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6717A - 리튬 이온 이차전지용 전해질 - Google Patents

리튬 이온 이차전지용 전해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6717A
KR20070086717A KR1020077014671A KR20077014671A KR20070086717A KR 20070086717 A KR20070086717 A KR 20070086717A KR 1020077014671 A KR1020077014671 A KR 1020077014671A KR 20077014671 A KR20077014671 A KR 20077014671A KR 20070086717 A KR20070086717 A KR 20070086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lectrolyte
additive
battery
lith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4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4065B1 (ko
Inventor
펭 시아오
밍시아 왕
Original Assignee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86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6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0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7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9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v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1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이차전지의 전해질용 첨가제들에 관한 것이다: 1,3-프로판술톤, 숙신산 무수물, 에테닐 술포닐 벤젠 및 할로벤젠. 또한 비페닐, 시클로헥실벤젠 및 비닐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3-프로판술톤의 중량은 첨가제의 0.5중량% 내지 96.4중량%이며; 상기 숙신산 무수물은 0.5중량% 내지 96.4중량%이며; 상기 에테닐 술포닐 벤젠은 0.5중량% 내지 95.2중량%이며; 상기 할로벤젠은 0.5중량% 내지 95.2중량%이다. 상기 첨가제들을 포함하는 전해질을 구비한 전지는 개선된 과충전 특성 및 저온 특성을 가지며, 충전 및 방전 시에 기체 발생을 감소시킨다.
리튬 이온 이차전지, 첨가제, 전해질, 저온특성, 과충전 특성, 기체

Description

리튬 이온 이차전지용 전해질{Electrolytes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ies}
상호 참조( Cross Reference )
본 출원은 2004년 12월 31일에 출원된 중국출원번호 제2004101040322호인 중국특허출원 "혼합 첨가제, 전해질 및 상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Mixed Additives, Electrolytes and Lithium-Ion Secondary Batteries with said Additives)"를 기초로 우선권을 주장한다. 상기 출원은 여기에 참고문헌으로 통합된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리튬 이온 이차전지용 전해질에 관한 것이다. 특히, 리튬 이온 이차전지 내의 전해질용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십년보다 더 이전에 상업적 도입이 있은 이후로, 리튬 이온 이차전지는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넓혀왔으며, 그러한 소비자들의 채택속도는 Cd-Ni 전지, MH-Ni 전지 및 납축전지(lead-acid battery)에서는 볼 수 없던 것이다. 이러한 빠른 발전은 높은 작동 전압, 높은 상대적 에너지, 넓은 작동 온도 범위, 낮은 자가-방전 속도, 긴 사이클 수명, 낮은 에너지손실, 제로 메모리 효과(zero memory effect), 무오 염(pollution-free) 작동 및 개선된 안전성을 포함하는 예외적인 특징들로 인한 결과이다. 리튬-이온 전지는 휴대폰, 랩탑(laptop) 컴퓨터, 의료 장비, 비디오 카메라 및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소형이고 고가(高價)인 전자 장치들의 전력원(power source)으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또한, 우주항공(aerospace), 항공(aviation), 해양, 위성, 원격통신 및 군사적 응용제품에서 전통적인 전지들을 점차적으로 대체하고 있다.
가장 최근의 리튬-이온 전지는 음극(negative electrode)으로 탄소계 물질을 사용한다. 이 리튬-이온 전지는 LiCoO2, LiNiO2 및 LiMn2O4와 같은 리튬을 삽입 및 탈삽입할 수 있는 물질들을 양극(positive electrode)으로 사용한다. 리튬-이온 전지의 전해질은 일반적으로 유기 용매, 리튬염들인 전해질 고체들 및 첨가제들을 포함한다. 유기 용매는 전해질의 주요한 구성요소이며 전해질의 특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많은 유기 용매들 및 리튬 염들이 있으나, 단지 제한된 일부만이 리튬-이온 전지에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전해질은 높은 유전상수(dielectric constant)의 용매, 낮은 점도의 용매 및 넓은 전기적 포텐셜, 넓은 작동 온도 범위, 우수한 열안정성 및 낮은 독성을 갖고, 전기화학적으로 안정하며,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안전하며, 집전체 및 전지 내의 활성 성분(ingredient)들과 화학적으로 반응하지 않는 용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전해질은 전지의 중요한 구성성분이며, 전지의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전통적인 전지에서, 전해질은 용매로서 수성 용액을 갖는다. 많은 화합물이 물에 잘 용해되므로 수성 용액에 대해서 많은 선택사항이 있으며 많은 수성 용액들의 물리적 화학적 특징들은 잘 이해된다. 그러나 이론적인 물의 분해 전압은 단지 1.23V이다. 따라서 산소 또는 수소의 과전압(overpotential)을 고려하더라도, 납축전지 내의 수성 용액과 같은 수성 용액들을 포함하는 전해질을 구비한 전지에서 최대 전압은 단지 약 2V 이다. 전통적인 수성 용액들은 전압이 3V 내지 4V 정도로 높게 도달할 수 있는 리튬-이온 전지 내에서는 사용될 수 없다. 따라서 리튬-이온 전지의 추가적인 발전에서의 핵심은 전해질 고체들 및 고전압에서 분해되지 않는 유기 용매들에 관한 연구에 있다.
현재의 리튬 이온 전지들에는 많은 문제들이 존재한다. 일반적인 문제는 충전 및 방전시에 음극의 표면에서 전해질의 분해로부터 발생하는 기체가 상기 전지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또한 유기 전해질의 전기전도율도 낮다. 추가적으로, 용매는 가연성이고 쉽게 증발한다. 전지가 오용(misuse)에 의해 과충전 또는 단락(short-circuited)되는 경우에, 폭발과 같은 위험한 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 리튬 이온 전지의 열안정성은 또다른 안정성 문제를 지닌다. 상기 전지 내의 반응들에 의해 발생된 열이 열을 방출할 수 있는 능력을 초과하는 경우에, 전지의 온도는 발화점에 도달할 수 있으므로, 화재나 폭발의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최근에, 첨가제를 첨가하는 것이 리튬 이온 전지의 특성을 개선시키는 중요한 연구 접근법이다. 소량의 어떤 화합물, 즉, 첨가제들을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전해질에 첨가하는 것은 전해질의 전기전도율, 전지의 순환 효율 및 가역 용량과 같은 어떤 특성들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들은 전지의 제조 비용 을 상당히 증가시키지 않으나 그 성능을 실질적으로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다.
많은 특허들이 전해질에 첨가제들의 첨가를 언급했다. 산요(Sanyo)사의 일본특허 2000-58112, 소니(Sony)사의 일본특허 2000-156243 및 GS사의 일본특허 2001-126765는 비페닐의 첨가가 과충전을 견디는 전지의 능력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음을 개시했다. 미쯔비시(Mitsubishi)사의 일본특허 2003-77478은 양극 내에 0.02% 내지 0.1%의 비페닐을 첨가함으로써 다수의 사이클 후에 과충전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음을 개시했다. 산요사와 UBE가 공동으로 소유한 일본특허 2001-15155는 시클로헥실벤젠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가 전기화학적으로 활성이며 효과적으로 과충전을 방지할 수 있음을 개시했다. 전지가 과충전이 되는 경우에, 리튬 이온들의 초과량은 양극으로부터 나와서 음극 내에 삽입되거나 음극 상에 축적된다. 그 결과, 상기 두 전극의 열안정성을 해치고 양극은 분해되기 쉬워진다. 그 후 상기 양극은 상기 전해질의 분해를 촉진시키는 산소를 방출하여, 다량의 열을 발생시킨다. 상기 음극 상에 축적된 활성 리튬은 용매와 쉽게 반응하여, 열을 방출할 수 있으며 화학적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전지의 온도는 빠르게 상승한다.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전해질은 전지 내의 거의 모든 반응들에 참여하게 된다. 이러한 반응들은 양극용 물질, 탄소 내에 삽입된 리튬 및 리튬 금속과 전해질의 반응들과 전해질의 자가-분해 반응을 포함한다.
비페닐, 시클로헥실벤젠 또는 이 둘의 혼합물을 전해질에 첨가하는 것은 과충전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그렇게 함으로써, 전지의 저온 특성들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추가적으로, 충전과 방전 시에 발생된 다량의 기체로 인 해 전지의 두께가 증가한다. 상기 첨가제들이 단지 소량의 기체를 발생시키는 경우도, 전지의 과충전 및 저온 특성에 좋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첨가제가 우수한 과충전 특성을 야기시키는 경우에, 상기 전지는 다량의 기체를 발생할 수도 있고 저온에서 우수한 방전 특성을 갖지 못할 수도 있다.
종래 기술의 한계로 인해, 리튬 이온 전지에 사용될 수 있는 신규한 전해질용 첨가제, 우수한 저온 특성 및 과충전 특성을 갖는 전지 및 충전과 방전 동안에 적은 기체를 발생시키는 전지가 요구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전지의 과충전 특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고, 충전 및 방전시에 발생되는 기체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전지의 저온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리튬 이온 이차전지용 첨가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이차전지의 전해질용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1,3-프로판술톤(1,3-propane sultone), 숙신산 무수물(succinic anhydride), 에테닐 술포닐 벤젠 및 할로벤젠. 또한, 비페닐, 시클로헥실벤젠 및 비닐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3-프로판술톤의 중량은 상기 첨가제의 0.5중량% 내지 96.4중량%일 수 있으며, 상기 숙신산 무수물은 0.5중량% 내지 96.4중량%일 수 있으며, 상기 에테닐 술포닐 벤젠은 0.5중량% 내지 95.2중량%일 수 있으며, 상기 할로벤젠은 0.5중량% 내지 95.2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점은 과충전 상태에서 효과적으로 전지의 과충전 특성을 개선하는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이차전지용 첨가제 및, 상기 첨가제를 구비한 전지는 신뢰할 수 있고, 안전하며, 화재나 폭발이 발생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점은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이차전지의 전해질용 첨가제가 충전 및 방전 시에 발생되는 기체의 양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서 상기 전지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점은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이차전지의 전해질용 첨가제가 전지의 저온 특성을 효과적으로 개선시켜, 저온에서 전지가 방전되는 경우에 고용량, 높은 중간전압(medium voltage) 및 낮은 내부저항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점은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이차전지의 전해질용 첨가제가 전지의 고온 특성을 개선시켜 상기 전지가 고온에서 저장될 수 있고 작은 회복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첨가제들을 구비한 전해질들이다: 1,3-프로판술톤(1,3-propane sultone), 숙신산 무수물(succinic anhydride), 에테닐 술포닐 벤젠 및 할로벤젠. 또한, 바람직하게는 비페닐, 시클로헥실벤젠 및 비닐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3-프로판술톤의 바람직한 중량은 상기 첨가제 중량의 0.5중량% 내지 96.4중량%이며, 상기 숙신산 무수물은 0.5중량% 내지 96.4중량%이며, 상기 에테닐 술포닐 벤젠은 0.5중량% 내지 95.2중량%이며, 상기 할로벤젠은 0.5중량% 내지 95.2중량%이며; 상기 비페닐은 0.5중량% 내지 95.2중량%이며; 상기 시클로헥실벤젠은 1.0중량% 내지 93.7중량%이며; 상기 비닐렌 카보네이트는 0.5중량% 내지 93.0중량%이다.
게다가, 상기 첨가제의 중량은 상기 전해질 중량의 2중량% 내지 20중량%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1,3-프로판술톤의 중량은 상기 전해질 중량의 0.1중량% 내지 8.0중량%일 수 있으며; 상기 숙신산 무수물의 중량은 0.1중량% 내지 8.0중량%일 수 있으며; 상기 에테닐 술포닐 벤젠은 6.0중량% 이하일 수 있으며; 상기 할로벤젠은 6.0중량% 이하일 수 있으며; 상기 비페닐은 0.1중량% 내지 6.0중량%일 수 있으며; 상기 시클로헥실벤젠은 0.1중량% 내지 6.0중량%일 수 있으며; 상기 비닐렌 카보네이트는 0.1중량% 내지 4.0중량%일 수 있다.
상기 할로벤젠은 그 치환체(substitute)가 하나 이상인 할로벤젠일 수 있다. 이는 또한 할로알킬벤젠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로벤젠(fluorobenzene), 클로로벤젠(chlorobenzene), 브로모벤젠(bromobenzene) 또는 이오벤젠(iobenzene)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할로벤젠은 플루오로벤젠, 클로로벤젠, 브로모벤젠일 수 있다.
한 실시예인 전해질의 첨가제가 리튬 이온 이차전지의 전해질에 용해되는 경우에, 디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에틸렌 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에틸메틸 카보네이트, 부틸렌 카보네이트, 메틸에틸렌 카보네이트 및 디에틸 카보네이트와 같은 용매들의 전해질 내에서의 분해를 억제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상기 첨가제는 상기 용매들의 분해로 인한 기체의 발생을 상당히 감소시키거나 심지어 정지시키고, 그 결과 기체 축적으로 인한 폭발의 위험을 제거하고, 상기 전해질의 열안정성을 개선하며, 상기 전해질의 효율적인 사용을 증진토록 한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양극용 및 음극용 물질 내의 고체 입자들 중의 리튬 이온의 극성화를 억제한다. 첨가제들이 리튬화된 흑연 음극의 비가역적 용량 및 상기 양극 및 음극 내의 리튬 이온의 전송 임피던스(transmission impedance)를 감소시킴에 따라 상기 탄소 음극의 전기화학적 특성은 상기 첨가제들에 의해 개선된다.
또한, 전해질들 내의 첨가제들이 전지가 저온에서 최종 방전 전압에 조급하게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실시예들인 상기 전해질들은 전지의 저온 특성들을 개선할 수 있다. 더 중요하게는, 실시예들인 상기 전해질들 내의 첨가제는 용이하게 고분자반응(polyreact)하여 전기적 절연성 초고분자(superpolymer)의 얇은 층을 형성하여, 상기 양극의 표면을 덮을 수 있거나, 나아가 상기 세퍼레이터(separator)를 차단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상기 첨가제는 전지의 신뢰도 및 안전성을 증가시키고 전지가 과충전되는 경우에 폭발 또는 화재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인 전해질을 구비한 리튬 이온 이차전지는 다음의 유리한 점을 갖는다:(a) 우수한 저온 방전 특성. 저온에서 방전되는 경우에 전지는 고용량, 높은 중간전압 및 낮은 최종 내부저항(ending inner-resistance)을 갖는다;(b) 우수한 과충전 특성. 과충전되는 경우에 전지는 폭발이나 화재로부터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다;(c) 충전 및 방전 시에 낮은 기체 발생량. 낮은 기체 발생량으로 인해 전지의 두께 증가가 감소된다;(d) 우수한 고온 특성. 전지는 고온에서 저장될 수 있고 적은 회복 두께(recovery thickness)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전해질의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유기 용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기 용매들로는 리튬 이온 전지용으로 종래 기술로 사용될 수 있는 어느 것도 될 수 있다. 이러한 유기 용매들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디메틸 카보네이트(DMC), 디에틸 카보네이트(DEC), 에틸렌 카보네이트(EC),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에틸메틸 카보네이트(EMC), 부틸렌 카보네이트(BC) 및 메틸에틸렌 카보네이트(MEC). 상기 유기 용매 또는 용매들의 양은 리튬 이온 전지에서 종래 사용되는 유기 용매들의 통상적인 양들 중 어떤 것도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기 용매의 양은 상기 전해질 중량의 70중량% 내지 95중량%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해질의 실시예들은 리튬 이온 이차전지들에서 종래 사용되는 리튬염들인 전해질 고체(solid)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리튬염들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리튬 퍼클로레이트(lithium perchlorate), 리튬 헥사플루오라이드 포스포(lithium hexafluoride phospho), 리튬 헥사플루오라이드 아세네이트(lithium hexafluoride arsenate) 및 리튬 퍼플루오라이드 붕산(lithium hexafluoride boric acid). 상기 리튬염의 농도는 종래 리튬 이온 이차전지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리튬염들의 농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리튬염들의 농도는 0.6mol/L 내지 1.4mol/L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서 전해질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실시예들인 상기 첨가제를 유기 용매에 첨가하는 단계. 유기 용매에 첨가되기 전에 상기 첨가제 내의 개별적 성분들이 첨가되어 서로 혼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첨가제 내의 성분들은 미리 서로 혼합되어 상기 유기 용매 내에 어떤 순서대로 개별적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가 존재하는 유기 용매에 리튬염 또는 리튬염들을 용해하는 단계;
상기 첨가제 및 용해된 리튬염이 존재하는 유기 용매를 밀봉하는 단계;
상기 첨가제 및 용해된 리튬염이 존재하는 밀봉된 유기 용매를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20분 내지 30분간 가열하여 혼탁상태를 야기하는 어떤 침전물 또는 어떤 물질을 빠르게 용해시켜 실시예인 전해질을 얻는 단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인 전해질을 제조하는 다른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유기 용매에 리튬염 또는 리튬염들을 용해하는 단계;
상기 용해된 리튬염 또는 리튬염들이 존재하는 상기 유기 용매에 첨가제를 첨가하는 단계. 유기 용매에 첨가되기 전에 상기 첨가제 내의 개별적 성분들이 첨가되어 서로 혼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첨가제 내의 성분들은 미리 서로 혼합되어 상기 유기 용매 내에 어떤 순서대로 개별적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 및 용해된 리튬염이 존재하는 유기 용매를 밀봉하는 단계;
상기 첨가제 및 용해된 리튬염이 존재하는 밀봉된 유기 용매를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20분 내지 30분간 가열하여 혼탁상태를 야기하는 어떤 침전물 또는 어떤 물질을 빠르게 용해시켜 전해질 실시예를 얻는 단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인 전해질은 리튬 이온 전지를 제조하는 데에 전해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지들에서 사용되는 양극, 음극, 세퍼레이터는 종래 리튬 이온 전지들 내에서 사용되는 어떤 양극, 음극 또는 세퍼레이터일 수 있다.
다음의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을 더 설명한다.
실시예 1
전해질 제조방법이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에틸렌 카보네이트, 에틸메틸 카보네이트 및 디메틸 카보네이트를 1:1:1의 비로 혼합하는 단계;
1mol/L의 농도를 갖는 전해질 용액을 형성하기 위해 전해질 고체로서 LiPF6를 첨가하는 단계;
상기 용액에 첨가제를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첨가제가 존재하는 상기 용액을 50℃의 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첨가제를 용해시켜 본 실시예의 전해질을 형성하는 단계.
전해질 중량의 중량 퍼센트로서 첨가제 내의 성분들의 중량은 다음과 같다: 비닐렌 카보네이트(0.5중량%), 비페닐(0.5중량%), 시클로헥실벤젠(1.0중량%), 1,3-프로판술톤(0.5중량%) 및 에테닐 술포닐 벤젠(0.5중량%). 첨가제는 전해질의 총중량의 3중량%이다.
양극의 제조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바인딩 용액을 형성하기 위해 폴리(비닐리덴 피노라이드(vinylidene finoride))(ATOFINA, 761#PVDF) 90그램을 N-메틸-2-피롤리돈(NMP) 1350그램 용액에 용해시키는 단계;
상기 바인딩 용액에 LiCoO2(FMC사 제품) 2895그램을 첨가하는 단계;
고르게 혼합하여 양극 슬러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양극 슬러리를 알루미늄 호일 상에 20㎛의 두께로 평탄하게 분산시키는 단계;
상기 알루미늄 호일 상의 양극 슬러리를 125℃에서 한 시간동안 건조시키는 단계; 및
압착하여 125㎛의 두께를 갖는 양극판을 형성하는 단계.
음극의 제조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바인딩 용액을 형성하기 위해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MC)(Jiangmen Quantum Hitech Biological Engineering 사, CMC1500 모델) 30그램 및 부틸벤젠 고무(SBR) 라텍스(Nangtong Shen Hua Chemical Industrial Company Limited 사 제품, TAIPOL1500E 모델) 75그램을 물 1875그램에 용해시키는 단계;
상기 바인딩 용액에 흑연(SODIFF사 제품, DAG84 모델) 1395그램을 첨가하는 단계;
상기 용액 내에서 흑연을 고르게 혼합하여 흑연 음극 슬러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음극 슬러리를 구리 호일 상에 12㎛의 두께로 평탄하게 분산시키는 단계;
상기 구리 호일 상의 음극 슬러리를 125℃에서 한 시간동안 건조시키는 단계; 및
압착하여 125㎛의 두께를 갖는 음극판을 형성하는 단계.
전지의 제조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양극판, 음극판 및 20㎛의 두께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세퍼레이터를 포개고 감아 사각 리튬-이온 전지의 코어(core)를 형성하는 단계;
전지 쉘(shell)에 상기 전지 코어를 위치시키는 단계;
밀착시키는 단계;
상기 전지 쉘 내에 제조된 전해질을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쉘을 밀봉하여 리튬 이온 이차전지 모델 453450A를 제조하는 단계.
실시예 2
전해질 제조방법이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에틸렌 카보네이트, 에틸메틸 카보네이트 및 디메틸 카보네이트를 1:1:1의 비로 혼합하는 단계;
1mol/L의 농도를 갖는 전해질 용액을 형성하기 위해 전해질 고체로서 LiPF6를 첨가하는 단계;
상기 용액에 첨가제를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용액 내의 상기 첨가제를 60℃의 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첨가제를 용해시켜 본 실시예의 전해질을 형성하는 단계.
전해질 중량의 중량 퍼센트로서 첨가제 내의 성분들의 중량은 다음과 같다: 비닐렌 카보네이트(1.0중량%), 비페닐(3중량%), 시클로헥실벤젠(0.5중량%), 1,3-프로판술톤(2.0중량%) 및 에테닐 술포닐 벤젠(2.0중량%). 첨가제는 전해질의 총중량의 8.5중량%이다.
이 실시예에서 리튬-이온 전지는 이 실시예에서 제조된 상기 전해질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다.
실시예 3
전해질 제조방법이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에틸렌 카보네이트, 에틸메틸 카보네이트 및 디메틸 카보네이트를 1:1:1의 비로 혼합하는 단계;
1mol/L의 농도를 갖는 전해질 용액을 형성하기 위해 전해질 고체로서 LiPF6를 첨가하는 단계;
상기 용액에 첨가제를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첨가제가 존재하는 상기 용액을 70℃의 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첨가제를 용해시켜 본 실시예의 전해질을 형성하는 단계.
전해질 중량의 중량 퍼센트로서 첨가제 내의 성분들의 중량은 다음과 같다: 비닐렌 카보네이트(2.0중량%), 비페닐(2.0중량%), 시클로헥실벤젠(3.0중량%), 숙신 산 무수물(3.0중량%) 및 에테닐 술포닐 벤젠(2.0중량%). 첨가제는 전해질의 총중량의 12중량%이다.
이 실시예에서 리튬-이온 전지는 이 실시예에서 제조된 상기 전해질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다.
실시예 4
전해질 제조방법이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에틸렌 카보네이트 및 디에틸 카보네이트를 1:1의 비로 혼합하는 단계;
0.9mol/L의 농도를 갖는 전해질 용액을 형성하기 위해 전해질 고체로서 LiPF6를 첨가하는 단계;
상기 용액에 첨가제를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첨가제가 존재하는 상기 용액을 70℃의 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첨가제를 용해시켜 본 실시예의 전해질을 형성하는 단계.
전해질 중량의 중량 퍼센트로서 첨가제 내의 성분들의 중량은 다음과 같다: 비닐렌 카보네이트(1.5중량%), 비페닐(1중량%), 시클로헥실벤젠(4중량%), 1,3-프로판술톤(3중량%) 및 에테닐 술포닐 벤젠(4중량%). 첨가제는 전해질의 총중량의 13.5중량%이다.
이 실시예에서 리튬-이온 전지는 이 실시예에서 제조된 상기 전해질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다.
실시예 5
전해질 제조방법이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에틸렌 카보네이트 및 디에틸 카보네이트를 1:1의 비로 혼합하는 단계;
0.9mol/L의 농도를 갖는 전해질 용액을 형성하기 위해 전해질 고체로서 LiPF6를 첨가하는 단계;
상기 용액에 첨가제를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첨가제가 존재하는 상기 용액을 70℃의 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첨가제를 용해시켜 본 실시예의 전해질을 형성하는 단계.
전해질 중량의 중량 퍼센트로서 첨가제 내의 성분들의 중량은 다음과 같다: 비닐렌 카보네이트(3중량%), 비페닐(5중량%), 시클로헥실벤젠(1중량%), 1,3-프로판술톤(5중량%) 및 에테닐 술포닐 벤젠(3중량%). 첨가제는 전해질의 총중량의 17중량%이다.
이 실시예에서 리튬-이온 전지는 이 실시예에서 제조된 상기 전해질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다.
실시예 6
전해질 제조방법이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에틸렌 카보네이트 및 디에틸 카보네이트를 1:1의 비로 혼합하는 단계;
0.9mol/L의 농도를 갖는 전해질 용액을 형성하기 위해 전해질 고체로서 LiPF6를 첨가하는 단계;
상기 용액에 첨가제를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첨가제가 존재하는 상기 용액을 70℃의 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첨가제를 용해시켜 본 실시예의 전해질을 형성하는 단계.
전해질 중량의 중량 퍼센트로서 첨가제 내의 성분들의 중량은 다음과 같다: 비닐렌 카보네이트(2중량%), 비페닐(1.5중량%), 시클로헥실벤젠(6.5중량%), 1,3-프로판술톤(4중량%) 및 에테닐 술포닐 벤젠(5중량%). 첨가제는 전해질의 총중량의 19중량%이다.
이 실시예에서 리튬-이온 전지는 이 실시예에서 제조된 상기 전해질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다.
실시예 7
전해질 제조방법이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에틸렌 카보네이트, 에틸메틸 카보네이트 및 디메틸 카보네이트를 1:1:1의 비로 혼합하는 단계;
1mol/L의 농도를 갖는 전해질 용액을 형성하기 위해 전해질 고체로서 LiPF6를 첨가하는 단계;
상기 용액에 첨가제를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첨가제가 존재하는 상기 용액을 50℃의 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첨가제를 용해시켜 본 실시예의 전해질을 형성하는 단계.
전해질 중량의 중량 퍼센트로서 첨가제 내의 성분들의 중량은 다음과 같다: 비닐렌 카보네이트(0.5중량%), 비페닐(0.5중량%), 시클로헥실벤젠(1.5중량%), 1,3- 프로판술톤(1중량%) 및 플루오로벤젠(0.5중량%). 첨가제는 전해질의 총중량의 4중량%이다.
이 실시예에서 리튬-이온 전지는 이 실시예에서 제조된 상기 전해질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다.
실시예 8
전해질 제조방법이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에틸렌 카보네이트, 에틸메틸 카보네이트 및 디메틸 카보네이트를 1:1:1의 비로 혼합하는 단계;
1mol/L의 농도를 갖는 전해질 용액을 형성하기 위해 전해질 고체로서 LiPF6를 첨가하는 단계;
상기 용액에 첨가제를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첨가제가 존재하는 상기 용액을 70℃의 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첨가제를 용해시켜 본 실시예의 전해질을 형성하는 단계.
전해질 중량의 중량 퍼센트로서 첨가제 내의 성분들의 중량은 다음과 같다: 비닐렌 카보네이트(1중량%), 비페닐(4중량%), 시클로헥실벤젠(1중량%), 숙신산 무수물(2중량%) 및 클로로벤젠(2중량%). 첨가제는 전해질의 총중량의 10중량%이다.
이 실시예에서 리튬-이온 전지는 이 실시예에서 제조된 상기 전해질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다.
실시예 9
전해질 제조방법이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에틸렌 카보네이트, 에틸메틸 카보네이트 및 디메틸 카보네이트를 1:1:1의 비로 혼합하는 단계;
1mol/L의 농도를 갖는 전해질 용액을 형성하기 위해 전해질 고체로서 LiPF6를 첨가하는 단계;
상기 용액에 첨가제를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첨가제가 존재하는 상기 용액을 50℃의 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첨가제를 용해시켜 본 실시예의 전해질을 형성하는 단계.
전해질 중량의 중량 퍼센트로서 첨가제 내의 성분들의 중량은 다음과 같다: 비닐렌 카보네이트(2중량%), 비페닐(3중량%), 시클로헥실벤젠(3중량%) 및 1,3-프로판술톤(2중량%). 첨가제는 전해질의 총중량의 10중량%이다.
이 실시예에서 리튬-이온 전지는 이 실시예에서 제조된 상기 전해질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다.
실시예 10
전해질 제조방법이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에틸렌 카보네이트 및 디에틸 카보네이트를 1:1의 비로 혼합하는 단계;
0.9mol/L의 농도를 갖는 전해질 용액을 형성하기 위해 전해질 고체로서 LiPF6를 첨가하는 단계;
상기 용액에 첨가제를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첨가제가 존재하는 상기 용액을 70℃의 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첨가제를 용해시켜 본 실시예의 전해질을 형성하는 단계.
전해질 중량의 중량 퍼센트로서 첨가제 내의 성분들의 중량은 다음과 같다: 비닐렌 카보네이트(5중량%), 비페닐(1중량%), 시클로헥실벤젠(2중량%) 및 1,3-프로판술톤(0.5중량%). 첨가제는 전해질의 총중량의 8.5중량%이다.
이 실시예에서 리튬-이온 전지는 이 실시예에서 제조된 상기 전해질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다.
비교예 1
전해질 제조방법이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에틸렌 카보네이트, 에틸메틸 카보네이트 및 디메틸 카보네이트를 1:1:1의 비로 혼합하는 단계;
1mol/L의 농도를 갖는 본 비교예의 전해질 용액을 형성하기 위해 전해질 고체로서 LiPF6를 첨가하는 단계.
이 실시예에서 리튬-이온 전지는 이 실시예에서 제조된 상기 전해질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다.
비교예 2
전해질 제조방법이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에틸렌 카보네이트 및 디에틸 카보네이트를 1:1의 비로 혼합하는 단계;
0.9mol/L의 농도를 갖는 본 비교예의 전해질 용액을 형성하기 위해 전해질 고체로서 LiPF6를 첨가하는 단계.
이 실시예에서 리튬-이온 전지는 이 실시예에서 제조된 상기 전해질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다.
전지의 특성 시험
실시예 1 내지 10 및 비교예 1 및 2의 리튬-이온 이차전지들을 다음과 같이 시험한다:
먼저, 최초 충전 및 방전 후 전지 두께의 증가를 측정한다. 각 전지는 최초로 충전되고 그 최초 충전 후 전지 두께의 증가가 측정된다. 전지 두께의 증가는 3.9V의 전압까지 최초로 충전된 전지의 두께와 최초 충전 전의 전지의 두께의 차이로 정의된다. 이후 각 전지는 최초로 방전된다. 그 최초 방전 후 전지 두께의 증가가 측정된다. 최초 방전 후 전지 두께의 증가는 4.12V의 전압까지 최초로 충전된 전지의 두께와 3.0V의 전압까지 방전된 후의 전지의 두께의 차이로 정의된다. 이 시험 결과들이 표 1에 나타나 있다.
실시예 1 내지 10 및 비교예 1 및 2의 리튬 이온 이차전지들의 표준 용량이 얻어졌고 그 결과들이 표 1에 나타나 있다. 전지의 표준 용량을 얻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일정한 전류 및 일정한 전압에서 1CmA로 전지를 4.12V까지 충전한다. 그 다음 그 전지를 1CmA로 3.0V까지 방전시킨다. 충전 후 상기 전지에 의해 방출된 용 량, 즉, 방전 전류(MA)*방전 시간(h)이 표준 용량이다.
[표 1]
최초 충전 후 두께 증가(mm) 최초 방전 후 두께 증가(mm) 표준 용량(mAh)
실시예 1 0.752 0.178 815
실시예 2 0.766 0.179 819
실시예 3 0.755 0.182 811
실시예 4 0.762 0.184 812
실시예 5 0.778 0.182 815
실시예 6 0.796 0.198 814
실시예 7 0.753 0.182 810
실시예 8 0.742 0.178 811
실시예 9 0.715 0.178 810
실시예 10 0.716 0.181 810
비교예 1 0.912 0.218 813
비교예 2 0.920 0.223 812
표 1의 결과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전해질을 구비한 전지들의 용량과 비교예들에서 제조된 전해질들을 구비한 전지들의 용량이 기본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실시예들의 전해질을 구비한 전지들의 충전 또는 방전 후 두께의 증가는 비교예들에서 제조된 전해질을 구비한 전지들의 것보다 명백히 더 작다. 그 결과들은 실시예들의 전해질을 구비한 전지들이 비교예들에서 제조된 전해질을 구비한 전지들보다 충전 또는 방전 시 기체를 덜 발생시킨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1 내지 10 및 비교예 1 및 2의 리튬 이온 이차전지의 과충전 특성들이 시험되고 그 결과들이 표 2에 나타나 있다. 각 전지의 시험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일정한 전류에서 1C으로 3.0V까지 방전시키는 단계;
유니버셜 미터(univeral meter)를 사용하여 일정한 전류 및 일정한 전압의 출력 전류 값을 과충전 시험에서 요구되는 값으로 조정하는 단계;
출력 전압을 요구되는 과충전 전압 한계보다 1V 높게 조정하는 단계;
열전대 감지기(thermocouple sensor)의 열감지기를 전지 면의 중앙에 내열 테이프로 부착하는 단계;
풀린 경우 두께가 12mm인 석면 층으로 상기 전지의 표면을 덮는 단계;
이동 페이퍼의 속도를 6cm/h 또는 20cm/h의 속도로 조정하고 3-펜 노트 기구(three-pen note apparatus)를 위해 적당한 확대율로 조정하는 단계;
일정 전류 및 전압 전기 소스를 켜서 상기 전지를 과충전하는 단계;
상기 전지의 온도, 전압, 전류의 변화를 기록하는 단계; 및
누출(leakage), 틈(breach), 연기(fume), 폭발(explosion) 또는 발화(ignition)를 관찰하고 기록하는 단계;
일정한 전류에서 상기 전지의 충전 시간, 상기 전지의 최고 온도 및 최고 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을 기록하는 단계.
이 시험은 다음 중 어떤 상태가 발생하면 종료된다: 전지의 표면 온도가 200℃ 이상으로 상승한다; 전지가 폭발한다; 전지에 불이 난다; 과충전 전류가 50mA 이하로 저하된다; 전지의 전압이 특정 전압에 도달하고 표면 온도가 35℃ 이하로 저하된다.
[표 2]
1C, 12V 과충전 1C, 18.5V 과충전
현상 최장 시간 (min) 최고 온도 (℃) 현상 최장 시간 (min) 최고 온도 (℃)
실시예 1 폭발이나 발화 없음 120 158 폭발이나 발화 없음 100 160
실시예 2 폭발이나 발화 없음 150 148 폭발이나 발화 없음 120 139
실시예 3 폭발이나 발화 없음 150 119 폭발이나 발화 없음 150 130
실시예 4 폭발이나 발화 없음 150 118 폭발이나 발화 없음 150 128
실시예 5 폭발이나 발화 없음 150 112 폭발이나 발화 없음 150 127
실시예 6 폭발이나 발화 없음 150 109 폭발이나 발화 없음 150 122
실시예 7 폭발이나 발화 없음 120 154 폭발이나 발화 없음 100 158
실시예 8 폭발이나 발화 없음 150 118 폭발이나 발화 없음 150 128
실시예 9 폭발이나 발화 없음 150 116 폭발이나 발화 없음 150 117
실시예 10 폭발이나 발화 없음 150 132 폭발이나 발화 없음 120 132
비교예 1 폭발 90 329 폭발 98 333
비교예 2 폭발 91 338 폭발 93 340
표 2는 실시예들의 전해질을 구비한 전지들이 비교예들에서 제조된 전해질을 구비한 전지들의 과충전 특성보다 명백히 더 우수한 과충전 특성들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7 내지 10 및 비교예 1 및 2의 리튬 이온 이차전지의 고온특성이 시험된다. 그 결과가 표 3에 나타나 있다. 각 전지의 시험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일정한 전압과 전류에서 1CmA(1C)로 전지를 4.2V까지 충전하는 단계;
개방 전압 및 내부 저항(즉, 최초 전압, 최초 내부 저항 및 최초 두께)을 측정하는 단계;
85℃±2℃의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상기 전지를 저장하는 단계;
85℃에서 저장한 후 상기 전지의 두께를 측정하는 단계;
23℃±7℃의 온도에서 한 시간 동안 상기 전지를 놓아둔 후 개방 전압과 내부 저항을 측정하는 단계;
1CmA로 상기 전지를 3.0V까지 방전시키는 단계;
상기 방전 용량(잔여 용량)을 기록하는 단계;
상기 전지를 최대 충전하는 단계;
최대 충전된 후 5분 동안 상기 전지를 회복시키는(restoring) 단계;
1CmA 전류로 상기 전지를 3.0V까지 방전시키는 단계;
전술한 사이클을 3번 반복하는 단계;
각 사이클의 용량(회복 용량(recovery capacity))을 기록하는 단계;
상기 전지가 3번째 사이클 동안 최대 충전되는 경우에 내부 저항(회복 내부 저항) 및 두께(회복 두께)를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전지의 용량 회복율, 내부 저항 회복율 및 용량 잔여율을 다음의 공식으로 계산하는 단계;
용량 회복율(%) = 3번째 사이클의 회복 용량/최초 용량×100%;
내부 저항 회복율(%) = 회복 내부 저항/최초 내부 저항×100%;
자가 방전율(%) = (최초 용량-잔여 용량)/최초 용량; 및
잔여 용량율(%) = 잔여 용량/최초 용량.
[표 3]
85℃ 고온 저장 특성
저장 내부 저항 증가 (mΩ) 회복 내부 저항 증가 (mΩ) 저장 두께 증가 (mm) 회복 두께 증가 (mm) 자가 방전율 (%) 용량 회복율 (%) 내부 저항 회복율 (%)
실시예 7 15.8 14 1.62 1.06 27.3 80.9 39.5
실시예 8 15.9 15 1.81 0.99 27.0 81.0 37.1
실시예 9 15.5 14 1.91 1.01 27.40 81.9 36.8
실시예 10 15.2 15 1.63 1.06 28.2 79.3 42.5
비교예 1 22.4 26 2.19 1.18 33.3 71.5 69.0
비교예 2 21.9 25 2.22 1.17 31.4 72.5 71.1
표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전해질을 구비한 전지들이 비교예들에서 제조된 전해질을 구비한 전지들보다 85℃에서 명백하게 개선된 고온 저장 특성을 갖는 것을 나타낸다. 개선점들을 증가된 저장 및 회복 내부 저항, 증가된 저장 및 회복 두께 및 자가 방전율, 용량 회복율과 내부 저항 회복율에서의 개선점들을 포함한다.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 및 2의 리튬 이온 이차전지들의 저온 특성이 시험된다. 그 결과가 표 4에 나타나 있다. 각 전지는 다음과 같이 시험된다:
일정한 전류 및 전압에서 1CmA로 전지를 4.2V까지 충전하는 단계;
전압의 최초 용량이 방전 용량이 되는 1CmA로 3.0V까지 방전시키는 단계;
일정한 전류 및 전압에서 1CmA로 상기 전지를 4.2V까지 충전하는 단계;
-10℃의 온도에서 1CmA로 상기 전지를 방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지가 3.1V, 3.0V 및 2.75V까지 방전되는 경우에 용량 및 최총 내부 저항을 기록하는 단계.
표 4에서, 중간 전압 = (전지가 -10℃에서 1.5시간 동안 놓여진 후 개방 전압+방전 최종 전압)/2.
[표 4]
-10℃, 1C 방전
3.1V/최초용량(%) 3.0V/최초용량(%) 2.75V/최초용량(%) 중간 전압 (V) 최종 내부 저항(mΩ)
실시예 1 38.6 40.7 45.2 3.311 52.1
실시예 2 47.9 49.8 53.8 3.317 41.9
실시예 3 43.9 47.7 49.9 3.315 47.5
실시예 4 42.8 47.3 48.5 3.315 49.5
실시예 5 39.9 44.1 46.8 3.313 50.9
실시예 6 39.2 42.3 44.9 3.312 51.9
실시예 7 38.2 41.2 45.6 3.312 52.8
실시예 8 44.2 48.2 50.3 3.316 48.2
비교예 1 33.8 38.2 43.9 3.309 53.1
비교예 2 33.7 37 43.6 3.308 53.5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 및 2의 리튬 이온 이차전지들의 저온특성들이 시험된다. 그 결과들 표 5에 열거되어 있다. 각 전지는 다음과 같이 시험된다:
일정한 전류 및 전압에서 1CmA로 전지를 충전하는 단계;
방전 용량이 최초 용량이 되는 1CmA로 3.0V까지 방전시키는 단계;
일정한 전류 및 전압에서 1CmA로 상기 전지를 4.2V까지 충전하는 단계;
-20℃의 온도에서 1CmA로 상기 전지를 방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지가 3.1V, 3.0V 및 2.75V까지 방전되는 경우에 용량 및 최총 내부 저항을 기록하는 단계.
표 5에서, 중간 전압 = (전지가 -20℃에서 1.5시간 동안 놓여진 후 개방 전압+방전 최종 전압)/2.
[표 5]
-20℃, 1C 방전
3.1V/최초용량(%) 3.0V/최초용량(%) 2.75V/최초용량(%) 중간 전압 (V) 최종 내부 저항(mΩ)
실시예 1 27.6 28.6 40.8 3.103 56.1
실시예 2 32.3 35.7 42.9 3.112 54.6
실시예 3 31.9 36.3 43.6 3.112 54.9
실시예 4 30.7 33.7 41.6 3.108 53.5
실시예 5 28.7 31.6 40.9 3.107 53.9
실시예 6 27.7 29.7 3.65 3.104 56.9
실시예 7 27.9 29.1 41.2 3.104 56.8
실시예 8 32.2 36.8 44.0 3.113 55.6
비교예 1 22.6 28.4 39 3.1 57.7
비교예 2 20 23.7 34.9 3.099 58.7
표 4 및 5는 실시예의 전해질을 구비한 전지가 비교예들에서 제조된 전해질을 구비한 전지들보다 명백하게 개선된 저온특성들을 가짐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해질을 구비한 전지는 -10℃ 및 -20℃의 온도에서 방전되는 경우에 고용량을 갖는다. 또한, 저온에서 방전되는 경우 높은 중간 전압 및 낮은 최종 내부 저항을 갖는다. 또한, 표 3 및 4는 전해질 내에 첨가제의 양이 많아질수록 전지의 과충전 특성들이 더 좋아지나, 저온특성들은 약간 저하되는 것을 나타낸다.
어떤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동안, 본 발명은 그러한 특정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오히려, 본 발명이 이하의 청구항들에 의해 반영된 바와 같이 그 가장 넓은 의미로 이해되고 해석되는 것이 발명자의 주장이다. 따라서, 이러한 청구항들은 여기에 기재된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들과 당분야에서 통상적 기술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모든 다른 추가적인 선택사항들 및 수정사항들을 통합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온 이차전지용 첨가제를 사용하는 전해질을 구비하는 리튬 이온 이차전지는 전지의 과충전 특성이 효과적으로 개선되고, 충전 및 방전시 에 발생되는 기체의 양이 감소되며, 전지의 저온 특성 및 고온 특성이 개선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온 이차전지용 첨가제를 사용하는 전해질은 리튬 이온 이차전지가 사용되는 모든 산업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3)

1,3-프로판술톤, 숙신산 무수물, 에테닐 술포닐 벤젠 및 할로벤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첨가제를 구비하는 전해질.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3-프로판술톤의 중량은 상기 첨가제 중량의 0.5중량% 내지 96.4중량%이며;
상기 숙신산 무수물의 중량은 상기 첨가제 중량의 0.5중량% 내지 96.4중량%이며;
상기 에테닐 술포닐 벤젠의 중량은 상기 첨가제 중량의 0.5중량% 내지 95.2중량%이며;
상기 할로벤젠의 중량은 상기 첨가제 중량의 0.5중량% 내지 95.2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질.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할로벤젠은 플루오로벤젠, 클로로벤젠, 브로모벤젠 또는 이오벤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질.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의 중량은 상기 전해질 중량의 2중량% 내지 2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질.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비페닐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질.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페닐의 중량은 상기 첨가제 중량의 0.5중량% 내지 95.2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질.
제1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시클로헥실벤젠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질.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클로헥실벤젠의 중량은 상기 첨가제 중량의 1.0중량% 내지 93.7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질.
제1항, 제5항, 제6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비닐렌 카보네이트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질.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렌 카보네이트의 중량은 상기 첨가제 중량의 0.5중량% 내지 93.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질.
비페닐;
시클로헥실벤젠;
비닐렌 카보네이트;
1,3-프로판술톤 또는 숙신산 무수물; 및
에테닐 술포닐 벤젠 또는 할로벤젠
을 포함하고 있는 첨가제를 구비하는 전해질.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1,3-프로판술톤의 중량은 상기 전해질 중량의 0.1중량% 내지 8.0중량%이며;
상기 숙신산 무수물의 중량은 상기 전해질 중량의 0.1중량% 내지 8.0중량%이며;
상기 에테닐 술포닐 벤젠은 상기 전해질 중량의 6.0중량% 이하이며;
상기 할로벤젠은 상기 전해질 중량의 6.0중량% 이하이며;
상기 비페닐은 상기 전해질 중량의 0.1중량% 내지 6.0중량%이며;
상기 시클로헥실벤젠은 상기 전해질 중량의 0.1중량% 내지 6.0중량%이며;
상기 비닐렌 카보네이트는 상기 전해질 중량의 0.1중량% 내지 4.0중량%이고;
상기 첨가제의 중량은 상기 전해질 중량의 2중량% 내지 2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질.
비페닐;
시클로헥실벤젠;
비닐렌 카보네이트;
1,3-프로판술톤 또는 숙신산 무수물; 및
에테닐 술포닐 벤젠 또는 할로벤젠을 포함하고 있는 첨가제로서,
상기 1,3-프로판술톤의 중량은 상기 첨가제 중량의 0.5중량% 내지 96.4중량%이며;
상기 숙신산 무수물의 중량은 상기 첨가제 중량의 0.5중량% 내지 96.4중량%이며;
상기 에테닐 술포닐 벤젠의 중량은 상기 첨가제 중량의 0.5중량% 내지 95.2중량%이며;
상기 할로벤젠의 중량은 상기 첨가제 중량의 0.5중량% 내지 95.2중량%이며;
상기 비페닐의 중량은 상기 첨가제 중량의 0.5중량% 내지 95.2중량%이며;
상기 시클로헥실벤젠의 중량은 상기 첨가제 중량의 1.0중량% 내지 93.7중량%이며;
상기 비닐렌 카보네이트의 중량은 상기 첨가제 중량의 0.5중량% 내지 93.0중량%이며;
상기 첨가제의 중량은 상기 전해질 중량의 2중량% 내지 20중량%이고;
상기 할로벤젠은 플루오로벤젠, 클로로벤젠, 브로모벤젠 또는 이오벤젠인 상기 첨가제를 구비하는 전해질.
KR1020077014671A 2004-12-31 2005-12-30 리튬 이온 이차전지용 전해질 KR1009340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4101040322 2004-12-31
CNB2004101040322A CN100438198C (zh) 2004-12-31 2004-12-31 一种混合添加剂以及含该添加剂的电解液和锂离子二次电池
PCT/CN2005/002389 WO2006069544A1 (en) 2004-12-31 2005-12-30 Electrolytes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i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6717A true KR20070086717A (ko) 2007-08-27
KR100934065B1 KR100934065B1 (ko) 2009-12-24

Family

ID=36614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4671A KR100934065B1 (ko) 2004-12-31 2005-12-30 리튬 이온 이차전지용 전해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33661B2 (ko)
EP (1) EP1836746B1 (ko)
JP (1) JP2008527615A (ko)
KR (1) KR100934065B1 (ko)
CN (1) CN100438198C (ko)
DE (1) DE602005016841D1 (ko)
WO (1) WO200606954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763B1 (ko) * 2007-11-23 2013-08-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160009952A (ko) 2014-07-17 2016-01-2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구비하는 리튬 이차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49852C (zh) * 2005-10-18 2009-01-0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混合添加剂及其配制的锂离子二次电池电解液
CN100517855C (zh) * 2005-11-24 2009-07-2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解液、含有该电解液的锂离子电池以及它们的制备方法
JP5229527B2 (ja) * 2006-08-25 2013-07-03 ソニー株式会社 二次電池用電解液および二次電池
CN101202359B (zh) * 2006-12-14 2010-05-19 上海比亚迪有限公司 一种添加剂组合物以及含该添加剂组合物的电解液和锂离子二次电池
JP4544270B2 (ja) * 2007-05-21 2010-09-15 ソニー株式会社 二次電池用電解液および二次電池
EP2330675B1 (en) * 2008-09-11 2018-08-22 NEC Corporation Secondary battery
CN101677141B (zh) * 2008-09-18 2011-10-1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电解液添加剂及含该添加剂的电解液及锂离子电池
CN102027624A (zh) * 2009-03-31 2011-04-2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非水电解质以及使用该非水电解质的非水电解质二次电池
KR20110079707A (ko) * 2009-09-29 2011-07-07 파나소닉 주식회사 비수전해질 및 그것을 이용한 비수전해질 이차전지
US9673450B2 (en) 2011-09-02 2017-06-06 Solvay Sa Lithium ion battery
JP6178316B2 (ja) 2011-09-02 2017-08-09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E.I.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フッ素化電解質組成物
US20140178770A1 (en) * 2012-02-07 2014-06-26 Battelle Memorial Institute Electrolytes for dendrite-free energy storage devices having high coulombic effciency
WO2013166074A1 (en) * 2012-05-01 2013-11-07 Altairnano, Inc. Improved lithium titanate cell
EP2856540A1 (en) 2012-06-01 2015-04-0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ithium- ion battery
WO2013180783A1 (en) 2012-06-01 2013-12-0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luorinated electrolyte compositions
TWI501444B (zh) 2012-12-20 2015-09-21 Ind Tech Res Inst 鋰離子二次電池用的電解液添加劑
JP2016519400A (ja) 2013-04-04 2016-06-30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E.I.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非水性電解質組成物
WO2015004233A1 (en) 2013-07-11 2015-01-15 Basf Se Method for producing a dehydrated liquid organic carbonate mixture
FR3017247A1 (fr) * 2014-02-06 2015-08-07 Renault Electrolytes non aqueux a base de composes sulfones pour batteries au lithium
US9818552B2 (en) * 2015-01-26 2017-11-14 Ioxus, Inc. Additives for reducing ESR gain in electrochemical double layer capacitors
US10573926B1 (en) 2016-03-23 2020-02-25 American Lithium Energy Corporation Hybrid solid-state electrolyte
WO2017173323A1 (en) 2016-04-01 2017-10-05 NOHMs Technologies, Inc. Modified ionic liquids containing phosphorus
WO2017192425A1 (en) * 2016-05-05 2017-11-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olyte solutions for rechargeable batteries
US10454142B2 (en) 2016-05-31 2019-10-22 American Lithium Energy Corporation Enhanced solid state battery cell
CN106785036B (zh) * 2016-12-22 2019-11-26 厦门大学 一种锂空气电池用电解液添加剂
CA3059579A1 (en) 2017-04-10 2018-10-18 HHeLI, LLC Battery with novel components
KR102590509B1 (ko) * 2017-04-10 2023-10-17 에이치헬리, 엘엘씨 고용량 배터리 및 이의 성분
EP3625839B1 (en) 2017-05-17 2024-06-12 Hheli, Llc Battery with acidified cathode and lithium anode
CA3062617C (en) 2017-05-17 2023-09-19 HHeLI, LLC A high capacity battery cell with low active material loading
US10978731B2 (en) 2017-06-21 2021-04-13 HHeLI, LLC Ultra high capacity performance battery cell
KR20190005314A (ko) 2017-07-06 2019-01-16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신규한 수산염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해액
CA3069973A1 (en) 2017-07-17 2019-01-24 NOHMs Technologies, Inc. Phosphorus containing electrolytes
US11165090B2 (en) 2017-09-22 2021-11-02 HHeLI, LLC Construction of ultra high capacity performance battery cells
EP3471191A1 (en) 2017-10-11 2019-04-17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Electrolyte composition including a specific combination of additives, its use as non-aqueous liquid electrolyte in a na-ion battery and na-ion battery including such an electrolyte composition
EP3850384A4 (en) 2018-09-10 2022-10-19 Hheli, LLC METHOD OF USING AN ULTRA HIGH PERFORMANCE BATTERY CELL
CN110890592B (zh) * 2019-11-28 2021-03-26 华中科技大学 一种含芳香类化合物作为稀释剂的锂金属电池电解液
CN115485902A (zh) * 2020-10-29 2022-12-16 株式会社Lg新能源 包含含s-o基环状化合物的电解质的锂硫二次电池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3403A (en) * 1983-05-17 1986-07-29 Kabushiki Kaisha Toshiba Data output circuit for dynamic memory device
JP2697365B2 (ja) * 1991-05-30 1998-01-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3978881B2 (ja) * 1997-08-22 2007-09-19 宇部興産株式会社 非水電解液およ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JPH1197059A (ja) * 1997-09-19 1999-04-09 Fuji Elelctrochem Co Ltd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2963898B1 (ja) 1998-07-31 1999-10-18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系電池用電解液およびこの電解液を用いた二次電池
JP4296620B2 (ja) 1998-11-18 2009-07-15 ソニー株式会社 非水電解液電池
JP3113652B1 (ja) 1999-06-30 2000-12-04 三洋電機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
JP3380501B2 (ja) 1999-10-26 2003-02-24 ジ−エス・メルコテック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TW531924B (en) * 2000-05-26 2003-05-11 Sony Corp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JP4762411B2 (ja) * 2000-06-26 2011-08-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二次電池用非水電解液およびこれを用いた非水電解液二次電池
US20020110735A1 (en) * 2000-12-18 2002-08-15 Farnham William B. Additive for lithium-ion battery
JP4682464B2 (ja) * 2001-07-04 2011-05-11 Tdk株式会社 非水電解液電池
US7097944B2 (en) * 2001-07-12 2006-08-29 Gs Yuasa Corporation Nonaqueous secondary cell
JP2003077478A (ja) 2001-09-06 2003-03-14 Mitsubishi Cable Ind Ltd リチウムイオン2次電池
JP3866191B2 (ja) * 2001-12-11 2007-01-10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非水電解液およびそれを用いた非水電解液電池
JP3914048B2 (ja) * 2001-12-21 2007-05-16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非水二次電池及びこれを用いた携帯機器
JP4036832B2 (ja) * 2002-01-24 2008-01-23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非水二次電池
JP2003243031A (ja) * 2002-02-19 2003-08-29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
WO2003077350A1 (fr) * 2002-03-08 2003-09-18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Electrolyte non aqueux et accumulateur lithium-ions contenant un tel electrolyte
KR100458570B1 (ko) * 2002-03-27 2004-12-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JP4625231B2 (ja) * 2002-04-18 2011-02-02 株式会社Gsユアサ 非水系二次電池
JP4212301B2 (ja) * 2002-05-16 2009-01-21 三菱化学株式会社 非水系電解液二次電池
JP2004006164A (ja) * 2002-06-03 2004-01-08 Hitachi Maxell Ltd 非水二次電池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4055253A (ja) * 2002-07-18 2004-02-19 Hitachi Maxell Ltd 非水二次電池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0467696B1 (ko) * 2002-08-31 2005-01-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해액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KR100515298B1 (ko) * 2003-03-24 2005-09-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비수성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471973B1 (ko) * 2003-04-03 2005-03-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비수성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592248B1 (ko) * 2003-10-24 2006-06-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해액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전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763B1 (ko) * 2007-11-23 2013-08-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160009952A (ko) 2014-07-17 2016-01-2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구비하는 리튬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5016841D1 (de) 2009-11-05
CN100438198C (zh) 2008-11-26
WO2006069544A1 (en) 2006-07-06
EP1836746A1 (en) 2007-09-26
CN1801518A (zh) 2006-07-12
US7833661B2 (en) 2010-11-16
KR100934065B1 (ko) 2009-12-24
EP1836746B1 (en) 2009-09-23
JP2008527615A (ja) 2008-07-24
EP1836746A4 (en) 2008-02-27
US20060147808A1 (en) 200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4065B1 (ko) 리튬 이온 이차전지용 전해질
KR101304079B1 (ko) 비수 전해질 2차 전지, 비수 전해질 및 그 충전 방법
EP2237360B1 (en) Overcharge protection by coupling redox shuttle chemicals with radical polymerization additives
US9601807B2 (en) Electrolyte solution and lithium ion battery using said electrolyte solution
KR20060094477A (ko)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
KR102217574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JPH11195429A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
KR20180041602A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EP4120419A1 (en)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US7422827B2 (en) Nonaqueous electrolyte
EP3046176B1 (en) Non-aqueous electrolyte solution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CN110931861A (zh) 锂离子二次电池用非水电解液
KR101349941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220058026A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JP2001307774A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
EP1716616B1 (en) Non-aqueous electrolyte for battery
KR20220058016A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150123746A (ko) 신규한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비수성 전해액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US20120237837A1 (en) Additives for improving the high temperature performance in non-aqueous rechargeable lithium-ion batteries
US20200076000A1 (en) Non-aqueous electrolyte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KR100693288B1 (ko) 리튬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채용하는 리튬이차전지
WO2022209058A1 (ja) 二次電池
WO2024166499A1 (ja) 二次電池
WO2022255018A1 (ja) 二次電池用電解液および二次電池
KR20090056740A (ko) 리튬 이차 전지용 비수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