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7566Y1 - 수평조절장치를 갖춘 갱폼 - Google Patents

수평조절장치를 갖춘 갱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7566Y1
KR200397566Y1 KR20-2005-0020259U KR20050020259U KR200397566Y1 KR 200397566 Y1 KR200397566 Y1 KR 200397566Y1 KR 20050020259 U KR20050020259 U KR 20050020259U KR 200397566 Y1 KR200397566 Y1 KR 2003975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ngform
horizontal
horizontal adjustment
lever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02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택철
Original Assignee
권택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택철 filed Critical 권택철
Priority to KR20-2005-00202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75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75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75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10Devices for levelling, e.g. templates or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갱폼의 하단부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장착되어, 갱폼의 좌우측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수평조절장치를 갖춘 갱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수평조절장치를 갖춘 갱폼은 갱폼의 하단부의 좌우측에 수평조절장치(60 ; 60a, 60b)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수평조절장치(60)는 수평조절레버(62)가 갱폼(50)에 끼워져, 상기 수평조절레버(62)의 선단이 갱폼(50)에서 돌출되고, 상기 수평조절레버(62)의 후단에 형성된 나선구멍에 조절볼트(64)가 체결되고, 상기 갱폼(50)의 외측면에 용접된 상부 고정철물(66)과 하부 고정철물(68)에 조절볼트(64)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평조절장치를 갖춘 갱폼{Gang form with horizontal leveling device}
본 고안은 수평조절장치를 갖춘 갱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갱폼의 하단부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장착되어, 조절 볼트로 갱폼을 가로질러 장착되는 수평조절레버의 배치높이를 조정하므로서, 갱폼의 좌우측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수평조절장치를 갖춘 갱폼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고층건물을 건축할 때, 철근을 배근하여 골격을 형성하고, 골격의 외측 및 내측에 각각 갱폼(1)과 유로폼(3)을 설치하고, 갱폼(1)과 유로폼(3)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동안 콘크리트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갱폼(1)과 유로폼(3)이 타이볼트(5)로 연결한다.
일반적으로 갱폼(1)은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외측면에 수평바대(11)와 수직바대(13)가 교차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수평바대(11)와 수직바대(13)의 교차지점에 타이볼트(5)가 장착되고, 상기 수평바대(11)와 수직바대(13)가 장착된 외측면에 작업 발판(15)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갱폼은 타워크레인으로 인양한 후, 체인블럭 또는 지렛대를 이용하여 수평을 조절하였으나, 갱폼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정하는 수단이 없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건축물의 어느 한 층의 외벽과 슬라브를 축조하고, 위 층의 외벽과 슬라브를 축조하기 위해 갱폼을 타워크레인으로 인양하여 설치할 때, 갱폼의 좌우측 수평을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는 수평조절장치를 갖춘 갱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갱폼의 내측면 상단에 수평고정돌기를 장착하여, 유로폼의 설치 높이 및 다음 층의 슬라브 설치높이를 내부 작업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수평조절장치를 갖춘 갱폼은 갱폼의 하단부의 좌우측에 수평조절장치(60 ; 60a, 60b)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수평조절장치(60)는 수평조절레버(62)가 갱폼(50)에 끼워져, 상기 수평조절레버(62)의 선단이 갱폼(50)에서 돌출되고, 상기 수평조절레버(62)의 후단에 형성된 나선구멍에 조절볼트(64)가 체결되고, 상기 갱폼(50)의 외측면에 용접된 상부 고정철물(66)과 하부 고정철물(68)에 조절볼트(64)가 장착된다.
상기 조절볼트(64)는 나선부가 상부 고정철물(66)과 하부 고정철물(68)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수평조절장치(60)는 어느 한 방향(예를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조절볼트(64)를 돌리면, 상기 조절볼트(64)에 체결된 수평조절레버(62)가 조절볼트(66)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부로 내려가게 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수평조절레버(62)가 끼워진 갱폼(50)이 하부로 내려가게 된다. 그리고, 다른 방향(시계 방향)으로 조절볼트(64)를 돌리면, 상기 조절볼트(64)에 체결된 수평조절레버(62)가 조절볼트(64)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부로 올라가게 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수평조절레버(62)가 끼워진 갱폼(50)이 상부로 올라가게 된다.
상기 갱폼(50)은 내측면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유로폼의 설치 높이 및 다음 층의 슬라브 설치높이를 내부 작업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수평고정돌기(70; 도 4 참조)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수평조절장치를 갖춘 갱포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타워크레인으로 수평조절장치(60)의 수평조절레버(62)가 슬라브(80)에 걸리도록 상기 갱폼(50)을 인양한 후, 예를들어, 도 3에 점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갱폼(50)의 어느 한 쪽이 기울어지게 배치될 경우, 수평조절장치(60 ; 60a, 60b)가 갱폼(50)의 좌우측 하단에 각각 장착되어, 좌측 수평조절장치(60a) 또는 우측 수평조절장치(60b)를 이용하여 갱폼(50)이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수평고정돌기(70)는 내부 작업자가 유로폼을 설치할 때, 유로폼의 설치높이 및 슬라브의 축조높이를 정할 수 있는 기준이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평조절장치을 갖춘 갱폼은 갱폼을 타워크레인으로 인양하여 설치할 때, 갱폼의 좌우측 수평을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고, 수평고정돌기에 의해 내부 작업자가 유로폼을 설치할 때, 유로폼의 설치높이 및 슬라브의 축조높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갱폼과 유로폼의 설치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갱폼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평조절장치가 장착된 갱폼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평조절장치가 장착된 갱폼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4의 수평조절장치를 확대 도시한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50 : 갱폼 60(60a, 60b) : 수평조절장치
62 : 수평조절레버 64 : 조절볼트
66, 68 : 고정철물

Claims (2)

  1. 갱폼의 하단부의 좌우측에 수평조절장치(60 ; 60a, 60b)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수평조절장치(60)는 수평조절레버(62)가 갱폼(50)에 끼워져, 상기 수평조절레버(62)의 선단이 갱폼(50)에서 돌출되고, 상기 수평조절레버(62)의 후단에 형성된 나선구멍에 조절볼트(64)가 체결되고, 상기 갱폼(50)의 외측면에 용접된 상부 고정철물(66)과 하부 고정철물(68)에 조절볼트(64)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조절장치를 갖춘 갱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갱폼(50)은 내측면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유로폼의 설치 높이 및 다음 층의 슬라브 설치높이를 내부 작업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수평고정돌기(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조절장치를 갖춘 갱폼.
KR20-2005-0020259U 2005-07-12 2005-07-12 수평조절장치를 갖춘 갱폼 KR2003975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259U KR200397566Y1 (ko) 2005-07-12 2005-07-12 수평조절장치를 갖춘 갱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259U KR200397566Y1 (ko) 2005-07-12 2005-07-12 수평조절장치를 갖춘 갱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7566Y1 true KR200397566Y1 (ko) 2005-10-05

Family

ID=43698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259U KR200397566Y1 (ko) 2005-07-12 2005-07-12 수평조절장치를 갖춘 갱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756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645B1 (ko) 2006-11-20 2007-10-17 주식회사 근하기공 갱폼 레벨 및 수직 조절장치
KR100964448B1 (ko) 2008-04-08 2010-06-16 곽인근 농구대용 백 보드
KR101798539B1 (ko) * 2017-04-07 2017-11-16 신성구조이엔지 주식회사 고 교각 시공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645B1 (ko) 2006-11-20 2007-10-17 주식회사 근하기공 갱폼 레벨 및 수직 조절장치
KR100964448B1 (ko) 2008-04-08 2010-06-16 곽인근 농구대용 백 보드
KR101798539B1 (ko) * 2017-04-07 2017-11-16 신성구조이엔지 주식회사 고 교각 시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83130B (zh) 一种采用组合式井架组装的电梯井道壁
JP4336682B2 (ja) エレベータ用昇降路建物の構築方法
CN111395641A (zh) 一种预制混凝土外挂墙板及其施工方法
JP2008274586A (ja) 柱頭部の施工方法
KR200397566Y1 (ko) 수평조절장치를 갖춘 갱폼
JP2011157720A (ja) 鉄道rcラーメン構造高架橋の構築方法
CN114856195A (zh) 建筑管井处楼板后浇注施工方法
KR102115352B1 (ko) 선조립 철근망을 이용한 연속벽 시공 방법
KR100650134B1 (ko) 지지대 조기 해체 공법
CN207749817U (zh) 一种悬挑脚手架安装系统
CN205444550U (zh) 一种连接件及外墙板安装节点
KR20080057372A (ko) 수평,수직 일체형 콘크리트 구조물을 성형하기 위한 거푸집장치
JP2009150067A (ja) 既設支承装置の更新方法及び更新構造
CN216713092U (zh) 一种地脚螺栓定位结构
KR102494024B1 (ko) 플레이싱 붐 마스트 지지 브라켓
KR20020062245A (ko) 철근콘크리트건물의 조립식 철골계단 연결구조 및 그시공방법
KR100477623B1 (ko) 건축 지하 구조물 연약지반 부벽 설치 구조
JP6418870B2 (ja) エレベータピットの構築方法
KR200397562Y1 (ko) 벽체시공용 거푸집 지지구
JP4095953B2 (ja) アンカ装置及びアンカ装置の使用方法
JP7288390B2 (ja) 基礎の施工方法及び基礎
KR200349973Y1 (ko) 거푸집용 멍에걸이 받침대
KR200237675Y1 (ko) 도로암거 및 지하공동구 구조물내부 이동식 거푸집구조
KR200326597Y1 (ko) 거어더의 전도 방지장치
KR20060099359A (ko) 철골 계단 시공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