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390B1 - 일부 돌출 발코니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일부 돌출 발코니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390B1
KR101499390B1 KR20140043655A KR20140043655A KR101499390B1 KR 101499390 B1 KR101499390 B1 KR 101499390B1 KR 20140043655 A KR20140043655 A KR 20140043655A KR 20140043655 A KR20140043655 A KR 20140043655A KR 101499390 B1 KR101499390 B1 KR 101499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cony
slab
protruding
roof
insta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43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대
조승남
Original Assignee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학선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학선건설(주) filed Critical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40043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3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03Balconies; De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6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or other parts corbelled out of the wall
    • E04G13/066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or other parts corbelled out of the wall for overha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2011/067Integrated forms comprising shuttering skin, 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workplatforms and ra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위 수직 구획 3개층마다 돌출되는 발코니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돌출되는 발코니의 최외측 면에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갱폼을 설치하는 단계; 돌출되는 발코니의 바닥 슬라브 형성을 위하여 발코니 바닥 거푸집을 상기 갱폼에 맞닿게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발코니 바닥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발코니 바닥 슬라브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갱폼을 수직 상방으로 한개층 이동하여 설치하는 단계; 돌출되는 발코니의 지붕 슬라브 형성을 위하여 발코니 지붕 거푸집을 상기 갱폼에 맞닿게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발코니 지붕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발코니 지붕 슬라브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갱폼을 수직 상방으로 한 개층 더 이동하여 설치하는 단계; 돌출되지 않는 발코니의 슬라브 형성을 막기 위하여 슬라브 레벨보다 높게 페이크 거푸집을 상기 갱폼에 맞닿게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페이크 거푸집 주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라브를 형성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돌출 발코니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의 외측으로 일부가 규칙적으로 돌출되는 발코니를 시공하면서 갱폼을 수평적으로 이동하지 않고, 수직방향만으로 이동시켜 건물의 외측으로 일부가 규칙적으로 돌출되는 발코니를 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일부 돌출 발코니 시공방법 {Method of constructing protruding balcony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물의 외측으로 일부가 규칙적으로 돌출되는 발코니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들은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채우고 양생시키는 방법으로 골조가 형성되며, 거푸집은 다수의 거푸집 패널이 서로 밀착되게 배열, 연결되어 배치되는 구조이다.
과거 목재 거푸집 패널이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강재(鋼材)나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진 금속 거푸집 패널이 개발되어 건축 시공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건축물 내부의 벽체나 슬라브 등에는 규격화된 금속 거푸집 패널을 사용하여 경제성을 확보하고 있지만, 건축물의 외벽면을 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갱폼(gang-form)의 경우에는 규격화된 금속 거푸집 패널을 사용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건물에 사용되는 갱폼의 종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건축물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해 콘크리트의 완전 양생 시까지 외벽(W)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갱폼(1)은, 다수의 강판이 용접 결합된 판재(11)의 외면에 보강프레임(12)이 결합되고, 판재(11)와 보강프레임(12) 사이에는 작업용 발판(13) 등이 구비된다. 이러한 갱폼(1)은 외벽(W)의 내면에 밀착되는 벽체 거푸집(2)과 연결편(14)에 의해 결합되고, 연결편(14)은 실내측에서 핀(P)에 의해 결합된다.
갱폼(1)은 한개층 시공 후 조임부재(15)를 분리하면 연결편(14)의 실외측 단부가 외벽(W)에 매입된 상태이므로, 연결편(14)과 갱폼(1)이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분리된다. 이 상태에서 크레인을 이용하여 갱폼(1)을 수직 방향으로 상향 이동시켜 그 윗층의 외벽을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갱폼(1)은 외벽이 수직으로 동일한 길이의 슬라브를 가질 경우, 즉 입면이 매끈한 상태일 경우 최적의 사용이 가능하지만, 입면이 복잡한 경우에는 갱폼(1)을 여러 개 제작하여 층마다 다른 갱폼(1)을 사용하거나 층마다 갱폼의 위치를 변경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최근 들어 건물의 입면을 복잡하게 해야 건축 허가를 내주는 상황에서 복잡한 입면에 적용할 수 있는 갱폼(1) 적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0788169호 (2007. 12. 15), "갱폼 인양 장치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 한국공개특허 제2008-0082363호 (2008. 09. 11), "건축물 외벽 시공용 갱폼"
본 발명의 목적은 갱폼의 종류와 이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일부 돌출 발코니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부 돌출 발코니 시공방법은 단위 수직 구획 3개층마다 돌출되는 발코니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돌출되는 발코니의 최외측 면에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갱폼을 설치하는 단계; 돌출되는 발코니의 바닥 슬라브 형성을 위하여 발코니 바닥 거푸집을 상기 갱폼에 맞닿게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발코니 바닥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발코니 바닥 슬라브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갱폼을 수직 상방으로 한개층 이동하여 설치하는 단계; 돌출되는 발코니의 지붕 슬라브 형성을 위하여 발코니 지붕 거푸집을 상기 갱폼에 맞닿게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발코니 지붕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발코니 지붕 슬라브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갱폼을 수직 상방으로 한 개층 더 이동하여 설치하는 단계; 돌출되지 않는 발코니의 슬라브 형성을 막기 위하여 슬라브 레벨보다 높게 페이크(fake) 거푸집을 상기 갱폼에 맞닿게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페이크 거푸집 주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라브를 형성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갱폼을 수직 상방으로 한개층 이동하여 설치하는 단계 이후에, 돌출되는 발코니의 벽체 형성을 위하여 발코니 벽체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코니 지붕 슬라브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발코니 벽체 거푸집에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발코니 벽체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발코니 바닥 슬라브를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돌출되는 발코니의 벽체 형성을 위하여 발코니 벽체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발코니 벽체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발코니 벽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돌출되는 발코니는, 정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단위 수직 구획 3개층마다 돌출되는 발코니를 반복적으로 시공하되, 상기 돌출되는 발코니는, 건물 전체 입면에서 경사진 패턴을 이루도록 아래층의 발코니 지붕 슬라브의 일단과 바로 윗층의 발코니 바닥 슬라브의 일단이 서로 맞닿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부 돌출 발코니 시공방법에 의하면,
첫째, 건물의 외측으로 일부가 규칙적으로 돌출되는 발코니를 시공하면서 갱폼을 수평적으로 이동하지 않고, 수직방향만으로 이동시켜 건물의 외측으로 일부가 규칙적으로 돌출되는 발코니를 시공할 수 있다.
둘째, 페이크 거푸집을 이용하여 일부 발코니만 돌출된 건물의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셋째, 정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인 돌출되는 발코니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넷째, 단위 수직 구획 3개층마다 돌출되는 발코니를 반복적으로 시공하면서, 돌출되는 발코니는 건물 전체 입면에서 경사진 패턴을 이루게 시공할 수 있다.
도 1은 건물 시공에 사용되는 종래의 갱폼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부 돌출 발코니 시공방법에 의한 건물의 시공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부 돌출 발코니 시공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일부 돌출 발코니 시공방법에 의한 단위 수직 구획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일부 돌출 발코니 시공방법을 동일층에서 연속적으로 시공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일부 돌출 발코니 시공방법에 의한 단위 수직 구획을 일부 확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부 돌출 발코니 시공방법에 의한 건물의 시공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부 돌출 발코니 시공방법의 흐름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일부 돌출 발코니 시공방법에 의한 단위 수직 구획을 나타낸 사시도, 도 5 내지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일부 돌출 발코니 시공방법을 동일층에서 연속적으로 시공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부 돌출 발코니 시공방법은 단위 수직 구획 3개층(Z)마다 돌출되는 발코니(PB)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단계 S110 내지 단계 S190을 포함한다. 단위 수직 구획 3개층(Z)은 돌출되는 발코니(PB)가 수직적으로, 수평적으로 반복되는 입면을 의미한다. 돌출되는 발코니(PB)는 여러 가지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정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를 예시하기로 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한 개층 전체를 기준으로 하여 보게 되면, 발코니 바닥 슬라브(LS)의 양측에는 슬라브가 없는 공간인 공슬라브(NS)와, 발코니 지붕 슬라브(US)가 각각 배치된다. 또한, 수평 레벨인 화살표(A)를 따라 한 개층 전체를 기준으로 보게 되면, 발코니 바닥 슬라브(LS), 발코니 지붕 슬라브(US) 및 공슬라브(NS)가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배치된다. 물론 입면의 형태에 따라 반복되는 형태는 불규칙한 변형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한 개의 층에서 단계 S110 내지 단계 S190를 설명하기로 한다. 즉, 갱폼(GF)을 수직 상방으로 한개층씩 이동한 것으로 가정하고, 한 개의 층에서 발코니 바닥 슬라브(LS), 발코니 지붕 슬라브(US) 및 공슬라브(NS)가 시공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S110은 돌출되는 발코니(PB)의 최외측 면에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갱폼(GF)을 설치하는 단계이다(도 4 및 도 5 참조).
단계 S120은 돌출되는 발코니(PB)의 바닥 슬라브(LS) 형성을 위하여 발코니 바닥 거푸집(100)을 갱폼(GF)에 맞닿게 설치하는 단계이다(도 6 참조). 이때 발코니 바닥 거푸집(100)을 지지하는 동바리(S)는 아래층의 페이크 거푸집(300) 위에 설치됨을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130은 발코니 바닥 거푸집(10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발코니 바닥 슬라브(LS)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는 도 9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40은 다음층 시공을 위하여 갱폼(GF)을 수직 상방으로 한개층 이동하여 설치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돌출되는 발코니(PB)의 벽체 형성을 위하여 단계 S140 이후에 단계 S141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즉, 단계 S141에서는 돌출되는 발코니(PB)의 벽체 형성을 위하여 발코니 벽체 거푸집(400)을 설치한다(도 5 참조).
단계 S150은 돌출되는 발코니(PB)의 지붕 슬라브(US) 형성을 위하여 발코니 지붕 거푸집(200)을 갱폼(GF)에 맞닿게 설치하는 단계이다. 도 6에서 발코니 바닥 거푸집(100)의 오른쪽에 발코니 지붕 거푸집(200)이 놓이게 되며, 편의상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단계 S160은 발코니 지붕 거푸집(20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발코니 지붕 슬라브(US)를 형성하는 단계이다(도 10 참조).
앞서 설명한 것처럼 단계 S141을 포함할 경우, 단계 S160은 발코니 벽체 거푸집(400)에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발코니 벽체(W)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단계 S141이 생략될 경우, 발코니 벽체(W)는 벽이 아닌 난간 등의 다른 재료로 대체될 수도 있다.
단계 S170은 갱폼(GF)을 수직 상방으로 한 개층 더 이동하여 설치한다.
다음으로, 단계 S180은 돌출되지 않는 발코니의 슬라브 형성을 막기 위하여 슬라브 레벨보다 높게 페이크 거푸집(300)을 갱폼(GF)에 맞닿게 설치하는 단계이다(도 8 참조). 이때 페이크 거푸집(100)을 지지하는 동바리(S)는 아랫층의 발코니 지붕 슬라브(US) 위에 설치됨을 확인할 수 있다(도 7 참조).
끝으로, 단계 S190은 페이크 거푸집(300) 주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라브를 형성하지 않는 단계이다(도 9 참조). 즉, 페이크 거푸집(300)이 슬라브 레벨보다 높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돌출되지 않는 발코니의 슬라브 형성을 막을 수 있다.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일부 돌출 발코니 시공방법에 의한 단위 수직 구획을 일부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일부 돌출 발코니 시공방법은 단위 수직 구획 3개층마다 돌출되는 발코니(PB)를 반복적으로 시공하되, 돌출되는 발코니(PB)는 건물 전체 입면에서 경사진 패턴을 이루도록 아래층의 발코니 지붕 슬라브(US)의 일단과 바로 윗층의 발코니 바닥 슬라브(LS)의 일단이 서로 맞닿게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의 외측으로 일부가 규칙적으로 돌출되는 발코니(PB)를 시공하면서 갱폼(GF)을 수평적으로 이동하지 않고, 수직방향만으로 이동시켜 건물의 외측으로 일부가 규칙적으로 돌출되는 발코니(PB)를 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발코니 바닥 거푸집
200...발코니 지붕 거푸집
300...페이크 거푸집
400...발코니 벽체 거푸집

Claims (4)

  1. 단위 수직 구획 3개층마다 돌출되는 발코니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돌출되는 발코니의 최외측 면에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갱폼을 설치하는 단계;
    돌출되는 발코니의 바닥 슬라브 형성을 위하여 발코니 바닥 거푸집을 상기 갱폼에 맞닿게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발코니 바닥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발코니 바닥 슬라브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갱폼을 수직 상방으로 한개층 이동하여 설치하는 단계;
    돌출되는 발코니의 지붕 슬라브 형성을 위하여 발코니 지붕 거푸집을 상기 갱폼에 맞닿게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발코니 지붕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발코니 지붕 슬라브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갱폼을 수직 상방으로 한 개층 더 이동하여 설치하는 단계;
    돌출되지 않는 발코니의 슬라브 형성을 막기 위하여 슬라브 레벨보다 높게 페이크(fake) 거푸집을 상기 갱폼에 맞닿게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페이크 거푸집 주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라브를 형성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부 돌출 발코니 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갱폼을 수직 상방으로 한개층 이동하여 설치하는 단계 이후에,
    돌출되는 발코니의 벽체 형성을 위하여 발코니 벽체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코니 지붕 슬라브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발코니 벽체 거푸집에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발코니 벽체를 동시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부 돌출 발코니 시공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돌출되는 발코니는,
    정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부 돌출 발코니 시공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위 수직 구획 3개층마다 돌출되는 발코니를 반복적으로 시공하되,
    상기 돌출되는 발코니는,
    건물 전체 입면에서 경사진 패턴을 이루도록 아래층의 발코니 지붕 슬라브의 일단과 바로 윗층의 발코니 바닥 슬라브의 일단이 서로 맞닿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부 돌출 발코니 시공방법.
KR20140043655A 2014-04-11 2014-04-11 일부 돌출 발코니 시공방법 KR101499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3655A KR101499390B1 (ko) 2014-04-11 2014-04-11 일부 돌출 발코니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3655A KR101499390B1 (ko) 2014-04-11 2014-04-11 일부 돌출 발코니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9390B1 true KR101499390B1 (ko) 2015-03-05

Family

ID=53026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43655A KR101499390B1 (ko) 2014-04-11 2014-04-11 일부 돌출 발코니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939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748B1 (ko) * 2009-12-30 2012-07-05 주식회사 엘에스폼웍 가변 거푸집
KR101461142B1 (ko) * 2013-12-12 2014-11-20 삼성물산 주식회사 돌출부와 함몰부를 포함하는 건물 벽체 형성용 갱폼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벽체를 형성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748B1 (ko) * 2009-12-30 2012-07-05 주식회사 엘에스폼웍 가변 거푸집
KR101461142B1 (ko) * 2013-12-12 2014-11-20 삼성물산 주식회사 돌출부와 함몰부를 포함하는 건물 벽체 형성용 갱폼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벽체를 형성하는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2014.3.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2648B1 (ko) 건축물의 금속 패널 지붕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N107859250B (zh) 一种装配式建筑结构及其施工方法
KR20130076848A (ko) 층간 소음방지용 바닥패널
KR101107358B1 (ko) 하향식 피난사다리의 시공방법
KR101499390B1 (ko) 일부 돌출 발코니 시공방법
JP5893579B2 (ja) 基礎構造の施工方法
KR102133722B1 (ko) 콘크리트 층간 물막이
CN203213514U (zh) 一种地面防漏结构及可移动房屋
JP6230272B2 (ja) 耐震壁、およびその形成方法
KR200442878Y1 (ko) 재활용이 가능한 거푸집
JP2007056485A (ja) 内装用断熱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天井の構築方法
KR20180034009A (ko) 건축용 서포트 파이프
KR101763836B1 (ko) 인테리어 보드 시공구조 및 방법
JP2000226936A (ja) 水平スリット施工部材
KR20160043501A (ko)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
KR102583751B1 (ko) 완성형 화장실용 고정 구조
JP4973368B2 (ja) 床部の形成方法および床部構造
KR200233653Y1 (ko) 건축물 축조용 외부 거푸집 설치구조
KR200233652Y1 (ko) 건축물 축조용 외부 거푸집 설치구조
JP5378877B2 (ja) 鉄骨階段の踏み面製作工法
KR100694176B1 (ko) 건축물 내부 벽체 구조
JP5484251B2 (ja) プラットホーム端部用型枠およびプラットホーム端部の施工方法
KR101693551B1 (ko) 거푸집용 플랫타이
KR20170111427A (ko) 천정보 슬리브 거푸집 상부고정바
JP6836450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製造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の型枠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