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9023A - 정보 처리 시스템, 컨텐츠 출력 장치, 및 컨텐츠 출력장치에 의한 정보 처리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시스템, 컨텐츠 출력 장치, 및 컨텐츠 출력장치에 의한 정보 처리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9023A
KR20070069023A KR1020060128496A KR20060128496A KR20070069023A KR 20070069023 A KR20070069023 A KR 20070069023A KR 1020060128496 A KR1020060128496 A KR 1020060128496A KR 20060128496 A KR20060128496 A KR 20060128496A KR 20070069023 A KR20070069023 A KR 20070069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information processing
identification file
content output
out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8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키 타카쿠라
시로 미야기
코우 코바야시
테츠오 모리모토
켄이치로 이마이
카츠히코 와타나베
코이치 우치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69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90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09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1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the display also being used for user input, e.g. touch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04N1/2116Picture signal recording combined with imagewise recording, e.g. photographic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21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more than one process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04N9/804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using transform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2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t least another television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서로 접속된 컨텐츠 출력 장치 및 정보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 컨텐츠 출력 장치는, 사용자에 의한 버튼 조작에 따라, 정보 처리 장치가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기능 식별 파일을 생성하는 기능 식별 파일 생성 유닛, 및 기억 유닛에 기능 식별 파일을 저장하는 파일 기억 유닛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정보 처리 장치는 정보 처리 장치에 컨텐츠 출력 장치가 접속하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기, 및 컨텐츠 출력 장치의 접속을 검출한 후 기억 유닛에 기능 식별 파일의 존재 유무에 따라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정보 처리 시스템, 컨텐츠 출력 장치

Description

정보 처리 시스템, 컨텐츠 출력 장치, 및 컨텐츠 출력 장치에 의한 정보 처리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ONTENT OUTPUT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OF CONTROLLING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BY A CONTENT OUTPUT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일반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DD 비디오 카메라의 회로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
도 3은 개인용 컴퓨터의 회로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
도 4는 DVD 디스크상에 HDD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공급된 컨텐츠 데이터 기록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5는 HDD 비디오 카메라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 화면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DD 비디오 카메라의 파일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런처 메뉴 화면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일반적 구성을 개략적 으로 도시하는 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DD 비디오 카메라의 회로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
도 10은 HDD에 기록된 각종 컨텐츠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DD 비디오 카메라에 의해 수행되는 전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2는 컨텐츠 유형 선택 화면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유형에 따른 최적 방식으로 HDD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공급된 컨텐츠 데이터 기록 처리 순서의 일부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유형에 따른 최적 방식으로 HDD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공급된 컨텐츠 데이터 기록의 처리 순서의 다음 부분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15는 HDD 비디오 카메라의 GUI 화면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16은 카메라 식별 파일의 컨텐츠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DD 비디오 카메라의 파일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런처 메뉴 화면을 도시하는 개략도.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일본 특허 출원 제2005-376516(2005.12.27) 및 일본 특허 출원 제2006-189365(2006.07.10)의 우선권 주장 특허출원이다.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시스템, 컨텐츠 출력 장치, 및 컨텐츠 출력 장치에 의한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 및 디스크 드라이브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정보 처리 시스템, 컨텐츠 출력 장치, 및 컨텐츠 출력 장치에 의한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오디오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로서 디스크 드라이브를 사용하는 기술에서,
종래, 오디오 데이터의 기록/재생 장치로서 이용됨과 함께, 퍼스널 컴퓨터 등의 기억 장치로서도 이용되도록 된 디스크 드라이브를 사용하는 기술에서, 디스크 드라이브를 퍼스널 컴퓨터에 접속한 때, 퍼스널 컴퓨터상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기동의 유무에 따라 디스크 드라이브가 오디오 데이터 기록/재생 장리 또는 기억 장치로서 동작하도록 자동적으로 전환하도록 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일본 특허 문헌 1 : 특개2004-94815 공보)
상술한 방법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된 디스크 드라이브에서, 디스크 드라이브 가 개인용 컴퓨터에 접속될 때, 개인용 컴퓨터는 마스터장치로서 동작하고 디스크 드라이브는 슬레이브 장치로서 동작한다. 이 상태에서, 일반적으로, 디스크 드라이브는 단순 기억 장치로서 취급되고 슬레이브 장치로서 동작하는 디스크 드라이브는 마스터 장치로서 동작하는 개인용 컴퓨터를 제어할 수 없게 된다.
슬레이브로서 동작하는 디스크 드라이브가 마스터 장치로서 기능하는 개인용 컴퓨터를 제어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특별 드라이버 및 복잡한 구성이 필요하다.
상기의 견지에서, 본 발명은, 간이한 형태로 구성되고, 슬레이브 장치로서 기능하는 컨텐츠 츨력 장치가 마스터 장치로서 기능하는 정보 처리 장치를 제어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컨텐츠 출력 장치, 및 컨텐츠 출력 장치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접속된 정보 처리 장치 및 컨텐츠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컨텐츠 출력 장치는 사용자에 의한 버튼 조작에 따라,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소정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기능 식별 파일을 생성하는 기능 식별 파일 생성 수단과, 해당 기능 식별 파일을 기억 수단에 저장하는 파일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정보 처리 장치는, 컨텐츠 출력 장치가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컨텐츠 출력 장치가 접속된 것을 검출한 후, 기억 수단에 저장된 기능 식별 파일의 유무에 응하여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이 시스템의 구성으로는, 컨텐츠 출력 장치에 의해 생성된 기능 식별 파일의 유무를 단순히 확인함으로써 기능 식별 파일에 의해 지정된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접속된 정보 처리 장치 및 컨텐츠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이 제공되며, 컨텐츠 출력 장치는 정보 처리 장치가 컨텐츠 출력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데이터를 레코딩 매체에 기록시키기 위한 기능 식별 파일을 생성하는 기능 식별 파일 생성 수단, 레코딩 매체에 기록되는 컨텐츠 데이터의 컨텐츠 유형이 선택되면, 컨텐츠 유형을 나타내는 유형 정보가 기록된 유형별 식별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유형별 식별 파일 생성 수단, 및 기능 식별 파일 및 유형별 식별 파일을 기억 수단에 저장하기 위한 파일 기억 수단을 포함하고, 정보 처리 wdcl는
정보 처리 장치에 컨텐츠 출력 장치가 접속되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 및 컨텐츠 출력 장치의 접속을 검출한 후, 기억 수단에 저장된 기능 식별 파일의 유무에 따라 기록 매체에 컨텐츠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하고, 유형 정보 파일에 기록된 유형 정보에 따라 컨텐츠 출력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이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 정보 처리 장치는 컨텐츠 출력 장치에 의해 생성된 기능 식별 파일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유형 정보 파일에 기록된 유형 정보에 의해 나타난 컨텐츠 유형에 대응하는 유형의 기록 매체상에 컨텐츠 출력 장치에 의해 출력된 컨텐츠 데이터를 기록한다.
상기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매우 큰 장점을 갖고 있다. 즉, 정보 처리 장치는 컨텐츠 출력 장치에 의해 생성된 기능 식별 파일이 있는지를 단순히 검출함으로써 기능 식별 파일에 대응하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컨텐츠 출력 장치가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처리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간이한 구성으로 구성된, 정보 처리 시스템, 컨텐츠 출력 장치, 및 컨텐츠 출력 장치에 의한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정보 처리 장치가 컨텐츠 출력 장치에 의해 생성된 기능 식별 파일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유형 식별 파일에 기록된 유형 정보에 의해 나타난 컨텐츠 유형에 대응하는 유형의 기록 매체상에 컨텐츠 출력 장치로부터 출력된 컨텐츠 데이터를 기록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컨텐츠 출력 장치, 및 컨텐츠 출력 장치에 의한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의 실시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1)은 내장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정지화 파일 또는 동화 파일의 형태로 이미지를 저장하고 격납하는 HDD(Hard Disk Drive) 비디오 카메라(2) 및 USB(Universal Serial Bus)(3)과 같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HDD 비디오 카메라(2)에 접속된 및 개인용 컴퓨터(4)를 포함한다.
HDD 비디오 카메라(2)가 USB 케이블(3)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4)에 접속될 때, 개인용 컴퓨터(4)는 마스터 장치로서 동작하고, HDD 비디오 카메라(2)는 단순히 기억 장치로서 취급된다. 이 상태에서, 개인용 컴퓨터(4)상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용함으로써, 개인용 컴퓨터(4)는 HDD 비디오 카메라(2)로부터 동화 파일 또는 정지화 파일을 격납하고 백업을 위해 개인용 컴퓨터(4)에 이를 저장하거나, 격납된 동화 파일 또는 정지화 파일에 따라 이미지를 인쇄할 수 있다.
즉, HDD 비디오 카메라(2) 및 개인용 컴퓨터(4)가 USB 케이블(3)을 통해 서로 접속될 때, 개인용 컵퓨터(4)는 마스터 장치로서 작동하고, HDD 비디오 카메라(2)는 슬레이브 장치로서 동작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HDD 비디오 카페라(2)는 개인용 컴퓨터(4)를 직접 제어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1)에서, 슬레이브 장치로서 동작하는 HDD 비디오 카메라(2)는 개인용 컴퓨터(4)를 간접적으로 제어하도록 하여, HDD 비디오 카메라(2)로부터 출력된 동화 파일 또는 정지화 파일을 개인용 컴퓨터(4) 또는 개인용 컴퓨터(4)를 사용함으로써 DVD디스크 등에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1)에서, HDD 비디오 카메라(2)가 USB 케이블(3)과 같은 케이블을 사용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개인용 컴퓨터(4)에 접속된다고 가정하였다. 그러나, HDD 비디오 카메라(2)는 블루투스(상표) 모듈 또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g 무선 통신 모듈과 같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개인용 컴퓨터(4)에 접속될 수 있다.
HDD 비디오 카메라의 회로 구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HDD 비디오 카메라(2)는 배터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공급된 전원으로 동작한다. CPU(Central Processing Unit)(10)은 ROM(Read Only Memory)(11)로부터 RAM(Random Access Memory)(12)로 기본 프로그램 및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로드하고, RAM(12)에 로드된 기본 프로그램 및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따라 전체 HDD 비디오 카메라(2)를 제어한다. 사용자가 조작 버튼(13) 세트중 하나를 가압하는 것에 응하여, CPU(10)는 버튼 세트중 어느 하나가 가압되는지에 따라 이미지의 격납와 같은 각종 처리, 재생 처리, 편집 처리 등을 수행한다.
특히, 조작 버튼(13) 세트중 특정한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눌려져 이미지를 촬용할 때, HDD 비디오 카메라(2)의 CPU(10)는 이미지 프로세서(15)를 사용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14)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S1)에 특정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고, 그 결과 이미지 데이터(S2)가 얻어진다.
이와 함께, HDD 비디오 카메라(2)의 CPU(10)가 마이크로폰(17)에 의해 검출된 오디오 데이터(S3)를 오디오 프로세서(18)을 사용하는 오디오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오디오 데이터(S4)로 변환한다.
HDD 비디오 카메라(2)의 CPU(10)는 SD 이미지 데이터(S2) 및 관련 오디오 데이터(S4)를 포함한 동화 파일(DF)을 생성하고, 생성된 동화 파일(DF)를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6)에 저장한다.
HDD 비디오 카메라(2)에서, 정지화 데이터(S5)가 CCD카메라(14)를 통해 격납 될 때, CPU(10)는 이미지 프로세서(15)를 사용하여 정지화 데이터(S5)에 이미지 처리를 수행한다. 이미지 처리 결과 얻어진 정지화 데이터(S6)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6)에서 정지화 파일(SF)로서 저장된다.
사용자가 버튼(14) 세트중 특정 하나를 누를 때, HDD 비디오 카메라(2)의 CPU(10)는 HDD(16)로부터 동화 파일(DF) 또는 정지화 파일(SF)을 판독하고, 동화 파일(DF) 또는 정지화 파일(SF)에 따라 LCD(Liquid Crystal Display)(19)에 동화 또는 정지화를 표시한다.
HDD 비디오 카메라(2)의 CPU(10)는 USB 인터페이스(20) 및 USB케이블(3)(도 1)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4)에 접속되어, 동화 파일(DF) 및/또는 정지화 파일(SF)이 HDD 비디오 카메라(2)로부터 개인용 컴퓨터(4)로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고, 또는, 동화 파일(DF) 및/또는 정지화 파일(SF)이 개인용 컴퓨터(4)를 통해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제거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기록 매체는 DVD 디스크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CD-R(Compact Disc-Recordable) 디스크 또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다른 유형의 기록 매체가 사용될 수도 있다.
개인용 컴퓨터의 회로 구조
개인용 컴퓨터(4)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CPU(30)는 ROM(31) 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4)로부터 RAM)(32)으로 기본 프로그램 및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로드하고, RAM(32)에 로드된 기본 프로그램 또는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따라 전체 개인용 컴퓨터(4)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CPU(30)는 사용자에 의해 키보드(35)에서 수행된 입력 동작에 응하여 각종 처리를 수행하고, 그 결 과를 버스(33)를 통해 접속된 모니터(36)에 표시한다.
개인용 컴퓨터(4)는 DVD 드라이브(37)를 가지며, DVD 드라이브(37)상에 장착된 DVD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고, 모니터(36)상에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개인용 컴퓨터(4)는 또한 USB 인터페이스(38) 및 USB 케이블(3)(도 1)을 통해 접속된 HDD 비디오 카메라(2)로부터 동화 파일(DF) 또는 정지화 파일(SF)을 격납하고 DVD 드라이브(37) 상에 장착된 DVD 디스크 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4)에 격납된 동화 파일(DF) 또는 정지화 파일(SF)을 기록할 수 있다.
HDD 비디오 카메라의 간접 제어하에 DVD 디스크상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처리 순서
정보 처리 시스템(1)에서, HDD 비디오 카메라(2)가 USB 케이블(3)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4)에 접속될 때, 슬레이브 장치로서 기능하는 HDD 비디오 카메라(2)는 마스터 슬레이브로서 기능하는 개인용 컴퓨터(4)를 간접적으로 제어하여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개인용 컴퓨터(4)의 DVD 드라이브(37)상에 장착된 DVD 디스크상에 HDD 비디오 카메라(2)를 통해 격납된 동화 파일(DF) 또는 정지화 파일(SF)을 기록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P1에서 HDD 비디오 카메라(2)의 CPU(10)가 HDD 비디오 카메라(2)가 USB 케이블(3)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4)와 전기적(물리적)으로 접속되면, HDD 비디오 카메라(2)의 CPU(10)는 LCD(19)(도 1) 상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팝업창(PW1)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문자 메시지 "카메라가 개인용 컴퓨터와 접속합니다"가 팝업 창(PW1)에 표시되어, HDD 비디오 카메라(2)가 개인용 컴퓨터(4)에 전기적(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지만, HDD 비디오 카메라(2)가 개인용 컴퓨터(4)에 논리적으로는 아직 접속되지 않은 상태에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따라서 HDD 비디오 카메라(2)가 아직 개인용 컴퓨터(4)의 슬레이브 장치로서 동작하도록 설정되지 않고 HDD 비디오 카메라(2)가 개인용 컴퓨터(4)와 독립하여 동작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팝업창(PW1)에서, 터치 조작 가능한 "PC로 복사" 버튼(P1) 및 "DVD에 기록" 버튼(P2)이 텍스트 메시지 "카메라가 개인용 컴퓨터와 접속합니다" 아래 영역에 배치된다. HDD 비디오 카메라(2)의 사용자는 이들 버튼중 하나를 가압하여 HDD 비디오 카메라(2)에 의해 격납된 동화 파일(DF) 또는 정지화 파일(SF)이 개인용 컴퓨터(4)로 단순히 전송되어 저장되는지, 또는 동화 파일(DF) 또는 정지화 파일(SF)이 개인용 컴퓨터(4)에 전송되고 DVD 디스크에 기록되는지를 특정한다.
단계 SP2에서, HDD 비디오 카메라(2)의 CPU(10)는 팝업창(PW1)에서 "DVD에 기록" 버튼(P2)이 사용자에 의해 접촉되는지를 판정한다. 단계 SP2에서의 응답이 긍정이면, 단계 SP3로 진행된다.
단계 SP3에서, 사용자에 의한 "DVD에 기록" 버튼(P2)의 접촉에 응하여, HDD 비디오 카메라(2)의 CPU(10)가 개인용 컴퓨터(4)에 의해 판독되는 기능 식별 파일"DVDBURN.IND"을 생성하고, 이를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6)에 저장한다. 그 후, 단계 SP4로 진행된다.
상술한 단계 SP3에서, HDD 비디오 카메라(2)의 CPU(10)가 기능 식별 파일"DVDBURN.IND"를 생성하고 이를 파일 시스텐(FS1)의 루트 디렉토리 바로 아래에 배 치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 식별 파일"DVDBUNR.IND"은 폴더"MP_ROOT" 및 폴더"DCIM"와 병렬로 배치된다. 도 6에 도시된 특정 예에서, 동화 파일(DF) 및 컨텐츠 정보 관리 파일(IF)("INDEX0001.ANP", "INDEX0001.ANT", 및 'INDEX0001.ANM"과 같은 인덱스 파일)이 "MP_ROOT"폴더에 저장되고, 정지화 파일(SF)("DSC00001.JPG", "DSC00002.JPG", DSC00003.JPG" 등)이 폴더(DCIM)에 저장된다.
컨텐츠 정보 관리 파일(IF)에, 예를 들어, 플레이 리스트, 섬네일 이미지, 메타 데이터등과 같은 컨텐츠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 필요한 정보가 기술된다. 동화 데이터는 폴더"MP_ROOT"에 위치한 폴더"100PNV01"에서 ".MPG"의 확장자를 갖는 파일("M2U00001.MPG", "M2U00002.MPG","M2U00003.MPG" 등)로 저장된다.
기능 식별 파일 "DVDBURN.IND"이 HDD 비디오 카메라(2)의 파일 시스템(FS1)의 루트 디렉토리 바로 아래에 배치되므로,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가 계층 레벨로 깊게 들어갈 필요없이 파일 시스템(FS1)의 루트 디렉토리로부터 기능 식별 파일"DVDBURN.IND"를 바로 접근할 수 있다. 상기는 기능 식별 파일"DVDBURN.IND"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용이하고 빠르게 판별하도록 한다.
한편, 단계 SP2로의 응답이 부정이면, 즉, "DVD에 기록" 버튼(P2)이 사용자에 의해 접촉되지 않을 때는, 기능 식별 파일"DVDBURN.IND"을 생성하지 않고 단계SP4로 진행된다.
단계 SP4에서, HDD 비디오 카메라(2)의 CPU(10)는 개인용 컴퓨터(4)에 HDD 비디오 카메라(2)를 논리적으로 접속하여, 개인용 컴퓨터(4)가 마스터 장치로서 기 능하고 HDD 비디오 카메라(2)가 슬레이브 장치로서 기능하도록 한다. 그 후 단계 SP5로 진행한다.
단계 SP5에서 개인용 컴퓨터의 CPU(30)가 HDD 비디오 카메라(2)가 개인용 컴퓨터(4)에 논리적으로 접속되었다는 것을 인식하면, 처리는 단계 SP6으로 진행된다.
단계 SP6에서,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는 USB 케이블(3)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4)에 접속된 HDD 비디오 카메라(2)로부터 HDD 비디오 카메라(2)의 파일 시스템(FS1)을 마운트한다. 그 후 단계 SP7로 진행한다.
단계 SP7에서,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는 파일 시스템(FS1)이 기능 식별 파일"DVDBURN.IND"을 포함하는지를 판정하도록 HDD 비디오 카메라(2)의 파일 시스템(FS1)을 확인한다. 단계 SP7의 응답이 긍정이면, 단계 SP8로 진행한다.
단계 SP8에서,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이 이전 단계에서 HDD 비디오 카메라(2)의 파일 시스템(FS1)이 기능 식별 파일"DVDBURN.IND"을 포함한다고 확인하였으므로,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는 자동적으로 RAM(22)에 상주하는 정보 처리 장치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4)상에 저자된 DVD 기록 프로그램을 시작한다. 그리고 처리는 단계 SP9로 진행한다.
단계 SP9에서,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는 DVD 기록 프로그램에 따른 동화 파일(DF) 또는 정지화 파일(SF)을 전송할 것을 HDD 비디오 카메라(2)에 요구한다. 상기 요구에 응하여, HDD 비디오 카메라(2)는 동화 파일(DF) 또는 정지화 파일(SF)를 개인용 컴퓨터(4)로 전송한다. 개인용 컴퓨터(4)에서, 수신된 동화 파 일(DF) 또는 정지화 파일(SF)은 DVD 드라이브(37)루■???? 사용하는 DVD 디스크에 기록된다. 그 후, 단계 SP12로 진행한다.
단계 SP12에서, "DVD에 기록"버튼(P2)에 대응하는 DVD 기록 처리가 완료되므로, HDD 비디오 카메라(2)의 CPU(10) 및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는 HDD 비디오 카메라(2) 및 개인용 컴퓨터(4) 사이의 논리적 접속을 해제한다. 그 결과, 개인용 컴퓨터(4)가 마스터 장치로서 동작하고 HDD 비디오 카메라(2)가 슬레이브 장치로서 기능하는 상태가 해제된다.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는 단계 SP13으로 처리를 진행하고, 한편 HDD 비디오 카메라(2)의 CPU(10)는 단계 SP14로 처리를 진행한다.
단계 SP14에서, 개인용 컴퓨터(4)와의 논리적 접속이 해제되고 따라서 마스터-슬레이브 관게가 이전 단계에서 해제되므로, HDD 비디오 카메라(2)의 CPU(10)는 파일 시스템(FS1)으로부터 기능 식별 파일"DVDBURN.IND"을 삭제한다. 그 후 단계 SP15로 진행한다. 단계 SP15에서, 모든 처리가 완료된다. 단계 SP12 및 SP14는 꼭 실행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이들 단계는 필요에 응하여 실행될 수 있다.
단계 SP7에의 응답이 부정인 경우, 즉, HDD 비디오 카메라(2)의 파일 시스템(FS1)이 기능 식별 파일"DVDBURN.IND"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DVD 기록 프로그램을 시작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는 단계 SP10으로 진행한다.
단계 SP10에서, HDD 비디오 카메라(2)의 파일 시스템(FS1)이 기능 식별 파일"DVDBURN.IND"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가 정보 처리 장치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자동적으로 디폴트 런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한 다. 그 후 단계 SP11로 진행한다.
단계 SP11에서, 런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런처 메뉴 화면(LMG1)을 모니터(36)상에 표시한다.
런처 메뉴 화면(LMG1)상에, "원터치 DVD 기록" 버튼(P11), "차분 PC 백업" 버튼(P12), "이미지 보기" 버튼(P13), "DVD 저작" 버튼(P14), "플레이 리스트" 버튼(P15), "설정" 버튼(P16), 및 "닫기"버튼(P17)이 마련된다.
"원터치 DVD 기록" 버튼(P11)이 사용자에 의해 눌리면,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가 DVD기록 프로그램을 자동적으로 기동하여 DVV 비디오 카메라(2)로부터 공급된 동화 파일(DF) 또는 정지화 파일(SF)를 DVD 드라이브(37)를 통해 DVD 디스크상에 기록한다. 즉, "원터치 DVD 기록" 버튼(P11)이 눌리면, HDD 비디오 카메라(2)의 팝업창(PW1)에 마련된 "DVD 상에 기록" 버튼(P2)이 눌렸을 때의 처리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가 수행된다.
이 처리에서,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는 DVD디스크상에 아직 기록되지 않은 HDD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공급된 동화 파일(DE) 또는 정지화 파일(SF)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탐지된 미기록 동화 파일(DF) 또는 정지화 파일(SF)을 DVD 디스크에 기록한다. 새로운 동화 파일(DF) 또는 정지화 파일(SF)이 발견되지 않는 경우, 에러 메시지가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기록될 파일이 없음을 알린다.
"차분 PC 백업" 버튼(P12)이 눌릴 때, HDD 비디오 카메라(2)가 개인용 컴퓨터(4)에 의해 격납되지 않은 동화 파일(DF) 또는 정지화 파일(SF)을 가지면, 이러 한 이미지 파일만을 개인용 컴퓨터(4)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4)상에 저장한다. HDD 비디오 카메라(2)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과 개인용 컴퓨터(4)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 사이에 차분이 없으면, 이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에러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미지 보기" 버튼(P13)은 특정 브라우저를 사용하는 특정 동화 또는 정지화를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이미지 보기" 버튼(P13)이 눌리면,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는 HDD 비디오 카메라(2)를 통해 격납된 동화 파일(DF) 또는 정지화 파일(SF) 또는 인터넷 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된 비디오 파일에 따라 이미지를 표시한다.
사용자가 "DVD저작" 버튼(P14)을 누를 때, 사용자는 DVD기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DVD 디스크에 기록되는 동화 파일(DF) 또는 정지화 파일(SF)을 편집할 수 있다. 특히,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동화 파일(DF) 또는 정지화 파일(SF)로부터 기록되어야 하는 부분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이 버튼은 사용자가 HDD 비디오 카메라(2)에 저장된 동화 파일(DF) 또는 정지화 파일(SF)을 바로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 파일을 편집한 후 DVD디스크에 기록할 수 있게 한다.
"플레이 리스트" 버튼(P15)은 HDD 비디오 카메라(2)에 저장된 플레이 리스트에 의해 정해진 순서로 동화 파일(DF) 또는 정지화 파일(SF)을 기록하는데 사용된다. HDD 비디오 카메라(2)가 플레이 리스트를 가질 때, JPEG 규격에 따라 압축된 정지화 파일(SF)은 MPEG2 규격에 따른 형태로 변환하고, 그 이미지 파일을 동화 파일(DF)이 기록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기록한다. 그러나, HDD 비디오 카메 라(2)가 플레이 리스트를 갖지 않을 때, JPEG 규격에 따른 정지화 파일(SF)은 변환되지 않고 바로 기록된다.
즉, 플레이 리스트에 따라 동화 파일(DF) 및 정지화 파일(SF)이 기록되는 양상에서,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는 동화 파일(DF)과 동일한 MPEG2 포맷에 따라 JPEG 정지화 파일(SF)로 변환하고, 따라서, DVD 디스크에 기록된 정지화 파일(SF)이 MPEG2 파일만을 처리할 수 있는 DVD 플레이어를 사용하여 재생될 수 있다.
"설정" 버튼(P16)은 사용자가 DVD 디스크에 동화 파일(DF) 또는 정지화 파일(SF)을 기록하는 조건에 맞는 상세 설정을 변경할 수 있게 한다. "닫기" 버튼(P17)은 런처 메뉴 화면(LMG1)를 닫기 위해 사용된다.
제 1의 실시예의 동작 및 효과
제 1의 실시예에 따라 상술한 방식으로 구성된 정보 처리 시스템(1)에 있어서, HDD 비디오 카메라(2)의 LCD(19)상에 표시된 팝업창(PW1)의 "DVD에 기록" 버튼(P2)이 사용자에 의해 접촉될 때, 기능 식별 파일"DVDBURN.IND"이 생성되고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6)에 저장된다. HDD 비디오 카메라(2)가 개인용 컴퓨터(4)와 논리적으로 접속될 때, 개인용 컴퓨터(4)가 HDD 비디오 카메라(2)의 기능 식별 파일"DVDBURN.IND"을 탐지하면, 개인용 컴퓨터(4)는 정보 처리 장치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DVD 기록 프로그램을 자동적으로 시작하고, HDD 비디오 카메라(2)에 저장된 동화 파일(DF) 및/또는 정지화 파일(SF)을 판독하고, DVD 디스크에 동화 파일(DF) 및/또는 정지화 파일(SF)을 기록한다.
따라서, HDD 비디오 카메라(2)가 개인용 컴퓨터(4)에 논리적으로 접속되어 HDD 비디오 카메라(2)가 슬레이브 장치로서 동작하고 개인용 컴퓨터(4)가 마스터 장치로서 동작하며, 따라서 슬레이브 장치로서 동작하는 HDD 비디오 카메라(2)가 개인용 컴퓨터(4)로 DVD에 기록 명령을 직접 발행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기능 식별 파일"DVDBURN.IND"를 사용함으로써 HDD 비디오 카메라(2)가 DVD 디스크에 컨텐츠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개인용 컴퓨터(4)를 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즉, 개인용 컴퓨터(4)로 DVD에 기록 명령을 직접적으로 발행함으로써 얻어지는 것과 동일한 효과가 간접적으로 얻어질 수 있다.
따라서, HDD 비디오 카메라(2)의 사용자는, 개인용 컴퓨터(4)를 동작시키거나 개인용 컴퓨터(4)에 특정 드라이버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고 단순히 "DVD에 기록" 버튼(P2)을 누름으로써, 개인용 컴퓨터(4)로 동화상 파일(DF) 및/또는 정지화 파일(SF)을 전송하도록 하고, DVD디스크에 이를 기록하도록 할 수 있다.
HDD 비디오 카메라(2)의 파일 시스템(FS1)에서 기능 식별 파일"DVDBURN.IND"이 발견되지 않을 때,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는 모니터(36)에 런처 메뉴 화면(LMG1)을 표시한다. 상기는 HDD 비디오 카메라(2)로부터 개인용 컴퓨터(4)로 런처 메뉴 화면(LMG1)을 표시시키기 위한 명령을 공급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런처 메뉴 화면(LMG1)에서 "원터치 DVD 기록" 버튼(P11)을 누를 때,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도 HDD 비디오 카메라(2)로부터 동화 파일(DF) 및/또는 정지화 파일(SF)을 판독하고 이를 DVD 디스크에 기록한다. 즉, 정보 처리 시스템(1)에서, 비디오 카메라(2) 또는 개인용 컴퓨터(4)를 동작시킴으로써 DVD 디스크에 이미지 파일을 기록할 수 있으며, 따라서 유용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들이 서로 접속된 후 개인용 컴퓨터(4)가 마스터 장치로서 기능하도록 설정되고 HDD 비디오 카메라(2)가 슬레이브 장치로서 기능하도록 설정된 상태이더라도, HDD 비디오 카메라(2)로부터 개인용 컴퓨터(4)로 동화 파일(DF) 및/또는 정지화 파일(SF)을 전송할 수 있고 HDD 비디오 카메라(2)상의 버튼을 단순히 누름으로써 이들을 기록할 수 있다.
제 2의 실시예
정보 처리 시스켐의 일반 구성
도 8에서, 도 1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101)은 SD(Standard Definition) or HD(High Definition) 규격에 따른 동화를 촬상할 수 있는 HDD 비디오 카메라(102), 및 USB 케이블(3)과 같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HDD 비디오 카메라(102)에 접속된 개인용 컴퓨터(4)를 포함한다.
SD 기록 모드가 선택될 때, HDD 비디오 카메라(102)는 SD 규격에 따라 동화 파일(이하, SD 동화 파일이라 함)을 생성하고 HDD 비디오 카메라(102)에 배치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생성된 SD 동화 파일을 저장한다. 한편, HD 기록 모드에서, HDD 비디오 카메라(102)는 HDD 비디오 카메라(102)에 배치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HD 규격에 따른 동화 파일(이하, HD 동화 파일이라 함)을 저장할 수 있다.
HDD 비디오 카메라(102)가 USB 케이블(3)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4)에 접속될 때, 개인용 컴퓨터(4)는 그 자신을 마스터 장치로서 기능하도록 설정하고, HDD 비디오 카메라(102)를 단순 기억 장치로서 취급한다. 개인용 컴퓨터(4)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4)는 HDD 비디오 카메라(102)로부터 SD 동화 파일 또는 HD 동화 파일을 판독하고 판독한 이미지 파일을 개인용 컴퓨터(4)에 저장할 수 있다. 개인용 컴퓨터(4)는 HDD 비디오 카메라(102)에 저장된 HD동화 파일 또는 SD 동화 파일에 따른 이미지를 인쇄할 수도 있다.
즉, HDD 비디오 카메라(102)가 USB 케이블(3)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4)에 접속된 상태에서, 개인용 컴퓨터(4)는 마스터 장치로서 기능하고 HDD 비디오 카메라(102)는 슬레이브 자??로서 기능하며, HDD 비디오 카메라(102)는 개인용 컴퓨터(4)를 직접 제어할 수 없다.
그러나, 정보 처리 시스템(101)에서,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슬레이브 장치로서 기능하는 HDD 비디오 카메라(102)는 기능 식별 파일"DVDBURN.IND"과 유사한 기능 식별 파일"OTDISCBN.IND"을 생성하고, 이는 HDD 비디오 카메라(102)가 기능 식별 파일"DVDBURN.IND"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4)를 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같이 개인용 컴퓨터(4)가 기능 식별 파일"DVDBURN.IND"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시스템(101)에서, 슬레이브 장치로서 기능하는 HDD 비디오 카메라(102)로부터 판독된 SD 동화 파일 또는 HD 동화 파일이 개인용 컴퓨터(4)에 의해 기록 매체에 저장될 때, 사용자는, 원터치 조작 버튼에 의해, SD 동화 파일 또는 HD 동화 파일이 저장되는지 또는 SD 동화 파일과 HD 동화 파일 모두가 저장되 는지 여부를 지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택에 응하여, HDD 비디오 카메라(102)는 기록되는 컨텐츠의 유형을 기재한, 즉, 기록 대상 파일이 SD 동화 파일 또는 HD 동화 파일인지, 또는 SD 동화 파일과 HD 동화 파일 모두인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록된 카메라 식별 파일"MODELCFG.IND"을 생성한다. 이 카메라 식별 파일"MODELCFG.IND"은 객인용 컴퓨터(4)에 의해 판독되고, 개인용 컴퓨터(4)는 카메라 식별 파일"MODELCFG.IND"에 따른 기록 동작을 수행한다.
특히,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가, HDD 비디오 카메라(102)에 저장된 카메라 식별 파일"MODELCFG.IND"에 기재된 유형 정보가 기록 대상 파일의 유형으로서 HD 동화 파일 유형이 지정됨을 나타내는 것을 탐지한 경우,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는 HDD 비디오 카메라(102)로부터 HD 동화 파일만을 추출하고, 추출한 HD 동화 파일을 기록가능한 형태로 불루레이 디스크에 기록한다.
한편,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가, HDD 비디오 카메라(102)에 저장된 카메라 식별 파일"MODELCFG.IND"에 기재된 유형 정보가 기록 대상 파일의 유형으로서 SD동화 파일이 지정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을 탐지할 때,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는 HDD 비디오 카메라(102)로부터 SD동화 파일만을 추출하고 추출한 SD 동화 파일을 SD 동화 파일을 기록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DVD 디스크에 기록한다.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가, HDD 비디오 카메라(102)에 저장된 카메라 식별 파일"MODELCFG.IND"에 기재된 유형 정보가 기록 대상 파일로서 HD 동화 파일 및 SD동화 파일 모두를 나타내는 것을 탐지한 경우,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는 우 선 HDD 비디오 카메라(102)로부터 HD 동화 파일을 추출하고, 블루레이 디스크에 이를 기록하고, HDD 비디오 카메라(102)로부터 SD 동화 파일을 추출하고, 블루레이 디스크를 제거한 후 장착된 DVD 디스크에 이를 기록한다.
슬레이브 장치로서 기능하는 HDD비디오 카메라(102)는 SD 동화 파일또는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정지화를 DVD 디스크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중 어디에나 기록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10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HDD 비디오 카메라(102)는 USB 케이블(3)과 같은 케이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개인용 컴퓨터(4)에 접속된다. 그러나, 이 접속이 케이블 접속으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블루투스 모듈(상표) 또는 IEEE802.11g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와 같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HDD 비디오 카메라의 회로 구조
도 9에서, 도 2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참조 부호를 사용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HDD 비디오 카메라(102)는 제 1의 실시예에 따른 상술한 HDD 비디오 카메라(2)의 회로 구조와 유사하다. HDD 비디오 카메라(102)는 배터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공급된 전원으로 동작한다. CPU(10)는 ROM(11)으로부터 기본 프로그램 및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2)에 로드하고, RAM(12)에 로그된 기본 프로그램 및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따라 전체 HDD 비디오 카메라(102)를 제어한다. 사용자가 조작 버튼(13) 세트중 하나를 가압하는 것에 응하여, CPU(10)는 버튼 세트중 어느 하나가 가압되는 지에 따라 이미지 격납, 재생 처 리, 편집 처리 등과 같은 각종 처리를 수행한다.
특히, 예를 들어, HDD 비디오 카메라(102)의 CPU(10)의 제어하에서, 버튼(13) 세트중 특정 하나를 가압함에 응하여,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대상의 이미지를 촬영할 때, HD 기록 모드 또는 SD 기록 모드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SD 기록 모드에서 CCD 카메라(14)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S1) 또는 HD 기록 모드에서의 이미지 데이터(S11)는 이미지 프로세서(15)에 의해 수행된 이미지 처리를 받게 되고, 그 결과, SD이미지 데이터(S2) 또는 HD 이미지 데이터(S12)가 얻어진다.
또한, HDD 비디오 카메라(102)의 CPU(10)는 마이크로폰(17)에 의해 검출된 오디오 데이터(S3)를 오디오 프로세서(18)를 사용한 오디오 처리를 수행하여 오디오 데이터(S4)로 변환한다.
SD 기록 모드에서의 동작시, HDD 비디오 카메라(102)의 CPU(10)는 SD 이미지 데이터(S2)와 관련 오디오 데이터(S4)를 포함하는 SD 동화 파일(SDF)을 생성하고, 생성된 SD동화 파일(SDF)을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6)에 저장한다. 한편, HD 기록 모드에서 동작시, HDD 비디오 카메라(102)의 CPU(10)는 HD 이미지 데이터(S12)와 관련 오디오 데이터(S4)를 포함하는 HD 동화 파일(HDF)을 생성하고, 생성된 HD동화 파일(HDF)을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6)에 저장한다.
따라서, HDD 비디오 카메라(102)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HD 동화 파일(HDF) 및 SD동화 파일(SDF)이 혼재된 상태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6)에 의해 하드 디스크에 저장된다.
정지화 데이터(S5)가 CCD 카메라(14)에 의해 격납될 때, HDD 비디오 카메 라(102)의 CPU(10)는 이미지 프로세서(15)를 사용하는 이미지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정지화 데이터(S5)를 정지화 데이터(S6)로 변환하고, 이를 정지화 데이터(SF)로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6)에 저장한다.
사용자가 조작 버튼(13) 세트중 특정 하나를 눌러서 특정 SD 동화 파일(SDF), HD 동화 파일(HDF) 또는 정지화 파일(SF)을 선택하면, HDD 비디오 카메라(102)의 CPU(10)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6)로부터 선택된 이미지 파일을 판독하고, 판독한 SD 동화 파일(SDF), HD 동화 파일(HDF), 또는 정지화 파일(SF)에 따라 LCD(19)상에 정지화 또는 동화를 표시한다.
HDD 비디오 카메라(102)의 CPU(10)는 USB 인터페이스(20) 및 USB 케이블(3)(도 8)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4)에 접속되어, SD 동화 파일(SDF), HD 동화 파일(HDF) 또는 정지화 파일(SF)이 HDD 비디오 카메라(102)로부터 개인용 컴퓨터(4)로 전송되고 저장되거나, 또는 SD똥화 파일(SDF), HD동화 파일(HDF) 또는 정지화 파일(SF)이 HDD 비디오 카메라(102)로부터 전송되어 개인용 컴퓨터(4)를 통해 DVD 디스크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와 같은 착탈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
SD 동화 파일(SDF), HD 동화 파일(HDF) 또는 정지화 파일(SF)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매체는 DVD 디스크와 블루레이 디스크로 한정되지 않으며, HD(High Definiton)-DVD 디스크, CD-R(Compact Disc-Recordable) 디스크 또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다른 유형의 기록 매체도 사용될 수 있다.
개인용 컴퓨터의 회로 구조
제 2의 실시예에서, 정보 처리 시스템(101)의 개인용 컴퓨터(4)는 도 3을 참 조하여 상술한 제 1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컴퓨터(4)와 유사한 회로 구조를 가지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HDD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공급된 컨텐츠 유형에 따른 디스크로의 데이터 기록 처리 순서
본 실시예에서, HDD 비디오 카메라(102)가 USB케이블(3)을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101)에서 개인용 컴퓨터(4)와 접속되는 상태에서, 슬레이브 자이로서 동작하도록 설정된 HDD 비디오 카메라(102)는 마스터 장치로서 기능하는 개인용 컴퓨터를 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SD동화 파일(SDF) 또는 HD 동화 파일(HDF)이 HDD 비디오 카메라(102)로부터 개인용 컴퓨터로 전송되어, 개인용 컴퓨터(4)의 DVD 드라이브(37)를 사용하여, HDD 비디오 카메라(102)로부터 공급된 이미지 파일의 유형에 따라, DVD 디스크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에 기록된다.상기 처리 순서에서, 도 11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HDD 비디오 카메라(102)에 의해 전처리가 우선 수행된다.
HDD 비디오 카메라에 의한 전처리
HDD 비디오 카메라(102)의 CPU(10)가 도 11의 RT1에서 전처리 루틴을 시작하면, CPU(10)는 단계 SP21로 처리를 진행한다. 단계 SP21에서, LCD(19)에 표시된 OSD(On Screen Display)메뉴에서 "디스크에 기록"버튼(도시되지 않음)이 눌린 것이 인식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기록 조건을 설정하도록 하기 위한 컨텐츠 유형 선택 화면(SG)이 LCD(19)에 표시된다. 그 후 처리는 단계 SP22로 진행된다.
이 컨텐츠 유형 선택 화면(SF)에서, 메시지"원터치 버튼을 사용한 기록 대상 컨텐츠 유형을 선택"가 하부 영역에 표싯되고, "전부" 버튼(B1), "HD" 버튼(B2), "SD" 버튼(B3)이 중앙 영역에 배치된다. "전부" 버튼(B1)은 개인용 컴퓨터(4)에 의해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이미지 파일로서 HDD 비디오 카메라(102)에 저장된 SD 동화 파일(SDF), HD 동화 파일(HDF), 및 정지화 파일(SF)을 포함하는 모든 이미지 파일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된다. "HD" 버튼(B2)은 개인용 컴퓨터(4)에 의해 기록 매체상에 기록되는 이미지 파일로서 HD 동화 파일(HDF) 및 정지화 파일(SF)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된다. "SD" 버튼(B3)은 개인용 컴퓨터에 의해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이미지 파일로서 동화 파일(SF) 및 SD정지화 파일(SDF)을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컨텐츠 유형 선택 화면(SG)도 "되돌림"버튼(B4)을 갖는다.
"전부" 버튼(B1), "HD"버튼(B2) 및 "SD" 버튼(B3)은 정지화 파일(SF)을 나타내는 아이콘의 오른쪽에 배치된 체크 박스를 각각 갖는다. 체크 박스가 체크되지 않으면, 정지화 파일(SF)은 기록 매체에 기록되지 않는다.
단계 SP22에서, 컨텐츠 유형 선택 화면(SG)의 "전부" 버튼(B2)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HDD 비디오 카메라(102)의 CPU(10)는 SD 동화 파일(SDF), HD동화 파일(HDF) 및 정지화 파일(SF)을 포함하는 모든 이미지 파일이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이미지 파일로서 지정되었음을 나타내는 유형 정보를 기재하고, CPU(10)는 RAM(12)에 이 유형 정보를 임시로 저장한다. 사용자에 의해 "HD" 버튼(B2)이 선택된 경우, HDD 비디오카메라(102)의 CPU(10)는
HD 동화 파일(HDF)와 정지화 파일(SF)이 기록대상 이미지 파일로서 지정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유형 정보가 기재되고 CPU(10)는 RAM(12)에 이 유형 정보를 임시로 저장한다. 한편, "SD" 버튼(B3)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때, HDD 비디오 카메라(102)의 CPU(10)는 SD 동화 파일(SDF) 및 정지화 파일(SF)이 기록 대상을 지정되는 것을 나타내는 유형 정보를 기재하고 CPU(10)는 RMA(12)에 이 유형 정보를 임시로 저장한다. 다음으로 단계 SP23으로 진행되고 전처리가 종료된다.
컨텐츠 유형에 따른 디스크로의 데이터 기록 처리 순서
상술한 전처리가 완료된 후, 정보 처리 시스템(101)의 HDD 비디오 카메라(102)가 USB 케이블(3)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4)에 접속되면, 후술되는 바와 같이, 슬레이브 장치로서 기능하는 HDD 비디오 카메라(102)가 마스터 장치로서 기능하는 개인용 컴퓨터(4)를 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이미지 파일의 특정 조합에 포함된 컨텐츠의 유형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4)의 DVD 드라이브(37)에 의해 DVD 디스크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에 HDD 비디오 카메라(102)에 저장된 SD동화 파일(SDF), HD동화 파일(HDF) 및/또는 정지화 파일(SF)의 특정 조합이 기록된다.
도 13 및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P31에서, HDD 비디오 카메라(102)의 CPU(10)가 HDD 비디오 카메라(102)가 USB 케이블(3)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4)와 전기적(물리적)으로 접속되었음을 인식하면, LCD(19)상에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팝업창(PW2)을 표시한다. 그 후, 단계 SP32로 진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텍스트 메시지"카메라가 개인용 컴퓨터와 연결됩니다"가 팝업창(PW2)에 표시되어, HDD 비디오 카메라(102)가 개인용 컴퓨터(4)와 전기적(물리적)으로 접속되지만, HDD 비디오 카메라(102)가 개인용 컴퓨터(4)와 논리적으로는 아직 접속되지 않았고 따라서 HDD 비디오 카메라(102)가 개인용 컴퓨터(4)의 슬레이브 장치로서 동작하도록 아직 설정되지 않았으며 HDD 비디오 카메라(102)가 개인용 컴퓨터(4)와 별개로 동작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팝업창(PW2)에서, 접촉에 응하여 동작가능한 "PC로 단순 접속" 버튼(P3) 및 "디스크에 기록" 버튼(P4)이 텍스트 메시지"카메라가 개인용 컴퓨터와 연결됩니다"아래쪽 영역에 배치된다.
"PC로 단순 접속" 버튼(P3)이 HDD 비디오 카메라(102)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때, HDD 비디오 카메라(102)에 의해 촬영된 SD 동화 파일(SDF), HD 동화 파일(HDF), 및/또는 정지화 파일(SF)이 개인용 컴퓨터(4)로 전송되고 저장된다. "디스크에 기록" 버튼(P4)이 선택될 때, SD 동화 파일(SDF), HD 동화 파일(HDF) 및/또는 정지화 파일(SF)이 개인용 컴퓨터(4)로 전송되고, DVD디스크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와 같은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단계 SP32에서, HDD 비디오 카메라(102)의 CPU(10)는 팝업창(PW2)에서 "디스크에 기록"버튼(P4)이 사용자에 의해 접촉되었는지를 판정한다. 단계 SP32로의 응답이 긍정이면, 단계 SP33으로 진행된다.
단계 SP33에서, 단계 SP32에서의 사용자에 의해 "디스크로 기록" 버튼(P4) 눌림을 탐지 한 것에 응하여, HDD 비디오 카메라(102)의 CPU(10)는 개인용 컴퓨터(4)가 디스크 기록 프로그램을 시작하도록 하는 기능 식별 파일"OTDISCBN.IND"를 생성하고, 상술한 전처리에서 생성되고 RAM(12)에 임시적으로 저장된 유형 정보가 기재된 카메라 식별 파일"MODELCFG.IND"을 생성하고, HDD 비디오 카메라(102)의 CPU(10)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6)에 두개의 파일을 저장한다. 그 후, 단계 SP34로 진행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카메라 식별 파일"MODELCFG.IND"는 필드 영역에 기재된 카메라 제조자 고유의 ID(identification)를 나타내는 식별자 정보(1바이트), 모델명 영역에 기재된 HDD 비디오 카메라(102) 고유의 모델 번호를 나타내는 모델 번호 정보(1바이트), HDD 비디오 카메라(102)의 속성 정보, 및 원터치 버튼 선택 영역에 기재되고, 컨텐츠 유형 선택 화면(SG)에서 버튼("전부" 버튼(B1), "HD" 버튼(B2), "SD" 버튼(B3))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것을 타나내는 유형 정보를 포함한다.
HDD 비디오 카메라(102)의 CPU(10)는 기능 식별 파일"OTDISCBN.IND" 및 카메라 식별 파일"MODELCFG.IND"이 배치된 파일 시스템(FS2)를 보존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파일 시스템(FS2)은 각종 HD 동화 컨텐츠 파일이 저장된 "AVCHD" 폴더, 각종 SD 동화 컨텐츠 파일이 저장된 "MP_ROOT" 폴더, 및 정지화 파 일("DSC0001.JPG", "DSC0002.JPG", "DSC0003.JPG" 등)이 저장된 "DCIM" 폴더와 병렬로 루트 디렉토리 바로 아래에 배치되된다.
블루레이 디스크와 관련된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BDMV" 폴더는 "AVCHD" 폴더 아래에 형성된다. 이 'BDMV" 폴더에서,
블루레이 디스크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가 기재된 인덱스 정보 파일"INDEX.BDM", 속성 정보 파일"MOVIEOBJ.BDM", 플레이 리스트 파일("00000.MPL", "000001.MPL"), 클립 정보 파일("01000.CPI", "02000.CPI""), 및 HD 동화 파 일(HDF("01000.MTS", "02000.MTS")이 저장된다.
각종 SD동화 컨텐츠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MP_ROOT" 폴더에서, 플레이 리스트, 섬네일 이미지, 및 메타 이미지와 같이 컨텐츠를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가 기재된 컨텐츠 정보 관리 파일(SIF)("INDEX0001.ANP", "INDEX0001.ANT", "INDEX0001.ANM)이 저장된다. "100PNV01" 폴더에서, SD 동화 데이터는 MPG 확장자를 갖는 SD 동화 파일(SDF)("M2U00001.MPG", "M2U00002.MPG", "M2U00003.MPG" 등)로서 저장된다.
HDD 비디오 카메라(102)는 루트 디렉토리 바로 아래에 기능 식별 파일"OTDISCBN.IND" 및 카메라 식별 파일"MODELCFG.IND"을 저장하고, 개인용 컴퓨터(4)의CPU(30)는 기능 식별 파일"OTDISCBN.IND" 및 카메라 식별 파일"MODELCFG.IND" 판독하기 위해 계층 레벨로 깊게 들어갈 필요없이 파일 시스템(FS2)으로 바로 접근할 수 있다. 상기는 기능 식별 파일"OTDISCBN.IND"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쉽고 빠르게 판정할 수 있고, 카메라 식별 파일"MODELCFG.IND"의 컨텐츠를 쉽고 빠르게 판독할 수 있다.
단계 SP32로의 응답이 부정일 때, 즉, "디스크에 기록" 버튼(P4)이 사용자에 의해 접촉될 때, HDD 비디오 카메라(102)의 CPU(10)는 단계 SP34로 진행된다. 단계 SP34에서, HDD 비디오 카메라(102)의 CPU(10)는 카메라 식별 파일"MODELCFG.IND"를 생성하고, 기능 식별 파일"OTDISCBN.IND"을 생성하지 않고 단계 SP35로 진행한다.
상술한 방식으로 수행된 단계 SP34는, "디스크로 기록" 버튼(P4)이 가압되지 않은 경우라 하여도, 개인용 컴퓨터(4)가 HDD 비디오 카메라(102)가 단순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로서가 아니라 비디오 카메라로서 취급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HDD 비디오 카메라(102)가 개인용 컴퓨터(4)에 접속될 때, 개인용 컴퓨터(4)가 카메라 식별 파일"MODELCFG.IND"를 발견하면, 개인용 컴퓨터(4)는 카메라 식별 파일"MODELCFG.IND"에 따라 비디오 카메라의 유형을 결정하고, 비디오 카메라의 유형에 따라 런처 메뉴 스크린(LMG2)(후술함)을 표시한다.
단계 SP35에서, HDD 비디오 카메라(102)의 CPU(10)는 개인용 컴퓨터에 HDD 비디오 카메라(102)를 논리적으로 접속한다. 이로서 개인용 컴퓨터(4)는 마스터 장치로서 동작하고 HDD 비디오 카메라(102)는 슬레이브 장치로서 동작한다. 그리고 단계 SP36로 진행된다.
단계 SP36에서,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가 HDD 비디오 카메라(102)가 개인용 컴퓨터(4)와 논리적을 접속됨을 인식하면, 다음 단계 SP37로 진행된다.
단계 SP37에서,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는 USB 케이블(3)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4)에 접속된 HDD 비디오 카메라(102)로부터 HDD 비디오 카메라(102)의 파일 시스템(FS2)을 마운트한다. 그 후 단계 SP38로 진행된다.
단계 SO38에서, 개인용 컴??터(4)의 CPU(30)는 HDD 비디오 카메라(102)의 파일 시스템(FS2)을 체크하고, 파일 시스템(FS2)이 기능 식별 파일"OTDISCBN.IND"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P38의 응답이 긍정이면, 단계 SP39로 진행한다.
단계 SP39에서,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는 이전 단계에서 HDD 비디오 카메라(102)의 파일 시스템(FS2)이 기능 식별 파일"OTDISCBN.IND"을 포함하는 것을 확인하였기 때문에,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는 RAM(22)에 상주하는 정보 처리 장치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4)에 저장된 DVD 기록 프로그램을 자동적으로 시작한다. 그 후, 단계 SP40으로 진행한다.
단계 SP40에서,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는 HDD 비디오 카메라(102)의 RAM(12)에 저장된 카메라 식별 파일"MODELCFG.IND"의 원터치 버튼 설정 영역에 기재된 컨텐츠 유형 정보를 판독한다. 그리고 처리는 단계 SP41로 진행한다.
단계 SP41에서,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는, 컨텐츠 유형 정보로부터, HDD 비디오 카메라(102)에 저장된 파일의 이미지 파일 유형(SD 동화 파일(SDF) 또는 HD 동화 파일(HDF))중 어느 하나가 기록 대상 파일의 이미지 파일 유형으로 지정되는지 결정하고,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는 지정된 이미지 파일 유형에 따라, HD동화 파일(HDF)을 기록하기 위한 디스크인 블루레이 디스크에 이미지 파일을 기록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특히,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가 HD 동화 파일(HDF)이 기록되도록 지정되었다고 판정하면, CPU(30)는 HD 동화 파일을 기록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유형의 디스크인 블루레이 디스크에 파일이 기록되어야 한다고 판정한다. 한편, SD 동화 파일(SDF)이 기록 대상이라고 지정되면,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는 SD 동화 파일을 기록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유형의 디스크인 DVD 디스크에 파일이 기록되어야 한다고 판정한다.
단계 SP41에서 기록 대상인 이미지 파일이 HD 동화 파일(HDF)이 아니라 SD 동화 파일(SDF)이라고 판정한 경우,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는 단계 SP43으로 진행된다.
한편, 단계 SP41에서 기록 대상인 이미지 파일의 유형이 HD 동화 파일(HDF)라고 판정될 때,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는 파일이 블루레이 디스크에 기록되어야 한다고 판정하고, 따라서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는 단계 SP42로 진행한다.
단계 SP42에서, 디스크 기록 프로그램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는 HDD 비디오 카메라(102)가 HD 동화 파일(HDF) 및 정지화 파일(SF)를 전송하도록 요구한다. HD 동화 파일(HDF) 및 정지화 파일(SF)이 요구에 응하여 HDD 비디오 카메라(2)로부터 개인용 컴퓨터(4)로 전송되면, 수신된 HD 동화 파일(HDF) 및 정지화 파일(SF)이 DVD 드라이브(27)를 사용하는 블루레이 디스크에 기록된다. 그리고 단계 SP43으로 진행된다.
단계 SP43에서,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가, 컨텐츠 유형 정보에 의거하여, 기록 대상 이미지 파일의 유형이 SD 동화 파일의 유형인지 판정하고, SD동화 파일(SDF)을 기록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유형의 디스크인 DVD 디스크에 이미지 파일이 기록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P43의 응답이 부정이면, 기록 대상 파일의 유형이 HD 동화 파일(HDF)도 SD동화 파일(SDF)도 아니라고 판정된다. 이 경우,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는 컨텐츠 유형을 재확인하기 위해 단계 SP41로 되돌아간다.
단계 SP43의 응답이 긍정이면, 즉, 기록 대상 이미지 유형이 SD 동화 파일(SDF)이면, 이미지 파일이 DVD 디스크에 기록되어야 한다고 판정된다. 이 경우, 처리는 단계 SP44로 진행된다.
단계 SP44에서, 디스크 기록 프로그램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는 SD 동화 파일 및 정지화 파일(SF)을 전송하도록 HDD 비디오 카메라(102)에 요구하고, 요구에 응하여 HDD 비디오 카메라(102)로부터 전송된 SD 동화 파일 및 정지화 파일(SF)을 DVD 비디오 형식으로 DVD 디스크에 기록한다. 그리고 처리는 단계 SP47로 진행된다.
단계 SP47에서, "디스크에 기록" 버튼(P4)를 누름에 응하여 컨텐츠 유형에 따른 디스크에 이미지 파일 기록 처리가 완료되면, HDD 비디오 카메라(102)의 CPU(10) 및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는 HDD 비디오 카메라(102) 및 개인용 컴퓨터(4) 사이에 논리적 접속을 해제한다. 그 결과, 개인용 컴퓨터(4)가 마스터 장치로서 동작하고 HDD 비디오 카메라(102)가 슬레이브 장치로서 기능하는 상태가 해제된다.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는 단계 SP50으로 진행하고, HDD 비디오 카메라(102)의 CPU(10)는 단계 SP48로 진행한다.
개인용 컴퓨터(4)와 HDD 비디오 카메라(102) 사이의 논리적 접속이 해제되고 마스터-슬레이브 관계가 해제되면, 단계 SP48에서, HDD 비디오 카메라(102)의 CPU(10)는 기능 식별 파일"OTDISCBN.IND" 및 카메라 식별 파일"MODELCFG.IND"을 파일 시스템(FS2)으로부터 삭제한다. 그리고 처리는 단계 SP49로 진행되어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P47 및 SP48은 반드시 실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HDD 비디오 카메라(102)가 USB케이블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4)에 접속될 때,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적절한 방식으로 기록이 수행된다.
단계 SP38의 응답이 부정인 경우, 즉, HDD 비디오 카메라(102)의 파일 시스템(FS2)이 기능 식별 파일"OTDISCBN.IND"을 포함하지 않을 때, 디스크 기록 프로그램이 시작될 필요가 없고, 따라서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가 단계 SP45로 진행된다.
단계 SP45에서, HDD 비디오 카메라(102)의 파일 시스템(FS2)이 기능 식별 파일"OTDISCBN.IND"을 포함하지 않고 카메라 식별 파일"MODELCFG.IND"만을 포함하므로,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는 정보 처리 장치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디폴트 런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시작한다.
단계 SP46에서, 런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런처 메뉴 화면(LMG2)을 모니터(36)에 표시한다. 이 런처 메뉴 화면(LMG2)은 "원터치 DVD 기록" 버튼(P11)이 "원터치 디스크 기록" 버튼(P21)으로 바뀐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이 런처 메뉴 화면(LMG2)에서, 사용자가 "원터치 디스크 기록" 버튼(P21)을 클릭하면,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는 디스크 기록 프로그램을 시작하고, 컨텐츠 유형에 응하여 디스크 기록 처리를 수행한다(도 13 및 14). 특히, HDD 비디오 카메라(102)로부터 공급된 SD 동화 파일(SDF), HD 동화 파일(HDF), 및 정지화 파일(SF)은 파일 유형에 따라 DVD 디스크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에 각각 기록되고, SD 동화 파일(SDF), HD 동화 파일(HDF) 및/또는 정지화 파일(SF)이 적절히 기록되는 DVD 디스크 및/또는 블루레이 디스크를 얻는다. HDD 비디오 카메라(102)의 팝업창(PW2)에서 "디스크에 기록" 버튼(P4)이 선택되면, 단계 SP33 및 다음 단계가 수행된다.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는 기록 매체에 아직 기록되지 않은 SD 동화 파일(SDF), HD 동화 파일(HDF), 및/또는 정지화 파일(SF)만을 기록한다. 이러한 이미지 파일이 HDD 비디오 카메라(102)에서 발견되지 않으면, 에러 메시지가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더 이상 기록 대상인 새로운 파일이 없다는 것을 알린다.
"차분 PC 백업" 버튼(P12)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때,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는 HDD 비디오 카메라(102)가 아직 개인용 컴퓨터(4)에 저장되지 않은새로운 SD 동화 파일(SDF), HD 동화 파일(HDF) 및/또는 정지화 파일(SF)을 포함하는지를 판정한다. 이러한 이미지 파일이 검출되면, 검출된 이미지 파일만을 개인용 컴퓨터(4)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4) 또는 DVD 디스크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에 저장한다. HDD 비디오 카메라(102)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 및 개인용 컴퓨터(4)에 격납된 이미지 파일 사이에 차분이 없으면, 사용자에게 이 사실을 알리는 에러 메세지가 표시된다.
사용자가 런처 메뉴 화면(LMG2)에서 "이미지 보기" 버튼(P13)이 클릭하면,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는 HDD 비디오 카메라(102)로부터 격납된 SD 동화 파일(SDF), HD 동화 파일(HDF), 또는 정지화 파일(SF) 또는 인터넷으로부터 다운로드된 이미지파일의 이미지를 표시한다.
사용자가 "DVD 저작" 버튼(P14)을 클릭하면,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는 사용자가 SD 동화 파일(SDF), HD 동화 파일(HDF), 또는 정지화 파일(SF)을 DVD 디스크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에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고자 하는 형태로 편집하도록 한다. 이 경우, HDD 비디오 카메라(102)로부터 공급된 SD 동화 파일(SDF), HD 동화 파일(HDF) 또는 정지화 파일(SF)이 DVD 디스크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에 바로 기록되지 않고 편집된 후 기록된다.
사용자가 "플레이 리스트" 버튼(P15)을 클릭하면,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는 HDD 비디오 카메라(102)에 저장된 플레이 리스트에 지정된 순서로 DVD 디스크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에 SD동화 파일(SDF), HD 동화 파일(HDF), 및/또는 정지화 파일(SF)을 기록한다. HDD 비디오 카메라(102)가 플레이 리스트를 가지면,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는 PEG 형태로 압축된 정지화 파일(SF)을 MPEG2 형태로 변환하여, 정지화 파일(SF)이 SD동화 파일(SDF) 또는 HD 동화 파일(HDF)과 동일한 형태로 기록될 수 있고, 특정 이미지 파일이 DVD 디스크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에 기록된다. 플레이 리스트가 없다면, JPEG 형태의 정지화 파일(SF)이 DVD 디스크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에 바로 기록된다.
즉, 플레이 리스트가 있을 때,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는 JPEG 형태로 압축된 정지화 파일(SF)을 MPEG2형태로 변환하여 모든 이미지 파일이 MPEG2 형태가 되도록 한 후 DVD 디스크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에 플레이 리스트에 따라 SD 동화 파일(SDF), HD 동화 파일(HDF), 및/또는 정지화 파일(SF)을 기록한다. 상기는 MPEG2 동화만을 재생가능한 광디스크 플레이어도 정지화(SF)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플레이 리스트가 없고 JPEG 정지화가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에 의해 DVD 디스크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에 바로 기록되는 경우, 광디스크 플레이어가 정지화 파일을 재생할 수 있으면, 정지화 파일(SF)을 판독하는 것 및 정지화 파일(SF)에 따라 모니터(36)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설정" 버튼(P16)을 누르면,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는 사용자가
DVD 디스크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에 SD 동화 파일(SDF), HD 동화 파일(HDF) 및/또는 정지화 파일(SF)을 기록하는 상세한 조건을 수정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가 "닫기" 버튼(P17)을 누를 때, 런처 메뉴 화면(LGM2)이 닫힌다.
제 2의 실시예의 동작 및 효과
제 2의 실시예에 따른 상술한 구성의 정보 처리 시스템(101)에서, 사용자가 HDD 비디오 카메라(102)의 LCD(19)에 표시된 팝업창(PW2)에서 "디스크에 기록"버튼(P4)을 누르면, 기능 식별 파일"OTDISCBN.IND"이 생성되고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6)에 저장된다. 또한, 개인용 컴퓨터(4)에 의해 기록되는 컨텐츠 유형을 나타내는 유형 정보인 카메라 식별 파일"MODELCFG.IND"이 생성되고, 생성된 카메라 식별 파일"MODELCFG.IND"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6)에 저장된다.
이 단계에서, HD 비디오 카메라(102)는 개인용 컴퓨터(4)를 간접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전처리를 완료한다. HDD 비디오 카메라(102)가 개인용 컴퓨터(4)와 논리적으로 접속될 때, 개인용 컴퓨터(4)가 HDD 비디오 카메라(102)에 저장된 기능 식별 파일"OTDISCBN.IND"을 발견하면, 정보 처리 장치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4)는 디스크 기록 프로그램을 시작하고, 카메라 식별 파일"MODELCFG.IND"에 기재된 유형 정보에 따라 SD동화 파일(SDF), HD 동화파일(HDF), 또는 정지화 파일(SF)을 격납하고, 이미지 파일 유형에 응하여 DVD 디스크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에 격납된 이미지 파일을 기록한다.
따라서, HDD 비디오 카메라(102)가 개인용 컴퓨터(4)와 논리적으로 접속되어, HDD 비디오 카메라(102)가 슬레이브 장치로서 동작하고 개인용 컴퓨터(4)가 마스터 장치로서 동작하고 슬레이브 장치로서 동작하는 HDD 비디오 카메라(102)가 개인용 컴퓨터(4)로 '디스크에 기록' 명령을 직접 발행하지 못하는 경우, 기능 식별 파일"OTDISCBN.IND" 및 카메라 식별 파일"MODELCFG.IND"을 사용함으로써 HDD 비디오 카메라(102)가 개인용 컴퓨터(4)를 간접적으로 제어하여 컨텐츠 유형에 따라 DVD 디스크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에 지정된 컨텐츠를 기록할 수 있게 한다. 즉, 개인용 컴퓨터(4)로 디스크에 기록 명령을 직접 발행한 것과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따라서, HDD 비디오 카메라(102)의 사용자가 SD 동화 파일(SDF), HD 동화 파일(HDF), 및/또는 정지화 파일(SF)을 개인용 컴퓨터(4)로 전송할 수 있고, 개인용 컴퓨터(4)를 조작하거나 개인용 컴퓨터(4)에서 특정 드라이버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고도 HDD 비디오 카메라(102)의 버튼을 단순히 누르기만함으로써 DVD 디스크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에 이를 기록할 수 있다.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가, HDD 비디오 카메라(102)의 파일 시스템(FS2) 이 기능 식별 파일"OTDISCBN.IND"을 포함하지 않는다고, 판정할 때,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는 HDD 비디오 카메라(102)의 파일 시스템(FS2)이 카메라 식별 파일"MODELCFG.IND"에 대응하는 런쳐 메뉴 화면(LMG2)을 모니터(36)에 표시한다. 따라서, 런처 메뉴 화면(LMG2)을 표시하기 위한 명령을 HDD 비디오 카메라(102)로부터 개인용 컴퓨터(4)로 간접적으로 발행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가 런처 메뉴 화면(LMG2)에서 "원터치 디스크 기록" 버튼(P21)이 클릭된 것을 발견하면, 개인용 컴퓨터(4)는 HDD 비디오 카메라(102)로부터 SD 동화 파일(SDF), HD 동화 파일(HDF), 및/또는 정지화 파일(SF)을 판독하고, 이들으 DVD 디스크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에 기록하여 파일이 기록된 DVD 디스크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정보 처리 시스템(101)에서, DVD 디스크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에 파일을 기록하는 동작은 비디오 카메라(102) 또는 개인용 컴퓨터(4)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가 HDD 비디오 카메라(102)가 개인용 컴퓨터에 의해 아직 기록되지 않은 SD 동화 파일(SDF), HD 동화 파일(HDF) 및/또는 정지화 파일(SF)을 갖는다고 판정할 때,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는 DVD 디스크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에 이들 파일만을 부가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상기는 DVD 디스크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에 이미 존재하는 동일한 컨텐츠가 이중으로 기록되는 것을 방지한다.
정보 처리 시스템(10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접속된 후 개인용 컴퓨터(4)가 마스터 장치로서 기능하도록 설정되고 HDD 비디오 카메라(102)가 슬레이브 장치로서 기능하도록 설정되더라도, 사용자는, 단순히 HDD 카메라(102)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SD 동화 파일(SDF), HD 동화 파일(HDF), 및/또는 정지화 파일(SF)이 HDD 비디오 카메라(102)로부터 개인용 컴퓨터(4)로 전송할 수 있고 이들을 컨텐츠 유형에 따라 파일을 기록하기에 적합한 DVD 디스크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에 기록하여, 파일이 기록된 DVD 디스크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를 쉽게 얻을 수 있다.
그 밖의 실시예
상기 제 1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1)에서는, 기록되는 동화 파일(DF) 및/또는 정지화 파일(SF)이 HDD 비디오 카메라(2)의 내부에 배치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6)로부터 개인용 컴퓨터(4)로 공급된다고 가정하였다. 이 대신, 기록되는 이미지 파일은 비디오 카메라에 장착된 반도체 메모리, 탈착가능 비디오 테이프, 또는 DVD 디스크와 같은 다른 종류의 기록 매체로부터 개인용 컴퓨터(4)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 2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101)에서는, 블루레이 디스크 또는 DVD 디스크에 기록되는 SD 동화 파일(SDF), HD 동화 파일(HDF) 및/또는 정지화 파일(SF)이 HDD 비디오 카메라(102)의 내부에 배치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로부터 개인용 컴퓨터(4)에 공급된다고 가정하였다. 그 대신, 기록되는 SD 동화 파일(SDF), HD 동화 파일(HDF), 및/또는 정지화 파일(SF)이 비디오 카메라에 장착된 고용량 반도체 메모리 또는 고용량 기억 디스크와 같은 다른 종류의 기록 매체로부터 개인용 컴퓨터로 공급될 수 있다.
상술한 제 1 및 제 2의 실시예에서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6)는 HDD 비디 오 카메라(2 또는 102)의 내부에 고정 배치되었다고 가정하였다. 그 대신,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6)가 비디오 카메라(2 또는 102)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 1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팝업창(PW1)에서 "DVD에 기록" 버튼(P2)을 선택하면, HDD 비디오 카메라(2)는 개인용 컴퓨터(4)가 DVD 디스크에 파일을 기록하는 처리를 시작하도록 하는 기능 식별 파일"DVDBURN.IND"을 생성한다. 그 대신, 예를 들어, 팝업창(PW1)에 "메모리 스틱(가부시끼가이샤 소니 상표) 기록" 버튼이 배치되어, "메모리 스틱 기록" 버튼이 눌릴 때, 개인용 컴퓨터(4)가 메모리 스틱에 파일을 기록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기능 식별 파일이 생성되고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제 1의 실시예에서는, "DVD에 기록" 버튼(P2)이 팝업창(PW1)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이를 누름으로써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그 대신, "DVD에 기록" 버튼(P2)을 HDD 비디오 카메라(2)의 케이스에 하드웨어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이를 누름으로써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제 2의 실시예에서는, "디스크에 기록" 버튼(P4)이 팝업창(PW2)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이를 접촉함으로써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그 대신, "디스크에 기록" 버튼을 HDD비디오 카메라(102)의 케이스에 하드웨어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이를 누름으로써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의 실시예에서는, HDD 비디오 카메라(2 또는 102)가 개인용 컴퓨터(4)에 전기적(물리적)으로 접속될 때, 팝업창(PW1 또는 PW2)이 HDD 비디오 카메라(2 또는 102)의 LCD(16)상에 표시된다. 그 대신, HDD 비디오 카메라(2 또 는 102)가 개인용 컴퓨터(4)에 전기적(물리적)으로 접속되지 않는 상태더라도 메뉴의 버튼이 눌리면 팝업창(PW1 또는 PW2)이 LCD(19)에 표시될 수 있고, 팝업창(PW1 또는 PW2)의 버튼이 접촉될 때 HDD 비디오 카메라(2 또는 102)가 기능 식별 파일"DVDBURN.IND" 또는 "OTDISCBN.IND"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의 실시예에서는, 개인용 컴퓨터(4)의 CPU(30)가 HDD 비디오 카메라(2)의 파일 시스템(FS1)에서 기능 식별 파일"DVDBURN.IND" 또는 HDD 비디오 카메라(102)의 파일 시스템(FS2)에서 기능 식별 파일"OTDISCBN.IND"의 존재를 탐지할 때,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24)에 저장된 DVD 기록 프로그램 또는 디스크 기록 프로그램이 RAM(22)에 상주하는 정보 처리 장치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기동된다. 그 대신, 정보 처리 장치 제어 프로그램은 CD ROM 또는 DVD 디스크와 같은 기록 매체로부터 설치되거나, 인터넷 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의 실시예에서는, 정보 처리 시스템(1 또는 101)이 정보 처리 장치로서 기능하는 개인용 컴퓨터(4)를 슬레이브 장치로서 기능하는 HDD 비디오 카메라(2 또는 102)에 접속함으로써 형성된다. 그 대신, 정보 처리 시스템은 휴대 전화 장치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장치와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를 휴대 전화 장치, PDA 장치 또는 개인용 노트북 컴퓨터와 같이 이미지를 격납 및 출력할 수 있는 컨텐츠 출력 장치로서 기능하는 전자 장치에 접속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의 실시예에서는, 동화 파일(DF)은 HDD 비디오 카메라(2)로부터 개 인용 컴퓨터(4)로 컨텐츠 데이터로서 전송되고, DVD 디스크에 기록된다. 그 대신, 정지화 파일, 오디오 파일, 게임 프로그램 파일, 텍스트 파일 등과 같은 다른 유형의 데이터가 개인용 컴퓨터(4)로 전송될 수 있고, DVD 디스크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제 2의 실시예에서는, SD 동화 파일(SDF), HD 동화 파일(HDF), 및/또는 정지화 파일(SF)이 HDD 비디오 카메라(102)로부터 개인용 컴퓨터(4)로 컨텐츠 데이터로서 전송되고, 컨텐츠 유형에 따라 DVD 디스크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에 기록된다. 그 대신, 오디오 파일, 게임 프로그램 파일, 텍스트 파일등과 같은 다른 유형의 데이터가 개인용 컴퓨터(4)로 전송될 수 있고, 데이터 사이즈 또는 데이터 형식에 따라 DVD 디스크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제 1의 실시예에서는, HDD 비디오 카메라(2)가 개인용 컴퓨터(4)에 전기적(물리적)으로 접속된 후, "DVD에 기록" 버튼(P2)이 접촉될 때, 기능 식별 파일"DVDBURN.IND"이 생성된다. 그 대신, "DVD에 기록" 버튼(P2)이 HDD 비디오 카메라(2)가 개인용 컴퓨터(4)에 전기적(물리적)으로 접속된 전후 임의의 시간에 접촉될 때, 기능 식별 파일"DVDBURN.IND"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의 실시예에서는, HDD 비디오 카메라(102)가 개인용 컴퓨터(4)에 전기적(물리적)으로 접속된 후, "디스크에 기록" 버튼(P4)이 접촉될 때, 기능 식별 파일"OTDISCBN.IND" 및 카메라 식별 파일"MODELCFG.IND"이 생성된다. 그 대신, "디스크에 기록" 버튼(P4)이 HDD 비디오 카메라(102)가 전기적(물리적)으로 개인용 컴퓨터(102)에 접속된 전후 임의의 시간에 접촉될 때, 기능 시별 파일"OTDISCBN.IND" 및 카메라 식별 파일"MODELCFG.IND"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의 실시예에서는, HD 동화 파일(HDF)을 기록하기에 적합한 유형의 디스크인 블루레이 디스크에 컨텐츠 데이터가 기록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단계 SP40에서 결정하고, SD 동화 파일(SDF)을 기록하기에 적합한 유형의 디스크인 DVD디스크에 컨텐츠 데이터가 기록되어야 하는지 여부가 단계 SP42에서 결정된다. 그 대신, 단계 SP42의 판정을 먼저 행하고, 단계 SP40의 판정을 나중에 행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의 실시예에서는, HDD 비디오 카메라(2 또는 102)가 플레이 리스트를 가질 때, JPEG 형태로 압축된 정지화 파일(SF)이 MPEG2 형태로 변환되고, MPEG2 형태의 다른 이미지 파일과 함께 기록되며, 플레이 리스트가 없을 때 JPEG 정지화 파일(SF)은 MPEG2 형태로 변환되지 않고 바로 기록된다. 그 대신, 플레이 리스트의 유무에 관계없이, JPEG 형태로 압축된 정지화 파일(SF)이 기록되기 전에 MPEG2 형태로 변환될 수도 있고, 또는, 변환되지 않고 바로 기록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의 실시예에서는, 컨텐츠 출력 장치로서 기능하는 HDD 비디오 카메라(2 또는 102)가 기능 식별 파일 생성 수단 및 유형 식별 파일 생성 수단인 CPU(10) 및 파일 기록 수단인 RAM(12)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정보 처리 장치로서 기능하는 개인용 컴퓨터(4)가 검출 수단인 USB 인터페이스(28)와 제어 수단인 CPU(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었다고 하였다. 그 대신, 컨텐츠 출력 장치에서 기능 식별 파일 생성 수단, 유형 식별 파일 생성 수단, 및 파일 기억 수단중 하나 또는 모두가 다른 회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정보 처리 장치의 검출 수단 및 제어 수단중 하나 또는 둘다가 다른 회로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해 본 발명의 첨부된 청구범위와 등가의 범주내에서 요구에 따라 다양한 변형, 조합,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는 컨텐츠 출력 장치에 의해 생성된 기능 식별 파일이 있는지를 단순히 검출함으로써 기능 식별 파일에 대응하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컨텐츠 출력 장치가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처리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간이한 구성으로 구성된, 정보 처리 시스템, 컨텐츠 출력 장치, 및 컨텐츠 출력 장치에 의한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정보 처리 장치가 컨텐츠 출력 장치에 의해 생성된 기능 식별 파일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유형 식별 파일에 기록된 유형 정보에 의해 나타난 컨텐츠 유형에 대응하는 유형의 기록 매체상에 컨텐츠 출력 장치로부터 출력된 컨텐츠 데이터를 기록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컨텐츠 출력 장치, 및 컨텐츠 출력 장치에 의한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다.

Claims (19)

  1. 서로 접속된 컨텐츠 출력 장치와 정보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는:
    사용자에 의한 버튼 조작에 따라, 정보 처리 장치가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능 식별 파일을 생성하는 기능 식별 파일 생성 수단; 및
    기억 수단에 상기 기능 식별 파일을 저장하는 파일 기억 수단을 포함하고,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가 접속되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 및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의 접속을 검출한 후, 상기 기억 수단에 저장된 상기 기능 식별 파일의 존재 유무에 의거하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는, 사용자가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발행된 명령에 따라 화상 유닛을 통해 격납된 이미지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기 위하여 상기 기능 식별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기억 수단은 루트 디렉토리 바로 아래에 상기 기능 식별 파일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 사이의 접속이 해제될 때, 상기 파일 기억 수단은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기능 식별 파일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5. 정보 처리 장치와 접속가능한 컨텐츠 출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가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된 후,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에 소정의 기능 식별 파일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의거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따라 소정의 기능 식별 파일을 생성하는 기능 식별 파일 생성 수단; 및
    기억 수단에 상기 기능 식별 파일을 저장하는 파일 기억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
  6.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된 컨텐츠 출력 장치에 의한 정보 처리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된 후,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에 소정의 기능 식별 파일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의거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따라 소정의 기능 식별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기억 수단에 상기 기능 식별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에 접속되는 것을 검출할 때, 기억 수단에 기능 식별 파일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의거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제어 방법.
  7.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된 컨텐츠 출력 장치에 의한 정보 처리 장치 제어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된 후,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에 소정의 기능 식별 파일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의거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따라 소정의 기능 식별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기억 수단에 상기 기능 식별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에 접속되는 것을 검출할 때, 상기 기억 수단에 상기 기능 식별 파일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의거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제어 프로그램.
  8. 서로 접속된 컨텐츠 출력 장치와 정보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싱기 컨텐츠 출력 장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데이터를 기록 매체상에 기록하도록 하는 기능 식별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기능 식별 파일 생성 수단;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컨텐츠 데이터의 컨텐츠 유형이 선택되면, 컨텐츠 유형을 나타내는 유형 정보가 기재된 유형 식별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유형 식별 파일 생성 수단; 및
    기억 수단에 상기 유형 식별 파일 및 상기 기능 식별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파일 기억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가 상기 정보 처리 수단에 접속하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 및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의 접속이 검출된 후, 상기 기억 수단에 저장된 상기 기능 식별 파일의 존재 유무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 매체에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하고, 상기 유형 정보 파일에 기재된 유형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컨텐츠 유형에 대응하는 유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화상 유닛을 통해 캡쳐된 이미지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기 위해 버튼 조작에 의해 사용자가 발행한 명령에 따라,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가 상기 기능 식별 파일 및 상기 유형 식별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기억 수단은 루트 디렉토리 바로 아래에 상기 기능 식별 파일 및 상기 유형 식별 파일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 사이의 접속이 해제될 때, 상기 파일 기억 수단이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유형 식별 파일 및/또는 상기 기능 식별 파일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13.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가능한 컨텐츠 출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데이터를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시작하도록 하는 기능 식별 파일을 생성하는 기능 식별 파일 생성 수단;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컨텐츠 데이터의 컨텐츠 유형이 선택되면, 컨텐츠 유형을 나타내는 유형 정보가 기재된 유형 식별 파일을 생성하는 유형 식별 파일 생성 수단; 및
    기억 수단에 상기 유형 식별 파일 및 상기 기능 식별 파일을 저장하는 파일 기억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
  14.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된 컨텐츠 출력 장치에 의한 정보 처리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데이터를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시작하도록 하는 기능 식별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컨텐츠 데이터의 컨텐츠 유형이 선택되면, 상기 컨텐츠 유형을 나타내는 유형 정보가 기재된 유형 식별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기억 수단에 상기 유형 식별 파일 및 상기 기능 식별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
    정보 처리 장치가 컨텐츠 출력 장치에 접속되는 것을 검출하면, 기억 수단에 저장된 기능 식별 파일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의거하여 기록 매체상에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하고, 상기 유형 정보 파일 에 기재된 유형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에 저장된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제어 방법.
  15.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된 컨텐츠 출력 장치에 의한 정보 처리 장치 제어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데이터를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시작하도록 하는 기능 식별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컨텐츠 데이터의 컨텐츠 유형이 선택되면, 상기 컨텐츠 유형을 나타내는 유형 정보가 기재된 유형 식별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기억 수단에 상기 유형 식별 파일 및 상기 기능 식별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에 접속되는 것을 검출하면, 상기 기억 수단에 저장된 상기 기능 식별 파일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의거하여 기록 매체상에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하고, 상기 유형 정보 파일에 기재된 유형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에 저장된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제어 프로그램.
  16. 서로 접속된 정보 처리 장치 및 컨텐츠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 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는: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능 식별 파일을 생성하는 기능 식별 파일 생성 유닛; 및
    기억 유닛에 상기 기능 식별 파일을 저장하는 파일 기억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가 접속되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기;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의 접속이 검출된 후, 상기 기억 유닛에 저장된 상기 기능 식별 파일의 존재 유무에 의거하여 기능을 수행하도록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17.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가능한 컨텐츠 출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된 후,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에 소정의 기능 식별 파일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의거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따라 소정의 기능 식별 파일을 생성하는 기능 식별 파일 생성 유닛; 및
    기억 유닛에 상기 기능 식별 파일을 저장하는 파일 기억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
  18. 서로 접속된 정보 처리 장치 및 컨텐츠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데이터를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도록 하는 기능 식별 파일을 생성하는 기능 식별 파일 생성 유닛;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컨텐츠 데이터의 컨텐츠 유형이 선택되면, 컨텐츠 유형을 나타내는 유형 정보가 기재된 유형 식별 파일을 생성하는 유형 식별 파일 생성 유닛; 및
    상기 기억 유닛에 상기 기능 식별 파일 및 상기 유형 식별 파일을 저장하는 파일 기억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가 접속되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기; 및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의 접속을 검출한 후, 상기 기억 유닛에 저장된 상기 기능 식별 파일의 존재 유무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 매체에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하고, 유형 정보 파일에 기재된 유형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에 저장된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19. 정보 처리 장치와 접속가능한 컨텐츠 출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컨텐츠 출력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하도록 하는 기능 식별 파일을 생성하는 기능 식별 파일 생성 유닛;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컨텐츠 데이터의 컨텐츠 유형이 선택되면, 상기 컨텐츠 유형을 나타내는 유형 정보가 기재된 유형 식별 파일을 생성하는 유형 식별 파일 생성 유닛; 및
    기억 유닛에 상기 기능 식별 파일 및 상기 유형 식별 파일을 저장하는 파일 기억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
KR1020060128496A 2005-12-27 2006-12-15 정보 처리 시스템, 컨텐츠 출력 장치, 및 컨텐츠 출력장치에 의한 정보 처리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KR200700690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76516 2005-12-27
JP2005376516 2005-12-27
JPJP-P-2006-00189365 2006-07-10
JP2006189365A JP2007200518A (ja) 2005-12-27 2006-07-10 情報処理システム、コンテンツ出力装置、コンテンツ出力装置による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制御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9023A true KR20070069023A (ko) 2007-07-02

Family

ID=37888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8496A KR20070069023A (ko) 2005-12-27 2006-12-15 정보 처리 시스템, 컨텐츠 출력 장치, 및 컨텐츠 출력장치에 의한 정보 처리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60821B2 (ko)
EP (1) EP1804163A3 (ko)
JP (1) JP2007200518A (ko)
KR (1) KR2007006902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49501A1 (ja) * 2007-06-06 2008-12-11 Panasonic Corporation 再生装置、再生方法、プログラム
JP2009049726A (ja) * 2007-08-21 2009-03-05 Sony Corp 情報変換装置、情報変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063280B2 (ja) * 2007-09-28 2012-10-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ファイル転送システム、クライアント、サーバ
JP4462325B2 (ja) 2007-10-25 2010-05-12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変換方法、およびデータ変換装置、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再生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894718B2 (ja) 2007-10-25 2012-03-14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変換方法、およびデータ変換装置、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再生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00101912A (ko) * 2009-03-10 2010-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영상 파일을 연속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2075022A (ja) * 2010-09-29 2012-04-12 Nec Personal Computers Ltd 映像データ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US11487707B2 (en) * 2012-04-30 2022-1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fficient file path indexing for a content repository
JP6855348B2 (ja) * 2017-07-31 2021-04-07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ダウンロード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5040A (ja) * 1993-08-24 1995-03-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機能データインターフェース方法および機能データ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US6084978A (en) * 1993-12-16 2000-07-04 Eastman Kodak Company Hierarchical storage and display of digital images used in constructing three-dimensional image hard copy
JP2000137796A (ja) * 1998-10-29 2000-05-16 Canon Inc 情報入力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JP4281174B2 (ja) * 1999-09-24 2009-06-17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記録再生装置、データ記録再生方法、データ記録再生システム及びデータ記録再生プログラムを提供するプログラム提供媒体
US7296238B1 (en) * 2000-09-08 2007-11-13 Cor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iggering automated processing of data
US6961922B1 (en) * 2000-09-08 2005-11-01 Cor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fining operations to be performed during automated data processing
US6820196B2 (en) 2001-04-09 2004-11-16 Sony Corporation Flash memory initialization in a DTV set-top box
JP3938685B2 (ja) * 2001-12-12 2007-06-27 富士通テ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2003259274A (ja) * 2002-03-01 2003-09-12 Seiko Epson Corp 通信接続されたデータソース装置とデータ利用装置を備えたシステム
JP2003263358A (ja) 2002-03-08 2003-09-19 Sharp Corp 伝達元機器、伝達先機器、情報伝達システム、及び情報伝達システムにおけるシステム認識方法
US20040201688A1 (en) 2002-03-18 2004-10-14 Eastman Kodak Company Accessing image files stored in a digital camera by a host computer
CN1448880A (zh) 2002-04-04 2003-10-15 力捷电脑股份有限公司 具有功能选项的文件自动识别和执行方法及其装置
JP2004094815A (ja) 2002-09-03 2004-03-25 Sony Corp 記録および/または再生装置、記録および/または再生方法、記録および/または再生プログラム、記録媒体、電子機器、記録および/または再生装置制御方法、ならびに、記録および/または再生装置制御プログラム
US20040174443A1 (en) * 2003-03-07 2004-09-09 Simske Steven J.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of records in a database
EP1614112A2 (en) * 2003-03-24 2006-01-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cording apparatus and content protection system
CN100383756C (zh) 2003-07-22 2008-04-23 深圳市朗科科技有限公司 利用半导体存储装置实现自动执行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04163A3 (en) 2009-06-17
US7860821B2 (en) 2010-12-28
JP2007200518A (ja) 2007-08-09
EP1804163A2 (en) 2007-07-04
US20070150434A1 (en) 2007-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69023A (ko) 정보 처리 시스템, 컨텐츠 출력 장치, 및 컨텐츠 출력장치에 의한 정보 처리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KR100663048B1 (ko)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 데이터 기록 재생 방법, 데이터기록 재생 시스템 및 데이터 기록 재생 프로그램을제공하는 프로그램 제공 매체
WO2004095451A1 (ja) 入力データ記録装置及び入力データ記録方法
JP2004062957A (ja) 記録方法、再生方法、削除方法、記録装置、再生装置及び削除装置
WO2005088965A1 (ja) 再生プログラム及び再生データ生成プログラム並びにデータ記録装置
JP2002175680A (ja) 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方法、再生方法及び記憶媒体
JP5164603B2 (ja) 再生装置
JP4181846B2 (ja) 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再生方法
JP2006072736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及び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4653035B2 (ja) 映像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7179641A (ja) 情報処理装置、コンテンツ再生可否判定通知方法及びコンテンツ再生可否判定通知プログラム
US20060083481A1 (en) Method for generating a playlist and the system for the same
JP2006195632A (ja) 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管理情報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9171345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2009224862A (ja) 記録プログラム及び記録装置並びに記録方法
JP2009163791A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及び光ディスク再生装置のデータ管理方法
JP2008124583A (ja) 再生装置及びデータ転送システム
JP2006099840A (ja) 情報記録再生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録媒体
JP2005050412A (ja) 記録方法、記録装置、フォーマット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3223455A (ja) 情報記録編集装置及び情報記録媒体
JP4348646B2 (ja) 記録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WO2007080846A1 (ja) 制御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JP2006085419A (ja) 記録プログラム及び記録装置
WO2005122172A1 (ja) 記録プログラム及び記録装置
WO2006008910A1 (ja) データ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