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4000A - 건축물 개방구용의 단일 트랙의 스태킹 패널 커버링 - Google Patents

건축물 개방구용의 단일 트랙의 스태킹 패널 커버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4000A
KR20070084000A KR1020077010263A KR20077010263A KR20070084000A KR 20070084000 A KR20070084000 A KR 20070084000A KR 1020077010263 A KR1020077010263 A KR 1020077010263A KR 20077010263 A KR20077010263 A KR 20077010263A KR 20070084000 A KR20070084000 A KR 20070084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panels
covering
cord
single t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0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4944B1 (ko
Inventor
웬델 비. 콜손
제프리 에이. 박
Original Assignee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84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4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4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4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vertical lamellae ; Supporting rai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1/04Curtain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vertical lamellae ; Supporting rails therefor
    • E06B9/362Travellers; Lamellae suspension stems
    • E06B9/364Operating mechanisms therei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23/00Curtains; Draperies
    • A47H23/02Shapes of curtains;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for curtains
    • A47H2023/025Panel type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2201/00Means for connecting curtains
    • A47H2201/01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2201/00Means for connecting curtains
    • A47H2201/02Hook-and-loop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건축물 개방구용의 단일 트랙의 스태킹 패널 커버링은, 창, 또는 도어 등의, 개방구의 위 및 정면에 커버링을 장착하기 위한 문틀을 가진다. 상기 문틀은 단일 트랙을 가진다. 문틀에 매달려 그를 따라 변형 가능한 패널들은 문틀에 대해 작은 각도로 배향된다. 커버링이 개방될 때, 패널들은 문틀의 일 단부에 오버랩되어 쌓여 있는 어레이를 형성한다.

Description

건축물 개방구용의 단일 트랙의 스태킹 패널 커버링{SINGLE―TRACK STACKING PANEL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본 발명은, 도어 및 창 등의, 건축물 개방구에 대해 수직으로 매달린 패널형 커버링들, 특히 마루에서 천장까지 연장하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개방될 때, 개별 패널들이 두 개의 측면들 중 하나에 수직으로 매달린 스택을 형성하고, 폐쇄될 때, 개별 패널들이 그들의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없는, 종류의 커버링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타입의 커버링들의 여러 예들이 관련 미국 특허 기술에 개시되어 있다.
파이프의 미국 특허 제3,260,303호는 구조물이 어느 한쪽 단부에서 개방될 때 하나의 패널을 다른 패널의 뒤로 이동 시에 패널들의 동시적이고 점진적인 슬라이딩 동작을 제공하는 구조적 요소들의 시스템에 의해 상호 연결된 다수의 수직으로 지지된 패널들을 가진 멀티 패널 미닫이 문을 개시하고 있다.
카일렛의 미국 특허 제3,342,245호는 선박의 승강구 등의, 수평 또는 사실상 수평의 개방구들을 폐쇄하는 철회할 수 있는 커버를 나타내고 있다. 이 커버는 개방될 때 커버의 자유단에 하나씩 상하로 쌓여지는 다수의 상호 연결된 패널들을 포 함하고 있다.
포드의 미국 특허 제3,348,603호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며, 측면으로 떨어져 있고, 외측으로 개방되는 다수의 통로들을 가진 기다란 오버헤드 트랙을 포함하는 가동 패널 조립체를 개시하고 있다. 기다란 캐리어들은 상기 통로들로 연장하고 트랙 수단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그 위에 지지된다. 상기 캐리어들은 각각 패널이 장착될 수 있는 장착면을 제공하는 외측으로 연장하는 벽 부분을 갖게 되어, 패널들이 캐리어들 상에서 그와 함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패널들은 통상 장착면의 길이와 동일한 폭을 가지며 바람직한 강도를 갖게 됨으로써 처지거나 또는 접히지 않고 캐리어들 상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패널들 각각은 각각의 캐리어들 상에 지지되므로 이들은 편평하고 주름잡히지 않게 되어 매달린 벽걸이 융단과 유사한 효과를 창조한다. 트랙의 일 단부에서 서로 통과하는 일 방향으로의 캐리어들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정지 수단이 제공되어 캐리어들은 패널들 중의 가장 전방의 것 만이 가시적으로 노출되도록 완전하게 오버랩되어, 정렬된 관계로 배치될 수 있다.
쉰들러의 미국 특허 제3,574,887호는 글라이더용 런닝 슬롯들을 가진 커튼 홀더를 개시하고 있다. 이 홀더는 커튼 및 글라이더의 상부를 숨기기 위한 겉면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겉면 패널은 스냅 조인트 끼워맞춤에 의해 홀더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다. 또한, 상기 겉면 패널은 홀더의 단부들에 부착될 수 있고, 겉면 패널의 단부들을 홀더에 부착 시에 조력하도록 마찰 삽입 수단이 사용된다.
말페라리의 미국 특허 제3,911,991호는 다수의 모듈러 요소 및 두 개의 단부 피스들에 의해 형성되며, 길이방향 하부 슬롯을 가진 길이방향 안내 채널 또는 런웨이가 제공된, 고정 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커튼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커튼은 일부 길이방향 런웨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다수의 박스형의 기다란 부재, 및 특정 길이의 천 또는 다른 가요성 라미나 재료로 형성되어 박스형 부재들 중 하나에 의해 지지되는 다수의 패널들을 가진다. 고정 지지 장치의 단부 피스들은 그의 대향 단부를 원하는 량으로 자유 자재로 수용할 수 있는 한편, 각각의 박스형 부재는 상기 특정 길이의 천의 상부 에지를, 해제 가능한 방식으로, 고정하도록 제1 합성 바에 의해 상기 패널을 지지한다. 유용한 천을 초과하는 길이의 천의 하부는 제2 합성 바의 내측에 감겨 수용되며, 상기 바는 두 개의 인접한 패널들 사이에서 상대 이동하여 오버랩 관계에서 정렬된 관계로 통과한 후에 인접한 두 개의 패널들의 수직 에지들이 원하는 조정량으로 오버랩된 상태에서 안내 패널에 의해 긴 열의 요소들이 당겨질 때 조화롭게 이동되도록 하는 수단을 가진다.
바크메이어의 미국 특허 제4,221,255호는 다수의 트랙들을 수용하여 유지하는 균형 기판을 가진 장식 패널 조립체를 개시하고 있다. 이 트랙들은 패널들을 장식하도록 연결된 로울러들을 수용한다. 상기 패널들 및 균형 기판에는 몰딩으로서 작용하는 에지 클램프들이 제공되거나 또는 그에 장식용 커버링을 고정하도록 사용된다. 제1 조명원이 균형 기판 및 패널들의 전면에 제공되어 그 위에 광을 조사하게 된다. 간접 조명 또는 고스트 현상(ghosting)을 창조하도록 단부 패널들의 뒤에 제2 광원이 수직으로 배치된다. 필요하다면, 스프링 바이어스식 커튼 로드 홀더가 패널들 뒤의 균형 기판 내에 유지될 수 있다.
토토렐라 등의 미국 특허 제5,109,910호는 다수의 크고, 넓고, 고도의 장식성의 패널들을 가진 창, 슬라이딩 글라스 도어 등을 커버링하는 수직 커튼 패널 조립체를 나타낸다. 패널 조립체는 내장된 가동 캐리어들을 가진 다수의 채널들을 갖는 다수의 상호 연결 가능한 프레임 유닛들을 포함하며, 단일의 캐리어에 부착된 단일의 졸라매는 끈을 이용함에 의해, 그로부터 연장하는 장식 패널들을 가진 다수의 캐리어들은, 모든 패널들이 가장 외측의 고정된 패널 뒤에 은폐된 개방 위치, 및 각 패널이 노출되어 지정된 영역을 커버하는, 폐쇄된 창-커버링 위치 사이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은 건축물 개방구용의 단일 트랙의 스태킹 패널 커버링에 관한 것이다. 상기 내용에서 함축되는 바와 같이, 커버링은 단일 트랙 상에 변형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트랙에 매달려 있는 다수의 패널들을 가진다.
더 구체적으로, 단일 트랙의 스태킹 패널 커버링은, 창 또는 도어 등의, 건축물 개방구의 위 및 전방에 상기 커버링을 장착하기 위한 문틀을 포함한다. 상기 문틀은 길이 방향의 제1 및 제2 단부, 및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단일 트랙을 가진다.
상기 단일 트랙 상에 다수의 캐리어들이 배치된다. 상기 캐리어들은 커버링을 개방 및 폐쇄하도록 문틀의 길이 방향으로 변형 가능하다.
상기 문틀 아래에 다수의 패널들이 매달려 있다. 하나의 패널이 캐리어들 각각에 매달려 있고, 각 패널은 문틀의 길이 방향에 대해 고정된 경사 각으로 배향된다.
또한, 패널들 각각을 그에 인접한 패널들에 미끄럼 가능하게 링크하는 수단이 포함되어, 커버링이 개방될 때 상기 패널들은 하나가 다른 패널의 뒤로 미끄럼 이동함에 의해 문틀의 두 개의 단부들 중 하나에 오버랩되어 쌓여 있는 어레이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단일 트랙의 스태킹 패널 커버링은 건축물 개방구 위 및 그 정면에 커버링을 장착하도록 제공된 문틀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문틀은 길이 방향 내측의 제1 및 제2 단부, 및 상기 길이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1 레일 및 제2 레일을 가진 단일 트랙을 갖는다.
상기 단일 트랙의 제1 및 제2 레일들 각각에 다수의 캐리어들이 배치된다. 상기 캐리어들은 상기 커버링을 개방 및 폐쇄하도록 상기 문틀의 제1 및 제2 레일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1 레일 상의 캐리어들은, 제1 캐리어가 제1 레일을 따라 이동될 때, 다음 것을 이동시키고 이어서 다른 것들이 차례로 커버링을 폐쇄하도록, 서로 링크되어 있다.
제1 및 제2 단부를 가진 다수의 행거들은 상기 제1 레일 상의 상기 케리어들을 제2 레일 상의 상기 캐리어들에 연결한다. 상기 행거들의 제1 단부는 상기 제1 레일 상의 상기 캐리어들에 부착되며, 상기 행거들의 제2 단부는 상기 제2 레일 상의 상기 캐리어들에 부착되어, 두 개의 레일들 상의 캐리어들을 함께 링크한다.
다수의 패널들은 상기 다수의 행거들로부터 상기 문틀 아래에 매달려 있고, 하나의 패널은 상기 각 행거에 매달려 있다. 상기 패널들 각각은 문틀의 길이 방향에 대해 고정된 경사각으로 배향된다. 상기 패널들은 폭, 하부 및 상부를 가진다.
상기 문틀의 제1 및 제2 단부 각각에 코드 안내 부재가 배치된다. 각각의 코드 안내 부재는 상기 문틀의 내측과 소통하는 제1 구멍 및 제2 구멍을 가진다.
상기 제1 레일 상의 캐리어들 중 하나에 부착된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가지는 코드가 커버링을 개방 및 폐쇄하도록 이용된다. 상기 코드는 상기 문틀 내의 상기 캐리어의 제1 단부에서 상기 문틀의 제1 단부의 상기 코드 안내 부재의 제1 구멍을 통해 바깥쪽으로 연장한 후에; 상기 문틀의 제1 단부의 상기 코드 안내 부재의 제2 구멍을 통해 상기 문틀로 진입하여 상기 문틀을 통과하여 연장하고 상기 문틀의 제2 단부의 상기 코드 안내 부재의 제1 구멍을 통해 바깥쪽으로 배출된 후에; 상기 문틀의 제2 단부의 상기 코드 안내 부재의 제2 구멍을 통해 상기 문틀로 재진입하여 상기 캐리어의 제2 단부로 연장한다. 상기 코드는 상기 문틀의 제1 및 제2 단부들 중 하나에 루프를 형성한다. 루프의 일측, 또는 다른 측을 당김에 의해, 캐리어는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일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당겨져서, 커버링을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단일 트랙의 제1 및 제2 레일들 각각에 다수의 캐리어들이 배치된다. 상기 캐리어들은 상기 커버링을 개방 및 폐쇄하도록 상기 문틀의 제1 및 제2 레일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다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1 레일 상의 캐리어들의 일부는 제1 그룹의 캐리어를 형성하도록 서로 링크되고 상기 제1 레일 상의 캐리어들의 나머지는 제2 그룹의 캐리어를 형성하도록 서로 링크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1 레일의 제1 그룹의 캐리어들 중 하나에 부착된 제1 및 제2 단부를 가진 코드는 상기 커버링을 개방 및 폐쇄하도록 이용된다. 상기 코드는 상기 문틀 내의 상기 캐리어의 제1 단부에서 상기 문틀의 제1 단부의 상기 코드 안내 부재의 제1 구멍을 통해 바깥쪽으로 연장한 후에; 상기 문틀의 제1 단부의 상기 코드 안내 부재의 제2 구멍을 통해 상기 문틀로 진입하여 상기 문틀을 통해 상기 제2 단부를 향해 연장하고, 상기 코드는 상기 제1 레일의 제2 그룹의 캐리어들에 행거에 의해 연결된 상기 제2 레일의 캐리어에 부착되며, 계속해서 상기 문틀을 통과하여 상기 문틀의 제2 단부의 상기 코드 안내 부재의 제1 구멍을 통해 바깥쪽으로 연장한 후에; 상기 문틀의 제2 단부의 상기 코드 안내 부재의 제2 구멍을 통해문틀로 재진입하여 상기 제1 그룹의 캐리어에서 상기 제2 단부로 연장한다. 이 방식으로, "중앙 인출" 커버링을 제공하도록 이동될 때 상기 코드는 두 개의 그룹들의 캐리어들을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제 본 발명은 이하의 도면들을 빈번하게 참조하여 더욱 완전하고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단일 트랙의 스태킹 패널 커버링의 폐쇄될 때의 평면도,
도2는 완전 개방될 때의 커버링의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버링의 문틀의 단부도,
도4는 커버링이 개방될 때 문틀 아래에서 취해진 개략적인 저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버링의 문틀의 단부도,
도6은 완전 개방될 때의 제2 실시예의 커버링의 패널들 사이의 공간적 관계를 위쪽에서 본 개략적인 평면도,
도7은 완전 폐쇄될 때의 제2 실시예의 커버링의 패널들 사이의 공간적 관계를 위쪽에서 본 개략적인 평면도,
도8은 개방될 때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커버링을 위쪽에서 본 개략적인 평면도,
도9는 완전 폐쇄될 때의 제3 실시예의 커버링을 위쪽에서 본 개략적인 평면도,
도10은 인접한 패널들을 함께 링크하기 위한 제1 수단을 나타내는 커버링의 두 개의 인접한 패널들의 후방측의 부분적인 사시도,
도11은 도10에 도시된 링크 수단의 변형을 나타낸 부분적인 사시도,
도12는 인접한 패널들을 함께 링크하기 위한 제2 수단을 나타내는 커버링의 두 개의 인접한 패널들의 후방측의 부분적인 사시도,
도13은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취해진 단면도,
도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정면도,
도15는 도14의 좌측 단부에서 취해진 정면도,
도16은 도15의 단부 캡의 제거 후의 정면도,
도17은 루프를 형성하도록 코드가 당겨진 후의 도16의 도면,
도18은 단부 캡이 대체된 도17의 도면,
도19는 좌측에 코드의 루프를 가진 제4 실시예의 정면도,
도20은 제4 실시예의 평면도,
도21은 완전 개방될 때의 제4 실시예의 정면도,
도22는 제4 실시예의 문틀의 단면도,
도23은 도22의 반대 방향에서 취해진 문틀의 단면도,
도24a는 제4 실시예의 패널들의 캐리어의 측면도,
도24b는 캐리어의 일 단부의 도면,
도24c는 캐리어의 타 단부의 도면,
도24d는 캐리어의 저면도,
도25는 제4 실시예의 패널들의 행거의 평면도,
도26은 문틀의 일 단부의 뒤에서 나타낸 문틀의 절개도,
도27은 패널들을 함께 링크하는 스트랩의 평면도,
도28은 두 개의 패널들이 오버랩된 지점의 뒤에서 문틀을 나타낸 절개도,
도29는 가장 우측 패널의 뒤에서 문틀을 나타낸 절개도,
도30은 패널이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하부 레일의 단면도,
도31은 하나의 하부 레일의 다음 레일로의 연결을 나타낸 평면도,
도32는 결합 부재의 단부의 평면도,
도33은 링크 부재의 측면도,
도34는 단부 캡의 평면도,
도3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정면도,
도36은 완전 개방될 때의 제5 실시예의 정면도,
도37은 단부 캡이 제거된 상태의 문틀의 좌측 단부에서 취해진 제5 실시예의 정면도,
도38은 제5 실시예의 문틀의 좌측 단부의 확대 평면도,
도39는 제5 실시예의 문틀의 단면도,
도40a는 제5 실시예의 패널들의 캐리어의 측면도,
도40b는 도40a에 도시된 캐리어의 반대측의 측면도,
도40c는 도40a에 도시된 캐리어의 저면도,
도40d는 도40a의 캐리어의 평면도,
도40e는 도40a에 도시된 캐리어의 좌측면도,
도40f는 도40a에 도시된 캐리어의 우측면도,
도41은 제5 실시예의 패널들의 행거의 평면도,
도42는 제5 실시예의 패널들을 링크하는 스트랩의 평면도,
도43은 도36에 나타낸 나타낸 바와 같이 취해진 단면도,
도44는 도36에 나타낸 나타낸 바와 같이 취해진 다른 단면도,
도45는 제5 실시예에 사용된 코드 고정 부재의 측면도,
도46은 캐리어의 자석 홀더의 평면도,
도47은 자석 홀더가 부착된 캐리어의 평면도,
도48은 스페이서의 측면도,
도49는 제5 실시예의 하부 레일 및 패널의 단면도,
도50은 하부 레일 및 단부 캡의 후면의 확대도,
도51은 고정 부재의 정면도, 및
도52는 단부 캡이 부착된 하부 레일의 후면의 도면이다.
이제 더욱 구체적으로 도면들을 참조하면, 도1 및 2는 본 발명의 커버링(10)의 폐쇄 및 개방시의 각각의 평면도이다. 상기 커버링(10)은 창, 미닫이 문 또는 다른 건축용 개방구의 상부에 걸쳐 장착되는 문틀(12)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링(10)은 상기 개방구의 상부에서 그의 하부로 아래로, 또는 상기 개방구의 특성에 의해 지정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마루 위의 편한 간격까지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커버링(10)은, 후술되는 수단에 의해 문틀(12) 아래에 매달려 걸려있는, 다수의 개별 패널들(14)을 포함한다. 이 패널들(14) 자체는 창 커튼 및 블라인드 제조 시에 사용되는 임의의 재료 및 스타일의 부직포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패널들은, 어느 정도 다공성인 알루미늄 시트, 또는 역시 다공성인 플라스틱 시트 등의 금속 시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플라스틱 시트의 경우에, 그의 모든 색상 및 투명도가 패널(14)용 플라스틱 시트를 제공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도1 및 2에서, 상기 커버링(10)은 6개의 패널들(14)을 포함한다. 더 많은 수의 좁은 패널들(14), 또는 더 적은 수의 넓은 패널들(14)이, 본 발명에 따른 커버링(10)을 제조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각 패널(14)의 하부에 그의 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바(16)가 있다. 상기 바들(16)은, 그들의 중량 및 강도에 의해, 패널(14)을 팽팽하게 유지하며, 특히 직물 로 제조된 경우, 상기 커버링이 개폐될 때 덜 흔들리도록, 패널들을 수직으로 매달아서 적절한 정렬을 유지하도록 도움을 준다. 또한, 인접한 패널들(14)의 바들(16)은 후술될 수단에 의해 함께 링크되어, 각 패널(14)이 개별적으로 흔들려서 그의 주변 것들과 꼬임을 방지하며, 상기 커버링(10)이 완전 개방 및 완전 폐쇄될 때, 패널들(14) 중에 평행한 관계를 유지하여 상기 커버링(10)에 대해 전체적으로 양호한 외관을 제공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후술될, 구성 요소의 외측에 막대(18)가 부착되어, 커버링(10)의 가장 우측 또는 좌측에 패널(14)이 매달려 있는 것으로부터, 상기 커버링(10)을 개페할 수 있도록 이용된다. 도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링(10)은 막대(18)를 우측으로 당겨서 개방한다. 그와 같이 함으로써 각 패널(14) 및 바(16)는 도면에서 그의 우측의 것의 뒤로 미끄럼 이동하게 된다. 완전 개방될 때, 패널들(14)은, 스택 간격이라 하는, 고정된 량에 의해 스택 내에서 그의 앞쪽의 것의 아래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각 패널(14)이 오버랩되어 쌓여있게 된다. 상기 간격은 1.0인치 내지 2.0인치로 하거나 또는 필요한 경우, 일부 다르게 선택된 량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커버링은 막대(18)를 도2에서 좌측으로 도1에 도시된 위치로 당김에 의해 완전 폐쇄되며, 각 패널(14)은 그의 좌측의 것에, 아마도 1.0인치의, 작은 량으로 겹쳐지며, 이로써 상기 커버링(10)이 배치되어 있는, 건축물의 개방부는 커버링(10)의 전면에서 직접 볼 때 완전 차폐된다.
도1 및 2에서, 상기 커버링(10)은 가장 좌측의 막대(18)를 이용하여 개폐된다. 가장 우측의 패널(14)은 고정 위치이며, 상기 커버링이 개방될 때 나머지 패널 들(14)이 부분적으로 뒤로 미끌어지며 상기 커버링(10)이 폐쇄될 때는 뒤로부터 미끄럼 이동한다. 이와 다르게, 가장 좌측의 패널(14)이 가장 우측 패널 대신 고정되고 가장 우측 패널(14)의 가장 우측에서 막대(18)를 이용하여 상기 커버링(10)이 개폐될 수 있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 내임을 이해하기 바란다. 이 다른 예에서, 커버링이 개방되고 있을 때 각 패널(14)이 그의 좌측의 것 위로 부분적으로 미끄럼 이동됨에 따라 개방된 커버링(10)은 도2의 좌측에 배치된 오버랩되어 쌓여 있는 패널들(14)을 갖게 된다.
이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참조하면, 도3은 도1의 좌측에서 취해진 커버링(10)의 문틀(12)의 단부도이다. 문틀(12)은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으로 일체로 압출되며, 통상 두 개의 레일들(22)을 가진, 트랙(20)을 형성하는 반전된 U자형으로 되어 있다. 면(24)은 도1 및 2에서 관찰자를 향해 배향된다. 또한, 트랙(20)에 채널들(26)이 제공된다.
도1의 좌측 단부에 레일들(22) 상에 장착된 각 패널(14)의 캐리어(28)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캐리어(28)는 후방 홀더(30), 전방 홀더(32) 및 두 개의 홀더(30,32)를 결합시키는 연결 바(34)를 포함한다. 도3에서, 후방 홀더(30)는 전방 홀더(32)보다 관찰자에게서 어느 정도 멀어져 있다. 각 홀더(30,32)는 그의 각각의 레일(22) 상에서 연장할 수 있는 휠(36)을 가진다. 연결 바(34)는 그의 길이방향에 대해 약간의 각을 이루어 채널(20)에 대각선으로 배향된다.
또한, 홀더들(30,32)은 벨크로® 파스너로 통상 알려져 있는 종류의 후크 앤드 루프 파스너의 두 개의 부분들 중 하나로 된, 파스너 절반부들(38)을 포함한다. 각 파스너의 다른 절반부들은 패널들(14)의 반대쪽의 상부 코너들에 부착되어, 각각 홀더들(30,32)로부터 캐리어(28)에 장착될 수 있다. 그 결과로, 연결 바(34)에 의한 것보다 그의 길이방향에 대해 어느 정도 작은 각도이지만, 상기 패널들(14)은 채널(20)에 대각선으로 배향된다.
문틀(12)에 다수의 홀더들(28), 즉 패널(14)당 하나가 배치될 수 있음을 이해하기 바란다. 그러나, 도3에 나타낸 도면에서, 하나의 홀더(28)만이 도시되어 있고, 다른 것들은 숨겨져 있다. 그러나, 각 홀더(28)는 스트랩(40)에 의해 다음 것에 미끄럼 가능하게 링크되며, 그중 하나가 채널들(26) 중 하나에서 보여질 수 있다. 스트랩(40)은 도3의 관찰자에게서 먼, 구멍(42)과 동일한, 후방 홀더(30) 측의 구멍을 통과한다. 스트랩(40)은 구멍(42)에 의해 걸려서 당겨지지 않는 후크(44)에서 종결한다. 각 홀더(28)는 이러한 방식으로 다음 것에 링크된다. 그 결과, 가장 끝 홀더(28)는 막대(18)를 이용하여 커버링(10)을 폐쇄하도록 홀더들(28) 모두 및 문틀(12)에 가로질러 있는 패널들(14) 중 거의 마지막 것을 연속으로 당길 수 있게 된다.
문틀(12)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있는 두 개의 파스너 절반부들(38)을 분리하는 갭 "G"이 있음을 주목하기 바란다. 도3에 도시 안된 패널들(14) 및 그들의 파스너 절반부들도 일부 두께를 가지며, 각 패널(14) 및 그의 인접한 패널 사이의 오버랩의 간격은 갭 "G"보다 어느 정도 작지만, 패널들(14)의 부착점들이 항상 채널(28)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떨어져 있는 고정된 거리에 있기 때문에 이 실시예에서 일정하다.
도4는 커버링(10)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될 때의 문틀(12)의 일부의 개략적인 저면도이다. 가장 왼쪽 홀더(32) 위에 있는, 막대(18)는 명료화를 위해 생략하였다. 파스너 절반부들(38,46)을 가진 홀더(32)에 패널(14)이 부착된다. 물론, 파스너 절반부(46)는 패널(14)에 부착되며 그 수단에 의해 패널들이 홀더들(30,32)에 장착 또는 매달려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파스너 절반부들(38,46)은 벨크로® 파스너로 통상 알려져 있는 후크 앤드 루프 파스너의 상호 고정 부분들로 될 수 있다.
홀더들(32)은 모두, 스택 간격 "X"로 될 수 있는, 공통의 폭을 가지며, 커버링(10)이 개방되어 패널들(14)이 오버랩된 스택을 형성할 때 하나의 패널(14)이 다른 패널 넘어로 연장하는 량이다. 도4에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에서, 도시 안된 홀더들(30)의 면들은 물론이고 홀더들(32)의 면들(48)은 문틀(12)의 길이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경사져 있다. 이 경사의 목적은 커버링(10)이 패널에 대해 구속되지 않고 개방될 때 하나의 패널(14)이 그에 대해 다음 패널의 뒤로 또는 앞으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패널들(14) 및 파스너 절반부들(38,46)은 함께 소정 두께 "T"를 갖는 것을 이해하기 바란다. 이로써, 커버링(10)이 개방될 때 패널들(14)을 구속하지 않고 퇴적하기 위해, 각도 θ는 그의 사인이 T/X로 된다. 이와 다르게,
θ = arcsin T/X로 된다.
따라서, 스택 간격이 1.0인치이고 패널들(14) 및 파스너 절반부들(38,46)이 0.025인치의 결합된 두께를 가진다면, sinθ는 0.025로 되고 θ는 1.4°로 된다. 물론, 다른 스택 간격 및 두께에 대해서, 각 θ는 상기한 관계에 따라 변화할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 전환하면, 도5는 도1의 우측에서 취해진 문틀(50)의 단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50)은 압출된 알루미늄 부재들로 조립될 수 있지만, 이와 다르게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으로 일체로 압출될 수 있다.
문틀(50)은 상부 레일(52) 및 하부 레일(54)을 포함하며, 그 둘다는 위 아래로 있는 채널들이며, 상부 레일(52)은 상향으로 되고 하부 레일(54)은 하향으로 되어 있다. 상부 레일(52)은 팬터그래프(pantograph)(56)를 수용하며 그의 중앙의 링크들은 각각 상부 레일(52) 내의 휠(58)을 유지하는 플랜지들을 가진 휠(58)을 갖는다. 문틀(50) 내에서, 팬터그래프(56)의 내측 링크들은 수평 부재(62)의 내측면에 접촉함에 의해 팬터그래프(56) 레벨을 유지시키는 슬라이더들(60)을 포함한다. 외측 링크(64) 등의 선택된 외측 링크들은 수평 와이어(66)에 의해 하부 레일(54)에 배치된 휠(68)에 연결된다. 휠(68)은 그 휠을 하부 레일(54) 내에 유지시키는 플랜지를 가진다. 휠(68)은 외측 링크(64)보다 도5의 관찰자에서 더 멀리 있다. 그 결과 와이어(66)는 외측 링크(64)에서 휠(68)로 관찰자로부터 대각선으로 배향된다.
제2 실시예에서는 패널들(14)을 걸거나 또는 매달도록 와이어들(66)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패널들(14)은 와이어들(66)에 접혀져 그 둘레에 보유된다. 이와 다르게, 패널들(14)은, 하나의 중앙 지점, 두 개의 코너 지점들, 또는 당업자에게서 적용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배열로 와이어들(66)에 부착될 수 있다. 어떤 경우 에도, 패널들(14)의 중량은 도5에 나타낸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팬터그래프(56)를 회전시키려는 경향이 있음으로써, 팬터그래프(56)를 수평 조건으로 유지하도록 슬라이더들(60)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선택된 외측 링크들(64)은 그로부터 하부 레일(54) 내로 연장되는 휠(68)로 연장된 와이어들(66)을 가진다. 이러한 외측 링크들(64)의 수는 패널들(14)의 수 및 폭에 따라 정해진다. 예컨대, 모두 5개의 외측 링크(64)에 상기한 하나의 와이어(66)가 제공되어, 커버링(10)이 완전 개방되어 팬터그래프(56)가 접어질 때, 패널들(14)이 스택 간격 1.0인치로 오버랩되어 쌓이고, 이로써 커버링(10)이 완전 폐쇄되어 팬터그래프(56)가 연장될 때, 패널들(14)이 단지 조금씩만 서로 오버랩되어 커버링(10)이, 설치되기 전에, 개방구를 완전 차폐하게 될 것이다. 막대(18)는 가장 끝 패널(14)에 인접한 팬터그래프(56)의 외측 링크(64)에 매달려 있다.
당업자들이라면, 팬터그래프(56)가 완전 접어질 때, 커버링(10)은 완전 개방되고, 패널들(14)은 문틀(50)의 일 단부에 오버랩되어 쌓이고 문틀(50)의 길이방향에 대해 약간의 각도로 서로 평행하게 배향됨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커버링(10)이 폐쇄되면, 가장 왼쪽 또는 가장 오른쪽 끝을 제외한 패널들(14)이 점차 이동되어 문틀(50)에 걸쳐 일치되며, 팬터그래프(56)가 완전 연장되면 길이 방향에 대해 점점 더 작은 각도를 갖게 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폐쇄된 커버링을 측면으로부터 볼 때의 갭들이 제2 실시예에서는 더욱 작아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링(10)의 가장 왼쪽 또는 가장 오른쪽 끝의 패 널(14)은 커버링이 개방 또는 폐쇄되어 있을 때 상대적으로 정지되어 유지된다. 그 이유는 패널이 팬터그래프(56)의 최초의 외측 끝에만 부착되어 있고, 그 끝 부분은 문틀(50)에 고정된 그의 제1 중앙 링크에 인접해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팬터그래프(56)의 이동은 문틀(50)의 길이방향에 대한 패널(14)의 각도를 거의 변화시키지 않게 된다.
다음, 팬터그래프(56)의 연장 또는 접힘, 및 패널들(14)이 매달려 있는 와이어들(66)이 부착되는 방식에서 기인하여 커버링(10)이 개방 또는 폐쇄될 때 패널들(14)에 의해 문틀(50)의 길이방향에 대한 각 방위에 약간의 변화가 있게 됨을 이해하기 바란다. 또한, 상기 패널들(14)은 와이어들(66)에 대한 회전을 허용하지 않는 방식으로 그들 각각의 와이어들(66)에 고정 부착됨도 이해하기 바란다. 즉, 개별 패널들(14)은, 커버링이 완전 폐쇄될 때 등과 같이, 커버링(10)이 고정될 때, 그들의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없고, 커버링(10)이 개방 및 폐쇄 조건, 또는 그 반대, 사이에서 이동될 때 단지 약간만 회전된다.
패널(14)에 의한 약간의 각 변화를 도6 및 7에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6은 제2 실시예의 커버링(10)이 완전 개방된 조건일 때 패널들(14) 사이의 상대적인 공간적 관계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패널들(14)은 도면의 좌측에 오버랩되어 쌓여있고, 스택 간격 "X"가 나타나 있다. 패널들(14)의 후방 코너들(70)은, 상기한 방식으로, 도6 및 7에 도시되지 않은, 팬터그래프(56)의 선택된 외측 링크들에 연결되는 한편, 가장 좌측 패널(14)의 후방 코너(72)는, 팬터그래프(56)가 문틀(50)에 고정되어 그로부터 연장 및 접어지는, 중앙의 링크에 인접한 팬터그래 프(56)의 최종 링크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커버링(10)이 개방 및 폐쇄될 때 가장 좌측 패널(14)이 최소로 이동되며, 그 동작은 주로 문틀(50)에 대한 각도 배향의 변화로 된다. 패널들(14)의 전방 코너들(74)은 모두, 상기한 방식으로, 하부 레일(54)에 배치된 휠들(68)에 연결되어, 팬터그래프(56)가 연장 또는 접혀질 때, 패널들(14)의 전방 코너들(74)이 문틀(50)의 하부 레일(54)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고, 팬터그래프(56)가 연장 또는 접혀질 때 가장 좌측 패널의 최종의 외측 링크가 문틀(50)의 방향으로 최소한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가장 좌측 패널(14)이 최소한으로 그와 같이 이동한다.
도7은 제2 실시예의 커버링(10)이 완전 폐쇄된 조건일 때 패널들(14) 사이의 상대적인 공간적 관계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시 안된 팬터그래프(56)가 완전 연장되기 때문에, 패널들(14)은 문틀(50)의 길이 방향에 더 근접하게 기울어지고 측면에서 볼 때, 상기한 제1 실시예의 고정된 갭 특성에 비해, 훨씬 더 작은 갭 G로 분리된다. 도7에서 가장 좌측 패널(14)은 도6에서와 거의 동일한 위치에 있으며, 차이는 다른 패널들(14)의 각도 배향과 매치하는 각도 배향의 변화 뿐이다.
도8 및 9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패널들(14)은 스프링-바이어스식 커플링들 상의 단일 지점에서 문틀에 매달려 있다. 먼저 도8을 참조하면, 스프링-바이어스식 커플링들(78)은 평면도에서 문틀(80)에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된다. 패널들(14)은 스프링-바이어스식 커플링들(78)에서 문틀(80) 아래에 매달려 있으며, 수직으로 매달린 블라인드의 슬롯들에 대해서 당업자들에 의해 사용되는 임의의 수단에 의해 문틀(80)에 걸쳐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스프링-바이어스식 커플링들(78)은 도9에 평면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들(14)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커버링(82)이 스프링-바이어스식 커플링들(78)을 도9의 우측으로 당김에 의해 폐쇄되면, 패널들(14)이 우측으로 이동될 때 그렇게 하도록 공간이 주어지는 경우 도시된 방향으로 회전한다. 커버링(82)이 완전 폐쇄될 때, 하나의 패널이 다음 것과 약간 겹치게 됨에 따라, 패널들(14)이 정면에 배치된 하나를 중심으로 건축 개방구를 완전하게 차폐하게 된다. 또한, 패널들(14)이 결국 서로 근접하게 되면 비스듬하게 서 있는 관찰자에게도 거의 갭이 제공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각 패널(14)의 하부에 패널의 폭으로 연장하는 바(16)가 제공된다. 패널들(14)을 팽팽하게 유지함에 더하여, 그들의 중량 및 강도 때문에, 상기 바들(16)은 커버링(10)이 개방 및 폐쇄될 때 패널들이 서로 뒤얽힘을 억제한다. 또한, 상기 바들(16)은, 커버링이 양호한 외관을 제공하도록 완전 개방 및 완전 폐쇄될 때 패널들(14)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서로에 대해, 링크된다.
패널들(14)을 함께 링크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가지의 방법들이 있고, 다른 것들도 당업자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10은 두 개의 인접한 패널들(14)의 후방 측의 부분적인 사시도이고, 상기 후방 측은 커버링(10)이 배치되기 전에 건축물 개방구로 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바(16)의 후방 측 상에 두 개의 지점들(86,88) 사이의 표면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와이어(84)가 제공되며, 상기 지점들은 각각 바(16)의 단부에서 짧은 거리에 있다. 인접한 패널(14)의 바(16)의 전방 측 상에, 안내 루프(90)가 있고 그 루프를 통해 와이어(84)가 통과한다. 와이어(84) 및 안내 루프(90)는 두개의 패널들(14)을 함께 링크한다. 또한, 커버링(10)이 완전 개방될 때, 안내 루프(90)는 지점(86)에서 와이어(84)에 접하며, 지점(86)은 패널(14)의 에지에서 스택 간격 X와 동일한 량으로 떨어져 있다. 이 접점은 커버링(10)이 완전 개방될 때 패널들(14)을 서로 평행하게 매달려 있도록 유지시킨다. 유사하게, 커버링(10)이 완전 폐쇄될 때, 안내 루프(90)는 지점(88)에서 와이어(84)에 접하며, 지점(88)은 패널들(14)이 완전 폐쇄될 때 겹치는 간격과 동일한 량으로 패널(14)의 에지에서 떨어져 있다. 상기 접점은 커버링(10)이 완전 폐쇄될 때 패널들(14)을 서로 평행하게 매달려 있도록 유지시킨다.
도11은 도10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으로 두 개의 패널들(14)의 후방 측의 부분적인 사시도이다. 바(16)는 그의 후방 측 상의 지점(94)에서 종결하는 와이어(92)를 가진다. 안내 루프(96)는 바(16)의 단부에 부착되며, 정지부(100)에서 와이어(92)에 결합되는 연장부(98)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패널들(14)을 미적으로 양호하게 평행한 관계로 유지시키도록 커버링(10)이 완전 개방될 때 안내 루프(96)는 정지부(100)와 접하게 된다. 유사하게, 패널들(14)을 그 조건에서 서로 평행하게 매달려 있도록 유지하기 위해 커버링(10)이 완전 폐쇄될 때 안내 루프(96)는 지점(94)에서 와이어(92)의 단부와 접하게 된다.
도12 및 도12에 나타내진 것에 대한 단면도인 도13은 패널들(14)을 함께 링크하기 위한 다른 접근을 나타내고 있다. 도12는 두 개의 인접한 패널들(14)의 후방 측의 부분적인 사시도이며, 상기 후방 측은 커버링(10)이 배치되기 전에 건축물 개방구를 향하고 있게 된다. 도12의 가장 우측 패널(14)은 커버링이 개방 또는 폐쇄될 때 고정되어 유지되는 단부 패널이다. 가장 우측 패널(14)의 바(16)의 가장 외측 단부가 정지부(102)이고, 각 패널(14) 상의 바(16)의 대향하는 단부가 정지부(104)이다. 최종으로, 가장 우측 패널(14)을 제외한, 각 패널(14)의 바(16)는 채널(106)을 가지며, 그중 하나가 도12에 가상선으로 그리고 도13에 단면으로 도시된다. 채널들(106)은 정지부들(104)에서 바들(16)의 대향하는 단부들에 배치된다.
정지부들(102,104) 및 채널들(106)은 다음 방식으로 작용한다. 먼저, 도13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106)은 상부에서 개방되어 그로부터 바(16)가 용이하게 제거됨으로써 패널들(14)을 서로 분리하게 된다. 둘째로, 커버링이 완전 폐쇄될 때, 정지부(104)는 컷-아웃 지점(108)의 인접한 패널(14)의 바(16)의 채널(106)에 접하여 커버링이 완전 폐쇄될 때 패널들(14)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한다. 최종으로, 커버링이 완전 개방될 때, 각 바(16)의 채널(106)이 서로에 대해 그리고 정지부(102)에 접하게 되어 오버랩되어 쌓여 있는 패널들(14)이 채널(106)의 길이방향 길이와 동일한 스택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여 커버링이 완전 개방될 때 아름다운 외관을 제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가 도14 내지 도34에 도시된다. 도14는 건축물 개방구의 커버링(110)의 정면도이다.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링(10)은 건축물 개방구의 상부에 장착 또는 매달려 있도록 된, 문틀(112)을 포함한다. 도14에 도시된 건축물 개방구는 마루에서 천장까지의 높이의 창 또는 미닫이 문이다. 그러나, 이는 그 타입의 건축물 개방구에 사용되는 커버링들(110)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 이 아니고, 본 발명은 모든 높이들 및 폭들의 창들 및 도어들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함을 이해하기 바란다.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링(110)은 문틀(112)에 매달린 다수의 개별 패널들(114)을 포함한다. 커버링(110)이 개방될 때, 패널들(114)은 건축물 개방구의 좌측에 스택 어레이를 형성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이것 만으로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며, 이와 다르게, 커버링(110)이 개방될 때, 상기 커버링(10)이 건축물 개방구의 우측에 스택 어레이를 형성하도록 될 수도 있다.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 패널들(114)은 문틀(112)의 길이 방향에 대해 고정된 비스듬한 각도로 배향된다.
문틀(112)의 각 단부에, 그의 구조 및 작용은 상세하게 후술되는, 코드 안내 부재(116) 및 단부 캡(118)이 제공된다. 도14의 문틀(112)의 우측 단부의 상기 코드 안내 부재(116) 및 단부 캡(118) 사이에, 커버링(110)을 개방 및 폐쇄하도록 사용되는, 코드(120)의 루프(140)가 달려 있다.
도15는 도14의 좌측에서의 커버링(110)의 정면도이다. 단부 캡(118)은 코드 안내 부재(116)를 커버하며; 도14의 가장 좌측 패널(114)의 일부가 아래로 매달린 채 도시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문틀(112)의 길이 방향에 대해 비스듬한 각도로 배향됨으로써, 도14에 도시된 패널(114)의 측면은 가파른 각도에서도 볼 수 있게 된다. 도15의 단부 캡(118)이 제거될 때,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 안내 부재(116)가 나타난다.
도16의 정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 안내 부재(116)는 두 개의 구멍들(122)을 가지며 그 내측에, 후술되는 바와 같이, 문틀(112)에 코드 안내 부 재(116)를 부착하도록 사용되는 나사들(124)이 배치된다. 코드 안내 부재(116)에 다른 구멍(126)이 제공되어, 그 내부에 나사(128) 등이 배치되어 도14의 가장 좌측 패널(114)을 문틀(112)의 좌측 단부에서 이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 결과, 커버링(110)이 개방될 때, 패널들(114)이 문틀(112)의 좌측 단부에 스택 어레이를 형성하게 된다.
도16의 코드(120)는, 도16에는 도시되지 않고, 코드 안내 부재(116)에 의해 숨겨졌지만, 문틀(112) 내에서 구멍(130)을 통해 외측으로 통과하여 구멍(132)을 통해 재진입한다. 구멍들(130,132) 사이에 로울러(134), 또는 이와 다르게 풀리가 배치될 수 있다.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로울러(134)는, 도14의 우측의 코드(120)의 루프(140)가 커버링(110)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조작될 때, 코드(120)를 구멍(130) 외측으로 그리고 구멍(132) 내측으로, 또는 그 반대로,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코드 안내 부재(116)는, 각각 구멍들(130,132) 아래에 배치된, 로울러들(136,138), 또는 이와 다르게 풀리들을 가진다. 로울러들(136,138)의 목적은 아래의 도17에서 명확하게 설명된다.
도16의 로울러(134) 주위에 고리로 묶인, 코드(120)는 로울러(134)에서 파지되어 도17에 도시된 루프(140)를 형성하도록 구멍들(130,132)을 통해 당겨질 수 있다. 이로써, 커버링(110)의 우측의 도14에 원래 나타나 있던, 루프(140)는 결국 커버링(110)에 도19에 나타내진 외관을 제공한다. 이 상황에서, 로울러들(136,138)은,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링(110)을 좌측으로부터 개방 및 폐쇄하도록 루 프(140)를 이용하여 코드(120)의 조작을 편리하게 한다. 문틀(112)의 좌측 단부의 코드 안내 부재(116)도 동일 형태로 작동함을 이해하기 바란다.
도18은 도17의 코드 안내 부재(116) 상의 단부 캡(118)이 대체되었을 때 좌측 단부에서 본 커버링(110)의 정면도이다.
도20은 문틀(112)의 양 단부들의 코드 안내 부재들(116)에서 단부 캡들(118)이 전개된 상태에서 도14의 문틀(112) 위에서 본 커버링(110)의 도면이다. 도20에 가상선들로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120)는 문틀(112)의 좌측 단부에서, 루프(140)를 형성하는, 우측 단부로 직접 문틀(112) 내에서 연장하는 부분을 가진다. 코드(120)를 좌측 단부에서 한번 당기면 루프(140)를 형성하는 코드(120) 모두를 문틀(120)을 통해 당겨서 루프(140)를 좌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후술되는 바와 같이, 코드(120)의 양 단부들은 다수의 패널들(114)의 이동을 직접 제어하는 문틀(112) 내의, 도20에 도시 안된, 메커니즘에 고정되어, 코드(120)가 일 방향으로 당겨질 때, 커버링(110)이 폐쇄되고, 코드(120)가 다른 방향으로 당겨질 때, 커버링(110)이 개방된다.
단부 캡들(118)은 각각, 코드 안내 부재들(116)을 커버하도록 압입 끼워맞춤에 의해 코드 안내 부재들(116)의 구멍들(122) 내에 보유되는 지주들(142)을 가진다. 코드(120)는 문틀(112)에서 코드 안내 부재들(116)의 구멍들(130,132)을 통해 돌출한다. 구멍들(130,132)은, 단부 캡들(118)이 제 위치에 있을 때, 코드(120)를 자유로이 조작할 수 있도록 홈(146) 내에 위치된다. 또한, 홈들(146)은 루프(140)의 위치를 커버링(110)의 일 단부에서 타 단부로 변화시키도록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120)로의 접근을 얻기 위해 단부 캡(118)을 코드 안내 부재들(116)에서 비집어 열도록 코드 안내 부재들(116) 및 단부 캡(118) 사이로 삽입될,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는 복잡하고 시간 소모적인 분해 및 설치되어 있는 건축물 개방구에서의 제거를 필요로 하지 않고 건축물 개방구용 커버링을 작동시키도록 사용되는 코드 루프의 배치를 변화시키기 위한 수월하고 간단한 접근 방법을 제공한다.
이제 도21을 참조하면, 우측에 코드(120)의 루프(140)를 가진 도14에 도시된 커버링(110)은 건축물 개방구의 좌측 상의 패널들(114)의 오버랩된 스택을 형성하도록 개방되어 있다. 고정되어 있는, 가장 좌측의 패널(114)을 제외하고, 각 패널(114)은 개방 작동 중에 그의 좌측으로 미끄럼 이동하며, 뒤로부터 정면으로, 아마도 1 또는 2인치 정도의, 아주 적은 량으로 바깥쪽으로 연장한다. 도14에 나타나지 않았지만, 패널들(114)은, 뒤로부터 정면으로, 아마도 1 또는 2인치 정도의, 아주 적은 량으로 다시, 겹쳐진다. 도14에 나타나지 않았지만, 패널들(114)은, 커버링(110)이 폐쇄될 때, 아주 적은 량으로 다시, 겹쳐지며, 이로써 커버링(110)의 정면에서 직접 관찰자에 대한 갭이 주어지지 않게 된다.
도22는 도21에 나타낸 문틀(112)의 단면도이다. 단일의 트랙을 구성하는, 문틀(112)은 두 개의 레일들(148)을 포함한다. 각 레일(148)은 내부 격실(150)과 연관되며, 각 격실(150)은 내부 벽(152)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레일들(148)은 내부 격실(150)로 연장하는 플랜지들(154)에 의해 특히 한정된다. 내부 벽(152) 및 각 레일(148) 사이에 선반(156)이 배치된다. 도16 및 도17을 참조하면, 선반들(156)이 코드 안내 부재들(116)의 구멍들(130,132)과 정렬되며, 그 결과, 도22에 명료화를 위해 생략된 바와 같이, 선반들(156)이 문틀(112) 내의 코드(120)를 지지하게 된다.
문틀(120)의 상부 외측에, 장착의 목적으로 건축물 개방구 위에 설치된 적절한 하드웨어에 부착될 수 있는 플랜지들(158)이 제공된다. 또한, 다시 도16 및 도17을 참조하면, 코드 안내 부재들(116)의 구멍(122)과 정렬되는 것으로 인식되는, 채널들(160)이 있다. 문틀(112)의 단부들에 코드 안내 부재들(116)을 부착하도록 나사들(124)이 채널들(160)로 구동된다.
도23은 도21에 나타낸 커버링(110)의 단면도이다. 도21의 가장 우측 패널(114)은 다시 가파른 각도에서도 보여지며; 그러나, 이 때, 도21의 유리한 지점에서 멀리 향한 측면도 보여진다. 패널(114)은 문틀(112)의 길이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로 배향되며, 그 결과, 그의 좌측이 도23의 관찰자에 대해 우측보다 더 가깝게 된다.
각각의 내부 격실(150)에서, 캐리어들(162)이 플랜지들(154) 상의 레일들(148)을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고, 각 레일(148)에 하나씩, 그 중 두 개가 각 패널(114)에 대해 필요하게 된다. 도24a에 캐리어(162)의 측면도가 제공된다. 이 관점에서 두 개의 특징들이 주목할 만하며; 면(164)의 좌측면 상에는, 그의 기능들이 후술되는, 스크류(166) 및 탭(168)이 배치된다. 도24b는 도24a의 우측의 캐리어(162)의 우측 단부의 도면이고, 또한 도23의 좌측 레일(148)의 캐리어(162)의 도면이다. 도2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168)은 면(164)으로부터 갭(170) 만큼 분리 되어 있다. 또한, 견부들(172)이 캐리어(162)의 측면들을 따라 연장하여 플랜지(154)에 의해 지지되고 레일들(148)을 따라 미끄럼 이동된다. 최종으로, 단부 면(174)은 구멍(176)을 가진다.
도24c는 도24a의 좌측의 캐리어(162)의 좌측 단부의 도면이고, 도23의 우측 레일(148)의 캐리어(162)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23의 우측의 캐리어(162)는, 도24a내지 도24d에 포함되지 않은 새로운 요소, 즉 면(180)에 고정된 코드 보유 부재(178)를 가진다. 명료화를 위해, 도23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각각 문틀(112)의 좌측 및 우측 단부들에서 연장하는, 코드(120)의 두 개의 단부들은 코드 보유 부재(178)의 구멍들(182)에서 종결되어 정지된다. 코드(120)가 루프(140)에서 적절하게 조작될 때, 코드-보유 부재(178)는 캐리어(162)를, 커버링(110)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문틀(112)을 따라 하나의 코스 또는 다른 코스로 부착되게 이동시킬 것이다. 도23에 도시된 도면은 가장 우측 패널(114)을 나타낸 것임을 상기하면, 우측 레일(148)의 캐리어(162) 만이 코드-보유 부재(178)를 가진다. 모든 다른 캐리어들(162)은 도24a 내지 도24d에 나타낸 외관을 가진다. 물론, 이와 다르게, 커버링(110)의 개방 및 폐쇄 시에 사용하도록, 우측 레일(148)의 캐리어(162)에 막대가 부착되고, 코드(120)가 제거될 수 있다.
최종으로 도24d를 참조하면, 도24a의 하부에서 캐리어(162)의 저면도가 취해지며, 캐리어(162)는 가요성 아암(186) 및 래칭 탭(188)을 가진 래칭 기구(184)를 포함한다. 래칭 기구(184)는 패널들(114)을 캐리어(162)에 결합되게 할 수 있다.
도25는 상대적으로 덜 가요성인 금속 또는 플라스틱 시트 재료로 된, 행 거(190)의 평면도이다. 행거(190)는 커버링(110)의 폭 및 그에 포함된 패널들(1140의 수에 따라, 임의의 길이로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패널(114) 당 하나의 행거가 제공되고, 각 패널(114)에 대해, 각 레일(140)에 하나씩, 두 개의 캐리어들(162)이 있다. 패널들(114)은, 커버링(110)이 설치된 공간 내에서 관찰자로부터 먼 행거(190)의 측에, 강한 접착제를 이용하여 행거들(190)에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15 내지 도18에서, 패널(114)은 관찰자에 의해 보여지지 않는 행거(190)의 측면에 부착되는 한편, 도23에서, 패널(114)은 행거(190)를 커버한다.
도25로 돌아가면, 행거(190)는 두 개의 대향하는 후크형 부재들(192)을 가진다. 행거(190) 및 패널(114)을 캐리어(162)에 부착하도록, 후크형 부재들(192)이 아래쪽에서 래치 기구(184)로 삽입되며, 래칭 탭들(188)이 후크형 부재들(192)의 편평한 부분들(194) 아래에 걸리게 된다. 두 개의 레일들(148)의 캐리어들(162)은 도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대 방향으로 배향되며, 이로써 행거들(190)이 대향하는 레일들(148)의 캐리어들(162)에 의해 대향 단부들에 고정된다.
도26은 도14의 좌측 단부의 문틀(112)의 절개도이다. 캐리어(162)는, 도2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국 캐리어(162)의 구멍(176)으로 통과하는 코드 안내 부재(116)의 구멍(126) 내의 나사(128) 등에 의해 코드 안내 부재(116)에 보유된 채, 고정된다. 나사(166)는 스트랩(196)을 캐리어(162)에 고정하도록 이용된다.
스트랩(196)은 도27에 평면도로 도시된다. 스트랩(196)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시트의 가요성 스트립이고, 계단부(200)에서 시작되는 갑자기 넓어진 부분(198)을 제외하면 균일한 폭으로 되어 있다. 종결부(202)는 후술되는 이유로 스트 랩(196)에 의해 형성된 평면에서 약간 위로 구부려져 있다.
스트랩(196)의 대향 단부에 일련의 등간격으로 떨어진 노치들(204)이 제공된다. 스트랩(196)은 커버링(110)이 폐쇄될 때 인접한 패널들(114)이 서로 겹치는 량을 설정하는 수단이다. 우선, 도26과 연계하면, 스트랩(196)은 도27에 나타낸 도면에 비해 짧아져 있고, 노치(204)에서 단부로의 일부가 절단되어 있다. 최종 노치(204)에서 스트랩(196)을 슬라이더(162)에 고정하도록 나사(166)가 이용된다.
도28은 두 개의 패널들(114)이 중첩된 지점에서의 문틀(112)의 절개도이다. 우측 스트랩(196)의 계단부(200)가 탭(168)을 캐치하도록 도시되어, 캐리어(162)가 좌측으로 더 이동함을 방지하게 된다. 좌측 스트랩(196)은 도26에 도시된 방식으로 슬라이더(162)에 부착된다. 도28에서, 종결부(202)는 나사(166)와 간섭되지 않도록 외측으로 구부려져 있다. 또한, 이러한 종결부(202)의 외측으로의 구부려짐은 스트랩(196)이 다른 캐리어(162)의 탭(168)과 간섭됨을 방지한다.
도29는 커버링(110)이 폐쇄 과정에 있을 때 가장 우측 패널(114)에서의 문틀(112)의 절개도이다. 코드(120)는 그 지점에서 캐리어(162)를 도29의 좌측을 향해 당기고 있다. 매듭(206)은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링의 좌측 단부에서의 코드(120)의 묶음 단부이다. 코드(120)에 의해 당겨지는 캐리어(162)는, 스트랩(196)의 계단부(200)가 캐리어(162)를 다음으로 링크하도록 탭(168)과 결합되면, 도29에 도시 안된, 그의 우측으로 다음 캐리어(162)를 당긴다.
이제 커버링(110)의 하부의 특징들을 참조하면, 도14, 도19 및 도21에 도시된 커버링(110)의 각 패널(114)은 패널들(114)을 팽팽하게 수직으로 매달아서 가장 약한 공기의 이동에 의한 흔들림에도 덜 흔들리도록 유지시키기에 충분한 중량을 제공하는 하부 레일(208)에 부착된다. 또한, 하부 레일들(208)은 패널들(114)을 서로 연결되도록 함에 의해, 더 구체적으로 후술되는 바와 같이, 어떠한 흔들림 동작도 감쇄하여 더욱 양호한 외관을 제공하게 된다.
도30은 패널들(114) 중 하나에 부착된 하부 레일(208)의 단면도이다. 하부 레일(208)은 도14, 도19 및 도21의 관찰자를 향한, 평탄한 면(210)을 가진다. 또한, 상기 하부 레일(208)은 상부의 V자형 채널(212) 및 하부의 V자형 채널(214)을 가지며, 각각 그의 개방부에서 서로를 향해 연장하는 후크형 부재(216)를 가진다.
패널(114)은 플라스틱 재료의 스트립(218)으로 상부의 V자형 채널(212)에 고정되며 도30에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패널(114)은,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상부의 V자형 채널(212), 스트립(218) 하부 및 그의 후면(220) 주위로 하방으로 연장한다. 후크형 부재(216)는 패널(114) 및 스트립(218)이 상부 바깥쪽으로 당겨짐을 방지한다.
하부 레일(208)의 후방 측은 일반적으로 장방형 단면 형상의 채널(222)을 가진다. 이 채널(222)은 그의 개방부의 각 측면의 플랜지(224) 및 채널 내에서 플랜지(224)에 대향하는 레일(226)을 가진다. 채널(222)은 각 패널(114)을 그의 인접한 패널들에 연결 시에 사용된다.
도31은 하나의 하부 레일(208)의 다음 레일로의 연결을 나타낸, 두 개의 인접한 패널들(114)에서의 평면도이다. 도31의 좌측의 하부 레일(208)의 단부에서, 결합 부재(228)는 통상 장방형인 개방구(230)를 가진다. 결합 부재(228)는 가동 패 널들(114), 즉 도14, 도19 및 도21의 가장 좌측을 제외한 모든 패널들(114)의 하부 레일(208)의 숨겨진 단부에 배치된다. 도32는 도31의 하부 레일(208)로 삽입된 결합 부재(228)의 단부의 평면도이다. 삽입 부재(232)는 채널(222) 및 하부 레일(208)의 플랜지(224)에 여유있게 끼워맞춤되며, 레일(226)을 수용하는 컷-아웃(234)을 가진다.
링크 부재(236)는 도33에 측면도로 도시된다. 링크 부재(236)는, 그의 각 측면 상의 홈(238) 내에 끼워맞춤되는, 플랜지들(224)에 의해 안내되는 하부 레일(208)의 채널(222)을 따라 레일(226)에 대해 미끄럼 이동 가능하다. 탄력적인 고정 부재들(240)이 하나의 패널(114)을 그 뒤의 패널에 결합하도록 장방형 구멍(230) 내에 끼워맞춤된다.
도14, 도19 및 도21의 하부 레일들(208)의 보여지는 단부들은 도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캡들(242)을 가진다. 도34에 단부 캡(242)의 평면도가 제공된다. 단부 캡(242)의 삽입 부재(244)는 두 개의 플랜지들(224) 중 하나 및 레일(226) 사이의 공간의 채널(222) 내에 끼워맞춤된다. 하부 레일(208)의 단부를 커버하도록, 반대 방향으로 배향된, 두 개의 단부 캡들(242)이 제공된다.
도35 내지 도52에 본 발명의 제5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35는 건축물 개방구용 커버링(310)의 정면도이다. 도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링(310)은 건축물 개방구의 상부에 걸쳐 장착 또는 매달려 있는 문틀(312)을 포함한다. 도35에 도시된 건축물 개방구는 마루-천장 높이의 창 또는 미닫이 문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이는 그 타입의 건축물 개방구에 사용되는 커버링들(310)로 본 발명을 제한 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은 모든 높이들 및 폭들의 창들 및 도어들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함을 이해하기 바란다.
또한, 이하의 커버링(310)의 설명은 도14 내지 도34에 도시된 커버링(110)에 즉각적으로 적용 가능한 몇 가지의 새로운 특징들을 포함한다. 요컨대, 해당하는 특징들은 커버링(310)에만 포함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상기한 커버링들(11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전술한 일부 특징들도, 바로 뒤에서 인식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버링들(310)에 이용될 수 있다.
도35를 참조하면, 커버링(310)은 문틀(312)에 매달린 다수의 개별의 패널들(314)을 포함한다. 6개의 이러한 패널들이 도시되지만, 본 발명을 이것으로만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커버링(310)이 개방될 때, 패널들(314)은 두 개의 스택 어레이를 형성하며, 도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중 하나는 좌측에 다른 하나는 우측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커버링(314)은 죄측 또는 우측이 아닌, 중앙에서 개방되는, "중앙 인출" 타입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패널들(314)은 문틀(312)의 길이 방향에 대해 고정된 비스듬한 각도로 배향된다.
문틀(312)의 각 단부에, 도35 및 도36에 나타낸 도면에서, 코드 안내 부재(316)를 커버하는 단부 캡(318)이 배치되며, 그의 구조 및 작용은 상세하게 후술된다. 코드 안내 부재(316) 및 단부 캡(318)은, 커버링이 일단 건축물 개방구 위에 설치되면 단부 캡(318)이 커버링(310)을 보게 되는 하나의 시야에서 코드 안내 부재(316)를 진정으로 커버한다는 점에서 커버링(110)의 코드 안내 부재(116) 및 단부 캡(118)과 다르다. 그 결과, 그 부품들에 양호한 외관을 제공하도록 문틀(310) 과 단부 캡(318)의 색상을 매치하기만 하면 되고, 코드 안내 부재의 색상은 시야에서 숨겨져 있으므로 덜 중요하게 된다.
도35 및 도36에서, 문틀(312)의 우측 단부에서 단부 캡(318) 아래로 연장하는 것은 루프(322)를 형성하는 코드(320)이다. 상기한 제4 실시예에서와 같이, 코드(320)는 커버링(310)을 개방 및 폐쇄하도록 사용되며, 루프(322)의 일측을 당기면 커버링이 개방되고 루프의 타측을 당기면 커버링이 폐쇄된다.
도37은 단부 캡(318)이 제거된 도35 및 도36의 문틀(312)의 좌측 단부에서의 커버링(310)의 정면도이다. 도35 및 도36의 가장 좌측 패널(314)의 일부가 문틀(312) 아래에 매달린 상태로 도시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문틀(312)의 길이 방향에 대해 비스듬한 각도로 배향됨으로써, 도35 및 도36에 도시된 패널(314)의 측면이, 가파른 각도로 보여 지기는 하지만, 가시적으로 되어 있다.
코드 안내 부재(316)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문틀(312)에 코드 안내 부재(316)를 부착하도록 사용되는 나사들(326)에 대한 두 개의 구멍들(324)을 가진다. 상기한 실시예에 대조적으로, 코드 안내 부재(316)는 단부 캡(318)에 의해 완전하게 커버되기 때문에 코드 안내 부재(316)가 문틀(312)을 완전하게 커버하지는 않는다. 코드 안내 부재(316)는 강 슬러그(slug)(330)가 배치되는 다른 구멍(328)을 가진다. 강 슬러그(330)는 클립(331) 등에 의해 구멍(328) 내에 억지 끼움되어 보유되며, 구멍(328)의 건너편을 통해 돌출한다. 강 슬러그(330)는 도35 및 도36의 가장 좌측 패널(314)을 고정시키도록 이용된다. 현재의 실시예에서, 문틀(312)의 우측 단부의 코드 안내 부재(316)는 동일한 방식으로 가장 우측 패널(314)을 고정 시키도록 강 슬러그(330)를 포함한다. 이 경우, 가장 좌측 및 우측 패널(314)의 가장 좌측 및 우측 캐리어는 각각, 각 패널(314)을 고정시키도록 강 슬러그(330)와 결합하는, 후술되는, 자석을 가진다. 이러한 접근 방법은 그 패널들(314)을 청소를 위해 건축물 개방구의 측면들로부터 일시적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나사 등에 의해 가장 좌측 또는 우측 패널(314)을 고정함에 대한 개선을 나타낸다. 상기 커버링이 가장 우측 또는 좌측에서 개방 및 폐쇄되는 종류인 경우, 상기한 자석은 그의 고정된 단부에서만 이용될 것이다.
도37의 코드(320)는 구멍(332)을 통해 문틀(312) 내에서 바깥쪽으로 통과하여 구멍(334)을 통해 재진입한다. 구멍들(332,334) 사이에 축(338) 상에서 회전하는 풀리(336)가 배치된다. 풀리(336)는, 도35 및 도36의 우측의 코드(320)의 루프(322)가 커버링(310)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조작될 때, 코드(320)를 구멍(332) 밖으로 그리고 구멍(334) 내로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코드 안내 부재(316)는 구멍들(332,334) 아래에 각각 배치된 구부려진 채널들(340,342)을 가진다. 풀리(336) 주위에 감겨있는, 코드(320)는, 도35 및 도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리(336)에서 파지되어 커버링(310)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루프(322)를 "이동"시키도록 구멍들(332,334)을 통해 당겨지지만, 커버링(310)이 "중앙 인출" 타입이기 때문에, 루프(322)가 그와 같이 이동하는 중에 후술되는 방식으로 코드(320)는 정 중앙의 두 개의 패널들(314) 중 하나에서 일시적으로 분리되어야 한다.
또한, 코드 안내 부재(316)는 커버링(314)의 좌우대칭으로 구성된 강 슬러그 의 설치를 허용하도록 클립들(346)을 가진 다른 구멍(344)을 포함한다.
도38은 상기한 문틀(312)의 좌측 단부의 평면도이다. 코드(320)는 문틀(312) 내에서, 코드 안내 부재(316)의 풀리(336) 주위를 돌아서 그의 우측 단부를 향해 문틀(312)로 복귀한다. 문틀(312)의 단부에 코드 안내 부재(316)를 부착하도록 나사들(326)이 구멍(324)을 통해 배향된다. 또한, 코드 안내 부재(316)는 문틀(312) 위에 코드 안내 부재(316)를 적절하게 정렬하여 안정화하도록 문틀(312)의 채널(350)로 끼워맞춤되는 지주들(348)을 가진다.
단부 캡(318)은 코드 안내 부재(316) 상에 고정될 때 억지 끼움에 의해 코드 안내 부재(316)의 구멍(324) 내에 보유될 수 있는 지주들(352)을 가진다. 또한, 단부 캡(318)이 그 위에 고정될 때 코드 안내 부재(316) 위로 끼워맞춤되어 둘러싸는 측벽들(354)을 가진다. 단부 캡(318)은 단부 벽(358)의 내측 면의 핀(356)을 가진다. 단부 캡(318)이 코드 안내 부재(316) 상에 고정될 때, 핀(356)은 강 슬러그(330)를 지탱하여 커버링(310)의 수명 중에 구멍(328)에서 제거됨을 방지한다. 강 슬러그(330)는 임의의 강자성 재료로 될 수 있고 그 자체가 자석으로 될 수도 있다. 최종으로, 단부 캡(318)은 코드 안내 부재(316) 상에 배치될 때 코드(320)의 루프(322)가 통과하여 배향하게 되는 구멍(360)을 포함한다. 또한, 도37을 참조하면, 코드 안내 부재(316)의 하부면은 립(361)을 가진다. 단부 캡(318)은 코드 안내 부재(316) 상에 설치되어 완전하게 커버하도록 그 위에서 밀려질 때, 립(362)이 구멍(360)으로 스냅식으로 연장되어 단부 캡(318)이 쉽게 제거됨을 방지한다.
도39는 문틀(312)의 단면도이다. 단일 트랙을 구성하는 문틀(312)은 두 개의 레일들(362)을 포함한다. 각 레일(362)과 관련된 내부 격실(364)은, 각각 내부 벽(366)에 의해 타 격실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레일들(362)은 내부 격실(364)로 연장하는 플랜지들(368,370)에 의해 한정된다. 내부 벽(366)에 대해 레일들(362)의 외측에 있는 플랜지들(370)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패널들(314)이 매달려 있는 캐리어들의 안정성을 개선하고, 상기 캐리어들이 올바른 방향으로 레일들(362) 상에 끼워맞춤됨을 보증함에 의해 조립을 용이하게 하도록 플랜지들(368)보다 길게 되어 있다. 내부 벽(366) 및 플랜지(368) 사이에 선반(372)이 배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선반(372)은 코드 안내 부재(316)의 구멍들(332,334)과 정렬된다. 그 결과, 선반(372)이 문틀(312) 내의 코드(320)를 지지하게 된다.
문틀(312)의 상부 외측에, 장착의 목적으로 건축물 개방구 위에 설치된 적절한 하드웨어에 부착될 수 있는 플랜지들(374)이 제공된다. 또한, 코드 안내 부재들(316)의 구멍(324)과 정렬되는 채널들(376)은 문틀(312)의 단부들에 코드 안내 부재들(316)을 부착하도록 나사들(326)이 채널들(376)로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채널들(350)은 그 위에 적절하게 배향하도록 코드 안내 부재(316) 상의 지주들(348)을 수용한다.
문틀(312)은 상기한 제4 실시예의 문틀(112)과 거의 동일하고, 차이점은 플랜지들(368,370)의 길이의 차이이고, 문틀(112)에서, 플랜지들(154)은 동일의 길이이며, 플랜지들(374)의 위치는 문틀(112)의 플랜지들(150)보다 서로 더 멀리 떨어져 있다.
도40a 내지 40f는 문틀(312)에 사용되도록 설계된 캐리어(380)의 도면들이 다. 도40a는 문틀(312)의 플랜지(370) 상에 위치하여 그 플랜지를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캐리어(380)의 측면을 나타낸 캐리어(380)의 측면도이다. 캐리어(162) 상의 나사 대신에, 캐리어(380)의 면(382)은 일체로 형성된 버튼(384)을 가진다. 또한, 상기 면(382)은 웨지형 요소(386) 및 탭(388)을 가진다. 탭(388)은 캐리어(162) 상의 탭(168)과 동일한 작용, 즉 인접한 캐리어(380)에 부착된 스트랩이 상기 면(382) 및 탭(388) 사이로 끼워맞춤되어 커버링(310)이 폐쇄될 때 인접한 패널들(314) 사이의 간격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버튼(384)은 탭(388) 및 버튼(384)에서 바깥쪽으로 향한 면(382) 사이로 통과하는 스트랩을 편향시킨다. 버튼(384)은 후술하는 이유로 도40a의 유익한 지점에서의 형상이 장방형으로 되어 있다. 최종으로, 웨지형 요소(386)는 후술하는 목적을 가진 경사진 에지(390)를 가진다.
도40b는 도40a에 도시된 캐리어(380)의 반대측의 도면이다. 도40b에 도시된 측면은 문틀(312)의 플랜지(368) 상에 위치하여 그 플랜지를 따라 미끄럼 이동하며, 결과적으로, 내부 벽(366)을 향한다. 도40b에 도시된 면(392)은 갭(394)을 가지며 그 갭을 통해 캐리어(380) 내의 지주(396)가 보이게 된다. 지주(396)는 후술한다.
도40c는 도40a에 도시된 캐리어(380)의 저면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탭(388)은 갭(398)에 의해 면(382)에서 분리된다. 또한, 웨지형 요소(386)의 경사는 도40c의 도면에 즉각적으로 나타나 있다. 최종으로, 하부(402)를 통하는 구멍(400)이 있다. 이 구멍(400)은 패널들(314)을 보유하는 행거들을 장착하도록 이용된다. 마지막으로, 버튼(384)을 참조하면, 도40c에서 사이즈가 감소된 지주(402) 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40d는 도40a에 도시된 캐리어(380)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대로, 지주(396)는 구멍(400)의 일부를 형성하는 U자형 부분(406)을 가진다. 또한, 캐리어(380)의 내측은 선반(408)을 가진다. 패널(314)이 매달려 있는, 행거의 일 단부는 선반(408) 상에 놓여 있는 캐리어(380)에 의해 보유되어 지주(396)의 U자형 부분(406)에 의해 그 위에 고정된다.
도40e는 도40a의 좌측에서 본 캐리어(380)의 도면이고, 도40f는 도40a의 우측에서 본 캐리어(380)의 도면이다. 도40e 및 도40f는 모두 캐리어(380)의 측면들의 다른 높이의 견부들을 나타내고 있다. 견부(410)는 문틀(312)의 플랜지(368) 상에 놓여 미끄럼 이동하는 한편, 견부(412)는 문틀(312)의 플랜지(370) 상에 놓여 미끄럼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른 높이의 견부들(410,412)은, 다른 높이의 플랜지들(368,370)과 함께, 캐리어들(380)이 문틀(312)의 레일(362) 상으로 일 방향으로만 삽입되도록 보증한다. 캐리어(380)의 좌측 및 우측 단부들은, 각각, 도40d에 도시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캐리어(380)에 다른 요소들을 부착하도록 제공된 갭들(414,416)을 가진다.
도41은 행거(420)의 평면도이고, 행거(420)는 도25의 행거(190)와 유사하고, 비교적 유연하지 않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될 수 있다. 상기 행거(420)는 커버링(310)의 폭 및 그에 포함된 패널들(314)에 따라, 임의의 길이로 될 수 있다. 전과 같이, 패널(314) 당 하나의 행거, 그리고 각 패널(314)에 대한, 문틀(312)의 각 레일(362)에 하나 씩, 두 개의 캐리어들(380)이 있으며, 각 패널(314)에 대한 캐리어들(380)은 반대 방향들로 배향되어 있다. 패널들(314)은 행거들(420), 바람직하게는 커버링(310)이 설치된 룸 내에서 관찰자로부터 멀리 떨어진 행거들(420)의 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25의 행거(190)에 대조적으로, 두 개의 대향하는 후크형 부재들(422)을 제외하면, 행거(420)는 그에 패널들(314)을 접착하여 체결하기 위한 더 넓은 면적을 제공하도록 행거(190)의 기울어진 단부들이 없는 기다란 장방형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행거(420)는 두 개의 대향하는 후크형 부재들(192)을 가진다. 행거(420) 및 패널(314)을 캐리어들(380)에 부착하도록, 도40d에 캐리어(380)를 평면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후크형 부재들(422)의 하부면(424)이 선반(408) 상에 위치할 때까지 후크형 부재들(422)이 캐리어(380) 하부로부터 구멍(400)을 통해 상방으로 삽입된다. 후크형 부재(422)의 직립부(426)는 후크형 부재(422)를 제 위치에 고정하도록 지주(396)의 U자형 부분(406)으로 끼워맞춤된다. 분명하게, 도40d를 다시 참조하면, 후크형 부재(422)의 하부면(424)을 선반(408)에서 이탈시키는 방식으로 행거(420)가 구부려지거나 또는 변형되면 행거(420)가 캐리어(380)에서 이탈될 수 있게 된다. 이는 후술되는 방식으로 커버링(310)의 상기 제5 실시예에서 실시된다.
도42는 커버링(310)의 패널들(314)을 링크하기 위한 스트랩(430)의 평면도이다. 스트랩(430)은 상기한 스트랩(196)과 동일한 방식으로 작용한다. 스트랩(430)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시트의 가요성 스트립이며, 계단부(434)에서 시작되는 급격하게 폭이 넓어지는 부분(432)을 제외하면 균일한 폭으로 된다. 터미널 부분(436) 은 스트랩(430)에 의해 형성된 평면에서 약간 상향으로 구부려진다. 계단부(434) 및 터미널 부분(436)은 상기한 바와 같이 작용한다.
스트랩(430)의 대향 단부에는 장방형 구멍(436) 및 경사 에지(438)가 있다. 구멍(436)은 최소한 캐리어(380) 상의 버튼(384) 보다 큰 치수이며, 스트랩(430)을 캐리어(380)에 부착하도록 사용된다. 버튼(384)이 구멍(436)을 통해 삽입되고 스트랩(430)이 지주(404)를 중심으로 캐리어(380)에 대해 회전될 때, 버튼(384)은 스트랩(430)이 캐리어(380)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또한, 그 지점에서 경사 에지(438)는 웨지형 요소(386) 상의 경사 에지(390)에 대한 위치로 잠겨져서 스트랩(430)의 홀더(380)에 대한 회전을 더욱 방지함으로써 스트랩(430)이 캐리어(380)에서 쉽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스트랩(430)은 하나의 구멍(436)이 아니라, 일련의 구멍들을 필요로 한다. 그 결과, 다른 패널 폭 및 오버랩 량의 캐리어들(310)을 구성할 때 원하는 길이의 스트랩(430)이 사용되게 된다.
도43은 도36에 도시된 문틀(312)을 통해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36의 좌측의 가장 오른쪽 패널(314)의 후방측은 문틀(312) 아래에서 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패널(314)의 재료는 행거(420) 측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다. 도40f에 도시된 캐리어(380)의 측면은 문틀(312)의 좌측에서 볼 수 있고; 도40e에 도시된 그 측면은 문틀(312)의 우측에서 볼 수 있다. 도43에 나타낸 도면에서 쉽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문틀(312)의 좌측의 캐리어(380)는 우측의 것 보다 관찰자에게 더 가깝게 된다.
도40b에 나타낸 캐리어(380)의 측면에 도시된 갭(394)을 이용한 문틀(312)의 우측에서 코드 고정 부재(440)가 캐리어(380)에 부착된다. 코드 고정 부재(440)는 두 개의 구멍들(442)을 가진다. 도2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문틀(312)의 좌측 및 우측 단부들에서 연장하는 코드(320)의 두 개의 단부들은 각각 코드 고정 부재(440)의 구멍들(442)에 종결하여 결합된다. 루프(322)에서 코드(320)가 적절하게 조작될 때, 코드 고정 부재(440)는 커버링(310)을 개방 및 폐쇄하도록 문틀(312)을 따라 하나의 방법 또는 다른 방법으로 부착되도록 캐리어(380)를 이동시킬 것이다.
상기한 커버링(310)의 제5 실시예에서, 막대를 이용하여 커버링(310)을 개방 및 폐쇄하는 대신, 문틀(312)의 두 개의 단부들 중 하나에서 코드(320)의 루프(322)를 제거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막대(444)는 커버링(310)의 좌측, 또는 좌측 단부의 우측면들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루프(322) 자체는 루프(322)를 형성하는 과잉 코드(320)를 당기도록 코드 고정 부재(440)의 상부 구멍(442)에서 매듭(446)을 이용하여 코드(320)를 당겨서, 과잉 코드(320)를 절단하고 묶음에 의해 제거된다. 이 작동을 실행하도록, 커버링(310)의 좌측으로부터 코드(320)를 일시적으로 분리시킬 필요가 있다.
도44는 도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틀(312)을 통해 취해진 단면도이지만, 명료화를 위해 막대(444)가 도시되지 않았다. 도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40f에 도시된 캐리어(380)의 측면은 문틀(312)의 좌측에서 보여질 수 있다. 도36의 우측의 가장 왼쪽 패널(314)의 전방측은 문틀(312) 아래에서 볼 수 있다. 패널(314)의 재료는 행거(420)의 후방 측에 고정된다. 도44에 나타낸 도면에서 쉽게 나타나지 않 았지만, 문틀(312)의 좌측의 캐리어(380)는 문틀(312)의 우측의 요소 보다 관찰자에게 더 가깝게 된다.
도40e에 도시된 캐리어(380)의 측면에 부착되며 도44의 우측의 도면에서 캐리어(380)를 가리는, 그 요소는 코드 고정 부재(450)이다. 커버링(310)이 코드(320)의 루프(322) 또는 막대(444)에 의해 개방 및 폐쇄되든지 아니든지 간에, 커버링이 개방 및 폐쇄될 때 코드 고정 부재(450)는 커버링(310)의 좌측 및 우측으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코드 고정 부재(450)의 단부 도면이 도44에 포함되어 있다. 그의 측면도, 특히 문틀(312)의 내부벽(366)을 향한 측면의 도면이 도45에 도시되어 있다. 명료화를 위해 도44에서는 생략되어 있지만, 코드(320)는 선반(372) 위의 문틀(312)의 두 개의 단부들 사이로 연장한다.
도45를 참조하면, 코드 고정 부재(450)는 장방형 박스 구조를 가진다. 각 단부에는 코드 고정 부재(450)를 캐리어(380) 등의 다른 부품들에 연결하도록 이용되는 커플러(452)가 있다. 가장 중요하게는, 도45에 도시된 코드 고정 부재(450)는 두 개의 구멍들(454)을 가지며, 이로써 코드(320)는 한쪽으로 들어와 다른 쪽으로 나갈 수 있게 배향된다. 코드 고정 부재(450) 내에는 나사(456) 또는 유사한 체결구가 있고 그 둘레로 코드(320)가 감겨지며, 이 나사(456)는 코드(320)를 고정하도록 그 위에 조여진다. 코드 고정 부재(450)는, 코드(320)가 커버링(350)의 좌측에 결합되도록 하여, 전에 언급한 대로 코드(320)의 루프(322)의 문틀(312)의 일 단부에서 타 단부로의 "이동"에 연계되고 상기 루프(322)의 선택적 제거와 연계되도록 한다.
문틀(312)의 각 단부에서의 코드 안내 부재(316)의 종전의 설명을 참조하면 가장 좌측 및 우측 패널(314)의 가장 좌측 및 우측 캐리어들(380)은 각각 상기 패널(314)을 이동하지 못하게 하도록 코드 안내 부재(316)의 강 슬러그(330)와 결합하는 자석을 가진다. 도46은 자석(462)을 가진 자석 홀더(460)의 평면도이다. 홀더(464)는 도40f에 나타낸 캐리어(380)의 측면에 T-자형 부재(466)를 이용하여 갭(416)에서 부착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47은 자석 홀더(460)가 부착된 도40f에 나타낸 캐리어(380)의 평면도이다.자석(462)은, 가장 좌측 및 우측 패널(314)을 제 위치에 고정하지만, 관리 유지의 목적으로 일시적인 제거를 허용하도록 문틀(312)의 단부들에서 코드 안내 부재(316)의 강 슬러그(330)와 접촉하게 되는 위치에 보유된다. 또한, 커버링이 극단적인 우측 또는 좌측에서 개방 및 폐쇄되는 종류인 경우, 자석 홀더(460)는 그의 고정 단부에서만 이용될 것이다.
이제 도40d를 참조하면, 행거(420)가 제1 위치에서 캐리어(380)에 적절하게 설치되도록 일시적으로 약간 구부려져야 하므로, 후크형 부재(422)의 하부면(424)이 선반(408)을 이동시키도록 하는 방식으로 행거(420)가 구부려지거나 또는 변형되는 경우, 행거(420)가 캐리어(380)에서 떨어져 나올 수 있음을 상기할 수 있을 것이다. 커버링(310)이 개방 또는 폐쇄될 때, 또는, 구체적으로, 완전 개방 또는 폐쇄 위치에 도달하여 코드(320)의 루프(322) 또는 막대(444)를 더욱 당겨서 이들 기구 중 어느 것에 의해 구동되는 캐리어(380)를 팽팽하게 긴장시키는 경우 유사한 구부려짐 또는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캐리어(380) 상에 팽팽한 긴장이 가해짐을 방지하도록, 문틀(312)의 레일(362)의 적절한 지점에 스페이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470)는 도48에 측면도로 도시된다. 스페이서(470)는 도40e에 도시된 캐리어(380)의 단부에 부착되어, 캐리어(380)와 동일한 방식으로 플랜지들(368,370)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커플러(472)를 가진다. 스페이서(470)는 문틀(312)의 길이 방향으로 패널(314)에 의해 차지된 거리와 동일한 길이로 되어 있다.
도35 및 36에 도시된 종류의 "중앙-인출" 커버링(310)에서, 스페이서(470)는, 문틀(312)의 각 레일(362)에 하나의 스페이서(470)만이 있다면, 도36의 좌측의 가장 우측 패널(314)의 캐리어(380) 또는 도36의 우측의 가장 좌측 패널(314)의 캐리어(38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470)는 막대(444)를 부착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이 상황에서 상기 스페이서(470)는 "정지부"로서 작용하여 패널(314)이 캐리어(380)에서 떨어질 정도로 충분히 강하게 코드(320)의 루프(322) 또는 막대(444)가 당겨짐을 방지한다.
건축물 개방구의 극단적인 우측 또는 좌측에 패널들이 쌓아 지는 커버링의 경우에, 스페이서(470)는 코드에 의해 실제로 이동되는 패널 상의 캐리어 및 문틀의 단부 사이에 있음으로써 패널(314)이 캐리어에서 떨어짐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캐리어(470)는 또한 이러한 커버링의 양측에 막대를 장착하도록 이용되어, 그의 양측에 제공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하기 위해, 상기한 것보다 짧은 캐리어(470)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커버링(110)에서도 사용되기 위한 특징들을 가진, 커버링(310)의 하부의 개선된 특징들을 고려해보면, 도35 및 36에 도시된 커버링(310)의 각 패널(314)은 패널들(314)을 팽팽하게 수직으로 매달아서 가장 약한 공기 이동으로도 덜 흔들리도록 하기에 필요한 중량을 제공하는 하부 레일(480)을 가진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하부 레일(480)은, 아래에서 더 구체적으로 도시되는 바대로, 패널들(314)이 흔들림 동작을 작게 하고 더 양호한 외관을 제공하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49는 패널들(314)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된 하부 레일(480)의 단면도이다. 하부 레일(480)은 도35 및 36의 관찰자를 향하는, 부드러운 면(482)을 가진다. 또한, 하부 레일(480)은 상부 V자형 채널(484) 및 하부 V자형 채널(486)을 가진다. 상부 및 하부 V자형 채널(484,486) 각각은 두 개의 측면들 중 하나, 구체적으로 도35 및 36의 관찰자를 향하지 않은 측면에 후크형 부재(488)를 가진다. 상기 후크형 부재(488)는 하부 레일(480)의 전방의 부드러운 면(482)을 향해 연장하여 상부 및 하부 V자형 채널(484,486)로 배향되는 요소(490)에서 종결한다.
패널(314)은 플라스틱 재료로 된 스트립(492)에 의해 상부 V자형 채널(484)에 보유된다. 스트립(492)은 도49에 단면도로 나타낸다. 패널(314)은 상부 V자형 채널(484), 하부 스트립(492) 및 그의 후면(494) 주위로 하방으로 연장하며,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다. 후크형 부재(488) 및 특히 요소(490)는, 스트립(492) 주위로 부분적으로 연장하여 V자형 채널(484) 외측 상방으로의 그의 이탈을 방지하며, 패널(314)에 부착된 하부 레일(480)을 유지시킨다. 이 점에서, 하부 레일(480)은 도 30에 도시된 하부 레일(208)에 대해 개선되어 있다.
하부 레일(480)의 후방측은 장방형 단면의 채널(496)을 가진다. 이 채널(496)은 그의 구멍의 각 측면에 플랜지(498)를 가진다. 상기와 같이, 채널(496)은 각 패널(314)을 그의 인접 패널들과 연결하도록 이용된다.
도50은 상기한 개선된 방식으로 연결된 하부 레일(480) 및 단부 캡(500)의 확대도이다. 하부 레일(480)의 단부에서, 플랜지(498)의 반대로 향한 부분들이 플랜지들(498) 사이의 것에 대조적으로 넓은 구멍(502)을 형성하도록 기계 가공된다. 단부 캡(500)은 플랜지(498) 뒤의 채널(496) 내에 맞추어지는 삽입 부재(504)를 가진다. 삽입 부재(504)는 플랜지들(498) 사이에 맞추어지는 융기부(506)를 가진다. 이러한 융기부(506)는 도50에 도시된 삽입 부재(504)의 측면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의 기능은 삽입 부재(504)가 플랜지들(498) 사이에 배치된 융기부(506)를 가진 채널(496) 내로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삽입 부재(504)는 채널(496) 내로 삽입되고, 넓은 구멍(502)에 구멍들(508)이 배치된다. 그 지점에서, 도51에 도시되어 반대로 향하는 두 개의 갈퀴들(512)을 가진, 고정 요소(510)가 도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508) 내로 삽입되어 잠겨진다. 도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부재(228)와 유사하게, 결합 부재가 구멍(508) 내로 잠겨진다. 상기 도시된 결합 부재(228)와 유사하지만 삽입 부재(508)와 유사한 삽입 부재를 가지도록 개조된 결합 부재가 필요한 경우 동일한 방식으로 하부 레일(480)의 단부들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에 도시된 링크 부재(236)가 하부 레일(480)을 함께 링크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내용들에 대한 변경들이 당업자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지만, 그러한 변경은 본 발명을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넘어로 변경되게 하지 못할 것이다.

Claims (33)

  1. 건축물 개방구 위 및 그 정면에 커버링을 장착하도록 제공되며, 길이 방향의 제1 및 제2 단부, 및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단일 트랙을 가진 문틀;
    상기 단일 트랙 상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링을 개방 및 폐쇄하도록 상기 문틀의 길이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는 다수의 캐리어들;
    상기 문틀 아래에 매달려 있고, 각각의 하나는 각각의 상기 캐리어에 매달려 있게 되며, 각각 상기 문틀의 길이 방향에 대해 고정된 경사 각으로 배향되며, 폭, 하부 및 상부를 가지는 다수의 패널들; 및
    상기 패널들 각각을 그에 인접한 패널들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링크하여, 상기 커버링이 개방될 때 상기 패널들이 다른 패널 뒤로 하나씩 미끄럼 이동함에 의해 상기 문틀의 제1 및 제2 단부들 중 하나에 오버랩되어 쌓이는 어레이를 형성하도록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건축물 개방구용의 단일 트랙의 스태킹 패널 커버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들 각각을 그에 인접한 패널들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링크하는 수단은 :
    상기 패널들 각각의 하부에서 그의 폭에 대해 연장하는 바;
    상기 패널들 각각의 상기 바의 일 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바의 표면에 평행하게 그의 폭에 대해 연장하는 와이어;
    상기 바들 각각의 두 개의 단부들 중 하나에서 그의 대향하는 측면 상에 제공되며, 각각의 패널이 그에 인접한 패널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링크되도록 인접한 패널의 상기 와이어와 결합되는 안내 루프를 포함하는, 건축물 개방구용의 단일 트랙의 스태킹 패널 커버링.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들 각각을 그에 인접한 패널들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링크하는 수단은 :
    상기 패널들 각각의 하부에서 그의 폭에 대해 연장하는 바;
    상기 패널들 각각의 상기 바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바의 일 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정지부; 및
    상기 패널들 각각의 상기 바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정지부에서 상기 바의 대향 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채널로서, 인접한 패널들의 상기 바들에 장착된 상기 채널들에 상기 바가 배치되어 있는 채널을 포함하는, 건축물 개방구용의 단일 트랙의 스태킹 패널 커버링.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트랙은 그의 대향 측면들에 배치된 두 개의 레일들을 가지며, 상기 캐리어들 각각은 전방 홀더 및 후방 홀더를 가지며, 상기 전방 홀더는 상기 두 개의 레일들 중 하나에 변형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후방 홀더는 상기 두 개의 레일들 중 다른 하나에 변형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전방 및 후방 홀더들은 연결 바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또한 상기 전방 및 후방 홀더들은 그들에 패널을 매달기 위한 부착 수단을 가지며, 상기 패널들의 대향 측면들의 상부 코너들은 상기 홀더들 상의 부착 수단과 결합하는 대응하는 부착 수단을 가지는 건축물 개방구용의 단일 트랙의 스태킹 패널 커버링.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및 후방 홀더들 및 상기 패널들 상의 부착 수단은 후크 앤드 루프 체결구들인 건축물 개방구용의 단일 트랙의 스태킹 패널 커버링.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들 각각은 스트랩에 의해 인접한 캐리어에 링크되어 가장 끝의 캐리어가 상기 커버링을 폐쇄하도록 상기 문틀을 가로질러 다른 캐리어들을 연속으로 당길 수 있게 되는 건축물 개방구용의 단일 트랙의 스태킹 패널 커버링.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및 후방 홀더들 각각은 폭을 가지며, 상기 폭은 상기 오버랩되어 쌓이는 어레이에서의 스택 간격과 동일하며, 상기 스택 간격은 각 패널이 상기 어레이에서 그 위의 패널 넘어로 연장하는 량으로 되며, 상기 전방 및 후방 홀더들은 상기 단일 트랙을 가로질러 배향되는 면들을 가지며, 상기 면들은 상기 문틀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진 각으로 배향되며, 상기 부착 수단이 상기 면들에 부착되는 건축물 개방구용의 단일 트랙의 스태킹 패널 커버링.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부착 수단 및 상기 패널의 대응하는 부착 수단은 결합된 두께를 가지며, 상기 각은 상기 스택 간격에 의해 분할되는 상기 결합된 두께의 아크사인인 건축물 개방구용의 단일 트랙의 스태킹 패널 커버링.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트랙은 상부 레일 및 하부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일들은 수직으로 쌓여있는 관계로 되어 있고, 또한 상기 단일 트랙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 및 다수의 링크들을 가진 팬터그래프를 포함하며, 상기 팬터그래프의 제1 단부는 상기 상부 레일의 고정된 위치에 있으며 상기 팬터그래프의 제2 단부는 상기 제1 단부에 대해 상부 레일을 따라 연장 및 접힘 가능하며, 상기 팬터그래프의 다수의 선택된 링크들이 수평 와이어들에 의해 상기 하부 레일에 배치된 다수의 휠들에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들은 상기 다수의 캐리어들이고, 상기 다수의 패널들은 그 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서 상기 다수의 캐리어들에 매달려 있는 건축물 개방구용의 단일 트랙의 스태킹 패널 커버링.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들이 상기 각각의 캐리어들 상의 중앙의 지점에 매달려 있는 건축물 개방구용의 단일 트랙의 스태킹 패널 커버링.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들이 상기 각각의 캐리어들 상의 두 개의 지점들에 매달려 있는 건축물 개방구용의 단일 트랙의 스태킹 패널 커버링.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들의 상부들이 각각 상기 캐리어들 위로 접혀져서 그에 고정되는 건축물 개방구용의 단일 트랙의 스태킹 패널 커버링.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캐리어들은 다수의 스프링 바이어스식 커플링들이고, 상기 패널들 각각은 그의 각각의 스프링 바이어스식 커플링으로부터 단일의 지점에 매달려 있고, 상기 커플링들은 상기 커버링이 폐쇄될 때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 더 작게 기울어진 각도로 상기 패널들을 회전시키도록 바이어스되는 건축물 개방구용의 단일 트랙의 스태킹 패널 커버링.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들 각각은 그의 하부에 상기 패널의 폭에 대해 연장하는 바를 가지는 건축물 개방구용의 단일 트랙의 스태킹 패널 커버링.
  15. 건축물 개방구 위 및 그 정면에 커버링을 장착하도록 제공되며, 길이 방향 내측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 및 상기 길이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1 레일 및 제2 레일을 가진 단일 트랙을 갖는 문틀;
    상기 단일 트랙의 제1 및 제2 레일들 각각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링을 개방 및 폐쇄하도록 상기 문틀의 제1 및 제2 레일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고, 상기 제1 레일 상에서 서로 링크되어 있는 다수의 캐리어들;
    제1 및 제2 단부들을 가지며, 상기 제1 단부들은 상기 제1 레일 상의 상기 케리어들에 부착되며 상기 제2 단부들은 상기 제2 레일 상의 상기 캐리어들에 부착 되는 다수의 행거들;
    상기 다수의 행거들로부터 상기 문틀 아래에 매달려 있고, 각각 하나씩 상기 각 행거에 매달려 있고, 상기 패널들 각각은 문틀의 길이 방향에 대해 고정된 경사각으로 배향되며, 폭, 하부 및 상부를 가지는 다수의 패널들을 포함하는, 건축물 개방구용의 단일 트랙의 스태킹 패널 커버링.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문틀의 제1 및 제2 단부들 각각에 제공되며, 각각 상기 문틀의 내측과 소통하는 제1 구멍 및 제2 구멍을 가지는 코드 안내 부재; 및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단부들은 상기 제1 레일 상의 캐리어들 중 하나에 부착되는 코드로서, 상기 코드는 상기 문틀 내의 상기 캐리어의 제1 단부에서 상기 문틀의 제1 단부의 상기 코드 안내 부재의 제1 구멍을 통해 바깥쪽으로 연장한 후에; 상기 문틀의 제1 단부의 상기 코드 안내 부재의 제2 구멍을 통해 상기 문틀로 진입하여 상기 문틀을 통과하여 연장하고 상기 문틀의 제2 단부의 상기 코드 안내 부재의 제1 구멍을 통해 바깥쪽으로 배출된 후에; 상기 문틀의 제2 단부의 상기 코드 안내 부재의 제2 구멍을 통해 상기 문틀로 재진입하여 상기 캐리어의 제2 단부로 연장하며, 상기 코드는 상기 문틀의 제1 및 제2 단부들 중 하나에 루프를 형성하여, 상기 다수의 패널들과 함께 상기 건축물의 개방구를 번갈아 커버하고 개방하도록 조작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하는, 건축물 개방구용의 단일 트랙의 스태킹 패널 커버링.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문틀의 제1 및 제2 단부들 각각에 단부 캡을 더 포함하며, 각 단부 캡은 상기 코드 안내 부재 상에 배치되어 그의 제1 및 제2 단부들에서 상기 코드 안내 부재에 부착되는 건축물 개방구용의 단일 트랙의 스태킹 패널 커버링.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안내 부재들 각각은 상기 제1 구멍 및 제2 구멍 사이에 로울러를 가지며, 상기 로울러는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상기 코드가 상기 제1 및 제2 구멍들 사이로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는 건축물 개방구용의 단일 트랙의 스태킹 패널 커버링.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안내 부재들 각각은 상기 제1 구멍 및 제2 구멍 아래에 로울러를 가지며, 상기 로울러들 각각은 수평축 둘레에서 회전 가능함으로써, 상기 코드가 그 아래에 루프를 형성할 때 상기 코드는 상기 제1 및 제2 구멍들 안밖으로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는 건축물 개방구용의 단일 트랙의 스태킹 패널 커버링.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들의 상부들은 접착제로 상기 행거들에 부착되는 건축물 개방구용의 단일 트랙의 스태킹 패널 커버링.
  21. 제15항에 있어서, 다수의 하부 레일들을 더 포함하고, 하나의 하부 레일은 상기 패널들 각각의 하부에 부착되는 건축물 개방구용의 단일 트랙의 스태킹 패널 커버링.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하부 레일들은 상기 패널들의 하부들을 서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링크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건축물 개방구용의 단일 트랙의 스태킹 패널 커버링.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하부 레일들 각각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 및 그의 일측 상에서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로 연장하는 채널을 가지며, 상기 패널들의 하부들을 서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링크하는 수단은 링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부재는 상기 하부 레일들 중 하나의 상기 채널, 및 인접한 하부 레일의 상기 제1 단부의 결합 부재를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변형되고, 상기 링크 부재는 그들의 하부 레일들을 함께 링크하는 상기 결합 부재에 결합되는 건축물 개방구용의 단일 트랙의 스태킹 패널 커버링.
  24. 건축물 개방구 위 및 그 정면에 커버링을 장착하도록 제공되며, 길이 방향 내측의 제1 및 제2 단부, 및 상기 길이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1 및 제2 레일을 가진 단일 트랙을 갖는 문틀;
    상기 단일 트랙의 제1 및 제2 레일들 각각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링을 개방 및 폐쇄하도록 상기 문틀의 제1 및 제2 레일들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 고, 상기 제1 레일 상의 일부는 제1 그룹의 캐리어를 형성하도록 서로 링크되고 상기 제1 레일 상의 그 나머지는 제2 그룹의 캐리어를 형성하도록 서로 링크되어 있는 다수의 캐리어들;
    제1 및 제2 단부들을 가지며, 상기 제1 단부들은 상기 제1 레일 상의 상기 캐리어들에 부착되며 상기 제2 단부들은 상기 제2 레일 상의 상기 캐리어들에 부착되는 다수의 행거들;
    상기 다수의 행거들로부터 상기 문틀 아래에 매달려 있고, 각각 하나가 상기 각 행거에 매달려 있고, 상기 패널들 각각은 문틀의 길이 방향에 대해 고정된 경사각으로 배향되며, 폭, 하부 및 상부를 가지는 다수의 패널들;
    상기 문틀의 제1 및 제2 단부들 각각에 제공되며, 각각 상기 문틀의 내측과 소통하는 제1 구멍 및 제2 구멍을 가지는 코드 안내 부재; 및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단부들은 상기 제1 레일 상의 제1 그룹의 캐리어들 중 하나에 부착되는 코드로서, 상기 코드는 상기 문틀 내의 상기 캐리어의 제1 단부에서 상기 문틀의 제1 단부의 상기 코드 안내 부재의 제1 구멍을 통해 바깥쪽으로 연장한 후에; 상기 문틀의 제1 단부의 상기 코드 안내 부재의 제2 구멍을 통해 상기 문틀로 진입하여 상기 문틀을 통해 상기 제2 단부를 향해 연장하고, 상기 코드는 상기 제1 레일의 제2 그룹의 캐리어에 행거에 의해 연결된 상기 제2 레일의 캐리어에 부착되며, 계속해서 상기 문틀을 통과하여 상기 문틀의 제2 단부의 상기 코드 안내 부재의 제1 구멍을 통해 바깥쪽으로 연장한 후에; 상기 문틀의 제2 단부의 상기 코드 안내 부재의 제2 구멍을 통해 상기 문틀로 재진 입하여 상기 제1 그룹의 캐리어에서 상기 제2 단부로 연장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건축물 개방구용의 단일 트랙의 스태킹 패널 커버링.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상기 문틀의 제1 및 제2 단부들 중 하나에 루프를 형성하며, 상기 코드는 건축물 개방구의 중앙에서 상기 다수의 패널들과 함께 상기 건축물 개방구를 번갈아 커버 및 개방하도록 조작될 수 있는 건축물 개방구용의 단일 트랙의 스태킹 패널 커버링.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 상의 두 그룹의 캐리어들 중 하나에 작동적으로 결합된 막대를 더 포함하는 건축물 개방구용의 단일 트랙의 스태킹 패널 커버링.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문틀의 제1 및 제2 단부들 각각에 단부 캡을 더 포함하고, 각 단부 캡은 상기 코드 안내 부재 상에 배치되어 그의 제1 및 제2 단부들에서 상기 코드 안내 부재에 부착되는 건축물 개방구용의 단일 트랙의 스태킹 패널 커버링.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안내 부재들 각각은 상기 제1 구멍 및 제2 구멍 사이에 풀리를 가지며, 상기 풀리는, 상기 코드가 상기 제1 및 제2 구멍들 사이로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건축물 개방구용의 단일 트랙의 스태킹 패널 커버링.
  2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안내 부재들 각각은, 상기 코드가 그의 아래에 루프를 형성할 때 상기 코드가 상기 제1 및 제2 구멍들 안밖으로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구멍 및 제2 구멍 각각의 아래에 구부려진 채널을 가지는 건축물 개방구용의 단일 트랙의 스태킹 패널 커버링.
  30.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들의 상부들은 접착제로 상기 행거들에 부착되는 건축물 개방구용의 단일 트랙의 스태킹 패널 커버링.
  31. 제24항에 있어서, 다수의 하부 레일들을 더 포함하고, 하나의 하부 레일은 상기 패널들 각각의 하부에 부착되는 건축물 개방구용의 단일 트랙의 스태킹 패널 커버링.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하부 레일들은 상기 패널들의 하부들을 서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링크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건축물 개방구용의 단일 트랙의 스태킹 패널 커버링.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하부 레일들 각각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 및 그의 일측 상에서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로 연장하는 채널을 가지며, 상기 패널 들의 하부들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서로 링크하는 수단은 링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부재는 상기 하부 레일들 중 하나의 상기 채널, 및 인접한 하부 레일의 상기 제1 단부의 결합 부재를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변형되고, 상기 링크 부재는 그들 각각의 하부 레일들을 함께 링크하는 상기 결합 부재에 결합되는 건축물 개방구용의 단일 트랙의 스태킹 패널 커버링.
KR1020077010263A 2004-11-04 2005-11-03 건축물 개방구용의 단일 트랙의 스태킹 패널 커버링 KR1012849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2491604P 2004-11-04 2004-11-04
US60/624,916 2004-11-04
PCT/US2005/039822 WO2006052670A2 (en) 2004-11-04 2005-11-03 Single-track stacking panel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4000A true KR20070084000A (ko) 2007-08-24
KR101284944B1 KR101284944B1 (ko) 2013-07-15

Family

ID=36337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0263A KR101284944B1 (ko) 2004-11-04 2005-11-03 건축물 개방구용의 단일 트랙의 스태킹 패널 커버링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4) US7958926B2 (ko)
EP (1) EP1836369A4 (ko)
JP (1) JP5280053B2 (ko)
KR (1) KR101284944B1 (ko)
CN (2) CN102140875B (ko)
AR (1) AR055515A1 (ko)
AU (2) AU2005305002C1 (ko)
BR (1) BRPI0516919B8 (ko)
CA (1) CA2582363C (ko)
IL (1) IL182804A (ko)
MX (1) MX2007005186A (ko)
NZ (1) NZ554759A (ko)
WO (1) WO200605267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58926B2 (en) 2004-11-04 2011-06-14 Hunter Douglas Inc. Single-Track stacking panel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CA2595947C (en) * 2005-03-16 2013-04-23 Hunter Douglas Inc. Single-track stacking panel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JP5150057B2 (ja) * 2006-03-16 2013-02-20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パネルカーテン
US7762305B2 (en) * 2006-11-03 2010-07-27 Yih-Ren Huang Slide rail structure for a window blind
CA2948904C (en) * 2008-08-26 2019-09-10 Hunter Douglas Inc. Roll-up retractable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8579006B2 (en) 2009-10-19 2013-11-12 Adrian Mario Levin Space divider system
US20110226716A1 (en) * 2010-03-16 2011-09-22 My Home Global Company Curtain rod structure
US9163451B1 (en) * 2012-12-12 2015-10-20 Helen Curry Garage opening privacy screen systems
TWM495805U (zh) * 2014-10-31 2015-02-21 Ching Feng Home Fashions Co 磁吸式之無拉繩窗簾
CN105516004A (zh) * 2015-12-31 2016-04-20 天津博莱瑞斯科技有限公司 指示灯覆盖式无线路由器
CN109219685B (zh) * 2016-07-20 2020-10-16 乐富咨询封闭型公司 百叶窗的板条及由其形成的百叶窗
DE202016007640U1 (de) * 2016-12-19 2018-03-20 döfix Döhlemann GmbH System zur Beschwerung von Stoffbahnen eines Flächenvorhangs
US10597935B2 (en) 2017-01-25 2020-03-24 Hunter Douglas Inc. Vertical cellular drape for an architectural structure
US10407960B2 (en) * 2017-02-03 2019-09-10 Assa Abloy Entrance Systems Ab Automatically actuated door lock system
US10793252B2 (en) 2018-03-30 2020-10-06 The Boeing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vering an opening in an aircraft
US11313120B2 (en) * 2018-10-21 2022-04-26 Joseph Bibi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reparing and assembling a high end prefabricated product to serve as a window covering or room divider
TWM615852U (zh) * 2021-02-26 2021-08-21 美商愛寶窗飾股份有限公司 直立式窗簾結構
US11589698B2 (en) * 2021-04-25 2023-02-28 Abo Window Fashion Corp. Hanging weight structure for a curtain
KR102544823B1 (ko) * 2021-08-09 2023-07-17 주식회사 인프로텍 슬라이딩 도어
CN115262850B (zh) * 2022-06-15 2023-05-05 深圳华澳建科集团有限公司 一种软膜天花板结构

Family Cites Families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68433A (en) * 1921-10-04 1923-09-18 Frank H Zackow Curtain
US1648851A (en) * 1927-03-23 1927-11-08 Helen Jeanette Lapin Window ventilator
US2591775A (en) * 1950-08-16 1952-04-08 Frederick W Bopp Vertical venetian blind
US2756817A (en) * 1952-12-26 1956-07-31 Andrew J Toti Vertical venetian blind
US2759534A (en) * 1953-05-25 1956-08-21 Walter A Harju Vertical slat venetian blind
LU42461A1 (ko) 1962-10-02 1964-04-02
US3260303A (en) 1964-01-17 1966-07-12 Steelcase Inc Multi-panel sliding door structure
US3280891A (en) * 1964-03-18 1966-10-25 Jr Richard J Eldredge Vertical venetian blind traverse apparatus
US3348603A (en) * 1965-09-23 1967-10-24 Kirsch Co Movable panel supports
AT275077B (de) 1967-12-20 1969-10-10 Karl Schindlauer Abschlußblende für Vorhanghaltevorrichtungen
IT1008066B (it) * 1973-11-14 1976-11-10 Modular Spa Tenda a pannelli scorrevoli di tessuto o simili
US4114674A (en) * 1976-05-24 1978-09-19 Gabry Frank F Expandable door
US4122884A (en) * 1977-01-24 1978-10-31 Consolidated Foods Corporation Vertical venetian blind construction
US4140169A (en) * 1977-08-15 1979-02-20 Arena Joseph Philip Carrier for vertical blinds
US4221255A (en) 1978-05-11 1980-09-09 Barkemeyer Erica C Decorative panel assembly
US4291738A (en) * 1979-02-05 1981-09-29 John Grenga Universal support for vertical blinds and the like
DE2909240A1 (de) * 1979-03-09 1980-09-11 Lamella Gmbh Fuehrungsschiene fuer vertikal-flaechen- vorhaenge
US4293021A (en) * 1979-06-06 1981-10-06 Arena Joseph Philip Support for traversing window covering device
US4257470A (en) * 1979-06-29 1981-03-24 Thru-Vu Vertical Blind Corp. Wand construction for vertical venetian blinds
IT8117708A0 (it) * 1981-07-02 1981-07-02 Menichetti Pier Luigi Dispositivo monocarrucola plurifunzionale di rinvio o di trazione della corda di manovra per tendaggi
US4425956A (en) * 1982-05-20 1984-01-17 Graber Industries, Inc. Vertical blind mechanism
JPS5919769U (ja) * 1982-07-26 1984-02-06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側面全開放型バン型車扉
JPS5958198A (ja) 1982-09-28 1984-04-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風装置
JPS5958198U (ja) * 1982-10-08 1984-04-16 株式会社ニチベイ パネルスクリ−ン
JPS6122295A (ja) 1984-07-10 1986-01-30 三菱電機株式会社 移動物体落下検出装置
JPS61202295A (ja) 1985-03-05 1986-09-08 松下冷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取出口
JPH0451653Y2 (ko) * 1985-06-10 1992-12-04
PH25772A (en) 1985-08-30 1991-10-18 Novo Industri As Insulin analogue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DE3611857A1 (de) * 1986-04-09 1987-10-22 Stoever Adolf Bautex Kg Abstandshalter fuer eine vertikaljalousie
US4765022A (en) * 1987-03-25 1988-08-23 Coral Industrial Sales Co. Combination stop plug and frame member for channelled drapery track
JPH0510128Y2 (ko) * 1987-07-23 1993-03-12
DE3907043A1 (de) * 1988-07-29 1990-02-01 Stoever Adolf Bautex Kg Abstandshalter fuer lamellentraeger von vertikallamellenjalousien
DE3900465A1 (de) * 1989-01-10 1990-07-12 Rigola Werk Schmidt Julius Lamellen-vorhang mit senkrecht angeordneten lamellen
US4936370A (en) * 1989-01-31 1990-06-26 Chiang Por-Chu Vertical blind assembly with an adjustable width
JPH0759859B2 (ja) * 1989-08-31 1995-06-28 東洋エクステリア株式会社 スライドパネルの安定開閉装置
US5289863A (en) * 1989-12-13 1994-03-01 Schon B.V. Apparatus for suspending lamellar sun-blinds or the like
US5168913A (en) * 1991-03-26 1992-12-08 Elkhart Door, Inc. Vertical blind assembly
JP2663750B2 (ja) 1991-07-02 1997-10-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冷却装置
US5109910A (en) * 1991-09-16 1992-05-05 Osmar Tortorella Vertical curtain panel assembly
FR2699537B1 (fr) 1992-12-18 1995-02-17 Pasteur Institut Protéine conférant une résistance de type inductible, à des glycopeptides, notamment chez des bactéries à gram-positif. Séquences de nucléotides codant pour cette protéine.
CN2152066Y (zh) 1993-02-22 1994-01-05 钱晓东 导轨式遮阳帘
JPH08303151A (ja) * 1995-05-12 1996-11-19 Yoneichi Ikeda 開閉できる日除け装置
JP3328873B2 (ja) * 1996-10-17 2002-09-30 ワイケイケイアーキテクチュラルプロダクツ株式会社 連動式引き戸の障子上部支承構造
JPH10299338A (ja) * 1997-04-25 1998-11-10 Sun Wave Ind Co Ltd 組合せスライド扉
JPH118411A (ja) 1997-06-18 1999-01-12 Daido Steel Co Ltd 面発光型発光ダイオード
JPH11256910A (ja) * 1998-03-13 1999-09-21 Yokozuna:Kk 吊戸車
JP3667985B2 (ja) 1998-04-15 2005-07-06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パネルシャッタのパネル構造
AU761657B2 (en) * 1999-12-14 2003-06-05 Hunter Douglas Industries Bv Releasable end stop
US6589613B1 (en) 2000-11-20 2003-07-08 Heinz Kunert Insulating glass element for glazing a building
US6408923B1 (en) * 2001-02-21 2002-06-25 Ming Nien Vertical blind
CN2492666Y (zh) * 2001-07-10 2002-05-22 八泽实业有限公司 具有轨道结构的横拉门
JP3671296B2 (ja) * 2002-05-31 2005-07-13 株式会社川島織物 吊下式面状遮蔽体装置
JP3682607B2 (ja) * 2002-05-31 2005-08-10 株式会社川島織物 面状遮蔽体吊下構造
JP3618329B2 (ja) * 2002-09-18 2005-02-09 株式会社ベスト 連動式吊戸装置
US8176964B2 (en) 2002-11-25 2012-05-15 Hinno Ag Curtain system comprising several flat panels
US6892783B1 (en) * 2003-02-05 2005-05-17 Paul E. Comeau Multiple panel track system for a window covering assembly
CN2634076Y (zh) 2003-07-18 2004-08-18 何斌 低热传递中空复合防雾玻璃
US6957682B2 (en) * 2003-12-11 2005-10-25 Tai-Long Huang Carrier-positioning device for a vertical blind
US7958926B2 (en) 2004-11-04 2011-06-14 Hunter Douglas Inc. Single-Track stacking panel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US7270165B1 (en) * 2005-04-21 2007-09-18 Shan-Chi Chuang Vertical curtain
AU2006220376B2 (en) * 2005-10-03 2012-01-19 Hunter Douglas Inc. Draw cord arrangement
US20070158036A1 (en) * 2006-01-10 2007-07-12 Ya-Yin Lin Vertical blind having carrier mechanism
US8082916B2 (en) 2006-04-07 2011-12-27 Hunter Douglas Industries B.V. Solar heating bloc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83905A1 (en) 2017-06-29
US20150047794A1 (en) 2015-02-19
AU2005305002C1 (en) 2011-08-11
AU2005305002B2 (en) 2011-03-03
CN101115900A (zh) 2008-01-30
US9598898B2 (en) 2017-03-21
CN101115900B (zh) 2012-03-07
US8875771B2 (en) 2014-11-04
IL182804A0 (en) 2007-08-19
EP1836369A4 (en) 2015-02-18
KR101284944B1 (ko) 2013-07-15
US10544620B2 (en) 2020-01-28
US20080128098A1 (en) 2008-06-05
JP5280053B2 (ja) 2013-09-04
CA2582363C (en) 2013-09-10
AU2011201002B2 (en) 2012-10-04
MX2007005186A (es) 2007-09-10
AU2005305002A1 (en) 2006-05-18
US20110290430A1 (en) 2011-12-01
US7958926B2 (en) 2011-06-14
NZ554759A (en) 2009-09-25
BRPI0516919B1 (pt) 2016-10-11
CN102140875A (zh) 2011-08-03
CA2582363A1 (en) 2006-05-18
EP1836369A2 (en) 2007-09-26
IL182804A (en) 2014-05-28
BRPI0516919B8 (pt) 2017-03-21
WO2006052670A2 (en) 2006-05-18
AR055515A1 (es) 2007-08-22
BRPI0516919A (pt) 2008-09-23
AU2011201002A1 (en) 2011-03-31
WO2006052670A3 (en) 2007-09-07
CN102140875B (zh) 2014-11-26
JP2008519188A (ja) 200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4944B1 (ko) 건축물 개방구용의 단일 트랙의 스태킹 패널 커버링
US4557310A (en) Movable sun shade system
US20110094162A1 (en) Panel hangers for sliding panel track systems
US10689903B2 (en) Single-track stacking panel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KR101042754B1 (ko) 여러개의 플랫 패널들을 구비하는 커튼 시스템
JP3682607B2 (ja) 面状遮蔽体吊下構造
US5048586A (en) Guide rail assembly
CA1277586C (en) Drapery track assembly
GB2143555A (en) Access panel
TWM391578U (en) Single-rail stacked panel coverings used in an opening of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