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653Y1 - 건축물 축조용 외부 거푸집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 축조용 외부 거푸집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653Y1
KR200233653Y1 KR2020010006824U KR20010006824U KR200233653Y1 KR 200233653 Y1 KR200233653 Y1 KR 200233653Y1 KR 2020010006824 U KR2020010006824 U KR 2020010006824U KR 20010006824 U KR20010006824 U KR 20010006824U KR 200233653 Y1 KR200233653 Y1 KR 2002336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plate
nut
wall
wal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8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림
김대호
Original Assignee
김영림
김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림, 김대호 filed Critical 김영림
Priority to KR20200100068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6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6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653Y1/ko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 축조용 외부 거푸집 설치구조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바닥 거푸집상에 고정 설치되는 하판과, 이 하판의 상부에 조절 스크류를 통해 상,하로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판으로 이루어진 수평 레벨러와; 하층의 외측 외벽면에 일단이 내장되어 고정되며, 타단이 외벽면 외측으로 노출된 복수의 고정 스크류와; 하층의 외벽면 외측에 밀착 설치되며, 하면이 너트를 통해 고정 스크류상에 고정되고, 대략 중심면에는 관통구멍이 복수 형성되고, 관통구멍 외측에는 너트가 일체로 마련된 외부 거푸집 본체와; 수평 레벨러의 상판과 외부 거푸집 본체상에 마련되어 외부 거푸집 본체의 수직 상태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으로써, 크레인등을 통해 외부 거푸집을 하부 외벽면에 위치시키고 이를 조절수단을 통해 조절함으로써 정확하게 수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육안으로 수직으로 조절하는 것에 비교할 때 작업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할 수 있게되며, 결과적으로 공사기간의 단축 및 이에따른 공비절감을 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작업인원을 감소할 수 있게됨으로써 인건비 절감을 도모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건축물 축조용 외부 거푸집 설치구조{structure for mounting a mould}
본 고안은 적어도 2층 이상의 건축물을 축조(築造)할 때 외벽면 형성하기 위한 외부 거푸집을 수직으로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위한 외부 거푸집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2층이상 다층의 건축물을 축조함에 있어서는, 일반 주택과는 달리, 다수의 철제빔을 통해 골조를 형성한 뒤, 이 철제빔상에 외부거푸집을 크레인등을 통해 순차적으로 각층의 외벽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수직으로 설치한 뒤 콘크리트 몰탈을 충진시켜 외벽면을 형성하고 있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에서와 같이, 크레인(c)등을 통해 하부 외측면상에 외부 거푸집(a)을 대략 수직으로 위치시킨 뒤, 수평 레벨러(b)로 작업자가 육안으로 외부 거푸집(a)의 수직 상태를 확인하면서 크레인 작업자가 레벨러 작업자가 지시하는데로 외부 거푸집(a)의 수직 상태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외부 거푸집 설치구조에 있어서는, 육안으로 외부 거푸집의 수직상태를 확인하고 이를 크레인 작업자가 이동시키면서 수직 상태를 조절하는 것이기 때문에 외부 거푸집의 수직 작업상태를 조절하기가 매우 어렵고 특히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등의 문제점이 야기된다.
또한 외부 거푸집(a)을 고정하기 위한 작업자와, 레벨러(b)로 외부 거푸집(a)의 수직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작업자 그리고 크레인(c)를 작동하기 위한 작업자가 필요로 하는등 많은 작업 인력이 필요로 함으로써 인건비상승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외벽면을 형성하기 위한 외부 거푸집의 수직 상태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음으로써 공사기간의 단축을 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인력의 감소를 통한 인건비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건축물 축조용 외부 거푸집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외부 거푸집 설치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 축조용 외부 거푸집 설치구조를 순차적으로 보인 단면도들.
도 4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바닥 거푸집 2 : 외벽면
10 : 수평 레벨러 11 : 하판
12 : 상판 13 : 조절 스크류
20 : 고정 스크류 30 : 외부 거푸집 본체
31 : 관통구멍 32 : (일체형)너트
40 : 조절수단 41 : 조절스크류
42 : 수평 플레이트 43 : 가이더
44 : 브래킷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 축조용 외부 거푸집 설치구조는, 적어도 2층 이상의 건물을 축조할 때 외벽면을 형성하기 위한 외부 거푸집을 수직으로 설치함에 있어서, 바닥 거푸집상에 고정설치되는 하판과, 이 하판의 상부에 조절 스크류를 통해 상,하로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판으로 이루어진 수평 레벨러와; 하층의 외측 외벽면에 일단이 내장되어 고정되며, 타단이 외벽면 외측으로 노출된 복수의 고정 스크류와; 하층의 외벽면 외측에 밀착 설치되며, 하면이 너트를 통해 고정 스크류상에 고정되고, 대략 중심면에는 관통구멍이 복수 형성되고, 관통구멍 외측에는 너트가 일체로 마련된 외부 거푸집 본체와; 상기 수평 레벨러의 상판과 외부 거푸집 본체상에 마련되어 외부 거푸집 본체의 수직 상태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 특징은, 상기 조절수단은, 일단이 수평 레벨러의 상판에 고정되고, 상단이 하부 외벽면 상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는 복수의 조절 스크류와; 상기 조절 스크류상에 너트를 통해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편평한 판상의 수평 플레이트와: 상기 외부 거푸집 본체의 관통구멍을 통해 일체형 너트에 체결되며,단부가 상기 수평 플레이트의 상면에 안착되어 외부 거푸집 본체의 수직도를 조절하는 가이더와; 상기 외부 거푸집의 상단부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조절 스크류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브래킷;을 포함하여 된 것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 축조용 외부 거푸집 설치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외부 거푸집 설치구조를 순차적으로 보인 단면도들이고, 도 4는 개략적 평면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 축조용 외부 거푸집 설치구조는, 하층의 바닥 거푸집(1)상에는 하판(11)과 이 하판(11)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판(12) 그리고 하판(11)을 중심으로 상판(12)을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수평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스크류(13)로 이루어진 수평레벨러(10)가 위치된다.
한편, 하층의 외측 외벽면(2)에는 고정 스크류(20)가 내장 설치되는 바, 이 고정 스크류(20)는 일단이 외벽면의 형성시 매립되어 고정되고, 타단은 외벽면 외측으로 소정길이 노출된다.
또한 하층의 외벽면(2) 외측에는 외부 거푸집 본체(30)가 설치되는 바, 이 외부 거푸집 본체(30)의 하면은 고정 스크류(20)를 감싸는 형태로 외벽면(2)에 밀착 설치되며, 특히 너트(N)를 통해 선택적으로 이에 고정된다.
그리고 이 외부 거푸집(30)에는 복수의 관통구멍(31)이 형성되며, 이 관통구멍(31)이 형성된 부위와 대응되는 외측면에는 용접 등을 통해 너트(32)가 일체로 고정 설치된다.
한편, 전술한 수평 레벨러(10)의 상판(12)과 외부 거푸집 본체(30)사이에는 외부 거푸집 본체(30)를 수직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조절수단(40)이 개재된다.
이러한 조절수단(40)의 상세한 구조를 보면, 크게 조절 스크류(41)와 수평 플레이트(42) 그리고 가이더(43)와 브래킷(44)으로 대별된다.
조절 스크류(41)는, 일단이 수평 레벨러(10)의 상판(12)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단은 외벽면(2) 상면으로 소정길이 돌출된다.
수평 플레이트(42)는, 편평한 판상의 형태를 갖고 있는 것으로서, 복수의 너트(N)를 통해 조절 스크류(41)에 상,하로 조절 가능하게 결합된다.
가이더(43)는, 외부 거푸집 본체(30)의 내측면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외부 거푸집(30)의 관통구멍(31)을 통해 외측의 일체형 너트(32)에 체결되는 볼트(B)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술한 수평 플레이트(42)의 상면에 접촉되면서 외부 거푸집 본체(30)의 높이 한정 및 수직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가이더(43)의 하단부와 대응되는 수평 플레이트(42)의 상면에는 소정깊이로 홈부(42a)를 형성하고, 이에 가이더(43)의 하단부가 끼워 삽입되면서 수직도 조절 및 높이 한정을 행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는 일종의 자동조심(自動操心)을 행할 수 있게된다.
브래킷(44)은, 외부 거푸집 본체(30)의 상부 외측면에 역시 관통구멍(31)을 통해 일체형 너트(32)에 체결되는 볼트(B)를 통해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층을 형성할 때 수평 플레이트(42)가 체결되어지는 조절 스크류(41)가 결합되어진다.
미설명부호(50)은 관통구멍(31)을 밀폐시키기 위한 커버이고, (60)은 가이더(43)상에 마련되어 외부 거푸집 본체(30)의 수직 및 수평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수평계이다.
먼저 초기에 도 1에서와 같이 최하층에는 수평 레벨러(10)와 도시되지 않은 거푸집등을 통해 콘크리트 몰탈이 충진되어 외벽면(2)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외벽면(2)에는 고정 스크류(20)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몰입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수평 레벨러(10)가 내장된 상태에서 상판(12)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크레인등을 통해 외부 거푸집 본체(30)를 하부 외벽면(2) 외측에 위치시킨다.
이때 외부 거푸집 본체(30) 내측에는 조절수단(40)을 구성하고 있는 가이더(43)가 마련된 상태이며, 외벽면(2) 상부 외측에는 수평 플레이트(42)가 위치된 상태이다.
따라서 외부 거푸집 본체(30)를 크레인등을 통해 외벽면(2)에 위치시키게 되며, 어느 시점에서 조절수단(40)을 구성하고 있는 가이더(43)가 수평 플레이트(42)의 상면에 접촉되게 되고, 따라서 외부 거푸집 본체(30)는 정확하게 수직으로 위치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너트(N)를 고정 스크류(20)에 위치 고정시킨후, 콘크리트 몰탈을 충진하게 되면, 도 2에서와 같이 또하나의 하부 외벽면(2')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을 순차적으로 행함으로써 다층의 건축물 축조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외부 거푸집 본체(30)의 상단부에는 브래킷(44)을 통해 조절 스크류(41)가 체결됨으로써 다시 상층을 형성하기 위한 수평 플레이트(42)의 설치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범위는 이와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한 것이다. 예를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 축조용 외부 거푸집 설치구조에 의하면, 크레인등을 통해 외부 거푸집을 하부 외벽면에 위치시키고 이를 조절수단을 통해 조절함으로써 정확하게 수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육안으로 수직으로 조절하는 것에 비교할 때 작업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할 수 있게되며, 결과적으로 공사기간의 단축 및 이에따른 공비절감을 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작업인원을 감소할 수 있게됨으로써 인건비 절감을 도모한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적어도 2층 이상의 건물을 축조할 때 외벽면을 형성하기 위한 외부 거푸집을 수직으로 설치함에 있어서,
    바닥 거푸집상에 고정 설치되는 하판과, 이 하판의 상부에 조절 스크류를 통해 상,하로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판으로 이루어진 수평 레벨러와;
    하층의 외측 외벽면에 일단이 내장되어 고정되며, 타단이 외벽면 외측으로 노출된 복수의 고정 스크류와;
    하층의 외벽면 외측에 밀착 설치되며, 하면이 너트를 통해 고정 스크류상에 고정되고, 대략 중심면에는 관통구멍이 복수 형성되고, 관통구멍 외측에는 너트가 일체로 마련된 외부 거푸집 본체와;
    상기 수평 레벨러의 상판과 외부 거푸집 본체상에 마련되어 외부 거푸집 본체의 수직 상태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축조용 외부 거푸집 설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일단이 수평 레벨러의 상판에 고정되고, 상단이 하부 외벽면 상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는 복수의 조절 스크류와;
    상기 조절 스크류상에 너트를 통해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편평한 판상의 수평 플레이트와;
    상기 외부 거푸집 본체의 관통구멍을 통해 일체형 너트에 체결되며, 단부가상기 수평 플레이트의 상면에 안착되어 외부 거푸집 본체의 수직도를 조절하는 가이더와;
    상기 외부 거푸집의 상단부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조절 스크류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브래킷;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축조용 외부 거푸집 설치구조.
KR2020010006824U 2001-03-08 2001-03-08 건축물 축조용 외부 거푸집 설치구조 KR2002336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824U KR200233653Y1 (ko) 2001-03-08 2001-03-08 건축물 축조용 외부 거푸집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824U KR200233653Y1 (ko) 2001-03-08 2001-03-08 건축물 축조용 외부 거푸집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3653Y1 true KR200233653Y1 (ko) 2001-10-08

Family

ID=73097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824U KR200233653Y1 (ko) 2001-03-08 2001-03-08 건축물 축조용 외부 거푸집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65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329A (ko) * 2001-03-08 2001-07-25 김영림 건축물 축조용 외부 거푸집 설치구조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329A (ko) * 2001-03-08 2001-07-25 김영림 건축물 축조용 외부 거푸집 설치구조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33323A (en) Prefabricated room cell in particular a bathroom
KR200233653Y1 (ko) 건축물 축조용 외부 거푸집 설치구조
US20040004174A1 (en) Formwork system for concrete bodies
JPH0813608A (ja) 薄肉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柱の構築方法およびガイド型枠
KR200397566Y1 (ko) 수평조절장치를 갖춘 갱폼
KR200233652Y1 (ko) 건축물 축조용 외부 거푸집 설치구조
EP1726728B1 (en) Method of erecting a partition wall integrated with a concrete floor
KR20010069329A (ko) 건축물 축조용 외부 거푸집 설치구조 및 방법
JPH07331830A (ja) コンクリート建築物における手摺の取付方法およびそ の取付装置
KR20220010301A (ko) 유로폼용 데크패널
KR102394778B1 (ko) 창호 시공방법
KR200254806Y1 (ko) 건축물 축조용 외부 거푸집 설치구조
KR100805967B1 (ko) 설치위치 조정형 집수정 결합구조
CN110593560A (zh) 一种砼墙柱内线盒安装方法
KR200215935Y1 (ko) 거푸집 설치용 프레임 셋팅장치
CN215948254U (zh) 一种地铁上盖工程架空式施工电梯基础结构
KR100450113B1 (ko) 다층 건축물의 계단 형성구조
KR200223187Y1 (ko) 키커브라켓트
RU99118847A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монолитных каркасов
KR20080057438A (ko) 기둥 높이 조절용 강관 기초 구조 시공법
CN113684854A (zh) 一种地铁上盖工程架空式施工电梯基础结构及其施工方法
KR200330531Y1 (ko) 교량의 교좌장치용 정밀 수평조절 지그
JP2003253856A (ja) 玄関土間の床構造
KR200340002Y1 (ko) 건축물용 거푸집 설치구조
KR101499390B1 (ko) 일부 돌출 발코니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