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7599A - 봉형상 화장료 내보냄 용기 - Google Patents

봉형상 화장료 내보냄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7599A
KR20070087599A KR1020077012969A KR20077012969A KR20070087599A KR 20070087599 A KR20070087599 A KR 20070087599A KR 1020077012969 A KR1020077012969 A KR 1020077012969A KR 20077012969 A KR20077012969 A KR 20077012969A KR 20070087599 A KR20070087599 A KR 20070087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sleeve
shaped
opening
cosme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2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4708B1 (ko
Inventor
미에코 나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070087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7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 A45D40/04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effected by a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립스틱으로 대표되는 봉형상 화장료를 슬리브로부터 내보내서 사용하는 봉형상 화장료 내보냄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봉형상 화장료와, 내부 접시와, 선단부에 봉형상 화장료가 내보내지는 도포 개구가 형성된 통형상의 슬리브와, 내부 접시를 슬리브 내에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를 구비하고, 사용자에게 파지되어 사용되는 봉형상 화장료 내보냄 용기로서, 슬리브의 내부 단면 형상을 봉형상 화장료의 이동범위에 걸쳐 동일한 형상으로 한다. 또한, 슬리브의 중심축(A)에 대하여 도포 개구의 개구면을 각도(θ1) 만큼 경사지게 한 구성으로 한다. 또한, 외측부의 외측 두께(W1)를 내측부(19)의 내측 두께(W2)에 대하여 얇게 설정한다.

Description

봉형상 화장료 내보냄 용기{STICK COSMETIC ADVANCING CONTAINER}
본 발명은 봉형상 화장료 내보냄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립스틱으로 대표되는 봉형상 화장료를 슬리브로부터 내보내서 사용하는 봉형상 화장료 내보냄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립스틱 등의 봉형상 화장료의 용기로서는 봉형상 화장료 내보냄 용기가 이용된다. 이 봉형상 화장료 내보냄 용기는, 대략적으로 말하면 봉형상 화장료가 장착되는 내부 접시와, 이 내부 접시를 내부로 이동 가능하게 수납함과 아울러 선단부에 봉형상 화장료를 내보내는 개구가 형성된 슬리브와, 슬리브에 대하여 내부 접시를 승강 동작함으로써 봉형상 화장료의 내보냄 조작 및 되돌림 조작을 행하는 이동기구를 가진 구성으로 하고 있다(예컨대, 특허문헌1 참조).
종래의 봉형상 화장료 내보냄 용기에서는 비교적 직경이 큰 봉형상 화장료를 이용하고, 이 큰 지름의 봉형상 화장료를 슬리브의 개구로부터 길게 내보내서 피도포부(입술 등)에 봉형상 화장료를 도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직경이 큰 봉형상 화장료에서는 피도포부에 봉형상 화장료를 도포할 때, 특히 윤곽을 명확하게 그릴 수 없고, 또한 봉형상 화장료를 길게 내보내기 때문에 사용시에 봉형상 화장료가 꺾여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큰 지름의 봉형상 화장료는 경시적 인 사용에 의해 선단이 둥글게 되어 버려 윤곽을 명확하게 그리는 것이 더욱 곤란하게 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봉형상 화장료 내보냄 용기로서 특허문헌2에 개시된 것이 제공되어 있다. 이 봉형상 화장료 내보냄 용기에서는 슬리브의 내경이 특허문헌1에 기재된 봉형상 화장료 내보냄 용기에 비해서 작고, 따라서 봉형상 화장료의 직경도 작아 피도포부에 봉형상 화장료를 도포할 때에 윤곽도 명확하게 그릴 수 있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 공개 2004-201907호 공보
특허문헌2: 일본 특허 공개 2002-355118호 공보
그런데, 최근에는 봉형상 화장료로서, 사용성이 양호한 종래에 비해서 연성의 봉형상 화장료가 다용되도록 되어 오고 있다. 이와 같이 연성(軟性)의 봉형상 화장료에서는, 이것을 특허문헌2에 기재되어 있는 작은 내경의 오지부(Ogive)를 갖는 봉형상 화장료 내보냄 용기에 적용한 경우, 꺾임이나 변형이 다발해 버린다. 이 때문에, 종래의 봉형상 화장료 내보냄 용기에서는 연성의 봉형상 화장료를 사용한 경우, 도포시에 있어서의 사용성이 나쁘고, 또한 도포부의 윤곽을 명확하게 그리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개량된 유용한 봉형상 화장료 내보냄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총괄적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보다 상세한 목적은 연성의 봉형상 화장료를 이용하여도 사용성의 향상 및 꺾임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는 봉형상 화장료 내보냄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봉형상 화장료와, 상기 봉형상 화장료를 유지하는 통형상 내부 접시와, 그 내부 접시를 상기 봉형상 화장료의 내보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납함과 아울러, 선단부에 내보내진 상기 봉형상 화장료를 도포하기 위한 도포 개구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통형상의 슬리브와, 상기 내부 접시를 상기 슬리브 내에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를 구비하고, 사용자에게 파지되어 사용되는 봉형상 화장료 내보냄 용기로서, 상기 슬리브의 내부 단면 형상을 상기 봉형상 화장료의 이동범위에 걸쳐 동일한 형상으로 하고, 또한, 상기 도포 개구의 개구면을 상기 슬리브의 중심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한 구성으로 함과 아울러, 상기 도포 개구에 있어서의 상기 슬리브의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두께를,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두께에 대하여 얇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도포 개구의 개구면을 슬리브의 중심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한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사용자는 파지한 팔을 크게 구부리는 일 없이 봉형상 화장료의 도포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성 좋게 도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슬리브의 도포 개구에 있어서의 두께를 균일하지 않게 변화시켜 외측 두께(사용자에 대하여 외측에 위치하는 슬리브의 두께)를 내측 두께(내측에 위치하는 슬리브의 두께)에 대하여 얇게 설정한 것에 의해, 슬리브의 사용자에 대한 외측 위치에서는 슬리브의 외주 가장자리와 봉형상 화장료의 외주 가장자리가 대략 동일한 위치에 있는 상태로 되고, 따라서 원하는 도포 위치의 특히 윤곽을 명확하게 그릴(도포할) 수 있다.
또한, 슬리브 자체가 원하는 도포 위치의 윤곽부를 양호하게 그릴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도포 개구로부터 봉형상 화장료를 조금 내보내는 것만으로 봉형상 화장료의 도포를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종래와 같이 봉형상 화장료를 슬리브로부터 길게 내보내서 도포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봉형상 화장료의 꺾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슬리브의 내부 단면 형상을 봉형상 화장료의 이동범위에 걸쳐 동일한 형상으로 한 것에 의해, 봉형상 화장료를 슬리브 내에서 이동시켜 내보낼 때에 봉형상 화장료에 인가되는 응력을 작게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서도 봉형상 화장료의 꺾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기구는 클릭감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1회의 클릭으로 상기 봉형상 화장료를 1회의 도포량에 대응한 내보냄 양만큼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으로 함으로써, 1회의 클릭으로 봉형상 화장료를 1회의 도포량에 대응한 내보냄 양만큼 이동시키기 때문에, 필요 이상으로 봉형상 화장료를 내보내는 일이 없어져 봉형상 화장료의 꺾임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도포를 양호한 상태에서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기구를 래칫 기구로 해도 된다.
이 구성으로 함으로써, 이동기구를 래칫 기구로 한 것에 의해, 내보내진 봉형상 화장료가 되돌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봉형상 화장료에 되돌림에 따른 과대한 응력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봉형상 화장료의 꺾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구면의 상기 중심축에 대한 경사 각도를 45°이상 85°이하로 설정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으로 함으로써, 개구면의 중심축에 대한 경사 각도를 45°이상 85°이하로 설정한 것에 의해, 도포시에 있어서의 봉형상 화장료 내보냄 용기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개구면의 중심축에 대한 경사 각도가 45°미만으로 되면, 봉형상 화장료를 도포할 때에 봉형상 화장료 내보냄 용기를 극단적으로 세워 사용하게 되어 사용성이 저하된다. 또한, 경사 각도가 85°를 넘으면, 반대로 용기를 극단적으로 눕혀서 사용하게 되어 역시 사용성이 저하되어 버린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외측의 외면과 상기 개구면이 이루는 각도를 45°이상 65°이하로 설정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으로 함으로써, 슬리브의 사용자에 대하여 외측의 외면과 개구면이 이루는 각도를 45°이상 65°이하로 설정한 것에 의해, 도포시에 있어서의 봉형상 화장료 내보냄 용기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슬리브의 상기 외면과 개구면이 이루는 각도가 65°를 넘으면, 봉형상 화장료 내보냄 용기의 사용자가 거울을 이용하여 봉형상 화장료의 도포를 행하려고 한 경우, 도포 부분의 선단 경계를 보기 어려워, 특히 윤곽이 그리기 어려워진다. 또한, 도포시에 봉형상 화장료 내보냄 용기와 사용자의 손이 함께 거울 위의 시야에 들어가서 이것에 의해서도 도포를 행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슬리브의 상기 외면과 개구면이 이루는 각도가 45°미만으로 되면 봉형상 화장료 내보냄 용기가 극단적으로 가늘게 되어 실용성이 결여되어 버린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측 두께를 0.2㎜ 이상 0.8㎜ 이하로 설정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외측 두께를 0.2㎜ 이상 0.8㎜ 이하로 설정한 것에 의해, 봉형상 화장료를 피도포부(예컨대, 입술 등)에 도포할 때, 윤곽을 명확하게 그릴 수 있다. 즉, 외측 두께를 0.2㎜ 미만으로 한 경우에는 슬리브에 대한 도포 개구의 형성이 곤란하게 되고, 또한 외측 두께가 0.8㎜를 넘은 두께로 되면 윤곽을 명확하게 그리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발명의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원하는 도포 위치의 특히 윤곽을 명확하게 그릴(도포할) 수 있음과 아울러 봉형상 화장료에 꺾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봉형상 화장료 내보냄 용기의 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봉형상 화장료 내보냄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봉형상 화장료 내보냄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봉형상 화장료 내보냄 용기의 도포 개구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포 개구를 도 3B의 화살표A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 이다.
도 3B는 도포 개구 근방의 슬리브의 종단면도이다.
도 3C는 도포 개구 근방의 슬리브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봉형상 화장료 내보냄 용기의 도포 개구의 경사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봉형상 화장료 내보냄 용기의 제 1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포 개구를 도 5B의 화살표A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B는 도포 개구 근방의 슬리브의 종단면도이다.
도 5C는 도포 개구 근방의 슬리브의 횡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봉형상 화장료 내보냄 용기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봉형상 화장료 내보냄 용기의 제 3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1C : 내보냄 용기 2 : 봉형상 화장료
3A~3D : 슬리브 4 : 내부 접시
5 : 이동기구 6 : 도포 개구
7 : 조작부 11 : 스크루
12 : 래칫 기구 18 : 외측부
19 : 내측부 20 : 외측 경사면
25 : 금속 내측통 26 : 수지 외측통
27 : 실리콘 고무제 외측통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해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봉형상 화장료 내보냄 용기(1A)(이하, 단지 내보냄 용기(1A)라고 한다)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은 내보냄 용기(1A)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내보냄 용기(1A)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2에서는, 중심선(A)보다 우측은 봉형상 화장료(2)의 내보내기 전(사용 개시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중심선(A)보다 좌측은 봉형상 화장료(2)를 모두 내보낸 상태(사용 종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내보냄 용기(1A)는 사용자에게 파지된 상태에서 사용되며, 봉형상 화장료(2)를 내보내는(도면 중 화살표Z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이지만,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봉형상 화장료(2)로서 립스틱을 이용한 예에 대해서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이용하는 봉형상 화장료(2)는 사용성을 높이는 면에서 연성의 재질의 것이 선정되어 있다. 또한, 내보냄 용기(1A)에 적용되는 봉형상 화장료(2)는 립스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아이 셰도우 등의 각종 봉형상 화장료의 용기로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내보냄 용기(1A)는 대략적으로 말하면 슬리브(3A)(외측통), 내부 접시(4), 및 이동기구(5)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슬리브(3A)는 금속 혹은 수지를 원통 형 상으로 형성한 것이며, 상기 봉형상 화장료(2)는 이 슬리브(3A) 내에 수납되어 있다. 또한, 슬리브(3A)는 원통 형상이기 때문에 그 내부에는 단면 원형의 중공부(23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중공부(23A)의 직경(도 2에 화살표D로 나타낸다)은 슬리브(3A)의 전체(Z1,Z2 방향의 전체)에 걸쳐 동일한 직경(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슬리브(3A)의 상단부(도면 중 화살표Z1 방향 단부)에는 도포 개구(6)가 형성되어 있고, 봉형상 화장료(2)는 이 도포 개구(6)로부터 슬리브(3A)의 외부로 내보내진다. 또한, 도포 개구(6)는 슬리브(3A)의 중심축(도면 중 부호 A로 나타내는 일점쇄선)에 대하여 후술하는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가 봉형상 화장료(2)를 입술에 도포할 때, 도포 개구(6)(도포 개구(6)로부터 내보내진 봉형상 화장료(2))가 사용자와 대치하는 방향으로 내보냄 용기(1A)는 사용된다. 즉, 내보냄 용기(1A)의 사용시에 있어서 도 2에 있어서의 좌측이 사용자에게 가까운 측(이하, 내측이라고 한다)으로 되고, 우측이 사용자로부터 먼 측(이하, 외측이라고 한다)으로 된다. 슬리브(3A)의 외측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포 개구(6)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를 갖는 외측 경사면(20)이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내부 접시(4)는 봉형상 화장료(2)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 내부 접시(4)의 외주부는 중공부(23A)의 내벽과 슬라이딩 접촉하고 있고, 따라서 내부 접시(4)는 슬리브(3A) 내를 화살표Z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내부 접시(4)에 유지된 봉형상 화장료(2)도 내부 접시(4)가 화살표Z1 방향으로 이동 함으로써 일체적으로 Z1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포 개구(6)로부터 내보내진다. 이 내부 접시(4)는 이동기구(5)에 의해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봉형상 화장료(2)가 슬리브(3A) 내에서 이동할 때, 상기와 같이 슬리브(3A)의 내부 단면 형상은 봉형상 화장료(2)의 이동범위에 걸쳐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봉형상 화장료(2)를 슬리브(3A) 내에서 이동시켜도 봉형상 화장료(2)에 인가되는 응력을 작게 할 수 있어 봉형상 화장료(2)의 꺾임을 방지할 수 있다.
이동기구(5)는 조작부(7), 로드(9), 래칫 기구(12), 및 스크루(11)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조작부(7)는 슬리브(3A)의 하단부(Z2 방향 단부)에 회전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부(7)의 중앙에는 중심축(A)과 동축으로 지축부(8)가 일체적인 구성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지축부(8)에는 복수의 결합홈(17)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로드(9)는 중공의 봉형상이며, 지축부(8)가 내부에 삽입통과하도록 배치된다. 이 때, 로드(9)는 지축부(8)에 대하여 도면 중 화살표Z1,Z2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로드(9)의 상단부에는 내부 접시(4)가 회전가능한 구성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로드(9)의 하단 내벽에는 제 1 맞물림 리브(1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로드(9)의 외주에는 수나사부(10)가 형성되어 있다.
로드(9)에 형성된 제 1 맞물림 리브(16)는 지축부(8)에 형성된 지축부(8)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로드(9)는 지축부(8)에 대하여 Z1,Z2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구성을 유지하면서, 조작부(7)가 회전 조작되었을 때에는 지축부(8)를 통해서 조작부(7)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조작부(7)의 내측에는 래칫 기구(12)가 배치되어 있고, 또한 래칫 기구(12)의 상부에는 스크루(11)가 배치되어 있다. 래칫 기구(12)는 전체가 코일스프링 형상을 갖고 있고, 그 선단부(화살표Z1 방향 단부)에는 복수의 래칫 클로(15)가 형성되어 있다.
스크루(11)의 외주부는 슬리브(3A)의 내벽에 고정되어 있고, 또한 내벽부에는 로드(9)에 형성된 수나사부(10)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크루(11)의 래칫 클로(15)와 대향하는 면에는 복수의 래칫용 홈(14)이 형성되어 있다.
래칫 클로(15)는 래칫 기구(12)가 갖는 탄성력에 의해 래칫용 홈(14)을 향해 가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는 래칫용 홈(14)은 래칫 클로(15)의 일방향의 회전(이하, 정회전이라고 한다)만 허용하고, 역회전을 기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래칫 기구(12)의 하단부는 조작부(7)에 형성된 제 2 맞물림 리브(22)에 맞물린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조작부(7)가 회전 조작되었을 때, 래칫 기구(12)는 조작부(7)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이동기구(5)를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조작부(7)를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 조작했을 때, 조작부(7)와 일체적으로 래칫 기구(12)가 회전하고, 래칫 기구(12)의 Z1 방향 단부에 형성된 래칫 클로(15)는 암나사부(13)에 형성된 래칫용 홈(14)을 타고 넘는다. 이 때에 사용자는 클릭감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부(7)를 회전 조작할 때에 클릭감을 얻으면서 회전 조작하게 된다.
또한, 조작부(7)가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지축부(8)도 회전하고, 이것에 의해 로드(9)도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슬리브(3A)에 고정되어 있는 스크루(11)의 암나사부(13)와, 로드(9)에 형성된 수나사부(10)는 나사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로드(9)가 상기와 같이 회전함으로써 로드(9)는 스크루(11)에 대하여 화살표Z1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따라, 로드(9)에 설치된 내부 접시(4)에 유지되어 있는 봉형상 화장료(2)도 Z1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것에 의해 봉형상 화장료(2)는 슬리브(3A)의 도포 개구(6)로부터 내보내진다. 이 때, 내부 접시(4)는 로드(9)에 회전가능한 구성으로 설치되어 있고, 또한 내부 접시(4)의 외주는 슬리브(3A)의 내벽에 슬라이딩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로드(9)가 회전해도 내부 접시(4)는 회전하는 일이 없고, 따라서 내부 접시(4)에 유지된 봉형상 화장료(2)도 회전하는 일 없이 내보내진다.
상기 래칫용 홈(14) 및 래칫 클로(15)의 피치 및 각 나사부(10,13)의 피치는 1클릭감, 즉 래칫 클로(15)가 1개의 래칫용 홈(14)을 타고 넘을 수 있는 조작부(7)의 회전량으로, 가장 도포하기 쉬운 내보냄 양(도 2에 화살표L로 나타내는 양)만큼 봉형상 화장료(2)를 도포 개구(6)로부터 내보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필요 이상으로 봉형상 화장료(2)를 도포 개구(6)로부터 내보내는 일이 없어져서, 연성의 봉형상 화장료(2)이어도 그 꺾임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봉형상 화장료(2)의 입술로의 도포를 양호한 상태에서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기구(5)로서 래칫 기구(12)를 이용한 것에 의해, 내보내진 봉형상 화장료(2)가 다시 슬리브(3A) 내로 되돌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 다. 이것에 의해, 되돌림에 따른 과대한 응력이 봉형상 화장료(2)에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봉형상 화장료(2)의 꺾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래칫 기구(12)는 반드시 설치할 필요는 없고, 상기 일정한 내보냄 양만큼 봉형상 화장료(2)를 내보낼 수 있는 구성이면 다른 내보냄 기구를 이용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여기서, 도포 개구(6)의 형상에 주목해서 이하 설명한다. 우선, 도포 개구(6)의 두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도 2에 추가로 도 3A~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 개구(6)는 외측부(18)의 두께(도 3A에 화살표W1로 나타낸다. 이하, 외측 두께(W1)라고 한다)가 내측부(19)의 두께(도 3A에 화살표W2로 나타낸다. 이하, 내측 두께(W2)라고 한다)에 대하여 얇게 설정되어 있다(W1<W2). 또한, 외측부(18)와 내측부(19) 사이는 점차 두께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따라서 외측부(18)와 내측부(19) 사이에 급격하게 형상이 변화되는 부위(예컨대 단차부 등)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슬리브(3A)의 도포 개구(6)에 있어서의 두께를 균일하지 않게 상기와 같이 변화시킨 것에 의해, 내보냄 용기(1A)를 사용할 때, 외측부(18)(슬리브(3A)의 사용자에 대한 외측 위치)에서는, 슬리브(3A)의 외주 가장자리와 봉형상 화장료(2)의 외주 가장자리가 대략 동일한 위치에 있는 상태, 바꾸어 말하면 종래와 마찬가지로 봉형상 화장료(2)의 외주 가장자리만이 사용자의 입술에 접촉하고 있는 것과 등가의 상태로 된다. 따라서, 도포 개구(6)의 외측부(18)의 두께(W1)를 내측부(19)의 두께(W2)에 대하여 얇게 설정함으로써 원하는 도포 위치의 특히 윤곽을 명확하게 그릴(도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슬리브(3A) 자체가 원하는 도포 위치의 윤곽부를 양호하게 그릴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도포 개구(6)로부터 봉형상 화장료(2)를 조금 내보내는 것만으로 봉형상 화장료(2)의 도포를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종래와 같이 봉형상 화장료를 슬리브로부터 길게 내보내서 도포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봉형상 화장료(2)의 꺾임을 방지할 수 있다.
외측부(18)의 외측 두께(W1)는, 구체적으로는 0.2㎜ 이상 0.8㎜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외측 두께(W1)를 0.2㎜ 이상 0.8㎜ 이하로 설정한 이유는, 0.2㎜ 미만으로 한 경우에는 슬리브(3A)에 대한 도포 개구(6)의 형성이 곤란하게 되고, 또한 0.8㎜를 초과한 두께로 한 경우에는 봉형상 화장료(2)를 도포할 때에 윤곽을 명확하게 그리는 것이 곤란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외측부(18)에는 소위 모따기가 행해져 있고, 그 곡률 반경은 0.3㎜ 이상 3㎜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외측부(18)의 단면 형상을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 형상으로 함으로써, 외측부(18)의 외측 두께(W1)를 0.2㎜ 이상 0.8㎜ 이하로 얇게 하더라도 외측부(18)가 입술에 접촉했을 때에 사용자에게 위화감(불쾌한 사용감)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포 개구(6)의 경사에 대해서 도 1, 도 2에 추가로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포 개구(6)의 개구면을 슬리브(3A)의 중심축(A)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도 4에 화살표θ1로 나타내는)만큼 경사지게 함과 아울러, 도포 개구(6)의 개구면을 외측 경사면(20)에 대해서도 소정의 각도(도 4에 화살표θ2로 나타내는)만큼 경사지게 한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슬리브(3A)의 중심축(A)에 대한 도포 개구(6)의 개구면의 각도(θ1)는 45°이상 85°이하 (45°≤θ1≤85°)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개구면의 중심축(A)에 대한 경사 각도를 설정함으로써 도포시에 있어서의 봉형상 화장료 내보냄 용기(1A)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개구면의 중심축(A)에 대한 경사 각도(θ1)가 45°미만으로 되면, 봉형상 화장료(2)를 도포할 때에 봉형상 화장료 내보냄 용기(1A)를 극단적으로 세워서 사용하게 되어 사용성이 저하된다. 또한, 경사 각도(θ1)가 85°를 초과하면, 반대로 내보냄 용기(1A)를 눕혀서 사용하게 되어 역시 사용성이 저하되어 버린다.
한편, 슬리브(3A)의 외측 경사면(20)에 대한 도포 개구(6)의 각도(θ2)는 45°이상 65°이하(45°≤θ2≤65°)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외측 경사면(20)과 개구면이 이루는 각도(θ2)를 설정함으로써 도포시에 있어서의 화장료 내보냄 용기(1A)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슬리브(3A)의 개구면과 이루는 각도가 65°를 초과하면, 내보냄 용기(1A)의 사용자가 거울을 이용하여 봉형상 화장료(2)의 도포를 행하려고 했을 경우, 도포 부분의 선단 경계(외측부(18))가 보이기 어려워져, 특히 윤곽이 그리기 어려워진다. 또한, 거울을 이용한 경우에는 도포시에 내보냄 용기(1A)와 사용자의 손이 모두 거울 상의 시야에 들어가고, 이것에 의해서도 도포가 행하기 어려워진다. 한편, 외측 경사면(20)과 개구면이 이루는 각도가 45°미만으로 되면 내보냄 용기(1A)가 극단적으로 가늘어져 실용성이 결여되어 버린다. 따라서, 도포 개구(6)의 개구면의 경사 각도를 상기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내보냄 용기(1A)를 이용하여 봉형상 화장료(2)를 사용성 좋게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따른 내보냄 용기(1A)에서는 슬리브(3A)의 단면 형상을 원형으로 하였지만, 이 단면 형상은 원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도 5A~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리브(3B)의 단면 형상을 알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이 구성으로 할 경우에는 이동기구의 구성을 내부 접시(4)가 회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할 필요가 있다.
계속해서, 상기한 내보냄 용기(1A)의 변형예인 내보냄 용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a 및 도 6b는 내보냄 용기(1A)의 제 1 및 제 2 변형예인 내보냄 용기(1B,1C)를 나타내고 있다. 도 6a 및 도 6b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상기 내보냄 용기(1A)는 금속 혹은 수지를 원통형상으로 형성한 것이고, 따라서 슬리브(3A)는 동일 재질로 형성되어 있었다. 이에 대하여 제 1 및 제 2 변형예인 내보냄 용기(1B,1C)는 슬리브(3C,3D)를 복수의 재료에 의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6a에 나타내는 제 1 변형예에 따른 내보냄 용기(1B)는 금속 내측통(25)을 실리콘 고무제 외측통(26)으로 덮은 구성으로 한 것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금속 내측통(25)을 완전히 실리콘 고무제 외측통(26)에 의해 덮은 구성이고, 따라서 도포 개구(6)(사용자의 입술이 접촉하는 부위)도 실리콘 고무제 외측통(2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포 개구(6)가 입술에 접촉했을 때,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슬 리브(3A)에 비해서 사용감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금속 알레르기를 갖는 사용자에 있어서도 바람직하다.
도 6b에 나타내는 제 2 변형예에 따른 내보냄 용기(1C)는 금속 내측통(25)을 수지 외측통(27)으로 덮은 구성으로 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포 개구(6)에 있어서 금속 내측통(25)과 수지 외측통(27)이 함께 보여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변형예와 같이, 슬리브(3D)의 최외주부분이 수지 외측통(27)으로 됨으로써, 수지는 장식 처리나 꾸미기가 용이하기 때문에 의장성이 풍부한 슬리브(3D)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출원은 2004년 12월 9일에 출원한 일본 특허 출원 2004-357020호에 기초하는 우선건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전체 내용은 본 출원에 원용된다.

Claims (6)

  1. 봉형상 화장료;
    상기 봉형상 화장료를 유지하는 통형상 내부 접시;
    상기 내부 접시를 상기 봉형상 화장료의 내보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납함과 아울러, 선단부에 내보내진 상기 봉형상 화장료를 도포하기 위한 도포 개구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통형상의 슬리브; 및
    상기 내부 접시를 상기 슬리브 내에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를 구비하고;
    사용자에게 파지되어 사용되는 봉형상 화장료 내보냄 용기로서:
    상기 슬리브의 내부 단면 형상을 상기 봉형상 화장료의 이동범위에 걸쳐 동일한 형상으로 하고,
    또한, 상기 도포 개구의 개구면을 상기 슬리브의 중심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한 구성으로 함과 아울러, 상기 도포 개구에 있어서의 상기 슬리브의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두께를,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두께에 대하여 얇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형상 화장료 내보냄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기구는 클릭감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1회의 클릭으로 상기 봉형상 화장료를 1회의 도포량에 대응한 내보냄 양만큼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형상 화장료 내보냄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기구는 래칫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형상 화장료 내보냄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면의 상기 중심축에 대한 경사 각도를 45°이상 85°이하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형상 화장료 내보냄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외측의 외면과 상기 개구면이 이루는 각도를 45°이상 65°이하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형상 화장료 내보냄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두께를 0.2㎜ 이상 0.8㎜ 이하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형상 화장료 내보냄 용기.
KR1020077012969A 2004-12-09 2005-12-09 봉형상 화장료 내보냄 용기 KR1012347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57020A JP4134015B2 (ja) 2004-12-09 2004-12-09 棒状化粧料繰り出し容器
JPJP-P-2004-00357020 2004-12-09
PCT/JP2005/022665 WO2006062192A1 (ja) 2004-12-09 2005-12-09 棒状化粧料繰り出し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7599A true KR20070087599A (ko) 2007-08-28
KR101234708B1 KR101234708B1 (ko) 2013-02-19

Family

ID=36578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2969A KR101234708B1 (ko) 2004-12-09 2005-12-09 봉형상 화장료 내보냄 용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891896B2 (ko)
EP (1) EP1820418B1 (ko)
JP (1) JP4134015B2 (ko)
KR (1) KR101234708B1 (ko)
CN (1) CN100579414C (ko)
ES (1) ES2761869T3 (ko)
TW (1) TW200631521A (ko)
WO (1) WO20060621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9679B2 (ja) 2002-12-25 2006-05-31 花王株式会社 毛髪洗浄剤
JP5080115B2 (ja) * 2007-03-23 2012-11-21 株式会社コーセー スティック状化粧料用容器
JP4499811B2 (ja) * 2008-05-28 2010-07-07 株式会社トキワ 塗布材押出容器
US8328448B1 (en) * 2010-06-09 2012-12-11 Hufnagel Randall S Hardware hole filling device
JP5108919B2 (ja) * 2010-06-28 2012-12-26 株式会社トキワ 充填物押出容器
USD741004S1 (en) 2013-04-19 2015-10-13 Elc Management Llc Lipstick bullet
USD739077S1 (en) * 2013-04-19 2015-09-15 Elc Management Llc Lipstick bullet
WO2016048916A1 (en) 2014-09-22 2016-03-31 Cosmetic Group USA, Inc. Baked powder pencils, sticks and pelle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6587339B2 (ja) * 2015-06-17 2019-10-09 株式会社タイキ 簡易棒状化粧品用の用具と簡易棒状化粧品
JP2017189466A (ja) * 2016-04-14 2017-10-19 株式会社トキワ 棒状化粧料繰出容器
USD822330S1 (en) * 2016-08-15 2018-07-10 Farm 23 Sl Confectionary
FR3071389B1 (fr) * 2017-09-28 2022-06-24 Reboul S A S Mecanisme tournant d'un etui cosmetique
US11382400B2 (en) 2018-08-10 2022-07-12 Go Products Co. Material applicator
TW202029906A (zh) * 2019-01-23 2020-08-16 日商資生堂股份有限公司 送出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728208A (fr) 1931-12-14 1932-07-02 Distributeur pour fards, crèmes, cosmétiques et tous autres produits similaires
US2457342A (en) * 1946-09-24 1948-12-28 Chester H Braselton Lipstick
US3219044A (en) 1962-05-02 1965-11-23 Bau Robert Gordon Cosmetic make-up device
DE3728427C1 (de) * 1987-08-26 1988-12-01 Schwan Stabilo Schwanhaeusser Auftragsgeraet mit einer Mine aus einer streichfaehigen Masse
JP2513373Y2 (ja) * 1988-01-30 1996-10-02 ぺんてる株式会社 押出具
EP0371135B1 (en) * 1988-01-30 1995-04-19 Pentel Kabushiki Kaisha Extrusion member
DE3835679A1 (de) * 1988-10-20 1990-04-26 Faber Castell A W Fuellminenstift, insbesondere kosmetikstift
JPH02142674A (ja) 1988-11-22 1990-05-31 Showa Alum Corp 管状物の接続方法
US5813421A (en) * 1997-07-09 1998-09-29 Der Kwei Cosmetic Packaging Co., Limited Lipstick swivel mechanism
JP4711277B2 (ja) 2001-05-31 2011-06-2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棒状の充填部材の繰り出し容器
JP2004201907A (ja) 2002-12-25 2004-07-22 Kao Corp 固形塗布材の繰り出し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62192A1 (ja) 2006-06-15
ES2761869T3 (es) 2020-05-21
KR101234708B1 (ko) 2013-02-19
TWI370727B (ko) 2012-08-21
EP1820418A1 (en) 2007-08-22
JP4134015B2 (ja) 2008-08-13
TW200631521A (en) 2006-09-16
CN100579414C (zh) 2010-01-13
EP1820418A4 (en) 2010-12-08
CN101072523A (zh) 2007-11-14
US20080050169A1 (en) 2008-02-28
US7891896B2 (en) 2011-02-22
JP2006158777A (ja) 2006-06-22
EP1820418B1 (en) 2019-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4708B1 (ko) 봉형상 화장료 내보냄 용기
US8783989B2 (en) Cosmetic applicator, in particular mascara applicator, and a cosmetic product
JP4264114B2 (ja) 傾斜したアプリケータ要素を有するアプリケータ
WO2008072823A1 (en) A dispenser container provided with an applier
CN104287418A (zh) 化妆品用螺旋弹簧及化妆品容器
US6244769B1 (en) Stick cosmetic container
JP2010188058A (ja) 塗布用化粧料繰出容器
JP2002119330A (ja) 棒状化粧材繰出容器
TWI298996B (en) Applicator devices with a short twist-off protective cap
JP7531059B2 (ja) 回転式化粧用塗布具システム
JP6956432B1 (ja) 携帯石鹸
JP6326586B2 (ja) 化粧料塗布具
KR200338757Y1 (ko) 회전식 반자동 마스카라
JP3242945U (ja) ヘアスタイリング製品
JP7493917B2 (ja) 水中自立式筆記具
KR102128572B1 (ko) 화장품 용기
EP3864999B1 (en) Mechanism for cosmetic container and container comprising said mechanism
JP2017176613A (ja) 棒状化粧料収容容器
KR200491956Y1 (ko) 화장품 용기
JP3093843U (ja) カートリッジ式棒状化粧料繰り出し容器
JP4057865B2 (ja) 棒状化粧料繰出容器
JP2015160087A (ja) 棒状化粧料容器
JP2000070036A (ja) 化粧材容器のカートリッジおよび化粧材容器
KR200246276Y1 (ko) 립스틱 케이스
JP3043356U (ja) 化粧用ペンシ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