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2856A - Fm송신기 및 이를 이용한 소형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Fm송신기 및 이를 이용한 소형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2856A
KR20070082856A KR1020070011457A KR20070011457A KR20070082856A KR 20070082856 A KR20070082856 A KR 20070082856A KR 1020070011457 A KR1020070011457 A KR 1020070011457A KR 20070011457 A KR20070011457 A KR 20070011457A KR 20070082856 A KR20070082856 A KR 20070082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requency
clock signal
transmitter
ster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1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후미 고모리
Original Assignee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2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28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4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 H04H20/4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 H04H20/4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 H04H20/4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for FM 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0Frequency-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frequency-shift keying
    • H04L27/12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02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20/08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among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nsmitters (AREA)
  • Stereo-Broadcasting Methods (AREA)

Abstract

FM송신기의 회로규모를 축소한다.
스테레오 변조기(10)는, 입력된 오디오 신호(S1L, S1R)를 스테레오 콤퍼지트 신호(S2)로 변환한다. 주파수 변조기(20)는, PLL회로를 포함하고, 스테레오 변조기(10)로부터 출력된 스테레오 콤퍼지트 신호(S2)를 변조신호로서 주파수 변조를 실행한다. 제1 프로그래머블 분주기(40), 제2 프로그래머블 분주기(42)는, 외부에서 입력된 외부클록신호(CKext)를 각각에 설정된 제1 분주비(n1), 제2 분주비(n2)로 분주하여 출력한다. 제1 프로그래머블 분주기(40)로부터 출력되는 제1 클록신호(CK1)를 스테레오 콤퍼지트 신호(S2)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클록신호로 하고, 제2 프로그래머블 분주기(42)로부터 출력되는 제2 클록신호(CK2)를 PLL회로의 기준클록신호로 한다.

Description

FM송신기 및 이를 이용한 소형 전자기기{FM TRANSMITTER AND SMALL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FM송신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는 도 1의 FM송신기의 스테레오 변조기, 주파수 변조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FM송신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관한 FM송신기를 탑재한 소형 전자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스테레오 변조기
12 가산기
13 감산기
14 가산기
15 진폭 변조기
16 멀티플렉서
17 1/2 분주기
20 주파수 변조기
22 VCO
24 분주기
26 위상 비교기
28 루프 필터
29 가산기
30 파워 앰프
40 제1 프로그래머블 분주기
42 제2 프로그래머블 분주기
44 제3 프로그래머블 분주기
50 필터
102 입력단자
104 출력단자
106 클록 입력단자
100 FM송신기
110 메모리
120 오디오 인코더
130 안테나
140 발진기
150 제어부
200 소형 전자기기
S1 스테레오 신호
S2 스테레오 콤퍼지트 신호
S3 고주파 신호
S4 고주파 신호
CK1 제1 클록신호
CK2 제2 클록신호
n1 제1 분주비
n2 제2 분주비
본 발명은, 스테레오 콤퍼지트 신호를 생성하고, 주파수 변조하여 출력하는 FM송신기에 관한 것이다.
오디오 신호를 스테레오 콤퍼지트 신호로 변환하고, 주파수 변조기를 이용하여 주파수 변조하여 출력하는 FM송신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FM송신기는, 오디오 신호를 RCA 케이블 등의 배선을 개재하지 않고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카 오디오의 CD체인지와 메인의 헤드 유닛 사이의 신호의 전송 등에 이용되고 있다. 또, 최근, 하드 디스크 오디오 기기, 메모리 오디오 기기, 음악재생기능을 가지는 휴대전화 단말이 현저한 보급을 보이고 있는데, 이러한 소형 전자기기에 모아둔 악곡 데 이터를 거치형의 오디오 컴포넌트 등의 스피커로부터 재생하는 용도에도 FM송신기가 사용되고 있다.
FM송신기를 휴대전화 단말 등의 소형 전자기기에 내장하는 경우, 회로의 소형화가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된다. FM송신기에서는, 오디오 신호를 스테레오 콤퍼지트 신호로 변환하고, 스테레오 콤퍼지트 신호를 이용하여 주파수 변조를 행하며, 증폭한 후에 안테나로부터 방출한다. 스테레오 콤퍼지트 신호의 생성에는, 38kHz의 부반송파와 19kHz의 파일럿 신호가 사용된다. 또, PLL을 이용한 직접 변조방식에 따라 주파수 변조를 행하는 경우, 반송파의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클록신호가 필요하게 된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 평9-069729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특허공개 평10-013370호 공보
이들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서, 종래의 FM송신기에서는, PLL의 기준클록신호의 주파수(예를 들면, 200kHz)와, 스테레오 콤퍼지트 신호의 생성에 필요한 주파수(19kHz 및 38kHz)의 정수배, 바람직하게는 이들의 공약수배의 주파수로 발진하는 수정 진동자를 FM송신기 전용에 탑재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수정 진동자는 실장면적이 크고 고가이기 때문에, 소형 전자기기의 소형화, 저비용화를 방해하는 요인으로 되어 있었다. 또한, FM송신기에서 필요로 하는 수정 진동자의 발진 주파수는, 소형 전자기기의 다른 블록과 공유하는 것이 어려웠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회로규모를 축소한 FM송신기의 제공에 있다.
본 발명의 어떤 태양의 FM송신기는,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스테레오 콤퍼지트 신호로 변환하는 스테레오 변조기; PLL(Phase Locked Loop)회로를 포함하고, 스테레오 변조기로부터 출력된 스테레오 콤퍼지트 신호를 변조신호로서 주파수 변조를 실행하는 주파수 변조기; 입력된 외부클록신호를 각각에 설정된 제1, 제2 분주비로 분주하여 출력하는 제1, 제2 프로그래머블 분주기;를 구비한다. 제1 프로그래머블 분주기의 출력신호를 스테레오 콤퍼지트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클록신호로 하고, 제2 프로그래머블 분주기의 출력신호를 PLL회로의 기준클록신호로 한다.
이 태양에 의하면, 스테레오 콤퍼지트 신호의 생성용의 기준클록신호와 PLL회로의 기준클록신호를, 프로그래머블 분주기를 이용하여 동일한 외부클록신호로부터 생성하기 때문에, 전용의 발진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회로규모를 축소할 수 있다. 또한, 외부클록신호의 주파수가 FM송신기가 탑재되는 세트마다 다른 경우에서도, 제1, 제2 프로그래머블 분주기의 분주비를 독립으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기준 클록을 얻을 수 있다.
PLL회로의 기준클록신호의 주파수는, 주파수 변조기로부터 출력되는 피변조신호로서 필요한 주파수가 얻어지는 값으로 설정됨과 동시에, 외부클록신호의 주파수는, PLL회로의 기준클록신호의 주파수의 정수배로 설정되어도 된다.
PLL회로의 기준클록신호는, FM송신기의 반송파의 주파수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고정밀도로 생성해야 하는 것에 대해, 스테레오 콤퍼지트 신호의 생성용의 기 준클록신호의 주파수 정밀도는 그만큼 높게 요구되지 않는다. 그래서, 외부클록신호의 주파수와 PLL회로의 기준클록신호의 주파수의 관계를 우선적으로 규정함으로써, FM송신기 전체의 성능을 올릴 수 있다.
어떤 태양의 FM변조기는, 스테레오 변조기의 전단에 설치되고, 입력된 오디오 신호의 대역을 보정하며, 스테레오 변조기로 출력하는 필터; 외부클록신호를 설정된 제3 분주비로 분주하여 출력하는 제3 프로그래머블 분주기;를 더 구비해도 된다. 필터를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스위치드 커패시터 필터로 구성함과 동시에, 제3 프로그래머블 분주기의 출력신호를 스위칭 소자를 온 오프하기 위한 클록신호로서 이용해도 된다.
이 경우, 제3 프로그래머블 분주기를 추가함으로써, 스위치드 커패시터 필터에 필요한 클록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회로를 간소화할 수 있다.
외부클록신호는, 본 FM송신기가 탑재되는 세트의 시스템 클록이어도 된다. FM송신기를 상술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1, 제2 프로그래머블 분주기의 분주비를 독립으로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클록신호의 주파수는 특정의 값에 한정되는 일은 없다. 그래서, 세트의 시스템 클록을 기원으로서 FM송신기의 내부의 클록신호를 생성함으로써, FM송신기 전용의 발진기가 불필요하게 되고, 세트를 간소화할 수 있다.
FM송신기는, 하나의 반도체 기판 상에 일체 집적화되어도 된다. 「일체 집적화」란, 회로의 구성요소의 전부가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는 경우나, 회로의 주요 구성요소가 일체 집적화되는 경우가 포함되고, 회로 상수의 조절용으로 일부의 저항이나 커패시터 등이 반도체 기판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FM송신기를 하나의 LSI로서 집적화함으로써, 회로면적을 삭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소형 전자기기이다. 이 소형 전자기기는, 소정의 주파수의 시스템 클록을 생성하는 발진기; 발진기에 의해 생성되는 시스템 클록이 입력된 FM송신기; FM송신기의 출력신호를 외부로 송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구비한다.
이 태양에 의하면, FM송신기를 간소화함으로써, 기기 전체를 소형화, 간소화할 수 있다.
또, 이상의 구성요소의 임의의 조합이나, 본 발명의 구성요소나 표현을 방법, 장치, 시스템 등의 사이에서 서로 치환한 것도 본 발명의 태양으로서 유효하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FM송신기(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FM송신기(100)는, 입력단자(102)에 입력된 L채널과 R채널로 이루어지는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S1L, S1R)를 스테레오 콤퍼지트 신호로 변환하고, 또 주파수 변조한 후에, 증폭하고, 출력단자(104)로부터 출력한다. FM송신기(100)는, 하나의 반도체 기판 상에 기능 IC로서 일체 집적화되어 있다. 또, 입력단자(102)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모노럴이어도 된다.
우선, FM송신기(100)에서의 신호처리의 내용을 개략 설명한다. 스테레오 변조기(10)는, 입력된 오디오 신호(S1L, S1R)를 스테레오 콤퍼지트 신호(S2)로 변환한다. 주파수 변조기(20)는, 후술한 바와 같이, PLL회로를 포함하고, 스테레오 변 조기(10)로부터 출력된 스테레오 콤퍼지트 신호(S2)를 변조신호로서 주파수 변조를 실행한다. 주파수 변조기(20)는, 반송 주파수를 가지는 고주파 신호(S3)를 파워 앰프(30)로 출력한다. 파워 앰프(30)는, 입력된 고주파 신호(S3)를 증폭하고, 출력단자(104)로부터 출력한다.
클록 입력단자(106)에는, 외부클록신호(CKext)가 입력된다. 이 외부클록신호(CKext)의 주파수의 조건으로서는 미리 FM송신기(100)의 사양으로서 결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어느 태양의 FM송신기(100)에서는, 외부클록신호(CKext)의 주파수는, 10MHz~20MHz의 사이에서 소정의 주파수 폭(Δf)마다 쪼개진 주파수의 어느 하나로서 입력되는 것으로 한다.
제1 프로그래머블 분주기(40)는, 외부에서 입력된 외부클록신호(CKext)를 미리 설정된 제1 분주비(n1)로 분주하고, 스테레오 변조기(1O)에 출력한다. 즉, 스테레오 변조기(10)에 입력되는 제1 클록신호(CK1)의 주파수(f1)는, 외부클록신호(CKext)의 주파수(fext)를 이용하여 f1=fext/n1로 주어진다. 제1 프로그래머블 분주기(40)로부터 출력되는 제1 클록신호(CK1)는, 스테레오 변조기(10)에서 스테레오 콤퍼지트 신호(S2)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클록신호로서 사용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분주비(n1)는, 제1 클록신호(CK1)의 주파수(f1)가 38kHz에 가장 가까운 값이 되도록 설정한다.
제2 프로그래머블 분주기(42)는, 외부클록신호(CKext)를 미리 설정한 제2 분주비(n2)로 분주하고, 주파수 변조기(20)에 출력한다. 즉, 주파수 변조기(20)에 입력되는 제2 클록신호(CK2)의 주파수(f2)는, 외부클록신호(CKext)의 주파수(fext)를 이용하여 f2=fext/n2로 주어진다. 제2 프로그래머블 분주기(42)로부터 출력되는 제2 클록신호(CK2)는, 주파수 변조기(20)의 PLL회로의 기준클록신호로서 사용된다.
도 2는, 도 1의 FM송신기(100)의 스테레오 변조기(10), 주파수 변조기(20)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처음에, 스테레오 변조기(10), 주파수 변조기(20)의 구성, 동작에 대해서는 널리 알려져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간단히 설명한다. 이후의 도면에 있어서, 상술한 구성요소와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하고, 적절한 설명을 생략한다.
스테레오 변조기(10)는, 가산기(12), 감산기(13), 가산기(14), 진폭 변조기(15), 멀티플렉서(16), 1/2 분주기(17)를 포함한다. 가산기(12)는, L채널과 R채널의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가산하고, 합 신호(L+R)를 생성한다. 감산기(13)는, L채널과 R채널의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로부터 차 신호(L-R)를 생성한다. 진폭 변조기(15)는, 차 신호(L-R)를 이용하여, 도 1의 제1 프로그래머블 분주기(40)로부터 출력된 38kHz의 제1 클록신호(CK1)를 진폭 변조한다. 멀티플렉서(16)는, 합 신호(L+R)를 진폭 변조기(15)로부터 출력되는 부반송파(S1')를 합성한다. 1/2 분주기(17)는, 38kHz의 제1 클록신호(CK1)를 1/2 분주하고, 19kHz의 파일럿 신호(Sp)를 생성한다. 가산기(14)는, 멀티플렉서(16)의 출력신호와 파일럿 신호(Sp)를 합성하여 스테레오 콤퍼지트 신호(S2)를 생성한다.
주파수 변조기(20)는, VCO(22), 분주기(24), 위상 비교기(26), 루프 필터(28), 가산기(29)를 포함한다.
VCO(22)는, 제어전압(Vcnt)에 따른 주파수로 발진한다. VCO(22)의 출력신 호(S3)는, 피변조신호로서 외부에 출력됨과 동시에, 분주기(24)에 입력된다. 분주기(24)는, VCO(22)의 출력신호(S3)의 주파수(frf)를 1/n(n은 자연수)로 분주하고, 귀환신호(Sfb)를 출력한다. 위상 비교기(26)에는, 분주기(24)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frf/n)의 귀환신호(Sfb)를 기준클록신호(CKref)와 비교하고, 2개의 신호의 위상차에 따른 전압(이하, 위상차 전압(Vpc)이라 함)을 출력한다. PLL회로의 기준클록신호(CKref)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의 제2 프로그래머블 분주기(42)로부터 출력되는 제2 클록신호(CK2)이다.
루프 필터(28)는, 위상 비교기(26)로부터 출력되는 위상차 전압(Vpc)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고, 가산기(29)에 출력한다. 가산기(29)는, 스테레오 변조기(10)로부터 출력된 스테레오 콤퍼지트 신호(S2)를 루프 필터(28)의 출력신호에 중첩하고, 제어전압(Vcnt)으로서 출력한다.
VCO(22)의 출력신호(S3)는, 반송 주파수(frf=CK2×n)이고, 스테레오 콤퍼지트 신호(S2)에 따라 주파수 변조된 신호가 된다.
여기서, PLL회로의 기준클록신호(CKref(=CK2))의 주파수는, 주파수 변조기(20)로부터 출력되는 피변조신호(S3)로서 필요한 주파수가 얻어지는 값으로 설정된다. 즉, 피반송파의 주파수를 100kHz단계에서 변화시키고자 하는 경우, 기준클록신호(CKref)의 주파수는 100kHz 혹은 그 약수로 설정한다. 만일, 주파수 변조기(20)의 후단에 1/2 분주기를 더 설치하고, 출력신호(S3)를 1/2분주한 후에, 후단의 블록에 출력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 기준클록신호(CKref)는 200kHz 혹은 그 약수로 설정한다. 또, 외부클록신호(CKext)의 주파수(fext)는, PLL회로의 기준클록신 호(CKref(=CK2))의 주파수(f2)의 정수배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FM송신기(100)에 의하면, 스테레오 콤퍼지트 신호(S2)의 생성용의 기준클록신호(CK1)와 PLL회로의 기준클록신호(CK2(=CKref))를 프로그래머블 분주기를 이용하여 동일한 외부클록신호(CKext)로부터 생성한다. 그 결과, 전용의 발진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회로규모를 축소할 수 있다. 또한, 외부클록신호(CKext)의 주파수가 FM송신기가 탑재되는 세트마다 다른 경우에서도, 제1 프로그래머블 분주기(40), 제2 프로그래머블 분주기(42)의 분주비(n1, n2)를 독립으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스테레오 변조기(10), 주파수 변조기(20)에서 필요하게 되는 원하는 기준 클록을 얻을 수 있다.
또한, PLL회로의 기준클록신호(CKref(=CK2))는, FM송신기(100)의 반송파의 주파수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고정밀도로 생성해야 하는 것에 대해, 스테레오 콤퍼지트 신호 생성용의 기준클록신호(CK1)의 주파수 정밀도는 그만큼 높게 요구되지 않는다. 그래서, 외부클록신호(CKext)의 주파수와 PLL회로의 기준클록신호(CKref(=CK2))의 관계를 외부클록신호(CKext)와 제1 클록신호(CK1)의 관계보다도 우선적으로 규정함으로써, FM송신기 전체의 성능을 올릴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에서는, FM송신기(100)에 있어서, 스테레오 변조기(10)의 전단에 설치되는 필터를 스위치드 커패시터를 이용하여 구성한다. 도 3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FM송신기(100a)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제1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FM송신기(100a)는, 도 1의 구성요소에 덧붙여, 필터(50), 제3 프로그래머블 분주기(44)를 더 구비한다. 필터(50)는, 스테레오 변조기(10)의 전단에 설치되고, 입력된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S1L, S1R)의 대역을 보정하며, 스테레오 변조기(10)에 출력한다. 예를 들면, 필터(50)는, 로우 패스 필터, 프리앰퍼시스 필터 등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들의 필터의 적어도 일부는, 커패시터 및 스위칭 소자를 이용한 스위치드 커패시터 필터로서 구성된다.
제3 프로그래머블 분주기(44)는, 외부클록신호(CKext)를 미리 설정된 제3 분주비(n3)로 분주하고, 필터(50)에 공급한다. 제3 프로그래머블 분주기(44)로부터 출력되는 제3 클록신호(CK3)는, 필터(50) 내부의 스위칭 소자를 온 오프하기 위한 클록신호로서 사용된다.
스위치드 커패시터 필터의 주파수 특성은, 내부의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주파수에 의존한다. 그래서, 스위칭 소자에 공급하는 클록신호를 외부클록신호(CKext)에 기초하여, 분주비가 조절 가능한 제3 프로그래머블 분주기(44)를 이용하여 생성함으로써, 새로운 발진기를 부가하지 않고, 회로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외부클록신호(CKext)의 주파수가 변화한 경우에서도, 제3 프로그래머블 분주기(44)의 제3 분주비(n3)를 적절한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필터(50)의 대역특성을 원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상,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FM송신기의 구성,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다음에, 실시형태에 관한 FM송신기(100)의 응용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FM송신기(100)는, 예를 들면 오디오 재생기능을 가지는 휴대전화 단말 등의 소형 전자기 기에 매우 적합하게 탑재할 수 있다. 도 4는, 실시형태에 관한 FM송신기를 탑재한 소형 전자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소형 전자기기(200)는, FM송신기(100), 메모리(110), 오디오 인코더(120), 안테나(130), 발진기(140), 제어부(150)를 구비한다.
발진기(140)는, 소정의 발진 주파수를 가지고 있고, 소형 전자기기(200)의 시스템 클록(CKsys)을 생성한다. 메모리(110)에는, 오디오 데이터가 압축 혹은 비압축의 형식으로 기록되어 있다. 오디오 인코더(120)는, 메모리(11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DA)를 판독하고, 필요에 따라 인코드하여, 오디오 신호(S1L, S1R)를 생성하며, FM송신기(100)에 출력한다. FM송신기(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테레오 변조, 주파수 변조를 행하고, 또 증폭한 고주파 신호(S4)를 안테나(130)에 출력한다.
오디오 인코더(120), 제어부(150)는, 시스템 클록신호(CKsys)에 의해 소정의 연산처리를 행한다. 또한, 이 시스템 클록신호(CKsys)는, FM송신기(100)에 외부클록신호(CKext)로서 입력된다.
제어부(150)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프로세서로서, 발진기(140)의 발진 주파수, 즉 시스템 클록신호(CKsys)의 주파수에 따라, FM송신기(100)의 제1 프로그래머블 분주기(40), 제2 프로그래머블 분주기(42) 등의 분주비(n1, n2) 등을 설정한다. 분주비의 설정은, FM송신기(100)에 레지스터 등을 준비하고, 외부에서 값을 변경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실현할 수 있다.
도 4의 소형 전자기기(200)에 의하면, 시스템 클록신호(CKsys)를 FM송신기(100)의 외부클록신호로서 이용하고, 다른 회로 블록의 클록신호로서 이용하기 때문에, 하나의 발진기로 동작시킬 수 있다. 즉, FM송신기 전용으로 고가의 수정 진동자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세트의 소형화,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FM송신기(100)가 시스템 클록신호의 주파수가 다른 세트에 탑재되는 경우에서도 제1 프로그래머블 분주기(40), 제2 프로그래머블 분주기(42) 등의 분주비(n1, n2)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안정된 스테레오 변조, 주파수 변조를 실현할 수 있다. 즉, FM송신기(100)는, 탑재되는 세트의 시스템 클록에 제한되지 않고, 종래의 FM송신기에 비해 범용성이 높다는 이점도 가진다.
실시형태는 예시이고, 그들의 각 구성요소나 각 처리공정의 조합에 여러가지 변형예가 가능한 것, 또한 그러한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이해되는 바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FM송신기의 회로규모를 축소할 수 있다.

Claims (6)

  1.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스테레오 콤퍼지트 신호로 변환하는 스테레오 변조기;
    PLL(Phase Locked Loop)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레오 변조기로부터 출력된 스테레오 콤퍼지트 신호를 변조신호로서 주파수 변조를 실행하는 주파수 변조기; 및
    입력된 외부클록신호를 각각에 설정된 제1, 제2 분주비로 분주하여 출력하는 제1, 제2 프로그래머블 분주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프로그래머블 분주기의 출력신호를 상기 스테레오 콤퍼지트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클록신호로 하고, 상기 제2 프로그래머블 분주기의 출력신호를 상기 PLL회로의 기준클록신호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FM 송신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PLL회로의 기준클록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주파수 변조기로부터 출력되는 피변조신호로서 필요한 주파수가 얻어지는 값으로 설정됨과 동시에,
    상기 외부클록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PLL회로의 기준클록신호의 주파수의 정수배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M 송신기.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 변조기의 전단에 설치되고, 입력된 상기 오디오 신호의 대역 을 보정하여, 상기 스테레오 변조기에 출력하는 필터;
    상기 외부클록신호를 설정된 제3 분주비로 분주하여 출력하는 제3 프로그래머블 분주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필터를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스위치드 커패시터 필터로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3 프로그래머블 분주기의 출력신호를 상기 스위칭 소자를 온 오프하기 위한 클록신호로서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FM 송신기.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외부클록신호는, 본 FM 송신기가 탑재되는 세트의 시스템 클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FM 송신기.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하나의 반도체 기판 상에 일체 집적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FM 송신기.
  6. 소정의 주파수의 시스템 클록을 생성하는 발진기;
    상기 발진기에 의해 생성되는 시스템 클록이 입력된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FM 송신기;
    상기 FM 송신기의 출력신호를 외부로 송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자기기.
KR1020070011457A 2006-02-17 2007-02-05 Fm송신기 및 이를 이용한 소형 전자기기 KR200700828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40950 2006-02-17
JP2006040950A JP2007221558A (ja) 2006-02-17 2006-02-17 Fm送信機およびこれを用いた小型電子機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2856A true KR20070082856A (ko) 2007-08-22

Family

ID=38428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1457A KR20070082856A (ko) 2006-02-17 2007-02-05 Fm송신기 및 이를 이용한 소형 전자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195961A1 (ko)
JP (1) JP2007221558A (ko)
KR (1) KR20070082856A (ko)
CN (1) CN101026424A (ko)
TW (1) TW20073774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6694A (ja) * 2005-09-28 2007-04-12 Neuro Solution Corp Fmトランスミッタ
JP6028927B2 (ja) 2013-03-27 2016-11-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振動子の製造方法、振動子、および発振器
CN109462409A (zh) * 2017-09-06 2019-03-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据分享方法、处理方法、装置、终端及通话会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2019A (en) * 1974-06-14 1975-08-26 Rockwell International Corp Fm broadcast exciter apparatus
JPS61139136A (ja) * 1984-12-11 1986-06-26 Sony Corp 送受信装置
US4704727A (en) * 1985-11-27 1987-11-03 Beard Terry D Low noise and distortion FM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JPH01233935A (ja) * 1988-03-15 1989-09-19 Sony Corp スイッチトキャパシタフィルタを用いたスペクトル反転秘話装置
US5119503A (en) * 1991-02-19 1992-06-02 Mankovitz Roy J Apparatus and methods for broadcasting auxiliary data in an FM stereo broadcast system
JP2628126B2 (ja) * 1992-03-09 1997-07-09 日立電子株式会社 無線機およびその音声伝送方法
US5771441A (en) * 1996-04-10 1998-06-23 Altstatt; John E. Small, battery operated RF transmitter for portable audio devices for use with headphones with RF receiver
JP3859767B2 (ja) * 1996-05-27 2006-12-20 ローム株式会社 Fmステレオ送信機
DE19630405C2 (de) * 1996-07-26 1998-07-02 Sgs Thomson Microelectronics Einrichtung zum Verändern der Eckfrequenz eines Tiefpaßfilters
DE19630330C2 (de) * 1996-07-26 1998-11-19 Sgs Thomson Microelectronics Audiosignalprozessor
JP2000228635A (ja) * 1999-02-05 2000-08-15 Rohm Co Ltd Fm送信機
JP2001127599A (ja) * 1999-10-26 2001-05-11 Asahi Kasei Microsystems Kk 基準クロック生成回路および携帯機
JP4126661B2 (ja) * 2004-07-20 2008-07-30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37749A (en) 2007-10-01
CN101026424A (zh) 2007-08-29
JP2007221558A (ja) 2007-08-30
US20070195961A1 (en) 2007-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6228B2 (en) Frequency modulator and FM transmission circuit using the same
US4211975A (en) Local signal generation arrangement
US6300841B1 (en) Atomic oscillator utilizing a high frequency converting circuit and an active, low-integral-number multiplier
US7835772B2 (en) FM output portable music player with RDS capability
US20090011729A1 (en) Fm transmitter
KR20070082856A (ko) Fm송신기 및 이를 이용한 소형 전자기기
US20050156676A1 (en) Synthesizer and calibrating method for the same
US20070237333A1 (en) FM transmitter using switched capacitor filter
JPWO2006114941A1 (ja) クロック発生回路およびオーディオシステム
US9602053B2 (en) Audio FM transmitter
JP2008219860A (ja) Fm送信機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20070203596A1 (en) Fm transmission
JP2009027685A (ja) Fmステレオ送信機およびそのデジタル化された周波数変調ステレオ多重化回路
US815034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dio conversion
US20080176524A1 (en) FM transmitter device
JP4892466B2 (ja) アナログデジタル回路
JP2007158857A (ja) Fm送信回路
WO2007040095A1 (ja) ステレオ変調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fmステレオ変調器
KR100694622B1 (ko) Fm 송신기
JP4354454B2 (ja) ステレオ変調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fm送信回路
KR100492989B1 (ko) Rf 모듈레이터
US20100177902A1 (en) Audio transmission system
US20080187142A1 (en) Fm transmitter
JP2007159006A (ja) Fm送信回路
JP2007221338A (ja) 周波数変調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fm送信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