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3694A - 시트벨트장치 - Google Patents

시트벨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3694A
KR20070083694A KR1020077008657A KR20077008657A KR20070083694A KR 20070083694 A KR20070083694 A KR 20070083694A KR 1020077008657 A KR1020077008657 A KR 1020077008657A KR 20077008657 A KR20077008657 A KR 20077008657A KR 20070083694 A KR20070083694 A KR 20070083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webbing
spindle
detecting
genera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8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9324B1 (ko
Inventor
유키노리 미도리가와
Original Assignee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filed Critical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070083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3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4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54Seat position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4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 B60R2022/442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using one spring and one additional retraction device in parallel
    • B60R2022/444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using one spring and one additional retraction device in parallel the additional retraction device being an electric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4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 B60R2022/4446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using one spring and one additional retraction device in series
    • B60R2022/4466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using one spring and one additional retraction device in series the additional retraction device being an electric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2/201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with the belt anchor connected to a slider movable in a vehicle-mounted t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시트벨트장치(10)는 웨빙(11)을 통과한 D형상 링(53)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관통(52)가 하강한 것을 검지한 때, 모터(15)를 웨빙(11)의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제어하는 컨트롤러(20)를 구비한다.
시트벨트장치, 웨빙, D형상 링, 모터

Description

시트벨트장치{SEAT BELT DEVICE}
본 발명은 시트벨트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웨빙(webbing)장착 중에 좌석이 이동한 때의 웨빙의 느슨함을 제거한 시트벨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시트벨트장치로서 필요시에 전동모터를 동작시킴으로써 스핀들을 회전시켜서 웨빙(webbing)을 권취하고, 승차원을 좌석에 구속하게 한 시트벨트장치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또 종래의 시트벨트장치에서는 리트랙터 내에 클러치가 설치되어 있고, 승차원의 승차시에 웨빙을 인출해서 장착할 때에 클러치를 해제해서 두며, 일반적으로는 웨빙인출저항이 저하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권취스프링에 의해 웨빙을 권취하는 리트랙터를 구비한 시트벨트장치에서는 이전은 어느정도 강하게 설정하고 있었던 권취스프링의 권취력을 미리 매우 작게 설정해 두고, 이것에 의해 웨빙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며 장착중은 웨빙으로부터의 압박감을 저하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트벨트장치에서는 권취스프링의 권취력이 약하므로, D형상 링과 웨빙의 마찰이나 텅(tongue)의 무게 등에 의해 웨빙의 격납이 완전하게 는 하기 어렵다. 그래서 이와 같은 시트벨트장치에서도 격납시에 모터를 사용해서 권취어시스트를 실행하도록 하는 것이 고안되어 있다. 이것은 모터가 권취방향으로 회전구동하면 클러치가 동력전달가능상태로 되고, 권취어시스트가 가능해지는 것이다.그리고 격납이 완료되면 모터는 권취어시스트를 멈추고, 권취측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구동하며, 이 회전에 의해 클러치가 동력전달 불가능상태로 되서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고, 웨빙은 권취스프링에 의한 약한 권취력으로만 받는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 2001-163185호 공보
그런데, 이와 같은 시트벨트장치에서는 권취스프링의 권취력이 약하기 때문에 시트벨트장착중에 시트를 후방으로 이동한 경우 또는 시트백을 후방으로 기울인 경우에, 승차원과 웨빙 사이에 발생한 느슨함을 제거할 수 없다는 우려가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이전의 시트벨트장치에서는 장착중 웨빙의 권취력은 2N 이상이고, 상기와 같은 느슨함을 제거할 수 있지만, 약한 권취력의 권취스프링을 사용한 시트벨트장치에서는 장착중의 권취력이 0.5N~2N 정도에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느슨함을 제거할 수 없다.
또 시트벨트장치에서는 웨빙을 통과하는 웨빙가이드인 D형상 링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웨빙의 중간부분을 지지해서 차체에 대해 상하로 이동가능한 가이드위치 조정수단인 조정관통(adjust-through)이 설치되어 있다. 조정관통이 하강하면, 웨빙이 헐겁지않게 격납되어 있어도, 조정관통이 하강함에 따라 웨빙에 느슨함이 발생한다. 권취력이 어느 정도 강해져 있는 시트벨트장치라면, 텅(tongue)의 질량(70g 정도)과 웨빙과 D형상 링과의 마찰이 존재해도 텅채 상부로 끌어올릴 수 있 으며, 헐겁지않게 웨빙을 권취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시트벨트장치와 같이 약한 권취력(0.5~2N 정도)의 권취스프링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는, D형상 링에서 권취장치까지의 웨빙의 느슨함은 권취할 수 있지만, D형상 링에서 웨빙의 위쪽에서 텅을 계지시키기 위한 랩 앵커까지의 웨빙의 느슨함은 텅의 무게와 D형상 링과 웨빙의 마찰때문에 들어올릴 수 없으며, 웨빙의 느슨함이 남겨지게 된다. 그 결과, 격납상태의 웨빙이 느슨한 상태로 되고, 약간의 진동으로 텅이 차량의 내장품에 부딪히는 소리를 발생하고 불쾌감을 주거나, 또는 내장품에 손상을 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웨빙의 느슨함을 제거할 수 있는 시트벨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특히 그 주요한 제1 목적은 웨빙장착 중에 웨빙이 느슨해지도록 시트의 상태변화가 있었던 경우에 승차원과 웨빙 사이의 느슨함을 제거할 수 있는 시트벨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제2 목적은 조정관통이 하강한 때에도 웨빙에 느슨함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느슨한 격납상태가 되지 않도록 한 시트벨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아래의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⑴ 웨빙을 감는 스핀들과,
이 스핀들을 소망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수단과,
이 동력발생수단이 상기 스핀들을 상기 웨빙의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기 동력을 발생한 때에, 상기 동력발생수단의 동력을 상기 스핀들에 전달가능한 동력전달가능상태로 하고, 상기 동력발생수단이 상기 스핀들을 상기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기 동력과 역방향의 동력을 발생한 때에, 상기 동력발생수단의 상기 동력을 상기 스핀들에 전달불가능하게 하는 동력전달 불가능상태로 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동력발생수단을 구동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웨빙에 느슨함이 발생한 것을 검출하는 느슨함 검지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느슨함 검지수단이 이 느슨함을 검지한 때, 상기 동력발생수단을 상기 웨빙의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기도록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장치.
⑵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느슨함 검지수단이 이 느슨함을 검지한 때, 상기 동력발생수단을 상기 웨빙의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제어한 후, 상기 동력전달수단을 동력전달 불가능상태로 하기 위해 상기 동력발생수단이 상기 권취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⑴에 기재된 시트벨트장치.
⑶ 상기 느슨함 검지수단은 상기 스핀들의 회전량을 검지하는 로터리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⑴ 또는 ⑵에 기재된 시트벨트장치.
⑷ 상기 웨빙을 통과하는 웨빙가이드의 위치를 조정하는 가이드위치 조정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느슨함 검지수단은 상기 가이드위치 조정수단이 하강한 것을 검지하는 가이드위치변화 검지수단이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가이드위치 조정수단이 하강한 것을 검지한 때, 상기 동력발생수단을 상기 웨빙의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제어한 후, 상기 동력전달수단을 동력전달상태로 하기 위해 상기 동력발생수단이 상기 권취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⑴ 내지 ⑶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트벨트장치.
⑸ 상기 느슨함 검지수단은 시트의 상태변화를 검지하는 시트상태 검지수단이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웨빙장착 중에 상기 웨빙이 느슨해지는 상기 시트의 상태변화를 검지한 경우에, 상기 동력발생수단을 상기 웨빙의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제어한 후, 상기 동력전달수단을 동력전달 불가능상태로 하기 위해 상기 동력발생수단이 상기 권취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⑴ 내지 ⑶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트벨트장치.
⑹ 웨빙을 감는 스핀들과,
이 스핀들을 소망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수단과,
이 동력발생수단이 상기 스핀들을 상기 웨빙의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기 동력을 발생한 때에, 상기 동력발생수단의 상기 스핀들에 전달가능한 동력전달가능상태로 하고, 상기 동력발생수단이 상기 스핀들을 상기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기 동력과 역방향의 동력을 발생한 때에 상기 동력발생수단의 상기 동력을 상기 스핀들에 전달불가능하게 하는 동력전달 불가능상태로 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동력발생수단을 구동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시트의 상태변화를 검지하는 시트상태 검지수단을 구비한 시트벨트장치로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웨빙장착 중에 상기 웨빙이 느슨해지는 상기 시트의 상태변화를 검지한 경우에, 상기 동력발생수단을 상기 웨빙의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장치.
⑺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웨빙장착 중에 상기 웨빙이 느슨해지는 상기 시트의 상태변화를 검지한 경우에, 상기 동력발생수단을 상기 웨빙의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제어한 후, 상기 동력전달수단을 동력전달 불가능상태로 하기 위해 상기 동력발생수단이 상기 권취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⑹에 기재된 시트벨트장치.
⑻ 상기 시트상태 검지수단은 상기 스핀들의 회전량을 검지하는 로터리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⑹ 또는 ⑺에 기재된 시트벨트장치.
⑼ 상기 시트상태 검지수단은, 상기 시트가 전후로 이동된 것을 검지하는 시트이동 검지수단과, 시트백이 기울어진 것을 검지하는 시트백이동 검지수단의 적어도 한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⑹ 또는 ⑺에 기재된 시트벨트장치.
⑽ 웨빙을 감는 스핀들과,
이 스핀들을 소망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수단과,
이 동력발생수단이 상기 스핀들을 상기 웨빙의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기 동력을 발생한 때에, 상기 동력발생수단의 동력을 상기 스핀들에 전달가능한 동력전달가능상태로 하고, 상기 동력발생수단이 상기 스핀들을 상기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기 동력과 역방향의 동력을 발생한 때에, 상기 동력발생수단의 상기 동력을 상기 스핀들에 전달불가능한 동력전달 불가능상태로 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동력발생수단을 구동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웨빙을 통과하는 웨빙가이드의 위치를 조정하는 가이드위치 조정수단과,
이 위치조정수단의 위치변화를 검지하는 가이드위치변화 검지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가이드위치 조정수단이 하강한 것을 검지한 때, 상기 동력발생수단을 상기 웨빙의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장치.
⑾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가이드위치 조정수단이 하강한 것을 검지한 때, 상기 동력발생수단을 상기 웨빙의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제어한 후, 상기 동력전달수단을 동력전달 불가능상태로 하기 위해 상기 동력발생수단에 상기 권취방향과 역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⑽에 기재된 시트벨트장치.
⑿ 상기 가이드위치변화 검지수단은, 상기 스핀들의 회전량을 검지하는 로터리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⑽ 또는 ⑾에 기재된 시트벨트장치.
본 발명의 시트벨트장치에 의하면, 웨빙에 느슨함이 발생한 것을 검지하면 동력발생수단을 웨빙의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제어하므로 웨빙의 느슨함을 제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시트벨트장치에 의하면, 웨빙장착 중에 웨빙이 느슨해지는 시트의 상태변화를 검지하면 동력발생수단을 웨빙의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제어하므로, 동력발생수단을 권취구동시켜서 웨빙을 귄취함으로써 웨빙의 승차원에 대한 느슨함을 제거할 수 있으며, 더욱 확실한 웨빙의 장착을 부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벨트장치에 의하면 웨빙장착 중에 웨빙이 느슨해지는 시트의 상태변화를 검지한 때에 동력발생수단을 웨빙의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제어한 후, 동력전달수단을 동력전달 불가능상태로 하기 위해 동력발생수단을 권취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제어하기 때문에, 스핀들에는 약한 권취력만 작용하는 상태가 되므로 사용시에 웨빙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트벨트장치에 의하면, 제어수단은 가이드위치 조정수단이 하강한 것을 검지한 때, 동력발생수단을 웨빙의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제어하므로 가이드위치 조정수단이 하강함으로써 느슨해져 있는 웨빙을 권취한다. 그에 따라 가이드위치 조정수단이 하강한 때에도 웨빙에 느슨함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느슨한 격납상태가 되지않고, 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시트벨트장치에 의하면, 가이드위치 조정수단이 하강한 것을 검지한 때, 제어수단이 동력발생수단을 웨빙의 귄춰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제어한 후에 동력전달수단을 동력전달 불가능상태로 하기 위해 동력발생수단에 권취방향과 역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구동제어하므로, 제어 후는 스핀들에 대해 약한 권취력밖에 작용하지 않는 상태가 되므로 사용시에 웨빙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형태의 시트벨트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시트벨트장치에 사용되는 클러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클러치의 동작설명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클러치의 동작설명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클러치의 동작설명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한 클러치의 동작설명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시트벨트장치 제어동작의 제1예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시트벨트장치 제어동작의 제2예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9는, 장착원점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장착한정을 설정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1a는, 로터리센서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11b 및 도 11c는, 그 검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한 시트벨트장치의 차체탑재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제2실시형태의 시트벨트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시트벨트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 부호의 설명 ※
10…시트벨트장치 11…웨빙
12…스핀들 15…모터(동력발생수단)
16…기어 어셈블리(동력전달수단) 17…클러치(동력전달수단)
18…댐퍼 스프링(동력전달수단)
19…로터리센서(느슨함 검지수단, 시트상태 검지수단, 또는 가이드위치변화 검지수단)
20…컨트롤러(제어수단)
23…시트이동 검지수단(느슨함 검지수단 또는 시트상태 검지수단)
24…시트백이동 검지수단(느슨함 검지수단 또는 시트상태 검지수단)
25…버클스위치
52…조정관통(adjust-through)(가이드위치 조정수단)
53…D형상 링(웨빙가이드)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시트벨트장치를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시트벨트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시트벨트장치에 사용되는 클러치의 단면도, 도 3 내지 도 6은, 도 2에 도시하는 클러치의 동작설명도, 도 7은, 도 1에 도시하는 시트벨트장치의 제어동작의 제1예를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 8은, 도 1에 도시하는 시트벨트장치의 제어동작의 제2예를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 9는 장착원점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 차트, 도 10은 장착한정을 설정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또 도 11은 로터리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에 도시한 시트벨트장치의 차체탑재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인 시트벨트장치(10)는 웨빙(11), 스핀들(12), 리트랙터(13), 와인딩 스프링(14), 모터(15), 기어 어셈블리(16), 클러치(17), 댐퍼스프링(18), 로터리센서(19), 및 컨트롤러(20)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터(15)가 동력발생수단을 기어어셈블리(16), 클러치(17), 및 댐퍼스프링(18)이 동력전달수단을, 컨트롤러(20)가 제어수단을 구성한다.
리트랙터(13)에는 웨빙(11)을 감는 스핀들(12)이 회전이 자유롭게 수납되어 있다. 와인딩 스프링(14)은 상시 스핀들(12)에 연결되고, 웨빙(11)에 권취력을 부여하고 있다. 와인딩 스프링(14)의 권취력은 매우 약하게 설정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웨빙(11)을 장착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흉부에서 웨빙(11)의 느슨함이 권취되는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흉부에서 웨빙권취력은 0.5N 이상 2N 이하로 설정된다.
또 스핀들(12)은 필요시에 모터(15)에 의해 동력전달수단을 통해서 권취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모터(15)는 컨트롤러(20)에서 공급되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전류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구동되고, 그 동력을 기어 어셈블리(16)로 전달한다. 여기서 정회전구동은 스핀들(12)을 웨빙(11)의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방향이며, 역회전구동은 상기 동력과 역방향의 동력을 발생하는 방향 이다.
기어 어셈블리(16)는 모터(15)의 모터축(22)과 접속되어 있고, 모터축(22)이 정회전·역회전함에 따라서 회전하며, 모터축(22)의 회전동력을 감속(토크증폭)해서 클러치(17)에 전달한다.
클러치(17)는 모터(15)가 정회전한 때에 댐퍼스프링(18)을 통해서 모터(15)에서의 동력을 스핀들(12)에 전달하는(동력전달가능상태) 한편, 모터(15)가 반전한 때에 모터(15)로부터의 동력을 전달하지 않는다(동력전달 불가능상태).
댐퍼스프링(18)은 모터(15)의 권취구동시에 구동력의 웨빙(11)으로의 급격한 전달을 방지하고, 사용자로의 충격을 경감해서 위화감을 방지한다. 또한, 동력전달수단의 구성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로터리센서(19)는 예를들면 스핀들(12)의 회전을 검출해서 펄스신호 등의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회전센서이다.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리센서(19)는 N극과 S극이 서로 착자(着磁)되고, 스핀들(12)과 동기회전하는 환상의 자기발생부(19a)와, 자기발생부(19a)의 주위에 설치된 2개의 자기센서(19b),(19c)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예컨대 도 11b 및 도 1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기센서(19b)의 출력이 N극에서 S극으로 변화할 때의 자기센서(19c)의 출력에서, N에 상당하는 출력인 경우에는 자기발생부(19a)가 도 11a의 우측으로 이동하고, S에 상당하는 출력인 경우에는 도 11a의 좌측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컨트롤러(20)는 스핀들(12)이 권취방향으로 정회전될 때에 펄스 수를 가산하는 동시에 스핀들(12)이 인출방향으로 역회전될 때에 펄스 수를 감산함으로써 이들 펄스 수를 웨빙(11)의 권취/인출량(길이)으로 변환한다. 펄스 수의 가산·감산은 역이어도 된다.
이 방법에 의해 로터리센서(19)는 스핀들(12)이 회전량과 회전방향을 검출한다.
컨트롤러(20)는 CPU, ROM, RAM, 입출력 인터페이스(I/F), 타이머, 모터 드라이버를 내장하고 있으며, 이들의 회로를 사용해서 모터(15)를 구동제어한다. 여기서 컨트롤러(20)에는 시트이동 검지수단(23), 시트백이동 검지수단(24), 버클스위치(25)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시트이동 검지수단(23)은 시트 전후로의 슬라이드이동을 검지하는 종래공지의 시트이동 검지센서에 의해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전동시트장치의 시트가 기준위치에서 전방·후방으로 이동한 스트로크량을, 예를 들면 펄스 신호 등으로 변환해서 출력하는 센서이다. 구체적으로는 시트 슬라이드 모터가 시트 전방이동측으로 회전한 때의 회전수를 펄스신호로 변환해서 출력하는 동시에, 시트 슬라이드 모터가 시트후방이동측으로 회전한 때의 회전수를 펄스신호로 변환해서 출력한다. 그 때문에, 컨트롤러(20)는 시트의 전방이동시에 시트이동 검지수단(23)으로부터 부여된 펄스신호수(n1)를 미리 격납하고 있는 기준치(Q)에 가산하고, 시트의 후방이동시에 시트이동 검지수단(23)으로부터 부여된 펄스신호수(n2)를전방이동시에 얻어진 가산치에서 감산해서 시트의 현재위치를 계산해서 인식한다.
시트백 이동검지수단(24)도 종래 공지의 시트백각도 검지센서에 의해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전동시트장치의 시트백이 기준위치에서 경동(傾動) 한 스트로크량을 예를 들면 펄스신호 등으로 변환해서 출력하는 센서이다. 구체적으로는 리클라이닝 모터(reclining motor)가 시트백 경동측으로 회전한 때의 회전수를 펄스신호로 변환해서 출력한다. 그 때문에 컨트롤러(20)는 시트백의 경동시에 시트백이동 검지수단(24)에서 부여된 펄스신호(n1)를 미리 격납하고 있는 기준치(O)에 가산하고, 시트백복귀 경동시에는 시트백이동 검지수단(24)에서 부여된 펄스신호수(n2)를 경동시에 얻어진 가산치에서 감산해서 시트백의 현재위치를 계산해서 인식한다. 여기서 시트이동 검지수단(23) 및 시트백이동 검지수단(24)은 로터리센서(19)에 의해 웨빙(11)의 이동량을 검지함으로써 대용할 수 있기 때문에 로터리센서(19)를 사용한 경우에는 이들의 검지수단(23),(24)은 불필요하다.
버클스위치(25)는 텅(50)이 버클(51)에 삽입되어 있을 때(도 12 참조.)를 온(ON)상태로 하고, 텅(50)이 버클(51)에 삽입되어 있지 않을 때를 오프(OFF)상태로 한다. 그 때문에 컨트롤러(20)는 버클스위치(25)가 ON하고 있을 때의 통전전류를 검출함으로써 시트벨트사용중의 플래그를 세우고, 버클스위치(25)가 OFF하고 있을 때에 통전전류를 검출하지 않음으로써 시트벨트 미사용의 플래그를 세운다. 이와 같은 스위치는 종래 공지된 것이며, 이들의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할애하겠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벨트장치(10)는 리트랙터(13)가 차체의 중앙부에 배치된 B필러를 구성하는 차체 패널내에 부착되어 있고, 웨빙(11)의 기단부는 리트랙터(13) 내의 스핀들(12)에 결속되어 있다. 웨빙(11)은 B필러에서 상하로 이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조정관통(52)에 고정되어 있는 D형상 링(53) 내를 삽입해 서 차량 실내로 인출되어 있다. 그리고, 웨빙(11)은 텅(50)을 삽입한 선단부측에 텅 스토퍼(tongue stopper)(54)가 부착되어 있고, 선단부가 랩 앵커(wrap anchor)(55)에 결속고정되어 있다. 텅(50)은 웨빙(11)을 따라서 D형상 링(53)과 텅 스토퍼(54)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미사용시에 웨빙(11)이 리트랙터(13) 내에 권취격납됨으로써 텅 스토퍼(54)에 계지해서 B필러 위의 D형상 링(53)에 근접한 위치에서 낙하하지 않도록 지지된다. 버클(51)은 리트랙터(13)에 대해 시트(56)를 끼운 차량 실내 측에 배설되어 있으며, 텅(50)이 삽입장착됨으로써 시트(56)에 착좌한 승차원을 구속한다.
그 다음, 도 2 및 도 3을 참조해서 동력전달수단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어 어셈블리(16)의 파이널 기어(38), 클러치(17) 및 댐퍼스프링(18)은 리트랙터(13)의 프레임 측방에 설치된 클러치 하우징(27) 내에 수납되어 있다. 클러치(17)는 조인트(28), 프릭션 스프링(friction spring)(29), 클러치 휠(30), 래치플레이트(latch plate)(31), 링(32), 포올(pole)(33), 리턴 스프링(34) 및 로터 캠(35)을 구비한다.
조인트(28)는 스핀들(12)과 동심(同芯)으로 결합되어 있고, 스핀들(12)과 일체로 회전한다. 프릭션 스프링(29)은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종단부를 클러치 하우징(27)에 계지해서 링(32)의 내주부에 배치된 클러치 휠(30)을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있다.
래치 플레이트(31)는 톱니부(39)를 외주부에 형성하고 있으며, 댐퍼스프링(18)을 통해서 조인트(28)에 결합되어 있다. 즉, 조인트(28)와 래치 플레이 트(31)와의 사이에 맞물려진 비틀림 코일 스프링(torsion coil spring)인 댐퍼스프링(15)은 코일부분을 조인트(28) 내에 수납되고, 일단부를 조인트(28)에 타단부를 래치 플레이트(31)에 계지함으로써 모터(15)의 권취구동시에 래치플레이트(31)가 회전한 때, 구동력의 웨빙(11)으로의 급격한 전달을 방지하고 있다.
포올(33)은 파이널 기어(38)의 내주부에서 일체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링(32)의 일부에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동시에 일단부가 포올(33)의 단부에 타단부가 링(32)의 일부에 계지된 리턴스프링(34)에 의해 래치플레이트(31)로부터 해제되는 방향으로 상시 부세되어 있다. 그리고, 포올(33)은 모터(15)의 정회전에 의해 파이널기어(38)가 회전한 때에, 로터 캠(35)의 캠면(35a)을 따라서 래치플레이트(31) 측으로 요동해서 래치플레이트(31)의 톱니부(39)와 계지하므로 파이널기어(38)는 래치플레이트(31)를 통해서 스핀들(12)에 연결된다.
로터 캠(35)은 평상시는 전단(剪斷) 핀(40)(도 3에 도시한다)에 의해 요동고정되어 있고, 파이널기어(38)와 동시에 포올(33)이 회동한 때에 포올(33)과 접촉하는 캠면(35a)을 구비한다. 또 프리텐셔너(fretensioner) 동작시에는 로터캠(35)은 전단핀(40)의 파단에 의해 축(41) 회전으로 요동해서 포올(33)을 래치플레이트(31)에서 퇴피시키고 클러치(17)가 작동하지 않게 한다.
다음,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해서 클러치(17)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15)에 의해 권취가 실행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포올(33)은 래치플레이트(31)의 톱니부(39)에 계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스핀들(12)은 어느 쪽 방향으로도 회전가능한 상태에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 이 컨트롤러(20)에 의해 전류가 공급됨으로써 모터(15)가 정회전하기 시작하면, 모터축(22)과 기어결합된 파이널기어(38)가 도 4의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링(32)과 함께 포올(33)이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고, 리턴스프링(34)의 부세력에 저항해서 포올(33)이 로터캠(35)의 캠면(35a)을 따라서 래치플레이트(31)를 향해서 요동하기 시작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15)의 동력에 의해 파이널기어(38)가 회전을 더 계속하면, 포올(33)이 래치플레이트(31)의 톱니부(39)에 계지되기 때문에 클러치(17)가 계합하고, 모터(15)의 동력을 스핀들(12)에 전달가능한 동력전달가능상태로 된다. 래치플레이트(31)의 회전동력은 댐퍼스프링(18)을 통해서 스핀들(12)에 전달되기 위해서 웨빙(11)이 권취된다. 이때 로터캠(35)과 클러치 휠(30)은 프릭션 스프링(29)에 저항해서 슬라이드 회전한다. 그리고, 모터(15)는 웨빙(11)이 권취종료하면 구동을 정지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20)로부터 전류가 공급됨으로써 모터(15)가 반전되면 포올(33)이 파이널기어(38)와 동시에 도 6의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나, 로터캠(35) 및 클러치 휠(30)은 프릭션 스프링(29)에 부세된 채 회전하지 않는다. 그리고, 포올(33)이 로터캠(35)으로부터 이격되고, 리턴 스프링(34)에 의해 래치플레이트(35)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요동되기 때문에 포올(33)이 래치플레이트(31)의 톱니부(39)로부터 벗어나며, 클러치(17)가 해제되고 모터(15)의 동력을 스핀들(12)에 전달불가능하게 하는 동력전달 불가능상태로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하우징(27)의 외측에는 로터리센서(19) 및 마그네틱 플레이트(36)를 수납한 센서하우징(37)이 부착되어 있다. 마그네틱 플레이트(36)는 조인트(28)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있고, 외주부에 예를들면 N극과 S극이 원주방향으로 서로 착자(着磁)되어 있다. 마그네틱 플레이트(36)의 외주부에는 로터리센서(19)가 비접촉으로 맞붙어 있으며, 마그네틱 플레이트(36)가 조인트(28)와 동시에 회전함으로써 조인트(28)의 회전수에 비례한 펄스 신호를 로터리센서(19)가 출력한다.
이와 같은 시트벨트장치(10)에서는 시트가 후방으로 이동한 것을 검지하는 시트이동 검지수단(23)과, 시트백이 경동(傾動)한 것을 검지하는 시트백이동 검지수단(24)중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이동을 검지한 경우에, 모터(15)를 권취구동해서 웨빙(11)을 권취하고, 느슨함을 제거하는 동작(이후, 느슨함제거구동이라 한다)을 실행한다.
또 스핀들(12)의 회전량을 검지함으로써 웨빙(11)의 이동을 검지하기 위한 로터리센서(19)에 의해 장착중의 장착원점에 대한 웨빙권취유무(약한 와인딩 스프링(14)을 통한 권취의 유무)를 검지하고, 이에 따라 시트의 후방이동 또는 시트백의 후방경동을 검지하게 해도 된다.
여기서 말하는 장착원점이라는 것은 다음의 경우를 장착원점으로서 설정된다.
⒜ 시트벨트장착시 구동종료시점
⒝ 느슨함제거 구동종료시점
⒞ 장착중 및 웨빙정지상태에서 소정시간 경과한 시점
⒜에서, 시트벨트장착시 구동이라는 것은 버클스위치(25)에 의해 비장착상태에서 텅(50)이 버클(51)에 장착된 것이 검지되면, 소정의 전력으로 모터(15)를 웨빙(11)의 권취방향으로 구동해서 웨빙(11)을 귄취하고, 드디어 느슨함이 제거되면 소정의 전력으로 구동되어 있는 모터(15)로는 권취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권취는 정지하지만, 이것을 로터리센서(19)로 권취가 정지한 것을 검지하며, 이것이 검지됨으로써 모터(15)를 웨빙(11)의 권취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구동해서 클러치(17)의 해제를 실행하고, 이에 따라 웨빙(11)에는 약한 와인딩 스프링(14)에 의한 약한 권취력만이 작용하게 한다. 이들 일련의 구동을 시트벨트장착시 구동으로 한다. 이 구동이 종료한 시점에서 그 때의 웨빙(11)의 권취량(또는 인출량)을 장착원점으로서 컨트롤러(20) 내의 메모리 RAM에 기억한다.
또 ⒝에서, 느슨함제거구동이라는 것은 장착원점에서 웨빙(11)이 약한 와인딩 스프링(14)에 의해 권취된 것이 로터리센서(12)로 검지된 때에 실행되는 구동으로, 소정의 전력으로 모터(15)를 웨빙(11)의 권취방향으로 구동해서 웨빙(11)을 권취하고, 드디어 느슨함이 제거되면 소정의 전력으로 구동되어 있는 모터(15)로는 권취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권취는 정지하지만, 이것을 로터리센서(19)로 권취가 정지한 것을 검지하며, 이것이 검지되면 모터(15)를 웨빙(11)의 권취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구동해서 클러치(17)의 해제를 실행하고, 이에 따라 웨빙(11)에는 약한 와인딩 스프링(14)에 의한 약한 권취력만이 작용하게 된다. 이들 일련의 구동을 느슨함제거구동으로 한다. 이 구동이 종료한 시점에서 그때의 웨빙(11)의 권취량 (또는 인출량)을 장착원점으로서 컨트롤러(20) 내의 메모리 RAM에 기억한다.
⒞에서는, 버클스위치(25)에 의해 시트벨트의 장착이 검지되고, 또한 승차원이 웨빙(11)의 인출 또는 권취조작을 실행하고 있지 않는 것이 로터리센서(19)에 의해 검지되며, 그리고 이 상태가 소정시간 계속한 경우에 그때의 웨빙(11)의 권취량(또는 인출량)을 장착원점으로서 컨트롤러(20) 내의 메모리 RAM에 기억한다.
다음 도 7을 참조해서 시트벨트장치(10)의 제어동작의 제1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동작의 제1예에서는 시트벨트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 있고, 시트가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 후, 이동이 정지되었거나 또는 시트백이 후방으로 경동(傾動) 후, 경동이 정지된(S101) 경우에 웨빙(11)의 느슨함을 제거하도록 모터(15)를 소정의 전력, 즉 소정의 구동력(본 실시형태에서는 5N~20N의 권취력에 설정된다)으로 권취구동시킨다(S102). 즉, 제1예에서는 시트의 상태변화를 검지하는 시트상태 검지수단은 시트이동 검지수단(23)과 시트백이동 검지수단(24)의 적어도 한쪽에 의해 구성되고, 웨빙의 느슨함을 검지하는 느슨함 검지수단으로서 작용한다. 또한, 시트벨트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나, 시트가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 후 검지되었거나 또는 시트백이 후방으로 경동 후 정지된 경우에는 모터구동은 실행되지 않고 그대로 리턴한다.
이윽고 느슨함이 제거되면 소정의 전력으로는 권취할 수 없기 때문에 모터(15)가 정지한다(S103). 이 정지한 것을 스핀들(12)의 회전량을 검지하는 로터리센서(19)로 검지하고, 정지검지된 경우는 클러치(17)의 해제구동을 실행한 다(S104). 클러치해제는 모터(15)를 권취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구동함으로써 실행되고, 클러치해제 후는 모터(15)의 구동이 정지하며(S105), 스핀들(12)에는 약한 와인딩 스프링(14)에 의한 권취력 밖에 작용하지 않게 되므로, 승차원은 웨빙(11)으로부터의 압박감을 그다지 받지 않고, 웨빙(11)의 인출도 가벼운 힘으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여기서 장착원점세트의 처리(S106)는 도 8에 도시하는 제어동작의 제2예에서 설명한다.
그 다음, 도 8을 참조해서 시트벨트장치(10)의 제어동작의 제2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어동작의 제2예와 제1예의 차이는 시트 또는 시트백의 후방이동검지 또는 경동검지를 웨빙(11)을 감는 스핀들(12)의 회전량을 검지하는 로터리센서(12)로 실행하는 것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벨트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 있으며, 시트가 후방으로 이동된 경우 또는 시트백이 후방으로 경동된 경우에 장착원점보다도 웨빙(11)이 권취측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을 로터리센서(19)로 검지하고, 이것이 검지된(S201) 경우에, 웨빙(11)의 느슨함을 제거하도록 모터(15)를 소정의 전력, 즉, 소정의 구동력(5N~20N의 권취력)으로 권취구동시킨다(S202). 즉, 시트의 상태변화를 검지하는 시트상태 검지수단은 로터리센서(19)에 의해 구성되고, 느슨함 검지수단으로서 작용한다. 또한, 장착원점보다도 웨빙(11)이 권취측으로 이동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모터구동은 실행되지 않고 그대로 리턴된다.
드디어 느슨함이 제거되면 소정의 전력으로는 권취할 수 없으므로 모터(15)가 정지한다. 이 정지한 것을 스핀들(12)의 회전량을 검지하는 로터리센서(19)로 검지하고, 검지된 경우는 클러치(17)의 해제구동을 실행한다(S204). 클러치해제는 모터(15)를 웨빙(11)의 권취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구동함으로써 실행되며, 클러치해제 후에 모터(15)가 정지한다(S205). 이에 따라 스핀들(12)에는 약한 와인딩 스프링(14)에 의한 권취력 밖에 작용하지 않게 되므로, 승차원은 웨빙(11)으로부터의 압박감을 그다지 받지않고, 웨빙(11)의 인출도 가벼운 힘으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또 클러치해제와 동시에 승차원 또는 승차원의 의복 등에 의한 탄성력으로 웨빙(11)은 인출방향으로 어느 정도 이동하지만, 그 이동 후에 장착원점을 세트한다(S206).
또 도 9, 도 10은 상기 느슨함 제거구동 후에 실행되는 장착원점의 설정방법 이외의 시트벨트장착시 구동종료시와, 장착중, 또한 웨빙정지상태에서 소정시간 경과한 시점의 장착원점 설정방법의 플로차트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원점을 설정하는 방법으로는 시트벨트를 장착하려는 승차원이 장착하고, 그 직후에 장착원점을 설정한다. 즉, 먼저 버클스위치(25)에 의해 장착상태가 검지(S211)되고, 비장착의 상태였던 것이 장착상태가 된 경우, 장착직후 여분의 웨빙(11)의 느슨함을 제거하도록 모터(15)를 소정의 전력, 즉, 소정의 구동력(5N~20N의 권취력)으로 권취구동시킨다(S212).
드디어 느슨함이 제거되면 소정의 전력으로는 권취할 수 없기 때문에 모터(15)가 정지한다(S213). 이 정지한 것을 스핀들(12)의 회전량을 검지하는 로터리센서(19)로 검지하고, 정지검지된 경우는 클러치(17)의 해제구동을 실행(S214)하고 모터(15)가 정지(S215)한다. 클러치해제는 모터(15)를 권취방향과는 역방향으 로 회전구동함으로써 실행되고, 클러치해제 후는 스핀들(12)에는 약한 와인딩 스프링(14)에 의한 권취력밖에 작용하지 않게 되므로 승차원은 웨빙(11)으로부터의 압박감을 그다지 받지 않으며, 웨빙(11)의 인출도 가벼운 힘으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이때 클러치해제와 동시에 승차원 또는 승차원의 의복 등에 의한 탄성력으로 웨빙(11)은 인출방향으로 어느 정도 이동하지만, 이 이동 후에 장착원점을 세트한다(S216).
도 10에 도시하는 것처럼, 장착원점을 설정하는 다른 방법은 시트벨트를 장착중의 승차원이 시트 또는 시트백을 기준위치보다도, 예컨대 200mm 전방으로 이동 또는 승차원 자신의 착좌위치를 기준위치보다도, 예컨대 200mm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로 하고, 그 상태에서 잠시 운전 또는 승차하며, 그 다음 시트 또는 시트백을 예컨대 100mm 후방으로 이동 또는 경동(傾動) 또는, 승차원 자신의 착좌위치를 예를 들면 100mm 후방으로 이동한 경우를 생각하면 후방이동(경동)에 의해 웨빙(11)에는 여분의 느슨함이 발생하지만, 스핀들(12)은 장착원점보다도 권취측으로 권취되어 있지 않으므로 느슨함제거는 실행되지 않는다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이다. 즉, 시트벨트장착중이고, 또한 소정시간(예컨대, 3초)동안 웨빙(11)의 이동이 정지상태에 있는(S211) 경우에는 그 위치를 새로운 장착원점으로서 세트(갱신)하는 것이다(S222).
상술한 것과 같이, 시트벨트장치(10)에 의하면 웨빙(11)의 장착중에 웨빙(11)이 느슨해지도록 시트의 상태변화를 검지하면 모터(15)를 웨빙(11)의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제어하므로, 모터(15)를 권취구동시켜서 웨빙(11)을 권취 함으로써 웨빙(11)의 승차원에 대한 느슨함을 제거할 수 있으며, 보다 확실한 웨빙의 장착을 부여한다.
또 시트벨트장치(10)에 의하면 웨빙(11)의 장착중에 웨빙(11)이 느슨해지도록 시트의 상태변화를 검지한 때에 모터(15)를 웨빙(11)의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제어한 후, 모터(15)가 스핀들(12)을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과 역방향의 동력을 발생시켜서 클러치(17)를 동력전달 불가능상태로 하기 위해서 스핀들(12)에는 약한 권취력밖에 작용하지 않게 되며, 사용시에 웨빙(11)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또 시트벨트장치(10)에 의하면, 느슨함 검지수단인 시트상태 검지수단이 시트가 전후로 이동된 것을 검지하는 시트이동 검지수단(23)과 시트백이 기울어진 것을 검지하는 시트백이동 검지수단(24)의 적어도 한쪽, 또는 스핀들(12)의 회전량을 검지하는 로터리센서(19)이므로 시트상태 검지수단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기존의 구성으로 웨빙(11)의 느슨함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시트벨트장치를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제1실시형태와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시트벨트장치의 블록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하는 시트벨트장치의 제어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인 시트벨트장치(10A)는 웨빙(11), 스핀들(12), 리트랙터(13), 와인딩 스프링(14), 모터(15), 기어 어셈블 리(16), 클러치(17), 댐퍼 스프링(18), 로터리센서(19) 및 컨트롤러(20)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터(15)가 동력발생수단을 기어 어셈블리(16), 클러치(17) 및 댐퍼 스프링(18)이 동력전달수단을, 로터리센서(19)가 가이드위치변화 검지수단을, 컨트롤러(20)가 제어수단을 구성한다. 또 제1실시형태의 도 12에 도시된 조정관통(adjust-through)(52)이 위치조정수단을, D형상 링(53)이 웨빙가이드를 구성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로터리센서(19)는 본 발명의 웨빙의 느슨함을 검지하는 느슨함 검지수단을 구성하는 것도 있다.
다음으로, 도 14를 참조해서 시트벨트장치(10A)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주기적으로 실행된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먼저 시트벨트가 미사용 상태인지의 여부가 검지된다(S301). 이것은 컨트롤러(20)에 의해 버클스위치(23)의 상태를 검지함으로써 실행된다. 시트벨트가 사용상태에 있다고 검지되면 그대로 리턴되는 한편, 시트벨트가 미장착의 격납상태, 즉 웨빙(11)이 사용되고 있지 않은 때에 조정관통(52)이 하강되면 D형상 링(53)과 리트랙터(13) 사이의 웨빙(11)에 느슨함이 발생하고, 그 웨빙(11)의 느슨함은 약한 와인딩 스프링(14)에 의해 권취되기 때문에 스핀들(12)이 회전한다(S302).
조정관통(52)의 하강은 스핀들(12)이 회전함으로써 로터리센서(19)로 검지된다. 즉, D형상 링(53)과 리트랙터(14) 사이의 웨빙의 느슨함은 D형상 링(53)과 랩 앵커(55) 사이의 느슨함과 다르고, 권취를 저해하는 D형상 링(53)과 웨빙(11) 사이의 마찰이나 텅(50)의 중량에 의한 부하가 없으므로 권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핀들(12)은 권취측으로 회전하고, 로터리센서(19)에 의해 권취가 있었던 것을 검지할 수 있으며 조정관통(52)이 하강한 것이 검지된다.
조정관통(52)의 하강이 검지되면 D형상 링(27)과 랩 앵커(29) 사이의 웨빙(11)의 느슨함을 제거하도록 컨트롤러(20)로부터 모터(15)를 소정의 전력, 즉, 소정의 구동력(본 실시형태에서는 5N~20N의 권취력)으로 권취구동시켜서 클러치(17)를 계합상태로 한다(S303). 즉, 컨트롤러(20)가 모터(15)를 웨빙(11)의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제어하기 때문에 조정관통(52)이 하강함으로써 느슨해져 있는 웨빙(11)을 권취한다. 따라서, 조정관통(52)이 하강한 때에 웨빙(11)에 느슨함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웨빙(11)이 느슨한 격납상태로 되지 않는다.
드디어 모터(15)의 회전동력에 의해 웨빙(11)의 느슨함이 제거되면 소정의 전력으로는 권취할 수 없으므로 모터(15)가 정지한다. 이 모터(15)가 정지한 것을 스핀들(12)의 회전량으로부터 로터리센서(19)로 검지(S304)하고, 정지가 검지된 경우는 클러치(17)의 해제구동을 실행한다(S305). 클러치해제는 모터(15)를 권취측과는 반대측으로 회전구동함으로써 실행되고 모터(15)가 정지한다(S306). 이에 따라 클러치해제 후는 스핀들(12)에 대해서 약한 와인딩 스프링(14)에 의한 권취력밖에 작용하지 않으므로 사용시에 웨빙(11)을 가벼운 힘으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벨트장치(10A)에 의하면, 조정관통(52)이 하강하고 있으면 컨트롤러(20)가 모터(15)를 웨빙(11)의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제어하기 때문에 조정관통(52)이 하강함으로써 느슨해져 있는 웨빙(11)을 권취한다. 그에 따라 조정관통(52)이 하강한 때에도 웨빙(11)에 느슨함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느슨한 격납상태가 되지 않고 품질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 시트벨트장치(10A)에 의하면, 조정관통(52)이 하강한 것을 검지함으로써 컨트롤러(20)가 모터(15)를 웨빙(11)의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제어한 후에 모터(15)를 동력전달 불가능상태가 되도록 모터(15)에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과 역방향의 동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스핀들(12)에 대해서 약한 권취력밖에 작용하지 않는 상태가 되므로, 사용시에 웨빙(11)을 가벼운 힘으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또 시트벨트장치(10A)에 의하면, 조정관통(52)의 하강이 스핀들의 회전량을 검지하는 로터리센서에 의해 실행되기 때문에 조정관통(52)의 하강을 검지하는 수단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기존의 구성으로 웨빙(11)의 느슨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적당히 변형, 개량 등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클러치의 구조는 일예이며, 그것을 구성하는 부품 등은 어느 것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은 2004년 10월 29일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특원2004-316205), 2004년 10월 29일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특원2004-316215)에 근거한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서 참조로서 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시트벨트장치에 의하면, 웨빙에 느슨함이 발생한 것을 검지하면 동력발생수단을 웨빙의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제어하므로 웨빙의 느슨함을 제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시트벨트장치에 의하면, 웨빙장착 중에 웨빙이 느슨해지는 시트의 상태변화를 검지하면 동력발생수단을 웨빙의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제어하므로, 동력발생수단을 권취구동시켜서 웨빙을 귄취함으로써 웨빙의 승차원에 대한 느슨함을 제거할 수 있으며, 더욱 확실한 웨빙의 장착을 부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벨트장치에 의하면 웨빙장착 중에 웨빙이 느슨해지는 시트의 상태변화를 검지한 때에 동력발생수단을 웨빙의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제어한 후, 동력전달수단을 동력전달 불가능상태로 하기 위해 동력발생수단을 권취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제어하기 때문에, 스핀들에는 약한 권취력밖에 작용하지 않은 상태가 되므로 사용시에 웨빙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트벨트장치에 의하면, 제어수단은 가이드위치 조정수단이 하강한 것을 검지한 때, 동력발생수단을 웨빙의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제어하므로 가이드위치 조정수단이 하강함으로써 느슨해져 있는 웨빙을 권취한다. 그에 따라 가이드위치 조정수단이 하강한 때에도 웨빙에 느슨함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느슨한 격납상태가 되지않고, 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시트벨트장치에 의하면, 가이드위치 조정수단이 하강한 것을 검지한 때, 제어수단이 동력발생수단을 웨빙의 귄춰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제어한 후에 동력전달수단을 동력전달 불가능상태로 하기 위해 동력발생수단에 권취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구동제어하므로, 제어 후는 스핀들에 대해 약한 권취력밖에 작용하지 않는 상태가 되므로 사용시에 웨빙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Claims (12)

  1. 웨빙을 감는 스핀들과,
    상기 스핀들을 소망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수단과,
    상기 동력발생수단이 상기 스핀들을 상기 웨빙의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기 동력을 발생한 때에, 상기 동력발생수단의 동력을 상기 스핀들에 전달가능한 동력전달가능상태로 하고, 상기 동력발생수단이 상기 스핀들을 상기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기 동력과 역방향의 동력을 발생한 때에, 상기 동력발생수단의 상기 동력을 상기 스핀들에 전달불가능하게 하는 동력전달 불가능상태로 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동력발생수단을 구동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웨빙에 느슨함이 발생한 것을 검출하는 느슨함 검지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느슨함 검지수단이 이 느슨함을 검지한 때, 상기 동력발생수단을 상기 웨빙의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느슨함 검지수단이 이 느슨함을 검지한 때 상기 동력 발생수단을 상기 웨빙의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제어한 후, 상기 동력전달수단을 동력전달 불가능상태로 하기 위해 상기 동력발생수단이 상기 권취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느슨함 검지수단은 상기 스핀들의 회전량을 검지하는 로터리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빙을 통과하는 웨빙가이드의 위치를 조정하는 가이드위치 조정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느슨함 검지수단은 상기 가이드위치 조정수단이 하강한 것을 검지하는 가이드위치변화 검지수단이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가이드위치 조정수단이 하강한 것을 검지한 때 상기 동력발생수단을 상기 웨빙의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제어한 후, 상기 동력전달수단을 동력전달 불가능상태로 하기 위해 상기 동력발생수단이 상기 권취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장치.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느슨함 검지수단은 시트의 상태변화를 검지하는 시트상태 검지수단이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웨빙장착 중에 상기 웨빙이 느슨해지는 상기 시트의 상태변화를 검지한 경우에 상기 동력발생수단을 상기 웨빙의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제어한 후, 상기 동력전달수단을 동력전달 불가능상태로 하기 위해 상기 동력발생수단이 상기 권취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장치.
  6. 웨빙을 감는 스핀들과,
    상기 스핀들을 소망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수단과,
    상기 동력발생수단이 상기 스핀들을 상기 웨빙의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기 동력을 발생한 때에 상기 동력발생수단의 동력을 상기 스핀들에 전달가능한 동력전달가능상태로 하고, 상기 동력발생수단이 상기 스핀들을 상기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기 동력과 역방향의 동력을 발생한 때에 상기 동력발생수단의 상기 동력을 상기 스핀들에 전달불가능하게 하는 동력전달 불가능상태로 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동력발생수단을 구동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시트의 상태변화를 검지하는 시트상태 검지수단을 구비한 시트벨트장치로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웨빙장착 중에 상기 웨빙이 느슨해지는 상기 시트의 상태변화를 검지한 경우에 상기 동력발생수단을 상기 웨빙의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웨빙장착 중에 상기 웨빙이 느슨해지는 상기 시트의 상태변화를 검지한 경우에 상기 동력발생수단을 상기 웨빙의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제어한 후, 상기 동력전달수단을 동력전달 불가능상태로 하기 위해 상기 동력발생수단이 상기 권취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장치.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상태 검지수단은 상기 스핀들의 회전량을 검지하는 로터리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장치.
  9.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상태 검지수단은 상기 시트가 전후로 이동된 것을 검지하는 시트이동 검지수단과, 시트백이 기울어진 것을 검지하는 시트백 이동검지수단의 적어도 한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장치.
  10. 웨빙을 감는 스핀들과,
    상기 스핀들을 소망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수단과,
    상기 동력발생수단이 상기 스핀들을 상기 웨빙의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기 동력을 발생한 때에 상기 동력발생수단의 동력을 상기 스핀들에 전달가능한 동력전달가능상태로 하고, 상기 동력발생수단이 상기 스핀들을 상기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기 동력과 역방향의 동력을 발생한 때에 상기 동력발생수단의 상기 동력을 상기 스핀들에 전달불가능한 동력전달 불가능상태로 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동력발생수단을 구동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웨빙을 통과하는 웨빙가이드의 위치를 조정하는 가이드위치 조정수단과,
    상기 가이드위치조정수단의 위치변화를 검지하는 가이드위치변화 검지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가이드위치 조정수단이 하강한 것을 검지한 때 상기 동력발생수단을 상기 웨빙의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가이드위치 조정수단이 하강한 것을 검지한 때 상기 동력발생수단을 상기 웨빙의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제어한 후, 상기 동력전달수단을 동력전달 불가능상태로 하기 위해 상기 동력발생수단에 상기 권취방향과 역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장치.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위치변화 검지수단은 상기 스핀들의 회전량을 검지하는 로터리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장치.
KR1020077008657A 2004-10-29 2005-10-26 시트벨트장치 KR1009793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16215 2004-10-29
JP2004316215 2004-10-29
JPJP-P-2004-00316205 2004-10-29
JP2004316205 2004-10-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3694A true KR20070083694A (ko) 2007-08-24
KR100979324B1 KR100979324B1 (ko) 2010-08-31

Family

ID=36227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8657A KR100979324B1 (ko) 2004-10-29 2005-10-26 시트벨트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61207B2 (ko)
EP (1) EP1813486B1 (ko)
JP (2) JP4772692B2 (ko)
KR (1) KR100979324B1 (ko)
ES (1) ES2400017T3 (ko)
WO (1) WO20060466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09040B4 (de) 2008-02-14 2018-03-22 Trw Automotive Gmbh Gurtaufroller mit elektrischem Vorstraffer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elektrischen Vorstraffers
JP4492732B2 (ja) * 2008-05-13 2010-06-30 株式会社デンソー モータ駆動装置、及び駆動装置状態判定方法
JP5307703B2 (ja) * 2009-12-25 2013-10-0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5531051B2 (ja) * 2012-05-25 2014-06-25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6145368B2 (ja) * 2013-09-13 2017-06-07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TWI593596B (zh) * 2013-10-11 2017-08-01 Kwang Yang Motor Co Power transmission switching device of vehicle having power supply generator
US9211821B2 (en) * 2013-10-25 2015-12-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nti-pinch system for vehicle seating
DE102014212889B4 (de) 2014-07-03 2017-05-18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Gurtaufrollers
GB201413898D0 (en) * 2014-08-06 2014-09-17 Moog Controls Ltd Firing mechanism
DE102014018262B4 (de) * 2014-12-11 2021-08-05 Zf Automotive Germany Gmbh Gurtaufroller mit einem Signalgeberring
US10974692B2 (en) * 2015-09-08 2021-04-13 Tool, Inc. Locking retractor mechanism for a seatbelt system and a method for actuating the same
US10246048B2 (en) 2015-09-08 2019-04-02 Tool, Inc. Direct locking retractor assembly for a seatbelt system and a method for actuating the same
KR101766139B1 (ko) * 2016-05-11 2017-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동식 시트벨트 장치
KR20210060714A (ko) * 2019-11-18 2021-05-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회피 조향 보조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291252A (zh) * 2020-02-21 2021-08-24 奥托立夫开发公司 离合装置
US20220204035A1 (en) * 2020-12-28 2022-06-30 Hyundai Mobis Co., Ltd. Driv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DE102021114837A1 (de) * 2021-06-09 2022-12-15 Zf Automotive Germany Gmbh Reversibler gurtstraffe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756657A1 (de) * 1968-06-22 1970-04-30 Sigmatex Ag Gurtbandaufroller fuer Sicherheitsgurte insbesondere von Kraftfahrzeugen
DE2815918A1 (de) * 1978-04-13 1979-10-18 Daimler Benz Ag Hoehenverstellbare befestigungsanordnung fuer sicherheitsgurte an einem seitenholm eines kraftfahrzeuges
US4659108A (en) * 1985-09-11 1987-04-21 American Safety Equipment Corp. Automatic seat belt adjusting system
DE8701882U1 (ko) * 1987-02-07 1987-04-23 Autoflug Gmbh & Co Fahrzeugtechnik, 2084 Rellingen, De
US4840324A (en) * 1987-12-28 1989-06-2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eat belt retractor having a comfort mechanism with full memory and slack set
US4966394A (en) * 1989-08-31 1990-10-30 Allied-Signal Inc. Automotive passive comfort seat belt system
US5615917A (en) * 1994-11-28 1997-04-0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pparatus for use in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US5765774A (en) * 1996-04-05 1998-06-16 Takata Corporation Seat belt retractor employing ultrasonic motor
DE19648268A1 (de) * 1996-11-21 1998-05-28 Siemens Ag Fahrzeugsitz mit einer Steuervorrichtung
US6499554B1 (en) * 1999-08-06 2002-12-31 Hideaki Yano Seat belt retractor
JP3929171B2 (ja) * 1998-05-19 2007-06-13 株式会社シグマ レンズ鏡筒
JP2001199309A (ja) * 1999-10-12 2001-07-24 Takata Corp シートベルト巻取装置
JP4516172B2 (ja) 1999-12-10 2010-08-04 オートリブ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装置
JP2002012128A (ja) * 2000-07-03 2002-01-15 Tokai Rika Co Ltd シートベルト装置
JP2002203140A (ja) 2000-12-28 2002-07-19 Questec Communications Kk オークション装置および方法
JP4669143B2 (ja) 2001-03-19 2011-04-13 タカタ株式会社 モータリトラクタシステム
JP3924213B2 (ja) 2002-07-11 2007-06-0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及びクラッチ機構
JP3824999B2 (ja) 2003-01-23 2006-09-20 オートリブ・ジャパン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72692B2 (ja) 2011-09-14
EP1813486A1 (en) 2007-08-01
JPWO2006046605A1 (ja) 2008-05-29
US7761207B2 (en) 2010-07-20
US20090048739A1 (en) 2009-02-19
JP2011140308A (ja) 2011-07-21
EP1813486B1 (en) 2012-07-11
EP1813486A4 (en) 2009-03-25
KR100979324B1 (ko) 2010-08-31
JP5189179B2 (ja) 2013-04-24
ES2400017T3 (es) 2013-04-05
WO2006046605A1 (ja) 200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9324B1 (ko) 시트벨트장치
KR101759822B1 (ko) 웨빙 권취 장치 및 시트 벨트 장치
JP4829325B2 (ja) 車両のシートベルト装置
US20070040058A1 (en) Motor retractor and drive control thereof
JP4640963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JP4705058B2 (ja) モータ駆動シートベルト装置
EP2199160B1 (en) Seatbelt apparatus for vehicle
EP2711252B1 (en) Seat belt device
JP4597755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4772691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4498075B2 (ja) モータリトラクタ
JP2010111159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4890288B2 (ja) 車両のシートベルト装置
JP2004306768A (ja) モータリトラクタの駆動制御方法及びモータリトラクタ
JP2006143154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06188087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06069334A (ja) モータリトラクタの駆動制御方法及びモータリトラクタ
JP2006168469A (ja) モータリトラクタ
JP2003246257A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
JP2010179826A (ja) 車両のシートベルト装置
JP2009161038A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
JP2007055308A (ja) モータリトラクタ
JP2013159319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2011183997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