)의 설치 위치는, 뒤판 고정용 긴 구멍(15)의 긴 쪽 방향의 길이 분만큼 승강장 출입구(2)의 안쪽 길이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세로 틀용 뒤판(10)이 승강장 출입구(2)의 옆 가장자리에 고정되었을 때에는, 세로 틀용 뒤판(10)과 승강장 출입구(2)의 옆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고정 브래킷(6)에 의한 공극(6a)이 존재한다. 이 공극(6a)에는 승강장측으로부터 모르타르 등의 내화재(13)가 충전되어 있다. 승강로측에서는, 공극(6a)은 세로 틀용 뒤판(10)의 일단부에 의해 막혀 있다. 내화재(13)가 충전된 공극(6a)의 승강장측에 는, 내화재(13)를 정형하기 위한 정형용(整刑用) 플레이트((14)가 설치되어 있다. 내화재(13)가 공극(6a)에 충전되어 정형되고, 세로 틀용 뒤판(10)에 세로 틀용 표판(5)이 장착됨으로써 건축 벽(1)의 표면이 완성된다.
또, 건축 벽(1)의 승강로측에는, 복수의 흙막이 판 고정용 앵커 볼트(25)가 고정되어 있다. 흙막이 판(12)은, 각 흙막이 판 고정용 앵커 볼트(25)에 너트가 나사식 붙이기 됨으로써 건축 벽(1)에 고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6은 도 4의 세로 틀(3b)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세로 틀용 뒤판(10)은 강판을 단면 크랭크 형상으로 접어 구부림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세로 틀용 뒤판(10)은 뒤판 고정용 긴 구멍(15)이 설치된 뒤판측 고정 브래킷 접합부(10a)와, 세로 틀용 표판 본체(11)에 접합되는 뒤판측 표면 접합부(10b)와, 흙막이 판(12)에 접합되는 뒤판측 흙막이 판 접합부(10c)를 가지고 있다.
뒤판측 표면 접합부(10b)는, 뒤판측 고정 브래킷 접합부(10a)에 대해 승강장 출입구(2)의 내벽과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뒤판측 표면 접합부(10b)에는, 세로 틀용 뒤판(10)에 세로 틀용 표판 본체(11)를 고정할 때에 사용되는 복수의 표판 고정용 스터드 볼트(16)가 고정되어 있다.
뒤판측 흙막이 판 접합부(10c)는, 뒤판측 고정 브래킷 접합부(10a) 및 뒤판측 표판 접합부(10b)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뒤판측 흙막이 판 접합부(10c)는 세로 틀용 뒤판(10)이 승강장 출입구(2)의 옆 가장자리부에 고정되었을 때에 승강로측에서 공극(6a)을 막는다. 또, 뒤판측 흙막이 판 접합부(10c)에는, 세로 틀용 뒤판(10)에 흙막이 판(12)을 고정할 때에 사용되는 복수의 제 1 흙막이 판 고정용 스터드 볼트(17)가 고정되어 있다.
세로 틀용 표판 본체(11)는, 강판을 단면 대략 C자 형상으로 접어 구부림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또, 세로 틀용 표판 본체(11)는, 세로 틀용 뒤판(10)에 접합되는 표판측 뒤판 접합부(11a)와 흙막이 판(12)에 접합되는 표판측 흙막이 판 접합부(11b)를 가지고 있다. 표판측 뒤판 접합부(11a) 및 표판측 흙막이 판 접합부(11b)는 강판의 단부가 되접어 꺾인 부분이다. 표판측 뒤판 접합부(11a)는 표판측 흙막이 판 접합부(11b)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표판측 뒤판 접합부(11a)에는, 표판 고정용 스터드 볼트(16)가 삽입되는 복수의 표판 설치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표판 설치 구멍에 삽입된 각 표판 고정용 스터드 볼트(16)에 너트가 나사식 붙이기 됨으로써, 세로 틀용 표판 본체(11)는 세로 틀용 뒤판(10)에 고정된다. 즉, 세로 틀용 표판 본체(11)는 세로 틀용 뒤판(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표판측 흙막이 판 접합부(11b)에는, 세로 틀용 표판 본체(11)에 흙막이 판(12)을 고정할 때에 사용되는 복수의 제 2 흙막이 판 고정용 스터트 볼트(19)가 고정되어 있다.
흙막이 판(12)은, 강판을 단면 L자 형상으로 접어 구부림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흙막이 판(12)은 세로 틀용 표판 본체(11)에 접합되는 흙막이 판측 표판 접합부(12a)와, 세로 틀용 뒤판(10)에 접합되는 흙막이 판측 뒤판 접합부(12b)와, 건축 벽(1)에 접합되는 흙막이 판측 건축 벽 접합부(12c)를 가지고 있다. 흙막이 판측 뒤판 접합부(12b) 및 흙막이 판측 건축 벽접합부(12c)는 L자 형상의 강판의 한 변에 설치되어 있다. 또, 흙막이 판측 표판 접합부(12a)는, 흙막이 판측 뒤판 접합부(12b) 및 흙막이 판측 건축 벽 접합부(12c)에 대해 직각이다.
흙막이 판측 표판 접합부(12a)에는, 제 2 흙막이 판 고정용 스터드 볼트(19)가 삽입되는 복수의 제 1 흙막이 판 설치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흙막이 판측 뒤판 접합부(12b)에는, 제 1 흙막이 판 고정용 스터드 볼트(17)가 삽입되는 복수의 제 2 흙막이 판 설치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흙막이 판측 건축 벽 접합부(12c)에는, 흙막이 판 고정용 앵커 볼트(25)가 삽입되는 제 3 흙막이 판 설치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즉, 흙막이 판(12)은, 세로 틀용 뒤판(10), 세로 틀용 표판 본체(11) 및 승강로측의 건축 벽(1l)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다음으로, 세로 틀(3b)의 설치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도 6의 세로 틀용 뒤판(10)과 세로 틀용 표판 본체(11)가 승강장 출입구(2)의 옆 가장자리에 고정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면과 같이, 우선 고정 브래킷(6)을 통하여 세로 틀용 뒤판(10)을 승강장 출입구(2)의 옆 가장자리에 고정하는 동시에, 공극(6a)에 내화재(13)를 충전하여 세로 틀용 표판 본체(11)를 세로 틀용 뒤판(10)에 장착한다.
여기서, 세로 틀용 표판 본체(11)를 세로 틀용 뒤판(10)에의 설치 위치에 배치했을 때, 설치 작업용 공간(11e)이 설치 작업용 개구부(11d)를 통하여 승강로에 연통되어 있다. 작업자는, 설치 작업용 개구부(11d)로부터 세로 틀용 표판 본체(11)의 세로 틀용 뒤판(10)에의 설치 작업(표판 고정용 구멍에 삽입된 표판 고정 용 스터드 볼트(16)에 너트의 나사식 붙이기)을 실시한다.
다음으로, 설치 작업용 개구부(11d)를 막도록, 건축 벽(1)과 세로 틀용 표판 본체(11)와 세로 틀용 뒤판(10)에 흙막이 판(12)을 고정한다. 또한, 세로 틀용 표판 본체(11)의 설치 순서와 반대의 순서를 실시함으로써, 세로 틀용 표판 본체(11)를 떼어낼 수 있다.
다음으로, 상부 틀(3a)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도 1의 상부 틀(3a)의 건축 벽(1)의 표면 마무리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상부 틀(3a)은 상부 틀용 뒤판(30) 및 상부 틀용 표판 본체(31)를 가지고 있다.
상부 틀용 뒤판(30)은, 강판이 단면 크랭크 형상으로 접어 구부러진 것이다. 상부 틀용 뒤판(30)은, 뒤판 고정용 긴 구멍(15)이 설치된 뒤판측 고정 브래킷 접합부(30a)와, 상부 틀용 표판 본체(31)에 접합되는 뒤판측 표판 접합부(30b)와, 건축 벽(1)에 접합되는 뒤판측 건축 벽 접합부(30c)를 가지고 있다.
뒤판측 표판 접합부(30b)에는, 상부 틀용 표판 본체(31)를 상부 틀용 뒤판(30)에 고정할 때에 사용되는 표판 고정용 스터드 볼트(32)가 고정되어 있다. 뒤판측 건축 벽 접합부(30c)에는, 건축 벽(1)의 승강로측에 고정된 뒤판 고정용 앵커 볼트(33)가 삽입되는 뒤판 고정용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상부 틀용 뒤판(30)은, 고정 브래킷(6)을 통하여 승강장 출입구(2)의 상부 가장자리부에 고정되는 동시에, 뒤판 고정용 구멍에 삽입된 뒤판 고정용 앵커 볼트(33)에 너트가 나사식 붙이기 됨으로써 건축 벽(1)에 고정된다. 즉, 상부 틀용 뒤판(30)은, 승강장 출입구(2)의 상부 가장자리부 및 건축 벽(1)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공극(6a)에는 승강장측으로부터 내화재(13)가 충전되어 있다. 승강로측에서는, 공극(6a)은 뒤판측 건축 벽 접합부(30c)에 의해 막혀 있다. 내화재(13)가 충전된 공극(6a)의 승강장측에는 내화재(13)를 정형하기 위한 정형용 플레이트(14)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 틀용 표판 본체(31)는, 승강장측 단부에만 접힘 부분이 설치되도록 강판을 구부려 구성되어 있다. 상부 틀용 표판 본체(31)는, 접힘 부분인 표판측 뒤판 접합부(31a)와 승강로측 단부인 굴곡부(31b)가 설치되어 있다. 굴곡부(31b)는, 상부 틀(3a)이 승강장 출입구(2)의 상부 가장자리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하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표판측 뒤판 접합부(31a)는 상부 틀용 뒤판(30)에 접합된다. 또, 표판측 뒤판 접합부(31a)에는, 표판 고정용 스터드 볼트(32)가 삽입되는 표판 고정용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표판 고정용 구멍에 삽입된 표판 고정용 스터드 볼트(32)에 너트가 나사식 붙이기 됨으로써, 상부 틀용 표판 본체(31)는 상부 틀용 뒤판(30)에 고정된다. 즉, 상부 틀용 표판 본체(31)는 상부 틀용 뒤판(3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부 틀용 표판 본체(31)가 상부 틀용 뒤판(30)에 장착되었을 때, 상부 틀용 표판 본체(31)와 상부 틀용 뒤판(30)과의 사이에는 설치 작업용 공간(31c)이 존재하고 있다. 상부 틀용 표판 본체(31)의 상부 틀용 뒤판(30)에의 설치 부분은 설치 작업용 공간(31c)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설치 작업용 공간(31c)은, 설치 작업용 개구부(31d)를 통하여 승강로에 연통된다.
승강장 출입구(2)의 승강로측의 위쪽에는 도어 장치(35)가 설치되어 있다. 설치 작업용 개구부(31d)는, 굴곡부(31b) 및 도어 장치(35)에 의해 막혀 있다. 즉, 상부 틀(3a)은 상부 틀용 표판 본체(31), 상부 틀용 뒤판(30) 및 도어 장치(35)에 의해 통 형상(케이스체 구조)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부 틀(3a)의 설치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세로 틀(3b)과 마찬가지로, 우선 고정 브래킷(6)을 통하여 상부 틀용 뒤판(30)을 승강장 출입구(2)의 상부 가장자리에 고정하고, 공극(6a)에 내화재(13)를 충전하여 상부 틀용 표판 본체(31)를 상부 틀용 뒤판(30)에 장착한다.
여기서, 상부 틀용 표판 본체(31)의 상부 틀용 뒤판(30)에의 설치 작업(표 판 고정용 구멍에 삽입된 표판 고정용 스터드 볼트(32)에의 너트의 나사식 붙이기)은, 도어 장치(35)를 승강장 출입구(2)의 승강로측의 위쪽에 장착하기 전에 실시한다. 즉, 상부 틀용 표판 본체(31)의 상부 틀용 뒤판(30)에의 설치 작업은 설치 작업용 개구부(31d)로부터 실시된다. 다음으로, 설치 작업용 개구부(31d)를 막도록, 도어 장치(35)를 승강장 출입구(2)의 승강로측의 위쪽에 설치한다. 또한, 상부 틀용 표판 본체(31)의 설치 순서와 반대의 순서를 실시함으로써, 상부 틀용 표판 본체(31)를 떼어낼 수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삼방틀(3)에서는, 승강장 출입구(2)의 옆 가장자리부에 고정된 세로 틀용 뒤판(10)에 세로 틀용 표판(5)을 장착함으로써 통이 형성되므로, 세로 틀용 뒤판(10)과 세로 틀용 표판(5)과의 사이에 내화재(13)를 충전하지 않더라도 내화 성능을 충분히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세로 틀용 뒤판(10)에 세로 틀 용 표판(5)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세로 틀용 표판(5)의 교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삼방틀(3)에서는, 세로 틀용 표판(5)은 세로 틀용 표판 본체(11)와 흙막이 판(12)을 가지고 있으므로, 세로 틀용 표판(5)의 세로 틀용 뒤판(10)에 대한 설치 작업이 실시하기 쉽다.
또한,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삼방틀(3)에서는, 세로 틀용 표판 본체(11)와 세로 틀용 뒤판(10)과의 장착부(표판 고정용 구멍 및 표판 고정용 스터드 볼트(16))는 설치 작업용 공간(11e)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세로 틀(3b)이 통 형상으로 된 상태, 즉 삼방틀(3)이 승강장 출입구(2)의 가장자리에 고정된 상태에서도, 흙막이 판(12)을 떼어냄으로써 세로 틀용 표판 본체(11)를 떼어내는 작업을 실시할 수 있어, 세로 틀(3b)의 내화 성능과 세로 틀용 표판 본체(11)의 교환의 편리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게다가 또,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삼방틀(3)에서는, 상부 틀용 뒤판(30)에 상부 틀용 표판 본체(31)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동시에, 설치 작업용 개구부(31d)가 굴곡부(31b) 및 도어 장치(35)에 의해 막혀 있으므로, 상부 틀(3a)은, 상부 틀용 뒤판(30)과 상부 틀용 표판 본체(31)와 도어 장치(35)에 의해 통 형상으로 되고, 상부 틀(3a) 내에 내화재를 충전하지 않아도 내화 성능을 충분히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상부 틀용 표판 본체(31)의 교환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1에서는, 승강장 출입구(2)의 옆 가장자리부에의 고정 브래킷(6)의 설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게 하고, 고정 브래킷(6)에의 세로 틀(3b)의 설치 위치를 승강장 출입구(2)의 안길이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게 하였으나, 반대라도 상관없다. 즉, 브래킷 고정용 긴 구멍과 뒤판 고정용 긴 구멍은, 그들 긴 쪽 방향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면 된다. 또, 상부 틀(3a)에서도 동일하게 브래킷 고정용 긴 구멍과 뒤판 고정용 긴 구멍은, 그들 긴 쪽 방향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면 된다.
또, 실시형태 1에서는, 부재간의 접속에 볼트 및 너트를 사용하였으나, 부재간을 탈착 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으면, 예를 들면 멈춤쇠를 구멍에 거는 방법 등이라도 된다.

Claims (3)

  1. 승강장 출입구의 가장자리부에 고정되는 뒤판, 및
    상기 뒤판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뒤판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뒤판과 통을 형성하는 표판(表板)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삼방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판은, 승강로를 향하는 개구를 남기고 상기 뒤판 및 상기 표판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표판 본체와, 상기 개구를 막도록 상기 뒤판 및 상기 표판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흙막이 판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삼방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판 본체의 상기 뒤판에의 장착부는, 상기 뒤판과 상기 표판과의 사이의 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삼방틀.
KR1020077001367A 2005-03-08 2006-02-20 엘리베이터의 삼방틀 KR200700884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64095A JP2006248632A (ja) 2005-03-08 2005-03-08 エレベータの三方枠
JPJP-P-2005-00064095 2005-03-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456A true KR20070088456A (ko) 2007-08-29

Family

ID=36953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1367A KR20070088456A (ko) 2005-03-08 2006-02-20 엘리베이터의 삼방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857400A4 (ko)
JP (1) JP2006248632A (ko)
KR (1) KR20070088456A (ko)
CN (1) CN1968887A (ko)
WO (1) WO20060955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80106B2 (ja) * 2007-03-07 2012-11-21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乗場装置
WO2009130787A1 (ja) 2008-04-25 2009-10-2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乗場出入口装置
NL1038547C2 (nl) * 2011-01-26 2012-07-30 Jongenelen Holding B V Werkwijze voor het plaatsen van een liftfront.
CN104192682A (zh) * 2014-08-21 2014-12-10 太仓市同维电子有限公司 实现载货电梯减少人为外力受损的方法及装置
JP6419049B2 (ja) * 2015-09-17 2018-11-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
JP7302512B2 (ja) * 2020-03-09 2023-07-04 三菱電機株式会社 三方枠及び三方枠の組み立て方法
EP4151580A4 (en) * 2020-05-12 2023-12-27 Hitachi, Ltd. ELEVATOR DEVICE AND STORAGE FRAME ASSEMBLY STRUCTURE THEREOF
JP7461276B2 (ja) 2020-10-29 2024-04-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出入口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61976A (ja) * 1991-06-07 1992-12-15 Hitachi Ltd エレベータ乗場出入口用三方枠
IT1285847B1 (it) * 1996-04-22 1998-06-24 Kone Oy Dispositivo di finizione e protezione parafuoco per una porta di pianerottolo per un elevatore.
JPH10139335A (ja) * 1996-11-06 1998-05-26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ーの乗場枠
FI103030B1 (fi) * 1998-05-05 1999-04-15 Kone Corp Ovikehysjärjestelmä hissin kerrostaso-ovea var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95562A1 (ja) 2006-09-14
JP2006248632A (ja) 2006-09-21
EP1857400A1 (en) 2007-11-21
CN1968887A (zh) 2007-05-23
EP1857400A4 (en) 201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88456A (ko) 엘리베이터의 삼방틀
JP5058269B2 (ja) エレベータかご及びその据付方法
JP2008265939A (ja) エレベータの乗り場敷居装置
KR20080073930A (ko) 조립식 거푸집의 슬래브패널구조
EP1131261B1 (en) Elevator landing door structure
JP2008179460A (ja) エレベータ乗り場出入口の据付装置
JP2713013B2 (ja) エレベーター用敷居の取付構造
JPH1046668A (ja) ユニット式建物のユニット物取付構造
CN117377634B (zh) 安装辅具
JP2504274B2 (ja) エレベ―タの芯出治具
CN112482635B (zh) 一种建筑预制楼板结构及制作方法
KR102394778B1 (ko) 창호 시공방법
KR200497116Y1 (ko) 무해체 거푸집용 철근 안전고정장치
JPH073142B2 (ja) エレベ−タの乗場側出入口装置
CN111279035B (zh) 能够预施工的电梯核心结构及利用其来预施工电梯核心部分的方法
JP2006044843A (ja) 昇降路用作業台足場
JP7118252B2 (ja) 乗客コンベヤのトラス
JPH07228439A (ja) エレベータ乗り場出入口装置
JP4052754B2 (ja) アンカーボルト設置治具及び基礎の構築方法
KR200233653Y1 (ko) 건축물 축조용 외부 거푸집 설치구조
JP2015096441A (ja) エレベータのかご床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167447B2 (ja) 窓サッシュを有するpc外壁板の取付け工法
JP2005170634A (ja) エレベータ乗り場装置の遮煙構造の付設方法
ITMI20070395A1 (it) Struttura di supporto per lastre di rivestimento di una parete da rivestire.
JP2008273649A (ja) エレベータ用乗りか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