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1069B1 - 펌프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펌프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1069B1
KR101251069B1 KR1020110025048A KR20110025048A KR101251069B1 KR 101251069 B1 KR101251069 B1 KR 101251069B1 KR 1020110025048 A KR1020110025048 A KR 1020110025048A KR 20110025048 A KR20110025048 A KR 20110025048A KR 101251069 B1 KR101251069 B1 KR 101251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housing
cap
contents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7384A (ko
Inventor
김태현
세인 래피 마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린
Priority to KR1020110025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1069B1/ko
Publication of KR20120107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7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7Spring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4Springs located outside pump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23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opened by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iston relative to its actuating stem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펌프 디스펜서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펌프 디스펜서는: 용기에 결합되는 캡과, 캡에 고정되고, 용기에서 분출된 내용물이 체류되는 체류공간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캡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용물이 추출되는 노즐이 형성되는 헤드와, 헤드에 연동되어 체류공간부의 내용물을 추출하는 펌핑부 및 캡과 헤드 사이에 구비되어 헤드와 펌핑부를 최초위치로 복원하는 복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펌프 디스펜서{PUMP DISPENSER}
본 발명은 펌프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세제나 화장품 등 액체 상태의 내용물을 펌핑 작용에 의하여 소정량씩 토출시키도록 이용되는 펌프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펜서(Dispenser)라 함은 밀폐용기 내부에 충진된 기체나 액체 또는 기타 내용물을 가압에 의해 일정량씩 토출시켜 사용하도록 하는 장치로서, 화장품이나 향수 또는 의약품이나 식품 등을 저장하는 각종 밀폐용기에 적용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도 1은 종래 디스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종래 디스펜서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미도시) 및 용기의 상단에 장착되는 디스펜서 캡(12)을 포함한다.
이 디스펜서 캡(12)은 크게 펌핑부(14)와, 버튼부(15) 및 노즐(16)로 이루어진다. 펌핑부(14)는 캡(21)에 장착된 하우징(22)과, 이 하우징(22)의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24)과, 이 스프링(24)의 상단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일측에 통공(26)이 형성된 샤프트(25)와, 이 샤프트(25)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되며 하우징(22)의 상단을 폐쇄하는 하우징 캡(27)과, 버튼부(15)의 노즐(16)과 샤프트(25)를 연결하는 연결관(28)과, 하우징(22)의 하단의 걸림턱(29)에 놓이는 볼(30)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버튼부(15)를 누르면, 스프링(24)의 탄성력에 반하여 샤프트(25)가 하강하여, 하우징(22) 속에 채워진 내용물이 통공(26)과 샤프트(25)의 중공부 및 연결관(28)을 통해 노즐(16)로 토출된다. 이때, 볼(30)은 하우징(22) 내부 유체의 하강압력에 의해 하우징(22) 하단의 걸림턱(29)에 맞닿도록 된다.
다음에, 버튼부(15)를 놓으면, 스프링(24)의 탄성력에 의해 샤프트(25)가 상승하면서 통공(26)이 폐쇄되어 내용물의 토출이 차단되고, 하우징(22)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므로, 용기에 담긴 내용물이 볼(30)을 상승시키면서 밸브를 개방하여 하우징(22) 속에 채워지게 된다. 버튼부(15)를 반복하여 누르면, 이러한 동작이 반복되면서 내용물이 토출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의 디스펜서에 따르면, 스프링이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내용물이 충진된 하우징 내부에 구비됨에 따라 스프링이 녹슬거나 파손될 수 있고, 내용물의 잠겨 있어 저항에 의해 내용물의 토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버튼부와 캡의 잠금시 장시간 누름힘에 의해 스프링이 변형될 수 있는 문제점을 지닌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저렴한 제조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 가능하고, 내용물의 원활한 토출 작동이 가능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조를 개선한 펌프 디스펜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는: 용기에 결합되는 캡과, 캡에 고정되고, 용기에서 분출된 내용물이 체류되는 체류공간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캡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용물이 추출되는 노즐이 형성되는 헤드와, 헤드에 연동되어 체류공간부의 내용물을 추출하는 펌핑부 및 캡과 헤드 사이에 구비되어 헤드와 펌핑부를 최초위치로 복원하는 복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펌핑부는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헤드와 연동되며, 외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를 연통시키는 유로가 형성되는 샤프트와, 샤프트와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고, 샤프트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며, 하우징 내부를 밀폐하는 차플렛과, 샤프트에 구비되어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피스톤 및 샤프트의 슬라이딩에 의해 용기의 내용물이 하우징 내로 분출되는 것을 단속하는 차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헤드의 슬라이딩 작동은 잠금부에 의해 단속되고, 잠금부는 하우징 내경에 형성되는 제1걸림돌기 및 제1걸림돌기에 지지되어 헤드의 하강을 방지하도록 헤드의 외경에 형성되는 제2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걸림돌기의 상단에는 제2걸림부재와 접촉 시 캡과 헤드의 간격을 이격시켜 복원부의 변형을 방지하는 헤드이격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원부는 헤드에 지지되는 제1지지부와, 제1지지부와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고, 캡에 지지되는 제2지지부 및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상호 점대칭되는 부위에는 안착돌기가 형성되고, 헤드와 캡에는 안착돌기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탄성부는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제1지지부의 하측으로 연장되고, 일측으로 곡률지게 형성되는 제1탄성부 및 제1탄성부에 연이어 형성되고, 타측으로 곡률지게 형성되며, 제2지지부에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2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헤드는 탄성부 사이에 개재되어 탄성부의 작동 시 탄성부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비틀림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는 헤드와 펌핑부를 최초위치로 복원하는 복원부가 캡과 헤드 사이에 구비됨에 따라 내용물과 간섭을 회피할 수 있어 원활한 토출 작동이 가능한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복원부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가 가능하고, 상하단의 제1,2지지부가 캡과 헤드 각각을 견고히 지지하고, 'S'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탄성부는 판형 구조로 이루어져 판휨의 비틀림힘을 수직한 힘으로 바꿔 자체의 탄성을 증폭시킬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헤드의 잠금시 헤드가 상측으로 상승함에 따라 잠금시에도 헤드의 누름힘에 의한 변형이 없도록 하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의 복원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의 잠금부를 보인 평면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의 복원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의 잠금부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100)는 캡(110), 하우징(120), 헤드(140), 펌핑부(150) 및 복원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캡(110)은 용기(미도시)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하부는 내주면에 나사산(112)이 형성되어 용기의 선단 둘레에 나사결합되고, 중공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20)은 캡(110)에 고정되고, 용기에서 분출된 내용물이 체류되는 체류공간부(122)가 형성된다.
이때, 캡(110)의 내부에는 하우징(120)의 선단이 고정되도록 고정편(114)이 형성되고, 하우징(120)의 선단에는 고정편(114)에 결속되는 걸림편(124)이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편(114)에 걸림편(124)이 지지된 상태에서 고정편(114)의 하부에는 가스켓(135)이 결속되어 하우징(120)은 고정된다.
또한, 하우징(120)의 하단에는 용기의 내부로 연장되는 튜브(137)가 연결된다.
따라서, 용기의 내용물은 튜브(137)를 통해 분출되며, 하우징(120)의 체류공간부(122)에 체류되는 것이다.
헤드(140)는 캡(110)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헤드(140)의 내부에는 용기의 내용물이 외부로 추출될 수 있는 노즐(142)이 형성된다.
펌핑부(150)는 헤드(140)에 연동되어 체류공간부(122)의 내용물을 추출하는 것으로서, 하우징(120) 내부에 구비되고, 헤드(140)와 연동되며, 외부와 하우징(120) 내부를 연통시키는 유로(153)가 형성되는 샤프트(152)와, 샤프트(152)와 하우징(120) 사이에 구비되고, 샤프트(152)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며, 하우징(120) 내부를 밀폐하는 차플렛(154)과, 샤프트(152)에 구비되어 유로(15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하우징(120) 내부에 구비되는 피스톤(156) 및 샤프트(152)의 슬라이딩에 의해 용기의 내용물이 하우징(120) 내로 분출되는 것을 단속하는 차폐부재(15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샤프트(152)의 상단은 헤드(140)에 고정되고, 유로(153)는 헤드(140)의 노즐(142)과 연통되며, 샤프트(152)의 하단 둘레에는 유로(153)와 연통되는 유입구(153a)가 형성된다.
따라서, 샤프트(152)의 승하강에 의한 작동에 의해 피스톤(156)이 체류공간부(122)의 내용물을 가압함과 동시에 유입구(153a)는 개폐됨으로, 내용물은 외부로 추출될 수 있다.
그리고, 차폐부재(158)는 하우징(120)의 분출구(126)를 개폐하는 것으로서, 분출구(126)를 커버하는 볼 또는 체크밸브로 이루어진다.
또한, 하우징(120)의 내면에는 차폐부재(158)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128)이 형성된다.
복원부(160)는 캡(110)과 헤드(140) 사이에 구비되어 헤드(140)와 펌핑부(150)를 최초위치로 복원하는 것이다.
복원부(16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헤드(140)에 지지되는 제1지지부(162)와, 제1지지부(162)와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고, 캡(110)에 지지되는 제2지지부(164) 및 제1지지부(162)와 제2지지부(164)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는 탄성부(16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복원부(160)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S'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탄성을 형성하기 위한 최소한의 형태이다.
그리고, 이러한 'S'자 형상은 반복되어 복수개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이때, 캡(110)과 헤드(140)는 각각 복원부(160)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1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지지부(162)와 제2지지부(164)의 상호 점대칭되는 부위에는 안착돌기(163)가 형성되고, 헤드(140)와 캡(110)에는 안착돌기(163)가 안착되는 안착홈(132)이 형성된다.
안착홈(132)은 캡(110)과 헤드(140)의 수용부(130) 내면에 각각 형성되어, 복원부(160)의 이탈 및 유동을 방지한다.
탄성부(165)는 제1지지부(162)와 제2지지부(164)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제1지지부(162)의 하측으로 연장되고, 일측으로 곡률지게 형성되는 제1탄성부(166) 및 제1탄성부(166)에 연이어 형성되고, 타측으로 곡률지게 형성되며, 제2지지부(164)에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2탄성부(16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탄성부(165)는 판형 구조로 이루어져 헤드(140)의 누름 작동 시 판휨의 비틀림힘을 수직한 힘으로 바꿔 자체의 탄성을 증폭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헤드(140)는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165) 사이에 개재되어 탄성부(165)의 작동 시 탄성부(165)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비틀림방지부(129)를 포함한다.
즉, 한쌍의 탄성부(165)는 비틀림방지부(129)의 직경만큼 이격 배치되며, 헤드(140)의 누름 작동 시 탄성부(165)의 내측면이 비틀림방지부(129)의 외경에 접하여 수직방향으로 수축됨으로 탄성부(165)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헤드(140)의 슬라이딩 작동은 잠금부(170)에 의해 단속된다.
잠금부(170)는 하우징(120) 내경에 형성되는 제1걸림돌기(172) 및 제1걸림돌기(172)에 지지되어 헤드(140)의 하강을 방지하도록 헤드(140)의 외경에 형성되는 제2걸림돌기(17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걸림돌기(172)는 하우징(120)의 내경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일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제2걸림돌기(174)는 헤드(140)의 외경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일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개로 이루어진다.
즉,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0)의 내경과 헤드(140)의 외경에는 제1걸림돌기(172)와 제2걸림돌기(174)에 의해 각각 홈이 형성되고, 홈과 제1,2걸림돌기(172,174)가 대응되면, 헤드(140)의 누름작동이 가능하며, 제1,2걸림돌기(172,174)가 상호 대응되게 되면, 헤드(140)의 누름작동이 불가능한 구조이다.
그리고, 제1걸림돌기(172)의 상단에는 제2걸림부재(174)와 접촉 시 캡(110)과 헤드(140)의 간격을 이격시켜 복원부(160)의 변형을 방지하는 헤드이격부(180)가 더 구비된다.
헤드이격부(180)는 제1걸림돌기(172)의 일측면에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헤드(140)를 회전시키게 되면, 제1걸림돌기(172)와 제2걸림돌기(174)가 선택적으로 간섭되어 헤드(140)의 누름작동을 단속할 수 있으며, 제1걸림돌기(172)와 제2걸림돌기(174)의 접촉 시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헤드이격부(180)에 의해 캡(110)과 헤드(140)의 간격이 이격되므로 캡(110)과 헤드(140)의 사이에 구비되는 복원부(160)는 장시간 누름힘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캡(110)은 하단부 내경에 나사산(112)이 형성되어 용기의 입구 둘레와 나사 결합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용기의 내용물을 노즐(142)을 통해 외부로 추출하고자 할 경우 헤드(140)를 눌러주게 되면,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40)의 노즐(142)을 통해 일정량의 내용물이 추출되게 된다.
내용물 추출을 자세히 살펴보면, 헤드(140)의 누름동작에 의해 헤드(140)는 하강하고, 헤드(140)와 연동되는 샤프트(152)가 하강하게 된다.
샤프트(152)는 하우징(120) 내부에 고정되어 하우징(120) 내부를 밀폐하는 차플렛(154)에 관통됨으로써, 하강이 가능하다.
이때, 하우징(120)의 제1걸림돌기(172)는 헤드(140)의 홈과 대응되고, 헤드(140)의 제2걸림돌기(174)는 하우징(120)의 홈과 대응되므로, 헤드(140)의 하강은 직선으로 정확하게 안내되고, 헤드(140)와 캡(110) 사이에 구비되는 복원부(160)는 수축되게 된다.
그리고, 샤프트(152)의 단부에 연결되는 피스톤(156)은 하우징(120)의 체류공간부(122)를 압축함과 동시에 샤프트(152)의 유입구(153a)를 개방하게 된다.
체류공간부(122)의 압축에 의해 체류공간부(122)의 내용물은 개방된 유입구(153a)를 통해 샤프트(152)의 유로(153)와, 헤드(140)의 노즐(142)을 따라 외부로 추출되게 된다.
피스톤(156)의 외경은 체류공간부(122)의 내경에 접하므로 체류공간부(122)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고, 체류공간부(122)의 내용물은 이러한 압력에 의해 개방된 유입구(153a)를 통해 외부로 추출되는 것이다.
이후, 헤드(140)의 누름작동이 해제되면,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캡(110)과 헤드(140) 사이에 구비되어 헤드(140)의 누름작동에 의해 수축된 복원부(160)가 탄동되어 헤드(140)를 상승시킨다.
헤드(140)의 상승에 의해 샤프트(152)와 피스톤(156)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피스톤(156)은 샤프트(152)의 유입구(153a)를 막게 되고, 피스톤(156)의 상승에 의해 체류공간부(122)는 진공압이 발생되므로 용기의 내용물이 튜브(137)를 따라 분출되어 체류공간부(122)에 충진되게 된다.
이는 피스톤(156)의 상승으로 체류공간부(122)에 발생하는 진공압에 의해 하우징(120)의 분출구(126)를 막고 있는 차폐부재(158)가 분출구(126)를 개방함으로써 가능하다.
이처럼 헤드(140)의 누름동작의 반복에 의해 사용자는 용기의 내용물을 추출할 수 있다.
이후, 복원부(16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복원부(16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지므로, 종래의 스틸로 이루어진 스프링에 비해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녹슬지 않아 제품의 수명을 연장하고,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복원부(160)는 캡(110)과 헤드(140) 사이에 구비됨에 따라 종래의 하우징(120) 내에 내용물에 잠겨 있는 스프링에 비해 저항없이 자유로운 복원이 가능하다.
이러한, 복원부(160)는 수평으로 상하 나란한 제1,2지지부(162,164)에 의해 캡(110)과 헤드(140)를 각각 지지하므로 헤드(140)의 누름힘을 받을 때, 비틀려지지 않고 수직한 힘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제1,2지지부(162,164)와 탄성부(165)로 이루어지는 복원부(160)는 측면에서 볼 때, 탄성을 형성할 수 있는 최소한의 형태인 'S'자 형태로 이루어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다.
이후, 복원부(160)의 작동을 설명하면, 헤드(140)의 누름힘 발생 시 제1,2지지부(162,164)는 각각의 헤드(140)와 캡(110)을 지지하고 있어 수직힘을 받게 되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곡률지게 형성되는 제1,2탄성부(166,167)는 누름힘에 의해 휘어져 수축되게 되어 반발력을 지니게 된다.
이때, 탄성부(165)는 한쌍으로 이루어지고, 사이에 헤드(140)의 비틀림방지부(129)가 개재되어 접하게 되므로, 탄성부(165)는 비틀리지 않고 정확하게 수직방향으로 수축될 수 있다.
또한, 제1,2지지부(162,164)에 상호 점대칭되게 형성되는 안착돌기(163)가 캡(110)과 헤드(140)의 안착홈(132)에 고정됨으로 제1,2지지부(162,164)를 고정하여 안정적인 수직운동이 가능하다.
이후, 헤드(140)의 누름힘이 해제되면, 탄성부(165)의 탄성력에 의해 헤드(140)와 펌핑부(150)를 최초위치로 복원시킨다.
한편,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40)는 잠금부(170)에 의해 누름작동을 단속할 수 있다. 헤드(140)를 회전시키면, 제2걸림돌기(174)가 하우징(120)의 홈에서 벗어나 하우징(120)의 제1걸림돌기(172)에 접촉되므로, 헤드(140)는 누름작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때, 제1걸림돌기(172)의 선단에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헤드이격부(180)가 형성되어 헤드(140)를 캡(110)으로부터 이격시켜 헤드(140)와 캡(110) 사이에 구비되는 복원부(16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걸림돌기(172)와 제2걸림돌기(174)가 수직방향으로 접한 상태에서는 헤드(140)의 누름작동이 이루어지지 않고, 헤드(140)는 헤드이격부(180)의 의해 캡(110)으로부터 다소 올라간 상태이므로 복원부(160)를 누르는 힘이 해제됨으로 운송, 보관에 따른 장시간 누름힘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에 의하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복원부를 캡과 헤드 사이에 적용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가 가능하고, 원활한 토출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복원부의 형상을 개선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펌프 디스펜서 110 : 캡
112 : 나사산 114 : 고정편
120 : 하우징 122 : 체류공간부
124 : 걸림편 126 : 분출구
128 : 이탈방지편 129 : 비틀림방지부
130 : 수용부 132 : 안착홈
135 : 가스켓 137 : 튜브
140 : 헤드 142 : 노즐
150 : 펌핑부 152 : 샤프트
153 : 유로 153a : 유입구
154 : 차플렛 156 : 피스톤
158 : 차폐부재 160 : 복원부
162 : 제1지지부 164 : 제2지지부
163 : 안착돌기 165 : 탄성부
166 : 제1탄성부 167 : 제2탄성부
170 : 잠금부 172 : 제1걸림돌기
174 : 제2걸림돌기 180 : 헤드이격부

Claims (8)

  1. 용기에 결합되는 캡;
    상기 캡에 고정되고, 상기 용기에서 분출된 내용물이 체류되는 체류공간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캡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용물이 추출되는 노즐이 형성되는 헤드;
    상기 헤드에 연동되어 상기 체류공간부의 내용물을 추출하는 펌핑부; 및
    상기 캡과 헤드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헤드와 펌핑부를 최초위치로 복원하는 복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원부는 상기 헤드에 지지되는 제1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와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고, 상기 캡에 지지되는 제2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지지부의 하측으로 연장되고, 일측으로 곡률지게 형성되는 제1탄성부; 및
    상기 제1탄성부에 연이어 형성되고, 타측으로 곡률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지지부에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2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디스펜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헤드와 연동되며, 외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를 연통시키는 유로가 형성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샤프트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며, 상기 하우징 내부를 밀폐하는 차플렛;
    상기 샤프트에 구비되어 상기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피스톤; 및
    상기 샤프트의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용기의 내용물이 상기 하우징 내로 분출되는 것을 단속하는 차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디스펜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슬라이딩 작동은 잠금부에 의해 단속되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하우징 내경에 형성되는 제1걸림돌기; 및
    상기 제1걸림돌기에 지지되어 상기 헤드의 하강을 방지하도록 상기 헤드의 외경에 형성되는 제2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디스펜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돌기의 상단에는 상기 제2걸림돌기와 접촉 시 상기 캡과 상기 헤드의 간격을 이격시켜 상기 복원부의 변형을 방지하는 헤드이격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디스펜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의 상호 점대칭되는 부위에는 안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와 상기 캡에는 상기 안착돌기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디스펜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상기 탄성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탄성부의 작동 시 상기 탄성부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비틀림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디스펜서.
KR1020110025048A 2011-03-21 2011-03-21 펌프 디스펜서 KR101251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048A KR101251069B1 (ko) 2011-03-21 2011-03-21 펌프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048A KR101251069B1 (ko) 2011-03-21 2011-03-21 펌프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384A KR20120107384A (ko) 2012-10-02
KR101251069B1 true KR101251069B1 (ko) 2013-04-09

Family

ID=47279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048A KR101251069B1 (ko) 2011-03-21 2011-03-21 펌프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10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7523A1 (ko) * 2017-07-18 2019-01-24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방수형 펌프 디스펜서
WO2021230429A1 (ko) * 2020-05-14 2021-11-18 주식회사 선앤엘 펌프 디스펜서
WO2021246681A1 (ko) * 2020-06-03 2021-12-09 펌텍코리아(주)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809B1 (ko) * 2017-05-24 2019-02-22 주식회사 다린 스프레이형 펌프 디스펜서
KR101875131B1 (ko) 2017-12-13 2018-07-06 임방빈 화장품 용기
KR102297218B1 (ko) * 2018-06-04 2021-09-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102534074B1 (ko) * 2021-05-10 2023-05-18 펌텍코리아(주) 합성수지 탄성체를 갖는 펌프 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1571A (ja) * 1991-12-16 1994-07-12 Sar Spa 液体物質又はクリームもしくはペースト形態の物質を分配するためのディスペンサ
KR200337346Y1 (ko) * 2003-08-18 2004-01-07 주식회사 다린 펌프디스펜서에 있어서 펌핑구조
JP2004202398A (ja) * 2002-12-25 2004-07-22 Canyon Corp バネ体及びそれを用いたポンプディスペンサ
KR20070087489A (ko) * 2004-12-22 2007-08-28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펌프 주출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1571A (ja) * 1991-12-16 1994-07-12 Sar Spa 液体物質又はクリームもしくはペースト形態の物質を分配するためのディスペンサ
JP2004202398A (ja) * 2002-12-25 2004-07-22 Canyon Corp バネ体及びそれを用いたポンプディスペンサ
KR200337346Y1 (ko) * 2003-08-18 2004-01-07 주식회사 다린 펌프디스펜서에 있어서 펌핑구조
KR20070087489A (ko) * 2004-12-22 2007-08-28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펌프 주출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7523A1 (ko) * 2017-07-18 2019-01-24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방수형 펌프 디스펜서
WO2021230429A1 (ko) * 2020-05-14 2021-11-18 주식회사 선앤엘 펌프 디스펜서
WO2021246681A1 (ko) * 2020-06-03 2021-12-09 펌텍코리아(주)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384A (ko) 2012-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1069B1 (ko) 펌프 디스펜서
KR101290829B1 (ko) 펌프 디스펜서
US9199257B2 (en) Press type spray head assembly
JP6108181B2 (ja) スプレーポンプ
US8863988B2 (en) Cosmetic container having release prevention device
KR200440665Y1 (ko) 펌핑식 화장품용기
KR101146999B1 (ko) 단일 실리콘재 펌프로 작동되는 버튼식 화장품 용기
CN104717901A (zh) 膏型化妆品容器
KR101104934B1 (ko) 벨로우즈 타입 용기
KR20120004976U (ko) 액체용기용 펌핑디스펜서
KR101309857B1 (ko) 출몰노즐형 화장품 용기
KR200462480Y1 (ko) 화장품 용기의 디스펜서 헤드
KR200464671Y1 (ko) 액체용기용 펌프디스펜서
KR101627227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의 씰링구조
KR200455888Y1 (ko) 화장품용기의 펌핑장치
KR200444659Y1 (ko) 에어리스 펌핑형 화장품 용기 구조
KR200450883Y1 (ko) 펌프 디스펜서
KR200456826Y1 (ko) 내용물 정량 배출이 가능한 펌프 용기
KR20150120041A (ko) 거품펌프
KR20130096787A (ko) 화장품 펌프 용기
KR200410138Y1 (ko) 약제용기용 펌프 디스펜서
KR101355655B1 (ko) 잔존물 제거를 위한 공기분출형 화장품 용기
EP2918346B1 (en) Press type spray head assembly
US20160263603A1 (en) Dispenser with a hermetic seal
KR100723983B1 (ko) 액체 용기용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