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7489A - 펌프 주출용기 - Google Patents

펌프 주출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7489A
KR20070087489A KR1020067024165A KR20067024165A KR20070087489A KR 20070087489 A KR20070087489 A KR 20070087489A KR 1020067024165 A KR1020067024165 A KR 1020067024165A KR 20067024165 A KR20067024165 A KR 20067024165A KR 20070087489 A KR20070087489 A KR 20070087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cover
piece
pump
cov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4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3352B1 (ko
Inventor
마스미 요시다
치아키 가미무라
쓰토무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ublication of KR20070087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7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27Means for neutralising the actuation of the sprayer ; 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the sprayer actuation means
    • B05B11/0032Manually actuated means located downstream the discharge nozzle for closing or covering it, e.g. sh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9Means for locking a pump or its actuation means in a fix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눌러내림식 수동펌프를 세워 배치한 펌프 주출용기에 있어서, 입구 통부에 끼워맞춰 맞붙이는 끼워맞춤 통편을 가짐과 동시에, 펌프를 밀폐 상태에서 입구 통부에 맞붙여 고정하는 캡체와, 하단부를 캡체의 하단부에 회동이 자유롭게 밖에서 끼우고, 끼워맞춤 통편의 바깥쪽에 같은 중심축 형상으로 세워 배치되는 회동 통편을 가지는 회동 통체와, 끼워맞춤 통편과 회동 통편의 사이에 회동 통체의 회동에 의한 승강기구를 형성한 상태에서, 이 끼워맞춤 통편과 회동 통편의 사이에 같은 중심축 형상으로, 승강할 수 있게 커버 통편을 배치한 커버 통체를 가져 회동에 의한 승강이 가능하게 커버통편을 배치한 커버 통체를 가지는 것, 커버 통체의 하한 위치에서 눌러내림 헤드가 이 커버 통체 상단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또 커버 통체의 상한 위치에서 눌러내림 헤드의 주출을 위한 눌러내림 조작이 불가능으로 되도록 구성하여, 간단한 조작으로의 취급이 가능하며, 오작동 방지 등의 기능이 발휘되는 펌프 주출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펌프 주출용기{POURING CONTAINER WITH PUMP}
본 발명은, 용기 본체의 입구 통부에 장착한 눌러내림식 수동 펌프에 의해 내용액을 주출하여 사용하는 펌프 주출용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펌프 주출용기와 관련되는 발명이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 문헌 1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통상 이러한 펌프 주출 용기에서는, 펌프의 상단부에 내부에 내용액을 가로방향으로 주출하기 위한 주출구를 형성한 눌러내림 헤드가 설치되어, 사용할 때에는 이 눌러내림 헤드를 손가락 끝으로 눌러내려 펌프의 피스톤을 하강시킨다. 그리고 많은 경우, 외관의 점으로부터, 혹은 오조작, 부정 조작에 의한 이 눌러내림 헤드의 눌러내림이 없도록, 오버 캡을 씌운 상태에서 제품으로서 제공되고, 보관된다.
특허 문헌 1 :특허공개 평9-193958호 공보
그렇지만 오버 캡을 사용하면, 아무래도 부득이하게 양손으로의 조작을 하게 되고, 또한 사용할 때에 떼어낸 오버 캡을 경대, 세면대 등에 잠시 두게 되지만, 그때 이 오버 캡을 분실하는 일도 많이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오버 캡을 사용하지 않고, 한 손으로 붙잡아 지니면서 주출이 생기는 등, 간단한 조작으로의 취급이 가능함과 동시에, 오조작 방지 등의 기능이 발휘되는 펌프 주출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 중,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의 수단은,
용기 본체의 입구 통부에, 상단에 눌러내림 헤드를 끼워 맞춤한 눌러내림식 수동 펌프를 세워 배치한 펌프 주출 용기에 있어서,
입구 통부에 끼워 맞춰 맞붙이는 끼워맞춤 통편을 가짐과 동시에, 펌프를 밀폐 상태에서 입구 통부에 맞붙여 고정하는 캡체와,
하단부를 캡체의 하단부에 회동이 자유롭게 밖에서 끼우고, 끼워맞춤 통편의 바깥쪽에 같은 중심축 형상으로 세워 배치되는 회동 통편을 가지는 회동 통체와,
끼워맞춤 통편과 회동 통편의 사이에 회동 통체의 회동에 의한 승강기구를 형성한 상태에서, 이 끼워맞춤 통편과 회동 통편의 사이에 같은 중심축 형상으로, 승강할 수 있게 커버 통편을 배치한 커버 통체를 가지는 것,
커버 통체의 하한 위치에서 눌러내림 헤드가 이 커버 통체의 상단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또 커버 통체의 상한 위치에서 눌러내림 헤드로의 주출을 위한 눌러내림 조작이 가능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1 기재의 상기 구성에 의해, 끼워맞춤 통편을 용기 본체의 입구 통부에 끼워 맞춰 맞붙이는 것에 의해, 캡체로 펌프를 입구통부에 밀폐 상태로 세워 배치하여, 눌러내림식의 수동 펌프 주출용기로서의 기능이 발휘된다.
그리고, 끼워맞춤 통편의 바깥쪽에 같은 중심축 형상으로 회동 통편을 세워 배치한 상태에서 회동 통체를 캡체의 하단부에 회동이 자유롭게 밖에서 끼우고, 끼워맞춤 통편과 회동 통편의 사이에 또 같은 중심축 형상으로 커버 통편을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회동 통체를 캡체의 하단부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동하는 것에 의해, 끼워맞춤 통편과 회동 통편과 커버 통편의 사이에 형성된 승강기구의 작용을 발휘하게 하여, 커버 통체를 승강시킬 수 있다.
통상, 용기의 보관의 때에는 커버 통체를 그 상한 위치로 해 두지만, 커버 통체의 상한 위치에서 눌러내림 헤드로의 주출을 위한 눌러내림 조작이 불가능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오조작에 의한 눌러내림 헤드로의 눌러내림 조작을 막을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눌러내림 헤드에 대한 상한 위치에서의 커버 통체의 높이 위치를 적당히 설정하는 것, 혹은 커버 통체에 스토퍼를 부설하는 등의 수단에 의해 눌러내림 헤드로의 주출을 위한 눌러내림 조작을 불가능으로 할 수 있다.
용기를 사용할 때에는, 회동 통체를 회동시켜, 커버 통체를 하한 위치까지 하강시킨다. 이 상태에서 눌러내림 헤드가 커버 통체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된 상태가 되므로, 눌러내림 헤드를 손가락으로 눌러내리는 것에 의해 펌프의 기능이 발휘되어 내용액이 주출된다. 그리고, 사용 후는 회동 통체를 역방향으로 회동시켜 커버 통체를 상승시킨다.
이와 같이, 커버 통체의 승강 및 눌러내림 헤드의 눌러내림 조작은, 용기 본체를 손 안으로 붙잡아 지니면서, 손가락 끝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전체로서 용기를 한 손으로 조작, 취급할 수 있고, 또 오버 캡을 없앤 구성으로서, 종래와 같이 분리된 오버 캡을 분실하거나, 어디에 두었는지 잊어버려 곤란한 일도 없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커버 통체의 상한 위치에서, 눌러내림 헤드의 상단면이 상기 커버 통체의 상단면 이하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2 기재의 상기 구성은 커버 통체의 상한 위치에서 눌러내림 헤드로의 주출을 위한 눌러내림 조작을 불가능으로 하는 구성의 하나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커버 통체의 상한 위치에서 눌러내림 헤드의 상단면이 커버 통체의 상단면 이하에 위치하므로, 커버 통체의 상단면에 의해, 오동작에 의한 눌러내림 헤드로의 손가락 끝에 의한 눌러내림 조작을 막을 수 있다. 또, 커버 통체의 승강기구와 관련되는 저항이 있으므로, 커버 통체와 동시에 눌러내림 헤드를 눌러내린다고 하여도 사용자가 이 저항을 인식하는 것에 의해, 오조작을 막을 수 있다.
또, 본 청구항 2 기재의 구성에서는, 커버 통체의 상한 위치에서, 눌러내림 헤드의 상단면과 커버 통체의 상단면을 대략 동일면 형상으로 할 수도 있어, 보관할 때에는 커버 통체를 상한 위치로 해둠으로써, 오버 캡 한 것과 같은 외관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1 또는 2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커버 통체와 캡체를 세로 홈과 세로 돌기를 조합하여 상대적으로 회동할 수 없게 하고, 커버 통편의 바깥둘레면에 돌출 설치한 핀과, 회동 통편의 안둘레면에 새겨 만든 나선 홈에 의해 승강기구를 형성하고, 회동 통체의 회동에 의해, 핀이 나선 홈을 따라서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커버 통체가 승강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3 기재의 상기 구성은 승강기구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승강기구에는 다양한 모양의 것을 채용할 수 있지만, 청구항 2 기재의 구성은 봉 모양 립스틱 용기의 투입 기구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회동 통체를 회동시키면, 나선 홈을 따라서 핀이 이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커버 통체와 캡체에 형성한 세로 홈과 세로 돌기의 조합에 의해 커버 통체가 이 세로 홈 및 세로 돌기의 방향을 따라서 승강한다.
이 승강기구는 회동 통체의 회동에 의해, 커버 통체를 부드럽게 승강시킬 수 있고, 또한, 나선 홈의 스크류 피치를 짧게 설정하는 것에 의해, 손가락 끝의 비교적 약한 힘으로도, 예를 들면 타고 넘는 걸어멈춤 상태로부터의 이탈 걸어멈춤 등, 큰 저항이 있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승강시킬 수 있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1, 2 또는 3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커버 통체와 캡체 혹은 회동 통체의 사이에 타고 넘는 걸어멈춤부를 형성하는 것,
커버 통체의 상한 위치에서, 이 타고 넘는 걸어멈춤부가 작용하여, 손가락 끝에 의한 커버 통체의 눌러내림 조작이 불가능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4 기재의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커버 통체의 상한 위치에서 작용하는 타고 넘는 걸어멈춤부에 의해, 오조작 및 부정 조작에 의한 커버 통체의 눌러 내림, 그 결과로서의 눌러내림 헤드의 눌러내림 조작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타고 넘는 걸어멈춤부를 형성하는 경우, 이 타고 넘는 걸어멈춤의 정도는, 회동 통체의 회동 및 승강기구의 작용에 의한 커버 통체의 하강의 때에 용이하게 이탈 걸어멈춤을 할 수 있는 정도로 설정해 둘 필요가 있지만, 예를 들어 나선 홈과 핀으로 구성되는 승강기구에 있어서는, 나선 홈의 스크류 피치를 짧게 하는 것 등에 의해, 저항이 큰 이탈하여 타고 넘는 걸어멈춤을 비교적 약한 손가락 끝의 힘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커버 통편의 하단부 바깥둘레면에 걸어멈춤 탄편을 돌출 설치하고, 회동 통편의 상단부 안둘레면에 걸어멈춤 둘레돌기를 둘레에 설치하고, 이 걸어멈춤 탄편(24)과 걸어멈춤 둘레돌기(34)로 타고 넘는 걸어멈춤부를 형성하는 것, 걸어멈춤 탄편이 걸어멈춤 둘레돌기로 타고 넘어 걸어멈춤할 때에, 클릭 소리가 발생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5 기재의 상기 구성은, 타고 넘는 걸어멈춤부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회동 통체의 걸어멈춤 둘레돌기로, 커버 통체의 걸어멈춤 탄편을 타고 넘어 걸어멈춤시키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하강 불가능으로 할 수 있고, 또 걸어멈춤 탄편이 타고 넘어 걸어멈춤할 때에 클릭 소리가 발생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는 커버 통체가 상한 위치에 이른 것을, 소리 혹은 손의 감촉에 의해 확인할 수 있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청구항 6 기재의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1, 2, 3, 4 또는 5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커버 통편 상단부 안둘레면에 돌기편 형상의 스토퍼를 돌출 설치하고, 커버 통체의 상한 위치에서, 눌러내림 헤드의 일부분에 이 스토퍼가 아래쪽에서부터 접촉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6 기재의 상기 구성도, 청구항 2와 같이 커버 통체의 상한 위치에서 눌러내림 헤드로의 주출을 위한 눌러내림 조작을 불가능으로 하는 구성의 하나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커버 통체에 돌출 설치한 스토퍼를 눌러내림 헤드의 일부분에 아래쪽에서부터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오동작에 의한 눌러내림 헤드로의 눌러내림 조작을 막을 수 있다. 또, 이 구성에서는 커버 통체의 상단 개구부로부터 손가락으로 눌러내림 헤드를 눌러 내리는 오조작 혹은 부정 조작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용기를 사용할 때에는 회동 통체를 회동시키면 스토퍼에 의한 아래쪽으로부터의 접촉이 해소하므로, 눌러내림 헤드를 눌러 내릴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으로서, 이하에 나타내는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커버 통체의 승강 및 눌러내림 헤드의 눌러내림 조작은 용기 본체를 손 안으로 붙잡아 지니면서 손가락 끝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전체로서 용기를 한 손으로 조작, 취급할 수 있다. 또 커버 통체의 상한 위치에서는 오조작에 의한 눌러내림 헤드의 눌러내림 조작을 막을 수 있고, 또한 오버 캡을 없앤 구성으로서, 종래와 같이 분리된 오버 캡을 분실하거나 어디에 두었는지 잊어버려 곤란한 일도 없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커버 통체의 상단면에 의해, 오동작에 의한 눌러내림 헤드로의 손가락 끝에 의한 눌러내림 조작을 막을 수 있고, 또 보관할 때에는 커버 통체를 상한 위치로 해두는 것으로, 오버 캡 한 것과 같은 외관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나선 홈과 핀에 의해서 승강기구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 회동 통체의 회동에 의해 커버 통체를 부드럽게 승강시킬 수 있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커버 통체의 상한 위치 작용하는 타고 넘는 걸어멈춤부에 의해, 오조작 및 부정 조작에 의한 커버 통체의 눌러내림 조작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회동 통체의 걸어멈춤 둘레돌기로, 커버 통체의 걸어멈춤 탄편을 타고 넘어 걸어멈춤시키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커버 통체를 하강 불가능으로 할 수 있고, 또 클릭 소리가 발생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는 커버 통체가 상한 위치에 이른 것을, 소리 혹은 손의 감촉에 의해 확인할 수 있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청구항 6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커버 통체에 돌출 설치한 스토퍼를 눌러내림 헤드의 일부분에 아래쪽에서부터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커버 통체의 상단 개구부로부터 손가락으로 눌러내림 헤드를 눌러 내리는 오조작 혹은 부정조작도 막을 수 있다.
[도 1]본 발명의 용기의 하나의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종단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도 1에 있어서 커버 통체를 하강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도 1의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4]도 2 중의 A-A선에 따라서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5]도 1 중의 커버 통체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6]도 1 중의 회동 통체를 일부 파단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도 1에 있어서 걸어멈춤 탄편이 타고 넘는 걸어멈춤 상태를 주요부 확대하여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용기 본체 2 ; 입구 통부
2 a ; 끼워맞춤 둘레돌기 3 ; 몸체부
4 ; 바닥부 5 ; 바닥덮개
6 ; 바닥판 11 ; 캡체
12 ; 끼워맞춤 통편 13 ; 세로 홈
14 ; 절개부 15 ; 내통편
15a ; 안날밑 둘레편 16 ; 세로 홈
17 ; 기초끝단 통편 17a ; 밖날밑 둘레편
21 ; 커버통체 22 ; 커버 통편
23 ; 핀 24 ; 걸어멈춤 탄편
25 ; 스토퍼 26 ; 세로 돌기
31 ; 회동 통체 32 ; 회동 통편
33 ; 나선 홈 34 ; 걸어멈춤 둘레돌기
35 ; 끼워맞춤 둘레돌기 41 ; 눌러내림 헤드
42 ; 헤드 통편 43 ; 세로 홈
44 ; 주출구 46 ; 실링 통편
51 ; 펌프 52 ; 플랜지
53 ; 패킹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도 7은 본 발명의 펌프 주출용기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합성 수지제의 용기 본체(1), 캡체(11), 커버 통체(21), 회전 통체(31), 눌러내림 헤드(41), 그리고 눌러내림식의 수동 펌프(61), 패킹(63)의 6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1)는, 원통형의 몸체부(3)를 가져, 바깥둘레면 상단부에 끼워맞춤 돌기(2a)를 둘레에 설치한 입구 통부(2)를 세워 설치한 술단지 형상의 것으로서, 바닥부(4)는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바닥판(6)으로 밀폐되어 있다. 또 내부에는 바닥덮개(5)가 배치되어 있어, 사용에 의한 내용액의 감소에 따라 이 바닥덮개(5)가 몸체부(3) 안둘레면에 조밀하게 미끄럼운동하면서 상승해 나가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바닥덮개(5)를 채용하는 것에 의해 거꾸로 세운 상태에서도 펌프(61)로 내용액을 주출할 수 있다. 물론 바로 세운 상태에서만 사용하는 용도에서는 통상의 바닥부(4)의 술단지를 사용하면 좋다.
캡체(11)는, 입구 통부(2)에 밖에서 끼워 끼워맞춤 둘레돌기(2a) 부분에서 맞붙여 고정하는 원통형의 끼워맞춤 통편(12)을 가진다. 이 끼워맞춤 통편(12)의 일부 벽이 삭제되어 절개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또 끼워맞춤 통편(12)의 하단에는 밖날밑 둘레편(17a)을 통하여 기초끝단 통편(17)이 아래로 늘어져 설치되어 있다. 또, 끼워맞춤 통편(12)의 안둘레면, 대략 중앙 높이 위치에서 안날밑 둘레편(16a)을 통하여, 끼워맞춤 통편(12)의 안쪽에 같은 중심축 형상으로 내통편(16)을 세워 배치하고 있다. 이 내통편(16)의 안둘레면에는 축 대칭의 위치에 한 쌍의 세로 홈(16)이 새겨져 설치되어 있다. 또 끼워맞춤 통편(12)의 입구 통부(2)로의 맞붙임 고정은 나사결합에 의할 수도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회동 통체(31)는 원통형의 회동 통편(32)을 갖고, 하단부에 형성된 끼워맞춤 둘레돌기(36)에 의해, 캡체(11)의 기초끝단 통편(17)에 회동이 자유롭게 맞붙인다. 또 안둘레면에는 축 대칭의 위치에 한 쌍, 두 개의 나선 홈(33)이 새겨 설치되어 있고, 상단부에는 후술하는 커버 통체(21)의 걸어멈춤 탄편(24)이 타고 넘어 걸어멈춤하는 걸어멈춤 둘레돌기(34)가 둘레에 설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나선 홈(33)을 두 개 새겨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회동의 안정성 등을 더 고려하여 3중 나선 형상으로 세 개 새겨 설치하는 것도 있어, 나선 홈(33)의 형성 개수, 피치 등은 사용 형태, 부재의 성형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함은 설계적인 사항이다.
도 5에 나타내는 커버 통체(21)는, 상기한 끼워맞춤 통편(12)과 회동 통편(32)의 사이에 같은 중심축 형상으로, 승강할 수 있게 배치하는 원통 형상의 커 버 통편(22)을 갖는다. 그리고 이 커버 통편(22)의 바깥둘레면 하단부에는 상술한 나선 홈(33)에 미끄럼운동할 수 있게 끼워 넣는 한 쌍의 짧은 원기둥 형상의 핀(23)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 핀(23)의 바로 위쪽에는, 걸어멈춤 탄편(24)이 형성되어 있어, 한층 더 안둘레면의, 핀(23)의 형성 위치로부터 중심각도로 90도의 위치에는 캡체(11)의 끼워맞춤 통편(12)의 세로 홈(13)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끼워 넣는 세로 돌기(26)(도 4도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눌러내림 헤드(41)는, 머리가 있는 원통 형상의 헤드 통편(42)을 갖고, 실링 통편(46)이 펌프(51)의 상단부에 조밀하게 밖에서 끼워져, 펌프(51)에 맞붙여 고정하고, 실링 통편(46)의 상단에서는 세로 방향으로 주출구(44)가 형성되어 있다. 또, 헤드 통편(42)의 안둘레면에는 축 대칭으로 한 쌍의 세로 돌기(43)가 돌출 설치되어 있어, 전술한 캡체(11)의 내통편(15)의 세로 홈(16)에 승강할 수 있게 끼워 맞춘다(도 4 참조).
눌러내림식의 수동 펌프(51)는, 플랜지(52)를 입구 통부(2) 상단면과 안날밑 둘레편(15a) 아래쪽 면의 사이에 패킹(53)과 함께 끼워 유지하여 입구 통부(2)에 맞붙여 고정된다.
다음에, 상기 설명한 용기 본체(1), 캡체(11), 커버 통체(21), 회동 통체(31), 눌러내림 헤드(41), 펌프(51), 패킹(53)을 조립한 상태에서의 사용 상태를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은 보관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커버 통체(21)는 상한 위치에 있고, 그 상단면을 눌러내림 헤드(41)의 상단면과 동일 레벨로 하고, 또 눌러내림 헤드(41)의 측부를 외장하여 오버 캡을 한 것처럼 외관적으로 깨끗이 한 것 으로 하고 있다.
또, 이 상태에서 커버 통체(21)의 걸어멈춤 탄편(24)이 회동 통체(31)의 걸어멈춤 둘레돌기(34)로 타고 넘어 걸어멈춤한 상태이고, 오조작, 부정 조작에 의한 커버 통체(21)의 눌러내림 조작을 방지한다. 커버 통체(21)의 스토퍼(25)가 눌러내림 헤드(41)의 주출구(44) 앞끝단부에 하부로부터 더 접촉하고 있어, 눌러내림 헤드(41) 단독으로의 눌러내림 조작도 방지한다.
다음에 사용할 때에는, 용기 본체(1)을 손으로 붙잡아 지니고, 손가락 끝으로 회동 통체(31)를 본 실시예에서는 왼쪽으로 돌려 회동시키면, 우선 걸어멈춤 탄편(24)이 걸어멈춤 둘레돌기(34)로부터 타고 넘어 걸어멈춤하고, 핀(23), 나선 홈(33), 끼워맞춤 통편(12)의 세로 홈(13), 그리고 커버 통체(21)의 세로 돌기(26)로 형성되는 승강기구의 작용이 발휘되어 커버 통체(21)가 곧 바로 아래로 하강하고, 그 하한 위치에 이른다. 또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끼워맞춤 통편(12)에 세로 홈(13)을 커버 통체(21)에 세로 돌기(26)를 형성한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물론, 반대로 끼워맞춤 통편(12)에 세로 돌기를, 커버 통체(21)에 세로 홈을 형성하여 조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커버 통체(21)가 그 하한 위치에 이르면, 눌러내림 헤드(41)가 위쪽으로 돌출한 상태가 되어, 스토퍼(25)에 의한 접촉 상태도 해소된다. 이 상태에서 손가락 끝으로 눌러내림 헤드(41)의 상단면을 아래쪽으로 누르면, 내통편(15)의 세로 홈(16)을 따라서 세로 돌기(43)가 하강 이동하여, 안정된 자세로 눌러내림 헤드(41)를 눌러 내릴 수 있어, 내용액이 주출구(44)로부터 주출된다. 또 이때, 주 출구(44)의 앞끝단부는 끼워맞춤 통편(12)의 절개부(14)에 삽입하고 있다.
여기서, 타고 넘는 걸어멈춤의 정도가, 커버통체(21)를 직접 눌러 내릴 수 없는 범위에서도, 승강기구는 주로 나선홈(33)의 작용에 의해 회동 운동을 승강 운동으로 변환하는 것이고, 나선홈(33)의 피치 등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통상 정도의 손가락 끝의 힘으로 걸어멈춤 탄편(24)의 이탈하여 타고 넘는 걸어멈춤과 관련되는 힘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다.
다음에 사용 후는, 회동 통체(31)를 오른쪽으로 돌려 회동시켜, 커버 통체(21)를 상한 위치에까지 상승시킨다. 여기서, 걸어멈춤 탄편(24)이 걸어멈춤 둘레돌기(34)로 타고 넘어 걸어멈춤하지만, 이 걸어멈춤 탄편(24)의 앞끝단부가 도 7 중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낸 탄성 변형 상태로부터 탄성 회복할 때에 클릭 소리가 난다. 이 클릭 소리에 의해 사용자는 상한 위치에 이른 것을 소리 및 손의 감촉으로도 확인할 수 있어, 보다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작용 효과는 상기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 이용한 펌프는 단순한 일례에 지나지 않고, 종래부터 주출용기에 사용되고 있는 여러 가지 모양의 수동식 눌러내림 펌프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보관 상태에서 커버 통체의 상한 위치의 상단면과 눌러내림 헤드의 상단면이 동일 레벨이 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용도, 디자인면에서 필요하면 오조작 방지를 위한 스토퍼를 적당한 위치에 배치하는 등 하여, 주출을 위한 눌러내림 조작을 할 수 없는 범위에서 압출 헤드를 커버 통체의 상단면으로부터 돌출시켜 위치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펌프 주출용기는, 한 손으로도 조작할 수 있고, 또 종래의 용기와 같이 오버 캡을 분실하거나 어디에 두었는지 잊어버려 곤란한 일도 없어, 지금까지 없는 편리함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화장료용 등의 폭넓은 용도로의 전개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6)

  1. 용기 본체(1)의 입구 통부(2)에, 상단에 눌러내림 헤드(41)를 끼워 맞춤한 눌러내림식 수동펌프(51)를 세워 배치한 펌프 주출용기로서, 상기 입구 통부(2)에 끼워 맞춰 맞붙이는 끼워맞춤 통편(12)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펌프(51)를 밀폐 상태에서 입구 통부(2)에 맞붙여 고정하는 캡체(11)와, 하단부를 상기 캡체(11)의 하단부에 회동이 자유롭게 밖에서 끼우고, 상기 끼워맞춤 통편(12)의 바깥쪽에 같은 중심축 형상으로 세워 배치되는 회동 통편(32)을 가지는 회동 통체(31)와, 상기 끼워맞춤 통편(12)과 회동 통편(32)의 사이에 상기 회동 통체(31)의 회동에 의한 승강기구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끼워맞춤 통편(12)과 회동 통편(32)의 사이에 같은 중심축 형상으로 승강할 수 있게 커버 통편(22)을 배치한 커버 통체(21)를 갖고, 상기 커버 통체(21)의 하한 위치에서 상기 눌러내림 헤드(41)가 상기 커버 통체(21)의 상단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또 상기 커버 통체(21)의 상한 위치에서 상기 눌러내림 헤드(41)로의 주출을 위한 눌러내림 조작이 불가능으로 되도록 구성한 펌프 주출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커버 통체(21)의 상한 위치에서, 눌러내림 헤드(41)의 상단면이 상기 커버 통체(21)의 상단면 이하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펌프 주출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커버 통체(21)와 캡체(11)를 세로 홈과 세 로 돌기를 조합하여 상대 회동이 불가능으로 하고, 커버 통편(22)의 바깥둘레면에 돌출 설치한 핀(23)과, 회동 통편(32)의 안둘레면에 새겨 설치한 나선 홈(33)에 의해 승강기구를 형성하고,
    회동 통체(31)의 회동에 의해, 상기 핀(23)이 나선 홈(33)을 따라서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커버 통체(21)가 승강하는 구성으로 한 펌프 주출용기.
  4.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커버 통체(21)와 캡체(11) 혹은 회동 통체(31)의 사이에 타고 넘는 걸어멈춤부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 통체(21)의 상한 위치에서, 상기 타고 넘는 걸어멈춤부가 작용하여, 손가락 끝에 의한 커버 통체(21)의 눌러내림 조작을 불가능으로 하도록 구성한 펌프 주출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커버 통편(22)의 하단부 바깥둘레면에 걸어멈춤 탄편(24)을 돌출 설치하고, 회동 통편(32)의 상단부 안둘레면에 걸어멈춤 둘레돌기(34)를 둘레에 설치하고, 상기 걸어멈춤 탄편(24)과 걸어멈춤 둘레돌기(34)로 타고 넘는 걸어멈춤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걸어멈춤 탄편(24)이 걸어멈춤 둘레돌기(34)로 타고 넘어 걸어멈춤할 때에, 클릭 소리가 발생하는 구성으로 한 펌프 주출용기.
  6.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커버 통편(22) 상단부 안둘레면에 돌기편 형상의 스토퍼(25)를 돌출 설치하고, 커버 통체(21)의 상한 위치에서, 눌러내림 헤드(41)의 일부분에 상기 스토퍼(25)가 하부로부터 접촉 하는 구성으로 한 펌프 주출용기.
KR1020067024165A 2004-12-22 2005-12-20 펌프 주출용기 KR1012233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70482A JP4756496B2 (ja) 2004-12-22 2004-12-22 ポンプ付き注出容器
JPJP-P-2004-00370482 2004-12-22
PCT/JP2005/023352 WO2006087867A1 (ja) 2004-12-22 2005-12-20 ポンプ付き注出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7489A true KR20070087489A (ko) 2007-08-28
KR101223352B1 KR101223352B1 (ko) 2013-01-16

Family

ID=36730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4165A KR101223352B1 (ko) 2004-12-22 2005-12-20 펌프 주출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75402B2 (ko)
EP (1) EP1829791B1 (ko)
JP (1) JP4756496B2 (ko)
KR (1) KR101223352B1 (ko)
CN (1) CN1950266B (ko)
WO (1) WO20060878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069B1 (ko) * 2011-03-21 2013-04-09 주식회사 다린 펌프 디스펜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434573T1 (de) * 2003-07-28 2009-07-15 Sig Technology Ltd Trink- und ausgiessverschluss mit stechschneide- einrichtung für verbundpackungen oder mit folienmaterial verschlossene behälter- und flaschenstutzen
PL1749759T3 (pl) * 2005-08-05 2010-01-29 Unilever Nv Końcówka dozująca do rozpylacza
KR100916719B1 (ko) * 2007-11-12 2009-09-14 주식회사 태성산업 화장품용기
CA2721610C (en) 2008-04-15 2017-08-22 Rpc Bramlage Gmbh Dispenser
US7874448B1 (en) 2008-10-07 2011-01-25 John Daniel Doherty Paint tray liner apparatus
FR2943044B1 (fr) * 2009-03-13 2011-05-06 Valois Sas Tete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WO2010121264A1 (en) * 2009-04-17 2010-10-21 Walter Jenkins Child-resistant fluid dispersion device
FR2950613B1 (fr) * 2009-09-28 2011-12-23 Valois Sas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JP5392772B2 (ja) * 2009-12-25 2014-01-2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噴出容器
JP5392773B2 (ja) * 2009-12-28 2014-01-2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JP5441119B2 (ja) * 2010-03-31 2014-03-1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オーバーキャップ付きポンプ容器
DE102010036352A1 (de) * 2010-07-12 2012-01-12 Rpc Bramlage Gmbh Spender zur Ausgabe flüssiger bis pastöser Massen
ES2533064T3 (es) 2010-07-16 2015-04-07 Mcgill Technology Limited Aparato dispensador
FR2975674B1 (fr) * 2011-05-23 2013-06-28 Valois Sas Bague de fixation et distributeur de produit fluide utilisant une telle bague.
JP5946704B2 (ja) * 2012-06-29 2016-07-0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エアゾール容器の操作切替機構及びそれを備えるエアゾール容器
JP6084390B2 (ja) * 2012-07-31 2017-02-2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吐出容器
KR101325527B1 (ko) * 2012-09-11 2013-11-07 (주)연우 안전버튼구조가 구비된 디스펜서 용기
CN103723351A (zh) * 2012-10-11 2014-04-16 王吴静月 密封盖
WO2014078478A1 (en) * 2012-11-14 2014-05-22 Meadwestvaco Corporation Child resistant pumps
FR3000039B1 (fr) * 2012-12-21 2015-07-03 Dior Christian Parfums Systeme de recouvrement escamotable et ensemble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de produit equipe d'un tel systeme
JP5951515B2 (ja) * 2013-01-31 2016-07-1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FR3008396B1 (fr) * 2013-07-10 2016-05-06 Axilone Plastique Distributeur, poseur, applicateur de creme rechargeable portatif.
USD727168S1 (en) * 2013-09-19 2015-04-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smetic product package
US9186689B2 (en) * 2013-10-22 2015-11-17 Yonwoo Co., Ltd. Cap-integrated pumping type cosmetic container
FR3016273B1 (fr) * 2014-01-16 2017-09-08 Dior Christian Parfums Dispositif distributeur a tete escamotable
JP6355197B2 (ja) * 2014-06-30 2018-07-11 株式会社三谷バルブ 内容物放出製品用カバー機構ならびにこの内容物放出製品用カバー機構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およびポンプ式製品
US10272601B2 (en) 2014-09-09 2019-04-30 Nypro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 safety container
GB2531997B (en) * 2014-10-20 2018-08-01 Rieke Packaging Systems Ltd Pump dispenser with deformable pump chamber wall
KR101747920B1 (ko) * 2015-08-24 2017-06-15 (주)연우 식별수단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EP3323455B1 (de) * 2016-11-21 2021-08-11 Aptar Radolfzell GmbH Inhalationseinrichtung zum zwecke des inhalierens eines tröpfchennebels
KR200487439Y1 (ko) * 2017-05-11 2018-09-18 코코스팩주식회사 화장품 용기 펌프 결합 장치
WO2019087560A1 (ja) * 2017-10-31 2019-05-0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エアゾール容器用吐出具
FR3079219B1 (fr) * 2018-03-23 2020-04-17 Aptar France Sas Tete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USD878918S1 (en) 2018-06-01 2020-03-24 S. C. Johnson & Son, Inc. Actuator overcap
USD920805S1 (en) 2019-05-30 2021-06-01 Berlin Packaging, Llc Container with pump actuator
US10752412B1 (en) 2019-11-06 2020-08-25 Berlin Packaging, Llc Child resistant container with pump actuator
JP7423163B2 (ja) 2020-06-30 2024-01-2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噴出容器
CN113335757A (zh) * 2021-06-11 2021-09-03 世捷包装制品(清远)有限公司 一种可隐藏泵头及包装瓶
FR3129303B1 (fr) 2021-11-24 2023-11-03 Comptoir Nouveau De La Parfumerie Mécanisme d’ouverture/fermeture et de vaporisation pour un flacon, par exemple de parfum, et un tel flaco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44432B2 (fr) * 1988-05-11 1991-06-14 Morel Simone Capsule a enveloppe tournante pour flacons et recipients analogues
JPH0725331Y2 (ja) * 1989-06-14 1995-06-07 釜屋化学工業株式会社 注出容器
US4991746A (en) * 1989-07-07 1991-02-12 Emson Research Inc. Modular pump having a locking rotatable sleeve
DE69309397T2 (de) * 1992-10-27 1997-07-10 Lumson Srl Spenderkappe für einen flüssige Substanzen enthaltenden Behälter mit einem beweglichen Ausgiesser
JP3136226B2 (ja) * 1993-06-04 2001-02-19 鐘紡株式会社 携帯用ポンプ容器
JPH09193958A (ja) * 1996-01-19 1997-07-29 Yoshino Kogyosho Co Ltd ポンプ式液体注出容器
IT1292958B1 (it) * 1997-02-28 1999-02-11 Taplast Spa Perfezionamento a pompa dosatrice per l'erogazione di sostanze liquide o dense da contenitori.
DE69905105T2 (de) * 1998-09-15 2003-11-06 Lir Usa Mfg Co Inc Ineinanderschiebbare Deckelvorrichtung zur Abschirmung eines Pumpenantriebs und damit ausgestatteter Flüssigkeitsabgabebehälter
WO2000066459A1 (en) * 1999-04-30 2000-11-09 Coty, Inc. Dispenser cover
JP3898414B2 (ja) * 2000-03-30 2007-03-2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噴出容器
FR2819793B1 (fr) * 2001-01-19 2003-09-26 Valois Sa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US6477743B1 (en) * 2001-08-14 2002-11-12 Seaquist Closures Foreign, Inc. Twist-openable dispensing closure accommodating optional liner puncture fea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069B1 (ko) * 2011-03-21 2013-04-09 주식회사 다린 펌프 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29791A4 (en) 2008-11-05
JP4756496B2 (ja) 2011-08-24
EP1829791A1 (en) 2007-09-05
CN1950266A (zh) 2007-04-18
US20070246484A1 (en) 2007-10-25
WO2006087867A1 (ja) 2006-08-24
EP1829791B1 (en) 2011-06-15
CN1950266B (zh) 2010-11-17
KR101223352B1 (ko) 2013-01-16
US7775402B2 (en) 2010-08-17
JP2006176151A (ja) 200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352B1 (ko) 펌프 주출용기
CN111032526B (zh) 用于儿童防启闭合件的外盖、儿童防启闭合件、具有此种闭合件的容器和其用途
EP1250572B1 (en) Dispensing device
US7249692B2 (en) Dispenser with lock
US6041982A (en) Beverage container with cap and spout
US8453833B2 (en) Apparatus for internal mixture of substances
EA019743B1 (ru) Тумблерное выдачное укуп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шарнирным задним краем
JP2011518082A (ja) 物理的粘性の特性を利用した容器の栓装置
JP6243354B2 (ja) リフィル容器用注出構造
KR200455996Y1 (ko) 고점도 내용물의 미세 정량토출이 가능한 화장품용기
JP2024515728A (ja) 自動ドロッパーを備える化粧品容器
US20050070853A1 (en) Medicament dispensing assembly
JP4688341B2 (ja) エアゾール製品の噴射方法および該噴射方法に用いる噴射構造体
JP4269254B2 (ja) 二剤混合滴下容器
US20180072473A1 (en) Ingredient dispensing cap for beverage container
KR200485326Y1 (ko) 회전식 토출형 화장료 용기
JPH01503214A (ja) スプレー缶
JP2006306432A (ja) 少量吐出容器
JP6942316B2 (ja) 定量注出容器
CN107719923B (zh) 泵头组件及带有该泵头组件的液体分配器
JP2599696Y2 (ja) 誤噴出防止機構付き噴出容器
JP6328438B2 (ja) スクイズキャップ
CN206665355U (zh) 一种可实现定量计数的按压式储物罐
CN214432500U (zh) 一种双腔滴管瓶及应用该双腔滴管瓶的化妆品
JP2542647Y2 (ja) スポイト付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