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8949A - 채널부하에 따라 송신신호레벨을 조절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채널부하에 따라 송신신호레벨을 조절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8949A
KR20070078949A KR1020060009440A KR20060009440A KR20070078949A KR 20070078949 A KR20070078949 A KR 20070078949A KR 1020060009440 A KR1020060009440 A KR 1020060009440A KR 20060009440 A KR20060009440 A KR 20060009440A KR 20070078949 A KR20070078949 A KR 20070078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level
reference current
timing controll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9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3746B1 (ko
Inventor
남장진
전용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9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3746B1/ko
Priority to TW096103480A priority patent/TWI349176B/zh
Priority to US11/700,167 priority patent/US8004486B2/en
Publication of KR20070078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8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3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3746B1/ko
Priority to US13/137,436 priority patent/US847709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42Devices for removing cooking fum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ooking range e.g. downdraf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1Removing cooking fumes mounting of cooking hoo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23Compensation for problems related to R-C delay and attenuation in electrodes of matrix panels, e.g. in gate electrodes or on-substrate video signal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6Handl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s [EMI], covering emitted as well as received electromagnetic radi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8Details of image data interface between the display device controller and the data line driver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Transmitter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채널부하에 따라 송신신호레벨을 조절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타이밍 컨트롤러, 다수의 칼럼드라이버, 게이트 드라이버 및 패널을 구비한다. 상기 다수의 칼럼드라이버는 타이밍 컨트롤러와의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부하를 가진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칼럼드라이버들의 부하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의 레벨을 출력한다. 상기 다수의 칼럼드라이버는 소정의 그룹으로 나누어지며, 제 1그룹은 제 1내지 제 2칼럼드라이버로 나뉜다. 상기 제 2칼럼드라이버는 타이밍컨트롤러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레벨에 반비례하는 데이터 및 전류를 제 1칼럼드라이버에 전송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트롤러와 칩간에 부하의 크기에 따라 신호 레벨을 조절하여 소비 전류 감소 및 EMI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PPDS(point-to- point diferential signaling), ABSI(Advanced Bus System Interface)

Description

채널부하에 따라 송신신호레벨을 조절하는 장치{Device for adjusting transmit signal level based on channel loading}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밍 컨트롤러 및 칼럼드라이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밍 컨트롤러 및 칼럼드라이버의 내부 블락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밍 컨트롤러 및 칼럼 드라이버의 송수신부 내부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신호에 따른 출력 전류 레벨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하나의 컨트롤러와 다수의 반도체 칩들을 구비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채널 부하의 크기에 따라 송신 신호의 레벨을 조절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컨트롤러(controller)와 다수의 반도체 칩(chip)이 점대점(point-to-point)으로 연결된 구조에서는 컨트롤러와 각 칩 사이의 채널 로딩은 칩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안정적인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컨트롤러의 구동 세기(driving strength) 설계시, 가장 큰 부하를 갖는 채널의 경우를 고려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이러한 일괄적인 접근 방식은 상대적으로 작은 부하를 갖는 채널의 경우에도 필요 이상의 신호대 잡음비(SNR) 값을 갖게 한다. 일반적으로 칩의 채널수가 증가할수록 컨트롤러와 칩간에 채널 길이의 차이는 더욱 증가하게 된다. 이 경우, 데이터 수신에 필요한 충분한 노이즈 마진(noise margin)을 확보하기 위해 컨트롤러는 가장 멀리 위치한 칩의 신호의 레벨를 증가할 필요가 있다. 가장 먼 칩을 기준으로 모든 채널에 동일한 신호의 레벨을 공급할 경우, 컨트롤러와 가까운 칩에서는 전력낭비 또는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전자방해)가 발생하고, 상대적으로 컨트롤러와 먼거리에 위치한 칩은 신호를 제대로 수신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컨트롤러와 칩간에 부하의 크기에 따라 신호 레벨을 조절하여 소비 전류 및 EMI를 감소시키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액정 표시 장치는 타이밍 컨트롤러, 복수의 칼럼드라이버, 게이트 드라이버 및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칼럼드라이버들 각각의 채널부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칼럼드라이버들 각각으로 전송하는 신호의 레벨을 조절한다. 상기 복수의 칼럼들은 데이터 라인을 구동한다.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게이트 라인을 구동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게이트 라인들 각각과 상기 데이터 라인들 각각의 교차점에 해당하는 픽셀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상기 복수의 칼럼드라이버는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어진다. 상기 그룹중 제 1그룹은 제 1칼럼 드라이버 및 제 2칼럼드라이버를 구비한다. 상기 제 1칼럼 드라이버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제 2칼럼드라이버를 위한 제어신호 및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 2칼럼드라이버로 전송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반도체 장치는 복수의 반도체 칩 및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들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복수의 반도체 칩들 각각의 채널 부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들 각각으로 전송하는 신호의 레벨을 조절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타이밍 컨트롤러(90), 복수의 칼럼 드라이버들(210, 220…,280), 다수의 게이트 드라이버(300) 및 디스플레이 패널(400)을 구비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90)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90)와 각 칼럼드라이버(210,…,280)간의 채널 부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칼럼드라이버들(210, 220…,280) 각각으로 전송하는 신호의 레벨를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90)는 각 칼럼드라이버(210,…,280)로 제어 신호 및 소스 데이터(화상 데이터)를 전류 신호로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90)는 전송되는 전류 신호의 레벨을 조절한다. 그러나, 전류 신호의 레벨 조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압 신호의 레벨이 조절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칼럼 드라이버들(210, 220…,280)은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90)와의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채널 부하를 가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칼럼드라이버들(210, 220…,280)은 타이밍 컨트롤러(90)와 거리가 멀수록 큰 부하를 가진다. 상기 큰 부하를 가지는 칼럼 드라이버 일수록 타이밍 컨트롤러(90)는 신호의 레벨을 증가시켜 송신한다. 즉, 타이밍 컨트롤러(90)와 칼럼드라이버(210, 220…,280)의 거리에 따라 신호의 레벨은 비례한다. 상기 복수의 칼럼 드라이버(210,…,280)는 상기 패널(400)의 일부를 구동하는 제 1 소스드라이버그룹(200)과 다른 일 부를 구동하는 제 2소스드라이버그룹(290)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제 1소스드라이버그룹(200)의 제 1내지 제 4칼럼 드라이버들(210,220,230 및240)은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90)와의 거리에 따라 신호레벨이 조절된 신호를 각각 수신한다. 마찬가기로, 상기 제 2소스드라이버그룹(290)의 제 5내지 8칼럼 드라이버들(250,…,280)은 상기 제 1소스드라이버그룹(200)과 동일하게 동작한다. 상기 제 1칼럼 드라이버(210)와 제 8칼럼 드라이버(280)는 타이밍 컨트롤러(90)와 동일한 거리를 가지고 양쪽에 배치되며, 동일한 크기의 신호의 레벨을 수신하여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Y11,…,Yln, Yn1,…,Ymn)을 구동한다. 제 4 칼럼 드라이버(240) 및 5칼럼 드라이버(250)는 타이밍 컨트롤러(90)와 동일한 거리를 가지고 양쪽에 배치되며, 동일한 크기의 레벨을 수신하여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Y41,…,Y4n, Y51,…Y5n)을 구동한다. 이런 식으로, 제 1칼럼 내지 제 8칼럼 드라이버(210,…,280)는 거리에 따라 다른 신호 레벨를 갖는 신호를 수신하여 대응하는 데이터 라인들(Y11,…,Y1n,…, Y81,…Y8n)을 구동한다.
게이트 드라이버(310, 320, …, 33n)는 상기 제어신호들과 게이트 턴-온/턴-오프 전압들(미도시)에 기초하여 게이트 라인들(G11~G1n,…,Gn1~Gnm)을 구동하는 게이트 라인 구동신호들을 출력한다. 상기 칼럼 드라이버(210, …, 280) 및 게이트 드라이버들(310, 320, …, 33n)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패널(400)은 데이터 라인 구동신호들과 상기 게이트 라인 구동신호들에 응답하여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타이밍 컨트롤러(90)는 각 칼럼 드라이버(210, …, 280)와 점대점(point-to- point) 방식으로 연결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50)의 타이밍 컨트롤러(90) 및 칼럼드라이버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50)는 타이밍 컨트롤러(90) 및 다수의 칼럼 드라이버들(205,206,…,223)을 구비한다. 도 2에서는 도시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50) 역시 도 1에 도시된 게이트 드라이버(300) 및 패널(400)을 구비한다.
상기 다수의 칼럼 드라이버(205,206,…,223)는 타이밍 컨트롤러(90)와의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채널 부하를 가진다. 상기 다수의 칼럼 드라이버(205,206,…,223)는 두 개의 칼럼드라이버 단위로 그룹화된다. 제 1그룹(510)은 제 1 칼럼 드라이버(CD1) 및 제 2 칼럼 드라이버(CD2)로 구성된다. 제 2그룹(미도시)은 제 3 칼럼드라이버(미도시) 및 제 4칼럼 드라이버(미도시)로 구성된다. 이런식으로, 제 1내지 제 16 칼럼드라이버(CD1~CD16)는 8개의 그룹(510,…, 540, 550, …, 580)으로 나누어진다. 상기 칼럼드라이버들의 개수는 변경 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그룹화되는 칼럼드라이버 개수 또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 1내지 4그룹(501)은 패널(400)의 일부를 구동하며 제 5내지 제 8그룹(599)은 패널(400)의 다른 일부를 구동한다. 각 그룹(510,…, 540, 550, …, 580)의 하나의 칼럼드라이버(206, 214, 215, 222)는 타이밍 컨트롤러(90)와 점대점(point-to-point) 방식으로 연결된다. 각 그룹(510,…, 540, 550, …, 580)에서 나머지 칼럼드라이버(205, 213, 216, 223)는 해당 그룹내의 다른 칼럼 드라이버(206,214,215,222)와캐스케이드(Cascade) 방식으로 연결된다.
상기 타이밍컨트롤러(90)는 점대점 방식으로 연결되는 각 칼럼 드라이버(206, 214, 215, 222)의 채널 부하에 따라 전류신호(I1~I8)의 레벨을 조절하여 출력한다. 점대점 방식으로 연결되는 각 칼럼 드라이버(206, 214, 215, 222) 중 제2 칼럼 드라이버(206) 및 제15 칼럼 드라이버(222)가 상대적으로 가장 큰 채널 부하를 가지고, 제8 칼럼 드라이버(214) 및 제9 칼럼 드라이버(215)가 상대적으로 가장 작은 채널 부하를 가진다.
상기 제 2칼럼드라이버(206)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90)로부터 제 1칼럼드라이버(205)를 위한 제어신호 및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1칼럼드라이버(205)로 전송한다. 이 때, 상기 제 2칼럼드라이버(206)는 상기 전류신호(I1)에 반비례하는 칼럼기준전류(ICD)를 전송한다. 이런식으로, 상기 각 제 1내지 제 8그룹(510~580)에서 점대점 방식으로 연결되는 각 칼럼 드라이버(206, 214, 215, 222)는 전류신호(I1~I8)를 수신하여 상기 전류신호(I1~I8)에 반비례하는 각 칼럼기준전류(ICD)를 캐스케이드 방식으로 연결되는 다른 칼럼 드라이버(205, 213, 216, 223)로 전송한다.
상기 제 2칼럼 드라이버(206) 및 제 1칼럼드라이버(205)간의 상세한 기준전류 송수신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밍 컨트롤러 및 칼럼드라이버의 내부 블락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타이밍 컨트롤러(90)는 송신부(91)를 구비한다. 도 3에는 편의상 하나의 송신부(91)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타이밍 컨트롤러(90)에는 칼럼 드 라이버의 수 혹은 그룹수 만큼의 송신부가 별도로 구비되어, 각 송신부마다 송신 신호 레벨을 조절하게 된다.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90)는 타이밍 컨트롤러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각 송신부의 송신 신호 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n0, n1)을 발생하는 프로세서(혹은 CPU, 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제 2칼럼 드라이버(206)는 제 1송수신부(55) 및 제 2송수신부(60) 및 코어부(Core Array; 595)를 구비한다. 상기 제 1송수신부(55)는 제 1수신부(Rx: 50) 및 제1송신부(Tx: 54)를 구비한다. 상기 제 2송수신부(60)는 제 2수신부(62) 및 제 2송신부(64)를 구비한다.
제 1칼럼 드라이버(205)는 제 3수신부(67), 제 3송신부(68) 및 코어부(596)를 구비한다. 상기 코어부(595,596)는 쉬프트 레지스터, 래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및 출력 버퍼 등을 구비한다(미도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90)의 송신부(91)는 소정의 제어 신호(n0, n1)에 응답하여 기준 전류(Iref)의 레벨을 조절하여 전송한다. 기준 전류(Iref)는 DC 전류로서, 타이밍 컨드롤러(90)에서 각 칼럼 드라이버로 전송되는 데이터 전류 신호(미도시)를 수신하는데 기준이 되는 신호이다. 데이터 전류 신호(ITX)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전류(Iref)를 중심으로 소정의 스윙폭을 가지고 상하로 스윙하는 신호이다.
제 1수신부 (50)및 제 2수신부(62)는 상기 기준전류(Iref)를 수신한다. 제 1수신부(50)는 상기 기준전류(Iref)를 수신하여 상기 코어부(595)를 구동한다. 여기서, 제1송신부(54)는 상기 기준전류(Iref)을 수신하지 않으며, 상기 제 2칼럼드라 이버(206)에 캐스케이드 방식으로 연결되는 칼럼드라이버 수가 증가 될 때 동작하게 된다. 상기 제 2수신부(62)는 상기 송신부(91)가 수신하는 제어신호와 동일한 제어신호(n0, n1)를 수신한다. 제 2수신부(62)는 상기 제어 신호(n0, n1)에 응답하여, 상기 기준전류(Iref)의 레벨에 반비례하는 제 1바이어스신호(Vb)를 생성한다. 상기 제 2송신부(64)는 상기 제 1바이어스신호(Vb)에 기초하여 칼럼기준전류(ICD)를 생성하여 제2채널(97)을 통해 제 1칼럼드라이버(205)로 출력한다.
제 3수신부(67)는 제2 채널(97)을 통하여 칼럼기준전류(ICD)를 수신하여 제2 바이어스전압(Vb')로 변환한다. 제3송신부(68)는 상기 제 2바이어스전압(Vb')를 수신하지 않으며, 그룹내의 칼럼드라이버가 수가 늘어나, 제1 칼럼 드라이버(205)에 캐스케이드로 연결되는 칼럼 드라이버가 존재할 경우 동작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밍 컨트롤러(90) 및 칼럼 드라이버의 송수신부 내부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타이밍 컨트롤러(90)의 송신부(91)는 제 1저항(R1), 및 다수의 엔모스트랜지스터들(N1,…,N7)을 구비한다. 제 2칼럼드라이버(206)의 제 2수신부(62)는 다수의 피모스트랜지스터들(P1,…,P7), 및 다수의 엔모스트랜지스터들(N8~N11) 을 구비한다. 제 2칼럼드라이버(206)의 제 2송신부(64)는 다수의 엔모스 트랜지스터들(N12~N13)을 구비한다. 타이밍 컨트롤러(90)의 송신부(91)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 1엔모스트랜지스터(N1)는 상기 각각의 제 2내지 제 4엔모스트랜지스터(N2~N4)와 전류 미러(Current Mirror) 형태로 접속된다 .전원(VCC)으로부터 제 1 저항(R1)을 통하여 제1 노드(NO1)로 흐르는 전류를 I라 하면, 제1 엔모스트랜지스터(N1)의 사이즈(폭대 길이비, W/L) 대비 제2 내지 제4 엔모스 트랜지스터(N2~N4)의 사이즈 비를 조절함으로써, 기준 전류(Iref)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는, 제1 엔모스트랜지스터(N1)의 사이즈(X1) 대비 제2 내지 제4 엔모스 트랜지스터(N2~N4)의 사이즈 비는 1:2:1이다.
제5 엔모스 트랜지스터(N5)는 항상 턴온 상태이고, 제6 및 제7 엔모스 트랜지스터(N6, N7)는 제어 신호(n1, n0)에 각각 응답하여 턴온/턴오프된다. 따라서, 기준 전류(Iref)는 제어 신호(n1, n0)에 따라 그 레벨이 조절된다.
제 2송수신부(60)의 제 2수신부(62)의 구성 및 동작을 좀 더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 1피모스트랜지스터(P1)는 상기 제 2내지 제 4피모스트랜지스터(P2~P4)와 전류 미러(Current Mirror) 형태로 접속된다. 제1 피모스트랜지스터(P1)의 사이즈(W/L비, X4) 대비 제2 내지 제4 피모스 트랜지스터(P2~P4)의 사이즈 비를 조절함으로써, 기준 전류(Iref)대비 제3 노드(NO3)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는, 제1 피모스트랜지스터(P1)의 사이즈(X4) 대비 제2 내지 제4 피모스 트랜지스터(P2~P4)의 사이즈 비는 1/4:2/4:1/4이다. 즉, 제1 피모스트랜지스터(P1)의 사이즈(X4)를 4라 하면, 제2 내지 제4 피모스 트랜지스터(P2~P4)의 사이즈는 각각 1, 2, 1이다.
제5 피모스 트랜지스터(P5)는 항상 턴온 상태이고, 제6 및 제7 피모스 트랜지스터(N6, N7)는 제어 신호(n1, n0)에 각각 응답하여 턴온/턴오프된다. 따라서, 제3 노드(NO3)에 흐르는 전류는 제어 신호(n1, n0)에 따라 그 레벨이 조절된다.
예를 들어, 제어신호(n1, n0)가 (1,1)이 입력되면 상기 제 1피모스 트랜지스터(P1)에 흐르는 기준전류는 4I가 흐르고, 상기 제 5피모스 트랜지스터(P5)만 턴온되며, 제 6 및 제 7피모스 트랜지스터(P6,P7)는 턴 오프된다. 따라서, 제 3노드(NO3)에 흐르는 기준전류는 1I가 된다. 제3 노드(NO3)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제1 바이어스 전압(Vb) 역시 달라지므로, 제1 바이어스 전압(Vb) 역시 제어 신호(n1, n0)에 따라 그 레벨이 조절된다.
제 8엔모스 트랜지스터(N8)는 채널(96)을 통하여 타이밍 컨트롤러(90)와 연결되어, 컨트롤러(90)로부터 전송되는 기준 전류(Iref)를 수신한다. 제9 엔모스트랜지스터(N9)는 일종의 증폭기(amplifier)로서, 입력 노드로 부 궤환(negative feedback)을 주어 제8 엔모스트랜지스터(N8)의 소오스(source) 저항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류원(61)은 제9 엔모스트랜지스터(N9)에 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타이밍 컨트롤러가 4개의 그룹별(22=4)로 신호 레벨을 제어하므로, 최소 2비트의 제어신호(n1, n0)가 필요하다. 보다 정밀한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추가적인 비트 할당도 가능하다.제 10엔모스 트랜지스터(N10)는 상기 제 3출력노드(NO3)와 제 11엔모스 트랜지스터(N11)사이에 위치하며, 제12엔모스트랜지스터(N12)와 전류 미러 형태로 접속된다. 상기 제 12엔모스 트랜지스터(N12)는 채널(97)와 제 13엔모스 트랜지스터(N13) 사이에 위치한다. 제 11엔모스트랜지스터 (N11)는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항상 턴온 상태이다. 제 13엔모스 트랜지스터(N13)는 소정의 제어신호(VCON)에 응답하여 턴온/턴오프된다.제 13엔모스트랜지스터(N13)는 칼럼기준전류(ICD)의 생성 여부를 제어한다. 즉, 제 13엔모스트랜지스터(N13)가 턴오프되면, 칼럼기준전류(ICD)는 생성되지 않으며, 제 13엔모스트랜지스터(N13)가 턴온 상태일 때 비로소 칼럼기준전류(ICD)가 생성될 수 있다.
도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신호(n1, n0)에 따른 전류 레벨을 나타내는 표와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5a는 타이밍 컨트롤러에 입력되는 제어신호(n1, n0)에 따라 출력되는 기준전류(Iref) 및 데이터 전류(ITX)의 레벨을 나타낸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타이밍 컨트롤러(90)의 송신부(91)는 제어신호(n1,n0)를 수신하여 각 칼럼 드라이버의 채널부하의 크기에 비례하는 신호의 레벨을 출력한다. 예를들어, (a)는 채널 부하가 가장 큰 경우로서 제어신호(n1,n0)가 (1,1)일 때 타이밍 컨트롤러(90)의 데이터전류(ITX) 및 기준전류(Iref)를 나타낸것이다. (b), (c) 및 (d)는 제어신호(n1,n0)가 (1,0), (0, 1) 및 (0,0)일 때의 데이터전류(ITX) 및 기준전류(Iref)를 각각 나타낸것이다.
그래프 및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채널 부하에 따라 데이터전류(ITX)는 1AC 부터 4AC까지 4단계로 조절되며, 기준 전류(Iref) 역시 I 부터 4I까지 4단계로 조절된다.
도 5b는 제어신호(n1, n0)에 따라 제 2수신부(62)로부터 출력되어 제 2송신부(64)로 입력되는 칼럼기준전류(ICD) 및 데이터 전류(IAC)의 레벨을 나타낸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 2수신부(62)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90)로부터 수신되는 기준전류(Iref)의 레벨에 반비례하는 상기 칼럼기준전류(ICD)을 발생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수신부(62)에서 발생되는 칼럼기준전류(ICD)의 레벨은 수신되는 기준전류(Iref)의 레벨에 상관없이 거의 일정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액정 디스플레이장치의 칼럼드라이버의 부하의 크기에 따라 신호의 레벨을 달리하여 제어 방식 및 칼럼드라이버간에 전류 송수신을 제어하는 방식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다. 본 발명은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뿐만 아니라. 컨트롤러와 다수의 반도체 칩간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방식에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부하의 크기가 서로 다른 다수의 반도체 칩을 하나의 컨트롤러가 각 채널 부하에 따라 신호의 레벨을 달리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신호는 전류 신호가 전압 신호가 될 수 있다. 전압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에는, 채널 부하에 따라 전압 신호의 전압 레벨이 조절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 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와 칩간에 부하의 크기에 따라 신호의 레벨을 조절하여 소비 전류 감소 및 EMI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게이트 라인들, 데이터 라인들 및 상기 게이트 라인들 각각과 상기 데이터 라인들 각각의 교차점에 존재하는 다수의 픽셀들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게이트 라인들을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드라이버;
    상기 데이터 라인들을 구동하는 복수의 칼럼 드라이버들; 및
    상기 복수의 칼럼 드라이버들을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칼럼 드라이버들 각각의 채널 부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칼럼 드라이버들 각각으로 전송하는 신호의 레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소정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전류 및 기준 전류의 레벨을 조절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칼럼 드라이버들은
    복수의 그룹으로 나뉘어지며,
    각 그룹에 속하는 칼럼 드라이버들 중 제1 칼럼 드라이버는 상기 타이밍 컨 트롤러로부터 제2 칼럼 드라이버를 위한 데이터 전류 및 기준 전류를 수신하여 제2 칼럼 드라이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칼럼 드라이버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수신한 기준 전류의 레벨에 반비례하는 칼럼 기준전류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칼럼 드라이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칼럼 드라이버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수신한 기준 전류의 레벨에 무관하게 일정한 레벨의 칼럼 기준전류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칼럼 드라이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칼럼 드라이버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기준전류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준 전류의 레벨을 조절하여 상기 제 2 칼럼 드라이버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소정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신호의 전압 레벨을 조절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8. 복수의 반도체 칩; 및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들 각각의 채널 부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들 각각으로 전송하는 신호의 레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반도체 칩을 구비하는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소정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전류 및 기준 전류의 레벨을 조절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반도체 칩을 구비하는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소정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신호의 전압 레벨을 조절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반도체 칩을 구비하는 장치.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들은
    복수의 그룹으로 나뉘어지며,
    각 그룹에 속하는 반도체 칩들 중 제1 반도체 칩은 상기 컨트롤러와 점대점 방식으로 연결되며, 제2 반도체 칩은 상기 제1 반도체 칩과 캐스캐이드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반도체 칩을 구비하는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도체 칩은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레벨에 무관하게 일정한 레벨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반도체 칩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반도체 칩을 구비하는 장치.
  13. 복수의 반도체 칩들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들 각각의 채널 부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들 각각으로 전송하는 신호의 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프로세서; 및
    각각이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들 중 대응하는 반도체 칩으로 신호의 레벨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복수의 송신부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
KR1020060009440A 2006-01-31 2006-01-31 채널부하에 따라 송신신호레벨을 조절하는 장치 KR100773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440A KR100773746B1 (ko) 2006-01-31 2006-01-31 채널부하에 따라 송신신호레벨을 조절하는 장치
TW096103480A TWI349176B (en) 2006-01-31 2007-01-31 Device for adjusting transmission signal level based on channel loading
US11/700,167 US8004486B2 (en) 2006-01-31 2007-01-31 Device for adjusting transmission signal level based on channel loading
US13/137,436 US8477093B2 (en) 2006-01-31 2011-08-16 Device for adjusting transmission signal level based on channel loa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440A KR100773746B1 (ko) 2006-01-31 2006-01-31 채널부하에 따라 송신신호레벨을 조절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8949A true KR20070078949A (ko) 2007-08-03
KR100773746B1 KR100773746B1 (ko) 2007-11-09

Family

ID=38427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9440A KR100773746B1 (ko) 2006-01-31 2006-01-31 채널부하에 따라 송신신호레벨을 조절하는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8004486B2 (ko)
KR (1) KR100773746B1 (ko)
TW (1) TWI349176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726B1 (ko) * 2007-10-10 2010-05-18 주식회사 아나패스 신호의 왜곡 및/또는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25435B1 (ko) * 2008-12-23 2013-11-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40006360A (ko) * 2012-07-04 2014-01-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8860697B2 (en) 2007-10-10 2014-10-14 Anapass Inc. Display driving device capable of reducing distortion of signal and/or power consumption,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150073642A (ko) * 2013-12-23 2015-07-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이밍 제어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60056166A (ko) * 2014-11-11 2016-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표시 구동장치, 영상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68700B1 (en) 1998-01-27 2007-09-11 Hoffberg Steven M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9818136B1 (en) 2003-02-05 2017-11-14 Steven M. Hoffberg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contingent relevance
US7590589B2 (en) 2004-09-10 2009-09-15 Hoffberg Steven M Game theoretic prioritization scheme for mobile ad hoc networks permitting hierarchal deference
US8874477B2 (en) 2005-10-04 2014-10-28 Steven Mark Hoffberg Multifactorial optimization system and method
KR100773746B1 (ko) * 2006-01-31 2007-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채널부하에 따라 송신신호레벨을 조절하는 장치
EP1968252A1 (en) * 2007-03-08 2008-09-10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of routing and resource allo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855995B1 (ko) * 2007-05-23 2008-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장치 및 방법
TWI336464B (en) * 2007-07-04 2011-01-21 Au Optronics Corp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TWI378437B (en) 2007-09-28 2012-12-0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Multi-level point-to-point transmission system and transmitter circuit and receiver circuit thereof
US9264228B2 (en) * 2013-02-14 2016-02-16 BBPO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 secure display module
CN105139812B (zh) * 2014-05-27 2018-01-30 奇景光电股份有限公司 数据传送与接收方法以及数据传输系统
CN104537999B (zh) * 2015-01-08 2017-08-08 北京集创北方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依据系统复杂程度灵活配置的面板内部接口及其协议
US10445284B2 (en) * 2016-06-21 2019-10-15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Display apparatus, signal transmitter, and data transmitting method for display apparatus
US10494731B2 (en) 2017-12-11 2019-12-03 Applied Materials, Inc. Electroplating dynamic edge control
CN114758610A (zh) * 2020-12-28 2022-07-15 矽创电子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的驱动架构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1946A (ja) 1984-11-30 1986-06-19 Fujitsu Ltd 伝送レベル制御方式
JPH06214527A (ja) 1993-01-18 1994-08-05 Sharp Corp 出力回路
JP3418074B2 (ja) 1996-06-12 2003-06-16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の駆動装置および駆動方法
US6653998B2 (en) * 2000-12-19 2003-11-25 Winbond Electronics Corp. LCD driver for layout and power savings
KR20030068824A (ko) 2002-02-18 2003-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전압의 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회로및 방법
JP3742357B2 (ja) * 2002-03-27 2006-02-01 ローム株式会社 有機el駆動回路およびこれを用いる有機el表示装置
KR100840330B1 (ko) * 2002-08-07 2008-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에 사용하는 구동 집적 회로
US6956402B2 (en) * 2003-01-30 2005-10-18 Agilent Technologies, Inc. Multi-devic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oltage peaking of an output signal transmitted between integrated circuit devices
GB2399242B (en) 2003-03-05 2006-02-08 Central Research Lab Ltd A circuit arrangement for driving a liquid crystal display
JP2004279482A (ja) * 2003-03-12 2004-10-07 Sharp Corp 表示装置
JP4327493B2 (ja) 2003-04-18 2009-09-09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における信号伝送回路
US7050033B2 (en) * 2003-06-25 2006-05-23 Himax Technologies, Inc. Low power source driver for liquid crystal display
JP2005156708A (ja) 2003-11-21 2005-06-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信号伝送装置
KR20070000163A (ko) * 2005-06-27 2007-01-0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표시패널 구동방법
KR20070000287A (ko) * 2005-06-27 2007-01-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자방출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TWI269264B (en) 2005-12-30 2006-12-21 Richtek Technology Corp Power circuit of panel gate driving circuit of TFT LCD
KR100773746B1 (ko) * 2006-01-31 2007-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채널부하에 따라 송신신호레벨을 조절하는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726B1 (ko) * 2007-10-10 2010-05-18 주식회사 아나패스 신호의 왜곡 및/또는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8860697B2 (en) 2007-10-10 2014-10-14 Anapass Inc. Display driving device capable of reducing distortion of signal and/or power consumption,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325435B1 (ko) * 2008-12-23 2013-11-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40006360A (ko) * 2012-07-04 2014-01-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50073642A (ko) * 2013-12-23 2015-07-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이밍 제어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60056166A (ko) * 2014-11-11 2016-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표시 구동장치, 영상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US9852679B2 (en) 2014-11-11 2017-1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riv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95048A1 (en) 2007-08-23
TWI349176B (en) 2011-09-21
US8004486B2 (en) 2011-08-23
US20120044236A1 (en) 2012-02-23
TW200732879A (en) 2007-09-01
KR100773746B1 (ko) 2007-11-09
US8477093B2 (en) 201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3746B1 (ko) 채널부하에 따라 송신신호레벨을 조절하는 장치
KR100491382B1 (ko) 버퍼 회로를 보상하는 슬루 레이트와 임피던스에 대한 방법 및 장치
US6563337B2 (en) Driver impedance control mechanism
US7649519B2 (en) Source drivers having controllable output currents and related display devices and methods
US5585744A (en) Circuits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power loss during transfer of data across a conductive line
KR100738961B1 (ko) 반도체 메모리의 출력 드라이빙 장치
US10943558B2 (en) EDP MIPI DSI combination architecture
KR101275796B1 (ko) 전송 라인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직렬 인터페이스데이터 전송 장치
US20110062985A1 (en) Semiconductor device
KR100307634B1 (ko) 전류제어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패킷 방식 반도체 메모리장치
US7368951B2 (en) Data transmission circuit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with two transmission modes
KR102366974B1 (ko) 인터페이스 회로 및 인터페이스 장치
US8502813B2 (en)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level shifter,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emiconductor device
KR20080091925A (ko)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평판 표시장치
US7667531B2 (en) Signal transmission circuit
US7372302B1 (en) High speed, out-of-band differential pin driver
US10810922B2 (en)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panel
US200501279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lew
US8817010B2 (en) Circuit for controlling data driv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3817536B2 (ja) スケーラブル・プリドライバ−ドライバ・インターフェース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WO2022130880A1 (ja) 送信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210295897A1 (en) Memory device including data input/output circuit
EP4365882A1 (en) Data driving device
JP3549493B2 (ja) 信号伝送回路
US20040047428A1 (en) Transmitter for outputting differential signals of different voltage lev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