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5334A - 건반덮개가 적소에 위치된 건반 악기 및 건반덮개용 회전커넥터 - Google Patents

건반덮개가 적소에 위치된 건반 악기 및 건반덮개용 회전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5334A
KR20070075334A KR1020070003156A KR20070003156A KR20070075334A KR 20070075334 A KR20070075334 A KR 20070075334A KR 1020070003156 A KR1020070003156 A KR 1020070003156A KR 20070003156 A KR20070003156 A KR 20070003156A KR 20070075334 A KR20070075334 A KR 20070075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unt
cover plate
rotary connecto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3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0839B1 (ko
Inventor
다까미쯔 스즈끼
아끼라 나까무라
아끼오 스즈끼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75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5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0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0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02Ca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전방 건반덮개(31)와, 후방 건반덮개(32)와, 이들 사이에 연결되는 힌지(30)는 한 쌍의 회전 커넥터(CON)에 의해 피아노 캐비넷(100)의 측면 아암(13) 사이에 연결되는 건반덮개 조립체(UNT)를 함께 형성하며, 각각의 회전 커넥터(CON)는 전방 건반덮개(31)의 측면에 연결되는 전방 금속판(35)과 측면 아암(13)의 바닥면에 연결되고 리세스(20)를 한정하는 후방 금속판(50)과 회전 댐퍼(55)을 포함한다. 리세스(20)는 회전 댐퍼(55)와 미리 결합된 후방 금속판(50)보다 넓기 때문에, 후방 금속판(50)은 전후 방향과 상하 방향에 의해 한정되는 가상면 상에서 이동 가능하다. 작업자가 회전 커넥터(CON)의 최적 위치를 찾는 동안, 태핑 나사(59)는 작업자가 주요 구멍(52) 또는 보조 구멍(53)을 통해 측면 아암(13)에 나무나사를 끼우도록 리세스(20) 내에 후방 금속판(50)을 유지한다.
건반 악기, 건반덮개 조립체, 회전 커넥터, 회전 댐퍼, 금속판

Description

건반덮개가 적소에 위치된 건반 악기 및 건반덮개용 회전 커넥터{KEYBOARD MUSICAL INSTRUMENT WITH FALLBOARD LOCATED AT PROPER POSITION AND ROTARY CONNECTOR USED FOR FALLBOARD}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건반 악기의 주요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2는 도1의 A-A 선을 따라 취한 건반 악기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절개 측면도.
도3은 회전 커넥터의 구성 부품을 도시한 부분 측면도.
도4는 건반 악기의 캐비넷의 일부를 형성하는 측면 아암의 전방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5a 내지 도5c는 볼트와 측면 아암에 형성된 볼트 구멍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6은 캐비넷과 건반덮개 조립체 사이에 마련되는 회전 커넥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7은 건반덮개 조립체(UNT)의 거동을 도시하는 도1의 A-A 선을 따라 취한 부분 절개 측면도.
도8은 조립 작업 동안 접혀 있는 건반덮개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1의 A-A 선을 따라 취한 부분 절개 측면도.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건반 악기에 합체된 회전 커넥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10은 회전 커넥터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11은 다른 회전 커넥터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12는 다른 회전 커넥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UNT: 건반덮개 조립체
CON: 회전 커넥터
11: 건반대
12: 열쇠봉
13: 측면 아암
14: 상부 전방판
15: 고무 버튼
16: 건 보조목
100: 피아노 캐비넷
41: 백건
42: 흑건
17: 경사 블록
18: 건 중지 레일
19: 안내 블록
30: 힌지
31: 전방 건반덮개
32: 후방 건반덮개
33: 슬라이더
35, 50: 금속판
37: 고정 핑거부
38: 가동 핑거부
39: 바인더
40: 피봇
55: 회전 댐퍼
본 발명은 건반 악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반덮개가 건반 악기의 캐비넷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건반 악기와 건반덮개 및 캐비넷 사이에서 사용되는 회전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다음의 설명에서, "전방"은 후방으로 지정되는 위치보다 손가락으로 음악을 연주할 준비가 된 연주자에 더 가까운 위치를 지시한다. 전방 위치와 이에 대응하는 후방 위치 사이에 그어진 선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측방향은 전후 방향과 직교한다. "상하 방향"은 전후 방향과 측방향에 의해 한정되는 평면에 수직이다. "우"와 "좌"는 건반 악기 상에서 손가락으로 연주하는 연주자에 대해 결정된다.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은 가동형 구성 부재가 도시된 도면 또는 도면들 의 지면 상에서 결정된다. "우"와 "좌"는 악기로 곡조를 연주하는 연주자에 대해 결정된다.
피아노는 건반 악기의 전형적인 예이다. 피아노 캐비넷은 전방으로 수평 돌출한 건반대를 가지며 키보드는 건반대 상에 장착된다. 연주자가 건반 상에서 곡조를 연주하는 동안, 건반덮개는 피아노 캐비넷의 상부 전방판에 대해 세워진다. 연주자가 연주실을 떠날 때 연주자는 건반덮개로 건반을 덮는다. 따라서, 건반덮개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변경된다.
피아노의 건반덮개는 일반적으로 피아노 캐비넷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회전 커넥터가 건반덮개에 요구된다. 통상적인 회전 커넥터의 예가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소)63-41898호에 개시되어 있다. 회전 커넥터는 건반덮개가 키보드의 전방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는 열쇠봉 상에 부드럽게 놓이도록 만들기 때문에, 이런 종래의 회전 커넥터를 "회전 댐퍼"라 한다.
종래의 회전 댐퍼는 실린더와 샤프트와 스프링을 포함한다. 스프링은 샤프트에 감겨 있고 샤프트는 스프링과 함께 실린더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다. 한 쌍의 종래의 회전 댐퍼가 건반덮개와 피아노 캐비넷 사이에 마련된다. 실린더는 건반덮개의 보스부 내에 내장되고 샤프트는 보스부로부터 비스듬히 돌출하고 샤프트는 금속 소켓에 의해 피아노 캐비넷에 고정된다. 소켓은 피아노 캐비넷의 측면 아암에 고정된다. 연주자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건반덮개를 변경하는 동안, 샤프트는 종래의 회전 댐퍼로 인해 건반덮개가 피아노 캐비넷에 대해 회전될 수 있도록 실린더 내에서 회전된다. 샤프트는 연주자가 종래의 회전 댐퍼의 도움 을 받아 열쇠봉 상에 건반덮개를 부드럽게 내려놓도록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까지의 회전시 스프링으로 파지된다.
열쇠봉과 건반덮개 간의 끼움 작업시 종래의 회전 댐퍼는 한 가지 문제에 직면한다. 종래의 회전 댐퍼가 건반덮개에 적절히 삽입될 때, 건반덮개의 전방단은 열쇠봉에 정확히 씌워지고 열쇠봉과 건반덮개 간의 경계에는 어떤 단차도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건반덮개와 열쇠봉을 가공함에 있어서 오차가 불가피하게 발생한다. 또한, 조립 작업자가 보스부에 실린더를 어떠한 공차도 없이 장착하는 것은 어렵다. 가공 오차와 조립 오차로 인해 건반덮개는 열쇠봉에서 약간 오프셋된다.
종래의 회전 댐퍼는 건반덮개와 열쇠봉 간의 끼움 작업을 어렵게 만든다. 이는 조립 작업자가 삽입 및 고정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건반덮개의 측면 상의 목표 위치와 측면 아암의 측면 상의 목표 위치에 실린더와 소켓을 조정할 수 있다는 사실 때문이다. 종래의 회전 댐퍼에 고유한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제조자는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의 소켓을 마련할 수 있다. 조립 작업자가 건반덮개와 열쇠봉 사이에 단차를 허용한 경우, 조립 작업자는 건반덮개와 열쇠봉 사이의 경계로부터 단차를 없애기 위해 소켓들을 다른 크기의 소켓으로 교체한다. 그러나,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의 소켓을 마련하는 것은 비용을 증가시킨다. 또한, 서로 다른 크기의 소켓을 교체함에 있어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제조 비용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건반덮개와 캐비넷 사이에 마련되어 조립 작업자가 캐비넷에 대해 적정 위치로 건반덮개를 조 정할 수 있게 하는 회전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회전 커넥터에 의해 캐비넷에 적절히 연결된 건반덮개를 구비한 건반 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악기의 케이스와 케이스의 측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덮개판 사이에 마련되며, 덮개판 및 케이스 중 하나에 연결되는 고정부와, 덮개판 및 케이스 중 다른 것에 연결되고 고정부에 대해 회전 가능한 회전부와, 고정부 및 회전부 중 하나에 연계되어 고정부 및 회전부 중 상기 연계된 하나가 케이스의 상하 방향과 전후 방향에 의해 한정되는 가상면 상에서 최적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조정기를 포함하는 회전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전후 방향, 측방향 및 상하 방향을 갖는 케이스와, 측방향으로 배열되고 케이스 상에 장착되는 음조의 피치를 특정하기 위한 매니퓰레이터 어레이와, 케이스에 의해 지지되고 측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매니퓰레이터 어레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판과, 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매니퓰레이터 어레이에 연결되는 음조 생성을 위한 음조 생성 시스템과, 케이스 및 덮개판 사이에 마련되되 각각 덮개판 및 케이스 중 하나에 연결되는 고정부와 덮개판 및 케이스 중 다른 것에 연결되고 고정부에 대해 회전 가능한 회전부와 고정부 및 회전부 중 하나에 연계되어 고정부 및 회전부 중 연계된 하나가 상하 방향과 전후 방향에 의해 한정되는 가상면 상에서 최적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조정기를 포함하는 회전 커넥터를 포함하는 음조 생성을 위한 악기 가 마련된다.
회전 커넥터와 건반 악기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 도면과 함께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을 구현하는 악기는 케이스와 매니퓰레이터 어레이와 덮개판과 음조 생성 시스템과 회전 커넥터를 포함한다. 케이스는 편평부를 가지며 그 내부에는 내측 공간이 한정되어 있다. 매니퓰레이터 어레이는 편평부 상에 장착되고 음조 생성 시스템은 케이스에 수용된다. 케이스는 전후 방향과 측방향과 상하 방향을 가지며 매니퓰레이터 어레이는 측방향으로 배열된다. 연주자는 조정기를 통해 음조의 피치를 특정하고 음조 생성 시스템은 특정된 피치로 음조를 생성한다.
덮개판은 측방 연장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케이스와 덮개판 사이에 연결된 회전 커넥터를 거쳐 케이스에 의해 지지된다. 매니퓰레이터의 어레이는 덮개판으로 덮힌다. 덮개판이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회전될 때, 매니퓰레이터의 어레이는 연주자가 피치를 특정할 수 있도록 연주자에게 노출된다. 덮개판이 폐쇄 위치에 안착되어 있는 동안, 매니퓰레이터 어레이는 손상이 방지된다.
각각의 회전 커넥터는 고정부와 회전부와 위치 조정기를 포함한다. 고정부는 덮개판과 케이스 중 하나에 연결되고 회전부는 덮개판과 케이스 중 다른 것에 연결된다. 회전부는 고정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회전 커넥터는 연주자가 축을 중심으로 덮개판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허용한다.
위치 조정기는 고정부와 회전부 중 하나와 연계되어 마련된다. 비록 위치 조정기는 덮개판과 케이스 상에서의 조립 작업을 제외하고는 무용하지만, 작업자는 위치 조정기로 인해 덮개판과 케이스를 적절하고 용이하게 조립한다. 작업자는 덮개판과 케이스를 조립할 때 덮개판을 케이스에 대해 최적 위치에 위치시키게 된다. 작업자가 덮개판을 최적 위치에 위치시키지 못할 경우, 덮개판과 케이스 간의 경계가 비정상적인 것으로 확인된다. 그러면 작업자는 고정부와 가동부 중 하나를 상하 방향과 전후 방향에 의해 한정되는 가상면 상의 최적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상황에서, 위치 조정기는 고정부와 가동부를 재사용 가능하게 만든다. 즉, 고정부나 가동부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할 필요가 없다. 이는 위치 조정기가 고정부나 회전부를 최적 위치로 이동시키기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회전 커넥터는 건반 악기의 생산비를 저감시킨다.
제1 실시예
도1과 도2를 참조하면, 직립식 피아노로 분류된 피아노는 일반적으로 건반(KB)과, 액션 유닛(AC)과, 해머(HM)와, 댐퍼(DM)와, 현(ST)과, 피아노 캐비넷(100)과, 건반덮개 조립체(UNT)와, 한 쌍의 회전 커넥터(CON)을 포함한다. 액션 유닛(AC)과 해머(HM)와 댐퍼(DM)와 현(ST)은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주지된 것들이다. 따라서, 도1에서 액션 유닛(AC)의 어레이와, 해머(HM)의 어레이와, 댐퍼(DM)의 어레이는 가상선으로 지시되었으며 그 구조와 동작에 대하여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설명하지 않는다. 비록 도1에는 피아노의 좌측 반부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지만, 우측 반부는 좌측 반부와 대칭을 이룬다.
피아노 캐비넷(100)은 다리 기둥(미도시)에 의해 지지되고 상부 개구를 통해 외측으로 개방된 내부 공간을 한정한다. 피아노 캐비넷(100)은 건반(KB))이 장착되는 편평부를 가지며, 액션 유닛(AC)과 해머(HM)와 댐퍼(DM)와 현(ST)은 피아노 캐비넷(100)에 수용된다.
건반(KB)은 백건(41)과 흑건(42)을 포함하며, 백건(41)과 흑건(42)은 주지된 패턴으로 측방향으로 놓여 있다. 백건(41)과 흑건(42)은 독립적으로 음조를 조정하며 안착 위치와 최종 위치 사이에서 이동된다. 건반(KB)은 건반덮개 조립체(UNT)로 덮히고 연주자는 건반덮개 조립체(UNT)를 피아노 캐비넷(100)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건반(KB)을 노출시킨다.
액션 유닛(AC)은 백건(41)과 흑건(42)의 후방부 위에 마련되고 백건(41)과 흑건(42)의 후방부는 각각 액션 유닛(AC)과 링크된다. 해머(HM)들은 액션 유닛(AC) 위에 마련되어 각각 액션 유닛(AC)의 잭(jack, 미도시)들과 링크된다. 잭들이 관련 해머(HM)들로부터 이탈될 때, 해머(HM)들은 현(ST) 쪽으로 회전 구동된다. 현(ST)들은 각각 해머(HM)들 위에서 신장되고 해머(HM)들은 회전 마지막 지점에서 관련 현(ST)들과 충돌한다.
연주자는 백건(41)과 흑건(42) 중 어느 하나의 전방부를 누르게 된다. 눌려진 건(41/42)의 후방부는 관련 액션 유닛(AC)을 회전시키고 잭(미도시)은 해머(HM)로부터 이탈된다. 그 후, 잭(미도시)은 해머(HM)를 가격하고 해머(HM)는 이탈시 현(ST) 쪽으로 자유 회전을 시작한다. 해머(HM)는 현(ST)에 점차 근접하게 되고 자유 회전의 마지막 지점에서 현(ST)과 충돌하게 된다. 해머(HM)는 충돌을 통해 진동을 일으키며 진동하는 현(ST)은 음조를 생성한다.
피아노 캐비넷(100)의 편평부를 건반대(11)라 한다. 피아노 캐비넷(100)은 열쇠봉(12)과, 한 쌍의 측면 아암(13)과, 상부 전방판(14)과, 한 쌍의 건 보조목(16)을 추가로 포함한다. 건반대(11)와 열쇠봉(12)과 측면 아암(13) 쌍과 상부 전방판(14)과 건 보조목(16)과 한 쌍의 측판(미도시)과 같은 다른 구성 부품은 주지된 상자형 피아노 캐비넷(100) 내에 조립된다.
열쇠봉(12)은 건반대(11)의 전방부로부터 곧게 뻗어 있으며, 백건(41)과 흑건(42)은 열쇠봉(12)의 후방 공간에서 음조를 조정한다. 백건(41)과 흑건(42)이 안착 위치에 머무르는 동안, 백건(41)과 흑건(42)의 전방 단부면은 열쇠봉(12) 위로 드러난다. 그러나, 백건(41)과 흑건(42)이 최종 위치에 도달할 때, 백건(41)과 흑건(42)의 전방 단부면은 열쇠봉(12) 이면에 숨겨진다.
비록 도1에는 상부 전방판(14)이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부 전방판(14)은 건반(KB) 위에서 측방 연장되어 양 측면이 측면 아암(13)에 연결된다. 한 쌍의 고무 버튼(15)이 충격 흡수체로서 마련된다. 고무 버튼(15)은 상부 전방판(14)의 측부에 고정되어 건반덮개 조립체(UNT)와의 충돌시 상부 전방판(14)이 바람직하지 않은 충격을 받지 않도록 한다.
측면 아암(13)은 측판(미도시)에 연결되고 건반대(11)의 양 측부 상에 위치된다. 건반(KB)은 측면 아암(13) 사이에 위치되며 건 보조목(16)은 건반(KB)의 양 측면과 측면 아암(13) 사이에 마련된다. 열쇠봉(12)은 건 보조목(16)의 양 측면과 접촉된 상태로 유지된다.
피아노 캐비넷(100)은 한 쌍의 경사 블록(17)과 건 중지 레일(18)과 한 쌍의 안내 블록(19)을 추가로 포함한다. 경사 블록(17)들은 각각 측면 아암(13)의 내면과 건 보조목(16)의 외면에 접촉 상태로 유지되도록 측면 아암(13)과 건 보조목(16) 사이에 마련된다. 경사 블록(17)의 후방부는 도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경사 블록(17)의 잔여부와 측면 아암 사이에 유격(17a)이 형성되도록 부분적으로 절개된다.
경사 블록(17) 사이의 간극은 건 중단 레일(18)에 의해 연결된다. 건 중단 레일(18)은 백건(41)과 흑건(42)의 중간부 바로 위로 측방 연장되어 백건(41)과 흑건(42)이 해제된 후 튀어오르는 것을 방지한다.
안내 블록(19)들은 각각 경사 블록(17)의 후방에 관련 경사 블록(17)에서 이격되어 마련된다. 안내 블록(19)은 후방으로 경사진 상부면을 갖는다. 안내 블록(19)은 이하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건반덮개 조립체(UNT)를 위해 마련된다.
건반덮개 조립체(UNT)는 한 쌍의 회전 커넥터(CON)에 의해 피아노 캐비넷(100)에 연결되며, 힌지(30)와 전방 건반덮개(31)와 후방 건반덮개(32)와 한 쌍의 슬라이더(33)를 포함한다. 전방 건반덮개(31)는 후방 건반덮개(32)의 전방에 마련되며 힌지(30)는 전방 건반덮개(31)와 후방 건반덮개(32) 사이에 연결된다. 전방 건반덮개(31)는 양 측부가 한 쌍의 회전 커넥터(CON)에 의해 측면 아암(13)에 연결된다. 한 쌍의 회전 커넥터(CON)로 인해 연주자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건반덮개 조립체(UNT)를 변경할 수 있으며, 힌지(30)는 개방 위치에서 전방 건반덮개(31)가 후방 건반덮개(32) 위로 접히게 만든다. 한 쌍의 회전 커넥터(CON)는 조립 작업과 관련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립 작업 동안 가공 작업의 오차를 제거한다.
전방 건반덮개(31)와 후방 건반덮개(32)는 건반덮개 조립체(UNT)가 측면 아암(13) 사이의 간극 내로 삽입되도록 측면 아암(13) 사이의 간극만큼 넓어야 한다. 전방 건반덮개(31)의 전방부는 L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사실상 직각으로 완만하게 만곡된다. 전방 건반덮개(31)의 전방부는 폐쇄 위치에서 열쇠봉(12)과 접촉 상태로 유지된다. 후방 건반덮개(32)는 건반덮개 조립체(UNT)의 상부면이 측면 아암(13)의 상부면에 사실상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예각을 이루며 완만하게 만곡된다.
슬라이더(33)는 후방 건반덮개(32)의 이면과 접촉 상태로 유지되어 후방 건반덮개(32)에 고정된다. 슬라이더(33)는 안내 블록(19)들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거리만큼 서로 측방으로 이격되어 각각 안내 블록(19)의 상부면 상으로 하향 돌출한다. 연주자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건반덮개 조립체(UNT)를 변경하는 동안, 슬라이더(33)는 안내 블록(19)의 상부면 상에서 활주한다.
좌측 회전 커넥터(CON)는 우측 회전 커넥터와 구조적으로 유사하기 때문에, 간략한 설명을 위해 좌측 회전 커넥터(CON)를 설명하기로 하고 우측 회전 커넥터에 대하여는 설명하지 않는다.
도3에는 회전 커넥터(CON)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회전 커넥터(CON)는 금속판(35, 50)과 회전 댐퍼(55)와 볼트(도3에는 도시 안됨)를 포함한다. 금속판(35)은 전방 건반덮개(31)에 연결되고 다른 금속판(50)은 좌측 아암(13)에 연결된다. 회전 댐퍼(55)는 금속판(35, 50) 사이에 마련되어 열쇠봉(12) 상에 착지하기 바로 전에 전방 건반덮개(31)에 대응-모멘트를 제공한다.
회전 댐퍼(55)는 실린더(55a)와 샤프트(55b)와 브라켓(57a)과 댐핑 기구(미도시)를 갖는다. 브라켓(57a)은 실린더(55a)의 일 단부에 고정되며 브라켓(57a)에는 한 쌍의 구멍(57)이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55b)와 댐핑 기구(미도시)는 실린더(55a)의 내측에 마련된다. 샤프트(55b)는 실린더(55a) 내에서 양 방향으로 회전되고 댐핑 기구(미도시)는 이들 방향 중 한 방향으로 회전에 대한 저항을 부가한다. 댐핑 기구(미도시)는 다른 방향으로의 회전에 대해 사실상 어떤 저항도 부가하지 않는다. 댐핑 기구(미도시)는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소)63-41898호에 개시된 것, 즉 코일 스프링과 동일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격벽, 격벽 상에 마련되어 실린더에 유체 실링된 체크 밸브는 댐핑 기구(미도시)를 구성할 수 있다. 샤프트(55b)는 엄지편(56)을 가지며 엄지편(56)은 서로 평행한 측면들을 갖는다.
금속판(35)은 아암부(35a), 핀치부(35b) 및 로크 기구(35c)로 구분된다. 아암부(35)는 둔각으로 절곡된다. 아암부(35a)는 한 쌍의 볼트 구멍(36)이 형성되어 있고 전방 건반덮개(31)에 볼트 체결된다. 핀치부(35b)는 고정 핑거부(37), 가동 핑거부(38), 바인더(39) 및 피봇(40)에 의해 설치된다. 고정 핑거부(37)와 아암부(35a)는 단일 구조물로 형성되고 가동 핑거부(38)는 피봇(40)에 의해 일 단부가 고정 핑거부(37)에 연결된다. 따라서, 가동 핑거부(38)는 피봇(4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가동 핑거부(38)는 결각부(38a)가 형성되어 있고 가동 핑거부(38)가 고정 핑거부(37)와 접촉될 때 고정 핑거부(37)와 함께 공간을 한정한다. 엄지편(56)은 공간 내에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로크 기구(35)는 피봇(40)과 연계되어 마련되고 가동 핑거부(38)가 고정 핑거부(37)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한다.
가동 핑거부(38)가 고정 핑거부(37)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동안, 고정 핑거부(37)와 가동 핑거부(38)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며 간극은 그 내부로 엄지편(56)이 진입할 수 있기에 충분한 넓이를 갖는다. 가동 핑거부(38)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될 때, 간극은 점점 더 좁혀진다. 엄지편(56)이 간극에 위치되는 경우, 엄지편(56)은 고정 핑거부(37)와 가동 핑거부(38) 사이에 끼워지며, 로크 기구(35c)는 엄지편(56)를 고정 핑거부(37)와 가동 핑거부(38)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유지한다.
금속판(50)은 필드하키의 스틱과 같은 형상을 가지며, 이하 금속판(50)의 긴 부분과 짧은 부분을 블레이드부(55a)와 핸들부(50b)로 지칭한다. 블레이드부(50a)에는 한 쌍의 구멍(54)이 형성되어 있으며 구멍(54) 사이의 거리는 회전 커넥터(55)의 브라켓(57a)에 형성된 구멍(57) 사이의 거리와 대략적으로 동일하다. 즉, 조립 작업자는 구멍(54)을 각각 구멍(57)과 정렬할 수 있으며 금속판(50)에 회전 댐퍼(55)를 볼트 체결한다.
두 쌍의 주요 구멍(51, 52)과 한 쌍의 보조 구멍(53)이 핸들부(53)에 형성된다. 비록 주요 구멍(51)은 다른 주요 구멍(52)에서 이격되어 있지만, 보조 구멍(52)들은 각각 주요 구멍(51)과 인접한다. 핸들부(50b)는 측면 아암(13)에 고정되고 주요 구멍(51, 52)은 일반적으로 피아노 캐비넷(100)과 건반덮개 조립체(UNT) 간의 조립에 사용된다. 가공 작업시 오차가 심각한 경우, 조립 작업과 관련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립 작업자는 측면 아암(13)으로부터 금속판(50)을 분리해서 보조 구멍(52)을 이용하여 측면 아암(13)에 금속판(50)을 다시 고정한다.
도4로 돌아가서, 측면 아암(13)에는 리세스(20)와 두 쌍의 볼트 구멍(21, 22)이 형성된다. 리세스(20)는 측면 아암(13)의 내측면 상에 개구되며 깊은 포켓부(20a)와 얕은 판형부(20b)를 갖는다. 깊은 포켓부(20a)는 회전 댐퍼(55)에 할당되고 얕은 판형부(20b)는 금속판(50)에 할당된다. 깊은 포켓부(20a)와 얕은 판형부(20b)는 서로 조립되는 회전 댐퍼(55)와 금속판(50)이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즉 전후 방향과 상하 방향에 의해 한정되는 가상면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회전 댐퍼(55) 및 금속판(50)보다 넓고 길게 되어 있다. 즉, 리세스(20)는 회전 댐퍼(55)와 금속판(50)에 공차를 제공한다.
두 쌍의 예비 구멍(21, 22)이 측면 아암에 형성되되 얕은 판형부(20b)의 바닥으로부터 측면 아암(13)을 측방으로 관통한다. 예비 구멍(21, 22)은 조립 작업 전에 형성된다. 예비 구멍(21)들은 구멍(51)들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거리만큼 서로 이격되고 다른 예비 구멍(22)들은 구멍(52)들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거리만큼 서로 이격된다. 따라서, 구멍(51, 52)들은 각각 예비 구멍(21, 22)들과 정렬된다.
도5a 및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비 구멍(21)들은 평탄 접시머리 나무나사(58)에 사용되고 다른 예비 구멍(22)들은 트러스 머리 태핑(truss head self-tapping) 나사(59)에 사용된다. 따라서, 금속판(50)에는 평탄 접시머리 나무나사(58)를 위한 접시머리(51a)가 형성된다. 그러나, 구멍(52)들은 수직벽에 의해 한정된다. 예비 구멍(21)들은 보조 구멍(53)들을 통해 측면 아암(13) 내로 접시머리 나무나사(63)(도5c 참조)를 끼우기에 충분히 넓게 이격되어 있다. 오차가 심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조립 작업자는 조립 작업시 예비 구멍(21)과 예비 구멍(22) 사이에 예비 구멍(61)을 형성하고 평탄 접시머리 나무나사(63) 대신 평탄 접시머리 나무나사(63)을 이용하여 측면 아암(13)에 금속판(50)을 고정한다. 평탄 접시머리 나무나사(63)가 측면 아암(13) 내로 구동되기 때문에, 구멍(53)에도 접시머리(53a)가 형성된다.
이 경우, 평탄 접시머리 나무나사(58)는 직경이 3.5 밀리미터이다. 금속판(50)은 어떠한 심각한 가공 오차도 발견되지 않는 조건에서 평탄 접시머리 나무나사(58)에 의해 초기 설정 위치를 위한 적정 위치로 조정된다. 초기 설정 위치는 건반덮개 조립체(UNT)의 대부분이 피아노 캐비넷(100)에 대해 적절히 설치되는 회전 커넥터(CON)를 위한 위치"로 정의된다. 즉, 회전 커넥터(CON)가 초기 설정 위치에 위치될 때, 건반덮개 조립체(UNT)는 최고 확률로 피아노 캐비넷(100)에 적절히 조립된다. 구멍(51)은 예비 구멍(21)과 정렬되고 금속판(50)은 적정 위치에서 측면 아암에 볼트 체결된다. 따라서, 구멍(51)들은 직경이 3.8 밀리미터이다.
한편, 트러스 머리 태핑 나사(59)는 금속판(50)과 측면 아암(13) 간의 일시적 고정을 위해 사용된다. 이 경우, 트러스 머리 태핑 나사(59)들은 직경이 5 밀리미터이다. 예비 구멍(22)에 대한 큰 정렬 공차를 제공하기 위해 구멍(52)들은 직경이 9 밀리미터이다. 물론, 조립 작업자는 금속판(50)이 평탄 접시머리 나무나사(58 또는 63)에 의해 측면 아암(13)에 정확히 고정된 후 측면 아암(13) 내로 트러스 머리 태핑 나사(59)를 체결한다.
이 경우, 주요 구멍(51/52) 및 보조 구멍(53)을 한정하는 주연부와 평탄 접시머리 나무나사(58/63)와 트러스 머리 태핑 나사(59)는 평면 위치 조정기로 작용 한다.
건반덮개 조립체(UNT)가 열쇠봉(12)에서 오프셋될 때, 예컨대 조립 작업자는 측면 아암(13)에서 평탄 접시머리 나무나사(58)들을 풀어서 제거하고 측면 아암(13)과 금속판(50) 사이의 위치를 조정한 후 평탄 접시머리 나무나사(58) 대신 평탄 접시머리 나무나사(63)를 이용하여 적정 위치에서 측면 아암(13)에 금속판(50)을 고정한다. 따라서, 평탄 접시머리 나무나사(63)가 금속판(50)에 대체되어 사용된다. 따라서, 평탄 접시머리 나무나사(63)는 평탄 접시머리 나무나사(58)와 직경이 동일하고 구멍(53)은 직경이 3.8 밀리미터이다. 건반덮개 조립체(UNT)가 회전 커넥터(CON)에 의해 초기 설정 위치에 적절히 설치되는 경우, 구멍(53)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할 필요가 없다. 물론, 조립 작업자가 건반덮개 조립체(UNT)와 열쇠봉(12) 사이에 오프셋을 발견할 때, 조립 작업자는 평탄 접시머리 나무나사(58) 대신 평탄 접시머리 나무나사(63)를 이용하여 측면 아암(13)에 금속판(50)을 고정한다.
다음으로, 도7을 참조하여 건반덮개 조립체(UNT)의 거동에 대해 설명한다. 건반덮개 조립체의 거동을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 건반 악기에는 경사 블록(17), 회전 댐퍼(55) 및 금속판(50)을 도시하지 않았다. 실선은 폐쇄 위치에 있는 건반덮개 조립체(UNT)를 나타내고 이점쇄선은 개방 위치에 있는 건반덮개 조립체(UNT)를 나타낸다.
연주자가 건반(KB)을 자신 쪽으로 노출시키고자 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연주자는 전방 건반덮개(31)를 들어올려서 힌지(32)를 중심으로 전방 건반덮개(31)를 회전시킨다. 연주자는 전방 건반덮개(31)를 밀면서 후방 건반덮개(32) 위로 전방 건반덮개(31)를 접는다. 슬라이더(33)가 안내 블록(19) 상에서 활주하여 후방 건반덮개(32)의 후방부가 상승하도록 만든다. 따라서, 후방 건반덮개(31)의 전방부와 힌지(30)는 안내 블록(19)의 전방단 쪽으로 내려간다. 한편, 전방 건반덮개(31)는 상부 전방판(14)에 점점 가까워진다. 마침내, 전방 건반덮개(31)는 고무 버튼(15)에 접촉되어 상부 전방판(14) 상에 안착된다.
연주자가 건반덮개 조립체(UNT)를 이용하여 건반(KB)을 덮을 경우, 전방 건반덮개(31)와 후방 건반덮개(32)와 슬라이더(33)는 반대로 이동된다. 건반덮개 조립체(UNT)가 폐쇄 위치에 도달할 때, 전방 건반덮개(31)는 열쇠봉(12) 상에 안착되고 힌지(30)는 전방 건반덮개(31)의 상부면이 후방 건반덮개(32)의 편평부의 상부면까지 편평하게 이어지도록 만든다.
다음으로, 조립 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준비 작업이 수행된다. 다음은 준비 작업에 포함된다. 상부 전방판(14)은 조립 작업자가 내부 공간으로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만들기 위해 피아노 캐비넷(100)에서 분리된 상태로 유지된다.
조립 작업자는 측면 아암(13)에 리세스(20)를 형성하고 각각의 측면 아암(13)에 두 쌍의 예비 구멍(21, 22)을 천공한다. 깊은 포켓부(20a)과 얕은 판형부(20b)는 조립 작업자가 이미 금속판(50)과 결합된 회전 댐퍼(55)를 리세스(20) 내로 삽입한 후 측방향과 상하 방향에 의해 한정되는 가상면 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큰 치수로 형성된다. 예비 구멍(21, 22)은 회전 커넥터(CON)들이 각각 초 기 설정 위치를 차지하는 적정 위치에 위치된다. 두 쌍의 예비 구멍(21, 22)은 도4를 참조로 설명된 바와 같이 얕은 판형부(20b)의 바닥으로부터 각각의 측면 아암(13) 내로 측방 관통한다.
회전 댐퍼(55)는 접시머리 나사(45)(도6 참조)에 의해 금속판(50)과 결합된다. 그러나, 다른 금속판(35)은 샤프트(55b)의 엄지편(56)에 연결되지 않는다. 금속판(35)들은 각각 나무나사(43)에 의해 전방 건반덮개(31)의 양 측면에 고정된다. 도6에는 나무나사(43)가 도시되어 있다.
회전 댐퍼(55)와 금속판(50) 상에서의 천공 작업과 결합 작업 그리고 금속판(50) 상에서의 연결 작업은 상술한 순서와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구멍(51, 52)들은 각각 예비 구멍(21, 22)들과 정렬되고 평탄 접시머리 나무나사(58)와 트러스 머리 태핑 나사(59)는 도5a 및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51, 52)을 통해 예비 구멍(21, 22) 내로 끼워진다. 금속판(50)은 초기 설정 위치를 위한 적정 위치에서 측면 아암(13)에 일시 고정된다.
다음으로, 건반(KB)이 건반덮개 조립체(UNT)로 덮힌다. 후방 건반덮개(32)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건반덮개(31) 상에 접힌다. 상부 전방판(14)은 피아노 캐비넷(100)에서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거나 이로부터 제거되기 때문에, 이점쇄선은 상부 전방판(14)이 도8에서 차지하게 될 공간을 지시하며 분리된 상부 전방판(14)과 접힌 후방 건반덮개(32)는 조립 작업자에게 넓은 공간(S1)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금속판(35)은 핀치(35b)에 의해 샤프트(55b)에 연결된다. 금속판(35)은 엄지편(56)과 접촉 상태로 유지되는 고정 핑거부(37)를 갖는다. 조립 작 업자는 가동 핑거부(38)를 엄지편(56) 쪽으로 이동시켜서 고정 핑거부(37)와 가동 핑거부(38) 사이에 엄지편(56)을 끼운다. 바인더(39)는 엄지편(56)을 고정 핑거부(37)와 가동 핑거부(38) 사이에 핀치된 상태로 유지한다. 그 결과, 전방 건반덮개(31)는 샤프트(55b)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후방 건반덮개(32)는 힌지(3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다음으로, 조립 작업자는 건반덮개 조립체(UNT)가 피아노 캐비넷(100)과 입체적으로 적절히 조립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경계(P1, P2, P3, P4)를 검검한다. 전방 건반덮개(31)의 전방면이 경계(P1)를 따라 열쇠봉(12)의 전방면과 공면 상에 있을 때, 조립 작업자는 경계(P1)가 적절하다고 판단하고 회전 커넥터(CON)가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에 의해 한정되는 가상면들 상에서 적절히 위치되었음을 확인한다. 경계(P1)에 단차가 발생할 경우, 회전 커넥터(CON)는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에 의해 한정되는 가상면들 상에서 적정 위치로 조정된다. 전방 건반덮개(31)와 열쇠봉(12) 사이의 간극이 측방향으로 일정한 경우, 조립 작업자는 경계(P2)가 적절하다고 판단하고 건반덮개 조립체(UNT)가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에 의해 한정되는 가상면들 사이에서 직각으로 연장되었음을 확인한다. 간극이 변할 경우, 건반덮개 조립체(UNT)는 가상면들 사이에서 비스듬하게 연장되고 회전 커넥터(CON)들 중 하나는 초기 설정 위치로부터 적정 위치로 변경된다. 비록 금속판(50)은 엄밀한 의미에서 얕은 판형부(20b)의 바닥면으로부터 경사지게 되어야 하지만, 조립 작업자는 경사 정도가 작기만 하다면 회전 커넥터(CON) 중 하나를 초기 설정 위치로부터 벗어나도록 만듦으로써 건반덮개 조립체(UNT)와 피아노 캐비 넷(100) 사이로부터 경사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조립 작업자는 건반덮개 조립체(UNT)를 개방 위치로 변경하고 경계(P3, P4)를 점검한다. 구체적으로, 조립 작업자는 전방 건반덮개(31)의 전방부를 들어올려서 전방 건반덮개(31)를 후방으로 밀어 낸다. 그러면, 슬라이더(33)가 안내 블록(19)의 상부면을 따라 후방 이동되고 힌지(30)는 건 중지 레일(18)에 접근한다. 최종적으로, 전방 건반덮개(31)가 후방 건반덮개(32) 위로 접힌다.
조립 작업자는 건 중지 레일(18)의 상부 후방단(18a)과 전방 건반덮개(31)의 후방 단부면(31c) 사이의 간극을 측정한다. 간극이 건 중지 레일(18)을 따라 일정한 경우, 경계(P3)는 적절하고 건반덮개 조립체(UNT)는 적정 높이까지 적절히 조정된다. 비록 건 중지 레일(18)을 가능한 가깝게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건 중지 레일(18)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의 이동 동안 건반덮개 조립체(UNT)를 중지시키지 않는다. 건반덮개 조립체(UNT)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건 중지 레일(18)에 의해 중단되면, 회전 커넥터(CON) 중 적어도 하나가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에 의해 한정되는 가상면 상에서 이동된다.
마지막으로, 조립 작업자는 피아노 캐비넷(100)에 상부 전방판(14)을 조립 또는 재조립하고 전방 건반덮개(31)가 고무 버튼(15) 상에 적절히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경계(P4)를 점검한다. 전방 건반덮개(31)가 고무 버튼(15) 모두와 접촉 상태로 유지될 때, 조립 작업자는 경계(P4)가 적절하다고 판단한다. 한편, 전방 건반덮개(31)가 고무 버튼(15) 중 하나와 접촉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 즉 다른 고무 버튼(15)과 전방 건반덮개(31) 사이에 간극이 발견되는 경우, 조립 작업 자는 상하 방향과 전후 방향에 의해 한정되는 가상면 사이에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건반덮개 조립체(UNT)를 주목하고 회전 커넥터(CON) 중 하나를 가상면 상에서 이동시킨다. 비록 금속판(50)은 엄밀한 의미로 얕은 판형부(20b)의 바닥면으로부터 경사지게 되지만, 조립 작업자는 경사 정도가 작기만 하다면 회전 커넥터(CON) 중 하나를 초기 설정 위치에서 벗어나게 만듦으로써 건반덮개 조립체(UNT)와 피아노 캐비넷(100) 사이로부터 경사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조립 작업자는 경계(P1, P2, P3, P4)에서 피아노 캐비넷(100)에 대한 건반덮개 조립체(UNT)의 상대적 위치를 조사한다. 조립 작업자가 모든 경계(P1, P2, P3, P4)들이 적절한 것으로 확인한 경우, 회전 커넥터(CON)는 상하 방향과 전후 방향에 의해 한정되는 가상면에서 초기 설정 위치에 고정된다. 구멍(53)(도3 참조)은 필요없게 된다.
한편, 경계(P1, P2, P3, P4) 중 적어도 하나가 부적절한 경우, 조립 작업자는 편차를 측정해서 가상면 또는 가상면들 상에서의 적정 위치 또는 적정 위치들을 판단한다.
조립 작업자는 피아노 캐비넷(100)에서 상부 전방판(14)을 다시 제거한다. 조립 작업자는 평탄 접시머리 나무나사(58)를 풀어서 측면 아암(13) 밖으로 평탄 접시머리 나무나사(59)를 빼낸다. 조립 작업자는 금속판 또는 금속판(50)들을 가상면 또는 가상면들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만들기 위해 트러스 머리 태핑 나사(59)를 푼다. 이미 다른 금속판(35)에 연결된 회전 댐퍼(55)와 결합된 금속판(50)은 계속해서 트러스 머리 태핑 나사(59)에 의해 측면 아암(13)에 일시 고정되어 있다. 구멍(52)은 트러스 머리 태핑 나사(59)의 단면보다 넓기 때문에, 조립 작업자는 측면 아암(13)으로부터 트러스 머리 태핑 나사(59)를 당기지 않고도 얕은 판형부(20b) 상에서 금속판(5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조립 작업자는 초기 설정 위치를 위한 적정 위치로부터 조사를 통해 평가된 새로운 적정 위치로 금속판(50)을 이동시킨다.
조립 작업자는 보조 구멍(53)을 통해 측면 아암(13)에 예비 구멍(61)(도5c 참조)을 천공하고 측면 아암(13) 내로 평탄 접시머리 나무나사(63)를 끼운다. 트러스 머리 태핑 나사(59)는 다시 측면 아암(13)에 끼워진다. 따라서, 회전 커넥터(CON)는 최적 위치에서 측면 아암(13)에 고정된다. 그 결과, 건반덮개 조립체(UNT)는 피아노 캐비넷(100)에 대해 적절히 설치되고 건반덮개 조립체(UNT)는 건반덮개 조립체(UNT)가 열쇠봉(12), 건 중지 레일(18) 및 고무 버튼(15)과 함께 적절한 경계(P1, P2, P3, P4)를 형성하는 조건으로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변경된다.
상술한 조립 작업은 일반적으로 사용자에게 배달되기 전에 제조 공장에서 수행된다. 그러나, 사용자의 가정에서 보수 작업이 수행되는 경우, 건반덮개 조립체(UNT)에 대해 조정 작업이 요구될 수 있다. 보수 작업자가 사용자의 가정을 방문하여 건반덮개 조립체(UNT)를 위한 최적 위치를 찾게 된다. 금속판(35)은 회전 댐퍼(55)로부터 분리 가능하기 때문에, 보수 작업자가 전방 건반덮개(31) 위로 후방 건반덮개(32)를 접으면 접힌 후방 건반덮개(32)는 보수 작업자에게 넓은 공간(S1)을 제공한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금속판(50)에는 주요 구멍(51)과 보조 구멍(53)이 형성되며 구멍(52)은 트러스 머리 태핑 나사(59)보다 넓다. 즉, 회전 커넥터(CON)는 상하 방향과 전후 방향에 의해 한정되는 가상면 상에서 이동 가능하다. 건반덮개 조립체(UNT)가 회전 커넥터(CON)의 초기 설정 위치에서 피아노 캐비넷(100)과 적절히 조립되지 않은 경우에도, 작업자는 회전 커넥터(CON)를 초기 설정 위치로부터 최적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금속판(50)을 새로 교체하지 않고도 회전 커넥터(CON)를 최적 위치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회전 커넥터(CON)로 인해, 건반덮개 조립체(UNT)는 생산비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건반 악기와 적절히 조립된다.
회전 커넥터(CON)는 가상면 상에서 독립적으로 이동되며 조립 작업자는 피아노 캐비넷(100)과 건반덮개 조립체(UNT) 사이로부터 건반덮개 조립체(UNT)의 경사와 비틀림을 제거할 수 있다.
접힌 후방 건반덮개(32)가 작업자에게 넓은 공간을 제공하기 때문에 분할 구조의 건반덮개 조립체(UNT)가 조립 작업 및 보수 작업의 용이성이라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두 종류의 나사가 조립 작업과 보수 작업을 속도감 있게 만든다. 트러스 머리 태핑 나사(59)는 작업자가 측면 아암(13)에 회전 커넥터(CON)를 일시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는 일시 고정된 상태에서 최적 위치를 찾을 수 있다. 한편, 트러스 머리 태핑 나사(59)가 풀리더라도 평탄 접시머리 나무나사(63)가 회전 커넥터(CON)를 최적 위치에 고정한다.
제2 실시예
도9 및 도10을 참조하면, 회전 커넥터(CON2)가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다른 피아노에 합체되어 있다. 피아노는 리세스(120)가 측면 아암(113)에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 도1 및 도2에 도시된 피아노와 유사하다. 따라서, 이하 피아노의 구성 부품에 대하여는 상세한 설명없이 제1 실시예를 실현하는 피아노의 대응 구성 부품을 지시하는 참조 부호를 이용하여 지시한다. 비록 피아노 케이스(100)와 건반덮개 조립체(UNT) 사이에는 한 쌍의 회전 커넥터(CON2)가 마련되지만, 회전 커넥터(CON2)는 구조적으로 서로 유사하기 때문에, 반복을 피하기 위해 좌측 회전 커넥터(CON2)만이 도9와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리세스(120)는 측면 아암(130)의 내면 상으로 개구되며, 바닥면, 상부 내면 및 하부 내면은 각각 참조 부호 120a, 120b 및 120c로 지시된다. 리세스(120)는 깊이, 즉 측면 아암(113)의 내면과 바닥면(120a) 사이의 거리가 사실상 일정하며, 바닥면(120a)은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에 의해 한정되는 가상면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회전 커넥터(CON2)는 전방 금속판, 회전 댐퍼 및 지지 블록(70)을 포함한다. 전방 금속판과 회전 댐퍼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며, 따라서 참조 부호 35와 55에 의해 지시된다. 지지 블록(70)은 조립 작업자가 지지 블록(70)을 이용하여 회전 커넥터(CON2)를 최적 위치로 조정하도록 가상면 상에서 평면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지지 블록(70)은 내판(70a)과 외판(80)과 수직 위치 조정기(73)와 수평 위치 조정기(81)를 포함한다. 내판(70a)은 외판(80)과 결합되고 외판(80)은 내판(70)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다. 수직 위치 조정기(73)는 내판(70a)과 상하부 내면(120b/120c) 사이에 마련되어 조립 작업자가 내판(70a) 및 외판(80)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수평 위치 조정기(81)는 내판(70a)과 외판(80) 사이에 마련되어 조립 작업자가 외판(80)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내판(70a)은 직각 평행사변형 구성을 가지며 수직 위치 조정기(73)를 통해 측면 아암(113)에 의해 지지된다. 내판(70a)에는 안내 레일(79)이 형성되고 안내 레일(79)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외판(80)은 내판(70a)보다 길고 회전 댐퍼(55)는 볼트(45)에 의해 외판(80)의 전방 단부에 고정된다. 홈(85)이 외판(70a)의 후방부에 형성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안내 레일(79)은 홈(85)에 수용되며 안내 홈(85)과 동일한 단면을 갖는다. 조립 작업자가 외판(80)에 전후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외판(80)은 안내 레일(79)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활주하여 내판(70a)에 대한 상대적 위치를 변경한다. 홈(85)과 안내 레일(79)을 한정하는 내면은 수평 위치 조정기(81)의 다른 구성 부품을 형성한다.
리세스(120)는 외판(80)이 레일(79) 상에서 활주할 수 있도록 외판(80)보다 길다. 내판(70a) 및 외판(80)의 상부면은 상부 내면(120b)으로부터 이격되고 내판(70a) 및 외판(80)의 하부면은 하부 내면(120c)으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리세스는 조립 작업자가 내판(70a) 및 외판(80), 즉 지지 블록(70)을 전후 방향뿐 아니라 상하 방향으로도 이동할 수 있도록 충분히 넓다.
수직 위치 조정기(73)는 암형 나사(69)와 암형 나사(71, 72)와 수형 나 사(73a, 74)와 로크 너트(75, 76, 77, 78)를 포함한다. 암형 나사(69)는 내판(70a)에 형성되어 내판(70a)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 암형 나사(69)는 내판(70)의 상부면 및 하부면 상에 상부 및 하부 개구를 갖는다. 암형 나사(71, 72)는 측면 아암(113)에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암형 나사(71, 72)는 각각 상부 내면(120b) 상에 형성된 하부 개구와 하부 내면(120c) 상에 형성된 상부 개구를 가지며 암형 나사(69)의 상부 및 하부 개구는 각각 암형 나사(71)의 하부 개구와 암형 나사(72)의 상부 개구에 대향된다. 수형 나사(73a)는 암형 나사(71, 73a)와 맞물리고 다른 수형 나사(74)는 암형 나사(72, 73a)와 맞물린다. 로크 너트(75, 76)는 하부 내면(120b)과 내판(70a) 사이의 수형 나사(73)와 맞물리고 로크 너트(77, 78)는 내판(70a)과 상부 내면(120c) 사이의 수형 나사(74)와 맞물린다.
로크 너트(75, 76, 77, 78)가 하부 내면(120b)과, 내판(70a)의 상부면 및 하부면과 상부 내면(120c)에 밀접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수형 나사(73a, 74)는 회전 끼움되지 않으며 내판(70a)은 현위치에 유지된다. 조립 작업자가 지지 블록(70)을 하향 이동시키려 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로크 너트(76, 77)는 각각 내판(70a)과 상부 내면(120c)에서 이격되도록 회전 끼움되고 수형 나사(73a, 74)는 내판(70a)과 측면 아암(113) 내로 끼워진다. 그 결과, 지지 블록(70)은 로크 너트(76, 77)가 내판(70a) 및 상부 내면(120c)과 접촉할 때까지 아래로 당겨진다. 그 후, 로크 너트(75, 78)는 하부 내면(120b) 및 내판(70a)의 하부면과 접촉되도록 회전된다.
반대로, 조립 작업자는 다음과 같이 지지 블록(70)을 상향 이동시킨다. 로 크 너트(75, 78)는 각각 로크 너트(75, 78)와 하부 내면(120b) 및 내판(70a)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고 수형 나사(73a, 74)는 측면 아암(113)과 내판(70a)에 끼워진다. 그 결과, 지지 블록(70)은 로크 너트(75, 78)가 하부 내면(120b) 및 내판(70a)과 접촉할 때까지 위로 당겨진다. 그 후, 로크 너트(76, 77)는 내판(70a)의 상부면 및 상부 내면(120c)과 접촉되도록 회전된다.
따라서, 지지 블록(70)은 수직 위치 조정기(73)에 의해 적정 위치로 조정되며 회전 댐퍼(55) 및 금속판(35)도 지지 블록(70)과 함께 그 위치를 변경한다.
수평 위치 조정기(81)는 구멍(81a, 82)을 한정하는 외판(80)의 주연부와, 내판(70a)에 형성된 수형 나사(83a, 84) 및 암형 나사(86a)를 포함한다. 구멍(81a, 82)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수형 나사(83, 84)는 암형 나사(86a)와 맞물린다. 상술하는 바와 같이, 외판(80)은 조립 작업자가 내판(70a)과 외판(80) 간의 상대적 위치를 변경하도록 레일(79)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다. 조립 작업자가 전후 방향으로 적정 위치로 지지 블록(70)을 조정할 때, 조립 작업자는 수형 나사(83, 84)를 풀고 레일(79) 상에서 외판(80)을 활주시킨다. 장형 구멍(81a, 82)은 외판(80)이 전후 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외판(80)이 적정 위치에 도달할 때, 조립 작업자는 내판(70a)에 대해 외판(80)을 가압하도록 암형 나사(86a) 내부로 수형 나사(83, 84)를 끼운다. 따라서, 지지 블록(70)은 수평 위치 조정기(81)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적정 위치로 조정된다.
이 경우, 수직 위치 조정기(73)와 수평 위치 조정기(81)는 평면 위치 조정기로서 작용한다.
조립 작업은 회전 커넥터(CON2)를 최적 위치까지 조정하는 것을 제외하고 제1 실시예와 유사하다. 회전 커넥터(CON2)는 초기 설정 위치에 위치되고 조립 작업자는 건반덮개 조립체(UNT)가 피아노 케이스(100)와 적절히 조립되었는지 여부를 관찰하기 위해 경계(P1 내지 P4)를 점검한다. 적절히 조립되지 않았다면, 회전 커넥터(CON2)가 최적 위치로 이동된다. 회전 커넥터(CON2)를 최적 위치로 조정하는 단계에서, 조립 작업자는 회전 커넥터(CON2)를 평면적으로 이동시키고 수직 및 수평 조정기(73, 81)를 이용하여 회전 커넥터(CON2)를 최적 위치에 고정한다.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회전 커넥터(CON2)는 작업자가 건반덮개 조립체(UNT)를 피아노 캐비넷(100)과 적절히 조립하도록 수직 및 수평 조정기(73, 81)의 도움을 받아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에 의해 한정되는 가상면들 상에서 이동 가능하다. 지지 블록(70)에는 어떠한 나무나사도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지지 블록(70), 수직 위치 조정기(73) 및 수평 위치 조정기(81)는 피아노에 반복 사용된다.
제3 실시예
도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다른 회전 커넥터(CON3)는 전방 금속판(미도시)과 회전 댐퍼(55)와 지지 블록(70A)을 포함한다. 한 쌍의 회전 커넥터(CON3)가 건반덮개 조립체(미도시)와 직립형 피아노의 피아노 캐비넷 사이에 마련된다. 비록 도11에는 측면 아암(113)이 도시되어 있지만 직립형 피아노의 다른 구성 부품은 제1 실시예의 직립형 피아노의 구성 부품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하지 않는다.
회전 커넥터(CON3)는 수평 위치 조정기(81A)를 제외하고 구조면에 있어 회전 커넥터(CON2)와 유사하다. 따라서, 회전 커넥터(CON3)의 다른 구성 부품에 대하여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으며 회전 커넥터(CON2)의 대응하는 구성 부품을 지시하는 참조 부호로 지시한다.
비록 제2 실시예에서는 외판(8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장형 구멍(81a, 82)이 요구되었지만, 수평 위치 조정기(81A)는 장형 구멍이나 암형 나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레일(79a)과 안내 홈(85a)은 역전된 사다리꼴 단면을 갖기 때문에, 비록 외판(80a)이 레일(79a)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지만 외판(80a)과 내판(70b)은 측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분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조립 작업자는 볼트(81b, 82a)를 풀어서 외판(80a)을 전후 방향으로 적정 위치로 이동시킨 후 내판(70b)에 볼트(81b, 82a)를 압입함으로써 외판(80a)을 적정 위치에 체결한다.
이 경우, 수직 위치 조정기(73)와 수평 위치 조정기(81A)는 평면 위치 조정기로 작용한다. 회전 커넥터(CON3)는 회전 커넥터(CON2)의 모든 장점을 달성한다.
상술한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평면 위치 조정기는 작업자가 피아노 캐비넷(100)에 건반덮개 조립체(UNT)를 적절하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회전 커넥터(CON, CON2, CON3)와 연계되어 마련된다.
제4 실시예
도12를 참조하면, 다른 회전 커넥터(CON4)가 측면 아암(113)과 건반덮개 조립체(미도시) 사이에 연결되고 지지 블록(130)과 전방 금속판(35)과 회전 댐퍼(55) 를 포함한다. 전방 금속판(35)과 회전 댐퍼(55)는 제1 및 제2 실시예의 전방 금속판 및 회전 댐퍼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 지지 블록(130)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지지 블록(135)은 내판(70c), 외판(80c) 및 기부판(135)을 포함한다. 회전 댐퍼(55)는 나사(45c)에 의해 외판(80c)의 전방 단부에 고정되고 안내 홈(85c)이 형성되어 있다. 내판(70c)에는 레일(79c)이 형성되며 안내 홈(85c)과 레일(79c)은 역전된 사다리꼴 단면을 갖는다. 안내 홈(85c)과 레일(79c)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레일(79c)은 제2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안내 홈(85c)에 삽입된다. 따라서, 외판(80c)은 레일(79c) 상에서 활주 가능하고 나사(83c, 84c)에 의해 내판(70c)에 고정된다. 레일(79c)과, 안내 홈(85c)이 형성된 후방부와, 나사(83c, 84c)는 수평 위치 조정기(130a)로서 작용한다.
내판(70c)에는 안내 홈(136)이 추가로 형성되고 안내 홈(136)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기부판(135)에는 레일(137)이 형성되어 나사(138)에 의해 측면 아암(113)에 고정된다. 레일(137)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안내 홈(136)과 레일(137)은 역전된 사다리꼴 단면을 가지며 레일(137)은 안내 홈(136)에 활주 가능하게 수납된다. 기부판(135)은 나사(138)에 의해 측면 아암(113)에 고정된다. 따라서, 내판(70c)은 레일(137) 상에서 활주 가능하고 작업자는 내판(70c)과 외판(80c)을 적정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내판(70c)이 적정 위치에 도달하면 작업자는 한 쌍의 볼트(138)를 내판(70c) 내부로 삽입하고 안내 홈(136)을 한정하는 내부면에 대해 레일(137)을 가압한다. 그 결과, 내판(70c)은 기부판(135) 상의 적정 위치에 고정된다. 안내 홈(136)을 한정하는 주연부와 레일(137)과 볼트(139)는 수 직 위치 조정기(130b)로서 작용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직 위치 조정기(130b)와 수평 위치 조정기(130a)는 지지 블록(130), 즉 회전 커넥터(CON4)의 일부에 합체되며, 작업자는 두 개의 위치 조정기(130a, 130b)에 의해 건반덮개 조립체를 피아노 캐비넷에 적절하고 용이하게 조립한다.
비록 이제까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했지만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과 개조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것이다.
한 쌍의 평탄 접시머리 나무나사(58/63)와 한 쌍의 트러스 머리 태핑 나사(59)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두 개보다 많은 평탄 접시머리 나무나사(58/63)와 두 개보다 많은 트러스 머리 태핑 나사(59)가 각각의 금속판(50)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두 개보다 많은 나사(58/63/59)는 시간 경과로 인한 분열에 대한 저항력을 개선할 수 있다.
헤드 구성, 즉 평탄 접시머리와 트러스 머리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와셔는 평탄 접시머리와 트러스 머리의 장점을 달성한다.
준비 작업에서 예비 구멍(21, 22)이 측면 아암(13)에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평탄 접시머리 나무나사(58)와 트러스 머리 태핑 나사(59)는 어떠한 예비 구멍을 사용하지 않고도 측면 아암(13) 내부로 끼워질 수 있다.
보조 구멍(53)은 보수 작업후 회전 커넥터(CON)에 유용하다. 즉, 평탄 접시머리 나무나사(63)는 보수 작업후 측면 아암(13) 내로 끼워질 수 있다. 이와 달 리, 충전제가 주요 구멍(21, 22) 내로 주입되거나 나무 플러그가 구멍(21, 22) 내로 끼워진다. 구멍(21, 22) 내에서 충전제가 고화되거나 그 내부로 나무 플러그가 끼워진 후, 평탄 접시머리 나무나사(58)와 트러스 머리 태핑 나사(59)가 고화된 충전제 또는 나무 플러그 내로 끼워진다.
태핑 나사(59)는 나무나사(58 또는 63)가 양호한 내구성을 달성하기에 충분히 강한 조건 하에서 측면 아암(13) 내로 끼워지지 않을 수 있다.
태핑 나사(59)가 초기 설정 위치에 회전 커넥터(CON)를 유지할 경우, 주요 구멍(51)과 예비 구멍(21)과 평탄 접시머리 나무나사(58)는 조립 작업에 필수적이지 않다.
본 발명은 그랜드 피아노에 적용될 수 있다. 그랜드 피아노에서 회전 커넥터(CON)는 측판과 건반덮개 사이에 마련된다. 본 발명은 예컨대 하프시코드, 오르간, 첼레스타 또는 혼성 건반 악기와 같은 다른 종류의 건반 악기에도 추가로 적용될 수 있다. 혼성 건반 악기의 대표적인 예로 자동 연주 피아노와 무음 피아노가 있다.
분할형 건반덮개, 즉 후방 건반덮개에 힌지 결합된 전방 건반덮개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건반덮개는 단일 판재 또는 단일 모자이크 판재로 제조된 하나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회전 커넥터(CON/CON2/CON3)와 피아노 캐비넷(100) 사이에는 평면 위치 조정기가 마련된다. 그러나, 이런 특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평면 위치 조정기는 전방 금속판(35)과 건반덮개 조립 체(UNT) 사이에 또는 회전 커넥터(CON/CON2/CON3)와 건반덮개 조립체(UNT) 및 피아노 캐비넷(100) 모두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회전 댐퍼는 코일 스프링이나 다른 유형의 탄성 부재로 대체될 수 있다. 코일 스프링은 언제나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향하는 방향으로 건반덮개에 탄성력을 부가한다. 이와 달리, 슬라이더(33)와 안내 블록(19) 사이에 라이너 댐퍼가 마련될 수 있다. 내부 공간을 갖는 실린더와 내부 공간을 두 개의 챔버로 분할하는 피스톤과 피스톤 상에 마련되는 체크 밸브와 유체가 라이너 댐퍼를 형성할 수 있다.
회전 댐퍼(55)는 본 발명의 필수적 특징이 아니다. 건반덮개가 연주자에 의해 유지될 정도로 충분히 가벼운 경우, 회전 댐퍼(55)는 표준형 베어링 유닛으로 교체될 수 있다. 경량 건반덮개는 전자 건반에 사용된다.
분할형 건반덮개가 단일형 건반덮개로 교체되는 경우, 회전 댐퍼 또는 베어링 유닛이 단일 건반덮개에 연결된 단일 연결판과 피아노 캐비넷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나사와 구멍의 크기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볼트의 크기와 구멍의 내경은 단지 예로서 제시된 것이다.
수직 위치 조정기(73)는 각각의 양 단부가 리세스의 내면과 내판에 가압되는 잭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수평 위치 조정기(81)는 나사형 로드와, 외판에 연결되고 나사형 로드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와, 로크 너트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안내 홈과 레일은 각각 내판(70a)과 외판(80)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실시예의 구성 부품은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용어와 관련된다.
건반덮개 조립체(UNT)는 "커버판"에 대응하고 피아노 캐비넷(100)은 "악기의 케이스"로 작용한다. 회전 커넥터(CON, CON2, CON3, CON4)는 "회전 커넥터"에 대응한다. 실린더(55a), 브라켓(57a) 및 후방 금속판(50) 또는 지지 블록(70/70A/130)은 전체적으로 "고정부"를 구성하고, 샤프트(55b)와 전방 금속판(35)은 함께 "회전부"를 형성한다. 주요 및 보조 구멍(51/52/53)을 한정하는 후방 금속판(50)의 주연부와 평탄 접시머리 나무나사(58/63)와 트러스 머리 태핑 나사(59)는 "위치 조정기"로서 작용한다. 수직 위치 조정기(73/130b)와 수평 위치 조정기(81/81A/130a)는 "위치 조정기"로도 작용한다.
백건(41)과 흑건(42)은 "매니퓰레이터의 어레이"로 작용하며 액션 유닛(AC), 댐퍼(DM), 해머(HM) 및 스트링(ST)은 전체적으로 "음조 생성 시스템"을 구성한다.
구멍(51, 52)을 한정하는 주연부와 평탄 접시머리 나무나사(58)와 트러스 머리 태핑 나사(59)는 "주요 체결구"로 작용하며, 평탄 접시머리 나무나사(63)와 구멍(53)을 한정하는 주연부는 "보조 체결구"로 작용한다.
수직 위치 조정기(73)는 "제1 위치 조정기구"의 일 예이고 수평 위치 조정기(81)는 "제2 위치 조정기구"의 일 예이다.
회전 댐퍼(55)는 "댐퍼"로 작용한다. 전방 금속판(35)과 후방 금속판/지지 블록(50/70)은 각각 "연결 부재"와 다른 "연결 부재"로 작용한다. 내판(70a)은 "제1 블록"으로 작용하고 외판(80)은 "제2 블록"으로 작용한다.
상술한 바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회전 커넥터는 건반덮개와 캐비넷 사이에 마련되어 조립 작업자가 제조 비용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캐비넷에 대해 적정 위치로 건반덮개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0)

  1. 악기의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측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덮개판(UNT)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덮개판(UNT) 및 상기 케이스(100) 중 하나에 연결되는 고정부(55a, 57a, 50; 55a, 57a, 70/70a/130)와, 상기 덮개판(UNT) 및 상기 케이스(100)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부(55a, 57a, 50; 55a, 57a, 70/70a/130)에 대해 회전 가능한 회전부(55b, 35)를 포함하는 회전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55a, 57a, 50; 55a, 57a, 70/70a/130) 및 상기 회전부(55b, 35) 중 하나에 연계되어 상기 고정부(55a, 57a, 50; 55a, 57a, 70/70a/130) 및 상기 회전부(55b, 35) 중 상기 하나가 상기 케이스(100)의 상하 방향과 전후 방향에 의해 한정되는 가상면 상에서 최적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조정기(50, 52, 53, 58, 63, 59; 73, 81; 73, 81A; 130a, 130b)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정기는,
    상기 케이스(100)와 상기 커버판(UNT) 간의 조립시 상기 케이스(100)와 상기 커버판(UNT) 중 연계된 것에 상기 고정부(55a, 57a, 50; 55a, 57a, 70/70a/130) 및 상기 회전부(55b, 35) 중 상기 하나를 체결하기 위한 주요 체결구(51, 52, 58, 59)와,
    상기 조립시의 위치로부터 상기 최적 위치로 이동한 후 다른 조립시 상기 케이스(100)와 상기 커버판(UNT) 중 상기 연계된 것에 상기 고정부(55a, 57a, 50; 55a, 57a, 70/70a/130) 및 상기 회전부(55b, 35) 중 상기 하나를 체결하기 위한 보조 체결구(53, 63)를 갖는 회전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체결구는 나사(59)와, 상기 고정부(55a, 57a, 50; 55a, 57a, 70/70a/130) 및 상기 회전부(55b, 35) 중 상기 하나가 상기 가상면 상에서 2차원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나사(59)의 단면보다 넓은 구멍(52)을 한정하기 위한 상기 고정부(55a, 57a, 50; 55a, 57a, 70/70a/130) 및 상기 회전부(55b, 35) 중 상기 하나의 주연부를 갖는 회전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는 트러스 머리 태핑 나사(59)인 회전 커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체결구는 다른 나사(58)와, 상기 다른 나사(58)의 단면과 같은 너비를 갖는 상기 고정부(55a, 57a, 50; 55a, 57a, 70/70a/130) 및 상기 회전부(55b, 35) 중 상기 하나의 다른 주연부를 더 포함하는 회전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나사(58)는 접시머리를 가지며, 상기 다른 주연부는 상기 접시머리와 밀접 접촉되어 유지되는 원추형 내면(51a)을 갖는 회전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정기는,
    상기 고정부(55a, 57a, 50; 55a, 57a, 70/70a/130) 및 상기 회전부(55b, 35) 중 상기 하나가 상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위치 조정기구(73; 130b)와,
    상기 고정부(55a, 57a, 50; 55a, 57a, 70/70a/130) 및 상기 회전부(55b, 35) 중 상기 하나가 상기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위치 조정기구(81; 81A; 130a)를 갖는 회전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조정기구는,
    상기 케이스(100)에 형성되어 상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암형 나사(71, 72)와,
    상기 고정부와 상기 가동부 중 상기 하나(70a)에 형성되어 상기 암형 나사(71, 72)와 정렬되는 암형 나사(69)와,
    상기 암형 나사(71, 72) 및 상기 암형 나사(69)와 나사 결합되어 유지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가동부 중 상기 하나를 상기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부와 상기 가동부 중 상기 하나(70a)에 대해 회전 가능한 수형 나사(73a, 74)와,
    상기 수형 나사(73, 74)와 나사 결합되어 유지되고 상기 수형 나사(73, 74)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로크 너트(75, 76, 77, 78)를 갖는 회전 커넥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 조정기구는,
    상기 제1 위치 조정기구(73; 130b)에 의해 상기 케이스(100)에 대해 적정 위치에 위치되는 제1 블록(70a; 70b; 70c)과,
    상기 제1 블록(70a; 70b; 70c)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 블록(80; 80a; 80c)과,
    상기 제1 및 제2 블록 중 어느 한 블록에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레일(79; 79a; 79c)과,
    상기 고정부 및 가동부와 상기 케이스가 상기 전후 방향으로 상호 간의 상대적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블록 중 다른 블록에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레일(79; 79a; 79c)을 수납하는 안내 홈(85; 85a; 85c)과,
    상기 제1 및 제2 블록과 연계되어 마련되고 상기 고정부 및 가동부를 상기 최적 위치에 고정시키는 체결구(81a, 83; 81b, 83a; 83c)를 포함하는 회전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상기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구멍(81a)을 한정하는 상기 제1 및 제2 블록 중 상기 하나의 블록(80)의 주연부와,
    상기 제1 및 제2 블록 중 다른 블록(70a)에 형성되는 암형 나사(86a)와,
    상기 제1 및 제2 블록 중 상기 다른 블록(70a)에 상기 제1 및 제2 블록 중 상기 하나의 블록(80)을 가압하기 위해 상기 구멍(81a)을 관통하고 상기 암형 나사(86a)와 나사 체결되어 유지되는 수형 나사(83)를 갖는 회전 커넥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정기는,
    상기 커버판(UNT)이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되는 동안 상기 커버판(UNT)에 저항력을 부가하기 위한 댐퍼(55)와,
    상기 댐퍼(55)와 상기 커버판(UNT)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35)와,
    상기 댐퍼(55)와 상기 케이스(100) 사이에 연결되는 다른 연결 부재(50; 70; 70A; 130)를 포함하는 회전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55)는,
    내부 공간을 갖는 실린더(55a)와,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샤프트(55b)와,
    상기 샤프트(55b)와 연계되어 마련되고 상기 저항력을 생성하는 댐핑 기구를 갖는 회전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55b)는 가동 핑거(38)와 고정 핑거(37) 사이에 파지되고 상기 가동부(35)는 상기 가동 핑거(38)와 상기 고정 핑거(37)를 갖는 회전 커넥터.
  14. 전후 방향, 측방향 및 상하 방향을 갖는 케이스(100)와,
    상기 측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케이스(100) 상에 장착되는 음조의 피치를 특정하기 위한 매니퓰레이터(41, 42)의 어레이(KB)와,
    상기 케이스(10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측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상기 매니퓰레이터(41, 42)의 어레이(KB)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판(UNT)과,
    상기 케이스(100) 내에 수용되어 상기 매니퓰레이터(41, 42)의 어레이(KB)에 연결되는 음조 생성을 위한 음조 생성 시스템(AC, HM, DM, ST)과,
    상기 케이스(100) 및 상기 덮개판(UNT) 사이에 마련되며, 각각 상기 덮개판(UNT) 및 상기 케이스(100) 중 하나에 연결되는 고정부(55a, 57a, 50; 55a, 57a, 70/70a/130)와 상기 케이스(100) 및 상기 덮개판(UNT) 중 다른 것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부(55a, 57a, 50; 55a, 57a, 70/70a/130)에 대해 회전 가능한 회전부(55b, 35)를 포함하는 회전 커넥터들을 포함하는 음조 생성을 위한 악기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회전 커넥터는,
    상기 고정부(55a, 57a, 50; 55a, 57a, 70/70a/130) 및 상기 회전부(55b, 35) 중 하나에 연계되어 마련되고 상기 고정부(55a, 57a, 50; 55a, 57a, 70/70a/130) 및 상기 회전부(55b, 35) 중 상기 하나가 상기 상하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에 의해 한정되는 가상면 상에서 최적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조정기(50, 52, 53, 58, 63, 59; 73, 81; 73, 81A; 130a, 130b)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퓰레이터의 어레이는 상기 음조 생성 시스템(AC, HM, DM, ST)에 연결되는 백건(41)과 상기 음조 생성 시스템(AC, HM, DM, ST)에 연결되는 흑건(42)을 갖는 건반(KB)인 악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음조 생성 시스템은,
    각각 상기 백건과 흑건(41, 42)에 연결되는 액션 유닛(AC)과,
    상기 액션 유닛(AC)에 링크되어 상기 백건과 흑건(41, 42) 중 하나 이상의 해당된 건이 가압될 때 회전하도록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해머(HM)와,
    상기 해머(HM)가 상기 회전의 마지막 지점에서 충돌하도록 상기 케이스(100) 내에서 신장되어 상기 해머(HM)에 대향되는 현(ST)을 포함하는 악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판(UNT)은,
    상기 케이스(100)의 안내 블록(19) 상에서 활주 가능한 후방판(32)과,
    상기 매니퓰레이터(41, 42)의 어레이(KB)가 연주자에게 노출될 때 상기 후방부(32) 위로 접혀지도록 상기 회전 커넥터에 의해 상기 케이스(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후방판(32)에 힌지 연결되는 전방판(31)을 갖는 악기.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정기는,
    상기 케이스(100)와 상기 커버판(UNT) 간의 조립시 상기 케이스(100)와 상기 커버판(UNT) 중 연계된 것에 상기 고정부(55a, 57a, 50; 55a, 57a, 70/70a/130) 및 상기 회전부(55b, 35) 중 상기 하나를 체결하기 위한 주요 체결구(51, 52, 58, 59)와,
    상기 조립시의 위치로부터 상기 최적 위치로 이동한 후 다른 조립시 상기 케이스(100)와 상기 커버판(UNT) 중 상기 연계된 것에 상기 고정부(55a, 57a, 50; 55a, 57a, 70/70a/130) 및 상기 회전부(55b, 35) 중 상기 하나를 체결하기 위한 보조 체결구(53, 63)를 갖는 악기.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정기는,
    상기 고정부(55a, 57a, 50; 55a, 57a, 70/70a/130) 및 상기 회전부(55b, 35) 중 상기 하나가 상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위치 조정기구(73; 130b)와,
    상기 고정부(55a, 57a, 50; 55a, 57a, 70/70a/130) 및 상기 회전부(55b, 35) 중 상기 하나가 상기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위치 조정기구(81; 81A; 130a)를 갖는 악기.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정기는,
    상기 커버판(UNT)이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되는 동안 상기 커버판(UNT)에 저항력을 부가하기 위한 댐퍼(55)와,
    상기 댐퍼(55)와 상기 커버판(UNT)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35)와,
    상기 댐퍼(55)와 상기 케이스(100) 사이에 연결되는 다른 연결 부재(50; 70; 70A; 130)를 포함하는 악기.
KR1020070003156A 2006-01-12 2007-01-11 건반덮개가 적소에 위치된 건반 악기 및 건반덮개용 회전커넥터 KR1008508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04811 2006-01-12
JP2006004811A JP4839843B2 (ja) 2006-01-12 2006-01-12 鍵盤楽器の鍵盤蓋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5334A true KR20070075334A (ko) 2007-07-18
KR100850839B1 KR100850839B1 (ko) 2008-08-06

Family

ID=37945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3156A KR100850839B1 (ko) 2006-01-12 2007-01-11 건반덮개가 적소에 위치된 건반 악기 및 건반덮개용 회전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50658B2 (ko)
EP (1) EP1808847A3 (ko)
JP (1) JP4839843B2 (ko)
KR (1) KR100850839B1 (ko)
CN (1) CN101000760B (ko)
TW (1) TWI33557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605B1 (ko) * 2011-01-20 2013-08-13 세원정밀주식회사 피아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39843B2 (ja) * 2006-01-12 2011-12-21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の鍵盤蓋構造
US7700860B2 (en) * 2006-01-16 2010-04-20 Yamaha Corporation Keyboard instrument and fallboard structure thereof
JP4894028B2 (ja) * 2009-06-30 2012-03-0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鍵盤蓋の開閉装置
CN101847395A (zh) * 2010-05-12 2010-09-29 广州珠江钢琴集团股份有限公司 键盘盖转动机构
US8916757B2 (en) 2011-07-07 2014-12-23 Yamaha Corporation Lid opening/closing mechanism for keyboard musical instrument
US8476511B1 (en) * 2012-01-19 2013-07-02 Marlene Stenuf Device and method to secure a piano fallboard
US9076410B2 (en) * 2013-09-19 2015-07-07 Kabushiki Kaisha Kawai Gakki Seisakusho Fallboard arrangement for keyboard instrument and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fallboard
JP2015087708A (ja) * 2013-11-01 2015-05-07 ヤマハ株式会社 緩衝装置
JP6311905B1 (ja) * 2017-06-01 2018-04-1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鍵盤楽器
JP7046672B2 (ja) * 2018-03-28 2022-04-04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ピアノの長尺部品の取付け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62726A (en) * 1920-11-22 1923-07-24 Monarch Carriage Goods Company Glare shield for automobiles
GB490887A (en) * 1937-11-26 1938-08-23 Triumph Auto Pianos 1930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iano casings
KR840002064Y1 (ko) * 1983-04-25 1984-10-10 김대철 변위가능한 건반을 갖춘 크로마하프
JPH0548238Y2 (ko) * 1989-06-13 1993-12-21
AT393920B (de) * 1990-10-04 1992-01-10 Glosz Franz Pianino
JP3506843B2 (ja) * 1996-06-07 2004-03-15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鍵盤楽器の鍵盤蓋開閉機構
JPH10293571A (ja) * 1997-04-21 1998-11-04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ピアノの部品連結機構
JP3849313B2 (ja) * 1997-08-06 2006-11-22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の鍵盤蓋開閉装置
JPH11167379A (ja) * 1997-12-01 1999-06-22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アップライトピアノのアクション組立品の取付装置
JP3405166B2 (ja) * 1997-12-15 2003-05-12 ヤマハ株式会社 楽器の蓋体構造
US6286185B1 (en) * 1998-03-17 2001-09-11 Dieter Ramsauer Hinge for metal cupboard doors
KR19980065018A (ko) * 1998-06-16 1998-10-07 윤진목 어쿠스틱 피아노의 등간격 타현점 브이배열 스켈리톤 제조방법
JP2000170813A (ja) * 1998-12-07 2000-06-23 Sugatsune Ind Co Ltd ロータリーダンパー
GB2356484B (en) * 1999-11-16 2001-11-07 Kemble & Company Ltd Keyboard instrument
US6686521B2 (en) * 2001-03-30 2004-02-03 Yamaha Corporation Keyboard instrument
CN2514082Y (zh) * 2001-11-04 2002-10-02 昆山鸿纬制冷设备有限公司 库门铰链
JP2003202858A (ja) * 2002-01-08 2003-07-18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鍵盤楽器の鍵盤蓋開閉装置
JP2004133085A (ja) * 2002-10-09 2004-04-30 Yamaha Corp 鍵盤楽器における鍵盤蓋の係止装置
CN2584757Y (zh) * 2002-10-23 2003-11-05 张祖筑 四向可调隐形门窗铰链
US7240400B2 (en) * 2003-10-23 2007-07-10 Brent Bonham Vertical and horizontal adjustable hinge assembly
US7293329B2 (en) * 2004-02-27 2007-11-13 Newell Operating Company Vertically adjustable hinge
US6983514B2 (en) * 2004-05-11 2006-01-10 Shin Zu Shing Co., Ltd. Pivot hinge with positioning function
US20050273976A1 (en) * 2004-05-12 2005-12-15 Denco Marketing Co. Adjustable roller bracket device for retractable door hinge
US7231691B1 (en) * 2005-02-25 2007-06-19 Grass America Inc. Full overlay hinge with three-dimensional mechanical adjustment and top pins
US7162774B1 (en) * 2005-10-07 2007-01-16 Ferco Architechtural Hardware Multi-position adjustable door hinge
JP4839843B2 (ja) * 2006-01-12 2011-12-21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の鍵盤蓋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605B1 (ko) * 2011-01-20 2013-08-13 세원정밀주식회사 피아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00760A (zh) 2007-07-18
JP2007187803A (ja) 2007-07-26
US7550658B2 (en) 2009-06-23
KR100850839B1 (ko) 2008-08-06
TWI335572B (en) 2011-01-01
JP4839843B2 (ja) 2011-12-21
US20070157794A1 (en) 2007-07-12
EP1808847A2 (en) 2007-07-18
EP1808847A3 (en) 2015-10-28
CN101000760B (zh) 2011-08-17
TW200739515A (en) 2007-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0839B1 (ko) 건반덮개가 적소에 위치된 건반 악기 및 건반덮개용 회전커넥터
KR100273869B1 (ko) 올드햄 커플링으로 케이스에 조립된 건반덮개를 갖는 건반악기
EP1564718B1 (en) Snare strainer
US20080110321A1 (en) Cajon incorporating a snare carpet
US20050204511A1 (en) Hinge for a motor-vehicle door
EP0655728B1 (en)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 having hammer stopper outwardly extending from hammer shank and method of remodeling piano into the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
KR100273868B1 (ko) 평행 4변형 링크기구에 의해 구현된 해머 스토퍼를 구비한 건반 악기
US5600077A (en) Damper mechanism provided in a grand piano
US5565636A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equipped with driving unit for hammer stopper located in wide space in front of hammer assemblies
US5123321A (en) Piano
US7238868B2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equipped with automatic player and method for retrofitting keyboard musical instrument
US20010037718A1 (en) Pedal mechanisms assembled into unit and keyboard musical instrument equipped with the same
US6011214A (en) Keyboard instruments having hammer stopper outwardly extending from hammer shank and method of remodeling piano into the keyboard instrument
US6265647B1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having hammer stopper changed between free position and blocking position through turn on horizontal plane
JP3170208B2 (ja) グランドピアノのダンパーレバー
US6348645B1 (en) Damper for grand piano
CN110189734B (zh) 键盘乐器的键盘盖装置和键盘盖的开闭设备
KR100705339B1 (ko) 위치 조절기를 구비한 햄머 스톱퍼 및 이를 구비한 복합키보드 악기
JPH0136541Y2 (ko)
JPH11184460A (ja) 自動演奏ピアノの鍵盤駆動装置
KR200295711Y1 (ko) 피아노 페달의 페달레버 연결구
JPS6027428Y2 (ja) 音板打楽器の操作機構
WO2023010216A1 (en) Hammer return spring rail for an upright piano, modular hammer return spring rail for an upright piano, repetition spring assembly for an upright piano, and pedal assembly for an upright piano
JP2012005590A (ja) ヒンジ装置及びヒンジ装置用据付部材
JP2002113223A (ja) 部品の取付方法、部品の取付構造、並びにその部品の取付構造を備えたパチンコ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