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5339B1 - 위치 조절기를 구비한 햄머 스톱퍼 및 이를 구비한 복합키보드 악기 - Google Patents

위치 조절기를 구비한 햄머 스톱퍼 및 이를 구비한 복합키보드 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5339B1
KR100705339B1 KR1020030016370A KR20030016370A KR100705339B1 KR 100705339 B1 KR100705339 B1 KR 100705339B1 KR 1020030016370 A KR1020030016370 A KR 1020030016370A KR 20030016370 A KR20030016370 A KR 20030016370A KR 100705339 B1 KR100705339 B1 KR 100705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mmer
stopper
hammer stopper
str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6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6307A (ko
Inventor
이토우카츠오
카와무라키요시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76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6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5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5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F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1/00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1/02Pianofortes with keyboar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5/00Combinations with other musical instruments, e.g. with bells or xylophones
    • G10C5/10Switching musical instruments to a keyboard, e.g. switching a piano mechanism or an electrophonic instrument to a keyboard; Switching musical instruments to a silent m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햄머 스톱퍼는 무음식 피아노에 포함되고; 햄머 스톱퍼는 햄머(234)가 피아노의 현(206)을 타현할 수 있는 자유위치와, 햄머(234)가 현(206)을 타현할 수 없는 차단위치 사이에서 회동가능한 축(101A'/101B')과, 축(101A'/101B')이 차단위치에 있을 때 햄머 생크(234c)를 그 상에서 받아들이는 조절가능한 완충재(2A/2B)를 포함하고, 완충재(2A/2B)를 조절하기 위해 위치 조절기(10A/10B)가 조절가능한 완충재(2A/2B)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키보드와 액션 유니트를 해체하지 않고 햄머 스톱퍼를 어쿠스틱 피아노(1)에 쉽게 조립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치 조절기를 구비한 햄머 스톱퍼 및 이를 구비한 복합 키보드 악기{HAMMER STOPPER HAVING POSITION ADJUSTER THEREON AND COMPOSIT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HAVING THE SAME}
도 1은 종래기술의 무음식 피아노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의 무음식 피아노에 포함된 스플리트 햄머 스톱퍼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음식 피아노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햄머 스톱퍼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햄머 스톱퍼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해머 스톱퍼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햄머 스톱퍼에 사용된 스프링 와셔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햄머 스톱퍼에 사용된 금속편을 나타내는 횡단면도 및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햄머 스톱퍼의 조정작업을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복합 키보드 악기에 포함된 위치 조절기를 나 타내는 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른 복합 키보드 악기에 포함된 다른 햄머 스톱퍼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선(A-A')을 따라 절단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햄머 스톱퍼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13은 선(B-B')을 따라 절단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해머 스톱퍼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따른 또 다른 햄머 스톱퍼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32a/232b 건반, 232 키보드,
202 액션 유니트, 206 현,
234 햄머,
100A', 300, 400, 500 햄머 스톱퍼,
101A'/101B', 320, 420, 512 축
2A/2B, 310/312, 410/420, 510/520 완충재
10A/10B, 312, 412, 520 위치 조절기
본 발명은 키보드 악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쿠스틱 톤 및 전자 톤을 선택적으로 생성하는 무음식 피아노 및 이 무음식 피아노에 포함된 무음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어쿠스틱 피아노는 현의 진동을 통해 톤을 생성한다. 연주자는 건반을 눌러 어쿠스틱 피아노에 설치된 작동 기구를 가동한다. 이 작동 기구는 햄머조립체를 회전구동하여 햄머가 타현하여 진동을 발생시킨다.
어쿠스틱 음과 전자음을 선택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종류의 피아노가 있다. 이러한 종류의 복합 키보드 악기를 무음피아노라고 한다. 이 무음식 피아노에는 햄머스톱퍼가 장착된다. 연주자가 어쿠스틱 톤으로 음악을 연주하고자 할 때, 연주자는 무음식 피아노의 햄머 스톱퍼를 자유위치에 있도록 한다. 그러면, 햄머 스톱퍼는 무음식 피아노의 햄머의 궤도 밖에 위치되어 햄머 스톱퍼가 햄머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한편, 연주자가 어쿠스틱 톤 없이 핑거링의 연습을 원할 때에는, 연주자는 햄머 스톱퍼를 차단위치로 변경하도록 복합 키보드 악기를 조정한다. 따라서 햄머 스톱퍼가 햄머궤도내로 이동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연주자가 키보드상에서 핑거링을 연습할 때에도, 햄머가 타현하기 전에 햄머 스톱퍼 상에서 되튕겨져서 어떤 어쿠스틱 톤이라도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건반 센서의 세트는 현재의 키 위치를 제어장치에 주기적으로 통지한다. 제어장치는 연주자가 건반들 중 어느 하나를 눌렀는지 또는 놓았는지를 나타내는 위치데이타 정보를 분석한다. 연주자가 건반을 누르고 있다는 것이 제어장치에서 인지되면, 제어장치는 생성할 전자톤을 대표하는 음악데이타 코드를 생성하고, 해드폰이나 스피커를 통해 이 전자톤이 생성된다. 한편, 연주자가 건반을 놓고 있다는 것이 제어장치에서 인지되면, 전자톤의 감쇄(decay)를 대표하는 음악데이타 코드를 생성하고, 전자톤이 감쇄된다. 따라서, 무음 피아노는 사용자가 이웃에 해를 끼치지 않으면서 핑거링연습을 하도록 해준다. 사용자가 어쿠스틱 톤으로 연주하는 상태를 이하에서는 "어쿠스틱 사운드모드"라고 하고, 어쿠스틱 톤없이 핑거링연습을 하는 상태를 "무음 모드"라고 한다.
어쿠스틱 피아노는 고유의 키터치를 연주자에게 제공한다. 연주자가 건반을 누르면 관련 액션 유니트가 회전구동되고, 햄머를 관련 플랜지 주변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회전액션 유니트가 잭을 정규버튼과 접촉하게 하면 관련 햄머로부터 잭이 탈출하게 된다. 잭이 완전히 탈출함에 따라 햄머가 자유회전을 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타현하기 전에 햄머가 햄머 스톱퍼에서 되튕겨진다. 햄머로부터의 탈출은 연주자로 하여금 독특한 키터치를 느끼게 해준다. 햄머 스톱퍼가 탈출점과 타점 사이에 위치된다. 햄머 스톱퍼가 현 근처에 위치되면, 햄머가 햄머 스톱퍼상에서 되튕겨지기 전에 타현하게 되어 소망하지 않은 어쿠스틱 사운드가 발생하게 된다. 햄머 스톱퍼의 위치는 바람직한 위치에 조절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햄머 스톱퍼의 위치는 무음식 피아노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도 1 및 도 2는 일본 특허공보 7-191665호에 기재된 종래 무음식 피아노에 포함된 햄머 스톱퍼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 무음식 피아노는 그랜드 피아노를 포함한다. 액션 유니트(미도시), 햄머(H) 및 현(S)이 피아노 케이스(PC)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들 도면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목재 프레임 및 건반베드가 피아노 케이스(PC)의 저부를 형성한다. 측면판(104)은 피아노 케이스(PC)의 테두리를 형성하여 피아노 케이스(PC)에 날개와 같은 외관을 제공한다. 측면판(104)은 굴곡부와 직선부를 포함한다. 직선부는 굴곡부의 양단으로부터 나란하게 전방을 향해 돌출된다.
참조번호(100)는 종래 기술의 햄머 스톱퍼를 나타낸다. 햄머 스톱퍼(100)는 햄머(H)와 현(S)의 어레이 사이의 공간에서 측방으로 연장되어 측면판(104)의 직선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햄머 스톱퍼(100)는 전환기구(110)와 함께 무음 시스템(SS)의 조합을 형성한다. 전환기구(110)는 햄머 스톱퍼(100)에 힘을 전달하고, 이 힘이 햄머 스톱퍼를 자유위치와 차단위치 사이에서 회전시킨다.
햄머 스톱퍼(100)는 2개의 부분 100A 및 100B으로 분할된다. 우측부분(100A)은 중고음역의 현(206)과 관련한 햄머(234)에 할당되고, 전환기구(110)를 통해 회전구동된다. 한편, 좌측부분(100B)는 저음역의 현(206)과 관련한 햄머(234)에 할당되고, 또한 전환기구(110)를 통해 회전구동된다. 햄머 스톱퍼(100)의 우측부분(100A)과 좌측부분(100B)은 각각의 회동축(101A/101B), 각각의 완충재(102A/102B), 및 각각의 베어링쌍(106A/106B 및 106C/106D)을 포함한다. 완충재(102A/102B)는 각각이 축(101A/101B)에 직접적으로 부착된 제1 쿠션층(102Aa/102Ba)과, 제1 쿠션층((102Aa/102Ba)의 표면에 부착되는 제2 쿠션층(103A/103B)으로 이루어진다. 완충재(102A), 축(101A) 및 베어링 유니트쌍(106A/106B)은 햄머 스톱퍼(100)의 우측부분(100A)의 조합을 형성하고, 다른 완충재(10B), 축(101B) 및 베어링 유니트쌍(106C/106D)은 햄머 스톱퍼(100)의 좌측부분(100B)의 조합을 형성한다. 이 예에서, 자체정렬 베어링 유니트가 베어링 유니트쌍(106A/106B 및 106C/106D)으로서 사용된다.
도 2에 있어서, 참조번호(107)은 돌출부를 나타낸다. 이 돌출부(107)는 햄머 스톱퍼(100)가 차지하는 공간내로 돌출한다. 이는 돌출부(107)가 햄머 스톱퍼(100)의 설치를 방해함을 의미한다. 조립 작업자는 돌출부(107)의 우측에 우측부분(100A)을 설치하고, 돌출부분(107)의 좌측에 좌측부분(100B)을 설치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브라켓(105B)이 돌출부(107)에 고정된다. 브라켓(105B)은 채널 등으로 형성되고 이브(eave)(105Ba/105Bb)를 갖는다. 이브(105Ba/105Bb)는 돌출부(107)의 양측에 설치된다. 돌출부(107)는 채널형 몸체(105Bc)의 공간에 설치되고, 볼트(105Bd)에 의해 돌출부(107)가 채널형 몸체(105Bc)에 끼어진다. 볼트(105Bd)가 풀어지면, 브라켓(105)이 움직이게 되어 작업자가 브라켓(105)과 돌출부(107)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은 모든 위치에서 돌출부(107)를 조일수 있다.
브라켓(105A)은 볼트(105a) 수단에 의해 측면판(104)의 직선부의 내부면에 각각 고정된다. 브라켓(105A) 중 하나가 직선부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브라켓(105A)도 도 1에 나타낸 브라켓(105A)와 동일한 방식으로 다른 직선부에 고정된다. 이 브라켓(105A)은 이브(105Ba/105b)(105Ba/105Bb)로부터 각각 횡으로 이격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에 나타낸 브라켓(105A)을 "우측 브라켓(105A)", 그리고 다른 하나의 브라켓(105A)을 "좌측 브라켓(105A)"으로 참조한다.
베어링 유니트(106A/106B)는 각각 축(101A)에 대한 우측 브라켓(105A)과 이브(105B)에 장착되고, 축(101A)은 베어링 유니트(106A/106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유사하게, 다른 축(101B)에 대한 베어링 유니트(106C/106D)는 축(101B)에 대한 이브(105B)와 좌측 브라켓(105A)에 장착된다. 따라서 축(101A/101B)은 측면판(104)의 직선부중 하나와 돌출부(107) 사이, 그리고 돌출부와 다른 직선부의 사이에 독립적으로 지지된다. 돌출부(107)가 공간내부로 돌출하지만, 스프리트 해머 스톱퍼(100), 즉 100A/100B가 피아노 케이스(PC)의 내부에 설치된다.
단일 전환시스템(110)은 해머 스톱퍼(100)의 우측부분(100A) 및 좌측부분(100B) 양측에 설치된다. 이는 전환시스템(110)이 우측/좌측 부분(100A/100B) 양측에 힘을 전달할 것으로 기대된다. 우측/좌측부분(100A/100B)에 평행하게 힘을 전달하기 위해, 전환시스템(110)은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핀(114)은 축(101A)의 우측단과 축(101B)의 좌측단에 각각 고정되고, 핀(114)에는 슬리트가 각각 형성된다. 전환기구(110)는 홀더(111), 와이어(112A/112B), 및 노브(knob)(113)를 더 포함한다. 와이어(112A/112B)는 홀더(111)를 통과하여 그 일단이 노브(113)에 접속된다. 와이어(112A/112B)의 타단은 햄머 스톱퍼(100)의 회동축(101A/101B)에 고정된 핀(114)에 각각 접속된다.
연주자가 자신을 향하여 노브(113)를 잡아 당겨 햄머 스톱퍼(100)를 무음모드로 변경할 때, 와이어(112A/112B)가 아래로 당겨져서 축(101A/101B)을 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한다. 완충재(102A/102B)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동시적으로 햄머 생크(234c)와 대면한다. 따라서, 햄머 스톱퍼(100)가 햄머(234)의 궤도로 이동한다. 한편, 연주자가 햄머 스톱퍼(100)를 자유위치로 변경할 때에는 노브(113)를 홀 더(111) 안으로 밀어넣는다. 그러면, 복귀스프링(미도시)이 우측부분(100A)과 좌측부분(100B)을 반시계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시키고, 완충재(102A/102B)가 햄머(234)의 궤도 밖으로 이동한다.
종래 무음식 피아노에서는 햄머 스톱퍼(100), 햄머(234) 및 현(206)에 조정작업을 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햄머 스톱퍼(100)에 대한 조정작업은, 조립 작업자가 트라이얼 앤드 에러 방식을 통해 햄머 스톱퍼(100)의 개별적인 부분(100A/100B)에 대하여 적당한 위치를 탐색해야 하기 때문에 복잡하다. 먼저, 조립 작업자는 스크류(105a)를 사용하여 브라켓(105A) 중 하나를 측면판(104)의 직선부에 고정한다. 다음으로, 조립 작업자는 이 브라켓(105B)을 돌출부(107)의 측면상에 슬라이드 시키여 브라켓(105A)의 현재위치에 대응하는 임의의 위치에서 브라켓(105B)을 돌출부(107)에 고정한다. 축(101A 또는 101B)은 그 양단이 베어링 유니트(106A/106B 또는 106C/106D)에 조립되고, 베어링 유니트(106A/106B 또는 106C/106D)는 우측/좌측 브라켓과 관련 이브(105Ba/105Bb)에 고정된다.
임시 조립 작업이 완료되면, 조립 작업자가 햄머(234)와 현(206)의 관련위치에 대하여 우측/좌측부분(100A/100B)을 체크한다. 조립 작업자가 키보드와 액션 유니트를 건반 베드상의 바람직한 위치에 복원하고 건반을 눌러 무음모드에서의 관련위치에 대한 우측/좌측부분(100A/100B)을 체크한다. 우측/좌측부분(100A/100B)이 부적당하게 설치되면, 건반 터치가 이상하고, 또는 햄머가 잭과 우측/좌측부분(100A/100B)의 사이에 끼워진다. 우측/좌측부분(100A/100B)은 현재의 위치로부터 적당한 위치로 변경되어야 한다. 조립 작업자는 재차 키보드와 액션 유니트를 건반 베드로부터 제거한다. 조립 작업자는 스크류(105a/105Bd)를 풀고 상방 또는 하방으로 브라켓(105A/105B)을 이동하여 다른 위치에 브라켓(105A/105B)을 위치시킨다. 조립 작업자는 임시적으로 스크류(105a/105Bd)를 조인 후 다시 키보드와 액션 유니트를 건반베드상에 복원한다. 조립 작업자는 무음모드에서의 관련위치에 대한 우측/좌측부분(100A/100B)을 체크한다. 따라서, 조립 작업자는 트라이얼 앤드 에러 방식을 통해 햄머 스톱퍼(100)의 우측 및 좌측(100A/100B)의 각각에 대하여 바람직한 위치를 탐색한다. 작업조립자가 바람직하게 설치된 우측/좌측부분을 발견하면, 작업조립자는 최종적으로 브라켓(105A/105B)에 스크류(105a/105Bb)를 조인다. 따라서, 조정작업에 시간이 소요되어 무음식 피아노의 제조비용을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립 작업자가 햄머와 현에 대한 바람직한 관련위치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햄머 스톱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중요 목적은 햄머 스톱퍼가 장착된 복합 키보드 악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햄머와 관련 햄머에 의해 타현되는 현을 갖는 피아노에 사용되고, 햄머가 관련 현을 때릴 수 있는 자유위치와 관련 햄머가 타현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위치 사이에서 회동가능한 축과, 표면이 있는 완충재로서, 자유위치에서는 햄머의 궤도 외측의 특정 위치에 머무르며 차단위치에서는 타현함이 없이 상기 표면상에서 햄머를 되튕기는 완충재를 구비하는 햄머 스톱퍼로서, 상기 완충재는, 상기 햄머의 궤도를 따라 거리를 변경시키기 위해 상기 축과 상기 표면 사이의 공간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표면을 상기 햄머와 상기 현에 대한 관련위치로 조절하는 위치 조절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단위치에서는 상기 완충재가 상기 현에 대한 상기 햄머의 어떠한 타현없이 상기 관련위치에 있는 상기 표면상에서 상기 햄머를 확실히 되튕기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각각의 휴지위치와 각각의 종단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복수의 건반을 포함하는 키보드, 상기 복수의 건반에 각각 링크되고, 상기 종단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건반에 의해 선택적으로 기동되는 복수의 액션 유니트, 상기 복수의 건반에 각각 연결되어 진동을 통해 톤을 생성하는 복수의 현, 상기 복수의 현에 각각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기동된 상기 복수의 액션 유니트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구동되고, 상기 회전의 말미에 관련 현을 타현하여 상기 톤을 생성하는 복수의 햄머, 및 상기 복수의 햄머에 설치된 햄머 스톱퍼로서, 상기 복수의 햄머가 상기 관련 현을 타현할 수 있는 자유위치와 상기 햄머가 상기 관련 현을 타현하기 전에 상기 햄머를 되튕겨내는 차단위치 사이에서 변경되는 축과, 상기 축에 접속되고 상기 차단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햄머를 되튕기는 표면을 구비하고 있는 완충재를 구비하는 햄머 스톱퍼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재는, 상기 햄머의 궤도를 따라 거리를 변경시키기 위해 상기 축과 상기 표면 사이의 공간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표면을 상기 햄머와 상기 현에 대한 관련위치로 조절하는 위치 조절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단위치에서는 상기 완충재가 상기 현에 대한 상기 햄머의 어떠한 타현없이 상기 관련위치에 있는 상기 표면상에서 상기 햄머를 확실히 되튕기게 하는 복합 키보드 악기가 제공된다.
제1 실시예
이하의 설명에서, "전방"이란 후방위치보다 어쿠스틱 피아노의 전방에 앉은 연주자에 가까운 측을 의미한다. "종단방향"이란 전방위치에서 후방위치 사이에 그려진 가상선을 지칭한다. "측방향"은 종단방향과 수직하고 휴지위치에 배열된 건반에 의해 규정된 평면에 평행하다. "연직방향"은 측방향과 휴지위치에 배열된 건반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모두와 수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구현한 무음식 피아노는 크게 어쿠스틱 피아노(1)와 무음 시스템(200)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어쿠스틱 피아노(1)는 그랜드 피아노이고, 무음 시스템(200)은 연주자가 어쿠스틱 톤과 전자톤을 선택하여 음악을 연주할 수 있게 해준다. 연주자가 어쿠스틱 톤을 선택하면, 무음식 피아노가 어쿠스틱 사운드 모드로 설정된다. 연주자가 어쿠스틱 피아노(1)를 연주하는 동안, 어쿠스틱 피아노(1)는 어쿠스틱 톤을 생성하고, 무음 시스템(200)은 휴지상태에 있다. 한편, 연주자가 어쿠스틱 톤 없이 무음 모드로 핑커링 연습을 하면, 무음 시스템(200)은 어쿠스틱 피아노 톤을 대신하여 전자톤을 생성한다. 따라서, 무음식 피아노는 어쿠스틱 사운드 모드와 무음 모드 사이에서 변경된다.
어쿠스틱 피아노(1)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키보드(232), 복수의 액션 유니트(202), 복수의 댐퍼(204), 복수의 현(206) 세트, 및 햄머(234)를 포함한다. 어쿠스틱 피아노(1)는 피아노 케이스(PC')를 더 포함하고, 무음 시스템(200)과 연관지어 피아노 케이스(PC')를 설명하도록 한다.
검정색 건반(232a)과 흰색 건반(232b)은 공지의 패턴으로 설치되고, 밸런스 레일(244) 주위로 회전가능하다. 검정색 건반/흰색 건반(232a/232b)에는 각각 음계의 음조가 할당된다. 현(206)의 세트가 진동하여 할당된 음조의 어쿠스틱 톤을 생성한다. 따라서, 연주자는 검정색 건반/흰색 건반(232a/232b)을 통해 현(206)을 열거한다.
현의 세트는 댐퍼(204)와도 결합되고, 댐퍼(204)는 그랜드 피아노에서의 경우와 유사하게 현(206)과 이격되고 또한 현과 접촉하게 된다. 검정색/흰색 건반(232a/232b)은 관련 현의 세트(206)로부터 이격된 관련 댐퍼(204)에 유지되며, 현(206)이 진동하여 어쿠스틱 톤을 생성한다. 댐퍼(204)가 관련 현(206)의 세트상에 복귀하면, 댐퍼(204)가 진동을 흡수하여 어쿠스틱 톤을 감쇄한다.
검정색/흰색 건반(232a/232b)은 차례대로 햄머(234)와 결합되어 있는 액션 유니트(202)와 각각 결합한다. 액션 유니트(202)는 검정색/흰색 건반(232a/232b)의 상부에 제공되고, 검정색/흰색 건반(232a/232b)은 캡스턴 스크류(248)를 통해 관련 액션 유니트에 각각 접속된다. 연주자가 흰색 건반(232b)을 누르면, 눌려진 흰색 건반(232b)이 관련 액션 유니트(202)를 가동하여 이스케이프(escape)를 통해 관련 햄머(234)의 자유회전을 일으킨다. 햄머(234)는 자유회전의 말미에 관련 현(206)의 세트를 때리고 현(206)상에서 되튕긴다. 연주자는 그 손가락에서 고유한 키터치를 느낄 수 있고, 관련 현(206)의 세트가 진동하여 어쿠스틱 톤을 생성한다. 액션 유니트(202)는 그 구조에 있어서 다른 액션 유니트와 유사하다. 각각의 액션 유니트(202)는 위픈(whippen) 조립체(250), 잭(252), 반복레버 플랜지(254) 및 조절버튼(258)을 포함한다. 위픈 조립체(250)는 그 일단이 위픈 플랜지(28)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되고, 자체 중량에 의해 관련 캡스턴 스크류(248)과 접촉한 채로 유지된다. 위픈 플랜지(280)는 차례대로 위픈 레일(282)에 고정되고, 위픈 레일(282)은 검정색/흰색 건반(232a/232b)의 후방부 상부에서 횡으로 연장된다. 위픈 레일(282)은 액션 브래킷(262)에 의해 지지되고, 액션 브래킷(262)은 건반베드(240b)상에 배치된 브래킷 블럭(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된다. 따라서, 액션 브래킷(262)과 위픈 레일(282)는 건반 베드(280)상에, 그리고 건반베드의 상부에 머무르고, 위픈 조립체(250)가 위픈 플랜지(280) 주변으로 회전한다.
반복 레버 프랜지(254)는 위픈 조립체(250)의 중간부에 고정되고, 이곳에서 상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반복 레버(256)는 반복 레버 플렌지(254)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되고, 반복 레버(256)의 일단부에는 관통구(268)가 형성되어 있다. 잭(252)은 다리부(252A)와 받침부(foot potion)(252B)를 가지며, 위픈 조립체(250)의 다른쪽 단부에 그 앵클부가 회전가능하게 접속된다. 다리부(252A)의 리드단은 관통구(268)에 삽입되고, 받침부(252B)에는 토우(toe)가 형성된다. 반복 스프링(260)은 항상 잭(252)과 반복 레버(256)를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하여 잭(252)과 반복 레버(256)가 상대적인 움직임 없이 위픈 조립체(250)상에 유지된다.
위픈 조립체(250)의 회전동안 잭(252)은 위픈 플랜지(280) 주변으로 회전되고, 소정 궤도상으로 토우가 이동한다. 조절버튼(258)은 토우의 궤도상의 특정 위치에 위치되고, 조절 레일(264)에 걸려진다. 조절 레일(264)은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다른 조절 버튼(258)에 의해 공유된다. 생크 플랜지 레일(266)은 액션 브라켓(262)에 고정되어, 검정색/흰색 건반(232a/232b)의 상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조절 레일(264)은 생크 플랜지 레일(266)에 고정되고, 조절버튼(258)은 토우를 향해 돌출될 수 있으며, 조절 레일(262)로부터 출몰가능하다. 이러한 이유로, 조절버튼(258)과 토우(252Ba) 사이의 간극이 변화된다.
연주자가 검정색/흰색(232a/232b)을 누르는 동안 흑백건반(232a/232b)의 후방부가 휴지위치로부터 발원하여 위픈 조립체(25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위픈 조립체(250)와 함께 잭(252)이 회전하고, 토우가 조절버튼(258)에 점차 가깝 게 된다. 토우가 조절버튼(258)에 접촉하게 되면, 반동에 의해 잭(252)이 위픈 조립체(250)의 먼쪽 단부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 다음, 관련 햄머(234)로부터 잭(252)이 탈출하고, 관련 햄머(234)를 생크 플랜지(234a) 주변으로 회전구동 시킨다. 캡스턴 버튼(248)상에 작용하는 중량으로부터 햄머(234)의 중량이 제거되기 때문에, 연주자는 검정색/흰색 건반(232a/232b)이 가벼운 느낌을 받는다. 따라서, 연주자는 이러한 잭의 탈출을 통해 고유한 키터치를 느끼게 된다.
또한, 햄머(234)는 그 구조가 다른 햄머와 유사하다. 각각의 햄머(234)는 생크 플랜지(234a), 햄머 펠트(234b), 햄머 생크(234c) 및 롤러(234d)로 분해된다. 생크 플랜지(234a)는 생크 플랜지 레일(266)에 고정되고, 햄머 생크(234c)는 생크 플랜지(234a)로부터 돌출된다. 플랜지 펠트(234b)는 햄머 생크(234c)의 리드단에 고정되어 관련 현(206)의 세트에 대치된다. 롤러(234d)는 회전가능하게 햄머 생크(234c)에 접속된다. 햄머(234)가 휴지 위치에 있으면, 롤러(234d)는 다리부(252A)의 상부 끝면에 접촉한 채로 각각 유지된다. 잭(252)이 햄머(234)로부터 탈출하면, 롤러(234d)가 차여져 햄머(234)가 자유회전을 시작한다.
연주자가 흰색 건반(232b)의 전방부를 눌렀다고 가정한다. 흰색 건반(232b)의 전방부가 내려 앉고, 따라서 밸런스 레일(244)로부터 돌출한 밸런스 핀 주변으로 흰색 건반(232b)이 스윙하고, 따라서 후방부가 상승한다. 캡스턴 스크류(248)가 위픈 조립체(250)를 상방으로 밀고, 위픈조립체(250)를 위픈 플랜지(280)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잭(252)과 반복레버(256) 역시, 위픈조립체(250)와 잭/반복레버(252/256) 사이에 어떠한 상대회전 없이 위픈 플랜지(280) 주변으로 회 전한다. 잭(252)이 로울러(234d)를 밀어 햄머가 생크 플랜지(234a) 주변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햄머 펠트(234b)가 현(206)을 향해 전진하고, 토우는 조절버튼(258)을 향해 괘도상으로 이동한다.
토우가 조절버튼(258)과 접촉하게 되면, 잭(252)이 위픈 조립체(250)의 타단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햄머(234)로부터 탈출한다. 롤러(234d)가 차여지고, 햄머(234)가 시계방향으로 생크 프랜지(234a)에 대하여 자유회전하기 시작한다. 동작모드에 따라 햄머 펠트(234b)가 현(206)상에서 되튕기거나 햄머 생크(234c)가 햄머 스톱퍼(100)상에서 되튕겨진다. 따라서, 어쿠스틱 피아노(1)는 그 구조가 표준 그랜드 피아노와 흡사하다. 연주자가 표준 그랜드 피아노를 무음식 피아노로 개량하고자 할 때에는, 무음 시스템이 표준 그랜드 피아노에 설치된다.
무음 시스템
무음 시스템(200)은 햄머 스톱퍼(100A'), 전환기구(110A) 및 전자톤 생성시스템(220)을 포함한다. 햄머 스톱퍼(100A')는 전환기구(110)의 수단에 의해 자유위치와 차단위치 사이를 전환한다. 햄머 스톱퍼(100A')는 어쿠스틱 사운드 모드에서 자유위치를, 무음모드에서는 차단위치를 갖는다. 무음식 피아노가 무음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전자톤 생성시스템(220)이 키작동을 검출하여 키작동에 기초하여 전자톤을 생성한다. 톤생성 시스템(220)은 어쿠스틱 모드에서 어쿠스틱 사운드 모드에서 활성되어도 좋다.
전자톤 생성 시스템(220)은 키감지 시스템(222), 처리시스템(224), 톤생성기(226) 및 헤드폰(228)을 포함한다. 키감지 시스템(222)는 복수의 포토 커 플러와 관련 키셔터에 의해 형성된다. 키셔터는 검정색/흰색 건반(232a/232b)의 저면 아래에 고정되고, 각각의 궤도를 따라 서로 반대로 이동한다. 포토 커플러는, 셔터 궤도의 임의의 측면에 설치되어 궤도를 가로질러 광선을 방출하는 광방출기와, 셔터 궤도의 타측면상에서 상기 광방출기로부터 방출된 광선을 수용하는 광검출기로 이루어진다.
검정색/흰색 건반(232a/232b)이 휴지위치로부터 종단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관련 셔터가 순차적으로 광선을 인터럽트하고, 포토 커플러가 셔터의 현재위치, 즉 셔터에 의해 인터럽트된 광선에 기초하여 검정색/흰색 건반(232a/232b)의 현재위치를 판단한다. 포토 커플러는 현재 건반의 위치를 나타내는 건반위치신호를 생성하고, 이 건반위치신호를 처리시스템(224)에 공급한다. 처리시스템(224)은 현재 건반위치의 변경을 나타내는 위치데이타편을 분석하여 어떤 전자톤을 생성해야하고 감쇄시켜야 하는지를 결정한다. 처리시스템(224)은 전자톤을 생성하고 감쇄시킬 것을 톤생성기(226)에 통지하고, 톤생성기(226)는 전자톤을 나타내는 오디오신호를 변경한다. 오디오 신호는 헤드폰(228)에 공급되고, 전자톤이 헤드폰(228)으로부터 방출된다.
전환기구(110A)는 홀더(111A), 와이어(112A'/112B'), 및 노브(113A)에 의해 형성된다. 와이어(112A'/112B')는 홀더(111A)를 통과하여 그 일단이 노브(113)에 접속된다. 와이어(112A'/112B')의 타단은 종래 기술의 스플리트 해머 스톱퍼(100)에서와 유사하게 햄머 스톱퍼(100A)에 접속된다. 이하에서는, 전환기구(110A)가 어떤 식으로 스플리트 햄머 스톱퍼(100A')의 회전을 일으키는지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피아노 케이스(PC')와 햄머 스톱퍼(100A)의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피아노 케이스(PC')의 구조는 종래 기술의 무음식 피아노와 유사하고, 피아노 케이스와 조합되어 형성되는 부분들에는 종래 기술의 피아노 케이스(PC)의 대응하는 부분을 가르키는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우측 브라켓(105A)과 좌측 브라켓(105A')은 측면판(104)의 직선부에 고정되고, 스크류(105Ba)를 사용하여 브라켓(105B')이 돌출부(107)를 조인다. 브라켓(105B')은 이브(105Bb/105Bc)를 가지며, 우측/좌측 브라켓(105A/105A')이 각각 이브(105Bb/105Bc)에 대향하고 있다.
햄머 스톱퍼(100A')는 우측부분(100E)과 좌측부분(100F)으로 나누어 진다. 우측부분(100E)과 좌측부분(100F)은 중고음역과 관련한 햄머(234)와 저음역에 관련된 햄머(234)에 각각 할당된다. 돌출부(107)가 공간내로 돌출하고 있지만, 우측부분(100E)과 좌측부분(100F)은 돌출부(107)의 우측상의 공간과 돌출부(107)의 좌측상의 공간을 독립적으로 차지하고, 전환기구(110A)는 우측/좌측 부분(100E/100F)을 동시에 회전시킨다.
스플리트 햄머 스톱퍼(100A')가 차단위치에 있다고 가정한다. 우측부분(100E) 및 좌측부분(100F)에 의해 햄머 생크(234c)를 조이지 않으면서 햄머(234)가 현(206)을 때리기 전에 스톱퍼상에서 되튕겨진다. 스플리트 햄머 스톱퍼(100A')는 햄머(234)와 현(206)의 바람직한 관련위치로 조절되어 진다. 회전축과 햄머 생크(234c)가 되튕겨지는 표면 사이의 거리는 가변적이므로 조립 작업자는 햄머(234)와 현(206)에 대한 바람직한 관련위치로 우측/좌측 부분(100E/100F)을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조절할 수 있다.
햄머 스톱퍼(100A')는 어쿠스틱 사운드 모드에서 자유위치에 유지되어, 햄머가 어떤 인터럽트 없이 관련 현(206)을 때릴 수 있게 해준다. 연주자가 연주자측으로 노브를 잡아 당기면, 와이어(112A'/112B')가 하방으로 움직여서 시계방향으로 축(101A/101B)을 회전구동 시킨다. 햄머 생크(234c)가 되퉁겨지는 표면은 아래쪽으로 지향되어 햄머(234)의 궤도에 들어간다.
차단위치에서의 햄머 스톱퍼(100A')는, 잭(252)이 탈출한 후 현(206)을 때리기 전에 스톱퍼상에서 햄머가 되튕겨지게 한다. 전자톤 생성시스템(220)은 건반감지 시스템(222)을 사용하여 연주자가 검정색/흰색 건반(232a/232b)을 눌렀는지 또는 검정색/흰색 건반(232a/232b)을 놓았는지를 모니터링한다. 그 다음, 처리 시스템이 건반감지 시스템(222)으로부터 출력된 건반위치신호에 기초하여 검정색/흰색 건반(232a/232b)의 속도를 계산한다. 톤생성 시스템(226)은 위치 데이타편에 대한 처리시스템(224)의 분석에 기초하여 눌려진 키의 음조와 동일한 음조의 전자톤을 생성한다. 따라서, 무음식 피아노(100)가 현(206)의 진동을 통한 어쿠스틱 사운드를 생성하지 않으면서 전자톤을 생성한다.
햄머 스톱퍼
햄머 스톱퍼(100A')는 우측부분(100E)과 좌측부분(100F)으로 나누어 진다. 우측부분(100E)은 회동축(101A'), 조절가능한 완충재(2A), 한쌍의 베어링 유니트(106A'/106B'), 및 핀(114')을 포함한다. 베어링 유니트(106A',106B')는 브 라켓(105A)과 이브(105Bb)상에 장착되어 축(101A')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한다. 회동축(101A')은 직선부와 돌출부(107) 사이의 공간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하고, 조절가능한 완충재(2A)가 회동축(101A')에 부착된다. 조절가능한 완충재(2A) 자체는 축(101A')으로부터 이격되어 축에 접근하게 된다. 따라서, 조립 작업자가 조절가능한 완충재(2A)와 햄머생크(234C) 사이의 관련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핀(114')은 회동축(101A')에 고정되고, 와이어(112A')는 핀(114')에 고정된다. 노브(113A)가 잡아 당겨지면, 와이어(112A')가 그 힘을 핀(114')에 전달하고, 축(101A')상에 모멘트가 가해진다. 이 결과 우측부분(100E)이 회전하게 된다.
이와 유사하게, 좌측부분(100F)은 축(101B'), 조절가능한 완충재(2B), 한쌍의 베어링 유니트(106C'/106D') 및 핀(114")를 포함한다. 베어링 유니트(106C',106D')는 좌측 브라켓(105A')과 이브(105Bc)상에 장착되어 축(101B')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한다. 회동축(101B')은 직선부와 돌출부(107) 사이의 공간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하고, 조절가능한 완충재(2B)가 회동축(101B')에 부착된다. 조절가능한 완충재(2B) 자체는 축(101B')으로부터 이격되어 축에 접근하게 되어, 조립 작업자가 조절가능한 완충재(2B)와 햄머생크(234C) 사이의 관련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핀(114")은 회동축(101B')에 고정되고, 와이어(112B')는 핀(114")에 고정된다. 노브(113A)가 잡아 당겨지면, 와이어(112B')가 그 힘을 핀(114')에 전달하고, 축(101A')상에 모멘트가 가해진다. 이 결과 좌측부분(100F)이 회전하게 된다.
설명한 바와 같이, 조립 작업자는 조정가능한 완충재(2A/2B)를 회동축(101A'/101B')으로부터 이격시키고 또는 회동축에 이들을 전진시킴으로써 스 플리트 해머 스톱퍼(100A')를 햄머(234)와 현(206)에 대하여 바람직한 관련위치로 조절한다. 이는 작업 조립자가 브라켓(105A/105A'/105B')을 다른 위치로 변경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무음식 피아노에 설치된 햄머 스톱퍼(100A')의 우측부분(100E)을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우측부분(100E)은 회동축(101A')과 조절가능한 완충재(2A)를 포함한다. 조절가능한 완충재(2A)는 쿠션부재(4A)와 위치 조절기(10A)를 구비한다. 쿠션부재(4A)는 위치 조절기(10A)에 고정되며, 위치 조절기(10A)는 관련 회동축(101A)에 이동가능하게 접속된다. 좌측부분(100F)의 조절가능한 완충재(2B)도 쿠션부재(4B)와 위치 조절기(10B)를 갖는다. 쿠션부재(4B)는 위치 조절기(10B)에 고정되며, 위치 조절기(10B)는 관련 회동축(101B)에 이동가능하게 접속된다. 조절작업에 있어서, 작업자는 위치 조절기(10A/10B)를 다른 위치로 변경하여 바람직한 관련위치를 찾는다. 위치 조절기(10B)의 구조는 위치 조절기(10A)와 유사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위치 조절기(10A)에 대해서만 이하에 설명한다.
위치 조절기(10A)는 크게 L자형 단면을 갖는 브라켓(2Aa), 스크류(21), 너트(22), 위치결정 스크류(3), 세트 스크류(5) 및 스프링 와셔(30)를 포함한다. 브라켓(2Aa)은 대략 직각으로 교차하는 수직면(2Ab)과 수평면(2Ac)을 갖는다. 수직면(2Ab)은 연주자가 무음식 피아노를 무음모드로 변경하기 위해 노브(113)를 잡아 당길 때 복수의 현(206)에 의해 규정되는 수평면에 대략 수직인 주표면을 갖는다. 수평면(2Ac)은 연주자가 무음식 피아노를 무음모드로 설정하기 위해 연주자가 노브(113)를 잡아 당길때 복수의 현(206)에 의해 규정된 수평면에 대략 평행한 주표면을 갖는다. 브라켓(2Aa)의 수직면(2Ab)은 스크류에 의해 회동축(101A)에, 측방향을 따른 복수의 위치에 고정된다. 회동축(101A')의 접촉영역은 평탄면을 형성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제거된다. 평탄면은 회동축(101A)이 브라켓(2Aa)의 수직면(2Ab)과 접촉한 채로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해준다.
회동축(101A')에는 나사구멍(threaded hole)(1a)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수직부(2Aa)에는 장형개구(20)가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나사구멍(1a)들 사이의 간격은 장형개구(20)들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다. 장형개구(20)를 통하여 스크류(21)가 나사구멍(1a)에 조여진다. 브라켓(2)내의 개구(20)는 차단위치에 설정되어 있을 때 수직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차단위치에 설정되어 있을 때 측방향을 따른 폭은 스크류(21)의 나삿니 보다는 넓지만 스크류(21)의 헤드보다는 좁다. 이러한 크기를 갖는 개구(20)의 면적은, 스크류(21)가 풀렸을 때 브라켓(2)이 쉽게 도면에 있어서의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해준다.
쿠션부재(4A)는 브라켓(2Aa)의 수평면(2Ac)의 저면에 부착된다. 쿠션부재(4A)는 발포 우레탄이나 고무로 만들어진다. 펠트층은 쿠션부재(4A)의 표면에 부착되어도 좋다.
위치결정 스크류(3)는 회동축(101A')의 관통구멍(1b)에 삽입된다. 위치결정 스크류(3)는 관통구멍(1b)에 미끄러져 삽입되고, 회동축(101A)을 관통한다. 회동축(101A)으로부터 노출된 위치결정 스크류(3)의 노출부분이 스프링 와셔(30)에 고정된다. 따라서, 위치결정 스크류(3)가 회동축(101A)에 고정된다.
스프링 와셔(30)는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의 톱니를 갖는 원형의 톱니잠금 와셔일 수도 있다. 4개의 톱니는 90°의 간격으로 배열되어, 링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톱니는 위치결정 스크류(3)의 나삿니와 맞물린다. 스프링 와셔(30)는 C자형으로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결정 스크류(3)의 나삿니와 맞물리는 톱니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스프링 와셔(30)가 사용되면, 깊이가 얕은 홈이 스피링 와셔(30)와 맞물리는 위치결정 스크류(3)의 표면에 형성된다. 스프링 와셔(30)는 스톱퍼로서 작용한다.
각각의 위치결정 스크류(3)는 너트(22) 속으로 조여진다. 너트(22)는 브라켓(2) 수평면의 상부면(2Ac)에 용접된다. 수평면(2B)상에는 관통구멍(2Ad)이 제공되어 위치결정 스크류(3)의 리드부가 삽입되어지는 공간을 형성한다.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C자형 단면을 갖는 금속편(31)이 스프링 와셔(30) 대신으로 사용되어도 좋다. 금속편(31)의 일단부는 관통구멍(1b)의 외주의 상부에 위치한다. 금속편(37)의 타단부는 두 갈래로 갈라져 톱니를 형성하고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라켓(2)과 접촉한 채로 유지된다. 금속편(31)의 톱니 사이의 거리는 위치결정 스크류(3)의 직경보다 조금 작고, 위치결정 스크류(3)의 접촉부에는 얕은 홈이 형성된다. 금속편(31)의 톱니는 위치결정 스크류(3)에서의 얕은 홈에 맞물린다. 금속편(31)이 위치결정 스크류(3)의 얕은 홈에 맞물릴 때, 금속편(31)은 회동축(101A')의 원형표면의 절반 이상에서 회동축(101A')을 감싼다. 곡률반경이 회동축(101A')의 반경보다 조금 작아서 금속편(31)이 회동축(101A')의 원형표면상에 탄성적으로 고정된다. 위치결정 스크류(3)가 관통구멍(1b) 내부로 끼워지면 금속편(31)의 톱니가 위치결정 스크류(3)를 조이게 된다.
세트 스크류(5) 역시 회동축(101A)에 형성된 구멍(1c)으로 들어간다. 구멍(1c)은 암나사로 되어 있고 세트 스크류(5)가 이 암나사 구멍(1c)에 맞물린다. 세트 스크류(5)의 첨단이 위치결정 스크류(3)의 나삿니의 바닥에 맞물려서 위치결정 스크류(3)를 고정한다.
햄머 스톱퍼(100)의 우측부분(100E)이 피아노 케이스에 설치될 때, 조립 작업자는 아래와 같이 햄머 스톱퍼(100A')를 동작시킨다. 조립 작업자는 회동축(101A')과 위치 조절기(10A)를 조립한다. 먼저, 브라켓(2Aa)을 회동축(101A')상에 위치시킨다. 회동축(101A')의 평탄면을 브라켓(2A)의 수직면(2Aa)의 배면측에 접촉한 채로 유지하여 개구(20)와 구멍(1a)을 정렬시킨다. 스크류(21)를 개구(20)와 구멍(1a)에 끼워 브라켓(2Aa)을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위치결정 스크류(3)를 관통구멍(1b)에 끼워 넣는다. 스프링 와셔(30)를, 회동축(101A') 아래의 공간에서 노출된 위치결정 스크류(3)의 리드단에 맞물려 회동축(101A)을 향해 고정시킨다. 위치결정 스크류(3)를 고정시키고, 위치결정 스크류(3)의 리드단이 너트(22)에 도달하면 위치결정 스크류(3)의 리드단을 너트(22)에 끼워 넣는다. 그 다음으로, 스프링 와셔(30)가 회동축(101A')의 저부면에 접촉할 때 까지 스프링 와셔(30)를 더 조인다. 마지막으로, 세트 스크류(5)를 구멍(1c)에 삽입하여 위치결정 스크류(3)를 고정한다.
다음으로, 조립 작업자는 햄머 스톱퍼(100A')의 조립된 우측부분(100E)을 피아노 케이스(PC)에 설치한다. 즉, 조립 작업자는 브라켓(105B')과 브라켓(105A)을 돌출부(107)와 측면판(104)의 내부 직선표면에 고정한다. 브라켓(105B')이 피아노 케이스의 금속판의 돌출부(107)의 양측에 접촉하게 되고, 스크류(105Ba)의 수단을 사용하여 돌출부(107)에 고정한다. 햄머 스톱퍼(100A')의 회동축(101A')을 브라켓(105A/105B')에 위치시키고, 베어링(106A' 및 106B')을 스크류에 의해 조인다. 끝으로, 와이어(112A)의 리드단을 핀(114')의 슬리트에 삽입하여 핀(114)에 고정시킨다. 좌측부분(100F)의 설치는 우측부분(E)과 동일함으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햄머 스톱퍼(100A')를 피아노 케이스에 설치한 이후, 햄머 스톱퍼(100A')를 햄머(234)와 현(206)의 바람직한 관련위치로 아래와 같이 조절한다. 먼저, 조립 작업자는 노브(113A)를 잡아당겨 햄머 스톱퍼(100A')를 구동시킨다. 햄머 스톱퍼(100A')가 회전하고, 쿠션부재(4A/4B)가 햄머(234)와 대면한다. 그 다음에 무음식 피아노(1)가 무음모드로 된다. 햄머 스토퍼(100A')의 관련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조립 작업자는 위치 조절기(10A/10B)를 조절한다. 즉, 조립 작업자가 세트 스크류(5)와 스크류(21)를 풀어 브라켓(2Aa)을 쿠션부재(4)와 함께 수직이동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회동축(101A')은 브라켓(105A/105B)과 베어링(105A/105B) 수단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스프링 와셔(30)는 회동축(101A')의 저부면과 접촉한 채로 유지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 작업자가 적당한 공구(TL)를 가지고 위치결정 스크류(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위치결정 스크류(3)의 리드단이 너트(22)의 하방으로 끼어진다. 스프링 와셔(30)는 스크류(3)가 회동축(101A')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지 않게 함으로써, 위치결정 스크류(3)를 회전시키면 브라켓(2Aa)과 쿠션부재(4)가 회동축(101A')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함께 이동하게 된다. 한편, 조립 작업자가 위치결정 스크류(3)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위치결정 스크류(3)의 리드단이 너트(22)로부터 상방으로 이동된다. 상술한 이유에 의해, 위치결정 스크류(3)를 회전시키면 브라켓(2Aa)과 쿠션부재(4)가 회동축(101A')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함께 이동한다. 조립 작업자는 검정색/흰색 건반(232a/232b)을 눌러 햄머생크(234c)가 햄머 스톱퍼(100A')의 쿠션부재(4)와 이상한 건반터치 없이 접촉하는지를 체크한다. 쿠션부재(4)의 높이를 결정한 후에, 스크류(21)를 조이고, 세트 스크류(5)를 구멍(1c)에 끼워 넣어 위치결정 스크류(3)를 회동축(101A')에 고정시킨다.
상술한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조립 작업자는 베어링(105A/105B)를 분해하지 않으면서 햄머 스톱퍼(100A')를 햄머(234)와 현(206)에 대한 바람직한 관련위치로 조절한다. 브라켓(105A)을 조절할 필요가 없어 키보드 또는 액션 유니트의 분해작업을 회피할 수 있고 높이조정에 필요한 시간이 크게 단축된다. 게다가, 위치결정 스크류(3)가 세트 스크류(5)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햄머 생크(234c)가 쿠션부재(4)를 반복적으로 때리더라도 브라켓(2)의 높이는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더욱이, 위치결정 스크류(3), 스크류(21) 및 세트 스크류(5)는 현(206)이 신장되어지는 영역 대신에 피아노 프레임의 리브 주변에 위치될 수도 있고, 이 경우에 있어서, 현(206)의 세트에 의해 조립 작업이 방해되지 않음으로, 조립 작업자가 쿠션부재(4)의 높이를 보다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햄머 스톱퍼(300)를 나타낸다.
햄머 스톱퍼(300)는 크게, 쿠션부재(310), 회동축(320) 및 위치 조절기(312)를 포함한다. 위치 조절기(312)는 바(314), 위치결정 스크류(322), 및 세트 스크류(326), 스프링 와셔(330), 및 코일 스프링(332)을 포함한다. 쿠션부재(310)는 직사각의 단면을 갖는 바(314)에 고정된다. 바(314)에는 암나사 구멍(316)이 형성된다. 회동축(320)에는 암나삿니를 갖는 관통구멍이 형성된다. 위치결정 스크류(322)가 관통구멍(324)에 끼워지고 스프링 와셔(330)가 회동축(320)으로부터 노출된 위치결정 스크류(3)와 맞물려서 위치결정 스크류(322)를 고정한다. 관통구멍(316)의 리드단이 바(314)에 있는 암나사 구멍(316)에 끼워진다. 코일 스프링(332)이 스프링 와셔(330)와 바(314) 사이에 삽입되어 스프링 와셔(330)와 바(314)상에 가압력이 작용된다. 위치결정 스크류(326)이 구멍(328)에 끼워져서 위치결정 스크류(322)를 고정시킨다.
조립 작업자는 쿠션부재(310)와 회동축(320)을 아래와 같이 조립한다. 조립 작업자는 위치결정 스크류(322)를 관통구멍(324)에 삽입한다. 스프링 와셔(330)를 회동축(320)으로부터 노출된 위치결정 스크류(322)와 결합시키고 위치결정 스크류(322)의 리드단을 코일 스프링(332)에 삽입한다. 조립 작업자는 위치결정 스크류(322)의 리드단을 암나사 구멍(316)에 삽입한다. 조립 작업자는 햄머 스토퍼(300)를 브라켓(105A/105B)상에 배치시키고 햄머 스톱퍼(300)를 베어링(106A/106B)에 고정한다.
햄머 스톱퍼(300)를 피아노 케이스에 설치한 후, 위치 조절기(312)의 위치결정 스크류(322)를 단지 회전시킴으로써 쿠션부재(310)의 높이가 조절된다. 조립 작업자는 노브(113)를 잡아당겨 햄머 스톱퍼(300)를 차단위치로 이동시켜 쿠션부재(310)의 위치를 바람직하게 조절한다. 즉, 위치결정 스크류(32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위치결정 스크류(322)의 리드단이 위치결정 스크류(322)의 회전에 따라 회동축(320)에 대해 하방으로 끼어진다. 위치결정 스크류(322)가 스프링 와셔(330)와 함께 회동축(320)에 고정되기 때문에, 쿠션부재(310)가 상방으로 이동한다. 위치결정 스크류(32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위치결정 스크류(322)의 리드단이 구멍(316) 밖으로 향해 상방으로 돌려져 쿠션부재(310)가 회동축(320)에 대해 하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햄머 스톱퍼(300)의 높이가 쉽게 조절된다. 쿠션부재(310)의 높이를 조절한 후, 세트 스크류(326)를 구멍(328)에 끼워넣어 위치결정 스크류(322)를 고정하고, 세크 스크류(326)는 위치결정 스크류(322)가 풀려지는 것을 방지한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작업조립자는 햄머 스톱퍼(300)를 조립하고 그 높이를 차단위치에 조절한다. 햄머 스톱퍼(300)의 높이조절을 위해 키보드와 액션유니트를 피아노 케이스로부터 꺼낼 필요가 없다. 높이 조절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된다.
제3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햄머 스톱퍼(400)를 나타낸다. 햄머 스톱퍼(400)는 크게, 쿠션부재(410), 회동축(420) 및 위치 조절기(412)를 포함한다. 위치 조절기(412)는 바(414), 바(414)에 끼워지는 위치결정 스크류(430) 및 바(414)의 상면에 접촉하여 유지되는 한쌍의 세트 스크류(432/434)로 이루어진다. 쿠션부재(410)는 직사각의 단면을 갖는 바(414)에 부착된다. 도 12는 도 11에 있어서의 선(A-A')을 따라 절취한 햄머 스토퍼(400)의 단면을 나타내고, 도 13은 도 11에 있어서의 선(B-B')를 따라 절취한 햄머 스톱퍼(400)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나사 구멍(416)이 바(414)에 형성된다. 회동축(420)은 각각 원형 단면을 갖는 단부(420A)와 직사각 단면을 갖는 몸체부(420B)를 포함한다. 단부(420A)의 원형 단면은, 전달기구(110)의 동작에 따라 회동축(420)을 부드럽게 회동시켜준다. 몸체부(420B)의 직사각 단면은 조립 작업자가 회동축을 바(414)에 쉽게 고정시킬 수 있게 해준다. 암나삿니가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422,424,426)의 쌍이 회동축(420)에 형성된다. 위치결정 스크류(430)이 회동축(420)에 있는 관통구멍(422)에 끼워지고 관통구멍(416)에 더 끼워져서 회동축(420A)을 바(414)에 접속시킨다. 한쌍의 세트 스크류(432/434)가 구멍(424/426)에 끼워진다. 회동축(420)의 저면으로부터 노출된 세트 스크류(432/434)쌍의 리드단이 바(414)의 평탄면과 접촉한 채로 유지된다.
작업 조립자는 쿠션부재(410)와 회동축(420)을 아래와 같이 조립한다. 작업 조립자는 위치결정 스크류(430)를 관통구멍(422)에 삽입하고, 위치결정 스크류(430)를 관통구멍(416)에 더 삽입한다. 이 작업은 모든 스크류(430)에 실시 된다. 조립 작업자는 세트 스크류(432/434)를 구멍(424/426)에 삽입하고, 세트 스크류(424/426)의 첨단이 바(414)의 평탄면에 도달하기 전에 세트 스크류(432/434)의 삽입을 정지한다. 다음으로, 조립 작업자는 브라켓(105A/105B)상에 햄머 스톱퍼(400)를 위치시키고 햄머 스톱퍼(400)를 베어링(106A/106B)으로 브라켓(105A/105B)에 고정시킨다.
햄머 스톱퍼(400)를 피아노 케이스에 설치한 후, 위치 조절기(420)의 위치결정 스크류(430)을 단지 회전시킴으로써 쿠션부재(410)의 높이를 조절한다. 작업 조립자는 노브(113)를 잡아당겨 햄머 스토퍼(400)를 차단위치에 이동시켜 쿠션부재(410)의 높이를 바람직하게 조절한다. 즉, 스크류(43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크류(430)의 리드단이 회동축(430)에 대하여 하방으로 끼워져 쿠션부재(410)가 상방으로 이동한다. 한편, 위치결정 스크류(43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크류(430)의 리드단이 회동축(420)에 대하여 상방으로 돌려져 쿠션부재(410)가 하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햄머 스톱퍼(400)의 높이가 쉽게 조절된다. 쿠션부재(410)의 높이를 조절한 후, 세트 스크류(432/434)의 첨단이 바(414)의 평탄면에 접촉한체로 유지될 때까지 세트 스크류(432/434)를 끼워 넣는다. 따라서, 스크류(430)가 풀리는 것이 방지된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작업자는 햄머 스톱퍼(400)를 조립하고 차단위치에서의 그 높이를 쉽게 조절한다. 햄머 스톱퍼(40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키보드 및 액션 유니트를 피아노 케이스로부터 꺼낼 필요가 없다.
제4 실시예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햄머 스톱퍼(500)를 나타낸다. 햄머 스톱퍼(500)는 크게, 쿠션부재(510), 회동축(512) 및 위치 조절기(520)를 포함한다. 쿠션부재(510)은 회동축(512)에 부착된다. 위치 조절기(520)는 회동축(512)을 지지하고 피아노 케이스 측면판(104)에 고정된다. 위치 조절기(520)는 고정 브라켓(530), 가동 브라켓(540) 및 위치결정 스크류(550)를 갖는다. 고정 브라켓(530)은 수평부분(532)과 수직부분(534)을 갖는다. 암나사 구멍(536)이 고정 브라켓(530)의 수평부분(532)에 형성된다. 게다가, 두개의 관통구멍(538a/538b)이 고정 브라켓(530)의 수직부분(534)에 형성된다. 가동 브라켓(540)도 수평부분(542)과 수직부분(544)를 갖는다. 관통구멍(546)이 가동 브라켓(540)의 수평부분(542)에 형성된다. 게다가, 두개의 관통구멍(548a/548b)이 가동 브라켓(540)의 수직부분(544)에 형성되어 있다. 고정 브라켓(530)과 가동 브라켓(540)은 관통구멍(538a/538b)와 관통구멍(548a/548b)이 각각 정렬되도록 적층되고, 한쌍의 스크류(552)가 측면판(104)에 끼워져서 고정 브라켓(530)과 가동 브라켓(540)이 부착된다. 관통구멍(538a/538b)은 거의 스크류(552)의 직경과 동일하다. 스크류(552)가 측면판(104)에 끼워지기 때문에, 고정 브라켓(530)이 측면판(104)에 대하여 고정된다. 한편, 관통구멍(548a/548b)의 직경은 스크류(552)의 직경보다 비교적 크다. 스크류(552)가 측면판(104)에 느슨하게 끼워지면 가동 브라켓(540)이 측면판(104)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위치결정 스크류(550)가 가동 브라켓(540)에 있는 관통구멍(546)에 미끄러져 삽입되고 고정 브라켓(530)의 관통구멍(536)에 끼워진다. 위치결정 스크류(550)는 가동 브라켓(540)에 스프링 와셔(560)로 고정된 다. 햄머 스톱퍼(500)의 회동축(512)이 베어링(514)에 의해 가동 브라켓(540)의 수평부분(542)의 상면에 고정되고, 세트 스크류(516)가 베어링(514)을 통해 끼워져서 회동축(512)을 부착시킨다.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 구멍(536)에는 나삿니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 나삿니는 구멍(536) 대신에 구멍(546)에 형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스프링 와셔(560)는 고정 브라켓(530)과 결합된다.
조립 작업자는 햄머 스톱퍼(500)와 위치 조절기(520)를 아래와 같이 조립한다. 조립 작업자는 위치결정 스크류(550)를 가동 브라켓(540)의 관통구멍(546)으로 삽입하여 위치결정 스크류(550)를 스프링 와셔(560)로 가동 브라켓(540)에 고정한다. 그 다음, 위치결정 스크류(550)를 암나사 구멍(536)에 끼워 넣는다. 조립 작업자는 햄머 스톱퍼(500)의 회동축(512)을 가동 브라켓(540)의 수평부분(542)의 상면상에 위치시킨다. 회동축(512)을 베어링(514)으로 가동 브라켓(540)에 고정하고 세트 스크류(516)로 베어링(514)에 고정한다. 조립된 고정 브라켓(530)과 가동 브라켓(540)을 측면판(104)에 대항하여 민다. 이 상태에서, 관통구멍(538a/538b)과 관통구멍(548a/548b)을 정렬시키고, 정렬된 관통구멍(538a/538b/548a/548b)을 측면판(104)에 있는 관통구멍과 정렬시킨다. 다음으로, 스크류(552)를 측면판(104)내의 관통구멍에 끼워넣는다. 이 상태에서, 스크류(552)를 느슨하게 구멍에 끼워 가동 브라켓(540)을 측면판(104)에 대하여 상방이나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햄머 스톱퍼(500)를 피아노 케이스에 설치한 후에, 햄머 스톱퍼(500)의 높이는 위치 조절기(520)의 위치결정 스크류(550)를 단지 회전시킴으로써 조절된다. 조립 작업자는 노브(113)을 잡아 당겨 햄머 스톱퍼(500)를 차단위치로 이동시키고 햄 머 스톱퍼(500)의 높이를 바람직하게 조절한다. 즉, 위치결정 스크류(55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위치결정 스크류(550)의 리드단이 하방으로 끼워져서 가동 브라켓(540)이 측면판(104)에 대하여 하방으로 이동된다. 가동 브라켓(540)이 측면판(104)에 대하여 상방이나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햄머 스톱퍼(500)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쿠션부재(510)와 햄머 생크(534c) 사이의 거리가 좁혀진다. 위치결정 스크류(55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위치결정 스크류(550)의 리드단이 상방으로 돌려져서 가동 브라켓(540)이 측면판(104)에 대해 상방으로 이동하여 햄머 스톱퍼(500)가 상방으로 이동해 쿠션부재(510)와 햄머 생크(534c) 사이의 거리가 넓혀진다. 따라서, 햄머 스톱퍼(500)의 높이가 쉽게 조절된다. 햄머 스톱퍼(500)의 높이를 조절한 후, 스크류(552)를 측면판(104)에 있는 구멍에 꽉 끼워 넣어 고정 브라켓(530)과 가동 브라켓(540)이 단단하게 고정된다.
상술한 바에서 알 수 있듯이, 작업자는 햄머 스톱퍼(500)를 조립하고 그 차단위치에서의 그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햄머 스톱퍼(50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키보드와 액션 유니트를 피아노 케이스로부터 꺼낼 필요가 없다. 높이 조절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된다.
변형예
(1) 제1 변형예
제1 및 제3 실시에에 있어서, 위치결정 스크류(3,322 및 430)는 쿠션부재(4,310 또는 41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위치결정 스크류(3/322/430)를 사용하는 대신에 위치결정 핀을 사용하여도 좋다. 위치결정 핀에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멍이 회동축(101A/320/420)에 형성되고 조절핀이 관통구멍에 삽입된다. 또한, 수직 관통구멍이 너트(22) 또는 관통구멍(316/416)을 대신하여 브라켓(2) 또는 바(314,414)에 형성되고, 수직 관통구멍과 교차하는 수평 관통구멍이 브라켓(2) 또는 바(314,414)에 형성된다. 정지핀이 수평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홈들 중 하나와 결합되어 위치결정 핀이 브라켓(2) 또는 바(314,414)에 고정된다. 코일 스프링이 브라켓(2) 또는 바(314/414)상에 각각 설치되고, 정지핀이 코일 스프링에 삽입된다. 가압력이 위치결정핀에 대항하여 작용하여 위치결정핀이 단단하게 고정된다.
조립작업자는 브라켓(2) 또는 바(314)의 관통구멍에 위치결정 핀을 삽입함으로써 햄머 스톱퍼를 조립하고, 정지핀이 위치결정핀의 홈에 결합하도록 위치결정핀을 정지핀으로 고정시킨다. 햄머 스톱퍼의 높이를 조절할 때에는, 정지핀을 제거하여 위치결정 핀을 이동시키고 다른 홈을 관통구멍에 정렬시킨다. 정지핀은 다른 홈과 결합되어지는 관통구멍에 재삽입된다. 따라서, 제1 변형예의 햄머 스톱퍼의 높이가 쉽게 조절된다.
(2) 제2 변형예
제4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결정 스크류(550)가 쿠션부재(51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위치결정 스크류(550)를 사용하는 대신에, 복수의 홈이 형성된 위치결정 핀을 사용하여도 좋다. 구멍(536)내의 나삿니를 제거하여 위치결정 핀(550)을 부드럽게 슬라이드시킨다. 수평 관통구멍이 고정 브라켓(530)내에 구멍(536)과 교차하도록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정지핀을 수평 관통구멍에 삽입하고 위치결정 핀의 홈들 중 하나와 결합시켜 위치결정 핀을 고정시킨다.
조립 작업자가 햄머 스톱퍼의 높이를 조절할 때, 정지핀을 제거하고 위치결정 핀을 이동시켜 가동 브라켓(540)의 위치를 변경하고, 다른 홈을 관통구멍에 정렬시킨다. 정지핀을 다른 홈에 결합하는 관통구멍에 재삽입한다. 따라서 제1 변형예의 햄머 스톱퍼의 높이가 쉽게 조절된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작업 조립자는 햄머 스톱퍼(500)를 조립하고 그 차단위치에서의 그 높이를 쉽게 조절한다. 햄머 스톱퍼(50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키보드 및 액션 유니트를 피아노 케이스로부터 꺼낼 필요가 없다. 높이 조절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된다.
(3) 제3 변형예
그랜드 피아노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직립식 피아노에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햄머 스톱퍼를 직립식 피아노에 적용한 경우, 햄머 스톱퍼가 차단위치에 있을 때 햄머 스톱퍼의 쿠션부재가 직립식 피아노의 햄머 생크와 접촉하게 될 수도 있다. 게다가, 햄머 스톱퍼가 햄머 생크 대신에 차단위치에 위치될 때, 햄머 스톱퍼의 쿠션부재를 직립식 피아노의 캐쳐 또는 캐쳐 생크와 접촉하게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을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요지내에서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들이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키보드 악기는 어쿠스틱 피아노(1), 무음 시스템(200) 및 어쿠스틱 연주 시스템을 가질 수도 있다. 어쿠스틱 연주 시스템은 제어기 및 솔 레노이드 기동 액튜레이터를 포함하고, 솔레노이드 기동 액튜레이터는 건반베드와 검정색/흰색 건반 사이에 설치된다. 제어기는 음악 데이타 코드를 분석하고, 누르고 놓은 검정색/흰색 건반을 판정한다. 그 다음, 제어기는 구동신호를 눌려진 검정색/흰색 건반에 관련 솔레노이드 기동 건반 액튜레이터에 신호를 공급하고, 놓아진 검정색/흰색 건반에 관련 솔레노이드 기동 건반 액튜레이터로부터 구동신호를 제거한다. 솔레노이드 기동 건반 액튜레이터가 활성되면, 플런저가 돌출하고 연주가의 핑거링 없이 건반 동작이 일어난다. 한편, 구동신호가 솔레노이드 기동 건반 액튜레이터로부터 제거되면, 플런저가 철회되고 검정색/흰색 건반이 휴지위치로 복원된다. 복합 건반 악기는 자동 연주 피아노로서 호칭되고 조절 가능한 완충재가 자동 연주 피아노상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해준다.
햄머 스톱퍼는 2개 이상의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이 경우, 2개 이상의 위치 조절기가 관련 쿠션부재를 바람직한 상대 위치로 독립적으로 조절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립 작업자가 햄머와 현에 대한 바람직한 관련위치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햄머 스톱퍼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햄머 스톱퍼가 장착된 복합 키보드 악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햄머 및 상기 햄머에 의해 타현되는 현을 구비한 피아노에 사용되고,
    상기 햄머(234)가 관련 현(206)을 타현할 수 있는 자유위치와, 상기 현(206)을 상기 관련 햄머(234)가 타현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위치 사이에서 회동가능한 축(101A'/101B', 320, 420, 420A, 420B, 512); 및
    표면을 갖는 완충재로서, 상기 자유위치에서는 상기 햄머 궤도 외측의 특정 위치에 머무르며, 상기 차단위치에서는 상기 햄머(234)가 상기 현을 타현함이 없이 상기 햄머를 상기 표면에서 되튕기는 완충재(2A/2B, 310/312, 410/420, 510/520)를 구비하는 햄머 스톱퍼로서,
    상기 완충재(2A/2B,310/312,410/420,510/520)는, 상기 햄머의 궤도를 따라 거리를 변경시키기 위해 상기 축과 상기 표면 사이의 공간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표면을 상기 햄머와 상기 현에 대한 관련위치로 조절하는 위치 조절기(10A/10B, 312, 412, 5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단위치에서는 상기 완충재가 상기 현에 대한 상기 햄머의 어떠한 타현없이 상기 관련위치에 있는 상기 표면상에서 상기 햄머를 확실히 되튕기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햄머 스톱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가능한 축은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되고, 상기 완충재는 조합하여 상기 표면을 형성하는 부표면과, 상기 부표면을 상기 관련위치로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복수의 위치 부조절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햄머 스톱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분을 상기 자유위치와 상기 차단위치 사이에서 동시에 변경하도록 상기 복수의 부분에 병렬로 접속된 전달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햄머 스톱퍼.
  4. 각각의 휴지위치와 각각의 종단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복수의 건반(232a/232b)을 포함하는 키보드(232);
    상기 복수의 건반(232a/232b)에 각각 링크되고, 상기 종단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건반에 의해 선택적으로 기동되는 복수의 액션 유니트(202);
    상기 복수의 건반(232a/232b)에 각각 연결되어 진동을 통해 톤을 생성하는 복수의 현(206);
    상기 복수의 현(206)에 각각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기동된 상기 복수의 액션 유니트(202)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구동되고, 상기 회전의 말미에 관련 현을 타현하여 상기 톤을 생성하는 복수의 햄머(234); 및
    상기 복수의 햄머(234)에 설치된 햄머 스톱퍼(100A',300, 400, 500)로서, 상기 복수의 햄머가 상기 관련 현을 타현할 수 있는 자유위치와 상기 햄머가 상기 관련 현을 타현하기 전에 상기 햄머를 되튕겨내는 차단위치 사이에서 변경되는 축(101A'/101B', 320, 420, 512), 및 상기 축에 접속되고 상기 차단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햄머를 되튕기는 표면을 구비하고 있는 완충재(2A/2B, 310/312, 410/420, 510/520)를 구비하는 햄머 스톱퍼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재(2A/2B,310/312,410/420,510/520)는, 상기 햄머의 궤도를 따라 거리를 변경시키기 위해 상기 축과 상기 표면 사이의 공간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표면을 상기 햄머와 상기 현에 대한 관련위치로 조절하는 위치 조절기(10A/10B, 312, 412, 5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단위치에서는 상기 완충재가 상기 현에 대한 상기 햄머의 어떠한 타현없이 상기 관련위치에 있는 상기 표면상에서 상기 햄머를 확실히 되튕기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키보드 악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되고, 상기 완충재는 조합하여 상기 표면을 형성하는 부표면과, 상기 부표면을 상기 관련위치로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복수의 위치 부조절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키보드 악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분을 상기 자유위치와 상기 차단위치 사이에서 동시에 변경하도록 상기 복수의 부분에 병렬로 접속된 전달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키보드 악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를 모니터링하여 누른 건반과 놓은 건반을 판정하여서, 상기 현을 통하여 생성할 톤에 대응하는 전자톤을 생성하는 전자톤 생성 시스템(2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키보드 악기.
KR1020030016370A 2002-03-22 2003-03-17 위치 조절기를 구비한 햄머 스톱퍼 및 이를 구비한 복합키보드 악기 KR1007053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81401A JP3835538B2 (ja) 2002-03-22 2002-03-22 消音ピアノのハンマーシャンクストッパ装置
JPJP-P-2002-00081401 2002-03-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6307A KR20030076307A (ko) 2003-09-26
KR100705339B1 true KR100705339B1 (ko) 2007-04-10

Family

ID=28449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6370A KR100705339B1 (ko) 2002-03-22 2003-03-17 위치 조절기를 구비한 햄머 스톱퍼 및 이를 구비한 복합키보드 악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835538B2 (ko)
KR (1) KR100705339B1 (ko)
CN (1) CN100377208C (ko)
DE (1) DE10311933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1236A (ja) * 2004-12-14 2006-06-29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アップライト型ピアノの消音装置
CN107978298B (zh) * 2017-12-29 2023-11-14 广州珠江恺撒堡钢琴有限公司 转击器装配定位齿条
CN110047453A (zh) * 2019-04-26 2019-07-23 南阳理工学院 一种用于具有声学和静音模式的钢琴的琴槌止动器
WO2023010216A1 (en) * 2021-08-05 2023-02-09 Le Jardin Des Pianos, Location De Pianos Inc. Hammer return spring rail for an upright piano, modular hammer return spring rail for an upright piano, repetition spring assembly for an upright piano, and pedal assembly for an upright pian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43489B1 (fr) * 1989-02-22 1993-10-15 Guyon Vincent Mecanisme pour piano droit
EP0655728B1 (en) * 1993-11-30 1999-02-24 Yamaha Corporation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 having hammer stopper outwardly extending from hammer shank and method of remodeling piano into the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
JP2901864B2 (ja) * 1994-02-18 1999-06-07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グランドピアノの止音装置
JP3456748B2 (ja) * 1994-05-27 2003-10-14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ピアノの止音装置
JP3579994B2 (ja) * 1995-11-24 2004-10-20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
US5821443A (en) * 1996-01-29 1998-10-13 Yamaha Corporation Keyboard apparatus with an improved mass member support system
JPH10149154A (ja) * 1996-09-18 1998-06-02 Yamaha Corp 鍵盤楽器の消音装置
US5942702A (en) * 1997-08-06 1999-08-24 Yamaha Corporatio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having fall-board assembled with case by means of oldham's coup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6307A (ko) 2003-09-26
DE10311933A1 (de) 2003-12-24
JP2003280634A (ja) 2003-10-02
CN1447309A (zh) 2003-10-08
DE10311933B4 (de) 2015-08-20
CN100377208C (zh) 2008-03-26
JP3835538B2 (ja) 2006-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3242B2 (en) Composit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silent system for performance without acoustic tones and regulating button mechanism for changing escape timing depending upon mode of operation
US5600077A (en) Damper mechanism provided in a grand piano
US6423889B2 (en) Regulating button mechanism for easily regulating escape timing, silent system cooperative therewith and keyboard musical instrument equipped therewith
JP3456243B2 (ja) 平形鍵盤楽器
KR100273868B1 (ko) 평행 4변형 링크기구에 의해 구현된 해머 스토퍼를 구비한 건반 악기
EP0655728B1 (en)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 having hammer stopper outwardly extending from hammer shank and method of remodeling piano into the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
JPH07219522A (ja) 鍵盤楽器
JPH0863149A (ja) 鍵盤楽器
US6448481B2 (en) Pedal mechanisms assembled into unit and keyboard musical instrument equipped with the same
US6965070B2 (en) Upright keyboard instrument
US6194649B1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equipped with partially repaireable change-over mechanism for changing hammer stopper
KR100705339B1 (ko) 위치 조절기를 구비한 햄머 스톱퍼 및 이를 구비한 복합키보드 악기
US6011214A (en) Keyboard instruments having hammer stopper outwardly extending from hammer shank and method of remodeling piano into the keyboard instrument
JP3861906B2 (ja) 鍵盤楽器の消音装置
JP2570704Y2 (ja) 鍵盤楽器
US5874687A (en) Keyboard instrument having hammer stopper outwardly extending from hammer shank and method of remodeling piano into the keyboard instrument
US5524519A (en) Piano provided with a mechanism for controlling string striking movement
JP3823999B2 (ja) 鍵盤楽器の消音装置および鍵盤楽器
JP3456216B2 (ja) 鍵盤楽器
JP3693047B2 (ja) 鍵盤楽器の消音装置
KR100430379B1 (ko) 건반악기의 소음장치 및 복합 건반악기
JP3413931B2 (ja) 竪型鍵盤楽器
JP3456733B2 (ja) ピアノ
JP3317363B2 (ja) 鍵盤楽器
JP3412235B2 (ja) 鍵盤楽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1227

Effective date: 2007011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