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9019A -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 Google Patents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9019A
KR20070069019A KR1020060123744A KR20060123744A KR20070069019A KR 20070069019 A KR20070069019 A KR 20070069019A KR 1020060123744 A KR1020060123744 A KR 1020060123744A KR 20060123744 A KR20060123744 A KR 20060123744A KR 20070069019 A KR20070069019 A KR 20070069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ocument
pressing plate
original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3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0922B1 (ko
Inventor
고이치 가타노
Original Assignee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69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9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0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0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H04N1/121Feeding arrangements
    • H04N1/1225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between the sheet and the image sensor, e.g. pres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olders For Sensitive Materials And Original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Exposure Or Original Feed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원고 압착판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그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를 구비한 사무기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원고 압착판을 회동시켜 사무기기의 기기 본체의 상면을 상기 원고 압착판으로 덮는 폐쇄상태와 그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를 형성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로서, 상기 기기 본체에 부착되는 부착부재와, 그 부착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된 지지부재와, 그 지지부재에 중첩됨과 동시에 그 지지부재의 자유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되는 리프트부재와, 그 리프트부재에 중첩됨과 동시에 그 리프트부재의 자유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되고, 또한, 원고 압착판에 부착되는 위치조절부재와, 그 위치조절부재를 상기 리프트부재와 중첩하는 방향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원고 압착판을 폐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폐쇄상태로 되기 직전 또는 폐쇄상태로 된 때에, 상기 원고 압착판에 의한 자중에 의해 상기 위치조절부재를 상기 중첩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가압수단과, 상기 부착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원고 압착판을 개방방향으로 회전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리프트부재를 상기 지지부재와 중첩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수단을 구비한다.
원고압착판, 자동높이조절, 개폐장치, 지지부재, 리프트부재, 위치조절부재.

Description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opening-closing device of original pressing plate and office apparatus}
도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의 일 예로서 폐쇄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의 일 예로서 개방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위치조절부재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우측면도, (b)는 평면도, (c)는 좌측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지지부재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좌측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2: 부착부재
3: 지지부재 4: 리프트부재
5: 위치조절부재 6: 가압수단
7: 탄성수단 10: 사무기기
11: 기기 본체 12: 원고 압착판
13: 접촉유리
본 발명은 복사기, 인쇄기, 팩시밀리, 스캐너 등의 사무기기에 사용되기 적합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그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를 구비한 사무기기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 인쇄기, 팩시밀리, 스캐너 등의 사무기기의 기기 본체에는 그 기기 본체의 상면 후부에 원고 압착판이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를 통해 개폐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는 일종의 힌지기구로서, 원고 압착판을 힌지축에 회동가능하게 축으로 지지하여, 기기 본체의 상면의 접촉유리 면 위에 원고 압착판을 압착시킴과 동시에, 그 접촉유리를 노출시킬 수 있다. 원고를 접촉유리 면 위에 설치함에는 원고 압착판을 위로 회전시켜(원고 압착판이 접촉유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개방방향이라 함)으로 이동시켜) 접촉유리 면을 노출(개방)시키고, 그 접촉유리 면 위에 원고를 놓은 후, 원고 압착판을 역 방향으로 회전시켜 닫고, 원고 압착판으로 원고를 접촉유리 면 위에 압착시키는 것에 의해 원고를 접촉유리 면 위에 세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중에는 리프트부재를 설치하여 두께에 관계없이 원고를 접촉유리에 밀착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탄성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본래의 중량을 감지시킴이 없이 원고 압착판을 회동시킬 수 있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 공지문헌으로서 일본국 특개평11-95339호 공개특허공보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 공개특허공보에 기재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는 기기 본체측의 접촉유리위에 놓은 원고를 두께에 관계없이 접촉유리에 밀착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원고 압착판의 높이를 조절하여 원고 압착판을 수평으로 하기 위한 수평위치 조절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그렇지만, 원고 압착판으로서는 복수 매의 원고를 효율 좋게 복사하거나 인쇄하거나 또는 송신하거나 하기 위해 원고 자동 이송장치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 원고 자동 이송장치는 원고 압착판의 상부의 일측에 설치된 원고 이송부에 원고를 세트하면, 자동으로 기기 본체의 원고 판독부로 원고를 보내 복사나 인쇄, 혹은 송신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 특히 복수 매의 원고를 복사하거나, 인쇄하거나, 혹은 송신하거나 함에 편리하다. 그러나, 원고가 원고 이송부로부터 원고 판독부에 대해 평행으로 송출되지 않으면, 원고 판독의 오류가 행해져서, 정확한 복사나 인쇄, 더욱이 송신이 불가능한 것으로 된다. 따라서, 설치시에 원고 압착판이 수평으 로 되도록 수평위치 조절수단에 의해 원고 압착판의 높이를 조절하여 원고 압착판을 수평으로 하는 것이 행해지지만, 그 조절은 설치시 혹은 보수 시에 메이커 등의 전문 인력이 행하지 않으면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원고 압착판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그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를 구비한 사무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는 원고 압착판을 회동시켜 사무기기의 기기 본체의 상면을 상기 원고 압착판으로 덮는 폐쇄상태와 그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를 형성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로서, 상기 기기 본체에 부착되는 부착부재와, 그 부착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된 지지부재와, 그 지지부재에 중첩함과 동시에 그 지지부재의 자유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되는 리프트부재와, 그 리프트부재에 중첩됨과 동시에 그 리프트부재의 자유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되며, 또한, 원고 압착판에 부착되는 위치조절부재와, 그 위치조절부재를 상기 리프트부재와 중첩하는 방향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원고 압착판을 폐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폐쇄상태로 되기 직전 또는 되는 때에 상기 원고 압착판에 의한 자중에 의해 상기 위치조절부재가 상기 중첩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가압수단과, 상기 부착부재와 지지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원고 압착판을 개방방향으로 회전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리프트부재를 상기 지지부재와 중첩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가압이라는 의미는 탄성수단의 탄성력과 같은 힘을 작용시키는 것을 말하며, 회전 가압이라 함은, 회전시키도록 힘을 가한다는 의미이다.
이 발명에 의하면, 원고 압착판을 폐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폐쇄상태로 되기 직전 또는 폐쇄상태로 된 때에 원고 압착판에 의한 자중에 의해 위치 조절부재가 중첩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되므로, 자동으로 원고 압착판의 위치가 조절되어 원고 압착판을 기기 본체의 상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이 상기 리프트부재에 부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위치조절부재를 관통하며, 또한, 선단부에 플랜지부를 가지는 가압로드와, 그 가압로드의 플랜지부와 상기 위치조절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 가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이 상기 리프트부재와 상기 위치조절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2 가압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재에 원고 압착판을 기기 본체의 상면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위치 결정하는 원고 압착판 위치결정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원고 압착판이 폐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원고 압착판의 소정의 폐쇄 각도 이하에서만 동작하여 상기 원고 압착판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는 댐퍼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사무기기는 상기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발명에 의하면, 전기 설명한 바와 같이, 원고 압착판을 폐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폐쇄상태로 되기 직전 또는 되는 때에 원고 압착판에 의한 자중에 의해 위치조절부재가 중첩하는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되므로 자동으로 원고 압착판의 위치가 조절되어 원고 압착판을 기기 본체의 상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에 의하면, 원고 압착판을 폐쇄방향으로 회전시켜 폐쇄상태로 되기 직전 또는 폐쇄상태로 된 때에 원고 압착판에 의한 자중에 의해 위치조절부재가 중첩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되므로, 자동으로 원고 압착판의 위치가 조절되어 원고 압착판을 기기 본체의 상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술한다.
도1∼도3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는 도1 및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무기기(10)의 기기 본체(11)의 후단부에 원고 압착판(12)을 회동가능하게 부착하고, 원고 압착판(12)을 회동시켜 기기 본체(11)의 상면을 원고 압착판(12)으로 덮는 폐쇄상태(도1 참조)와 그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도2 참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사무기기(10)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복사 기, 인쇄기, 팩시밀리, 스캐너 등이 열거되며,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복사기를 들 수 있다. 특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설명하는 원고 압착판(12)의 상부에는 예를 들면,원고 자동이송장치(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원고 자동이송장치는 복수 매의 원고를 효과적으로 복사하거나 송신하거나 하기 위한 것이다. 그 원고 자동이송장치는 원고 압착판(12)의 상부의 일측에 설치된 원고 이송부를 구비하고, 그 원고 이송부에 원고를 세트하면, 자동으로 기기 본체(11)의 원고 판독부(원고 판독부가 접촉유리(13)인 경우도 있다)위로 복수 매의 원고가 순차 이송되어 복사나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1)는 도1∼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무기기(10)의 기기 본체(11)에 부착되는 부착부재(2)와, 그 부착부재(2)에 회동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된 지지부재(3)와, 그 지지부재(3)에 중첩되어 그 지지부재(3)의 자유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되는 리프트부재(4)와, 그 리프트부재(4)에 중첩되며 그 리프트부재(4)의 자유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되며, 또한, 원고 압착판(12)에 부착되는 위치조절부재(5)와, 그 위치조절부재(5)를 리프트부재(4)와 중첩 방향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원고 압착판(12)을 폐쇄방향으로 회전시켜 폐쇄상태로 되기 직전 또는 폐쇄상태로 된 때에 원고 압착판(12)에 의한 자중에 의해 위치조절부재(5)가 중첩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가압수단(6)과, 부착부재(2)와 지지부재(3)의 사이에 설치되어, 원고 압착판(12)을 개방방향으로 회전 가압함과 동시에 리프트부재(4)를 지지부재(3)와 중첩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수단(7)을 구비한 것에 특징이 있다.
부착부재(2)는 예를 들면, 기기 본체(11)에 부착되는 바닥판(21)과, 바닥판(21)의 양 측단부로부터 각각 바닥판(21)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대략 직교하는방향도 포함)으로 연장하는 양측판(22)과, 바닥판(21)의 일 단부(후단부)로부터 바닥판(21)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대략 직교하는 방향도 포함)으로 연장하는 대략 사각 형상의 후판(23)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판(21)은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나사나 볼트 등으로 기기 본체(11)에 부착된다. 측판(22)에는 제1 힌지핀(15)이 회전방지수단 부착 축받침(도시 생략)을 통해 삽입되는 샤프트 구멍(25)이 설치되어 있다. 측판(22)의 샤프트 구멍(25)으로부터 전방으로 또한, 내측(전방)에 치우친 위치에는 압력받이핀(16)이 삽입되는 압력받이핀 구멍(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압력받이핀(16)은 캠 스라이더(72)의 바닥부의 외표면이 접촉하는 압력받이부재로서, 그 압력받이부재는 압력받이핀(16) 등의 핀에 한정되지 않고, 롤러, 예를 들면, 압력받이 롤러이어도 좋다.
지지부재(3)는 도1∼도3 및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맨위판인 상판(31)과, 상판(31)의 양 측단부로부터 각각 상판(31)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대략 직교하는 방향도 포함)으로 연장하는 양 측판(32)과, 측판(32)의 선단부를 서로 대향하는 측으로 90° 절곡하여 이루어지는 지지판(33)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상판(31), 양 측판(32), 지지판(33)으로 수용부(34)가 구성되어 있다.
양 측판(32)의 일 단부(후단부)에는 제2 힌지핀(17)이 삽입되는 제2 힌지핀 구멍(36)이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후술하는 작동핀(18)이 삽입되는 절결부(35)가 설치되어 있다. 양 측판(32)의 타 단부(전단부)에는 샤프트 삽입 구멍(38)이 설치되어 있다. 양 측판(32)의 샤프트 삽입 구멍(38)과 부착부재(2)의 측판(22)의 샤프트 구멍(25)이 일치됨과 동시에, 이들 구멍(38,25)의 사이, 즉, 지지부재(3)의 측판(32)과 부착부재(2)의 측판(22)의 사이에 와셔(19)가 설치되어, 이들 구멍(38, 25) 및 와셔(19)에 제1 힌지핀(15)이 삽입되므로, 지지부재(3)가 부착부재(2)에 제1 힌지핀(15)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양 측판(32)에는 지지부재(3)에 대한 리프트부재(4)의 회동을 용이하게 행하기 위한 미끄럼 접촉부(39)가 각각 돌출되어 있다. 미끄럼 접촉부(39)는 예를 들면, 양 측판(32)의 제2 힌지핀 구멍(36)과 절결부(35)의 사이에 대략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미끄럼 접촉부(39)는 리프트부재(4)의 측판(42)의 내면에 접촉하여 지지부재(3)의 측판(32)의 외면과 리프트부재(4)의 측판(42)의 내면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지지부재(3)에 대한 리프트부재(4)의 회동이 양호하게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리프트부재(4)는 두께가 두껍고 원고도 기기 본체(11)의 상면에 안정하여 압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리프트부재(4)는 대략 사각형 평판 형상의 상판(41)과, 그 상판(41)의 양 단부로부터 각각 상판(41)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대략 직교하는 방향도 포함)으로 연장하는 양 측판(42)으로 구성되고 대략 “ㄷ”자 형상으로 지지부재(3)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리프트부재(4)의 일 단부(후단부)의 중앙으로부터 상판(41) 측의 개소에는 제2 힌지핀 삽입 구멍(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제2 힌지핀 삽입구멍 보다 타 단부측으로 또한, 중앙으로부터 상판(41)측 과는 반대측의 개소에는 작동핀(18)이 삽입되는 작동핀 구멍(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양 측판(42)의 작동핀 구멍에 작동핀(18)이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리프트부재(4)의 양 측판(42)의 제2 힌지핀 삽입구멍과 지지부재(3)의 양 측판(32)의 제2 힌지핀 구멍이 일치되고 이들 구멍에 제2 힌지핀(17)이 삽입되므로써, 리프트부재(4)와 지지부재(3)가 제2 힌지핀(17)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위치조절부재(5)는 원고 압착판(12)의 높이조절을 자동으로 행하기 위한 것이다. 위치조절부재(5)는 도1∼도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 평판 형상의 상판(51)과, 그 상판(51)의 양 단부로부터 각각 상판(51)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대략 직교하는 방향도 포함)으로 연장하는 양 측판(52)으로부터 대략 “ㄷ”자 형상으로 되어 리프트부재(4)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양 측판(52)의 선단부에는 원고 압착판(12)의 후단측에 나사나 볼트 등으로 부착되는 부착공(53a)을 가지는 플랜지(5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양 측판(52)의 일 단부(후단부)측의 대략 중앙의 개소에는 제2 힌지핀 삽입구멍(54)이 설치되어 있다. 그 제2 힌지핀 삽입구멍(54)과 리프트부재(4)의 양 측판(42)의 제2 힌지핀 삽입구멍과 지지부재(3)의 양 측판(32)의 제2 힌지핀 구멍이 일렬을 이루어 이들 구멍(54)에 제2 힌지핀(17)이 삽입되는 것에 의해 위치조절부재(5)와 리프트부재(4)와 지지부재(3)가 제2 힌지핀(17)을 축으로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위치조절부재(5)의 플랜지(53)의 어느 일방, 예를 들면, 좌측의 플랜지(53)의 자유단 근방에는 원고 압착판 위치결정부재(90)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55)가 설치되어 있다. 원고 압착판 위치결정부재(90)는 원고 압착판(12)을 기기 본체(11) 의 상면, 예를 들면, 접촉유리(13)의 면에 대해 대략 평행으로 위치결정하는 것이다. 즉, 원고 압착판 위치결정부재(90)는 원고 압착판(12)을 기기 본체(11)의 상면, 예를 들면, 접촉유리(13)의 면에 대한 원고 압착판(12)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원고 압착판 위치결정부재(90)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베어링(91) 등이 사용된다. 그 베어링(91)이 샤프트 등의 베어링 부착부재(92)를 통해 부착부(55)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위치조절부재(5)의 양 측판(52)의 자유단 근방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이동규제구멍(5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리프트부재(4)의 양 측판의 자유단 근방에는 이동규제구멍(57)에 삽입되는 이동규제핀(47)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동규제핀(47)이 이동규제구멍(57)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범위에서 리프트부재(4)에 대해 위치조절부재(5)가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리프트부재(4)에 대한 위치조절부재(5)의 회동범위를 이동규제구멍(57)과 이동규제핀(47)에 의해 규제하였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구조에 의해 리프트부재(4)에 대한 위치조절부재(5)의 회동 범위를 규제하는 것과 같이 하여도 좋다.
가압수단(6)은 위치조절부재(5)를 리프트부재(4)와 중첩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외에 원고 압착판(12)을 폐쇄 방향에 회전시켜 폐쇄상태로 되기 직전 또는 폐쇄상태로 된 때 원고 압착판(12)의 자중에 의해 위치조절부재(5)가 중첩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가압수단(6)으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리프트부재에 부착되어 있는 가압로드(61)와, 그 가압로드(61)와 위치조절부재(5)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1 가압부재로부터 이루어지는 것도 좋 다.
가압로드(61)는 리프트부재(4)의 상판(41)의 자유단부 근처에 돌출한 상태에서 부착되어 있다. 그 가압로드(61)는 위치조절부재(5)의 상판(51)의 자유단부 근처에 설치되어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길다란 장공 형상의 관통공(65)을 관통하고 있다. 또한, 관통공(65)의 형상은 길다란 장공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 예를 들면, 원 형상 등이어도 좋다. 가압로드(61)의 선단부에는 플랜지부(61a)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가압부재는 특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압축 스프링(62) 등이다. 압축 스프링(62)은 위치조절부재(5)로부터 돌출하는 가압로드(61)에 부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일 단부가 플랜지부(61a)에 접함과 동시에 타 단부가 위치조절부재(5)의 상판(51)에 접하고 있으며, 위치조절부재(5)가 리프트부재(4)와 중첩 방향으로 가압됨과 동시에, 원고 압착판(12)을 폐쇄방향으로 회전시켜 폐쇄상태로 되기 직전 또는 폐쇄상태로 된 때에 원고 압착판(12)의 자중에 의해 위치조절부재(5)가 중첩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 압축 스프링(62)으로서는 위치조절부재(5)를 리프트부재(4)와 중첩 방향으로 가압하는 때에, 이동규제핀(47)이 이동규제 구멍(57)의 상단부에 접하지 않고 그 상단부 근처에 위치됨과 동시에 원고 압착판(12)이 폐쇄상태 또는 그 폐쇄상태에 가까운 상태인 때에 원고 압착판(12)의 자중에 의해 위치조절부재(5)가 중첩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최대로 회전한 때에 이동 규제핀(47)이 이동규제 구멍(57)의 하단부에 접하지 않고 하단부 근처에 위치되는 압축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리프트부재(4)에 대한 위치조절부재(5)의 회동 범위는 압축 스프링(62)에 의해 규제, 즉, 설정되는 그러한 압축 스프링(62)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동규제 구멍(57)과 이동규제핀(47)의 위치조절부재(5)의 회동범위의 규제는 보조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압수단(6)으로서는 리프트부재(4)와 위치조절부재(5)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2 가압부재라도 좋다. 제2 가압부재는 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일 단부가 리프트부재(4)의 상판(41)의 상면에 부착됨과 동시에, 타 단부가 위치조절부재(5)의 상판(51)의 하면에 부착되는 인장력 인가부재, 예를 들면, 인장 스프링(67)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인장 스프링(67)으로서는 위치조절부재(5)를 리프트부재(4)와 중첩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때, 이동규제핀(47)이 이동규제구멍(57) 상단부에 접하지 않고 그 상단부 근처에 위치됨과 동시에, 원고 압착판(12)이 폐쇄상태 또는 그 폐쇄상태에 가까운 상태에서 원고 압착판(12)의 자중에 의해 위치조절부재(5)가 중첩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최대로 회전한 때, 이동규제핀(47)이 이동규제구멍(57)의 하단부에 접하지 않고 하단부 근처에 위치되는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수단(7)은 원고 압착판(12)을 개방방향으로 회전 가압함과 동시에 리프트부재(4)를 지지부재(3)와 중첩하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또한, 원고 압착판(12)이 임의의 회동 각도 이하인 경우, 원고 압착판(12)을 가압하는 탄성력이 원고 압착판(12)의 모멘트 보다 작은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개방방향은 원고 압착판(12)을 회전시키는 경우에 원고 압착판(12)이 접촉유리(13)로부터 멀어지는 방 향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폐쇄방향은 개방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원고 압착판(12)을 회전시키는 경우 원고 압착판(12)이 접촉유리(13)에 근접하는 방향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회동 각도는 기기 본체(11)의 상면인 접촉유리(13)면에 대한 원고 압착판(12)의 각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임의의 회동각도는 탄성수단(7)의 탄성력에 의해 임의로 설정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탄성수단(7)에 의한 원고 압착판(12)을 가압하는 탄성력이 원고 압착판(12)의 모멘트 보다 작게 되는 각도이다.
탄성수단(7)은 도1, 도2 및 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특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압축코일스프링(73)이다. 압축코일스프링(73)은 지지부재(3) 내에 삽입되어 작동핀(18)과 압력받이핀(16)의 사이에 탄성적을 설치되어 있다. 압축코일스프링(73)의 작동핀(18)과의 사이에는 스프링받이부재(71)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압축코일스프링(73)의 압력받이핀(16)과의 사이에는 캠 스라이더(72)가 설치되어 있다.
압축코일스프링(73)은 그 개수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1개라도, 또는 2개 이상이어도 좋으며, 스프링받이부재(71) 및 캠 스라이더(72)를 각각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이다. 압축코일스프링(73)은 원고 압착판(12)을 개방방향으로 회전 가압함과 동시에, 원고 압착판(12)이 임의의 회동 각도(예를 들면, 20°(20° 전후도 포함))이하인 때, 원고 압착판(12)을 가압하는 탄성력이 원고 압착판(12)의 모멘트 보다 작게 되는 것이다.
스프링받이부재(71) 및 캠 스라이더(72)는 단면 사각형의 바닥을 가진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스프링받이부재(71) 및 캠 스라이더(72)는 서로의 개구부가 대향함과 동시에 이들 사이에 압축코일스프링(73)이 수용된 상태에서 지지부재(3)의 수용부(34)에 각각 개별적으로 미끄럼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삽입되어 있다. 스프링받이부재(71) 및 캠 스라이더(72)는 부착부재(2)의 바닥판(21)과 지지부재(3)(상판(31))가 대략 평행으로 되는 때(예를 들면, 기기 본체(11)의 상면의 접촉유리(13) 위에 원고 압착판(12)을 밀착시킨 때(원고 압착판(12)이 폐쇄위치에 있는 때)), 지지부재(3)의 수용부(34) 내에 끼워지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받이부재(71)가 압축코일스프링(73)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핀(18)을 가압하여, 지지부재(3)와 리프트부재(4)가 중첩되도록 가압된다. 즉, 압축코일스프링(73)의 탄성력에 의해 리프트부재(4)의 상판(41)이 지지부재(3)의 상판(31)에 접하거나 또는 근접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재(3)의 상판(31)에 접촉부를 설치하여 그 접촉부에 리프트부재(4)의 상판(41)이 접하거나 또는 근접하도록 하여도 좋다.
캠 스라이더(72)의 바닥부(폐쇄부라고도 함)의 외표면의 대략 중앙부에는 돌출부(72a)가 설치되어 있다. 그 돌출부(72a)는 지지부재(3)의 상판(31)에 대략 평행으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72a)보다 상판(31)측의 캠 스라이더(72)의 바닥부 외표면은 후술하는 스토퍼구멍(37)에 스토퍼핀(도시생략)이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스토퍼핀이 접촉하는 핀접촉부(72c)로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72a) 아래는 점차로 경사지는 경사부(72b)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 캠 스 라이더(72)의 바닥부의 외표면의 돌출부(72a) 및 경사부(72b)가 일종의 캠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즉, 폐쇄위치에 있는 원고 압착판(12)(도1 참조)을 접촉유리(1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위)으로 제1 힌지핀(15)을 축으로 회전시키면, 압력받이핀(16)에 접촉하는 개소가 돌출부(72a)로부터 경사부(72b)로 서서히 미끄럼 이동함과 동시에, 캠 스라이더(72)가 압축코일스프링(73)에 의해 지지부재(3)내를 후단부측으로 가압되면서 미끄럼 이동하고, 압축코일스프링(73)이 서서히 신장한다. 그리고, 원고 압착판(12)이 최대 사용 개방각도(예를 들면, 60°(60°전후를 포함)∼70°(70°전후를 포함))로 되면(도2 참조), 그 개폐가 원고 압착판(12)의 개폐 규제기구(도시생략)에 의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재(3)의 양 측판(32)에는 스토퍼구멍(37)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스토퍼구멍(37)은 캠 스라이더(72)가 압축코일스프링(73)의 탄성력에 의해 샤프트 삽입구멍(38)을 폐쇄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설치된 것으로서, 특히 조립시에 효과적으로 이용되는 것이다. 스토퍼구멍(37)의 위치는 지지부재(3)의 자유단부와 샤프트 삽입구멍의 사이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부착부재(2)의 샤프트구멍(25)과 지지부재(3)의 샤프트 삽입구멍이 정렬을 한 경우에, 캠 스라이더(72)의 단부면이 압력받이핀(16)에 접촉하여 방해로 되지 않는 위치라면,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결과, 지지부재(3)의 샤프트 삽입구멍과 부착부재(2)의 샤프트구멍(25)의 와셔(19)를 통한 구멍의 합치 및 제1 힌지핀(15)의 삽입이 용이하게 되며, 조립성이 향상된다.
압축코일스프링(73) 내에는 댐퍼장치(8)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댐퍼장치(8)는 원고 압착판(12)이 폐쇄방향으로 회전한 때, 원고 압착판(12)의 임의의 회동각도 이하의 특정 회동각도 이하(예를 들면, 10°전후 이하)에 있어서만 그 원고 압착판(12)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도록 동작하는 것이다.
댐퍼장치(8)는 예를 들면, 오일 댐퍼장치 등이 있다. 댐퍼장치(8)는 원고 압착판(12)의 특정의 각도 이하(예를 들면, 10° 전후 이하)에 있어서만 그 원고 압착판(12)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 댐퍼장치(8)는 예를 들면, 실리콘 오일 등의 오일이 충전되어 있는 실린더(도시 생략)와, 실린더 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실린더로부터 노출하는 노출 길이가 길도록 가압되는 피스톤 로드(81)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댐퍼장치를 설치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댐퍼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1) 및 사무기기(10)의 작용을 설명한다.
원고 압착판(12)은 기기 본체(11)가 사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1 및 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기 본체(11)의 접촉유리(13)에 밀착되어 있다. 접촉유리(13) 위에 원고를 배치함에는, 우선, 리프트부재(4)가 부착되어 있는 위치와는 반대측의 원고 압착판(12)의 단부 또는 그 근처 등에 설치되어 있는 파지부를 잡고, 원고 압착판(12)을 위로 들어올린다. 즉, 원고 압착판(12)을 제1 힌지핀(15)을 축으로 회전시켜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촉유리(13)면을 외부에 노출시킨다. 이와 같이, 원고 압착판(12)을 회전시키면, 원고압착판(12)은 압축코일스프링(73) 의 탄성력에 의해 개방방향으로 회전력을 받는 상태에 있으므로, 중량을 느끼는 일없이 개방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노출한 접촉유리(13)면 위에 원고를 놓은 후, 파지한 원고 압착판(12)을 내린다. 즉, 원고 압착판(12)을 접촉유리(13)와 접촉하는 폐쇄방향으로 제1 힌지핀(15)을 축으로 회전시켜 아래로 이동시켜서 폐쇄상태로 한다. 원고 압착판(12)을 회전시키는 경우, 최초는 압축코일스프링(73)의 탄성력에 대항하기 위해 다소의 힘이 필요하지만, 예를 들면, 원고 압착판(12)의 회동각도가 20°(20°전후를 포함)이하로 되면, 원고 압착판(12)의 중량에 의한 원고 압착판(12)의 아래로 회전하는 힘이 압축코일스프링(73)의 탄성력 보다 강하므로, 원고압착판(12)은 아래로 이동한다. 원고 압착판(12)의 회동각도가 특정 각도 예를 들면, 10°(10°전후를 포함)로 되면, 댐퍼장치(8)의 피스톤 로드(81)의 선단이 캠 슬라이더(72)의 내면에 접촉하며, 피스톤로드(81)가 실린더 내로 이동하여 피스톤로드(81)의 노출 길이가 짧게 되며, 원고 압착판(12)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킨다. 그 결과, 원고 압착판(12)의 회전속도가 댐퍼장치(8)에 의해 제어되므로, 원고 압착판(12)이 강력하게 접촉유리(13)에 충돌하는 것이 없다.
원고 압착판(12)을 폐쇄방향으로 회전시켜 폐쇄상태로 하면, 그 폐쇄상태로 되기 직전 또는 폐쇄상태로 된 때에 원고 압착판(12)의 자중에 의해 위치조절부재(5)가 중첩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원고 압착판(12)이 위치조절부재(5)를 통해 제2 힌지핀(17)을 축으로 자유로 이동하며, 원고 압착판(12)이 접촉유리(13)면에 밀착하도록, 원고 압착판(12)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된다. 이와 같 이, 원고 압착판(12)의 자중에 의해 제1 힌지핀(15)을 축으로 원고 압착판(12)이 회동하므로, 원고 압착판(12)이 접촉유리(13)면에 확실하게 밀착한다. 즉, 원고 압착판(12)이 접촉유리(13) 위에 원고가 없는 상태에서는 접촉유리(13)에 대해 대략 평행으로 밀착하도록, 원고 압착판(12)의 높이조절이 자동으로 행해지며, 원고 압착판(12)의 수평위치가 조절된다. 그 결과, 예를 들면, 원고가 얇은 종이인 경우에는 원고 압착판(12)에 의해 원고를 접촉유리(13) 위로부터 뜨는 일 없이 확실하게 접촉유리(13)에 밀착될 수 있으므로, 원고를 양호하게 복사할 수 있다. 즉, 원고 압착판(12)과 접촉유리(13)의 사이에 빛이 들어가지 않도록 원고 압착판(12)이 접촉유리(13)에 밀착되어 원고를 양호하게 복사할 수 있다.
또한, 원고가 책과 같이 두께가 두꺼운 경우, 원고 압착판(12)을 회전시키면(아래에 이동시키면), 원고의 지지부재(3)측의 단부 또는 그 근처에 원고 압착판(12)의 지지부재(3)의 근처의 일부가 접촉하고, 원고의 지지부재(3)측의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와 원고 압착판(12)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즉, 파지부 측의 단부의 원고 압착판(12)은 뜬 상태로 된다. 그 뜬 원고 압착판(12)의, 예를 들면, 파지부 측의 단부 근처를 접촉유리(13) 측으로 누르면, 작동핀(18)이 스프링받이부재(71)를 캠 슬라이더(72) 측으로 눌러 압축코일스프링(73)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스프링받이부재(71)가 캠 슬라이더(72)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원고 압착판(12)(리프트부재(4) 및 위치조절부재(5))가 제2 힌지핀(17)을 축으로 회전한다. 즉, 원고의 위를 덮도록 원고 압착판(12)이 이동한다. 예를 들면, 그 원고의 위가 평탄면인 경우에는 그 위에 원고 압착판(12)이 면접촉한다. 그 결과, 두께가 두꺼 운 원고가 안정되게 접촉유리(13)에 밀착된다. 이로써, 원고 압착판(12)은 원고의 두께에 관계없이 원고를 안정되게 접촉유리(13)에 밀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수 매의 원고를, 예를 들면, 복사하는 경우에는 기기 본체(11)의 접촉유리(13)에 원고 압착판(12)이 밀착되어 있는 상태인 채로 원고 압착판(12)의 위의 원고 이송부에 복수 매의 원고를 배치한다. 배치 후, 시작 보턴을 누름 조작하는 것에 의해 복수 매의 원고가 자동으로 순차적으로 원고 이송부로부터 예를 들면, 접촉유리(13) 위로 이송되어 1매씩 연속적으로 복사된다.
원고가 원고 이송부로부터 접촉유리(13) 위로 이송되면, 리프트부재(4)가 부착되어 있는 원고 압착판(12)의 부위가 접촉유리(13) 면으로부터 떠서 원고 판독부에 대해 원고가 평행으로(정상으로) 이송되지 않는, 즉, 원고가 굽혀져서 접촉유리(13) 위로 이송되면, 원고의 판독의 오류가 발생하여, 정확한 복사 등이 이루어질 수 없지만,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1) 및 사무기기(10)에 있어서는 기기 본체(11)에 대한 원고 압착판(12)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되어 원고 판독부에 대해 원고를 정상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즉, 원고 압착판(12)을 폐쇄방향으로 회전시켜 폐쇄상태로 하면, 그 폐쇄상태로 되기 직전 또는 폐쇄상태로 된 때에 원고 압착판(12)의 자중에 의해 위치조절부재(5)가 중첩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원고 압착판(12)이 위치조절부재(5)를 통해 제2 힌지핀(17)을 축으로 자유로이 회동하여 원고 압착판(12)이 접촉유리(13) 면에 밀착하도록 원고 압착판(12)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된다. 그 때, 원고 압착판(12)의 자중에 의해 제1 힌지핀(15)을 축으로 원고 압착판(12)이 회동 하므로, 원고 압착판(12)이 접촉유리(13) 면에 확실하게 밀착한다. 즉, 원고 압착판(12)이 접촉유리(13) 위에 원고가 없는 상태에서는 접촉유리(13)에 대해 대략 평행으로 밀착하도록 원고 압착판(12)의 높이 조절이 자동으로 행해져 원고 압착판(12)의 수평위치가 조절된다. 그 결과, 원고가 원고이송부로부터 접촉유리(13) 위로 평행으로 이송되므로, 복수 매의 원고를 자동으로 순차적으로 접촉유리(13) 위로 이송하여 1매씩 연속적으로 복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1) 및 사무기기(10)는 원고 압착판(12)을 폐쇄방향으로 회전시켜 폐쇄상태로 되기 직전 또는 폐쇄상태로 된 때에 원고 압착판(12)의 자중에 의해 위치조절부재(5)가 중첩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자동으로 원고 압착판(12)의 위치가 조절되어 원고 압착판(12)을 기기 본체(11)의 상면에 밀착시킬 수 있으며, 복사 등을 양호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복수 매의 원고의 복사 등도 연속적으로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1) 및 사무기기(10)는 리프트부재(4)에 대한 위치조절부재(5)의 회동 범위 내에서 원고 압착판(12)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므로, 예를 들면, 그 사이의 대략 중간에서 원고 압착판(12)이 접촉유리(13)에 밀착되도록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1)를 설정(도1 참조)하여 기기 본체(11)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원고 압착판(12)의 높이가 상하 방향으로 자동으로 조절되므로, 원고 압착판(12)을 기기 본체(11)의 상면에 확실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압축 스프링(62)이나 인장 스프링(67)의 선재나 크기 등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원고 압착판(12)의 자동으로 조절하는 높이가 변하므로 사무기기(10)에 따라 원고 압착판(12)의 자동조절 높이를 선택할 수 있으며, 범용성이 우수하게 된다.
또한, 위치조절부재(5)에 원고 압착판 위치결정부재(90)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기기 본체(11)의 상면, 즉, 접촉유리(13)에 대한 원고 압착판(12)의 위치 조절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즉, 기기 본체(11)의 상면, 즉, 접촉유리(13)에 대한 원고 압착판(12)의 위치결정은 원고 압착판(12)의 하면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복수의 원고 압착판 위치결정부재가 기기 본체(11)의 상면에 각각 접촉하여 원고 압착판(12)의 위치 결정을 행하고 있다. 이를 위해 위치조절부재(5)에 원고 압착판 위치결정부재(90)로서의 베어링(91)을 부착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1)에 있어서도 원고 압착판(12)의 위치 조절이 행해지므로 기기 본체(11)의 상면, 즉, 접촉유리(13)에 대한 원고 압착판(12)의 위치 결정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는 원고 압착판을 폐쇄방향으로 회동시켜 폐쇄상태로 되기 직전 또는 폐쇄상태로 된 때에 원고 압착판의 자중에 의해 위치조절부재가 중첩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자동으로 원고 압착판의 위치가 조절되어 원고 압착판을 기기 본체의 상면에 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특히, 복사기, 인쇄기, 팩시밀리, 스캐너 등의 사무기기의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로서 적합하게 사용되는 것이다.

Claims (6)

  1. 원고 압착판을 회동시켜 사무기기의 기기 본체의 상면을 상기 원고 압착판으로 덮는 폐쇄상태와 그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를 형성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로서,
    상기 기기 본체에 부착되는 부착부재와, 그 부착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된 지지부재와, 그 지지부재에 중첩됨과 동시에 그 지지부재의 자유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되는 리프트부재와, 그 리프트부재에 중첩됨과 동시에 그 리프트부재의 자유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되며, 또한, 원고 압착판에 부착되는 위치조절부재와, 그 위치조절부재를 상기 리프트부재와 중첩하는 방향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원고 압착판을 폐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폐쇄상태로 되기 직전 또는 폐쇄상태로 된 때에 상기 원고 압착판의 자중에 의해 상기 위치조절부재를 상기 중첩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가압수단과, 상기 부착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원고 압착판을 개방방향으로 회전시키려 함과 동시에 상기 리프트부재를 상기 지지부재와 중첩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이, 상기 리프트부재에 부착됨과 동시에 상기 위치조절부재를 관통하며 또한 선단부에 플랜지부를 가지는 가압로드와, 그 가압로드의 플랜지부와 상기위치조절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 가압부재로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이, 상기 리프트부재와 상기 위치조절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2 가압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원고 압착판을 기기 본체의 상면에 대해 대략 평행으로 위치결정하는 원고 압착판 위치결정부재가 상기 위치조절부재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원고 압착판이 폐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원고 압착판의 소정의 폐쇄각도 이하에서만 동작하여 상기 원고 압착판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는 댐퍼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6. 상기 청구항 1항 기재의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기기.
KR1020060123744A 2005-12-27 2006-12-07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KR1008609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76275A JP4898215B2 (ja) 2005-12-27 2005-12-27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事務機器
JPJP-P-2005-00376275 2005-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9019A true KR20070069019A (ko) 2007-07-02
KR100860922B1 KR100860922B1 (ko) 2008-09-29

Family

ID=38213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3744A KR100860922B1 (ko) 2005-12-27 2006-12-07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898215B2 (ko)
KR (1) KR100860922B1 (ko)
CN (1) CN199160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026B1 (ko) * 2010-04-22 2013-03-18 켐 홍콩 유한회사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KR101435728B1 (ko) * 2011-12-27 2014-08-28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원고압착판 개폐유지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사무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98646B (zh) * 2007-09-26 2011-08-31 加藤电机株式会社 原稿压板开闭装置及具有原稿压板的办公设备
JP5441097B2 (ja) * 2008-12-09 2014-03-12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事務機器
JP5336334B2 (ja) * 2009-11-27 2013-11-06 下西技研工業株式会社 ヒンジ
JP5900878B2 (ja) * 2011-08-30 2016-04-06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事務機器
JP6341567B2 (ja) * 2014-07-24 2018-06-13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ニスカ株式会社 ヒンジ装置
JP6664953B2 (ja) * 2015-12-18 2020-03-13 下西技研工業株式会社 ヒンジ
CN107798742B (zh) * 2017-10-31 2020-11-27 王锐 一种具有自动调节功能的识别能力强的智能型考勤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4373A (ja) * 1995-08-17 1997-02-25 Mita Ind Co Ltd 半開閉式原稿押えの連結部構造
JP3408111B2 (ja) 1997-05-15 2003-05-19 加藤電機株式会社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3641357B2 (ja) * 1997-09-24 2005-04-20 加藤電機株式会社 原稿圧着板開閉装置
KR200200683Y1 (ko) 1998-09-23 2000-11-01 윤종용 스캐너의 원고 밀착 장치
JP4102956B2 (ja) * 2000-03-01 2008-06-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原稿読取装置
KR20030065081A (ko) * 2002-01-29 2003-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캐너의 원고압착장치
JP3971276B2 (ja) * 2002-09-05 2007-09-05 加藤電機株式会社 ヒンジ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026B1 (ko) * 2010-04-22 2013-03-18 켐 홍콩 유한회사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KR101435728B1 (ko) * 2011-12-27 2014-08-28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원고압착판 개폐유지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사무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178667A (ja) 2007-07-12
KR100860922B1 (ko) 2008-09-29
CN1991607A (zh) 2007-07-04
JP4898215B2 (ja) 2012-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0922B1 (ko)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KR100675668B1 (ko)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그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구비한사무기기
KR100754413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KR101019775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
KR20060048307A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US6804858B2 (en)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hinged pair of bodies
US5278677A (en) Device for removing document jamming generated at a transmitter of a facsimile using a contact image sensor
JP5807943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事務機器
KR100821293B1 (ko)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JP2011227370A5 (ko)
TWI526138B (zh) 原稿壓合板開闔裝置及事務機器
JP5223070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4569517B2 (ja) 画像形成装置
JP3411438B2 (ja) 自動原稿搬送装置
JP2004109792A (ja) ヒンジ装置及びこのヒンジ装置を備えた画像処理装置
JPS6026331A (ja) 複写機等の原稿押さえ装置
JP2003075941A (ja) 原稿読取り装置
KR100542355B1 (ko) 플랫베드 타입의 화상판독부를 갖는 사무자동화기기
JP5645227B6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5645227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KR20050076126A (ko) 개선된 프론트 커버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JPH0865446A (ja) ペーパー解除機構
KR19990023821U (ko) 급지카세트의 용지픽업장치
JP2004020987A (ja) 画像読取装置
JP2002278175A (ja) 原稿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